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045B1 -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 Google Patents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045B1
KR102183045B1 KR1020190025795A KR20190025795A KR102183045B1 KR 102183045 B1 KR102183045 B1 KR 102183045B1 KR 1020190025795 A KR1020190025795 A KR 1020190025795A KR 20190025795 A KR20190025795 A KR 20190025795A KR 102183045 B1 KR102183045 B1 KR 10218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image
learning
bone loss
mod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7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7150A (en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045B1/en
Publication of KR2020010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0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61B5/7264Classifica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or data, e.g. using neural networks, statistical classifiers, expert systems or fuzz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17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extracting a diagnostic or physiological parameter from medical diagnostic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은, 임플란트 모델 별로 입력된 학습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부; 및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미판독이미지 상의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는 임플란트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를 포함하되, 주변골 소실량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로 입력된 식립임플란트의 피치간격과, 나사산의 개수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an implant learning model by learning a learning image input for each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And,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unread image to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ed implant periphery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the implant is exposed to outside the periphery bone from an unread image, and exposes the implant to the periphery bone. It includes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due to, and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s preferably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itch interval of the implantation implant input to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and the number of threads.

Description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및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본 발명은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및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자동으로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과,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이미지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주변골 소실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automated system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bone loss around the implant, and in detail, by using deep learning technology, the implantable implant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and identified from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automated implant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measuring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through image analysis of the implantable implant.

치과용 임플란트를 치과치료 술식이 소개된 이후, 다양한 임플란트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a dental treatment technique for dental implants, various implant models have been develop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 역할을 하는 치과용 크라운(crown)(6)과, 잇몸(2) 하측의 치조골(1)에 매립되어 치근 역할을 하는 임플란트 픽스쳐(3)로 이루어지며, 치과용 크라운(6)을 지탱하는 임플란트 지대주(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임플란트 지대주(5)를 결합하는 고정나사(4)가 추가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dental implant is a dental crown (6) that serves as a tooth, and an implant fixture (3) that is embedded in the alveolar bone (1) on the lower side of the gum (2) and serves as a root. It is made, an implant abutment 5 for supporting the dental crown 6 is further provided, and a fixing screw 4 for coupling the implant abutment 5 is added.

즉, 상기 임플란트 픽스쳐(3)는 치조골(1)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치과의사가 임플란트 픽스쳐(3)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엑스레이(X-Ray) 사진에 의해 어떤 임플란트 픽스쳐 인지를 시각적으로 인지해야 했다.That is, since the implant fixture 3 is buried in the alveolar bone 1, the dentist cannot directly check the implant fixture 3 with the naked eye, and the implant fixture can be identified by an X-ray photograph. I had to perceive it visually.

임플란트에 대한 관련 부속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제작 업체마다 다른 규격을 가진 임플란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임플란트 모델간의 상호 호환성이 떨어져,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의 장기적인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해당 임플란트 매식체의 제조회사 및 제품 정보를 계속적으로 정보유지 및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As the related parts for implants are not standardized, implant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are being developed for each manufacturer. Accordingly, mutual compatibility between implant models is poor, and for long-term maintenance of an implanted dental implant,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er and product of the implant implant must be continuously maintained and recognized.

물론, 최초 임플란트를 시술받은 병원에서는 고객별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임플란트 픽스쳐의 스펙이 바로 확인이 가능하지만, 새로 옮긴 치과병원에서 임플란트 픽스쳐의 스펙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렵다. 환자 자신이 식립된 임플란트 정보를 오랜 시간 인지하고 있기 어렵고, 식술을 시행하였던 의료기관의 폐업이나 관련 의료정보가 상실되는 경우도 많다. Of course, since customer-specific data are recorded in the hospital where the first implant was performed, the specifications of the implant fixture can be checked immediately,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pecifications of the implant fixture in the newly moved dental hospital. It is difficult for the patient to be aware of the implanted implant information for a long time, and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edical institution that performed the implantation is closed or related medical information is lost.

이에, 과거 치과용 임플란트를 식립한 환자들의 경우 해당 임플란트 제조 업체 및 임플란트 모델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임플란트의 유지 보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경우 의료인의 경험이나 시행착오법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나, 이는 의료인의 숙련도를 요구하는바, 임상 경험이 많지 않은 의료인이 이를 제대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Accordingly, in the case of patients who have placed dental implants in the past, it is often difficult to identify the implant manufacturer and the implant model, and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implant. In this case, the problem is solved through the experience or trial and error method of the medical practitioner, but this requires proficiency of the medical practitioner, and it is difficult for a medical practitioner with little clinical experience to properly grasp it.

또한, 임플란트는 식립 후 골 계면과의 골유착이 견고하게 이루어져야 적절한 기능이 가능해 진다. 기능적 부하가 가해지게 되면, 대부분의 임플란트 주변의 변연골에서는 소실가 발생하게 되면서 골 손실이 생긴다. 이러한 골 소실은 임플란트의 경부에서 치근단 부위를 향해 점진적으로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implantation, the proper function is possible only when the bone adhesion with the bone interface is made firmly. When a functional load is applied, most of the marginal bones around the implant are lost, resulting in bone loss. This bone loss occurs gradually from the neck of the implant toward the apical region.

임플란트는 장기사용을 목적으로 하는데, 임플란트를 장기적으로 불편감 없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치주염의 예방을 위해 주기적 관찰이 필요하다. Implants are intended for long-term use, and in order to use the implants for a long time without discomfort, periodic observa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periodontitis.

임플란트의 주기적 관찰은,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있기 때문에, 방사진 사진을 통해 임플란트가 식립된 주변골의 골 손실 정도를 파악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치과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임플란트 주변골의 소실정도를 측정하는 것은 학문적 및 임상적 측정 지표 중 하나이다. In the periodic observation of the implant, since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alveolar bone, a method of grasping the degree of bone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where the implant is placed is used through a radiograph. Measuring the degree of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using dental radiographs is one of the academic and clinical indicators.

그러나, 임플란트 방사진 사진으로부터 주변골의 소실정도를 측정하는 자동화된 툴(tool)이 없어, 연구자나 임상가들이 디지털 이미지 상에서 방사선 사진 촬영 후 전용 방사선 사진 뷰어를 이용한 그래픽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해당 지표값을 측정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no automated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loss of surrounding bones from implant radiographs, so researchers and clinicians take radiographs on digital images and manually use a graphic program using a dedicated radiograph viewer. The situation is being measured.

이런 수작업에 의존한 측정의 경우, 방사선 사진 촬영시의 실제 촬영대상물과의 비율 차이에 따른 실측치 오류에 따라 주변골 소실량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측정자의 시각 및 조작능력에 따른 오류 등에 의해 객관적인 실제 소실량이 측정되었다고는 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해당 지표값을 측정하는데 있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재현성 및 일관성이 낮아, 주변골의 골소실량을 정확하게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In the case of such manual-dependent measure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ccuracy of the amount of loss of surrounding bones is low due to an error in the measured valu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ratio with the actual object during radiograph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at an objective actual amount of loss has been measured due to an error according to a measurer's vision and operation ability. That is, in measuring the corresponding index value, reproducibility and consistency are low depending on the skill of the operator,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bone loss in the surrounding bone.

대한 치과 보철학회지 Vol 32 No 3, 1994에는 치근형 골내 임플란트의 초기 1년간 치조골 소실 및 골 밀도 변화에 관한 연구가 개시되어 있다. The Korean Journal of Prosthodontics Vol 32 No 3, 1994 discloses a study on alveolar bone loss and bone density changes during the first year of a root-type intraosseous implant.

본 발명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자동으로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recognizing and identifying an implantable implant from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using a deep learning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을 식별하고,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deep learning technology to identify a model of an implantable implant from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and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It aims to provide an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수작업으로 주변골 소실량을 측정하는데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보 미상의 미판독이미지로부터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여 주변골 소실량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bjectively measures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by detecting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from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omes from the conventional manual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loss of surrounding bone It aims to provide an automated system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bone loss around the impl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은, 임플란트 모델 별로 입력된 학습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부; 및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미판독이미지 상의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는 임플란트 식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an implant learning model by learning a learning image input for each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And,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unread image to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학습부는 학습이미지를 원본으로 하여, 학습이미지를 기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키거나, 학습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생성하고, 학습부는 학습이미지와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through image processing that rotates the learning image at a preset rotation angle or adjusts the size of the learning image, using the learning image as an original, and It is preferable to learn the learning image and a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by deep lear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별부는, 미판독이미지를 이미지 전처리하여,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pre-processes the unread image to recognize the implantation implant from the unrea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별부는, 미판독이미지에 복수의 식립임플란트가 인식되면, 각각의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각각의 위치정보 별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각각의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을 식별하여, 복수의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여, 각각의 식립임플란트 별로, 위치정보에 따라 모델정보가 미판독이미지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when a plurality of implantation implants are recognized in an unread image, detects the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implantation implant, and each lo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It is preferable to identify a model of an implantable implant,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mplantable implants, and display and output the model information for each implantable implan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n an unread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별부는, 식립임플란트로 식별된 임플란트모델을 기초로 하여, 딥러닝 방식으로 임플란트모델에 대한 식립임플란트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based on the implant model identified as the implantation implant, it is preferable to calculate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ation implant to the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별부는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 및 유사도를 식립임플란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판독이미지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displays and outputs the model information and similarity of the implantable implant on an unread ima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ble impla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임플란트 식별부는 모델정보로, 식립임플란트의 모델명 및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을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derives the model name of the implantable implant and the pitch interval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as model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미판독이미지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고, 나사산의 개수와 피치간격을 기초로 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in an unread image is detected, and based on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the surrounding area due to exposure to the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of the impla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bone loss amou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골 소실량은 나사산의 개수와 피치간격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periphery bone loss is preferably calculated by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되면, 측정부위에 대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is, when a portion of the implantation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in the unread image is input as the measurement site, the thread of the implantation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relative to the measurement site It is desirable to detect the numb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를 포함하되, 주변골 소실량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로 입력된 식립임플란트의 피치간격과, 나사산의 개수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utomated system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bone loss around the im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the implant is exposed to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from an unread image, and exposes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bone It includes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due to, and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s preferably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itch interval of the implantation implant input to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and the number of threads.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되면, 측정부위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is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t the measurement site when the portion of the unread image where the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is input as the measurement site.

본 발명인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은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자동으로 인식 및 식별하여,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모델명, 모델사양, 제조사 등)를 도출할 수 있다. The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deep learning technology to automatically recognize and identify implants from unread images of unknown information to derive model information (model name, model specification, manufacturer, etc.) for implantation implants. can do.

그리고, 본 발명은 임플란트모델에 대한 식립임플란트의 유사도를 통해,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objectivity of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able implant through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able implant to the implant model.

본 발명에 의해 도출된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근거로, 의료인은 식립임플란트의 후속관리 및/또는 치료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Based on the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able implant deri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l practitioner can quickly proceed with the follow-up management and/or treatment of the implantable implant.

즉, 본 발명은 환자 본인이 식립된 임플란트의 제조사 및 사양을 알 수 없을 경우라도 임상의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진료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useful information to the clinician even when the patient himself cannot know the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 of the implanted implant, thereby increas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reatment to both the medical staff and the patient.

한편, 본 발명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미판독이미지로부터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utomated implant periphery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jectively calculate the periphery bone loss due to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y bone from an unread image.

본 발명은 환자나 임상의에게 임플란트 주변골의 소실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자동화된 진단자료의 하나로써 활용토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automated diagnostic data for dental implant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to a patient or a clinician.

본 발명에 의해 산출된 주변골의 소실량 정보는 환자에게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현재의 안정성에 대해 객관화 및 검증된 자료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calcu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bjectified and verified data on the current stability of the dental implant placed in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은 과거 임플란트 주변골의 소실 정도를 수동으로 측정하던 방식이 자동으로 측정됨으로써, 임플란트에 대한 후양적 연구를 진행하는 수많은 연구자들과 임상가들에게 불필요한 시간 제거 및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easures the degree of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in the past,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time and providing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ment data for numerous researchers and clinicians conducting retrospective studies on implants. Can provide.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가 잇몸에 식립된 설치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습부의 순서도이다.
도 4(a)는 학습부로 입력된 이미지의 예시이고, 도 4(b)는 학습부로 입력된 이미지가 유사이미지로 증강된 이미지들에 대한 예시에 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식별부의 순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임플란트 식별부에서, 방사선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처리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임플란트 식별부에서, 입력된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을 실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이 산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schematically show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in which a dental implant is placed on a gum.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learn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n example of an image input to the learning unit, and Fig. 4(b) is an example of images in which an image input to the learning unit is augmented with a similar imag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low chart of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image processing for a radiation image in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7 and 8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realizing a model of an implantable implant from an input unread image by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9 is a flowchart of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loss of peripheral bones due to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bone in the unread imag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및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nd an automated dental implant periphery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은 학습부(110), 임플란트 식별부(120) 및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includes a learning unit 110,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and a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130.

학습부(110)는 임플란트 모델 별로 학습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생성한다. 학습이미지는 임플란트의 방사선 사진으로서, 파노라마 또는 치근단 방사선사진 등 치과 진료영역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사진이 적용가능하다. The learning unit 110 generates an implant learning model by learning a learning image for each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The learning image is a radiograph of an implant, and a radiograph used in a dental treatment area, such as a panoramic or apical radiograph, can be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학습부(110)에는 임플란트 모델 별로, 학습이미지가 입력된다(S11). 학습부(110)에서, 학습이미지는 임플란트 모델별로 구분된 폴더(임플란트1, 임플란트2, 또는 임플란트3 등)에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learning image is input to the learning unit 110 for each implant model (S11). In the learning unit 110, the training image may be stored in a folder (implant 1, implant 2, implant 3, etc.) divided for each implant model.

도 4을 참조하면, 학습부(110)는 학습이미지를 원본으로 하여, 학습이미지를 기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이미지크기를 조절하는 이미지처리를 통해,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생성한다. 학습부(110)는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learning unit 110 generates a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through image processing of rotating the learning image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r adjusting the image size using the learning image as an original. The learning unit 110 learns a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in a deep learning method.

학습부(110)는 학습이미지 및 증강이미지들은 기설정된 딥러닝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시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생성한다(S12). 딥러닝 알고리즘은 딥러닝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공지된 알고리즘이다. The learning unit 110 learns the learning images and the augmented images according to a preset deep learning algorithm to generate an implant learning model (S12).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known algorithms for implementing deep learning techniques.

학습부(110)에는 임플란트 모델 별로, 모델명, 모델사양(예컨대, 임플란트 픽스쳐의 길이, 픽스쳐의 나사산의 피치간격, 픽스쳐의 직경, 재질 등) 및 제조사 등이 기저장된다. 임플란트의 모델사양은 학습조건에 따라 일부 사양이 추가 또는 생략가능하다. For each implant model, the learning unit 110 pre-stores the model name, model specification (eg, the length of the implant fixture, the pitch interval of the screw thread of the fixture, the diameter of the fixture, the material, etc.), and the manufacturer. Some of the specifications of the implant model can be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learning conditions.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임플란트 식별부(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8.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미판독이미지 상의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한다.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dentifies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unread image,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and derives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미판독이미지가 임플란트 식별부(120)로 입력된다(S21). 미판독이미지는 정보 미상의 치과 방사선 이미지이다. 본 실시예에서, 식립임플란트(10)는 치과용 방사선이미지 상에 치아에 식립된 임플란트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쳐에 해당되는 부분을 지칭한다.The unread image is input to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S21). Unread images are dental radiographic images of unknown information. In this embodiment, the implantation implant 10 refers to an implant placed on a tooth on a dental radiographic image, and refers to a part corresponding to the implant fixture illustrated in FIG. 1.

미판독이미지가 식립임플란트와 치아가 동시에 찍힌 방사선 사진이면,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식립임플란트의 인식과정을 거친 후,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한다. If the unread image is a radiograph of both the implant and the tooth taken at the same time,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dentifies the implant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after passing through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e implant.

반면, 미판독이미지가 식립임플란트가 단독으로 찍힌 방사선 사진이면,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식립임플란트의 인식 과정없이, 곧바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nread image is a radiograph of the placement implant alone,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mmediately identifies the placement implant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without the recognition process of the placement implant.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미판독이미지를 이미지 전처리(S22)하여,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인식한다. 이미지 전처리(S22)는 임플란트 식별부(120)에 기설정된 이미지 전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미판독이미지가 이미지 변환되는 과정이다.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pre-processes an image of the unread image (S22) to recognize an implantable implant from the unread image. The image pre-processing (S22) is a process in which an unread image is converted into an image according to an image pre-processing algorithm preset in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이미지 전처리 알고리즘으로는 노이즈제거, 히스토그램 평준화, 이진화, 반전화, 가우시안처리, 마스킹 처리 또는 경계부 인식 중 어느 하나가 해당될 수 있다. The image preprocessing algorithm may be any one of noise removal, histogram leveling, binarization, inversion, Gaussian processing, masking processing, or boundary recognition.

도 6을 참조하여, 미판독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전처리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6, an example of image preprocessing for an unread imag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6(a)행은 미판독이미지의 원본이미지에 대한 예시이다. 도 6(b)행은 도 6(a)의 원본이미지가 히스토그램 평준화 처리된 이미지이다. 도 6(c)행은 도 6(a)의 원본이미지가 이진화 처리된 이미지이다. 그리고, 도 6(d)행은 도 6(a)의 원본이미지가 반전화 처리된 이미지이다. Figure 6(a) is an example of the original image of the unread image. 6(b) is an imag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of FIG. 6(a) is histogram-leveled. Fig. 6(c) is an imag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of Fig. 6(a) is binarized. 6(d) is an imag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of FIG. 6(a) is reversed.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미판독이미지에 복수의 식립임플란트가 인식되면,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각각의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을 식별하여, 복수의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S23). When a plurality of implantable implants are recognized in an unread image,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may identify a model of each implantable implant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and may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implantable implants ( S23).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모델정보로, 식립임플란트의 모델명 및 모델사양을 도출할 수 있다. 모델사양으로는,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 식립임플란트의 직경 및 식립임플란트의 길이 등,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임플란트 규격이 해당된다.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may derive the model name and model specifications of the implantable implant as model information. As for the model specifications, the implant specifications provided by the manufacturer, such as the pitch gap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the diameter of the implantable implant, and the length of the implantable implant, correspond.

그리고,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식립임플란트로 식별된 임플란트모델을 기초로 하여, 딥러닝 방식으로 임플란트모델에 대한 식립임플란트의 유사도를 산출한다(S24). 본 발명은 임플란트모델에 대한 식립임플란트의 유사도를 통해,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Then,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calculates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 model to the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implant model identified as the implant implant (S24).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objectivity of model information for an implantable implant through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able implant to the implant model.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 및 유사도를 식립임플란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미판독이미지에 표시하여 출력한다(S25).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displays and outputs the model information and similarity of the implantable implant on an unread ima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ble implant (S25).

본 실시예에서는 미판독이미지에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정보 및 유사도가 표시된 출력이미지에 대해, "판독이미지"로 지칭한다. 판독이미지는 임플란트 식별부(120)에서 도출된 결과값인 모델정보가 미판독이미지의 원본에 표시된 것이다. 판독이미지는 PC를 통해 모니터로 출력될 수 있고, 프린트물로 출력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n output image in which model information and similarity of the implantation implant are displayed on an unread image is referred to as a "read image". In the read image, model information, which is a result value derived from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s displayed on the original of the unread image. The read image can be output to a monitor through a PC or printed out.

도 7을 참조하여, 임플란트 식별부(120)로 입력된 미판독이미지가 판독이미지로 출력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미판독이미지로 치근단 방사선 이미지를 예로 한다. Referring to FIG. 7, a process in which the unread image input to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s output as a read imag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7 is an example of an apical radiographic image as an unread image.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가 임플란트 식별부(120)로 입력된다. 도 7(a)는 치근단 방사선 이미지의 원본이다. As shown in Fig. 7(a),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is input to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Fig. 7(a) is an original image of an apical radiographic image.

이후,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식별부(120)에서, 정보미상의 미판독이미지가 반전화 이미지처리되어, 식립임플란트에 해당되는 부분이 검게 처리된다. Thereafter, as shown in FIG. 7(b), in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an unread image of unknown information is subjected to an inverted image processing,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ble implant is processed to be black.

상술했듯이,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이미지전처리(S22)를 통해, 원본과 비교하여 반전화처리된 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와 그 외의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식립임플란트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clearly distinguishes the implant and other parts from the image that has been reversed compared to the original through the image pre-processing (S22), so that the implant can be easily recognized. .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치근단 방사선 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 및 유사도를 표시한다. 도 7(c)는 판독이미지로, 원본이미지에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 정보가 표시된 이미지이다.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identifies the implantation implant from the apical radiographic image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and displays model information and similarity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as shown in FIG. 7(c). 7(c) is a read image, which is an image in which model information about an implantable implant is displayed on the original imag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식별부는 파노라마 방사선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치근단 방사선 이미지가 입력된 경우와 동일한 과정을 거쳐, 파노라마 방사선 이미지 상의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can derive model information of the implantable implant on the panoramic radiation image through the same process as the case where the apical radiation image shown in Fig. 7 is input even when the panoramic radiation image is input. have.

도 8(a)는 파노라마 방사선 이미지의 원본이고, 도 8(b)는 도 8(a)의 원본에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가 표시된 이미지이다. 임플란트 식별부(120)는 모델정보(모델명 및 유사도)가 표시된 판독이미지(도 8(b))를 출력한다. FIG. 8(a) is an original panoramic radiation image, and FIG. 8(b) is an image in which model information on an implantable implant is displayed in the original of FIG. 8(a).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20 outputs a read image (Fig. 8(b)) in which model information (model name and similarity) is displayed.

이하에서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배경기술에서도 설명했듯이, 종래에는 임플란트 방사진 사진으로부터 주변골의 소실정도를 측정하는 자동화된 툴(tool)이 없어, 수작업으로 주변골의 소실정도를 측정한다. 수작업으로 주변골의 소실정도를 측정하는 경우, 방사선 사진 촬영시의 실제 촬영대상물과의 비율 차이에 따른 실측치 오류에 따라 주변골 소실량의 정확도가 낮고. 이와 더불어, 측정자의 시각 및 조작능력에 따른 오류 등에 의해 객관적인 실제 소실량이 측정되었다고는 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there is no automated tool for measuring the degree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from an implant radiographic photograph, so the degree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is manually measured. In the case of manually measuring the degree of loss of surrounding bones, the accuracy of the amount of loss of surrounding bones is low due to the error of the measured value due to the difference in ratio with the actual object at the time of radiographing.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e that an objective actual amount of loss has been measured due to an error according to a measurer's vision and operation ability.

본 발명은 종래에 수작업으로 주변골 소실량을 측정하는데서 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에 입력된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높이를 자동으로 산출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자동으로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height at which the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from the unread image input to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comes from measuring the amount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manually in the prior art. This is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exposure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미판독이미지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고, 나사산의 개수와 피치간격을 기초로 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한다.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130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in the unread image, and based on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the surrounding bone due to exposure to the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of the implant Calculate the amount of bone loss.

도 9를 참조하여,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n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이미지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 입력된다(S31). 이미지는 식립임플란트가 존재하는 치과용 방사선 이미지가 해당된다. The image is input to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S31). The image corresponds to a dental radiographic image with an implantable implant.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 주변골 소실량의 측정을 원하는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된다(S31). 도 10(a)의 빨간 박스로 표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위에는 식립임플란트와 주변골이 포함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이미지(도 10(a) 참조)에서 측정부위만을 따로 추출한다. A portion for which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s desired to be measured is input to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S31). As indicated by the red box in Fig. 10(a), the measurement site includes the implantation implant and the surrounding bone. As shown in FIG. 10(b),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separately extracts only the measurement area from the image (see FIG. 10(a)).

그리고,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측정부위를 이미지처리한다(S32).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부위는 식립임플란트와 주변골이 외형경계로 표현되게 이미지처리된다. 도 10(c)에서,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외형경계는 L1로 표시된다. 그리고, 주변골에 대한 외형경계는 L2로 표시된다. Then,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image-processes the measurement area (S32). As shown in FIG. 10(c), the measurement site is image-processed so that the implantation implant and the surrounding bone are expressed as an external boundary. In Fig. 10(c), the outline boundary for the implantable implant is indicated by L1. And, the outer boundary for the surrounding bone is indicated by L2.

이어서,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측정부위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외형경계(L1)가 인식(S33)되면,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외형경계(L1)에서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한다(S35). 또한, 필요시, 사용자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 나사산의 개수를 추가로 입력가능하다(S34).Subsequently,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in the external boundary L1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when the external boundary L1 for the implantation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t the measurement site is recognized (S33). Do (S35). In addition, if necessary, the user may additionally input the number of threads to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130 (S34).

다음으로,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와,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을 기초로 하여(S36),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한다(S37).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은 임플란트 식별부에서 도출된 모델정보에 의한다. Next,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calculate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based on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tion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nd the pitch interval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ation implant (S36). The pitch gap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is based on the model information derived from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에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알고리즘이 기설정된다. 주변골 소실량 산출알고리즘에 따라, 주변골 소실량은 나사산의 개수와 피치간격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 주변골 소실량은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높이이다.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is preset with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algorithm, the peripheral bone loss is calculated by the product of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Peripheral bone loss is the height at which the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도 10(d)를 참조하면, 피치간격이 0.45mmm이고,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나사산의 개수가 5개 일 때,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높이는 2.25mm로 산출된다. Referring to FIG. 10(d), when the pitch interval is 0.45mmm and the number of threads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is 5, the height at which the implantation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is calculated as 2.25mm.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높이값을 주변골 소실량으로 출력한다(S38).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outputs a height value at which the implantable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S38).

본 발명은 한 장의 미판독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각각의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고,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dentifies several implantable implants present on a single unread image to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each implantable implant, and automatically calculates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hav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별다른 치과검사 없이도, 미판독이미지를 이용하여 주변골 소실량을 획득할 수 있어, 치과검사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amount of loss of surrounding bones using an unread image without any other dental examination,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ental examination.

또한, 본 발명은 식립임플란트(10)의 장기간 사용에 따른 잇몸질환시 치료정보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를 손쉽게 획득하여, 환자 본인이 식립된 임플란트의 제조사 및 사양을 알 수 없을 경우라도 임상의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진료의 정확도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asily obtains objective data on treatment information in case of gum disease due to long-term use of the implantable implant 10, and is useful information to the clinician even if the patient himself cannot know the manufacturer and specifications of the implanted implant. By provid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reatment for both medical staff and patients.

아울러, 본 발명은 환자에게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현재의 안정성에 대해 객관화 및 검증된 자료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bjectified and verified data on the current stability of a dental implant placed in a patient.

본 발명은 식립된 임플란트에 대한 향후 관리 방안을 환자 및 임상의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to patients and clinicians about future management plans for the implanted implant.

●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 Automated implant periphery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automated system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bone loss around an impla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본 발명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의료인이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은 식립임플란트의 식별과정 없이, 곧바로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The automated system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bone loss around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s of the implant immediately without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the impla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dical practitioner is aware of the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 .

주변골 소시량 산출시스템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가 독자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이다.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is independently operated.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여,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한다.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tion implant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by the implantation implant in the unread image, and calculates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the exposure of the implantation implant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되면(S31), 측정부위를 이미지처리한다(S32).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when the portion of the unread image where the implanted implan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bone is input as the measurement site (S31), and processes the measured area (S32).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측정부위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한다(S33 내지 S35).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t the measurement site (S33 to S35).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주변골 소실량 산출알고리즘에 따라,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한다. 주변골 소실량은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과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나사산의 개수의 곱에 의해 산출된다(S37).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calculate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according to a preset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algorithm when a pitch interval between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is input. The amount of periphery bone loss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pitch interval between the threads of the placement implant and the number of thread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by the placement implant (S37).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130)는,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높이값을 주변골 소실량으로 출력한다(S38).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30 outputs a height value at which the implantable implant is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s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S38).

상술한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에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이 자동으로 입력되어 주변골 소실량이 산출되는 반면,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에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이 수동으로 입력되어 주변골 소실량이 산출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나, The above-described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utomatically inputs the pitch gap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 into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to calculate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while the automated implant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is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is calculated by manually inputting the pitch interval between the threads of the implant. But,

주변골 소실량 시스템은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과 비교하여,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에서 미판독이미지를 이미지처리하여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는 과정이나,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방법이 동일하다. Compared with the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the peripheral bone loss system detects the number of thread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by processing the unread image in the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The calculation method is the same.

본 발명인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은 이미지분석을 통해 미판독이미지로부터 식립임플란트의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객관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The automated implant periphery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bjectively calculate the periphery bone loss due to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y bone from an unread image through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환자나 임상의에게 임플란트 주변골의 소실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자동화된 진단자료의 하나로써 활용토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one of the automated diagnostic data for dental implant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extent of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to a patient or a clinician.

본 발명에 의해 산출된 주변골의 소실량 정보는 환자에게 식립된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한 현재의 안정성에 대해 객관화 및 검증된 자료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loss of the surrounding bone calculat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objectified and verified data on the current stability of the dental implant placed in the patient.

또한, 본 발명은 과거 임플란트 주변골의 소실 정도를 수동으로 측정하던 방식이 자동으로 측정됨으로써, 임플란트에 대한 후양적 연구를 진행하는 수많은 연구자들과 임상가들에게 불필요한 시간 제거 및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measures the degree of loss of bone around the implant in the past, thereby eliminating unnecessary time and providing accurate and objective measurement data for numerous researchers and clinicians conducting retrospective studies on implants. Can provi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00: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110: 학습부
120: 임플란트 식별부
130: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
100: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110: Learning Department
120: implant identification unit
130: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Claims (12)

임플란트 모델 별로 입력된 학습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켜,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생성하는 학습부; 및
상기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미판독이미지 상의 식립임플란트를 식별하여, 상기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는 임플란트 식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임플란트 식별부는 상기 모델정보로,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모델명 및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 간의 피치간격을 도출하며,
상기 미판독이미지에서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고, 상기 나사산의 개수와 상기 피치간격을 기초로 하여,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상기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A learning unit for generating an implant learning model by learning the training image input for each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And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comprising an implant identification unit for identifying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unread image to derive model information for the implant,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derives a pitch interval between the model name of the implantation implant and the thread of the implantation implant from the model information,
In the unread image,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is detected, and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the exposure of the implantabl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bone is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부는 상기 학습이미지를 원본으로 하여, 상기 학습이미지를 기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학습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미지 처리를 통해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학습부는 상기 학습이미지와 상기 복수의 증강이미지를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learning unit generates a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through image processing for rotating the learning image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or adjusting the size of the learning image, using the learning image as an original,
The learning unit is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learning the learning image and the plurality of augmented images in a deep learning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별부는, 상기 미판독이미지를 이미지 전처리하여, 상기 미판독이미지에서 상기 식립임플란트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is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pre-processing the image of the unread image to recognize the implantation implant from the unread imag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별부는,
상기 미판독이미지에 복수의 식립임플란트가 인식되면, 각각의 상기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위치정보를 검출하고,
각각의 상기 위치정보 별로 상기 임플란트 학습모델을 기반으로 각각의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모델을 식별하여, 상기 복수의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를 도출하여,
각각의 상기 식립임플란트 별로, 상기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모델정보가 상기 미판독이미지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When a plurality of implantation implants are recognized in the unread image,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implantation implant is detected,
By identifying a model of each implantation implant based on the implant learning model for each of the location information, model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implantation implants is derived,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of the implantable implants, the mode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unread image and output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별부는,
상기 식립임플란트로 식별된 임플란트모델을 기초로 하여, 딥러닝 방식으로 상기 임플란트모델에 대한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implant model identified as the implantable implant, calculates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able implant to the implant model in a deep learning metho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식별부는 상기 식립임플란트에 대한 모델정보 및 상기 유사도를 상기 식립임플란트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미판독이미지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implant identification unit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the model information and the similarity of the implantation implant on the unread imag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mplantation implant.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골 소실량은 상기 나사산의 개수와 상기 피치간격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s calculated by a product of the number of threads and the pitch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상기 미판독이미지에서 상기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되면,
상기 측정부위에서 상기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치과용 임플란트 식별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In the unread image, when the part exposed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is input as the measurement site,
An automated dental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detecting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at the measurement site.
미판독이미지에서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여, 상기 식립임플란트의 상기 주변골 밖으로의 노출로 인한 주변골 소실량을 산출하는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골 소실량은 상기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로 입력된 식립임플란트의 피치간격과, 상기 나사산의 개수의 곱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
It includes a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peripheral bone loss due to the exposure of the implant to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bone by detecting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 that is exposed outside the surrounding bone in the unread image,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is calculated by a product of a pitch interval of the implantable implant inputted to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and the number of threads.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골 소실량 산출부는,
상기 미판독이미지에서 상기 식립임플란트가 주변골의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측정부위로 입력되면,
상기 측정부위에서 상기 주변골 밖으로 노출된 식립임플란트의 나사산의 개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된 임플란트 주변골 소실량 산출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1,
The peripheral bone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In the unread image, when the part exposed outside of the surrounding bone is input as the measurement site,
An automated implant peripheral bone loss calcul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number of threads of the implantable implant exposed outside the peripheral bone at the measurement site.
KR1020190025795A 2019-03-06 2019-03-06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KR102183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795A KR102183045B1 (en) 2019-03-06 2019-03-06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795A KR102183045B1 (en) 2019-03-06 2019-03-06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50A KR20200107150A (en) 2020-09-16
KR102183045B1 true KR102183045B1 (en) 2020-11-25

Family

ID=7266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795A KR102183045B1 (en) 2019-03-06 2019-03-06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04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8827B1 (en) * 2021-07-06 2023-12-01 (주)헤리바이오 Method of classifying implant classes for AI learning
KR102472600B1 (en) * 2021-12-20 2022-11-29 우주엽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implant fixtur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4960A (en) 2002-07-19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ce detecting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by combining image visual information to detect two or more faces in real time
US20140185865A1 (en) 2012-12-28 2014-07-03 William Bradley Spath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92394A1 (en) 2014-12-10 2016-06-16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on of medical imaging using machine learn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849B1 (en) * 2005-11-26 2007-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for recognizing face and apparatus thereof
KR102026707B1 (en) * 2017-03-17 2019-09-30 엄상호 Solution for implant fixture auto serching and compatible driver guide with smart pho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4960A (en) 2002-07-19 2004-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ce detecting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by combining image visual information to detect two or more faces in real time
US20140185865A1 (en) 2012-12-28 2014-07-03 William Bradley Spath Implant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WO2016092394A1 (en) 2014-12-10 2016-06-16 Koninklijke Philips N.V.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lation of medical imaging using machine lear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50A (en)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529968B (en) Device for observing inside of oral cavity
US9883805B2 (en) Procedure for dental aesthetic analysis of the smile area and for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dental aesthetic treatments
JP6099310B2 (en) Automatic dental chart creation method using digital images
Durão et al. Cephalometric landmark variability among orthodontists and dentomaxillofacial radiologists: a comparative study
US11734825B2 (en) Segmentation device and method of generating learning model
KR1022671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displaying dental care data on a digital dental image
JP2015525106A (en) Tooth position inspection method
Liu et al. A pilot study of a deep learning approach to detect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s
KR102183045B1 (en) System for automated implant identification and System for automated peripheral bone loss measurement
Miloro et al. Is there consistency in cephalometric landmark identification amongst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Heinz et al. Evaluation of two-dimensional lateral cephalogram and three-dimension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superimpositions: a comparative study
WO2023274690A1 (en) Non-invasive periodontal examination
KR102372962B1 (en) Method Of Determinating Cephalometric Prameters For Orthodontic Diagnosis From Three Dimensional CBCT Images Taken In Natural Head Position Based On Machine Learning
JP2006518248A (en) Dental and orthopedic densitometry modeling system and method
US5318441A (en) Method of cephalometric evaluation of dental radiographs
US11488305B2 (en) Segmentation device
PH12015502686B1 (en) Periodontal index creation method, periodontal index creation apparatus, periodontal index cre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s of periodontal index creation program, and periodontitis diagnosis method, periodontitis diagnosis apparatus, periodontitis diagnosi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s of periodontitis program
US202103865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ntal surgical guide verification
JP2014184346A (en) Method for examining periodontal disease and apparatus
Indermun et al. Human examina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cephalometric landmark detection—is AI ready to take over?
Oana et al.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ree different computerized cephalometric analysis software
Park et al. Intra-and Interrater Agreement of Face Esthetic Analysis in 3D Face Images
US1189014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augmented reality imaging of an antomical site
Rianti et al. Tolerance of image enhancement brightness and contrast in lateral cephalometric digital radiography for Steiner analysis
Sobhana et al. Automatic Cephalometric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