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95B1 -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95B1
KR102185495B1 KR1020190143516A KR20190143516A KR102185495B1 KR 102185495 B1 KR102185495 B1 KR 102185495B1 KR 1020190143516 A KR1020190143516 A KR 1020190143516A KR 20190143516 A KR20190143516 A KR 20190143516A KR 102185495 B1 KR102185495 B1 KR 102185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nalysis
information
mobile phone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희
오상원
백진혁
구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코
Priority to KR1020190143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na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Nur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피부 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진단 정보 및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를 유도할 뿐 아니라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기존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 내지 편의성을 적극 도모하는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설정된 조건 내지 기능이 구비된 케어장치와 휴대전화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100); 휴대전화기기로 피부를 촬영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 및 개인화하는 검사단계(S200);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00);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제공단계(S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Skin Diagnosis and Skin Care Methods}
본 발명은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피부 상태를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진단 정보 및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를 유도할 뿐 아니라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기존과 차별화된 방식으로 제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 내지 편의성을 적극 도모하는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다수의 대중들은 피부의 실체를 모르고 있다. 그저 피부를 눈에 보이는 인체의 표면으로 생각할 뿐이다. 그러나 피부는 체내의 모든 기관 중에서도 가장 큰 기관으로 보호막으로서 경이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인체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막고 체온을 조절해 주며, 해로운 박테리아가 인체에 침입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침입한 박테리아를 죽인다.
피부는 온각에 가장 둔하며 피부의 두께는 인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바, 눈꺼풀 부위가 가장 얇으며 손, 발바닥이 가장 두껍다. 평균적으로 상피 즉 피부 맨 바깥층의 두께는 0.1mm이고, 각질층이라고 하는 상피 맨 바깥층은 노화된 피부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이 피부는 중요 기관 중 하나로 피지의 분비량에 따라 건성, 중성 및 지성의 피부로 구분하고 이외에도 복합성 또는 민감성 피부 등이 존재한다. 특히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는 부위의 피부는 주로 얇은 상피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부위이다.
따라서, 얼굴 피부는 영양분 공급 및 그날의 컨디션에 따라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부위이나 사람들은 정확히 자신의 피부의 문제점을 지각하지 못하고 단순한 추측에 의하여 피부 상황을 고려하기에 이는 피부 관리 정보로써 활용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하며, 피부의 종합적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전문 병원에 내방하는 것은 시간에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많은 제약이 존재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연구가 존재하고 있는 바,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295480000호에는 휴대전화기기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원적외선 LED를 피사부에 조사하여 피부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시스템이 기술되어 있으나, 해당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별도로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았다는 전제 조건 하에서만 가능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에 적합한 피부상태를 확인하지 못하여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수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29548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305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전화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사용자에게 정확한 진단 정보 및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를 유도함과 더불어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은 기설정된 기능이 구비된 케어장치와 휴대전화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100);와, 휴대전화기기로 피부를 촬영하여 해당 정보를 분석 및 개인화하는 검사단계(S200);와,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00);와,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제공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검사단계(S200)는 피부 사진을 촬영 및 해당 사진을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는 1차촬영단계(S210);와, 해당 전자 정보의 분석 및 치료를 유도하는 분석케어단계(S220);와, 치료가 진행된 피부를 촬영하여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고 최초 촬영된 피부의 전자 정보와 상호 간 종합적으로 비교하는 2차촬영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혜택제공단계(S400)는 개인화된 전자 정보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는 개인화단계(S410);와, 추천된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판매 및 배송과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거래단계(S420);를 포함한다.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부톤을 분석하는 피부톤분석단계(S221);와, 모공의 분포 및 빈도를 분석하는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모공의 깊이 및 착색 정도를 분석하는 제2모공분석단계(S223);와, 피부 주름의 깊이를 분석하는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제2모공분석단계(S223)에서는 격자 형태로 분석 영역이 형성되고, 제2모공분석단계는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모공의 깊이를 분석한다.
상기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는 평면 그래프 상에 주름의 깊이를 분석한다.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의 피부톤분석단계(S221), 제1모공분석단계(S222), 제2모공분석단계(S223),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되, 해당 단계들의 결과 값은 순차적 내지 선택적으로 확인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종합적인 피부 상태를 진단하고 사용자에게 정확한 진단 정보 및 그에 따른 적합한 치료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사용자에게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여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시키고, 개인화된 정보를 통해 적절한 치료가 유도됨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 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단계적 흐름 및 그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고, 다양한 실시 예는 흐름도와 별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방법은 기설정된 기능이 구비된 케어장치의 통신모듈이 케어장치와 휴대전화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100);와, 휴대전화기기로 피부를 촬영하여 해당 정보를 휴대전화기기의 제어모듈에서 분석 및 개인화하는 검사단계(S200);와,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제어모듈이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00);와,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휴대전화기기의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한 케어장치가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제공단계(S40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사단계(S200)는 피부 사진을 촬영 및 해당 사진을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는 1차촬영단계(S210);와, 해당 전자 정보의 분석 및 치료를 유도하는 분석케어단계(S220);와, 치료가 진행된 피부를 촬영하여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고 최초 촬영된 피부의 전자 정보와 상호 간 종합적으로 비교하는 2차촬영단계(S230);를 포함함으로써, 장소의 구애받음 없이 휴대전화기기로 정확한 진단을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1차촬영단계(S210)는 휴대전화기기로 촬영을 실시하고, 해당 휴대전화기기의 사양에 따라 요구사항은 달라질 수 있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촬영자에게 소정의 요청사항이 존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혜택제공단계(S400)는 개인화된 전자 정보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며 개인화단계(S410);와, 추천된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판매 및 배송을 제공하고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거래단계(S4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개인화된 정보가 데이터 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의 변화되는 피부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최초 정보인 과거정보와 최근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변화된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하고 그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변화과정 상 미세한 차이도 저장된 정보로 그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고 구매를 유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한층 더 증진시키고 연계된 업체에게 경제적 이득줄 수 있다. 한편, 피부는 적어도 2개월 내지 3개월 이상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바, 상기 거래단계(S420)에 진입한 사용자는 치료기간 동안 화장품이 소모되는 일수를 감안하여 정기적인 구매 및 배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소정의 기간 내에서 주기적으로 사용자에게 기선정된 화장품이 배송될 수 있다. 종국적으로 사용자는 불필요한 정보 검색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천된 화장품을 구매 및 절차 수행에 따른 혜택으로 할인 포인트 내지 별도의 적립금을 받음으로써 경제적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해당 화장품이 소진되기 전 기선정된 화장품을 배송받아 치료 기간의 중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부톤을 분석하는 피부톤분석단계(S221);와, 모공의 분포 및 빈도를 분석하는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모공의 깊이 및 착색 정도를 분석하는 제2모공분석단계(S223);와, 피부 주름의 깊이를 분석하는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제2모공분석단계(S223)에서는 격자 형태로 분석 영역이 구성되고 제2모공분석단계는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모공의 깊이를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종합적인 피부 상태를 정확히 진단할 수 있고 해당 정보를 통해 보다 더 적합한 치료 방법 및 화장품 추천, 치료가 진행될 수 있다.
상술된 설명과 더불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피부진단 및 피부케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1
<표 1> 피부톤 분석
표 1과 같이 상기 피부톤분석단계(S221)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의 분포에 따른 색상 차이의 확인을 위한 웜톤, 네츄럴톤, 쿨톤의 세 영역으로 구분한 기준표가 마련되고, 각 영역당 밝기에 따른 색상 차이에 따라 적어도 10개 이상의 기준이 마련될 수 있다.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2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3
<표 2> 모공분석
표 2와 같이 상기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제2모공분석단계(S223)에서는 격자 형태로 분석 영역이 구성되고 제2모공분석단계는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모공의 깊이를 분석한다. 상기 격자 형태는 정사각 내지 직사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영역은 사용자의 휴대전화기기의 화면크기에 부합될 수 있도록 배치되며, 휴대전화기기 사양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다.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4
<표 3> 주름 깊이 분석
표 3과 같이 상기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는 평면 그래프 상에 주름의 깊이를 분석한다. 해당 그래프는 평면 직선 그래프로 치환될 수 있을 것이다.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5
<표 4> 결과 비교
표 4와 같이 상기 2차촬영단계(S230)는 1차촬영단계(S210)와 분석케어단계(S220)를 진행한 결과를 1차 촬영시 확인한 피부와 비교 검토하는 단계로 진단에 따른 치료를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의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진시킨다.
Figure 112019115461956-pat00006
<표 5> 정보 저장
표 5와 같이 상기 검사단계(S200)을 진행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정보를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설정된 정보 분야별 비교 그래프를 구성하여 치료가 진행된 과정을 전산정보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해당 단계를 통해 변화값이 수치로 나타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한층 더 증대시키고 그 상태에 적합한 화장품 추천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의 피부톤분석단계(S221), 제1모공분석단계(S222), 제2모공분석단계(S223),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는 순차적으로 실행되되, 각 단계들이 휴대전화기기의 화면 상에서 순차적 내지 선택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즉, 위 표 1 내지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단계들의 결과 값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의 선택으로 확인의사가 없는 단계는 확인하지 않고 확인이 필요한 단계만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단계들의 결과 값은 휴대전화기기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전화기기에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케어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케어장치의 동작이 유도될 수 있다. 케어장치는 검사단계(S200)에서 개인화된 정보를 통해 추천된 화장품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개인화된 정보에 따라 구동될 것이다. 예를 들면, 미세진동 기능이 채용되어 각 영역별에 따라 다르게 구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단계(S100)의 휴대전화기기와 케어기기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의 송·수신이 원활한 연결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를 수행할 수 있다면 다른 연결방식을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하여야 한다.
S100 : 연결단계 S200 : 검사단계
S210 : 1차촬영단계 S220 : 분석케어단계
S221 : 피부톤분석단계 S222 : 제1모공분석단계
S223 : 제2모공분석단계 S224 : 주름깊이분석단계
S230 : 2차촬영단계 S300 : 데이터저장단계
S400 : 혜택제공단계 S410 : 개인화단계
S420 : 거래단계

Claims (3)

  1. 기설정된 조건 내지 기능이 구비된 케어장치의 통신모듈이 케어장치와 휴대전화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단계(S100);
    휴대전화기기로 피부를 촬영하여 해당 정보를 휴대전화기기의 제어모듈에서 분석 및 개인화하는 검사단계(S200);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제어모듈이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단계(S300);
    개인화된 전자 정보를 활용하여 휴대전화기기의 제어모듈과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한 케어장치가 사용자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혜택제공단계(S400);
    로 구성되며,
    상기 검사단계(S200)는, 피부 사진을 촬영 및 해당 사진을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는 1차촬영단계(S210); 해당 전자 정보의 분석 및 치료를 유도하는 분석케어단계(S220); 치료가 진행된 피부를 촬영하여 전자적 정보로 변환하고 최초 촬영된 피부의 전자 정보와 상호 간 종합적으로 비교하는 2차촬영단계(S230);로 구성되고,
    상기 혜택제공단계(S400)는, 개인화된 전자 정보에 적합한 화장품을 추천하는 개인화단계(S410); 추천된 화장품을 사용자에게 판매 및 배송과 사용빈도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는 거래단계(S420);로 구성되며,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피부톤을 분석하는 피부톤분석단계(S221); 모공의 분포 및 빈도를 분석하는 제1모공분석단계(S222); 모공의 깊이 및 착색 정도를 분석하는 제2모공분석단계(S223); 피부 주름의 깊이를 분석하는 주름깊이분석단계(S224);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제공단계(S400) 및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에서의 결과 값은 휴대전화기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휴대전화기기에 별도의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해당 프로그램이 케어장치와 연결되어 해당 프로그램에 의해 케어장치의 동작이 유도되며,
    상기 피부톤분석단계(S221)는 피부의 멜라닌 색소의 분포에 따른 색상 차이의 확인을 위한 웜톤, 네츄럴톤, 쿨톤의 세 영역으로 구분한 기준표가 마련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모공분석단계(S222)와 제2모공분석단계(S223)에서는 격자 형태로 분석 영역이 구성되며 상기 제2모공분석단계(S223)는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모공의 깊이를 분석하며,
    상기 2차촬영단계(S230)는 상기 1차촬영단계(S210)와 상기 분석케어단계(S220)를 진행한 결과를 1차 촬영시 확인한 피부와 비교 검토하는 단계로서 진단에 따른 치료를 수행한 결과를 사용자의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데이터저장단계(S300)는, 상기 검사단계(S200)를 진행한 사용자의 개인화된 정보를 데이터로 저장하고 기설정된 정보 분야별 비교 그래프를 구성하여 치료가 진행된 과정을 전산정보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단계를 통해 변화값이 개인별 히스토리 형태의 수치로 나타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90143516A 2019-11-11 2019-11-11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KR1021854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16A KR102185495B1 (ko) 2019-11-11 2019-11-11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16A KR102185495B1 (ko) 2019-11-11 2019-11-11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95B1 true KR102185495B1 (ko) 2020-12-02

Family

ID=7379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16A KR102185495B1 (ko) 2019-11-11 2019-11-11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92A (ko) * 2015-02-04 2016-08-12 박정현 피부 분석기를 이용한 피부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0894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하이로닉 사용자 맞춤형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170111945A (ko) * 2016-03-30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마사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
KR20180001739A (ko) * 2016-06-28 2018-01-05 스마트쿱(주) 모바일 기기에서 피부 진단과 일체화된 피부 케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929548B1 (ko) 2018-07-20 2018-12-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led가 적용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
KR102030528B1 (ko) 2018-03-29 2019-11-08 주식회사 지씨에스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792A (ko) * 2015-02-04 2016-08-12 박정현 피부 분석기를 이용한 피부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0894A (ko) * 2015-03-11 2016-09-22 주식회사 하이로닉 사용자 맞춤형 피부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술방법
KR20170111945A (ko) * 2016-03-30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마사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
KR20180001739A (ko) * 2016-06-28 2018-01-05 스마트쿱(주) 모바일 기기에서 피부 진단과 일체화된 피부 케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30528B1 (ko) 2018-03-29 2019-11-08 주식회사 지씨에스 피부관리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929548B1 (ko) 2018-07-20 2018-12-1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적외선 led가 적용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피부 관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80442B2 (en) Computing system predicting health using correlated health assertion library
US11574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ormulating personalized skincare products
CN102027449B (zh) 用于基于光谱卷积的光-物质相互作用的分析的系统和方法
AU2009214829B2 (en) System and method of cosmetic analysis and treatment diagnosis
US20170035348A1 (en) Skin assessment device
US20080270175A1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dynamic expert system to provide patients with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US20060282288A1 (en) Methods of providing a patient with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US20150099947A1 (en) Skin youthfulness index, methods and applications thereof
US20040143513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WO2007103377A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dynamic database to provide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WO2004042511A2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Benning et al. Combining individual-level discrete choice experiment estimates and costs to inform health care management decisions about customized care: the case of follow-up strategies after breast cancer treatment
Bowen et al. Effects of a mail and telephone intervention on breast health behaviors
DE102022208700A1 (d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mit körperzusammensetzungsanalyseschaltung
KR102165699B1 (ko) 사용자 맞춤형 실시간 피부질환 관리시스템
KR100743158B1 (ko) 고객의 체질을 진단하여 피부 비만 관리정보를 제공하는피부 비만 관리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2185495B1 (ko) 피부진단 및 피부치료 방법
WO20131143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nalysis and treatment of a condition
WO2007103303A2 (e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dynamic expert system to provide patients with aesthetic improvement procedures
WO2016167053A1 (ja) 肌状態測定分析システムおよび肌状態測定分析方法
AU2013201634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dermal imaging
Goodman et al. A software program designed to educate patients on age-related skin changes of facial and exposed extrafacial regions: the results of a validation study
Lou et al. Automated measurement of ocular movements using deep learning-based image analysis
Stober et al. A survey of horticultural therapy professional issues
Foster et al. Auditing for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