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786B1 -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786B1
KR102187786B1 KR1020190116067A KR20190116067A KR102187786B1 KR 102187786 B1 KR102187786 B1 KR 102187786B1 KR 1020190116067 A KR1020190116067 A KR 1020190116067A KR 20190116067 A KR20190116067 A KR 20190116067A KR 102187786 B1 KR102187786 B1 KR 102187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ing protrusion
hinge
fine dust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청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푸름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푸름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푸름에어
Priority to KR1020190116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7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7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s the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which, as the apparatus providing a function of adsorption and removal of fine dust using a negative ion generator, is installed in a form of a rail to conveniently install and manage a plurality of negative ion generators, and is configured to prevent a blackening phenomenon where fine dust adsorbed and hardened by negative ions discharg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is suspended and adsorbed onto a ceiling or wall.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장치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레일 형태로 설치되어 다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간편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고,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a device that provides a function of adsorption and removal of fine dust using an anion generator, and is installed in a rail form so that a number of anion generators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mana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e dust removal device configured to prevent a blackening phenomenon in which fine dust adsorbed and hardened by anions discharged from a generator floats on a ceiling or wall and is adsorbed.

최근 미세먼지에 의한 대기 오염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체 건강에 큰 우려가 되고 있다. Recently, cases of air pollution caused by fine dust have been frequently occurring, causing great concern for human health.

통상적으로, 지름이 10마이크로미터보다 작은 입자를 미세먼지라고 한다. 미세먼지는 주로 연소 입자인 탄소, 유기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금속 성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코와 기도를 거쳐 기도 깊숙한 폐포에 도달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해서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을 할 수 있다. 지름이 2.5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입자는 초미세먼지로 더욱 구분한다. Typically,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less than 10 micrometers are called fine dust. Fine dust is mainly composed of combustion particles such as carbon, organic hydrocarbons, nitrates, sulfates, and harmful metal components. They are very small in size and can reach the alveoli deep in the airways via the nose and airways, and the smaller they can pass directly through the alveoli and allow systemic circulation through the blood. Particles less than 2.5 micrometers in diameter are further classified as ultrafine dust.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한 각종 세균과 먼지,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음이온 발생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음이온 발생기는 공기 중에 노출된 메탈섬유를 통해 음이온을 방출시키고, 공기 중의 먼지 또는 미세먼지와 같은 양이온 입자들이 음이온을 통해 서로 흡착 경화 및 침전되도록 하여 공기 중에서 제거한다. An ion generator has been proposed as a device for removing harmful bacteria, dust, and fine dust existing in indoor air. The negative ion generator releases negative ions through metal fibers exposed to the air, and removes negative ions from the air by allowing cationic particles such as dust or fine dust in the air to adsorb and harden and precipitate with each other through negative ions.

본 발명자에 의해 제안된 종래기술로서, 선출원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0713 (2010년03월25일 등록)는 음이온 발생기를 구비한 엘이디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갓을 이용하여 메탈섬유 주위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고, 렌즈갓 표면에는 광촉매 코팅층을 형성하여 흡착되는 먼지의 양을 최소화 하는 동시에 LED가 발광될 때 생기는 열을 외부로 쉽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LED의 수명이 연장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As a prior ar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or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0713 (registered on March 25, 2010), which was previously registered, relates to an LED lamp equipped with an anion generator. Induces the flow of light and forms a photocatalyst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lens cap to minimize the amount of dust adsorbed, and at the same time, propose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the life of the LED by allow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ED is emitted to the outside easily. .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소켓 단자를 구비한 램프 형태로 제작되어 일반 램프용 소켓에 결합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다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 램프용 소켓을 다수 설치해야 하는 설치 작업 상의 한계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lamp with a socket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a general lamp socket, when installing a plurality of negative ion generators, there is a limitation in the installation work requiring a plurality of lamp sockets. there was.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렌즈갓의 외부로 이탈하고 공기 중으로 부유하여 램프가 설치된 천장면에 흡착하면서 천장면을 검게 만드는 흑화(黑化)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some of the dust particles undergoing adsorption and curing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lens cap and float in the air, causing a blackening phenomenon that makes the ceiling black while adsorbing to the ceiling surface where the lamp is installed.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50713 (2010년03월25일 등록)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950713 (registered on March 25, 20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음이온 발생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흡착 제거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레일 형태로 설치되어 다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간편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고,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s an apparatus that provides a function of adsorption and removal of fine dust using an anion generator,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rail so that a number of anion generators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manag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ne dust removal device configured to prevent the blackening phenomenon in which fine dust adsorbed and cured by anions emitted from an anion generator floats on the ceiling or wall and is adsorb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스트립 형태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설된 레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체 케이싱부와, 상기 상체 케이싱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레일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원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전극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해제 조작이 가능한 전극편과, 상기 상체 케이싱부 내에 설치되어 상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전극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편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하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상체부; 상측에 상기 힌지 케이싱부와 힌지 결합이 이뤄지는 힌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하 축선과 직교 방향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음이온 발생용 메탈섬유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가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노출구를 관통하여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메탈섬유; 및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갓형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개시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re is a rail in which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form of a strip is buil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upper body casing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lectrode piec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casing part, inserted into the rail, and selectively contacting or disengaging the electrode part for power on/off operation, and the upper body casing It is installed in the unit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axes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iece to supply pow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iece to the lower side, and a hinge casing unit installed under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upper body; A hinge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hinge casing part and the hing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entral axis of the hinge of the hinge coupling part is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of the power supply part, and a metal fiber for generating anions A hollow body portion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ure;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 metal fi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penetrating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shaft-shaped member installed in a form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hol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따라 환형의 결합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 부재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곡선 단면 형태의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갓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갓형상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다. Preferably, an annular coupl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hole of the main body, and the hat-shaped memb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 shad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It includes a shape por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ly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so that the hat-shaped member is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갓형상부는 일측의 갓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갓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된다. Preferably, the coupling protrusion is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shaft-shaped portion is further expan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hade of one side is higher than that of the shade of the other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돌출부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은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Preferably, the rotation center axis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is performed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inge center axis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갓형상 부재는 2 개의 단위 부재로 구성되며, 제1 단위 부재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1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갓형상부를 포함하며, 제2 단위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2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의 또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갓형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lampshade member is composed of two unit members, the first unit member has an annular first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the shade And a first shaft-shaped por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shape portion, and the second unit member includes an annular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shade portion constituting another part of the shade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결합 돌출부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갓형상부 및 제2 갓형상부 중의 어느 하나는 다른 갓형상부보다 갓의 높이가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된다. Preferably,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de portions is further expan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had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hade portions.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갓형상부와 상기 제1 갓형상부가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감싸는 영역 및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Preferably, according to a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the second shaft portion and the first shaft portion surround the exposed hol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position is configured to chang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결합 돌출부 및 제2 결합 돌출부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은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Preferably, the rotational central axis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trusions are rotated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inge central axis of the hinge engaging por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레일 형태로 설치되므로 다수의 음이온 발생기를 간편하게 설치 및 관리할 수 있고, 갓형상 부재를 이용하여 음이온 발생기에서 방출된 음이온에 흡착 경화된 미세먼지가 천장이나 벽면으로 부유하여 흡착되는 흑화(黑化) 현상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rail, a number of negative ion generators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managed, and fine dust that has been adsorbed and cured by the negative ions emit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using a shade-shaped member is suspended and adsorbe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blackening.

또한, 본 발명은 메탈섬유를 구비한 본체부의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음이온 방출 방향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면서, 조절된 본체부의 위치 및 방향에 맞추어 갓형상 부재의 위치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th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provided with the metal fibe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anion emission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lampshade memb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adjusted body portion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aft-shaped member of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aft-shaped member of the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shaped member of the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shaped member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r main features thereof.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The singular expression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include",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express the existence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possibility that other elements or features may exist or be added. It is not exclud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일부 확대 분해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A is a view show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ly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moval device, FIG. 3B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shaped member of the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haft-shaped member of the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레일(10)에 상체부(20) 및 본체부(3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30)에 메탈섬유(42)가 설치된 음이온 발생기(40)가 내설되고, 상기 본체부(30) 외측에 갓형상 부재(50)가 설치된다.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of this embodiment has an upper body part 20 and a body part 30 installed on the rail 10, and an anion generator 40 with metal fibers 42 installed in the body part 30. And, a hat-shaped member 50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30.

상기 레일(1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스트립 형태의 전극부(16)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설된다. 일예로, 상기 레일(10)은 건물의 내부 천장면에 부착설치될 수 있으며, 레일에 설치된 본체부(30)의 음이온 발생기(40) 및 메탈섬유(42)를 통해 건물 실내 공간의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The rail 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lectrode unit 16 in the form of a strip is installed inside the rail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rail 10 may be attached and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surface of the building, and fine dust in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is removed through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and the metal fiber 42 of the main body 30 installed on the rail. Can be removed.

일예로, 상기 레일(10)의 일측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전극부(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모듈(12)이 결합되며, 타측에는 레일(10)의 내부 공간의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마감 부재(14)가 결합된다. As an example, a power supply module 12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unit 16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ail 10 by bein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other side blocks exposure of the inner space of the rail 10 The finishing member 14 is combined to do so.

상기 레일(10)은 단면 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부(16)의 설치 위치를 제한하기 위한 리브(11)가 내부 공간(10a)에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체부(20)의 전원공급부(24)의 상단에 구비된 상단돌출부(23)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딩 요홈부(13)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The rail 10 has a rib 11 for limi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electrode unit 16 based on the cross-sectional shape and protrudes from the inner space 10a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upper body 20 The upper protrusion 23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ower supply 24 is inserted to form a sliding groove 1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sliding coupling.

전극부(16)는 좌측 및 우측 전극부(16a,16b)를 포함하며 레일(10) 내에 평행하게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The electrode unit 16 includes left and right electrode units 16a and 16b and has a structure disposed in parallel in the rail 10.

상기 상체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체 케이싱부(21)와, 상기 상체 케이싱부(21)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레일(10)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원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전극부(16)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해제 조작이 가능한 전극편(22)과, 상기 상체 케이싱부(21) 내에 설치되어 상하 축선(A1)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전극편(22)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편(22)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하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4)와, 상기 전원공급부(24)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 케이싱부(26)를 포함한다. The upper body part 20 is exposed to the upper body casing part 2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body casing part 21 is inserted into the rail 10 and is installed in the rail 10 for power on/off operation. An electrode piece 22 that can selectively contact or release the electrode part 16, and it is installed in the upper body casing part 21 so that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vertical axis A1, and the electrode piece 22 A power supply unit 24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to supply pow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iece 22 to the lower portion, and a hinge casing unit 26 installed under the power supply unit 24.

전원공급부(24)는 상하로 연장된 본체 내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전원을 연결 공급하기 위한 전선 또는 도선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 변환을 위한 회로가 내설될 수도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4 may include a wire or a conducting wire for connecting and supplying power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main body extending vertically, and a circuit for power conversion may be provided.

일예로, 상체 케이싱부(21)는 좌측 및 우측 케이싱부(부호 미도시)로 분할 형성되어 조립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전원공급부(24)의 측면에 구비된 전원 조작 레버(25)를 횡방향 회동 조작 가능하도록 횡방향의 슬릿형 홈(21a)을 구비하며, 상부 및 하부 측으로 전원공급부(24)의 상부 및 하부가 노출 또는 돌출 되도록 상부 및 하부 관통홀(20a,20b)이 각각 형성된다. As an example, the upper body casing part 21 may have a structu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casing parts (not shown) to have an assembled structure, and the power operation lever 2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wer supply part 24 is horizontally It is provided with a slit-shaped groove (21a)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enable rotational oper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through holes (20a, 20b) are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wer supply 24 are exposed or protruded toward the upper and lower sides. .

전원공급부(24)의 상부에는 전극편(22)과 상단돌출부(23)가 구비되고, 전원공급부(24)의 하부에는 하부측으로 전선(29)이 인출되고 힌지 케이싱부(26)의 돌출 결합부(26a)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하부 결합부(24a)가 구비된다. 하부 결합부(24a)의 하부에는 돌출 결합부(26a)가 삽입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An electrode piece 22 and an upper protruding part 23 ar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wer supply part 24, and an electric wire 29 is drawn to the lower side at the lower part of the power supply part 24, and the protruding coupling part of the hinge casing part 26 A lower coupling portion 24a for inserting and coupling 26a is provided. A coupling hole (not shown) for inserting and coupling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26a may be formed under the lower coupling portion 24a.

전원공급부(24) 및 전극편(22)은 상기 상단돌출부(23)와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단돌출부(23)가 상기 레일(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24) 및 전극편(22)의 회동 조작이 가능하다. 전원공급부(24)는 하부 결합부(24a)와도 상대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power supply unit 24 and the electrode piece 22 ar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upper protrusion 23, so that the power supply 24 and the upper protrusion 23 are coupled to the rail 10 Rotation operation of the electrode piece 22 is possible. The power supply unit 24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relative to the lower coupling unit 24a.

전원공급부(24)의 측면에 구비된 전원 조작 레버(25)를 횡방향 회동 조작함에 따라, 전원공급부(24) 및 전극편(22)이 회동하며, 회동 위치에 따라 전극편(22)이 상기 전극부(16)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해제 조작이 이뤄져 전원 온/오프 조작이 이뤄진다. As the power operation lever 25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ower supply 24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ower supply 24 and the electrode piece 22 rotate, and the electrode piece 22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position. The electrode unit 16 is selectively contacted or released to perform power on/off operation.

상기 본체부(30)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중공형의 케이싱 형태로 구성되며, 상측에 상기 힌지 케이싱부(26)와 힌지 결합이 이뤄지는 힌지 결합부(3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32)의 힌지 중심축(A2)은 상기 전원공급부(24)의 상하 축선(A1)과 직교 방향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음이온 발생용 메탈섬유(42)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33)가 형성된다. The main body 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casing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hinge coupling portion 32, which is hingedly coupled to the hinge casing portion 26, protrudes on the upper side,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The hinge central axis (A2) of (32) is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A1) of the power supply unit (24), and an exposure hole for exposing the metal fiber 42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t the bottom (33) is formed.

일예로, 상기 힌지 케이싱부(26)는 대략 "

Figure 112019096439476-pat00001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전원공급부(24)의 하부 결합부(24a)에 삽입 결합되기 위한 돌출 결합부(26a)가 형성되고, 좌우 양측의 연장부(26b)에는 각각 힌지 결합부(32)와 힌지 결합을 위해 힌지 축(27)이 통과하기 위한 축 홀(26c)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 케이싱부(26)와 힌지 결합부(32)는 힌지 축(27)에 의해 힌지 결합이 이뤄진다. 힌지 결합을 위해 본체부(30)의 힌지 결합부(32)의 양측면에도 축 홀(32b)이 각각 형성된다. As an example, the hinge casing portion 26 is approximately "
Figure 112019096439476-pat00001
A protruding coupling portion 26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hape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coupling portion 24a of the power supply unit 24 at the top,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s 32 on the left and right extension portions 26b, respectively. ) And a shaft hole (26c)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 27 passes for the hinge coupling. The hinge casing portion 26 a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32 are hinged by the hinge shaft 27. For hinge coupling, shaft holes 32b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32 of the body portion 30, respectively.

상기 힌지 케이싱부(26)의 돌출 결합부(26a)의 중앙에는 관통홀(26a')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32)의 중앙에도 관통홀(32a)이 형성되어, 전원공급부(24)의 하부측으로 인출된 전선(29)이 통과하여 상기 본체부(30)에 내설된 음이온 발생기(4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A through hole (26a')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truding coupling portion (26a) of the hinge casing portion (26), and a through hole (32a) is also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32). )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installed in the main body 30 to supply power through the electric wire 29 drawn out to the lower side of the).

상기 본체부(30)의 노출구(33)의 주위를 따라 환형의 결합 요홈부(35)가 형성된다. 결합 요홈부(35)에 갓형상 부재(50)가 결합되는 상세 구성은 후술한다.An annular coupling groove 35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xposure hole 33 of the main body 30. A detailed configuration in which the shaft member 50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5 will be described later.

일예로, 상기 본체부(30)는 조립 편의를 고려하여 상측 부재(30a)와 하측 부재(30b)로 분할 구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음이온 발생기(40) 및 그 정상 동작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엘이디(46)를 구비한 엘이디 기판(44)이 내부에 설치된다. As an example, the main body 3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member 30a and a lower member 30b in consideration of assembly convenience, and an anion generator 40 to be described later and an LED for indicating whether or not it operates normally. An LED substrate 44 having 46 is installed therein.

상기 음이온 발생기(40)는 상기 본체부(3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24)로부터 전선(29)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30 and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upply 24 through an electric wire 29.

상기 메탈섬유(42)는 상기 음이온 발생기(40)로부터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연장되고 상기 노출구(33)를 관통하여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metal fiber 42 is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and extend downward, penetrate the exposure hole 33 to be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음이온 발생기(40)는 음이온 회로가 형성된 기판을 포함한다.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includes a substrate on which an negative ion circuit is formed.

음이온 발생기(40)는 다양한 구성이 공지된 바 있으며, 일예로,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시켜 메탈섬유(42)의 하단 팁을 통해 음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anion generator 40 have been known, and as an example, by generating anions through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anions can be released through the lower tip of the metal fiber 42.

직류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콘덴서로 구성된 발진부가 발진 작동하여 일정 주파수의 출력펄스를 발생시킨다. 저항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승압부가 상기 발진부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주파수의 직류전압을 고전압으로 변환시킨다.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DC power supply, the oscillation unit composed of a condenser oscillates and generates an output pulse of a certain frequency. A booster comprising a resistor and a transistor converts a DC voltage of a certain frequency output from the oscillator into a high voltage.

다수의 콘덴서와 다이오드가 직병렬로 연결된 구성된 고전압부가 상기 승압부의 출력전압을 음이온 발생에 필요한 고전압으로 승압시킴과 동시에, 공기의 절연저항을 파괴하는 전압값으로 음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음이온의 발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A high-voltage unit composed of a plurality of capacitors and diodes connected in series and parallel boosts the output voltage of the booster to a high voltage necessary for generating negative ions,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s a negative voltage with a voltage value that destroys the insulation resistance of the air. Let it happen.

상기 고전압부에서 출력되는 고전압에 의해 음이온방출부가 구동되고, 외부로 인출된 방전용 전선에 연결된 메탈섬유(42)에서 높은 음전압이 발생하여 음이온이 생성 및 방출된다. The negative ion emission unit is driven by the high voltage output from the high voltage unit, and a high negative voltage is generated in the metal fiber 42 connected to the discharge wire drawn to the outside to generate and discharge negative ions.

일예로, 상기 메탈섬유(42)는 은나노로 코팅된 다음 합성수지로 피복 처리되고, 그 끝단은 피복되지 않고 내부의 메탈섬유(4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음이온 발생기(40)로부터 발생된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한다. 바람직하게, 메탈섬유(42)의 하단 팁은 미세먼지 유착시에 교체 가능하도록 분리결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As an example, the metal fibers 42 are coated with silver nano and then coated with synthetic resin, and the ends of the metal fibers 42 are not covered and the metal fibers 42 inside ar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negative ions generate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are removed. Release into the air. Preferably, the lower tip of the metal fiber 42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be replaceable when fine dust adheres.

상기 갓형상 부재(50)는 상기 본체부(30)의 노출구(33)의 주위를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30)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다. The lampshade member 50 is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hole 33 of the main body 30 and extends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30.

상기 갓형상 부재(50)는, 상기 본체부(30)의 결합 요홈부(35)에 삽입 결합되는 곡선 단면 형태의 결합 돌출부(51)와, 상기 결합 돌출부(5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갓형상부(53)를 포함한다. The lampshade member 50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51 having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5 of the main body 30, and a lampshade extending outward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51 Includes part 53.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 돌출부(51)는 상기 결합 요홈부(35)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Preferably, the coupling protrusion 51 is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5.

상기 결합 돌출부(51)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A3)은 상기 힌지 결합부(32)의 힌지 중심축(A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The rotational central axis A3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51 is rotated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inge central axis A2 of the hinge coupling portion 32.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결합 돌출부(51)가 상기 결합 요홈부(35)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갓형상 부재(50)가 상기 본체부(30)에 설치된다. 결합 돌출부(51) 및 결합 요홈부(35)에는 결합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소형의 돌기/요홈이 더욱 구비될 수도 있으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압입에 의한 걸림 결합이 더욱 이뤄질 수도 있다.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upling protrusion 51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5 so that the shaft-shaped member 5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coupling protrusion 51 and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5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small protrusions/grooves so as to more firmly maintain the coupling state, and may be further engaged by press fitting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일예로, 상기 갓형상 부재(50)는 2 개의 단위 부재(50',50'')로 구성될 수 있다. As an example, the shade member 50 may be composed of two unit members 50 ′ and 50 ″.

이 경우, 제1 단위 부재(50')는 상기 결합 요홈부(35)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1 결합 돌출부(51')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53)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갓형상부(53')를 포함한다. In this case, the first unit member 50 ′ is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annular first coupling protrusion 51 ′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35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51 ′. It includes a first shade portion 53 ′ constituting a part of the shade portion 53.

또한, 제2 단위 부재(50'')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2 결합 돌출부(51'')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51'')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53)의 또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갓형상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unit member 50 ″ has an annular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51 ″ tha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51 ′, and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51 ″ It may include a second hat-shaped portion 53 ″ which is formed to expand outward from and constitutes another part of the hat-shaped portion 53.

일예로, 상기 제1 갓형상부(53')는 180+α°(α는 0 이상 180 미만)의 원호 범위를 갖도록 갓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갓형상부(53'')도 180+α°(α는 0 이상 180 미만)의 원호 범위를 갖도록 갓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shade portion 53 ′ may have a shape of a shade to have an arc range of 180 + α° (α is 0 or more and less than 180),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53 ″ ) The shape of the shade may be formed to have an arc range of 180 + α° (α is 0 or more and less than 180).

이와 함께,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는 상기 결합 요홈부(35)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결합 돌출부(51'')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51 ′ can be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5,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51 ″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51 ′. )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또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 및 제2 결합 돌출부(51'')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A3)은 상기 힌지 결합부(32)의 힌지 중심축(A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rotational central axis (A3)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51 ′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51 ″ is performed i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inge central axis A2 of the hinge engaging unit 32 Is placed as.

상기 구성을 통해, 상기 제2 결합 돌출부(51'')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51')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갓형상부(53'')와 상기 제1 갓형상부(53')가 상기 본체부(30)의 노출구(33)의 주위를 감싸는 영역 및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rota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51 ″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51 ′, the second shaft-shaped portion 53 ″ And a region and a location of the first hat-shaped portion 53 ′ surrounding the exposure hole 33 of the body portion 30 may be changed.

예를 들어, 상기 제1 갓형상부(53')가 180°의 원호 범위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갓형상부(53'')도 180°의 원호 범위를 갖도록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를 서로 겹치지 않은 위치로 회전시키면 노출구(33)의 주위를 360°의 원호 범위로 감쌀 수 있으며(도 4의 (a) 상태),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를 완전히 겹친 위치로 회전시키면 노출구(33)의 주위를 180°의 원호 범위로 감쌀 수 있으며(도 4의 (b) 상태),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가 90°의 원호 범위만큼 겹친 위치로 회전시키면 노출구(33)의 주위를 270°의 원호 범위로 감쌀 수 있다(도 4의 (a)와 (b)의 중간 상태). For example, when the first shade portion 53' is formed to have an arc range of 180°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53' is formed to have an arc range of 180°, the first shade When the shape portion 53'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53' are rotated to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the periphery of the exposure hole 33 can be wrapped in an arc of 360° (Fig. 4(a)).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caps 53 ′ and 53 ″ are rotated to the positions where they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circumference of the exposure hole 33 may be wrapped in an arc range of 180° ( 4(b)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caps 53 ′ and 53 ″ are rotated to the overlapping position by a 90° arc range, the periphery of the exposure hole 33 Can be wrapped in an arc range of 270° (intermediate state of (a) and (b)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같이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건물의 내부 천장면에 부착설치된 레일(10)에 하나 이상의 상체부(20) 및 본체부(30)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30)에 메탈섬유(42)가 설치된 음이온 발생기(40)가 내설되고, 상기 본체부(30) 외측에 갓형상 부재(5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1, the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upper body part 20 and a body part 30 installed on a rail 10 attached to the interior ceiling of a building, and the body part 30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in which the fiber 42 is installed is installed, and a shade member 50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30.

미세먼지 발생량을 고려하여 상체부(20) 및 본체부(30)의 갯수는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the number of the upper body portion 20 and the body portion 30 may be appropriately increased or decreased.

레일(1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16)에 전극편(22)이 접촉되도록 전원 온 조작이 이뤄지면, 레일에 설치된 본체부(30)의 음이온 발생기(40)에 전원이 공급되며 음이온 발생기(40) 내부에 구비된 음이온 발생 회로에 의해 발생된 음이온이 메탈섬유(42)를 통해 건물 실내 공간에 방출되어 실내의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When power is turned on so that the electrode pieces 22 ar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unit 16 while power is applied to the rail 10, power is supplied to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of the body unit 30 installed on the rail. It is supplied and the negative ions generated by the negative ion generating circuit provided inside the negative ion generator 40 are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metal fiber 42, so that fine dust in the room can be removed.

보다 상세하게, 메탈섬유(42) 주위에 양이온 입자 상태로 부유 상태에 있던 공기 중의 미세먼지 입자들이 음이온에 흡착 경화되어 더 큰 입자를 이루게 된다. 미세먼지 입자들이 흡착되어 그 크기가 일반 먼지 입자 정도로 커지게 되면, 입자의 하중에 의해 실내 바닥으로 침전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던 미세먼지 입자가 바닥으로 침전 제거된다. In more detail, fine dust particles in the air suspended in the form of cationic particles around the metal fiber 42 are adsorbed and cured by anions to form larger particles. When fine dust particles are adsorbed and their size becomes as large as ordinary dust particles, the particles are precipitated on the indoor floor by the load of the particles and fine dust particles floating in the air are precipitated and removed to the floor.

이 과정 중에 메탈섬유(42)의 하단 팁에 인접한 미세먼지는 음이온을 1차적으로 근접 거리에서 접하게 되므로, 그 하부 공간에 위치한 미세먼지에 비해 흡착 경화 현상이 우선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입자 크기가 우선적으로 커지게 된다. During this process, since fine dust adjacent to the lower tip of the metal fiber 42 first contacts negative ions at a close distance, adsorption hardening occurs preferentially compared to fine dust located in the lower space, and particle size is preferred. Becomes larger.

그런데,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공기 중으로 부유하여 미세먼지 제거장치가 설치된 천장면으로 상승하여 흡착하면서 천장면을 검게 만드는 흑화(黑化) 현상이 유발될 우려가 있는데,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메탈섬유(42) 외측을 둘러싸는 갓형상 부재(50)에 의해 이러한 부유 먼지 입자가 바로 천장면으로 상승하지 않고 메탈섬유(42) 주위에 더욱 체류하도록 유도하여 흡착 경화 현상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However, there is a concern that some of the dust particles undergoing adsorption and hardening may float in the air and rise to the ceiling surface where the fine dust removal device is installed, adsorbing, and cause a blackening phenomenon that makes the ceiling black. The removal device guides the floating dust particles to stay around the metal fibers 42 without rising directly to the ceiling surface by the shaft-shaped member 5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metal fibers 42, so that the adsorption hardening phenomenon is more smooth. You can induce it to happen.

한편, 실내 환경 및 미세먼지 제거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도 6의 (a)와 같이 본체부(3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도 6의 (b)와 같이 본체부(30)가 힌지 중심축(A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측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방향성과 각도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indoor environment and the efficiency of removing fine dust, the main body 30 may be installed downward as shown in Fig. 6(a), and the main body 30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6(b). It can also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orientation and angle so that it rotates laterally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hinge central axis A2.

본 실시예의 미세먼지 제거장치는 본체부(30)의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도 6의 (a)와 같이 본체부(30)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를 서로 겹치지 않은 위치로 회전시켜 노출구(33)의 주위를 360°의 원호 범위로 감쌀 수 있도록 함으로써(도 4의 (a) 상태),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갓형상부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ne dust remov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considers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main body 30, and when the main body 30 is installed downward as shown in Fig. 6(a), the first shade-shaped part 53' )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53'' to be rotated to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exposure hole 33 can be wrapped in an arc of 360° (Fig. 4 (a) state), and adsorption Prevents some of the dust particles being cur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shade.

또한, 도 6의 (b)와 같이 본체부(30)가 힌지 중심축(A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를 완전히 또는 일부 겹친 위치로 회전시켜 노출구(33)의 주위를 일부 감싸되 그 감싸는 위치를 메탈섬유(42)의 상부측 외측을 감싸도록 함으로써(도 4의 (b) 상태),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갓형상부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이 경우 갓형상부가 없는 노출 부위에서는 메탈섬유(42)가 미세 먼지 입자와 원활하게 접촉할 수 있다. 도 6의 EG는 먼지 입자의 흐름을 예시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6, when the main body part 30 is rotated in a lateral direction with a certain angle around the hinge center axis A2, the first and second shafts 53' By rotating the part 53'' to a position where it is completely or partially overlapped, it partially wraps around the exposed hole 33, but the surrounding position is wrapped around the upper side of the metal fiber 42 (Fig. 4(b)) State), prevents some of the dust particles undergoing adsorption and curing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lampshade. In addition, in this case, the metal fiber 42 may smoothly contact the fine dust particles in the exposed portion without the shade part. EG of FIG. 6 illustrates the flow of dust particles.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shaped member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형예로서, 상기 갓형상 부재(50)는 도 7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제1 갓형상부(53') 및 제2 갓형상부(53'') 중의 어느 하나는 다른 갓형상부보다 갓의 높이가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될 수도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7, any one of the first shade portion 53 ′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53 ″ is shaded from the other shade member 50. It may be further extended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예를 들어, 도 6의 (b)의 상태와 같이 본체부(30)가 힌지 중심축(A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측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상기 제1 갓형상부(53')와 상기 제2 갓형상부(53'')를 완전히 또는 일부 겹친 위치로 회전시켜 노출구(33)의 주위를 일부 감싸되 그 감싸는 위치를 메탈섬유(42)의 상부측 외측을 감싸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6, when the main body 30 is rotated laterally at a certain angle around the hinge central axis A2, the first shaft 53' and the The second shade portion 53 ″ may be rotated to a position completely or partially overlapped to partially wrap around the exposure hole 33, but the surrounding position may be wrapped around the outer upper side of the metal fiber 42.

이 경우, 도 7의 실시예의 갓형상 부재(50)에서 더욱 확장 형성된 갓형상부(55)가 메탈섬유(42)의 상부측 외측을 감싸도록 하면,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갓형상부의 외부로 이탈하여 상승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hade-shaped portion 55 further expanded in the shade-shaped member 50 of the embodiment of FIG. 7 surrounds the outer upper side of the metal fiber 42, some of the dust particles undergoing adsorption and curing It can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from rising to the outside.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장치의 갓형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hat-shaped member of an apparatus for removing fine du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변형예로서, 상기 갓형상 부재(50)는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하나의 부재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s a modified example, the hat-shaped member 50 may be integrally formed as one member, as illustrated in FIG. 8.

이 경우 바람직하게, 상기 갓형상부(153)는 일측(153b)의 갓의 높이가 다른 부분(153a)의 갓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된다. In this case, preferably, the hat-shaped portion 153 is further expan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hat of one side 153b is higher than that of the hat of the other portion 153a.

도 8의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어, 도 6의 (b)와 같은 사용 상태에서 더욱 확장 형성된 갓형상부(153b)가 메탈섬유(42)의 상부측 외측을 감싸도록 하면, 흡착 경화 중인 먼지 입자 중 일부가 갓형상부의 외부로 이탈하여 상승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8, for example, when the shade-shaped portion 153b formed further expands in the use state as shown in FIG. 6(b) to surround the outer upper side of the metal fiber 42, dust undergoing adsorption hardening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some of the particles from leaving and rising to the outside of the shade-shaped portion.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and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cover these many variations.

10: 레일
16: 전극부
20: 상체부
21: 상체 케이싱부
22: 전극편
24: 전원공급부
26: 힌지 케이싱부
30: 본체부
32: 힌지 결합부
33: 노출구
35: 결합 요홈부
40: 음이온 발생기
42: 메탈섬유
50: 갓형상 부재
51: 결합 돌출부
53: 갓형상부
A1: 상하 축선
A2: 힌지 중심축
A3: 회전 중심축
10: rail
16: electrode part
20: upper body
21: upper body casing
22: electrode piece
24: power supply
26: hinge casing part
30: main body
32: hinge joint
33: exposure hole
35: coupling groove
40: negative ion generator
42: metal fiber
50: Shade-shaped member
51: coupling protrusion
53: Shade-shaped part
A1: upper and lower axis
A2: hinge central axis
A3: rotation center axis

Claims (9)

내부에 스트립 형태의 전극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내설된 레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체 케이싱부와, 상기 상체 케이싱부의 상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레일 내에 삽입 설치되며 전원 온/오프 조작을 위해 상기 전극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해제 조작이 가능한 전극편과, 상기 상체 케이싱부 내에 설치되어 상하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이 가능하며 상기 전극편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극편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하부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힌지 케이싱부를 포함하는 상체부;
상측에 상기 힌지 케이싱부와 힌지 결합이 이뤄지는 힌지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하 축선과 직교 방향이 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부에 음이온 발생용 메탈섬유가 노출되기 위한 노출구가 형성된 중공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음이온 발생기;
상기 음이온 발생기로부터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노출구를 관통하여 본체의 하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메탈섬유; 및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적어도 일부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갓형상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A rail in which the electrode portion in the form of a strip is built in the length direction;
An upper body casing part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lectrode piec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body casing part, inserted into the rail, and selectively contacting or disengaging the electrode part for power on/off operation, and the upper body casing It is installed in the unit and can be rotat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axes and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lectrode piece to supply power supplied through the electrode piece to the lower side, and a hinge casing unit installed under the power supply unit. To the upper body;
A hinge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hinge casing part and the hinge coupling par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central axis of the hinge of the hinge coupling part is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of the power supply part, and a metal fiber for generating anions A hollow body portion having an exposure hole for exposure;
An anion genera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power supply;
A metal fi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negative ion generator, penetrating through the exposure hole, and exposed to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A device for removing fine dust comprising a shaft-shaped member installed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hole of the main body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따라 환형의 결합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 부재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곡선 단면 형태의 결합 돌출부와, 상기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갓형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갓형상 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annular coupl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hole of the main body,
The lampshade member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curved cross-sectional shap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a lampshade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coupling protrusion,
Fine dust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portion and the hat-shaped member is installed on the body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갓형상부는 일측의 갓의 높이가 다른 부분의 갓의 높이보다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coupling protrusion is rotatable in a stat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fine dust remo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de-shaped portion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hade of one sid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shade of the othe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출부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은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rotational central axis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rotated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hinge central axis of the hinge coupling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갓형상 부재는 2 개의 단위 부재로 구성되며,
제1 단위 부재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1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갓형상부를 포함하며,
제2 단위 부재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되는 환형의 제2 결합 돌출부와,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로부터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며 상기 갓형상부의 또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2 갓형상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lampshade member is composed of two unit members,
The first unit member includes an annular first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recessed portion, and a first shaft-shaped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constituting a part of the shaft-shaped portion,
The second unit member includes an annular second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nd a second shaft portion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and constituting another part of the lamp portion.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는 상기 결합 요홈부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2 결합 돌출부는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is rotatable in a stat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갓형상부 및 제2 갓형상부 중의 어느 하나는 다른 갓형상부보다 갓의 높이가 높게 되도록 더욱 확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y one of the first shade portion and the second shade portion is further extend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had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shade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돌출부가 상기 제1 결합 돌출부의 내측에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된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갓형상부와 상기 제1 갓형상부가 상기 본체부의 노출구의 주위를 감싸는 영역 및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ccording to a position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is rotated while being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the region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shaft-shaped portion and the first shaft-shaped portion surrounding the exposed hole of the body portion are Fine dust remov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chang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돌출부 및 제2 결합 돌출부의 회전이 이뤄지는 회전 중심축은 상기 힌지 결합부의 힌지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rotational central axi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protrusions are rotated is dispos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central axis of the hinge of the hinge engaging unit.
KR1020190116067A 2019-09-20 2019-09-20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KR1021877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067A KR102187786B1 (en) 2019-09-20 2019-09-20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067A KR102187786B1 (en) 2019-09-20 2019-09-20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786B1 true KR102187786B1 (en) 2020-12-14

Family

ID=7377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067A KR102187786B1 (en) 2019-09-20 2019-09-20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786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60A (en) * 2001-05-24 2002-11-30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야나기겐큐쇼 Static eliminator
KR20090017941A (en) * 2007-08-16 2009-02-19 대방포스텍(주) Reflecting cover adjusted irradiation rang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50713B1 (en)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Led lamp with an anion generator
KR101551598B1 (en) * 2015-02-13 2015-09-09 한국기계연구원 Ion-generator for reducing generation of ozone
KR200479735Y1 (en) * 2015-11-19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A grounding-type Connect the adapter for spot lighting rai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660A (en) * 2001-05-24 2002-11-30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야나기겐큐쇼 Static eliminator
KR20090017941A (en) * 2007-08-16 2009-02-19 대방포스텍(주) Reflecting cover adjusted irradiation range and ligh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950713B1 (en) 2009-07-15 2010-03-31 (주)블루앤 Led lamp with an anion generator
KR101551598B1 (en) * 2015-02-13 2015-09-09 한국기계연구원 Ion-generator for reducing generation of ozone
KR200479735Y1 (en) * 2015-11-19 2016-03-02 주식회사 예도전기조명 A grounding-type Connect the adapter for spot lighting rai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549B2 (en) End cap for tubular light source
JP2007134324A (en) Electric bulb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ic bulb
TW201733622A (en) Ion generating device, production method of the ion generating device
KR102187786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fine dust
CN111318374B (en) Carbon fiber electrification device and electric appliance with same
KR102073917B1 (en) Lamp for removal of fine dust
CN105042423A (en) Multifunctional illumination lamp with air purifier and charge-discharge socket
KR100515170B1 (en) A negative ion emission lamp
KR20210077424A (en) Lamp for removing fine dust and harmful substances
CN112392752B (en) Head shaking device and head shaking household appliance
JP3120069U (en) Lighting equipment with negative ion generator
CN108302501B (en) Moisture electrolysis device for headlamp
KR20200117840A (en) Lamp for removal of fine dust
CN108613133B (en) Water electrolysis device for headlamp
KR200421563Y1 (en) Socket-type Separable Lamp Having Negative Generator
WO2005029924A1 (en) Lamp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air purification
KR100530255B1 (en) A screen
KR20090003329U (en) Socket for industrial
CN208936039U (en) A kind of lamps and lanterns
CN107842726A (en) Bulb with heat emission hole
KR200421564Y1 (en) Lamp Having Negative Generator
KR200385071Y1 (en) A negative ion generator for electric lamp
KR200342046Y1 (en) The multipurpose lighting apparatus that is possible choice of direct current/alternating current
CN205102321U (en) Cover body assembly and have its humidifier
US20180155842A1 (en) Moisture electrolysis apparatus for head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