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59B1 -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 Google Patents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659B1 KR102180659B1 KR1020190109237A KR20190109237A KR102180659B1 KR 102180659 B1 KR102180659 B1 KR 102180659B1 KR 1020190109237 A KR1020190109237 A KR 1020190109237A KR 20190109237 A KR20190109237 A KR 20190109237A KR 102180659 B1 KR102180659 B1 KR 1021806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printer
- pin
- rear case
- front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본체부의 분해가 가능하며 케이스의 용적 조절이 가능한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osk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kiosk having a variable-volume case capable of disassembling a main body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and adjusting the volume of the case.
대형병원은 물론 정부기관이나 터미널, 공항, 은행, 백화점, 학교 등의 공공장소에는 해당 장소의 이용에 관한 여러 가지 필요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가 설치되어 있다. In addition to large hospitals, kiosks are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terminals, airports, banks, department stores, and schools that provide various necessary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those places.
이러한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과 첨단 멀티미디어 기기를 내장하며, 이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화면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인 정보안내시스템으로서 그 종류나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다. 키오스크도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차 일반화되어, 최근에는 소규모의 병원이나 미용실 또는 식당이나 마트 등에서도 운용되는 경우가 많다.Such a kiosk is an unmanned information guide system that incorporates a touch screen and high-tech multimedia devices and outputs information requested by users through a screen and a speaker, and has a wide variety of types and designs. Kiosk is also gradually generalize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recently, it is often used in small hospitals, beauty salons, restaurants, marts, and the like.
식당이나 미용실 등에 설치되는 키오스크는 이용자가 직접 상품이나 서비스를 주문하고 해당 주문에 대한 요금을 현장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져 소위 무인주문 및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금액 결제 기능을 갖춘 만큼 해당 키오스크는 결제 금액에 대한 종이 영수증을 출력하여야 하므로 내부에 프린터를 내장하고 있다.Kiosks installed in restaurants or beauty salons have the function of allowing users to directly order products or services and pay for the order on-site, so they are used as so-called unmanned orders and payment methods. As it has a payment function, the kiosk has a built-in printer because it has to print a paper receipt for the payment amount.
키오스크에 내장되는 프린터는, 대개, 롤의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롤페이퍼를 통과시키며 종이에 필요한 내용을 인쇄한 후 외부로 배출하는 기본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키오스크용 프린터는, 키오스크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지속적인 유지가 필요하다. 가령, 롤페이퍼와 잉크 또는 토너 등을 보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것이다.A printer built into a kiosk usually has a basic structure that passes through a roll of paper wound in the form of a roll, prints the necessary content on the paper,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Such a kiosk printer is installed inside the kiosk case and needs continuous maintenance. For example, it must be managed periodically to replenish roll paper and ink or toner.
그런데 종래의 키오스크용 프린터는 유지보수에 불편함이 있었다. 그 이유는, 도어를 개방한다 하더라도 프린터가 위치한 공간이 일단 협소하고 더욱이 다른 구성품과 공간을 공유하여 프린터에 손이 쉽게 닿지 않기 때문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kiosk printer has inconvenient maintenance. The reason is that even if the door is opened, the space in which the printer is located is once narrow, and moreover, the space is shared with other components so that the printer cannot be easily reach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본체부를 받치는 케이스부의 용적이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고, 케이스부 내에 설치되는 프린터의 유지 보수성이 양호한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osk having a volume-variable case in which the volume of the case part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is adjustable as needed and maintainability of the printer installed in the case part is go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는, 전방으로 개방된 제1공간부를 갖는 후방케이스,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개방된 제2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후방케이스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후방케이스에 대한 전방케이스의 상대 위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인 내부 용적이 조절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후방케이스에 대한 전방케이스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kiosk having a volume-variabl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olution to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ear case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open to the front, a second space portion open toward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A case portion including a front case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of the rear case in a state partially accommodated in one space portion, and adjusting an overall internal volume by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It is installed detachab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또한, 상기 전방케이스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핀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케이스의 측면에는, 전방케이스가 후방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수의 핀홈 중 하나의 핀홈에 대응하는 핀장착구멍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핀장착구멍에 내장되는 스프링과, 상기 핀장착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핀홈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는 탄성가압부, 상기 핀장착구멍의 외부로 노출되어 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핀홀로부터 빼내기 위한 힘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록킹핀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n groov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case, and a pin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in grooves among the plurality of pin groove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se is inserted into the rear case. The mounting hole is located, the fixing means; A spring embedded in the pin mounting hole, and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pin groove side by the action of the spring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in mounting hole, and an elastic pressing part receiving an elastic force from the spr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mounting hole And a locking pin formed with a protrusion fitted into the pin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through which force is applied to remove the protrusion from the pin hole.
아울러,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측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후방케이스의 장착홈에 끼움결합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회전 중심축으로 삼아 회전 가능하며, 전방케이스를 후방케이스 내부로 진입시키기 전에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전방케이스를 후방케이스의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 가능한 프린터가 구비되며, 상기 프린터는; 상기 지지로드를 수평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프린터본체와, 상기 프린터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프린터본체를 향해 종이를 공급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프린터본체를 사이에 두고 급지카세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프린터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물을 가이드 하여 전방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한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case, and the body portion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rear case, and the inside of the front case; A support ro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ing a support force, and the support rod can be rotated using the support rod as a rotational center axis, and rotated before entering the front case into the rear case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rinter capable of being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withdrawn state is provided, the printer comprising; A printer body that passes the support ro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per feed cassette that is fixed to one end of the printer body and supplies paper to the printer body,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per feed cassette with the print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guide plate that guides the printed matter output from the main body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ase.
또한,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프린터가 수직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으로서, 후방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 외부로 자기력을 출력하는 전자석, 상기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자석을 착자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홀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린터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린터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위치를 터치하여 스위치로 하여금 콘트롤러를 동작시키게 하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에 흡착 고정되는 철편을 구비한 수직위치유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프린터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프린터를 받쳐 프린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전핀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 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프린터본체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로드를 포함하는 수평위치유지부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interior of the rear case, the printer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ts to maintain the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using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case, and is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transmits a signal by an external force. A holder unit having a switch that generates, an electromagne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controller that magnetizes the electromagnet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witch is provided, and the printer body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printer is horizontally A vertical position holding unit having an extension arm for causing the switch to operate by touching the switch when rotating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direction, and an iron piece fixed to an end of the extension arm and adsorbed and fixed to the electromagnet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se, the printer supports the printer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rinter, and a hinge part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case and a rotation pin on the hinge part It is connected and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position holding unit including a support rod that stands vertically to support and support the printer body when in us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는, 본체부를 받치는 케이스부의 용적이 필요에 따라 조절 가능하므로, 케이스부 내에 설치되는 프린터를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어 그만큼 유지 보수성이 뛰어나다.In the kiosk having a volume-variabl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olume of the case part supporting the main body part can be adjusted as needed, the printer installed in the case part can be implemented in a position-adjustable manner, and thus maintainability is excell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한 키오스크에서 케이스의 용적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록킹핀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케이스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한 홀더부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kiosk having a variable volum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side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adjusting the volume of a case in the kiosk illustrated in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method of the locking pin shown in FIG. 1.
4A and 4B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se part.
5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shown in FIG. 4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키오스크는, 본체부를 지지하는 케이스부의 용적 조절이 가능하여, 키오스크의 제작시 케이스부 내에 설치되는 각종 구성요소 등의 설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케이스부 내에 설치되는 프린터의 위치 조절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성이 뛰어나다.The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degree of freedom in installation of various components installed in the case portion when manufacturing the kiosk because the volume of the case portion supporting the body portion can be adjus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printer installed in the case part, so it has excellent maintain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의 기본 구성은, 전방으로 개방된 제1공간부를 갖는 후방케이스, 상기 제1공간부를 향해 개방된 제2공간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1공간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후방케이스에 대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전방케이스를 포함하고, 후방케이스에 대한 전방케이스의 상대 위치 조절을 통해 전체적인 내부 용적이 조절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후방케이스에 대한 전방케이스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터치스크린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asic configuration of a kiosk having a volume-variabl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ar case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open to the front, a second space portion open toward the first space portion, and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 case portion including a front case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of the rear case in a state, and adjusting an overall internal volume by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It is installed detachab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한 키오스크에서 케이스의 용적 조절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록킹핀의 구조 및 작동 방식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10)는, 본체부(20), 고정수단, 케이스부(90)를 포함한다. 본체부(20)는, 사용자가 정보를 입력하거나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고, 케이스부(90)는 본체부(20)를 수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프린터(도 4a의 50)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고정수단은, 케이스부(90)를 구성하는 후방케이스(30)와 전방케이스(40)를 연결시켜 상호간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the
먼저, 상기 본체부(20)는, 박스형 하우징(21)의 전면에 터치스크린(23)과 입력부(25)와 결제부(27)를 갖는다. 터치스크린(23)은 사용자가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필요한 정보가 출력되는 표시창으로서, 키오스크(10)가 설치된 장소의 관리서버 및 인터넷망에 접속된다. 또한 입력부(25)는 사용자의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 따로 구성한 키패드이고, 결제부(27)는 결제가 필요할 때 사용자의 카드를 삽입하는 부분이다.First, the
이러한 본체부(20)는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후방케이스(30)의 장착홈(3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부(20)를 장착홈(31)에 안착시킴으로써, 본체부(20)와 케이스부(90) 내부에 배치된 다른 전자장비(프린터 포함)와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As mentioned above, the
한편, 상기 후방케이스(30)는, 개방구(31b)를 통해 전방으로 개방된 제1공간부(도 4의 30a)를 제공하며 상부에 장착홈(31)을 갖는다. 장착홈(31)은 본체부(20)의 하측부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바닥에 다수의 커넥터(31a)를 구비한다. 커넥터(31a)는 본체부(20)의 저면에 위치하는 접속 커넥터(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후방케이스(30)의 내벽면에는 홀더부(35)가 설치된다. 홀더부(35)는 프린터(50)를 수직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와 관련된 설명은 도 4a,4b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
아울러, 상기 후방케이스(30)의 측벽에는 고정수단이 위치한다. 고정수단은 상기 후방케이스에 대한 전방케이스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3의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a fixing means is located on the side wall of the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은 핀장착구멍(33a)에 내장되는 스프링(34)과 록킹핀(32)을 포함한다. 핀장착구멍(33a)은 후방케이스(30)의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이다. As shown in Fig. 3, the fixing means includes a
상기 록킹핀(32)은 핀장착구멍(33a)에 내장된 상태로 스프링(34)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부속으로서, 탄성가압부(32c), 돌출부(32d), 걸림부(32e), 공구수용홈(32b), 걸림턱(32a)을 갖는다.The
탄성가압부(32c)는 스프링보다 큰 직경을 갖는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핀장착구멍(33a)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34)의 탄성력을 인가받아 록킹핀(32)이 전체적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도록 한다. The elastic pressing part (32c) takes the form of a disk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spring, and by receiving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34) built in the pin mounting hole (33a), the locking pin (32) is generally elastic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e biased.
돌출부(32d)는 핀장착구멍(33a)으로부터 제1공간부(30a) 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마주하는 핀홈(41a)에 끼워져 핀홈(41a)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돌출부(32d)를 핀홈(41a)에 끼움으로써 후방케이스(30)에 대한 전방케이스(40)의 결합이 유지되어, 전방케이스(40)가 후방케이스(30)의 내부로 들어가거나 외부로 빠지지 않게 된다.The
아울러 걸림부(32e)는 후방케이스(30)의 외측면에 걸리는 디스크형 부분이다. 걸림부(32e)가 상기 외측면에 걸리고, 스프링(34)이 록킹핀(32)을 화살표 a방향으로 가압하는 이상, 록킹핀(32)이 핀장착구멍(33a)으로부터 이탈할 염려는 없다.In addition, the
상기 공구수용홈(32b)은 후술할 핀인출공구(80)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공간으로서 그 내부에 걸림턱(32a)을 갖는다. 걸림턱(32a)은 공구수용홈(32b)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로서, 돌출부(32d)를 핀홈(41a)으로부터 빼내기 위한 힘이 걸리는 부분이다.The
상기한 핀인출공구(80)는, 록킹핀(32)을 화살표 b방향으로 당겨 돌출부(32d)가 핀홈(41a)으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돌출부(32d)를 핀홈(41a)으로부터 빼는 이유는 후방케이스(30)에 대한 전방케이스(40)의 위치 조절을 위한 것이다. The above-described
참고로, 핀인출공구(80)는, 대략 T자의 형태를 취하며,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81), 핸들(81)에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로드(83), 견인로드(83)의 연장단부에 위치하는 토잉돌기(85)를 포함한다.For reference, the
토잉돌기(85)는 견인로드(83)의 선단부가 공구수용홈(32b)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턱(32a)의 뒤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토잉돌기(85)를 걸림턱(32a)에 건 상태에서 핸들(81)을 도 1의 화살표 f방향으로 당기면, 록킹핀(32)의 돌출부(32d)가 핀홈(41a)으로부터 빠진다.The towing
한편, 상기 전방케이스(40)는, 제1공간부(30a)를 향해 개방된 제2공간부(도 4a의 40a)를 가지며 후방케이스(30)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도 2a의 화살표 c방향이나 도 2b의 화살표 d방향으로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전방케이스(40)는 후방케이스(30)와 함께 하나의 케이스부(90)를 구성한다. 케이스부(90) 내부의 전체 용적이, 후방케이스(30)에 대한 전방케이스(40)의 거리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또한 전방케이스(40)의 측벽에는 다수의 핀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핀홈(41a)은 상기한 돌출부(32d)가 끼워지는 홈으로서, 다수 개가 수평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다. 지면에 대한 핀홈(41a)과 록킹핀(32)의 높이가 동일함은 물론이다. 록킹핀(32)은 전방케이스(40)가 후방케이스(30)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수의 핀홈 중 하나의 핀홈에 끼워진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상기 전방케이스(40)의 전면에는 도어(44)가 위치한다. 도어(44)는 전방케이스(40)에 마련되어 있는 전방통로(41c)를 개폐 시키는 것으로서 전방케이스(40)에 힌지(44c) 연결된다. 또한 도어(44)의 일단부에는 도어손잡이(44a)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도어손잡이(44a)를 잡아 도어(44)를 개폐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44)에는 배출통로(44b)가 마련되어 있다. 배출통로(44b)는 후술할 프린터(50)의 가이드판(도 4a의 58)을 통해 배출되는 인쇄물을 통과시키는 통로이다.A
도면부호 41b는 인출손잡이이다. 사용자는 인출손잡이(41b)를 잡고 전방케이스(40)를 도 2a의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 케이스부(90)의 내부 용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케이스(40)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케이스(30)의 내부로 최대한 삽입되거나, 화살표 c방향으로 인출되어, 도 2b와 같이, 후방케이스(30)로부터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후방케이스(30)에 대한 전방케이스(40)의 위치가 상기한 록킹핀(32)에 유지됨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2A, the
이와 같이 후방케이스(30)에 대해 전방케이스(40)를 진퇴운동 가능하게 구성한 이유는 후술할 프린터(50)를 수직방향이나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도 4a 및 4b는 케이스부(9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a에 도시한 홀더부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도어는 4A and 4B are side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케이스(40)가 제공하는 제2공간부(40a) 내에 지지로드(53)와 프린터(50)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50)는 키오스크(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인쇄물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가령, 요구되어진 영수증이나 처방전 또는 티켓 등을 인쇄하는 것이다.As shown, the
상기 지지로드(5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부가 전방케이스(40)의 내벽면에 장착되는 환봉형 부재로서, 프린터(50) 자체를 화살표 m방향이나 n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린터(50)가 지지로드(53)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다. The
프린터(50)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이유는, 케이스부(90)의 부피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프린터의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전방케이스(40)를 최대한 후방케이스(30)의 내부로 밀어 넣기 위해 프린터(50)를 도 4a와 같이 수직으로 위치시키고, 프린터의 유지보수를 위해 도 도 4b와 같이 수평으로 위치시키는 것이다. 프린터(50)의 유지보수에는 급지카세트(57) 내부의 종이 공급, 잉크나 토너의 보충도 포함된다.The reason why the
상기 프린터(50)는, 프린터본체(51), 급지카세트(57), 가이드판(58)을 포함한다. The
프린터본체(51)는 급지카세트(57)로부터 공급된 종이에, 입력된 내용을 인쇄하여 가이드판(58)을 통해 배출하는 기본 기능을 한다. 가이드판(58)은 프린터본체(51)로부터 배출되는 인쇄물을, 도어(44)에 구비된 배출통로(44b)측으로 가이드하여 원활한 배출을 유도하는 곡면판이다. 급지카세트(57)에 채워져 있는 종이는 프린터본체(51)의 내부를 통과하며 인쇄 및 커팅된 후 키오스크 외부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달된다.The printer
프린터본체(51)는 지지로드(53)를 수평방향으로 통과시킨다. 즉 지지로드(53)가 프린터본체(51)를 관통하여 수평 연장되고 연장단부가 전방케이스(40)의 내측벽에 고정되는 것이다. 특히 프린터(50)의 무게중심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50)가 수평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로드(53)와 급지카세트(57)의 사이에 위치한다.The printer
결국, 상기 프린터(50)는, 전방케이스(40)를 후방케이스(30) 내부로 진입시키기 전에 회전하여 수직방향(도 4a의 상태)으로 위치하고, 전방케이스(40)를 후방케이스의 전방, 즉 도 2a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방향(도 4b의 상태)으로 유지된다.As a result, the
후방케이스(30)의 내벽면에는 홀더부(35)가 장착된다. 홀더부(35)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전환된 프린터(50)가 수직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한다.The
이러한 홀더부(35)는, 후방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35a), 스위치(35c), 전자석(35b), 콘트롤러(35d)를 구비한다. 하우징(35a)은 그 전면에 스위치(35c)를 구비하고 콘트롤러(35d)와 전자석(35b)을 내장하는 박스형 부재이다. The
스위치(35c)는 하우징(35a)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r방향으로 회전한 연장아암(55a)에 접하는 순간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스위치(35c)에서 출력된 신호는 콘트롤러(35d)로 전달되어 콘트롤러(35d)가 전자석(35b)을 착자시키게 한다. The
전자석(35b)은 콘트롤러(35d)를 통해 전달된 전력에 의해 착자되어 외부로 자기력을 출력한다. 전자석(35b)에서 출력된 자기력은 후술할 철편(55b)에 전달되어 철편(55b)이 전자석(35b)에 붙어 있게 한다.The
한편, 프린터본체(51)에는 수직위치유지부(55)가 더 설치된다. 수직위치유지부(55)는 프린터(50)가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의 각도에 도달했을 때 상기한 홀더부(35)의 전자석(35b)에 고정됨으로써, 프린터(50)의 수직 위치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말하자면, 프린터(50)의 무게중심이 지지로드(53)의 연직 하부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프린터(50)가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inter
수직위치유지부(55)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아암(55a)과, 연장아암(55a) 단부의 철편(55b)으로 이루어진다. 연장아암(55a)은 프린터(50)가 수평방향(도 4b의 상태)에서 화살표 n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35c)를 터치하여 스위치(35c)를 작동시킨다. 철편(55b)은 연장아암(55a)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한 전자석(35b)에 흡착 고정된다. 수직위치유지부(55)의 작용에 의해 프린터(50)는 케이스부(90) 내에서 동작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The vertical
아울러, 전방케이스(40)의 내부에는 수평위치유지부(45)가 설치된다. 수평위치유지부(45)는 프린터(50)가 도 4b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프린터를 받쳐 프린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horizontal
이러한 수평위치유지부(45)는, 전방케이스(40)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힌지부(45a)와, 힌지부(45a)에 회전핀(45c)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 시 수직으로 세워져 프린터본체(51)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로드(45b)로 구성된다. 받침로드(45b)의 상하방향 회전은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현된다. 결국, 프린터(50)는 수평위치유지부(45)에 의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is horizontal
관리자는, 프린터의 일부가 전방케이스(4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도어(44)를 개방한 상태에서, 프린터(50)를 도 4a의 화살표 m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후 받침로드(45b)를 수직으로 세워 프린터본체(51)를 지지시킴으로써 프린터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진행한다. The administrator rotates the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받침로드(45b)를 하향 회동시켜 눕힌 후 프린터(50)를 화살표 n 방향으로 회전시켜 철편(55b)이 상기 전자석(35b)에 흡착 고정되도록 한 후, 도어(44)를 닫고 전방케이스(40)를 후방케이스(30) 측으로 밀어 넣는다. 전방케이스(40)의 진입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핀(32)이 핀홈(41a)에 끼워져, 후방케이스(30)에 대한 전방케이스(40)의 결합이 완료된다.After the maintenance work is completed,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키오스크 20:본체부 21:하우징
23:터치스크린 25:입력부 27:결제부
30:후방케이스 30a:제1공간부 31:장착홈
31a:커넥터 31b:개방구 32:록킹핀
32a:걸림턱 32b:공구수용홈 32c:탄성가압부
32d:돌출부 32e:걸림부 33a:핀장착구멍
34:스프링 35:홀더부 35a:하우징
35b:전자석 35c:스위치 35d:콘트롤러
40:전방케이스 40a:제2공간부 41a:핀홈
41b:인출손잡이 41c:전방통로 44:도어
44a:도어손잡이 44b:배출통로 44c:힌지
45:수평위치유지부 45a:힌지부 45b:받침로드
45c:회전핀 50:프린터 51:프린터본체
53:지지로드 55:수직위치유지부 55a:연장아암
55b:철편 57:급지카세트 58:가이드판
80:핀인출공구 81:핸들 83:견인로드
85:토잉돌기 90:케이스부10: kiosk 20: main unit 21: housing
23: touch screen 25: input unit 27: payment unit
30:
31a:
32a: locking
32d: protruding
34: spring 35:
35b:
40:
41b: pull-out
44a:
45: horizontal
45c: rotation pin 50: printer 51: printer body
53: support rod 55: vertical
55b: iron 57: paper cassette 58: guide plate
80: pin withdrawal tool 81: handle 83: pull rod
85: toying protrusion 90: case portion
Claims (4)
상기 전방케이스의 측면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핀홈이 형성되어 있고, 후방케이스의 측면에는, 전방케이스가 후방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다수의 핀홈 중 하나의 핀홈에 대응하는 핀장착구멍이 위치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핀장착구멍에 내장되는 스프링과, 상기 핀장착구멍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스프링의 작용에 의해 핀홈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탄성력을 인가받는 탄성가압부, 상기 핀장착구멍의 외부로 노출되어 핀홈에 끼워지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를 핀홀로부터 빼내기 위한 힘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록킹핀을 포함하는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A rear case having a first space portion opened to the front, a second space portion opened toward the first space portion is provided, and a front case capable of adjusting a position of the rear case in a stat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first space portion, And a case portion in which an overall internal volume is adjusted by adjust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front case with respect to the rear case; It includes a body portion detach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and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A plurality of pin groove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front case, and a pin mounting hole corresponding to one of the pin grooves among the plurality of pin groove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ase is inserted into the rear case. Is located,
The fixing means; A spring embedded in the pin mounting hole, and elastically supported toward the pin groove side by the action of the spring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pin mounting hole, and an elastic pressing part receiving an elastic force from the spr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in mounting hole A kiosk having a volume-variable case including a protrusion to be fitted into the pin groove and a locking pin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through which force is applied to remove the protrusion from the pin hole.
상기 후방케이스의 상측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부는 후방케이스의 장착홈에 끼움결합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를 회전 중심축으로 삼아 회전 가능하며, 전방케이스를 후방케이스 내부로 진입시키기 전에 회전하여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고, 전방케이스를 후방케이스의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수평방향으로 위치 가능한 프린터가 구비되며,
상기 프린터는;
상기 지지로드를 수평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프린터본체와,
상기 프린터본체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프린터본체를 향해 종이를 공급하는 급지카세트와,
상기 프린터본체를 사이에 두고 급지카세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프린터본체로부터 출력되는 인쇄물을 가이드 하여 전방케이스 외부로 배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The method of claim 2,
A mounting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ar case, and the body portion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of the rear case,
Inside the front case;
A support rod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providing support,
It can be rotated using the support rod as a rotational center axis, and rotated before entering the front case into the rear case and pos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ile the front case is pulled out to the front of the rear case. A positionable printer is provided,
The printer;
A printer body that passes the support rod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per feed cassette fixed to one end of the printer body and supplying paper toward the printer body;
A kiosk having a variable-volume case that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aper feed cassette with the printer bod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includes a guide plate that guides printed matter output from the printer body and discharges it to the outside of the front case.
상기 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된 프린터가 수직방향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는 것으로서, 후방케이스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스위치,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하우징 외부로 자기력을 출력하는 전자석, 상기 스위치로부터 신호를 받아 전자석을 착자시키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홀더부가 구비되고,
상기 프린터본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프린터가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위치를 터치하여 스위치로 하여금 콘트롤러를 동작시키게 하는 연장아암과, 상기 연장아암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석에 흡착 고정되는 철편을 구비한 수직위치유지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프린터가 수평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프린터를 받쳐 프린터의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케이스의 바닥부에 고정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에 회전핀을 통해 연결되며 사용 시 수직으로 세워져 상기 프린터본체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로드를 포함하는 수평위치유지부가 구비된 용적 가변형 케이스를 갖는 키오스크.The method of claim 3,
Inside the rear case, a printer positioned in a vertical direction acts to maintain a vertical position, and a housing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case, installed outside the housing and generating a signal by an external force. A holder unit including a switch, an electromagnet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outputting a magnetic force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controller for magnetizing the electromagnet by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witch is provided,
In the printer body,
It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arm that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uses the switch to operate a controller by touching the switch when the printer rotates from a horizontal direction to a vertical direction, and an iron piece fixed to the end of the extension arm and adsorbed to the electromagnet. One vertical position holding part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case,
The printer is position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support the printer to mainta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printer,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part fixed to the bottom of the front case and the hinge part through a rotation pin, and stands vertically in use. A kiosk having a variable volume case provided with a horizontal position holding unit including a support rod supporting and supporting the printer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237A KR102180659B1 (en) | 2019-09-04 | 2019-09-04 |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9237A KR102180659B1 (en) | 2019-09-04 | 2019-09-04 |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80659B1 true KR102180659B1 (en) | 2020-11-19 |
Family
ID=73679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9237A KR102180659B1 (en) | 2019-09-04 | 2019-09-04 |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65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43230A (en) | 2023-03-23 | 2024-10-02 | 임로빈 | Kiosk having device for rotating scre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6431A (en) * | 1997-02-14 | 1998-08-25 | Ricoh Co Ltd | Image forming device |
KR200468845Y1 (en) * | 2013-02-14 | 2013-09-17 | (주) 웨이브링크 | An Improved Unmaned Delivery Kiosk Device |
JP2014119700A (en) * | 2012-12-19 | 2014-06-30 | Konica Minolta Inc | Image forming device |
KR20140122924A (en) * | 2013-04-11 | 2014-10-21 | 주식회사 씨케이그루브 | Digital KIOSK |
KR101892990B1 (en) | 2018-01-26 | 2018-08-30 |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 Manufacturing method of kiosk case using wood and the kiosk case made of wood |
KR20180003548U (en) | 2017-06-08 | 2018-12-19 | 하나시스 주식회사 | Printer structure and self kiosk with the same |
-
2019
- 2019-09-04 KR KR1020190109237A patent/KR10218065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6431A (en) * | 1997-02-14 | 1998-08-25 | Ricoh Co Ltd | Image forming device |
JP2014119700A (en) * | 2012-12-19 | 2014-06-30 | Konica Minolta Inc | Image forming device |
KR200468845Y1 (en) * | 2013-02-14 | 2013-09-17 | (주) 웨이브링크 | An Improved Unmaned Delivery Kiosk Device |
KR20140122924A (en) * | 2013-04-11 | 2014-10-21 | 주식회사 씨케이그루브 | Digital KIOSK |
KR20180003548U (en) | 2017-06-08 | 2018-12-19 | 하나시스 주식회사 | Printer structure and self kiosk with the same |
KR101892990B1 (en) | 2018-01-26 | 2018-08-30 | 주식회사 시스메이트 | Manufacturing method of kiosk case using wood and the kiosk case made of wo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143230A (en) | 2023-03-23 | 2024-10-02 | 임로빈 | Kiosk having device for rotating scree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40744A (en) | Through-wall type automatic customer service apparatus | |
KR102180659B1 (en) | Kiosk with variable volume case | |
CN108027576B (en) | Automatic moun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10958742U (en) | Charging and accommodating device of Bluetooth headset | |
US20020024488A1 (en) | Tilt screen module for self-serving money machines | |
TW505567B (en) | Bezel and method of using same | |
JP2023121848A (en) | Opening/closing device | |
CN205983699U (en) | POS (point of sale) machine | |
JPH10208147A (en) |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drawer-like member | |
KR200284178Y1 (en) | Desk table for public personal cpmputer | |
CN115956276A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 |
CN217588151U (en) | Vertical lottery machine | |
CN220709722U (en) | Multifunctional power supply self-service machine | |
KR200483609Y1 (en) | Portable folding game machine | |
CN220209401U (en) | Terminal interface module and display device | |
CN220730898U (en) | Self-service teller machine | |
CN210442859U (en) | Lottery ticket selling equipment | |
JP2019123244A (en) | Image formation device | |
JP2020017161A (en) | Booth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 |
KR100491716B1 (en) | Cash dispenser and that use system | |
CN220381637U (en) | Can accomodate wall and admittedly POS machine | |
KR200281630Y1 (en) | Strongbox | |
US20240331511A1 (en) | Check-out apparatus | |
CN211375702U (en) | Vending machine with Bluetooth sound function | |
KR200467594Y1 (en) | Guide apparatus of paper for portable pri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