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638B1 - 부단수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부단수 차단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2638B1 KR102182638B1 KR1020200043120A KR20200043120A KR102182638B1 KR 102182638 B1 KR102182638 B1 KR 102182638B1 KR 1020200043120 A KR1020200043120 A KR 1020200043120A KR 20200043120 A KR20200043120 A KR 20200043120A KR 102182638 B1 KR102182638 B1 KR 1021826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lve body
- plate portion
- supply pipe
- central plate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상수관을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단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가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기울어지고,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밸브체(50)가 전방으로 전진되어 밀폐위치에 도달하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 밸브체(50)에 구비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전진되는 과정에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가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기울어지고,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밸브체(50)가 전방으로 전진되어 밀폐위치에 도달하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 밸브체(50)에 구비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전진되는 과정에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이 흐르는 상수관을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단수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를 공급하기 위한 상수관은 금속재로 구성되며 여러개의 가지로 분기되어 다수의 장소로 상수도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상수관은 사용자의 증가나 노후 등의 원인에 의해, 중간부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거나, 별도의 지관을 연결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상수관을 교체하거나 지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상수관을 폐쇄하여 물이 흐르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수관에 물이 흐르는 상태에서 상수관을 교체하거나 지관을 연결하는 부단수 차단공법이 개발되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부단수 차단공법에 사용되는 부단수 차단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수관(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2)을 덮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대(30)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승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수관(1)의 중간부를 막는 밸브체(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는 길이가 동일하게 구성되며,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양단이 상기 승강대(30)와 밸브체(5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밸브체(50)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승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밸브체(50)는 후방에 돌출된 지지부(51a)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중앙판부(51)와,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판부(52)와, 상기 측판부(52)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상기 측판부(52)가 절첩되도록 하는 한 쌍의 연결바(53)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는 외경이 상기 상수관(1)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판을 수직선에 의해 3개로 분할한 형태로 구성되며, 둘레면에는 도시 안된 패킹부재가 구비되어, 측판부(52)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밸브체(50)의 측방향 폭이 상기 관통공(2)에 비해 좁아지고, 측판부(52)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원판형태로 펴져서 상기 상수관(1)의 내부를 막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판부(51)의 하측에는 상기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54)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바(53)는 양단이 상기 제1 링크부재(41)의 기단부 일측과 측판부(52)의 후측면에 구비된 연결브라켓(53a)에 상하방향과 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도록 결합된 것으로, 상기 밸브체(50)가 하강된 상태에는 상기 측판부(52)를 후방으로 당겨 접고, 밸브체(50)가 상승되면 측판부(52)를 전방으로 밀어 밸브체(50)가 펴지도록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30)가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밸브체(50)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며, 이때, 상기 연결바(53)에 의해 상기 밸브체(50)의 측판부(52)가 후방으로 당겨져 밸브체(50)가 접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대(30)를 하강시켜 밸브체(50)에 구비된 지지로울러(54)가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밸브체(50)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도록 하고, 이와 함께, 상기 연결바(53)에 의해 상기 밸브체(50)의 측판부(52)가 전방으로 밀려 밸브체(50)가 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밸브체(50)가 원판형으로 완전히 펴져, 상수관(1)의 중간부를 막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부단수 차단장치는 상기 밸브체(50)가 수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승강됨으로, 밸브체(5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될 때, 중앙판부(51)의 상하측 둘레부에 구비된 패킹부재가 상수관(1)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로 슬라이드되어, 패킹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발행되었다.
또한, 상기 밸브체(50)는 상기 연결바(53)에 의해 개폐되는데, 상기 밸브체(50)가 승강되면서 연결바(53)에 의해 절첩될 때, 연결바(53)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 작동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이 흐르는 관로를 효과적으로 밀폐하여 물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부단수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수관(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2)을 덮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대(30)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승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수관(1)의 중간부를 막는 밸브체(50)를 포함하는 부단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50)는 후방에 돌출된 지지부(51a)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중앙판부(51)와,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판부(52)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의 둘레면에는 패킹(5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는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대(30)의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힌지축(43,44)에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부(51)의 지지부(51a)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3 및 제4 힌지축(45,46)에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43,44)의 간격(L1)에 비해 상기 제3 및 제4 힌지축(45,46)의 간격(L2)이 넓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상단이 하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판부(5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브라켓(61)과, 상기 승강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2)와, 상기 승강브라켓(61)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승강브라켓(6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3)과, 상기 제2 링크부재(42)에 연결되어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64)과,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6)은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제2 링크부재(42)의 각도에 맞추어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를 하강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4 힌지축(46)은 상기 제2 링크부재(42)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판부(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52a)에 의해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면에 구비된 축받이(51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축(52a)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측판부(52)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55)은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4 힌지축(46)과 회동축(52a)이 내부로 연장된 하우징(55a)과, 상기 제4 힌지축(46)에 구비된 구동기어(55b)와, 상기 회동축(52a)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55b)에 치합된 피동기어(5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중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밸브체(50)와 상수관(1)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66)은 관리자의 스마트폰(66a)과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65)에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면 수집된 소음을 관리자의 스마트폰(66a)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차단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가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기울어지고,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밸브체(50)가 전방으로 전진되어 밀폐위치에 도달하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 밸브체(50)에 구비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전진되는 과정에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부단수 차단장치의 밸브체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밸브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동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동구동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부단수 차단장치의 밸브체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밸브체를 도시한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동구동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동구동수단을 도시한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회로구성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단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수관(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2)을 덮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대(30)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승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수관(1)의 중간부를 막는 밸브체(50)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50)는 후방에 돌출된 지지부(51a)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중앙판부(51)와,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판부(5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의 둘레면에는 패킹(56)이 구비되어, 밸브체(50)를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한 상태에서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를 원판형태로 펴면, 패킹(56)에 의해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 사이의 틈, 그리고, 밸브체(50)와 상수관(1) 사이의 틈이 밀폐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대(30)의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힌지축(43,44)에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부(51)의 지지부(51a)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3 및 제4 힌지축(45,46)에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43,44)의 간격(L1)에 비해 상기 제3 및 제4 힌지축(45,46)의 간격(L2)이 넓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상기 승강대(30)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후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상단이 하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지게 되며,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전방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4 힌지축(46)은 상기 제2 링크부재(42)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4 힌지축(46)은 상기 지지부(51a)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측판부(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52a)에 의해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면에 구비된 축받이(51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축(52a)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측판부(52)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55)과, 상기 중앙판부(5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브라켓(61)과, 상기 승강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2)와, 상기 승강브라켓(61)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승강브라켓(6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3)과, 상기 제2 링크부재(42)에 연결되어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64)과,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중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밸브체(50)와 상수관(1)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5)와, 상기 각도측정수단(64)과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6)이 더 구비된다.
상기 회동구동수단(55)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4 힌지축(46)과 회동축(52a)이 내부로 연장된 하우징(55a)과, 상기 제4 힌지축(46)에 구비된 구동기어(55b)와, 상기 회동축(52a)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55b)에 치합된 피동기어(55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55b)는 일반적인 웜휠을 이용하고, 상기 피동기어(55c)는 웜기어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측판부(52)는 중앙판부(51)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접힌 상태를 유지하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4 힌지축(46)이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웜기어와 회동축(52a)이 상측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측판부(52)가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가 원판을 이루도록 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승강브라켓(61)에 결합된 리드스크류(63a)와, 상기 리드스크류(63a)에 연결된 서버모터(63b)로 구성되어, 상기 서버모터(63b)로 리드스크류(63a)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가 승강된다.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은 상기 승강대(30)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65)는 마이크(65)는 물에 잠긴 상태에서도 소리를 수집할 수 있는 방수마이크(65)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66)은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제2 링크부재(42)의 각도에 맞추어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를 상승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66)은 부단수 차단장치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66a)과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65)에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면 수집된 소음을 관리자의 스마트폰(66a)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단수 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체(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는 하측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밸브체(50)는 상기 측판부(52)가 후방으로 회동되어 접힌 상태로 상기 승강대(30)의 하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단이 하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체(50)가 경사지게 배치되면, 밸브체(50)의 상하측 높이가 낮아져, 밸브체(50)를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할 때, 밸브체(50)의 상하측에 구비된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승강브라켓(61)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기구(31)가 신장되어 상기 승강대(30)가 하강되면, 상기 지지로울러(62)가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어 밸브체(50)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지지하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0)가 더욱 하강되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점차 관통공(2)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상단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진 상태에서 점차 수직으로 세워지며, 이와 함께, 상기 회동구동수단(55)에 의해 측판부(52)의 회동축(52a)이 회전되어, 측판부(52)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6)은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면서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가 정해진 높이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밸브체(50)의 하단이 상수관(1)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최소한만 이격되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30)가 정해진 높이로 하강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수직으로 세워짐과 동시에, 상기 측판부(52)가 중앙판부(51)와 원판을 이루도록 완전히 펴지게 됨으로,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중간부를 완전히 밀폐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66)은 상기 실린더기구(31)를 정지시켜 승강대(30)가 정지되도록 하고, 상기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65)에 물이 새는 소리가 수집되는지를 감시하고, 물이 새는 소리가 감지되면, 수집된 소리를 관리자의 스마트폰(66a)으로 전송하여, 관리지가 스마트폰(66a)을 통해 마이크(65)에 수집된 소리를 확인하고, 물이 새는 정도를 확인하여 후속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단수 차단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가 상단이 전방으로 회동되도록 기울어지고,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서 밸브체(50)가 전방으로 전진되어 밀폐위치에 도달하면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할 때, 밸브체(50)에 구비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됨으로, 밸브체(50)가 정위치에 도달하기 위해 전진되는 과정에서, 패킹(56)이 상수관(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판부(5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브라켓(61)과, 상기 승강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2)와, 상기 승강브라켓(61)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승강브라켓(6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3)과, 상기 제2 링크부재(42)에 연결되어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64)과,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6)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체(50)가 세워지는 정도에 맞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를 승강시켜 밸브체(50)의 하측면이 상수관(1)의 하측면에서 최소한만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밸브체(50)가 전진할 때, 밸브체(50)의 상하단이 상수관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밸브체(50)에 구비된 패킹(56)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4 힌지축(46)은 상기 제2 링크부재(42)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판부(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52a)에 의해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면에 구비된 축받이(51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축(52a)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측판부(52)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55)이 구비되어, 제2 링크부재(42)가 회동되는 힘을 이용하여 측판부(52)를 접거나 펴도록 구성됨으로, 측판부(52)를 접거나 펴는 작동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중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밸브체(50)와 상수관(1)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5)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어수단(66)은 관리자의 스마트폰(66a)과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65)에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면 수집된 소음을 관리자의 스마트폰(66a)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됨으로, 밸브체(50)를 설치한 후, 밸브체(50)와 상수관(1)의 사이에 발생되는 누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개폐수단
30. 승강대 41. 제1 링크부재
42. 제2 링크부재 50. 밸브체
30. 승강대 41. 제1 링크부재
42. 제2 링크부재 50. 밸브체
Claims (3)
-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수관(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공(2)을 덮도록 결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실린더기구(31)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관통공(2)을 통해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는 승강대(30)와,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기단부가 상기 승강대(30)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와,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수관(1)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수관(1)의 중간부를 막는 밸브체(50)를
포함하는 부단수 차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50)는
후방에 돌출된 지지부(51a)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된 중앙판부(51)와,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에 절첩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측판부(52)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판부(51)와 측판부(52)의 둘레면에는 패킹(5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는 동일한 길이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대(30)의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 및 제2 힌지축(43,44)에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중앙판부(51)의 지지부(51a) 양측면에 상호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3 및 제4 힌지축(45,46)에 선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힌지축(43,44)의 간격(L1)에 비해 상기 제3 및 제4 힌지축(45,46)의 간격(L2)이 넓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링크부재(41,42)가 하측으로 회동되면, 상기 밸브체(50)는 상단이 하단에 비해 전방에 위치되도록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4 힌지축(46)은 상기 제2 링크부재(42)의 선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5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측판부(5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축(52a)에 의해 상기 중앙판부(51)의 양측면에 구비된 축받이(51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축(52a)을 정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측판부(52)가 접히거나 펴지도록 하는 회동구동수단(55)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동구동수단(55)은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 양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4 힌지축(46)과 회동축(52a)이 내부로 연장된 하우징(55a)과,
상기 제4 힌지축(46)에 구비된 구동기어(55b)와,
상기 회동축(52a)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기어(55b)에 치합된 피동기어(55c)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부(51)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브라켓(61)과,
상기 승강브라켓(61)에 구비되어 상기 상수관(1)의 내부 하측면에 밀착되는 지지로울러(62)와,
상기 승강브라켓(61)에 연결되어 작동시 상기 승강브라켓(61)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3)과,
상기 제2 링크부재(42)에 연결되어 제2 링크부재(42)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측정수단(64)과,
상기 중앙판부(51)의 후측면에 구비되어 밸브체(50)가 상수관(1)의 중간부를 밀폐한 상태에서 밸브체(50)와 상수관(1) 사이의 틈으로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는 마이크(65)와,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6)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66)은 상기 각도측정수단(64)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2 링크부재(42)가 상측으로 회동되면, 제2 링크부재(42)의 각도에 맞추어 상기 승강구동수단(63)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브라켓(61)과 지지로울러(62)를 하강시키고,
상기 제어수단(66)은 관리자의 스마트폰(66a)과 데이터통신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마이크(65)의 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65)에 물이 유출되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수집하면 수집된 소음을 관리자의 스마트폰(66a)으로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단수 차단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120A KR102182638B1 (ko) | 2020-04-09 | 2020-04-09 | 부단수 차단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43120A KR102182638B1 (ko) | 2020-04-09 | 2020-04-09 | 부단수 차단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2638B1 true KR102182638B1 (ko) | 2020-11-25 |
Family
ID=73645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43120A KR102182638B1 (ko) | 2020-04-09 | 2020-04-09 | 부단수 차단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263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59713A (zh) * | 2022-05-19 | 2022-10-11 | 常州市长江热能有限公司 | 一种产水浊度稳定的一体化净水器 |
CN116007665A (zh) * | 2022-12-12 | 2023-04-25 | 天津市生态环境科学研究院(天津市环境规划院、天津市低碳发展研究中心) | 一种农林遥感监测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573B1 (ko) | 2012-01-18 | 2013-11-20 | 강남현 | 관로의 부단수 차단 장치 |
KR101555461B1 (ko) * | 2015-02-02 | 2015-09-23 |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상수관망 누수탐지 방법 |
KR20170101348A (ko) * | 2016-02-26 | 2017-09-06 | 주식회사 계명엔지니어링 |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
KR101986135B1 (ko) * | 2018-04-19 | 2019-06-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자전거용 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038833B1 (ko) * | 2018-07-25 | 2019-10-31 | (주)우신이엔지 |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폴딩형 차단 장치 |
-
2020
- 2020-04-09 KR KR1020200043120A patent/KR1021826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6573B1 (ko) | 2012-01-18 | 2013-11-20 | 강남현 | 관로의 부단수 차단 장치 |
KR101555461B1 (ko) * | 2015-02-02 | 2015-09-23 | 아이에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상수관망 누수탐지 방법 |
KR20170101348A (ko) * | 2016-02-26 | 2017-09-06 | 주식회사 계명엔지니어링 | 부단수 차단 디스크형 헤드 |
KR101986135B1 (ko) * | 2018-04-19 | 2019-06-05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자전거용 보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KR102038833B1 (ko) * | 2018-07-25 | 2019-10-31 | (주)우신이엔지 | 압력 조절 기능을 갖는 폴딩형 차단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59713A (zh) * | 2022-05-19 | 2022-10-11 | 常州市长江热能有限公司 | 一种产水浊度稳定的一体化净水器 |
CN116007665A (zh) * | 2022-12-12 | 2023-04-25 | 天津市生态环境科学研究院(天津市环境规划院、天津市低碳发展研究中心) | 一种农林遥感监测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82638B1 (ko) | 부단수 차단장치 | |
CN107461203B (zh) | 一种盾构机自动换刀装置 | |
CA2465530C (en) | Automated pipe joining system | |
KR101692374B1 (ko) | 개폐식 수문 장치 | |
KR102182642B1 (ko) | 부단수 차단장치 | |
KR101557744B1 (ko) | 저층수 배출이 가능한 가동보 수문 | |
KR100497595B1 (ko) | 굴절받침대를 이용한 수문의 개폐장치 | |
KR101458582B1 (ko) | 유압식 권양기 | |
WO2019131212A1 (ja) | 油圧制御装置 | |
CN215854984U (zh) | 一种电力检修架 | |
KR100505001B1 (ko) | 수문 구동장치 | |
KR20100117054A (ko) | 유체차단장치용 스토퍼 구조체 | |
KR100611708B1 (ko) | 관로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조사공법 | |
JP6666381B2 (ja) | 水門開閉装置及びその開閉制御方法 | |
CN113654465A (zh) | 一种测绘地理信息用水库自动化测绘系统及其方法 | |
KR101138170B1 (ko) | 해치 커버용 링크식 승하강 구동장치 | |
CN210238615U (zh) | 一种水利工程用河道淤泥清理装置 | |
CN211197952U (zh) | 一种煤仓清理设备 | |
KR102126072B1 (ko) | 천변저류시설 및 배수펌프장 가동을 위한 교육용 장치 | |
KR101646229B1 (ko) | 승하강이 가능한 전도수문 | |
JP4692893B2 (ja) | 簡易ポンプゲート | |
EP1389653A1 (fr) | Dispositif de manoeuvre de mécanismes associés aux écluses et de régulation de flux de rivières | |
KR100690196B1 (ko) |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권양기 수문 | |
CN212103941U (zh) | 一种河道用液压式水闸 | |
CN219386231U (zh) | 一种钢坝闸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