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69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693B1
KR102187693B1 KR1020200151692A KR20200151692A KR102187693B1 KR 102187693 B1 KR102187693 B1 KR 102187693B1 KR 1020200151692 A KR1020200151692 A KR 1020200151692A KR 20200151692 A KR20200151692 A KR 20200151692A KR 102187693 B1 KR102187693 B1 KR 102187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question
type
solving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삼락
김의영
김병운
Original Assignee
(주)웅진씽크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웅진씽크빅 filed Critical (주)웅진씽크빅
Priority to KR1020200151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69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06K9/00597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04N5/2321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which determines a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in a question solving process, and transforms a question output form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ype. The presented device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outputs a learning screen that is output at a time when a passage of a question and the ques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continuously determines a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through eye tracking, and updates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when changing.

Description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ques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학습 문항을 학습자에 따라 다른 형태로 제공하는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learning item in a different form according to a learner.

교육은 학교, 학원 등의 장소에서 교수, 교수가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오프라인 학습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통신 기술의 발전과 환경 변화(예를 들면,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학습의 중요성이 많이 주목받고 있어 학습자가 이동하지 않고 통신을 이용하는 온라인 학습의 중요성이 주목받고 실제 학습에 적용되고 있다.Education has been conducted as offline learning where professors and professors conduct classes for learners at places such as schools and academies, but recently, non-face-to-face learn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changes (e.g., Corona 19) The importance of online learning that uses communication without the learner is attracting attention and is being applied to actual learning.

온라인 학습은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학습 과정을 통해 학습자의 학습 성향, 학습도 등을 파악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학습을 지원하고 있다. 즉, 온라인 학습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체감 난이도, 예측 정답률, 적정풀이 시간 등을 판단하고, 획일화된 문항을 제공하는 오프라인 학습지와 달리 학습자의 학습 성향, 학습도 등에 따라 맞춤 문항을 제공하고 있다.In online learning, as the demand for personalized learning services is increasing, learners' learning tendencies and learning levels are identifi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and optimized learning is supported for learners through big data analysis. In other words, online learning determines the learner's perceived difficulty, predicted correct answer rate, and appropriate solve time through big data analysis, and provides customized questions according to the learner's learning tendency and learning level, unlike offline study papers that provide uniform questions. Are doing.

학습자들은 학습 방법, 개인 학습도 등에 따라 동일한 문항이어도 받아들이는 유형이 다양하다. 예를 들면, 문항의 지문은 정확히 잘 읽지만 문제 풀이는 제대로 하지 않는 학습자, 문항의 지문을 제대로 읽지 않고 문제 풀이를 진행하는 학습자 등이 있다.Learners accept different types of questions even though they are the same question depending on the learning method and individual learning level. For example, there are learners who read the passages of questions correctly but do not solve problems properly, learners who do not read the passages of questions properly and proceed with problem solving.

이처럼, 학습자들은 동일한 문항에 대해 서로 다른 문항 풀이 유형을 갖는데, 종래의 온라인 학습은 학습자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화된 문항을 제공하는 정도에 머물러 있다.As such, learners have different types of question solving for the same question, and conventional online learning remains at the level of providing a uniform question without considering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are intended to help understanding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known as conventional technolog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한국등록특허 제10-206487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64871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문항 풀이 과정에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문항 출력 형태를 변형하도록 한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tems in which a learner's item solving type is determined in the question solving process and the item output form is modified based on the item solving type. To do.

즉, 본 발명은 학습자별 문항 풀이 유형에 맞는 문항 제공 방법을 제시하며, 학습자의 문항 풀이 성향에 맞게 문항을 노출하여 학습자가 문항에 더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문항을 정답 처리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도록 한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an item suitable for each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and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the learner can focus more on the item by expos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endency, and consequently, the understanding of the item is improv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tem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processing the correct answers and to increase the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장치는 문항 정보 및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다른 시점에 출력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고, 학습 화면을 포함한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학습 화면 생성 모듈, 학습 화면 생성 모듈의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 화면을 포함한 학습 화면 출력 신호와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학습 화면의 문항에 대한 정답이 입력되면 학습 평가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학습 제어 모듈, 학습 제어 모듈의 학습 화면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학습 화면에 표시된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 학습 제어 모듈의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하여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된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근거로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학습 화면 중에서 학습자가 주시한 영역인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트레킹 모듈, 학습 제어 모듈의 학습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보를 근거로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모듈 및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평가 모듈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 및 트레킹 모듈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유형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유형 판단 모듈은 유형 판단 대상 문항 및 트레킹 모듈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되,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의 학습 화면을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하고,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지문 영역 비율과 시점 영역이 문제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문제 영역 비율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유형 판단 모듈은 지문 영역 비율과 문제 영역 비율의 차이값이 최소 기준값 이상이고 최대 기준값 이하이면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하고. 학습 화면 생성 모듈은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learning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output at different times based on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and displays the learning screen. In response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that outputs the included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the learning screen output signal including the learning screen and the item solution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are output in response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and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 a learning control module that outputs a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a display module that outputs a learning screen in response to a learning screen output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and a learning screen in the display module in response to the question-solving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A time measur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time to solve the questions displayed in, a camera module that creates an image of the pupil movement by photographing the pupil movement of the learner in response to the request signal to evaluate the problem solving type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and the pupil movement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module. Based on the tracking module that detects the viewpoint area that is the area that the learner looked at while the learning screen is being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ncluding an evalu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 and a typ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the 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determined by the evaluation module, and the viewpoint area detected by the trekking module. In addi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based on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and the viewpoint area detected by the trekking module, but divides the learning screen of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into a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and the view area is a fingerprint area. The question-solving ty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the fingerprint area, which is the ratio located at the point of view, and the proportion of the problem area, which is the ratio of the view area located in the problem area, and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has the minimum reference value If it is above and below the maximum reference value, the question-solving type is judged as a complex intensive typ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when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장치는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학습자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학습 제어 모듈은 유형 판단 모듈의 유형 판단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의 문항 풀이 유형을 유형 판단 모듈에서 판단한 문항 풀이 유형으로 갱신할 수 있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an item solving type, and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s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in response to a type determin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The question-solving type of can be updated to the question-solving type determined by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유형 판단 모듈은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평가 모듈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되,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detects the question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and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determined by the evaluation module, but the question solving time is less than the set time for solving the question, and the correct and incorrect evaluation result is incorrect. A human question can be detected a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방법은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을 포함한 문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문항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다른 시점에 출력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근거로 학습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학습 화면 중에서 학습자가 주시한 영역인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학습 화면에 대한 응답으로 학습자 입력 정답이 입력되면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보를 근거로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 및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하는 단계는 문항 풀이 시간과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에 대응하는 학습 화면을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에 대응하는 시점 영역과 구분하는 단계에서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한 학습 화면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지문 영역 비율과 시점 영역이 문제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문제 영역 비율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지문 영역 비율과 문제 영역 비율의 차이값이 최소 기준값 이상이고 최대 기준값 이하이면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ethod of providing a learning i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etecting question information includ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and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ype of the question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in the step of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output at different times, the step of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earning screen, and the step of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the question solving time is saved.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in the step of measuring and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the step of detecting a viewpoint area that is the area the learner has watched from among the learning screens while the learning screen is being output based on the pupil movement of the learner, response to the learning screen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based on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and the step of measuring the question solving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 by the learner, the question solving time and the correct answer measured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question solving time are determined. The step of updating the question-solving type based on the result of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evaluation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step and the point-of-view area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viewpoint area, and the step of updating the question-solving type is evaluating the time and correct answer for the ques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ep of detecting the question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the step of dividing the learn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subject to be determined by the step of detecting the question subject to be determined by the type into the fingerprint area and the problem area, and detecting the subject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In the step of discriminating from the viewpoint area corresponding to the type-determining target item detected in the step of step of, determining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based on the learning screen divided into a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and determining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In, the question-solving type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oportion of the fingerprint area, which is the ratio of the view area to the fingerprint area, and the ratio of the problem area, which is the ratio of the view area to the problem area. If the difference value of the ratio is more than the minimum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the maximum reference value, It includes determining the type as a complex centralized type.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문제 정보가 지문 정보보다 먼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 지문 정보가 문제 정보보다 먼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reating the learning screen is the step of creating a learning screen in which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befor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and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before the problem information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problem-intensive. It may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In this case, the step of generating the learning screen may further include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when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cting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an item in which the question solving time is less than the set time for solving the question and the result of evaluating a correct or incorrect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may be detected a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학습 문항을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문항 출력 형태를 변형함으로써, 학습자가 더 잘 이해하고 문항 풀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learner to better understand and concentrate on the item solution by modifying the item output form based on the learner's item solution type.

또한, 학습 문항 제공 장치 및 방법은 하나의 문항을 문항 풀이 유형에 따라 지문과 문제가 다른 시점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지문 집중형 또는 문제 집중형 학습자가 종래의 방식(복합 집중형)으로 노출되는 문항 형식보다 문항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문항 해석의 취약 부분을 보완하도록 유도하여 학습자가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고, 문항의 정답을 맞힐 수 있는 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tems provid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and the problem are displayed at different times according to the question solving type, so that the fingerprint-intensive or problem-intensive learner can use the conventional method (complex intensiv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items than the item format exposed to and improving the possibility that learners can fully demonstrate their abilities and answer the correct answers by inducing them to supplement the weak part of the item interpreta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학습 화면 생성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도 2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학습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2의 유형 판단 모듈에서 아이 트레킹을 통해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한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학습 화면 생성 단계(S13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9의 문항 풀이 유형 갱신 단계(S190)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n apparatus for providing learning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of FIG. 2;
4 to 6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learning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of FIG. 2.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determining an item solving type through eye tracking i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of FIG. 2.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tex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step (S130) of FIG.
Figure 11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the update step (S190) of the item solving type of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in order to describe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 탑 등으로 구성된다.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문항 풀이 유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문항을 출력한다.Referring to FIG. 1, a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phone, a tablet, and a desktop.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a learner's item solution type in the learning process, and outputs the item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item solution type.

도 2를 참조하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 문항 저장 모듈(114), 학습 제어 모듈(120),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 디스플레이 모듈(140), 입력 모듈(150), 카메라 모듈(160) 트레킹 모듈(170), 시간 측정 모듈(175), 평가 모듈(180) 및 유형 판단 모듈(1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2,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includes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an item storage module 114, a learning control module 120,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a display module 140, An input module 150, a camera module 160, a tracking module 170, a time measurement module 175, an evaluation module 180, and a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are included.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에 관련된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자의 아이디, 패스워드, 학습 단계 등을 더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stores learner information related to learning.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may also store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a learner's ID, password, and learning step.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복합 집중형, 지문 집중형 및 문제 집중형 중 하나의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하는 학습자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면 복합 집중형을 문항 풀이 유형으로 저장한다.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stores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the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stores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one of a complex intensive type, a fingerprint intensive type, and a problem intensive type of item solving. At this time,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stores the complex intensive type as an item solving type when the learner's item solving type is not set.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학습자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 단계 및 문항 풀이 유형을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 단계 및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응답 신호를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detects a learning step and an item-solving type in response to the learn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and send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learning step and an item-solving type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유형 갱신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자 정보를 갱신한다.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은 유형 갱신 요청 신호로부터 문항 풀이 유형을 검출하고, 기저장된 학습자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검출한 문항 풀이 유형으로 갱신하여 저장한다.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updates the learner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type update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detects an item-solving type from the type update request signal, and updates and stores the item-solving type of the previously stored learner information as the detected item-solving type.

문항 저장 모듈(114)은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문항에 대한 정보인 문항 정보를 저장한다. 문항 저장 모듈(114)은 학습 단계,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이 연계된 문항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는 텍스트 및 이미지 중 하나로 구성되거나, 텍스트 및 이미지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tem storage module 114 stores item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n item provided to a learner. The question storage module 114 stores question information in which learning steps,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s are linked. In this cas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may be composed of one of text and image, or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ext and image.

문항 정보 저장 모듈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문항 정보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문항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 즉, 문항 정보 저장 모듈은 문항 정보 요청 신호로부터 학습 단계를 검출하고, 검출한 학습 단계에 대응되는 문항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 이때, 문항 정보 저장 모듈은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이 연계되어 구성된 문항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the item information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in response to the item information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at is,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detects a learning step from the item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learning step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At this time, the question information storage module transmit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question information configured by link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이 개시되면 학습자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로 전송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자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학습 단계 및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When learning starts,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 learn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a learning step and an item solving type in response to the learn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학습 제어 모듈(120)은 응답 신호로부터 학습 단계를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 단계를 포함한 문항 정보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문항 정보 저장 모듈로 전송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문항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이 연계되어 구성된 문항 정보를 포함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a learning step from the response signal.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n item inform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a learning step and transmits it to the item information storage module.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receives a response signal including question information configured by link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in response to the ques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자 정보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부터 문항 풀이 유형을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문항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부터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문항 풀이 유형,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를 포함한 학습 화면 생성 신호를 생성하여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로 전송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an item-solving type from a response signal to the learner information request signal.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from a response signal to the question request signal.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signal including an item solving typ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 화면 생성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인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를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로부터 수신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로부터 학습 화면을 검출하고 학습 화면을 포함한 문항 출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모듈(140)로 전송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receives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which is a response signal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signal, from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a learning screen from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and transmits an item output signal including the learning screen to the display module 140.

이와 함께, 학습 제어 모듈(120)은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카메라 모듈(160) 트레킹 모듈(170), 시간 측정 모듈(175) 및 유형 설정 모듈(190)로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0,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evaluates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with the camera module 160, the tracking module 170,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75, and the type setting module 190. Send a request signal.

학습 제어 모듈(120)은 문항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부터 정답을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입력 모듈(150)의 정답 입력 완료 신호로부터 정답을 학습자 입력 정답으로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검출한 정답 및 학습자 입력 정답을 포함한 학습 평가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평가 모듈(180)로 전송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the correct answer from the response signal to the question request signal.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a correct answer as a learner input correct answer from the correct answer input completion signal of the input module 150.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correct answer and the learner input correct answer and transmits it to the evaluation module 180.

학습 제어 모듈(120)은 유형 판단 모듈(190)의 유형 판단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유형 갱신 요청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유형 판단 완료 신호로부터 문항 풀이 유형을 검출한다. 학습 제어 모듈(120)은 검출한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유형 갱신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112)로 전송한다.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 type update request signal in response to the type determin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detects an item solving type from the type determination completion signal.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generates a type update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detected item solving type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2.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학습 화면 생성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 문항을 생성한다.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학습 화면 생성 신호로부터 문항 풀이 유형,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를 검출한다.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의 표시를 다르게 설정한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item in response to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detects an item solving typ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from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signal.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display of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is set differently based on an item solving type.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지문 과 문제를 잘 읽거나 문항 풀이 유형이 아직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when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since the fingerprint and the question are well read or the question-solving type is not yet set,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문제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지문 정보를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지문은 잘 읽지만 문제를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학습자이므로,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학습자가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문제 정보를 먼저 표시한 후 지문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If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a fingerprint intensive typ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that displays fingerprint information when setting conditions such as a setting time and user input are satisfied after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since the learner reads the fingerprint well but does not read the problem well and solves the problem,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first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focus on the problem, and then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Create a learning screen to be used.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 지문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문제 정보를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 문제는 잘 읽지만 지문을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학습자이므로,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학습자가 지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문 정보를 먼저 표시한 후 문제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a problem-intensive typ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that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when setting conditions such as setting time and user input are satisfied after fingerprint information is first displayed.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problem-intensive, since the learner reads the problem well but does not read the fingerprint well and solves the problem,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first display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concentrate on the fingerprint, and then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Create a learning screen to be used.

한편,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지문 정보 전체를 출력하지 않고 지문을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즉,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지문을 구성하는 모든 텍스트(문장)을 한번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지문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지문을 띄어쓰기 기준으로 나누어 복수의 어절로 구성하고, 어절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Meanwhil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may output a fingerprint in stages without outputting the entire fingerprint information. That is,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does not output all texts (sentences) constituting the fingerprint at once, but divides the fingerprint into a plurality of words by dividing the fingerprint by spacing criteria so that the learner can focus more on the fingerprint, and sequentially divides the words. Output as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문항의 지문이 "두 수의 합을 구하시오."이면,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지문을 "두", "수의", "합을", "구하시오"로 분할하여 어절 1 내지 어절 4를 구성하고, 어절 1 내지 어절 4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설정 시간 간격으로 각 어절을 출력하거나, 학습자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정해진 입력 정보를 입력하면 다음 어절을 출력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if the fingerprint of the question is "Get the sum of two numbers",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uses the fingerprints as "two", "number", "sum", Words 1 to 4 are formed by dividing them into "seek", and words 1 to 4 are sequentially output. At this tim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outputs each word at a set time interval, or outputs a next word when the learner inputs input information determined through the input module 150.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생성한 학습 화면을 포함하는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를 생성한다. 학습 화면 생성 모듈(130)은 학습 화면 생성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로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를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generated learning screen.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30 transmits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as a response signal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signal.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문항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문항 출력 신호로부터 학습 화면을 검출하여 출력한다.The display module 140 outputs a learning screen in response to an item output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display module 140 detects and outputs a learning screen from the item output signal.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문항 풀이 유형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지문과 문제를 잘 읽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문항을 포함한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As an example, referring to FIG. 4,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the question-solving type is not set, or because the fingerprint and problem are read well and the problem is solved, the display module 140 provides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Outputs a learning screen including learning items displayed at the same time.

다른 일례로, 도 5를 참조하면,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문제를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문제 정보가 먼저 출력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지문 정보를 출력한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5,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since the problem is not read well and the problem is solved, the display module 140 sets the setting time and user input after the problem information is first output. If the condition is satisfied, fingerprint information is output.

또 다른 일례로, 도 6을 참조하면,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 지문을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은 지문 정보가 먼저 출력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문제 정보를 출력한다.As another example, referring to FIG. 6,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problem-intensive, since the fingerprint is not well read and the problem is solved, the display module 140 display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first, and then, the setting time, user input, etc. If the setting conditions are satisfied, problem information is output.

입력 모듈(150)은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출력한 학습 화면의 문항에 대한 정답을 입력받는다. 입력 모듈(150)은 입력된 정답을 포함한 정답 입력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The input module 150 receives a correct answer to an item of the learning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0. The input module 150 generates a correct answer input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input correct answer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입력 모듈(150)은 학습 화면을 순차적인 출력을 진행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The input module 150 may receive control informa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카메라 모듈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한다. 카메라 모듈은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를 주시하는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하여 눈동자 움직임 영상으로 저장한다. 카메라 모듈은 촬영한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프레임 단위 또는 설정 시간 단위로 끊어 트레킹 모듈(170)로 전송한다.The camera module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question-solving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camera module captures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learner looking at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and stores it as a pupil movement image. The camera module cuts the captured pupil motion image in a frame unit or a set time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tracking module 170.

트레킹 모듈(170)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한다. 트레킹 모듈(170)은 카메라 모듈로부터 수신한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근거로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출력한 학습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주시한 영역의 좌표인 시점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트레킹 모듈(170)은 아이 트레킹을 통해 시점 영역을 검출하며, 아이 트레킹 전에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해 시점 영역의 검출 정확도를 높인다. 트레킹 모듈(170)은 아이 트레킹을 통해 사용자의 눈 위치 및 초점 등을 파악하여 시점 영역을 검출하며, 사용자가 문항을 풀이하는 동안(즉,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된 시점부터 입력 모듈(150)로 정답이 입력된 시점까지) 계속 시점 영역을 검출한다. 트레킹 모듈(170)은 검출한 시점 영역을 유형 설정 모듈로 전송한다.The trekking module 170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question-solving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tracking module 170 detects a viewpoint area, which is a coordinate of an area that the user gazes, from among all areas of the learning screen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0 based on the pupil movement image received from the camera module. At this time, the tracking module 170 detects the viewpoint area through eye tracking, and performs calibration before eye tracking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viewpoint area. The tracking module 170 detects the viewpoint area by identifying the user's eye position and focus through eye tracking, and inputting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140 while the user is solving an item. Until the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ted to the module 150), the viewpoint region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tracking module 170 transmits the detected viewpoint area to the type setting module.

시간 측정 모듈(175)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한다. 시간 측정 모듈(175)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여 유형 설정 모듈로 전송한다. 이때, 시간 측정 모듈(175)은 디스플레이 모듈(140)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된 시점부터 입력 모듈(150)로 정답이 입력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문항 풀이 시간으로 측정한다.The time measurement module 175 is driven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for evaluating an item-solving type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75 measures a learner's question solving time and transmits it to the type setting module. In this case,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75 measure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by the display module 140 to the time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ted to the input module 150 as the question solving time.

평가 모듈(180)은 학습 제어 모듈(120)의 학습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정오답 여부를 판단한다. 평가 모듈(180)은 학습 평가 요청 신호로부터 정답 및 학습자 입력 정답을 검출하고, 이들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평가 모듈(180)은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답이 동일하면 정답으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오답으로 판단한다. 평가 모듈(180)은 정오답 평가 결과를 유형 설정 모듈로 전송한다.The evaluation module 180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in response to the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The evaluation module 180 detects the correct answer and the learner's input correct answer from the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by comparing whether they match. In this case, the evaluation module 180 determines that the correct answer and the learner's input correct answer are the same as the correct answer, and if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evaluation module 180 determines it as an incorrect answer. The evaluation module 180 transmits the correct and incorrect evaluation result to the type setting module.

유형 판단 모듈(190)은 시간 측정 모듈(175)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 및 평가 모듈(180)의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한다. 유형 판단 모듈(190)은 문항 풀이 시간과 정오답 여부를 먼저 판단한다. 문항마다 적정 풀이 시간은 다르게 측정된다. 지문 또는 문제 중 어느 한 부분에 제대로 집중하지 않고 문항을 풀게되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시간은 문항의 적정 풀이 시간보다 짧게 측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유형 판단 모듈(190)은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평가 결과가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한다.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ct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175 and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module 180.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first determines the question solving time and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not. The appropriate time to solve for each question is measured differently. If the question is solved without properly focusing on the passage or the problem,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ime is likely to be measured shorter than the appropriate solving time of the question. Accordingly,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cts, a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the question-solving time is less than the item-solving setting time,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a correct or incorrect answer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an incorrect answer.

유형 판단 모듈(190)은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한 문항에 대응하는 시점 영역을 근거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한다. 유형 판단 모듈(190)은 학습 화면을 지문 정보가 배치된 지문 영역(TA)과 문제 정보가 배치된 문제 영역(QA)으로 구분하고,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TA)과 문제 영역(QA) 중 어느 쪽에 더 많이 머무는지를 기준으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한다. 이때, 유형 판단 모듈(190)은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TA)에 위치한 비율이 높으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지문 집중형으로 판단하고, 시점 영역이 문제 영역(QA)에 위치한 비율이 높으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문제 집중형으로 판단한다.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rmines the type of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based on the viewpoint area corresponding to the question detected as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ivides the learning screen into a fingerprint area (TA)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is placed and a problem area (QA) in which problem information is placed, and the viewpoint area is among the fingerprint area (TA) and the problem area (QA). The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is judged based on which side they stay more on. At this time,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rmines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type of the learner as a fingerprint intensive type if the ratio of the viewpoint area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TA is high, and if the ratio where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problem area (QA) is high, the learner's The question-solving type is judged as a problem-intensive type.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TA)에 위치한 비율이 높으면, 유형 판단 모듈(190)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지문 집중형으로 판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영역이 문제 영역(QA)에 위치한 비율이 높으면, 유형 판단 모듈(190)은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문제 집중형으로 판단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when the ratio of the viewpoint area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TA is high,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rmines the type of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as a fingerprint concentrated type. As illustrated in FIG. 8, when the ratio of the viewpoint area located in the problem area QA is high,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determines the type of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as a problem-intensive type.

한편, 유형 판단 모듈(190)은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TA)과 문제 영역(QA)에 위치한 비율이 균등 범위 이내이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할 수 있다. 유형 판단 모듈(190)은 판단한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유형 판단 완료 신호를 생성하여 학습 제어 모듈(120)로 전송한다.On the other hand,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may determine a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as a complex intensive type if the ratio in which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TA and the problem area QA is within an equal range.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190 generates a type determination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determined question-solving type and transmits it to the learning control module 120.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문항 제공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learning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를 참조하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이 개시되면 학습 단계 및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학습자 정보를 검출한다(S110).Referring to FIG. 9, when learning is started,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a learning step and an item solving type (S11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 정보의 학습 단계를 근거로 문항 정보를 검출한다(S12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기저장된 문항 정보들 중에서 S110 단계에서 검출한 학습 단계에 대응하는 문항 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이 연계되어 구성된 문항 정보를 검출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item information based on a learning step of the learner information (S12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ite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step detected in step S110 from among the previously stored item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etects item information configured by link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S13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를 포함한 학습 화면을 생성하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의 표시를 다르게 설정한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based on an item solving type of learner information (S13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cluding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but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display of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is set differently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ype.

도 10을 참조하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S131;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제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지문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S132).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지문은 잘 읽지만 문제를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학습자이므로,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가 문제에 집중할 수 있도록 문제 정보를 먼저 표시한 후 지문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제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설정 시간이 지나거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지문 정보를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Referring to FIG. 10, if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is a fingerprint intensive type (S131; YE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on which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and then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S132).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since the learner reads the fingerprint well but does not read the problem well and solves the problem,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first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focus on the problem, and then display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Create a learning screen to be used.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that displays fingerprint information when a set time passes after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or when there is a preset user input.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S133;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지문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문제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S134).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문제는 잘 읽지만 지문을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학습자이므로,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가 지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문 정보를 먼저 표시한 후 문제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지문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설정 시간이 지나거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문제 정보를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If the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is problem-intensive (S133; Ye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o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and then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S134).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since the learner reads the problem well but does not read the fingerprint well and solves the problem,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first displays the fingerprint information so that the learner can concentrate on the fingerprint, and then displays the problem information. Create a learning screen to be used.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that displays problem information when a set time elapses after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or when there is a preset user input.

한편,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S134 단계에서 지문 정보 전체를 동시에 표시하지 않고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지문을 구성하는 모든 텍스트(문장)을 한번에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지문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지문을 띄어쓰기 기준으로 나누어 복수의 어절로 구성하고, 어절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may generate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entire fingerprint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at the same time in step S134 but is displayed in stages. That i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oes not output all texts (sentences) constituting the fingerprint at once, but divides the fingerprint into a plurality of words by dividing the fingerprint by spacing criteria so that the learner can focus more on the fingerprint, and sequentially divides the words. Create a learning screen marked with.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S130 단계에서 생성된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S14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문항 풀이 유형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지문과 문제를 잘 읽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outputs the learning screen generated in step S130 (S14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outputs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are displayed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question-solving type is not set, or because the question-solving type is not set or the fingerprint and problem are read well and the problem is solved. do.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유형이 지문 집중형이면 문제를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문제 정보가 먼저 표시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지문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When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fingerprint-intensiv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oes not read the problem well and solves the problem. Therefore, if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first, and the setting conditions such as setting time and user input are satisfied,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layed. Print the learning screen.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유형이 문제 집중형이면 지문을 잘 읽지 않고 문제는 푸는 경우이므로, 지문 정보가 먼저 출력된 후 설정 시간, 사용자 입력 등의 설정 조건이 만족하면 문제 정보가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출력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oes not read the fingerprint well and solves the problem when the question-solving type is problem-intensive. Therefore,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output first, and then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layed when setting conditions such as setting time and user input are satisfied. Outputs the learning screen that is used.

이와 함께,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한다(S15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 화면이 출력된 시점부터 학습자의 정답이 입력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문항 풀이 시간으로 측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measures the question solving time (S15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measure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to the time when the learner's correct answer is input as the item solving time.

이와 함께,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아이 트레킹을 통해 학습자가 문항을 풀이한 동안 학습자의 시점 영역을 검출한다(S160). 즉,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 화면을 주시하는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하여 눈동자 움직임 영상으로 저장한다.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근거로 학습 화면의 전체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주시한 영역의 좌표인 시점 영역을 검출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아이 트레킹을 통해 시점 영역을 검출하며, 아이 트레킹 전에 캘리브레이션을 진행해 시점 영역의 검출 정확도를 높인다.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아이 트레킹을 통해 사용자의 눈 위치 및 초점 등을 파악하여 시점 영역을 검출하며, 사용자가 문항을 풀이하는 동안(즉, 학습 화면이 출력된 시점부터 학습자의 정답이 입력된 시점까지) 계속 시점 영역을 검출한다.In addition,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the viewpoint area of the learner while the learner solves the item through eye tracking (S160). That i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photographs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learner looking at the learning screen and stores it as a pupil movement imag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a viewpoint region, which is a coordinate of a region gazed by a user from among the entire regions of the learning screen, based on the pupil movement image.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the viewpoint region through eye tracking, and performs calibration before eye tracking to increase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viewpoint region.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etects the viewpoint area by identifying the user's eye position and focus through eye tracking, and while the user solves the question (that is, the learner's correct answer is input from the time when the learning screen is displayed). Up to the point in time) continues to detect the viewpoint area.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에 의해 정답이 입력되기 전까지 상술한 S14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고, 학습자에 의해 정답이 입력되면(S170;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가 입력된 정답(학습자 입력 정답)의 정오답 여부를 판단한다(S18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답을 비교하여 정오답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답이 동일하면 정답으로 판단하고, 서로 다르면 오답으로 판단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repeats steps S140 to S160 described above until the correct answer is input by the learner, and when the correct answer is input by the learner (S170; Ye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The learner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correct answer (the learner input correct answer) is a correct answer (S18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or incorrect by comparing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with the correct answer input by the learner.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input correct answer are the same as the correct answer, and if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determines that the correct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한다(S180).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시간, 정오답 평가 결과 및 시점 영역을 근거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한다.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복합 집중형, 지문 집중형 및 문제 집중형 중 하나를 문항 풀이 유형으로 설정하여, 학습자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learner's item solving type (S180).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learner's item solving type based on the item solving time, the correct/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and the viewpoint area. At this tim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item solving type of learner information by setting one of the complex intensive type, the fingerprint intensive type, and the problem intensive type as an item solving type.

도 11을 참조하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시간 및 정오답 여부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한다(S191).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S150 단계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 및 평가 모듈(180)의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한다. Referring to FIG. 11, the apparatus 100 for providing a learning item detects an item to be determined type based on a time to solve an item and whether an answer is correct or not (S191).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based on the item solving time measured in step S150 and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of the evaluation module 180.

지문 또는 문제 중 어느 한 부분에 제대로 집중하지 않고 문항을 풀게되면 학습자의 문항 풀이 시간은 문항의 적정 풀이 시간보다 짧게 측정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평가 결과가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한다. 이때, 문항 풀이 설정 시간은 문항마다 적정 풀이 시간은 다르므로 문항별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If the question is solved without properly focusing on the passage or the problem,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ime is likely to be measured shorter than the appropriate solving time of the question. Accordingly,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cts an item in which the item-solving time is less than the item-solving setting time,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a correct or incorrect answer,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an incorrect answer, a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At this time, the set time for answering questions may have a different value for each question because the appropriate solution time is different for each question.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의 학습 화면을 지문 영역(TA)과 문제 영역(QA)으로 구분한다(S192). 이때,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 화면 중에서 지문 정보가 배치된 영역을 지문 영역(TA)으로 구분하고, 학습 화면 중에서 문제 정보가 배치된 영역을 문제 영역(QA)으로 구분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ivides the learning screen of the type-determining question into a fingerprint area TA and a problem area QA (S192). In this case,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ivides an area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is disposed among the learning screens into a fingerprint area TA, and divides the area in which the problem information is disposed among the learning screens as a problem area QA.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한 문항에 대응하는 시점 영역과 학습 화면을 근거로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한다. 시점 영역이 지문 영역(TA)에 위치한 비율(지문 영역(TA) 비율)이 시점 영역이 문제 영역(QA)에 위치한 비율(문제 영역(QA) 비율)보다 높으면(S193;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지문 집중형으로 판단한다(S194).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a learner's item solving type based on a view area corresponding to an item detected as a type determination target item and a learning screen. If the ratio where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TA) (the ratio of the fingerprint area (TA)) is higher than the ratio where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problem area (QA) (S193; yes), the learning question is provided The device 100 determines the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as a fingerprint intensive type (S194).

이때, S193 단계에서 문항 풀이 유형 판단을 위해 문제 영역(QA) 비율과 지문 영역(TA) 비율을 비교함에 있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최대 기준값과 최소 기준값을 설정하고, 지문 영역(TA) 비율과 문제 영역(QA) 비율의 차이가 최소 기준값을 미만이면 문제 영역(QA) 비율이 지문 영역(TA)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 comparing the problem area (QA) ratio and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in step S193 to determine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set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and the minimum reference value, and )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and the ratio of the problem area (QA) is less than the minimum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ratio of the problem area (QA) is higher than the rate of the fingerprint area (TA).

문제 영역(QA) 비율이 지문 영역(TA) 비율보다 높으면(S195;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문제 집중형으로 판단한다(S196). 이때, S195 단계에서 문항 풀이 유형 판단을 위해 문제 영역(QA) 비율과 지문 영역(TA) 비율을 비교함에 있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최대 기준값과 최소 기준값을 설정하고, 지문 영역(TA) 비율과 문제 영역(QA) 비율의 차이가 최대 기준값을 초과하면 지문 영역(TA) 비율이 문제 영역(QA)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problem area (QA) ratio is higher than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S195; Ye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determines the learner's question-solving type as a problem-intensive type (S196). At this time, in comparing the problem area (QA) ratio and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in step S195 to determine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sets a maximum reference value and a minimum reference value, and the fingerprint area TA )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and the problem area (QA) ratio exceeds the maximum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is higher than the problem area (QA) ratio.

문제 영역(QA) 비율과 지문 영역(TA) 비율이 동일하면(S197; 예),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한다(S198). 이때, S197 단계에서 문항 풀이 유형 판단을 위해 문제 영역(QA) 비율과 지문 영역(TA) 비율을 비교함에 있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최대 기준값과 최소 기준값을 설정하고, 지문 영역(TA) 비율과 문제 영역(QA) 비율의 차이가 최대 기준값과 최소 기준값 사이의 값이면 문제 영역(QA) 비율과 지문 영역(TA) 비율이 동일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f the ratio of the problem area (QA) and the ratio of the fingerprint area (TA) are the same (S197; Ye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as a complex intensive type (S198). At this time, in comparing the problem area (QA) ratio and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in step S197 to determine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sets a maximum reference value and a minimum reference value, and the fingerprint area TA )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tio and the problem area QA ratio is a value between the maximum reference value and the minimum reference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problem area QA ratio and the fingerprint area TA ratio are the same.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문항 풀이 유형의 판단이 완료되면 기저장된 학습자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한 문항 풀이 유형으로 갱신한다(S199). 즉,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S193 단계 내지 S198 단계를 통해 판단한 문항 풀이 유형으로 갱신한다.When the determination o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completed,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previously-stored learner information to the question-solving type determined in step S199. That i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item solving type of learner information to the item solving type determined through steps S193 to S198.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이후 갱신된 문항 풀이 유형에 따른 학습 화면을 생성하여 지문 집중형 또는 문제 집중형 학습자가 종래의 방식(복합 집중형)으로 노출되는 문항 형식보다 문항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문항 해석의 취약 부분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 문항 제공 장치(100)는 학습자가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문항의 정답을 맞힐 수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한다.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generates a learning screen according to the updated question solving type, so that the fingerprint-intensive or problem-intensive learner can better understand the question than the question type expo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complex concentration type). There is, and the weak part of the item interpretation can be supplemented. Through this,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00 maximizes the possibility that the learner can fully exhibit his or her ability to answer the correct answer to the question.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it can be done.

100: 학습 문항 제공 장치 112: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
114: 문항 저장 모듈 120: 학습 제어 모듈
130: 학습 화면 생성 모듈 140: 디스플레이 모듈
150: 입력 모듈 160: 카메라 모듈,
170: 트레킹 모듈 175: 시간 측정 모듈
180: 평가 모듈 190: 유형 판단 모듈
TA: 지문 영역 QA: 문제 영역
100: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112: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114: question storage module 120: learning control module
130: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140: display module
150: input module 160: camera module,
170: trekking module 175: time measurement module
180: evaluation module 190: type determination module
TA: Fingerprint area QA: Problem area

Claims (6)

문항 정보 및 학습자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다른 시점에 출력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학습 화면을 포함한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학습 화면 생성 모듈;
상기 학습 화면 생성 모듈의 학습 화면 생성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화면을 포함한 학습 화면 출력 신호와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학습 화면의 문항에 대한 정답이 입력되면 학습 평가 요청 신호를 출력하는 학습 제어 모듈;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의 학습 화면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학습 화면에 표시된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 측정 모듈;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의 문항 풀이 유형 평가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촬영하여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생성된 눈동자 움직임 영상을 근거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상기 학습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학습 화면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주시한 영역인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트레킹 모듈;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의 학습 평가 요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보를 근거로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평가 모듈; 및
상기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상기 평가 모듈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 및 상기 트레킹 모듈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유형 판단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유형 판단 모듈은 유형 판단 대상 문항 및 상기 트레킹 모듈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되, 상기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의 학습 화면을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시점 영역이 상기 지문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지문 영역 비율과 상기 시점 영역이 상기 문제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문제 영역 비율을 근거로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유형 판단 모듈은 상기 지문 영역 비율과 상기 문제 영역 비율의 차이값이 최소 기준값 이상이고 최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하고.
상기 학습 화면 생성 모듈은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상기 지문 정보 및 상기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학습 문항 제공 장치.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output at different times based on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question solving type, and outputting a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including the learning screen;
In response to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a learning screen output signal including the learning screen and a question-solving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are output, and when a correct answer to an item of the learning screen is input, a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is provided. A learning control module to output;
A display module configured to output the learning screen in response to a learning screen output signal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A time measurement module configured to measure an item solving time displayed on a learning screen by the display module in response to the question-solving type evaluation request signal;
A camera module for generating a pupil movement image by photographing the pupil movement of the learner in response to a request signal for evaluating an item solving type from the learning control module;
A trekking module for detecting a viewpoint area, which is an area of the learner's gaze, from among the learning screens while the learning screen is being output from the display module, based on the pupil movement image generated by the camera module;
An evaluation module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a correct answer is correct based on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and the learner's input information in response to the learning evaluation request signal of the learning control module; And
And a type determination module that determines a type of question solving based on an item solving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a result of an incorrect answer evaluation determined by the evaluation module, and a viewpoint area detected by the tracking module,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e type of question solving based on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and the viewpoint area detected by the tracking module, and divides the learning screen of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into a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and the view area is The question-solving type is determined based on a fingerprint area ratio, which is a ratio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ratio, which is a ratio in which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problem area,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determines the question-solving type as a complex centralized typ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gerprint area ratio and the problem area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minimum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reference value.
The learning screen generation module generates a learning screen i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when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제1항에 있어서,
문항 풀이 유형을 포함한 학습자 정보를 저장하는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제어 모듈은 상기 유형 판단 모듈의 유형 판단 완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학습자 정보 저장 모듈의 문항 풀이 유형을 상기 유형 판단 모듈에서 판단한 문항 풀이 유형으로 갱신하는 학습 문항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for storing learner information including the question-solving type,
The learning control module, in response to a type determination completion signal of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updates an item solving type of the learner information storage module to an item solving type determined by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판단 모듈은 상기 시간 측정 모듈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상기 평가 모듈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되,
상기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상기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하는 학습 문항 제공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ype determination module detect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measured by the time measurement module and the correct or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determined by the evaluation module,
A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that detects an item whose answer time is less than a setting time for answering the question and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is an incorrect answer as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학습 문항 제공 장치를 이용한 학습 문항 제공 방법에 있어서,
지문 정보, 문제 정보 및 정답을 포함한 문항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문항 정보의 문항 풀이 유형을 근거로 지문 정보 및 문제 정보가 다른 시점에 출력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학습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에서 학습 화면이 출력되면 학습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근거로 상기 학습 화면이 출력되는 동안 상기 학습 화면 중에서 상기 학습자가 주시한 영역인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 화면에 대한 응답으로 학습자 입력 정답이 입력되면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상기 문항 정보의 정답과 학습자 입력 정보를 근거로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문항 풀이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에서 측정한 문항 풀이 시간과 상기 정오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판단한 정오답 평가 결과 및 상기 시점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시점 영역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 풀이 시간과 상기 정오답 평가 결과를 근거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에 대응하는 학습 화면을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검출한 유형 판단 대상 문항에 대응하는 시점 영역과 상기 구분하는 단계에서 지문 영역과 문제 영역으로 구분한 학습 화면을 근거로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시점 영역이 상기 지문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지문 영역 비율과 상기 시점 영역이 상기 문제 영역에 위치한 비율인 문제 영역 비율을 근거로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지문 영역 비율과 상기 문제 영역 비율의 차이값이 최소 기준값 이상이고 최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을 복합 집중형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문항 제공 방법.
In the learning item providing method using the learning item providing device,
Detecting question information including fingerprint information, problem information, and correct answer;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in which fingerprint information and problem information are output at different times based on an item solving type of the item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gen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the learning screen;
Measuring an item solving time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When the learning screen is output in the step of outputting the learning screen, detecting a viewpoint region, which is an area that the learner has watched, from among the learning screens while the learning screen is being output,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upil of the learner;
If a learner input correct answer is input as a response to the learning scre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correct answer is correct based on the correct answer of the item information detected in the detecting step and the learner input information; And
The question solving type is updated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measured in the step of measuring the question solving time and the result of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evaluation determined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rrect answer is correct, and the viewpoint region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viewpoint region. Including the step of,
The step of updating the question solving type,
Detecting an item subject to type determination based on the question solving time and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Dividing a learning screen corresponding to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question into a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And
And determining an item solution type based on a view area corresponding to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item detected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type determination target item and a learning screen divided into a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in the distinguishing step, and ,
I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question-solving type, the question-solving type is determined based on a fingerprint area ratio, which is a ratio in which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fingerprint area, and a problem area ratio, which is a ratio in which the viewpoint area is located in the problem area,
The determining of the question-solving type includes determining the question-solving type as a complex intensive typ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ngerprint area ratio and the problem area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minimum reference value and less than or equal to a maximum reference valu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문항 풀이 유형이 복합 집중형이면 상기 지문 정보 및 상기 문제 정보가 동시에 표시되는 학습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문항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generating the learning screen,
If the question-solving type is a complex intensive type, generating a learning screen on which the fingerprint information and the problem information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형 판단 대상 문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문항 풀이 시간이 문항 풀이 설정 시간 미만이고, 상기 정오답 평가 결과가 오답인 문항을 유형 판단 대상 문항으로 검출하는 학습 문항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In the step of detecting the type-determining subject question, the question-solving time is less than the question-solving setting time, and the questionnaire for which the correct and incorrect answer evaluation result is an incorrect answer is detected as a type-determining subject question.


KR1020200151692A 2020-11-13 2020-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KR102187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92A KR102187693B1 (en) 2020-11-13 2020-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692A KR102187693B1 (en) 2020-11-13 2020-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4712A Division KR102192588B1 (en) 2020-09-08 2020-09-0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693B1 true KR102187693B1 (en) 2020-12-07

Family

ID=7379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692A KR102187693B1 (en) 2020-11-13 2020-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693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en)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Method and system for tele-education management
KR20130082839A (en) * 2011-12-20 2013-07-22 두산동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sed cotent
KR20180102786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learning
KR102064871B1 (en) 2019-03-13 2020-01-10 김진태 System for generating and s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problem and method thereof
KR102123120B1 (en) * 2018-02-09 2020-06-15 비트루브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earning by displaying customized attribute information with learning problem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5183A (en) * 2003-03-25 2003-07-02 (주)오투라인 Method and system for tele-education management
KR20130082839A (en) * 2011-12-20 2013-07-22 두산동아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customised cotent
KR20180102786A (en) * 2017-03-08 2018-09-18 김동희 Customiz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based on big data associated with learning
KR102123120B1 (en) * 2018-02-09 2020-06-15 비트루브 주식회사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supporting learning by displaying customized attribute information with learning problems
KR102064871B1 (en) 2019-03-13 2020-01-10 김진태 System for generating and solving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probl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Wakeel et al. A usability evaluation of Arabic mobile applications designed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Autism
KR20130099714A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same
Schmitterer et al. The recognition of letters in emergent literacy in German: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study
KR1021876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KR1021876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KR10219258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questions for learning
Alaei et al. Accuracy and bias in first impressions of attachment style from faces
Edley et al. Sustained attention as a predictor of low academic readiness in a preschool popultion
Lewis et al. The impact of emotion on numerical estimatio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US20230360548A1 (en) Assist system, assist method, and assist program
CN108140329B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20220165173A1 (en) Smoke opacity field certification testing method
JP2019208758A (en) Cognitive function measurement system, cognitive function measurement communication system, and program
KR102083787B1 (en) System for cognitive learning of infirm
US10342421B2 (en) Method for measuring visual acuity
Whitehill A stochastic optimal control perspective on affect-sensitive teaching
Becker et al. Persistence, context, and visual strategy of graph understanding: Gaze patterns reveal student difficulties in interpreting graphs
Kise et al. Quantified reading and learning for sharing experiences
KR102577559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learner in online education and method therefor
Xia et al. An interpretable English reading proficiency detection model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A study based on eye movement
CN113160925B (en) Multi-dimensional ART learning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feedback method
KR102383457B1 (en) Active artificial intelligence tutoring system that support teaching and learn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akthivel et al. Virtual Teaching Activity Monitor
Bergan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AND READING.
US20230210364A1 (en) Eye tracking system, eye tracking method, and eye track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