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724B1 -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 Google Patents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724B1
KR102180724B1 KR1020190149032A KR20190149032A KR102180724B1 KR 102180724 B1 KR102180724 B1 KR 102180724B1 KR 1020190149032 A KR1020190149032 A KR 1020190149032A KR 20190149032 A KR20190149032 A KR 20190149032A KR 102180724 B1 KR102180724 B1 KR 10218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us
soil
weight
fertilizer
composite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박인자
김준민
김수민
Original Assignee
김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찬 filed Critical 김영찬
Priority to KR1020190149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3/00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additives not having a specially fertilising activity
    • C05G3/60Biocides or preservatives, e.g. disinfectants, pesticides or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발효시간이 단축되면서 2차, 3차의 오염이 없으면서도 오염된 토양을 빠르게 복원시키고, 또한 인체에 무해하면서 종래 비료를 사용할 때보다 식물의 성장이 빠르므로,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생기는 부작용인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농경지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주택 등에서 화분에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며, 부엽토를 가공하여 사용함에 따라 부엽토 내의 해로운 균을 없애고 미생물균을 활성화 시켜 확대 배양할 수 있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A PREPAING METHOD OF COMPOUND FERTILIZER AND COMPOUND FERTILIZER THEREBY}
본 발명은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렴한 비용으로 발효시간이 단축되면서 2차, 3차의 오염이 없으면서도 오염된 토양을 빠르게 복원시키고, 또한 인체에 무해하면서 종래 비료를 사용할 때보다 식물의 성장이 빠르므로,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생기는 부작용인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농경지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주택 등에서 화분에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며, 부엽토를 가공하여 사용함에 따라 부엽토 내의 해로운 균을 없애고 미생물균을 활성화 시켜 확대 배양할 수 있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잦은 기후변화에 의해 해수유입토양과 간척지 토양이 점차 늘어나고 있고, 나아가 농작물의 재배시 화학비료와 농약의 빈번한 사용은 토양을 점차 산성화시키고, 농경지를 황폐화시키고 있다. 또한 공장의 증가에 따라 사용되는 유류, 화학물질, 등으로 인해 해안의 오염, 유류저장소나 주유소 근처의 토양 등의 오염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오염으로 인한 어류의 죽음이나 토양의 산성화/유류화로 인한 불모지의 증가는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더욱 치명적이라 할 것이다.
이에 오염된 토양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해당지역의 오염토양을 굴토하여 물을 주기적으로 살포하면서 오염된 토양을 교반하여 오염물질을 탄소원으로 흙속에 있는 미생물이 자라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과, 토양에 미생물활동을 진척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바업과, 토양에 오염물질을 유기용매에 녹여, 미생물 활동을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화학비료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오염물질의 분해속도가 느려 토양의 복원시간이 길어지고, 그만큼 효율성도 떨어지며, 화학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화학계면활성제 자체가 또 다른 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미생물의 배양을 위하여 화학비료를 첨가하는 방법 또한 토양미생물의 활력을 줄이고, 토양의 기능을 약화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천연비료의 중요성 및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만큼 다양한 종래기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224517호 "싹틔운 보리와 민물이끼를 이용한 천연비료 및 그 제조방법", 등록특허 제10-1221530호 "벼목 화본과의 작물과 뜨물을 이용한 천연비료 및 그 제조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들과 같이, 본 출원인은 다양한 천연 원료를 이용하여 복합비료를 생산 및 실험을 거듭한 결과, 부엽토를 가공하여 천연발효제로서 사용하고, 생분해성 유기물 및 생석회를 포함하여 발효 및 숙성 시킨 복합비료를 사용하였을 때, 오염된 토양이 빠르게 복원되어 식물생장에 효과적임을 확인함에 따라 본 발명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국내산 부엽토의 가공을 통해 유해미생물류인 병원성미생물균(바이러스)과 유해 곤충알 등을 제거하고, 유효미생물균을 확대 배양시켜 오염된 토양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면서 2차, 3차적인 오염이 없으며 토양이 효과적으로 복원되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학성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화학비료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엽토를 교반기내에서 60~100℃로 가온 및 교반하여 가공하는 단계;
가공된 부엽토 5~60 중량%와, 생분해성 유기물 30~70중량%와, 생석회 5~3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가온 및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복합비료를 15도~25도 사이의 음지에서 숙성하는 숙성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합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는
국내의 산림낙엽부엽토, 대나무낙엽부엽토 등을 가공하여 사용함에 따라 인공발효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다양하고 강력한 국내 토착미생물균들로 포집되어 있어, 발효시간이 단축되며, 토양에 사용하는 경우에도 다양하고 강력한 토양토착미생물균류가 포집됨에 따라 종래보다 토양에 유익하며 비용이 저렴하다는 효과가 있다.
즉, 저렴한 비용으로 발효시간이 단축되면서 2차, 3차의 오염이 없으면서도 오염된 토양을 빠르게 복원시키고, 또한 인체에 무해하면서 종래 비료를 사용할 때보다 식물의 성장이 빠르므로, 화학비료를 사용하여 생기는 부작용인 토양의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농경지 뿐만 아니라 아파트나 주택 등에서 화분에 사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나아가 해충꼬임 방지 및 방취용 첨가물을 더 혼합함에 따라, 토양에 해충이 꼬이는 문제를 해결하고, 비료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개략적인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은 크게 부엽토를 교반기내에서 60~100℃로 가온 및 교반하여 가공하는 단계, 가공된 부엽토 5~60 중량%와, 생분해성 유기물 30~70중량%와, 생석회 5~3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재료를 가온 및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복합비료를 15도~25도 사이의 음지에서 숙성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단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엽토는 산림낙엽부엽토, 대나무낙엽부엽토 등 국내에서 서식하는 나무의 잎이나 작은 가지 등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 분해되어 생긴 흙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부엽토는 미생물에 의해 부패 및 분해되어 생긴 흙으로, 탄저병균, 파상풍균, 무름병균, 노균병균, 조류독감바이러스, 구제역병균, 아프리카돼지열병균 등과 같은 인체나 동식물에 유해한 병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토양선충, 제선충, 각종 곤충알과 잡초씨앗 등이 포함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부엽토를 가열 및 교반하여 가공함으로서, 상기 병균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부엽토를 가공하는 단계에서는, 국내의 부엽토를 분쇄하여 온열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는데, 상기 부엽토는 입경이 약1 ~10mm 가 되도록 분쇄한 후, 온열교반기에 투입하여 60~100℃의 온도로 약 2~4시간 정도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엽토를 분쇄하는 이유는, 실제 비료를 사용할 때의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고, 토양과 보다 빠르고 쉽게 혼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가공된 부엽토(이하 '부엽토'라 하도록 한다.)는 재료혼합단계에서 생분해성 유기물 및 생석회와 혼합되게 되는데, 상기 부엽토 5~60중량%, 생분해성 유기물 30~70중량%, 생석회 5~3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분해성 유기물은 폐단백질 공급원 및 각종 동식물 폐기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생분해성 유기물로 각종 음식물 폐기물과 가축사체, 가축배설물 등의 폐기물, 어폐류 폐기물 등을 선택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폐기물을 처리함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공급이 풍부하게 되어 토양의 복원 및 개량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며, 더 나아가 상기 단백질의 공급원으로 주정박, 건조음식물, 비지 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생석회(CaO)는 토양을 알카리화시키도록 염기성 성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부엽토, 생분해성 유기물, 생석회를 혼합한 후, 발효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 발효단계는 상기 부엽토 가공 및 재료혼합단계와의 연속 공정으로, 혼합물질을 80~100℃로 2~4시간 가온 교반하여 발효를 완성시킨다. 이 때 교반하는 재료의 습도는 40~60%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pH는 6~7의 중성을 띄도록 하며, 톤백용기에 담아 창고에서 통풍이 유지되도록 1일간 상온(15~25℃)에서 1차 숙성한다.(숙성단계)
1차 숙성이 완료된 물질의 습도는 20~30%이고, pH는 6.5~7.5이다.
1차 숙성된 톤백을 다시 출하 창고로 옮겨서 1일간 2차 자연숙성을 완성하고, 완성된 복합비료의 습도는 15~25%이고 pH는 7.5~8이 된다.
상기의 숙성단계는 유효미생물의 기능을 확대 및 재생산하기 위하여 그늘진 창고에서 수분을 20% 정도로 유지시켜주면서 진행시킨다. 또한 창고 이동을 통하여 숙성을 2회 반복함으로서, 각기 다른 조건에서 골고루 발효시켜 복합유기발효물이 숙성되도록 하여 다양한 토양 미생물균이 활성화되어 비료의 질을 높여주도록 하며, 적당한 수분함량과 산도, 토양미생물의 생장을 조절해주는 한편, 일반적으로 혼합 발효 숙성(75일) 시키는 경우보다 최소 2개월 이상 제품의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복합비료는 경우에 따라서는 2차로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배합한다.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배합하는 이유는 건강한 토양의 1g속에 토양미생물이 약 1억마리 이상이 서식하고 있으며, 서식하고 있는 토양미생물의 종류도 3,000여종이 넘게 알려져 있으므로, 이들 미생물을 확대배양하여 미생물의 힘을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제조하려는 비료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의 발효 혼합물 10~90중량%와 토양 10~90중량%를 혼합하고, 이를 다시 상온에서 1일간 숙성시켜 토양과 발효 혼합물이 효과적으로 혼합되고 미생물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
아울러, 상기 발효단계에는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 또는 방취용 첨가물 또는 이들 모두를 더 혼합하여 가온 및 교반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은 은행부산물 또는 솔잎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방취용 첨가물은 깨부산물, 칡부산물, 연잎부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로서 은행부산물은 은행 열매나 열매껍질, 은행나무 잎을 말하는 것으로서, 은행나무에 들어 있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살균/살충 작용을 하여 해충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은행 열매, 보다 정확하게는 열매의 겉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발로볼(bilobol)과 은행산(ginkgoic acid) 등의 성분으로 악취가 발생하고, 이는 해충의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솔잎의 성분 중 테르펜에는 해충들이 싫어하는 탄닌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은 솔잎 부산물과 은행부산물을 1: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쇄 후 가온하여 상기 복합비료에 혼합한 후 함께 발효 및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취용 첨가물로서 깨분산물, 칡부산물, 연잎부산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할 수 있는데,
깨부산물은 깻잎, 열매껍질, 깻묵 등의 부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깻잎 등의 깨 부산물의 주성분으로 방향성 정유인 페릴라알데히드와 페릴라케톤이 냄새를 없앨 수 있다.
나아가 연잎 부산물이란, 연못이나 호수 등에서 수거한 갈변된 연잎, 일반 연잎을 말하며 연잎은 탈취작용이 강해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기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첨가물들로 인하여, 복합비료에서 특유의 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칡 부산물은 갈근, 잎, 넝쿨 등을 포함하는 부산물을 말한다.
상기 첨가물들은 복합비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 10~30 중량부, 방취용 첨가물 10~3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첨가물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해충 꼬임 및 방취의 효과가 미비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3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료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복합비료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총 중량 1000Kg에 대하여 산림낙엽토 및 대나무낙엽토로 이루어지는 부엽토를 분쇄하여 80℃로 3시간 가열교반하여 부엽토를 가공하고, 가공된 부엽토 10중량%, 유기물로서 생석회 5중량%, 미오염토20중량%, 건조음식물폐기물 40중량%, 동식물성폐기물 15중량% 및 비지와 주정박의 혼합물 10중량%를 혼합하여 4시간 가온 교반한 후 1일 1차숙성한다.
1차 숙성된 제품을 출하창고로 옮겨 1일 2차 숙성을 완료한다.
실험예1.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유기발효물 복합비료와 오염된 토양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잔디(Creeping bentgrass)를 파종하여 그 생장정도를 비교하는 실험을 해보았다. 이때의 오염된 토양은 공장이나 군부대 등에서 사용된 유류, 화학물질 등으로 오염된 토양과 유류사고 등으로 오염된 해안, 소수성 오염물질이 함유된 슬러지, 주유소 및 유류저장소 근처의 흙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석유류(경유)로 오염된 토양을 사용하였다.
총 중량 1000kg에 대하여 오염된 토양만을 사용한 경우와, 오염된 토양과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유기발효물 복합비료를 2:3, 1:1, 3:2, 7:3으로 각각 혼합한 경우와, 오염된 토양과 통상의 퇴비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와, 오염된 토양과 요소비료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경우 및 오염되지 않은 토양만을 각각 준비하여 5㎡의 묘판에 상기의 준비한 토양을 알맞게 담고 잔디를 식재하여 기간에 따른 잔디의 평균성장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표1]과 같다.
[표1]
Figure 112019118970303-pat00001
상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합비료를 총 중량에 대하여 10중량%에서 90중량%까지 함량비를 달리하여 테스트한 결과, 복합비료의 합량이 40~60중량%일 때 28일 후 잔디가 25mm 자랐음을 볼 수 있다.
또한 30중량%일 때는 20mm의 성장을 볼 수 있었고, 20중량%일때는 12mm, 10중량%일때는 8mm의 성장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오염된 토양 대비 복합비료의 함량이 부족하여, 오염된 토양 전체를 정화시키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복합비료의 함량이 6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성장이 더디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과공급으로 인해 토양의 영양분이 줄어 잔디의 생장을 방해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통상의 발효퇴비를 사용하는 경우 28일 후 7mm 의 성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복합비료의 함량을 40~60중량%로 할 때의 7일차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복합비료가 기존의 발효퇴비보다 식물의 생장을 더 촉진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 비해서도 생장 속도 및 생장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40~60중량%로 사용한 경우, 오염된 토양이 개선되어 잔디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2.
상기 실험예1에서의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사용하기 전과 사용 후 28일이 경과한 후의 토양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석유류(경유)로 오염된 토양 60중량%와, 복합비료 40중량%를 혼합하여 관찰하였다.
[표2]
Figure 112019118970303-pat00002
상기 [표2]에서 나타나 바와 같이, 토양이 오염되었을 때에는 토양의 pH가 4.9로 산성도가 심하였으나, 복합비료를 사용하는 경우 pH 7.5로 토양이 알카리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석유의 구성성분인 헥사데칸의 수치가 2000ppm에서 40ppm으로 감소한 결과를 통하여, 오염원을 제거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변화된 수치는 오염되지 않은 일반 토양과 거의 유사한 수치이다.
실험예3.
오염 전의 토양에 본 발명의 복합비료와 통상의 퇴비 및 요소비료를 사용하여 배추를 각 10포기씩 재배하였으며, 또한 상기 실험예 2를 통하여 복원된 토양에도 배추를 10포기씩 재배하면서, 각각의 경우의 기간에 따른 배추의 평균 성장길이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3]과 같다.
[표3]
Figure 112019118970303-pat00003
상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오염 전의 토양만을 사용하여 배추를 재배한 경우 28일 경과 후에도 3.5㎝ 자라는데 그쳤으며, 요소비료나 통상의 퇴비를 오염 전의 토양에 사용한 경우에 28일 경과 후 5.1㎝ 및 6.0㎝ 자랐음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오염 전의 토양에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사용하여 배추를 재배하였을 경우 배추가 12.0㎝ 자랐으며, 또한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사용하여 오염된 토양을 복원시킨 후 배추를 재배한 경우 28일 경과 후 10.5㎝ 자랐음을 볼 수 있다.
즉, 오염되기 전의 일반 토양에 배추를 재배하는 경우 28일 경과 후에도 배추가 거의 자라지 않았으며, 통상인 퇴비나 요소비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토양만을 사용한 경우보다는 많이 자랐으나, 이들에 비하여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오염 전 토양에 사용하여 배추를 재배하는 경우 배추가 현저하게 많이 자랐음을 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사용하여 토양을 복원시킨 경우에도 오염 전 토양에 본 발명의 복합비료를 사용하여 재배한 경우와 유사한 정도로 배추가 많이 자랐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비료는 통상의 화학적인 비료나 퇴비보다 비료로서의 효과가 현저히 좋을 뿐만 아니라, 오염된 토양에 사용하는 경우 오염된 토양이 복원되는 동시에 잔존하는 본 발명의 복합비료 성분이 작물의 재배에 대단히 좋은 역할을 해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4.
상기 해충 꼬임방지 첨가물을 은행잎과 솔잎을 섞은 후, 상기 복합비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유량을 달리하도록 혼합하고,
혼합된 복합비료를 곤충이나 벌레에게 노출이 가능한 노지에 도포하고, 파리 끈끈이를 주변에 설치하여 해충의 접근도를 확인하였다.
[표4]
Figure 112019118970303-pat00004
상기 [표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첨가물의 함량이 10중량부를 넘어감에 따라 해충의 접근도가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5.
복합비료에 방취 첨가물을 혼합한 후, 냄새수치를 확인한 결과,
첨가물 혼합 전 6ppm에서 1ppm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M :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Claims (4)

  1. 부엽토를 교반기내에서 60~100℃로 가온 및 교반하여 가공하는 단계(M1);
    가공된 부엽토 5~60 중량%와, 생분해성 유기물 30~70중량%와, 생석회 5~3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M2);
    상기 혼합된 재료를 가온 및 교반하여 발효시키는 단계(M3);
    발효된 복합비료를 숙성하는 숙성단계(M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엽토는
    입경이 1~10㎜ 가 되도록 분쇄 후 교반기 내에서 2~4시간 가공하고,
    상기 숙성단계(M4)는
    혼합된 재료를 80~100℃로 2~4시간 가온 교반하고, pH 6~7의 중성을 띄도록 하여 1일간 15~25℃에서 숙성하는 단계를 2회 반복하고,
    상기 발효단계(M3)에는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과 방취용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가온 및 교반하여 발효시키되,
    상기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은 은행부산물 및 솔잎의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취용 첨가물은 깨부산물, 칡부산물, 연잎부산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되,
    제조하는 복합비료의 총 중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 해충 꼬임 방지용 첨가물 10~30 중량부, 방취용 첨가물 10~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료혼합단계(M2)의 생분해성 유기물은 폐단백질 공급원 또는 동식물 폐기물 또는 이들 모두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
  2. 청구항 1의 복합비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비료.
  3. 삭제
  4. 삭제
KR1020190149032A 2019-11-19 2019-11-19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KR102180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32A KR102180724B1 (ko) 2019-11-19 2019-11-19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032A KR102180724B1 (ko) 2019-11-19 2019-11-19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724B1 true KR102180724B1 (ko) 2020-11-19

Family

ID=7367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032A KR102180724B1 (ko) 2019-11-19 2019-11-19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7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13A (ko) * 1985-07-30 1987-03-12 원본미기재 살충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50051002A (ko) * 2003-11-26 2005-06-01 김영찬 유기발효물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48484B1 (ko) * 2018-09-27 2019-02-14 김응준 유기농재료를 배합한 친환경 고형비료제조방법 및 액체비료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213A (ko) * 1985-07-30 1987-03-12 원본미기재 살충제 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50051002A (ko) * 2003-11-26 2005-06-01 김영찬 유기발효물 복합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48484B1 (ko) * 2018-09-27 2019-02-14 김응준 유기농재료를 배합한 친환경 고형비료제조방법 및 액체비료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711B1 (ko) 가공된 부엽토와 산야초효소를 이용한 복합미량원소 토양개량미생물비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미량원소 토양개량미생물비료
Coventry et al. Control of Allium white rot (Sclerotium cepivorum) with composted onion waste
CN103613459A (zh) 大棚种植用育苗基质
CN103613455A (zh) 大棚种植用育苗基质的制备方法
KR101132712B1 (ko) 토양 병해충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CN107242127A (zh) 一种使用生态有机肥的园艺营养土的制造方法
CN102633544A (zh) 一种以农家肥为原料生产烟草生物肥料方法
JP5898879B2 (ja) 海藻含有肥料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海藻含有肥料
KR101073887B1 (ko) 유황발효액비와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식물병 치료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638B1 (ko) 불가사리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살균, 살충 효과를 갖는 토양 개량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Vaish et al. Microbial basis of organic farming systems with special reference to biodynamic preparations
KR100391102B1 (ko) 분뇨 비료
CN104824040A (zh) 生物杀虫生根双重保护剂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KR101754717B1 (ko)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KR102180724B1 (ko) 가공된 부엽토를 이용한 복합비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비료
KR100865032B1 (ko) 가축 분뇨를 이용한 친환경 기능성 유기질 비료 제조제
JP7051139B2 (ja) 堆肥の製造方法、液肥の製造方法、及び堆肥
Ellis et al. Composting and using backyard poultry waste in the home garden
WO2002045480A1 (en) Transplant for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ji Nutrition management in conversion-to-organic citrus orchard in the Indonesian citrus and subtropical fruits research institute
Biernbaum Organic matters: feeding the soil and building soil quality
KR101782842B1 (ko) 병충해에 강한 허브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천연허브복합비료 및 그 이용방법
JP3417556B1 (ja) 刈草堆肥浸出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28618B2 (ja) ぼかし肥の製造方法
Wani et al. Vermicomposting: Recycling wastes into valuable manure for sustained crop intensification in the semi-arid trop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