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195B1 -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 Google Patents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4195B1 KR102184195B1 KR1020200041611A KR20200041611A KR102184195B1 KR 102184195 B1 KR102184195 B1 KR 102184195B1 KR 1020200041611 A KR1020200041611 A KR 1020200041611A KR 20200041611 A KR20200041611 A KR 20200041611A KR 102184195 B1 KR102184195 B1 KR 1021841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plate
- raising
- data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2—Mechanical bearings
- E01D19/046—Spherical bearing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인상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인상장치를 이용하여,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shock absorption, and more particularly, by using a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capable of absorbing the shock that may occur during the raising process of a bridge upper structure, even if an impact occurs, the upper bridge is safely It relates to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shocks that can raise a structure.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해,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교각, 교대) 사이에 교량받침을 설치하는데, 교량받침은 교량 상부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처짐 등에 의해 발생되는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변위와 이동을 자체 탄성을 통해 수용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는 교량 부속장치이다. To support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 bridge support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tructure (piers, abutments).The bridge support supports the loa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bridge accessory device that safely supports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by receiving the displacement and movement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through its elasticity.
교량받침은, 상부구조물로부터 끊임없이 발생하는 변위, 하중, 충격 등을 흡수하고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지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고, 심할 경우에는 상부구조물의 파괴, 붕괴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 Since the bridge bearing absorbs and supports the displacement, load, impact, etc. that constantly occur from the upper structure, durability decreases over time, and in severe cases, it may cause destruction or collapse of the upper structure.
따라서 일정기간 사용 후에는 교량받침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교량받침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할 수 있는 장치를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설치해놓고,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시켜 작업공간을 확보한 후에 기존의 교량받침을 해체,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Therefore, after a certain period of use, the bridge bearing must be replaced. To replace the bridge bearing, a device that can raise the bridge upper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ructure, and the existing work space is secured by raising the bridge upper structure. The bridge support of the bridge is dismantled and removed, and a new bridge support is installed.
도 1, 2에는 교량 상부구조물을 인상할 때 종래에 사용하는 장비와 방법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교량의 하부구조물(20) 상부에 기존의 교량받침(30)이 설치되어 있고, 교량받침(30)이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고 있으며, 하부구조물의 상부 일측에 상부구조물을 인상하기 위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도 1의 A 부분).1 and 2 show equipment and methods conventionally used when raising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As shown in FIG. 1, the existing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인데,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하부구조물의 상부에 앵커(51)를 설치하여 서포트(5)를 고정하고, 서포트(5)의 상부에 받침구(6)를 설치하였으며, 받침구의 상부에 재킹장치(4)를 설치하고, 재킹장치의 위에 지압판을 두고 상부구조물(10)을 인상시킨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as shown in Fig. 2, by installing an
이러한 종래의 교량 인상 공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This conventional bridge raising method has the following problems.
첫째, 교량의 인상작업과 교량받침 교체작업은 빠른 시간 내에 완료되는 것이 아니므로, 수십 시간 이상 인상장치가 상부구조물을 지지한 상태로 있어야 하는데, 지지한 상태에서 강한 풍하중, 지진 등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상부구조물에는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게 된다. 종래의 인상 공법은 이러한 외부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장치 없이 단순히 재킹장치 위에 상부구조물이 올려져 있기만 하기 때문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인상장치와 상부구조물이 붕괴되는 사고의 위험이 컸었다.First, since the work of raising the bridge and replacing the bridge support is not completed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lifting device must remain supporting the upper structure for several tens of hours or more, and external shocks such as strong wind loads and earthquakes may be applied while supporting it. In this case, serious damage to the superstructure is caused. In the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since the upper structure is simply placed on the jacking device without a device capable of absorbing such an external shock, there is a high risk of an accident in which the lifting device and the upper structure collapse when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둘째, 재킹장치가 상부구조물을 들어 올리기 위해서는 재킹장치 위로 지압판을 설치해야 하는데, 통상의 경우 지압판의 면적이 작아 지압판과 재킹장치로 인해 상부구조물의 하부에 손상을 입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지압판의 면적을 크게 하고,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하므로 지압판 제작에 따르는 불필요한 비용이 상승하였다.Second, in order for the jacking device to lift the upper structure, an acupressure plate must be installed above the jacking device. In general, the area of the acupressure plate is small, and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tructure is damaged due to the acupressure plate and the jacking devic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henomenon, the area of the acupressure plate must be increased and the thickness of the acupressure plate has to be increased, so unnecessary costs for manufacturing the acupressure plate have increased.
특허문헌 0001은, 하부지지대, 격자형 지지부, 다수개의 받침부, 가로보 등을 포함하는 교량 상부구조물 인상 장치와 이를 이용한 교량 하부구조물 단면 증설 방법에 관한 것인데, 특허문헌 0001 역시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였다. Patent document 0001 relates to a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device including a lower support, a lattice support,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crossbeams, etc., and a method of extending the cross section of a bridge substructure using the same.Patent document 0001 is also a problem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ould not be resolved.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교량 인상 작업 중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인상장치와 상부구조물이 붕괴되지 않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so that the lifting device and the upper structure do not collapse by absorbing the shock even if an external shock is applied during the bridge raising operation. do.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지압판을 필요로 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면서 상부구조물의 지압 역할도 할 수 있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shocks that do not require a separate acupressure plate and can also serve as acupressure of an upper structure while absorbing the impact.
아울러 구조물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능(복원 기능)을 확보하여 추가 여진 및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갖춘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securing the function (recovery function) to prevent damage to the structur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shocks with resistance to additional aftershocks and external forces.
본 발명에서는, 교량 인상 공법에 있어서, a) 교량의 하부구조물(20)의 상부에 1개 이상의 서포트(5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1개 이상의 서포트(50)의 상부에 각각 재킹장치(40)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재킹장치(40)와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재킹장치(40)를 작동시켜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인상하는 단계; e) 기존의 교량받침(10)을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단계; f)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인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인상장치(100)는,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하부판(130); 브라켓(140); 볼트(1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110)은,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고, 하면에는 평면형상이 원형이고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12)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판(130)은,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34)이 구비되고, 상기 볼플레이트(120)는, 상부에 상부홈(121)이, 하부에 하부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홈(121)에 상부마찰재(123)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홈(122)에 하부마찰재(12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12)과 슬라이딩홈(134)에 수용되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140)은, 볼트공(143)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141)와 볼트공(144)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10)의 2개 이상의 측면에는 볼트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에는, 2개 이상의 볼트홈(131)과 돌출부(132)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32)에 의해 헤드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상기 재킹장치(40)의 헤드(41)가 상기 헤드수용홈(133)에 수용되며, 상기 볼트(150)에 의해, 상기 수직부(141)가 상부판(110)의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수평부(142)가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에 체결되고, 상기 상부판(110)의 평면 면적이 상기 하부판(130)의 평면 면적보다 크며, 상기 슬라이딩홈(134)의 곡률이 상기 슬라이딩홈(112)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볼플레이트(120) 하부의 곡률이 상기 볼플레이트(120) 상부의 곡률보다 크며, 상기 c)단계는, 가) 상기 하부판(130)의 헤드수용홈(133)에 재킹장치의 헤드(41)가 삽입되도록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 나) 상기 볼트(150)를 풀어 상기 브라켓(14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ridge impression method, a) installing one 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b)단계 후 또는 상기 c)단계 후에, 제어장치(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After the step b) or after the step c), the step of installing the
상기 제어장치(200)는,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높이센서; 변위센서; 충격센서; 레벨센서; 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부구조물(10)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가 재킹장치의 인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d)단계를 거쳐 상부구조물의 높이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목표위치 도달 사실을 알려주고, 재킹장치(40)를 정지시키는 특징으로 한다.When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reaches the target position through the step d), the control unit notifies that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and stops the
상기 d)단계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부가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stores and manages at least one of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velocity data input in the process of executing step d),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impact-absorbing bridge rai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교량의 인상작업 중에 지진, 풍하중 등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충격흡수인상장치가 그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인상장치와 교량 상부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First, even if external forces such as earthquakes and wind loads are applied during the raising of the bridge, the shock absorbing and raising device absorbs the impact, so that the collapse of the lifting device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can be prevented.
둘째, 본 발명의 충격흡수인상장치의 상부판이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지압판이 필요하지 않고, 종래의 지압판 보다 훨씬 넓은 면적으로 상부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상부구조물 하부의 지압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upper plate of the shock absorbing and rai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a separate acupressure plate is not required, and since the upper structure can be supported in a much larger area than the conventional acupressure plate, the acupressure under the upper structure It can prevent destruction.
도 1, 2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량 인상 공법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가 상부구조물의 아래에 설치된 모습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를 교축방향에서 바라 본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하부판의 헤드수용홈 속에 재킹장치의 헤드가 삽입된 모습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의 분리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의 충격흡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1 and 2 show prior art.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bridge rai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nder the upper structure.
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B of FIG. 4.
6 is a view of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throttling direction.
7 is a side view of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of a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bottom view of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the head of the jacking device inserted into the head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plate.
11 is an exploded view of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hock absorption of the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교량 인상 공법을 설명하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교량의 하부구조물(20) 상부에는 교량받침(30)이 설치되어 있고, 교량받침(30)에 인접한 위치의 하부구조물 상부에는 1개 이상의 서포트(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1개 이상의 서포트(50)의 상부에는 각각 재킹장치(4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재킹장치(40)의 상부에 충격흡수인상장치(100)가 설치되어 있다(도 4, 5 참조).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bridge rai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즉 교폭방향으로 하나의 하부구조물 상부에 복수 개의 교량 인상장치를 설치하여, 교량 길이방향의 수평 뿐만 아니라 교량 폭 방향의 수평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bridge lifting devices on the upper part of one substructure in the bridge width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moothly maintain not only the horizontal level of the bridge longitudinal direction but also the horizontal level of the bridge width direction.
도 4, 5, 6에는 하부구조물(20)의 상부 측면에 앵커(51)를 설치하고, 하부구조물 상부의 측면에 상기 서포트(50)를 고정한 후, 상기 서포트(50)의 상부에 받침구(60)를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하부구조물 상면의 작업공간이 충분할 경우에는 별도의 앵커를 설치할 필요없이 하부구조물 상면에 서포트(50) 및/또는 받침구(60)를 바로 설치할 수도 있다.4, 5, 6, an
그리고, 도 4, 5, 6에는 상기 서포트(50)의 상부에 받침구(60)를 설치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받침구(60)는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서포트(50)와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it is shown that the
본 발명의 교량 인상 공법은, 도 3에 모식도로 나타낸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The bridge rais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어장치(200)는,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The
상기 센서부는 상부구조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 상부구조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센서, 인상 작업 중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 상부구조물의 수평을 감지하는 레벨센서, 인상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를 포함한다. The sensor unit is a height sensor that measures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a displacement sensor that measures the displacement of the upper structure, an impact sensor that detects an impact that occurs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a level sensor that detects the level of the upper structure, and Includes speed sens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등을 고려하여, 상기 재킹장치의 인상을 제어하여 인상 작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상부구조물의 높이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목표위치 도달 사실을 알려주고, 재킹장치(40)를 정지시키게 된다.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ifting of the jack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speed data measured by the sensor unit so that the lifting operation can be stably performed,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When a reaches the target position, the control unit notifies that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and stops the jacking
목표위치 도달사실을 알려주는 것은 소리로 알려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도 표시할 수 있다. Informing the fact that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can be notified by sound an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또한 제어부는 교량 인상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뿐만 아니라, 재킹장치의 제원, 충격흡수인장장치의 제원, 앵커 및 서포트의 제원 등을 기록,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고, 필요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된 각종 데이터는 당해 교량 인상 공사 뿐만 아니라 추후 인상 공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ords not only the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velocity data, but also the specifications of the jacking device, the specifications of the shock absorbing and tensioning device, the specifications of the anchor and support, etc. , Can be stored, managed, and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necessary. Various data stored here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hike construction as well as the relevant bridge hike construction.
아울러, 데이터들의 전송은 통신부에 의해 이루어지고, 통신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활용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인 경우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비콘(Beacon), 지그비(Zigbee) 중 어느 하나의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of data is performed by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communication can us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y one of Wi-Fi, Bluetooth, Beacon, and Zigbee One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100)가 재킹장치(40)와 상부구조물(10) 사이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5 and 6 show that the shock absorbing and raising
도 5, 6에는 브라켓(140)과 볼트(150)가 체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교량 인상 작업시에는 상기 브라켓(140)과 볼트(150)를 제거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5 and 6 shows that th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충격흡수인상장치(100)는,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하부판(130), 브라켓(140), 볼트(150), 상부마찰재(123) 및 하부마찰재(124)를 포함한다. The shock absorbing and raising
상기 상부판(110)은 그 상부로 상부구조물(10)을 지지하면서, 그 아래로는 평면형상이 원형이고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12)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볼플레이트(120)가 상기 슬라이딩홈(112)에 수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The
상기 상부판(110)의 2개 이상의 측면에는 볼트홈(11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볼트(150)가 체결된다.
상기 볼플레이트(120)는 위아래로 볼록한 플레이트 형태로서, 그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홈(121)과 하부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홈(121)에 상부마찰재(123)가 삽입되고, 상기 하부홈(122)에 하부마찰재(124)가 삽입된다. The
상기 상부홈(121)과 상부마찰재(123) 사이 및 상기 하부홈(122)과 하부마찰재(124)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지 않는데, 필요에 따라 도포할 수도 있다. An adhesive is not applied between the
상기 상부마찰재(123)와 하부마찰재(124)는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상부구조물의 충격 및 이동에 대해, 상부마찰재(123)와 하부마찰재(124)가 각각 슬라이딩홈(112)과 슬라이딩홈(134)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에너지를 소산시키게 된다. The
상기 상부마찰재(123)와 하부마찰재(124)의 재질은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또는 초고분자량폴리에틸렌(UHMW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을 사용할 수 있다.The
그리고 하부판(130)은 그 상부에 슬라이딩홈(134)이 구비되고, 하부에는 돌출부(132)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과 상기 돌출부(1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헤드수용홈(133)이 형성된다(도 10 참조).In addition, the
상기 헤드수용홈(133) 속으로는 재킹장치(40)의 헤드(41)가 삽입되어 충격흡수인상장치(100)가 재킹장치(4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상부구조물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하부판(130)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판(110)과 볼플레이트(120)가 부드럽게 슬라이딩 및 회전되면서 충격에너지를 소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The
상기 돌출부(132)는 재킹장치(40)의 헤드(41)를 수용할 수 있는 헤드수용홈(133)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돌출부(132)의 형상은 재킹장치의 헤드(41) 외연의 형상과 부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9 참조).Since the
그리고 상기 하부판(130)의 저면에는 2개 이상의 볼트홈(13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볼트(150)가 체결된다. In addition, two or
하부판(130)의 슬라이딩홈(134) 내부로는 볼플레이트(120)의 하부와 하부마찰재(124)가 수용되어 슬라이딩된다.The lower portion of the
상기 슬라이딩홈(112)의 곡률보다 상기 슬라이딩홈(134)의 곡률을 더 크게 하고, 상기 볼플레이트(120)의 상부의 곡률보다 하부의 곡률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여야 하부판의 슬라이딩홈(134)에 수용되는 볼플레이트(120)의 하부가 원활하게 회전하고, 상부판의 슬라이딩홈(112)에 수용되는 볼플레이트(120)의 상부가 원활하게 회전 및 이동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도 12는 교량 인상 작업 중 외부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충격흡수인상장치의 거동을 도식화한 것인데, 충격에 의해 상부구조물에 ①번 화살표의 회전이 발생하더라도 볼플레이트(120)가 회전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상부구조물에 ②번 화살표의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상부판의 슬라이딩홈(112) 내에서 볼플레이트(120)가 이동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12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behavior of the shock absorbing and raising device when an external shock occurs during the bridge raising work. Even if the
즉 지진 및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의 고유주기를 인위적으로 길게 하여(구조물의 장주기화) 구조물과의 공진을 피하게 함으로써 지진력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켜 인상된 상태의 상부구조물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an earthquake or external force occurs, the natural period of the structure is artificially lengthened (long period of the structure) to avoid resonance with the structure, thereby relatively weakening the seismic force, thereby safely protecting the upper structure in the raised state.
위에서 설명한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및 하부판(130)을 공사 현장에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해, 브라켓(140)과 볼트(150)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및 하부판(130)을 조립, 체결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한다.In order to install the
상기 브라켓(140)은, 볼트공(143)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141)와 볼트공(144)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42)를 포함한다. The
도 7, 8,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브라켓(140)의 수직부(141)는 볼트(150)에 의해 상기 상부판(110)의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140)의 수평부(142)는 볼트(150)에 의해 하부판(130)에 고정된다. 이러한 볼트 체결을 위해 하부판의 저면에는 2개 이상의 볼트홈(131)이 구비된다. 7, 8, 9, the
상기 브라켓과 볼트에 의해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및 하부판(130)이 하나로 조립, 체결되므로, 현장 작업에서는 위와 같이 체결된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한번에 이동시켜, 재킹장치와 상부구조물 사이에 설치하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이후 교량 인상 공정에서는 볼트(150)와 브라켓(140)을 제거하기만 하면 인상 작업이 바로 진행될 수 있다. Since the
도 8, 9에서는 브라켓(140)을 2개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상부판이 사각형인 경우, 브라켓을 상부판 3개의 측면 또는 4개의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부판(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볼트홈(131)의 수와 위치 역시 추가되어야 함은 물론이다.In Figs. 8 and 9, it is shown that the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장치들을 이용한 교량 인상 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raising a bridge using the device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인상 공법을 적용하고자 하는 교량의 하부구조물(20)의 상부에 1개 이상의 서포트(50)를 설치한다. 이때 서포트는 도 5와 같이 앵커(51)에 의해 하부구조물의 상부측면에 고정될 수도 있고, 하부구조물의 상면 위에 바로 설치할 수도 있다. One or
서포트가 설치되면 상기 서포트(50)의 상부에 재킹장치(40)를 설치한다. 이때 서포트와 재킹장치는 교폭방향으로 1개 이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포트와 재킹장치의 수와 배치는 교량의 제원에 따라 적절히 결정할 수 있고, 복수 개로 설치할 경우 교폭방향의 수평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When the support is installed, the jacking
설치된 상기 재킹장치(40)와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설치한다. 이때 설치작업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조립 체결된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한번에 이동시켜 설치하게 되고, 이후 볼트(150)와 브라켓(140)을 제거한 후 교량의 상부구조물(10) 인상 작업을 진행한다.A shock
상부구조물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센서부는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측정하여 전송하고, 제어부는 전송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관리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현출시키고, 상부구조물의 높이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면, 제어부가 목표위치 도달 사실을 알려주고, 재킹장치(40)를 정지시키게 된다.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upper structure, the sensor unit measures and transmits at least one of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velocity data, and the control unit stores and manages the transmitted data, and display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reaches the target position, the control unit notifies that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and stops the jacking
또한 제어부는 인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하며 안정적인 인상작업이 될 수 있도록 인상 속도를 조절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tinuously monitors the data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impression and adjusts the raising speed so that a stable impression can be achieved.
상부구조물이 정지되면, 기존의 교량받침(10)을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하며, 상부구조물(10)을 인하한 후 주변을 정리함으로써 공사를 완료하게 된다. When the upper structure is stopped, the existing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4. 재킹장치
5. 서포트 51. 앵커
6. 받침구
7. 지압판
10. 상부구조물 20. 하부구조물
30. 교량받침
40. 재킹장치 41. 헤드
50. 서포트
60. 받침구
70. 지압판
100. 충격흡수인상장치
110. 상부판 111. 볼트홈
112. 슬라이딩홈
120. 볼플레이트
121. 상부홈 122. 하부홈
123. 상부마찰재 124. 하부마찰재
130. 하부판
131. 볼트홈 132. 돌출부
133. 헤드수용홈 134. 슬라이딩홈
140. 브라켓
141. 수직부 142. 수평부
143. 볼트공 144. 볼트공
150. 볼트
200. 제어장치4. Jacking device
5.
6. Support
7. Acupressure plate
10.
30. Bridge support
40. Jacking
50. Support
60. Base
70. Acupressure plate
100. Shock absorption and lifting device
110.
112. Sliding groove
120. Ball Plate
121.
123.
130. Lower plate
131.
133.
140. Bracket
141.
143.
150. Volts
200. Control device
Claims (8)
a) 교량의 하부구조물(20)의 상부에 1개 이상의 서포트(50)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1개 이상의 서포트(50)의 상부에 각각 재킹장치(40)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재킹장치(40)와 교량 상부구조물 사이에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 d) 상기 재킹장치(40)를 작동시켜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인상하는 단계; e) 기존의 교량받침(10)을 제거하고 새로운 교량받침을 설치하는 단계; f) 교량의 상부구조물(10)을 인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흡수인상장치(100)는, 상부판(110); 볼플레이트(120); 하부판(130); 브라켓(140); 볼트(15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판(110)은, 상면이 평면으로 되어 교량 상부구조물의 하면을 지지하고, 하면에는 평면형상이 원형이고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12)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판(130)은, 상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슬라이딩홈(134)이 구비되고,
상기 볼플레이트(120)는, 상부에 상부홈(121)이, 하부에 하부홈(122)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홈(121)에 상부마찰재(123)가 삽입되며, 상기 하부홈(122)에 하부마찰재(124)가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홈(112)과 슬라이딩홈(134)에 수용되어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브라켓(140)은, 볼트공(143)이 형성되어 있는 수직부(141)와 볼트공(144)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부(142)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110)의 2개 이상의 측면에는 볼트홈(111)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에는, 2개 이상의 볼트홈(131)과 돌출부(132)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32)에 의해 헤드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상기 재킹장치(40)의 헤드(41)가 상기 헤드수용홈(133)에 수용되며,
상기 볼트(150)에 의해, 상기 수직부(141)가 상부판(110)의 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수평부(142)가 상기 하부판(130)의 하면에 체결되고,
상기 상부판(110)의 평면 면적이 상기 하부판(130)의 평면 면적보다 크며,
상기 슬라이딩홈(134)의 곡률이 상기 슬라이딩홈(112)의 곡률보다 크고, 상기 볼플레이트(120) 하부의 곡률이 상기 볼플레이트(120) 상부의 곡률보다 크며,
상기 c)단계는,
가) 상기 하부판(130)의 헤드수용홈(133)에 재킹장치의 헤드(41)가 삽입되도록 충격흡수인상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
나) 상기 볼트(150)를 풀어 상기 브라켓(140)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In the bridge raising method,
a) installing one or more supports 50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ructure 20 of the bridge; b) installing a jacking device (40) on each of the one or more supports (50); c) installing a shock absorption raising device (100) between the jacking device (40) and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d) raising the upper structure 10 of the bridge by operating the jacking device 40; e) removing the existing bridge support 10 and installing a new bridge support; f) including the step of lowering the superstructure 10 of the bridge,
The shock absorption and raising device 100 includes an upper plate 110; Ball plate 120; Lower plate 130; Bracket 140; Including the bolt 150,
The upper plate 110 has a flat upper surfac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a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112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concave shape,
The lower plate 130 is provided with a sliding groove 134 formed concave above,
The ball plate 120 has an upper groove 121 at an upper portion, a lower groove 122 at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friction material 123 is inserted into the upper groove 121, and the lower groove 122 The lower friction material 124 is inserted into, and is accommodated in the sliding groove 112 and the sliding groove 134 to enable rotation and movement,
The bracket 140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41 in which a bolt hole 143 is formed and a horizontal portion 142 in which a bolt hole 144 is formed,
Bolt grooves 111 are provided on two or more side surfaces of the top plate 110,
Two or more bolt grooves 131 and protrusions 132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30,
The head receiving groove 133 is formed by the protrusion 132, so that the head 41 of the jacking device 40 is accommodated in the head receiving groove 133,
By the bolt 150, the vertical portion 141 is fastened to the side of the upper plate 110, the horizontal portion 142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130,
The plane area of the upper plate 110 is larger than the plane area of the lower plate 130,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groove 134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sliding groove 112, the curvatu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plate 120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ball plate 120,
Step c),
A) installing a shock absorbing and raising device 100 so that the head 41 of the jacking device is inserted into the head receiving groove 133 of the lower plate 130;
B) including the step of removing the bracket 140 by loosening the bolt 150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impact.
상기 b)단계 후 또는 상기 c)단계 후에,
제어장치(2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The method of claim 1,
After step b) or after step c),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control device 200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impact.
상기 제어장치(200)는, 센서부; 제어부; 통신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높이센서; 변위센서; 충격센서; 레벨센서; 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부구조물(10)을 인상하는 과정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가 재킹장치의 인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device 200 includes a sensor unit; Control unit; Communication department; Including a display unit,
The sensor unit, a height sensor; Displacement sensor; Impact sensor; Level sensor;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peed sensor,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upper structure 10 in step d), the control unit makes the impression of the jacking device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speed data input from the sensor unit. Characterized in that to control,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impact.
상기 d)단계를 거쳐 상부구조물의 높이가 목표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가 목표위치 도달 사실을 알려주고, 재킹장치(40)를 정지시키는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height of the upper structure reaches the target position through step d), the control unit notifies that the target position has been reached, and stops the jacking device 40,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impact.
상기 d)단계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입력되는 높이 데이터, 변위 데이터, 충격 데이터, 레벨 데이터, 속도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어부가 저장하고 관리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가 가능한 교량 인상 공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stores and manages at least one of height data, displacement data, impact data, level data, and velocity data input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ep d), and outputs it through the display unit.
A bridge raising method capable of absorbing impac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611A KR102184195B1 (en) | 2020-04-06 | 2020-04-06 |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1611A KR102184195B1 (en) | 2020-04-06 | 2020-04-06 |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4195B1 true KR102184195B1 (en) | 2020-11-27 |
Family
ID=73641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1611A KR102184195B1 (en) | 2020-04-06 | 2020-04-06 |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41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997B1 (en) * | 2021-04-13 | 2021-12-30 | 차현남 | Hybrid type repair and reinforcement bridge lower part simultaneous raising/simultaneous lowering device consisting of curvature sliding pendulum motion and multi-contact point bearing capacity equal distribution, and bridge support replacement method through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790B1 (en) | 2018-11-29 | 2019-10-01 | (주)리튼브릿지 | Apparatus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lower structure using thereof |
KR102055925B1 (en) * | 2019-05-02 | 2019-12-16 | 차현남 | Two-way c.p.s jack having earthquake-proof function using for intensity reinforce mathod for bridge bearing and lifting method for structure using the same |
-
2020
- 2020-04-06 KR KR1020200041611A patent/KR10218419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98790B1 (en) | 2018-11-29 | 2019-10-01 | (주)리튼브릿지 | Apparatus for raising a superstructure of the bridge, and the method for increasing the cross section of lower structure using thereof |
KR102055925B1 (en) * | 2019-05-02 | 2019-12-16 | 차현남 | Two-way c.p.s jack having earthquake-proof function using for intensity reinforce mathod for bridge bearing and lifting method for structure using the sam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5997B1 (en) * | 2021-04-13 | 2021-12-30 | 차현남 | Hybrid type repair and reinforcement bridge lower part simultaneous raising/simultaneous lowering device consisting of curvature sliding pendulum motion and multi-contact point bearing capacity equal distribution, and bridge support replacement method through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13356B1 (en) | Seismic isolator utilizing wedge | |
US6971795B2 (en) | Seismic isolation bearing | |
US8484911B2 (en) | Sliding pendulum seismic isolation system | |
KR200473182Y1 (en) | Friction pendulum bearing | |
US20030099413A1 (en) | Seismic isolation bearing | |
KR100948359B1 (en) | The bridge upper structure lifting method for which bridge upper structure lifter which does the bridge shue function and this were used | |
NO31967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and preventing damage to objects, especially buildings, in case of oscillations in a substrate, for example, earthquakes. | |
KR100919926B1 (en) | Vibration reducing device | |
CA2496033C (en) | Isolation platform | |
KR101002232B1 (en) | Installation method of construction of bridge bearing where shear resistance equipment for aseismic reinforcement was adherent and this | |
KR200398506Y1 (en) | A pot bearing for bridge of spherical type | |
KR101440878B1 (en) | Friction pendulum bearing with cover plate and fixing jig | |
KR102184195B1 (en) | Bridge raising method that can absorb shock | |
JP6013167B2 (en) | Rail sliding type seismic isolation device | |
KR101284777B1 (en) | Vertical and horizontal jack king is a possible hydraulic jack unit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2305479B1 (en) | Jack support impact reduction apparatus and jack suppor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 |
CN105780642A (en) | Anti-seismic and anti-falling beam structure of high-pier bridge | |
EP0816571A1 (en) | Foundation | |
KR20200003544A (en) | Friction pendulum bearing | |
KR101127938B1 (en) | Seismic isolating apparatus | |
KR101289819B1 (en) | Supporting device for structure with shearing rubber spring | |
JP2017502182A (en) | Polygonal seismic isolation system | |
KR101051059B1 (en) | Disk bearing for seismic isolation | |
JP2013148106A (en) | Thin slide support device for construction | |
ES2313090T3 (en) | INSULATOR / DISSIPER FOR INTERRELATION BETWEEN SOIL AND SUPPORT STRUCTUR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