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230B1 -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 Google Patents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230B1
KR102186230B1 KR1020200067984A KR20200067984A KR102186230B1 KR 102186230 B1 KR102186230 B1 KR 102186230B1 KR 1020200067984 A KR1020200067984 A KR 1020200067984A KR 20200067984 A KR20200067984 A KR 20200067984A KR 102186230 B1 KR102186230 B1 KR 10218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ody case
main body
leakage
oil pipe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영
홍정환
Original Assignee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명엔터프라이즈, 현대오일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동명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20006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 G01M3/0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 G01M3/0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observing bubbles in a liquid poo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valv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로 유류를 이송하는 송유배관에 설치되되, 주유장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만 유류가 이송되게 하는 체크밸브(20);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사이트글라스(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 등에서 사용되는 주유장치로 유류가 공급되는 송유배관의 누유 위치와 관계없이 누유 발생 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누유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An oil pipeline leakage monitoring complex for soil pollu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유소 등에서 사용되는 주유장치로 유류가 공급되는 송유배관의 누유 위치와 관계없이 누유 발생 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유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유소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 및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로 유류를 공급하는 송유배관은 보통 지하에 매설되어 있다.
지하에 매설된 송유배관은 오랜 시간이 경과하면 크랙 등으로 인해 유류가 누설될 염려가 높아 이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된 바 있다.
대표적인 종래기술의 송유배관 누유 감지장치는 유류저장탱크와 주유장치를 연결하는 송유배관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계를 설치함으로써, 송유배관 내부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누유 여부를 검출하였으나, 검출 정밀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특히 대량 누유로 인하여 압력 변화가 큰 경우에만 검출이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누유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체크밸브(20)가 송유배관과 유류저장탱크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주유소 관리자가 누유 여부를 즉각 확인하기 곤란한 단점도 있다.
특히 누유 지점이 유류저장탱크와 인접한 지점이 아니라, 주유장치와 인접하는 경우에 종래기술의 송유배관 누유 감지장치로는 누유 감지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고 그로인한 누유 발생의 지속으로 인해 경제적 손실 뿐만 아니라, 누유로 인한 주변 토양의 심각한 오염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 제20-0398442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유배관의 누유 위치에 관계없이 송유배관의 누유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한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는,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로 유류를 이송하는 송유배관에 설치되되, 주유장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만 유류가 이송되게 하는 체크밸브(20);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사이트글라스(3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케이스(10)는,
본체케이스(10)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부(101);
상기 중공부(101)의 상측 개구부에 형성되되, 중공부(101)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20)가 설치되는 제1설치공(102);
상기 중공부(101)와 연통되게 일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트글라스(30)가 설치되는 제2설치공(103);
본체케이스(10)를 상하로 관통하게 중공부(1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송유배관에 본체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 체결볼트가 투입되는 통공부(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체크밸브(20)는,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만 유류가 이송되도록 몸체(201), 고정판(202), 디스크(203), 스프링(204)을 포함하되, 상기 디스크(203) 저면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원추형돌부(203a);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은 몸체(201)의 저면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의 단면 각도(a)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에는 테프론 계열의 불소수지로 형성된 저마찰코팅층(203b)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는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컨트롤러(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센서수단(40);
상기 센서수단(4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누유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컨트롤러(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소 등에서 사용되는 주유장치로 유류가 공급되는 송유배관의 누유 위치와 관계없이 누유 발생 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송유배관의 누유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소하고, 제작비가 저렴하여 설치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적을 뿐만 아니라, 기존 설치된 주유소 등의 주유장치에 쉽게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활용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주유장치의 잦은 펌프 구동 상황에서도 누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우 미세한 누유가 발생하여도 정밀하고 안정적인 누유 감지가 가능함으로써 주유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시설에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는 주유장치로 유류가 공급되는 송유배관의 누유 위치와 관계없이 누유 발생 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본체케이스(10), 체크밸브(20), 사이트글라스(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케이스(10)는 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되 체크밸브(20), 사이트글라스(30)가 설치되도록 중공부(101), 제1설치공(102), 제2설치공(103), 통공부(104)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부(101)는 본체케이스(10)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설치공(102)은 중공부(101)의 상측 개구부에 형성되되, 중공부(101)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설치공(102)에는 체크밸브(20)가 설치된다.
상기 제2설치공(103)은 중공부(101)와 연통되게 일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설치공(103)에는 사이트글라스(30)가 설치된다.
상기 통공부(104)는 본체케이스(10)를 상하로 관통하게 중공부(1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본체케이스(1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통공부(104)를 이용해 본체케이스(10)를 송유배관에 연결 설치하게 된다.
즉, 유류저장탱크와 주유장치 간을 연결하는 송유배관에 있어서, 주유장치 내부로 투입되어 주유장치 내부에 위치하는 주유펌프 하부에 연결되는 송유배관의 단부를 소정 길이로 분할한 후, 분할된 상부배관(c1)과 하부배관(c2)에 각각 상부플랜지(p1)와 하부플랜지(p2)를 형성한 후, 상부플랜지(p1)를 본체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시키고, 하부플랜지(p2)를 본체케이스(10)의 저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부플랜지(p1), 통공부(104), 하부플랜지(p2)가 관통하도록 체결볼트를 투입한 후 체결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송유배관에 본체케이스(10)가 설치된다.
상기 체크밸브(20)는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만 유류가 이송되도록 몸체(201), 고정판(202), 디스크(203), 스프링(204)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201)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환상의 링 형상으로 되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 바닥면과 몸체(201)의 저면 간에는 기밀성 향상을 위하여 오링(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202)은 몸체(201)의 유로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되, 고정판(202)과 유로의 내주면 간에는 유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통과홈(202a)이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다.
상기 디스크(203)는 몸체(201)의 유로 내부 하측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며, 디스크(203)에 의해 몸체(201) 하부의 밸브시트(20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디스크(203)의 외경은 밸브시트(201a)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04)은 디스크(203)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고정판(202)과 디스크(203)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송유펌프의 가동에 의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 유압이 발생하면 디스크(203)가 유압에 의해 상승하면서 스프링(204)이 압축됨에 따라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 유류가 이송된다.
반면, 송유펌프의 가동이 멈추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의 유압이 소멸됨에 따라 압축되었단 스프링(204)이 복원되면서 디스크(203)가 하강하여 체크밸브(20)가 폐쇄된다.
상기 사이트글라스(30)는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0)의 제2설치공(10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중앙에는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 또는 다량의 기포가 모여 형성된 에어포켓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구비된다.
이상과 같이 된 본 발명은 유류저장탱크와 주유장치 간을 연결하는 송유배관에 크랙 등이 원인이 되어 누유가 발생하면 누유되는 부위로 공기가 유입되고 그 유입된 공기에 의해 발생한 기포는 유류보다 밀도가 낮아 기액이 분리되면서 송유배관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유류저장탱크는 지중에 설치되고, 주유장치는 지상에 설치됨으로써 기포는 주유장치 쪽으로 이동하다가 본체케이스(10)의 중공부(101) 내부에 모이게 되며, 다량의 기포가 모이면 에어포켓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유장치 관리자는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된 사이트글라스(30)를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중공부(101)에 기포나 에어포켓이 있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송유배관의 크랙 발생 여부를 즉각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체케이스(10)는 주유장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주유장치 관리자가 더욱 쉽고 간편하게 사이트글라스(30)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송유배관의 크랙 발생 여부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게 되어 송유배관의 크랙으로 인한 누유 발생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예기치 못한 송유배관 누류를 최소화하고,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 및 토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체크밸브(20)의 디스크(203) 저면에는 하방으로 볼록한 원추형돌부(203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추형돌부(203a)는 몸체(201) 하부의 밸브시트(201a)를 관통하여 중공부(101) 위치함으로써 중공부(101) 내에 기포가 모이면, 원추형돌부(203a)에 의해 중공부(101) 내의 기포가 중공부(101)의 가장자리로 모임에 따라 본체케이스(10)의 측벽에 설치되는 사이트글라스(30)에 기포가 더 보일 뿐만 아니라, 미세한 기포까지도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송유배관의 미세 크랙에 의해 미세 기포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미세 크랙이 커지면서 누유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은 몸체(201)의 저면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의 단면 각도(a)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20)는 본체케이스(10)가 설치되는 주유장치의 설치상태 또는 본체케이스(10)의 설치 상태에 따라서 지면에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그 기울어진 각도는 최대 5°를 넘지 않는다.
따라서 주유장치나 본체케이스(10)가 최대 5°까지 기울어진 상태를 가정하여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을 몸체(201)의 저면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의 단면 각도(a)로 형성하면, 주유장치나 본체케이스(10)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더라도 중공부(101) 내의 기포가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을 타고 중공부(101)의 가장자리로 모이게 됨으로써 사이트글라스(30)를 이용한 기포의 식별 또는 센서수단(40)을 이용한 기포의 감지가 더욱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에는 테프론 계열의 불소수지로 형성된 저마찰코팅층(203b)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203)의 저면에 원추형돌부(203a)가 형성되더라도 중공부(101) 내에 유류가 가득 찬 상태에서 중공부(101) 내부에 잔존하는 기포는 원추형돌부(203a)의 표면에 부착되면서 중공부(101)의 가장자리로 모이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의 마찰력에 의한 것으로서 마찰력이 높으면 기포의 쉽게 부착되고, 마찰력이 낮을수록 기포가 쉽게 부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테프론 계열의 불소수지를 이용하여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에 소정 두께로 저마찰코팅층(203b)을 형성함으로써 저마찰코팅층(203b)에 의해 경사면의 마찰력이 현저히 저하되면서 경사면에 기포가 부착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기포가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중공부(101)의 가장자리에 더욱 쉽게 모이게 된다.
또한, 송유펌프의 가동에 의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 유류가 이동할 때, 디스크(203) 저면의 원추형돌부(203a)에 의해 유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함으로써 유류가 더욱 신속하게 체크밸브(20)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는 센서수단(40), 컨트롤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수단(40)은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의 중공부(101) 내의 기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컨트롤러(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센서수단(40)의 설치를 위해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는 제3설치공(10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센서수단(40)의 감지값을 컨트롤러(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수단을 더 구비함은 물론이다.
상기 센서수단(40)은 기포를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중공부(101) 내의 기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컨트롤러(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컨트롤러(50)는 센서수단(4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누유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표시하되, 누유 여부 판별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누유 판별 시 주유장치 관리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경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주유장치 관리자가 사이트글라스(30)를 이용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 발생 여부를 일일이 확인하지 않더라도, 송유배관의 크랙에 의해 본체케이스(10)의 중공부(101) 내부에 기포가 모이면, 센서수단(40)이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그 감지결과를 컨트롤러(50)에 제공함으로써 컨트롤러(50)에서 기포 발생 여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컨트롤러(50)를 주유장치 관리자의 눈에 쉽게 띄는 주유장치 상부나 사무실 내부 등에 설치함으로써 송유배관의 크랙 발생과 그로 인한 누유 발생을 더욱 신속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A: 유류저장탱크 B: 주유장치
C: 송유배관 10: 본체케이스
101: 중공부 102: 제1설치공
103: 제2설치공 104: 통공부
20: 체크밸브 201: 몸체
201a: 밸브시트 202: 고정판
202a: 통과홈 203: 디스크
203a: 원추형돌부 203b: 저마찰코팅층
204: 스프링 30: 사이트글라스
40: 센서수단 50: 컨트롤러

Claims (5)

  1.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로 유류를 이송하는 송유배관에 설치되되, 주유장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본체케이스(10);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설치되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만 유류가 이송되게 하는 체크밸브(20);
    상기 본체케이스(1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를 확인할 수 있게 한 사이트글라스(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본체케이스(10)는,
    본체케이스(10)의 중심부에서 상하로 관통되게 소정 직경으로 형성된 중공부(101);
    상기 중공부(101)의 상측 개구부에 형성되되, 중공부(101)의 내경보다 더 큰 내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크밸브(20)가 설치되는 제1설치공(102);
    상기 중공부(101)와 연통되게 일측벽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트글라스(30)가 설치되는 제2설치공(103);
    본체케이스(10)를 상하로 관통하게 중공부(101) 둘레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송유배관에 본체케이스(10)가 설치되도록 체결볼트가 투입되는 통공부(104); 를 포함하고,
    상기 체크밸브(2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환상의 링 형상으로 되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본체케이스(10)의 제1설치공(102)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몸체(201);
    상기 몸체(201)의 유로 내부 상측에 고정 설치되되, 유류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통과홈(202a)이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된 고정판(202);
    상기 몸체(201)의 유로 내부 하측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케 설치되며, 몸체(201) 하부의 밸브시트(201a)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밸브시트(201a)의 내경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된 디스크(203);
    상기 디스크(203)에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고정판(202)과 디스크(203)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04); 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203)는,
    저면에 하방으로 볼록한 원추형돌부(203a); 가 더 구비되되,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은 몸체(201)의 저면을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40°의 단면 각도(a)로 형성되고, 원추형돌부(203a)의 경사면에는 테프론 계열의 불소수지로 된 저마찰코팅층(203b)이 형성되어
    송유펌프의 가동에 의해 유류저장탱크에서 주유장치 방향으로 유류가 이동할 때, 유류의 유동 저항을 최소화하고, 중공부 내에 유류가 가득 찬 상태에서 중공부 내에 잔존하는 기포는 원추형돌부의 경사면을 타고 이동하여 중공부의 가장자리에 쉽게 모이면서 사이트글라스를 통한 식별이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스(10)의 타측면에 설치되어 본체케이스(10) 내부의 기포를 감지하고 그 감지값을 컨트롤러(50)에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센서수단(40);
    상기 센서수단(40)에서 제공되는 감지값에 따라 누유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 결과를 표시하는 컨트롤러(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KR1020200067984A 2020-06-05 2020-06-05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KR102186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84A KR102186230B1 (ko) 2020-06-05 2020-06-05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984A KR102186230B1 (ko) 2020-06-05 2020-06-05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230B1 true KR102186230B1 (ko) 2020-12-03

Family

ID=7377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984A KR102186230B1 (ko) 2020-06-05 2020-06-05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623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42Y1 (ko) 2005-07-14 2005-10-13 메스텍코리아(주) 배관 누유 모니터링 장치
WO2014040028A1 (en) * 2012-09-10 2014-03-13 Dresser, Inc. Filter device with inspection element for a fuel dispensing system
KR20170105264A (ko) * 2016-03-09 2017-09-1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주유배관누설 감지장치
KR101780647B1 (ko) * 2016-01-11 2017-09-21 양근호 유체누출 감지수단을 구비한 배관설비
KR102018835B1 (ko) * 2018-08-21 2019-09-06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주유배관 누설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442Y1 (ko) 2005-07-14 2005-10-13 메스텍코리아(주) 배관 누유 모니터링 장치
WO2014040028A1 (en) * 2012-09-10 2014-03-13 Dresser, Inc. Filter device with inspection element for a fuel dispensing system
KR101780647B1 (ko) * 2016-01-11 2017-09-21 양근호 유체누출 감지수단을 구비한 배관설비
KR20170105264A (ko) * 2016-03-09 2017-09-19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주유배관누설 감지장치
KR102018835B1 (ko) * 2018-08-21 2019-09-06 한국위험물환경기술(주) 주유배관 누설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8124B (zh) 冗余密封管路接头
US8550128B2 (en) Fluid flow control valve with upper bleed port and system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JP2015078838A (ja) 漏洩検知装置
KR102186230B1 (ko) 토양오염 방지를 위한 송유배관 상시 누출감시 복합장치
CN204717182U (zh) 气液密封接头及发动机
CN214502825U (zh) 一种机房用漏水检测报警装置
CN203616064U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CN107942865A (zh) 一种用于阀门地下管网物联网智能控制系统
CN102384352A (zh) 煤气柜活塞自动调平装置
WO1998057077A1 (en) Retrofittable safety shut-off valve for gas or liquid meter
CN107884141A (zh) 一种蝶阀气密性自动检测装置
TWM614733U (zh) 地下油管警示監控裝置
KR20110003335A (ko) 부이-로딩 중 액체 흐름 측정
CN104729805A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CN209012801U (zh) 一种油和天然气管道漏点检测装置
CN204384141U (zh) 一种抑制外浮顶原油储罐一、二次密封空间油气燃爆的装置
CN206920039U (zh) 便于光纤拉曼温度传感器检测管道的布放装置
CN207145720U (zh) 球阀
CN203414191U (zh) 在线插拔热电阻
CN208686975U (zh) 一种防喷防拆卸压力表阀
KR101425301B1 (ko) 대형 밸브용 실란트 피팅의 이중 결합식 설치구조
KR101944887B1 (ko) 가연성 유체 기밀방지구조 및 누설용 탐지장치가 내설된 볼밸브
CN207570735U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TW202032510A (zh) 加油站地下油管零污染警示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