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84B1 -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84B1
KR102187384B1 KR1020200095843A KR20200095843A KR102187384B1 KR 102187384 B1 KR102187384 B1 KR 102187384B1 KR 1020200095843 A KR1020200095843 A KR 1020200095843A KR 20200095843 A KR20200095843 A KR 20200095843A KR 102187384 B1 KR102187384 B1 KR 102187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integrated
virtual machine
virtu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5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민
Original Assignee
나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무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무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5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 G06F9/5016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the resource being th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61Partitioning or combining of resources
    • G06F9/5077Logical partitioning of resources; Management or configuration of virtualized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62Creating, deleting, clon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58Hypervisor-specific management and integration aspects
    • G06F2009/45575Starting, stopping, suspending or resuming virtual machine in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클러스터 생성부와,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VM 생성부와, VM 생성부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관리 및 제어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VM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제공되는 통합 UI 제공부와, 통합 UI 제공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하고자 하는 하이퍼바이저의 타입에 맞게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클러스터 모듈과,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제어하는 VM 모듈과, 가상머신에 할당된 자원 리소스를 할당 및 관리하는 리소스 모듈을 포함하며, 변환 모듈로부터 변환된 명령을 입력받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모듈을 포함하고, 통합 UI 제공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는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방식에 맞게 명령어를 변환하며, 변환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Container VirtualOS Integrated Standardization System Based on Cloud Infrastructur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머신 또는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 운영체제를 표준화하고, 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의 기술 발전에 따라, 각 단말의 독립적인 하드웨어 성능에 의존하던 기존의 컴퓨팅 환경은,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서비스를 간편하고 쉽게 사용하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형태로 진화해왔다. 현재 IT 인프라 구축 시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IT 자원을 서로 공유하고 유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서버나 시스템 구성시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기반 기술로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을 꼽을 수 있으며, 서버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공개형 서버 가상화 기술에는 하이퍼바이저(Hypervisor) 기반이라 불리는 Xen, KVM 등이 존재한다. 가상머신 기반의 서버 가상화 기술은 물리적 서버 위에 운영체제(이하 호스트 OS)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하이퍼바이저를 기반으로 자원을 분할하여 가상 머신을 생성한 뒤에 또 다시 운영체제(이하 게스트 OS)를 설치하고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하나의 물리적 시스템에 독자적으로 운영 가능한 다수의 서버들을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호스트 OS와 게스트 OS가 독립적으로 작동 중인 경우에는 자원의 낭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가상 머신 방식과 다른 방식의 가상화 기술인 컨테이너(Container) 방식이 유행하고 있다. 컨테이너 기반의 시스템은 운영체제 커널을 공유하기때문에 가상 머신 방식보다 훨씬 가벼워 이동성이 뛰어나고, 시동이 훨씬 빠르며, 운영체제 전체 부팅보다 메모리를 훨씬 적게 차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환경에서는 CPU, Memory, 스토리지, 응용 프로그램 등의 필요한 자원이 가상화 기술로 제공되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 가상의 머신 서버와 자원을 골라서 사용하게 되어 높은 경제성과 확장성 그리고 고도화된 서비스들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됐으나, 보안과 안정성 그리고 서비스 성능 보장과 같은 문제가 생겨났다. 기존의 시스템에 비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가 제공됨과 동시에 기존의 시스템에서의 성능이 클라우드에서도 같은 수준으로 보장되어야 하는데 이를 객관적으로 보증해줄 데이터와 자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당업계에는 컨테이너 기반 클라우드 서버의 성능과 문제점들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성능 정보 관리, 실시간 리소스 모니터링, 서버 제어를 수행하는 통합관리 및 서버 가상화의 통합 솔루션의 수요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8108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머신 또는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 운영체제를 표준화하고, 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클러스터 생성부와,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VM 생성부와, 상기 VM 생성부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관리 및 제어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VM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제공되는 통합 UI 제공부;
상기 통합 UI 제공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하고자 하는 하이퍼바이저의 타입에 맞게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클러스터 모듈과,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제어하는 VM 모듈과, 상기 가상머신에 할당된 자원 리소스를 할당 및 관리하는 리소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 모듈로부터 변환된 명령을 입력받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UI 제공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는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방식에 맞게 명령어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상기 클라우드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생성부는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 범용 고유 식별자(UUID), 하이퍼바이저 타입 및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M 생성부는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운영체제, 리소스 사용자원, 가상머신 생성 갯수, 가상머신 생성여부,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머신 생성여부는 생성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생성확정 및 가상머신을 생성하기 이전에 가상머신의 구성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생성대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시작일이 지난 시점에는 사용대기에서 사용가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상기 클러스터 생성부를 통해 등록된 클러스터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클러스터 관리부;
상기 VM 생성부를 통해 등록된 가상머신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VM 관리부;
하이퍼바이저에 등록된 클러스터에 노드를 부여하고, 부여된 노드를 조회 및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
가상머신에 할당된 리소스 자원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스토리지 관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클러스터 관리부는 클러스터 이름, 하이퍼바이저 타입, 사용여부, 클러스터 등록자 ID, 클러스터 변경자 ID, 등록일 및 변경일을 표시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VM 관리부는 VM 이름, 운영체제(OS), 가상머신이 포함된 클러스터, 노드, 리소스 자원, IP 주소, 사용여부를 표시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VM 관리부는 이미 등록된 가상머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가능한 정보는 VM이름,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호스트, 운영체제, 리소스 자원사용, 네트워크,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 사용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관리부는 가상머신을 운용하기 위한 리소스 자원을 관리하고, 스토리지 이름, 클러스터 이름, 노드 이름, 스토리지 타입, 사용여부를 표시하며,
상기 리소스 자원은 CPU, 메모리, 네트워크, IP주소,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관리부는 스토리지 타입을 외부(External) 스토리지 또는 내부(Local) 스토리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머신의 리소스 자원을 제공하며,
상기 스토리지 타입을 내부 스토리지로 선택하였을 경우, 하위 노드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클러스터, 하이퍼바이저, 스토리지, 운영체제(OS), 노드의 형식을 사전에 설정하여 관리하는 템플레이트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VM 생성부는 상기 템플레이트 관리부에서 설정된 형식을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상기 VM 생성부 또는 템플레이트 관리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관리하는 VM 생성이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VM 생성이력부는 생성이력 고유번호, 클러스터, 노드, 운영체제 및 생성지시일의 이력을 표시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모듈은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가상머신의 환경을 기동할 수 있는 논리적 플랫폼의 하이퍼바이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모듈은 KVM, VMWare, Hyper-V, Xen, XenServer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포맷을 선택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UI 제공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어를 변환 모듈을 통해 명령어를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타입에 맞게 변환하고, 변환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모듈에 제공하며,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타입에 관계없이 클러스터, 가상머신, 노드, 스토리지를 통합적으로 생성 및 관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의 통합 UI 제공부, 변환 모듈 및 클라우드 모듈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의 통합 UI 제공부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의 클라우드 모듈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클라우드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제공하는 통합 UI 제공부(10)와, 통합 UI 제공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을 하이퍼바이저의 타입에 맞게 변환하는 변환 모듈(20) 및 변환 모듈(20)로부터 입력받은 명령을 기초로하여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모듈(30)을 포함한다.
통합 UI 제공부(10)는 서로 다른 하이퍼바이저의 타입에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도록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의 생성 및 제어관리를 통합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통합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합 UI 제공부(10)는 클러스터, 가상머신의 생성에 관련된 명령을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이미 생성된 클러스터, 가상머신의 상세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변경명령을 추가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조회, 삭제 등 클러스터, 가상머신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변환 모듈(20)은 통합 UI 제공부(10)에서 입력받은 명령어를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맷방식에 맞춰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XenServer의 이미지 포맷방식을 사용하는 하이퍼바이저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하고자 한다면 XenServer의 생성명령어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변환 모듈(20)은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 변경, 삭제 등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명령어를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이 생성된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맷방식에 맞춰 변환될 수 있다.
변환 모듈(20)은 변환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모듈(30)에 전달하며, 클라우드 모듈(30)에서는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변환 모듈(20)로부터 제공 받은 변환된 명령어를 기초로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다.
클라우드 모듈(30)은 이미지 포멧 방식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하이퍼바이저에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및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각각의 적합한 가상환경을 제공하는 모듈이며, 변환 모듈(20)로부터 입력받은 변환된 명령어를 기초로하여 클러스터, 가상머신, 하이퍼바이저 및 스토리지(리소스 자원)를 제어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은 통합 UI 제공부(10)에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에 대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고 있는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방식에 맞게 명령어가 변환되며, 변환된 명령어를 클라우드 모듈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통합 UI 제공부(10) 및 클라우드 모듈(30)을 포함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UI 제공부(10)는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클러스터 생성부(11)와,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VM 생성부(12)와, VM 생성부(12)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관리 및 제어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VM 제어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클러스터 생성부(11)는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기 위해 외부(또는 통합 UI 제공부(10)에서 제공되는 플랫폼)로부터 생성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변환 모듈(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생성명령은 변환 모듈(20)을 통해 변환한 이후, 클라우드 모듈(30)에 전달하며, 클라우드 모듈(30)에서 클러스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클러스터 생성부(11)는 클러스터를 생성할 때,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 범용 고유 식별 식별자(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 UUID),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타입 및 클러스터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선택한 이후, 클러스터의 생성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생성부(11)는 클러스터를 생성할 때 입력되는 각종 정보들(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 범용 고유 식별 식별자,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타입 및 클러스터의 사용 여부)을 선택하여 가상머신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클러스터 관리부(14)를 통해 이미 생성(또는 등록)된 가상머신의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러스터 관리부(14)는 클러스터 생성부(11)를 통해 생성된 클러스터의 정보를 통합 UI 제공부(10)에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클러스터의 정보를 조회, 등록 및 삭제를 포함하는 제어관리를 통합 UI 제공부(1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관리부(14)는 클러스터 생성부(11)에서 생성완료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이름,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맷 타입, 사용여부, 등록ID, 등록일, 변경ID, 변경일을 통합 UI 제공부(10)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졍보는 별도로 제어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단, 등록ID, 등록일은 클러스터 생성부(11)에서 생성될 때 기록된 정보이므로, 상기한 정보들은 변경할 수 없다.
VM 생성부(12)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생성하기 위해 외부(또는 통합 UI 제공부(10)에서 제공되는 플랫폼)로부터 생성명령을 입력 받아 이를 변환 모듈(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한 생성명령은 변환 모듈(20)을 통해 변환한 이후, 클라우드 모듈(30)에 전달하며, 클라우드 모듈(30)에서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VM 생성부(12)는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운영체제, 리소스 사용자원, 가상머신의 생성 갯수, 가상머신의 생성여부,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에 대한 정보를 선택한 이후, 가상머신의 생성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한 정보 중에서 가상머신의 생성여부는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즉시 바로 가상머신을 사용할 수 있는 생성확정 및 가상머신을 생성하기 이전에 가상머신의 구성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생성대기를 포함하며, 생성확정 또는 생성대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가상머신의 생성여부는 예컨대 생성대기를 선택하였을 경우, 가상머신을 생성하되 사용은 대기(또는 보류)상태로 생성하고, 사용시작일이 지난 시점에는 사용대기에서 사용가능으로 자동변경될 수 있다. 즉, 사용대기를 선택하여 가상머신을 생성하더라도 사용시작일을 통해 가상머신의 사용을 예약할 수 있다.
또한, VM 생성부(12)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때 입력되는 각종 정보들(VM이름,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호스트, 운영체제, 리소스 자원사용, 네트워크,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 사용여부 등)을 선택하여 가상머신의 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VM 관리부(15)를 통해 이미 생성(또는 등록)된 가상머신의 정보를 조회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M 관리부(15)는 VM 생성부(12)를 통해 생성된 가상머신의 정보를 통합 UI 제공부(10)에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가상머신의 정보를 조회, 등록 및 삭제를 포함하는 제어관리를 통합 UI 제공부(10)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VM 관리부(15)는 VM 생성부(12)에서 생성완료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의 VM 이름, 운영체제(OS), 가상머신이 포함된 클러스터, 노드, 리소스 자원, IP 주소, 사용여부를 통합 UI 제공부(10)에서 표시될 수 있으며, 표시된 정보는 별도로 제어관리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한 VM 생성부(12) 및 VM 관리부(15)는 VM 제어부(13)에 포함되며, VM 제어부(13)는 VM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제어명령 및 VM 관리부(15)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을 통합하여 변환 모듈(20)에 제어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노드 관리부(17)는 하이퍼바이저에 등록된 클러스터에 노드를 부여하고, 부여된 노드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노드 관리부(17)는 노드를 클러스터에 등록할 때, 클러스터, 노드 이름, 노드 UUID를 선택하여 노드를 구성할 수 있다.
스토리지 관리부(16)는 가상머신에 할당할 리소스 자원을 입력하여 입력한 리소스 자원만큼 가상머신에 할당하고, 할당된 리소스 자원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다. 스토리지 관리부(16)는 외부 스토리지(38) 및 내부 스토리지(3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상머신의 리소스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 자원은 CPU, 메모리, 네트워크, IP주소,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관리부(16)는 가상머신에 할당할 리소스 자원을 내부 스토리지(37)로 선택하였을 경우, 하위 노드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으로 생성된 스토리지는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이름, 스토리지 타입, 스토리지의 사용여부를 통합 UI 제공부(10)에 표시할 수 있으며, 스토리지 관리부(16)를 통해 조회, 등록 및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 UI 제공부(10)는 클러스터, 하이퍼바이저, 스토리지(리소스 자원 사용선택), 운영체제, 노드의 형식을 사전에 설정하여 관리하는 템플레이트 관리부(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템플레이트 관리부(19)는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때 기본 플랫폼을 사전에 설정하여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으며, 클러스터 생성부(11) 또는 VM 생성부(12)에서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때 템플레이트 관리부(19)에서 사전에 설정한 기본 플랫폼을 로딩하여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템플레이트 관리부(19)는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생성할 때 사전에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의 환경 조성을 사전에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노드 및 스토리지를 사전에 기본 플랫폼으로 설정하여 노드 및 스토리지를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통합 UI 제공부(10)는 VM 생성부 또는 템플레이트 관리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관리하는 VM 생성이력부(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VM 생성이력부(18)는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리스트화하여 통합 UI 제공부(10)에 표시하는 것으로, VM 관리부(15)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VM 생성이력부(18)에서 제공하는 이력정보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VM 관리부(15)에서 가상머신을 삭제하더라도 VM 생성이력부(18)에서는 삭제한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은 그대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정을 통해 VM 관리부(15)에서 삭제된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동시에 삭제할 수 있고, 또는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별도로 삭제할 수 있다.
또한, VM 생성이력부(18)는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에 대한 생성이력의 고유번호(또는 Job-지시번호), 클러스터, 노드, 운영체제 및 생성지시일을 포함하는 생성이력 리스트를 통합 UI 제공부(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통합 UI 제공부(10)는 클러스터, 가상머신, 노드, 스토리지를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타입과 관계 없이 통합적으로 생성, 조회 및 정보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우드 모듈(30)은 변환 모듈(20)로부터 변환된 명령어를 기초로하여 클라우드 환경을 제어 및 관리하는 모듈이며,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클러스터 모듈(31)과, 가상머신을 제어하는 VM 모듈(32)과, 가상머신에 할당된 리소스 자원을 제어하는 리소스 모듈 및 클러스터 및 가상머신의 이미지 포멧을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 모듈(33)을 포함한다.
하이퍼바이저 모듈(33)은 가상머신의 환경을 기동할 수 있는 논리적 플랫폼이고, KVM, VMWare, Hyper-V, Xen, XenServer의 이미지 포맷을 지원하며, 상기한 이미지 포맷 중 하나의 이미지 포맷을 선택하여 하이퍼바이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하이퍼바이저(34,35)에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및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Xen을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34)에 클러스터 및 가상머신을 각각 생성할 수 있고, VmWare를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35)에 클러스터 및 가상머신을 각각 생성할 수 있다. Xen을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34) 또는 VmWare를 지원하는 하이퍼바이저(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하이퍼바이저에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통합 UI 제공부(10)를 통해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리소스 모듈은 가상머신에 할당한 리소스 자원 즉, 스토리지 및 노드를 포함하며, 스토리지는 내부 스토리지(36) 및 외부 스토리지(37)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가상머신의 리소스 자원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통합 UI 제공부 11 - 클러스터 생성부
12 - VM 생성부 13 - VM 제어부
14 - 클러스터 관리부 15 - VM 관리부
16 - 스토리지 관리부 17 - 노드 관리부
18 - VM 생성이력부 19 - 템플레이트 관리부
20 - 변환모듈
30 - 클라우드 모듈 31 - 클러스터 모듈
32 - VM 모듈 33 - 하이퍼바이저 모듈
34 - 하이퍼바이저 모듈(Xen) 35 - 하이퍼바이저 모듈(VMWare)
36 - 스토리지 37 - 내부 스토리지
38 - 외부 스토리지

Claims (13)

  1.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클러스터 생성부와, 상기 클러스터 생성부를 통해 등록된 클러스터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클러스터 관리부와, 외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의 생성 명령을 입력받는 VM 생성부와, 상기 VM 생성부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관리 및 제어 명령을 외부로부터 입력받는 VM 제어부를 포함하며, 사용자에게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제공되는 통합 UI 제공부;
    상기 통합 UI 제공부에서 입력받은 명령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하고자 하는 하이퍼바이저의 타입에 맞게 변환하는 변환 모듈; 및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클러스터 모듈과,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제어하는 VM 모듈과, 상기 가상머신에 할당된 자원 리소스를 할당 및 관리하는 리소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 모듈로부터 변환된 명령을 입력받아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제어 및 관리하는 클라우드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UI 제공부로부터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의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상기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는 하이퍼바이저의 이미지 포멧 방식에 맞게 명령어를 변환하며, 상기 변환된 명령어를 상기 클라우드 모듈에 제공하며,
    상기 클러스터 관리부는 클러스터 이름, 하이퍼바이저 타입, 사용여부, 클러스터 등록자 ID, 클러스터 변경자 ID, 등록일 및 변경일을 표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생성부는 클러스터 이름, 클러스터 범용 고유 식별자(UUID), 하이퍼바이저 타입 및 사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VM 생성부는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운영체제, 리소스 사용자원, 가상머신 생성 갯수, 가상머신 생성여부,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가상머신 생성여부는 생성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생성확정 및 가상머신을 생성하기 이전에 가상머신의 구성 내용을 변경할 수 있는 생성대기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시작일이 지난 시점에는 사용대기에서 사용가능으로 변경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상기 VM 생성부를 통해 등록된 가상머신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VM 관리부;
    하이퍼바이저에 등록된 클러스터에 노드를 부여하고, 부여된 노드를 조회 및 관리하는 노드 관리부;
    가상머신에 할당된 리소스 자원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스토리지 관리부; 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VM 관리부는 VM 이름, 운영체제(OS), 가상머신이 포함된 클러스터, 노드, 리소스 자원, IP 주소, 사용여부를 표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VM 관리부는 이미 등록된 가상머신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가능한 정보는 VM이름, 클러스터, 노드, 스토리지, 호스트, 운영체제, 리소스 자원사용, 네트워크, 사용시작일, 사용종료일, 사용여부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관리부는 가상머신을 운용하기 위한 리소스 자원을 관리하고, 스토리지 이름, 클러스터 이름, 노드 이름, 스토리지 타입, 사용여부를 표시하며,
    상기 리소스 자원은 CPU, 메모리, 네트워크, IP주소,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토리지 관리부는 스토리지 타입을 외부(External) 스토리지 또는 내부(Local) 스토리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가상머신의 리소스 자원을 제공하며,
    상기 스토리지 타입을 내부 스토리지로 선택하였을 경우, 하위 노드를 추가로 선택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클러스터, 하이퍼바이저, 스토리지, 운영체제(OS), 노드의 형식을 사전에 설정하여 관리하는 템플레이트 관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VM 생성부는 상기 템플레이트 관리부에서 설정된 형식을 로딩하여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통합 UI 제공부는 상기 VM 생성부 또는 템플레이트 관리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가상머신의 생성이력을 관리하는 VM 생성이력부; 를 포함하며,
    상기 VM 생성이력부는 생성이력 고유번호, 클러스터, 노드, 운영체제 및 생성지시일의 이력을 표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모듈은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또는 가상머신을 포함하며, 서로 다른 가상머신의 환경을 기동할 수 있는 논리적 플랫폼의 하이퍼바이저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바이저 모듈은 KVM, VMWare, Hyper-V, Xen, XenServer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포맷을 선택하여 구성되는,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KR1020200095843A 2020-07-31 2020-07-31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KR102187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43A KR102187384B1 (ko) 2020-07-31 2020-07-31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5843A KR102187384B1 (ko) 2020-07-31 2020-07-31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84B1 true KR102187384B1 (ko) 2020-12-07

Family

ID=7379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5843A KR102187384B1 (ko) 2020-07-31 2020-07-31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248B1 (ko) * 2022-03-18 2022-09-13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된 DaaS의 자원 관리 및 자원 사용량에 대한 예측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112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가용성 가상머신 구성 시스템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68108A (ko) 2014-12-04 2016-06-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101812145B1 (ko) * 2011-04-14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장착하여 가상 머신을 제어하기 위한 가상화 장치 및 방법
KR101865994B1 (ko) * 2015-03-24 2018-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87664B1 (ko) * 2018-07-19 2019-06-11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복수의 클러스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KR102035071B1 (ko) * 2012-05-25 2019-1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문형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145B1 (ko) * 2011-04-14 2018-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와 장착하여 가상 머신을 제어하기 위한 가상화 장치 및 방법
KR102035071B1 (ko) * 2012-05-25 2019-11-0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주문형 가상 클러스터 구축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55112A (ko) * 2012-10-30 2014-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고가용성 가상머신 구성 시스템 및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60068108A (ko) 2014-12-04 2016-06-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 방법
KR101865994B1 (ko) * 2015-03-24 2018-07-0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클러스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1987664B1 (ko) * 2018-07-19 2019-06-11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복수의 클러스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248B1 (ko) * 2022-03-18 2022-09-13 나무기술 주식회사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구축된 DaaS의 자원 관리 및 자원 사용량에 대한 예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19475B (zh) 无服务器架构下的资源访问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09314724B (zh) 云计算系统中虚拟机访问物理服务器的方法、装置和系统
EP2344953B1 (en) Provisioning virtual resources using name resolution
CN109032806B (zh) 容器的服务调度方法和装置
US9344334B2 (en) Network policy implementation for a multi-virtual machine appliance within a virtualization environment
US8924703B2 (en) Secure virtualization environment bootable from an external media device
US830174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bstracting non-functional requirements based deployment of virtual machines
EP3313023A1 (en) Life cycl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EP24385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a java application into a virtual server image for cloud deployment
US20190334765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ite configuration management
US10922123B2 (en) Container migration in computing systems
US20110213886A1 (en) Intelligent and Elastic Resource Pools for Heterogeneous Datacenter Environments
US201100938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ble Network Services in Dynamic Virtualization Environments
US20200358666A1 (en) Releasing and retaining resources for use in a nfv environment
CN103885833B (zh) 一种资源管理方法和系统
US10728169B1 (en) Instance upgrade migration
GB2473136A (en) Allocating resources to parti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at start up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profile
JP2013536518A (ja) クラウド・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においてハイパーバイザの制御を可能にする方法
KR20150109692A (ko) 가상 머신 이미지 파일을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1213127B (zh) 用于直接分配的设备的虚拟化操作
KR102187384B1 (ko)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의 컨테이너 가상os 통합 표준화 시스템
KR101765723B1 (ko) 과립형 gpu 자원 스케줄러와 gpu 인지형 스케줄러 간의 상호작용 장치 및 방법
CN114816665B (zh) 混合编排系统及超融合架构下虚拟机容器资源混合编排方法
US20220413902A1 (en) Partition migration with critical task prioritization
CN106034142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