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139B1 -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 Google Patents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139B1
KR102183139B1 KR1020200078136A KR20200078136A KR102183139B1 KR 102183139 B1 KR102183139 B1 KR 102183139B1 KR 1020200078136 A KR1020200078136 A KR 1020200078136A KR 20200078136 A KR20200078136 A KR 20200078136A KR 102183139 B1 KR102183139 B1 KR 1021831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lamp
ultraviolet
chamb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나드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나드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나드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7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6Hygienic features, e.g. easy to sanitiz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컨베이어(C)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이 가능한 챔버(100); 챔버(100)에 설치되어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되는 마스크(M)를 살균처리하는 제1·2자외선램프(200,200');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300); 제2자외선램프(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며 챔버(100)의 폭 조절을 제한하는 램프제어수단(400); 챔버(100)와 컨베이어(C)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마스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마스크를 살균처리하고, 컨베이어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 및 자외선램프를 확장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로부터 이탈시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던 전원이 즉시 차단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자외선이 전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UV sterilizer for conveyors to manufacture sterile masks}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마스크 등의 살균대상물을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처리하는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 및 자외선램프를 확장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살균처리시 비가열 상태의 살균을 위해 자외선을 주로 이용하고 있는바, 이러한 자외선을 보통 파장이 240㎚ ~ 400㎚까지 이루는 전자기파로 인공적으로 만들어 사용하게 되는데, 화학작용이 강하면서 살균소득 작용을 비롯하여 비타민 D의 형성과 피부의 색소침착 등 생물학적이 강하여 다양한 식품의 살균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공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종래 컨베이어 표면 살균기는 이송 컨베이어 상에 마스크 등의 살균대상물을 올려놓고 컨베이어를 작동시키면 살균대상물이 이동하는 과정에 인공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는 컨베이어에 설치함에 있어 컨베이어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해야 했기 때문에 범용성이 떨어지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6332호(2006.01.20)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3780호(2003.05.22)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047호(2004.08.25)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13609호(2014.02.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베이어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은 물론 자외선램프 이에 맞게 확장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는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일측 사이드프레임 상에 얹혀지는 제1벽체부, 제1벽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말단부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장착홀이 일체로 형성된 제1천정부로 구성된 제1바디와,
컨베이어의 타측 사이드프레임 상에 얹혀지는 제2벽체부, 제2벽체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천정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천정부로 구성된 제2바디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관통된 챔버;
제1·2천정부의 하면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되는 마스크를 살균처리하는 제1·2자외선램프;
제2벽체부의 하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2벽체부와 사이드프레임 간의 상호 접촉에 의해 제1·2자외선램프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
제2천정부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장착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2천정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고, 제2자외선램프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램프제어수단;
제1·2벽체부에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에 챔버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챔버의 개구부에는 램프차폐수단이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램프차폐수단은,
제1·2벽체부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일측 가이드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암부재, 및 타측 가이드부재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암부재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수부재로 구성된 커튼프레임과,
한 쌍의 가이드부재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가 고무재질인 승강링, 일측 가이드부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암부재, 및 타측 가이드부재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2암부재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수부재로 구성된 승강바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커튼프레임과 승강바에 설치되어 제1암부재와 제1수부재 및 제2암부재와 제2수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신축되는 커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램프제어수단은,
상기 제2천정부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게 내설되는 절연재질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출몰가능하게 내설되어 장착홀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전도체와,
상기 스토퍼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케이스에 내설되어 스토퍼와 함께 이동하는 전도체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어 스토퍼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 및 폭 조절에 따른 자외선램프의 수를 확장할 수 있어 범용성 및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로부터 이탈시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던 전원이 즉시 차단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자외선이 전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램프차폐수단을 더 보강해 줌으로서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불필요하게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처리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차폐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저면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서 램프제어수단 및 주변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서 램프차폐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저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는 챔버(100)와 제1·2자외선램프(200,200'), 메인스위치(300), 램프제어수단(400) 및 고정수단(5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마스크(M)를 이송하는 컨베이어(C)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마스크(M)를 살균처리하고, 컨베이어(C)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 및 자외선램프를 확장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강화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C)로부터 이탈시 자외선램프로 공급되던 전원이 즉시 차단되도록 하여 작업자에게 불필요한 자외선이 전달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램프차폐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의하면 자외선램프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이 불필요하게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처리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차폐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챔버(100)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100)는 컨베이어(C)의 사이드프레임(F) 상에 아치형태로 배치되며, 내부는 컨베이어(C)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상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있어 컨베이어(C)의 폭에 상응하게 폭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제1바디(110)는 제1벽체부(111)와 제1천정부(11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역‘ㄱ’자 형태를 이루고 있고, 제2바디(120)는 제2벽체부(121)와 제2천정부(122)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ㄱ’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1벽체부(111)와 제2벽체부(121)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부재로 컨베이어(C)의 사이드프레임(F) 상면에 입설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천정부(112)는 제1벽체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제2벽체부(121)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2천정부(122)는 제2벽체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제1벽체부(111)를 향해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천정부(112)의 내부는 제2천정부(122)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게 내부가 제2벽체부(121)를 향해 개구되어 있으며, 말단부 양측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장착홀(112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홀(112a)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램프제어수단(400)의 스토퍼(420)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진다.
한편, 상기 제1·2벽체부(111,121)의 외면에는 고정수단(500)이 설치되는 결속고리(113,123)가 각각 설치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2자외선램프(200,200')는 제1·2천정부(112,122)의 하면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되는 마스크(M)를 살균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제1자외선램프(200)는 제1천정부(112)의 하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제2자외선램프(200')는 제2천정부(122)의 하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며, 제1자외선램프(200)는 이후에 설명되는 메인스위치(3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데 반하여, 제2자외선램프(200')는 메인스위치(300) 및 램프제어수단(400)에 의해 동작제어되는데, 이는 제1천정부(112)의 내부에 은닉되어 있던 제2자외선램프(200')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었을 때에만 제2자외선램프(2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이고 제2자외선램프(20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스위치(300)는 공지의 ON/OFF스위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벽체부(121)의 하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2벽체부(121)를 컨베이어(C)의 사이드프레임(F) 상면에 얹혀주게 되면, 제2벽체부(121)의 자중에 의해 사이드프레임(F)의 상면에 맞대어 있던 메인스위치(300)가 눌리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에 의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 전원이 공급된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2벽체부(121)를 사이드프레임(F)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켜주게 되면 눌려 있던 메인스위치(300)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면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의 전원공급은 차단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서 램프제어수단 및 주변 일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램프제어수단(400)은 케이스(410)와 스토퍼(420), 전도체(430), 단자(440) 및 스프링(4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천정부(122)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1천정부(112)의 장착홀(11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2천정부(112,1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고, 제2자외선램프(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연결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스(4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는 내부가 일단으로 개방된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천정부(122)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게 내설된다.
상기 스토퍼(420)는 케이스(410)에 출몰가능하게 가능하게 내설되어 장착홀(11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가 일단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의 절연체이다.
상기 전도체(430)는 스토퍼(420)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어 서로 이격된 단자(440)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매개체이다.
상기 단자(440)는 케이스(410)에 내설되며 스토퍼(4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스토퍼(420)와 함께 이동하는 전도체(43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450)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케이스(410)에 내설되어 스토퍼(42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 즉, 장착홀(112a)을 향해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천정부(112)로부터 제2천정부(122)를 서서히 인출하게 되면, 램프제어수단(400)이 제2천정부(122)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 스토퍼(420)가 스프링(450)의 탄발력에 의해 장착홀(112a)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제2천정부(122)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한된다.
이와 더불어 스토퍼(420)가 이동함에 따라 전도체(430) 역시 함께 이동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던 단자(4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되고, 이에 따라 메인스위치(30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은 전도체(430) 및 단자(440)를 통해 제2자외선램프(200')로 공급되며, 제2자외선램프(200')는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된다.
반대로, 상기 스토퍼(420)를 가압해 장착홀(112a)로부터 스토퍼(420)를 이탈시켜 주게 되면, 스토퍼(420)가 케이스(410)의 내측으로 인입되면서 스프링(450)를 압축하게 되고, 스토퍼(420)의 이동에 의해 전도체(430)가 함께 이동하게 되면서 단자(440)의 전기적인 연결이 해제되며, 이에 의해 제2자외선램프(200')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면서 제2자외선램프(200')는 소등되며, 이와 더불어 스토퍼(42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었던 제2천정부(122)는 비로소 제1천정부(112)의 내부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인입된다.
상기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500)은 걸쇠(510)와 벨크로테이프(5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챔버(100)의 결속고리(113,123)에 설치되어 챔버(100)와 컨베이어(C)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쇠(510)는‘ㄴ’자 형상의 금속부재이며, 필요에 따라 컨베이어(C)의 사이프레임(F) 하단에 걸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테이프(520)는 결속고리(113,123)에 관통되게 끼워져 일단이 걸쇠(510)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결속고리(113,123)를 경유해 탈부착된다.
일 예로, 상기 챔버(100)를 컨베이어(C)의 사이프레임(F) 상면에 안착시켜 준 상태에서 걸쇠(510)를 사이프레임(F) 하단에 배치한 상태에서 벨크로테이프(520)를 잡아당기게 되면, 걸쇠(510)가 사이프레임(F) 하단에 걸리게 되고, 이때 벨크로테이브(520)로 부착하게 되면 챔버(100)는 고정수단(500)을 매개로 컨베이어(C)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수단(500)을 걸쇠(510)와 벨크로테이프(520)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공지의 클램프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챔버(100)는 내부가 컨베이어(C)의 이송방향으로 관통되어 있어 제1·2자외선램프(200,200')를 동작시키게 되면, 자외선이 개구부를 통해 주변으로 발산됨에 따라 작업자가 자외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챔버(100)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는 램프차폐수단(600)을 마련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에서 램프차폐수단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램프차폐수단(600)은 커튼프레임(610)과 승강바(620) 및 커튼(6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챔버(100)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부터 발산되는 자외선이 챔버(100) 밖으로 세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튼프레임(610)은 가이드부재(611)와 제1암부재(612) 및 제1수부재(6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611)는 제1·2벽체부(111,121)에 각각 배치되어 상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암부재(612)는 중공관으로 제1벽체부(111)에 설치된 가이드부재(6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제1수부재(613)는 중실관으로 제2벽체부(121)에 설치된 가이드부재(6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암부재(61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승강바(620)는 승강링(621)과 제2암부재(622) 및 제2수부재(6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링(621)은 내주면이 고무재질인 금속링으로 가이드부재(6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고, 제2암부재(622)는 중공관으로 일측 가이드부재(6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승강링(62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며, 제2수부재(623)는 중실관으로 타측 가이드부재(611)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진 승강링(621)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2암부재(62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커튼(630)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커튼프레임(610)과 승강바(620)에 설치되어 제1암부재(612)와 제1수부재(613) 및 제2암부재(622)와 제2수부재(623)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신축되어 자외선이 챔버(100) 밖으로 세어나가는 것을 최대한 차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제1바디(110)로부터 제2바디(120)를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커튼프레임(610)을 구성하는 제1암부재(612)로부터 제1수부재(613)가 인출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와 더불어 승강바(620)를 구성하는 제2암부재(622)로부터 제2수부재(623)가 인출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제1수부재(613)와 제2수부재(623)의 이동에 의해 주름져있던 커튼(630)이 함께 이동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611)를 따라 승강바(620)를 승강시키게 되면, 커튼(630)이 함께 올라가게 되면서 컨베이어(C)와 승강바(620) 사이에 간격(높이)이 조절되며, 이에 따라 살균처리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차폐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를 참조하면, 컨베이어(C)의 폭에 상응하게 제1바디(110)로부터 제2바디(120)를 인출하게 되면, 램프제어수단(400)이 제2천정부(122)와 함께 이동되는 과정에 스토퍼(420)가 스프링(450)의 탄발력에 의해 장착홀(112a)로 삽입되고, 이에 의해 제2천정부(122)의 슬라이드 이동은 제한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420)가 이동함에 따라 전도체(430) 역시 함께 이동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던 단자(44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챔버(100)의 폭 조절시 커튼프레임(610)을 구성하는 제1암부재(612)로부터 제1수부재(613)가 인출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고, 이와 더불어 승강바(620)를 구성하는 제2암부재(622)로부터 제2수부재(623)가 인출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며, 상기 제1수부재(613)와 제2수부재(623)의 이동에 의해 주름져있던 커튼(630)이 함께 이동되면서 펼쳐지게 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챔버(100)의 폭을 조절한 다음, 챔버(100)를 컨베이어(C)의 사이드프레임(F) 상면에 얹혀주게 되면, 챔버(100)의 자중에 의해 메인스위치(300)가 가압되면서 눌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C)에 챔버(100)가 배치되면, 고정수단(500)을 구성하는 걸쇠(510)를 사이프레임(F) 하단에 배치한 상태에서 벨크로테이프(520)를 잡아당기게 되면, 걸쇠(510)가 사이프레임(F) 하단에 걸리게 되고, 이때 벨크로테이브(520)로 부착하게 되면 챔버(100)는 고정수단(500)을 매개로 컨베이어(C)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컨베이어(C)에 전원을 공급하고,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살균기로도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전원은 메인스위치(300) 및 램프제어수단(400)을 거쳐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 전달되고, 제1·2자외선램프(200,200')는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되는 마스크(M)를 살균처리하게 된다.
한편, 작업중 외력에 의해 컨베이어(C)로부터 챔버(100)가 이탈될 경우 눌리있던 메인스위치(300)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므로 전기적인 연결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의 전원공급은 자연스럽게 차단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챔버 110: 제1바디 111: 제1벽체부
112: 제1천정부 112a: 장착홀 120: 제2바디
121: 제2벽체부 122: 제2천정부 200: 제1자외선램프
200': 제2자외선램프 300: 메인스위치 400: 램프제어수단
410: 케이스 420: 스토퍼 430: 전도체
440: 단자 450: 스프링 500: 고정수단
600: 램프차폐수단 610: 커튼프레임 620: 승강바
630: 커튼

Claims (3)

  1. 컨베이어(C)의 일측 사이드프레임(F) 상에 얹혀지는 제1벽체부(111), 제1벽체부(1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고, 내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개방되며, 말단부 측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장착홀(112a)이 일체로 형성된 제1천정부(112)로 구성된 제1바디(110)와,
    컨베이어(C)의 타측 사이드프레임(F) 상에 얹혀지는 제2벽체부(121), 제2벽체부(12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천정부(11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천정부(122)로 구성된 제2바디(120)로 이루어지되, 내부가 컨베이어(C)의 진행방향으로 관통된 챔버(100);
    제1·2천정부(112,122)의 하면에 각각 노출되게 설치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점등되어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되는 마스크(M)를 살균처리하는 제1·2자외선램프(200,200');
    제2벽체부(121)의 하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제2벽체부(121)와 사이드프레임(F) 간의 상호 접촉에 의해 제1·2자외선램프(200,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메인스위치(300);
    제2천정부(122)의 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어 장착홀(11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제1·2천정부(112,12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고, 제2자외선램프(200')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는 램프제어수단(400);
    제1·2벽체부(111,121)에 각각 설치되어 컨베이어(C)에 챔버(100)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00)의 개구부에는 램프차폐수단(600)이 더 보강 구비되되,
    상기 램프차폐수단(600)은,
    제1·2벽체부(111,121)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611), 일측 가이드부재(6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암부재(612), 및 타측 가이드부재(611)의 상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1암부재(61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1수부재(613)로 구성된 커튼프레임(610)과,
    한 쌍의 가이드부재(611)에 각각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는 내부가 고무재질인 승강링(621), 일측 가이드부재(61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암부재(622), 및 타측 가이드부재(611)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제2암부재(622)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제2수부재(623)로 구성된 승강바(620)와,
    상단과 하단이 각각 커튼프레임(610)과 승강바(620)에 설치되어 제1암부재(612)와 제1수부재(613) 및 제2암부재(622)와 제2수부재(623)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신축되는 커튼(6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수단(400)은,
    상기 제2천정부(122)의 측면에 일면이 노출되게 내설되는 절연재질의 케이스(410)와,
    상기 케이스(410)에 출몰가능하게 내설되어 장착홀(112a)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절연재질의 스토퍼(420)와,
    상기 스토퍼(420)의 일단부 외주면에 설치되는 전도체(430)와,
    상기 스토퍼(420)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되게 케이스(410)에 내설되어 스토퍼(420)와 함께 이동하는 전도체(430)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440)와,
    상기 케이스(410)에 내설되어 스토퍼(420)를 일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4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KR1020200078136A 2020-06-26 2020-06-26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KR102183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36A KR102183139B1 (ko) 2020-06-26 2020-06-26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136A KR102183139B1 (ko) 2020-06-26 2020-06-26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39B1 true KR102183139B1 (ko) 2020-11-26

Family

ID=73679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136A KR102183139B1 (ko) 2020-06-26 2020-06-26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50B1 (ko) * 2021-02-26 2021-09-27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KR102312255B1 (ko) * 2021-02-26 2021-10-13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366Y1 (ko) * 2002-07-12 2002-10-19 주식회사 성원인더스트리 신발 탈취 소독기
KR200313780Y1 (ko) 2003-02-18 2003-05-22 이훈직 살균장치
KR100445047B1 (ko) 2001-08-18 2004-08-25 허태균 식품재료 및 조리실 내부의 살균장치가 구비된 식판이송컨베이어
KR200406332Y1 (ko) 2005-11-07 2006-01-20 문영식 살균기능의 컨베어덥게
KR20110129727A (ko) * 2010-05-26 2011-12-02 이남철 포장육 살균 처리장치
KR20120106387A (ko) * 2011-03-18 2012-09-26 이동원 자외선 살균 칫솔
JP2013140051A (ja) * 2011-12-28 2013-07-18 Seiko Precision Inc X線処理装置
KR20190066203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에코팩코리아 적외선 및 자외선을 이용한 듀얼 멸균 미용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2049112B1 (ko) * 2019-04-29 2019-12-31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를 갖는 김 자외선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047B1 (ko) 2001-08-18 2004-08-25 허태균 식품재료 및 조리실 내부의 살균장치가 구비된 식판이송컨베이어
KR200292366Y1 (ko) * 2002-07-12 2002-10-19 주식회사 성원인더스트리 신발 탈취 소독기
KR200313780Y1 (ko) 2003-02-18 2003-05-22 이훈직 살균장치
KR200406332Y1 (ko) 2005-11-07 2006-01-20 문영식 살균기능의 컨베어덥게
KR20110129727A (ko) * 2010-05-26 2011-12-02 이남철 포장육 살균 처리장치
KR20120106387A (ko) * 2011-03-18 2012-09-26 이동원 자외선 살균 칫솔
JP2013140051A (ja) * 2011-12-28 2013-07-18 Seiko Precision Inc X線処理装置
KR20190066203A (ko) * 2017-12-05 2019-06-13 주식회사 에코팩코리아 적외선 및 자외선을 이용한 듀얼 멸균 미용 마스크팩 제조장치
KR102049112B1 (ko) * 2019-04-29 2019-12-31 고젠코리아 주식회사 개선된 구조를 갖는 김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150B1 (ko) * 2021-02-26 2021-09-27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KR102312255B1 (ko) * 2021-02-26 2021-10-13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WO2022181909A1 (ko) * 2021-02-26 2022-09-01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WO2022181910A1 (ko) * 2021-02-26 2022-09-01 배연구 양말 살균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139B1 (ko) 무균마스크를 제조하기 위한 컨베이어용 자외선 살균기
CA2741135C (en) Hydroxyl radical producing plasma sterilisation apparatus
US10694681B2 (en) Closed apparatus for irradiating plants and produce
DE60140751D1 (de) Plasmalampe mit dielektrischem wellenleiter
DE60211656D1 (de) Expandierbare medizinische 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KR20160039459A (ko) 탈부착 및 각도조절 기능 내장형 led 무영등 장치 및 그의 설정 방법
KR102329963B1 (ko) Uv살균기
US11617896B2 (en) Medical wound healing accelerator and osteomyelitis treatment device
EP0772226A3 (en) Ultraviolet irradiating apparatus and components thereof
CN114209466A (zh) 实验动物精准放疗装置及方法
CN208838635U (zh) 一种可移动微波感应紫外线消毒装置
KR102535813B1 (ko) 소동물용 광조사 고정장치
KR102405315B1 (ko) 멸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멸균 방법
CN111407903A (zh) 智能紫外线杀菌灯及其开启和闭合的控制方法
CN214343525U (zh) 智能紫外线杀菌灯
KR101892938B1 (ko) 캡슐형 광선시술장치
KR102108178B1 (ko) 분리형 자외선 살균 장치
CN207384609U (zh) 一种臂式光波治疗仪
KR101821665B1 (ko) 가변 전극을 구비한 전격살충기
JP2017510414A (ja) 治療又は画像診断のためのアンテナ・アセンブリを備えるアクセス・ゲートすなわちガントリー
CN214548262U (zh) 具防疫效果的抽屉
CN213346961U (zh) 一种伸缩式紫外消毒棒
EP1496829B1 (en) Device for moving handicapped people
CN211245237U (zh) 一种医疗用紫外线体表照射装置
CN213284549U (zh) 一种药品生产用紫外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