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99B1 -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 Google Patents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99B1
KR102181299B1 KR1020207004839A KR20207004839A KR102181299B1 KR 102181299 B1 KR102181299 B1 KR 102181299B1 KR 1020207004839 A KR1020207004839 A KR 1020207004839A KR 20207004839 A KR20207004839 A KR 20207004839A KR 102181299 B1 KR102181299 B1 KR 10218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control signal
information
layer
specific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0992A (ko
Inventor
나오히사 기타자토
야스아키 야마기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2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9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characterised by a specific format, e.g. an encoded audi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비스 패키지부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FLUTE 세션 또는 UDP에 의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본 기술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본 기술은,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한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국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서는, 전송 형식으로서 MPEG2-TS(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2-Transport Stream)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앞으로는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IP(Internet Protocol) 패킷을 디지털 방송에 이용한 IP 전송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보다 고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2-156712호 공보
IP 전송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다양한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운용 형태를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 상정되지만, 그와 같은 운용 형태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방식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IP 전송 방식을 도입한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동일한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프로토콜의 계층 중, IP층보다도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방송파는, IP층보다도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전송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여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방법은,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수신되고,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가,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컴포넌트 취득부와,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와,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이어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방법은,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취득되고, 제어 신호가 취득되며,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처리부를 구비한다.
동일한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프로토콜의 계층 중, IP층보다도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상기 방송파는, IP층보다도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전송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SGDU의 확장 정보로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제1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제2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URL 정보를 특정함으로써, UDP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이어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방법은,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에 대응하는 수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수신 장치 및 수신 방법에 있어서는,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수신되고,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UDP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가,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된다.
본 기술의 제4 측면의 송신 장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컴포넌트 취득부와,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와,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UDP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4 측면의 송신 장치는, 독립된 장치이어도 되고, 하나의 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블록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제4 측면의 송신 방법은, 본 기술의 제4 측면의 송신 장치에 대응하는 송신 방법이다.
본 기술의 제4 측면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에 있어서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가 취득되고, 제어 신호가 취득되며,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UDP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가 송신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 내지 제4 측면에 의하면,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FLUTE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방송파의 신호와 FLUTE 전송 방식의 ID 체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FLUTE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LL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C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서비스 채널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송신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Demux에 의한 각 패킷의 필터링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UD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방송파의 신호와 UDP 전송 방식의 ID 체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UD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LL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C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Demux에 의한 각 패킷의 필터링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SC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SCT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SCT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SA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SAT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RR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SDP 기술 문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세션 기술부와 미디어 기술부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미디어의 속성 종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origin, connection data, media announcements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코덱 파라미터의 동적 맵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6은, SDP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SDP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8은, SDP의 기술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는, 초기 스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0은, 초기 스캔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1은, 초기 스캔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ESG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3은, ESG 취득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4는, 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5는,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6은, 다이렉트 선국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7은,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8은, ESG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9는, ESG 선국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0은, ESG 선국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2는, ESG 녹화 예약·실행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3은, ESG 녹화 예약·실행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4는, 녹화 프로그램 재생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5는, NRT-ESG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6은, NRT-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7은,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8은, NRT 콘텐츠 취득·재생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9는, NRT 콘텐츠 취득·재생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0은, NRT 콘텐츠 취득·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1은, NRT 콘텐츠 취득·표시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2는, NRT 콘텐츠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3은,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4는,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시에 취득되는 정보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5는,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6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7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8은, 송신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9는, 패키지 녹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0은, 디패키지 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1은, 컴퓨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기술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1. IP 전송 방식에 의한 디지털 방송
(1) FLUTE 전송 방식
(2) UDP 전송 방식
2. 시그널링 정보
(1) LLS(SCT, SAT, RRT)의 상세 구조
(2) SCS(SDP)의 상세 구조
3. 구체적인 운용예
(1) 기본 동작
(2) NRT 서비스 대응
(3) 하이브리드 서비스 대응
(4) UDP 전송 방식
4.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
<1. IP 전송 방식에 의한 디지털 방송>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는, FLUTE 전송 방식과, UDP 전송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FLUTE 전송 방식은, 시그널링 정보를 SCS(Service Channel Signaling)로서,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세션에 의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UDP 전송 방식은, 시그널링 정보를 SCS로서,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의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1) FLUTE 전송 방식>
(프로토콜 스택)
도 1은, FLUTE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되고, 서비스(채널)를 위해서 할당된 방송파의 주파수 대역이 이에 대응한다. 물리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BBP 스트림(Base Band Packet Stream)을 사이에 두고 IP층으로 된다. BBP 스트림은,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 패킷을 포함하는 스트림이다.
IP층은, TCP/IP의 프로토콜 스택에 있어서의 IP(Internet Protocol)와 동일한 것이며, IP 어드레스에 의해 IP 패킷이 특정된다. I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UDP층으로 되고, 또한 그 상위 계층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FLUTE/ALS로 된다. 즉,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 있어서는, UDP의 포트 번호가 지정된 패킷이 송신되고, 예를 들어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이 확립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FLUTE의 상세는, RFC3926으로서 규정되어 있다.
FLUTE/ALS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fMP4(Fragmented MP4)로 되고, 또한 RTP, fMP4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비디오 데이터(Video), 오디오 데이터(Audio), 자막 데이터(Closed Caption) 등으로 된다. 즉,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형 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RTP 세션이 이용되고,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비동기형 파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FLUTE 세션이 이용된다.
또한, FLUTE/ALS의 상위 계층은, NRT 콘텐츠(NRT Content), ESG, SCS로 되고, NRT 콘텐츠, ESG, SCS는,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NRT 콘텐츠는, NRT(Non-RealTime) 방송으로 전송되는 콘텐츠로서, 수신기의 스토리지에 일단 축적된 후에, 재생이 행해진다. 또한, NRT 콘텐츠는, 콘텐츠의 일례로서, 다른 콘텐츠의 파일이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ESG(Electronic Service Guide)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로서, 예를 들어 프로그램 타이틀이나 개시 시각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SCS(Service Channel Signaling)는, 서비스 단위의 시그널링 정보로서,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SCS로서는,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나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등이 전송된다. SDP는, 서비스 단위의 서비스 속성, 컴포넌트의 구성 정보, 컴포넌트 속성, 컴포넌트의 필터 정보, 컴포넌트의 로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AIT는,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정보이다. 또한, 서비스(Service)와 컴포넌트(Component)의 관계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LLS(Low Layer Signaling)는, 저 레이어의 시그널링 정보이며, BBP 스트림 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LLS로서는, SCT(Service Configuration Table)나 SAT(Service Association Table), RRT(Region Rating Table) 등의 서비스 구성 정보(Service Configuration Information)가 전송된다.
SCT는, MPEG2-TS 방식에서 사용되고 있는 network_id, transport_stream_id, service_id의 조합(이하, 「트리플렛(Triplet)」이라고 함)을 채용하고, 이 트리플렛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내의 BBP 스트림 구성과 서비스 구성이 나타난다. 또한, SCT에는, 서비스 단위의 속성·설정 정보로서의 IP 어드레스 등의 정보나, ESG나 SCS에 액세스하기 위한 bootstrap 정보, 나아가 서비스(채널)를 선국하기 위한 선국 정보 등이 포함된다.
SAT는, BBP 스트림마다의 온 에어 중인 서비스를 나타낸다. SAT에 의해,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방송 중)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RRT는, 프로그램의 분류에 관한 지역 정보 테이블을 나타낸다.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ID 체계)
도 2는, 방송파의 신호와 FLUTE 전송 방식의 ID 체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6㎒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파(방송 네트워크(Network))에는, network_id가 할당되어 있다. 각 방송파에는, transport_stream_id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BBP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BBP 스트림은, BBP 헤더와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BBP 패킷에 의해 구성된다.
각 BBP 스트림에는, service_id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서비스(Service)가 포함되어 있다. 각 서비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Component)로 구성되어 있다. 각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FLUTE 전송 방식의 ID 체계로서, MPEG2-TS 방식과 마찬가지로 트리플렛을 채용하여, network_id, transport_stream_id, service_id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MPEG2-TS 방식과의 정합을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MPEG2-TS 방식으로부터 IP 전송 방식(FLUTE 전송 방식)으로의 이행 시의 사이멀캐스트에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service_id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로서, 메이저 채널 번호와 마이너 채널 번호를 사용한 운용을 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16비트의 service_id 중, 상위의 8비트를, 메이저 채널 번호의 8비트에, 하위의 8비트를, 마이너 채널 번호의 8비트에 각각 할당함으로써, 그와 같은 운용에도 대응할 수 있다.
(FLUTE 전송 방식의 방송파의 구성)
도 3은, FLUTE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6㎒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파(도면 중의 「Network」)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BBP 스트림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각 BBP 스트림으로부터, NTP(Network Time Protocol), 복수의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Service), 및 LLS를 취득할 수 있다. 단, NTP, 서비스 채널, 전자 서비스 가이드는, UDP/IP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전송되지만, LLS는, BBP 스트림 위에서 전송된다. 또한, NTP는, 시각 정보로서, 복수의 서비스 채널에서 공통의 것으로 된다.
각 서비스 채널에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컴포넌트(Component)와, SDP나 AIT 등의 SCS가 포함된다. 또한, 각 서비스 채널에는, 공통의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채널마다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 등을 패키지화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BBP 스트림(BBP Stream)과 컴포넌트(Component)는, 도 2에 대응하고 있지만,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은, 도 2의 서비스(Service)에 상당하는 것이다.
(LLS의 구성)
도 4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LL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BP 패킷은, BBP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BBP 스트림에 의해 IP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페이로드의 부분이 IP 패킷으로 된다.
또한, BBP 스트림에 의해 LLS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BBP 헤더의 다음에 LLS가 배치된다. LLS로서는, 예를 들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으로 기술된 SCT나 SAT 등이 배치되지만, 그 데이터의 일부의 XML 프래그먼트(XML fragment)를 LLS 본체로서, SGDU 헤더가 부가된다. 이에 의해, SCT나 SAT는, SGDU 컨테이너(Service Guide Delivery Unit Container)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또한, SGDU는, OMA(Open Mobile Alliance)의 규격으로서 채용되어 있다.
또한, BBP 헤더에는, 2비트의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 타입 정보에 의해, BBP 패킷이 IP 패킷인지, LLS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SCS의 구성)
도 5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C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형 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RTP 세션이 이용되기 때문에, BBP, IP, UDP, RTP의 각 헤더가 페이로드에 부가된다. 또한, fMP4나 ESG, NRT 콘텐츠 등의 파일 데이터를, 비동기형 파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FLUTE 세션이 이용되기 때문에, BBP, IP, UDP, LCT의 각 헤더가 페이로드에 부가된다. 또한, NTP는, UDP층의 상위 계층으로 되기 때문에, BBP, IP, UDP의 각 헤더의 다음에 배치된다.
SCS는, FLUTE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기 때문에, BBP, IP, UDP, LCT의 각 헤더의 다음에 배치된다. SCS로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되는 SDP 등이 배치되지만, 그 데이터의 일부의 SDP 프래그먼트(SDP fragment)를 SCS 본체로서, SGDU 헤더가 부가된다. 이에 의해, SDP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또한, SCS 본체로서 배치되는 것은, SDP 프래그먼트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XML 형식으로 기술된 AIT의 XML 프래그먼트(XML fragment)를 배치하고,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도록 해도 된다.
(서비스 채널의 개념)
도 6은, 서비스 채널(SC: Service Channel)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사업자(Content Provider)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를, 지상파 방송국(Local Terrestrial Broadcaster)에 제공할 때 동일한 IP 어드레스로 되는,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 등을 패키지화함으로써, 서비스 채널 단위로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지상파 방송국은, CATV 사업자, 위성 방송 사업자(Satellite), IPTV 사업자, 멀티 캐스트 서비스 사업자(eMBMS: evolved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오퍼레이터(Operators) 등에 대해서도, 서비스 채널이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CATV 사업자 등은, 예를 들어 서비스 채널에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거나 하여, 재패키지화를 행할 수도 있다.
수신기(Fixed Receiver)는, 지상파 방송국이나 CATV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서비스 채널을 수신한다. 수신기는, 서비스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수신기는, 가정 내에 구축된 홈 네트워크에 접속된 홈 서버(Home Server)나 외부 장치(Mobile Devices) 등에 대하여 서비스 채널을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 서버에는, 수신기로부터의 서비스 채널이 축적되게 된다. 또한, 외부 장치에서는, 수신기로부터의 서비스 채널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단, 외부 장치가 지상파 방송국 등으로부터 송신되는 서비스 채널을 직접 수신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로 되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의 서비스의 구성 요소의 신호를 패키지화함으로써, 서비스 채널(서비스)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서비스 채널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
도 7은, 본 기술을 적용한 방송 시스템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송 시스템(1)은, 송신 장치(10), 수신 장치(20), 홈 서버(30), 외부 장치(40),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및 배신 서버(60)로 구성된다. 수신 장치(20), 홈 서버(30), 및 외부 장치(40)는 주택(2)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홈 네트워크(70)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신 장치(2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50), 및 배신 서버(60)는, 인터넷(90)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송신 장치(10)는,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를,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에 의해 송신한다.
수신 장치(20)는, 송신 장치(10)로부터 송신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 콘텐츠의 영상과 음성을 취득한다. 수신 장치(20)는, 방송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디스플레이나 스피커를 포함해서 단체로서 구성되도록 해도 되고, 텔레비전 수상기나 비디오 레코더 등에 내장되도록 해도 된다.
수신 장치(20)는 홈 네트워크(70)를 통해 홈 서버(30)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한다. 홈 서버(30)는, 홈 네트워크(70)를 통해 수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록하거나, 수신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홈 네트워크(70)를 통해 외부 장치(40)와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를 교환한다. 외부 장치(40)는, 홈 네트워크(70)를 통해 수신 장치(20)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외부 장치(4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모바일 기기이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버(50)는, 수신 장치(2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인터넷(9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수신 장치(20)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의 애플리케이션을,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시킨다.
배신 서버(60)는, 방송이 완료된 방송 프로그램이나 공개가 완료된 영화 등의 통신 콘텐츠를, 인터넷(90)을 통해 VOD(Video On Demand)에 의해 제공한다. 수신 장치(20)는, 인터넷(90)을 통해 배신 서버(60)로부터 배신되는 통신 콘텐츠를 수신한다. 수신 장치(20)는, 통신 콘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과 함께,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한다.
방송 시스템(1)은, 이상과 같이 구성된다.
(송신 장치의 구성예)
도 8은, 본 기술을 적용한 송신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 장치(10)는,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111), 비디오 인코더(112),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113), 오디오 인코더(114), 자막 데이터 취득부(115), 자막 인코더(116), 제어 신호 취득부(117), 제어 신호 처리부(118),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 파일 처리부(120), Mux(121) 및 송신부(122)로 구성된다.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111)는, 내장된 스토리지나 외부의 서버, 카메라 등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취득하고, 비디오 인코더(112)에 공급한다. 비디오 인코더(112)는,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111)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MPEG 등의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113)는, 내장된 스토리지나 외부의 서버, 마이크로폰 등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고, 오디오 인코더(114)에 공급한다. 오디오 인코더(114)는,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113)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MPEG 등의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자막 데이터 취득부(115)는, 내장된 스토리지나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자막 데이터를 취득하고, 자막 인코더(116)에 공급한다. 자막 인코더(116)는, 자막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공급되는 자막 데이터를, 소정의 부호화 방식에 준거하여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제어 신호 취득부(117)는, 내장된 스토리지나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LLS나 SCS 등의 제어 신호를 취득하고, 제어 신호 처리부(118)에 공급한다. 제어 신호 처리부(118)는, 제어 신호 취득부(117)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처리부(118)는, 제어 신호 취득부(117)에 의해 취득된 SCS에 대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는, 비동기형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내장된 스토리지나 외부의 서버 등으로부터, 예를 들어 NRT 콘텐츠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고, 파일 처리부(120)에 공급한다. 파일 처리부(120)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로부터 공급되는 파일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파일 처리를 실시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파일 처리부(120)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에 의해 취득된 파일 데이터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파일 처리를 행한다.
Mux(121)는, 비디오 인코더(112)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인코더(114)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자막 인코더(116)로부터의 자막 데이터, 제어 신호 처리부(118)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파일 처리부(120)로부터의 파일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IP 전송 형식의 BBP 스트림을 생성하고, 송신부(122)에 공급한다. 송신부(122)는, Mux(121)로부터 공급되는 BBP 스트림을 방송 신호로서, 안테나(123)를 통해 송신한다.
(수신 장치의 구성예)
도 9는,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는, 튜너(212), Demux(213),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비디오 출력부(216), 오디오 디코더(217), 오디오 출력부(218), 자막 디코더(219), FLUTE 처리부(220), 스토리지(221), 제어 신호 처리부(222), NVRAM(223), 서비스 패키지부(224), 통신 I/F(225), 브라우저(226), 및 스트리밍 처리부(227)로 구성된다.
튜너(212)는, 안테나(211)에 의해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선국이 지시된 서비스의 방송 신호를 추출하여 복조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IP 전송 형식의 BBP 스트림을, Demux(213)에 공급한다.
Demux(213)는, 튜너(212)로부터 공급되는 IP 전송 형식의 BBP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및 제어 신호 등으로 분리하여, 후단의 블록으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Demux(213)는, BBP 필터(251), IP 필터(252), UDP 필터(253), LCT 필터(254), 및 SGDU 필터 뱅크(255)로 구성된다. BBP 필터(251)는, BBP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LLS를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한다.
IP 필터(252)는, IP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또한, UDP 필터(253)는, UDP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LCT 필터(254)는, LCT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IP 필터(252) 내지 LCT 필터(254)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NTP는 클럭 발생부(214)에 공급되고, SCS는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된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는,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 자막 디코더(219)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각종 파일 데이터는, FLUTE 처리부(220)에 공급된다.
SGDU 필터 뱅크(255)는, SGDU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LLS와 SCS를 적절히, 제어 신호 처리부(222) 또는 FLUTE 처리부(220)에 공급한다. 또한, IP 필터(252)는, IP 어드레스에 의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동일한 IP 어드레스로 되는 컴포넌트(Audio/Video), 및 제어 신호(SCS) 등과, 시각 정보(NTP)를 서비스 패키지부(224)에 공급한다.
클럭 발생기(214)는,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 및 자막 디코더(219)에 공급한다.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인코더(112)(도 8)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으로 복호하여,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 비디오 출력부(216)는, 비디오 디코더(215)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후단의 디스플레이(도시생략)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 등이 표시된다.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인코더(114)(도 8)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으로 복호하여,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 오디오 출력부(218)는, 오디오 디코더(217)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후단의 스피커(도시생략)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로부터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출력된다.
자막 디코더(219)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자막 데이터를, 자막 인코더(116)(도 8)에 대응하는 복호 방식으로 복호하여,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 비디오 출력부(216)는, 자막 디코더(219)로부터 자막 데이터가 공급된 경우, 그 자막 데이터를, 비디오 디코더(215)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에 합성하고, 후단의 디스플레이(도시생략)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과 함께, 그 영상에 대응한 자막이 표시된다.
FLUTE 처리부(220)는,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파일 데이터로부터, ESG, 애플리케이션, NRT 콘텐츠 등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FLUTE 처리부(220)는, 복원한 ESG 또는 NRT 콘텐츠를,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 또한, 예를 들어 FLUTE 처리부(220)는, 복원한 애플리케이션을 브라우저(226)에 공급한다. 또한, FLUTE 처리부(220)는,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SCS를 제어 신호 처리부(222)에 공급한다. 단, SCS는, FLUTE 처리부(2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Demux(213)로부터 제어 신호 처리부(222)에 공급하도록 해도 된다.
스토리지(221)는, HDD(Hard Disk Drive) 등의 대용량의 기록 장치이다. 스토리지(221)는, FLUTE 처리부(220)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데이터를 기록한다.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Demux(213) 또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LLS, SCS)에 기초하여,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NVRAM(223)은, 불휘발성 메모리로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기록한다.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Demux(213)로부터 공급되는, 컴포넌트, 제어 신호, 및 시각 정보 등의 서비스 채널의 구성 요소를 패키지화하고,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 또한,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스토리지(221)로부터 패키지화된 서비스 채널의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패키징하고, Demux(213)의 IP 필터(25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패키지화된 서비스 채널의 구성 요소를 복원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패키지화된 서비스 채널의 데이터는, 통신 I/F(225)를 통해 홈 네트워크(70)에 접속된 홈 서버(30)나 외부 장치(4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통신 I/F(225)는, 홈 네트워크(70)에 접속된 홈 서버(30)나 외부 장치(40) 등과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또한, 통신 I/F(225)는, 인터넷(90) 위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브라우저(226)에 공급한다. 브라우저(226)에는, FLUTE 처리부(220) 또는 통신 I/F(225)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이 공급된다. 브라우저(226)는, 예를 들어 HTML5(Hyper Text Markup Language 5)에 의해 기술된 HTML 문서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비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연동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이 표시된다.
또한, 통신 I/F(225)는, 인터넷(90) 위에 설치된 배신 서버(60)로부터 배신되는 통신 콘텐츠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스트리밍 처리부(227)에 공급한다. 스트리밍 처리부(227)는, 통신 I/F(225)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스트리밍 재생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처리를 실시하여, 그 결과 얻어지는 비디오 데이터를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통신 콘텐츠의 영상이 표시되고,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도 9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튜너(212), Demux(213),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비디오 출력부(216), 오디오 디코더(217), 오디오 출력부(218), 자막 디코더(219), 스토리지(221), NVRAM(223), 및 통신 I/F(225)는 하드웨어로서 구성된다. 한편,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FLUTE 처리부(220), 제어 신호 처리부(222), 서비스 패키지부(224), 브라우저(226), 및 스트리밍 처리부(227)는, CPU(도 71의 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도 9의 수신 장치(20)의 구성에서는, 스토리지(221)는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외장형 스토리지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필터링 처리의 상세)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Demux(213)(도 9)에 의한 각 패킷의 필터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emux(213)에는, 각종 헤더 정보와, 페이로드로서, LLS, NTP, SCS, 각종 파일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각 패킷이 입력된다.
BBP 헤더에는, IP 또는 Signaling을 나타내는 타입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BBP 필터(251)는, BBP 헤더에 포함되는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LLS의 패킷의 타입 정보만이 Signaling으로 되고, 다른 패킷은 IP로 되므로, LLS의 패킷만이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된다.
또한, IP 헤더에는, IP 어드레스(IP Address)가 포함된다. IP 필터(252)는, IP 헤더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IP 헤더가 부가된 패킷 중, NTP의 패킷의 IP 어드레스만 상이하지만, 다른 패킷의 IP 어드레스는 동일한 어드레스로 된다.
또한, UDP 헤더에는, 포트 번호(Port Number)가 포함된다. UDP 필터(253)는, UDP 헤더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UDP 헤더가 부가된 각 패킷의 포트 번호는 상이하다. 또한, FLUTE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에는, LCT 헤더가 부가되고, RTP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패킷에는, RTP 헤더가 부가되어 있다. 그리고, IP 필터(252)와 UDP 필터(253)에 의해,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LCT 헤더가 부가되지 않은 NTP의 패킷은, 클럭 발생기(214)로 출력된다. 또한, RTP 헤더가 부가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은,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로 각각 출력된다.
또한, LCT 헤더에는,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와 TOI(Transport Object Identifier)가 포함된다. FLUTE 세션에 있어서는, 이들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한 파일을 지정하게 된다. LCT 필터(254)는, LCT 헤더에 포함되는 TSI와 TOI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LCT 필터(254)는 SCS(SDP 등)를 특정하는 TSI와 TOI가 지정된 경우, SCS(SDP 등)의 패킷을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한다. 또한, LCT 필터(254)는, LCT 헤더에 포함되는 TSI와 TOI에 따라 각종 파일 데이터의 패킷을, FLUTE 처리부(220)로 출력한다.
SGDU 필터 뱅크(255)에는, LLS의 패킷과 SCS의 패킷이 공급된다. SGDU 필터 뱅크(255)는, 그들 패킷에 부가된 SGDU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단, SGDU 필터 뱅크(255)에 있어서는, 필터 조건을 만족한 패킷만이 SGDU 필터 뱅크(255) 내의 버퍼 메모리에 유지되고, 이것은 CPU(도 71의 CPU(901))로부터 소프트웨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SGDU 헤더에는, 버전 정보(도 14의 fragmentVersion)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버전이 변화한 경우에만, SDP의 패킷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LS의 패킷은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 출력되고, SCS의 패킷은 FLUTE 처리부(220)로 출력된다. 단, SCS의 패킷은, FLUTE 처리부(220)를 통하지 않고 직접,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동일한 서비스 채널로 되는, SCS(SDP 등), 각종 파일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IP 필터(252)는 그들 패킷을, NTP의 패킷과 함께 서비스 패키지부(224)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 등) 등을, 서비스 채널(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경우, NTP는, 복수의 서비스 채널에서 공통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다른 패킷과 동일한 IP 어드레스로는 되지 않지만, 적어도 2개의 IP 어드레스에 따라서 패키지화되게 된다.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
도 11은,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S에는, SCT, SAT, RRT가 사용된다. SCT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초로 되고, 초기 스캔에 의해 취득되거나, 혹은 인터넷(90) 상의 전용의 서버(도시생략)로부터 취득된다. 또한, SAT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00밀리 초로 되고, 서비스의 선국 시에 취득된다.
SCT는, 트리플렛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BBP 스트림) 구성과 서비스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SCT에는, network_id 외에, transport_stream_id에 의해 식별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가 배치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 내에는, ESG_bootstrap 정보 외에, service_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루프가 배치된다. 서비스 루프 내에는 또한, 각 서비스의 IP 어드레스나 SCS_bootstrap 정보가 배치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SCT에는 물리층(Physical Layer)에 관한 정보 등도 포함되어 있으며, 선국 정보로서 이용된다.
SAT는, 온 에어 중의 서비스를 나타내고 있다. SCT와 SAT는, service_id에 의해 결부되어 있으며,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RRT는, 프로그램의 분류에 관한 지역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S에는 SDP가 사용된다. SDP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00밀리 초로 된다. SDP는, 각 서비스의 서비스 단위의 서비스 속성, 컴포넌트의 구성 정보, 컴포넌트 속성, 컴포넌트의 필터 정보, 컴포넌트의 로케이션 정보를 나타내고 있으며, 서비스마다 준비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SDP는,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으므로, 서비스의 IP 어드레스와, SCS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SDP를 전송하는 포트 번호와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를 사용함으로써 FLUTE 세션으로부터 SDP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SDP에는, 컴포넌트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들 정보에 기초하여 컴포넌트에 액세스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가 서비스 단위로 취득되게 된다.
또한, 도 11의 예에서는,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다. ESG는, Access, Service, Content, Schedule, PurchaseItem 등으로 구성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이다. 그리고, SCT의 ESG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ESG를 전송하는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를 사용함으로써 FLUTE 세션으로부터 ESG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ESG의 Access 테이블에는, SDP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SDP는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그 URL을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여 ESG의 URL 정보로부터 특정한 SDP를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LLS를 개재하지 않고, ESG와 SDP가 결부되게 되므로, 예를 들어 특정한 아키텍처에 대응한 기기에서는, LLS가 없어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LLS(SCT, SAT, RRT)와, SCS(SDP)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지만, ESG도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전송 방식을 일치시킬 수 있다.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도 12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NRT 서비스란, NRT 방송으로 전송되는 NRT 콘텐츠를, 일단 수신 장치(20)의 스토리지(221)에 축적한 후에, 재생을 행하는 서비스이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 서비스에 있어서, LLS에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SCT, SAT, RRT가 사용된다. 또한, NRT 서비스에 있어서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SCS(SDP)와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도 55 내지 도 62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NRT 서비스에 있어서, SDP에는 포트 번호나 TSI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TSI를 사용하여, FLUTE 세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FDT(File Delivery Table)를 취득하고, 그 인덱스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특정한 NRT 콘텐츠의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도 13은,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하이브리드 서비스(Hybrid Service)란, 디지털 방송의 분야에 있어서 방송을 이용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과 제휴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서비스에서는, 인터넷 배신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의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 LLS에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SCT, SAT, RRT가 사용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는, 도 11과 마찬가지로, SCS와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상세에 대해서는, 도 63 내지 도 65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는, SCS에는, SDP 외에 AIT가 사용되고, 이 AIT에 기초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취득되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에 연동하여 실행되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S로서, SDP와 AIT가 동일한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지만, 예를 들어 SDP와 AIT에 특정한 TOI를 부여하거나, 또는 SGDU 헤더의 식별 정보(도 14의 fragmentTransportID)에 의해 SDP와 AIT가 식별되도록 하면 된다.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
도 14는,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GDU(Service Guide Delivery Unit)는, 헤더 정보(Unit_Header)와 페이로드(Unit_Payload)로 구성된다. 또한, SGDU에서는 필요에 따라 확장 정보(extension_data)가 배치된다.
헤더 정보에는, fragmentTransportID와 fragmentVersion이 배치된다. fragmentTransportID는, 프래그먼트 식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fragmentTransportID에 의해, SCT나 SDP 등이 식별된다. 또한, fragmentVersion은, 프래그먼트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페이로드에는, XML 프래그먼트(XML fragment) 및 SDP 프래그먼트(SDP fragment) 중 적어도 한쪽의 실제 데이터가 배치된다. 즉, 헤더 정보의 n_o_service_guide_fragments에 의해 지정된 수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래그먼트 데이터가 페이로드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XML 프래그먼트와 SDP 프래그먼트의 양쪽의 프래그먼트가 배치되도록 하는 등,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래그먼트의 조합은 임의이다. 또한, 헤더 정보의 offset에 의해, 복수 배치된 프래그먼트 중, 임의의 프래그먼트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단, XML 프래그먼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프래그먼트의 타입을 나타내는 fragmentType가 실제 데이터와 함께 배치된다. 또한, SDP 프래그먼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프래그먼트를 식별하는 fragmentID가 실제 데이터와 함께 배치된다.
또한, 확장 정보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확장 정보의 타입을 나타내는 extension_type가 확장 데이터와 함께 배치된다. 또한, 헤더 정보에, extension_offset를 지정함으로써, 확장 정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확장 정보는, FLUTE 전송 방식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UDP 전송 방식에서 사용되게 된다.
이상, FLUTE 전송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 UDP 전송 방식>
다음으로, UDP 전송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로토콜 스택)
도 15는, UD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하위의 계층은, 물리층(Physical Layer)으로 되고, 물리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BBP 스트림을 사이에 두고 IP층으로 된다. 또한, IP층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UDP층으로 되고, 또한 그 상위 계층은, RTP, FLUTE/ALS, SCS로 된다.
즉, UDP 전송 방식에서는, SCS가 UDP층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는 점에서, SCS가 FLUTE/ALS의 상위 계층에 위치하고 있는 FLUTE 전송 방식과 상이하다. 단, SCS로서는, FLUTE 전송 방식과 마찬가지로 SDP나 AIT 등이 전송된다. SDP는, 서비스 단위의 서비스 속성, 컴포넌트의 구성 정보, 컴포넌트 속성, 컴포넌트의 필터 정보, 컴포넌트의 로케이션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AIT는,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정보이다.
FLUTE/ALS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fMP4로 되고, 또한 RTP, fMP4에 인접하는 상위 계층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자막 데이터 등으로 된다. 또한, FLUTE/ALS의 상위 계층은, NRT 콘텐츠, ESG로 되고, NRT 콘텐츠, ESG는,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LLS는, 저레이어의 시그널링 정보이며, BBP 스트림 위에서 전송된다. 예를 들어, LLS로서는, SCT나 SAT, RRT 등의 서비스 구성 정보가 전송된다.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ID 체계)
도 16은, 방송파의 신호와 UDP 전송 방식의 ID 체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6㎒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파에는, network_id가 할당되어 있다. 각 방송파에는, transport_stream_id에 의해 식별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BBP 스트림이 포함되어 있다. BBP 스트림은, BBP 헤더와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BBP 패킷에 의해 구성된다.
각 BBP 스트림에는, service_id에 의해 식별되는 복수의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다. 각 서비스는, 복수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 각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정보이다.
이와 같이, UDP 전송 방식의 ID 체계로서는, FLUTE 전송 방식과 마찬가지로, 트리플렛을 채용하여, network_id, transport_stream_id, service_id의 조합을 사용하고 있다.
(UDP 전송 방식의 방송파의 구성)
도 17은, UD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6㎒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파(도면 중의 「Network」)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BBP 스트림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각 BBP 스트림으로부터, NTP, 복수의 서비스 채널, 전자 서비스 가이드, 및 LLS를 취득할 수 있다. 단, NTP, 서비스 채널, 전자 서비스 가이드는, UDP/IP의 프로토콜을 따라서 전송되지만, LLS는, BBP 스트림 위에서 전송된다.
각 서비스 채널에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등의 컴포넌트와, SDP나 AIT 등의 SCS가 포함된다. 또한, 각 서비스 채널에는, 공통의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채널마다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 등을 패키지화할 수 있다.
(LLS의 구성)
도 18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LL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BBP 패킷은, BBP 헤더와 페이로드로 구성된다. BBP 스트림에 의해 IP 패킷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페이로드의 부분이 IP 패킷으로 된다.
또한, BBP 스트림에 의해 LLS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BBP 헤더의 다음에 LLS가 배치된다. LLS로서는, SCT나 SAT 등이 배치되지만, 그 데이터의 일부의 XML 프래그먼트를 LLS 본체로서 SGDU 헤더가 부가된다. 이에 의해, SCT나 SAT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UDP 전송 방식과 FLUTE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LLS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마찬가지로 된다.
(SCS의 구성)
도 19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CS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동기형 스트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RTP 세션이 이용되기 때문에, BBP, IP, UDP, RTP의 각 헤더가 페이로드에 부가된다. 또한, fMP4나 ESG, NRT 콘텐츠 등의 파일 데이터를, 비동기형 파일 형식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FLUTE 세션이 이용되기 때문에, BBP, IP, UDP, LCT의 각 헤더가 페이로드에 부가된다. 또한, NTP는, UDP층의 상위 계층으로 되기 때문에, BBP, IP, UDP의 각 헤더의 다음에 배치된다.
SCS는, UDP 전송 방식에서는 FLUTE 세션에 의해서 전송되지는 않기 때문에, LCT 헤더는 부가되지 않고, BBP, IP, UDP의 각 헤더의 다음에 배치된다. SCS로서는, 예를 들어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되는 SDP 등이 배치되지만, 그 데이터의 일부의 SDP 프래그먼트를 SCS 본체로서, SGDU 헤더가 부가된다. 이에 의해, SDP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게 된다. 또한, SGDU에서는 확장 정보를 배치할 수 있지만, 이 확장 정보(SGDU Extension)로서, SDP의 URL 정보(도 24의 url_text)를 배치한다. 이 URL 정보를 배치해 둠으로써, ESG의 Access 테이블에는, SDP의 URL 정보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Access 테이블로부터 특정한 SDP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서비스 채널의 개념)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는, FLUTE 전송 방식과 마찬가지로, 각 서비스 채널에는, 공통의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며, 이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채널마다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 등을 패키지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로 되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 제어 신호 등의 서비스의 구성 요소의 신호를 패키지화함으로써, 서비스 채널(서비스) 단위로 데이터를 취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서비스 채널에 대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운용 형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방송 시스템의 구성예)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는, FLUTE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 송수신을 행하는 방송 시스템(1)(도 7)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 송신 장치(10)는, 도 8의 구성을 채용하고, 수신 장치(20)는, 도 9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전술한 FLUTE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의 설명의 반복이 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FLUTE 전송 방식과 UDP 전송 방식은, SCS의 전송 방식이 상이하기 때문에, 그 상세에 대해서는,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필터링 처리의 상세)
우선, 도 20을 참조하여,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Demux(213)(도 9)에 의한 각 패킷의 필터링 처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Demux(213)에는, 각종 헤더 정보와, 페이로드로서, LLS, NTP, SCS, 각종 파일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각 패킷이 입력된다.
BBP 필터(251)는, BBP 헤더에 포함되는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LLS의 패킷을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된다.
IP 필터(252)는, IP 헤더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또한, UDP 필터(253)는, UDP 헤더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IP 필터(252)와 UDP 필터(253)에 의해,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LCT 헤더가 부가되지 않은 NTP의 패킷은, 클럭 발생기(214)로 출력된다. 또한, LCT 헤더가 부가되지 않은 SCS의 패킷은, SGDU 필터 뱅크(255)에 공급된다. 또한, RTP 헤더가 부가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은,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로 각각 출력된다.
LCT 필터(254)는, LCT 헤더에 포함되는 TSI와 TOI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각종 파일 데이터의 패킷을, FLUTE 처리부(220)에 공급한다. SGDU 필터 뱅크(255)에는, LLS의 패킷과 SCS의 패킷이 공급된다. SGDU 필터 뱅크(255)는, 그들의 패킷에 부가된 SGDU 헤더에 기초하여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어, SGDU 헤더에는, 버전 정보(도 24의 fragmentVersion)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버전이 변화한 경우에만, SDP의 패킷을 안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LLS의 패킷과 SCS의 패킷은,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 출력된다.
또한, 동일한 서비스 채널로 되는, SCS(SDP), 각종 파일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으므로, IP 필터(252)는, 그들의 패킷을, NTP의 패킷과 함께, 서비스 패키지부(224)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 등을, 서비스 채널(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의 경우, NTP는, 복수의 서비스 채널에서 공통의 것으로 되기 때문에, 다른 패킷과 동일한 IP 어드레스로는 되지 않지만, 적어도 2개의 IP 어드레스에 따라서 패키지화되게 된다.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
도 21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S에는, SCT, SAT, RRT가 사용된다. SCT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초로 되고, 초기 스캔 시 등에 취득된다. 또한, SAT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00밀리 초로 되고, 서비스의 선국 시에 취득된다.
SCT에는, network_id 외에, transport_stream_id에 의해 식별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가 배치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루프 내에는 또한, ESG_bootstrap 정보 외에, service_id에 의해 식별되는 서비스 루프가 배치된다. 서비스 루프 내에는 또한, 각 서비스의 IP 어드레스나 SCS_bootstrap 정보가 배치된다. 또한, SCT와 SAT는, service_id에 의해 결부되어 있어,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S에는, SDP가 사용된다. SDP는, 예를 들어 전송 주기가 100밀리 초로 된다. 도 21의 예에서는, SDP는,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으므로, 서비스의 IP 어드레스와, SCS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SDP를 전송하는 포트 번호를 사용함으로써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SDP에는, 컴포넌트를 취득하기 위한 정보가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들 정보에 기초하여 컴포넌트에 액세스함으로써, 예를 들어 비디오 데이터나 오디오 데이터가 서비스 단위로 취득되게 된다.
또한, 도 21의 예에서는,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다. SCT의 ESG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ESG를 전송하는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를 사용함으로써 FLUTE 세션으로부터 ESG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ESG의 Access 테이블에는, SDP의 URL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SDP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지만, SGDU의 확장 정보로서 SDP의 URL 정보(도 24의 url_text)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SDP와 그 URL 정보를 먼저 취득해서 유지해 둠으로써, ESG의 Access 테이블로부터 특정한 SDP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UDP 전송 방식에서는, SDP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하고 있지 않지만, ESG의 Access 테이블로부터 특정한 SDP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LLS를 개재하지 않고, ESG와 SDP가 결부되게 되므로, 예를 들어 특정한 아키텍처에 대응한 기기에서는, LLS가 없어도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LLS(SCT, SAT, RRT)와, SCS(SDP)는,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지만, ESG도 SGDU 컨테이너에 의해 전송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전송 방식을 일치시킬 수 있다.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도 22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 서비스에 있어서, LLS에는, 도 21과 마찬가지로, SCT, SAT, RRT가 사용된다. 또한, NRT 서비스에 있어서는, 도 21과 마찬가지로,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단, SCS(SDP)는, UDP 전송 방식에서는 FLUTE 세션에 의해서 전송되지는 않기 때문에,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세에 대해서는, 도 55 내지 도 62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NRT 서비스에 있어서, SDP에는 포트 번호나 TSI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TSI를 사용하여 FLUTE 세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FDT(File Delivery Table)를 취득하고, 그 인덱스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특정한 NRT 콘텐츠의 파일을 취득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
도 23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 계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 LLS에는, 도 21과 마찬가지로, SCT, SAT, RRT가 사용된다. 또한,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는, 도 21과 마찬가지로, ESG가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된다. 단, SCS(SDP)는, UDP 전송 방식에서는 FLUTE 세션에 의해서 전송되지는 않기 때문에,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하여,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를 취득하게 된다. 그리고, 상세에 대해서는, 도 63 내지 도 65를 참조하여 후술하지만,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는, SCS에는, SDP 외에 AIT가 사용되고, 이 AIT에 기초하여, FLUTE 세션에서 전송되는 애플리케이션, 혹은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의해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이 취득되어, 텔레비전 프로그램 등에 연동하여 실행되게 된다.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
도 24는,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GDU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SGDU(Service Guide Delivery Unit)는, 헤더 정보(Unit_Header)와 페이로드(Unit_Payload)로 구성된다. 또한, SGDU에서는 필요에 따라 확장 정보(extension_data)가 배치된다.
헤더 정보에는, fragmentTransportID와 fragmentVersion이 배치된다. fragmentTransportID는 프래그먼트 식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fragmentTransportID에 의해, SCT나 SDP 등이 식별된다. 또한, fragmentVersion은, 프래그먼트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페이로드에는, XML 프래그먼트(XML fragment) 및 SDP 프래그먼트(SDP fragment) 중 적어도 한쪽의 실제 데이터가 배치된다. 즉, 헤더 정보의 n_o_service_guide_fragments에 의해 지정된 수에 따른 하나 또는 복수의 프래그먼트 데이터가 페이로드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에서는, 예를 들어 XML 프래그먼트와 SDP 프래그먼트의 양쪽의 프래그먼트가 배치되도록 하는 등, 페이로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프래그먼트의 조합은 임의이다. 또한, 헤더 정보의 offset에 의해, 복수 배치된 프래그먼트 중, 임의의 프래그먼트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단, XML 프래그먼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프래그먼트의 타입을 나타내는 fragmentType가 실제 데이터와 함께 배치된다. 또한, SDP 프래그먼트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그 프래그먼트를 식별하는 fragmentID가 실제 데이터와 함께 배치된다.
또한, UDP 전송 방식에서는, FLUTE 전송 방식과 달리 확장 정보(extension_data)가 배치된다. 이 확장 정보로서는, 확장 정보의 타입을 나타내는 extension_type와 함께, SDP의 URL 정보가 url_text에 배치된다. 또한, url_length는 URL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헤더 정보에, extension_offset를 지정함으로써, 확장 정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 UDP 전송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 시그널링 정보>
다음으로, 본 기술을 적용한 IP 전송 방식의 디지털 방송으로 전송되는 시그널링 정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FLUTE 전송 방식과 UDP 전송 방식은, SCS의 전송 방식은 상이하지만, 전송되는 시그널링 정보 자체는 전혀 바뀌는 것이 아니다.
<(1) LLS(SCT, SAT, RRT)의 상세 구조>
(SCT의 데이터 구조)
도 25는, SC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5에 있어서, 요소와 속성 중, 속성에는 「@」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인덴트된 요소와 속성은, 그 상위의 요소에 대하여 지정된 것으로 된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t 요소는, network_id 속성, name 속성, 및 BBP_stream 요소를 포함한다. network_id 속성에는, 물리 채널 단위의 방송국 식별자가 지정된다. name 속성에는, 물리 채널 단위의 방송국 명칭이 지정된다.
BBP_stream 요소는, sct 요소의 자(子) 요소이며, BBP 스트림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BBP_stream 요소는, transport_stream_id 속성, payload_type 속성, name 속성, ESG_bootstrap 요소, 및 service 요소를 포함한다.
transport_stream_id 속성은, BBP 스트림의 식별자가 지정된다. BBP 스트림을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transport_stream_id 속성에 의해 식별한다. payload_type 속성에는, BBP 스트림의 페이로드 타입이 지정된다. 이 페이로드 타입으로서는, 예를 들어 IPv4, IPv6, 또는 MPEG2-TS 등이 지정된다. name 속성에는, BBP 스트림의 명칭이 지정된다.
ESG_bootstrap 요소는, BBP_stream 요소의 자 요소로서, ESG로의 액세스 정보가 지정된다. ESG_bootstrap 요소는, source_IP_address 속성, destination_IP_address 속성, UDP_port_num 속성, 및 TSI 속성을 포함한다.
source_IP_address 속성과 destination_IP_address 속성에는, ESG를 전송하는 송신원(source)과 수신처(destination)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UDP_port_num 속성은, ESG를 전송하는 포트 번호가 지정된다. TSI 속성에는, ESG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에 있어서의 TSI가 지정된다.
service 요소는, BBP_stream 요소의 자 요소로서, 서비스에 관한 정보가 지정된다. service 요소는, service_id 속성, service_type 속성, 및 SCS_bootstrap 요소를 포함한다.
service_id 속성은, 서비스의 식별자가 지정된다. 서비스를 복수 배치하는 경우에는, service_id 속성에 의해 식별한다. service_type 속성에는, 서비스의 타입 정보가 지정된다. 이 타입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TV, Audio, Data, NRT, ESG 등이 지정된다.
SCS_bootstrap 요소는, service 요소의 자 요소로서, 서비스 채널로의 액세스 정보가 지정된다. SCS_bootstrap 요소는, source_IP_address 속성, destination_IP_address 속성, port_num 속성, 및 TSI 속성을 포함한다.
source_IP_address 속성과 destination_IP_address 속성에는, 서비스를 전송하는 송신원(source)과 수신처(destination)의 IP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port_num 속성에는, SCS를 전송하는 포트 번호가 지정된다. TSI 속성에는, SCS를 전송하는 FLUTE 세션에 있어서의 TSI가 지정된다.
또한, 도 25를 참조하여 설명한 SCT의 데이터 구조는 일례로서, 다른 데이터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SCT는, 예를 들어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된다. 도 26 및 도 27에는, SCT의 기술예가 도시되어 있다.
(SAT의 데이터 구조)
도 28은, SA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8에 있어서, 요소와 속성 중, 속성에는 「@」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인덴트된 요소와 속성은, 그 상위의 요소에 대하여 지정된 것으로 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sat 요소는, service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service 요소는, service_id 속성을 포함한다. service_id 속성에는, 온 에어 중의 서비스의 식별자가 지정된다. 온 에어 중의 서비스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들 서비스에 대응한 service_id가 복수 배치된다.
또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SAT의 데이터 구조는 일례로서, 다른 데이터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SAT는, 예를 들어 XML 등의 마크업 언어에 의해 기술된다. 도 29에는, SAT의 기술예가 도시되어 있다.
(RRT의 데이터 구조)
도 30은, RRT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0에 있어서, 요소와 속성 중, 속성에는 「@」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인덴트된 요소와 속성은, 그 상위의 요소에 대하여 지정된 것으로 된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rrt 요소는, rating_region 속성, name 속성, 및 dimension 요소를 포함한다. rating_region 속성에는, 레이팅 리전이 지정된다. name 속성에는, 레이팅 리전의 명칭이 지정된다.
dimension 요소는, rrt 요소의 자 요소로서, name 속성, graduated_scale 속성, 및 rating_value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rating_value 요소는, abbrev_rating_value 속성, 및 rating_value를 포함한다. 이들 요소나 속성에 의해, 프로그램의 분류에 관한 지역 정보가 나타난다.
또한,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RRT의 데이터 구조는 일례로서, 다른 데이터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2) SCS(SDP)의 상세 구조>
(SDP의 개요)
우선, 도 31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SDP의 개요를 설명한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SDP는 텍스트 형식으로 기술된다. 또한, SDP 기술 문서는, 세션 기술부(Session Description)와, 미디어 기술부(Media Description)의 2개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미디어 기술부는, RTP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 등, 복수의 미디어 정보를 기술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2에는, 세션 기술부와 미디어 기술부의 데이터 구조가 정의되어 있다. 또한, 도 33에는, 미디어의 속성 종별이 정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origin(o), connection data(c), media announcements(m)을 대표하여 설명하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origin(o)은 유저명(username), 세션 ID(sess-id), 세션 버전(sess-version), 네트워크 타입(nettype), 어드레스 타입(addrtype), unicast address(unicast-address) 등의 정보가 지정된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onnection data(c)는, 네트워크 타입(nettype), 어드레스 타입(addrtype), 커넥션 어드레스(connection-address) 등의 정보가 지정된다. 또한, media announcements(m)에는, 미디어 종별(media), 포트 번호(port), 프로토콜(proto), 포맷(fmt) 등의 정보가 지정된다.
즉, 도 31의 SDP 기술 문서에서는, 세션 기술부에 있어서, 프로토콜의 버전으로서 "0"이 지정되고, origin(o)으로서 "ricky 28908764872 28908764872 IN IP4 host.example.com"이 지정되고, connection data(c)로서 "IN IP 4192.0.2.4"가 지정되고, timing(t)로서 "0 0"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도 31의 SDP 기술 문서에서는, 첫 번째의 미디어 기술부에 있어서, media announcements(m)로서, "audio 49170 RTP/AVP 0 3 18"이 지정되어 있다. 또한, "a="로 시작되는 행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응하는 미디어의 속성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a=rtpmap"의 각 행의 부호화 종별이, "m=audio"의 행의 페이로드 타입과 매핑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1의 SDP 기술 문서에서는, 두 번째 미디어 기술부에 있어서도, "a=rtpmap"에 의해, 페이로드와 부호화 종별이 매핑되어 있다.
(SDP 기술예)
다음으로, 도 36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SDP 기술예를 설명한다.
도 36은, RTP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각각, 하나의 스트림으로 구성되는 서비스의 경우 SDP의 기술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36의 기술예에서는, "m=video"의 행에 의해, RTP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비디오 데이터의 포트 번호가, 800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행의 "a=rtpmap"에 의해, 페이로드 타입과 부호화 종별이 매핑되어 있고, 비디오 데이터는, H.264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게 된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에 있어서, RTP 타임 스탬프의 타임 스케일은 90000으로 된다.
또한, 도 36의 기술예에서는, "m=audio"의 행에 의해, RTP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포트 번호가, 7000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그 다음 행의 "a=rtpmap"에 의해, 페이로드 타입과 부호화 종별이 매핑되어 있고, 오디오 데이터는, AAC-LD(Advanced Audio Codec Low Delay)에 의해 부호화되어 있게 된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에 있어서, RTP 타임 스탬프의 타임 스케일은, 1600으로 된다.
또한, 도 37에는, RTP 세션에 있어서의 SDP의 다른 기술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8에는, FLUTE 세션에 있어서의 SDP의 기술예가 도시되어 있다.
<3. 구체적인 운용예>
다음으로, 본 기술을 적용한 수신 장치의 구체적인 운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 운용예에 있어서는, IP 전송 방식으로서, FLUTE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UDP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그 설명은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행하기로 한다.
(1) 기본 동작
(1-1) 스캔
(1-2) 채널 선국
(1-3) 녹화
(2) NRT 서비스 대응
(2-1) NRT-ESG 취득
(2-2) NRT 콘텐츠 취득·재생
(2-3) NRT 콘텐츠 취득·표시
(3) 하이브리드 서비스 대응
(3-1)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4) UDP 전송 방식
<(1) 기본 동작>
우선, 도 39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수신 장치(20)의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FLUTE 전송 방식의 기본 동작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1-1) 스캔
(1-11) 초기 스캔
도 39 내지 도 41을 참조하여, 수신 가능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해서, 수신 장치(20)을 최초에 기동하는 경우 등에 실행되는 초기 스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9는, 초기 스캔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의 조작 등에 의해 초기 스캔의 개시 지시를 검출한 경우(S101),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CT가 취득되고(S102), 선국 정보로서 NVRAM(223)에 기록된다(S103). 이와 같은 스캔 처리가 방송 네트워크(Network)마다 반복되고, NVRAM(223)에는, 모든 국(局)만큼의 선국 정보(SCTs)가 기록된다(S104, S105). 즉, 각 SCT는, 특정한 방송 네트워크 전체의 정보를 전송하고 있으므로, 방송 네트워크마다, 디폴트의 BBP 스트림(BS)으로부터 얻어지는 LLS(SCT)만을 취득하면 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SCT는, 방송 네트워크 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BBP 스트림)의 구성과 서비스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들의 구성은 트리플렛을 사용해서 식별된다. 또한, SCT는, 각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IP 어드레스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서비스마다의 IP 어드레스를 공통으로 한 경우, 선국 정보로서 취득되는 SCT에서는, 각 service_id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가 지정되게 된다. 또한, 도 40의 예에서는 모두를 기술하지 않았지만, SCT에는, 물리층(Physical Layer)에 관한 정보나 ESG_bootstrap 정보, 서비스 단위의 SCS_bootstrap 정보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초기 스캔 처리에 의해, 방송 네트워크 단위로 SCT를 취득함으로써, 모든 국만큼의 선국 정보가 취득되어, NVRAM(223)에 기록된다.
도 41은 초기 스캔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스캔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튜너(212)에 의해 1번째 채널의 방송 신호가 추출되어 복조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가 BBP 필터(251)에 공급된다(S121).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는,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튜너(212)로부터의 데이터로부터 SCT를 추출하고, 선국 정보로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에 공급한다(S121).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선국 정보(SCT)를 NVRAM(223)에 기록한다(S122).
이와 같이 하여, 1번째 방송 네트워크의 SCT(선국 정보)가 NVRAM(223)에 기록되지만, 마찬가지로, 도 41의 S121 내지 S122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2번째 내지 N번째(N은 1 이상의 정수)의 방송 네트워크로부터 얻어지는 선국 정보가 NVRAM(223)에 순차 기록되고, 수신 가능한 모든 국만큼의 선국 정보(SCTs)가 유지되게 된다.
또한, 도 41에 있어서, TCP 필터(256)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용 필터이다. 또한, CAS/DRM(261)은, 콘텐츠의 저작권에 관한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1-12) ESG 취득
도 42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를 취득하기 위해서,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 시 등에 실행되는 ESG 취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2는, ESG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매일 정각 등의 ESG 취득 시각을 경과했을 때,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SCT)가 판독된다(S141). 선국 정보에는, ESG_bootstrap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ESG_bootstrap 정보에 따라 FLUTE 세션 중, ESG 세션에 액세스함으로써 ESG 정보가 취득되어,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S142, S143). 이와 같은 ESG 취득 처리가 방송 네트워크(Network)마다 반복되고, 스토리지(221)에는, 모든 국만큼의 ESG 정보가 기록된다(S144, S145). 즉, 각 ESG는, 특정한 방송 네트워크 전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방송 네트워크마다 디폴트의 BBP 스트림(BS)으로부터 얻어지는 ESG만을 취득하면 되게 된다.
그런데, FLUTE 세션에서는, TSI(Transport Session Identifier)와 TOI(Transport Object Identifier)의 2개의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한 파일을 지정한다. 여기서, ESG_bootstrap 정보에는, TSI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TSI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FDT를 취득할 수 있다. 즉, FDT(File Delivery Table)는 TOI=0의 파일로서 TSI마다 송신되는 것이며, FDT에는, TSI마다의 인덱스 정보가 기술된다. 따라서,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FDT의 인덱스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ESG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로부터, Service, Schedule, Content, Access 등으로 구성되는 ESG 정보를 생성하여 스토리지(221)에 기록할 수 있다.
도 44는, 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SCT)를 판독하여, ESG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TSI 등을, ESG 세션 정보로서 취득한다(S161). FLUTE 처리부(220)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ESG 세션 정보에 따라서 FDT를 취득하고, 그 인덱스 정보를 참조하여 ESG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을 취득한다(S162). FLUTE 처리부(220)는 ESG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로부터 ESG 정보를 생성하여(S163),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164).
이와 같이 하여, 1번째 방송 네트워크의 ESG 정보가 스토리지(221)에 기록되지만, 마찬가지로, 도 44의 S161 내지 S164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NVRAM(223)에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SCT)에 의해 지정 가능한 모든 국만큼의 ESG 정보가 유지되게 된다.
(1-2) 채널 선국
(1-21) 다이렉트 선국
도 45 내지 도 47을 참조하여, 시청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직접 특정한 채널(서비스)을 선국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다이렉트 선국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한 선국 조작을 검출한 경우, NVRAM(223)에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SCT)가 판독된다(S201). 또한, 수신 장치(20)에서는,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된다(S202). 그리고,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203). 수신 장치(20)에서는,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에 포함되는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에 따른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특정한 서비스의 SDP에 액세스 함으로써, SDP가 취득된다(S204).
SDP는, 각 컴포넌트의 포트 번호나 TSI 등, 컴포넌트의 속성이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SDP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나 TSI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NTP용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에서 공통이 되는 시각 정보(NTP)를 취득할 수 있다. 도 45의 예에서는, RTP 세션으로부터 컴포넌트로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된다(S205, S206).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NTP에 기초한 클럭 신호에 따라 복호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 등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특정한 서비스의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그리고, SDP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취득되게 된다.
도 47은,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SCT)를 판독한다(S221).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여,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22).
그리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223).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도 47의 예에서는, RTP 세션에 의해 컴포넌트가 전송되고 있으므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S224).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의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S225).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S226). 또한,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S226). 이에 의해, 시청자에 의해 직접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1-22) ESG 선국
도 48 내지 도 50을 참조하여, 시청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특정한 서비스를 선국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ESG 선국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8은, ESG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한 ESG의 표시 조작을 검출한 경우, 스토리지(221)로부터 ESG 정보가 판독되고(S241), 디스플레이에 ESG 정보가 표시된다(S242). 이에 의해, 시청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시청하고 싶은 특정한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 수신 장치(20)는, 시청자에 의한 특정한 서비스의 선택 조작을 검출한 경우(S243),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를 판독하고, 선국 처리를 행한다(S244).
또한, 전술한 다이렉트 선국 처리와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된다(S245). 그리고,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에 의해, 선국된 서비스의 service_id로부터, SCS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가 특정되므로, 그들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S246).
SDP는, 각 컴포넌트의 포트 번호나 TSI등, 컴포넌트의 속성이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SDP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나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NTP용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되는 시각 정보(NTP) 등을 취득할 수 있다. 도 48의 예에서는, RTP 세션으로부터 컴포넌트로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된다(S248).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NTP에 기초한 클럭 신호에 따라 복호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G 정보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특정한 서비스의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특정한 서비스의 SDP가 취득된다. 그리고, SDP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정보를 이용하여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가 취득되게 된다.
도 50은, ESG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G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스토리지(221)로부터 ESG 정보가 판독되고,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S261).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ESG 정보에 대한, 시청자에 의한 특정한 서비스의 선택 조작을 검출한 경우, NVRAM(223)에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SCT)를 판독한다(S262).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고, 시청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263).
그리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264).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도 50의 예에서는, RTP 세션에 의해 컴포넌트가 전송되고 있으므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S265).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의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S266).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S267). 또한,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S267). 이에 의해, 시청자가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1-3) 녹화
(1-31) ESG 녹화 예약·실행
도 51 내지 도 53을 참조하여, 시청자가 리모트 컨트롤러 등에 의해, ESG(전자 서비스 가이드)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을 행한 경우에 실행되는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1은,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한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표시 조작을 검출한 경우, 스토리지(221)로부터 ESG 정보가 판독되고(S301), 디스플레이에,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서비스 리스트(ESG 정보)가 표시된다(S302). 이에 의해, 시청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녹화 예약을 행하고 싶은 특정한 서비스를 선택하게 된다. 수신 장치(20)는, 시청자에 의한 특정한 서비스의 선택 조작을 검출한 경우, 그 선택 조작에 따른 녹화 예약 정보를,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303, S304).
그 후,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의 개시 시각 직전에, 녹화 개시 트리거가 통지된다(S305). 수신 장치(20)는, 그 녹화 개시 트리거에 따라 스토리지(221)와 NVRAM(223)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를 판독하고, 선국 처리를 행한다(S306, S307).
또한, 전술한 다이렉트 선국 처리 등과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된다(S308). 그리고, 시청자에 의해 녹화 예약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에 의해, 선국된 서비스의 service_id로부터, SCS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가 특정되므로, 그들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S309).
SDP는, 각 컴포넌트의 포트 번호나 TSI 등, 컴포넌트의 속성이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SDP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나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S310, S311). 또한, NTP용의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되는 시각 정보(NTP)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SDP), 시각 정보(NTP) 등의 정보는,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된 후,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녹화 정보로서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S312, S313). 단, 프로그램 녹화 정보는, 그대로 스토리지(221)에 기록해도 되고, 파일화하고 나서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G 정보로부터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되면, 그 서비스에 대응하는 트리플렛(triplet), 녹화 프로그램의 타이틀(title), 녹화 개시 시각(start time)이나 녹화 종료 시각(end time) 등이, 녹화 예약 정보로서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 그리고, 녹화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SCT)가 취득되고,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특정한 서비스의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또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RTP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로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된다. 또한, 선국 정보로부터 NTP용 IP 어드레스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그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NTP가 취득된다. 이와 같이 하여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취득되는,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나, 제어 신호(SCS(SDP)) 등은,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되어,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한 프로그램 녹화 정보로서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
도 53은, ESG 녹화 예약·실행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ESG 녹화 예약·실행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스토리지(221)로부터 ESG 정보가 판독되고, 전자 서비스 가이드의 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S321). 수신 장치(20)는 시청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그 선택 조작에 따른 녹화 예약 정보를,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322).
그 후, 녹화 개시 트리거가 통지된 경우,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스토리지(221)와 NVRAM(223)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를 판독한다(S323, S324). 이에 의해,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특정한 서비스의 녹화 예약 정보 및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여,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325).
그리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326).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IP 필터(252)에 의한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SDP))가 추출되고, 서비스 패키지부(224)에 공급된다. 그리고,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IP 필터(252)로부터의 컴포넌트, 시각 정보 및 제어 신호를,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하여,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한 프로그램 녹화 정보로서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327).
이와 같이,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에 의해, 시청자에 의해 녹화 예약된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나 제어 신호 등의 정보를,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하고,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할 수 있다.
(1-32) 녹화 프로그램 재생
다음으로, 전술한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에 의해, 스토리지(221)에 기록된 프로그램 녹화 정보의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녹화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4는, 녹화 프로그램 재생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녹화 프로그램 재생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스토리지(221)로부터 ESG 정보가 판독되고, 녹화가 완료된 프로그램 녹화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리스트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S341). 시청자에 의해,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스토리지(221)로부터, 그 선택 조작에 따른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한 프로그램 녹화 정보를 판독한다(S342, S343).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스토리지(221)로부터 판독된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녹화 정보를 디패키징하여,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되어 있는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SDP))를 취득한다(S343). 이들 정보는, IP 필터(252)에 공급된다.
도 54의 예에서는, RTP 세션에 의해 컴포넌트가 전송되고 있었으므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S343).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의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S344).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S345). 또한,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S345).
이에 의해, 시청자가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선택한 특정한 서비스로서, 그 서비스에 대응한 프로그램 녹화 정보에 기초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녹화 프로그램 재생 처리에 의해,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에 의해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된 컴포넌트나 제어 정보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서비스를 재생할 수 있다.
<(2) NRT 서비스 대응>
다음으로, 도 55 내지 도 62를 참조하여, NRT 서비스에 대응한 수신 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FLUTE 전송 방식의 NRT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2-1) NRT-ESG 취득
도 55 및 도 56을 참조하여, NRT 정보를 포함하는 ESG 정보(이하, 「NRT-ESG 정보」라고 기술함)를 취득하기 위해서, 수신 장치(20)의 전원 오프 시 등에 실행되는 NRT-ESG 취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NRT-ESG 취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매일 정각 등의 ESG 취득 시각을 경과했을 때,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SCT)가 판독된다(S401). 선국 정보에는, ESG_bootstrap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ESG_bootstrap 정보에 따라 FLUTE 세션 중, ESG 세션에 액세스함으로써, NRT-ESG 정보가 취득되고,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S402, S403). 이와 같은 NRT-ESG 취득 처리가 방송 네트워크(Network)마다 반복되고, 스토리지(221)에는, 모든 국만큼의 NRT-ESG 정보가 기록되게 된다(S404, S405). 즉, 각 NRT-ESG는, 특정한 방송 네트워크 전체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방송 네트워크마다 디폴트의 BBP 스트림(BS)으로부터 얻어지는 NRT-ESG만을 취득하면 되게 된다.
도 56은, NRT-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ESG 취득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를 판독하여, ESG_bootstrap 정보에 포함되는 TSI를, ESG 세션 정보로서 취득한다(S421). FLUTE 처리부(220)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ESG 세션 정보에 따라 FDT를 취득하고, 그 인덱스 정보를 참조하여 ESG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을 취득한다(S422). FLUTE 처리부(220)는, ESG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파일로부터 NRT-ESG 정보를 생성하여,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423, S424).
이와 같이 하여, 1번째 방송 네트워크의 NRT-ESG 정보가 스토리지(221)에 기록되지만, 마찬가지로 도 56의 S421 내지 S424의 처리가 반복됨으로써, NVRAM(223)에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에 의해 지정 가능한 모든 국만큼의 NRT-ESG 정보가 유지되게 된다.
(2-2) NRT 콘텐츠 취득·재생
도 57 내지 도 59를 참조하여,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NRT 서비스에는, 브라우즈·다운로드 방식, 푸시 방식, 및 포털 방식의 3종류의 방식이 존재하지만, 이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는, 브라우즈·다운로드 방식과 푸시 방식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우즈·다운로드 방식(Browse and Download)은,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수신 예약을 행하고, 예약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수신·축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푸시 방식(Push)은, 푸시 서비스 리스트를 표시하여 서비스의 등록을 행하고, 등록이 완료된 서비스의 콘텐츠 배신이 개시되었을 때 수신·축적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다. 포털 방식(Portal)은, NRT 방송의 전용 채널(서비스)을 선국하여 NRT 콘텐츠를 수신하고,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57 내지 도 59의 설명에서는, 브라우즈·다운로드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57은,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한 NRT-ESG의 표시 조작을 검출한 경우, 스토리지(221)로부터 NRT-ESG 정보가 판독되어(S441), 디스플레이에, NRT-ESG 정보가 표시된다(S442). 이에 의해, 시청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콘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수신 장치(20)는, 특정한 콘텐츠의 선택 조작을 검출한 경우, 그 선택 조작에 따른 수신 예약 정보를,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443, S444).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수신 예약이 완료된 콘텐츠의 수신 예약의 개시 시각으로 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 후,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수신 예약이 완료된 콘텐츠의 수신 예약의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스토리지(221)와 NVRAM(223)으로부터, 특정한 콘텐츠의 수신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가 판독되고,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S445, S446). 또한, 전술한 다이렉트 선국 처리 등과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S447, S448).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SDP에 포함되는 TSI 등을 사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NRT 콘텐츠를 취득하고,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SS449, S450).
구체적으로는,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ESG 정보는,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ESG_bootstrap 정보에 따라 FLUTE 세션으로부터 취득되는 것이지만(도 55, 도 56의 NRT-ESG 취득 처리), NRT-ESG 정보로부터 특정한 콘텐츠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Service, Schedule 등의 NRT-ESG 정보의 일부가, 수신 예약 정보로서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 그리고, 수신 예약의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특정한 서비스의 수신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가 취득되어,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되어,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에 포함되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그리고, SDP로부터 얻어지는 컴포넌트 정보(포트 번호, TSI)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을 특정하고, 그 FLUTE 세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FDT를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FDT에는, 인덱스 정보로서 Content_item을 포함하고 있으며, NRT-ESG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수신 예약 정보에 포함되는 Content_item과 대조함으로써,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만을 취득할 수 있다. 단, NRT 콘텐츠는, 하나 또는 복수의 파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NRT 콘텐츠는,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 또한, 예를 들어 시청자에 의해, 축적이 완료된 NRT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를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토리지(221)에 기록된 특정한 NRT 콘텐츠가 판독되어, 재생되게 된다.
도 59는, NRT 콘텐츠 취득·재생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 콘텐츠 취득·재생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스토리지(221)로부터 NRT-ESG 정보가 판독되고, 디스플레이에, NRT-ESG 정보가 표시된다(S461). 수신 장치(20)는, 시청자에 의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콘텐츠가 선택된 경우, 그 선택 조작에 따른 수신 예약 정보를, 스토리지에 기록한다(S461).
그 후, 수신 예약이 완료된 콘텐츠의 수신 예약의 개시 시각이 되었을 때,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스토리지(221)와 NVRAM(223)으로부터, 특정한 콘텐츠의 수신 예약 정보와 선국 정보를 판독한다(S462, S463). 이에 의해,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특정한 콘텐츠의 수신 예약 정보 및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64).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465).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IP 필터(252) 내지 LCT 필터(254)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지고, 또한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DT를 사용한 Content_item의 대조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이 취득되고, 스토리지(221)에 기록(축적)된다(S466).
또한, 시청자에 의해, 축적이 완료된 NRT 콘텐츠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를 선택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토리지(221)에 기록된 특정한 NRT 콘텐츠의 데이터가 판독된다.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215) 및 오디오 디코더(217)에 의해 복호되고, NRT 콘텐츠가 재생되게 된다(S467).
또한, 도 57 내지 도 59의 설명에서는, 브라우즈·다운로드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는, 푸시 방식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특정한 NRT 콘텐츠의 수신 예약 정보를 등록하는 것이 아니고, 등록된 서비스의 수신 예약의 리스트를 작성해 둠으로써, 도 57 내지 도 59의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와 마찬가지로, 등록이 완료된 서비스의 NRT 콘텐츠의 배신이 개시되었을 때, NRT 콘텐츠를 수신하여 축적할 수 있다.
(2-3) NRT 콘텐츠 취득·표시
도 60 내지 도 62를 참조하여, NRT 콘텐츠 취득·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이 NRT 콘텐츠 취득·표시 처리는, 포털 방식에만 적용할 수 있다.
도 60은, NRT 콘텐츠 취득·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시청자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포털용 서비스(예를 들어 일기 예보나 최신 뉴스 등)가 선택된 경우,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가 판독되어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S481). 또한, 전술한 다이렉트 선국 처리 등과 마찬가지로, 수신 장치(20)에서는,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S482, S483). 그리고, 수신 장치(20)는, SDP에 포함되는 TSI 등을 사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NRT 콘텐츠를 취득하고, 브라우저(226)에 의해 표시한다(S484, S485).
구체적으로는,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를 사용하여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에 포함되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그리고, SDP로부터 얻어지는 컴포넌트 정보(포트 번호, TSI)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이 취득되고, 브라우저(226)에 표시된다. 이 경우의 NRT 콘텐츠는, 일기 예보나 최신 뉴스 등에 관한 정보를 기술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로서, 예를 들어 index.html의 파일을 최초로 취득하여 브라우저(226)에 공급함으로써, 화상 파일 등이 관련된 다른 파일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2는, NRT 콘텐츠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NRT 콘텐츠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해 포털용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를 판독한다(S491). 이에 의해,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92). 그리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493).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IP 필터(252) 내지 LCT 필터(254)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NRT 콘텐츠에 대응하는 파일이 취득되고, 브라우저(226)에 표시된다(S494).
<3. 하이브리드 서비스 대응>
끝으로, 도 63 내지 도 65를 참조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대응한 수신 장치(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FLUTE 전송 방식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3-1)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도 63은,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시청자에 의한 리모트 컨트롤러의 조작에 의해, 특정한 서비스가 선국된 경우,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SCT)가 판독되어, 선국 처리가 행해진다(S501). 또한, 수신 장치(20)에서는, SAT가 취득되고,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502).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로부터 얻어지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S503).
수신 장치(20)는 SDP를 사용하여, RTP 세션으로부터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한다. 또한, 수신 장치(20)는, NTP에 기초한 클럭 신호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한다. 이에 의해,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방송 콘텐츠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S504).
또한, 수신 장치(20)는, 선국 정보(SCT)로부터 얻어지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SC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애플리케이션 제어 정보를 취득한다(S505).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나 트리거 정보(Trigger) 등의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이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어 정보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나 취득처, 라이프 사이클을 정의하는 정의 정보 등이 기술된다. 수신 장치(20)는 애플리케이션의 취득처로서, 애플리케이션 서버(50)의 URL이 기술되어 있는 경우, 당해 URL을 따라 인터넷(90)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50)에 액세스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한다(S506).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방송 콘텐츠에 관련된 정보를 기술한 HTML 문서로 이루어지고, 브라우저(226)에 의해 표시된다(S506).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방송 콘텐츠와 함께, 그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게 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인터넷 배신에 한하지 않고, FLUTE 세션으로부터 취득되도록 해도 된다(S507).
구체적으로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를 사용하고, 선택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로부터 얻어지는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그리고, SDP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정보(포트 번호, TSI)를 이용하여 RTP 세션을 특정하고, 그 RTP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컴포넌트로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되고, NTP가 나타내는 시각 정보에 따라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가 복호를 행함으로써, 방송 콘텐츠의 영상과 음성의 동기가 취해지게 된다.
또한,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SC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AIT가 취득된다. 단, SDP와 AIT는, 동일한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게 되지만, 예를 들어 SDP와 AIT에 특정한 TOI를 부여하거나, 혹은 SGDU 헤더의 식별 정보(도 14의 fragmentTransportID)에 의해 SDP와 AIT가 식별되도록 하면 된다. AIT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App_id)나 취득처(URL) 등의 정보가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이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경우에는, SDP에 포함되는 컴포넌트 정보(포트 번호, TSI)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을 특정하고, 그 FLUTE 세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FDT를 취득할 수 있다. FDT에는, 인덱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하여, FLUTE 세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을 취득할 수 있다.
도 65는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해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를 판독한다(S521). 이에 의해,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522).
그리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SDP가 취득된다(S523).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SDP를 취득한다.
또한, 방송 콘텐츠는, RTP 세션에 의해 컴포넌트가 전송되고 있으므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S524).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의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S525).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S526). 또한,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서, UDP 필터(25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S526).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에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 등이 표시되고, 그 영상에 동기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또한, IP 필터(252) 내지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TSI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FLUTE 처리부(220)에 의해, FLUTE 세션으로부터 AIT가 취득된다(S527). 이에 의해,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FLUTE 처리부(220)로부터의 AIT를 취득한다. 그리고, 수신 장치(20)에서는, AIT에 기초하여 FLUTE 세션으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파일이 취득되고, 방송 콘텐츠에 연동하여 실행되게 된다(S528).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는 애플리케이션이 FLUTE 세션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애플리케이션이 인터넷 배신되는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 서버(50)로부터 취득되도록 된다(S529).
또한, 도 63 내지 도 65의 설명에서는, RTP 세션과 FLUTE 세션이 동일한 서비스(서비스 채널)에 의해 전송되도록 하여 설명하였지만, FLUTE 세션은, RTP 세션과 다른 서비스에 의해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그들의 서비스마다 SCS(SDP, AIT)가 전송되게 된다.
<(4) UDP 전송 방식>
전술한 운용예의 설명에서는, IP 전송 방식으로서 FLUTE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어서 UDP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FLUTE 전송 방식과 UDP 전송 방식의 차이는, SCS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하느냐, UDP에 의해 전송하느냐의 차이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상이점을 중심으로,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4-1) 채널 선국
(4-11) 다이렉트 선국
도 66 및 도 67을 참조하여 시청자가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하고, 직접 특정한 채널(서비스)을 선국하는 경우에 실행되는 다이렉트 선국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6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장치(20)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한 선국 조작을 검출한 경우, NVRAM(223)에 기록되어 있는 선국 정보(SCT)가 판독된다(S601). 또한, 수신 장치(20)에서는, LLS로서 소정의 전송 주기로 보내지는 SAT가 취득된다(S602). 그리고,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와, SAT에 포함되는 서비스의 service_id가 대조되고,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가 판정된다(S603). 수신 장치(20)에서는,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에는, 선국 정보(SCT)에 포함되는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에 따른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특정한 서비스의 SDP에 액세스함으로써, SDP가 취득된다(S604).
SDP는, 각 컴포넌트의 포트 번호나 TSI 등, 컴포넌트의 속성이나 구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SDP에 포함되는 포트 번호나 TSI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RTP 세션이나 FLUTE 세션으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NTP용 IP 어드레스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복수의 서비스에서 공통으로 되는 시각 정보(NTP)를 취득할 수 있다. 도 66의 예에서는, RTP 세션으로부터 컴포넌트로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취득된다(S605, S606). 이와 같이 하여 취득된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NTP에 기초한 클럭 신호에 따라 복호되게 된다.
도 67은,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이렉트 선국 시의 수신 장치(20)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에 기록된 선국 정보(SCT)를 판독한다(S621).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정보에 따른 선국 처리를 행한다. 또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도시생략)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하여, 시청자에 의해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622).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 경우, IP 필터(252), UDP 필터(253) 및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해, IP 어드레스, 포트 번호 등을 사용한 필터링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UDP에 의해 전송되는 SDP가 취득되고, 제어 신호 처리부(222)에 공급된다(S623). 또한, 도 67의 예에서는, RTP 세션에 의해 컴포넌트가 전송되고 있으므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여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S624).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의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와,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S625).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S626).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의 클럭 신호에 따라 UDP 필터(253)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도시를 생략한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S626). 이에 의해, 시청자에 의해 직접 선국된 특정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그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이상, UD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SCS(SDP)의 취득 방법을, 다이렉트 선국 처리를 대표해서 설명하였지만, ESG 선국 처리,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 NRT 콘텐츠 취득·재생 처리(NRT 서비스 대응), NRT 콘텐츠 취득·표시 처리(NRT 서비스 대응), 애플리케이션 취득·표시 처리(하이브리드 서비스 대응) 등 다른 처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SCS(SDP)가 취득된다. 따라서, 그 설명은 반복이 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4.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
다음으로, 도 68 내지 도 70을 참조하여, 도 7의 방송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장치로 실행되는 구체적인 처리의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신 처리)
우선, 도 6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7의 송신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711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111)는 비디오 데이터를 취득하고, 비디오 인코더(112)에 공급한다. 스텝 S712에 있어서, 비디오 인코더(112)는,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111)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스텝 S713에 있어서,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113)는, 오디오 데이터를 취득하고, 오디오 인코더(114)에 공급한다. 스텝 S714에 있어서, 오디오 인코더(114)는,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113)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스텝 S715에 있어서, 자막 데이터 취득부(115)는 자막 데이터를 취득하고, 자막 인코더(116)에 공급한다. 스텝 S716에 있어서, 자막 인코더(116)는 자막 데이터 취득부(115)로부터 공급되는 자막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스텝 S717에 있어서, 제어 신호 취득부(117)는 SCS나 LLS 등의 제어 신호를 취득하고, 제어 신호 처리부(118)에 공급한다. 스텝 S718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118)는, 제어 신호 취득부(117)로부터 공급되는 제어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처리부(118)는 FLUTE 전송 방식이 채용된 경우, 제어 신호 취득부(117)에 의해 취득된 SCS에 대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어 신호 처리부(118)는, UDP 전송 방식이 채용된 경우, 제어 신호 취득부(117)에 의해 취득된 SCS에 대하여 UDP에 의해 전송하기 위한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스텝 S719에 있어서,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는, 비동기형 파일 형식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NRT 콘텐츠나 애플리케이션 등의 파일 데이터를 취득하고, 파일 처리부(120)에 공급한다. 스텝 S720에 있어서, 파일 처리부(120)는, 파일 데이터 취득부(119)로부터 공급되는 파일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파일 처리를 실시하고, Mux(121)에 공급한다.
스텝 S721에 있어서, Mux(121)는, 비디오 인코더(112)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인코더(114)로부터의 오디오 데이터, 자막 인코더(116)로부터의 자막 데이터, 제어 신호 처리부(118)로부터의 제어 신호, 및 파일 처리부(120)로부터의 파일 데이터를 다중화해서 IP 전송 형식(FLUTE 전송 방식 또는 UDP 전송 방식)의 BBP 스트림을 생성하고, 송신부(122)에 공급한다.
스텝 S722에 있어서, 송신부(122)는, Mux(121)로부터 공급되는 BBP 스트림을 방송 신호로서, 안테나(123)를 통해 송신한다. 단, FLUTE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 SCS는,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UDP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 SCS는 UDP에 의해 전송된다. 스텝 S722의 처리가 종료되면, 송신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송신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패키지 녹화 처리)
다음으로, 도 6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7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패키지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811에 있어서는, 녹화 예약 처리가 행해진다. 이 녹화 예약 처리에서는, 도 51의 ESG 녹화 예약·실행 처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ESG 정보에 따른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된 경우, 그 서비스에 관한 녹화 예약 정보가, 스토리지(221)에 기록된다.
녹화 예약 처리가 종료되면, 처리는 스텝 S812로 진행된다. 스텝 S812에 있어서는, 녹화 개시 트리거가 통지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녹화 개시 트리거가 통지되는 것을 대기하고, 처리는 스텝 S813으로 진행된다.
스텝 S813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스토리지(221)로부터 녹화 예약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스텝 S814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NVRAM(223)으로부터 선국 정보(SCT)를 취득한다. 스텝 S815에 있어서, 튜너(212)는 제어 신호 처리부(222)로부터의 제어에 따라 선국 처리를 행한다. 이에 의해, 녹화 예약의 대상으로 되는 특정한 서비스의 방송 신호가 추출되어, 복조된다.
스텝 S816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BBP 필터(251) 및 SGDU 필터 뱅크(255)에 의한 필터링 처리에 의해 추출된 SAT를 취득한다. 스텝 S817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SAT에 기초하여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817에 있어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이후의 처리는 중지되고, 패키지 녹화 처리는 종료된다. 한편, 스텝 S817에 있어서, 특정한 서비스가 온 에어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818로 진행된다.
스텝 S818에 있어서, 제어 신호 처리부(222)는, 소정의 필터 링크 처리에 따른 SDP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FLUTE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 선국 정보(SCT)에 포함되는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에 따른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또한, UDP 전송 방식을 채용한 경우, 선국 정보(SCT)에 포함되는 특정한 서비스의 service_id에 따른 SCS_bootstrap 정보를 이용하여 UDP에 의해 전송되고 있는 SDP가 취득된다.
스텝 S819에 있어서, IP 필터(252)는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즉, 선국 정보(SCT)로부터 얻어지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함으로써, 예를 들어 RTP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서비스의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를 취득할 수 있다.
스텝 S820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IP 필터(252)에 의해 추출된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를 패키지화하기 위한 패키지 처리를 행한다.
스텝 S821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패키지 처리에 의해 얻어진 특정한 서비스의 프로그램 녹화 정보를 스토리지(221)에 기록한다. 스텝 S821의 처리가 종료되면, 패키지 녹화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패키지 녹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디패키지 재생 처리)
다음으로, 도 7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7의 수신 장치(20)에 의해 실행되는 디패키지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텝 S861에 있어서는, 시청자에 의해, ESG 정보에 따른 녹화가 완료된 서비스 리스트로부터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시청자에 의해 특정한 서비스가 선택되어, 그 서비스의 재생이 지시되는 것을 대기하고, 처리는 스텝 S862로 진행된다.
스텝 S862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스토리지(221)로부터, 특정한 서비스의 프로그램 녹화 정보를 판독한다. 스텝 S863에 있어서, 서비스 패키지부(224)는, 스텝 S862의 처리에서 판독한 프로그램 녹화 정보를 디패키징하고, 서비스 단위로 패키지화되어 있는 컴포넌트(Audio/Video), 시각 정보(NTP), 및 제어 신호(SCS)를 취득하여 IP 필터(252)에 공급한다.
스텝 S864에 있어서, IP 필터(252) 및 UDP 필터(253)는 IP 어드레스와 포트 번호를 사용한 필터링 처리를 행하고, NTP,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를, 클럭 발생기(214), 비디오 디코더(215), 오디오 디코더(217)에 각각 공급한다.
스텝 S865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214)는, UDP 필터(253)로부터 공급되는 NTP에 기초하여,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비디오 디코더(215), 및 오디오 디코더(217)에 공급한다.
스텝 S866에 있어서, 비디오 디코더(215)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UDP 필터(253)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비디오 출력부(216)에 공급한다. 스텝 S867에 있어서, 비디오 출력부(216)는, 비디오 디코더(215)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한다.
스텝 S868에 있어서, 오디오 디코더(217)는, 클럭 발생기(214)로부터 공급되는 클럭 신호에 기초하여, UDP 필터(253)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하고, 오디오 출력부(218)에 공급한다. 스텝 S869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부(218)는, 오디오 디코더(217)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는, 클럭 신호에 따라 동기하여 복호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영상에 대응하는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스텝 S869의 처리가 종료되면, 디패키지 재생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 디패키지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전술한 설명에서 사용된 각 정보의 명칭은 일례로서, 다른 명칭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BBP 스트림」은, 「BSP 스트림」이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전술한 「transport_stream_id」는, 「BSP_stream_id」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다. 「SCS」는, 「SC」라 칭해지는 경우가 있으며, 따라서, 이 경우, 「SCS_bootstrap」는, 「SC_bootstrap」라 칭해지게 된다.
<본 기술을 적용한 컴퓨터의 설명>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인스톨된다. 여기서, 컴퓨터에는, 전용의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나, 각종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각종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어 범용의 퍼스널 컴퓨터 등이 포함된다.
도 71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컴퓨터(900)에 있어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901), ROM(Read Only Memory)(902), RAM(Random Access Memory)(903)은, 버스(9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9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9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905)에는, 입력부(906), 출력부(907), 기록부(908), 통신부(909), 및 드라이브(910)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부(906)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907)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한다. 기록부(908)는, 하드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통신부(909)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다. 드라이브(910)는,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또는 반도체 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900)에서는, CPU(901)가, 예를 들어 기록부(908)에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905) 및 버스(904)를 통해 RAM(9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컴퓨터(900)(CPU(9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패키지 미디어 등으로서의 리무버블 미디어(911)에 기록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위성 방송 등의,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컴퓨터(900)에서는, 프로그램은, 리무버블 미디어(911)를 드라이브(910)에 장착함으로써, 입출력 인터페이스(905)를 통해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통신부(909)로 수신하고, 기록부(908)에 인스톨할 수 있다. 그 밖에, 프로그램은, ROM(902)이나 기록부(908)에, 미리 인스톨해 둘 수 있다.
또한, 컴퓨터(90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컴퓨터(900)에 각종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로서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적 혹은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어, 병렬 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프로그램은, 원격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중에 있는지 여부는 묻지 않는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중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전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장치로 분담, 공동하여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 의해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행하는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 있다.
(1)
IP(Internet Protocol)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FLUTE(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2)
동일한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1)에 기재된 수신 장치.
(3)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프로토콜의 계층 중, IP층보다도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수신 장치.
(4)
상기 방송파는, IP층보다도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는, 상기 (3)에 기재된 수신 장치.
(5)
상기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를 이용하여,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6)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수신 장치.
(7)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Service Guide Delivery Unit)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전송되는, 상기 (4) 또는 (6)에 기재된 수신 장치.
(8)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9)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컴포넌트 취득부와,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와,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10)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고,
제어 신호를 취득하며,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FLUTE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11)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UDP(User Datagram Protocol)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처리부
를 구비하는, 수신 장치.
(12)
동일한 서비스에 있어서의,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는, 상기 (11)에 기재된 수신 장치.
(13)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IP 전송 방식에 있어서의 프로토콜의 계층 중, IP층보다도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수신 장치.
(14)
상기 방송파는, IP층보다도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고 있는, 상기 (13)에 기재된 수신 장치.
(15)
상기 제1 제어 신호와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 컨테이너에 저장되어 전송되는, 상기 (14)에 기재된 수신 장치.
(16)
상기 제1 제어 신호의 패킷은, SGDU의 확장 정보로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제1 URL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파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제2 URL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URL 정보를 특정함으로써, UDP에 의해 전송되는 특정한 상기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수신 장치.
(17)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14)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수신 장치.
(18)
수신 장치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가,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수신하고,
상기 방송파에 포함되는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및 UDP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각 패킷에 포함되는 IP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서비스 단위로 처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9)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는 컴포넌트 취득부와,
제어 신호를 취득하는 제어 신호 취득부와,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UDP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송신부
를 구비하는, 송신 장치.
(20)
송신 장치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를 취득하고,
제어 신호를 취득하며,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컴포넌트의 패킷과, UDP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제어 신호의 패킷이 동일한 IP 어드레스를 갖도록, IP 전송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의 방송파를 송신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1: 방송 시스템
10: 송신 장치
20: 수신 장치
111: 비디오 데이터 취득부
113: 오디오 데이터 취득부
117: 제어 신호 취득부
119: 파일 데이터 취득부
121: Mux
122: 송신부
212: 튜너
213: Demux
214: 클럭 발생기
215: 비디오 디코더
216: 비디오 출력부
217: 오디오 디코더
218: 오디오 출력부
219: 자막 디코더
220: FLUTE 처리부
221: 스토리지
222: 제어 신호 처리부
223: NVRAM
224: 서비스 패키지부
225: 통신 I/F
226: 브라우저
251: BBP 필터
252: IP 필터
253: UDP 필터
254: LCT 필터
255: SGDU 필터 뱅크
900: 컴퓨터
901: CPU

Claims (20)

  1. 수신 장치로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 상기 방송 스트림은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unidirectional transport session)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함 - ; 및
    상기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처리하고,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처리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상이한 IP 어드레스와 연관되고, 상기 상이한 IP 어드레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및 각각의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의 패킷들과 IP층(IP layer)에 포함되며,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층(physical layer)과 상기 IP층 사이에는 트랜스포트층(transport layer)이 존재하지 않는, 수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IP 전송 방식에 따라 방송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IP층보다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상기 제1 계층보다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identification),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내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가 지정되는, 수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service guide delivery unit)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수신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은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세션인, 수신 장치.
  8. 수신 방법으로서,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방송 스트림은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함 - ; 및
    상기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처리하고,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상이한 IP 어드레스와 연관되고, 상기 상이한 IP 어드레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및 각각의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의 패킷들과 IP층에 포함되며,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층과 상기 IP층 사이에는 트랜스포트층이 존재하지 않는, 수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IP 전송 방식에 따라 방송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IP층보다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상기 제1 계층보다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는, 수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내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가 지정되는, 수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service guide delivery unit)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수신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은 FLUTE (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 세션인, 수신 방법.
  15.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이 수신 장치의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처리 회로로 하여금 방법을 수행하게 하며,
    상기 방법은,
    방송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방송 스트림은 복수의 서비스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 및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포함함 - ; 및
    상기 방송 스트림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중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를 처리하고, 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에 따라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으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비스 각각은 상이한 IP 어드레스와 연관되고, 상기 상이한 IP 어드레스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 및 각각의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의 패킷들과 IP층에 포함되며, 프로토콜 스택의 물리층과 상기 IP층 사이에는 트랜스포트층이 존재하지 않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IP 전송 방식에 따라 방송되고,
    상기 제1 제어 신호는, 상기 IP 전송 방식의 프로토콜 스택의 IP층보다 상위 계층인 제1 계층에서 사용되고, 특정한 서비스를 구성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은, 상기 제1 계층보다 하위의 계층인 제2 계층에서 사용되는 제2 제어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ID,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식별하는 ID, 및 서비스를 식별하는 ID를 적어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스트림 내의 전자 서비스 가이드에 포함되고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를 지정하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방향 트랜스포트 세션에 의해 전송되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가 지정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한 서비스가 방송 중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서비스의 제1 제어 신호 및 상기 제2 제어 신호는, SGDU 컨테이너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7004839A 2013-10-04 2014-09-19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2181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9056A JP2015073245A (ja) 2013-10-04 2013-10-04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JP-P-2013-209056 2013-10-04
PCT/JP2014/074782 WO2015050002A1 (ja) 2013-10-04 2014-09-19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50A Division KR102081861B1 (ko) 2013-10-04 2014-09-19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992A KR20200020992A (ko) 2020-02-26
KR102181299B1 true KR102181299B1 (ko) 2020-11-20

Family

ID=5277859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839A KR102181299B1 (ko) 2013-10-04 2014-09-19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1020167007650A KR102081861B1 (ko) 2013-10-04 2014-09-19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7650A KR102081861B1 (ko) 2013-10-04 2014-09-19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10085057B2 (ko)
EP (2) EP3054696B1 (ko)
JP (1) JP2015073245A (ko)
KR (2) KR102181299B1 (ko)
CA (1) CA2925407C (ko)
MX (2) MX364149B (ko)
WO (1) WO2015050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6213B2 (ja) * 2013-10-04 2018-05-16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6630570B2 (ja) * 2014-01-17 2020-01-15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US10743082B2 (en) 2014-04-11 2020-08-1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JP6259114B2 (ja) * 2015-01-21 2018-01-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WO2016117904A1 (ko) * 2015-01-21 2016-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7018022A1 (ja) 2015-07-24 2017-02-02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WO2018066355A1 (ja) 2016-10-04 2019-07-25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7247706B2 (ja) * 2019-03-28 2023-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ノード、放送局システム、制御ノード及び送信制御方法
JP7247707B2 (ja) * 2019-03-28 2023-03-29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ノード、放送局システム、制御ノード及び送信制御方法
JP6864055B2 (ja) * 2019-10-10 2021-04-21 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275B1 (ko) * 2005-08-17 2013-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시스템에서의 통지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00856B1 (ko) * 2006-08-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Dvb-h 시스템에서 esg 업데이트 정보 송수신 방법및 시스템
WO2008146252A2 (en) * 2007-06-01 2008-12-0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 guide information
US8087052B2 (en) * 2007-09-21 2011-12-27 Lg Electronics Inc.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US8365229B2 (en) * 2008-06-09 2013-01-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pping between signaling information and announcement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er
US8572648B2 (en) * 2008-06-18 2013-10-29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th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WO2010021525A2 (en) * 2008-08-22 2010-02-25 Lg Electronics Inc. A method for processing a web service in an nrt service and a broadcast receiver
US8774225B2 (en) * 2009-02-04 2014-07-08 Nokia Corporation Mapping service components in a broadcast environment
JP5541488B2 (ja) * 2009-02-09 2014-07-0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方法
WO2012036429A2 (ko) 2010-09-14 2012-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송 신호 송/수신 장치에서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CA2819221C (en) * 2010-11-23 2016-07-19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broadcast signal transceiving method in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es
KR101479890B1 (ko) * 2010-12-26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미디어 콘텐트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송수신 장치
US8978083B2 (en) * 2011-01-19 2015-03-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 broadcast service, method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broadcast service
JP5783402B2 (ja) 2011-01-25 2015-09-2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供給装置、供給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US20130034032A1 (en) * 2011-08-05 2013-02-07 Nokia Corporation Accessing Service Guide Information in a Broadcast System
MX338815B (es) * 2012-02-07 2016-05-03 Sony Corp Dispositivo de recepcion, metodo de recepcion, y programa.
US9843845B2 (en) * 2012-11-28 2017-12-12 Sinclair Broadcast Group, Inc. Terrestrial broadcast market exchange network platform and broadcast augmentation channels for hybrid broadcasting in the internet age
US9148676B2 (en) * 2012-12-04 2015-09-29 Sony Corporation Broadcast transition channel
WO2015050585A1 (en) * 2013-05-24 2015-04-09 Shrimp Trader,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duct management
KR102225948B1 (ko) * 2013-06-27 2021-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상파 방송망과 인터넷 프로토콜망 연동 기반의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137566B2 (en) * 2013-06-28 2015-09-15 Sony Corporation Distribution system, 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ansitioning to new services
KR101757302B1 (ko) * 2013-07-14 2017-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방송 시스템의 방송 신호를 송신/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JP6151152B2 (ja) * 2013-10-11 2017-06-21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2015104055A (ja) * 2013-11-27 2015-06-04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6630570B2 (ja) * 2014-01-17 2020-01-15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6255271B2 (ja) * 2014-02-14 2017-12-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6358460B2 (ja) * 2014-04-04 2018-07-18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US10516497B2 (en) * 2015-10-05 2019-12-24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process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3889A (es) 2016-06-17
JP2015073245A (ja) 2015-04-16
US11044517B2 (en) 2021-06-22
KR20200020992A (ko) 2020-02-26
MX364149B (es) 2019-04-12
US10085057B2 (en) 2018-09-25
EP3054696A1 (en) 2016-08-10
CA2925407C (en) 2022-05-03
US20160212479A1 (en) 2016-07-21
KR20160066020A (ko) 2016-06-09
US10448087B2 (en) 2019-10-15
MX2019003796A (es) 2019-06-06
EP3399675A1 (en) 2018-11-07
US20190007727A1 (en) 2019-01-03
EP3054696A4 (en) 2017-03-22
EP3054696B1 (en) 2018-07-25
WO2015050002A1 (ja) 2015-04-09
KR102081861B1 (ko) 2020-02-26
CA2925407A1 (en) 2015-04-09
US20200029120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299B1 (ko) 수신 장치, 수신 방법,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US10623827B2 (e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JP6326213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JP6654044B2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CA2935145C (en)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method
WO2015107930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