KR102187955B1 -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955B1
KR102187955B1 KR1020200036691A KR20200036691A KR102187955B1 KR 102187955 B1 KR102187955 B1 KR 102187955B1 KR 1020200036691 A KR1020200036691 A KR 1020200036691A KR 20200036691 A KR20200036691 A KR 20200036691A KR 102187955 B1 KR102187955 B1 KR 10218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health
nutri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윤성
박종화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리노믹스
Priority to KR102020003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955B1/ko
Priority to PCT/KR2020/004830 priority patent/WO2021194000A1/ko
Priority to US17/801,241 priority patent/US2023008268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BBIO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GENETIC OR PROTEIN-RELATED DATA PROCESSING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 G16B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unctional genomics or proteomics, e.g. genotype-phenotype associ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ina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개인의 영양상태를 확인하고, 개인에게 영양제를 처방, 판매, 홍보, 권유함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관련 복합 정보를 활용하여 개인의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 영양소, 영양제, 및 음식 등을 제안하는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이 자신의 유전적, 환경적 타입을 확인하여 종합적 체질인 개인 바이오 체질을 가정하고, 가장 최적화된 영양제나 음식을 추천 받음과 아울러, 개인의 선택력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로서 개인 영양제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한 영양제 사용을 피하거나,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의 정도를 낮추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LTHCARE SOLUTION BASED ON PERSONAL VARIOUS INFORMATION}
본 발명은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인의 영양상태를 확인하고, 개인에게 영양제를 처방, 판매, 홍보, 권유 함에 있어서,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임상 정보, 의료 정보, 신체특징 정보, 생활습관 정보, 공생하는 미생물군체 정보, 미생물과 신체 유래 cfDNA(circulating free DNA) 등의 다양한 정보를 복합적으로 활용하고, 카테고리화한 체질 개념을 활용하여, 각 개인에게 최적화된 맞춤 영양소, 영양제, 기호식, 및 음식 등을 제안하는 개인의 복합정보에 기반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건강과 관련된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및 프로바이오틱스 등 영양제와 효소제재, 미생물 시장은 매년 커지는 추세이다. 영양소는 인간에게 있어 생명유지 및 신체활동을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영양분이며, 부족할 경우 여러 신체적, 생리학적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 더불어, 특정 영양성분을 음식 및 영양제 등으로 과량 섭취할 경우에도 수반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가장 대표적으로 판매되는 영양제로서 다양한 비타민과 미네랄이 복합적으로 들어있는 종합 비타민제가 있다. 그러나, 각 개인마다 유전적 특성, 생활습관, 질병 등 건강 상태에 따라 체내에서 부족한 영양소와 적정하거나 충분한 영양소가 혼재하여 존재하게 된다. 또한, 영양제는 신체에 서식하는 다양한 곳의 미생물의 성장에도 영향을 주게 됨에 따라, 질병 대응력 및 건강상태에 큰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정형화된 조합의 영양제 구성을 통한 일괄적인 영양제 제공이 아니라, 개개인의 유전적 타입, 환경상황, 임상정보, 생활습관, 개인 미생물체(microbiome) 타입들에 최적화된 영양제의 조합 및 개별 영양제를 제시한다면 그 효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낮추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첫째, 게놈 체질 관점에서 개인의 유전자 정보와 외유전자정보 및 개인 미생물체의 유전자 정보에 기인한 종합적인 개인 유전적 특성에 기반하고, 둘째, 환경 체질 관점에서 임상, 의료, 건강 및 영양 상태 정보를 직,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기신체검사, 정기적 비정기적 임상 및 의료 정보, 생활습관, 설문을 통한 다양한 건강관련 정보를 확보하고, 마지막으로, 두 관점에 따라 도출된 결과를 융합하여 개개인에 대한 종합 바이오 체질을 가정하여 개개인에게 적합한 영양성분 및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80534호(공고일자: 2020.02.25.)
본 발명은 개인의 유전자 정보(genetic)와 외유전자 정보(epigenetic), 임상/의료 정보, 생활습관, 개인 신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체 종류, 수, 그 유전자형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활용하여 개인의 현재 건강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인들의 건강 정보를 이용하여 각자에게 최적화된 맞춤 영양소, 영양제 및 음식 등을 제안하고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은, 건강 관리 서버에 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한 분석결과인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에 따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외유전자 타입 및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생활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영양소와 관련된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문결과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활습관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정보는 0부터 100까지의 점수로 영양소에 대한 수치를 나타낸다고 할 때, 이하의 수학식,
Figure 112020031642013-pat00001
으로 산출될 수 있다(단, S는 개별 영양소별로 가질 수 있는 자연수의 최대치, N은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점수, n은 해당 영양소의 수).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양제 구매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유전자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각 사용자별의 건강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현재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영양소 추정부 및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각 사용자별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에 따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외유전자 타입 및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생활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영양소와 관련된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문결과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활습관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 및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정보 분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가 상기 건강 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의료기관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양제 구매 요청의 접수시,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상품 주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유전자 검사에 따른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유전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외유전자 검사 및 미생물체 검사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외유전자 정보 또는 미생물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활습관 정보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포함하는 설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대한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기타 정보 생성부,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부 및 일자별로 수신한 건강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건강 정보에 따라 도출되는 필요 영양소를 보충하는 영양제에 대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이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개인이 자신의 유전적, 환경적 타입을 확인하여 종합적 체질인 개인 바이오 체질을 가정하고, 가장 최적화된 영양제나 음식을 추천 받음과 아울러, 개인의 선택력을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로서 개인 영양제 사용의 효과를 증대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한 영양제 사용을 피하거나, 있을 수 있는 부작용의 정도를 낮추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건강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서버(Server)"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용어는 설명의 편의상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유전자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각 사용자별의 건강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건강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측에 제공되는 서비스 형태에 따라, 사용자와 관련된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의 의료기관 서버(300) 및 영양제, 건강 기능 식품과 같은 상용화된 상품을 온라인에서 주문 및 판매하는 식품 마켓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일반인이 소지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고, 웹 브라우저 또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유전자 검사에 따른 유전자 정보를 입력하거나, 건강과 관련된 설문에 응하여 설문 정보를 생성하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버(200)가 수집된 사용자들의 유전자 정보 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파악함과 아울러, 결핍되었거나 보충이 필요한 영양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를 생성 및 회신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이를 수신 및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상태와 앞으로의 건강 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100)로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 장치 및 거치형PC, 노트북과 같은 컴퓨팅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버(20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들의 유전자 정보를 비롯하여, 외유전자 정보, 생활습관 정보, 임상/의료 정보 및 설문정보 등 개인의 영양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수집하고, 개인의 자신의 과학적 체질이라 할 수 있는 유전적 체질, 환경적 체질 및 이의 융합된 형태의 바이오 체질에 따라, 타고난 선천적 유전적 상태와 현재의 영양상태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현재 건강 상태를 알려주고, 나아가 개인에게 한층 더 최적화된 영양소 및 영양제 및 맞춤 음식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건강 관리 서버(200)는 개인의 영양상태 확인 및 예측을 위해, 사용자의 게놈(genome), 외유전체(epigenome), 전사체(transcriptome), 단백질체(proteome), 대사체(metabolome) 및 미생물체 등 각종 체학(omics) 정보를 포함하는 유전자 및 외유전자 정보와, 건강검진 및 특정 의료 검사 등의 의학적 검사에 의한 의료 정보와, 식습관, 음주, 흡연, 체중, 건강 관리 여부 및 질병 보유 여부 등을 포함하는 설문 등에 의한 생활습관 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전술한 정보들은 각 분야별로, 유전체질, 환경체질, 그리고, 이것을 통합한 바이오 체질, 이렇게 기술적으로 구분되며, 건강 관리 서버(200)는 그 데이터의 종류를 체계화하여 분류한(categorized) 통합 분류체계에 맞추어 개개인의 타입(type)을 정하고, 고급 개인 맞춤 체질 정보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건강 관리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개인의 영양상태를 확인하고, 개인에게 영양제를 처방, 판매, 홍보 및 권유함에 있어서, 정밀한 과학적 기반의 유전형 분석결과에 기반한 것이 아닌, 단순히 많이 팔리거나 널리 알려진 좋은 비타민이나 건강기능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물론,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도 일정 수준의 효과는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마다 유전적 차이 및 후천적 생활 습관에 기인한 유전자 정보의 변화 및 개개인이 처한 환경에 따른 차이가 분명히 존재함에 따라,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200)는 종래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개개인의 유전자 정보(genetic), 외유전자 정보(epigenetic)와 임상(clinical), 의료 정보(medical), 생활습관(life style and log), 개인의 몸에 서식하는 각종 미생물체(microbiome) 및 개인이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설문 정보(questionnaire)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개인의 과학적 체질이라 할 수 있는 유전체질 및 환경적인 체질과, 이의 융합된 형태의 바이오 체질에 따라, 타고난 선천적 유전적 상태와 현재의 영양상태 체계적으로 확인 및 분류하고, 개개인에게 한층 더 최적화된 영양소 및 영양제 및 맞춤 음식 등을 제안하는 데 특징이 있다.
한편, 건강 관리 서버(200)와 단말 또는 타 서버간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정보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하나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의료기관 서버(300)는 건강 관리 서버(200)가 수집하는 사용자의 건강 관련 정보 중, 의료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의료기관을 통한 건강검진 및 의료검사 등의 의학적 검사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의료기관 서버(300)에 등록된 자신의 의료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300)는 등록된 의료 정보 중, 사용자가 건강 관리 서버(200)로의 정보 제공 요청이 설정된 의료 정보에 대하여 건강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식품 마켓 서버(400)는 영양제, 건강 기능 식품 등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건강 관련 상품을 판매하는 하나 이상의 온라인 마켓을 운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하는 건강 정보를 확인하고 자신의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온라인 마켓에 직접 영양제를 주문할 수 있고, 또는 건강 관리 서버(200)가 제공하는 상품 구매 대행 서비스를 통해 등록된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적합한 영양 보충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전술한 대행 서비스에 따르면, 건강 관리 서버(200)는 생성한 건강 정보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결핍되거나 보충이 필요한 영양성분에 대한 영양제 등을 사용자를 수령자로 하여 주문할 수 있고, 식품 마켓 서버(400)는 주문 내용을 확인하여 적절한 상품을 선택하여 주문절차를 처리하고, 사용자에게 배송할 수 있다.
여기서, 식품 마켓 서버(400)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영양제, 건강 기능 식품 등의 건강 기능 식품뿐만 아니라, 필요 영양소를 공급할 수 있는 도시락과 같은 일반식품도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보들을 데이터화하고, 건강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입력 및 저장되는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생활습관 정보 및 설문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각 사용자별 현재 영양상태 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건강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의료기관에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의 현재 건강 상태 및 앞으로의 건강 관리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에 포함되는 건강 관리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 및 이를 구성하는 각 구성부는,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모바일 장치 등에 탑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110),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유전자 검사에 따른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아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유전자 정보 입력부(120),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외유전자 검사 및 미생물체 검사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외유전자 정보 또는 미생물체 정보를 입력받아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130),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활습관 정보 및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포함하는 설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대한 정보를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기타 정보 생성부(140),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부(150), 일자별로 수신한 건강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소(160)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건강 정보에 따라 도출되는 필요 영양소를 보충하는 영양제에 대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이용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와 연결되어 본 발명의 건강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110)는 건강 관리 서버와의 연결시 저장소(160)에 저장된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미생물체 정보, 생활습관 정보, 설문정보 등의 사용자의 현재 바이오 체질과 관련된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태의 복합 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제공할 수 있고,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그 분석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유전자 정보 입력부(120)는 복합 정보 중,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유전자 정보는 영양소와 연관성을 보이는 다양한 유전 변이, 외유전자 변이 및 발현량 변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로서, 기 보고된 유전자 검사 등의 방법에 의해 각 개인의 영양소별 수치에 대한 높고 낮음을 계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13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유전자 정보를 저장소(160)에 저장할 수 있고, 저장단말 통신부(110)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130)는 복합 정보 중, 사용자의 외유전자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외유전자 정보는 정상적인 발달과정에서 유전적 요인들 간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유전자에 대하여 발현하는 특성에 관한 것으로, 유전인자 및 호르몬 등의 내부요인과, 생활패턴 및 섭취한 음식물 등의 외부요인에 의하여 발현될 수 있고, 영양 및 생장의 변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외유전자 정보는 유전자 정보와 동일한 방식으로 검사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외유전자 정보는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130)에 의해 저장 및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기타 정보 생성부(140)는 전술한 유전자 정보 및 외유전자 정보 이외에 다양한 사용자에 대한 기타 복합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기타 복합 정보로서, 개개인의 몸에 서식하는 미생물체(microbiome)에 대한 정보가 있다. 이러한 미생물체 정보는 전술한 유전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검사와 동시에 또는 별도로 진행하여 획득될 수 있고, 개인의 미생물체 타입에 맞는 영양소 또는 음식 등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거나, 유전자 타입에 유추 및 예측되는 것으로 보이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기타 복합 정보로서, 생활습관 정보가 있다. 이러한 생활습관 정보는 영양소와 인과 관계를 갖거나 관련이 있는 항목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타 복합 정보로서, 임상 및 의료 정보가 있다. 이러한 의료 정보는 건강검진 및 특정 검사, 병이 나서 병원에서 확인되는 의료검사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획득한 자신의 임상 및 의료 정보를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직접 입력하여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거나, 또는 의료기관간의 협약에 따라 의료기관 서버가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대신하여 제공하는 형태로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될 수 있다.
건강 정보 표시부(150)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된 복합 정보에 기초한 분석에 따른 건강 정보를 수신하고, 그 내용을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저장소(160)는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160)에 저장되는 데이터로는 전술한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등과, 건강 관리 서버가 제공하는 건강 정보 등이 있고, 저장소(160)는 이러한 정보들을 날짜별로 저장소(16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저장소(160)는 건강 관리 서버로의 접속을 위한 계정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건강 정보를 단순히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그 내용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 이외에도 건강 정보에 기초한 영양 보충을 위한 영양제 등을 온라인 마켓에 주문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건강 정보에 따라 도출되는 필요 영양소를 보충하는 영양제에 대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이용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켓 이용부(17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식품 마켓 서버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마켓에 건강 정보에 따른 건강 기능 식품을 주문 요청하거나, 또는 건강 관리 서버에 현재 사용자에게 적합한 건강 기능 식품의 주문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건강 관리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의 건강 관리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200)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210),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분석부(220),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현재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영양소 추정부(230),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각 사용자별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40),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300)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 및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의료 정보를 정보 분석부(220)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가 건강 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의료기관 연계부(25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영양제 구매 요청의 접수시,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상품 주문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각 사용자들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인 복합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정보로는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검사에 따른 유전자 정보와, 이외에도 외유전자 정보, 미생물체 정보 및 생활습관 정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정보 분석부(2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된 복합정보를 분석하여 각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정보 분석부(220)는 사용자의 영양상태 확인 및 예측을 위해,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의료 정보 및 생활습관 정보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의 복합정보를 각각 수집하고,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분야에 따라 유전체질, 환경체질, 및 이를 통합한 바이오 체질로 구분되며, 정보 분석부(220)는 그 데이터의 종류를 체계화 및 통합적으로 분류체계에 따라 개개인의 타입을 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급 개인 맞춤 체질 정보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수치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먼저, 분석 대상이 유전자 정보인 경우, 영양소와 연관성을 보이는 다양한 유전 변이, 외유전자 변이, 및 발현량 변이 등을 대상으로 하여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각 개인의 영양소별 수치에 대한 높고 낮음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외유전자나 유전자 마커를 특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전자 검사를 이용하는 분석 알고리즘에서는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 아미노산, 단백질, 지방산, 조효소, 카로티노이드, 콜라겐 및 프로바이오틱스 등의 수치와 연관성을 보이는 정보를 기반으로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여 개인이 유전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영양소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게 된다. 유전자 검사 결과의 분석에 의하면 각 개인이 유전적으로 영양소별 상태가 어떠한지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능별 관련 영양소의 종합 결과, 영양소별 정의, 결핍시 증상, 과복용시 부작용, 1일 권장량,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 함께 섭취시 좋고 나쁜 영양소 및 영양제 복용 시간 등의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와 동일한 방법으로, 외유전자 검사는 유전자 검사와 동시 또는 별도로 진행할 수 있고, 그 외유전자 정보에 기초하여 유전자 검사의 결과와 같은 방식으로 개인의 외유전자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나 음식 등의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거나, 유전자 타입에 따라 유추되거나 예측될 수 있는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체(microbiome) 정보는 유전자 검사 또는 외유전자 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고, 이러한 미생물체 정보는 개개인의 몸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에 따라, 개인의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 또는 음식 등에 대하여 연관성이 있다고 주지되거나 유전자타입에 따라 유추 및 예측되는 것으로 보이는 영양과 관련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특히, 미생물체 정보의 분석에 따르면, 특정한 박테리아 및 박테리아 군이 장내에 특정한 비율 이상이거나, 특정한 신체의 효소나 유전자를 자극하여, 특정한 영양상태의 결핍이 생긴다는 연구결과가 존재하면, 그 미생물 군을 억제하거나, 장려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를 처방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개인의 유전자 정보 혹은, 외유전자 정보 등의 정보가 있는 유전체질에 맞춰서 프로바이오틱스나 기타 다른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미생물 타입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한 일반적인 프로바이오틱스를 범 건강제로 제공하는 것과는 그 효과면에서 차이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부(220)는 전술한 유전자 정보,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 이외에도 다른 관점에 따른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정보로서 생활습관 정보는, 영양소와 인과 관계를 갖거나 관련있는 항목들을 설문 방식으로 획득한 것으로,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에 다양한 형식의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전자 설문지를 제공하여 설문정보를 회신 받을 수 있고, 정보 분석부(220)는 이러한 설문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의 부족한 영양소를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문정보에 포함되는 식단 등 식습관 내역으로부터 영양소 성분 등을 도출하고, 1일 권장량 대비 영양상태가 어떠한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생활습관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할 수 있다. 생활습관은 개인의 환경체질의 일부이다.
또한, 임상 및 의료 정보의 경우, 건강검진 및 특정검사, 발병에 따른 병원에서 확인되는 의료검사 등을 통해 획득되는 정보를 활용하는 것으로, 현재 사용자의 직접적인 영양상태 및 다양한 임상 및 의료 정보 수치인 혈압 및 혈당 등으로부터 영양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혈압 및 혈당이 정상치보다 높다고 측정된 경우, 혈압 및 혈당 수치 개선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임상과 의료 정보는 개인의 환경체질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분석부(220)는 전술한 다양한 형태의 복합정보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수치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영양소 추정부(230)는 전술한 정보 분석부(220)에 의해 산출된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현재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영양소 추정부(230)는 전술한 일련의 분석방법을 통해 개개인의 선천적인 유전에 영향을 받는 유전체질과, 현재의 생활습관과 처한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는 환경체질의 통합된 상태를 분석하여 현재의 영양상태가 어떠한 상태인지, 그리고 어떤 원인에서 기인하는 것인지 그 원인을 추측하여 개인 바이오 체질을 추출하고 그에 따른 맞춤 영양제 제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개개인의 바이오 체질은 한방사상 등과 같이 주관적이고 추상적인 개념이 아닌 유전자 정보에 기인하는 것이고, 그 종류도 정해지는 것이 아닌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맞춤형으로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양소 추정부(230)는 정보 분석부(220)에 의해 산출된 수치정보를 바탕으로 개인의 영양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유전자 정보, 의료 정보 및 생활습관 정보는 유전체질 및 환경체질과, 그 복합적 바이오 체질 분류되어 영양소 추정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최종적으로 바이오 체질을 도출하거나, 혹은 각 단일 체질 정보만으로도 건강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집중력 결핍이 있을 것으로 예측되는 유전체질을 가진 경우, 선제적으로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과학적으로 동물임상이나, 인간 임상에서 알려진 영양제를 맞춤형으로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영양소 추정부(230)는 정보 분석부(220)에 의한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소정의 영양소가 부족하다고 판별되지 않더라도, 특정 연령대에 일반적으로 권유되는 필요 영양소를 추가로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갱년기 여성의 경우 수치정보에 따라 결핍된 영양소는 아니나 과다 섭취상태가 아니라면, 갱년기 여성에 좋은 영양소를 추가로 제시할 수 있다.
더불어, 영양소 추정부(230)는 현재 권장되는 영양상태를 가지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도, 현재의 좋은 식습관 및 영양상태를 유지할 것을 권고하는 내용이 포함된 건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한 요구사항을 수신하는 경우, 개인이 원하는 영양소를 건강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능력과 집중력 향상을 원하는 수험생의 경우, 해당기능을 갖는 영양소가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또한, 영양소 추정부(230)는 개인의 영양상태를 추론하는 과정에서, 같은 카테고리 군에 속하는 영양소들, 일례로서 비타민 A, B, C, D, E, K와 같이 개별적으로 나열하는 형태의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카테고리 군에 속하는 여러 영양소들 중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하는 영양소를 조합하여 건강 및 기능 상태를 예측하고 건강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이하의 표 1은 카테고리 별 포함되는 영양소를 예시하고 있다.
카테고리 영양소
비타민 비타민 A1 (레티놀)
비타민 B1 (티아민)
비타민 B2 (리보플라빈)
비타민 B3 (나이아신)
비타민 B5 (판토텐산)
비타민 B6 (피리독신)
비타민 B7 (바이오틴)
비타민 B9 (엽산)
비타민 B12 (코발라민)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콜린
이노시톨
미네랄 칼슘
철분
아연
칼륨
마그네슘
구리
크롬
셀레늄
망간
요오드
몰리브덴
아미노산 히스티딘
류신
아이소류신
라이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트레오닌
트립토판
발린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라긴
아스파르트산
글루타민
글루탐산
글라이신
타이로신
프롤린
세린
타우린
베타인
카르니틴
카르노신
시트룰린
오르니틴
크레아틴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DHA)
오메가-3 지방산 (EPA)
오메가-3 지방산 (알파 리놀렌산)
오메가-6 지방산 (리놀레산)
오메가-6 지방산 (감마 리놀렌산)
오메가-6 지방산 (아라키돈산)
오메가-7 지방산 (팔미톨레산)
오메가-9 지방산 (올레산)
카로티노이드 베타 카로틴
루테인 및 지아잔틴
아스타잔틴
조효소 코엔자임 Q10
단백질 알부민
프로바이오틱스 관련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등
프리바이오틱스
콜라겐 관련 콜라겐
키토산
키틴
한편, 영양소 추정부(230)는 서비스에 포함되는 여러 영양소의 정의, 기능, 결핍시 증상, 과다복용시 부작용 등의 정보를 통해 동일하거나 유사한 건강 및 기능과 연관된 영양소 성분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는 비타민 군의 비타민 A1, 지방산 군의 오메가-3 지방산 (DHA, EPA), 카로티노이드 군의 베타 카로틴, 루테인 및 지아잔틴 등을 정의할 수 있다.
이하의 표 2는 이러한 눈 건강과 관련하여 도움이 되는 영양소를 예시하고 다.
눈 건강
비타민 A1
오메가-3 지방산 (DHA)
오메가-3 지방산 (EPA)
베타 카로틴
루테인 및 지아잔틴
또한, 이하의 표 3은 건강 및 기능별 관련 영양소를 예시하고 있다.
뇌 건강
비타민 B9
비타민 B12
콜린
철분
발린
타이로신
글루타민
오메가-3 지방산 (DHA)
오메가-6 지방산 (아라키돈산)
심혈관 건강
비타민 B3
비타민 B9
이노시톨
철분
오메가-3 지방산 (EPA)
오메가-3 지방산 (알파 리놀렌산)
오메가-6 지방산 (감마 리놀렌산)
오메가-9 지방산 (올레산)
코엔자임 Q10
간 건강
베타인
콜린
이노시톨
류신
아이소류신
알라닌
오르니틴
오메가-3 지방산 (DHA)
알부민
뼈, 관절 건강
비타민 A1
비타민 C
비타민 D
비타민 K
칼슘
아연
망간
에너지 대사
비타민 B1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아이소류신
글루탐산
오메가-3 지방산 (알파 리놀렌산)
오메가-6 지방산 (리놀레산)
코엔자임 Q10
면역 기능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
히스티딘
라이신
아르기닌
아스파르트산
트레오닌
알부민
항산화 기능
비타민 C
비타민 E
셀레늄
베타 카로틴
코엔자임 Q10
피로 관리
비타민 B1
비타민 C
타우린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코엔자임 Q10
알부민
피부 건강
비타민 A1
비타민 C
비타민 E
세린
프롤린
오메가-6 지방산 (감마 리놀렌산)
오메가-7 지방산 (팔미톨레산)
베타 카로틴
그리고, 영양소 추정부(230)는 정의된 건강 및 기능 별 포함되는 영양소들의 높음 또는 낮음을 통합하여 건강 및 기능별 점수 및 등급을 계산할 수 있다. 건강 및 기능별 점수는 이하의 수학식 1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20031642013-pat00002
여기서, 'S'는 개별 영양소별 가질 수 있는 최대 점수로서 자연수이고, 'N'은 특정 건강 및 기능 그룹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점수, 'n'는 해당 건강 및 기능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수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4단계로 개별 영양소별 높고 낮음의 수치를 구분하는 경우, 'S'는 1, 2, 3, 4의 범위 값 중 최대값인 4의 값을 가짐).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하면, 예를 들어 눈 건강에 대해서, 비타민 A1 수치는 1점, DHA 수치는 3점, EPA 수치는 0점, 베타 카로틴의 수치는 1점, 루테인 및 지아잔틴의 수치는 2점일 경우, '[(1+3+0+1+2)/(3×5)]×100=46.7' 으로 계산됨을 알 수 있다.
이때, 계산된 점수를 그대로 건강 정보로서 제시할 수 있고, 또는 추가적인 그룹핑을 통해 등급방식으로 점수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하면, 건강 및 기능 별 최소 점수는 0점, 최대 점수는 100점이므로, 임의로 75점 이상 100점은 A등급, 50점 이상 75점 미만은 B등급, 25점 이상 50점 미만은 C등급, 0점 이상 25점 미만은 D등급으로 등급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시된 등급화 하는 기준 및 등급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영양소 추정부(230)는 도출된 영양소를 개별적 또는 조합하여 상기의 건강 및 기능별 점수 및 등급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240)는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각 사용자별 분석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대한 회원정보와, 각 사용자별 수집된 복합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복합정보의 갱신에 따라 생성된 건강 정보를 일자별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240)에는 상기의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건강 및 기능에 대한 영양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이는 건강 정보의 생성시 참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200)는 정보 분석을 위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집되는 유전자 정보 및 설문 정보 이외에도, 사용자에 대하여 병원 등 의료기관에서 수행된 진료 및 검사 등에 따른 임상, 의료 정보를 더 수집하기 위한 의료기관 연계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연계부(25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0)와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정보제공이 승인된 지정 의료기관 서버(300)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한 의료 정보는 정보 분석부(220)에 제공되며, 전술한 분석단계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가 건강 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그 건강 정보에 따라 결핍된 영양소를 보충하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로서, 영양제, 건강 기능 식품 등을 구매할 수 있으며, 특히 건강 관리 서버(200)는 온라인 식품 마켓과의 연계를 통해 식품 구매 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서, 건강 관리 서버(2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건강 정보에 포함되는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상품 주문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양소 추정부(230)는 함께 섭취하면 시너지 효과가 나는 영양소 조합 정보를 활용하여, 최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영양소 조합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타민 C, 비타민 E를 철분과 함께 섭취하면 철분의 흡수율이 높아진다는 정보에 기반하여 개인별 맞춤 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보충할 수 있는 영양제를 추천할 수 있다. 상품 주문부(2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천된 영양제를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의 식품 마켓 서버(400)에 요청하여 해당 영양제의 주문 절차(m)를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상품 주문부(260)는 건강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에게 필요하다고 분석된 영양소를 동시에 섭취시 효능이 떨어지는 경우, 일례로서, 비타민 C와 구리를 함께 섭취하면 구리의 흡수가 저하되며, 상품 주문부(260)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주문시 영양제 조합을 성분별로 개별포장 하거나 구성을 달리하여 별도 제품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간차를 두고 복용할 수 있도록 영양제를 패키징하여 주문 절차(m)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연계된 식품 마켓 서버(400)는 영양제, 건강 기능 식품 이외에도 개인에 필요한 영양소가 충분한 음식, 식재료 등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거나 식품 마켓 서버(400)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제공시 사용자 단말(100)로의 메시지 전송 이외에도, 담당자에 의한 유선, 구두 상담 등의 방식도 이용될 수 있고, 특정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식품 마켓 서버(400)는 영양제 및 식재료, 음식 등을 제공하는 맞춤형 식당, 도시락, 배달 서비스 등의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식품 마켓을 운영할 수 있고, 이를 통한 건강과 관련된 상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의한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각 단계별 실행주체는 별도의 기재가 없더라도 전술한 본 발명의 건강 관리 서버 및 그의 구성부가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한 분석결과인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00)에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에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복합정보를 입력하면, 이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건강 관리 서버가 사용자별로 복합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또한, S100 단계에서 건강 관리 서버는 사용자의 게놈 등의 유전자 검사결과 이외에도, 외유전자 정보, 미생물체 정보, 생활패턴에 대한 설문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적합한 분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결핍되거나 과다 섭취된 영양소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00)에서는, 건강 관리 서버가 수집된 복합정보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현재 영양 상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수치화할 수 있다.
분석에 따른 수치정보에서는 서버에 정의된 건강 및 기능 별 포함되는 영양소들의 높음 및 낮음을 통합하여 건강 및 기능별 점수 및 등급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의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특히, 건강 관리 서버는, 유전자 정보 이외에 외유전자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를 분석 데이터로 이용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외유전자 타입 및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대한 생활습관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건강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영양소와 관련된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문결과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회신받아 그 생활습관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서버는, 전술한 형태의 복합정보 이외에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단계로서,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하고,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 및 의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한 분석결과인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300)에서는, 건강 관리 서버가 각 영양소별 계산된 점수를 그대로 건강 정보로서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고, 또는 점수별 그룹핑을 통해 소정개의 등급방식으로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서버는 도출된 영양소를 개별적 또는 조합하여 상기의 건강 및 기능별 점수 및 등급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의 현재 건강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이에 필요한 영양 섭취를 통해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에 영양제 구매 요청을 접수할 수 있고, 이에 건강 관리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 단말 통신부
120 : 유전자 정보 입력부 130 :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
140 : 기타 정보 생성부 150 : 건강 정보 표시부
160 : 저장소 170 : 마켓 이용부
200 : 건강 관리 서버 210 : 정보 수집부
220 : 정보 분석부 230 : 영양소 추정부
240 : 데이터 베이스 250 : 의료기관 연계부
260 : 상품 주문부 300 : 의료기관 서버
400 : 식품 마켓 서버

Claims (13)

  1. 건강 관리 서버에 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한 분석결과인 건강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수치 정보는 0부터 100까지의 점수로 영양소에 대한 수치를 나타낸다고 할 때, 이하의 수학식,
    Figure 112020075963691-pat00008

    으로 산출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단, S는 개별 영양소별로 가질 수 있는 자연수의 최대치, N은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점수, n은 해당 영양소의 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에 따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외유전자 타입 및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생활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는,
    영양소와 관련된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문결과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생활습관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포함하고,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의료기관 서버로부터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여 분석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영양제 구매 요청을 접수하는 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7.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어 상기 유전자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각 사용자별의 건강과 관련된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건강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유전자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복합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복합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 대한 현재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정보 분석부;
    상기 수치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결핍된 복수의 영양소를 추정하고 분석결과에 따른 현재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영양소 추정부; 및
    수집된 사용자 정보 및 각 사용자별 분석결과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 정보는 0부터 100까지의 점수로 영양소에 대한 수치를 나타낸다고 할 때, 이하의 수학식,
    Figure 112020075963691-pat00009

    으로 산출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단, S는 개별 영양소별로 가질 수 있는 자연수의 최대치, N은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영양소의 점수, n은 해당 영양소의 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상기 외유전자 정보 및 미생물체 정보에 따라,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외유전자 타입 및 미생물체 타입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생활습관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분석부는,
    영양소와 관련된 사용자의 생활습관에 대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설문결과를 포함하는 생활습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생활습관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과다 또는 결핍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를 산출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검진 또는 의료검사 결과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지정된 의료기관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를 요청 및 기 저장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의료 정보를 상기 정보 분석부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상태에 적합한 영양소를 도출하고 영양소별 수치 정보가 상기 건강 정보에 반영되도록 하는 의료기관 연계부
    를 더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영양제 구매 요청의 접수시, 해당 사용자의 영양 분석 결과에 따라, 추정된 복수의 영양소를 개별 또는 조합한 영양소 정보를 하나 이상의 식품 마켓 서버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영양제 구매 절차를 대행하는 상품 주문부
    를 더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건강 관리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유전자 검사에 따른 유전자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유전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에 대하여 수행된 외유전자 검사 및 미생물체 검사 중, 하나 이상에 따른 외유전자 정보 또는 미생물체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외유전자 정보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생활습관 정보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자 설문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을 포함하는 설문 정보 중, 하나 이상의 대한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에 제공하는 기타 정보 생성부;
    상기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상에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부; 및
    일자별로 수신한 건강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하는 저장소
    를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건강 정보에 따라 도출되는 필요 영양소를 보충하는 영양제에 대한 주문절차를 수행하는 마켓 이용부
    를 더 포함하는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시스템.
KR1020200036691A 2020-03-26 2020-03-26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18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91A KR102187955B1 (ko) 2020-03-26 2020-03-26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CT/KR2020/004830 WO2021194000A1 (ko) 2020-03-26 2020-04-09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7/801,241 US20230082681A1 (en) 2020-03-26 2020-04-09 Personal composite information-based healthcare solution provision method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691A KR102187955B1 (ko) 2020-03-26 2020-03-26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955B1 true KR102187955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691A KR102187955B1 (ko) 2020-03-26 2020-03-26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082681A1 (ko)
KR (1) KR102187955B1 (ko)
WO (1) WO202119400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256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오가닉랩 자가진단 기반 건강기능식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04599B1 (ko) * 2022-01-11 2022-06-07 주식회사 비스타민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
WO2022220342A1 (ko) * 2021-04-14 2022-10-20 (주)메디프레소 Ai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차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628A (ko) * 2015-11-09 2017-05-18 한국식품연구원 개인 유전형 및 표현형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식품정보 추천 시스템
US20180240542A1 (en) * 2016-10-24 2018-08-23 Habit,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al selection based on vitals, genotype and phenotype
KR20190074474A (ko) * 2017-12-20 2019-06-28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인 맞춤형 식습관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43959B1 (ko) * 2019-07-25 2019-11-12 (주)어메이징푸드솔루션 개인별 유전자 유형과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에 근거한 맞춤형 식단 추천 시스템
KR102080534B1 (ko) 2018-12-05 2020-02-25 주식회사 헬스브릿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8360A (ko) *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메타포뮬러 개인별 맞춤형 영양테라피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628A (ko) * 2015-11-09 2017-05-18 한국식품연구원 개인 유전형 및 표현형 정보를 고려한 맞춤형 식품정보 추천 시스템
US20180240542A1 (en) * 2016-10-24 2018-08-23 Habit, Ll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eal selection based on vitals, genotype and phenotype
KR20190074474A (ko) * 2017-12-20 2019-06-28 제노플랜코리아 주식회사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개인 맞춤형 식습관 관리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80534B1 (ko) 2018-12-05 2020-02-25 주식회사 헬스브릿지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2043959B1 (ko) * 2019-07-25 2019-11-12 (주)어메이징푸드솔루션 개인별 유전자 유형과 개인건강기록 데이터에 근거한 맞춤형 식단 추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명선. "개인 맞춤형 식품시대와 식품생명과학 기술". 기술과 혁신. 제434권, 2019.10. 공개 1부.*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256B1 (ko) * 2020-12-29 2021-08-12 주식회사 오가닉랩 자가진단 기반 건강기능식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WO2022220342A1 (ko) * 2021-04-14 2022-10-20 (주)메디프레소 Ai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차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42354A (ko) * 2021-04-14 2022-10-21 (주)메디프레소 Ai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차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22225B1 (ko) * 2021-04-14 2024-01-09 (주)메디프레소 Ai 시스템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차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04599B1 (ko) * 2022-01-11 2022-06-07 주식회사 비스타민 건강기능식품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2681A1 (en) 2023-03-16
WO2021194000A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4280B (zh) 用于计算、显示、修改和使用改善的个性化营养健康评分来评估和计划最佳饮食的系统和方法
KR102187955B1 (ko) 개인의 복합 정보에 기반한 건강관리 솔루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Ordovas et al. Personalised nutrition and health
Moltedo et al. Analyzing food security using household survey data: Streamlined analysis with ADePT software
US20180233064A1 (en) Nutrition scoring system
Standing Committee on the Scientific Evaluation of Dietary Reference Intakes et al. Dietary reference intakes: applications in dietary planning
Barasi et al. Human nutrition
Dewey et al. Update on technical issues concerning complementary feeding of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countries and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programs
Dyett et al. Vegan lifestyle behaviors. An exploration of congruence with health-related beliefs and assessed health indices
US20140236759A1 (en) Wellness System and Methods
Sette et al. The third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INRAN-SCAI 2005–06: major dietary sources of nutrients in Italy
US20130226729A1 (en) SimpleNutrition Nutritional Management System
US201502698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ized nutrimers
US20160225284A1 (en) Intelligent Meal Planning Tool
US20140052722A1 (en) Optimization-based regime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diabetes and diet management
JP2020524842A (ja) 摂取可能物の最適量及び質を反映する単一の食品摂取スコアを算出、表示、修正、及び使用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6705089B2 (ja) ヘルスチューニング支援システム
US20230058760A1 (en) Progra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Boland et al. Modern technologies for personalized nutrition
US202204062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dynamic nutritional guidance
JP2011204194A (ja) サプリメント提供システム
US20220238038A1 (en) Nutrition management and kitchen appliance
Bozeman III et al. Meeting EAT-lancet food consumption,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standards: A US case study across racial and ethnic subgroups
Govender et al.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four selected rural communities in KwaZulu-natal, South Africa
US20230203589A1 (en) Personalised recommended daily intake for nutrients based on individual genetic risk sco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