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37B1 -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37B1
KR102187237B1 KR1020190032522A KR20190032522A KR102187237B1 KR 102187237 B1 KR102187237 B1 KR 102187237B1 KR 1020190032522 A KR1020190032522 A KR 1020190032522A KR 20190032522 A KR20190032522 A KR 20190032522A KR 102187237 B1 KR102187237 B1 KR 102187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filter
air
mask
filt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2279A (ko
Inventor
장대수
Original Assignee
장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대수 filed Critical 장대수
Priority to KR102019003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37B1/ko
Priority to PCT/KR2019/004421 priority patent/WO2019199103A1/ko
Priority to JP2020556279A priority patent/JP2021518496A/ja
Priority to US17/047,190 priority patent/US20210162244A1/en
Publication of KR20200112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41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portable use, e.g. gas mas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은,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흡기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흡기공이 형성된 영역인 제1영역과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의 길이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접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테두리부를 접합시켜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ustproof Mask and Air-filter for Dustproof Mask}
본 발명은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를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 황사, 미세 먼지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오염물질이 호흡기 내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용되는 환경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는 주로 오염물질 여과용 천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면부를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마스크는 여과용 천이 사용자의 입이나 코와 같은 호흡기에 밀착되어 호흡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투과가 쉽게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합성수지 재질의 캡 형태로 형성된 외피 내에 필터용 부직포와 같은 내피가 융착된 구조의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마스크의 경우 착용자가 호흡시 외피 상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을 통해 내피 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한 후 날숨을 마스크 내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상호 혼합됨으로써 마스크의 내부에서의 산소농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마스크 외부로 날숨이 배출이 원할하지 않아 호흡을 원할하게 유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하기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의 전면이나 측면 부근에 방진용 필터를 장착하여 상기 방진용 필터로 걸러진 공기만을 사용자가 흡입하는 방독면과 유사한 구조의 방진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방진 마스크의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형상 자체가 방독면과 유사한 형상이기 때문에 산업 현장의 작업자나 일반 사용자들이 착용할 경우 활동성을 지나치게 구속하게 되어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09-0010452호(2009. 10. 14.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목적은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방진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에어필터를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에이필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으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여 들숨때는 상기 정화된 외부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흡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면서도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진 마스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은,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흡기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흡기공이 형성된 영역인 제1영역과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의 길이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접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테두리부를 접합시켜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흡기공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영역에서 흡기공의 외측 일부를 경화시켜 제1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공은 제1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접어지는 부분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1테두리부와, 상기 제1테두리부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2테두리부를 각각 접합하는 제1접합단계와, 상기 제1접합단계에서 접합되지 않은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는 제2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테두리부가 접합된 필터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흡기공을 덮는 방향으로 접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5단계에서 제2영역의 접어지는 부분을 경화시켜 제2지지부를 형성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흡기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흡기공이 형성된 영역인 제1영역과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의 길이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접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테두리부를 접합시켜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흡기공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일부를 서로 접합시켜 배기공 영역을 형성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배기공 영역에 배기공을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흡기공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제1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배기공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제2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 형상의 제1부재가 결합된 상기 흡기공에 흡기밸브부를 결합하고, 상기 링 형상의 제2부재가 결합된 상기 배기공에 배기밸브부를 결합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은 단순히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흡기공이 형성된 제1영역과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영역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접은 후 상기 제1,2영역의 단부를 서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상기 에어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상기 에이필터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정화된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으로 마스크 본체를 형성하여 들숨때는 상기 정화된 외부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호흡시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하면서도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단면도,
도4a와 도4b는 각각 도3의 "가"부와 "나"부에 대한 상세 확대도,
도5는 도1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7과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과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과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13은 도12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14는 도13의 D-D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3은 도2의 A-A부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4a와 도4b는 각각 도3의 "가"부와 "나"부에 대한 상세 확대도이며, 도5는 도1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F)을 커버하고, 내면과 상기 사용자의 안면(F) 사이에 호흡공간(20)을 형성하는 마스크 본체(10),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방에서 마스크 본체(10)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에어필터(30), 및 들숨때 상기 에어필터(3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20)으로 공급하고,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 공기 안내부재(40,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통상의 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외부 공기에 포함된 황사, 분진,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이 직접 사용자의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면, 부직포 등의 천 재질이나 실리콘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필요에 따라 테두리부가 사용자의 안면(F)에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안면(F) 굴곡에 따라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기억소재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들숨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에어필터(30)에 채워진 외부 공기만이 상기 호흡공간(2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합성수지와 같은 불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외면이 실리콘과 같은 불통기성 재질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부에는 사용자의 안면(F)에 더욱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부재(1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부에서 사용자의 호흡기에 의한 호흡이 이루어지는 공간인 상기 호흡공간(20)은 외부(즉, 마스크 본체의 외부)와 분리되는 밀폐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30)는 마스크 본체(10)의 전방에서 마스크 본체의 외면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외부로 노출된 외면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내부 공간(35)으로 채워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필터(30)의 외면은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외부 공기는 에어필터(30)의 외면을 경유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상기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에 채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방식으로 마스크 본체(10)의 외면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대향하는 배면이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에어필터(30)와 마스크 본체(10) 사이에는 외부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통로(36)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에는 상기 에어필터(30)와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리브 형상의 스페이서(11)가 복수 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상기 에어필터(30)가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에어필터(30)의 전방뿐만 아니라 에어필터(30)와 마스크 본체(1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통로(36)를 통해서도 외부 공기가 상기 에어필터(30) 내부로 유입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에어필터(30)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면적이 현저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면적이 증가한 만큼 상기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에 외부 공기가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와 대비할 때 마스크의 착용에 따른 사용자의 호흡불편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30)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은 사용자 안면(F)의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구성하였고, 상기 에어필터(30)는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과 마스크 본체(10)의 외면과 대향하는 배면이 각각 상기 사용자 안면(F)의 전방 방향으로 볼록한 돔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였는데, 상기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 확보를 위하여 상기 에어필터(30) 전면과 배면의 곡률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는 주머니 형상의 단일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성형의 편의성을 위하여 상기 에어필터(30)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1필터부재(31)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제1필터부재(31) 사이에 배치되는 제2필터부재(3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는 테두리부가 서로 접합되어 제1접합부(33a)를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밀폐된 주머니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제1,2필터부재(31,32)의 접합은 열접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31)는 상기 에어필터(30)의 전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고, 상기 제2필터부재(32)는 상기 공기통로(36)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필터부재(32)의 내면에는 제1,2필터부재(31,32)의 내면이 서로 접촉되어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내부 공간(35)이 잠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격 돌기(32d)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이격 돌기(32d)는 필요에 따라서는 제1필터부재(31)의 내면에 형성되든가 제1,2필터부재의 내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격 돌기(32d)는 필요에 따라서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별도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 사이에 개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이격 돌기(32d)는 필요에 따라서는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가진 소재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들숨때 상기 내부 공간(35)의 공기가 호흡공간(20)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 이후(즉, 상기 내부 공간의 체적이 감소한 후) 상기 이격 돌기(32d)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 사이의 간격이 다시 증가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한층 더 용이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 돌기(32d)의 단부는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은 상태(즉, 들숨때가 아닌 정상적인 상태)에서 대향하는 필터부재(본 실시예의 경우 제1필터부재)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의 경우에도 소재나 형상이 탄성력을 보유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들숨에 의해 상기 내부 공간(35)의 체적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형된 이후에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내부 공간(35)의 체적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형상이 다시 복원됨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이 한층 더 용이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에어필터(30)와 마스크 본체(10)를 결합하고 들숨때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에 채워진 공기를 호흡공간(20)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제2필터부재(32)의 중앙부에는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과 연통되는 제1흡기공(32a)과, 상기 제1흡기공(32a)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관형의 제1결합부재(32b)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32b)의 내경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홈(32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재(32b)는 열접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1흡기공(32a)의 테두리부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의 양측 단부에는 착용끈(6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를 부분적으로 접합한 제2접합부(33b)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제2접합부(33b)가 에어필터(30)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제1접합부(33a)와 연결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착용끈(60)은 사용자의 양쪽 귀나 머리에 걸어서 착용되는 끈이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착용끈(60)은 사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서 착용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상기 착용끈(6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방진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는 상기 밀착부재(12)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안면(F)에 밀착되고, 상기 에어필터(30)의 테두리(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접합부)는 상기 사용자의 안면(F)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공기통로(36)를 유지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안내부재(40,50)는,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에 채워진 외부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20)으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는 흡기밸브부(40)와, 상기 호흡공간(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거나 차단하는 배기밸브부(50)로 구성된다.
상기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호흡공간(20)과 연통되는 제2흡기공(41)과, 상기 제2흡기공(41)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관형의 제2결합부재(42)가 형성되고,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호흡공간(20)과 연통되는 배기공(51)과, 상기 배기공(51)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관형의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제2흡기공(41)은 제1흡기공(32a)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스크 본체(10)의 중앙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상기 배기공(51)은 마스크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2결합부재(42)의 외경에는 상기 결합홈(32c)에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돌기(42a)가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32c)과 결합돌기(42a)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제1,2결합부재(32b,42)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에어필터(30)가 마스크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32c)과 결합돌기(42a)는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홈-돌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에어필터(30)의 내부 공간(35)에 채워진 외부 공기는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2결합부재(32b,42)의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호흡공간(20)과 연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흡기밸브부(40)는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에어필터(30)의 결합부, 즉 상기 제1,2결합부재(32b,42)의 결합부에 설치되어 들숨때 상기 에어필터(30) 내부의 공기를 상기 호흡공간(20)으로 공급하도록 동작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흡기밸브부(40)가 제2결합부재(42)의 중도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결합부재(32b)의 중도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흡기밸브부(40)는 상기 제2결합부재(42)의 중도에 형성된 망 형상의 흡기밸브 시트(40a), 들숨때 개방되도록 상기 흡기밸브 시트(40a)에 안착되는 흡기밸브(40b), 및 상기 흡기밸브 시트(40a)의 일측에 상기 흡기밸브(40b)를 고정시키는 흡기밸브 고정부재(4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기밸브(40b)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의 흡입력에 의하여 개방되고, 날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흡기밸브(40b)는 후술하는 배기밸브(50b)와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이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밸브부(50)는 날숨때 상기 호흡공간(2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동작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배기밸브부(50)는 상기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의 중도에 형성된 망 형상의 배기밸브 시트(50a), 날숨때 개방되도록 상기 배기밸브 시트(50a)에 안착되는 배기밸브(50b), 및 상기 배기밸브 시트(50a)의 일측에 상기 배기밸브(50b)를 고정시키는 배기밸브 고정부재(5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배기밸브(50b)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들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의 흡입력과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폐쇄되고, 날숨때는 사용자 호흡기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작동되는데, 배기밸브(50b)를 통해 배출되는 날숨 공기는 공기통로(3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흡기밸브(40b)와 배기밸브(50b)가 각각 중앙부가 흡기밸브 시트(40a)와 배기밸브 시트(50a)에 고정된 플립밸브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내에서는 상기 흡기밸브(40b)와 배기밸브(50b)는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테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정화된 외부 공기가 채워지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30)를 별도로 구비하여 들숨때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고 날숨때 발생되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에 의해서도 호흡시 외부 오염물질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마스크 본체(10)와 사용자의 안면(F) 사이에 형성되는 밀폐공간인 호흡공간(20) 내부에서 흡입공기와 배출공기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들숨시 에어필터(30) 내부에 미리 채워져 있는 정화된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호흡시마다 마스크 본체(10)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해야 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와 대비할 때 마스크 착용에 의한 호흡불편을 더욱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30)의 제조방법은, 먼저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준비한 후,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흡기공(32a)을 형성하게 된다(S10).
이때, 상기 필터부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접이선(FL)에 의하여 흡기공(32a)이 형성된 제1영역과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영역의 길이(L1) 보다 제2영역의 길이(L2)가 더 길도록 구성하였는데, 일예로서 상기 제2영역의 길이(L2)가 제1영역의 길이(L1)의 약 1.1배 내지 1.5배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1영역은 앞서 설명한 제2필터부재(32)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제2영역은 제1필터부재(3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기공(32a)은 마스크 본체(10)의 흡기밸브부(4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흡기공(32a)이 상기 제1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S10 단계에서는 상기 제1영역에서 흡기공(32a)의 외측 일부를 경화시켜 제1지지부(32c)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지지부(32c)의 형성은 일예로서 열 성형 또는 초음파 성형 방식에 의하여 상기 제1영역의 특정 부위를 가열하여 경화시키는 방식 또는 필름 등을 상기 특정 부위에 접합하는 방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등을 상기 특정 부위에 접합하는 방식의 경우 상기 필름은 필터부재와 동일한 소재이거나 필터부재보다 경도가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제1지지부(32c)는 흡기공(32a)의 외측으로 형성된 링 형상, 흡기공(32a)의 상하좌우에 형성된 바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S1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흡기공(32a)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되는데(S20), 상기 링 형상의 부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흡기공(32a)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관형의 제1결합부재(32b)일 수 있다.
상기 S2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가상의 접이선(FL)을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을 서로 대향하도록 접는 단계를 수행하는데(S30), 이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영역의 길이(L1)가 제1영역의 길이(L2) 보다 더 길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S30 단계에 의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접어진 제1영역과 제2영역은 각각 앞서 설명한 제2필터부재(32)와 제1필터부재(3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S3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테두리부를 접합하여 제1접합부(33a)를 형성하게 되는데(S40,S50), 상기 접합 공정은 열 접합 방식, 초음파 접합 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 방식 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영역(즉, 제2필터부재)과 제2영역(즉, 제1필터부재)의 테두리부 접합에 의하여 제1접합부(33a)가 형성되면, 상기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제2영역의 중앙부는 전체적으로 외측으로 볼록한 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은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 에어필터(30)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부 접합 단계는, 단일의 공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에어필터(30) 내부의 공간이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길이 방향(즉, 도6의 S40 단계 도면에서 흡기공의 상부와 하부 방향)의 테두리부를 먼저 접합한 후에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테두리부 접합 공정이 제1접합 단계(S40)와 제2접합 단계(S50)로 구분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이 경우, 상기 제1접합 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접어지는 부분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1테두리부(33c)와, 상기 제1테두리부(33c)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2테두리부(33d)를 각각 먼저 접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접합 단계(S50)에서는 상기 제1접합 단계에서 접합되지 않은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여 먼저 접합된 제1,2테두리부(33c,33d)와 함께 전체적으로 제1접합부(33a)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S50 단계에서는 흡기공(32a)의 좌우 영역을 미리 설계된 에어필터(30)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의 접합 공정인 S40 단계와 S50 단계가 완료되면, 에어필터(30)의 양측에 착용끈(60)을 결합하는 단계(S60)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S6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30)의 양측에는 착용끈(60)이 결합되기 위한 제2접합부(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7과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과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9와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1의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를 제조하는 방법과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의 의하여 제조된 에어필터(30)의 경우, 전체 형상이 마스크 본체(10)를 덮을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넓게 펼쳐진 형상일 뿐만 아니라 주머니 형상의 내부 공간으로 인하여 제1필터부재(31)(즉, 제2영역)가 외측으로 돔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이기 때문에 제품의 보관이나 포장을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크게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30)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성형된 에어필터를 보관이나 포장이 용이하도록 컴팩트하게 접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중복된 공정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S10 단계 내지 S40 단계와 동일한 공정에 의하여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1테두리부(33c)와 제2테두리부(33d)를 먼저 접합한 후(S140), 상기 S140 단계에서 접합되지 않은 흡기공(32a) 좌우측의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제1접합부(33a)를 형성하게 된다(S150).
상기 S140 단계와 S15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테두리부가 접합된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흡기공(32a)을 덮는 방향으로 접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160,S170,S180).
이때, 상기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와 하단부라 함은 도면에서 흡기공(32a)의 상부와 하부를 각각 의미하며,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도면에서 가상선으로 표시된 접이선을 따라 화살표 방향으로 접어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제1,2필터부재(31,32)의 하단부가 먼저 접이진 이후에 그 위에 상단부가 포개지도록 접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단부가 먼저 접어진 이후에 하단부가 접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접어지는 부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가 접이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3접합부(31c,31d)가 각각 형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제3접합부의 형성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1,2접합부의 형성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S180 단계가 완료되면, 에어필터(30)의 양측에 착용끈(60)을 결합하는 단계(S190)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S19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에어필터(30)의 양측에는 착용끈(60)이 결합되기 위한 제2접합부(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어필터의 경우 사용자가 에어필터(30)를 마스크 본체(10)에 결합하기 이전이나 마스크 본체(10)로부터 분리한 이후에는 도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와 하단부를 접을 수 있기 때문에 흡기공(32a)의 상하 방향 길이가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제1필터부재(31)의 돌출량도 줄어들기 때문에 보관이나 포장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30)를 마스크 본체(1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도8의 (b)와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있는 부분을 순차적으로 펼쳐서 사용하면 되는데, 이 경우 제1필터부재(31)는 접혀진 부분이 펼쳐지면서 전방 외측(즉, 도면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하게 되고 제2필터부재(32)는 마스크 본체(10) 방향(즉, 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필터부재(31,32) 사이에 형성되는 주머니 형상의 내부 공간이 정상적으로 확장됨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에어필터(30)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에어필터(30)의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전체적인 공정이 동일하나, 상기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접는 단계(S270,S280)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즉, 상기 S270 단계에서는 제1,2필터부재(31,32)의 하단부를 접은 후에 제2영역(즉, 제1필터부재)의 접어지는 부분을 경화시켜 제2지지부(31a)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S280 단계에서는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를 접은 후에 제2영역(즉, 제1필터부재)의 접어지는 부분을 경화시켜 제2지지부(31b)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필터부재(31,32)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접을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영역과 제2영역은 길이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접어진 부분에서 제1영역의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제2영역의 단부가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2영역의 단부만을 경화시켜 상기 제2지지부(31a,31b)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영역의 접어진 부분을 경화시킬 경우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어진 필터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펼칠 경우 상기 제2지지부(31a,31b)가 횡방향의 리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1필터부재(31)가 마스크 본체(10) 방향(즉, 도면의 우측 방향)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제1필터부재(31)와 제2필터부재(32) 사이에 형성되는 주머니 형상의 내부 공간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에어필터(30)와는 별도로 제작되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실리콘 등과 같은 불통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통상의 사출 공정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부직포 등의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열성형 등에 의하여 마스크 본체(10)를 돔 형상으로 제작한 후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외면을 불통기성 재질로 코팅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제조 공정은 마스크 본체(10)의 성형 전후에 제2흡기공(41)과 배기공(51)을 천공하는 공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2흡기공(41)과 배기공(51)의 테두리부에 각각 제2결합부재(42)와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를 결합함으로써 마스크 본체(10)에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를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관형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결합부재(42)와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의 중도에는 각각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2결합부재(42) 및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 및 배기밸브부(50)는 각각 상기 제2흡기공(41)과 배기공(51)의 테두리부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체화된 모듈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흡기공(41)과 배기공(51)의 테두리부에 각각 제2결합부재(42)와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를 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크 본체(10)가 부직포와 같은 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일예로서 열접합 방식, 초음파 융착 방식,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는 방식 등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흡기밸브부(40)가 내부에 설치된 제2결합부재(42)와 상기 배기밸브부(50)가 내부에 설치된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는 추후에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각각 상기 제2흡기공(41)과 배기공(51)의 테두리부에 요철 방식이나 억지끼움 방식 등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로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에어필터(30)의 제조가 완료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0)의 성형이 완료되면, 결합홈(32c)과 결합돌기(42a)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32b)와 제2결합부재(42)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방에 상기 에어필터(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은 단순히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흡기공이 형성된 제1영역과 나머지 부분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여 제1영역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접은 후 상기 제1,2영역의 단부를 서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를 제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매우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상기 에어필터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는 방진 마스크가 주머니 형상의 에어필터와 마스크 본체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들에 따라 제조된 에어필터는 그 자체로 마스크 본체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이와 관련된 것으로서, 도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2에 도시한 방진 마스크의 착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14는 도13의 D-D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마스크 본체(330)와, 상기 마스크 본체(3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착용끈(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S10 단계 내지 S40 단계와 동일한 공정(중복된 설명은 생략함)에 의하여 서로 길이가 다르게 접어진 필터부재의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제1테두리부(33c)와 제2테두리부(33d)를 접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S340).
다음으로, 상기 S340 단계에서 접합되지 않은 흡기공(32a) 좌우측의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여 전체적으로 제1접합부(33a)를 형성함으로써 밀폐된 주머니 형상의 마스크 본체(330)를 형성하게 된다(S350).
또한, 상기 S350 단계에서는 상기 흡기공(32a)의 하부 일측에서 상기 제1영역(즉, 제2필터부재)과 제2영역(즉, 제1필터부재)의 일부를 서로 접합시켜 배기공 영역(33e)을 추가적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1접합부(33a)와 배기공 영역(33e)의 형성은 순차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동시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S350 단계에서는 앞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공(32a)의 좌우 영역을 미리 설계된 마스크 본체(330)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340 단계와 S35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배기공 영역(33e)에 배기공(51)을 형성하고(S360), 상기 배기공(51)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부재인 제3결합부재(53)를 결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S370).
이때, 상기 링 형상의 제3결합부재(53)는 관형의 결합부재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기공(32a)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관형의 제1결합부재(32b)와 유사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밸브부(5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들을 거쳐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의해 형성되는 주머니 형상의 마스크 본체(33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의 에어필터(30)와 그 형상이나 제조방법이 유사하나 그 자체로서 마스크 본체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공(32a)이 형성된 제2필터부재(32)(즉, 제1영역)는 사용자의 안면을 향하게 되고 이와 대향하는 제1필터부재(31)(즉, 제2영역)는 외측을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S370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마스크 본체(330)의 양측에 착용끈(60)을 결합하는 단계(S380)를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S380 단계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330)의 양측에는 착용끈(60)이 결합되기 위한 제2접합부(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상기 흡기공(32a)과 배기공(51)에 각각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는데, 상기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의 구성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1결합부재(32b)와 흡기밸브부(40)의 결합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결합홈(32c)와 결합돌기(42a)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결합부재(32b)와 흡기밸브부(40)의 제2결합부재(42)가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결합부재(53)와 배기밸브부(50)의 결합도 앞서 설명한 흡기밸브부(40)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결합부재(53)와 배기밸브 하우징부재(52)에 형성된 결합홈(미도시)-결합돌기(미도시)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의 결합 공정은 S370 단계 또는 S380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단계들을 거칠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330)에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가 결합된 상태로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는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착용끈(60)이 결합된 마스크 본체(330)와, 상기 흡기밸브부(40) 및 배기밸브부(50)가 별도로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시 상기 마스크 본체(330)에 상기 흡기밸브부(40)와 배기밸브부(50) 직접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방진 마스크의 제조방법은 필요에 따라서는 앞서 설명한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흡입공(32a)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순차적으로 접는 공정을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한 공정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10,330 : 마스크 본체 12 : 밀착부재
20 : 호흡공간 30 : 에어필터
31: 제1필터부재 32 : 제2필터부재
36 : 공기통로 40 : 흡기밸브부
50 : 배기밸브부 60 : 착용끈

Claims (6)

  1. 시트 형상의 필터부재를 준비하는 제1단계;
    상기 필터부재의 일측에 흡기공을 형성하는 제2단계;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흡기공이 형성된 영역인 제1영역과 나머지 영역인 제2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영역의 길이보다 제2영역의 길이가 더 길도록 상기 필터부재를 접는 제3단계; 및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테두리부를 접합시켜 내부에 주머니 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흡기공의 테두리에 링 형상의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영역에서 흡기공의 외측 일부를 경화시켜 제1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흡기공은 제1영역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접어지는 부분에서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1테두리부와, 상기 제1테두리부와 대향하는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외측 단부가 서로 접하는 부분인 제2테두리부를 각각 접합하는 제1접합단계와,
    상기 제1접합단계에서 접합되지 않은 나머지 테두리부를 접합하는 제2접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테두리부가 접합된 필터부재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상기 제1영역에 형성된 흡기공을 덮는 방향으로 접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제2영역의 접어지는 부분을 경화시켜 제2지지부를 형성하는 제6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KR1020190032522A 2018-04-13 2019-03-21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KR102187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22A KR102187237B1 (ko) 2019-03-21 2019-03-21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PCT/KR2019/004421 WO2019199103A1 (ko) 2018-04-13 2019-04-12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JP2020556279A JP2021518496A (ja) 2018-04-13 2019-04-12 防塵用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17/047,190 US20210162244A1 (en) 2018-04-13 2019-04-12 Dustproof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22A KR102187237B1 (ko) 2019-03-21 2019-03-21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79A KR20200112279A (ko) 2020-10-05
KR102187237B1 true KR102187237B1 (ko) 2020-12-04

Family

ID=7280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22A KR102187237B1 (ko) 2018-04-13 2019-03-21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795B1 (ko) * 2020-04-13 2021-05-20 이유나 마스크용 천공구 및 이를 포함한 마스크용 배기밸브 패키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11Y1 (ko) 2004-05-17 2004-08-06 배성순 공기청정 마스크
JP2011104166A (ja) 2009-11-18 2011-06-02 Kyaribaa International Corporation:Kk 顔面装着用マス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11Y1 (ko) 2004-05-17 2004-08-06 배성순 공기청정 마스크
JP2011104166A (ja) 2009-11-18 2011-06-02 Kyaribaa International Corporation:Kk 顔面装着用マ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79A (ko) 202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9657B1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65708B1 (ko) 안면 마스크
KR101568648B1 (ko)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EP3178526B1 (en) Molded breathing mask having a perforated outer cup and replacable inner filter sheet
US20210162244A1 (en) Dustproof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90930B2 (ja) 清浄空気吸入室を有する呼吸用マスク
FI87144C (fi) Gasmask foer verksamhet i foerorenade omraoden
CN110035789A (zh) 患者接口
US20130117912A1 (en) Protective hood
KR101634866B1 (ko)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JP2020193426A (ja) 長さ調節部付き機能性マスク
KR20080005347A (ko) 강성이 부여된 필터 마스크
US11497260B2 (en)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JP6767378B2 (ja) 端部出口を有する可撓性フィルタ要素
KR102187237B1 (ko) 방진 마스크용 에어필터의 제조방법
KR20200023348A (ko) 방진용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WO2008129575A1 (en) A filtering mask
CN115460949A (zh) 口罩
KR20200112284A (ko) 방진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60062A (ko) 미세먼지용 코 마스크
TWM619251U (zh) 折疊型防護口罩
CN111135498A (zh) 防护面罩
TW201501744A (zh) 口罩
KR102349712B1 (ko) 통기성이 향상된 안면 마스크
CN216135234U (zh) 折叠型防护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