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228B1 -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228B1
KR102181228B1 KR1020190049208A KR20190049208A KR102181228B1 KR 102181228 B1 KR102181228 B1 KR 102181228B1 KR 1020190049208 A KR1020190049208 A KR 1020190049208A KR 20190049208 A KR20190049208 A KR 20190049208A KR 102181228 B1 KR102181228 B1 KR 102181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air
holders
hous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92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5229A (en
Inventor
강경석
Original Assignee
강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경석 filed Critical 강경석
Priority to KR102019004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228B1/en
Publication of KR2020012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2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2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고정시키는 홀더의 이동을 모터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거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높이면서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모바일 단말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양 측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wirelessly charge a mobile terminal while increasing the ease of mount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fixing the mobile terminal with a moto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seated on the front surface; A pair of holder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including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trolling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ing on and off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A terminal cradle is provided.

Description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단말을 고정시키는 홀더의 이동을 모터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거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높이면서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a mobile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wirelessly while increasing the ease of mount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a holder fixing the mobile terminal with a motor. It relates to a terminal cradle.

일반적으로 차량 운행 중 휴대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차량 주변에 휴대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스마트폰의 보급이 급속화되어 모바일 환경에서 보다 풍부한 컨텐츠가 보급됨으로써, 내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핸즈프리 및 오디오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휴대폰 거치대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In general, a mobile phone holder is installed and used around a vehicle to use the functions of a mobile phone while driving a vehicle. In recent years, as the spread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rapidly and richer contents are spread in a mobile environment, the use of mobile phone cradles for using a navigation function or hands-free and audio functions through Bluetooth technology is gradually increasing.

휴대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활용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겸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The mobile phone cradle is configured to provid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enabling the use of a smartphone and charging the battery by wire or wirelessly.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을 가지는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휴대폰을 다른 기종으로 교체하면 기존의 휴대폰 거치대를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Existing mobile phone holders are manufactured in a form having differ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type of mobile phon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isting mobile phone holder cannot be used if the user replaces the mobile phone with a different model.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을 통해 휴대폰을 고정하는 한 쌍의 측부 홀더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측부 홀더 간의 간격을 가변시켜 다양한 규격의 휴대폰을 거치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by configuring a pair of side holders that fix the mobile phone through a spring to be elastically movable,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holders is varied to mount mobile phones of various standards.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홀더가 이동되어 휴대폰의 거치가 이루어지므로, 차량 운행 중에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폰을 거치하고자 하는 경우에 휴대폰의 안정적인 거치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holder, since the holder is moved by the user's manual operation to mount the mobile phone, it is difficult to stably mount the mobile phone when the user wants to mount the mobile phone with one hand while driving the vehicle.

더욱이, 휴대폰의 거치와 함께 충전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을 통해 휴대폰을 거치한 후, 다시 사용자가 직접 충전 잭을 휴대폰 충전단자에 접속시켜야 하므로 휴대폰의 거치 및 충전에 있어 상당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안전 운행에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charging while mounting the mobile phone, the user must manually connect the charging jack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mobile phone after mounting the mobile phone through the user's manual operation, so there is considerable hassle in mounting and charging the mobile phon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hinders the safe operation of the vehicle.

한편, 최근 개발된 무선 충전 기능이 탑재된 휴대폰 거치대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인근에 휴대폰이 접근했음을 감지한 후 자동으로 홀더의 간격을 가변시키고 있는데, 적외선을 기반으로 휴대폰의 접근을 감지함에 따라 휴대폰이 아닌 다른 물질에 의해 적외선이 반응하여 홀더가 의도치 않게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폰을 고정시킨 후에도 적외선에서 감지되는 이물질, 빛 등에 의해 홀더가 움직여 휴대폰이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ntly developed mobile phone cradle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function detects that a nearby mobile phone has approached using infrared rays and then automatically changes the distance of the holder. In some cases, the holder may move unintentionally due to the reaction of infrared rays by other substances. In some cases, even after the mobile phone is fixed, the mobile phone is removed due to the movement of the holder by foreign substances or light detected in the infrared. There is a problem.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고정시키는 홀더의 이동을 모터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거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높이면서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hicle mobile terminal capable of charging a mobile terminal wirelessly while increasing the ease of mount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fixing the mobile terminal with a motor.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radle.

또한, 본 발명은 기계식 센서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홀더를 제어하고, 모바일 단말을 거치하고 있을 때는 기계식 센서의 감지 동작을 중단하여 센서 오작동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holder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mechanical sensor, and stops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mechanical sens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thereby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mobile terminal due to a sensor malfunction. There is another purpose to provide a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홀더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도록 하는 리셋 기능을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이 잘못 거치된 경우나 모바일 단말을 탈거시키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etting function for increasing and narrowing the gap between holders in some cases, thereby provid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fully us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correctly mounted 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moved. There is another purpose.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면에 모바일 단말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양 측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s and othe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using in which a mobile terminal is seated on the front side; A pair of holder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including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trolling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urning on and off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A terminal cradle is provid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치를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단말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조립 및 분리되고, 차량에 결합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assembled and separated from the front portion and the front portion including a non-slip member for providing a friction force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referable that it consists of a rear portion to be coupl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더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 로드부와 상기 제1 로드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로 구성되는 제1 홀더; 및 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로드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1 로드부의 이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제2 로드부와 상기 제2 로드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로 구성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holders is a first holder consisting of a first rod portion that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first pressing portion that presses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first rod portion ; And a second rod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rod portion through a pinion gear and moved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portion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cond rod portion.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second holder configured.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는 이동 방향을 따라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이동 기어; 및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1 보조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d portion is a pair of rail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 first gear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lit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A moving gea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a first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부는 이동 방향을 따라 하면에 오목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홈; 상기 한 쌍의 레일홈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2 보조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d portion is a pair of rail grooves formed concave on the lower surfa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 second gea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lit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 grooves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And a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to limit the moving distan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부는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 밀착되면 상기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온 시키고,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d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pressing par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and turns of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when the second press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desirabl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작동 방지 스위치는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이동에 따라 온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이동에 따라 오프되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detects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and does not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urned off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It is preferably characterized by that.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신호를 생성하는 접촉 감지 센서;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 위치를 리셋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센서; 상기 접근 신호 또는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이동 모터;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omprises: a touch sensor for generating an approach signal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 reset sensor generating a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olders by sensing a user's contact; A moving motor controlling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according to the approach signal or the reset signal; An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접촉 감지 센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는 시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 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includes a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sensor can detect the mobile terminal, a tim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becomes wider and then narrows, and the mobile motor as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of the pressure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is set and stored in advanc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상태, 충전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emitting a different color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state, a charging state, and access to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을 고정시키는 홀더의 이동을 모터로 제어하여 모바일 단말의 거치 및 고정의 용이성을 높이면서 모바일 단말을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wirelessly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while increasing the ease of mounting and fixing the mobile terminal b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fixing the mobile terminal with a motor.

본 발명은 기계식 센서를 기반으로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홀더를 제어하고, 모바일 단말을 거치하고 있을 때는 기계식 센서의 감지 동작을 중단하여 센서 오작동에 의한 모바일 단말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holder by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mechanical sensor, and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mobile terminal due to sensor malfunction by stopping the detection operation of the mechanical sens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have.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홀더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도록 하는 리셋 기능을 제공하여 모바일 단말이 잘못 거치된 경우나 모바일 단말을 탈거시키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some ca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et function in which the gap between holders becomes wider and then narrows in some cases, so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correctly mounted o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emoved.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의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의 홀더와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holder of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for a 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Additional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shown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hardware,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as a combination of software.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의 홀더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의 홀더와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a holder of the mobile terminal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and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holder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for a 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는 전면에 모바일 단말이 안착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모바일 단말의 양 측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120) 및 하우징(110)에 구비되고,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한 쌍의 홀더(120)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고, 한 쌍의 홀더(120)의 이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1 to 4, the mobile terminal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se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provided in a pair of holders 120 and housing 110 for fixing the, and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120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120 It includes a controller 130 comprising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that is turned on and off accordingly.

하우징(110)은 동일한 외곽 틀을 가지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로 이루어지고, 전면부(111)와 후면부(112)가 상호 조립되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10 includes a front portion 111 and a rear portion 112 having the same outer frame, and the front portion 111 and the rear portion 112 are mutually assembled to form one.

전면부(111)는 모바일 단말의 거치를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111-1)와 모바일 단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단말 지지부(111-2)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 방지 부재(111-1)는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전면부(111)에 거치 및 고정되는 모바일 단말이 미끄러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 지지부(111-2)는 전면부(111)의 하단에 형성되어 모바일 단말의 하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면부(111)의 하단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모바일 단말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front part 111 may include a non-slip member 111-1 providing a friction force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support part 111-2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The anti-slip member 111-1 may be formed of a silicone or rubber material to perform a function of preventing a mobile terminal mounted and fixed on the front part 111 from sliding or moving. The terminal support 11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111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formed to be adjustable in length toward the lower end of the front part 111 to facilitate mobile terminals having various lengths. I can support it.

후면부(112)는 전면부(111)의 후면에서 전면부(111)와 조립 및 분리되고, 차량에 결합되는 결합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part 112 may be assembled and separated from the front part 111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11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coupling surface that is coupled to the vehicle.

하우징(110)은 양 측에서 모바일 단말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120)와 연결되고, 모바일 단말의 접근 감지, 무선 충전, 한 쌍의 홀더(120)의 간격 제어 등을 수행하는 컨트롤러(1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The housing 110 is connected to a pair of holders 120 fixing the mobile terminal on both sides, and the controller 130 performs access det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reless charging, and distance control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 Can be accommodated inside.

한 쌍의 홀더(120)는 절곡 형성되어 일단이 하우징(110)의 양측 내부에 수용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양측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양 측을 고정할 수 있다.A pair of holders 120 are bent, one end is accommodated inside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to fix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as it mov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an do.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홀더(120)는 컨트롤러(130)의 이동 모터(134)에 의해 좌우로 직선 이동하는 제1 홀더(121) 및 피니언 기어(123)를 통해 제1 홀더(121)와 맞물려 제1 홀더(121)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직선 이동하는 제2 홀더(122)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pair of holders 120 are provided with a first holder 121 through a first holder 121 and a pinion gear 123 linearly moving left and right by a moving motor 134 of the controller 130. ) And the second holder 122 linearly moving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first holder 121.

제1 홀더(12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컨트롤러(130)의 제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 로드부(121-1)와 하우징(110)의 외부에 돌출되어 모바일 단말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121-2)로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holder 121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10 and protrudes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rod portion 121-1 and the housing 110 to move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30. It may be composed of a first pressing portion 121-2 for pressing one side.

제1 로드부(121-1)는 한 쌍의 레일(121-11), 제1 기어(121-12), 이동 기어(121-13), 및 제1 보조 돌기(121-14)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rod part 121-1 may be formed of a pair of rails 121-11, a first gear 121-12, a moving gear 121-13, and a first auxiliary protrusion 121-14. have.

한 쌍의 레일(121-11)은 이동 방향을 따라 제1 로드부(121-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제2 홀더(122)의 한 쌍의 레일홈(122-11)이 그 상면에 끼워져 직선 방향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A pair of rails 121-11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rod portion 121-1 along the moving direction, and a pair of rail grooves 122-11 of the second holder 122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t can be inserted into and guided so that it can move in a linear direction.

제1 기어(121-12)는 한 쌍의 레일(121-11)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121-3)의 상단에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123)의 일면과 맞물리고, 피니언 기어(123)의 타면과 맞물리는 제2 기어(122-12)와 연동될 수 있다.The first gear 121-1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lit 121-3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121-11 and meshes with one surface of the pinion gear 123, and the pinion gear 123 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second gear 122-12 meshing with the other surface.

즉, 제1 기어(121-12)는 피니언 기어(123)를 통해 제2 기어(122-12)와 연동됨에 따라 이동 모터(134)에 의해 제1 로드부(121-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로드부(122-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1 로드부(121-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로드부(122-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the first gear 121-12 is interlocked with the second gear 122-12 through the pinion gear 123, the first rod part 121-1 is moved to the left by the moving motor 134. When moving, the second rod portion 122-1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rod portion 121-1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second rod portion 122-1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I can.

이동 기어(121-13)는 복수의 홈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컨트롤러(130)의 이동 모터(134)와 연결되는 기어가 맞물리고, 이동 모터(1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로드부(121-1)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동 기어(121-13)는 이동 모터(134)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경우 제1 로드부(121-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이동 모터(134)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 방향인 경우 제1 로드부(121-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gears 121-13 ar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grooves, such that a gear connected to the moving motor 134 of the controller 130 is meshed, and the first rod part 121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ving motor 134 -1) can be made to move in a straight line.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ving motor 134 is clockwise, the moving gear 121-13 causes the first rod part 121-1 to move in the right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ving motor 134 is counterclockwise. In the case of, the first rod part 121-1 may be moved to the left.

제1 보조 돌기(121-14)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로드부(121-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1 로드부(121-1)가 좌우로 직선 이동할 때 하우징(110)의 후면부(112)에 걸림으로써 제1 로드부(121-1)의 직선 이동 거리, 즉 제1 로드부(121-1)의 좌측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보조 돌기(121-14)가 후면부(112)에 걸리게 될 때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멀어질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s 121-14 may be formed in plural,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rod portion 121-1, so that when the first rod portion 121-1 moves straight to the left and right, the housing 110 ), it is possible to limit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rod unit 121-1, that is, the left movement distance of the first rod unit 121-1 by being caught on the rear part 112 of ). When the first auxiliary protrusion 121-14 is caught on the rear part 112,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may be maximized.

제1 가압부(121-2)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제1 로드부(121-1)의 좌우 이동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압부(121-2)는 모바일 단말을 가압할 때 모바일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 및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접촉되는 일면에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pressing unit 121-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press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first rod unit 121-1. In one embodiment, the first pressing unit 121-2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ch as silicone or rubber on one surface contacting the mobile terminal in order to minimize pressure and load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pressing the mobile terminal. can do.

제2 홀더(122)는 피니언 기어(123)를 통해 제1 로드부(121-1)와 맞물리고, 제1 로드부(121-1)의 이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제2 로드부(122-1)와 제2 로드부(122-1)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122-2)로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holder 122 meshes with the first rod portion 121-1 through the pinion gear 123, and moves to the left and right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portion 121-1. It may be composed of -1) and a second pressing unit 122-2 for pressing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cond load unit 122-1.

제2 로드부(122-1)는 한 쌍의 레일홈(122-11), 제2 기어(122-12), 및 제2 보조 돌기(122-13)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rod part 122-1 may include a pair of rail grooves 122-11, a second gear 122-12, and a second auxiliary protrusion 122-13.

한 쌍의 레일홈(122-11)은 이동 방향을 따라 제2 로드부(122-1)의 하면에 오목 형성되고, 제1 홀더(121)의 한 쌍의 레일(12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한 쌍의 레일(121-11)의 상면에 끼워져 한 쌍의 레일(121-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A pair of rail grooves (122-11) are formed conca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od portion (122-1) along the moving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rails (121-11) of the first holder (121). It is formed in a position and is fit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rails 121-11 to move along the pair of rails 121-11.

제2 기어(122-12)는 한 쌍의 레일홈(122-11)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122-3)의 하단에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123)의 타면과 맞물리고, 피니언 기어(123)의 일면과 맞물리는 제1 기어(121-12)와 연동될 수 있다.The second gear 122-12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lit 122-3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 grooves 122-11 to mesh with the other surface of the pinion gear 123, and the pinion gear 123 It may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121-12) meshing with one surface of.

즉, 제2 기어(122-12)는 피니언 기어(123)를 통해 제1 기어(121-12)와 연동됨에 따라 이동 모터(134)에 의해 제1 로드부(121-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로드부(122-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제1 로드부(121-1)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로드부(122-1)가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the second gear 122-12 is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121-12 through the pinion gear 123, the first rod part 121-1 is moved to the left by the moving motor 134. When moving, the second rod portion 122-1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and when the first rod portion 121-1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the second rod portion 122-1 is moved in the left direction. I can.

제2 보조 돌기(121-1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로드부(122-1)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제2 로드부(122-1)가 좌우로 직선 이동할 때 하우징(110)의 후면부(112)에 걸림으로써 제2 로드부(122-1)의 직선 이동 거리, 즉 제2 로드부(122-1)의 우측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보조 돌기(121-13)가 후면부(112)에 걸리게 될 때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멀어질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s 121-13 may be formed in plural,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rod part 122-1, and the housing 110 when the second rod part 122-1 moves straight to the left and right. ), it is possible to limit the linear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rod unit 122-1, that is, the right movement distance of the second rod unit 122-1. When the second auxiliary protrusions 121-13 are caught on the rear part 112,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may be maximized.

제2 가압부(122-2)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돌출되어 제2 로드부(122-1)의 좌우 이동에 의해 모바일 단말의 일측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압부(122-2)는 모바일 단말을 가압할 때 모바일 단말에 가해지는 압력 및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에 접촉되는 일면에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pressing part 122-2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10 and press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second rod part 122-1.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ressing unit 122-2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such as silicone or rubber on on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bile terminal to minimize pressure and load a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pressing the mobile terminal. can do.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제2 로드부(122-1)는 좌우 직선 이동에 따라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od part 122-1 may control the on-off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ccording to the horizontal linear movement.

즉, 제2 로드부(122-1)는 제2 가압부(122-2)가 하우징(110)에 완전 밀착되면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온 시키고, 제2 가압부(122-2)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떨어지면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오프시킬 수 있다.That is, when the second load unit 122-1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10, the second load unit 122-1 turns 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nd the second press unit 122-2 is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may be turned off.

도 4를 참조하면, 제2 로드부(122-1)는 제2 가압부(122-2)가 하우징(110)에 완전 밀착된 상태(a), 즉 제1 로드부(121-1)와 가장 가까울 때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돌기(136-1)를 눌러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온 시킬 수 있고, 모바일 단말의 접근이 감지됨에 따라 제1 로드부(121-1)가 이동하면 제1 로드부(121-1)가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하우징(110)으로부터 떨어지면(b)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돌기(136-1)를 누르지 않게 되어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오프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econd rod part 122-1 is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pressing part 122-2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110 (a), that is, the first rod part 121-1 and When it is closest,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can be turned on by pressing the protrusion 136-1 that controls the on/off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nd as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cted, the first load unit 121- When 1) moves, the first rod unit 121-1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traveled, and thus, when it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10 (b), it controls the on-off of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Since the protrusion 136-1 is not pressed,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can be turned off.

컨트롤러(130)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의 전체적인 기계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접촉 감지 센서(131), 무선 충전 모듈(132), 리셋 센서(133), 이동 모터(134), 메인 보드(135) 및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verall mechanical operation of the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100, and includes a touch detection sensor 131, a wireless charging module 132, a reset sensor 133, a moving motor 134, and a main board ( 135)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접촉 감지 센서(131)는 하우징(110) 내에 구비되어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고, 접근 여부에 따라 접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촉 감지 센서(131)는 하우징(110)의 전면부(111)에 부착될 수 있으며, 광학식 센서, 자기식 센서, 전기식 센서, 또는 기계식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 센서(131)는 모바일 단말의 접근시 자기장 또는 전력이 일시적으로 변화되는 정전 용량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 an approach signal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In one embodiment,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131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part 111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optical sensor, a magnetic sensor, an electric sensor, or a mechanical sensor. For example,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may be implemented as a capacitive type in which a magnetic field or power temporarily changes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접촉 감지 센서(131)는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면 접근 신호를 생성하고, 접근 신호에 따라 이동 모터(134)가 동작하여 한 쌍의 홀더(120)가 좌우로 직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detects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 approach signal is generated, and the moving motor 134 operates according to the approach signal so that the pair of holders 120 linearly move left and right.

한편, 접촉 감지 센서(131)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가 온 상태일 때만 동작하는 것으로, 제1 홀더(121)와 제2 홀더(122)가 가장 가까울 때, 즉 모바일 단말이 거치 및 고정되지 않았을 때만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접촉 감지 센서(131)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가 오프 상태일 때 다른 모바일 단말이나 전기적 신호를 변화시키는 다른 물질이 접근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지 않아 이미 거치 및 고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이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131 operates only whe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is on, and when the first holder 121 and the second holder 122 are closest, that is, the mobile terminal is not mounted and fixed. Only when the mobile device is not approaching can be detected. Whe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is in the off state,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does not detect when another mobile terminal or other material that changes the electrical signal approaches, thereby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already mounted and fixed mobile terminal. can do.

무선 충전 모듈(132)은 인접하는 모바일 단말을 충전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기와 동일한 원리로 모바일 단말을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충전 모듈(132)은 페라이트 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도 자기를 발생시켜 유도 자기를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전력수신모듈로 전송함으로써 모바일 단말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32 may charge an adjacent mobile terminal, and may charge the mobile terminal on the same principle as a wireless charger of a commonly used smartphone.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132 may be composed of a ferrite coil, and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terminal by generating inductive magnetism and transmitting the inductive magnetism to the power receiving module installed in the mobile terminal.

리셋 센서(133)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한 쌍의 홀더(120) 위치를 리셋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리셋 센서(133)는 하우징(11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면 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The reset sensor 133 may detect a user's contact and generate a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olders 120. In one embodiment, the reset sensor 133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implemented as a contact sensor that senses when a user's finger or the like comes into contact.

리셋 센서(133)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면 리셋 신호를 생성하고, 리셋 신호에 따라 이동 모터(134)가 동작하여 한 쌍의 홀더(120)가 좌우로 직선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reset sensor 133 may generate a reset signal when a user's contact is sensed, and the moving motor 134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reset signal so that the pair of holders 120 may linearly move left and right.

리셋 센서(133)는 이동 모터(134)의 동작에 따라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최대로 넓어졌다가 최대로 좁아지도록 하고, 이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에 이미 거치 및 고정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을 탈거 또는 분리시킬 때 사용될 수 있다.The reset sensor 133 allows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to be widened and narrowed to the maximum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tor 134, which is already mounted and fixed to the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100 It can be used when removing or separating the existing mobile terminal.

이동 모터(134)는 접근 감지 센서(131)에서 생성되는 접근 신호 또는 리셋 센서(133)에서 생성되는 리셋 신호에 따라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모터(134)는 제1 홀더(121)의 이동 기어(121-13)에 맞물려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moving motor 134 may control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according to an approach signal generated by the approach detection sensor 131 or a reset signal generated by the reset sensor 133. The moving motor 134 may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y being engaged with the moving gears 121-13 of the first holder 121, and when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is If it becomes narrower and mov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can be widened.

일 실시예에서, 이동 모터(134)는 한 쌍의 홀더(120) 사이에서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가해지면 동작이 중단되어 한 쌍의 홀더(120)를 더 이상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한 쌍의 홀더(120) 사이에 모바일 단말이 놓여져 모바일 단말에 의해 한 쌍의 홀더(120)에 기 설정된 압력 이상이 가해진 경우로 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ovement motor 134 may stop moving when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and thus the pair of holders 120 may not be moved any more. This can be seen as a case where a mobile terminal is placed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and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s applied to the pair of holders 120 by the mobile terminal.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동 모터(134)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moving motor 134 rotates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so that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is widened, and then rotates in a clockwise direction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Can be made to narrow the gap.

메인 보드(135)는 컨트롤러(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되는 회로보드로, 접촉 감지 센서(131), 무선 충전 모듈(132), 리셋 센서(133), 이동 모터(134), 및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를 상호 연결하고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로 저작될 수 있다.The main board 135 is a circuit board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30, a touch detection sensor 131, a wireless charging module 132, a reset sensor 133, a moving motor 134, and It may be written as a circuit capable of interconnecting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는 온오프 여부에 따라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 센서(131)의 활성 또는 비활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는 한 쌍의 홀더(120)의 이동에 따라 돌기(136-1)가 눌러지게 되어 온되면 접촉 감지 센서(131)가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지도록 활성화 시키고, 한 쌍의 홀더(120)의 이동에 따라 돌기(136-1)가 눌러지지 않게 되어 오프되면 접촉 감지 센서(131)가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지 않도록 비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may control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that detects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turned on or off. That is,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ctivates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131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protrusion 136-1 is pressed and turned 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120, When the protrusion 136-1 is not pressed and turned off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120,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131 may be configured to deactivate so as not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이에 따라 오작동 방지 스위치(136)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에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지 않았을 때 접촉 감지 센서(131)를 활성화시켜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하고,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에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어 있을 때 접촉 감지 센서(131)를 비활성화시켜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지 않도록 하여, 접촉 감지 센서(131)의 접근 신호에 의해 한 쌍의 홀더(120)가 이동하여 이미 거치되어 있는 모바일 단말이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136 activates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mounted in the 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100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is deactivated so tha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is not detected, so that the pair of holders 120 are moved by the approach signal of the touch detection sensor 131 and are already moun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separated from the mobile terminal holder 100 for a vehicle.

한편, 컨트롤러(130)는 접촉 감지 센서(131)에서 모바일 단말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 한 쌍의 홀더(120)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는 시간(즉, 이동 모터(134)가 시계 방향 회전에서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전환되는 시간 또는 반시계 방향 회전에서 시계 방향 회전으로 전환되는 시간), 및 모바일 단말이 거치됨에 따라 이동 모터(134)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압력(즉, 한 쌍의 홀더(120) 사이에 가해지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30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131 can detect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ime whe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120 becomes wider and then narrows (that is, the moving motor 134 is Time to switch from directional rotation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r time to switch from counterclockwise rotation to clockwise rotation), and pressur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ving motor 134 as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i.e., a pair of At least one of the pressure applied between the holders 120) may be preset and stored.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100)는 발광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holder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140.

발광부(140)는 하우징(110)의 외측 둘레면 중 일부분에 형성되어 특정 상태에 따라 발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40)는 전원 공급 상태, 충전 상태, 및 모바일 단말의 접근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unit 140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10 to emit light according to a specific state. In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140 may emit light in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state, a charging state, and whether the mobile terminal is accessed.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obvious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but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and thus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Modification examples and specific embodiment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110: 하우징
120: 홀더 130: 컨트롤러
140: 발광부
100: vehicle mobile terminal holder 110: housing
120: holder 130: controller
140: light emitting unit

Claims (10)

전면에 모바일 단말이 안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양 측을 고정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고, 모바일 단말의 접근시 자기장 또는 전력이 일시적으로 변화되는 정전 용량식 접촉 감지 센서를 이용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한 쌍의 홀더에 거치되지 않으면 온(ON)되어 상기 접촉 감지 센서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도록 활성화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상기 한 쌍의 홀더에 거치되면 오프(OFF)되어 상기 접촉 감지 센서가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지 않도록 비활성화 시키는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홀더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제1 로드부와 상기 제1 로드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일측을 가압하는 제1 가압부로 구성되는 제1 홀더; 및
피니언 기어를 통해 상기 제1 로드부와 맞물리고, 상기 제1 로드부의 이동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는 제2 로드부와 상기 제2 로드부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의 타측을 가압하는 제2 가압부로 구성되는 제2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드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기 전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에 완전 밀착되면 상기 제1 로드부에 설치된 상기 오작동 방지 스위치를 눌러 온 시키고,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되어 상기 제2 가압부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오작동 방지 스위치로부터 떨어져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A housing o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front side;
A pair of holders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fixing both sides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that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trols movement of the pair of holders by sensing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using a capacitive touch detection sensor that temporarily changes magnetic field or power when the mobile terminal approaches, ,
The controller,
When the mobile terminal is not mounted on the pair of holders, it is turned on to activate the touch sensor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and off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pair of holders. And a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that disables the touch detection sensor so as not to detect the approach of the mobile terminal,
The pair of holders
A first holder comprising a first load unit that moves left and r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first press unit that presses one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first load unit; And
Consisting of a second rod part that meshes with the first rod part through a pinion gear and moves left and right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rod part, and a second pressing part that presses the other side of the mobile terminal by the second load part And a second holder to be
The second load unit, when the second pressing unit is completely in close contact with the housing before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presses on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installed on the first load unit, and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to press the second When the part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urned off from the malfunction prevention switch.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모바일 단말의 거치를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미끄럼 방지 부재와 상기 모바일 단말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단말 지지부를 포함하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와 조립 및 분리되고, 차량에 결합되는 후면부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Consisting of a front portion including a non-slip member providing frictional force for mount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terminal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ar portion assembled and separated from the front portion and coupled to the vehicle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부는
이동 방향을 따라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상기 한 쌍의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기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이동 기어; 및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1 보조 돌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od part
A pair of rail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 first gear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slit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s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A moving gear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onsisting of a first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and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부는
이동 방향을 따라 하면에 오목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홈;
상기 한 쌍의 레일홈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기어; 및
하면에 돌출 형성되어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제2 보조 돌기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od part
A pair of rail grooves formed concave on the lower surface along the moving direction;
A second gear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lit formed between the pair of rail grooves to mesh with the pinion gear; And
Consisting of a second auxiliary protrusion protruding on the lower surface and limiting the moving distance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상기 한 쌍의 홀더 위치를 리셋하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는 리셋 센서;
상기 접촉 감지 센서에 의해 생성된 접근 신호 또는 상기 리셋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는 이동 모터;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ler is
A reset sensor generating a reset signal for resetting the position of the pair of holders by sensing a user's contact;
A moving motor configured to control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lders according to an approach signal generated by the touch detection sensor or the reset signal; And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module for charging the mobile terminal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접촉 감지 센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을 감지할 수 있는 거리, 상기 한 쌍의 홀더 사이의 간격이 넓어졌다가 좁아지는 시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이 거치됨에 따라 상기 이동 모터의 동작을 중단시키는 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ler is
At least one of a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detection sensor can detect the mobile terminal, a time whe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holders is widened and then narrowed, and a pressur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mobile motor as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is preset and stored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배치되고, 전원 공급 상태, 충전 상태,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접근 여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모바일 단말 거치대.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outside the housing and emitting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power supply state, a charging state, and access to the mobile terminal.
Vehicle mobile terminal cradle.
KR1020190049208A 2019-04-26 2019-04-26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KR1021812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08A KR102181228B1 (en) 2019-04-26 2019-04-26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9208A KR102181228B1 (en) 2019-04-26 2019-04-26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29A KR20200125229A (en) 2020-11-04
KR102181228B1 true KR102181228B1 (en) 2020-11-20

Family

ID=7357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9208A KR102181228B1 (en) 2019-04-26 2019-04-26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122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990B1 (en) * 2020-12-31 2023-02-14 주식회사 에스에이치피코퍼레이션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exercise of treadmill users
KR102486188B1 (en) * 2021-02-05 2023-01-11 크레신 주식회사 Mobile device holder for vehicle
KR102332514B1 (en) * 2021-02-10 2021-12-01 주식회사 뉴빛 Holder for portable terminals
KR102513772B1 (en) * 2021-02-17 2023-03-27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Binding device for dr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106A (en) * 2012-06-07 2013-12-19 Sharp Corp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765Y1 (en) * 1997-05-16 1999-09-01 안덕찬 Supporter for charging a battery
CN207560092U (en) * 2017-09-29 2018-06-29 深圳市科信朗科技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electric st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55106A (en) * 2012-06-07 2013-12-19 Sharp Corp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ontrol method, and portable terminal control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229A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1228B1 (en) Mobile terminal holder for vehicle
KR102081908B1 (en)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method for holding and detaching a portable phone thereof
US7239306B2 (en) Electronic pen
JP6472774B2 (en) Detection and notification of detachable charging device not working
KR101945250B1 (en) Connecting Interface and Connector of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050213317A1 (en) Flashlight with touch sensing on/off operation
KR101698647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9583286B2 (en) Switch carrier with one contact point with a switch including second contact point
CN105730320B (en) Switching device
US20140140076A1 (en) Illuminated interface cable
KR20100083269A (en) Fixed mouse
US9836138B2 (en) Touch pen
CN111067221B (en) Earphone box, device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WI566127B (en) Multifunction key an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function key
US7452100B2 (en) Retractable, automatic, on/off flashlight system
US9929444B2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indicating remaining capacity thereof
JP6501199B2 (en) Vehicle portable device
KR20140118166A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3223537U (en) Automatic clamping device
WO2016113736A1 (en) Keypad flip cover for mobile devices
CN112640407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04388B1 (en) Input device
CN211321315U (en) Rearview assembly
KR101275558B1 (en) Controller of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KR101372892B1 (en) Electric outlet 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with user ori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