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858B1 - 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 Google Patents

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858B1
KR102180858B1 KR1020197026933A KR20197026933A KR102180858B1 KR 102180858 B1 KR102180858 B1 KR 102180858B1 KR 1020197026933 A KR1020197026933 A KR 1020197026933A KR 20197026933 A KR20197026933 A KR 20197026933A KR 102180858 B1 KR102180858 B1 KR 10218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olymer film
diameter
tapering
knur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69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6430A (en
Inventor
게이스케 고이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1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6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4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using rollers or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널링을 부여하는 롤러의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폴리머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는 널링 장치 및 널링 부여 방법을 제공한다.
널링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롤러와 제2 롤러를 구비한다. 제1 롤러는,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점감 롤러이며, 제2 롤러도 점감 롤러이다. 점감 롤러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널링 장치는, 반송 중의 폴리머 필름을 점감 롤러와 점감 롤러에 의하여 협지하고, 이로써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한다.
Provided are a knurling apparatus and a knurling method that facilitates adjustment of the posture of the knurling roller and prevents damage to the polymer film.
The knurling device includes a first roller and a second roller provided rotatably. The first roller is a tapered roller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faces each end edge, and the second roller is also a tapered roll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roller. The knurling device pinches the polymer film during conveyance by the tapering roller and the tapering roller, thereby imparting knurling to the polymer film.

Description

널링 장치 및 널링 부여 방법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본 발명은, 널링 장치 및 널링 부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lling device and a method for imparting nulling.

장척인 폴리머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 또는 제조된 장척인 폴리머 필름을 보관 및/또는 수송을 위하여 롤상으로 권취함으로써 필름 롤을 제조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폴리머 필름의 측단부에 널링으로 불리는 미소한 요철이 부여되는 경우가 있다. 널링은,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21620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한쪽의 롤러의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폴리머 필름을 안내하고, 이들 롤러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을 협지함으로써 부여된다. 이와 같이 하여 부여된 널링은, 폴리머 필름의 핸들링성을 높이는 작용이나, 필름 롤의 어긋난 감김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다.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long polymer film, o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film roll by winding the produced long polymer film into a roll for storage and/or transport, minute irregularities called knurling are formed on the side ends of the polymer film. It may be given. Knurling guides a polymer film between a pair of rollers in which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roller, as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221620, for example, and the polymer film It is granted by holding together. The knurling provided in this way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handling property of the polymer film and a function of preventing misalignment or deformation of the film roll.

그런데, 장척인 폴리머 필름에는, 폭방향에 있어서 매우 약간이지만 두께에 분포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두께의 분포는, 널링을 부여하는 대상 영역 내에 있어서 보여지는 경우가 있고, 또, 폴리머 필름의 품종에 따라 다른 양태인 것이 대부분이다. 또, 널링을 부여하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각각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직경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널링을 부여하는 상기 한 쌍의 롤러는, 회전축 방향을 서로 대략 평행으로 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의 두께 분포에 따라 각각의 자세를 조정하고, 이로써, 한 쌍의 롤러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을 협지하는 협지 영역의 폭을 확보하는 등의 대처를 행한다.By the way, in a long polymer film, although it is very slightly in the width direction, there may be a distribution in thickness. Such a distribution of thickness may be seen in the target region to which knurling is applied, and in most cases, it is a different aspect depending on the kind of polymer film. Further, each of the pair of rollers to which knurling is applied has a constant diamete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refore, although the pair of rollers to impart knurling are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axis directions are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each postu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bove thickness distribution, whereby the polymer film in the pair of rollers Take measures, such as securing the width of the clamping area to be clamped.

그러나, 상기의 두께의 분포는, 두께차가 매우 작은 범위 내에서의 것이므로, 한 쌍의 롤러의 각각의 자세의 조정은, 매우 정밀하게 행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 널링을 부여하는 상기 한 쌍의 롤러의 각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롤러의 회전축 방향에 기울기를 부여한 경우에는, 롤러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가 폴리머 필름에 강하게 맞닿아, 이로 인하여, 폴리머 필름의 롤러와의 맞닿은 부위에 있어서 균열이나 파단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since the above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is within a range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ickness is very small, the adjustment of the posture of each of the pair of rollers needs to be performed very precisely, and for this reason, it takes a lot of time. In addition, when an inclin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roller by adjusting the respective postures of the pair of rollers to impart knurling, the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roller strongly abuts against the polymer film, whereby the polymer film In some cases, damage such as cracks and fractures may occur in the contact area with the roller.

따라서 본 발명은, 널링을 부여하는 롤러의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폴리머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는 널링 부여 장치 및 널링 부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urling apparatus and a knurling method that facilitates adjustment of the posture of the knurling roller and prevents damage to the polymer fil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송 중의 폴리머 필름을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함으로써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 장치이다.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회전축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漸減)하고 있는 점감 롤러이다.In order to solve the said subject, this invention is a knurling apparatus which imparts knurling to a polymer film by holding a polymer film during conveyance by a 1st roller and a 2nd roll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a tapered roller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as it faces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점감 롤러는,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둘레면이 회전축을 따른 단면(斷面)에 있어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감 롤러는,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둘레면이 회전축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이 변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둥그스름한 형상은, 원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ed roller has a rounded shap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and the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as it faces the end e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ed roller has a rounded shap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axis of rotation and a diameter of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changes from one end edge toward the other end edg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rounded shape is an arc shape.

점감 롤러는, 직경이 최대인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2로 하며, 최대 직경 위치에 있어서의 직경을 DA로 하고,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1로 하며,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2로 할 때에, 하기의 (1)과 (2)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apered roller,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at which the diameter is the largest to the edge of one end is L1,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to the edge of the other end is L2, and the diameter at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When D is set to DA, the diameter of one end edge is DE1,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edge is DE2, the following (1) and (2) are preferably satisfied.

0.0007×L1≤DA-DE1 …(1)0.0007×L1≤DA-DE1 ... (One)

0.0007×L2≤DA-DE2 …(2)0.0007×L2≤DA-DE2 ... (2)

상기의 돌기가 각뿔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특히 현저하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remarkable when the protrusion has a pyramidal trapezoid shape.

점감 롤러는 상기의 복수의 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ing roller has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널링 부여 방법은, 반송 공정과 널링 부여 공정을 갖는다. 반송 공정은, 장척인 폴리머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한다. 널링 부여 공정은, 제1 롤러와 제2 롤러에 의하여 반송 중의 폴리머 필름을 협지함으로써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는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회전축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점감 롤러이다.The method for imparting knur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veying step and a step for imparting knurling. The conveyance process conveys a long polymer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knurling application step, knurling is applied to the polymer film by holding the polymer film during conveyance by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re rotatably provided,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peripheral surfaces.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a tapered roller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널링을 부여하는 롤러의 자세 조정이 용이하고, 또한 폴리머 필름의 손상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adjust the posture of the knurling roller, and damage to the polymer film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필름 롤 제조 설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널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점감 롤러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점감 롤러의 둘레면의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점감 롤러의 둘레면의 형상의 설명도이다.
도 6은 (1)과 (2)의 식을 구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점감 롤러의 둘레면의 전개 개략도이다.
도 8은 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점감 롤러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협지 영역이 회전축 방향의 일부로 설정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협지 영역이 회전축 방향의 일부로 설정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협지 영역이 회전축 방향의 일부로 설정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일정 직경 롤러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다른 일정 직경 롤러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ilm roll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knurling device.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pered roller.
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roller.
5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roller.
6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method of obtaining the equations (1) and (2).
7 is an exploded schematic view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roller.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otrusion.
9 is a schematic diagram of a tapered roller.
Fig. 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where the holding region is set as a part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where the holding region is set as a part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se where the holding region is set as a part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1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onstant diameter roller.
14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constant diameter roller.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한 일례로서의 필름 롤 제조 설비(10)는, 필름 제조 라인(12)과, 널링 장치(13)와, 권취 장치(14)를 갖는다. 필름 제조 라인(12)은, 도시는 생략하지만, 유연(流涎) 장치와, 텐터와, 건조 장치를 갖고, 용액 제막 방법에 의하여, 장척인 폴리머 필름(16)(예를 들면 TAC(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을 제조한다. 단, 필름 제조 라인(12)은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융 제막에 의하여 장척인 폴리머 필름(16)을 제조하는 필름 제조 라인 등이어도 된다. 또, 필름 제조 라인(12)은, 미리 제조된 장척인 폴리머 필름의 필름 롤로부터 폴리머 필름을 송출하는 송출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폴리머 필름(16)의 반송 방향에는 부호 X를 붙인다.As shown in FIG. 1, a film roll manufacturing facility 10 a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has a film manufacturing line 12, a knurling device 13, and a winding device 14. Although not shown, the film production line 12 has a casting device, a tenter, and a drying device, and a long polymer film 16 (e.g., TAC (triacetylcellulose)) by a solution film forming method. ) Film). However, the film production line 12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may be, for example, a film production line for producing the elongated polymer film 16 by melt film formation. Moreover, the film production line 12 may be replaced with a delivery device (not shown) that delivers a polymer film from a film roll of a long polymer film manufactur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symbol X is attached to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polymer film 16.

권취 장치(14)는, 터릿 암(18)을 갖고, 권취 축(20)에 세팅된 권선 코어(22)에 폴리머 필름(16)을 권취한다. 터릿 암(18)은 암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180도 간헐 회전하여, 권선 코어(22)를 권취 위치(PS1)와, 권선 코어 교환 위치(PS2)에 선택적으로 전환한다. 또한, 터릿 암(18)의 회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가이드 암(24)이 마련되어 있으며, 가이드 암(24)의 각 선단부에는 가이드 롤러(26)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6)는, 터릿 암(18)이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 폴리머 필름(16)이 터릿 암(18)과 암 부착 축(28)에 접촉하는 것이 없는 상태로, 폴리머 필름(16)을 지지한다.The winding device 14 has a turret arm 18 and winds up the polymer film 16 on the winding core 22 set on the winding shaft 20. The turret arm 18 intermittently rotates 180 degrees by an arm driving unit (not shown) to selectively switch the winding core 22 to the winding position PS1 and the winding core exchange position PS2. Further, a guide arm 24 is provid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turret arm 18 in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a guide roller 26 is attached to each tip end of the guide arm 24. The guide roller 26 is in a state where the polymer film 16 does not contact the turret arm 18 and the arm attachment shaft 28 when the turret arm 18 is rotating, and the polymer film 16 Support.

터릿 암(18)의 각 선단부에는 권취 축(20)이 설치되어 있으며, 권취 축(20)에 권선 코어(22)가 세팅된다. 권취 위치(PS1)에서는, 반송 롤러(30)로부터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6)을 권선 코어(22)에 권취한다. 또, 권선 코어 교환 위치(PS2)에서는, 일정 길이의 폴리머 필름(16)을 권취하고, 완전 감김된 필름 롤(32)을 권선 코어(22)와 함께 권취 축(20)으로부터 분리하며, 이 권취 축(20)에는 새로운 빈 권선 코어(22)가 세팅되어, 권선 코어(22)의 교환이 행해진다.A winding shaft 20 is installed at each tip end of the turret arm 18, and a winding core 22 is set on the winding shaft 20. At the winding position PS1, the polymer film 16 sent from the conveying roller 30 is wound around the winding core 22. Further, at the winding core exchange position (PS2), the polymer film 16 of a certain length is wound, and the completely wound film roll 32 is separated from the winding shaft 20 together with the winding core 22, and this winding A new empty winding core 22 is set on the shaft 20, and the winding core 22 is replaced.

권취 위치(PS1)에 있어서, 소정의 길이의 폴리머 필름(16)이 권선 코어(22)에 권취되어, 필름 롤(32)이 완전 감김에 가까운 상태가 된 경우에는, 터릿 암(18)이 180도 회전하여, 권선 코어 교환 위치(PS2)에 완전 감김에 가까운 필름 롤(32)을 위치시킨다. 또, 권취 위치(PS1)에는 빈 권선 코어(22)가 위치 결정된다. 필름 롤(32)이 소정의 길이로 된 경우에는, 감김 교체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작동하여, 폴리머 필름(16)이 절단된다. 절단된 선행의 폴리머 필름(16)의 후단부는 권선 코어 교환 위치(PS2)에서 필름 롤(32)에 권취된다. 또, 절단된 후행의 폴리머 필름(16)의 선단부는 권취 위치(PS1)에서 빈 권선 코어(22)에 권취된다.In the winding position PS1, when the polymer film 16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wound around the winding core 22 and the film roll 32 is in a state close to being completely wound, the turret arm 18 is 180 Also rotated to place the film roll 32 close to being completely wound at the winding core exchange position PS2. Further, an empty winding core 22 is positioned at the winding position PS1. When the film roll 32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winding replacement device (not shown) is operated, and the polymer film 16 is cut. The rear end of the cut preceding polymer film 16 is wound around the film roll 32 at the winding core exchange position PS2. In addition, the leading end of the cut subsequent polymer film 16 is wound around the empty winding core 22 at the winding position PS1.

이하, 마찬가지로, 권선 코어(22)에 폴리머 필름(16)이 권취됨으로써, 연속하여 보내져 오는 폴리머 필름(16)이 필름 롤(32)의 형태로서, 제품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폴리머 필름(16)은, 예를 들면 편광판 보호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또, 폴리머 필름(16)에 광학적 이방성층, 반사 방지층, 방현(防眩) 기능층 등이 부여되어, 고기능 필름으로서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Hereinafter, similarly, by winding the polymer film 16 around the winding core 22, the polymer film 16 continuously sent out is a form of the film roll 32, and becomes a product. The polymer film 16 thus obtained is used, for example, as a polarizing plate protective film or a retardation film. Moreover, an optically anisotropic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functional layer, etc. are provided to the polymer film 16, and may be used as a high-functional film.

필름 제조 라인(12)에서 제조된 폴리머 필름(16)은, 반송 롤러(30)에 의하여 권취 장치(14)의 권취 위치 PS에 반송된다(반송 공정). 단, 반송은, 권취 장치(14) 내에 배치된 반송 롤러(30)에 의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필름 제조 라인(12)의 하류단에도 반송 롤러(30)를 마련하거나, 필름 제조 라인(12)과 권취 장치(14)의 사이에 반송 롤러(30)를 마련하는 등의 방법이어도 된다.The polymer film 16 produced by the film production line 12 is conveyed by the conveyance roller 30 to the take-up position PS of the take-up device 14 (transfer process). However, conveyance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by the conveyance roller 30 arrange|positioned in the take-up apparatus 14. For example, a method such as providing a conveying roller 30 also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film manufacturing line 12, or providing a conveying roller 30 between the film manufacturing line 12 and the take-up device 14 may be used. .

필름 제조 라인(12)과 권취 장치(14)의 사이에는, 널링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널링 장치(13)는, 폴리머 필름(16)의 한쪽의 필름면 측에 배치되는 제1 롤러로서의 점감 롤러(35)와, 다른 한쪽의 필름면 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로서의 점감 롤러(36)를 구비한다.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상세는 별도의 도면을 이용하여 후술하지만, 이들은 모두 회전축 방향(도 3, 도 7, 도 9 참조)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다. 단, 도 1과 도 2에 있어서는 편의상,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각 직경을 일정하게 그리고 있다. 또, 널링 장치(13)는, 온도 제어 기구(37)와, 압력 조정기(3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그와 같이 하고 있다.A knurling device 13 is provided between the film production line 12 and the take-up device 14. The knurling device 13 includes a tapering roller 35 as a first roller disposed on one film surface side of the polymer film 16 and a tapering roller 36 as a second roller disposed on the other film surface side. It is equipped with. The details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will be described later using separate drawings, but these are all tapered in diameter toward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see FIGS. 3, 7 and 9). have. However, in Figs. 1 and 2, for convenience,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draw the respective diameters constant.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knurling device 13 is provided with the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37 and the pressure regulator 38, and it is the same also in this embodiment.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각각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한다. 또한, 점감 롤러(35)의 회전축에는 부호 35a를 붙이고, 점감 롤러(36)의 회전축에는 부호 36a를 붙인다. 회전 방향은, 폴리머 필름(16)의 반송 방향, 즉, 점감 롤러(35)에 대해서는 도 1 중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점감 롤러(36)에 대해서는 도 1 중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이다. 점감 롤러(36)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돌기(널링 기어)(41)가 형성되어 있다.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반송 중의 폴리머 필름(16)을 협지(닙)함으로써, 폴리머 필름(16)을 두께 방향으로 압압한다. 이로써, 돌기(41)를 압압하여, 폴리머 필름(16)에 미세한 요철인 널링(42)(도 2 참조)을 부여한다(널링 부여 공정).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are provided to be rotatable, respectively.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in this embodiment are rotated by a motor (not shown). Further, the rotation shaft of the tapered roller 35 is denoted by 35a, and the rotational shaft of the tapered roller 36 is denoted by 36a. The rotational direction is a conveyance direction of the polymer film 16, that is, a clockwise direction in FIG. 1 for the tapering roller 35, and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1 for the tapering roller 36. A plurality of protrusions (knurling gears) 41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ing roller 36.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pinch (nip) the polymer film 16 during conveyance to press the polymer film 16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by, the protrusion 41 is pressed to give the polymer film 16 a knurled 42 (refer to FIG. 2) which is fine irregularities (knurl imparting step).

이 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로를 측방에서 보았을 때에,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를 도 1에서의 상하 방향에 배치함으로써, 반송로를 직선상으로 유지한 상태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하고 있다. 즉, 폴리머 필름(16)을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 중 어느 쪽에도 감아 걸치지 않고 간단히 협지하는 양태로 하고 있다. 단, 이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감 롤러(35)를 점감 롤러(36)보다도 폴리머 필름(16)의 반송 방향 X에 있어서의 상류 측에 배치함으로써, 폴리머 필름(16)을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양쪽 모두에 감아 거는 양태여도 되고, 어느 한쪽에만 감아 거는 양태여도 된다.In this example, as shown in FIG. 1, when the conveying path of the polymer film 16 is viewed from the side, by arranging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FIG. The polymer film 16 is pinched in the state held in the image. That is, the polymer film 16 is not wound around either of the tapering rollers 35 and the tapering rollers 36 and is simply held in place.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aspect, for example, by disposing the tapering roller 35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ance direction X of the polymer film 16 than the tapering roller 36, the polymer film 16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may be wound on both sides, or may be wound on only either side.

온도 제어 기구(37)는,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히터(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함으로써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각 둘레면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온도 제어 기구(37)에 의한 온도의 조절은,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 중 어느 한쪽인 경우도 있다.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각 둘레면의 온도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120℃로 조절되어 있지만, 이 온도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70℃ 이상 250℃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며, 100℃ 이상 200℃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The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37 controls the temperature of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by controlling heaters (not shown) built into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respectively. Adjust. In addition, the temperature control by the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37 may be either one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Although the temperature of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is adjusted to 120°C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is temperature, an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70°C or more and 250°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100°C or more and 200°C or less.

점감 롤러(36)에 마련된 압력 조정기(38)는, 돌기(41)의 형상을 전사할 때의,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에 의한 압압력(이하, 간단히 압압력이라고 칭함)을 조정한다. 압력 조정기(38)는 압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널링(42)을 부여한다. 또한, 이 예에서는, 압력 조정기(38)를 점감 롤러(36)에 마련하고 있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마련하면 된다. 회전축 방향(도 3, 도 7, 도 9 참조) 1mm당의 압압력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1N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0.5N 이상 10N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The pressure regulator 38 provided on the tapering roller 36 is a pressing force by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against the polymer film 16 when transferring the shape of the protrusion 41 (hereinafter , Simply referred to as pressing pressure). The pressure regulator 38 provides the knurling 42 more reliably by adjusting the pressing pressure. In this example, although the pressure regulator 38 is provided on the tapering roller 36,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Although the pressing pressure per 1 mm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refer to Figs. 3, 7 and 9) is set to 1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preferably within a range of 0.5N or more and 10N or less.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머 필름(16)의 양측단에 널링(42)을 부여하므로, 널링 장치(13)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로 이루어지는 롤러 쌍을, 2쌍 구비한다. 또한, 장척인 폴리머 필름(16)의 폭방향(이하, 간단히 "폭방향"이라고 칭함)에는 부호 Y를 붙인다. 롤러 쌍은, 폴리머 필름(16)의 반송로 중, 폴리머 필름(16)의 각 측단이 통과하는 통과 영역에 배치된다. 상술한 온도 제어 기구(37)와 압력 조정기(38)는, 이 예에서는 각 롤러 쌍에 마련되어 있지만, 도 2에 있어서는 도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In this embodiment, since knurling 42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olymer film 16, the knurling device 13 is a roller pair consisting of a tapering roller 35 and a tapering roller 36, as shown in FIG. It is provided with 2 pairs. In addition, the symbol Y is attached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elongated polymer film 16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width direction"). The pair of rollers is disposed in a passage region through which each side end of the polymer film 16 passes in the conveyance path of the polymer film 16. The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37 and the pressure regulator 38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in each roller pair in this example, but in FIG. 2, illustration is omitted in order to avoid complication of the figure.

이 예에서는, 점감 롤러(35)의 둘레면(35s)과 점감 롤러(36)의 둘레면(36s)과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사이즈는 대체로 동일하고,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둘레면(35s)과 둘레면(36s)과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전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하고 있다. 즉, 둘레면(35s) 및 둘레면(35s)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전역폭이,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하는 협지 영역의 폭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널링(42)은, 협지 영역의 폭을 갖고 폴리머 필름(16)의 길이 방향에, 연속적으로 부여된다. 또, 이 예의 각 롤러 쌍은, 폴리머 필름(16)의 측 가장자리(16E)보다도 폭방향 Y에 있어서의 내측에 배치하고 있지만, 폭방향 Y에 있어서의 각 롤러 쌍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측 가장자리(16E)와, 점감 롤러(35) 및 점감 롤러(36)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를, 폭방향 Y에 있어서 일치한 상태에 각 롤러 쌍을 배치해도 된다.In this example, the size in the width direction Y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of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of the tapered roller 36 is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 36) pinches the polymer film 16 in the entire area in the width direction Y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That is, the entire width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 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 s is the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holding the polymer film 16 in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Has been. Thereby, the knurling 42 has a width of the holding region and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lymer film 16. Moreover, although each roller pair of this example is arrange|positioned in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than the side edge 16E of the polymer film 16, the position of each roller pair in width direction Y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even if each pair of rollers is arrange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edge 16E and the outer edge of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in the width direction Y coincide in the width direction Y do.

널링 장치(13)는, 자세 조정부(4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에서도 그와 같이 하고 있다. 자세 조정부(43)는,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 조정부(43)는, 회전축(35a) 및 회전축(36a)에 접속하고 있으며, 회전축(35a)과 회전축(36a)과의 각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각 자세를 조정한다. 폭방향 Y에 있어서의 두께의 분포에 근거하여, 자세 조정부(43)에 의하여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압압력의 분포를 조정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knurling device 13 is provided with the posture adjustment part 43, and it is the sam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posture adjustment unit 43 is for adjusting the postures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The posture adjustment unit 43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35a and the rotation shaft 36a, and by adjusting the respective inclinations between the rotation shaft 35a and the rotation shaft 36a,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Adjust each postur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thickness in the width direction Y, by adjusting the posture of at least one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by the posture adjustment unit 43, the pressing force in the width direction Y is reduced. Adjust the distribution.

예를 들면, 측단부에 있어서 두께가 측 가장자리(16E)를 향하여 점감하고 있는 폴리머 필름(16)이 널링 장치(13)에 반송되어 온 경우에는, 점감 롤러(35)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도 2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 변위, 및/또는, 점감 롤러(36)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도 2에 있어서의 하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점감 롤러(35) 및/또는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조정한다. 한편, 측단부에 있어서 두께가 측 가장자리(16E)를 향하여 점증하고 있는 폴리머 필름(16)이 널링 장치(13)에 반송되어 온 경우에는, 점감 롤러(35)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도 2에 있어서의 하방향으로 변위, 및/또는, 점감 롤러(36)의 폭방향 Y에 있어서의 외측의 단부 가장자리가 도 2에 있어서의 상방향으로 변위하도록, 점감 롤러(35) 및/또는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안내되어 오는 폴리머 필름(16)의 필름면에 대한 점감 롤러(35)의 둘레면(35s)과 점감 롤러(36)의 둘레면(36s)과의 각 기울기를 조정하기 때문에,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협지 영역의 Y방향에 있어서의 전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한다. 그 결과, 목적으로 하는 폭의 널링(42)이 보다 확실히 부여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polymer film 16 whose thickness is gradually decreasing toward the side edge 16E at the side end is conveyed to the knurling device 13, the tapering roller 35 in the width direction Y The tapered roller (a tapering roller) so that the outer edge of the edge displaces upward in FIG. 2 and/or the edge of the outside edge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tapering roller 36 is displaced downward in FIG. 35) and/or the posture of the tapering roller 36 is adjus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mer film 16 whose thickness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side edge 16E at the side end is conveyed to the knurling device 13, the out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tapering roller 35 The tapered roller 35 so that the edge of the edge is displaced downward in FIG. 2 and/or the edge of the outside in the width direction Y of the tapered roller 36 is displaced upward in FIG. And/or the posture of the tapering roller 36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posture in this way, each inclinat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of the tapering roller 36 with respect to the film surface of the polymer film 16 being guided is adjusted. Therefore,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hold the polymer film 16 in the entire area in the Y direction of the holding region. As a result, the knurling 42 of the target width is provided more reliably.

도 3에 있어서, 점감 롤러(35)는, 돌기가 둘레면(35s)에 마련되지 않고, 즉 둘레면(35s)이 대체로 평활하게 되어 있다. 점감 롤러(35)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35Ea)와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35Eb)와의 각각을 향함에 따라, 직경 D가 점감하고 있다. 이로써, 자세의 조정을 직경이 일정한 종래의 널링 부여용의 롤러만큼 정밀하게 행하지 않아도, 점감 롤러(35)는, 점감 롤러(36)와 협지하는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목적으로 하는 압압력으로 확실히 협지한다. 이상과 같이, 점감 롤러(35)의 자세의 조정이 용이한 결과, 점감 롤러(35)의 자세 조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짧게 끝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자세의 조정을 하지 않아도,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또, 단부 가장자리(35Ea, 35Eb)를 향함에 따라 직경 D가 점감하고 있기 때문에,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폴리머 필름(16)과 단부 가장자리(35Ea, 35Eb)와의 맞닿음에서의 접촉압은 지극히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폴리머 필름(16)이 얇은 필름(예를 들면 두께가 50μm 이하)인 경우와, 고취성(高脆性)(예를 들면 상온(대체로 25℃)에서의 인장 성장(파단 신도)이 40% 이하임) 필름인 경우 등에, 특히 유효하다. 예를 들면, 폴리머 필름(16)이 TAC(트라이아세틸셀룰로스) 필름인 경우에는 상기 인장 성장은 30%이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직경 D의 점감은, 단계적과 연속적 중 어느 하나여도 되지만, 연속적인 쪽이 바람직하고, 본례에서도 그와 같이 하고 있다. 이로써, 폴리머 필름(16)과의 접촉압이 국부적으로 커지는 것이 억제되어,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In Fig. 3, in the tapered roller 35, the protrusion is not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that i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is substantially smoothed. As the tapered roller 35 faces each of one end edge 35Ea and the other end edge 35Eb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he diameter D decreases gradually. Thereby, even if the adjustment of the posture is not performed as precisely as that of the conventional knurling rollers having a constant diameter, the tapered roller 35 removes the polymer film 16 in the full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between the tapered roller 36 and the tapered roller 36. It is firmly clamped by the target pressure.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e easy adjustment o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the time required for the posture adjustment of the tapered roller 35 is shortened, so tha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the polymer film 16 may be held in some cases in the full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without adjusting the posture.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D decreases gradually toward the end edges 35Ea and 35Eb,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ing roller 35 is changed, the contact between the polymer film 16 and the end edges 35Ea and 35Eb Since the pressure is suppressed extremely small,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is prevented. Therefore, when the polymer film 16 is a thin film (e.g., 50 μm or less in thickness), and the high brittleness (e.g., tensile growth (elongation at break) at room temperature (usually 25°C) is 40%.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case of a film or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polymer film 16 is a TAC (triacetylcellulose) film, the tensile growth is particularly effective because it is 30%. The tapering of the diameter D may be either stepwise or continuous, but a continuous one is preferable, and the same is applied in this example. Thereby, a local increase in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polymer film 16 is suppressed, and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prevented.

이 예에서는, 회전축 방향의 단부는, 둘레면(35s)의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 형상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의 곡선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단부 가장자리(35Ea)와 단부 가장자리(35Eb)와의 각각을 향함에 따라 직경 D가 점감하고 있으면, 둘레면(35s)의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회전축 방향의 단부의 둘레면(35s)의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 형상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이어도 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의 곡선 형상이어도 된다. 단,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35Ea)와 단부 가장자리(35Eb)와의 각각을 향함에 따라 둘레면(35s)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의 곡선 형상, 즉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 D가 점감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본례에서도 그와 같이 하고 있다. 이로써,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35Ea, 35Eb)의 강한 맞닿음이 보다 확실히 회피된다. 또한,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회전축 방향의 단부(SP)의 둘레면(35s)의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 형상이, 직선인 경우와 오목의 곡선 형상인 경우에 있어서는, 한쪽의 단부(SP)와 다른 한쪽의 단부(SP)와의 사이에,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둘레면(35s)의 단면 형상이 외측으로 둥그스름한 중앙부(CP)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부(CP)와 단부(SP)와의 접속 위치(CA)에 있어서 둘레면(35s)이 완만하게 접속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example, the e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has a convex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3 in a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 axis 35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but the end edge 35Ea and the end edge 35Eb If the diameter D decreases gradually toward each of the wahs,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al axis 35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 axis 35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at the end portion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may be a straight line as shown in FIG. 4 or a concave curved shape as shown in FIG. 5. However,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35a,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has a convex curved shape, that is, a rounded shape, as shown in FIG. 3 as it faces each of the end edges 35Ea and 35Eb,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iameter D decreases gradually, and it is similarly done in this example. Thus,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is change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held in the full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and the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s 35Ea and 35Eb with the polymer film 16 is achieved. More definitely avoided. 4 and 5,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 axis 35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of the end portion SP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a straight line and a concave curved shape, on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entral portion CP whos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is rounded outwar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between the end SP of and the other end SP.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is smoothly connected at the connection position CA between the central portion CP and the end portion SP.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직경 D가 일정한 일정부(도시하지 않음)가 있어도 된다. 즉,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직경 D가 일정한 일정부를 갖고, 또한 이 일정부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에 직경 D가 점감하고 있는 점감부를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러나, 이 일정부를 마련하지 않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면(35s)의 회전축(35a)을 따른 단면 형상이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 D가 단부 가장자리(35E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b)를 향함에 따라 변화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이 예에서는, 직경 D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35Ea)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증하고, 중앙에서 최대가 되어 있으며, 중앙으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b)를 향하여 점감하고 있다. 더 바꾸어 말하면, 이 예는, 한 쌍의 점감부의 직경이 큰 일단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점감부를 일체화한 양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35Ea, 35Eb)의 강한 맞닿음이 보다 확실히 회피된다.In the cente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re may be a constant portion (not shown) having a constant diameter D.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portion with a constant diameter D at the center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and a tapered portion in which the diameter D decreases gradually at each e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is constant portion. However, without providing this constant part, as shown in FIG. 3,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 axis 35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is rounded, and the diameter D is from the end edge 35Ea to the end edge 35Eb.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changes as it faces. That is, in this example, the diameter D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end edge 35Ea toward the center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becomes a maximum at the center, and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end edge 35Eb. In other words, this example has an aspect in which the pair of tapered portions are integrat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one end of the pair of tapered portions with large diameters facing each other. Thus,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is change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held in the full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and the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s 35Ea and 35Eb with the polymer film 16 is achieved. More definitely avoided.

상기의 둥그스름한 형상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호, 타원호, 쌍곡선 등이어도 되지만, 원호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로써,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35Ea, 35Eb)의 강한 맞닿음이 보다 확실히 회피되기 때문이다. 본례에 있어서도 원호로 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rounded shap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n arc, an elliptical arc, a hyperbolic, or the like, but it is particularly preferably an arc. Thus,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is change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held in the full width of the clamping region, and the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s 35Ea and 35Eb with the polymer film 16 is achieved. This is because it is more certainly avoided. It is also used as an arc in this example.

점감 롤러(35)에 있어서,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직경 D가 최대인 위치(이하, 최대 직경 위치라고 칭함)(P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a)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최대 직경 위치(P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b)까지의 거리를 L2로 한다. 또, 최대 직경 위치(PA)의 직경 D를 DA로 하고, 단부 가장자리(35Ea)의 직경 D를 DE1로 하며, 단부 가장자리(35Eb)의 직경 D를 DE2로 한다. 점감 롤러(35)는, 하기의 (1)과 (2)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apered roller 35,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iameter D is the largest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rgest diameter position) (PA) to the end edge 35Ea is L1, and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The distance from the end edge 35Eb is L2. Further, the diameter D of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is DA, the diameter D of the edge 35Ea is DE1, and the diameter D of the edge 35Eb is DE2. It is preferable that the tapering roller 35 satisfies the following (1) and (2).

0.0007×L1≤DA-DE1 …(1)0.0007×L1≤DA-DE1 ... (One)

0.0007×L2≤DA-DE2 …(2)0.0007×L2≤DA-DE2 ... (2)

(1)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4×L1≤DA-DE1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21×L1≤DA-DE1이다. (2)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14×L2≤DA-DE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0021×L2≤DA-DE2이다.Among (1), more preferably 0.0014×L1≦DA-DE1, and still more preferably 0.0021×L1≦DA-DE1. Among (2), more preferably 0.0014×L2≦DA-DE2, and still more preferably 0.0021×L2≦DA-DE2.

상기 (1)과 (2)의 식은, 이하의 방법으로 도출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대 직경 위치(PA) 상의 임의의 1점(도 6에 있어서는 상측단 점)을 회전 중심(RC)으로 하고 회전축(35a)의 기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있어서 기울기의 변화의 각도를 θ로 한다. 회전축(35a)의 기울기의 변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폴리머 필름(16)의 필름면에 대한 둘레면(35s)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 직경 위치(PA) 상의 상측단 점을 회전 중심(RC)으로 하는 도 6에 나타내는 양태는, 폴리머 필름(16)이 점감 롤러(35)의 도 6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또한, 도 6에는, 지면 좌측의 단부 가장자리(35Eb)를 도 6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지면 우측의 단부 가장자리(35Ea)를 도 6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변위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The equations (1) and (2) are derived by the following method. As shown in Fig. 6, by setting an arbitrary point (the upper end point in Fig. 6) on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as the rotation center RC and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rotation shaft 35a, the tapered roller 35 is When the posture is changed, the angle of change of the inclination is set to θ. Since the change of the inclination of the rotation shaft 35a is to adjust the inclina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with respect to the film surface of the polymer film 16,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point on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is rotated. The aspect shown in FIG. 6 taken as the center RC is a case where the polymer film 16 is positioned above the tapered roller 35 in FIG. 6. In addition, in FIG. 6, the case where the edge 35Eb on the left side of the paper is displaced upward in FIG. 6 and the edge 35Ea on the right side of the paper is displaced downward in FIG. 6 is shown.

점감 롤러(35)의 자세의 변화에 의한 단부 가장자리(35Ea)의 이동 궤적의 길이 DM은 L1×θ이며, 단부 가장자리(35Eb)의 이동 궤적의 길이 DM은 L2×θ이다. DA-DE1 및 DA-DE2는 모두, 두께차가 매우 작은 범위인 폴리머 필름(16)의 두께 분포에 근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DA-DE1는 L1에 비하여 극단적으로 작게 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DA-DE2는 L2에 비하여 극단적으로 작게 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 궤적의 길이 DM을, 단부 가장자리(35Ea) 및 단부 가장자리(35Eb)의 도 4의 상하 방향에서의 변위 길이로 간주한다. 단부 가장자리(35Ea)와 단부 가장자리(35Eb) 중, 도 6에 있어서의 상측에 위치하는 한쪽은 단부 가장자리(35Eb)이며, 점감 롤러(35)의 자세를 변화시킨 경우에 단부 가장자리(35Eb)가 최대 직경 위치(PA)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으면, 단부 가장자리(35Eb)의 강한 맞닿음에 의한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고 생각했다. 단부 가장자리(35Eb)를 도 6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단부 가장자리(35Ea)를 도 6에 있어서의 상방으로 변위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돌출하지 않는 조건은,The length DM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end edge 35Ea due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is L1×θ, and the length DM o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end edge 35Eb is L2×θ. Since both DA-DE1 and DA-DE2 are based on the thickness distribution of the polymer film 16 in a range with a very small difference in thickness, DA-DE1 is extremely small compared to L1, and similarly, DA-DE2 is L2 It is extremely small compared to. Therefore, the length DM of the movement trajectory is regarded as the displacement length of the end edge 35Ea and the end edge 35Eb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FIG. 4. Of the end edges 35Ea and 35Eb, one of the end edges 35Eb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in FIG. 6 is the end edge 35Eb, and when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is changed, the end edge 35Eb is the maximum. It was thought that if it did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radial position PA,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by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 35Eb was prevented more reliably. The same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edge 35Eb is displaced downward in FIG. 6 and the edge 35Ea is displaced upward in FIG. 6. Therefore, the condition that does not protrude like this is:

L1×θ≤DA/2-DE1/2 …(1a)L1×θ≤DA/2-DE1/2… (1a)

L2×θ≤DA/2-DE2/2 …(2a)L2×θ≤DA/2-DE2/2 ... (2a)

이다. 그리고, 직경 R이 일정한 종래의 롤러를 이용하고 있는 경우의 θ는 0.00035rad(0.02° 정도)의 범위에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θ=0.00035를 상기의 (1a)와 (2a)의 식에 각각 대입하고, 대입 후의 식을 변형함으로써 상기의 (1)과 (2)를 도출하고 있다.to be. And, since θ is set in the range of 0.00035 rad (about 0.02°) when a conventional roller with a constant diameter R is used, θ = 0.0035 is substituted into the above equations (1a) and (2a), respectively. And, the above (1) and (2) are derived by modifying the equation after substitution.

점감 롤러(35)는, 상기의 (1)과 (2)에 더하여, 하기의 (3)과 (4)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최대 직경 위치(PA) 및 그 주변의 강한 맞닿음이 보다 확실히 회피되기 때문이다. 하기 (3) 및 (4)에 있어서의 T는 폴리머 필름(16)의 두께이다. 폴리머 필름(16)이 폭방향 Y에 있어서 두께의 분포를 갖는 경우에는, 협지 영역 내에서 최소의 두께를 T로 한다.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apering roller 35 satisfies the following (3) and (4) in addition to the above (1) and (2). This is because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pinched in the full width of the pinched region, and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with respect to the polymer film 16 and strong abutment aroun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avoided. T in the following (3) and (4) is the thickness of the polymer film 16. When the polymer film 16 has a thickness distribution in the width direction Y, the minimum thickness in the clamping region is set to T.

DA/2-DE1/2≤T …(3)DA/2-DE1/2≤T… (3)

DA/2-DE2/2≤T …(4)DA/2-DE2/2≤T… (4)

(3)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DA/2-DE1/2≤T/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DA/2-DE1/2≤T/3이다. (4) 중에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DA/2-DE2/2≤T/2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DA/2-DE2/2≤T/3이다.Among (3), more preferably DA/2-DE1/2≦T/2, and still more preferably DA/2-DE1/2≦T/3. Among (4), more preferably DA/2-DE2/2≦T/2, and still more preferably DA/2-DE2/2≦T/3.

상기의 (3)과 (4)는, 이하의 방법으로 도출하고 있다. 즉, 점감 롤러(35)의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하기 위해서는, 두께 T보다 점감 롤러(35)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반경의 차를, 두께 T보다 작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했다. 각 단부 가장자리(35Ea, 35Eb)에서의 반경과 최대 직경 위치(PA)에서의 반경과의 차는, 각각, DA/2-DE1/2 및 DA/2-DE2/2이다. 이것을 식으로 나타낸 것이 (3) 및 (4)이다.The above (3) and (4) are derived by the following method. That is, in order to pinch the polymer film 16 in the full width area of the pinching area of the tapered roller 35, it is more preferable to make the difference in radiu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tapered roller 35 smaller than the thickness T than the thickness T. I thought it was desirab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radius at each end edge 35Ea and 35Eb and the radius at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is DA/2-DE1/2 and DA/2-DE2/2, respectively. This is expressed by equations (3) and (4).

또한, 본례에 있어서는, 단부 가장자리(35Ea)와 단부 가장자리(35Eb)와의 거리 LA는 대체로 10mm이며, 최대 직경 위치(PA)의 직경 DA는 대체로 100mm이지만, 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Further, in the present example, the distance LA between the end edge 35Ea and the end edge 35Eb is approximately 10 mm, and the diameter DA of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is approximately 100 mm, bu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점감 롤러(36)의 둘레면(36s)에 대하여,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례에 있어서 상술한 돌기(41)는, 둘레면(36s)에 있어서 매트릭상으로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의 돌기(41)의 나열 방법은 정방 배열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개수인 열수가 n(n은 25 이하의 자연수)열로 된 돌기군과, 열수가 (n+1)열로 된 돌기군이, 둘레 방향(지면 상하 방향)으로 교대로 나열되어 있다. 단, 상기의 각 돌기군은, 개수가 일정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돌기군 중의 일부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태여도 된다. 이와 같은 양태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돌기(41) 중, 둘레 방향에 있어서 나열하는 일 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of the tapered roller 36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8. In the present example, the protrusions 41 described above are arranged in a metric shap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but the arrangement method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 may be a square arrangement. In this embodiment, a group of protrusions having n (n is a natural number of 25 or less) rows and a group of protrusions having a number of rows of (n+1) row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urface). They are listed in turn. However, the number of each of the protrusion groups may not be constant. For example, some of the projections 41 in the group of projections may not be formed. As such an aspect, among the protrusions 41 shown in FIG. 7, a group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not be formed.

점감 롤러(36)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단부 가장자리(36Ea, 36Eb)를 향함에 따라 직경 D(도 9 참조)가 점감하고 있으므로, 둘레면(36s)의 면적은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36Ea, 36Eb)를 향함에 따라 약간이지만 작아져 있다. 이로 인하여, 둘레면(36s)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41)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피치 P41도, 단부 가장자리(36Ea, 36Eb)를 향함에 따라 약간이지만 작아져 있다. 단, 도 7에 있어서는, 편의상, 각 피치 P41을 동일하게 그리고 있다.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돌기(41)의 피치 P41은, 1.0mm 이상 3.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apered roller 36 has a diameter D (refer to FIG. 9) that gradually decreases toward each end edge 36Ea, 36Eb, so that the are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is the edge of the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t is slightly but smaller as it faces (36Ea, 36Eb). For this reason, the pitch P41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protrusion 41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is also slightly but smaller as it faces the end edges 36Ea and 36Eb. However, in FIG. 7, for convenience, each pitch P41 is drawn equ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pitch P41 of the protrusion 41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1.0 mm or more and 3.0 mm or less.

돌기(41)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뿔 사다리꼴 형상,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각뿔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고 있다. 단, 각뿔 사다리꼴 형상으로서는 사각뿔 사다리꼴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뿔 사다리꼴상, 오각뿔 사다리꼴상 등 외의 각뿔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된다. 또, 돌기(41)는 각뿔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뿔 사다리꼴 형상이어도 되며, 구관상(球冠狀)(예를 들면 반구 형상)이어도 되고, 또는 회전축 방향 또는 회전축과 교차(예를 들면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은 연설(延設) 돌기(도시하지 않음)여도 된다. 연설 돌기로서는, 예를 들면 돌조의 표면의 단면 형상이 파형(波型)인 것이 있다. 단, 본례와 같이 각뿔 사다리꼴 형상인 경우에,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서 폴리머 필름(16)을 협지하는 효과와,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점감 롤러(35)의 단부 가장자리(35Ea, 35Eb) 및/또는 점감 롤러(36)의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36Ea, 36Eb)의 강한 맞닿음을 보다 확실히 회피하는 효과가 현저하다.In this embodiment, the protrusion 41 has a pyramidal trapezoidal shape, more specifically a square pyramidal trapezoidal shape. However, the pyramidal trapezoidal shape is not limited to a square pyramidal trapezoidal shape, and may be a pyramidal trapezoidal shape other than a triangular pyramidal trapezoidal shape and a pentagonal pyramidal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the protrusion 41 is not limited to a pyramidal trapezoidal shape, and may be a conical trapezoidal shape, a spherical tube shape (for example, a hemispherical shape), or intersecting with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r rotational axis (eg orthogonal). It may be a protrusion (not shown) that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speech (延設). As the speech protrusion, for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a wave shape. However, in the case of pyramidal trapezoidal shape as in the present example, even if the posture of at least one of the tapering rollers 35 and the tapering rollers 36 is changed, the effect of holding the polymer film 16 more reliably in the full width of the gripping region Wow, the effect of more reliably avoiding the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s 35Ea, 35Eb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or one end edge 36Ea, 36Eb of the tapering roller 35 with the polymer film 16 Is remarkable.

도 8에 있어서 돌기(41)의 높이 H41는 0.5mm이고, 바닥면의 한 변의 길이 Lb는 0.5mm이며, 상면(41t)의 한 변의 길이 Lt는 0.2mm이다. 높이 H41는 0.1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 내, 길이 Lb는 0.1mm 이상 1.0mm 이하의 범위 내, Lt는 0.05mm 이상 0.5mm 이하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In Fig. 8, the height H41 of the protrusion 41 is 0.5 mm, the length Lb of one side of the bottom surface is 0.5 mm, and the length Lt of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41t is 0.2 mm. The height H41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the length Lb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1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and the Lt is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0.05 mm or more and 0.5 mm or less.

점감 롤러(36)도 점감 롤러(35)와 동일하게,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36Ea)와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36Eb)와의 각각을 향함에 따라, 직경 D가 점감하고 있다. 이로써, 자세의 조정을 직경이 일정한 종래의 롤러만큼 정밀하게 행하지 않아도, 점감 롤러(36)의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된다. 이상과 같이, 점감 롤러(35)의 자세의 조정이 용이한 결과, 점감 롤러(36)의 자세 조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은 짧게 끝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 단부 가장자리(36Ea, 36Eb)를 향함에 따라 직경 D가 점감하고 있기 때문에,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폴리머 필름(16)과 단부 가장자리(36Ea, 36Eb)와의 맞닿음은 지극히 작은 접촉압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41)의 일부만 그리고 있다.The tapering roller 36 is also the same as the tapering roller 35, as shown in Fig. 9, as it faces each of one end edge 36Ea and the other end edge 36Eb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he diameter D is decreasing. Thereby, the polymer film 16 is pinched in the full width area of the pinching area of the tapering roller 36 even if the adjustment of the posture is not performed as precisely as that of a conventional roller having a constant diameter.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the easy adjustment o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5, the time required for the posture adjustment of the tapered roller 36 is shortened, so tha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diameter D decreases toward the end edges 36Ea and 36Eb,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ing roller 36 is changed, the contact between the polymer film 16 and the end edges 36Ea and 36Eb is extremely small. Since it is suppressed by the contact pressure,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is prevented. In addition, in Fig. 9, only a part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 is drawn in order to avoid complication of the drawing.

점감 롤러(36)에 있어서 직경 D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41)의 상면(41t)(도 8 참조)을 가상적으로 연결한 곡면을 둘레면(36s)으로서 간주하고, 이 둘레면(36s)에 있어서 정의하고 있다. 본례에서는, 복수의 돌기(41)는 모두 동일한 높이 H41로 형성되어 있지만, 일부의 돌기(41)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 양태, 즉, 일부의 돌기(41)의 상면(41t)이 상기 곡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양태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든 돌기(41) 중 1/5 이하의 개수이면, 상기의 "일부의 돌기(41)"로 간주하고 있다.In the tapered roller 36, the diameter D is regarded as a circumferential surface 36s, a curved surface virtually connecting the upper surfaces 41t (see FIG. 8)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 as shown in FIG. 9, It is defined in this circumferential surface 36s. In this exampl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1 are all formed at the same height H41, but some protrusions 41 are formed low, that is, the upper surface 41t of some protrusions 41 is lower than the curved surface. It may be an aspect in a 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 number is 1/5 or less among all the protrusions 41, it is regarded as the above "partial protrusions 41".

점감 롤러(36)의 구성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면(36s)에 복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는, 점감 롤러(35)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점감 롤러(36)도, 점감 롤러(35)와 동일하게, 회전축(36a)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단부 가장자리(36Ea)와 단부 가장자리(36Eb)와의 각각을 향함에 따라 둘레면(36s)이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 D가 점감하고 있기 때문에,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36Ea, 36Eb)의 강한 맞닿음을 보다 확실히 피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of the tapered roller 36 is the same as the tapered roller 35, except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41 are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as shown in FIG. do. The tapered roller 36 also has a rounded circumferential surface 36s as it faces each of the end edge 36Ea and the end edge 36Eb in the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36a, similar to the tapered roller 35 Therefore, since the diameter D is gradually decreasing,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ing roller 36 is change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pinched in the full width area of the pinching area, and the end edge of the polymer film 16 ( The strong contact of 36Ea, 36Eb) can be more clearly avoided.

점감 롤러(36)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는, 직경 D가 일정한 일정부(도시하지 않음)가 있어도 되지만, 본례에서는 둘레면(36s)의 회전축(36a)을 따른 단면 형상이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직경 D가 단부 가장자리(36E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6Eb)를 향함에 따라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점감 롤러(36)의 자세를 변화시켜도, 보다 확실히 협지 영역의 전폭역에 있어서 폴리머 필름(16)이 협지되고, 또한 폴리머 필름(16)에 대한 단부 가장자리(36Ea, 36Eb)의 강한 맞닿음을 보다 확실히 피할 수 있다.The tapered roller 36 may have a constant portion (not shown) having a constant diameter D at the center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but in the present example, the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rotation axis 36a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is rounded, Since the diameter D changes from the end edge 36Ea toward the end edge 36Eb, even if the posture of the tapered roller 36 is changed, the polymer film 16 is more reliably held in the entire width of the gripping area. In addition, strong contact of the end edges 36Ea and 36Eb with respect to the polymer film 16 can be avoided more reliably.

점감 롤러(36)에 있어서도,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직경 D가 최대인 위치(이하, 최대 직경 위치라고 칭함)(P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a)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최대 직경 위치(PA)로부터 단부 가장자리(35Eb)까지의 거리를 L2로 한다. 또, 최대 직경 위치(PA)의 직경 D를 DA로 하고, 단부 가장자리(35Ea)의 직경 D를 DE1로 하며, 단부 가장자리(35Eb)의 직경 D를 DE2로 한다. 점감 롤러(36)는, 점감 롤러(35)와 동일하게 상술한 (1)과 (2)를 충족시킴으로써, 점감 롤러(35)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점감 롤러(36)는, 점감 롤러(35)와 동일하게 상술한 (3)과 (4)를 충족시킴으로써, 점감 롤러(35)의 작용과 동일한 작용을 나타낸다.Also in the tapered roller 36, the distance from the position where the diameter D is the largest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argest diameter position) (PA) to the end edge 35Ea is L1, and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The distance from the end edge 35Eb is L2. Further, the diameter D of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is DA, the diameter D of the edge 35Ea is DE1, and the diameter D of the edge 35Eb is DE2. The tapering roller 36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1) and (2) in the same manner as the tapering roller 35, thereby exhibiting the same action as that of the tapering roller 35. Further, the tapered roller 36 exhibits the same action as that of the tapered roller 35 by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3) and (4) in the same manner as the tapered roller 35.

상기의 예는,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에 있어서의 각 협지 영역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둘레면(35s)과 둘레면(36s)과의 전폭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지만, 협지 영역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둘레면의 일부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감 롤러(35)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점감 롤러(35)보다 큰 점감 롤러(45)로 치환해도 된다. 또한, 점감 롤러(45)의 회전축에는 부호 45a를 붙인다. 이 예에서는, 점감 롤러(45)의 둘레면(45s) 중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일부만이 협지 영역(NA)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며, 각 단부는 협지 영역(NA)으로서 예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협지 영역(NA)으로서 예정되어 있지 않은 각 단부의 직경은, 협지 영역(NA)에 있어서의 직경보다 작다. 이와 같이 협지 영역(NA)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점감 롤러(35)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35Ea) 및 단부 가장자리(35Eb)로 간주한다. 따라서, 이 예에 있어서는,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 D를 상술한 DE1 및 DE2로 간주하고, 최대 직경 위치(PA)로부터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의 거리를 상술한 L1 및 L2로 간주한다.The above example is a case where each of the holding regions in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is set to the full width area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5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 The holding region may be set as a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the tapering roller 35 may be replaced with a tapering roller 45 whose siz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tapered roller 35. Further, a reference numeral 45a is attach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tapered roller 45. In this example, only a part of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5s of the tapered roller 45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set as the gripping area NA, and each end portion is not intended as the gripping area NA. And the diameter of each end part which is not predetermined as the clamping region NA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in the clamping region NA. In this way, when the gripping region NA is set only in a part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is tapered to the end edge 35Ea of the roller 35 and It is regarded as the end edge 35Eb. Therefore, in this example, the diameter D of the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is regarded as the above-described DE1 and DE2, a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The distances of the edges of each end of are regarded as L1 and L2 described above.

롤러 쌍에 있어서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역배치로 해도 된다. 즉, 점감 롤러(36)를 제1 롤러로 하고, 점감 롤러(35)를 제2 롤러로 해도 된다. 또,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감 롤러(35)를 상술한 점감 롤러(45)로 치환하고, 또한 점감 롤러(36)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점감 롤러(36)보다 큰 점감 롤러(46)로 치환해도 된다. 도 11에는, 도 1에 있어서의 롤러 쌍의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를 역배치로 한 다음, 점감 롤러(45)와 점감 롤러(46)로 치환한 양태를 나타내고 있다. 점감 롤러(46)의 둘레면(46s)의 전역에는 점감 롤러(36)의 둘레면(36s)과 동일하게 복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감 롤러(46)의 회전축에는 부호 46a를 붙인다. 이 예에서는, 둘레면(45s)과 둘레면(46s) 중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일부만이 협지 영역(NA)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며, 각 단부는 협지 영역으로서 예정되어 있지 않다. 이 예도 협지 영역(NA)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만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점감 롤러(46)에 대해서도 점감 롤러(45)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점감 롤러(36)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36Ea) 및 단부 가장자리(36Eb)로 간주한다. 따라서,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 D를 상술한 DE1 및 DE2로 간주하고, 최대 직경 위치(PA)로부터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의 거리를 상술한 L1 및 L2로 간주한다.In the roller pair,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may be arranged in reverse. That is, the tapering roller 36 may be used as a first roller, and the tapering roller 35 may be used as a second roller.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1, the tapering roller 35 is replaced with the tapering roller 45 described above, and the tapering roller 36 is replaced with a tapering roller whose siz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tapering roller 36 ( 46). In FIG. 11,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of the pair of rollers in FIG. 1 are arranged in reverse, and then the tapering roller 45 and the tapering roller 46 are replaced.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 are formed acros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6s of the tapering roller 46 in the same manner as the circumferential surface 36s of the tapering roller 36. Further, a reference numeral 46a is attached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tapered roller 46. In this example, only a part of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5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6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set as the gripping area NA, and each end portion is not intended as a gripping area. In this example as well, since the gripping area NA is set only in a part of the rotation axis direction, the tapering roller 46 is also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tapering roller 45,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Each end edge in D is regarded as an edge 36Ea and an edge 36Eb in the tapered roller 36. Therefore, the diameter D of the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is regarded as DE1 and DE2 described above, and the edge of each e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Consider the distance as L1 and L2 described above.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감 롤러(35)를 상술한 점감 롤러(45)로 치환하고, 또한 점감 롤러(36)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사이즈가 점감 롤러(36)보다 큰 점감 롤러(47)로 치환해도 된다. 점감 롤러(47)의 둘레면(47s)에는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일부에만 복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감 롤러(47)의 회전축에는 부호 47a를 붙인다. 이 예에서는, 둘레면(45s)과 둘레면(47s) 중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의 일부만이 협지 영역(NA)으로서 설정되어 있으며, 각 단부는 협지 영역으로서 예정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점감 롤러(47)는, 협지 영역(NA)에만 돌기(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도 협지 영역(NA)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부에만 설정되어 있는 경우이기 때문에, 점감 롤러(47)에 대해서도 점감 롤러(45)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점감 롤러(36)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36Ea) 및 단부 가장자리(36Eb)로 간주한다. 따라서,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 D를 상술한 DE1 및 DE2로 간주하고, 최대 직경 위치(PA)로부터 협지 영역(NA)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각 단부 가장자리의 거리를 상술한 L1 및 L2로 간주한다. 이상과 같이, 점감 롤러는, 쌍을 이루는 롤러와의 협지 영역에 있어서 회전축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으면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the tapering roller 35 is replaced with the tapering roller 45 described above, and the tapering roller 36 is replaced with a tapering roller whose siz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at of the tapering roller 36 ( 47) may be substitut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7s of the tapered roller 47,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 are formed only in a part of the center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reference numeral 47a is attach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tapered roller 47. In this example, only a part of the cen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45s and 47s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is set as the gripping region NA, and each end portion is not intended as a gripping region. In addition, in the tapered roller 47, the protrusion 41 is formed only in the holding region NA. In this example, since the gripping area NA is only partially se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the tapered roller 47 is also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ase of the tapering roller 45,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Each end edge in D is regarded as an edge 36Ea and an edge 36Eb in the tapered roller 36. Therefore, the diameter D of the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is regarded as DE1 and DE2 described above, and the edge of each end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gripping area NA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PA Consider the distance as L1 and L2 described above. As described above, the diameter of the tapered roller should just decrease gradually as it faces the edge of each end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in the region between the paired rollers.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 쌍에 있어서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는 역배치로 해도 된다. 또, 제1 롤러로서의 점감 롤러(35)를 점감 롤러(36)로 치환함으로써, 제1 롤러와 제2 롤러와의 양쪽 모두에 점감 롤러(36)를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롤러로서의 점감 롤러의 돌기(41)와, 제2 롤러로서의 점감 롤러(36)의 돌기(41) 사이의 오목부가 대향하는 상태에, 양쪽 모두의 점감 롤러(36)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oller pair,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tapered roller 36 may be arranged in reverse. Further, by replacing the tapering roller 35 as the first roller with the tapering roller 36, the tapering roller 36 may be used for both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n this case, both tapering rollers 36 ar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s between the protrusions 41 of the tapering roller as the first roller and the projections 41 of the tapering roller 36 as the second roller face each other. It is desirable to do.

상술한 제1 롤러로서 점감 롤러(35)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롤러는, 점감 롤러(36)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의 제2 롤러로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경 D가 일정한 일정 직경 롤러(60)가 있다. 일정 직경 롤러(60)는, 점감 롤러(36)와 동일하게 복수의 돌기(41)가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자세 조정부(43)는, 회전축(60a)에 접속하고 있으며, 회전축(60a)의 기울기를 바꿈으로써, 일정 직경 롤러(60)의 자세가 조정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도면의 번잡화를 피하기 위하여, 복수의 돌기(41)의 일부만을 그리고 있다.When using the tapering roller 35 as the above-described first roller, the second roller is not limited to the tapering roller 36. As the second roller in this case, there is a constant diameter roller 60 having a constant diameter D as shown in FIG. 13.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similarly to the tapered roller 36. The posture adjustment unit 43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60a, and the posture of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is adjust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rotation shaft 60a. In addition, in FIG. 13, only a part of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 is drawn in order to avoid complication of the drawing.

또, 점감 롤러(35)와 일정 직경 롤러(60)를 역배치로, 즉, 일정 직경 롤러(60)를 제1 롤러로 하고, 점감 롤러(35)를 제2 롤러로 해도 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어느 한쪽에 점감 롤러(35)를 이용함으로써, 일정 직경 롤러(60)의 자세 변화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6)과 일정 직경 롤러(60)의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60Ea) 또는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60Eb)가 맞닿은 경우여도, 점감 롤러(35)와 일정 직경 롤러(60)에 의한 압압력이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점감 롤러(35)를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다른 한쪽은, 복수의 돌기(41)가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직경 D가 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점감하는 점감 롤러가 아니어도 된다. 단, 점감 롤러(35)와 일정 직경 롤러(60)와의 조합과 비교하면,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may be arranged in reverse, that is,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may be used as the first roller, and the tapered roller 35 may be used as the second roller. By using the tapering roller 35 for either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one end edge 60Ea of the polymer film 16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due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 Or the other end edge 60Eb, since the pressing force by the tapered roller 35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is suppressed to be small,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is suppressed. In this way, when the tapered roller 35 is used as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he other side just needs to hav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1 formed, and the diameter 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side edge. It doesn't have to be a roller. However, com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60, the combination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is more preferable.

상술한 제2 롤러로서 점감 롤러(36)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 롤러는, 점감 롤러(35)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의 제1 롤러로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경 D가 일정한 일정 직경 롤러(70)가 있다. 일정 직경 롤러(70)는, 점감 롤러(35)와 동일하게, 돌기(41)가 형성되지 않고, 둘레면이 대체로 평활하다. 상술한 자세 조정부(43)는, 회전축(70a)에 접속하고 있으며, 회전축(70a)의 기울기를 바꿈으로써, 일정 직경 롤러(70)의 자세가 조정된다.When using the tapering roller 36 as the above-described second roller, the first roller is not limited to the tapering roller 35. As the first roller in this case, there is a constant diameter roller 70 with a constant diameter D as shown in FIG. 14.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like the tapering roller 35, does not have a protrusion 41 and has a generally smooth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osture adjustment unit 43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70a, and the posture of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is adjust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of the rotation shaft 70a.

또, 점감 롤러(36)와 일정 직경 롤러(70)를 역배치로, 즉, 점감 롤러(36)를 제1 롤러로 하고, 일정 직경 롤러(70)를 제2 롤러로 해도 된다.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어느 한쪽에 점감 롤러(36)를 이용함으로써, 일정 직경 롤러(70)의 자세 변화에 의하여 폴리머 필름(16)과 일정 직경 롤러(70)의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70Ea) 또는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70Eb)가 맞닿은 경우여도, 점감 롤러(36)와 일정 직경 롤러(70)에 의한 압압력이 작게 억제되기 때문에, 폴리머 필름(16)의 손상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점감 롤러(36)를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어느 한쪽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다른 한쪽은, 점감 롤러가 아니어도 된다. 단, 점감 롤러(36)와 일정 직경 롤러(70)와의 조합과 비교하면, 점감 롤러(35)와 점감 롤러(36)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the tapered roller 36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may be arranged in reverse, that is, the tapered roller 36 may be a first roller,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may be a second roller. By using the tapering roller 36 for either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one end edge 70Ea of the polymer film 16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due to the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 Or the other end edge 70Eb, since the pressing force by the tapered roller 36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is suppressed to be small, damage to the polymer film 16 is suppressed. In this way, when the tapering roller 36 is used as either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he other may not be a tapering roller. However, compar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 tapering roller 36 and the constant diameter roller 70, the combination of the tapering roller 35 and the tapering roller 36 is more preferable.

또, 필름 제조 라인(12)과, 권취 장치(14)와의 사이에서 널링(42)을 부여하는 예로 설명을 했지만, 필름 제조 라인 내에 널링 장치(13)를 배치함으로써, 제조 중의 필름에 대하여 널링(42)을 부여해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an example of providing the knurling 42 between the film production line 12 and the take-up device 14 has been described, by arranging the knurling device 13 in the film production line, knurling ( 42) may be given.

Claims (15)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반송 중의 폴리머 필름을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에 의하여 협지함으로써 상기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회전축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점감 롤러이고,
상기 점감 롤러는, 상기 직경이 최대인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상기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2로 하며, 상기 최대 직경 위치에 있어서의 직경을 DA로 하고, 상기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1로 하며, 상기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2로 할 때에, 하기의 (1)과 (2)를 충족시키는 널링 장치.
0.0007×L1≤DA-DE1 …(1)
0.0007×L2≤DA-DE2 …(2)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which are rotatably provided, and knurled the polymer film by holding the polymer film during conveyance by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n the knurling device for impar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a tapered roller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n the tapered roller,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at which the diameter is the largest to the edge of one end of the end is L1,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to the edge of the other end is at L2, and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A knurling device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1) and (2) when the diameter in D is set to DA, the diameter of one end edge is DE1,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edge is DE2.
0.0007×L1≤DA-DE1 ... (One)
0.0007×L2≤DA-DE2 ...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감 롤러는,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상기 둘레면이 상기 회전축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상기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knurling devic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rounded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as the tapered roller faces the end edge, and the diameter decreases gradual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감 롤러는,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상기 둘레면이 상기 회전축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상기 직경이 변화하고 있는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apered roller is a knurling devic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rounded shap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and the diameter changes from one end edge to the other end ed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감 롤러는,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상기 둘레면이 상기 회전축을 따른 단면에 있어서 둥그스름한 형상으로, 상기 직경이 변화하고 있는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tapered roller is a knurling device in whi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has a rounded shape in a cross section along the rotation axis, and the diameter changes from one end edge to the other end edg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둥그스름한 형상은 원호 형상인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rounded shape is an arc shape knurling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둥그스름한 형상은 원호 형상인 널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rounded shape is an arc shape knurling devi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둥그스름한 형상은 원호 형상인 널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rounded shape is an arc shape knurling devic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각뿔 사다리꼴 형상인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protrusion is a knurling device having a pyramidal trapezoidal shape.
삭제delet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감 롤러는 상기 복수의 돌기를 갖는 널링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tapering roller is a knurling device havi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점감 롤러는 상기 복수의 돌기를 갖는 널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tapering roller is a knurling device having the plurality of projections.
삭제delete 장척인 폴리머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롤러와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의 둘레면에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에 의하여 반송 중의 상기 폴리머 필름을 협지함으로써 상기 폴리머 필름에 널링을 부여하는 널링 부여 공정을 갖고,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회전축 방향의 각 단부 가장자리를 향함에 따라 직경이 점감하고 있는 점감 롤러이고,
상기 점감 롤러는, 상기 직경이 최대인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1로 하고, 상기 최대 직경 위치로부터 다른 한쪽의 상기 단부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를 L2로 하며, 상기 최대 직경 위치에 있어서의 직경을 DA로 하고, 상기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1로 하며, 상기 다른 한쪽의 단부 가장자리의 직경을 DE2로 할 때에, 하기의 (1)과 (2)를 충족시키는 널링 부여 방법.
0.0007×L1≤DA-DE1 …(1)
0.0007×L2≤DA-DE2 …(2)
A conveyance process of conveying a long polymer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formed on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provided to be rotatable, and the polymer film is held by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to pinch the polymer film during conveyance. It has a knurling process that gives knurl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is a tapered roller whos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 each end edge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In the tapered roller,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at which the diameter is the largest to the edge of one end of the end is L1, the distance from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to the edge of the other end is at L2, and the maximum diameter position A method for applying knurling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1) and (2) when the diameter in D is DA, the diameter of one end edge is DE1, and the diameter of the other end edge is DE2. .
0.0007×L1≤DA-DE1 ... (One)
0.0007×L2≤DA-DE2 ... (2)
KR1020197026933A 2017-03-24 2018-03-23 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KR1021808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59847A JP6730951B2 (en) 2017-03-24 2017-03-24 Knurling device and knurling method
JPJP-P-2017-059847 2017-03-24
PCT/JP2018/011891 WO2018174278A1 (en) 2017-03-24 2018-03-23 Knurling device and knurling apply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6430A KR20190116430A (en) 2019-10-14
KR102180858B1 true KR102180858B1 (en) 2020-11-19

Family

ID=63586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6933A KR102180858B1 (en) 2017-03-24 2018-03-23 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30951B2 (en)
KR (1) KR102180858B1 (en)
WO (1) WO2018174278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679A (en) * 2002-07-01 2004-02-05 Eikichi Yamaharu Method and device for coarsening surface of resin film, and film having surface coarsened by the method
JP2010137396A (en) 2008-12-10 2010-06-24 Fujifilm Corp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compensation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4218016A (en) * 2013-05-08 2014-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Knurling device and method, and film roll 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1465B2 (en) * 2002-09-19 2007-05-09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yvinyl alcohol film
JP2008044336A (en) * 2006-07-20 2008-02-28 Konica Minolta Opto Inc Touch roll, manufacturing device for optical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optical film
JP5253038B2 (en) * 2008-08-19 2013-07-31 日立造船株式会社 Sheet / film roll forming apparatus and roll form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4679A (en) * 2002-07-01 2004-02-05 Eikichi Yamaharu Method and device for coarsening surface of resin film, and film having surface coarsened by the method
JP2010137396A (en) 2008-12-10 2010-06-24 Fujifilm Corp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optical compensation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JP2014218016A (en) * 2013-05-08 2014-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Knurling device and method, and film roll prod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30951B2 (en) 2020-07-29
JP2018161782A (en) 2018-10-18
WO2018174278A1 (en) 2018-09-27
KR20190116430A (en)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196B2 (en) Filament feeder
EP3361453A1 (en) Flattening device and financial self-service equipment
KR101952266B1 (en) Expander Roller
JP5589824B2 (en) Glass plate manufacturing method, glass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glass roll
TWI820156B (en) How to make glass rolls
EP2578522A1 (en) Coreless paper roll rewinding machine
JP7111683B2 (en) Winding device and winding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KR20090079785A (en) Coating film transfer tool
JP4983950B2 (en) Fiber bundle traversing device, fiber bundle pack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KR102180858B1 (en) Nulling device and method for granting nulling
JP2006159775A (en) Film stretching equipment and film stretching method
WO2014127569A1 (en) Mask plate
JP2013129464A (en) Guide roller
US110913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wrapping material
US8430727B2 (en) Device for producing blown films
JP2015171946A (en) Winding device
JP4449673B2 (en) Fiber bundle winding device, fiber bundle pack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fiber bundle package manufacturing method
US20040003628A1 (en) Optical fiber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2022147820A (en) Method of producing film roll
KR102195742B1 (en) Electrode manufacturing apparatus
WO2015182231A1 (en) Curl removal device and curl removal method
WO2020054509A1 (en) Polyvinyl alcohol film roll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1063885A (en) Manufacture of sheet roll body and device therefor
CN221026740U (en) Tension control device for pre-wound collagen film
JP5704759B2 (en) Polymer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