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87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87B1
KR102184987B1 KR1020130139358A KR20130139358A KR102184987B1 KR 102184987 B1 KR102184987 B1 KR 102184987B1 KR 1020130139358 A KR1020130139358 A KR 1020130139358A KR 20130139358 A KR20130139358 A KR 20130139358A KR 102184987 B1 KR102184987 B1 KR 10218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racteristic information
criterion
audio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394A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87B1/ko
Priority to EP14162403.1A priority patent/EP2874404B1/en
Priority to CN201410171807.1A priority patent/CN104661078B/zh
Priority to US14/268,800 priority patent/US9704536B2/en
Publication of KR2015005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06F16/739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in form of a video summary, e.g. the video summary being a video sequence, a composite still image or having synthesized fram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6Cutting and rejoining; Notching, or perforating record carriers otherwise than by recording styl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4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the reformatt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only on part of the stream, e.g. a region of the image or a time seg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8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for searching program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개시된다.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오디오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한다. 상기 요약 기준은 특정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PICTUR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 표시장치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에 대한 발명이다.
많은 영상 표시 장치들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녹화하거나 다운 받아 저장한 뒤, 이를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오디오 및 비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는 방송 신호, 멀티미디어 파일을 등을 포함한다. 이때 방송 신호는 위성 방송신호, 케이블 방송신호, 지상파 방송신호, 네트워크를 통해 스트리밍되는 방송신호, 예컨대 IPTV 방송 신호, VOD 서비스를 포함한다. 이때 멀티 미디어 파일은 오디오 및 비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재생 가능한 파일이다.
특히 영상 표시 장치들은 사용자가 컨텐츠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배속 재생기능을 포함하는 트릭모드 기능을 제공한다. 다만 배속 재생 여부는 컨텐츠의 내용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 중요 장면을 지나쳐 지나갈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배속 재생시 컨텐츠 재생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집중이 요구된다.
또한 많은 영상 표시 장치들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전에 사용자가 방송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썸네일(thumbnail)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썸네일은 사용자가 방송사들이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에 따라 무작위로 만들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방송사들이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방송사의 부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한다.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간격에 따라 무작위로 썸네일을 생성한 경우, 컨텐츠의 내용을 보여줄 수 있는 썸네일이 아닐 수 있다.
또한 고화질 컨텐츠의 공급과 시리즈 녹화 기능 등이 사용됨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의 저장공간 부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컨텐츠의 주요 내용을 탐색하여 주요 내용만을 요약 컨텐츠로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효율적으로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테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는 요약 컨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을 단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는 원본 컨텐츠 보다 작은 용량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여 저장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시예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포함하도록 편집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보여주도록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스킵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오디오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기준은 특정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약 기준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약 기준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편집하여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스킵(skip) 재생하여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프로그레스바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오디오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요약 기준은 특정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효율적으로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테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을 단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원본 컨텐츠 보다 작은 용량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여 저장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요 내용을 배우와 장면의 분위기로 구분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포함하도록 편집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보여주도록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주요 내용만을 스킵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와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와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방송 정보 데이터 베이스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가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튜너(120), 제2 튜너(125), 외부신호입력부(128), 제1 복조부(130), 제2 복조부(13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20),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 저장부(175), 디스플레이부(30) 및 음성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튜너(12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1)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로 변환한다. 즉, 제1 튜너(120)는 디지털방송 신호와 아날로그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튜너일 수 있다.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CVBS 1/SIF)는 바로 제어부(2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튜너(12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튜너(125)는 제1 튜너(120)과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한다.
한편, 제2 튜너(125)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기억 기능을 통해 기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저장된 다른 채널의 영상도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썸 네일 형태로 도시하므로, 이에 따라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제2 튜너(125)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서브 RF 방송 신호) 또는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음성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복조부(130)는 제1 튜너(12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1)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ATSC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8-VSB (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튜너(12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DIF 1)가 DVB 방식인 경우, 제1 복조부(13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제1 복조부(13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복조부(13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외부 장치와의 신호 입력 등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외부신호입력부(128)는 A/V 입출력부 및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2개의 튜너들(120, 125)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1개 또는 3개 이상의 튜너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 신호 입력부(128)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비디오, 외부 입력 오디오 및 외부 입력 데이터 신호를 영상 표시 장치(100) 내의 제어부(2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0) 내에서 처리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다른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와의 영상/오디오의 입/출력을 입력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SCART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다양한 입력 신호는 후술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썸네일 영상추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없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바로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신호 입력부(128)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PEG-2 규격의 비디오, 돌비(Dolby) AC-3 규격의 오디오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 다중화된 MNT 스트림, 다중화된 MPEG-DASH 스트림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신호입력부(128)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 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TV 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IPTV 용 셋탑 박스에서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거쳐 제어부(20)에서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
제1 복조부(13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1)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의 스트림 신호(TS 1)는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 1)는 MPEG-2 규격의 비디오, H.264 규격의 비디오, HE-AVC 규격의 비디오, MPEG1 규격의 오디오, HE-AAC 규격의 오디오, 돌비(Dolby) AC-3 규격의 오디오, DTS 규격의 오디오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TS1)는 제어부(20)에 입력되어,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이 수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에 입력되기 전에,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채널 브라우징을 위한 처리가 수행된다. 채널 브라우징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술한 제1 복조부(13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복조부(135)는 제2 튜너(12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 2)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하고, 스트림 신호(TS 2)를 출력한다. 제2 복조부(135)의 동작은 상술한 제1 복조부(130)의 동작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한편, 제2 튜너(125)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신호(CVBS 2)인 경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디지털 신호로의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는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되는 신호가 비디오인 경우, 샘플링 및 양자화가 수행되어 디지털 비디오(DV)로 변환될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부호화되지 않은 신호일 수 있다. 변환된 디지털 비디오(DV)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에 입력되어 처리되게 된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제어부(2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2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부(20)로부터의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부(150)는 동작인식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동작인 인식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신호 처리하여, 영상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 외 영상 표시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부(2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음성 처리부, 사용자 입력 신호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 예를 들어 MPEG-2 TS 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역다중화된 비디오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비디오가 부호화된 비디오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비디오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비디오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비디오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비디오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비디오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0)에서 영상 처리된 비디오는 디스플레이부(30)로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0)는 역다중화된 오디오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오디오가 부호화된 오디오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오디오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오디오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오디오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오디오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오디오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오디오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0)에서 처리된 오디오는 음성 출력부(185), 예를 들어 스피커로 입력되어 음성 출력되게 된다. 또한, 외부 출력 장치와 연결된 외부 출력 단자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2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영상 처리된 비디오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신호는 영상 처리된 비디오 및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30)에 입력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또는 텍스트 디스플레이를 위하여 생성된 신호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방송 신호를 녹화하여 저장부(175)에 저장하고 재생하는 개인녹화장치(Personal Video Recorder, PV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5)는 정해진 시간에 녹화를 수행하는 예약녹화 기능(scheduled recor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시간입력에 기초하여 예약녹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DVB SI, PSIP 또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 등의 방송정보로부터 추출한 EPG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녹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현재 녹화되는 방송을 녹화와 동시에 재생하는 타임 쉬프팅(time shifting)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트릭 모드(Trick mod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트릭 모드 기능은 순방향으로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재생하는 순방향 배속 재생(Fast Forward, FF), 역방향으로 정상 속도보다 빠르게 재생하는 역방향 배속 재생(Fast Rewind, FR), 재생(play), 정지(stop), 순방향으로 정상 속도보다 느리게 재생하는 순방향 느림 재생(forward Slow Motion), 역방향으로 정상 속도보다 느리게 재생하는 역방향 느림 재생(rewind Slow Mo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순방향 배속 재생과 역방향 배속 재생은 모든 프레임을 기준 속도보다 빠르게 재생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는 순방향 배속 재생과 역방향 배속 재생은 모든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만을 재생하는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특정시점으로 이동하는 스킵(skip) 재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스킵 재생 기능은 순방향의 특정 시점으로 이동하는 순방향 스킵 재생(Forwa과 역방향의 특정 시점으로 이동하는 역방향 스킵 재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순방향 스킵 재생은 순방향 점프(Forward Jump, FJ)와 역방향 스킵 재생은 역방향 점프(Backward Jump, BJ)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동일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연속된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시리즈물을 한번에 예약녹화 설정하는 시리즈 레코딩(series record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1화부터 13화까지의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특정 TV 연속극(TV series)를 시리즈 레코딩 설정한 경우, 제어부(20)는 1화부터 13화까지의 에피소드를 모두 예약녹화 설정한다. 제어부(20)는 DVB SI, PSIP 또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 등의 방송정보로부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리즈 레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제목(title)에 기초하여 시리즈 레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0)는 방송정보에 포함된 각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그룹 식별자 및 컨텐츠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시리즈 레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수신되는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 및 외부 신호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입력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브라우징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조부(130, 135)에서 복조 및 채널 복호화된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입력받거나, 외부입력신호입력부(128)에서의 스트림 신호를 입력받거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40)에서 변환된 디지털 신호(DV)를 입력받아, 스트림 신호(TS 1, 또는 TS 2)를 역다중화하고, 역다중화된 비디오들 중 일부를 추출하고, 추출된 비디오를 포함하는 비디오를 기반으로 다중화하여 새로운 스트림 신호(TS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림 신호(TSa 또는 TSb)는 MPEG 2 TS 일 수 있다.
또한,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비디오 중 메인 영역에 표시되는 메인 비디오에 해당하는 메인 스트림 신호(TSb)는 별도의 처리없이 그대로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비디오 중 서브 영역에 표시되는 서브 비디오에 해당하는 서브 스트림 신호(TS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채널 브라우징 처리를 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를 통해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thumbnail)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다른 채널에서 방송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170)는 상술한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상술한 외부 입력 영상의 일부 영상을 추출하여 스트림 형태로 재부호화함으로써, 채널 목록 및 외부 입력 목록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는 경우,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 영상 및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의 외부 입력 영상 중 적어도 일부를 썸네일 형태로 화면 상에 도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복수의 채널 및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내용을 알 수 있게 된다.
저장부(175)는 제어부(2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75)는 외부 신호 입력부(128)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75)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해 해당하는 방송 채널을 저장할 수 있으며, 그를 위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저장부(175)가 제어부(20)와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20) 내에 포함되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장부(175)는 외부입력 포트를 통해 연결된 저장매체일 수 있다.
한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저장부(175)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30)는 제어부(20)에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신호입력부(128)에서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3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부(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부(3D display)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음성 출력부(185)는 제어부(2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으며, 또한 이동형으로서 지상파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위성 DMB 방식의 디지털 방송, ATSC-M/H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H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미디어플로(Media Foward Link Only) 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위성통신, IPTV 용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도 있다.
도 2는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2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 표시 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3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3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3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3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3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3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3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에서 추출되는 오디오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특성 정보(characteristic information)는 컨텐츠, 즉 오디오 또는 비디오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한다. 특성 정보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의 신호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신호 특성은 주파수 특성, 제로 크로싱 율(zero crossing rate), 박자(tempo), 평균 스페트럼(average spectrum), 주파수 평편도(spectral flatness), 특정 구간에서의 중요 어감(prominent tones across a set of bands) 및 대역폭(bandwidt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특성 정보는 핑거 프린트(finger print), 시그니처(signature), 워터마크(waterma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워터마크는 재생 화면에 표시되는 로고와 같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워터마크(perceptible watermark)와 컨텐츠에 변형을 가하나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워터마크(im perceptible watermark)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핑거 프린트는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의 일부 구간, 예컨대 일부의 프레임 또는 오디오의 일부 구간 예컨대, 일부의 오디오 샘플의 패턴으로부터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핑거 프린트는 시그너처라고도 불릴 수 있다. 특히 핑거 프린트는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구별하는 성문(voice print)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 기준은 요약 컨텐츠 출력의 기준이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특성정보로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컨텐츠 출력의 기준이 되는 특성 정보다.
비디오에 대한 요약 기준은 특정 방송사의 로고,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 특정 배우의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특정 방송사의 로고,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 특정 배우의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오디오에 대한 요약 기준은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송, 특정 프로그램의 배경음악(Original Sound Track, OST), 효과음, 특정 배우, 광고 음악, 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송, 특정 프로그램의 배경음악(Original Sound Track, OST), 효과음, 특정 배우, 광고 음악, 단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식별하는 정보일 수 있다. 특히 특정 배우를 식별하는 정보는 특정 배우의 성문(voice print)일 수 있다.
오디오는 비디오 보다 비교적 작은 데이터 양을 갖는다. 따라서 오디오의 추출, 비교, 검색에 비교적 단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오디오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비교, 검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처리양이 비디오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비교 검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처리양보다 적다.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성능의 제어부(20)로도 오디오의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비교,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오디오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은 비디오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에 대한 특성 정보는 비디오에 대한 특성 정보보다 특성 정보의 추출, 비교, 검색이 용이하다.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송은 특정 프로그램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에서 반복적으로 나오고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 변형되어 재생되는 경우가 드물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의 로고송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특정 프로그램의 시작 지점과 끝 지점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배경음악은 프로그램의 장면의 내용과 관련하여 반복적으로 나오고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 변형되어 재생되는 경우가 드물다. 예컨대 주인공들의 러브테마는 주인공들의 로맨스와 관련된 장면에서 반복적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의 배경음악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내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효과음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사용된다. 예컨대 총기 액션신에서는 총기음이 사용된다. 또한 공포물의 경우 공포장면에서 비명 소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음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내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효과음은 프로그램의 내용에 따라 사용된다. 예컨대 총기 액션신에서는 총기음이 사용된다. 또한 공포물의 경우 공포장면에서 비명 소리가 사용된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의 효과음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내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배우는 하나의 작품에서 일정한 톤으로 연기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특정 배우를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특정 배우의 등장 장면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단어는 방송의 내용을 나타낼 수 있다. 예컨대 뉴스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에서는 선거관련 뉴스를 포함하는 구간에서 선거라는 단어가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특정 단어를 식별할 수 있는 특징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각 구간에 대한 내용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광고음악은 변형 없이 광고가 재생될 때마다 반복적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특정 프로그램의 광고음악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광고가 재생되는 부분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가 오디오의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컨텐츠의 중요 내용을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와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 방송 정보 데이터 베이스간의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부 (300),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 및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를 이용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3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컨텐츠를 전송한다.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부(300)는 지상파, 케이블, 위성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국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부(300)는 IPTV 방송을 제공하는 IPTV 서버 또는 VOD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전송부(300)는 멀티미디어 파일 또는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녹화물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일 수 있다.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 전송부(3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전송부(3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전송부(300)는 저장부(175)일 수 있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제어부(20)는 기준 특성 정보를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로부터 수신한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저장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전송 받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저장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의 특정 구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특정구간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저장부(175)일 수 있다.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는 제어부(20)가 출력하는 요약 컨텐츠와 요약 컨텐츠 출력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중요 내용만을 포함하도록 편집한 요약 컨텐츠를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컨텐츠의 출력에 필요한 정보로서 요약 컨텐츠 출력 대상을 표시하는 인덱스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요약 컨텐츠 저장부(40)로부터 인덱스를 읽어 들여 스킵 재생을 실행하거나 트릭 모드를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외부에 존재할 수 있다. 또는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는 저장부(175)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제어부(20)는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S101).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오디오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의 단계에 의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S103). 요약 기준은 요약 컨텐츠 출력의 기준이 되는 정보이다. 요약 기준은 오디오에 대한 기준뿐만 아니라 비디오에 대한 기준도 동시에 포함할 수 있다. 요약 기준은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주인공의 극중 이름, 배우의 성문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를 요약할 수 있다. 배경음악과 효과음을 요약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분위기에 따라 컨텐츠를 요약할 수 있다. 또한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과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조합한 요약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분위기와 내용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배우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20)는 특정 배우를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광고에 대한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20)는 특정 광고의 광고 음악을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초기설정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EPG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EPG 정보는 컨텐츠의 장르, 주연 배우, 주인공의 극중 이름, 배경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장르, 주연 배우, 주인공의 극중 이름, 배경음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EPG정보는 DVB SI, PSIP 또는 데이터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EPG 정보로부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장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컨텐츠의 장르에 기초하여 특정 효과음을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의 장르가 액션인 경우, 제어부(20)는 총격음, 폭발음을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주연 배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컨텐츠의 주연 배우에 기초하여 주연 배우를 식별하는 특성 정보를 기준 특성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는 주연배우의 성문을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성문과 함께 주연배우의 얼굴을 식별하는 비디오 특성 정보를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EPG 정보로부터 컨텐츠의 줄거리를 추출하고 컨텐츠의 줄거리로부터 다시 주인공의 극중 이름을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0)는 컨텐츠의 주인공의 극중 이름을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오디오의 존재여부를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오디오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중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광고의 포함 여부를 요약 기준으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광고가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중요 내용을 포함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광고음악 일 수 있다. 또한 광고에 포함된 이미지를 광고 음악과 함께 요약 기준 특성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획득할 수 있다(S105).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요약 기준을 식별할 수 있는 특성 정보일 수 있다. 특히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오디오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오디오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이 비디오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오디오 특성 정보는 요약 기준이 주연 배우인 경우,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주연 배우를 식별할 수 있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예컨대 주연배우의 성문일 수 있다. 요약 기준이 주인공의 극중 이름인 경우,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주인공의 극중 이름을 식별할 수 있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요약 기준이 주인공의 배경음악인 경우,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배경음악을 식별할 수 있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요청할 수 있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일 실시예에서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는 영상 표시 장치(100) 외부의 서버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175)가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저장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외부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전송 받은 것일 수 있다. 또한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에 포함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사용자가 저장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의 특정 구간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특정구간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데이터 베이스(350)로부터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기준 특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컨텐츠를 획득한다(S107). 이때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제1 튜너(120)와 제2 튜너(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위성방송, 케이블방송, 지상파방송을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IPTV 방송을 통해 컨텐츠를 획득하거나 VOD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컨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저장부(175)에 저장된 컨텐츠를 읽어 들일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오디오, 비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어부(20)는 컨텐츠를 역다중화(demultiplex)한다(S109). 제어부(20)는 컨텐츠를 역다중화하여 비디오와 오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가 다중화 되지 않았다면, 제어부(20)는 역다중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컨텐츠를 디코드(decode)한다(S111).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컨텐츠를 디코드하여 비압축 비디오와 비압축 오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컨텐츠가 이미 디코드된 상태라면 이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디코드된 컨텐츠의 비교 구간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한다(S113). 컨텐츠의 비교 구간은 요약 기준 특성 정보와 비교되는 컨텐츠의 특정 구간이다. 컨텐츠의 비교구간은 일정길이의 오디오 및 비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샘플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비압축 비디오와 비압축 오디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비교 구간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 비디오의 복수의 프레임 구간 또는 오디오의 오디오 구간으로부터 특성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출된 특성 정보가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라면, 컨텐츠의 비교 구간을 요약 컨텐츠 출력 대상으로 표시하는 인덱스를 생성한다(S115, S117).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컨텐츠 출력 대상을 표시하는 인덱스를 생성하여 요약 컨텐츠 저장부(400)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컨텐츠 출력 대상을 표시하는 인덱스는 요약 컨텐츠의 출력의 대상이되는 컨텐츠의 특정 시점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인덱스 생성시 비교 대상이 되었던 기준 특성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0)는 추출된 특성 정보와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추출된 특성 정보와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일정 기준 비율 이상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와 추출된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 제로 크로싱 율, 박자, 평균 스페트럼, 주파수 평편도, 특정 구간에서의 중요 어감 및 대역폭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기준이 단어인 경우, 제어부(20)는 단어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과 추출된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이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기준이 성문인 경우, 제어부(20)는 성문에 해당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과 추출된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이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기준이 배경음악인 경우, 제어부(20)는 배경음악의 주파수 특성, 박자 등이 추출된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과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기준이 프로그램의 로고송인 경우, 제어부(20)는 프로그램의 로고송의 주파수 특성과 추출된 특성 정보의 주파수 특성과 유사한지 판단할 수 있다.
추출된 특성 정보와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일정 기준 비율 이상으로 유사한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비교 구간을 요약 컨텐츠 출력 대상으로 표시하는 인덱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비교 구간이 컨텐츠의 끝 지점과 동일한지 판단한다(S119).
비교 구간이 컨텐츠의 끝 지점과 동일하지 않다면, 제어부(20)는 비교 구간을 이동한 후 다시 비교 구간에 대한 특성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부터의 동작을 반복한다(S121).
비교 구간이 컨텐츠의 인덱스 생성의 대상이 되는 인덱스 생성 대상 구간의 끝 지점과 동일하다면, 제어부(20)는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S123).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은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과 요약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전체 컨텐츠를 보여준다. 이때 전체 컨텐츠는 A, B, C, D, E, F, G 및 H의 구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B, D, F 및 H 구간은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한다.
도 5(b)를 통해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b)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는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가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도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제어부(20)가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와 비디오를 모두 편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컨텐츠가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도 포함하는 경우, 컨텐츠를 편집하는 것은 제어부(20)가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와 비디오를 모두 편집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편집하여 요약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삭제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포함된 비교 구간과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포함된 비교 구간으로부터 앞, 뒤 마진(margin)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삭제하도록 편집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마진 구간의 길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다. 이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포함된 비교 구간의 앞, 뒤 일정 구간이 중요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0)는 미리 정하여진 설정에 의하여 마진 구간의 앞, 뒤 일정 구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다. 최근 컨텐츠가 고화질의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가 시리즈 레코딩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한꺼번에 많은 양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동작 방법이 필요하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편집한다면,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b)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전체 컨텐츠를 편집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B, D, F 및 H 구간만으로 구성된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비교 구간을 요약 출력 대상으로 표시하는 인덱스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도 5(c)와 도 5(d)를 통해서 요약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5(c)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비교 구간을 요약 출력 대상으로 표시하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트릭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하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까지 트릭모드를 실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하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까지 순방향 배속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인덱스를 이용하여 찾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한 후,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을 인덱스를 이용하여 찾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까지 순방향 배속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도 컨텐츠를 요약하여 보여줄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과 비교 구간의 앞, 뒤 마진 구간을 재생하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의 앞의 마진 구간까지 트릭모드를 실행 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마진 구간의 길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미리 정하여진 설정에 의하여 마진 구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다.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포함된 비교 구간의 앞, 뒤 일정 구간인 마진 구간에 중요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마진 구간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조금 더 자연스러운 요약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c)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A, C, E 및 G 구간을 32배속으로 재생하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B, D, F 및 H 구간을 정상 속도로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
도 5(d)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스킵(skip) 재생을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는 오디오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에 대한 스킵 재생을 실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비교 구간을 요약 출력 대상으로 표시하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스킵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하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까지 스킵 재생을 실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하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을 바로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인덱스를 이용하여 찾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재생한 후,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을 인덱스를 이용하여 찾고,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을 바로 재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지 않고도 컨텐츠를 요약하여 보여줄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과 비교 구간의 앞, 뒤 마진 구간을 재생하고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다음 비교 구간의 앞의 마진 구간을 바로 재생하는 스킵 재생을 실행 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마진 구간의 길이를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정할 수 있다. 이는 특성 정보가 포함된 비교 구간의 앞, 뒤 마진 구간이 중요 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20)는 미리 정하여진 설정에 의하여 마진 구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다. 도 5(d)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A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바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B 구간을 재생한다. 이후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C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바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D 구간을 재생한다. 이후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E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바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F 구간을 재생한다. 이후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G 구간을 재생하지 않고 바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H 구간을 재생한다. 도 5(d)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위와 같은 스킵 재생을 통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한다.
또한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컨텐츠의 전체 길이와 현재 재생지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레스바(progressbar)에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프로그레스바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컨텐츠의 전체 길이와 현재 재생지점을 표시하는 프로그레스바(progressbar)에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엘리먼트(element)를 이용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의하여 탐색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GUI 엘리먼트를 이용해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GUI 엘리먼트는 텍스트, 색상, 도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0)는 프로그레스바에 색상의 명도 또는 채도를 이용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프로그레스바에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많이 존재하는 구간에 대하여 더 진한 명도 또는 더 진한 채도를 갖는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텍스트를 이용하여 프로그레스바에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이용해 프로그레스바에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서로 다른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의하여 탐색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 각각에 해당하는 서로 다른 텍스트를 이용해 복수의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서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컨텐츠에 대한 녹화기능을 실행하면서 동시에 도 4의 순서도에 나타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20)는 녹화와 동시에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예약 녹화 설정시 사용자의 요약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약 녹화 설정시 사용자의 요약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20)는 녹화와 동시에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요약 기준 단어를 요약 기준으로 수신하고 복수의 뉴스 아이템을 포함하는 뉴스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 설정 입력을 수신한 경우,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단어에 관한 뉴스 프로그램의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단어에 해당하는 뉴스 아이템을 포함하고 요약 기준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아이템을 포함하지 않는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뉴스 아이템을 스킵하면서, 요약 기준 단어에 관한 뉴스 아이템을 정상 속도로 보여줄 수 있다. 또, 제어부(20)는 요약 기준 단어에 해당하지 않는 뉴스 아이템을 정상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하면서 요약 기준 단어에 관한 뉴스 아이템을 정상 속도로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타임 쉬프팅시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타임 쉬프팅 녹화와 동시에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타임 쉬프팅 녹화 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지 않고 타임 쉬프팅 재생시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거나, 타임 쉬프팅 재생시 요약 컨텐츠를 스킵 재생을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타임 쉬프팅 재생시 요약 컨텐츠를 트릭 모드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타임 쉬프팅 관련한 일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재생 중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리모컨 등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재생을 중지하면서 중지 시점 이후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한다. 제어부(20)는 중지 시점 이후부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면서 요약 기준에 따라 요약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으나, 요약 컨텐츠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후, 제어부(20)가 방송 프로그램의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리모컨 등을 통해 수신하면, 제어부(20)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중지 시점 이후부터 정상 속도로 끊김없이 재생하는 대신에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와 함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생성된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와 함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20)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요약 기준에 따라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타임 쉬프팅 녹화와 관련한 또 다른 실시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부(20)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재생 중지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나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이전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과 관계없이 타임 쉬프팅 재생을 위하여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다. 이후,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이전 재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리모컨 등을 통해 획득되면, 제어부(20)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 입력에 해당하는 이전 재생 시점부터 요약 기준에 따라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와 함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된 경우에는, 제어부(20)는 생성된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의 녹화와 함께 요약 컨텐츠가 생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20)는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을 요약 기준에 따라 재생하여 요약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순서도에 관한 설명에서 기재된 사용자 입력은 도 2의 리모콘의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가 이동되어 표시되는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마진 구간의 길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요약 컨텐츠의 출력을 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요약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도 6의 실시예에서 기준 특성 정보는 주연 배우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실시예에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배우 A를 식별하는 특성 정보와 배우 B를 식별하는 특성 정보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배우 A를 식별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511, 515, 521)에 A를 표시하고, 배우 B를 식별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513, 517, 519, 523)에 B를 표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요약 컨텐츠를 설명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준다.
도 7의 실시예에서 기준 특성 정보는 주요 단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실시예에서 요약 기준 특성 정보는 단어 '대통령'을 식별하는 특성 정보와 단어 '선거'를 식별하는 특성 정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0)는 '대통령'을 식별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 (611,619)에 '대통령'을 표시하고, 단어 '선거'를 식별하는 요약 기준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요약 기준 특성 정보가 탐색된 지점(613, 615, 617)에 '선거'를 표시한다. 이러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전체 컨텐츠의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내용을 빠르게 찾아갈 수 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요약 기준은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 주인공의 극중 이름, 배우의 성문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컨텐츠를 요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어를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그 단어와 관련된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판별하여 요약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주인공의 극중 이름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주인공과 관련된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판별하여 요약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배우의 성문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배우의 배역과 관련된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판별하여 요약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배경음악과 효과음을 요약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컨텐츠의 분위기에 따라 컨텐츠를 요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경음악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배경음악이 나타내는 분위기와 관련된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판별하여 요약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배경음악의 일 예로서는 주인공들의 러브테마와 같이 주인공의 감정을 나타내는 배경음악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효과음을 요약 기준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효과음과 관련된 컨텐츠의 부분들만을 판별하여 요약 컨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효과음의 일예로서는 공포 씬과 관련된 비명소리, 액션 씬과 관련된 총기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어, 주인공의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의 성문과 배경음악 및 효과음을 조합한 요약기준을 사용하는 경우, 제어부(20)는 사용자가 컨텐츠의 분위기와 내용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요약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요약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특정 단어, 주인공 이름, 배경음악, 효과음 및 배우 성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요약 기준에 해당하는 오디오의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탐색하여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특성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특성 정보를 상기 요약 기준에 따른 특성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획득하고,
    상기 유사도가 기설정된 설정 기준 이상인 특성 정보의 구간을 상기 요약 컨텐츠의 출력 대상으로 나타내는 인덱스를 생성하고,
    상기 요약 기준에 따른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을 상기 인덱스를 이용하여 획득하고,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시 상기 요약 기준에 따른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과 상기 요약 기준에 따른 특성 정보를 포함하는 비교 구간의 앞, 뒤 각각에 마진 구간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며,
    상기 트릭모드의 실행시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와 상기 요약 기준의 유사도가 설정 기준 이상인 제1 구간을 정상 속도로 재생하고,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와 상기 요약 기준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기준 미만인 제2 구간을 상기 정상 속도 보다 빠른 속도로 재생하는
    영상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릭모드를 실행하여 상기 요약 컨텐츠를 출력하며,
    상기 트릭모드의 실행시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와 상기 요약 기준의 유사도가 설정 기준 이상인 제1 구간을 정상 속도로 재생하고, 상기 추출된 특성 정보와 상기 요약 기준의 유사도가 상기 설정 기준 미만인 제2 구간을 스킵하는
    영상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전체 길이와 현재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바를 표시하며,
    상기 프로그레스바 상에 상기 요약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영상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중 상기 요약 기준에 따른 특성 정보와 유사한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삭제하는
    영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30139358A 2013-11-15 2013-11-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84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58A KR102184987B1 (ko) 2013-11-15 2013-11-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14162403.1A EP2874404B1 (en) 2013-11-15 2014-03-28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410171807.1A CN104661078B (zh) 2013-11-15 2014-04-25 视频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US14/268,800 US9704536B2 (en) 2013-11-15 2014-05-02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58A KR102184987B1 (ko) 2013-11-15 2013-11-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94A KR20150056394A (ko) 2015-05-26
KR102184987B1 true KR102184987B1 (ko) 2020-12-01

Family

ID=5038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358A KR102184987B1 (ko) 2013-11-15 2013-11-15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04536B2 (ko)
EP (1) EP2874404B1 (ko)
KR (1) KR102184987B1 (ko)
CN (1) CN104661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65118S1 (en) 2015-04-13 2016-08-30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828150B (zh) * 2016-04-29 2018-03-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处理方法及移动终端
WO2019021553A1 (ja) * 2017-07-26 2019-01-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D875743S1 (en) 2018-06-04 2020-02-18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8769825B (zh) * 2018-06-21 2020-11-06 北京密境和风科技有限公司 直播的实现方法和装置
JP6499364B1 (ja) * 2018-09-26 2019-04-10 株式会社Cygames 情報処理プログラム、端末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0022400A (zh) * 2019-01-28 2019-07-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通话输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95882B (zh) * 2019-09-27 2022-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情绪的多媒体内容概括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6573B1 (en) * 1996-11-15 2005-10-18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representing storing and accessing video information
CN1178201C (zh) * 1999-08-26 2004-12-01 索尼公司 信息检索方法及设备、信息存储方法及设备
US7650625B2 (en) * 2002-12-16 2010-01-19 Lsi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and video content via an advanced settop box
KR100710339B1 (ko) * 2005-08-30 2007-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4765732B2 (ja) * 2006-04-06 2011-09-07 オムロン株式会社 動画編集装置
JP4973006B2 (ja) * 2006-05-25 2012-07-11 船井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KR101396964B1 (ko) * 2007-02-2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녹화물 재생방법 및 장치
US20080250080A1 (en) * 2007-04-05 2008-10-09 Nokia Corporation Annotating the dramatic content of segments in media work
KR101265960B1 (ko) * 2007-08-2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라이트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JP5121367B2 (ja) * 2007-09-25 2013-01-16 株式会社東芝 映像を出力する装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95839B1 (ko) * 2008-08-08 2010-11-22 주식회사 아이토비 멀티미디어 디지털 콘텐츠의 축약정보 추출시스템과 축약 정보를 활용한 다중 멀티미디어 콘텐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71749B2 (ja) * 2010-04-09 2014-04-16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検索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2617191A1 (en) * 2010-09-17 2013-07-24 Thomson Licensing Method for semantics based trick mode play in video system
KR101824991B1 (ko) * 2011-05-20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소스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2890950B (zh) * 2011-07-18 2016-08-03 大猩猩科技股份有限公司 媒体自动剪辑装置、方法、媒体播送方法与其播送系统
EP2584800B1 (en) * 2011-09-20 2014-11-05 LG Electronics Inc. Digital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service data thereof
CN103106250B (zh) * 2013-01-14 2016-11-23 浙江元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视频监控智能分析检索方法及其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94A (ko) 2015-05-26
CN104661078B (zh) 2018-06-05
CN104661078A (zh) 2015-05-27
EP2874404A1 (en) 2015-05-20
US9704536B2 (en) 2017-07-11
EP2874404B1 (en) 2018-09-05
US20150139606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987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3017144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low motion video stream concurrently with a normal-speed video stream upon detection of an event
US11523182B2 (en) Method for enhancing a user viewing experience when consuming a sequence of media
JP5322550B2 (ja) 番組推奨装置
US840773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segments of content in a presentation stream using signature data
US9170704B2 (en) Sequencing content
KR102104355B1 (ko)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200902492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images
US939676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utomatic replays in a media asset
JP3903912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US85885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ltering and inserting content into a presentation stream using signature data
US851077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iltering content from a presentation stream using signature data
KR2011003773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090103886A1 (en) Same scene detectio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program
US20150071608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2015007457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002293B2 (ja) 番組表示装置及び番組表示方法
JP2012105218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1225346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4760893B2 (ja) 動画記録再生装置
JP2012134831A (ja) 録画装置
KR20130057611A (ko)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008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1101393A (ja) 動画記録再生装置
KR20130057613A (ko) 타임 테이블 생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