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221B1 -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 Google Patents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221B1
KR102187221B1 KR1020190156835A KR20190156835A KR102187221B1 KR 102187221 B1 KR102187221 B1 KR 102187221B1 KR 1020190156835 A KR1020190156835 A KR 1020190156835A KR 20190156835 A KR20190156835 A KR 20190156835A KR 102187221 B1 KR102187221 B1 KR 102187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odule
container
intak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석온슬
Original Assignee
석온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온슬 filed Critical 석온슬
Priority to KR1020190156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22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decoration, information or contents indicating devices,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9/00Methods of, or apparatus for, the determination of weight,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G1/00 - G01G7/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Abstract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is provided.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can include: a container module formed in a shape that can contain a beverage; a cover module coupled to an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module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module;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state of a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to provide information on a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the measured state value of the beverage to a user.

Description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본 발명은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설정 기간 동안의 음료 섭취량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에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measure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they drank, and to check the measured beverage intake in real time, Through this, it is related to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and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program enabling management of beverage intake amount during a set period.

일반적으로, 소변을 보지 못하는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이 물을 마실 경우, 물이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아 몸속에서 부종으로 쌓이게 되므로, 투석을 통해 섭취한 물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야 한다.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평균 투석 시간은 이틀마다 4시간씩이며, 심장에 큰 무리를 주지 않고 한 번에 뺄 수 있는 최대치는 3㎏이다. 그러므로,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은 물과 음식의 섭취량이 이틀에 3㎏을 넘어가지 않도록 제한적으로 물을 섭취해야 한다.In general, whe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o cannot urinate drink water, water is not discharged into urine and accumulates in the body as edema. Therefore, water ingested through dialysis must be discharged from the body. The average dialysis time of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renal failure is 4 hours every two days, and the maximum value that can be subtracted at a time is 3 kg without causing a big strain on the heart. Therefore,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should consume limited water so that the intake of water and food does not exceed 3 kg every two days.

하지만, 번거로움 때문에, 대부분의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은 스스로 자신이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매번 물의 정확한 섭취량을 확인하면서 물을 마시고 있지는 않다. 즉, 대부분의 만성신부전증 환자들은 자신의 경험에 의존한 부정확한 방법으로 하루의 물 섭취량을 결정하고 있다.However, because of the hassle, most chronic kidney failure patients do not drink water by checking the exact amount of water they drink each time. In other words, most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determine their daily water intake in an inaccurate way that relies on their own experiences.

한편, 최근 들어,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컨대, 하루 2L 내지 3L의 물을 섭취하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대체로 상당히 큰 물통을 들고 다니면서 물통의 물을 다 마시면 다시 물통에 물을 채우는 방식으로 하루 2L 내지 3L의 물 마시기 운동을 실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for the purpose of health care or beauty or preventing muscle loss, for example, a large number of people who consume 2L to 3L of water a day are increasing. They generally carry a fairly large bucket of water, and when they finish drinking, they fill the bucket with water again to practice drinking 2L to 3L of water a day.

하지만, 이 경우, 정해진 특정량의 물을 마시는 것이 아닌 물을 많이 마시는 것이 주된 목적이기 때문에, 기분에 따라 물통에 담겨 있는 물을 버리고 새 물로 채우거나 물통의 물을 어느 정도 마신 상태에서 추가로 물을 채우는 행동을 하게 되므로, 정확한 물 섭취량을 알 수 없으며, 오히려, 매일매일 그 편차가 심할 수 있어, 하루 2L 내지 3L의 물을 매일 마심으로써 기대되는 효과를 실제로 거두기는 어렵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결국, 대부분의 사람들은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해 실천하였던 하루 2L 내지 3L의 물 마시기를 포기하게 된다.However, in this case, the main purpose is to drink a lot of water, not to drink a certain amount of water, so depending on your mood, discard the water in the bucket and fill it with new water, or add water while drinking some water from the bucket. Since the action of filling is performed, it is not possible to know the exact amount of water intake. Rather, the deviation may be severe every day, so it is difficult to actually achieve the expected effect by drinking 2L to 3L of water every day. When this happens, in the end, most people give up drinking 2L to 3L of water a day, which is practiced for health care,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intake of beverages that they drank.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설정 기간 동안의 음료 섭취량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a beverage intake that enable management of beverage intake during a set period by allowing them to check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they drank in real time. It is in providing a management progra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 모듈; 상기 용기 모듈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모듈의 내부를 밀폐하는 커버 모듈; 및 상기 용기 모듈에 담겨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하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음료의 상태 측정 값에 기반한 상기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container module configured to contain a beverage; A cover module coupl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module to seal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module;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communicates with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the state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to a user. Can inclu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 또는 상기 커버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에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mounted on the container module or the cov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state to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It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의 상태는 상기 음료의 수위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커버 모듈에 설치되어 상기 음료의 수위를 센싱하며,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위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위 센서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센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tate of the beverage includes the level of the beverage, a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installed on the cover module to sense the level of the beverage, and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ing, the water level sensor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infrared, laser, and ultrasonic sensing mean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모듈에 상기 커버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커버 모듈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전극 부재; 상기 커버 모듈에 장착되어 상기 수위 센서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폐회로가 형성되면,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음료의 수위를 센싱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includes: an electrode memb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when the cover module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to form a closed circuit; A power supply unit mounted on the cover module to apply power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communication unit; And when the closed circuit is formed, the water level senso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o sense the level of the beverage.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모듈에 상기 커버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커버 모듈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루는 전극 부재; 상기 전극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해 상기 수위 센서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폐회로가 형성되면, 상기 수위 센서가 상기 음료의 수위를 센싱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부는 내측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may include an electrode member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dul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when the cover module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to form a closed circuit; A power supp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 and applying power to the water level sensor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rough the connec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allowing the water level sensor to sense the level of the beverage when the closed circuit is formed, wherei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의 상태는 상기 음료의 무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모듈은, 상단이 개구되며, 내측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용기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용기 외피의 상측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외피에 수용되는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밴드; 및 상기 용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ate of the beverage includ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container module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And a container shell provided in a form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body in an up-down direction, a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connect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shell An elastic b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weight sensor disposed below the container body and sensing a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모듈에 상기 커버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커버 모듈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게 센서는 상기 전극 부재를 매개로 상기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d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when the cover module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The weight senso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via the electrode member.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의 상태는 상기 음료의 무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모듈은, 상단이 개구되며, 내측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용기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과 상기 용기 외피의 상측 사이에 연결되는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는 상기 커버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커버 모듈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ate of the beverage includ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container module includes: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a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beverage; And a container shell provided in a form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body in an up-down direction, a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ncludes a strain gauge connect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and the strain gaug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when the cover module is coupled.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 모듈이 거치되는 받침대 모듈; 및 상기 용기 모듈에 담겨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하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음료의 상태 측정 값에 기반한 상기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includes: a support module on which a container module configured to hold a beverage is mounted;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communicates with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the state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to a user. Can includ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음료의 상태는 상기 음료의 무게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이 거치되는 상기 받침대 모듈의 거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용기 모듈의 무게를 센싱하는 무게 센서; 상기 받침대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에 상기 무게 센서에 의해 센싱된 상기 용기 모듈의 무게에 대한 센싱 값을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받침대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무게 센서 및 상기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tate of the beverage includ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provided on a mounting surface of the pedestal module on which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and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A weight sensor sens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module; A communication unit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 sensing value of the weight of the container module sensed by the weight sensor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a power supply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and applying power to the weight sensor and the communication unit.

한편, 본 발명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또는 상기 용기가 거치되는 받침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유 ID가 부여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ID를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ID와 동일한 ID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추출하는 제1 처리부; 상기 ID로 현재 수신된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과 상기 ID로 직전에 수신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 간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음료의 섭취량을 산출하는 제2 처리부; 및 산출된 상기 음료의 섭취량을 상기 ID가 부여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beverage from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to which a unique ID is assigned and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can hold a beverage or a pedestal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A receiving unit; A first processing unit for identifying the ID and extracting a measurement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stored with the same ID as the ID from a database; A second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based on a change amount between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beverage currently received as the ID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beverage that is received immediately before the I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who uses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to which the ID is assigned.

또한, 본 발명은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은, 다운 받은 음료 섭취량 관리 앱 또는 접속된 음료 섭취량 관리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단계;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또는 상기 용기가 거치되는 받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시리얼 넘버를 입력하여 고유 ID를 부여 받는 ID 부여 단계; 화면에 표시되는 음료 섭취량 제한 모드 및 목표량 섭취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단계; 및 선택된 모드에서 화면에 출력되는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음료 섭취량 확인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includes: a login step of logging into a download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 or a connect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website; An ID assigning step of receiving a unique ID by inputting a serial number of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in the form of a container capable of holding a beverage or a stand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A mod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one of a beverage intake limit mode and a target amount intak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it may be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the beverage intake check step of checking the beverage intake amount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elected mode in real tim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 모듈; 상기 용기 모듈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모듈의 내부를 밀폐하는 커버 모듈; 및 상기 용기 모듈에 담겨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하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음료의 상태 측정 값에 기반한 상기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module made in a form capable of holding a beverage; A cover module coupl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module to seal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module;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communicates with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the state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to a user. Can include.

이에 따라,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ly,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measuring the intake amount of a beverage that the user drank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측정된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해, 설정 기간 동안의 음료 섭취량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및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measured beverage intake in real time, and through thi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nd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capable of managing beverage intake during a set period may be provided. .

이에 따라,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자신이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섭취량을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renal failure,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how much water they drank, thereby limiting or controlling the intake of beverages including water.

또한,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해 하루 소정량의 물을 섭취하고자하는 사람들의 경우, 정확한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물을 섭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한 물 섭취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 달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eople who want to consume a certain amount of water a day for health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the exact amount of intak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llowing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intake of water. It is possible to continue intake of water for management, cosmetic or muscle loss prevention, and eventually, the desired purpose may be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의 음료 섭취량 관리 실행 단계를 순차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managing beverage intak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beverage intak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beverage intak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steps of execu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in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component or that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shape and size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elem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elements, or a combination of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and configurations It is not to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include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nstituent elements and direct connecting.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Furth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 and 2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100)는 용기 모듈(110), 커버 모듈(120) 및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module 110, a cover module 120,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Can be formed.

용기 모듈(110)은, 사람이 마실 수 있는 물과 같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용기 모듈(110)은 텀블러 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모듈(110)은 용기 본체(111) 및 용기 외피(1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module 110 is formed in a form that can hold a beverage such as water that can be drunk by a person. For example, the container module 110 may have a tumbler-shaped appearance. This container module 110 may be formed including a container body 111 and a container shell 112.

용기 본체(111)는 상단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111)의 내측에는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용기 본체(111)의 개구된 상단으로부터 길이 방향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11)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음료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벽면 및 바닥면이 이중 레이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중 레이어에 의해 구획되는 사이 공간은 진공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11)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111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In addition,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beverag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111. The accommodation space may b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downward from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In this case, the container body 111 may have a double layer structure on its wall and bottom so as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interspace partitioned by the double layer can be maintained in a vacuum state. The container body 111 may be made of, for example, stainless steel.

용기 외피(112)는 용기 본체(111)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용기 외피(112)는 용기 본체(111)를 길이 방향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용기 외피(112)는 용기 본체(11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용기 외피(112)는 예컨대, 용기 본체(111)의 수용 공간에 고온의 음료가 담겨 있는 경우, 고온의 열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용기 외피(112)는 열전도도가 낮은 재질, 예컨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tainer shell 11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1. Structurally, the container shell 112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accommodates the container body 1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tainer shell 112 serves to protect the container body 111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tainer shell 112 serves to protect the user's hand from the high temperature heat, for example, when a hot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ontainer body 111. To this end, the container shell 11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for example, a plastic material.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모듈(110)에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의 전극 부재(133)가 설치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electrode member 133 of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을 참조하면, 커버 모듈(120)은 용기 모듈(110),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111)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된다. 이때, 커버 모듈(120)의 하단에는 용기 본체(111)의 개구된 상단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이 홈의 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용기 본체(111)의 개구된 상단 외주면에는 커버 모듈(120)의 홈 벽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상호 작용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 모듈(120)은 용기 본체(111)의 개구된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용기 본체(111)의 내부를 밀폐하게 된다. 즉, 커버 모듈(120)은 텀블러의 마개 혹은 뚜껑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모듈(120)에서, 용기 모듈(110)과 결합 시 용기 모듈(110)과 마주하는 하측면에는 용기 모듈(110)에 설치되는 전극 부재(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이러한 접속 단자(121)와 전극 부재(133)는 상호 연결 시 폐회로를 이뤄,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를 구동시키는 스위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more specifically,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At this time,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module 120, a groov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is formed inward, and a thread may b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111 A thread that interacts with a thread formed on the groove wall surface of the cover module 1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end. Through this, the cover module 120 is screw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to seal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111. That is, the cover module 120 serves as a stopper or a lid for the tumbler. At this time, in the cover module 1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mbined with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electrode member 133 install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on the lower side facing the container module 110 A connection terminal 121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terminal 121 and the electrode member 133 form a closed circuit when interconnected, and serve as a switch for driving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서,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음료의 상태 중에서 음료의 수위를 측정한다.1 and 2,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measures the level of beverages in beverage states.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음료의 상태, 즉, 음료의 수위를 측정한 측정 값에 기반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인 경우, 자신이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섭취량을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해 하루 소정량의 물을 섭취하고자하는 사람인 경우, 정확한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물을 섭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한 물 섭취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 달성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is,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enabl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a measured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beverage state, that is, the water level of the bever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P. Accordingly, if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he/she drank is a patient suffering from chronic renal failure,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how much water he/she drank, thereby limiting or controlling the intake of beverages containing water. You will be able to. In addition, if the user who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he drank is a person who wants to consume a certain amount of water a day for health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the exact amount of intak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Water can be ingested efficiently,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sume water for health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and eventually, the desired purpose can be achieved.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통신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1)는 커버 모듈(120)에 장착될 수 있다. 통신부(131)는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를 통해, 통신부(131)는 음료의 수위에 대한 측정 값을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에 전송한다.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 The communication unit 131 may be mounted on the cover module 120. The communication unit 131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is, the communication unit 131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f the level of the beverage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수위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위 센서(132)는 커버 모듈(120)에 설치된다. 이때, 수위 센서(132)는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표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커버 모듈(120)의 하측면 중심 부분(도면 기준)에 설치될 수 있다. 수위 센서(132)는 음료의 수위를 센싱하여, 센싱 신호, 예컨대, 음료의 수위가 L1일 때의 음료의 수위 측정 값 또는 사용자가 음료를 마신 후 수위가 L1에서 L2로 변화되었을 때의 음료 수위 측정 값을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31)에 전달한다. 이러한 수위 센서(132)는 적외선, 레이저 및 초음파 중 어느 하나의 센싱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or 132 to measure the level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water level sensor 132 is installed on the cover module 120. In this case, the water level sensor 132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cover module 120 (based on the drawing) so as to face the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water level sensor 132 senses the level of the beverage, and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a measured value of the level of the beverage when the level of the beverage is L1, or the level of the beverage when the level of the beverage changes from L1 to L2 after the user drank the beverage.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13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he water level sensor 132 may be provided with any one of infrared, laser, and ultrasonic sensing means.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130)은 전극 부재(133), 전원부(134) 및 제어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de member 133, a power supply unit 134, and a control unit 135.

전극 부재(133)는 용기 모듈(1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극 부재(133)는 용기 외피(122)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부재(133)는, 단면이 대략 'U'자 형태를 이루도록 용기 외피(122)에 내장될 수 있다. 이때, 전극 부재(133)의 길이 방향 단부는 용기 모듈(110)에 커버 모듈(120)이 결합될 경우, 커버 모듈(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12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폐회로를 이루기 위해 용기 모듈(110)의 상단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electrode member 133 may be install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more detail, the electrode member 133 may be embedded in the container shell 122. For example, the electrode member 133 may be embedded in the container shell 122 so that the cross section has an approximately'U' shape.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end of the electrode member 1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21 installed under the cover module 120 when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to form a closed circuit. To achieve this, it may be exposed to the top of the container module 110.

전원부(134)는 커버 모듈(120)에 장착된다. 전원부(134)는 수위 센서(132) 및 통신부(131)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부(134)는 용기 모듈(110) 측에 구비되는 전극 부재(133)와 커버 모듈(120) 측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121)가 상호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룰 경우, on 상태로 전환되어 수위 센서(132) 및 통신부(13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부(134)는 충,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134 is mounted on the cover module 120. The power supply unit 134 applies power to the water level sensor 1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When the electrode member 133 provid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sid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1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the power supply unit 134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nd the water level sensor Power is applied to the 1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The power supply unit 134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제어부(135)는 수위 센서(132)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35)는 용기 모듈(110)에 커버 모듈(120) 결합 시, 커버 모듈(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접속 단자(121)와 용기 모듈(110)의 상측으로 노출되는 전극 부재(133)의 단부가 만나 서로 연결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면, 수위 센서(132)를 작동시켜, 음료의 수위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35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sensor 132. That is, when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control unit 135 includes a connection terminal 121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module 120 and an electrode member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module 110 ( When the ends of 133 meet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circuit, the water level sensor 132 may be operated to control the level of the beverage to be sensed.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 센서(132)는 음료의 수위를 센싱한 센싱 신호를 통신부(131)에 전달하고, 통신부(131)는 이를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로 전송한다. 음료의 수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는 이를 기반으로 음료의 섭취량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100)를 통해 음료를 섭취한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되고, 자신이 마신 음료의 섭취량 또한 원하는 시간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vel sensor 132 transmits a sensing signal that senses the level of the beverage to the communication unit 131,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transmits it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level of the beverage calculates the beverage intake based on this and transmits it to the user terminal P. Accordingly, a user who has consumed a beverage throug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100 can check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he drank in real time, and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he drank can also be checked at a desired time.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200)는 용기 모듈(110), 커버 모듈(120) 및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3 and 4,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module 110, a cover module 120,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s formed.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음료 상태 관리 모듈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only a difference only i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To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은 음료의 상태 중에서 음료의 수위를 측정한다. 또한,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은 음료의 상태, 즉, 음료의 수위를 측정한 값에 기반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measures the level of the beverage among beverage states. In addi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is,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enables the state of the beverage, that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based on the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level,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P.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230)은 통신부(131), 수위 센서(132), 전극 부재(133), 제어부(135) 및 전원부(23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통신부(131), 수위 센서(132) 전극 부재(133) 및 제어부(135)는 커버 모듈(120) 측에 구비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31), 수위 센서(132), 전극 부재(133) 및 제어부(135)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To this e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31, a water level sensor 132, an electrode member 133, a control unit 135, and a power supply unit 234. Can b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1, the water level sensor 132, the electrode member 133, and the control unit 135 are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side,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The communication unit 131, the water level sensor 132, the electrode member 133, and the control unit 13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234)는 수위 센서(132) 및 통신부(131)에 전원을 인가한다. 전원부(234)는 용기 모듈(110) 측에 구비되는 전극 부재(133)와, 커버 모듈(120) 측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121)가 상호 연결되어 폐회로를 이룰 경우, on 상태로 전환되어 수위 센서(132) 및 통신부(131)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부(234)는 충,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23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power to the water level sensor 1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When the electrode member 133 provid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sid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21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side are interconnected to form a closed circuit, the power supply unit 234 is switched to the on state and Power is applied to the sensor 132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The power supply unit 234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원부(23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모듈(도1의 120)에 장착되는 전원부(도 2의 134)와 달리, 용기 모듈(110)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전원부(234)는 용기 본체(111)의 하측의 용기 외피(112)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부(234)는 전극 부재(1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전원부(234)가 용기 본체(111)의 하측에 구비되면, 전원부(도 2의 134 참조)가 커버 모듈(120)에 구비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보다 무선 충전 장치 상에 배터리를 거치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충전에 더 적합할 수 있다. 여기서, 후술될 본 발명의 제5 실시 에에 따른 전원부(도 200의 533)가 무선 충전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power supply unit 23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power supply unit (134 in Fig. 2) mounted on the cover module (120 in Fig.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module 110 ). In more detail, the power supply unit 234 may be embedded in the container shell 112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1. The power supply unit 234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 133. In this way, when the power supply unit 234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1, the power supply unit (refer to 134 in FIG. 2) is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more suitable for wireless charging made in a way to mount. Here, the power supply unit (533 in FIG. 2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function as a wireless charging devi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300)는 용기 모듈(110), 커버 모듈(120) 및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5 and 6,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module 110, a cover module 120,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Is formed.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음료 상태 관리 모듈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only a difference only i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To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은 음료의 상태 중에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다.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measur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state.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은 음료의 상태, 즉,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 값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is,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allows the state of the beverage, that is,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weight of the bever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P. do.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330)은 통신부(131), 무게 센서(332), 탄성 밴드(333) 및 전원부(13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통신부(131) 및 전원부(134)는 커버 모듈(120) 측에 구비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31) 및 전원부(134)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부(1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처럼 용기 모듈(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33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 a weight sensor 332, an elastic band 333, and a power supply unit 134.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1 and the power supply unit 134 are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side,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same role as the power supply unit 134.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34 may be provided under the container module 1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무게 센서(332)는 용기 본체(111)의 하측에 배치된다. 무게 센서(332)는 용기 본체(111)에 담겨 있는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용기 본체(111)의 무게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를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131)에 전달한다. 이러한 무게 센서(332)는 저울로 구비될 수 있다. 무게 센서(332)는 음료가 담겨 있지 않은 상태의 용기 본체(111)의 무게가 0인 상태가 되도록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11)는 용기 외피(112) 내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용기 외피(1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The weight sensor 332 is disposed under the container body 111. The weight sensor 332 senses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111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1,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131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The weight sensor 332 may be provided as a scale. The weight sensor 332 may be calibrated so that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111 in the state in which the beverage is not contained is zero. At this time, the container body 11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ntainer shell 112 so as to be slid up and down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hell 112.

이러한 무게 센서(332)는 용기 모듈(110)에 커버 모듈(120)이 결합되는 경우, 커버 모듈(120)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도 1의 12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부재(도 1의 133 참조)를 매개로 커버 모듈(120)에 장착되어 있는 통신부(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 센서(332)는 제어부(도 2의 135 참조)에 의해 제어되어 음료의 무게를 센싱하게 된다.When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weight sensor 332 is an electrod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see 121 in FIG. 1)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120 (FIG. 1). 133)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31 mounted on the cover module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is weight sensor 33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see 135 in FIG. 2) to sense the weight of the beverage.

도 5를 참조하면, 탄성 밴드(333)는 용기 모듈(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탄성 밴드(333)는 용기 본체(111)의 상단과 용기 외피(112)의 상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탄성 밴드(333)는 용기 외피(112)에 수용되는 형태로 삽입되어 있는 용기 본체(111)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elastic band 333 may be provid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more detail, the elastic band 33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112. Through this, the elastic band 333 elastically supports the container body 111 inserted in a for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shell 112 in the vertical direction.

최초, 용기 본체(111)에 음료가 담기면, 음료의 무게에 의해 탄성 밴드(333)가 하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용기 본체(111)는 하방 압력을 받게 된다. 무게 센서(333)는 탄성 밴드(333)의 변형으로 인한 용기 본체(111)의 하강에 따른 가압력으로부터 음료의 무게를 센싱하게 된다. 사용자가 용기 본체(111)에 담겨 있는 음료를 일정량 마시게 되면, 탄성 밴드(333)는 줄어든 음료의 무게만큼 상측으로 탄성 복원되어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무게 센서(333)는 이를 통해 줄어든 용기 본체(111)의 가압력으로부터 음료의 무게를 센싱하게 된다.First, when a beverage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1, the elastic band 333 is elastically deformed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to increase its length, and thus, the container body 111 is subjected to downward pressure. The weight sensor 333 sens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from the pressing force caused by the descending of the container body 111 due to the deformation of the elastic band 333. When the user drinks a certain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1, the elastic band 333 is elastically restored to the upper side by the weight of the reduced beverage, thereby reducing the length, and the weight sensor 333 uses the reduced container body ( The weight of the beverage is sensed from the pressure of 111).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anaging a beverage intake amoun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400)는 용기 모듈(110), 커버 모듈(120) 및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7 and 8,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module 110, a cover module 120,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Is formed.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와 비교하여,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의 일부 구성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only a difference in some components of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s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은 음료의 상태 중에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measur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state.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은 음료의 상태, 즉,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 값에 기반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is,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enabl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state, that is,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based on a measured weight of the bever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P.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430)은 통신부(131),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ge)(432) 및 전원부(13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통신부(131) 및 전원부(134)는 커버 모듈(120) 측에 구비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31) 및 전원부(134)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부(1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처럼 용기 모듈(110)의 하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43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31, a strain gage 432, and a power supply unit 134.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unit 131 and the power supply unit 134 are provided on the cover module 120 side,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same role as the power supply unit 134.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34 may be provided under the container module 11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용기 모듈(1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용기 본체(111)의 상단과 용기 외피(112)의 상측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본체(111)는 용기 외피(112) 내측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용기 외피(1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strain gauge 432 may be provid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more detail, the strain gauge 43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11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112. At this time, the container body 11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shell 112 so as to be slid up and down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shell 112.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용기 모듈(110)에 커버 모듈(120)이 결합되는 경우, 커버 모듈(120)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도 1의 121 참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111)에 담겨 있는 음료를 섭취함에 따라, 음료의 무게에 변화가 발생되고, 이로 인한 용기 본체(111)의 상하 위치 변화를 전기 신호로 검출한다.When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strain gauge 4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see 121 in FIG. 1)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120. As the user consumes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1, the strain gauge 432 causes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detects a change in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container body 111 as an electrical signal. .

최초, 용기 본체(111)에 음료가 담기면, 음료의 무게에 의해 용기 본체(111)가 하강하게 되고,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이러한 용기 본체(111)의 위치 변화를 전기 신호로 검출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용기 본체(111)에 담겨 있는 음료를 일정량 마시게 되면, 음료의 무게 변화에 의해 용기 본체(111)가 상승하게 되고, 스트레인 게이지(432)는 이러한 용기 본체(111)의 위치 변화를 전기 신호로 검출하게 된다.First, when a beverage is put in the container body 111, the container body 111 is lowered by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strain gauge 432 detects the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body 111 as an electrical signal. . In addition, when the user drinks a certain amoun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111, the container body 111 is raised by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he strain gauge 432 changes the position of the container body 111 Is detected as an electrical signal.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500)는 받침대 모듈(140) 및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9 and 10,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include a pedestal module 140 and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받침대 모듈(140)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 모듈(110)이 거치되는 장치이다. 여기서, 용기 모듈(110)은 커버 모듈(120)이 상단에 결합된 형태로 받침대 모듈(140)에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 모듈(110)과 커버 모듈(1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모듈(110)과 커버 모듈(120)과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 또한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용기 모듈(110)과 커버 모듈(1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용기 모듈(110)과 커버 모듈(120)은 단순히 음료를 담는 텀블러 기능만을 갖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pedestal module 140 is a device in which a container module 110 formed in a form capable of holding a beverage is mounted. Here, the container module 110 may be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in a form in which the cover module 120 is coupled to an upper end. The container module 110 and the cover module 1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tainer module 110 and the cover module 1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ccordingly, the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example (230 in FIG. 4) may also be provided in the same manner. In addition, the container module 110 and the cover module 120 may be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n FIG. 4)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That is, the container module 110 and the cover module 120 may be provided in a form having only a tumbler function for simply holding a beverag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받침대 모듈(140)에 구비된다. 이러한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음료의 상태 중에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53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the pedestal module 140.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measur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 the state of the beverage.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음료의 상태, 즉,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 값에 기반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용기 모듈(110) 측에 구비되어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과는 별개로 음료의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는 양측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 및 도 4의 230)로부터 음료의 수위 및 무게를 측정한 값을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P)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communicates with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this,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enabl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state, that is,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based on a measured weight of the beverage, to be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terminal P. At this time,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530 measur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separately from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n FIG. 4), which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module 110 side and measures the level of the beverage, and manages beverage intake. It transmits to the server 600. Accordingly,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of the level and weigh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s 530 and 230 of FIG. 4 on both sides, and based on this, the user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It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P),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0을 참조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은 무게 센서(531), 통신부(532), 전원부(533) 및 제어부(53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53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eight sensor 531, a communication unit 532, a power supply unit 533, and a control unit 534.

무게 센서(531)는 받침대 모듈(140)에 구비된다. 무게 센서(531)는 용기 모듈(110)이 거치되는 받침대 모듈(140)의 거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무게 센서(531)는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용기 모듈(110)의 무게를 센싱하고, 센싱된 신호를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통신부(532)에 전달한다. 이러한 무게 센서(531)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무게 센서(도 4의 332)와 동일한 역할과 작용을 하는 저울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eight sensor 531 is provid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The weight sensor 531 may be provided on a mounting surface of the pedestal module 140 on which the container module 110 is mounted. The weight sensor 531 senses the weight of the container module 110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transmits the sensed signal to the communication unit 532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Since the weight sensor 531 may be provided as a scale that has the same role and function as the weight sensor (332 in FIG. 4)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통신부(532)는 받침대 모듈(140)에 장착된다. 통신부(532)는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이를 통해, 통신부(131)는 무게 센서(531)로부터 전달되는 음료의 무게에 대한 측정 값을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에 전송한다.The communication unit 532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The communication unit 532 is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is, the communication unit 131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of the weight of the beverage transmitted from the weight sensor 531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전원부(533)는 받침대 모듈(140)에 장착된다. 전원부(533)는 무게 센서(531) 및 통신부(532)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러한 전원부(533)는 충,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원부(533)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용기 모듈(110)의 하측에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의 전원부(도 3의 234)가 내장되어 있는 경우, 이 전원부(도 3의 234)를 무선 충전하는 전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33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The power supply unit 533 applies power to the weight sensor 531 and the communication unit 532. The power supply unit 533 may be provided as a battery capable of charging and discharging.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unit 533,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unit (234 of Fig. 3) of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n Fig. 4) is built under the container module 110, this It can act as a power sourc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power supply unit (234 in FIG. 3).

제어부(534)는 무게 센서(531)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34)는, 용기 모듈(110)이 받침대 모듈(140)에 거치되는 경우, 무게 센서(531)를 작동시켜, 음료가 담겨 있는 용기 모듈(110)의 무게를 센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5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eight sensor 531. When the container module 110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the control unit 534 may control to sense the weight of the container module 110 containing the beverage by operating the weight sensor 531.

용기 모듈(110)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와 같은 음료의 수위를 측정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이 구비되고, 받침대 모듈(140)에 음료의 무게를 측정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530)이 구비되면, 용기 모듈(110)을 휴대하고 다닐 경우에는 음료의 수위를 기반으로 산출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모듈(110)에 구비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4의 230)의 전원 충전을 위해, 용기 모듈(110)을 받침대 모듈(140)에 거치시킨 경우에는 음료의 무게를 기반으로 산출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ainer module 110 is provided with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n FIG. 4) that measures the level of beverage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measur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 the base module 140 When the module 530 is provided, when carrying the container module 110,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calculated based on the level of the beverag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module 110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140 for power charging of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230 in FIG. 4) provid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the calculat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beverag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beverage intak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한편, 용기 모듈(110)이 음료를 담는 텀블러로서의 기능만 하도록 구비된 경우, 단순히 용기 모듈(110)을 받침대 모듈(140)에 거치시키는 동작을 통해,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무게를 기반으로 음료의 섭취량을 산출할 수 있고, 이렇게 산출된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ainer module 110 is provided to function only as a tumbler for containing beverag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s simply performed by mounting the container module 110 on the pedestal module 140 Based on,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calculated beverage intake amount to the use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도 1의 100, 도 3의 200, 도 5의 300, 도 7의 400 및 도 9의 500),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구비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2의 130, 도 4의 230, 도 6의 330, 도 8의 430 및 도 10의 530)의 통신부(도 2, 도 4, 도 6 및 도 8의 131 및 도 10의 532)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하며, 이 측정 값을 기반으로 산출한 음료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P)에 전송하여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제공한다.As shown in Figure 11,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100 of FIG. 1, 200 of FIG. 3, 300 of FIG. 5, 400 of FIG. 7 and 400 of FIG. 500), more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unit (FIG. 2, in FIG. 2, in more detail) of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130 of FIG. 2, 230 of FIG. 4, 330 of FIG. 6, 430 of FIG. It is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with 131 in FIGS. 4, 6 and 8 and 532 in FIG. 10), and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beverage from them, and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P to provide it to a user who uses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0)는 수신부(610), 제1 처리부(620), 제2 처리부(630) 및 송신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unit 610, a first processing unit 620, a second processing unit 630 and a transmitting unit 640.

수신부(610)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유 ID가 부여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610)는 용기가 거치되는 받침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유 ID가 부여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한다. 이때, 수신부(61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음료의 수위 또는 무게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음료의 무게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610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in the form of a container that can hold a beverage and is assigned a unique ID. In addition, the receiving unit 610 receives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a beverage from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made in the form of a pedestal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At this time, the receiving unit 610 may receive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level or weight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everag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the beverage may be received from the intake management device.

제1 처리부(620)는 음료의 상태 측정 값을 수신부(610)에 전송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ID를 식별한다. 그리고 제1 처리부(620)는 현재 수신부(610)에 수신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ID와 동일한 ID로 저장되어 있는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데이어베이스(DB)로부터 추출한다.The first processing unit 620 identifies the ID of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that has transmitted the measured value of the beverage state to the receiving unit 610. In addition, the first processing unit 620 extracts a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stored in the same ID as the ID of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currently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610 from the database DB.

제2 처리부(630)는 상기 ID로 현재 수신된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과 상기 ID로 직전에 수신되어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어 있는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 간의 변화량을 연산하고, 이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ID를 갖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에 대한 음료 섭취량을 산출한다.The second processing unit 630 calculates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currently received as the ID and the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that is immediately received with the ID and stored in the database DB. A beverage intake amount for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having the ID is calculated based on the change amount.

송신부(640)는 산출된 음료의 섭취량을 상기 ID를 갖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한다. 이때, 송신부(640)는 음료의 섭취량을 ㏄ 또는 ㎖ 와 같은 수치적인 단위로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640)는 직전 음료 섭취량과 현재 음료 섭취량을 수치적으로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할 수 있고, 설정 기간, 예컨대, 시간당 또는 하루 단위의 음료 섭취량에 대한 이력을 수치적으로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송신부(640)는 시간대별 음료 섭취량, 하루 단위의 음료 섭취량을 차트나 다이어그램 또는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형태로 이미지화하여 사용자 단말(P)에 송신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unit 640 transmits the calculated beverage intake amount to the user terminal P using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having the ID.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unit 640 may transmit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to the user terminal P in numerical units such as cc or ml.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640 may numerically transmit the immediately previous beverage intake and the current beverage intake to the user terminal P, and numerically record the history of the beverage intake per set period, for example, per hour or per day. You can send it to (P).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unit 640 may image the beverage intake amount by time slot and the beverage intake amount per day in a form such as a chart, diagram, or animation, and transmit the image to the user terminal P.

사용자 단말(P)은 송신부(640)로부터 음료의 섭취량이 송신되면, 예컨대, 소리 또는 진동 형태의 알람을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When the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i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unit 640, the user terminal P may recognize this to the user through, for example, an alarm in the form of sound or vibr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의 음료 섭취량 관리 실행 단계를 순차적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steps of executing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in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음료 섭취량 관리는 매체에 저장된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Beverage intake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체에 저장된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은, 로그인 단계(S110), ID 부여 단계(S120), 모드 선택 단계(S130) 및 음료 섭취량 확인 단계(S140)를 실행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2,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may execute a login step (S110), an ID assignment step (S120), a mode selection step (S130), and a beverage intake check step (S140).

먼저, 로그인 단계(S110)는 사용자가, 다운 받은 음료 섭취량 관리 앱(app) 또는 접속된 음료 섭취량 관리 웹 사이트에 로그인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First, the login step S110 may be executed so that the user logs in to a download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 or a connect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website.

다음으로, ID 부여 단계(S120)는 사용자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또는 용기가 거치되는 받침대 형태로 이루어진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시리얼 넘버를 입력하여 사용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고유 ID를 부여 받도록 실행될 수 있다. 이때, ID 부여 단계(S120)는 로그인 단계(S110) 실행 전, 회원가입 단계에서 실행될 수 있다.Next, the ID assignment step (S120) is to allow the user to input the serial number of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form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for holding a beverage or a stand on which the container is mounted and receive a unique ID of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used. Can be implemented. In this case, the ID granting step (S120) may be performed before the login step (S110) is executed, during the membership registration step.

다음으로, 모드 선택 단계(S130)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음료 섭취량 제한 모드 및 목표량 섭취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단계(S130)에서는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사용자인 경우, 음료 섭취량 제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루 최대 음료 섭취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드 선택 단계(S130)에서는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해 하루 소정량의 물을 섭취하고자하는 사용자인 경우, 목표량 섭취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모드 선택 단계(S130)는 사용자가, 하루 단위의 음료 섭취 목표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실행될 수 있다.Next, the mode selection step S130 may be executed so that the user selects one of a beverage intake limit mode and a target amount intak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For example, in the mode selection step S130, in the case of a user suffering from chronic renal failure, a beverage intake limit mode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user can set the maximum amount of beverage intake per day. In addition, in the mode selection step S130, when a user who wants to consum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a day for health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a target amount intake mode may be selected. In this case, the mode selection step S130 may be executed so that the user may set a target amount of beverage intake per day.

다음으로, 음료 섭취량 확인 단계(S140)는 사용자가, 선택된 모드에서 화면에 출력되는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될 수 있다.Next, the beverage intake checking step S140 may be execu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beverage intake amount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e selected mode in real time.

사용자가, ID가 부여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음료를 마시고 난 후, 용기 모듈(도 1의 110)에 커버 모듈(도 1의 120)을 결합하거나 용기 모듈(도 9의 110)을 받침대 모듈(도 9의 140)에 거치하게 되면, 음료 상태 관리 모듈(도 2의 130 및 도 10의 530)에 의해 용기 모듈(110)에 담겨 있는 음료의 수위나 무게가 측정되고, 측정된 측정 값은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60)에 전송되어, 음료 섭취량으로 산출되어 사용자 단말(P)에 전송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료 섭취량 확인 단계(S140)를 통해, 이와 같이 전송된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만성신부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의 경우, 자신이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물을 포함하는 음료의 섭취량을 제한하거나 조절할 수 있게 된다.After the user drinks a beverage using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assigned an ID, the cover module (120 in FIG. 1)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110 in FIG. 1) or the container module (110 in FIG. 9) is supported. When mounted on the module (140 in FIG. 9), the level or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110 is measured by the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130 in FIG. 2 and 530 in FIG. 10), and the measured value Is transmitted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60, calculated as the beverage intake,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P.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transmitted beverage intake in real time through the beverage intake checking step (S140). As a result, in the case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renal failure,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how much water they drank, thereby limiting or controlling the intake of beverages containing water.

또한,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해 하루 소정량의 물을 섭취하고자하는 사람들의 경우, 정확한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물을 섭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건강관리나 미용 또는 근손실 예방을 위한 물 섭취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결국,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eople who want to consume a certain amount of water a day for health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the exact amount of intake can be checked in real time, allowing a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intake of water.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consume water for management, beauty or muscle loss prevention, and eventually, the intended purpose can be achieved.

여기서, 사용자 단말(P)은 예컨대, 스마트폰일 수 있고,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은 스마트폰에 저장될 수 있고, 앱 형태로 구현되어 상기의 단계들을 실행시킬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P may be, for example, a smartphone, and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program may be stored in the smartphon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 to execute the above step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프로그램은, 어떠한 전자기기에도 적용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들에 따른 음료 상태 관리 프로그램은 스마트 폰에 적용 구동될 수 있다.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ny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program according to exemplary embodiments may be applied and driven to a smart phon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ose who have acquired ordinary knowledge in this technical field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110; 용기 모듈
120; 커버 모듈
130; 음료 상태 관리 모듈
140; 받침대 모듈
600;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100;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110; Vessel module
120; Cover module
130; Beverage Condition Management Module
140; Pedestal module
600;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Claims (12)

음료를 담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용기 모듈;
상기 용기 모듈의 개구된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 모듈의 내부를 밀폐하는 커버 모듈;
상기 용기 모듈에 담겨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하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음료의 상태 측정 값에 기반한 상기 음료의 섭취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게 하는 음료 상태 관리 모듈; 및
상기 용기 모듈이 거치되는 받침대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 또는 상기 커버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에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전송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받침대 모듈에 장착되고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에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전송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용기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제1 전원부; 및
상기 받침대 모듈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통신부에 전원을 인가하되, 상기 용기 모듈이 상기 받침대 모듈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전원부를 무선 충전하는 제2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 모듈에 대한 상기 용기 모듈의 거치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통신부와 상기 제2 통신부가 선택적으로 작동하되,
상기 용기 모듈이 상기 받침대 모듈로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통신부가 작동하고,
상기 용기 모듈이 상기 받침대 모듈에 거치된 경우에는 상기 제2 통신부가 작동하며,
상기 음료의 상태는 상기 음료의 무게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 모듈은,
상단이 개구되며, 내측에 상기 음료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구비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수용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용기 외피를 포함하며,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 및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과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는 상기 용기 외피의 상측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 외피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용기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밴드;
상측에 상기 용기 본체의 하측이 접촉되도록 상기 용기 외피의 내측 바닥면에 배치되며, 상기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용기 본체의 무게를 센싱하는 제1 무게 센서; 및
상기 용기 모듈이 거치되는 상기 받침대 모듈의 거치면에 구비되며, 상기 음료의 무게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용기 모듈의 무게를 센싱하는 제2 무게 센서를 더 포함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Container module made in a form capable of holding a beverage;
A cover module coupled to the opened upper end of the container module to seal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module;
A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that measures the state of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ontainer module and communicates with a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beverage intake amount based on the beverage state measurement value to a user; And
Including: a pedestal module on which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A first communication unit mounted on the container module or the cover module,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to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A second communication unit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connected to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 measured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to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server;
A first power unit provided in the container module and applying power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It is provided in the pedestal module and applies power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but includes a second power supply unit for wirelessly charging the first power supply when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selectively operate depending on whether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When the container module is separated from the pedestal module,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perates,
When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on the pedestal modu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operates,
The state of the beverage includes the weight of the beverage,
The container module,
A container body having an open upper end and a receiving space for receiving the beverage therein;
It includes a container shell provided in a form to accommodate the container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t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facing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container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is slid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ide of the container shell. Elastic band;
A first weight sensor dispos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shell so that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ide, and senses the weight of the container body changed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And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second weight sensor provided on a mounting surface of the pedestal module on which the container module is mounted, and sensing the weight of the container modul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bever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상태 관리 모듈은 상기 용기 모듈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 모듈에 상기 커버 모듈의 결합 시 상기 커버 모듈에 구비되는 접속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게 센서는 상기 전극 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 통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verage state management module is installed in the container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electrod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ver module when the cover module is coupled to the container module,
The weight sensor is a beverage intake management device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via the electrode memb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고유 ID가 부여된 제1항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음료의 상태를 측정한 측정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ID를 식별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ID와 동일한 ID로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을 추출하는 제1 처리부;
상기 ID로 현재 수신된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과 상기 ID로 직전에 수신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음료의 상태에 대한 측정 값 간의 변화량을 기반으로 상기 음료의 섭취량을 산출하는 제2 처리부; 및
산출된 상기 음료의 섭취량을 상기 ID가 부여된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음료 섭취량 관리 서버.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measurement value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e of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to which a unique ID is assigned;
A first processing unit for identifying the ID and extracting a measurement value for the state of the beverage stored with the same ID as the ID from a database;
A second process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based on a change amount between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beverage currently received as the ID and the measured value of the state of the beverage that is received immediately before the ID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Beverage intake management server comprising; a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intake amount of the beverage to a user terminal of a user using the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aratus assigned with the ID.
로그인 모듈이, 사용자로 하여금 다운 받은 음료 섭취량 관리 앱 또는 접속된 음료 섭취량 관리 웹 사이트에 로그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로그인 단계;
ID 부여 모듈이, 사용자로 하여금 제1항에 따른 음료 섭취량 관리 장치의 시리얼 넘버를 입력하여 고유 ID를 부여 받을 수 있도록 실행되는 ID 부여 단계;
모드 선택 모듈이, 사용자로 하여금 화면에 표시되는 음료 섭취량 제한 모드 및 목표량 섭취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모드 선택 단계; 및
음료 섭취량 확인 모듈이,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된 모드에서 화면에 출력되는 음료 섭취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실행되는 음료 섭취량 확인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음료 섭취량 관리 프로그램.
A login step in which the login module is executed so that the user can log in to the download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app or the connected beverage intake management website;
An ID assigning step performed by the ID assigning module to allow a user to input a serial number of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receive a unique ID;
A mode selection step in which the mode selection module is executed to allow a user to select one of a beverage intake limit mode and a target amount intake mod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Beverage intake amount checking step, which is execu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beverage intake amount displayed on the screen in real time in the selected mode; the beverage intake amount management program stored in the medium to execute.
KR1020190156835A 2019-11-29 2019-11-29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KR102187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35A KR102187221B1 (en) 2019-11-29 2019-11-29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835A KR102187221B1 (en) 2019-11-29 2019-11-29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221B1 true KR102187221B1 (en) 2020-12-04

Family

ID=7377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835A KR102187221B1 (en) 2019-11-29 2019-11-29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2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6297A1 (en) * 2021-10-14 2023-04-14 Cibus Vivendi S R L Start Up Costituita A Norma Dell ’Art 4 Comma 10 Bis Del D L 24/01/2015 N CONTAINER AND KIT CONFIGURED TO IMPLEMENT A DIETARY PROTOCOL BY AN INDIVIDUAL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DIETARY PROTOCOL THROUGH SAID K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3061A (en) * 2009-07-08 2012-12-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iquid volume in a container
KR20140020197A (en) * 2012-08-08 2014-02-18 타이완 고멧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Water drinking reminding system and reminding method thereof
KR20160039891A (en) * 2014-10-02 2016-04-12 최덕진 System for measuring intake of drinkable liquid and method thereo using same
KR20160083078A (en) * 2013-11-07 2016-07-11 써모스 엘.엘.씨.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KR20190107912A (en) * 2018-03-13 2019-09-23 (주)뷰티화장품 Display device for remaining amount in cosmetic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3061A (en) * 2009-07-08 2012-12-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iquid volume in a container
KR20140020197A (en) * 2012-08-08 2014-02-18 타이완 고멧 테크놀러지 코., 엘티디 Water drinking reminding system and reminding method thereof
KR20160083078A (en) * 2013-11-07 2016-07-11 써모스 엘.엘.씨. System for managing fluid container contents
KR20160039891A (en) * 2014-10-02 2016-04-12 최덕진 System for measuring intake of drinkable liquid and method thereo using same
KR20190107912A (en) * 2018-03-13 2019-09-23 (주)뷰티화장품 Display device for remaining amount in cosmetic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26297A1 (en) * 2021-10-14 2023-04-14 Cibus Vivendi S R L Start Up Costituita A Norma Dell ’Art 4 Comma 10 Bis Del D L 24/01/2015 N CONTAINER AND KIT CONFIGURED TO IMPLEMENT A DIETARY PROTOCOL BY AN INDIVIDUAL AND METHOD FOR IMPLEMENTING SAID DIETARY PROTOCOL THROUGH SAID K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980B2 (en) Beverage container
CA2969844C (en) A system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hydration and for the contextual dispensing of additives
CN106724604B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intellectual cup and its health management system arranged
CN110072448B (en) System for monitoring fluid intake of a user and method of operating a system
US9677923B1 (en) Universal device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fluid consumption and method using same
US947991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0617805B2 (en) Fluid measuring reservoir for breast pumps
KR20180021363A (en) Wireless beverage container for monitoring hydration
US20200197584A1 (en) Fluid measuring reservoir for breast pumps
KR102187221B1 (en) Device for Managing Drink Intake, Server for Managing Drink Intake and Program for Managing Drink Intake
KR101846185B1 (en) Coffee tamper
WO2014058993A2 (en) Case with embedded electronics to provide interface between glucose sensor and smartphone
CN104257205A (en) Intelligent cup based on human body physiological signal health monitoring
KR101730565B1 (en) Smart tumbler and beverage recommend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EP323816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consumption
KR20160007150A (en) Bott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rinking amount of water using the bottle
WO2014147379A1 (en) Weight measurement device and system for enabling the determination and/or monitoring of alcohol consumption
US11619624B2 (en) Health facilitation system, sensor, and health facilitation method
CN105411321A (en) Intelligent cup mat and method for intelligently monitoring drinking situation
KR20150038974A (en) Tumbler possible Capacity Measurement of Contents.
CN109691884A (en) The heating vessel that assortable application program uses
CN108917900A (en) Electronic equipment
US20190360907A1 (en) Multimodal system for estimating the volume and density of a body
CN210095349U (en) Vacuum thermos cup
CN208851133U (en) A kind of novel intelligent co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