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12B1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80612B1 KR102180612B1 KR1020200036899A KR20200036899A KR102180612B1 KR 102180612 B1 KR102180612 B1 KR 102180612B1 KR 1020200036899 A KR1020200036899 A KR 1020200036899A KR 20200036899 A KR20200036899 A KR 20200036899A KR 102180612 B1 KR102180612 B1 KR 1021806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uch substrate
- touch
- rear surface
- cover structure
- sensor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9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22 acrylic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03K17/9643—Piezoelectric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15—Constructional details for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제1 극은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피에조 디스크를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전면 중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의 종류는 냉장실과 냉동실의 구성에 따라, 냉동실이 상부에 있고 냉장실이 하부에 있는 탑마운트(top mount) 방식의 냉장고와, 냉장실이 상부에 있고 냉동실이 하부에 있는 바텀프리저(bottom freezer) 방식의 냉장고와,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측과 우측으로 구분되어 위치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방식의 냉장고가 있다.
여기에서, 냉장고 도어는 냉장고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저장실을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주로 노출된다. 즉, 하루 중 냉장고 도어를 열어두는 시간이 냉장고 도어를 닫아두는 시간보다 상대적으로 짧은바, 닫혀있는 상태의 냉장고 도어가 사용자에게 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미려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해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패널을 부착하거나, 도어의 전면 패널을 고급스러운 외장재로 구성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다만, 냉장고의 도어 전면에 냉장고의 작동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냉장고를 조작하기 위한 버튼을 설치하는 경우, 냉장고의 외관을 해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평상시에는 눈에 띄지 않다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만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버튼이 표시되는 도어 구조(즉, 히든 버튼(hidden button) 방식이 적용된 도어 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 사용자들은 가전 제품의 재질로 메탈 재질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메탈 재질의 전면 패널을 가지는 도어는 정전식 터치 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메탈 재질 자체가 어느 정도 강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압식 터치 방식 역시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종래의 터치 감지 방식으로는 메탈 재질의 패널에 히든 버튼을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메탈 재질의 패널에서도 터치 동작이 확실히 인식될 수 있는 센서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센서는 비단 냉장고 도어의 전면 패널뿐만 아니라, 메탈 재질로 구성된 외관에 히든 버튼이 적용된 다른 가전 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활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참고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826478호에는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메탈 터치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다만, 메탈 터치 센서의 경우, 금속 재질의 접속부가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면 산화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산화가 발생하게 되면 접속부의 전기적 연결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메탈 터치 센서(예를 들어, 피에조 디스크)가 부착된 터치 기판을 접착 부재(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를 통해 패널에 부착할 때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힘으로 메탈 터치 센서를 압착해야 하는바, 압착 과정에서 메탈 터치 센서 또는 센서 홀더 등이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메탈 터치 센서를 너무 강하게 터치하거나 메탈 터치 센서 외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터치를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메탈 터치 센서로 힘이 전달되어 제품이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다.
그뿐만 아니라 메탈 터치 센서가 부착된 터치 기판과 커버 디스플레이가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는바, 각 부품을 패널(예를 들어, 전면 패널)에 한번에 부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에조 디스크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한 압착 작업시 피에조 디스크 또는 홀더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터치 실수로 인한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전기 유입 방지 및 장기간 접착력 유지가 가능한 접착 부재가 적용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에조 디스크가 부착된 터치 기판과 커버 디스플레이가 일체형으로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접착 부재의 접착력 유지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터치 동작에 대한 감도가 높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견고하고 내구성이 높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설계 자유도가 높은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술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는 커버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피에조 디스크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홀더와 오버랩(overlap; 즉, 중첩)되는 부분에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한 압착 작업시 메탈 터치 센서 또는 센서 홀더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피에조 디스크와 홀더를 밀폐하도록 전면 중 홀더와 비오버랩되는 부분은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고,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로 재질이 이루어진 커버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터치 실수로 인한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는 아크릴 접착제가 적용되고, 프라이머가 도포되며, 절연 저항의 크기가 1MΩ 이상이고, 149℃이상 204℃이하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을 갖춘 접착 부재가 적용되는바, 정전기 유입 방지 및 장기간 접착력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양 측단에 구비된 복수개의 체결 후크를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의 수용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 홈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파지되는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는바, 터치 기판과 커버 디스플레이는 일체형으로 전면 패널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커버 디스플레이의 수용부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 후크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는 커버 구조체를 포함함으로써 접착 부재의 접착력 유지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는 두께가 얇은 접착 부재가 적용되는바, 터치 동작에 대한 감도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커버 구조체를 지지하는 후크 구조를 통해 터치 영역이 마련된 전면 패널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내구성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에조 디스크가 적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에조 디스크를 고정하는 구조에 대한 변형도 용이한바,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는 전술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피에조 디스크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바, 산화로 인한 전기적 접촉 불량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한 압착 작업시 피에조 디스크 또는 홀더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바, 해당 부품들의 내구성 및 수명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터치 실수로 인한 제품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 만족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는 정전기 유입 방지 및 장기간 접착력 유지가 가능한 접착 부재가 적용되는바, 정전기로 인한 회로 부품 손상 및 인체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에서는, 피에조 디스크가 부착된 터치 기판과 커버 디스플레이가 일체형으로 전면 패널에 부착되는바, 생산성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접착 부재의 접착력 유지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바, 제품의 진동, 충격, 주변 온도 및 습도 변화 등에 따른 접착 성능 저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터치 동작에 대한 감도 개선이 가능한바, 사용자 편의성 및 사용자 만족도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전면 패널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바, 내구성 개선 및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나아가, 견고한 조립을 통해 터치 동작 감지에 대한 신뢰도 개선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는 설계 자유도가 높은바, 다양한 설계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는 전술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커버 디스플레이를 포함함으로써 전술한 효과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다른 예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피에조 디스크를 가리키는 B 부분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홀더를 가리키는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의 X-X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지지 후크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6은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6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다른 예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피에조 디스크를 가리키는 B 부분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홀더를 가리키는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의 X-X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지지 후크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6은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6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적용된 냉장고의 전면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 도어를 설명하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장착되어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10)에 의해 외형이 규정된다.
캐비닛에 의해 제공되는 저장공간은 좌우 양측 및/또는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구획된 저장공간의 전면(front face)에는 각각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복수개의 냉장고 도어(10)가 구비된다. 냉장고 도어(10)는 슬라이딩 또는 회전 방식으로 저장공간을 개폐하며, 냉장고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냉장고 도어(10)가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구성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냉장고 도어(10) 중 평균 신장을 가지는 사용자의 눈높이 위치에 배치된 냉장고 도어(10)에는, 사용자가 식별 또는 조작하기 편한 높이 부분에 디스플레이 영역(11)과 터치 영역(22)이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11)은 냉장고(1)의 작동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영역으로, 냉장고 도어(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디스플레이 영역(11)에 투과되면서 기호 또는 숫자 등이 디스플레이 영역(11)에 표시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는 외부에서 디스플레이 영역(11)을 통해 냉장고(1)의 동작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냉장고 도어(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영역(11)이 외부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장고 도어(10)에 디스플레이 영역(11)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같은 외관이 구현되는바, 깔끔한 외관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영역(22)은 사용자가 냉장고(1)의 동작을 위해 터치 조작을 하는 부분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1) 부근에 함께 제공된다. 터치 영역(22) 내에는 복수개의 터치 지점(21)이 구비되어 있는바, 사용자가 해당 터치 지점(21)을 누르면, 이에 대응되는 동작이 수행된다. 터치 지점(21)은 인쇄 처리 또는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그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냉장고 도어(10)에 표시될 수 있다.
물론 터치 영역(22)이 반드시 디스플레이 영역(11)과 동일한 냉장고 도어(10)에 함께 제공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냉장고 도어(10)에 제공되거나, 냉장고 도어(10)가 아닌 캐비닛의 일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지점(21)의 경우, 항상 식별될 수 있도록 표시되지는 않고, 디스플레이 영역(11)에서처럼, 냉장고 도어(10)의 내부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따라 외부에서 해당 위치가 인식되거나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패널(20)은 메탈 플레이트(예를 들어, 스틸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플레이트)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 패널(20)의 배면, 즉, 터치 영역(22)과 대응되는 부분의 배면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가 고정된다.
또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와 전면 패널(20)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전면 패널(20)의 후방에 체결되는 도어 라이너(40)의 내측에 커버 디스플레이(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40)를 체결하면, 도어 라이너(40)에 설치되어 있던 커버 디스플레이(30)가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배면을 눌러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를 전방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이 외에도,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를 커버 디스플레이(30)의 전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40)를 체결함으로써,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전면이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 외에도 전면 패널(20)과 도어 라이너(40)를 조립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가 전면 패널(20) 쪽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다른 지지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즉, 터치 기판(120), 피에조 디스크(130), 홀더(140), 웨이퍼(150))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터치 기판의 다른 예시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피에조 디스크를 가리키는 B 부분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홀더를 가리키는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도 2의 X-X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들이 조립된 상태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면도이다.
먼저, 도 3, 도 4와 도 9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는 터치 기판(120)과 피에조 디스크(130)를 포함한다.
터치 기판(12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PCB(printed circuit board)로 제작될 수 있다.
터치 기판(120)의 전면, 즉 피에조 디스크(130)가 배치되는 면의 대향면에는 양면 테이프 형태의 제1 접착 부재(110)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착 부재(110)를 통해 터치 기판(120)의 전면이 전면 패널(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도 제2 접착 부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에조 디스크(130) 및 후술되는 홀더(140)의 수밀(水密)이 가능하다.
그리고 터치 기판(120)은 냉장고 도어(10)를 구성하는 전면 패널(20)에 표시된 복수개의 터치 지점(21)을 포함하는 터치 영역(22)에 대응된다.
참고로, 전면 패널(20)에 복수개의 터치 지점(21)이 일렬로 이격 배치되고, 이에 따라 터치 영역(22)도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기판(120) 역시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터치 영역(22) 또는 터치 기판(120)이 다른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기판(120)에서 전면 패널(20)의 터치 지점(21)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홀(122)이 형성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홀(122)은 다각형 형태인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홀의 형상이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홀(122)의 중심은 전면 패널(20)의 터치 지점(21)의 중심과 정렬될 수 있다. 또한 홀(122)의 내주면에는, 내주면으로부터 홀(122)의 중심까지 연장되는 다리부(124)가 구비된다. 그리고 다리부(124)의 선단부에는 홀(122)의 중심과 정렬되어 위치하는 가압부(126)가 연결된다.
가압부(126)는 후술할 피에조 디스크(130)의 형상과 대응하며 피에조 디스크(130)보다는 다소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판형의 피에조 디스크(130)와, 이에 대응되는 원형의 가압부(126)가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압부(126)와 다각형 형태의 홀(122)의 내주면은, 다각형의 각 변의 중심에서 가압부(126)로 연장되는 다리부(124)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홀(122)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압부(126)를 다리부(124)를 통해 홀(122)의 내주면과 연결하는 구조는 가압부(126)의 거동을 플렉서블(flexible)하게 해준다. 즉, 사용자가 전면 패널(20)의 터치 지점(21)을 누르면, 이를 누르는 힘이 가압부(126)에 전달되는데, 가압부(126)는 상대적으로 가느다란 다리부(124)를 통해 터치 기판(120)의 본체(즉, 홀(122)의 내주면)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부(126)는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순응하여 함께 눌릴 수 있다. 즉, 가압부(126)는 가요성이 부여되도록 터치 기판(120)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4개의 다리부(124)를 통해 가압부(126)를 홀(122)의 중심에 배치한 구조는, 가압부(126)가 사용자 터치 압력에 순응하여 플렉서블하게 움직이면서도, 반복적인 누름 동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로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90° 간격으로 4개의 다리부가 구비된 상기 구조(도 5 및 도 6의 (a) 참조)에 대한 변형예로서, 다리부들 간 간격이 180°가 되도록 하는 보(beam) 구조(도 6의 (b) 참조) 또는 90° 간격으로 2개의 다리부만 구비하는 외팔보(cantilever) 구조(도 6의 (c) 참조) 또는 하나의 다리부만 구비하는 외팔보 구조(도 6의 (d) 참조) 등도 적용 가능하다. 특히 외팔보 구조는 다른 구조보다 사용자 터치 압력에 대해 더 잘 순응하여 변형되므로, 터치 감도를 더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22) 부근에는 후술할 홀더(도 8의 140)의 고정 레그부(도 8의 148)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면(128)이 구비된다. 참고로, 도 5에는 다각형 형태의 홀(122)의 내측으로 고정면(128)이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면(128)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터치 기판(120)은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각형 형태의 홀(122)의 장변 역시 터치 기판(120)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터치 기판(120)을 더 슬림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홀(122)의 단변 측에 고정면(128)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후술할 홀더(도 8의 140)의 삽입구(도 8의 141)는 터치 기판(120)의 측면을 향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에조 디스크(130)의 삽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참고로, 터치 기판(120)에 홀(122), 다리부(124), 가압부(126), 고정면(128)을 형성할 때에는, 터치 기판(120)에서 다리부(124), 가압부(126), 및 고정면(128)을 제외한 나머지 홀 부분을 천공함으로써 일거에 제작 가능하다.
또한 터치 기판(120)에는 전기적 배선이 구비되는데, 이들 중 하나는 가압부(126), 다리부(124)를 통하는 제1 배선(1201)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면(128)을 통하는 제2 배선(1202)이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 배선(1201, 1202)은 후술할 피에조 디스크에 압력이 가해졌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피에조 디스크가 압력을 받아 전위차가 발생하면, 제1 및 제2 배선(1201, 1202)을 통해 기전력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홀더(140)는 터치 기판(120)의 홀(122) 부분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홀더(140)가 터치 기판(120)에 고정되면, 홀더(140)와 터치 기판(1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후술할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하여 피에조 디스크(130)를 고정할 수 있다.
홀더(140)는 터치 기판(120)의 홀(122) 부분을 대부분 커버할 수 있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배면 지지부(142)를 포함한다.
홀더(140)를 터치 기판(120)에 고정하였을 때, 배면 지지부(142)는 터치 기판(120)의 표면(즉, 배면)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배면 지지부(142)와 터치 기판(120)의 표면 사이의 간격은, 배면 지지부(142)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의 측면 지지부(146)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지지부(146)의 단부에는, 터치 기판(120)의 고정면(128)에 솔더링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고정 레그부(148)가 구비된다. 즉, 고정 레그부(148)는 솔더링에 의해 고정면(128)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기판(120)의 고정면(128)은 다각형 형태의 홀(122)의 단변 부분에 한 쌍씩, 총 4개가 구비되는데, 고정 레그부(148) 역시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4개가 구비된다. 또한 고정 레그부(148)는 고정면(128)과 접하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며, 고정면(128)과의 솔더링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그 단부에 비아 홀(149; via-hole)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고정 레그부(148)는 터치 기판(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바, 홀더(140)의 삽입구(141)는 터치 기판(120)의 측방(즉,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에조 디스크의 삽입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측면 지지부(146)는 다각형 형태의 배면 지지부(142)의 4개의 변 중 2개의 단변과 1개의 장변에서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측면 지지부(146)는 홀더(140) 내로 삽입되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조립 과정에서 피에조 디스크(130)가 홀더(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 레그부(148)는 배면 지지부(142)의 2개의 단변에 구비된 측면 지지부(146)의 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측면 지지부(146)가 구비되지 않은 배면 지지부(142)의 나머지 1개의 장변에는, 후술할 피에조 디스크(13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삽입구(141)가 형성된다. 삽입구(141)에는, 후술할 원형 평판 형태의 피에조 디스크(130)가 삽입될 때 피에조 디스크(130)의 단부를 삽입구(141) 쪽으로 안내하는 호 형상의 가이드홈(147)이 형성된다.
배면 지지부(142)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배면(도 7의 134)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배면 지지부(142)의 외측 가장자리 부근에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배면 가장자리를 눌러 지지하는 가압돌기부(143)가 구비된다. 가압돌기부(143)는 후술할 피에조 디스크(130)의 정면(도 7의 132)에 구비된 제1 극(136)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즉, 제1 극(136) 부분을 벗어나는 위치)에 구비된다.
또한 피에조 디스크(130)의 정면(도 7의 132) 중앙부에 구비된 제1 극(136)은 피에조 디스크(130)의 정면(도 7의 132)으로부터 약간 돌출된다. 그리고 제1 극(136)은 터치 기판(120)의 가압부(126)에 접하며 터치 기판(120)에 의해 가압 지지된다.
따라서 플렉서블하게 움직이는 가압부(126)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정면(도 7의 132)에서 돌출되어 있는 제1 극(136)을 눌러 주고, 이와 상보적으로 홀더(140)의 가압돌기부(143)는 제1 극(136)과 오버랩되지 않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배면(도 7의 134) 가장자리를 눌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에조 디스크(130)의 전위차 발생 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하면서 피에조 디스크(130)를 타이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140)의 배면 지지부(142)의 중심점 둘레에는 원호 형상으로 절개된 슬릿(144)이 구비된다. 참고로, 슬릿(144)은 가압돌기부(143)보다 안쪽에 구비된다.
또한 슬릿(144)은 슬릿(144) 주변의 변형을 용이하게 해줄 수 있다. 따라서, 배면 지지부(142)의 중앙부는, 가압부(126)와 가압돌기부(143)에 의해 미세하게 휠 수 있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배면(도 7의 134) 중앙부의 변형에 대해 어느 정도 순응하여 함께 변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전면 패널(20)의 터치 지점(21)을 눌렀을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참고로, 홀더(140)는 통전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프레스 가공과 피어싱 가공을 통해 평판 형태의 금속 플레이트를 전술한 가압돌기부(143), 슬릿(144), 측면 지지부(146) 등의 형상으로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홀더(140)는 고정면(128)을 통해 제2 배선(1202)에 통전된다. 그리고 고정면(128)에는 고정 레그부(148)를 통해 홀더(140)가 고정되는바, 고정면(128)은 피에조 디스크(130)가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제2 극(138)을 지지하고, 제2 극(138)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터치 기판(120)에 구비된 제2 배선(12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피에조 디스크(130)는 정면(132)과 배면(134)을 가지는 금속 평판의 제2 극(138)과, 정면(132)의 중앙부에 적층되는 제1 극(136)을 포함한다. 제1 극(136)은 제2 극(138)의 표면 중앙부에서 약간 도톰하게 솟아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극(136)은 예를 들어, 세라믹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극(138)은 통전이 가능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극(136)의 표면에는 통전을 위해 은(Ag) 등의 통전층(1361)이 코팅될 수 있다.
피에조 디스크(130)는 예를 들어, 원형 평판 형태를 갖출 수 있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디스크(130)의 직경은 전술한 홀더(140)의 배면 지지부(142)의 단변 측에 구비된 측면 지지부(146)들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그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또한 피에조 디스크(130)는 터치 기판(120)과, 터치 기판(120)에 고정된 홀더(1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며, 피에조 디스크(130)의 삽입시 가이드홈(147)이 피에조 디스크(130)의 삽입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할 때에는, 제1 극(136)이 적층된 정면(132)이 터치 기판(120)을 바라보고, 배면(134)이 홀더(140)를 바라보도록 정렬한 후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한다.
그리고 피에조 디스크(130)의 제1 극(136)과 제2 극(138)을 누르는 압력이 가해지면, 제1 극(136)과 제2 극(138) 사이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피에조 디스크(130)의 원리에 대응하여, 제1 극(136)과 접하는 터치 기판(120)의 가압부(126)는 제1 극(136)과 통전되도록 배선 면이 노출되고, 터치 기판(120)의 다리부(124)는 제2 극(138)의 정면(132)과 접하더라도 통전되지 않도록 배선(1201)이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부(126)의 배선 면은 구리 혹은 금 재질의 접속재(1261)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배선(1201)들은 각각 접속재(126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참고로, 홀더(140)는 전기 전도도가 있는 금속 재질로서 제2 극(138)의 배면(134)과 접하여 통전된다.
또한 가압부(126)의 제1 배선(1201)은 다리부(124)를 거쳐 터치 기판(120)에 연결되어 후술할 웨이퍼(도 4의 1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40)의 고정 레그부(148)와 솔더링되는 터치 기판(120)의 고정면(128) 역시 터치 기판(120)에 제2 배선(1202)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웨이퍼(도 4의 1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지점(도 3의 21)을 누르면, 가압부(126)가 소정의 힘(F)으로 눌리며 피에조 디스크(130)를 가압한다. 이때, 가압부(126)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정면(132) 중앙부를 누르고, 홀더(140)의 가압돌기부(143)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배면(134) 가장자리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에조 디스크(130)는 모멘트(M)를 받아 변형되고, 제1 극(136)과 제2 극(138)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기전력에 따른 미세 전류는 터치 기판(120)의 배선과 웨이퍼(150)를 통해 프로세서 등과 같은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는바, 제어부는 터치 지점(21)이 터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126)에 노출된 접속재(1261) 및 제1 극(136)의 표면에 코팅된 통전층(1361)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부식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 예로, 가압부(126)에는 구리(Cu) 재질의 접속재(1261)가 형성되고, 세라믹 재질의 제1 극(136)에는 은(Ag) 재질의 통전층(1361)이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접속재(1261) 및 통전층(1361)이 공기 중에 장시간 노출되면 산화가 발생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접속재(1261)와 통전층(1361)의 전기적 연결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후술되는 커버 구조체(200)를 더 포함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외부와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피에조 디스크(130)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웨이퍼(15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웨이퍼(150)는 터치 기판(120) 상에 실장된다. 즉, 웨이퍼(150)는 터치 기판(120)에 형성된 홀(도 5의 122)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되, 홀더(140)가 고정되는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일부 부품(즉, 터치 기판(120), 피에조 디스크(130), 홀더(140), 웨이퍼(150))은 전술한 특징을 가지는바, 이하에서는,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의 조립 순서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터치 기판(120)의 배면(전면 패널(20)과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에 홀더(140)를 솔더링 고정한다. 그리고 웨이퍼(150)도 실장한다. 이는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홀더(140)와 터치 기판(120) 사이에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한다.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할 때 가이드홈(147)에 의해 피에조 디스크의 삽입 방향이 가이드 되는바, 작업자는 피에조 디스크(130)의 삽입 작업을 수작업으로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에조 디스크(130)는 원형인 반면, 홀더(140)의 측면 지지부(146)는 다각형의 변 형태와 대응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일단 피에조 디스크(130)의 끝부분만 삽입구(141)에 집어넣고 피에조 디스크(130)를 뒤에서 누르면, 피에조 디스크(130)의 원형 가장자리가 피에조 디스크(130)를 안내하여 홀더(140) 내에 피에조 디스크(130)가 자연스럽게 정렬 삽입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기판(120)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각형 형태의 홀(122)의 장변은 터치 기판(120)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정렬되며, 홀더(140)의 삽입구(141)는 홀(122)의 장변 부분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터치 기판(120)의 측면에서 홀더(140)로 피에조 디스크(130)를 삽입할 수 있는바, 삽입 작업이 더욱 수월해진다.
이렇게 터치 기판(120)에 홀더(140)를 고정하고, 피에조 디스크(130)를 끼워 넣은 반 조립 상태에서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터치 부분의 정면과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 도 10과 도 11이다.
다음으로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제2 접착 부재(예를 들어, 도 12의 190)를 부착한다. 이 역시 자동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제1 접착 부재(110)는 표면에 이형지가 부착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냉장고 도어(10)의 전면 패널(20)에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를 부착할 때 이형지를 제거함으로써, 제1 접착 부재(110) 표면의 접착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착 부재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의 일부 부품들은 전술한 조립 순서를 통해 조립될 수 있는바,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터치 센서 어셈블리의 일부 부품(즉, 터치 기판, 피에조 디스크, 홀더, 웨이퍼)에 대해서는 앞서 상세하게 설명한바, 커버 구조체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일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2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12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의 지지 후크를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와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는 전술한 터치 기판(120),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홀더(140), 웨이퍼(150) 뿐만 아니라 커버 구조체(200-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판(120)의 전면에는 터치 기판(120)을 전면 패널(도 3의 20)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 접착 부재(110)가 부착되고,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에는 커버 구조체(200-1)를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 접착 부재(19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는 예를 들어,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시의 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얇은 두께(예를 들어, 0.05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고성능의 아크릴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고, 프라이머(primer)가 도포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 부재에 프라이머를 도포함으로써 접착 강도를 추가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 중 적어도 하나는 고온에 대한 내열성(예를 들어, 149℃이상 204℃이하의 온도에 대한 내열성)을 갖출 수 있다.
즉, 내열성을 갖춘 접착 부재(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성능의 아크릴 접착제가 적용되고, 프라이머가 도포되는바, 접착 부재의 접착력이 장기간(예를 들어, 10년 이상)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착 부재의 장기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 중 적어도 하나는 특정 크기 이상의 절연 저항(예를 들어, 1MΩ 이상의 절연 저항)을 갖추는바, 인체 정전기가 제품 내부로 유입되거나 회로의 누설 전류(예를 들어, 터치 기판(120)의 누설 전류)가 인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정전기의 유입 방지를 통해 회로 손상(예를 들어, 터치 기판(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누설 전류의 인체 전달을 방지함으로써 감전 사고 또는 미세 전류로 인한 터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2 접착 부재(19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 중 홀더(140)와 비오버랩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면, 커버 구조체(200-1)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구조체(200-1)는 직육면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으로, 전면이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되, 전면 중 홀더(140)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터치 기판(120)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225)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1)는 오목부(225)를 확보하기 위해 터치 기판(120)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225)는 홀더(14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225)는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와 홀더(140)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 중 홀더(140)와 비오버랩되는 부분은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와 홀더(140)를 밀폐하도록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 구조체(200-1)를 이용한 밀폐 구조를 통해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는 공기에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의 공기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가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화로 인한 전기적 접촉 불량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기판(120)을 제1 접착 부재(110)를 통해 전면 패널(도 3의 20)에 부착시,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터치 기판(120)을 압착해야 한다. 다만,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한 압착 작업시, 터치 기판(120)에 부착된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또는 홀더(140) 등이 변형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구조체(200-1)가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어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및 홀더(140) 등을 밀폐 및 보호할 수 있는바,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한 압착 작업시에도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및 홀더(14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 중 홀더(140)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오목부(225)가 구비되고, 홀더(140)와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은 평면으로 구성되어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바, 롤러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고르게 압착하기 용이하다.
한편, 커버 구조체(200-1)는 강성이 크고 성형 수축율이 낮으며 휨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1)는 예를 들어,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 중 오목부(225)를 제외한 부분(즉, 홀더(140)와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으로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분)은 이웃하는 피에조 디스크들 사이를 격리하는 격벽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터치 지점(도 3의 21)을 강하게 누르거나 터치 지점 외 영역(예를 들어, 터치 지점들 사이 영역)을 누르는 경우, 터치를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피에조 디스크로 힘이 전달되어 제품이 오작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판(120)의 길이가 길고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면적이 클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인해 터치 기판(120)의 휨이 발생하거나 전면 패널(도 3의 20)의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제품이 오작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구조체(200-1)가 이웃하는 피에조 디스크들 사이를 격리하는 격벽 역할을 함으로써 터치를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피에조 디스크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구조체(200-1)의 재질이 MPPO, PBT, PC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바, 터치 기판(120)의 휨 또는 전면 패널(도 3의 20)의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1)가 잘못된 힘의 전달 및 터치 기판(120)의 휨 등을 방지하는바, 제품의 오작동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다.
참고로, 커버 구조체(200-1)의 배면(즉,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면의 대향면) 중 오목부(225)와 비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격자형 살(23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격자형 살(235)은 오목부(225)와 비오랩되는 부분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사각형 또는 다이아몬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격자형 살(235)을 통해 커버 구조체(200-1)의 사출 원재료를 저감할 수 있고, 사출 성형시 휨 발생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구조체(200-1)의 양 측단에는 커버 구조체(200-1)의 두께 방향(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 후크(21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체결 후크(210)는 후술할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에 구비된 복수개의 후크 홈(도 19의 31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커버 구조체(200-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체결 후크(210)는 커버 구조체(200-1)의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체결 후크(210)는 후술하는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에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 홈(도 19의 315)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파지(즉, 고정되지는 않고 걸려만 있는 상태)될 수 있다.
즉, 터치 기판(120)과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를 전면 패널(도 3의 20)에 일체형으로 부착하기 위해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커버 구조체(200-1)가 후크 구조(즉, 체결 후크와 후크 홈 간 결합 구조)를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에 파지된다.
참고로, 전면 패널(도 3의 20)에 터치 기판(120)과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를 부착시, 터치 기판(120)의 접착면(즉, 전면)과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의 접착면(즉, 전면) 간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구조체(200-1)는 전술한 후크 구조를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도 19의 30-1)에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파지됨으로써 단차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도 대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커버 구조체(200-1)의 일측면에는 터치 기판(도 12의 120)에 부착되는 웨이퍼(도 12의 150)를 위한 개방구(23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웨이퍼(도 12의 150)는 개방구(237)를 통해 커버 구조체(200-1)의 전면에 걸리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8을 참조하면, 전술한 구조 및 특징을 가지는 커버 구조체(200-1)가 터치 기판(120)에 부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12, 도 19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커버 디스플레이(30-1)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디스플레이(30-1)는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전술한 커버 구조체(200-1)를 전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디스플레이(30-1)는 LED(Light Emitting Diode)가 실장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미도시)의 장착을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품으로, 양면 테이프 또는 프라이머가 도포된 접착 부재를 통해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전면 일측에는 전술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가 장착되는바, 커버 디스플레이(30-1)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디스플레이(30-1)는,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배면 중 디스플레이 영역(도 3의 11)과 커버 디스플레이(30-1)에 형성된 관통구(320)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어셈블리에 실장된 LED에서 발산된 광은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관통구(320)와 디스플레이 영역(도 3의 11)을 거쳐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관통구(320)는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관통구(320) 중 일부는 7-세그먼트(7-segment)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기타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다양한 홀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는 프레임 어셈블리(미도시)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 어셈블리가 커버 디스플레이(30-1)에 장착되는바, 프레임 디스플레이는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좌우 양측단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340)을 통해 커버 디스플레이(30-1)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 레일(340)은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양단에 절곡되도록 형성되는바, 프레임 디스플레이는 절곡된 가이드 레일(340)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레일(340)은 상단이 넓은바, 프레임 디스플레이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가이드 레일(340)의 내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바, 프레임 디스플레이가 삽입될수록 프레임 디스플레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어셈블리가 커버 디스플레이(30-1)를 향해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전면 일측에는 커버 구조체(200-1)가 수용되는 수용부(3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부(310)는 커버 구조체(200-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 구조체(200-1)는 수용부(310)에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기판(120)이 부착된 커버 구조체(200-1)가 수용부(310)에 장착된 경우, 터치 기판(120)의 전면이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전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310)는 개구된 둘레를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가 수용부(310)에 장착되는 경우, 수용부(310)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의 둘레면과 접하게 되는바,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의 안정적인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수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개의 후크 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후크 홈(315)은 전술한 커버 구조체(200-1)에 구비된 복수개의 체결 후크(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수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후크 홈(315)은 수용부(310)의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바, 커버 구조체(200-1)가 일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홈(315)은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바, 전술한 체결 후크(210)는 후크 홈(315)의 내측에 파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구조체(200-1) 역시 수용부(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유동 가능한 것이다.
또한 수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지지 후크(318)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지지 후크(318)는 수용부(310)의 양측 가장자리 중 복수개의 후크 홈(315)과 오버랩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되, 일부 구간이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지지 후크(318)의 경우,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구간이 커버 구조체(200-1)의 양 측단의 배면에 파지되어 커버 구조체(200-1)를 전방으로 밀어주는바(즉, 전방으로 지지하는바), 접착 부재(예를 들어, 도 12의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의 접착력 유지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커버 디스플레이(30-1)는 전술한 구조 및 특징을 가지는바,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기판(120)이 부착된 커버 구조체(200-1)를 안정적으로 수용하면서 전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와 커버 디스플레이(30-1)의 일 예를 살펴본바,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일 예와 일부 내용을 제외하고는 동일한바, 중복되는 내용은 가급적 생략하도록 한다.
도 26은 도 3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커버 구조체와 터치 기판이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6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6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배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에 도시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와 커버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먼저, 도 26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2)와 커버 디스플레이(30-2)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2)는 전술한 도 12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100-1)와 같이, 터치 기판(120),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홀더(140), 웨이퍼(150) 뿐만 아니라 커버 구조체(20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판(120)의 전면에는 터치 기판(120)을 전면 패널(도 3의 20)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 접착 부재(110)가 부착되고, 커버 구조체(200-2)의 전면에는 커버 구조체(200-2)를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 접착 부재(19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 구조체(200-2)는 전술한 도 12의 커버 구조체(200-1)와 형상 및 구조면에서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6 및 도 27을 참조하면, 커버 구조체(200-2)는 두께가 얇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커버로, 전면이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되, 전면 중 홀더(140)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개방홀(26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2)는 홀더(140)와 오버랩되는 부분에 개방홀(260)이 형성되는바, 얇은 두께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개방홀(260)은 홀더(140)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홀(260)은 피에조 디스크(도 4의 130) 및 홀더(140)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개방되어 형성되고, 커버 구조체(200-2)의 전면 중 홀더(140)와 비오버랩되는 부분은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커버 구조체(200-2)는 강성이 크고 성형 수축율이 낮으며 휨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2)는 예를 들어, MPPO(Modifide Polyphenylene Oxid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 구조체(200-2)의 전면 중 개방홀(260)을 제외한 부분(즉, 홀더(140)와 오버랩되지 않는 부분으로 터치 기판(120)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분)은 이웃하는 피에조 디스크들 사이를 격리하는 격벽 역할을 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가 터치 지점을 강하게 누르거나 터치 지점 외 영역(예를 들어, 터치 지점들 사이 영역)을 누르는 경우, 터치를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피에조 디스크로 힘이 전달되어 제품이 오작동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기판(120)의 길이가 길고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면적이 클 경우, 사용자의 터치 동작으로 인해 터치 기판(120)의 휨이 발생하거나 전면 패널(도 3의 20)의 출렁거림이 발생하여 제품이 오작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 구조체(200-2)가 이웃하는 피에조 디스크들 사이를 격리하는 격벽 역할을 함으로써 터치를 의도하지 않았던 다른 피에조 디스크로 힘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 구조체(200-2)의 재질이 MPPO, PBT, PC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는바, 터치 기판(120)의 휨 또는 전면 패널(도 3의 20)의 출렁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커버 구조체(200-2)가 잘못된 힘의 전달 및 터치 기판(120)의 휨 등을 방지하는바, 제품의 오작동 가능성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커버 구조체(200-2)의 일측면에는 터치 기판(도 26의 120)에 부착되는 웨이퍼(도 26의 150)를 위한 개방구(26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웨이퍼(도 26의 150)는 개방구(267)를 통해 커버 구조체(200-2)의 전면에 걸리지 않고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커버 구조체(200-2)에는, 전술한 도 12의 커버 구조체(200-1)와 달리, 복수개의 체결 후크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28을 참조하면, 전술한 구조 및 특징을 가지는 커버 구조체(200-2)가 터치 기판(120)에 부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6,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면, 커버 디스플레이(30-2)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디스플레이(30-2)는 전면 패널(도 3의 20)의 배면에 부착되어 전술한 커버 구조체(200-2)를 전방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커버 디스플레이(30-2)는 전술한 도 12의 커버 디스플레이(30-1)와 관통구(320), 가이드 레일(340)은 동일하지만, 수용부(311) 및 후크 구조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디스플레이(30-2)의 전면 일측에는, 도 12의 커버 디스플레이(30-1)와 같이, 커버 구조체(200-2)가 수용되는 수용부(311)가 형성된다.
다만, 도 12의 커버 디스플레이(30-1)와 달리, 커버 디스플레이(30-2)의 수용부(311)에는 복수개의 후크 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전술한 커버 구조체(200-2)에 복수개의 체결 후크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수용부(31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12의 커버 디스플레이(30-1)에 구비된 지지 후크(도 19의 318)와 다른 형상의 지지 후크(380)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지지 후크(380)는 수용부(311)의 좌우 양측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전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바, 커버 구조체(200-2)를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지지 후크(380)의 경우, 도 31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후크(380)의 절곡된 단부가 커버 구조체(200-2)의 양 측단(즉, 양 측단의 배면)에 파지되어 커버 구조체(200-2)를 전방으로 밀어주는바(즉, 전방으로 지지하는바), 접착 부재(예를 들어, 도 26의 제1 및 제2 접착 부재(110, 190))의 접착력 유지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즉, 커버 디스플레이(30-2)는 전술한 구조 및 특징을 가지는바, 도 31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기판(120)이 부착된 커버 구조체(200-2)를 전방으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즉, 커버 구조체)와 커버 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커버 디스플레이의 구조와 그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커버 디스플레이는 냉장고를 포함한 다른 종류의 가전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용 도어 패널 등 다양한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30: 커버 디스플레이 100: 터치 센서 어셈블리
110: 제1 접착 부재 120: 터치 기판
130: 피에조 디스크 140: 홀더
150: 웨이퍼 190: 제2 접착 부재
200: 커버 구조체
110: 제1 접착 부재 120: 터치 기판
130: 피에조 디스크 140: 홀더
150: 웨이퍼 190: 제2 접착 부재
200: 커버 구조체
Claims (27)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피에조 디스크와 상기 홀더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는 상기 오목부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삭제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 중 상기 홀더와 비오버랩되는 부분은 상기 피에조 디스크와 상기 홀더를 밀폐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 접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 접착 부재가 부착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 중 상기 홀더와 비오버랩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 저항의 크기는 1MΩ 이상인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149℃이상 204℃이하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을 갖춘
터치 센서 어셈블리.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구조체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커버 디스플레이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의 양 측단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체결 후크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후크 홈에 각각 전후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파지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항에 있어서,
가요성이 부여되도록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극과 접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 및
상기 피에조 디스크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극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면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터치 기판의 일 영역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홀의 중앙부로 연장되는 다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치 기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에서 상기 터치 기판을 포함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상기 고정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그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 접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 접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 저항의 크기는 1MΩ 이상인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삭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 부재는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 중 상기 홀더와 비오버랩되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양면 테이프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삭제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기판의 전면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 접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커버 구조체의 전면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하기 위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 접착 부재가 부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착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149℃이상 204℃이하의 온도에 대해 내열성을 갖춘
터치 센서 어셈블리.
-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및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된 커버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구조체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는 커버 디스플레이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디스플레이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구조체의 양 측단에는 상기 수용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구비된 복수개의 지지 후크가 파지되어 상기 커버 구조체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15항에 있어서,
가요성이 부여되도록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극과 접하면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제1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가압부; 및
상기 피에조 디스크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2 극을 지지하고, 상기 제2 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터치 기판에 구비된 제2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고정면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지점과 대응되는 상기 터치 기판의 일 영역에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홀의 내주면에서 상기 홀의 중앙부로 연장되는 다리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 지지부와
상기 배면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터치 기판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상기 측면 지지부에서 상기 터치 기판을 포함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상기 터치 기판의 고정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그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어셈블리.
-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
상기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가 구비된 커버 구조체;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 구조체를 전방으로 지지하고, 전면 일측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피에조 디스크와 상기 홀더를 둘러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냉장고 도어.
- 사용자가 터치하는 터치 지점이 표시된 전면 패널;
상기 터치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된 터치 기판;
제1 극과 제2 극이 적층되어 구비되되, 상기 제1 극은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접하도록 상기 터치 기판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정렬된 피에조 디스크;
상기 피에조 디스크를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피에조 디스크의 측면과 배면을 지지하는 홀더;
전면이 상기 터치 기판의 배면에 부착되되, 상기 전면 중 상기 홀더와 오버랩되는 부분에는 개방홀이 형성된 커버 구조체; 및
상기 전면 패널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커버 구조체를 전방으로 지지하고, 전면 일측에는 상기 커버 구조체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899A KR102180612B1 (ko) | 2020-03-26 | 2020-03-26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6899A KR102180612B1 (ko) | 2020-03-26 | 2020-03-26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9329A Division KR102097013B1 (ko) | 2018-07-31 | 2018-07-31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4995A KR20200034995A (ko) | 2020-04-01 |
KR102180612B1 true KR102180612B1 (ko) | 2020-11-19 |
Family
ID=7027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6899A KR102180612B1 (ko) | 2020-03-26 | 2020-03-26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80612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6478B1 (ko) * | 2017-06-23 | 2018-0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어셈블리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1996B1 (ko) * | 2012-11-19 | 2015-05-28 | (주)아이티버스 | 터치패드 입력장치 |
KR101659180B1 (ko) * | 2014-12-22 | 2016-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
KR101659184B1 (ko) * | 2014-12-24 | 2016-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 제조 방법 |
-
2020
- 2020-03-26 KR KR1020200036899A patent/KR1021806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26478B1 (ko) * | 2017-06-23 | 2018-02-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터치 센서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4995A (ko) | 2020-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64769B2 (en) |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
KR101826478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 |
KR101802667B1 (ko) | 가전 제품용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639522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 |
KR101659180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 |
KR102097013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
KR102180612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도어 | |
KR101913949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 |
JP2007165101A (ja) | 帯電防止機能を備えた電子機器 | |
EP3745595B1 (en) | Touch sensor assembly | |
KR102562842B1 (ko) |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포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