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487B1 -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487B1
KR102186487B1 KR1020190169665A KR20190169665A KR102186487B1 KR 102186487 B1 KR102186487 B1 KR 102186487B1 KR 1020190169665 A KR1020190169665 A KR 1020190169665A KR 20190169665 A KR20190169665 A KR 20190169665A KR 102186487 B1 KR102186487 B1 KR 10218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gas station
gas
gaso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기
Original Assignee
권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종기 filed Critical 권종기
Priority to KR1020190169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회원) 및 관리자가 각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은,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들을 일반회원, 주유소 회원(파트너 회원), 관리자로 분류하여 회원가입을 받고, 국제유가 정보 확인, 주유상품권 구매, 주유상품권 선물 및 주유포인트 거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는 구매취소, 환불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Oiling Management System Using Cloud Computing}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유가 정보를 확인하고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와 같은 결제수단을 통해 실시간으로 주유상품권을 구매할 수 있으며, 가까운 주유소와 주유소의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블록체인으로 보안화 된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금융기관 즉, 은행, 카드사 등에서 소비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발행되는 카드는 거래대금을 지불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거래 대금을 추후에 지불하는 신용카드와, 거래가 발생하는 경우 은행의 지정 계좌에서 이체하여 거래대금을 거래와 동시에 지불하는 직불카드와, 일정액을 미리 지불한 후 거래가 발생할때마다 상기 일정액에서 거래 대금을 감산하여 지불하는 선불카드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들은 카드정보를 기록하는 매체에 따라 자기 띠(MS)를 이용한 자기 카드와, IC 칩을 카드에 실장한 후 IC 핀과의 직접 접촉에 의해 카드정보를 프로그래밍 하거나 판독하는 IC 카드와, IC 칩과 고주파(RF) 안테나를 실장하여 카드와의 비접촉된 상태에서 카드정보를 프로그래밍하거나 판독하는 고주파(RF) 카드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주유소에는 주유 탱크와 연결되어 차량에 주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가 배치된다. 이러한 주유기에는 송유 호스를 통해 주유건이 설치되어, 주유원은 차량의 주유구에 주유건을 삽입하여 주유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주유기에 설치되거나 주유기와 연결된 표시 장치에 주유량과 이 주유량에 유류 단가를 곱해서 산출된 주요 비용이 표시된다. 운전자는 표시 장치를 통해 현재 주유 상태를 확인하고 결제를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주유가 완료되면 운전자는 주유원을 통해 현금 결제 또는 신용 카드 등의 지불 수단을 이용하여 주유 금액을 결제하게 된다. 이때, 주유원은 주유소 센터에 위치한 카드 단말 또는 이동이 가능한 카드 단말에 주유 금액을 입력하고, 다수의 가맹점들과 카드사 사이에서 카드 결제와 관련된 결제 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밴(Value Added Network : VAN) 사의 서버(이하, 결제 대행 서버로 통칭함)를 통해 카드사와 연결하여 해당 신용 카드의 사용 승인을 받아 주유 대금을 결제하고, 카드 및 카드 영수증을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그런데 이러한 신용 카드를 이용한 주유 금액 결제 방식에서는 운전자가 자신의 신용 카드를 주유원에게 건네줌으로써 주유원 또는 주유소에 의한 신용 카드의 불법 사용의 위험성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시 주유원은 운전자의 시야에서 사라져 별도의 공간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지불 수단의 도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운전자의 불안을 야기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 주유원의 인건비를 절감하고자 최근에는 셀프 주유소가 소개되었다. 이러한, 셀프 주유소에서는 운전자가 직접 주유와 결제를 수행하게 되므로 지불 수단의 도난 등으로부터 안전할 수는 있으나, 운전자가 직접 주유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결제 단말기의 개발이 지연됨에 따라 셀프 주유 시스템에 대한 서비스 확대에 장애로 나타나고 있다.
예로써, 종래의 셀프 주유 시스템은 현금과 신용카드로 국한되어 있어 셀프 주유를 원하는 사용자가 현금이나 신용카드를 소지하고 있어야만 주유기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신용카드의 경우 무인 주유 서비스시 요구되는 신속성을 확보하기에는 속성상 시간을 지연시키는 요소가 내재되어 있다.
즉, 주유기에 내장되거나 또는 외부 단말기(ODT; out door terminal)에 부착된 신용카드 단말기 사용할 때 카드 단말기에 읽혀진 신용카드 번호와 사용 금액은 카드 발행사와 연결된 통신 선로(일반 전화선 또는 전용선)를 통해 전송되며, 카드 발행사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 사업자는 상기 신용카드의 신용상태나 사용한도 혹은 불량거래 여부를 확인하여 이상이 없을 때 카드 단말기에 승인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나 이 경우 전화선을 사용하는 방식은 많은 시간(수초 내지 수십초)을 소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셀프 주유 시스템에서 현금을 사용하는 경우 주유기내에 보관된 현금의 도난 가능성이 있었으며, 따라서 현금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장비를 도입하는 경우 많은 자금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위폐사용 가능성에 대비하여 정밀한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비용이 급속히 증대되는 단점이 제기되고 있어 최근 확산되고 있는 무인주유 시스템 도입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KR 10-0294761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유가 정보를 확인하고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유상품권을 구매하여 직접 사용하거나 선물할 수 있으며, 가까운 주유소의 위치와 요금 정보를 확인하여 손쉽게 주유 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회원) 및 관리자가 각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은,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들을 일반회원, 주유소 회원(파트너 회원), 관리자로 분류하여 회원가입을 받고, 국제유가 정보 확인, 주유상품권 구매, 주유상품권 선물 및 주유포인트 거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는 구매취소, 환불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스마트폰의 어플을 통해 누구나 손쉽게 주유상품권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가까운 주유소의 위치와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 시 포인트를 적립하여 사용자 간 거래도 가능하도록 하여 접근성을 높이고,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보안성을 높인 효과를 갖는다.
도 1a,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서버 보안 관리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회원 별 접근 권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로그인부터 주유, 포인트 거래의 순서를 보여준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 및 회원가입 화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회원가입/인증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류 시세 화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유류 시세의 차트 화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주유상품권 구매 화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주유상품권 구매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주유상품권 구매시 카드 결제 화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로 오일포인트(OP)를 결제하는 화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포인트로 오일포인트(OP)를 결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오일포인트(OP)를 사용 하는 화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오일포인트(OP)를 사용 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승인요청하여 주유 시 사용자를 확인하는 QR코드 승인화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가까운 주유소를 찾는 화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거래내역 화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는 다수의 양태 및 실시양태가 기술되며, 이들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숙련자는 다른 양태 및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양태의 상세 사항을 다루기 전에, 몇몇 용어를 정의하거나 또는 명확히 하기로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SW 등 ICT(정보통신기술) 자원을 필요할때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제공받아 이용하는 방식이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회원) 및 관리자가 각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은,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들을 일반회원, 주유소 회원(파트너 회원), 관리자로 분류하여 회원가입을 받고, 국제유가 정보 확인, 주유상품권 구매, 주유상품권 선물 및 주유포인트 거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는 구매취소, 환불처리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주유상품권 구매 시 사용자의 카드 정보를 받아 결제하도록 하며, 구매한 주유상품권으로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에서 바로 사용하여 주유가 가능하도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회원 단말기(200)의 GPS 기능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까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유한 스마트폰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와 같이 사용자(K-OIL 회원1~3)들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으로 암호화 된 주유관리시스템에서 다양한 결제 수단(카드결제, 무통장입금, 앱카드 결제, 핸드폰결제,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 등)을 통해 주유상품권(MP, 머니포인트)을 구매하고, 주유포인트(OP)로 전환하여 파트너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시중 은행으로부터 은행 네트워크 및 카드 시스템과 연동하여 은행 신탁 기금 정보를 제공 받아 사용자들은 주유관리시스템을 통해 MP, OP, P2P(포인트간) 거래를 할 수 있다. 특히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를 통해 주유상품권을 구매할 시 종래와는 다르게 실시간으로 거래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은행 네트워크 및 카드 시스템과 연동하여 주유관리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카드를 발급해 실현할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회원 별 접근 권한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도 3과 같이 일반 회원, 주유소(파트너 회원), 관리자에 따라 다른 페이지를 제공한다. 어플리케이션(10)에서 일반 회원은 로그인(SNS연동), 유가시세확인(오피넷 시세, KOIL시세, P2P시세), 주유상품권구매(MP), 주유상품권(MP)을 주유포인트(OP)로 전환, 주유포인트거래(P2P), 주유포인트(OP)주유소에서 실제 주유, 나의거래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주유소 회원은 로그인(파트너ID), 주유포인트 실주유 확인, 주유포인트 거래내역 조회, 주유포인트 정산, 주유포인트 정산내역확인을 할 수 있다. 관리자 회원은 로그인(관리자ID), 회원관리, 주유소관리(파트너관리), P2P거래내역확인, 구매취소처리, 주유소정산내역 확인, 수수료정산 내역 확인, 기타 총거래 내역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일반 회원은 도 4와 같이 로그인, 주유상품권 구매, 보유한 MP를 오일 포인트(OP)로 교환, 가맹된 파트너 주유소에서 오일포인트를 통해 실제 주유, 보유한 OP로 거래소에서 개인간 거래가 가능하다.
다음은 도 5a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10)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회원 단말기(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어플리케이션(10)을 실행하면 도 5a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회원가입 버튼을 눌리면 소셜 로그인과 연동하여 (네이버, 카카오, 페이스북, 구글 등) 로그인 할 수 있고, 혹은 자체 ID와 비밀번호를 받아 회원가입을 받을 수 있다. 그리고 로그인을 한번 하였으면 다음 로그인 시에는 어플리케이션(10) 실행 시 자동으로 로그인이 되는 계정저장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주유관리시스템의 어플리케이션(10)의 회원가입 방법은, 로그인 하는 단계; 회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회원일 경우 회원인증 후 서비스 이용하는 단계; 회원이 아닐 경우 일반회원과 사업자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일반회원 가입 및 회원인증 후 서비스 이용하는 단계; 사업자가입일 경우 사업자인증 후 서비스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은 도 6과 같이 유가시세확인(오피넷 시세, KOIL시세, P2P시세)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오피넷, KOIL, P2P 등의 각 사이트 별 유류 시세를 차트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도 8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주유상품권 구매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의 상단에서 확인할 수 있듯 300,000원은 충전이 된 금액(MP, 머니포인트)이고 이를 통해 주유상품권(OP)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와 같이 금액 충전은 카드번호와 카드비밀번호를 입력받아 결제(카드결제)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과 같이 카드결제, 무통장입금, 앱카드 결제, 핸드폰결제,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 등 다양한 결제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10)으로 주유상품권(OP)을 구매하는 방법은 로그인하는 단계; 회원 인증하는 단계; 주유상품권(OP) 금액을 선택하는 단계; 주유상품권(OP)이 충전되어 있는 금액보다 적은 경우 MP 추가 충전을 요청하는 단계; 금액 선택 후 MP 추가 충전을 하는 단계; MP 추가 충전을 하지 않을 경우 종료되는 단계; 주유상품권(OP) 결제를 연동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주유상품권 구매가 완료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10)으로 MP를 통해 OP를 교환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MP로 OP를 교환하는 기능은 도 10a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 만큼 OP를 교환할 수 있다. MP를 OP로 교환하는 방법은 로그인하는 단계; 회원 인증하는 단계; MP를 확인하는 단계; 보유한 MP가 있을 경우 구매 포인트를 선택하는 단계; 사용자가 MP를 OP로 교환요청하는 단계; 클라우드 서버(100)에서 교환 승인하는 단계; OP가 적립되는 단계; 보유한 MP가 없을 경우 주유상품권 구매 단계로 넘어가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은 OP로 도 11a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를 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a와 같이 보유한 OP를 통해 사용자가 주유하고 싶은 주유량을 주유소에 승인요청할 수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11a의 하단에는 QR코드를 생성할 수 있는 버튼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도 12와 같이 QR코드를 생성하여 파트너 주유소의 직원이 회원 단말기(200)의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주유소 회원(파트너 회원)으로 로그인하여 실제 주유시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도 11b를 참조하여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OP를 사용하여 주유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자면, 파트너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가 이루어진 후 어플리케이션(10)에 로그인 하는 단계; 회원인증하는 단계; OP 보유 시 OP를 사용하는 단계; OP 사용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OP 미보유 시에는 주유상품권을 구매하는 방법을 참조하여 OP를 충전하도록 한다.
또한, 도 13과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소유한 회원 단말기(200)의 GPS 기능을 이용하여 가까운 파트너 주유소를 찾을 수 있다. 이때 화면 상의 주유소를 클릭하면 현재 사용자가 있는 위치와 해당 주유소간의 도로상황을 파악하여 해당 주유소까지 네비게이션 안내를 하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은 도 14와 같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MP, OP를 확인할 수 있고, MP 충전, OP교환, 주유(OP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거래 내역 확인 기능을 갖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사용자의 차량과 블루투스 연동하여, 차량에 남은 유류량, 이동 거리에 따른 기름 소비량을 통해 연비를 계산하는 기능을 더 갖는다.
다음은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에 적용하여 어플리케이션(10)과 클라우드 서버(100) 및 단말기들(200, 300) 간의 통신에 필요한 보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 할 수 있는 서버 보안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서버 보안 관리 장치(400)는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 공격패턴 분석부(40), 차단부(50), 및 연결상태정보 등록부(60)를 포함한다.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는 웹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접속함에 따른 연결상태정보(즉, IP, SSL/TLS 세션 티켓(ST), 웹 세션(WS))와 함께 접속시간 및 연결정책을 테이블 형태로 저장한다. 다시 말해서, 연결상태 테이블은 네트워크 계층의 IP 정보, 세션 계층의 SSL/TLS 세션 티켓 정보, 및 응용계층의 웹 세션 정보를 포함하며, 연결이 생성된 최근 시간 및 해당 연결에 대한 연결정책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는 웹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에 따라 현재의 연결상태 정보(즉, IP, SSL/TLS 세션 티켓(ST), 웹 세션(WS))를 획득하고,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의 연결상태 테이블의 연결정책이 차단으로 설정된 연결상태정보중에서 상기 획득한 현재의 IP 정보, SSL/TLS 세션 티켓(ST) 정보, 웹 세션(WS)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즉,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는 웹 클라이언트의 연결 요청이 발생하면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의 연결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연결상태정보를 검사한다.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는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에서의 검사 결과 해당 연결이 차단된 연결이 아님에 따라 웹 세션(WS) 재사용 공격여부를 확인한다.
공격패턴 분석부(40)는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에서의 확인 결과 웹 세션(WS) 재사용 공격이 아님에 따라 HTTP 또는 HTTPS 트래픽의 내용을 확인하여 공격패턴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한다. 공격패턴 분석부(40)는 분석에 따라 공격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차단부(50)는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 및 공격패턴 분석부(40)로부터의 결과를 근거로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다시 말해서, 차단부(50)는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로부터 해당 연결이 차단해야 할 연결이라는 검사 결과를 수신하게 되면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차단부(50)는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로부터 웹 세션 재사용 공격이라는 확인 결과를 수신하게 되면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한편, 차단부(50)는 공격패턴 분석부(40)로부터 공격패턴을 수신하게 되면 웹 클라이언트와 웹 서버/웹 어플리케이션 서버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다시 말해서, 차단부(50)는 현재의 연결상태정보인 IP, SSL/TLS 세션 티켓, 및 웹 세션과 연관된 모든 연결을 차단한다고 볼 수 있다.
연결상태정보 등록부(60)는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 및 공격패턴 분석부(40)로부터의 결과를 근거로 현재의 연결상태정보(즉, IP, SSL/TLS 세션 티켓(ST), 웹 세션(WS))를 접속시간 및 연결정책과 함께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에 등록한다. 즉, 연결상태정보 등록부(60)는 연결상태정보 검사부(20)에서의 검사 결과 현재 연결상태정보가 차단된 연결이 아니고 웹 세션 재사용 공격 확인부(30)에서의 확인 결과 웹 세션 재사용 공격이 아니고 공격패턴 분석부(40)에서의 분석 결과 공격패턴이 존재하지 않으면 현재의 연결상태정보(즉, IP, SSL/TLS 세션 티켓(ST), 웹 세션(WS))를 접속시간 및 연결정책과 함께 연결상태 테이블 저장부(70)에 등록한다. 이때, 연결상태정보 등록부(60)는 연결상태 테이블에 현재 연결상태정보와 동일한 연결이 존재하면 시간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연결상태 테이블에 현재 연결상태정보와 동일한 연결이 존재하지 않다면 현재 연결상태정보를 신규 연결로 하여 연결상태 테이블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버(100)는 어플리케이션(10)의 보안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보안 상태를 상기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보안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감시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단말기들(200, 300)에서 실행되기 위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해킹 여부 등을 감시하고, 감시 결과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게임인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게임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된 단말기들(200, 300)에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들(200, 300)의 어플리케이션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자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보안 라이브러리(secure library)가 실행될 수 있다.
보안 라이브러리가 실행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INFAPP)를 추출하여 추출된 속성 정보(INFAPP)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속성 정보(INFAPP)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버전(version) 정보 및/또는 단말기들(200, 300)의 OS(operating system) 정보(예컨대, OS의 종류에 관한 정보 또는 OS의 버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전송된 속성 정보(INFAPP)에 응답하여,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랜덤 함수(random function)를 이용하여 1회성의 원타임 인증기초 정보(BAUTH)를 생성할 수 있다.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단말기들(200, 300)을 해킹하더라도 얻을 수 없다. 또한,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는 1회성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동일한 인증 기초 정보를 반복해서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생성된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를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기들(2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S16).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라이브러리는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코드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인증 정보(AAUTH)를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 인증 정보(AAUTH)를 암호화하여 원타임 인증 정보(AAUTH')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인증 정보(AAUTH)의 기초가 되는 정보 중 일부인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로써 단말기들(200, 300)의 로컬(local) 정보만으로는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를 만들어 낼 수 없다. 또한, 원타임 인증 기초 정보(BAUTH) 및 원타임 인증 정보(AUTH')는 단방향 암호화(one-way encryption)에 따라 1회성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복호화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보안 라이브러리는 해시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인증 정보(AAUTH)를 암호화할 수 있다.
단말기들(200, 300)은 원타임 인증 정보(AAUTH')를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전송된 원타임 인증 정보(AAUTH')에 기초하여,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증할 수 있다. 이때 원타임 인증 정보(AAUTH')에 기초하여 인증 시,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전송된 속성 정보(INFAPP)가 이용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인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인증 확인 코드(RAUTH)를 단말기들(200, 300)와 서비스 제공 서버 각각으로 전송할 수 있다(S24와 S26).
단말기들(200, 300)의 보안 라이브러리는 상기 보안 라이브러리의 인증을 위해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 확인 코드(RAUTH)를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인증 확인 코드(RAUTH)와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전송된 인증 확인 코드(RAUTH)가 서로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즉, 비교 결과 서로 일치하는 경우, 단말기들(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은 접속 허용된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 : 어플리케이션
100 : 클라우드 서버
200 : 회원 단말기
300 : 관리자 단말기

Claims (5)

  1.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하여 사용자(회원) 및 관리자가 각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주유관리시스템은,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을 클라우드 컴퓨팅을 적용해서 사용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100);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회원 단말기(200)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와 연동하여 사용하는 주유관리시스템 어플리케이션(10)이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300)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들을 일반회원, 주유소 회원(파트너 회원), 관리자로 분류하여 회원가입을 받고, 국제유가 정보 확인, 주유상품권 구매, 주유상품권 선물 및 주유포인트 거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관리자는 구매취소, 환불처리 기능을 더 갖고,

    상기 회원가입으로 된 일반회원의 어플리케이션은,
    블록체인으로 암호화 된 주유관리시스템에서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를 포함한 결제 수단을 통해 주유상품권(MP, 머니포인트)을 구매하고, 주유포인트(OP)로 전환하여 상기 회원가입으로 된 주유소 회원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파트너 주유소에서 실제 주유하도록 하고,
    상기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를 통해 주유상품권을 구매할 시에 은행 네트워크 및 카드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주유관리시스템에서 자체적으로 카드를 발급해 실시간으로 거래하고,
    상기 은행 네트워크 및 카드 시스템과 연동하여 은행 신탁 기금 정보를 제공 받아 각 사용자가 상호 간에 상기 주유관리시스템을 통해 MP, OP, P2P(포인트간) 거래를 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의 차량과 블루투스 연동하여, 차량에 남은 유류량, 이동 거리에 따른 기름 소비량을 통해 연비를 계산하는 기능을 더 가지고,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회원 단말기(200)의 GPS 기능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 위치를 제공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까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클라우드 서버(10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의 보안을 관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는,
    각 단말기(200, 3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보안 상태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보안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해킹 여부를 포함해서 감시 또는 관리하고, 감시 결과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 진행에 필요한 정보를 각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제공하고,
    상기 보안 라이브러리가 실행됨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속성 정보(INFAPP)를 추출하여 추출된 속성 정보를 상기 어플리케이션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구매한 주유상품권으로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에서 바로 사용하여 주유가 가능하도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을 통해 주유상품권 구매 시, 결제수단은 카드결제, 무통장입금, 앱카드 결제, 핸드폰결제, 블록체인 기반 가상화폐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상기 회원 단말기(200)의 GPS 기능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 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10)은,
    사용자가 지정한 범위 내의 상기 주유소 회원의 주유소까지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KR1020190169665A 2019-12-18 2019-12-18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KR10218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65A KR102186487B1 (ko) 2019-12-18 2019-12-18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665A KR102186487B1 (ko) 2019-12-18 2019-12-18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487B1 true KR102186487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665A KR102186487B1 (ko) 2019-12-18 2019-12-18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761B1 (ko) 1998-04-22 2001-07-12 이종인 셀프주유자동결제시스템
KR20120101817A (ko) * 2011-03-07 2012-09-17 김종인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054992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761B1 (ko) 1998-04-22 2001-07-12 이종인 셀프주유자동결제시스템
KR20120101817A (ko) * 2011-03-07 2012-09-17 김종인 주유소 통합관리 시스템
KR20170054992A (ko) * 2015-11-10 2017-05-18 에스케이네트웍스 주식회사 선결제 주유 예약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83323B1 (en) Autonomous devices
CN109416795B (zh) 多方交易的令牌聚合系统
US9390410B2 (en) Automated transaction system and settlement processes
CN104838399B (zh) 使用移动设备认证远程交易
US11068578B2 (en) Subtoken management system for connected devices
US8596528B2 (en) Collaborative negotiation techniques for mobile personal trusted device financial transactions
CN108476227A (zh) 用于设备推送供应的系统和方法
CN106462849A (zh) 用于令牌域控制的系统和方法
US20070266131A1 (en) Obtaining and Using Primary Access Numbers Utilizing a Mobile Wireless Device
CN103186860A (zh) 基于云数据处理技术的电子支付系统
CN106464492A (zh) 网络令牌系统
CN110097360A (zh) 利用旋转应用交易计数器进行安全支付交易
CN105612543A (zh) 用于为移动设备供应支付凭证的方法和系统
US89909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cure network on another secure network
WO2010017493A2 (en) Transaction secured in an untrusted environment
CN103975352A (zh) 可安全充值的电子钱包
CN104272332A (zh) 用于便携式通信设备中动态临时支付授权的系统和方法
CA2792576A1 (en) Trusted internal interface
KR20190043117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지급 결제 서버
KR101638576B1 (ko) 자동차 저당권 설정 등록 방법
US201601407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icketing
KR102186487B1 (ko)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주유관리시스템
CN111047325A (zh) 一种收款系统及方法
KR20190075264A (ko)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분산 트랜잭션 처리 및 트레이딩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20595A (ko) 매체와 인터넷사이트를 이용한 결제 및 충전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