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341B1 - Drain pump - Google Patents
Drain pu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3341B1 KR102183341B1 KR1020197027125A KR20197027125A KR102183341B1 KR 102183341 B1 KR102183341 B1 KR 102183341B1 KR 1020197027125 A KR1020197027125 A KR 1020197027125A KR 20197027125 A KR20197027125 A KR 20197027125A KR 102183341 B1 KR102183341 B1 KR 1021833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flow
- chamber
- flow guiding
- guiding surfac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14—Pumps raising fluids by centrifugal force within a conical rotary bowl with vertical axi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5—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1—Kind or type liquid, i.e. in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실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배수 펌프는, 회전 날개와, 회전 날개가 수용된 제1실을 갖는 펌프 본체와, 제1실의 상방에 배치된 제2실을 갖는 모터 지지 부재와, 모터와, 제1실과 제2실 사이에 배치된 격벽과, 격벽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배치된 샤프트를 구비한다. 격벽은, 링형상 본체부와, 링형상 본체부의 내측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수류유도표면을 구비한다. 수류유도표면은, 링형상 본체부의 외측부분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패여진 오목부 공간을 규정한다. 수류유도표면은, 오목부 공간 내로 유입한 수류를, 수평 방향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하여 유도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pump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a chamber positioned above the pump chamber.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ainage pum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tor support member having a rotating blade, a pump body having a first chamber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hamber disposed above the first chamber, A motor,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 shaft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re provided. The partition wall has a ring-shaped body portion and a water flow guiding surfac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n inn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defines a concave space that is recess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guides the water flow flowing into the concave space toward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oblique downward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수 펌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날개가 배치된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측에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ainage p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outflow to a drive motor side located above a pump chamber in which a rotary blade is disposed.
예를 들면, 공조실 내기(內機)에 조립되어, 냉방시나 제습시에 있어서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드레인수를 실외에 배수하기 위해 사용되는 배수 펌프에서는, 당해 배수 펌프의 구동 배수의 상태로부터 정지한 때, 드레인수의 토출구 입상관(立上り管) 등에 괴였던 드레인수가 배수 펌프의 펌프실(즉 배수용의 회전 날개가 수용된 공간)을 향하여 역류한다. 이 역류에 의해, 회전 날개의 회전축과, 그 회전축을 삽통시키기 위한 펌프실 천장에 형성된 관통구멍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드레인수가 회전 날개 구동용의 모터측(의 실내)으로 취출(吹出)하여 부착하고, 그 모터의 내구성 등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For example, in a drain pump that is assembled in an air conditioner and is used to drain the drain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to the outside during cooling or dehumidification, when the drain pump is stopped from the state of the drive drainage. , Drain water accumulated in the discharge port of the drain water, etc., flows back toward the pump chamber of the drain pump (that is, the space in which the rotating blade for drainage is accommodated). Due to this reverse flow, drain water is taken out from the gap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rotor blade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iling of the pump chamber for inserting the rotation shaft, and attached to the motor side (in the room) for driving the rotor blade, There is a risk of affecting the durability of the motor.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에서는, 관통구멍의 상방에서, 상기 회전축에 원판형상의 수절판을 마련하여, 취출한 드레인수가 모터 등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in
근래, 공조실 내기의 소형화나 고성능화가 도모되고 있고, 이에 응하여 배수 펌프에도 소형화,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있다.In recent years,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room are being pursued, and in response to this,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drain pump are also required.
배수 펌프의 소형화(특히 회전 날개의 회전축 방향의 소형화)를 도모하는 경우, 펌프실부터 구동 모터까지의 거리를 짧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고성능화(고능률화)를 도모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단위시간당의 배수량을 많게 하거나,In the case of miniaturization of the drainage pump (espec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ting blade), it is necessary to shorten the distance from the pump chamber to the drive motor, and in the case of attempting to increase performance (high efficiency), the amount of displacement per unit time Or more
드레인수의 양정(揚程) 능력을 증가시키거나 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lifting capacity of drain water.
그런데, 이와 같이 배수 펌프의 소형화나 고성능화를 도모하고자 하면,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수절판을 마련하는 것만으로는, 당해 배수 펌프 정지시에 있어서의 역류한 드레인수가 모터에 비산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가 없을 우려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achieve miniaturiz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drainage pump in this way, simply by providing the water-receptor plate shown in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실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ainage pump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a chamber positioned above the pump cha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배수 펌프는, 회전 날개와, 상기 회전 날개가 수용된 제1실을 갖는 펌프 본체와, 상기 펌프 본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실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에 배출 가능한 제2실을 갖는 모터 지지 부재와, 상기 모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모터와, 상기 제1실과 상기 제2실 사이에 배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배치되고,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날개에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한다. 상기 격벽은, 링형상 본체부와,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내측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수류유도표면(水流誘導表面)을 구비한다.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외측부분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패여진 오목부 공간을 규정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ain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mp body having a rotating blade and a first chamber in which the rotating blade is accommodated, and a fluid that is disposed above the pump body and flowing out from the first chamber. A motor supporting member having a second chamber capable of discharging to the outside, a motor supported by the motor supporting member,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chamber and the second chamber,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nd the It is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shaft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to the rotary blade. The partition wall has a ring-shaped body portion and a water flow guiding surfac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an inn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defines a concave space recess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ing-shaped main body.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오목부 공간 내로 유입한 수류를, 수평 방향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하여 유도한다.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guides the water flow flowing into the concave space toward a horizontal direction or an oblique downward direction.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오목부 공간의 깊이를 깊이(D1)로 정의하고, 상기 오목부 공간의 폭을 폭(W1)으로 정의한 때, 깊이(D1)는, 폭(W1)의 2배 이하라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when the depth of the concave space is defined as the depth (D1),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space is defined as the width (W1), the depth (D1) is the width (W1) It may be less than twice as much.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의 내연부(內緣部)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과 연직축 사이의 이루는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도 이하이라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at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be greater than 0° and 90° or less.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수류 방향을 바꾸는 수류방향 변경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는, 상기 내연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include a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that changes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may be located above the inner edge part.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보다도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표면과,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표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외측 표면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변화하는 면이라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have an outer surface positioned outside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positioned inside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The outer surface may be a surface whose inclination changes toward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수류유도표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점(点)과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상기 외측부분의 하면과의 사이에 변곡점(變曲點)을 갖고 있어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flow guide surface is an inflection point between a point located at the top of the water flow gu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You may have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볼록곡면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have a convex curved surface.
몇가지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수절판을 또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수절판은, 상기 제2실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drainage pump in some embodiments, a receiving plate supported by the shaft may also be provided. The water-receiving plate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본 발명에 의해,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실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배수 펌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rain pump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a chamber positioned above the pump chamber.
도 1은, 귀환수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2는, 공기도입구멍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측면도.
도 4는,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
도 5는,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비교례에서의 배수 펌프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측면도.
도 8은, 회전 날개 부재의 한 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제1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
도 10은, 제2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
도 11은, 제3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
도 13은,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of feedbacks.
2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n air introduction hole.
Fig. 3 is a partially notched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drainage pump in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Fig.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conducted using a drainage pump in the first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results of an experiment conducted using a drainage pump in a comparative example.
Fig. 7 is a partially notched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rainage pump in the first embodiment.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otating blade member.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the first modification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a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a second modification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a central axis of the shaft.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the third modification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the fourth modification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the fifth modification example, in a cross-sectional view including the central axis of the shaf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위,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부호가 붙여진 부위, 부재에 관한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drainage pu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and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repeated descriptions of portions and member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omitted.
(귀환수에 관해)(Regarding the number of returns)
도 1을 참조하여, 귀환수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귀환수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Referring to Fig. 1, the feedback number will be described. 1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number of feedbacks.
도 1에 기재된 예에서는, 배수 펌프(1)가, 드레인 호스(2)에 접속되어 있다. 배수 펌프(1)는, 흡입구(3)로부터 물을 흡입하고, 토출구(4)로부터 물을 토출한다. 배수 펌프의 작동시에는, 토출구(4)로부터 물이 토출되기 때문에, 드레인 호스(2) 내에는 물이 충만한다. 이 상태에서, 배수 펌프를 정지시키는 것을 상정한다. 이 경우, 드레인 호스(2) 내의 물이, 중력에 의해, 배수 펌프(1)를 향하여 역류한다. 그 결과, 물이, 토출구(4)로부터 펌프실 내로 유입한다. 토출구(4)로부터 펌프실 내로 유입하는 물인 것을, 본 명세서에서는, 「귀환수(戾り水)」라고 부른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공기도입구멍에 관해)(Regarding the air inlet hole)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관통구멍(5)인 공기도입구멍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공기도입구멍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Next, referring to FIG. 2, an air introduction hole, which is the through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은, 제1실(6)인 펌프실과,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을 연통하는 구멍이다.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에는, 회전 날개(80)를 회전시키는 샤프트(9)가 삽통된다. 배수 펌프(1)가 기동하면, 펌프실(제1실(6)) 내에는, 물이 진입한다. 펌프실 내에 물이 진입하면, 펌프실 내에 존재하고 있던 공기는,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을 통과하여, 제2실(7)로 압출된다(화살표(A)를 참조). 또한, 도 2에서, 부호 BS는, 물과 공기와의 사이의 경계면을 나타내고 있다.The air introduction hole (through hole 5) is a hole that communicates the pump chamber, which is the
도 2에 도시되는 상태에서, 배수 펌프(1)가 정지하면, 드레인 호스에 충만하고 있던 물이, 귀환수로서, 토출구(4)로부터 펌프실 내로 유입한다. 펌프실 내로 유입한 귀환수의 일부는, 흡입구(3)로부터 배출되고, 귀환수의 다른 일부는,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을 통하여, 제2실(7) 내로 유출된다.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는, 제2실(7) 내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저감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상세는, 후술된다.In the state shown in FIG. 2, when the
제2실(7) 내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공기도입구멍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한 경우에는, 공기도입구멍의 기능, 즉, 제1실(6)과 제2실(7) 사이에서, 공기를 왕래시키는 기능이 저하된다. 공기도입구멍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한 경우에는, 공기도입구멍을 규정하는 내벽면과, 샤프트(9)의 외벽면 사이에 물의 막이 형성될 우려도 있다. 물의 막이 형성되면,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이 기능하지 않는다. 그 결과, 배수 펌프(1)의 출력이 올라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water flowing out into the
이상의 관점에서,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는,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의 구멍 지름을 유지한 상태에서(즉, 구멍 지름을 작게 하는 일 없이), 제2실(7) 내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저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기도입구멍(관통구멍(5))의 근방에, 수류유도표면을 마련함에 의해, 제2실(7) 내로 유출되는 물의 양을 저감한다.From the above point of view, in the drainage pu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hile maintaining the hole diameter of the air introduction hole (through hole 5) (that is, without reducing the hole diameter), it flows into the
(제1의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측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 3, the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는, 펌프실인 제1실(6)을 갖는 펌프 본체(MB)와, 제1실(6)의 위에 배치된 제2실(7)을 갖는 모터 지지 부재(11)와, 모터(11a)와, 제1실(6)과 제2실(7)을 구획하는 격벽(10)과, 관통구멍(5)과, 샤프트(9)와, 회전 날개(80)를 구비한다.The
제1실(6) 내에는, 회전 날개(80)가 수용된다. 제2실(7)은, 제1실(6)의 상방에 배치된다. 제2실(7)은, 제1실(6)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또는 물 등의 유체를, 제2실의 외부에 배출 가능하다. 즉, 제2실(7)은, 제2실 내의 유체를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유체 배출부를 구비한다. 유체 배출부는, 예를 들면, 제2실(7)의 벽부에 마련된 슬릿(72)이다.In the
격벽(10)은, 제1실(6)과 제2실(7) 사이에 배치되고, 그들을 상하로 구획한다. 또한, 격벽(10)의 중앙부에는, 제1실(6)과 제2실(7)이 서로 연통되도록, 관통구멍(5)이 마련되어 있다.The
샤프트(9)는, 관통구멍(5)을 통과하도록 배치되고, 회전 날개(80)에 접속되어 있다. 샤프트(9)는, 모터(11a)로부터의 회전력을 회전 날개(80)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재로서 기능한다.The
상기 격벽(10)은, 측벽(12)에 접속되는 링형상 본체부(101)와, 링형상 본체부(101)의 내측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수류유도표면(104)을 구비한다. 또한, 측벽(12)에는, 제1실의 측벽(121)과, 제2실의 측벽(122)이 포함된다.The
수류유도표면(104)은,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즉, 펌프실의 천장 면)보다도 상방으로 패어져 있고, 수류유도표면(104)에 의해 오목부 공간(SP)이 규정된다. 수류유도표면(104)은, 오목부 공간(SP) 내로 유입한 수류를, 수평 방향 또는 경사 하방을 향하여 유도한다(화살표(B)를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샤프트(9)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이고, 또한, 측벽(12)부터 샤프트(9)를 향하는 방향을 지름 내 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수류유도표면(104)은, 오목부 공간(SP) 내로 유입된 수류를, 지름 내 방향을 향하는 방향, 또는, 지름 내 방향과 하방과의 합성 방향을 향하여 유도한다.The water
배수 펌프(1)를 정지시킴에 의해 생기는 귀환수의 일부는, 샤프트(9)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관통구멍(5)을 향하여 상승한다(화살표(C)를 참조). 화살표(C)에 따른 수류의 일부는, 화살표(B)에 따른 수류와 간섭하기 때문에, 관통구멍(5)을 통과할 수가 없다. 이렇게 하여,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이 저감된다.A part of the return water generated by stopping the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에서는, 관통구멍(5)의 구멍 지름을 작게 하는 일 없이,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In the
(임의 부가적인 구성례)(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examples)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수류유도표면(104)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n 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that can be employed in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임의 부가적인 구성례 1)(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example 1)
도 4를 참조하면, 구성례 1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의 내연부(內緣部)(105)에서, 수류유도표면(104)과 연직축 사이의 이루는 각도(α)는, 0도 보다 크고 90도 이하이다. 또한, 수류유도표면(104)의 내연부(105)는, 통상은, 격벽(10)의 하면의 최내연(最內緣)(106)과 일치한다. 그러나, 격벽(10)의 하면의 최내연(106)에 모따기 가공 또는 둥글게 하는 가공이 시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류는, 격벽(10)의 하면의 최내연(106)까지는 유도되지 않는다. 이 경우, 모따기 가공 또는 둥글게 하는 가공이 시행되지 않은 영역 중에서, 가장 내측의 부분이 수류유도표면(104)의 내연부(105)에 대응한다(즉, 모따기 가공 또는 둥글게 하는 가공이 시행되지 않은 영역과, 모따기 가공 또는 둥글게 하는 가공이 시행되어 있는 영역과의 경계가, 내연부(105)에 대응한다).Referring to FIG. 4, in Configuration Example 1, the angle α formed between the water
상술한 각도(α)가,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때, 오목부 공간(SP) 내로 유입한 수류는, 경사 하방을 향한다(화살표(B)를 참조). 경사 하방을 향하는 수류와,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되는 상방을 향하는 수류가 충돌하면, 상방을 향하는 수류의 운동량이 감소한다. 이렇게 하여,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angle α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water flow flowing into the concave space SP is obliquely downward (refer to the arrow B). When a water flow directed downwardly inclined and a water flow directed upward shown by the arrow C collide, the momentum of the water flow directed upward decreases. In this way,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the
상술한 각도(α)가, 90도인 때, 오목부 공간(SP) 내로 유도된 수류는, 수평 방향 내측을 향한다. 수평 방향 내측을 향하는 수류와, 화살표(C)에 의해 도시되는 상방을 향하는 수류가 충돌하면, 오목부 공간(SP)의 내측의 좁은 영역(SP2) 내에서, 양 수류가 뒤섞여 흐트러진다. 뒤섞여 흐트러진 수류는, 상방을 향하는 수류에 대한 벽으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하여,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할 수 있다.When the above-described angle α is 90 degrees, the water flow guided into the concave space SP faces inwar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horizontal direction inward water flow and the upward direction water flow shown by the arrow C collide, both water flows are mixed and disturbed in the narrow area SP2 inside the concave space SP. The mixed and disturbed water currents function as a wall against the upward flow. In this way,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the
또한, 상방을 향하는 수류의 운동량을 감소시키는 관점에서는, 각도(α)는, 보다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각도(α)가 0도인 경우에는, 내연부(105)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수류와, 상방을 향하는 수류는, 서로 평행하게 된다. 이 때문에, 내연부(105)로부터 방출되는 수류와, 상방을 향하는 수류가 충돌하지 않는다. 즉, 내연부(105)로부터 방출되는 수류와, 상방을 향하는 수류를 충돌시키는 관점에서는, 각도(α)는, 보다 큰 쪽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각도(α)의 최적각(最適角)은, 1도이상 9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도 이상 80도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도 이상 40도 이하이다.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momentum of the upwardly directed water flow, the angle α is preferably small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gle α is 0 degrees, the water flow directed downward from the
도 4에 기재된 예(단면도)에서, 오목부 공간(SP)의 깊이(보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徑外緣)을 규정하는 점(P1)과, 수류유도표면(104)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점(P3) 사이의 연직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 거리)를 깊이(D1)로 정의하고, 오목부 공간(SP)의 폭을 폭(W1)으로 정의한 때, 깊이(D1)는, 예를 들면, 폭(W1)의 0.1배 이상 2배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W1)의 0.1배 이상 1.5배 이하이다. 깊이(D1)가 깊으면, 수류유도표면(104)을 규정하는 벽부(링형상 본체부(101+)의 내측부분(103))의 제2실(7) 내에의 돌출량이 커진다. 내측부분(103)의 제2실(7) 내로의 돌출량이 커지면, 관통구멍(5)의 유체 출구로부터 후술하는 축수부(14) 등까지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 결과, 축수부(軸受部)(14) 등이 물에 접촉하는 리스크가 커진다. 또한, 깊이(D1)가 깊으면,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상의 수류를, 오목부 공간(SP) 내로 원활히 유도할 수가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깊이(D1)는, 폭(W1)의 2배 이하, 또는, 1.5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깊이(D1)는, 폭(W1)의 1배 이하라도 좋다.In the example (sectional view) shown in Fig. 4, the depth of the concave space SP (more specifically, the point P1 defining the outer margin of the concave space SP, and the water flow guide surface) When the distance in the direction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points P3 located at the top of 104 is defined as the depth D1,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space SP is defined as the width W1, the depth ( D1) is, for example, 0.1 times or more and 2 times or less of the width W1, more preferably 0.1 times or more and 1.5 times or less of the width W1. When the depth D1 is deep, the amount of protrusion in the
또한, 오목부 공간(SP)은, 내연부(105)로부터 연직 하방으로 늘어나는 면과,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을 지름 내 방향으로 연장함에 의해 얻어지는 면과, 수류유도표면(104)에 의하여 둘러싸이는 공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폭(W1)은,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과, 수류유도표면(104)의 내연부(105)를 규정하는 점(P2) 사이의 수평 방향에 따른 방향에서의 거리로 정의된다.In addition, the concave space SP has a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실험 결과)(Experiment result)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실험 결과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례(수류유도표면이 마련되지 않은 종래례)에서의 배수 펌프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의 결과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the experimental results will be described.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performed using the
실험에서는, 배수 펌프 정지 후의 귀환수의 분출(噴出) 높이(제2실 내로의 분출(유출)높이)가 측정되었다.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도 5를 참조)에서는, 관통구멍(5)의 내측의 샤프트(9)의 외경은 6㎜, 관통구멍(5)의 내경은 10㎜, 상술한 각도(α)는 38도였다.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에서는, 귀환수의 분출 높이(H1)는 20㎜였다.In the experiment, the jet height (the jet height into the second chamber) of the return water after the drainage pump was stopped was measured. In the experiment conducted using the
비교례에서의 배수 펌프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도 6을 참조)에서는, 관통구멍(5)의 내측의 샤프트(9)의 외경은 6㎜, 관통구멍(5)의 내경은 10㎜였다. 비교례에서의 배수 펌프를 이용하여 행한 실험에서는, 귀환수의 분출 높이(H2)는 32㎜였다.In the experiment performed using the drainage pump in the comparative example (refer to FIG. 6 ), the outer diameter of the
실험 결과로부터,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는, 비교례에서의 배수 펌프와 비교하여, 귀환수의 분출 높이가, 38% 정도 저감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에서는,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drainage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jet height of the return water was reduced by about 38% as compared with the drainage pump in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n the drainage pump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the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에서는,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되는 제2실(7)의 높이(H3)를 낮게 하여도, 귀환수가, 모터(11a), 축수부(14) 등에 부착할만큼, 비산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모터(11a), 축수부(14) 등의 부식이 억제된다. 또한, 제1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실(7)의 높이(H3)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 펌프(1)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또한, 제2실(7) 내로의 물의 유출량이 적은 경우에는, 배수부로서도 기능한 슬릿(72) 등의 유체 배출부를 작게 할 수 있다. 유체 배출부(슬릿(72) 등)가 작은 경우에는, 배수 펌프(1)의 작동시에, 제2실(7) 내의 공기 전파음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즉, 배수 펌프(1)의 작동시에 있어서의 소음이 저감된다.In addition, when the amount of water outflow into the
(임의 부가적인 구성례 2)(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example 2)
도 4를 참조하면, 구성례 2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은, 수류 방향을 바꾸는 수류방향 변경부(107)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류방향 변경부(107)는, 수류 방향을 경사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경사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경한다. 수류방향 변경부(107)는, 내연부(105)보다도 상방에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4, in Configuration Example 2, the water
오목부 공간(SP) 내로 도입된 수류는, 첫번째로, 수류방향 변경부(107)를 향하여 진행한다(화살표(D)를 참조). 즉, 오목부 공간(SP) 내로 도입된 수류는, 상방이면서 내방(샤프트(9)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진행한다. 계속해서, 오목부 공간(SP) 내로 도입된 수류는, 수류방향 변경부(107)에서 방향을 바꾼다. 그 후, 수류방향 변경부(107)에서 방향이 변경된 수류는, 경사 하방을 향하여 진행한다(화살표(B)를 참조). 즉, 수류방향 변경부(107)에서 방향이 변경된 수류는, 하방이면서 내방(샤프트(9)를 향하는 방향)을 향하여 진행한다. 이상과 같이, 수류방향 변경부(107)가 마련된 경우에는, 경사 하방을 향하는 수류가, 확실하게 형성된다.The water flow introduced into the concave space SP firstly advances toward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107 (refer to the arrow D). That is, the water flow introduced into the concave space SP proceeds upward and inward (direction toward the shaft 9). Subsequently, the water flow introduced into the concave space SP changes the direction in the water flow
또한, 수류방향 변경부(107)는, 수류유도표면(104) 중에서 가장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라도 좋다. 즉, 수류유도표면(104)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깊어지는(환언하면, 서서히 상방을 향하는) 외측 표면(107a)과,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는(환언하면, 서서히 하방을 향하는) 내측 표면(107b)을 구비한다. 그리고, 수류방향 변경부(107)는, 외측 표면(107a)과, 내측 표면(107b) 사이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water flow
외측 표면(107a)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변화하는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류를 벽면으로부터 박리시키지 않는 관점에서는, 외측 표면(107a)의 경사는,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매끈하게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외측 표면(107a)의 경사는,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내측 표면(107b)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변화하는 면이라도 좋고, 경사가 변화하지 않는 면이라도 좋다. 내측 표면(107b)상의 수류는, 경사 하방을 향하는 수류이다. 이 때문에, 내측 표면(107b)에서, 수류가 박리하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수류는, 확실하게, 경사 하방을 향하게 된다.The
(임의 부가적인 구성례 3)(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example 3)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례 3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은, 볼록곡면(108)을 구비한다. 볼록곡면(108)은, 오목부 공간(SP)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이다.As shown in FIG. 4,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3, the water
볼록곡면(108)이 배치되는 부분이, 수류유도표면(104) 중 하면(102)에 연결되는 부분인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상의 수류(화살표(E)를 참조)를, 벽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일 없이, 오목부 공간(SP) 내로 알맞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단면도)에서,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의 접선과,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보다 구체적으로는, 볼록곡면(108))의 접선은, 서로 일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외측부분의 하면(102)상의 수류(화살표(E)를 참조)를, 벽면으로부터 박리하는 일 없이, 오목부 공간(SP) 내로 알맞게 유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t is assumed that the portion on which the convex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은, 오목곡면(109)을 구비한다. 그리고, 오목곡면(109)은, 볼록곡면(108)보다도 지름 내 방향(환언하면, 샤프트(9)에 근접하는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수류유도표면(104)이, 오목곡면(109)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오목부 공간(SP) 내로 유도된 수류 방향을 서서히 변화시켜서, 최종적으로, 수류를, 경사 하방을 향하는 수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water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의 외측 표면(107a)이, 볼록곡면(108)과 오목곡면(109)을 구비한다. 그리고, 볼록곡면(108)과 오목곡면(109) 사이에 변곡점(108a)이 존재한다. 당해 변곡점(108a)은, 예를 들면, 수류유도표면(104)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점(P3)(예를 들면, 수류방향 변경부(107))와 외측부분의 하면(102) 사이에 위치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4, the
또한, 내측 표면(107b)은, 오목곡면뿐이라도 좋고, 볼록곡면뿐이라도 좋고, 경사각도가 일정한 면이라도 좋고, 이들 면의 조합이라도 좋다.Further, the
(임의 부가적인 구성례 4)(Optional additional configuration example 4)
도 3을 참조하면, 구성례 4에서는, 제2실(7) 내에, 귀환수가 뿜어 올라감을 억제하는 수절판(15)이 배치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절판(15)은, 샤프트(9)에 연결되어 있다. 제2실(7) 내에, 수절판(15)이 배치된 경우에는, 귀환수가, 축수부(14) 등에 도달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Referring to FIG. 3, in the configuration example 4, a receiving
상술한 구성례 1 내지 구성례 4는, 서로 조합시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의 실시 형태에서, 구성례 1 및 2, 구성례 1 및 3, 구성례 1 및 4, 구성례 2 및 3, 구성례 2 및 4, 구성례 3 및 4, 구성례 1, 2 및 3, 구성례 1, 2 및 4, 구성례 1, 3 및 4, 구성례 2, 3 및 4, 구성례 1 내지 4의 어느 하나가 채용되어도 좋다.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examples 1 to 4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be used. That is, in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ation examples 1 and 2, configuration examples 1 and 3, configuration examples 1 and 4, configuration examples 2 and 3, configuration examples 2 and 4, configuration examples 3 and 4, configuration examples 1 and 2 And 3, configuration examples 1, 2 and 4, configuration examples 1, 3 and 4, configuration examples 2, 3 and 4, and configuration examples 1 to 4 may be employed.
(배수 펌프의 전체 구성의 구체례)(Specific example of overall configuration of drainage pump)
도 7을 참조하여,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의 전체 구성의 구체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1의 실시 형태에서의 배수 펌프(1)의 전체 구성의 한 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일부 노치 측면도이다.With reference to FIG. 7, a specific example of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배수 펌프(1)는, 펌프실인 제1실(6)을 갖는 펌프 본체(MB)와, 제1실(6)의 위에 배치된 제2실(7)을 갖는 모터 지지 부재(11)와, 모터(11a)와, 제1실(6)과 제2실(7)을 구획하는 격벽(10)과, 관통구멍(5)과, 샤프트(9)와, 회전 날개 부재(8)를 구비한다. 샤프트(9)는, 상측 샤프트(모터의 출력축)(92)와 하측 샤프트(회전 날개 부재(8)에 일체로 마련되고, 상측 샤프트(92)가 삽입되는 중공 축부)(82)를 포함한다. 또한, 회전 날개 부재(8)는, 대경 날개(80a)와, 소경 날개(80b)와, 링형상의 접시부재(81)와, 하측 샤프트(82)를 포함한다.The
배수 펌프(1)는, 제1실(펌프실(6))을 규정하는 하부 하우징(6a)(펌프 하우징)을 구비하고, 제1실(6) 내에는, 회전 날개(80a, 80b)가 배치된다. 제1실(6)의 하방에는, 흡입구(3)를 규정하는 흡입관(3a)이 배치되고, 제1실(6)의 수평 방향 외측에는, 토출구(4)를 규정하는 토출관(4a)이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실(6)을 규정하는 하부 하우징(6a)이, 흡입관(3a) 및 토출관(4a)과 함께,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지만, 하부 하우징(6a)과, 흡입관(3a)과, 토출관(4a)을, 각각 별체로서 준비하고, 이들을 서로 접합하여도 좋다. 하부 하우징(6a)은, O링 등의 실 부재(13)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7a)에 연결된다.The
배수 펌프(1)의 작동시에는, 회전 날개(80a, 80b)의 회전에 의해, 펌프실(제1실(6)) 내가 부압(負壓)이 되어, 흡입구(3)로부터 펌프실 내로 물이 흡상된다. 흡상된 물은, 회전 날개(80a)의 회전에 의해 제1실(6) 내에서 회전한다. 회전에 의해 원심력이 부여된 물은, 토출관(4a)을 향하여 토출되고, 토출관(4a)에 연결된 드레인 호스 내를 상승한다. 또한, 흡입구(3)로부터 흡상되는 물은, 예를 들면, 에어컨 등의 드레인 팬에 고인 드레인수이다.When the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대경 날개(80a)는, 측면시로, 접시부재(81)로부터 상방으로 노출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대경 날개(80a)의 하단은, 접시부재(81)의 상면에 접속되어 있다. 대경 날개(80a)의 상면부터 외측면에 걸쳐서, 단차부(800a)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단차부(800a)에 의해, 대경 날개(80a)의 회전시에 발생하는 소리가 작아진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복수의 대경 날개(80a)가, 샤프트(9)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large-
소경 날개(80b)는, 그 일부가, 흡입관(3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소경 날개(80b)의 상면은, 접시부재(81)의 하면에 접속되어 있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복수의 소경 날개(80b)가, 회전축의 주위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A part of the small-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대경 날개(80a)와, 소경 날개(80b)와, 접시부재(81)와, 하측 샤프트(82)가, 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됨에 의해, 회전 날개 부재(8)가 형성된다. 도 8에, 형성된 회전 날개 부재(8)의 한 예를 도시한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large-
도 7에서, 배수 펌프(1)는, 제2실(7)을 규정하는 상부 하우징(7a)을 구비하고, 제2실(7)에는, 샤프트(9)의 일부가 배치된다. 상부 하우징(7a)은, 측벽(122)과, 격벽(10)을 구비한다. 격벽(10)의 하면에는, 상술한 수류유도표면(10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7a)의 측벽(122)에는, 제2실(7)의 내부에 진입한 물을 배출 가능한 유체 배출부(슬릿(72))가 형성되어 있다.In FIG. 7, the
배수 펌프(1)가 정지하면, 관통구멍(5)을 통하여, 제2실(7) 내로 귀환수가 진입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격벽(10)의 내측부분의 하면에, 상술한 수류유도표면(10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실(7) 내로의 귀환수의 유출량이 저감된다. 또한, 제2실(7) 내로 귀환수가 유출된 경우라도, 상술한 유체 배출부(슬릿(72))을 통하여, 귀환수가, 제2실(7)의 외부에 신속하게 배출된다. 이 때문에, 제2실(7) 내의 축수부(14) 등이 물에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되고, 축수부(14) 등이 부식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When the
제2실(7) 내에는, 귀환수의 뿜어 올림을 억제하는 수절판(15)이 배치되어도 좋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절판(15)은,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샤프트(9)에 연결되어 있다. 제2실(7) 내에, 수절판(15)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귀환수가, 축수부(14) 등에 도달하는 리스크가 저감된다. 이 때문에, 제2실(7) 내의 축수부(14) 등이 물에 접촉할 가능성이 저감되고, 축수부(14) 등이 부식되는 리스크가 보다 한층 저감된다.In the
샤프트(9)를 구성하는 상측 샤프트(92)와 하측 샤프트(82)는, 소경의 상측 샤프트(92)가, 대경의 하측 샤프트(82)의 축구멍(83)(도 8을 참조)에 삽입됨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수절판(15)은, 상측 샤프트(92)와 하측 샤프트(8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In the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샤프트(9)가, 축수부(14a, 14b)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측에의 귀환수의 유출이 억제되기 때문에, 축수부(14a, 14b)의 적어도 일부는, 물과의 접촉에 의해 부식되기 쉬운 금속재료로 형성되어도 좋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과, 유체 배출부(슬릿(72))와, 수절판(15)의 3개의 구성에 의해, 상승적으로, 축수부(14) 등에의 물의 접촉을 억제하고, 축수부(14) 등의 부식을 억제하고 있는 점에서 획기적이다. 수류유도표면(104)은, 제2실(7) 내로의 귀환수의 유출을 억제한다는 기능을 가지며, 유체 배출부(슬릿(72))는, 제2실(7) 내의 귀환수를 신속하게 배출한다는 기능을 가지며, 수절판(15)은, 제2실(7) 내에서의 귀환수의 뿜어 올림을 억제한다는 기능을 갖는다. 즉,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3개가 다른 기능을 갖는 3개의 구성을 조합시켜서, 효과적으로, 축수부(14) 등에의 물의 접촉을 억제하고, 축수부(14) 등의 부식을 억제하고 있는 점에서 획기적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water
(수류유도표면의 제1 변형례)(The first modification of the water flow induction surface)
도 9를 참조하여, 수류유도표면의 제1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1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제1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은, 그 단면이,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되고, 즉, 수류유도표면(104a)이, 복수종의 원추대(圓錐臺)의 측면인 복수의 경사면(104a-1 내지 104a―6)을 구비한 점에서, 도 4에 기재된 예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단면(斷面)이 곡선이 되도록 형성된 수류유도표면)과 다르다. 기타의 점에서는, 제1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은, 도 4에 기재된 예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과 마찬가지이다.Referring to Fig. 9, a first modification example of the water flow induction surface is explained.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도 9에 기재된 예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은, 도 4에 기재된 예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을, 복수의 경사면에 의해 근사적으로 모의(模擬)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내지 4의 설명에서, 볼록곡면(108)을, 「볼록곡면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복수의 경사면」, 오목곡면(109)을, 「오목곡면을 근사적으로 나타내는 복수의 경사면」라고 바꾸어 읽음에 의해, 제1 변형례에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내지 4의 설명의 전부가 채용된다. 그리고, 제1 변형례에 관해, 상술한 설명의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된다.The water
또한, 도 9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a)의 경사는,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부터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수류유도표면(104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는, 단계적으로 증가한다. 그리고, 실질적인 변곡점(108a)을 넘어서 더욱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수류유도표면(104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는, 단계적으로 감소한다. 또한, 수류방향 변경부(107)의 내측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와, 수류방향 변경부(107)의 외측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는, 서로 역방향의 경사이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shown in FIG. 9, the inclination of the water
제1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a)에 의해, 상술한 수류유도표면(104)에 의해 이루어지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The water
(수류유도표면의 제2 변형례)(2nd Modification Example of Water Flow Guide Surface)
도 10을 참조하여, 수류유도표면의 제2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제2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b)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관통구멍(5)을 규정하는 내벽면에, 하방을 향함에 따라 확경하는 외향(外向) 테이퍼면(5a)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에 기재된 예와는 다르다. 기타의 점에서는, 도 10에 기재된 예는, 도 4에 기재된 예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10, a second modification exampl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will be describ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밖으로 향한 테이퍼면(5a)은, 상술한 모따기 가공이 시행된 면과 마찬가지로, 샤프트(9)를 향하는 수류의 형성에 공헌하지 않는 면이다. 따라서,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b)의 내연부(105)는, 외향 테이퍼면(5a)을 제외한, 격벽(10)의 하면의 내연부이다. 즉,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b)은,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과, 위치(P4)(내연부(105)) 사이의 영역이다.The
제2 변형례에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내지 4의 설명의 전부가 채용된다. 그리고, 제2 변형례에 관해, 상술한 설명의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된다.In the second modification, all of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examples 1 to 4 are employ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modification, a description that repeats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제2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b)에 의해, 상술한 수류유도표면(104)에 의해 이루어지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The water
(수류유도표면의 제3 변형례)(3rd modification example of water flow induction surface)
도 11을 참조하여, 수류유도표면의 제3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제3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c)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관통구멍(5)을 규정하는 내벽면과 수류유도표면(104c)의 사이에, 수평면(17)이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도 4에 기재된 예와는 다르다.Referring to Fig. 11, a third modification exampl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will be described.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P5에 의해 나타나는 위치에서, 수류유도표면(104c)상의 수류가, 벽면으로부터 박리한다. 따라서, 수평면(17)은, 상술한 모따기 가공이 시행된 면과 마찬가지로, 샤프트(9)를 향하는 수류의 형성에 공헌하지 않는 면이다. 이 때문에,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c)의 내연부(105)는, 수평면(17)을 제외한, 격벽(10)의 하면의 내연부이다. 즉,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는, 수류유도표면(104c)은,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과, 위치( P5)(내연부(105)) 사이의 영역이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 11, the water flow on the water
제3 변형례에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내지 4의 설명의 전부가 채용된다. 그리고, 제3 변형례에 관해, 상술한 설명의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된다.In the third modification, all of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examples 1 to 4 are adop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third modification, the description that repeats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제3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c)에 의해, 상술한 수류유도표면(104)에 의해 이루어지는 효과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The water
(수류유도표면의 제4 변형례)(4th Modification Example of Water Flow Guide Surface)
도 12를 참조하여, 수류유도표면의 제4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2는,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 1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four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은, 연직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제1면(1041)과, 내연부(105)보다도 상방으로 패여진 제2면(1042)을 구비한 점에서, 도 4에 기재된 수류유도표면(104)과 다르다.The water
제4 변형례에서는,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의 경사와,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의 경사가 크게 다르다(90도 다르다). 이 때문에,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상을 흐르는 수류는, 점(P1)에서, 벽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쉽다. 따라서, 수류를 오목부 공간(SP)에 유도하는 관점에서는,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은, 최적인 형상이다고는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은, 내연부(105)보다도 상방으로 패여진 제2면(1042)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류를 경사 하방을 향하여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4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d)의 존재에 의해,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실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2면(1042)은, 오목곡면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In the fourth modification, the slope of the water
제4 변형례에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2, 4의 설명의 전부가 채용된다. 그리고, 제4 변형례에 관해, 상술한 설명의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된다.In the fourth modification, all of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f the configuration examples 1, 2, and 4 are adop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fourth modified example, a description that repeats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수류유도표면의 제5 변형례)(The fifth modification of the water flow induction surface)
도 13을 참조하여, 수류유도표면의 제5 변형례에 관해 설명한다. 도 13은,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의 근방 부분의 단면도로서, 샤프트(9)의 중심축(Z)을 포함하는 단면에서의 단면도이다.Referring to Fig. 13, a fif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will be described.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water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은, 연직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제1면(1041)과, 내연부(105)로부터 수평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제2면(1043)을 구비한 점에서, 도 4에 기재된 수류유도표면(104)과 다르다.The water
제5 변형례에서는,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의 경사와, 오목부 공간(SP)의 경외연을 규정하는 점(P1)에서의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의 경사가 크게 다르다(90도 다르다). 이 때문에, 링형상 본체부(101)의 외측부분의 하면(102)상을 흐르는 수류는, 점(P1)에서, 벽면으로부터 박리하기 쉽다. 따라서, 수류를 오목부 공간(SP)에 유도하는 관점에서는,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은, 최적인 형상이다고는 할 수가 없다. 그러나,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은, 내연부(105)로부터 수평 방향에 늘어나는 제2면(1043)을 구비하기 때문에, 수류를 수평 방향을 향하여 방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5 변형례에서의 수류유도표면(104e)의 존재에 의해, 펌프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실 내로의 물의 유출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fifth modification, the slope of the water
제5 변형례에서는, 상술한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설명, 구성례 1, 4의 설명의 전부가 채용된다. 그리고, 제5 변형례에 관해, 상술한 설명의 반복이 되는 설명은, 생략된다.In the fifth modification, all of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of the configuration examples 1 and 4 are adopted.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fifth modification, the description that repeats the above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의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의 자유로운 조합, 또는 실시의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실시의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에서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example, free combination of each modification example, or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example, modification of arbitrary constituent elements of each modification example, or embodiment, each It is possible to omit arbitrary elements in the configuration examples and each modification example.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에서, 수류유도표면은, 중심축(Z)에 대해 회전 대칭의 형상인 것이 상정되어 있다. 환언하면, 수류유도표면은, 전체로서, 링 형상을 갖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그러나, 수류유도표면은, 중심축(Z)에 대해 회전 대칭의 형상이 아니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에서, 수류유도표면의 특정한 하나의 연직 단면에서의 형상이, 도 4,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의 어느 하나에 의해 나타나는 형상이고, 수류유도표면의 다른 연직 단면에서의 형상이, 당해 특정한 하나의 연직 단면에서의 형상과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토출구(4)가 배치되는 측의 수류유도표면의 형상과, 토출구(4)가 배치되지 않는 측의 수류유도표면의 형상이, 서로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example, and each modification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has a shape of rotational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Z. In other words, it is assumed that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has a ring shape as a whole. However,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not have a shape that is rotation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Z.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example, and each modification, the shap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in one specific vertical section is shown in FIGS. 4, 9, 10, 11, 12, and 13. It is a shape represented by any one, and the shape in the other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may be a shape different from the shape in the said specific one vertical cross section.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on the side where the
상술한 실시 형태, 각 구성례, 각 변형례에서, 격벽의 외측부분과, 수류유도표면을 규정하는 격벽의 내측부분(103)이 일체 성형에 의해 형성된 하나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대체적으로, 격벽의 외측부분과, 격벽의 내측부분(103)이 별체이고, 양자가 서로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제2실(7)은, 제1실의 상방(모터측)에 존재하고, 모터의 회전축이 배치된 영역을 의미하고 있고, 제2실(7)은, 반드시, 구멍 또는 슬릿이 마련된 폐쇄적인 공간일 필요는 없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ach configuration example, and each modification, it is assumed that the out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the
1 : 배수 펌프
2 : 드레인 호스
3 : 흡입구
3a : 흡입관
4 : 토출구
4a : 토출관
5 : 관통구멍
5a : 테이퍼면
6 : 제1실
6a : 하부 하우징
7 : 제2실
7a : 상부 하우징
8 : 회전 날개 부재
9 : 샤프트
10 : 격벽
11 : 모터 지지 부재
11a : 모터
12 : 측벽
13 : 실 부재
14 : 축수부
14a : 축수부
14b : 축수부
15 : 수절판
17 : 수평면
72 : 슬릿
80 : 회전 날개
80a : 대경 날개
80b : 소경 날개
81 : 접시부재
82 : 하측 샤프트
83 : 축구멍
92 : 상측 샤프트
101 : 링형상 본체부
102 : 하면
103 : 내측부분
104 : 수류유도표면
104a : 수류유도표면
104b : 수류유도표면
104c : 수류유도표면
104d : 수류유도표면
104e : 수류유도표면
105 : 내연부
106 : 최내연
107 : 수류방향 변경부
107a : 외측 표면
107b : 내측 표면
108 : 볼록곡면
108a : 변곡점
109 : 오목곡면
121 : 측벽
122 : 측벽
800a : 단차부
1041 : 제1면
1042 : 제2면
1043 : 제2면
SP : 오목부 공간1: drain pump
2: drain hose
3: inlet
3a: suction pipe
4: discharge port
4a: discharge pipe
5: through hole
5a: tapered side
6:
6a: lower housing
7:
7a: upper housing
8: rotating blade member
9: shaft
10: bulkhead
11: motor support member
11a: motor
12: side wall
13: thread member
14: shaft receiving part
14a: shaft receiving part
14b: shaft receiving part
15: hand plate
17: horizontal plane
72: slit
80: rotating wing
80a: large diameter wing
80b: small diameter wing
81: plate member
82: lower shaft
83: shaft hole
92: upper shaft
101: ring-shaped body part
102: lower surface
103: inner part
104: water flow guide surface
104a: water flow guiding surface
104b: water flow guide surface
104c: water flow guide surface
104d: water flow guide surface
104e: water flow guiding surface
105: internal edge
106: Choi Nae-yeon
107: water flow direction change part
107a: outer surface
107b: inner surface
108: convex surface
108a: inflection point
109: concave curved surface
121: side wall
122: side wall
800a: step
1041: first page
1042: second page
1043: second page
SP: concave space
Claims (8)
상기 회전 날개가 수용된 제1실을 갖는 펌프 본체와,
상기 펌프 본체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실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외부에 배출 가능한 제2실을 갖는 모터 지지 부재와,
상기 모터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된 모터와,
상기 제1실과 상기 제2실 사이에 배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에 마련된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배치되고, 상기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날개에 전달하는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격벽은,
링형상 본체부와,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내측부분의 하면에 마련된 수류유도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외측부분의 하면보다도 상방으로 패여진 오목부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깊어지는 외측표면과,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얕아지는 내측표면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표면과 상기 내측표면의 사이에, 수류방향 변경부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오목부 공간 내로 유입한 수류를,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를 향하여 상방이면서 내방으로 진행시켜,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에서 방향을 바꾸고,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에서 방향이 변경된 수류를, 하방이면서 내방을 향하여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With rotating wings,
A pump body having a first chamber in which the rotating blades are accommodated,
A motor support member disposed above the pump body and having a second chamber capable of discharging the fluid flowing out from the first chamber to the outside;
A motor supported by the motor support member,
A partition wall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om and the second room,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 shaft disposed through the through hole and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to the rotary blade,
The partition wall,
A ring-shaped body part,
It has a water flow guiding surfac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defines a concave space recessed abov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ing-shaped main body,
The water flow-inducing surface has an outer surface that gradually deepens as it faces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that gradually becomes shallower as it faces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A water flow direction change part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the water flow flowing into the concave space, proceeds upward and inward toward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changing the direction at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and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water flow changed in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art. , Drainage pump,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toward the inside while being downward.
상기 오목부 공간의 깊이를 깊이(D1)로 정의하고, 상기 오목부 공간의 폭을 폭(W1)으로 정의할 때, 깊이(D1)는, 폭(W1)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depth of the concave space is defined as the depth (D1) and the width of the concave space is defined as the width (W1), the depth (D1) is a multiple, characterized in that not more than twice the width (W1) Pump.
상기 수류유도표면의 내연부에서, 상기 수류유도표면과 연직축 사이의 이루는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1,
In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water flow guide surface, an angle formed between the water flow guide surface and the vertical axis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외측표면과 상기 내측표면의 사이에, 수류 방향을 바꾸는 수류방향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류방향 변경부는, 상기 내연부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3,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has a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to change the water flow direction,
The water flow direction changing portion is a drain pump,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above the inner edge portion.
상기 외측 표면은, 지름 내 방향을 향함에 따라 경사가 변화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4,
The outer surface is a drainage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changes toward the inner diameter direction.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수류유도표면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점과 상기 링형상 본체부의 상기 외측부분의 하면과의 사이에 변곡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has an inflection point between a point positioned at an uppermost portion of the water flow guiding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ring-shaped body portion.
상기 수류유도표면은, 상기 외측표면에 볼록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펌프.The method of claim 1,
The drainage pump, wherein the water flow inducing surface has a convex curved surface on the outer surface.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는 수절판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수절판은, 상기 제2실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The method of claim 1,
Also provided with a receiving plate supported by the shaft,
The drainage pump, wherein the receiving plate is disposed in the second cha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60742A JP6771768B2 (en) | 2017-03-27 | 2017-03-27 | Drainage pump |
JPJP-P-2017-060742 | 2017-03-27 | ||
PCT/JP2017/045121 WO2018179612A1 (en) | 2017-03-27 | 2017-12-15 | Drainage pum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10147A KR20190110147A (en) | 2019-09-27 |
KR102183341B1 true KR102183341B1 (en) | 2020-11-26 |
Family
ID=6367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7027125A KR102183341B1 (en) | 2017-03-27 | 2017-12-15 | Drain pump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771768B2 (en) |
KR (1) | KR102183341B1 (en) |
CN (1) | CN110475974B (en) |
WO (1) | WO2018179612A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75972A (en) * | 2009-05-29 | 2010-12-09 | Fuji Koki Corp | Drainage pump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58652B2 (en) * | 1992-12-24 | 2005-06-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Centrifugal pump for discharging dehumidified water from air conditioners |
CN1047433C (en) * | 1994-12-26 | 1999-12-15 | 广州水泵厂 | Self-suction, inner drainage, no-leakage pump |
US5683235A (en) * | 1995-03-28 | 1997-11-04 | Dresser-Rand Company | Head port sealing gasket for a compressor |
JP3353098B2 (en) * | 1995-04-17 | 2002-12-03 | 株式会社鷺宮製作所 | Drain water drainage pump |
JP4294143B2 (en) * | 1999-02-19 | 2009-07-08 | 株式会社不二工機 | Drainage pump |
-
2017
- 2017-03-27 JP JP2017060742A patent/JP6771768B2/en active Active
- 2017-12-15 WO PCT/JP2017/045121 patent/WO201817961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12-15 CN CN201780089146.XA patent/CN110475974B/en active Active
- 2017-12-15 KR KR1020197027125A patent/KR10218334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75972A (en) * | 2009-05-29 | 2010-12-09 | Fuji Koki Corp | Drainage pum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475974A (en) | 2019-11-19 |
JP6771768B2 (en) | 2020-10-21 |
WO2018179612A1 (en) | 2018-10-04 |
JP2018162735A (en) | 2018-10-18 |
CN110475974B (en) | 2021-10-29 |
KR20190110147A (en) | 2019-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43181B (en) | Drain pump | |
JP5707086B2 (en) | Drainage pump | |
KR101695444B1 (en) | Pump | |
KR101601350B1 (en) | Drain pump | |
JP2006291917A (en) | Impeller for centrifugal pump and centrifugal pump having the same | |
KR102183341B1 (en) | Drain pump | |
CN105697384B (en) | Water discharge pump | |
JP6375285B2 (en) | Drainage pump | |
US20060171800A1 (en) | Drain pump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 |
JP4937313B2 (en) | Drainage pump | |
JP3098978B2 (en) | Self-priming centrifugal pump | |
JP4459706B2 (en) | Drainage pump | |
JP6456179B2 (en) | Blower | |
US20240151241A1 (en) | Slurry pump | |
JP2005248732A (en) | Drain pump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JP6001709B2 (en) | Drain pump | |
EP2233749A1 (en) | Pressurizing centrifugal pump | |
KR101876392B1 (en) | Establish structure for centrifugal fan | |
JP2004138075A (en) | Drainage pump | |
JP6427428B2 (en) | Drainage pump | |
JP2021134733A (en) | Drain pump | |
JP2021071057A (en) | Drainage pump | |
KR20200094620A (en) | Rotary vanes for drain pump and drain pumps having them | |
JP2005030262A (en) | Drain pump | |
JPH1130192A (en) | Self-priming type centrifugal pump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