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2279B1 -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2279B1
KR102182279B1 KR1020190025914A KR20190025914A KR102182279B1 KR 102182279 B1 KR102182279 B1 KR 102182279B1 KR 1020190025914 A KR1020190025914 A KR 1020190025914A KR 20190025914 A KR20190025914 A KR 20190025914A KR 102182279 B1 KR102182279 B1 KR 10218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coupling
camera module
substrate
l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8154A (en
Inventor
김형진
이희중
조환균
윤경원
김승열
정지호
Original Assignee
(주)탑중앙연구소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탑중앙연구소, 주식회사 파워로직스 filed Critical (주)탑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25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2279B1/en
Publication of KR20200108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1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27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를 성형하는 제1바디부 성형단계와;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부를 성형하는 제2바디부 성형단계와; 제1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1결합부를 사출하여 프런트 바디를 성형하는 프런트 바디 성형단계와; 제2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2결합부를 사출하여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리어 바디 성형단계; 및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제1방향으로 맞대며 융착시킴으로써 프런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제1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융착결합단계;를 포함한다.Disclos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art molding step of molding a first body part on which a lens is installed; A second body part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body par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rein; A front body molding step of injecting a first coupling portion to be integrated with the first body portion to form a front body; A rear body shaping step of inject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to be integrated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to form a rear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nd a fusion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by fusion bon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야 확보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조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us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a field of view of a vehicle.

영상 데이터 수집을 위한 카메라 모듈은 점점 더 많은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신 자동차용으로 수많은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어, 차량의 주변 환경 및 경우에 따라서 차량의 실내 공간을 정확하게 감지한다. Camera modules for collecting image data are being used in more and more applications. For example, a number of camera modules are used for modern automobiles to accurately detec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vehicle and, in some cases,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이 더욱 개선됨으로써 영상 품질은 점점 더 좋아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추가 기능들이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사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As the camera module used is further improved,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more and more, and additional functions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camera module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 trend of miniaturization of camera modules used at the same time is increasing.

이러한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 모듈은 순간적인 오작동이 탑승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 및 안정성이 가장 우선시되며, 혹한 및 혹서 조건에서의 작동 안정성과 함께, 높은 수밀성이 요구된다.In the camera module installed in such a vehicle, since a momentary malfunction may have a fatal effect on the life of an occupant, reliability and stability are of the utmost priority, and high watertightness is required as well as operational stability in cold and hot conditions.

또한 차량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고밀도화 및 공간절감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작동시 발생되는 열이 제품 성능에 미치는 영향 또한 심각히 고려되어야 한다.In addition, as camera modules mounted in vehicles are rapidly increasing in density and space saving, the effect of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on product performance must also be seriously considered.

통상적으로, 차량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Typically, a housing of a camera module mounted on a vehicle is made of a plastic or metal material.

그런데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은 열전도율이 매우 낮아 하우징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금속 재질의 하우징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에 비해 경량성 확보가 어렵고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lastic housing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dissipate heat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due to its very low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metal housing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light weight and watertightness compared to the plastic housing.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과 금속 재질의 하우징 모두 프런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조립한 형태로 제공되며, 이들의 조립에는 스크류를 이용한 방식만이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 방식은 오조립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수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전체 부품 수 및 공정수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In addition, both the plastic housing and the metal housing are provided in the form of assembl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and only a screw-based method is applied to their assembly. However, this assembly method has a high possibility of misassembly and the like, it is difficult to secure watertightness, and causes an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본 발명은 방열 성능과 수밀성이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having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and water tightnes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키면서도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갖는 카메라 모듈을 제조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having high structural stability and watertightness while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은: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를 성형하는 제1바디부 성형단계와;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부를 성형하는 제2바디부 성형단계와;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1결합부를 결합하여 프런트 바디를 성형하는 프런트 바디 성형단계와;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리어 바디 성형단계;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맞대며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를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융착결합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art molding step of molding a first body part on which a lens is installed; A second body part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body par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rein; A front body forming step of forming a front body by combining a first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first body portion; A rear body shaping step of forming a rear body having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by combin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And a fusion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by abutting and fusion bon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프런트 바디 성형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인서트 사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front body molding step, it is preferable to insert-inject the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coupling part.

또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면처리면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가 인서트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프런트 바디 또는 상기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surface treatment step of forming a surface treatment surface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by surface-tre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step of molding the front body and the step of molding the rear body, the first body portion or the second body portion on which 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is formed, and insert injection into the front surface It is preferable to shape the body or the rear body.

또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을 산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urface treatment step, it is preferable to oxidiz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second body part so that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second body part.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the othe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In the fusion bonding step,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irradiated with a laser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butted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fuse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1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가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2결합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as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a pla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in the fusion bonding step, the first side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laser penetrat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reache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t is desirable to direct the laser towards the joint.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제2바디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가 상기 제2결합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결합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2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formed in a pla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and in the fusion bonding step, the second side in the first direction so that the laser penetrate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reach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a laser toward the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제1방향 일측에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제1결합부에 융착시키거나 상기 제1방향 타측에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제2결합부에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other of the portions, a concave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s provided, an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o form a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In the fusion bonding step, the protrusion is irradiated with a laser from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protrusion to fuse the protrusion to the first coupling part, or by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protrusion from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fus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오목홈 내부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and in the fusion bonding step, a laser is irradiated toward the protrusion while press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an end portion is melted, and a longitudinal end portion of the melted protrusion is fus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in the concave groove to form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따르면, 높은 방열 성능을 제공하면서도 높은 수밀성이 확보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camera module having high watertightness while providing high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적은 비용으로 신뢰성 높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while having high structural stability and watertightness, thereby providing a highly reliable camera module at low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 by separatin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V"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portion shown in FIG. 2.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VI" in FIG. 1.
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8 by separatin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8.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icknesses of lines or sizes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전반적인 구조][Overall structure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 by separating,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Ⅲ".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프런트 바디(110) 및 리어 바디(120)를 포함한다.1 to 3, the camera modu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body 110 and a rear body 120.

프런트 바디(110)는,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한다.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가 설치되며, 이를 위해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된다.The front body 110 forms the front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100. A lens assembly 160 is installed on the front body 110, and for this purpose, a shape portion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is formed on the front body 110.

렌즈 어셈블리(160)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렌즈를 수용하는 원통형의 경통 구조물, 및 경통 구조물과 프런트 바디 간의 결합을 위해 경통 구조물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 구조물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lens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t least one lens, a cylindrical barrel structure accommodating the lens, and a screw structure formed outside the barrel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the barrel structure and the front body. .

그리고 프런트 바디(11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을 위한 관통부가 형성되고, 이 관통부가 형성된 프런트 바디(110)의 내주면에는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160)의 나사 구조물과 프런트 바디(110)의 나사 구조물 간의 결합을 통해,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바디(110)의 전방에는, 프런트 바디(110)에 설치된 렌즈 어셈블리(160)의 전방 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 portion for insertion of the lens assembly 160 may be formed in the front body 110, and a screw structure may be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body 110 in which the through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screw structure of the lens assembly 160 and the screw structure of the front body 110, the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lens assembly 160 and the front body 110 may be achieved. In addition, in front of the front body 110, a stepped jaw may be formed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lens assembly 160 installed on the front body 110 is seated.

리어 바디(120)는, 카메라 모듈(100)의 후방 외관을 형성한다. 리어 바디(120)에는,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들과 연결된 배선들이 리어 바디(12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마련되는 배선 수용체(170)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 리어 바디(120)에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된다.The rear body 120 forms the rear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100. In the rear body 120, a wiring receptor 170 is installed so that wirings connected to substrates accommodated in the rear body 120 can be drawn out of the rear body 120. To this end, a shape portion for coupling between the wire receptor 170 and the rear body 120 is formed on the rear body 120.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는,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S)이 내부에 형성된다. 방향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이 전후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제2방향은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측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인 것으로 예시된다.Inside the rear body 120, an accommodation space S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is formed therein. Define the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direction is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direction is a direction parallel to a plane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it is a lateral direction, that is, a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

상기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전방을 향해, 즉 리어 바디(120)의 전방에 배치된 프런트 바디(110)를 향해 개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용공간(S)에는, 기판들이 수용될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inside the rear body 120 is opened toward the front, that is, toward the front body 110 disposed in front of the rear body 120. And in this accommodation space (S), substrates may be accommodated.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S)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이 수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 중 렌즈 어셈블리(160)와 인접한 전방 측에 배치된 제1기판(13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mong them, an image sensor for convert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assembly 160 into an electrical signal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30 disposed on the front side adjacent to the lens assembly 160.

제2기판(140)에는, 카메라 모듈(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처리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기판(140)은, 제2기판(140)과 연결된 배선을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판(140)과 연결된 배선은, 리어 바디(120)의 후방에 설치된 배선 수용체(17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A power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and supplying power supplied to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substrate 140.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wiring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140. In addition, the wiring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drawn out through the wiring receptor 17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ar body 120.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며,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made by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한편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는 서로 분리된 별물로 마련되며, 이처럼 별물로 마련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가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카메라 모듈(100)을 이룬다.Meanwhile,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provided as separate items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provided as separate item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form one camera module 100. To achieve.

이때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던 수용공간(S)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다.At this time, the accommodation space S that was open toward the front is seal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ccordingly, the substrates installed inside the camera module 100 are accommodated in the enclosed accommodation space S by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프런트 바디의 구조][Structure of front body]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front body 11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111 and a first coupling part 113.

제1바디부(111)는, 프런트 바디(110)의 골격을 이루며, 프런트 바디(11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한다. 렌즈 어셈블리(160)가 프런트 바디(110)에 삽입, 결합 및 안착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은, 제1바디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body part 111 forms a skeleton of the front body 110 and forms most of the exterior of the front body 110. Most of the shape portions required for the lens assembly 160 to be inserted, coupled, and seated in the front body 110 may be formed on the first body portion 111.

제1바디부(111)는, 전후방향을 따라 제1구간(111a)과 제2구간(1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제1구간(111a)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구간이다. 그리고 나머지 제2구간(111b)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간이다.The first body part 11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section 111a and a second section 111b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Among them, the first section 111a is a section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mera module 100 wh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coupled. In addition, the remaining second section 111b is a section inserted into the rear body 120 wh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제1구간(111a)에는, 렌즈 어셈블리(160)가 프런트 바디(110)에 삽입, 결합 및 안착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이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160)가 설치되는 제1구간(111a)의 전방 측 형상은, 원형 형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형상을 고려한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리어 바디(120)와 마주보는 제1구간(111a)의 후방 측 형상은, 리어 바디(120)의 외주면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first section 111a, most of the shape portions necessary for the lens assembly 160 to be inserted, coupled, and seated in the front body 110 are disposed.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front side of the first section 111a in which the lens assembly 160 is installed has a shape including a curved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lens assembly 160 including a circular lens.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rear side of the first section 111a facing the rear body 120 may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body 120.

제2구간(111b)은,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간이므로, 리어 바디(120)의 내주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간(111b)은,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서 제1기판(130)과 결합되는 부분이기도 하다.The second section 111b is a sec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body 120 wh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coupled, and thus has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body 120. Can be formed. This second section 111b is also a part that is coupled to the first substrate 130 in the rear body 120.

제1결합부(113)는,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1결합부(113)는, 제1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인 제2방향, 바꾸어 말하면 제1바디부(11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11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제1바디부(11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1바디부(11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a part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rear body 120 and the front body 11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to protrud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parallel to a plan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in other words, in a side outward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1.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body part 11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art 111.

그리고 제1결합부(113)는, 측부에서 봤을 때, 제1구간(111a)과 제2구간(111b)의 경계 지점에 배치된다. 즉 제1결합부(113)는,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제1구간(111a)과 리어 바디(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구간(111b) 간의 경계 지점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disposed at a boundary point between the first section 111a and the second section 111b when viewed from the side. That is,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formed of the first section 111a and the rear body 120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amera module 100 wh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coupled. It is dispos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second sections 111b inserted into the interior.

제1결합부(113)는, 제1바디부(11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113)는, 후술할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며, 제1바디부(11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ody part 111.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a portion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rear body 120 and the front body 11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portion 111.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11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1바디부(111)는 제1결합부(11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결합부(11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바디부(111)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e first body portion 11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s an example, the first coupling part 113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the first body part 111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3)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110)를 제조할 수 있다.The front body 110 may be mol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re insert-injected. That is, by injection mol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ortion 111 formed of aluminum is inserted into the resin for mol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the The front body 110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integrally formed may be manufactured.

이로써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제1바디부(111)와 수지 재질의 제1결합부(113)가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바디(11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front body 110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11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made of a resin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in on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can be provided.

일례로서, 제1바디부(111)는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1바디부(111)의 표면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body part 111 may be manufactured using molten aluminum. In addition, a surface treatment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1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표면처리면은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1바디부(111)를 표면 처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표면처리면을 갖는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는 미세한 홈들이 형성된다.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may be formed by surface-treating the first body part 111 so that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body part (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111).

이와 같이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하게 되면,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더욱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injection-molded with the first body part 111 having 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inserted therein, the resin penetrates into the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1. Since the injection is made in a state,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can be combined with a stronger bonding force.

이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된 프런트 바디(11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re not easily separated, and the front body 110 combined with a strong bonding force can be provided.

[리어 바디의 구조][Rear body structure]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rear body 120 may include a second body portion 12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3.

제2바디부(121)는, 리어 바디(120)의 골격을 이루며, 리어 바디(12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한다. 배선 수용체(170)가 리어 바디(120)에 설치되기 위해 필요한 형상부의 대부분은, 제2바디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art 121 forms a skeleton of the rear body 120 and forms most of the exterior of the rear body 120. Most of the shape portions required for the wiring receptor 170 to be installed on the rear body 120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ody portion 121.

제2바디부(12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디부(121)가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되고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he second body part 121 may b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S is forme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ond body part 121 is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hexahedral shape with an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therein and an open front.

이러한 제2바디부(121)는, 후술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을 매개로 제1바디부(111)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body portion 12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rough a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 be described later.

제2결합부(123)는, 리어 바디(120)와 프런트 바디(11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부분이다. 이러한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의 개구된 전방에 배치되되, 수용공간(S)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제2바디부(121)의 전방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a part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rear body 120 and the front body 110.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disposed in front of the opening of the second body part 121, and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dge of the second body part 121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accommodation space S. have.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의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의해, 서로 별물로 마련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이 개구되어 있던 수용공간(S)은 이러한 결합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1. By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ade in this way,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can be achieved, and the front side was opened. The space (S) may be sealed by such a combination.

제2결합부(123)는, 제2바디부(121)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12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제2바디부(121)는 제2결합부(12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2결합부(12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바디부(121)는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body portion 121.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s an example,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이때 제2바디부(121)는,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제2결합부(123)는, 제1결합부(113)와 마찬가지로 사출이 용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지만, 제1결합부(113)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body part 121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ody part 111. In contras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at is easy to be injected, lik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bu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3)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120)를 제조할 수 있다.The rear body 120 may be molded in a form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insert-injected. That is, by injection mol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of aluminum is inserted into the resin for mol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rear body 120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integrally formed may be manufactured.

이로써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의 제2바디부(121)와 수지 재질의 제2결합부(123)가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일체로 형성된 리어 바디(12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 rear body 120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de of a resin material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can be provided.

이때 제2바디부(121)는,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조된 제2바디부(121)의 표면에는, 표면처리면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body part 121 may be manufactured using molten aluminum. In addition, a surface treatment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1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표면처리면은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2바디부(121)를 표면 처리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형성된 표면처리면을 갖는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는 미세한 홈들이 형성된다.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may be formed by surface-treating the second body part 121 so that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1, and the second body part (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121).

이와 같이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하게 되면,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더욱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When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injection-molded with the second body part 121 having 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inserted therein, the resin penetrates the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1. Since the injection is made in a state,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coupled with a stronger bonding force.

이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쉽게 분리되지 않고 강한 접합력으로 결합된 리어 바디(120)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not easily separated, and the rear body 120 coupled with a strong bonding force can be provided.

[프런트 바디와 리어 바디 간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between front body and rear body]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는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완료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nufacturing of the camera module 100 is completed by combining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상술한 바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리어 바디(1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인서트 사출되어 성형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front body 110,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re integrally formed by insert-injecting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t is provided in a molded form. In addition, the rear body 120 is formed by insert-injecting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 form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tegrally formed. Is provided as.

따라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은, 프런트 바디(110)에 구비된 제1결합부(113)와 리어 바디(120)에 구비된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is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provided on the front body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provided on the rear body 120. Can be done by

제1바디부(111)와 제2바디부(121)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Unlike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ormed of a resin material. 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used by a laser in a state that is butted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이에 따르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1결합부(11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1결합부(113)를 투과한 후 제2결합부(12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2결합부(12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in order to f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from the fron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e laser is irradiated. The laser irradiated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passe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n reache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at absorbs the laser The melted and then solidifi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bond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전방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제1바디부(1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에서 조사된 레이저가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에 효과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조건하에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but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than the first body part 111, so that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front of the camera module 100 can effectively reac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under conditions.

또한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가 가장 먼저 도달하게 되는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가 아닌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어도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at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front reaches first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even if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front side rather tha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10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can be effectively fused.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가 있다.It is meaningful in the following points that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front,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made using this.

전방에 배치되는 프런트 바디(110)와 그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바디(120)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설계되어 있다.The front body 110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rear body 120 disposed at the rear thereof are design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fu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

이를 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융착되는 형태로 서로 결합된다. 이때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밀착도가 높아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To this e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form in which they are fused while being but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this time,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presse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ust be high so that the fusion adhe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전방에서 조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동일 또는 나란한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The fact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fused by the laser irradiated from the front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in close contact. It means that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performed in the same or parallel direction.

즉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강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fu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portion (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113)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123 is made more efficient,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bond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bonding portion 123 can be further increased.

만약 레이저의 조사가 카메라 모듈(100)의 전방에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밀착이 이루어지는 방향과는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게 된다.If the laser irradiation is not performed in front of the camera module 100 but is performed i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100,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in close contact Fusion is mad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 a completely different direction.

그렇게 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접점 전체에 걸쳐 이루어지지 못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외주면 일부분에만 이루어질 수밖에 없게 되므로, 융착 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없고 융착 부위의 결합 강도도 그만큼 낮아질 수 밖에 없다.In that case,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not be achieved over the entir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so that the fusing operation cannot be performed efficiently, and the bonding strength of the fusing portion is also reduced that much.

또한 레이저의 조사가 카메라 모듈(100)의 측부에서 이루어지게 된다면, 한 번의 레이저 조사 작업으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접점 전체에 레이저 조사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레이저 조사 작업을 위치와 장소를 바꾸어 가며 여러 번 반복해야만 하여야 하므로, 작업 시간의 증가와 불편함이 가중될 수밖에 없게 된다.In addition, if the laser irradiation is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camera module 100, since laser irradiation cannot be performed on the entir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 one laser irradiation operation, Since the laser irradiation operation has to be repeated several times while changing the location and location, the increase of the working time and the inconvenience is inevitably increased.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레이저가 조사되고, 이를 이용하여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의 효율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른 구조에 비해 매우 효과적인 구조라고 할 수 있다.Therefore, as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laser is irradiated from the front,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achieved using this, is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t is a structure that is very effective compared to other structures in that it ca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fusing operation between the two coupling portions 123 and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t can be said.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123) may be formed.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121.

이 경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1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1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1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1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f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laser is irradiated. The laser irradiat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reaches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nd thus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bsorbing the laser The melted and then solidifi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bonded.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 구조][Fitting structur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도 4는 도 3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결합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IV" of FIG. 3,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coupling part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어느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12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중 다른 하나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돌기(124)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114)이 마련된다. 돌기(124)는 오목홈(114)에 삽입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가 오목홈(114)에 삽입됨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4,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provided on a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that faces each other. A protrusion 124 protruding toward is provided. In addition, a concave groove 114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24 is provided on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facing each other. The protrusion 124 may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and the protrusion 124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fitted together. This can be done.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113)에 오목홈(114)이 마련되고, 제2결합부(123)에 돌기(124)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2결합부(123)에서 돌출된 돌기(124)가 제1결합부(113)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14)에 끼움 결합됨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concave groove 114 is provided i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protrusion 124 is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ccording to this, the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formed concave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ere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A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ortions 123 is made.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을 위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Befo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by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d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ay be temporarily fixed, and als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for fusion work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Position guidance of the unit 123 can be made.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by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d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not formed in a linear shape. Instead, it forms a shape that is bent into a "c" shape.

이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가 직선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관여하는 면의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u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in a linear shape, the surface involved i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By increasing the area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가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게 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은 더욱 향상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in a "c" shap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sealing performance at the bonding site of the liver can be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the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inside the camera module 100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and thus the camera module 100 can provide more improved waterproof performance.

한편 상기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로부터 제1결합부(113)를 향해, 즉 제2결합부(123)의 전방 단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와 동일 재질, 즉 레이저 흡수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at is,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ward the front.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us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at is, a resin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아울러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기(124)가 오목홈(114)에 삽입되었을 때, 돌기(124)의 일부분은 오목홈(114)에 삽입되지 못하고 오목홈(114)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14. Therefore, when the protrusion 124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a part of the protrusion 124 cannot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and is located outside the concave groove 114.

이처럼 돌기(124)가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것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때 돌기(124)의 용융이 이루어짐을 고려한 것이다.In this way,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14, indicating that the protrusion 124 is melted when fu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made. It was considered.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performed from the front while pres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It consists of a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이 과정에서 레이저는 특히 돌기(124)를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124)는 이처럼 조사된 레이저에 의해 용융되면서 오목홈(114) 내부에서 제1결합부(113)와 융착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laser may be irradiated intensively toward the protrusion 124, and accordingly, the protrusion 124 is melted by the irradiated laser and is fused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nside the concave groove 114. Can be.

이때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와 돌기(124)의 길이 차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오목홈(114)의 내부에서 용융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이 돌기(124)와 오목홈(114)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만큼 돌기(124)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돌기(124)와 오목홈(114)이 완전히 맞물리게 돌기(124)와 오목홈(114)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4 may be melted within the concave groove 114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14 and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4, and thus the molten portion of the protrusion 124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made more tightly. And as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4 is shortened by the melted portion of the protrusion 124,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may be fitted so that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are completely engaged. have.

즉 돌기(124)가 오목홈(114)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안정적이고도 단단한 강도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protrusion 124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14,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can be made with more stable and hard strength.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The coupling part 123 may be formed.

만약 이와 같은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진다면, 후술할 돌기(124)는 제2결합부(123)가 아닌 제1결합부(113)에 마련되고, 후술할 오목홈(114)은 제1결합부(113)가 아닌 제2결합부(123)에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I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ormed in such a form, the protrusion 124 to be described later is 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no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concave groove 11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hould be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not the first coupling part 113.

다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마주보는 면에는, 치합면(a)이 형성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 an engaging surface (a)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3.

치합면(a)은, 돌기(124) 및 오목홈(11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배치되어 서로 치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치합면(a)은, 돌기(124)의 전방 단부 및 오목홈(114)의 이와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돌기(124)의 측방향 외측면 및 이와 마주보는 오목홈(114)의 측방향 내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mating surface (a) is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each other of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and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engaging surface (a) may be formed on the front end of the protrusion 124 and the surface facing the concave groove 114, the lateral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facing it It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이와 같이 돌기(124) 및 오목홈(114)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치합면(a)이 형성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에 관여하는 면의 면적이 더욱 증가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의 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When the engaging surface (a) is formed on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of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in this way, the area of the surface involved in the bonding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23 By further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sealing performance in the can be further improved.

[기판 설치 구조][Substrate installation structure]

도 6은 도 1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판 고정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1, and FIG.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substrate fixing structure shown in FIG. 6.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결합된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판이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S)에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 즉 두 개의 기판이 수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Referring to FIGS. 2 and 6, at least one substrate may be accommodated in an accommodation space S formed inside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combined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that is, two substrates ar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

제1기판(130)은, 두 개의 기판 중 전방에 배치되며, 제2기판(140)에 비해 프런트 바디(110)의 제1바디부(111)에 좀 더 인접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2기판(140)은, 두 개의 기판 중 후방에 배치되며, 제1기판(130)에 비해 배선 수용체(170)에 좀 더 인접한 측에 배치된다.The first substrate 1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two substrates,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body part 111 of the front body 110 than the second substrate 140. In addition, the second substrate 14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wo substrates, and is disposed closer to the wiring receptor 170 than the first substrate 130.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각각 회로형성부(P1)와 회로미형성부(P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회로형성부(P1)는, 이미지센서나 전원회로와 연결된 회로가 형성된 부분으로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그리고 회로미형성부(P2)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으로서, 회로형성부(P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each include a circuit forming unit P1 and a non-circuit forming unit P2. The circuit forming unit P1 is a portion in which a circuit connected to an image sensor or a power circuit is formed, and occupies most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In addition, the non-circuit forming portion P2 is a portion in which a circuit is not formed,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ircuit forming portion P1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이 다각 형상의 판,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에서, 회로미형성부(P2)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모서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 각각 배치되고, 회로형성부(P1)는 회로미형성부(P2)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한다. 일례로서, 회로미형성부(P2)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모서리들 중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late, for example, a square plate. In addition, in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the circuit unformed portion P2 is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orners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respectively, The circuit forming portion P1 occupies most of the remaining area in which the circuit unformed portion P2 is not formed. As an example, the non-circuit forming portion P2 may be disposed at a pair of corners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that face each other diagonally.

상기 제1기판(130)은, 제1바디부(11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구간(111b)과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의 형상은, 대략 제1기판(130)의 테두리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바디부(111)와 제1기판(130)이 서로 맞대어졌을 때,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의 테두리 부분에 접촉되는 형태로 제1바디부(111)와 제1바디부(11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13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111,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section 111b to be fix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S. The shap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111b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rim of the first substrate 130. Therefore, when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substrate 130 are abutted to each other,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111b is in contact with the rim of the first substrate 130. 111) and the first body part 111 may be coupled.

제1바디부(111)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은,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의 전면, 즉 제1바디부(111)와 마주보는 제1기판(130)의 일측면과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이들의 결합은, 제2구간(111b)의 후방 단부와 제1기판(130)이 절연제로 본딩(Bonding)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substrate 130,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part 111 is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30, that is,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body part 111 One may be formed in a form coupled to one side of the substrate 130. In this case, the combination may be made in a form in which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ction 111b and the first substrate 130 are bonded with an insulating ag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기판(140)도 제1기판(130)과 마찬가지로 프런트 바디(110)와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런트 바디(110)는, 제1지지보스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body 110 as well as the first substrate 130 to be fix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S. To this end, the front body 1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upport boss unit 115.

제1지지보스부(115)는, 프런트 바디(110)에 구비되되,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제1지지보스부(115)는, 대략 제1결합부(113)가 배치된 부분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지지보스부(115)에는 제1지지보스부(1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1지지보스부(115)의 내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boss 115 is provided on the front body 110, and is provid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The first support boss 115 may be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portion whe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disposed,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addition, a hollow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is formed in the first support boss 115, and a screw for screwing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formed with a hollow Structures can be formed.

상기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바디부(111)에 결합된 제1기판(130)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보스부(115)의 후방 단부에는, 제1기판(130)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기판(140)이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맞대어진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을 매개로 제2기판(140)은 프런트 바디(11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S)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is formed to have a length protruding further rearward than the first substrate 130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111. A second substrate 140 disposed behind the first substrate 130 may be abutted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butted in this way may be coupled by a screw,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is coupled to the front body 110 and accommodated through this coupling. It can be fixed inside the space (S).

한편 제1지지보스부(115)는 그 전방 단부가 제1기판(130)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그 후방 단부가 제1기판(130)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기판(130)이 배치된 영역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마련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front end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its rear end is positioned behind the first substrate 130, the first support boss 115 is A structure must be provided to allow the first substrate 130 to pass through an area in which it is disposed.

이를 위해, 제1기판(130)의 서로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모서리에는 회로미형성부(P2)가 배치되고, 제1기판(130)의 각 회로미형성부(P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non-circuit forming portion P2 is disposed at a corner diagonally facing each other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non-circuit forming portions P2 of the first substrate 130. I can.

즉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기판(130)의 모서리 부분에 배치된 회로미형성부(P2)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1기판(130)을 관통하여 제2기판(140) 측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upport boss 115 passes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3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non-circuit forming portion P2 disposed at the edge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substrate 140. Can be connected to the side.

이때 제1기판(13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위치 및 개수는, 제1지지보스부(115)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대각선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마련된다면, 관통공도 이에 적합한 위치에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두 쌍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기판(130)의 각 모서리 부분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면, 제1기판(130)의 각 모서리에 관통공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rough holes formed in the first substrate 13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number of the first support bosses 115. For example, if a pair of first support boss portions 115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diagonally, a pair of through hol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suitable for this. As another example, if two pairs of first support boss portions 115 are provided to pass through each corner portion of the first substrate 130, each through hole may be disposed at each corner of the first substrate 130.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바디(110)에 4개의 제1지지보스부(115)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기판(140)의 네 모서리 부분이 제1지지보스부(115)와 각각 결합되어 제1지지보스부(115)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제1지지보스부(115)의 배치 형태에서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이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판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four first support boss portions 115 are provided on the front body 110, and accordingly,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s 115, respectively. It is illustrated as being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boss part 115. In such an arrangement form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the first support boss 115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can be easily and safely coupled through the edg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circuit is not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supporting the substrate.

일례로서,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재질로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사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제1바디부(111)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s another example,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portion 111.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어 제1지지보스부(115)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기판(140)과 제1지지보스부(115)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데도 유리한 점이 있다.When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t may be injected integrally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so that the molding of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is somewhat It can be easily made at a lower cos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maintaining insulation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140 and the first support boss 115.

이와 다르게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1바디부(11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1지지보스부(115)가 제2기판(14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Unlike this, when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body portion 111, the first support boss portion 115 may support the second substrate 140 more stably. There is an advantage of securing strength.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기판(130)에는 렌즈 어셈블리(160)를 통과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며, 제2기판(140)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배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처리하여 공급하기 위한 전원처리회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ligh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ens assembly 160 into an electrical signal is mounted on the first substrate 130, and is supplied to the second substrate 140 through wiring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 power processing circuit for processing and supplying the power to be supplied may be provid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made by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연결기판(150)은, 재질이 딱딱한 경성회로기판으로 형성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달리,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기판(150)은, 수용공간(S) 내부에서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on substrate 1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circuit board (FPCB), unlike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formed of a rigid circuit board having a hard material.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in the receiving space 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I can.

상기한 바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는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런트 바디(110)가 제1기판(130) 및 제2기판(140)과 모두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면, 렌즈 어셈블리(160)와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및 연결기판(150)을 모두 프런트 바디(110)에 고정시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body 110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oth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When the front body 110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being combined with both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ssembly 160,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are fixed to the front body 110 so that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 can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즉 카메라 모듈(100) 제조 과정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상기 결합체에 리어 바디(120)를 결합시키는 작업만을 추가하면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That i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100,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first, and the rear body 120 is then combined with the assembly. The manufacturing of the camera module 100 may be completed by adding only the task to be performed.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 제조 작업을 한 작업장에서 동시에 진행할 필요 없이,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하는 작업과 이 결합체에 리어 바디(120)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독립된 장소에서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 관리가 더욱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refore, the operation of independently manufacturing an assembly in which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s are combined into one, and the rear body 120 in the assembly without the need to simultaneously proceed with the manufacturing operation of the camera module 100 in one workshop Since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perform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components in an independent place, the freedom and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operation can be improved, and the number of parts to be manag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duced, thereby making manufacturing management easier.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을 제조하기 위해 먼저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성형한다(S10,S20).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성형은, 용융된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형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는,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7, in order to manufacture the camera module 100,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are first formed (S10 and S20).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may be formed using molten aluminum. In addition,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이와 같이 성형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는, 인서트 사출되기 전 표면처리단계를 먼저 거칠 수 있다(S30). 표면처리단계는,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을 산화 처리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molded in this way may first undergo a surface treatment step before insert injection (S30). In the surface treatment step,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are oxidized so that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그런 다음, 제1바디부(111)와 일체가 되도록 제1결합부(113)를 사출하여 프런트 바디(110)를 성형하고(S40), 제2바디부(121)와 일체가 되도록 제2결합부(123)를 사출하여 리어 바디(120)를 성형한다(S50).Then, the front body 110 is molded by injecting the first coupling part 113 to be integrated with the first body part 111 (S40), and a second coupling to be integrated with the second body part 121 The part 123 is injected to form the rear body 120 (S50).

이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사출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데, 이 중 제1결합부(113)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ormed of an injectable resin material, of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그리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제1바디부(11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전방에서 봤을 때, 제1바디부(111)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ormed to protrude laterally outward than the first body portion 111. That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outward than the first body portion 111 when viewed from the front.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부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laser.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laterally outward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121 when viewed from the rear.

프런트 바디(110)의 성형은,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를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바디부(11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가 강한 접합력으로 일체화된 프런트 바디(11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front body 110 may be molded in an insert injection form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s injection-molded with the first body part 111 having a surface treatment surface inserted therein. At this time, since the injec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resin has penetrated into the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1, the front body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re integrated with strong bonding force ( 110) can be formed.

또한 리어 바디(120)의 성형은,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를 사출 성형하는 인서트 사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2바디부(121)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홈들에 수지가 침투한 상태로 사출이 이루어지므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가 강한 접합력으로 일체화된 리어 바디(12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body 120 may be molded in an insert injection form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is injection-molded with the second body part 121 having a surface-treated surface inserted therein. At this time, since injec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the resin has penetrated into the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121, the second body part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integrated with a strong bonding force ( 120) can be formed.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의 성형이 각각 완료되면,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판들을 고정시켜 준다(S60).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 바디(110)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이 모두 고정되고,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은 연결기판(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When the molding of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is completed, respectively, the substrates are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S60). In this embodiment, both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fixed to the front body 110, and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It is illustrated a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이에 따르면, 먼저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이 먼저 이루어진 후, 프런트 바디(110)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first, the front body 110 and the first substrate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coupled.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은, 제1기판(130)을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와 제1기판(130)의 전면 사이를 절연제로 본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지지보스부(115)는 제1기판(13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제1기판(130)을 관통하여 제1기판(130)의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first substrate 130 is performed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first substrate 130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111. One may be formed in a form of bonding between the front surfaces of the substrate 130 with an insulating agent. At this time, the first support boss 115 may penetrate the first substrate 13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t a corner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protrud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30.

프런트 바디(110)와 제2기판(140) 간의 결합은, 프런트 바디(110)와 제1기판(1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지지보스부(115)의 후방 단부에 제2기판(140)의 전면을 맞댄 후 제1지지보스부(115)와 제2기판(140)을 스크류로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is a second substrate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support boss 115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110 and the first substrate 130 are coupled. After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140, the first support boss 115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may be coupled with a screw.

그리고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의 측부에 연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연결기판(150)을 각각 연결하여 주면, 프런트 바디(110)에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을 고정시키는 작업이 완료된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substrates 15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side of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the front body The work of fixing the first substrate 130 and the second substrate 140 to 110 is completed.

상기한 바와 같은 기판 설치 방법에 따르면, 렌즈 어셈블리(160)와 제1기판(130)과 제2기판(140) 및 연결기판(150)을 모두 프런트 바디(110)에 고정시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ubstrate install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the lens assembly 160 by fixing all of the lens assembly 160, the first substrate 130, the second substrate 140, and the connection substrate 150 to the front body 110. And it is possible to independently manufacture a combination of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s are combined into one.

즉 카메라 모듈(100) 제조 과정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관리해야 할 부품의 수가 줄어들어 제조 관리가 더욱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That i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100, since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 can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first, the combination of which is combined into one can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so that the freedom and efficiency of manufacturing operations can be improved, As the number of parts to be manag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reduced, manufacturing management can be made easier.

상기와 같이 기판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판들이 리어 바디(120) 내부의 수용공간(S) 내부로 삽입되도록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를 서로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프런트 바디(110)의 제1결합부(113)와 리어 바디(120)의 제2결합부(123)를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 융착시킴으로써,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를 전후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S70).When the substrate is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bstrates ar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S inside the rear body 120. Then, by fusion bon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of the front body 1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of the rear body 120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The process of combining 120 in the front-rear direction proceeds (S70).

이러한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 용접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어 준다. 이때 제2결합부(123)에서 돌출된 돌기(124)가 제1결합부(113)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홈(114)에 끼움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This fusion bonding step may be performed by laser welding. To this end, firs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but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achieved. 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4 protruding from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it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4 formed concave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u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The fitting between the parts 123 is made.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융착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 작업을 위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Befor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by the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d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ay be temporarily fixed, and also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for fusion work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Position guidance of the unit 123 can be made.

이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전후방향으로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it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irradiating the laser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 So that the fu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made.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전방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performed while press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8. It is made by irradiating a laser beam from the front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이 과정에서 레이저 빔은 특히 돌기(124)를 향해 집중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기(124)는 이처럼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용융되면서 오목홈(114) 내부에서 제1결합부(113)와 융착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the laser beam may be particularly intensively irradiated toward the protrusion 124, and accordingly, the protrusion 124 is melted by the irradiated laser beam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inside the concave groove 114 Can be fused with.

이때 돌기(124)는 오목홈(114)의 깊이와 돌기(124)의 길이 차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오목홈(114)의 내부에서 용융될 수 있고, 이처럼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이 돌기(124)와 오목홈(114) 사이의 틈을 메우면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이 더욱 단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돌기(124)의 용융된 부분만큼 돌기(124)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돌기(124)와 오목홈(114)이 완전히 맞물리게 돌기(124)와 오목홈(114)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124 may be melted within the concave groove 114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114 and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4, and thus the molten portion of the protrusion 124 While filling the gap between the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made more tightly. And as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124 is shortened by the melted portion of the protrusion 124,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may be fitted so that the protrusion 124 and the concave groove 114 are completely engaged. have.

다른 예로서, 제1결합부(1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2결합부(1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형태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121)보다 측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123) may be formed. At this time,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121.

이 경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113) 및 제2결합부(1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1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1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1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1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f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laser is irradiated. The laser irradiat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reaches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nd thus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bsorbing the laser The melted and then solidifi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bond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프런트 바디(110)와 리어 바디(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The bonding between the front body 110 and the rear body 120 is achieved by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made as described above, thereby making the manufacture of the camera module 100 Can be done.

이와 같이 제조된 카메라 모듈(100) 내부의 수용공간(S)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밀폐된다. 이때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는 직선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ㄷ" 형상으로 꺾인 형상을 형성하므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강한 결합력으로 결합되고,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 부위에서의 실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The receiving space (S) inside the camera module 1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ealed by fu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t this time, since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s not formed in a linear shape but is bent in a "c" shap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 123) are coupled with each other by a strong bonding force, and sealing performance at a bonding por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can be further improved.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은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렌즈 어셈블리(160)나 기판들 같은 각종 부품들에 대한 수밀성 확보가 용이해지게 된다.Accordingly, the receiving space S formed inside the camera module 100 can be more effectively sealed, thereby securing watertightness for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lens assembly 160 or substrate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S. It becomes easier.

또한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은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설치되고, 렌즈 어셈블리(160)도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상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bstrate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S) are install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of aluminum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lens assembly 160 is also formed of aluminum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1.

따라서 기판들과 렌즈 어셈블리(160)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통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방수 성능과 방열 성능 모두가 향상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heat generated from the substrates and the lens assembly 160 can be easily radiated through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The camera module 100 can provide both waterproof performance an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n an improved form.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110)와 기판들이 하나로 결합된 결합체를 독립적으로 먼저 제조할 수 있도록 제공되므로,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제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amera modul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independently first manufacture a combination of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110, and the substrates into one, the freedom of manufacturing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management are improved. Can be improved.

이러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은, 높은 구조적 안정성과 수밀성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및 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신뢰성 높은 제품으로 제공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amera module 100 of this embodiment has high structural stability and watertightness,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and processes, and thus can be provided as a reliable product at a low cost.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9 by separating, and FIG. 11 is "" in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XI-XI"".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과 마찬가지로,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를 포함한다.9 to 11, the camera modu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body 210 and a rear body 220, similar to the camera modul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do.

본 실시예의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는, 각각 장착부(217,227)를 더 포함한다. 즉 프런트 바디(210)는 제1장착부(217)를 더 포함하며, 리어 바디(220)는 제2장착부(227)를 더 포함한다. 이하,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front body 210 and the rear body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 mounting portions 217 and 227, respectively. That is, the front body 210 further includes a first mounting portion 217, and the rear body 220 further includes a second mounting portion 227. Hereinafte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프런트 바디(2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장착부(217)는, 제1바디부(111) 및 제1결합부(113)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1바디부(11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The front body 210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111, a first coupling part 113, and a first mounting part 217.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portion 11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1.

본 실시예에서는, 제1장착부(217)가 제1결합부(113)와 동일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프런트 바디(210)는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를 삽입한 상태로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210)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7 is formed of the same resin material a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ccordingly, the front body 210 may be mol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11,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are insert-injected. That is, the first body part 111 formed of aluminum is inserted into the resin for molding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 By injection molding,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front body 210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111,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프런트 바디(210)에서, 제1장착부(217)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바디(210)에서,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는 프런트 바디(2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복잡한 형상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In the front body 210,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7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a shape portion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is to be formed. In the front body 210, the shape portion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is bound to have a more complex shape than other portions of the front body 210.

이러한 형상부가 제1바디부(111) 상에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복잡한 형상을 금속 재질의 제1바디부(111) 상에 형성하여야 한다. 그러나 금속 재질의 구조물에 복잡한 형상의 형상부를 형성하는 작업은, 수지 재질의 재료를 이용한 사출 성형 방법에 비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정확한 형상을 형성하기도 어려운 작업이다.In a structure in which such a shape part is formed on the first body part 111, a complicated shape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must be formed on the first body part 111 made of a metal material. However, the operation of forming a shape part of a complex shape on a metal structure is difficult and costly compared to an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a resin material, and it is difficult to form an accurate shape.

이에 비해,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복잡한 형상을 수지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금속에 비해 성형성이 좋은 수지 재질의 특성 상 이러한 형상부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좀 더 정확하고 정밀한 형상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mplex shape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molding of such a shape part is easier at a lower co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resin material having good moldability compared to metal. Not only can this be achiev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express a more accurate and precise shape.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 어셈블리(160)의 삽입과 결합 및 안착을 위한 형상부가 제1장착부(217)에 형성되고, 제1장착부(217)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의 성형이 동시에 함께 이루어지고, 이로써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1바디부(111)와 제1결합부(113) 및 제1장착부(217)가 일체로 헝성된 프런트 바디(210)를 제조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ese points, in this embodiment, a shape part for insertion, coupling, and seating of the lens assembly 160 is formed on the first mounting part 217,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is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resin material. do. According to this,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first mounting part 217 are molded together at the same time in a single insert injection operation, whereby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in one insert injection operation The front body 210 in which the 113 and the first mounting portion 217 are integrally formed may be manufactured.

즉 반드시 금속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면서도 복잡한 형상의 형성부가 형성되어야 할 부분을 제1결합부(113)와 함께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정확성 높고 제조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2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molding the part to be formed of a complex shape with the first coupling part 113 without necessarily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is high.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sy camera module 200.

한편 리어 바디(2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장착부(227)는, 제2바디부(121) 및 제2결합부(123)와 일체로 형성되되, 제2바디부(121)와는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Meanwhile, the rear body 220 may include a second body part 121, a second coupling part 123, and a second mounting part 227.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is formed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121.

본 실시예에서는, 제2장착부(227)가 제2결합부(123)와 동일한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리어 바디(220)는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인서트 사출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를 삽입한 상태로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220)를 제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is formed of the same resin material a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ccordingly, the rear body 220 may be molded in a form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are insert-injected. That 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of aluminum is inserted into the resin for mold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 By injection molding,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rear body 220 in whic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are integrally formed.

상기 리어 바디(220)에서, 제2장착부(227)는 리어 바디(220)의 후방 측에 설치되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형성될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220)에서,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는 리어 바디(22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복잡한 형상을 갖게 될 수밖에 없다.In the rear body 220,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may be disposed at a portion where a shape portion for coupling between the wiring receptor 170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rear body 220 and the rear body 220 is to be formed. have. In the rear body 220, a shape portion for coupling between the wiring receptor 170 and the rear body 220 is bound to have a more complex shape than other portions of the rear body 220.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을 위한 형상부가 제2장착부(227)에 형성되고, 제2장착부(227)는 수지 재질로 사출 성형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의 성형이 동시에 함께 이루어지고, 이로써 한 번의 인서트 사출 작업으로 제2바디부(121)와 제2결합부(123) 및 제2장착부(227)가 일체로 헝성된 리어 바디(220)를 제조할 수 있다.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n this embodiment, a shape part for coupling between the wiring receptor 170 and the rear body 220 is formed on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and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is injection-molded of a resin material. Formed by According to thi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are molded together at the same time in a single insert injection operation, whereby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performed in one insert injection operation. The rear body 220 in which the 123 and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are integrally formed may be manufactured.

즉 반드시 금속 재질로 형성될 필요가 없으면서도 복잡한 형상의 형성부가 형성되어야 할 부분을 제2결합부(123)와 함께 사출 성형하는 방법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정확성 높고 제조가 용이한 카메라 모듈(20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by molding the part to be formed of a complex shape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without necessarily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by injection molding,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whil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manufacturing is high.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asy camera module 200.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300)은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와 제1기판(330) 및 제2기판(3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3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제1기판(330) 및 제2기판(340)에 있다.Referring to FIG. 12, a camera modul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body 210, a rear body 220, a first substrate 330, and a second substrate 340. I ca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300 and the camera modul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제1기판(33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예시된 제1기판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1기판(330)은 제1커넥터(335)를 구비하는데,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1기판(33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1기판들 간의 차이점이다.The first substrate 330 is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first substrate exemplifi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strate 33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335,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substrate 33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rst substrat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1커넥터(335)는, 제1기판(330)에 구비되되, 제2기판(340)과 마주보는 제1기판(330)의 후면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커넥터(335)는, 제1기판(3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1기판(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first connector 335 is provided on the first substrate 330, and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bstrate 330 facing the second substrate 340. The first connector 335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330 to the rear,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substrate 330.

제2기판(340)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예시된 제2기판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은 제2커넥터(345)를 구비하는데,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제2기판들 간의 차이점이다.The second substrate 340 is also provid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econd substrate exemplifi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strate 34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connector 345, which is a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340 of this embodiment and the second substrat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제2커넥터(345)는, 제2기판(340)에 구비되되, 제1기판(330)과 마주보는 제2기판(340)의 전면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커넥터(345)는, 제2기판(34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며, 제2기판(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or 345 is provided on the second substrate 340,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substrate 340 facing the first substrate 330. The second connector 345 is provid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34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substrate 340.

상기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는,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기판과 제2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연결기판이 이용되었던 것과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가 이용된다.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are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unlike the connection substrate used for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and the second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is For this purpose, 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are used.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는, 서로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물리적 결합이 이루어졌을 때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결합 및 이에 따라 이루어지는 전기적인 연결에 의해,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may be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physical coupling is established. That is, by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and electrical connection made accordingly,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can be made.

이하,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의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will be described.

제1기판(33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제1기판과 동일하게 프런트 바디(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제1기판(330)과 제1바디부(111)의 후방 단부는, 절연제로 본딩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substrate 330 is coupled to the front body 210, more specifically, to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111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substrate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n this case, the rear ends of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first body part 111 may be bonded with an insulating agent.

제2기판(340)은, 프런트 바디(210)가 아닌 리어 바디(220) 측에 결합된다. 이 점이 본 실시예의 제2기판(340)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예시된 제2기판들과의 또 다른 차이점이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제1기판(330)은 프런트 바디(210)에 고정되고 제2기판(340)은 리어 바디(220)에 고정되는 기판 설치 구조를 갖는다.The second substrate 340 is coupled to the rear body 220 rather than the front body 210. This point is another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340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econd substrates exemplifi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at is, the camera modu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bstrate mounting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330 is fixed to the front body 21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is fixed to the rear body 220.

이를 위해, 리어 바디(220)에는, 지지보스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지지보스부(329)가 마련된다. 제2지지보스부(329)는, 리어 바디(220)에 마련되되, 리어 바디(220)의 후방에 구비된 장착부, 즉 제2장착부(227)에 마련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rear body 2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boss, more specifically, a second support boss 329. The second support boss 329 may be provided on the rear body 220, but may be provided on a mounting portion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ear body 220, that is,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장착부(227)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2지지보스부(329)에는 제2지지보스부(329)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중공이 형성된 제2지지보스부(329)의 내부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27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has a hollow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formed with a hollow screw for screwing Structures can be formed.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2지지보스부(329)의 후방 단부에는, 제2기판(340)이 맞대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맞대어진 제2지지보스부(329)와 제2기판(340)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러한 결합을 매개로 제2기판(340)은 리어 바디(22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substrate 340 may be abutt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support boss 329 form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butted in this way may be coupled by a screw,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is coupled to the rear body 220 and accommodated through this coupling. It can be fixed inside the space.

본 실시예에서는, 리어 바디(220)에 4개의 제2지지보스부(329)가 마련되고, 이에 따라 제2기판(340)의 네 모서리 부분이 제2지지보스부(329)와 각각 결합되어 제2지지보스부(329)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제2지지보스부(329)의 배치 형태에서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은 기판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제2지지보스부(329)와 제2기판(340) 간의 결합이 쉽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도 기판에 대한 지지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In this embodiment, four second support boss portions 329 are provided on the rear body 220, and accordingly, four corner portions of the second substrate 340 are combined with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s 329, respectively. It is illustrated that it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boss part 329. In such an arrangement form of the second support boss 329, while allowing easy and saf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support boss 329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through the edge of the substrate on which no circuit is formed, There i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supporting the substrate.

일례로서,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장착부(227)와 동일한 재질로 제2장착부(227)와 일체로 사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지지보스부(329)는 제2바디부(121)와 동일한 재질로 제2바디부(121)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second support boss 329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and integrally injected with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As another example, the second support boss portion 329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body portion 121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121.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장착부(227)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2장착부(227)와 일체로 사출될 수 있어 제2지지보스부(329)의 성형이 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기판(340)과 제2지지보스부(329) 간의 절연을 유지하는데도 유리한 점이 있다.When the second support boss 329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it can be injected integrally with the second mounting part 227, so that the molding of the second support boss 329 is more inexpensive. It can be made easily at a cost,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maintaining insulation between the second substrate 340 and the second support boss 329.

이와 다르게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바디부(121)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제2지지보스부(329)가 제2기판(340)을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Unlike this, when the second support boss 329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econd body 121, the second support boss 329 can support the second substrate 340 more stably. There is an advantage of securing strength.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프런트 바디(210)에 제1기판(330)이 결합된 한 단위의 결합체(이하 "프런트 바디 결합체"라 한다)와 리어 바디(220)에 제2기판(340)이 결합된 다른 한 단위의 결합체(이하 "리어 바디 결합체"라 한다)가 서로 결합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In the camera modul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unit of an assembly in which the first substrate 330 is coupled to the front body 2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ront body assembly”) and a second substrate (in the rear body 220) Another unit to which 340 is bond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ar body assembly”) may be provided in a combined form.

즉 렌즈 어셈블리(160)와 프런트 바디(210)와 제1기판(330)이 하나로 결합된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배선 수용체(170)와 리어 바디(220)와 제2기판(340)이 하나로 결합된 리어 바디 결합체가 독립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제조된 이들 결합체를 결합시키는 작업만을 추가하면 카메라 모듈(3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That is, a front body assembly in which the lens assembly 160, the front body 210, and the first substrate 330 are combined into one, and the wiring receptor 170, the rear body 22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are combined into one. The rear body assembly may be independently manufactured, and manufacturing of the camera module 300 may be completed by adding only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se independently manufactured combinations.

상기 두 결합체를 결합시키는 작업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two conjugates may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manner.

먼저 프런트 바디 결합체가 전방에 배치되고 리어 바디 결합체가 후방에 배치된 상태에서, 두 결합체가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두 결합체를 가압하여 준다. 이에 따라 두 결합체의 내부에서는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제1커넥터(335)와 제2커넥터(345) 간의 전기적인 연결 및 이에 따른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First,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assembly is disposed in the front and the rear body assembly is disposed in the rear, the two assemblies are pres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wo assemblies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a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is made in the interior of the two coupling bodies, whereby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335 and the second connector 345 and thus the first substra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is made.

즉 제1기판(330)과 제2기판(340)을 연결기판으로 연결하는 작업을 추가할 필요 없이,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리어 바디 결합체를 밀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두 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쉽고 빠르게 완성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without the need to add the work of connecting the first substrate 330 and the second substrate 340 with a connection substr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wo substrates can be easily and quickly completed by simply attaching the front body assembly and the rear body assembly. You can make it.

그리고 두 결합체의 외부에서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밀착되며 맞대어지는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outside of the two coupling bodi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o be butted is made.

이러한 상태에서,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면,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가 서로 융착되어 프런트 바디(210)와 리어 바디(2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카메라 모듈(300)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laser is irradiated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are fused to each other and the front body 210 The coupling between the rear body 220 and the rear body 220 is made, whereby the manufacturing of the camera module 300 may be completed.

이와 같이 제조된 카메라 모듈(300) 내부의 수용공간(S)은 제1결합부(113)와 제2결합부(123) 간의 융착에 의해 밀폐되고, 이에 따라 렌즈 어셈블리(160)나 기판들 같은 각종 부품들에 대한 수밀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The receiving space (S) inside the camera module 3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is sealed by fus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nd thus, the lens assembly 160 or the substrates Watertightness for various parts can be secured.

또한 상기 수용공간(S) 내부에 설치된 기판들(330,340)은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2바디부(121)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설치되고, 렌즈 어셈블리(160)도 열전도성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상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ubstrates 330 and 340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S are installed in an area surrounded by the second body portion 121 formed of aluminum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lens assembly 160 is also formed of aluminum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It is installed on the first body part 111 formed of a material.

따라서 기판들(330,340)과 렌즈 어셈블리(160)에서 발생되는 열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바디부(111) 및 제2바디부(121)를 통해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방수 성능과 방열 성능 모두가 향상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heat generated from the substrates 330 and 340 and the lens assembly 160 can be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body part 111 and the second body part 121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The camera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can provide both waterproof performance an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in an improved form.

또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300)은, 카메라 모듈(300)을 구성하는 전체 구성품이 두 개의 결합체로 단순화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도록 마련될 뿐 아니라, 프런트 바디 결합체와 리어 바디 결합체를 밀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내부의 전기적 연결을 쉽고 빠르게 완성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 아니라, 제조작업의 자유도와 제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entir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mera module 300 can be provided in a simplified state as two assemblies, as well as a simple combination of the front body assembly and the rear body assembly. Since it is provided so that the internal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completed easily and quickly with only work, not only manufacturing is easy, but also the freedom of manufacturing operation and the efficiency of manufacturing management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3.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은 프런트 바디(410) 및 리어 바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4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프런트 바디(410)에 있다.13 and 14, the camera modu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body 410 and a rear body 120.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400 and the camera modules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 the front body 410.

프런트 바디(410)는, 제1바디부(411), 및 제1바디부(411)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1결합부(113)를 포함한다. 이처럼 일체로 성형되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프런트 바디(410)는 제1바디부(411)와 제1결합부(11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front body 410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411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113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body portion 411. The first body part 4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that are integrally molded in this way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first body part 411 and the first coupling part 113 ar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ccordingly, the first body portion 41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the front body 410 may include the first body portion 41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lly injection molded form.

이와 같이 형성되는 프런트 바디(41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400)에 따르면,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프런트 바디(410)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mera module 4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front body 410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body 410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프런트 바디(410) 전체가 알루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저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가벼운 카메라 모듈(400)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카메라 모듈(40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ntire front body 41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at is relatively lighter and cheaper than aluminu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er camera module 400 as well as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mera module 400.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5.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은 프런트 바디(110) 및 리어 바디(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500)과 전술한 실시예에서 예시된 카메라 모듈들 간의 차이점은, 리어 바디(520)에 있다.15 and 16, the camera modu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body 110 and a rear body 520.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500 and the camera modules illustrat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 the rear body 520.

리어 바디(520)는, 제2바디부(521), 및 제2바디부(521)와 일체로 성형되는 제2결합부(123)를 포함한다. 이처럼 일체로 성형되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는,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는 사출 성형 가능한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리어 바디(520)는 제2바디부(521)와 제2결합부(123)가 일체로 사출 성형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rear body 520 includes a second body portion 521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3 integrally formed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521. The second body portion 5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that are integrally molded in this way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ond body part 52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23 are formed of a resin material. Accordingly, the second body portion 5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capable of injection molding, and the rear body 520 may include the second body portion 52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3. May be provided in an integrally injection molded form.

이와 같이 형성되는 리어 바디(520)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500)에 따르면, 한 번의 사출 성형 작업으로 리어 바디(520)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the camera module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the rear body 520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ar body 520 can be manufactured in a single injection molding operation, a manufacturing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한 리어 바디(520) 전체가 알루미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저렴한 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가벼운 카메라 모듈(500)을 제공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카메라 모듈(200)의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entire rear body 520 is formed of a resin material that is relatively light and inexpensive compared to aluminu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ighter camera module 500 and to lower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mera module 200.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간의 융착 작업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17, and FIG. 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fusing operation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camera module.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600)은 프런트 바디(610) 및 리어 바디(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7 and 18, the camera modul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body 610 and a rear body 620.

프런트 바디(6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 도 14 참조)의 프런트 바디(410; 도 14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body 610 is mostly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body 410 (see FIG. 14) of the camera module 400 (see FIG. 14)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리어 바디(6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의 리어 바디(120; 도 14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body 620 is mostly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body 120 (see FIG. 14) of the camera modu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카메라 모듈(600)과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400) 간의 차이점은, 제2결합부(623)가 제2바디부(62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제2결합부(6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바디부(62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600 and the camera modu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side outward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621 to be.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ody portion 62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621.

이와 함께 제1결합부(613)도,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613)는, 프런트 바디(610)와 리어 바디(620)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었을 때, 제2결합부(623)와 맞대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is also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621 when viewed from the rear. When the front body 610 and the rear body 620 are abut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abutt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613)는 제1바디부(6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611)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621)보다 제2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protrude outward of the first body portion 611.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first body portion 611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in a second direction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621, that is,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used by a laser in a state that is butted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6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6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 간의 융착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레이저 용접장치(L)가 레이저 빔을 조사하되, 후방에서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the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is performed by bring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close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9. While pressing in the direction, the laser welding device (L) irradiates the laser beam, but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from the rear.

즉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613) 및 제2결합부(6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623)를 향해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제2결합부(6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 빔은 제2결합부(6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6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6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613)와 제2결합부(6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f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the laser beam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This is investigated. The laser beam irradiat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pass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and then reach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bsorbing the laser A portion is melted and then solidifi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6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623 may be bonded.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Structure of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shown in FIG. 20.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700)은 프런트 바디(710) 및 리어 바디(7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0 and 21, the camera module 700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body 710 and a rear body 720.

프런트 바디(71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 도 16 참조)의 프런트 바디(110; 도 16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body 710 is mostly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body 110 (see FIG. 16) of the camera module 500 (see FIG. 16)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리어 바디(72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의 리어 바디(520; 도 16 참조)의 구성과 대부분 유사하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body 720 is mostly similar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ear body 520 (see FIG. 16) of the camera modu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카메라 모듈(700)과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500) 간의 차이점은, 제2결합부(723)가 제2바디부(721)의 측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즉 제2결합부(723)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제2바디부(721)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amera module 700 and the camera modul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ide of the second body portion 721. to be. That is,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s disposed outside the second body portion 72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721.

이와 함께 제1결합부(713)도,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결합부(713)는, 프런트 바디(710)와 리어 바디(720)를 전후방향으로 맞대었을 때, 제2결합부(723)와 맞대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is also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721 when viewed from the rear. When the front body 710 and the rear body 720 are but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first coupling part 713 may be formed in a shape capable of being abutted with the second coupling part 723.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713)는 제1바디부(711)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바디부(711)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바디부(721)보다 제2방향, 즉 상하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that does not protrude outward of the first body portion 711.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rear, the first body portion 711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in a second direction than the second body portion 721, that is, in the vertical,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는, 제1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레이저에 의해 융착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fused by a laser in a state that is butted in the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front-rear direction.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723)가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713)가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it is exemplified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본 실시예에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 간의 융착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후방에서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In this embodiment,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s similar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t is made in a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from the rear while pressing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즉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를 융착시키기 위해, 제1결합부(713) 및 제2결합부(723)의 후방에서 제2결합부(723)를 향해 레이저가 조사된다. 제2결합부(723)를 향해 조사된 레이저는 제2결합부(723)를 투과한 후 제1결합부(713)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레이저를 흡수한 제1결합부(713)의 일부분이 용융되었다가 고화되며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가 서로 융착됨으로써, 제1결합부(713)와 제2결합부(72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in order to fuse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a laser is applied from the rea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Is investigated. The laser irradiated toward the second coupling part 723 reaches the first coupling part 713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art 723, and thus a part of the first coupling part 713 absorbing the laser The melted and then solidified,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are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7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723 may be bon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only illustrati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200,300,400,500,600,700 : 카메라 모듈
110,210, : 프런트 바디
111 : 제1바디부
111a : 제1구간
111b : 제2구간
113 : 제1결합부
114 : 오목홈
115 : 제1지지보스부
120,220 : 리어 바디
121 : 제2바디부
123 : 제2결합부
124 : 돌기
130,330 : 제1기판
140,340 : 제2기판
150 : 연결기판
160 : 렌즈 어셈블리
170 : 배선 수용체
217 : 제1장착부
227 : 제2장착부
329 : 제2지지보스부
335 : 제1커넥터
345 : 제2커넥터
S : 수용공간
P1 : 회로형성부
P2 : 회로미형성부
a : 치합면
100,200,300,400,500,600,700: Camera module
110,210,: front body
111: first body part
111a: Section 1
111b: Section 2
113: first coupling portion
114: concave groove
115: first support boss
120,220: rear body
121: second body part
123: second coupling portion
124: protrusion
130,330: first substrate
140,340: second substrate
150: connection board
160: lens assembly
170: wiring receptor
217: first mounting part
227: second mounting part
329: second support boss
335: first connector
345: second connector
S: accommodation space
P1: circuit forming part
P2: Circuit unformed part
a: intergranular surface

Claims (11)

렌즈가 설치되는 제1바디부를 성형하는 제1바디부 성형단계;
제1방향으로 개구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바디부를 성형하는 제2바디부 성형단계;
상기 제1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1결합부를 결합하여 프런트 바디를 성형하는 프런트 바디 성형단계;
상기 제2바디부와 일체가 되도록 제2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리어 바디 성형단계;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제1방향으로 맞대며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를 상기 제1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융착결합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결합부가 상기 제2바디부 보다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A first body part molding step of molding the first body part on which the lens is installed;
A second body part forming step of forming a second body part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opened in the first direction therein;
A front body forming step of forming a front body by combining a first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first body portion;
A rear body shaping step of forming a rear body having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by combin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And
Including; a fusion bonding step of bond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by fusion bond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first directio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second coupling part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cond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바디 성형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1결합부를 인서트 사출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body molding step includes insert-injecting the first body part and the first coupl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제1결합부 및 상기 제2결합부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wherei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ar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알루미늄 재질로 성형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r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면 처리하여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표면처리면을 형성하는 표면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면처리면이 형성된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가 인서트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하여 상기 프런트 바디 또는 상기 리어 바디를 성형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surface treatment step of forming a surface treatment surface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by surface-tre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t least one of the step of molding the front body and the step of molding the rear body may be performed by insert inj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ody part or the second body part on which the surface treatment surface is formed is inserted, and the front body or the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for forming the rear bod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에 미세한 홈들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바디부 또는 상기 제2바디부의 외측 표면을 산화 처리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surface treatment step is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oxidiz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second body part so that fine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or the second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가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융착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The othe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In the fusion bonding step,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irradiated with a laser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butted to each other along the first direction.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for fus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가 상기 제1결합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2결합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방향 일측에서 상기 제1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In the fusion bonding step,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from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first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laser penetrat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reache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레이저 흡수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레이저 투과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레이저가 상기 제2결합부를 투과하여 상기 제1결합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1방향 타측에서 상기 제2결합부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lase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laser transmission,
The fusion bonding step is a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of irradiating a laser from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so that the laser penetrate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reach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이 마련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제1방향 일측에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제1결합부에 융착시키거나 상기 제1방향 타측에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를 상기 제2결합부에 융착시키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 concave groov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is provided,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to form a fitting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fusion bonding step,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protrusion from one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 fuse the protrusion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irradiating a laser toward the protrusion from the other side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protrus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by fusing the second coupling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가 상기 오목홈의 깊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융착결합단계는, 상기 프런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상기 돌기를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를 용융시키고,
용융된 상기 돌기의 길이방향 단부가 상기 오목홈 내부에서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상기 제2결합부와 융착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간의 융착이 이루어지는 카메라 모듈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trus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concave groove,
In the fusion bonding step, while pressing the front body and the rear body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a laser is irradiated toward the protrusion to melt the longitudinal end of the protrus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mera module in which a longitudinal end of the molten protrusion is fus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 the concave groove to form fusion bond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KR1020190025914A 2019-03-06 2019-03-06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KR10218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14A KR102182279B1 (en) 2019-03-06 2019-03-06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14A KR102182279B1 (en) 2019-03-06 2019-03-06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154A KR20200108154A (en) 2020-09-17
KR102182279B1 true KR102182279B1 (en) 2020-11-25

Family

ID=72707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14A KR102182279B1 (en) 2019-03-06 2019-03-06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227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08B1 (en) * 2005-07-15 2006-11-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udio volume knob
JP2018158585A (en) * 2018-07-04 2018-10-11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Resin metal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619A (en) * 2016-10-26 2018-05-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ehicular camera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708B1 (en) * 2005-07-15 2006-11-2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Audio volume knob
JP2018158585A (en) * 2018-07-04 2018-10-11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Resin metal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154A (en)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272B1 (en) Camera module
KR102263304B1 (en) A battery cell connecting board
US7944681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7178993B2 (en)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manufacturing method
WO2009113631A1 (en) Electric junction box
KR102182283B1 (en) Camera module
KR102182261B1 (en) Camera module
JP5037880B2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KR10218227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amera module
KR102180430B1 (en) Camera module
JP2008288116A (en)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connecting device
KR20230129226A (en) sensor module
JP6743270B2 (en) Method and component composite for forming a laser welded joint
US987630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a control unit in a motor vehicle
JP2021034216A (en) In-vehicle module connector assembly
WO2021161919A1 (en) Sensor module
WO2017064931A1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4102624B2 (en) Bonding structure of plastic parts with insert-molded wiring boards
JP7396529B1 (en) Rear case for in-vehicle camera and case for in-vehicle camera
JP2016035984A (en) Optical module
KR102285351B1 (en) Fixing device for printed circuit board
WO2022118621A1 (en) Sensor module
US20230092720A1 (en) Connector device
US11862885B2 (en) Electric connection member and circuit unit
JP7087739B2 (en) Power storag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