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42B1 -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 Google Patents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42B1
KR102187342B1 KR1020190108627A KR20190108627A KR102187342B1 KR 102187342 B1 KR102187342 B1 KR 102187342B1 KR 1020190108627 A KR1020190108627 A KR 1020190108627A KR 20190108627 A KR20190108627 A KR 20190108627A KR 102187342 B1 KR102187342 B1 KR 10218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shaft
advancing
pipe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인기
정상원
Original Assignee
(주)삼익브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익브리즈 filed Critical (주)삼익브리즈
Priority to KR102019010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temperature var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06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by using means for draining heat exchange media from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2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emperature-Responsive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파이프에서 사각틀 타측으로 노출되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U자형 관부의 중앙 영역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니플; 및 일측 내부 제1공간부, 타측 내부 제2공간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공간부를 갖고 상기 니플에 장착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중앙공간부 내주연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내부에 유로를 갖는 스토퍼와, 상기 밸브바디의 제1 및 제2 공간부와 상기 중앙공간부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중앙 영역에 구형(球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헤드를 갖는 진퇴로드와, 상기 파이프 내의 유체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진퇴로드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진퇴로드의 헤드 이동을 통해 상기 스토퍼의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본체;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함으로써, 잔류 수분을 제거하여 결빙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고, 열교환기의 정상 가동이 가능하도록 한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RELIEF VALVE FOR PREVENTING FROST}
본 발명은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 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수축되고 이와 동시에 탄성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잔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동파방지 릴리프밸브에 관한 기술이다.
동절기 등의 기온 저하에 따른 열교환기의 튜브(tube)에 발생하는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0158799호 (1998.08.06.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하우징의 보어 내에 상하이동 또는 좌우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밸브 스풀의 하방에 직선 형태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설치하고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수축시키고, 상기 형상기억합금의 수축에 따라 작동하는 밸브 스풀 이동수단에 의해 밸브 스풀을 이동시켜 보어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함으로써, 코일의 형태가 아닌, 가공이 용이한 직선 와이어 형태의 형상기억합금에 전류를 인가할 때 발생하는 수축현상을 이용하여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에 관한 기술이다.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01048호 (2015.03.04.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2'라고 함) 『압력 릴리프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 트리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2는 제1 위치의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폐쇄 상태로 있는 밸브와, 상기 레버에 연결되는 제1 단부를 갖는 세장형 형상 기억 합금 요소로서, 이 형상 기억 합금 요소는 제1 길이를 갖도록 변형되어 있으며,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이 오스테나이트 변태 온도에 또는 이 변태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노출됨으로써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요소가 제1 길이보다 작은 제2 길이로 짧아지며, 이에 의해 상기 형상 기억 합금 요소의 제1 단부가 상기 레버를 제2 위치로 잡아당기는 것인 형상 기억 합금 요소와, 상기 레버를 제3 위치로 압박하는 압박 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의 제1 위치와 상기 레버의 제2 위치는 상이하고 상기 밸브는 상기 제2 위치에서 개방되며, 상기 레버의 제3 위치는 상기 레버의 제1 및 제2 위치와 상이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세장형 형상 기억 합금 요소가 상기 레버에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지 못하도록 상기 세장형 형상 기억 합금 요소가 끊어질 시에 상기 레버의 제3 위치에서 개방되는 압력 릴리프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 트리거에 관한 기술이다.
또 다른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5769호 (2001.03.20.등록, 이하에서는 '문헌 3'이라고 함) 『동파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3은 튜브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튜브 내로 순환용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상기 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튜브 내의 순환용수를 환수하는 환수관과, 상기 급수관과 환수관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튜브와 함께 폐루프를 형성하는 보조관과, 상기 튜브 내의 순환용수의 온도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온도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보조관 상에 설치되며 제1 동작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보조관 내의 순환용수를 가열하는 전기 히터와, 상기 보조관 상에 설치되며 제2 동작 신호의 인가에 따라 상기 전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순환용수를 상기 보조관과 튜브로 이루어진 폐루프 상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보조관상에 설치되며, 상기 급수관에서 환수관 쪽으로 순환용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 밸브와, 상기 온도 신호가 나타내는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 온도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전기 히터 및 순환 펌프로 상기 제1 및 제2 동작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열교환기의 튜브 내의 순환용수만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튜브의 동파방지를 효율적이면서도 안정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동파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특0158799호 (1998.08.06.등록)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01048호 (2015.03.04.등록) 문헌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25769호 (2001.03.20.등록)
본 발명은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잔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일정 온도 이상으로 벗어나면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유로가 차단됨으로써, 결빙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고 열교환기의 가동이 가능한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압축되어 있다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수축 시 팽창되면서 유로를 차단하고 있는 진퇴로드를 후퇴시키게 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마련하여 형상기억합금 스프링과 탄성스프링 간의 연동 구조를 통해 유로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는,
사각틀, 상기 사각틀 내부에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전열핀, 상기 각 전열핀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배치되는 파이프, 상기 사각틀 일측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유입관, 그리고 상기 사각틀 일측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 출구에 연결되는 유체배출관을 포함하는 공조기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파이프에서 상기 사각틀 타측으로 노출되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U자형 관부의 중앙 영역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니플; 및
일측 내부 제1공간부, 타측 내부 제2공간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공간부를 갖고 상기 니플에 장착되는 밸브바디와, 상기 밸브바디의 중앙공간부 내주연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내부에 유로를 갖는 스토퍼와, 상기 밸브바디의 제1 및 제2 공간부와 상기 중앙공간부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중앙 영역에 구형(球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헤드를 갖는 진퇴로드와, 상기 파이프 내의 유체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진퇴로드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진퇴로드의 헤드 이동을 통해 상기 스토퍼의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본체;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는,
잔류 수분을 제거하여 결빙에 의한 동파를 방지하고, 열교환기의 정상 가동이 가능하며, 소량의 유체가 간헐적으로 방출됨에 따라 유체 유출이 적어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고, 반영구적이므로 유지비 발생이 없으며, 열교환기에 대한 동파를 예방할 수 있어 열교환기에 대한 유지보수비가 적게 들거나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릴리프밸브가 설치된 공조기의 열교환기를 나타는 입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요부 확대 구성도,
도 3은 릴리프밸브를 나타낸 분해 입체 구성도,
도 4는 파이프의 U자형 관부에 니플을 통해 장착된 릴리프밸브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5는 릴리프밸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6은 릴리프밸브에서 진퇴로드의 회전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유체유입관 측을 일측 또는 좌측, 릴리프밸브 본체 측을 타측 또는 우측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우선, 도 1 및 도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공조기의 열교환기(100)는 사각틀(101), 상기 사각틀(101) 내부에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전열핀(102), 상기 각 전열핀(102)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배치되는 파이프(103), 상기 사각틀(101) 일측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103)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유입관(104), 그리고 상기 사각틀(101) 일측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103) 출구에 연결되는 유체배출관(10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는,
크게 니플(10) 및 릴리프밸브 본체(20)로 이루어진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니플(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기(100)의 파이프(103)에서 상기 사각틀(101) 타측으로 노출되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U자형 관부(103a)의 중앙 영역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U자형 관부(103a)의 중앙 영역에 결합되되, 용접 등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며 타단의 외주면에 나선형 체결부(11)를 갖고 내부에 상기 U자형 관부(103a) 내부와 상호 연통되는 니플유로(12)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니플(10)은 단면이 육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니플(10)에 상기 릴리프밸브 본체(20)를 결합시킬 때에 상기 니플(10) 및 이에 연결된 파이프(103) 등의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고자 공구를 이용해 물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릴리프밸브 본체(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파이프(103) 내의 잔류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파이프(103)의 동파를 방지함은 물론, 열교환기(100)의 정상 가동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내부 제1공간부(211), 타측 내부 제2공간부(2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211, 212)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공간부(213)를 갖고 상기 니플(10)에 장착되는 밸브바디(21),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내주연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내부에 유로를 갖는 스토퍼(22),
상기 밸브바디(21)의 제1 및 제2 공간부(211, 212)와 상기 중앙공간부(213)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231) 및 상기 샤프트(231) 중앙 영역에 구형(球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헤드(232)를 갖는 진퇴로드(23), 그리고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진퇴로드(23)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이동을 통해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21)는 공구를 이용해 장착이 용이하도록 단면이 육각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스토퍼(22)의 유로 일측 둘레에는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와 상응한 곡률을 갖는 답면부(221)가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와 상호 맞닿았을 때에 상기 스토퍼(22)의 유로에 대한 차단 성능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진퇴로드(23)에서 샤프트(231)는 단면이 원형이고 일정 길이를 갖되, 진퇴(進退) 동작 시 후술할 제1 및 제2 서포트(241, 242)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24)은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이 삽입되는 제1중앙홀(241a) 및 상기 제1중앙홀(241a)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다수의 제1유통로(241b)를 갖는 제1서포트(241)와,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타측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이 삽입되는 제2중앙홀(242a) 및 상기 제2중앙홀(242a)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다수의 제2유통로(242b)를 갖는 제2서포트(242)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제1서포트(241)와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에 지지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과,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와 상기 제2서포트(242)에 지지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변형되어 팽창됨에 따라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탄성스프링(244)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44)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변형되어 팽창된 상태에서 일정 온도에 도달하기 전까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을 압축시키지 못할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일정 온도에 도달하여 수축하게 되면 상기 진퇴로드(23)를 후퇴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은 상기 탄성스프링(244) 보다 더 큰 탄성력을 갖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제1서포트(241)의 제1중앙홀(241a)과 상기 제2서포트(242)의 제2중앙홀(242a) 각각은 육각형의 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육각형의 홀 구조인 상기 제1 및 제2 중앙홀(241a, 242a)에서 사잇각을 이루는 여섯 꼭짓점 영역과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사이에 이격 공간(S)이 형성됨에 따라 이 이격 공간(S)으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241, 242) 각각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부(245)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일측과 타측 각각에는 상기 나선부(245)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선부(214)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밸브바디(21)에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241, 242)의 고정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도 5에서와 같이, 이상의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수단(24)에 대한 작동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냉매 등)가 섭씨 2도 이하의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수축하게 되고, 압축되었던 상기 탄성스프링(244)이 복원(팽창)되면서 상기 진퇴로드(23)를 후퇴시키게 되며, 이렇게 상기 진퇴로드(23)가 후퇴되면서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가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개방하게 됨으로써,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가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동절기 시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냉매 등)가 결빙되기 전에 상기 파이프(103) 내의 잔류 유체가 자동적으로 배출됨으로써, 결빙에 의한 파이프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가 섭씨 4도 이상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변형되어 팽창되고 이에 따라 상기 탄성스프링(244)이 수축되며 상기 진퇴로드(23)가 전진하게 되면서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차단된 상태에서 열교환기의 정상 가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수단(24)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1서포트(241)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 사이에 배치되는 제1베어링(246A)과,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일측에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1플랜지(247A)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과 상기 제1플랜지(247A) 사이에 배치되는 제2베어링(246B)과,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타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2플랜지(247B)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플랜지(247B)와 상기 탄성스프링(244) 사이에 배치되는 제3베어링(246C)과,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44)과 상기 제2서포트(242) 사이에 배치되는 제4베어링(246D)과,
상기 제1서포트(241)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248)
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 베어링(246A, 246B, 246C, 246D)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과 상기 탄성스프링(244)의 압축 및 팽창 동작에 간섭 없이 상기 진퇴로드(23)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248)는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측 단부에 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열되며, 이렇게 배열된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248)는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측으로 이동되는 유체로부터 영향을 받게 됨으로써, 상기 진퇴로드(23)가 회전 동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 동작을 하는 상기 진퇴로드(23)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로는, 유체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나 고형물, 살얼음 등이 상기 각 회전블레이드(248)에 의해 분쇄될 수 있도록 하여 유체 이송 경로 상의 막힘이 없도록 방지할 수 있고, 또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에 의해 상기 진퇴로드(23) 전진 시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차단하게 될 때에 상기 스토퍼(22)의 답면부(2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 후 멈추게 됨으로써 상기 답면부(221)에 흡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와 상기 스토퍼(22)의 유로 간의 밀폐 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열교환기
101 : 사각틀
102 : 전열핀
103 : 파이프
103a : U자형 관부
104 : 유체유입관
105 : 유체배출관
10 : 니플
11 : 체결부
12 : 니플유로
20 : 릴리프밸브 본체
21 : 밸브바디
211 : 제1공간부
212 : 제2공간부
213 : 중앙공간부
214 : 대응나선부
22 : 스토퍼
221 : 답면부
23 : 진퇴로드
231 : 샤프트
232 : 헤드
24 : 가이드수단
241 : 제1서포트
241a : 제1중앙홀
241b : 제1유통로
242 : 제2서포트
242a : 제2중앙홀
242b : 제2유통로
243 : 형상기억합금 스프링
244 : 탄성스프링
245 : 나선부
246A, 246B, 246C, 246D : 제1, 제2, 제3, 제4 베어링
247A, 247B : 제1, 제2 플랜지
248 : 회전블레이드

Claims (5)

  1. 사각틀(101), 상기 사각틀(101) 내부에 좌우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전열핀(102), 상기 각 전열핀(102)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게 배치되는 파이프(103), 상기 사각틀(101) 일측 상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103) 입구에 연결되는 유체유입관(104), 그리고 상기 사각틀(101) 일측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파이프(103) 출구에 연결되는 유체배출관(105)을 포함하는 공조기의 열교환기(100)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100)의 파이프(103)에서 상기 사각틀(101) 타측으로 노출되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U자형 관부(103a)의 중앙 영역에 연통되게 장착되는 니플(10); 및
    일측 내부 제1공간부(211), 타측 내부 제2공간부(212),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211, 212)를 상호 연결하는 중앙공간부(213)를 갖고 상기 니플(10)에 장착되는 밸브바디(21)와,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내주연 둘레를 따라 돌출되며 내부에 유로를 갖는 스토퍼(22)와, 상기 밸브바디(21)의 제1 및 제2 공간부(211, 212)와 상기 중앙공간부(213)를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231) 및 상기 샤프트(231) 중앙 영역에 구형(球形)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토퍼(22)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헤드(232)를 갖는 진퇴로드(23)와, 상기 파이프(103) 내의 유체에 대한 온도 변화에 따라 상기 진퇴로드(23)를 전진 또는 후퇴시켜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이동을 통해 상기 스토퍼(22)의 유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수단(24)을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본체(2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수단(24)은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일측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이 삽입되는 제1중앙홀(241a) 및 상기 제1중앙홀(241a)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다수의 제1유통로(241b)를 갖는 제1서포트(241)와,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타측에 결합되고 중앙 영역에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이 삽입되는 제2중앙홀(242a) 및 상기 제2중앙홀(242a)을 기준으로 방사상 배치되는 다수의 제2유통로(242b)를 갖는 제2서포트(242)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제1서포트(241)와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에 지지되고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수축하는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과,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와 상기 제2서포트(242)에 지지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이 변형되어 팽창됨에 따라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는 탄성스프링(24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수단(24)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1서포트(241)와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 사이에 배치되는 제1베어링(246A)과,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일측에 형성되는 환형(環形)의 제1플랜지(247A)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삽입되고 상기 형상기억합금 스프링(243)과 상기 제1플랜지(247A) 사이에 배치되는 제2베어링(246B)과,
    상기 진퇴로드(23)의 헤드(232) 타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제2플랜지(247B)와,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플랜지(247B)와 상기 탄성스프링(244) 사이에 배치되는 제3베어링(246C)과,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타단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스프링(244)과 상기 제2서포트(242) 사이에 배치되는 제4베어링(246D)과,
    상기 제1서포트(241) 일측에 배치되게 상기 진퇴로드(23)의 샤프트(231) 일단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둘 이상의 회전블레이드(24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서포트(241)의 제1중앙홀(241a)과 상기 제2서포트(242)의 제2중앙홀(242a) 각각은 육각형의 홀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241, 242) 각각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부(245)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바디(21)의 중앙공간부(213) 일측과 타측 각각에는 상기 나선부(245)와의 상호 체결을 위한 대응나선부(2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5. 삭제
KR1020190108627A 2019-09-03 2019-09-03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KR10218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27A KR102187342B1 (ko) 2019-09-03 2019-09-03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27A KR102187342B1 (ko) 2019-09-03 2019-09-03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42B1 true KR102187342B1 (ko) 2020-12-04

Family

ID=7377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627A KR102187342B1 (ko) 2019-09-03 2019-09-03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4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3381U (ja) * 1991-03-22 1992-10-02 株式会社光合金製作所 自動水抜弁
JPH0610379A (ja) * 1992-06-26 1994-01-18 Katerun:Kk 凍害防止装置
KR0158799B1 (ko) 1994-08-17 1998-12-01 배순훈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
KR200159973Y1 (ko) * 1997-08-13 1999-11-01 노남권 열교환기용 전열관 안전장치
KR200225769Y1 (ko) 2000-11-20 2001-06-01 정선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동파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1501048B1 (ko) 2009-03-03 2015-03-10 헥사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압력 릴리프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 트리거
CN107387003A (zh) * 2017-09-11 2017-11-24 长江大学 一种防止井眼岩屑卡钻的脉冲射流阀
KR101852404B1 (ko) * 2016-01-15 2018-04-27 (주)대명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드레인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3381U (ja) * 1991-03-22 1992-10-02 株式会社光合金製作所 自動水抜弁
JPH0610379A (ja) * 1992-06-26 1994-01-18 Katerun:Kk 凍害防止装置
KR0158799B1 (ko) 1994-08-17 1998-12-01 배순훈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밸브
KR200159973Y1 (ko) * 1997-08-13 1999-11-01 노남권 열교환기용 전열관 안전장치
KR200225769Y1 (ko) 2000-11-20 2001-06-01 정선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동파방지 장치를 구비한 열교환기
KR101501048B1 (ko) 2009-03-03 2015-03-10 헥사곤 테크놀로지 에이에스 압력 릴리프 밸브용 형상 기억 합금 트리거
KR101852404B1 (ko) * 2016-01-15 2018-04-27 (주)대명엔지니어링 열교환기의 드레인장치
CN107387003A (zh) * 2017-09-11 2017-11-24 长江大学 一种防止井眼岩屑卡钻的脉冲射流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8132A (en) Temperature controlled valve mechanism and method
JPH0432268B2 (ko)
BR112020016625B1 (pt) Sistema e método para a abertura de uma primeira válvula com uma pressão de fluido a partir de uma segunda válvula
DE102012111467A1 (de) Kugelventil mit externer Dichtungsanordnung, insbesondere für den Einsatz in Kraftfahrzeugkältemittelkreisläufen
KR102187342B1 (ko) 공조기의 열교환기용 동파방지 릴리프밸브
KR102263076B1 (ko) 온도에 따라 배출유량의 제어가 가능한 동파방지밸브
US20230167920A1 (en) Valve for a spray system
CN109780230A (zh) 一种防冻泄压蝶阀
KR101852404B1 (ko) 열교환기의 드레인장치
US11365678B2 (en) Self modulating valve
US20130277039A1 (en) Memory metal hollow shaft valve
CN106482323A (zh) 一种套管换热器及空调
KR102054884B1 (ko) 동파방지용 볼 밸브
US20180148910A1 (en) Fire hydrant val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ater flow in a fire hydrant conduit
CN104595008A (zh) 船用柴油机的中冷器自动放水系统
JP4838182B2 (ja) 凍結対応バルブ
CN104455499A (zh) 组合密封截止阀
JPS60146975A (ja) 凍結防止弁
JP6924967B2 (ja) 熱交換器
KR101801740B1 (ko) 동파 방지 밸브
KR101671670B1 (ko) 드레인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교환기
CN219300000U (zh) 一种防止结冰的低温止回阀
KR200159973Y1 (ko) 열교환기용 전열관 안전장치
US20180106177A1 (en) Actuator for a Valve of an Exhaust Heat Recovery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CN218178233U (zh) 一种防冻配水装置及防冻配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