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610B1 - Pouch - Google Patents

Pou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610B1
KR102180610B1 KR1020200059958A KR20200059958A KR102180610B1 KR 102180610 B1 KR102180610 B1 KR 102180610B1 KR 1020200059958 A KR1020200059958 A KR 1020200059958A KR 20200059958 A KR20200059958 A KR 20200059958A KR 102180610 B1 KR102180610 B1 KR 10218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heet
lining
pouch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현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01Flexible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3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e.g. laptop, tablet, netbook, game boy, navigation system, calculat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in which a receiving space is formed and which includes a housing formed by stitching parts of circumferential surfaces of a front plate and a rear plate to form an inlet connected to the receiving space.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are formed by stitching an outer and a lining. The outer is composed of an outer finish sheet, a cushioning sheet, and a nonwoven fabric which are laminated. The lining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a cushioning sheet, and an inner finishing sheet which are laminated. The peripheries of the outer and the lining are stitched together so that the nonwoven fabrics of the front and rear plates faces each other. Each of cushioning sheets of the outer and lining is composed of a sponge material. The outer finish sheet,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nonwoven fabric of the outer, and the nonwoven fabric,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inner finish sheet of the lining are heat-seal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파우치{POUCH}Pouch {POUCH}

본 발명은 질감과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uch of a new structure with improved texture and durability.

일반적으로, 태블릿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된 파우치는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납 공간과 연결되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앞판과 뒷판의 둘레면을 박음질하여 구성된다. 앞판과 뒷판은 완충시트와, 완충시트의 내외측면에 각각 적층된 겉감과 안감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pouch capable of accommodating and storing a tablet computer or a smartphone is configured by stitch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so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inside and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on one side. The front and back panels are composed of a cushioning sheet, and an outer and lining laminated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ushioning sheet, respectively.

완충시트는 얇은 시트형상의 스펀지를 이용한다. 겉감과 안감은 적절한 종류의 천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앞판과 뒷판을 제작할 때는 겉감과 안감을 사각형으로 재단한 후, 겉감과 안감의 둘레면을 박음질하여, 겉감과 안감을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입구가 형성된 봉투형태로 만들고, 공간부에 완충시트를 삽입한 후, 입구부분을 박음질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The cushioning sheet uses a thin sheet-shaped sponge. The outer and the lining are made of an appropriate kind of natural material. And, when making these front and back plates, the outer and lining are cut into squares, and then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and lining is sewn to form an envelope with a space inside the outer and lining, and an entrance on one side. After inserting the cushioning sheet in the part, the method of stitching the inlet part is used.

한편, 이러한 파우치의 입구에는 지퍼 등을 결합하여, 사용자가 파우치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한 후, 입구를 밀폐하도록 하기도 한다.Meanwhile, a zipper or the like is coupled to the inlet of the pouch so that the user may store the item in the pouch and then seal the inlet.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앞판과 뒷판은, 겉감과 안감이 내부에 구비된 완충시트와 이격되어, 겉감과 안감을 만질 때 이질감이 발생될 뿐 아니라, 겉감이나 안감이 쉽게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러한 파우치는 앞판과 뒷판이, 천 재질의 겉감과 안감의 내부에 스펀지재질의 완충시트를 삽입하여 구성됨으로, 앞판과 뒷판이 쉽게 구부러져 견고한 느낌을 주지 못하고, 파우치의 질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However, the front and back panels produced in this way are separated from the cushioning sheet provided with the outer and the lining, so that when the outer and the lining are touched, a feeling of disparity occurs, as well as the problem that the outer or the lining can be easily torn. Occurs. In particular, such a pouch is constructed by inserting a cushioning sheet made of a sponge material in the front and back panels, and the outer and lining of a cloth material, so that the front and back panels are easily bent and do not give a solid feel, and the texture of the pouch is poor. do.

또한, 종래의 파우치는 내부에 휴대기기를 수용하여 보호하거나 카드를 수납하는 단순한 기능들만 있을 뿐, 휴대기기를 보호 또는 보관하는 것에만 치중하여 휴대기기의 사용상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휴대기기의 사용시 손으로 직접 파지하여 사용하거나 책상 또는 테이블 상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 별도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더 구비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함은 물론 휴대가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uch has only simple functions of accommodating and protecting a mobile device or storing a car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convenience in use of the mobile device by focusing only on protecting or storing the mobile device. In particular, when a portable device is used by hand, or is intended to be used on a desk or a table, an additional cost is incurred and portability is cumbersome because a separate holder for the portable device must be further provided.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1471호(2014.03.11)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4-0001471 (2014.03.11)

본 발명은 질감과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구조의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uch having a new structure with improved texture and durability.

또한, 휴대기기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ouch that can safely store and carry a portable device, and that can be used by mounting a portable device.

또한, 휴대기기 사용시 필요한 문서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동안 문서에 필기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ouch that can easily store documents required when using a portable device, and that can provide a stand for writing on a document while using the portable device.

또한,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사용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한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pouch capable of charging a smartphone while using a laptop or tablet PC.

또한, 휴대기기가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꺼내지 않고도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uch capable of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portable device without taking out the portable device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pou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앞판과 뒷판의 둘레면 일부가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앞판과 뒷판은 겉감과 안감을 상호 박음질하여 구성되고, 상기 겉감은 외부마감시트, 완충시트 및 부직포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감은 부직포, 완충시트, 내부마감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앞판과 뒷판 각각의 상기 부직포가 마주보도록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의 둘레부를 상호 박음질하여 결합되되, 상기 겉감과 안감 각각의 완충시트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의 외부마감시트, 완충시트 및 부직포와, 상기 안감의 부직포, 완충시트 및 내부마감시트는 상호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space inside, and a pouch including a housing formed by stitch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to form an inlet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wherein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is constructed by interlocking the outer and the lining, and the outer finish sheet,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non-woven fabric are laminated, and the lining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a buffer sheet, and an inner finishing sheet are laminated, and the front and back plates The outer surface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ining are mutually sewn together so that each of the non-woven fabrics face each other, and the cushioning sheet of each of the outer and lining is composed of a sponge material, and the outer finish sheet,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non-woven fabric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The nonwoven fabric of the lining,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provide a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heat-seal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뒷판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뒷판 내부에서 전방 외부로 인출 가능한 판넬부; 상기 판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뒷판의 후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앞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which can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to the front outsi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pass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anel, and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positioned above the front panel; And a height adjustment part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또한, 상기 판넬부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되, 상하로 배치되어 후방 단부가 서로 고정된 제1 판넬과 제2 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에 용지 보관이 가능한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nel portion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and is formed of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which are arranged up and down to have rear ends fixed to each other, so that a pouch capable of storing pape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Can provide.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힌지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한 지지축과 수평축을 포함하는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unit may provide a pouch including a support shaft and a horizontal shaft rotatable with each other by a hinge.

또한, 상기 판넬부가 상기 뒷판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판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도 전방으로 당겨지고, 상기 연결부가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앞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뒷판의 후방 단부까지 당겨져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수평축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의 높이가 결정되는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nel part is drawn forward from the rear panel,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is also pulled forward, and as the connection part is pulled forward, i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positioned above the front panel. The height adjustment part, which has been made, is pulled to the rear end of the back plate, so that a pouch in which the height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the support shaft and the horizontal axis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파우치의 겉감과 안감이 적절한 두께감과 강도를 갖도록 하고, 이와 같은 겉감과 안감을 결합하여 제작된 앞판과 뒷판을 이용하여 파우치를 제조하면, 사용자가 겉감과 안감을 만질 때 이질감이 발생되거나, 겉감이나 안감이 쉽게 찢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앞판과 뒷판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파우치의 질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uter and lining of the pouch has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strength, and when the pouch is manufactured using the front and back plates produced by combining the outer and lining, the user can touch the outer and lin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feeling of foreign matter, the outer or the lining being easily torn, and the front and back panels can be easily bent, or the texture of the pouch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또한, 휴대기기를 안전하게 보관하여 휴대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portable devices can be safely stored and carried, and portable devices can be mounted and used.

또한, 휴대기기 사용시 필요한 문서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휴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동시에 문서에 필기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store documents required when using a portable device, and to provide a pedestal for writing on documents while mounting the portable device.

또한, 노트북이나 태블릿 PC 사용과 동시에 스마트폰의 충전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a smartphone while using a laptop or tablet PC.

또한, 휴대기기가 파우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꺼내지 않고도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portab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pouch,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portable device can be checked without removing the portab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판넬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가 인출되고 높이 조절부가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부 및 마우스 패드가 인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잔량확인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a panel part is installed in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nel portion is pulled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views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in which a panel part is pulled out and a height adjustment part adjusts the height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at the wireless charging unit and the mouse pad are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at a remaining amount check unit is installed in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housing in an open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의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우치(1)는 내부에는 수납공간(10)이 형성되고, 앞판(11)과 뒷판(12)의 둘레면을 박음질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ouch 1 may have a storage space 10 formed therein, and may be configured by stitch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앞판(11)과 뒷판(12)은 겉감(101)과 안감(102)을 상호 박음질하여 구성된다.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are formed by stitching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102 together.

이때, 겉감(101)은 외부마감시트(1011)와 완충시트(1012)와 부직포(1013)를 적층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제작된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101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the outer finishing sheet 1011, the cushioning sheet 1012, and the nonwoven fabric 1013, and then heat-sealing each other.

외부마감시트(1011)는 통상 다이마루라고 불리는 편직물원단을 이용한다.The outer finishing sheet 1011 is usually made of a knitted fabric called Daimaru.

완충시트(1012)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겉감(101)의 외부마감시트(1011)와 완충시트(1012) 및 부직포(1013)는 상호 열융착된다.The cushioning sheet 1012 is made of a sponge material. In addition, the outer finish sheet 1011 of the outer surface 101, the buffer sheet 1012, and the nonwoven fabric 1013 ar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안감(102)은 부직포(1021)와 완충시트(1022)와 내부마감시트(1023)를 적층한 후, 상호 열융착하여 제작된다.The lining 102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nonwoven fabric 1021, a buffer sheet 1022, and an inner finishing sheet 1023, and then heat-sealing each other.

완충시트(1022)는 겉감(101)의 완충시트(1012)에 비해 압축된 스펀지재질로 구성된다.The cushioning sheet 1022 is composed of a sponge material compressed compared to the cushioning sheet 1012 of the outer surface 101.

내부마감시트(1023)는 통상 벨보아원단을 이용한다. 이때, 상기 외부마감시트(1011)와 내부마감시트(1023)는 상기 앞판(11)과 뒷판(12)의 내외측면의 촉감과 시각적 효과를 주는 기능을 한다.The inner finishing sheet 1023 is usually made of Belboa fabric. At this time, the outer finish sheet 1011 and the inner finish sheet 1023 function to give a tactile feel and visual effect on the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완충시트(1012,1022)는 앞판(11)과 뒷판(12)에 쿠션감을 주는 기능을 한다.The cushioning seats 1012 and 1022 function to giv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부직포(1013,1021)는 앞판(11)과 뒷판(12)의 완충시트(1012,1022)에 부착되어, 안판과 뒷판(12)에 적절한 정도의 강도, 즉 뻣뻣함을 제공한다.The non-woven fabrics 1013 and 1021 are attached to the cushioning sheets 1012 and 1022 of the front and rear panels 11 and 12 to provide adequate strength, that is, stiffness, to the inner and rear panels 12.

이때, 겉감(101)과 안감(102)의 재료를 상호 열융착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인 라미네이팅 방법, 즉, 겉감(101)의 재료와 안감(102)의 재료를 상호 적층한 후, 겉감(101)과 안감(102)을 가열된 압출고울러의 사이로 통과시킴으로써, 겉감(101)의 외부마감시트(1011)와 완충시트(1012)와 부직포(1013), 그리고, 안감(102)의 부직포(1021)와 완충시트(1022)와 내부마감시트(1023)가 열에 의해 상호 융착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method of heat-sealing the materials of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with each other, a general laminating method, that is, after the material of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material of the lining 102 are laminated to each other,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through the heated extruded gouler, the outer finish sheet 1011 and the cushioning sheet 1012 and the nonwoven fabric 1013 of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nonwoven fabric 1021 of the lining 102 And it is possible to use a method in which the cushioning sheet 1022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1023 are fused together by heat.

또한, 앞판(11)과 뒷판(12)은 겉감(101)과 안감(102)이 상호 대칭되도록 배치된다. 즉, 앞판(11)은 겉감(101)이 상측에 위치되고 안감(102)이 하측에 위치되는 반면, 뒷판(12)은 겉감(101)이 하측에 위치되고 안감(102)이 상측에 위치된다.In addition,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are arranged so that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102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front panel 11, the outer surface 101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ining 102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while the rear panel 12 has the outer surface 101 located on the lower side and the lining 102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

이와 같이 제작된 겉감(101)과 안감(102)을 적절한 형태로 재단한 후, 부직포(1013,1021)가 마주보도록 겉감(101)과 안감(102)을 적층하고, 겉감(101)과 안감(102)의 둘레부를 상호 박음질하여 앞판(11)과 뒷판(12)을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앞판(11)과 뒷판(12)의 둘레부를 상호 박음질함으로써, 파우치를 제조할 수 있다.After cutting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produced in this way into an appropriate shape,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are stacked so that the non-woven fabrics 1013 and 1021 face each other, and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 The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may be manufactured by stitching the circumferences of the circumferences 102), and a pouch may be manufactured by stitching the circumferences of the manufactured front panel 11 and the rear panel 12 to each other.

정리하면, 파우치(1)의 앞판(11)과 뒷판(12)은 겉감(101)과 안감(102)을 상호 박음질하여 구성되고, 겉감(101)은 외부마감시트(1011)와 완충시트(1012)와 부직포(1013)를 적층하여 구성되고, 안감(102)은 부직포(1021)와 완충시트(1022)와 내부마감시트(1023)를 적층하여 구성되며, 앞판(11)과 뒷판(12)은 부직포(1013,1021)가 마주보도록 겉감(101)과 안감(102)의 둘레부를 상호 박음질하여 결합됨으로, 겉감(101)과 안감(102)이 적절한 두께감과 강도를 갖게 된다. 겉감(101)과 안감(102)을 결합하여 제작된 앞판(11)과 뒷판(12)을 이용하여 파우치(1)를 제조하면, 사용자가 겉감(101)과 안감(102)을 만질 때 이질감이 발생되거나, 겉감(101)이나 안감(102)이 쉽게 찢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앞판(11)과 뒷판(12)이 쉽게 구부러지거나, 파우치의 질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of the pouch 1 are formed by interlocking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102, and the outer surface 101 is an outer finish sheet 1011 and a cushioning sheet 1012 ) And a non-woven fabric (1013) are stacked, and the lining 102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1021), a cushioning sheet (1022), and an inner finish sheet (1023) stacked, and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are Since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lining 102 are sewn together so that the nonwoven fabrics 1013 and 1021 face each other,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102 have an appropriate thickness and strength. When the pouch 1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produced by combining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a sense of foreignness when the user touches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lining 10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r the outer surface 101 or the lining 102 from being easily torn, and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can be easily bent or the texture of the pouch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또한, 겉감(101)과 안감(102)의 완충시트(1012,1022)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되고, 겉감(101)의 외부마감시트(1011)와 완충시트(1012)와 부직포(1013), 안감(102)의 부직포(1021)와 완충시트(1022)와 내부마감시트(1023)는 상호 열융착됨으로, 겉감(101)과 안감(102)의 재료가 상호 결합되어, 일체감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cushioning sheets 1012 and 1022 of the lining 102 are made of a sponge material, and the outer finishing sheet 1011 and the cushioning sheet 1012 and the non-woven fabric 1013 of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The non-woven fabric 1021 of 102, the cushioning sheet 1022,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1023 are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terials of the outer surface 101 and the lining 102 are mutually combined, giving a sense of unity. have.

본 실시예의 경우, 외부마감시트(1011)는 다이마루원단을 이용하고, 내부마감시트(1023)는 벨보아 원단을 이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외부마감시트(1011)와 내부마감시트(1023)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이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outer finishing sheet 1011 is exemplified that the Daimaru fabric is used,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1023 is made of Belboa fabric, but the outer finishing sheet 1011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1023 are of various types. Fabric can be used.

또한, 도면의 경우, 상기 파우치의 입구는 개방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파우치의 입구부분에 지퍼나 별도의 덮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파우치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drawing, it is exemplified that the inlet of the pouch is open, but a zipper or a separate cover is provided at the inlet portion of the pouch so that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inlet of the pouch.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판넬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anel portion is installed in a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판넬부(30)는 뒷판(1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판넬부(30)는 뒷판(12)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뒷판(12)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anel unit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panel 12. The panel part 30 may be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rear panel 1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ar panel 12.

판넬부(30)는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nel part 30 may include a first panel 31 and a second panel 32.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은 사각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은 플라스틱 같은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In additio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and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은 상하로 배치되어 후방 단부가 고정되고,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의 전방이 서로 이격되거나 밀착될 수 있다.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may be arranged vertically so that the rear end thereof is fixed, and the front of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may be spaced apart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구체적으로,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의 전방을 서로 이격시킨 후,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 사이의 공간에 필요 문서와 같은 용지를 보관할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the front of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aper such as required documents can be stor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의 전방이 서로 밀착되면,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 사이의 용지가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front of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paper betwee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may be fixed.

제2 판넬(32)은 체결부(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panel 32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part 321.

체결부(321)는 제2 판넬(32)의 전방 단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321)는 “L”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21)에는 제1 판넬(31)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체결부(321)에 제1 판넬(31)의 단부가 체결됨으로써,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이 밀착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21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anel 32. For example, the fastening part 321 may be formed in an “L” shape. The end of the first panel 31 may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fastening part 321. In this way, by fastening the end of the first panel 31 to the fastening part 321,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in close contact can be fixed.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이 밀착된 상태에서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판넬(31)과 제2 판넬(32)은 단단한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판넬부(30)의 상면에 문서를 놓고 문서를 보거나, 필기를 하는 등 받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다.When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in close contact, it can be used as a pedestal. Since the first panel 31 and the second panel 32 are formed of a hard material, they can be used as a stand for viewing documents or taking notes by placing documen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nel unit 30.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넬부가 인출되고 높이 조절부가 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하는 작동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nel portion is pulled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A to 6C ar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equence in which the panel part is drawn out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adjusts the height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followin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파우치(1)는 하우징(10), 개폐부(20), 판넬부(30), 연결부(40) 및 높이조절부(50)를 포함할 수 있다.4 to 6, the pouch 1 may include a housing 10, an opening/closing part 20, a panel part 30, a connection part 40, and a height adjusting part 50.

하우징(10)은 파우치(1)의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써, 휴대기기를 내부의 수용공간(100)에 수용하여 휴대기기를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원단, 부직포 등으로 구성되어, 소정의 쿠션감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10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pouch 1, and can protect the portable device by accommodating the portable device in the receiving space 100 therein. The housing 10 is composed of a fabric, a non-woven fabric, and the like, and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cushioning feeling.

하우징(10)은 내부에 휴대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앞판(11)과 뒷판(12)(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100 for accommodating a portable device therein. The housing 10 may include a front plate 11 and a rear plate 12 (see FIG. 6 ).

앞판(11)과 뒷판(12)은 후방이 연결된 상태에서, 전방과 좌우 양측이 개폐부(20)에 의해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are connected to the rear, both the front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fastened or separ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20.

개폐부(20)는 앞판(11)과 뒷판(12)을 체결 또는 분리하여 하우징(10)의 수용공간(100)을 개방 또는 차폐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 may open or shield the receiving space 100 of the housing 10 by fastening or separating the front plate 11 and the rear plate 12.

개폐부(20)는 지퍼로 이루어져, 이빨부(21)와 슬라이드(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빨부(21)는 앞판(11)과 뒷판(12)의 좌측면에서부터 전면과 우측면까지 이어질 수 있다. 슬라이드(22)는 이빨부(21)내에 설치되어, 이빨부(21)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20 is made of a zipper, and may be composed of a tooth part 21 and a slide 22. The teeth 21 may extend from the left side of the front plate 11 and the back plate 12 to the front and right sides. The slide 22 is installed in the tooth part 21, and the tooth part 21 can be fastened or separated.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판넬부(30)는 뒷판(1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판넬부(30)는 뒷판(12)의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뒷판(12)의 전방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판넬부(30)의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구성 및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판넬부(30)의 후방 단부에는 연결부(40)가 연결될 수 있다.Here, referring to FIG. 5, the panel unit 3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rear panel 12. The panel part 30 may be drawn out to the front and outside of the rear panel 12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ar panel 12. The configuration of the panel unit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described in FIG. 3. However,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30 shown in FIG. 5.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40)는 판넬부(3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뒷판(12)의 내부에서부터 뒷판(12)의 후면을 관통하여 외부까지 인출될 수 있다. 즉, 연결부(40)의 전방 단부는 판넬부(30)에 연결되어 뒷판(12)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결부(40)의 후방 단부는 뒷판(12)의 후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onnection part 4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30, and may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rear plate 12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12.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 is connected to the panel part 30 and is located inside the rear panel 12, and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 penetrates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anel 12 and can be drawn out. have.

연결부(40)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되어, 뒷판(12)의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되어 앞판(11)의 상부로 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0)의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길이는 앞판(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formed of a soft material, penetrate from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12 to the outside, and may be folded over the front plate 11. Accordingly, the length drawn out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plate 11.

연결부(40)는 고정부(41)를 포함하여, 앞판(1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40 may include the fixing part 41 and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구체적으로, 고정부(41)는 연결부(40)의 양 측에 배치되어 앞판(11)의 상면과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40)와 앞판(11)의 상면 사이에 추가적인 수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part 41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40 to b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Accordingly, an additional storage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일 예로, 고정부(41)는 똑딱이 단추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part 41 may be formed in a configuration such as a snap button.

높이조절부(50)는 연결부(4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50)는 연결부(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앞판(11)의 상부 또는 하우징(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 and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plate 11 or at the rear of the housing 10.

높이조절부(50)는 지지축(51), 수평축(52) 및 힌지(5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축(51)과 수평축(52)은 소정 길이 및 소정 두께로 형성되며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축(51)과 수평축(52)은 휴대기기를 수용하는 하우징(1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며, 휴대기기 사용시 사용이 편리한 높이로 하우징(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may include a support shaft 51, a horizontal shaft 52 and a hinge 53.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horizontal shaft 52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of a hard material. That is,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horizontal shaft 52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can support the housing 10 accommodating the mobile device from the lower side, and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can be adjusted to a height that is convenient to use when using the mobile device. It can be formed to any length.

수평축(52)은 힌지(53)에 의해 지지축(51)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수평축(52)은 지지축(51)과 일 면이 접촉되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수평축(52)은 지지축(51)과 예각, 직각, 둔각을 이루도록 회전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shaft 52 may be rotated on the support shaft 51 by the hinge 53. For example, the horizontal shaft 52 may be rotat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51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horizontal axis. In addition, the horizontal shaft 52 may be rotated to form an acute angle, a right angle, or an obtuse angle with the support shaft 51.

일 예로, 지지축(51)과 수평축(52)이 직각을 이루는 상태에서, 높이조절부(50)가 뒷판(12)의 후방 하부에 위치되면, 수평축(52)의 길이만큼 하우징(10)의 후방이 바닥면과 이격되어,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Fo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horizontal shaft 52 form a right angle, when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is located at the rear lower portion of the rear plate 12, the length of the housing 1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shaft 52. The rear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o the height can be adjusted.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판넬부(30), 연결부(40), 높이조절부(50)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6, a process of operating the panel unit 30, the connection unit 40, and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6a는 도 4와 같이 판넬부(30)가 뒷판(12) 내부에 인입된 상태이다. 연결부(40)의 일정 길이와 높이조절부(50)는 앞판(1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연결부(40)의 고정부(41)에 의해 연결부(40)와 높이조절부(50)는 앞판(11)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휴대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파우치(1)를 휴대하고 이동하거나, 판넬부(30)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상태이다. First, FIG. 6A is a state in which the panel part 30 is inserted into the rear panel 12 as shown in FIG. 4.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height adjustment part 50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located above the front plate 11. The connection part 40 and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may be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ront plate 11 by the fixing part 41 of the connection part 40. This is the state when the pouch 1 is carried and moved without using a portable device or the panel unit 30 is not used.

도 6b는 고정부(41)의 고정이 해지된 상태에서, 판넬부(30)가 뒷판(12)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판넬부(30)의 전방 단부가 외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판넬부(30)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처럼, 판넬부(30)가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판넬부(30)와 연결된 연결부(40)가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40)의 전방부가 뒷판(12) 내부로 인입되고, 연결부(40)의 후방부가 하우징(10)의 후방측으로 이동된다.6B shows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part 41 is released, the panel part 30 may be pulled out of the rear panel 12. As the front end of the panel unit 30 is pulled outward, the panel unit 30 may be drawn out. In this way, as the panel unit 30 is drawn out, the connection unit 40 connected to the panel unit 30 is pulled. Accordingly, the front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inserted into the rear plate 12, and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

도 6c는 판넬부(30)가 완전히 뒷판(12) 외부로 인출되어 높이조절부(50)가 하우징(10)의 후방을 지지하여 후방 높이를 조절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판넬부(30)가 완전히 뒷판(12) 외부로 인출되면, 연결부(40)의 후방부가 하우징(10)의 후방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40)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높이조절부(50)가 하우징(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6C is a state in which the panel portion 30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rear panel 12 so that the height adjustment portion 50 supports the rear of the housing 10 to adjust the rear height. Specifically, when the panel portion 30 is completely drawn out of the rear panel 12, the rea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0. Accordingly, the height adjustment part 50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art 40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0.

이때, 높이조절부(50)의 수평축(52)이 지지축(51)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수평축(52)이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a state in which the horizontal axis 52 of the height adjustment unit 50 is rotat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pport axis 51, the horizontal axis 52 may be positioned to face the floor surface.

따라서, 지지축(51)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수평축(52)의 높이만큼 하우징(10)의 후방이 바닥면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은 후방부가 전방부보다 높이 위치되어 기울어지는 상태가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of the housing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by the height of the horizontal axis 52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support shaft 51. Accordingly, the housing 1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portion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front portion and is inclined.

또한, 수평축(52)을 회전하여 지지축(51)과 수평축(52)이 수평을 이루도록 하는 경우, 하우징(10)의 후방부는 바닥면과 이격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horizontal shaft 52 is rotated so that the support shaft 51 and the horizontal shaft 52 are horizontal,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may not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기기 사용시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편리하게 휴대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obile device by adjusting it to a desired height when using the mobile device.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충전부 및 마우스 패드가 인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7 is a view showing a wireless charging unit and a mouse pad are drawn ou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파우치(1)는 무선충전부(60) 및 마우스패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pouch 1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harging unit 60 and a mouse pad 70.

무선충전부(60)는 뒷판(12)의 측면에서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무선충전부(60)는 뒷판(12)의 좌측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may be installed to be retractable from the side of the back plate 12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may be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left side of the back plate 12.

이때, 무선충전부(60)가 뒷판(12)의 내부로 인입가능한 위치는 판넬부(30)가 뒷판(12)의 내부로 인입 가능한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position in which 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panel 12 may be located above a position in which the panel unit 30 is retractable into the interior of the rear panel 12.

무선충전부(60)를 외부로 인출하여, 휴대기기 사용시간 동안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고, 거치와 동시에 스마트폰 배터리 충전이 가능하다.By withdrawing 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to the outside, the smartphone can be mounted during the usage time of the portable device, and the smartphone battery can be charged simultaneously with the mounting.

무선충전부(60)는 거치대(61), 받침부(62), 회전축(63)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may include a cradle 61, a support unit 62, and a rotating shaft 63.

거치대(61)는 파우치(1)의 전후방향을 따른 길이 내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61)의 내부에는 무선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61)의 상면에는 논슬립패드가 설치되어, 거치된 스마트폰이 미끄러져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radle 61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apable of mounting a smartphone within a length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pouch 1. A battery capable of wireless charging may be embedded in the cradle 61. In addition, a non-slip pa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radle 61 to prevent the mounted smartphone from slipping and falling.

받침부(62)는 회전축(63)에 의해 거치대(6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받침부(62)는 거치대(61)가 바닥면과 이격된 높이를 지지할 수 있다. 즉, 받침부(62)는 지지대(61)를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part 62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cradle 61 by a rotation shaft 63. The support part 62 may support a height where the cradle 61 i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surface. That is, the support part 62 may support the support member 61.

마우스패드(70)는 거치대(61)의 전방에서 폴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마우스패드(70)의 후방 단부가 거치대(61)의 전방에 고정되며, 폴딩될 수 있다.The mouse pad 70 may be fixed to be foldable in front of the cradle 61.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mouse pad 70 is fixed to the front of the cradle 61 and may be folded.

무선충전부(60)가 뒷판(12) 내부에 인입될 때, 마우스패드(70)는 폴딩되어 거치대(61)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부(60)가 뒷판(12) 외부로 인출될 때, 마우스패드(70)는 언폴딩되어 거치대(61)의 전방으로 펼쳐질 수 있다. 이때, 마우스패드(70) 면적의 전방으로 갈수록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기기 사용시에 마우스패드(70)를 별도로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Wh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is inserted into the back plate 12, the mouse pad 70 may be folded and positioned above the cradle 61.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harging unit 60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back plate 12, the mouse pad 70 may be unfolded and unfolded in front of the cradle 61. In this case, the mouse pad 70 may be sprea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toward the front of the area. Therefore, the user does not need to carry the mouse pad 70 separately when using the portable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에 잔량확인부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pouc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residual amount check unit,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a hous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파우치(1)는 잔량확인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8 and 9, the pouch 1 may further include a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0.

잔량확인부(80)는 휴대기기가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기기를 꺼내지 않고도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출 전 휴대기기의 충전기를 챙기지 않아도 되는지 챙겨야 하는지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0 may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without taking out the mobile device while the mobile device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quickly check whether it is necessary to pack the charger of the mobile device before going out.

잔량확인부(80)는 버튼부(81), 표시부(82), 배터리부(83) 및 케이블(84)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0 may include a button unit 81, a display unit 82, a battery unit 83, and a cable 84.

버튼부(81), 표시부(82) 및 배터리부(83)는 하우징(10)의 앞판(11)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81)와 표시부(82)는 패널로 형성되어 터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81)를 통해 on/off를 제어하고, 버튼부(81)를 터치함에 따라 표시부(82)에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표시될 수 있다.The button part 81, the display part 82, and the battery part 83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11 of the housing 10. The button portion 81 and the display portion 82 may be formed as a panel and formed in a touch manner. On/off is controlled through the button unit 81, and as the button unit 81 is touche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82.

배터리부(83)는 태양광패널 또는 건전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부(83)는 태양광패널로 이루어져, 하우징(10)의 앞판(11) 상면에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되어 외부의 빛을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잔량확인부(80)는 적은 양의 전력을 필요로하기 때문에, 태양광패널에서 충전되는 전력으로 충분히 작동될 수 있다.The battery unit 83 may be formed of a solar panel or a battery type. For example, the battery unit 83 is made of a solar panel,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 of the housing 10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o convert external light into energy. Since the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0 requires a small amount of power, it can be sufficiently operated with power charged in the solar panel.

케이블(84)을 통해 버튼부(81)와 표시부(82)는 휴대기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케이블(84)은 하우징(10)의 내부로 인출되어 휴대기기의 단자부에 끼워질 수 있다.Through the cable 84, the button unit 81 and the display unit 82 ma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mobile device. The cable 84 may be drawn out into the housing 10 and fitted into a terminal portion of a portable device.

휴대기기의 단자부에 끼워진 케이블(84)은 버튼부(81) 및 표시부(82)와 연결되어, 버튼부(81)의 on/off 작동에 따라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을 확인 후 표시부(82)에 표시할 수 있다. The cable 84 inserted in the terminal part of the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the button part 81 and the display part 82, and after checking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on/off operation of the button part 81, the display part 82 Can be displayed.

다시 말해, 파우치에 수용된 휴대기기의 배터리 잔량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파우치 내에서 휴대기기를 꺼내고 휴대기기의 전원을 키지 않아도, 버튼부(81) 터치하여 표시부(82)에 배터리의 잔량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휴대기기의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obile device accommodated in the pouch, even without removing the mobile device from the pouch and turning on the power of the mobile device, touch the button 81 to display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n the display unit 82. can do.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portable device more quickly and conveniently.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1: 파우치
10: 하우징 11: 앞판
12: 뒷판 100: 수용공간
101: 겉감 102: 안감
1011: 외부마감시트 1012: 완충시트
1013: 부직포 1021: 부직포
1022: 완충시트 1023: 내부마감시트
20: 개폐부 21: 이빨부
22: 슬라이드 30: 판넬부
31: 제1 판넬 32: 제2 판넬
321: 체결부 40: 연결부
41: 고정부 50: 높이조절부
51: 지지축 52: 수평축
53: 힌지 60: 무선충전부
61: 거치대 62: 받침부
63: 회전축 70: 마우스패드
80: 잔량확인부 81: 버튼부
82: 표시부 83: 배터리부
84: 케이블
1: pouch
10: housing 11: front panel
12: back panel 100: accommodation space
101: outer material 102: lining
1011: outer finishing sheet 1012: cushioning sheet
1013: nonwoven fabric 1021: nonwoven fabric
1022: cushioning sheet 1023: inner finishing sheet
20: opening and closing part 21: tooth part
22: slide 30: panel part
31: first panel 32: second panel
321: fastening portion 40: connecting portion
41: fixed part 50: height adjustment part
51: support shaft 52: horizontal axis
53: hinge 60: wireless charging unit
61: cradle 62: support
63: axis of rotation 70: mouse pad
80: remaining amount check unit 81: button unit
82: display unit 83: battery unit
84: cable

Claims (5)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입구가 형성되도록 앞판과 뒷판의 둘레면 일부가 박음질하여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파우치에 있어서,
상기 앞판과 뒷판은 겉감과 안감을 상호 박음질하여 구성되고,
상기 겉감은 외부마감시트, 완충시트 및 부직포가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안감은 부직포, 완충시트, 내부마감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며,
상기 앞판과 뒷판 각각의 상기 부직포가 마주보도록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의 둘레부를 상호 박음질하여 결합되되,
상기 겉감과 안감 각각의 완충시트는 스펀지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겉감의 외부마감시트, 완충시트 및 부직포와, 상기 안감의 부직포, 완충시트 및 내부마감시트는 상호 열융착되고,
상기 뒷판 내부에 인입되어, 상기 뒷판 내부에서 전방 외부로 인출 가능한 판넬부;
상기 판넬부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뒷판의 후면을 관통하며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앞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우치.
In the pouch including a housing formed by securi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plate and the rear plate so that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and an entrance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is formed,
The front plate and the back plate are formed by interlocking the outer and the lining,
The outer surface is composed of an outer finish sheet, a cushioning sheet, and a nonwoven fabric are laminated,
The lining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a cushioning sheet, and an inner finishing sheet are laminated,
The outer surface and the periphery of the lining are mutually sewn together so that the nonwoven fabric of each of the front and back plates faces each other,
Each of the outer and inner cushioning sheets is composed of a sponge material,
The outer finishing sheet,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nonwoven fabric of the outer surface, and the nonwoven fabric, the cushioning sheet and the inner finishing sheet of the lining are heat-sealed with each other,
A panel part that is inserted into the back plate and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back plate to the front and outside;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passing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anel, and being drawn out to the outside, and positioned above the front panel; And
A pouch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part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되, 상하로 배치되어 후방 단부가 서로 고정된 제1 판넬과 제2 판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판넬과 상기 제2 판넬 사이에 용지 보관이 가능한 파우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nel part,
It is formed of a hard material, and is composed of a first panel and a second panel, which are arranged up and down so that the rear ends are fixed to each other,
A pouch capable of storing paper between the first panel and the second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힌지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한 지지축과 수평축을 포함하는 파우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eight adjustment unit,
A pouch including a support shaft and a horizontal shaft rotatable with each other by a hing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가 상기 뒷판에서 전방으로 인출되면,
상기 판넬부의 후방 단부에 연결된 상기 연결부도 전방으로 당겨지고,
상기 연결부가 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앞판의 상부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뒷판의 후방 단부까지 당겨져서,
상기 지지축과 상기 수평축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기 하우징의 후방측의 높이가 결정되는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anel part is drawn forward from the rear panel,
Th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anel part is also pulled forward,
As the connection part is pulled forward, the height adjustment part,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and located above the front plate, is pulled to the rear end of the rear plate,
The pouch in which the height of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is determined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the support shaft and the horizontal axis.
KR1020200059958A 2019-11-12 2020-05-19 Pouch KR10218061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919 2019-11-12
KR20190143919 2019-11-12
KR1020190159852 2019-12-04
KR20190159852 2019-12-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0610B1 true KR102180610B1 (en) 2020-11-18

Family

ID=7369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58A KR102180610B1 (en) 2019-11-12 2020-05-19 Pou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61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726U (en) * 2008-05-23 2008-07-31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Packing material
KR20100001107U (en) * 2008-07-23 2010-02-02 이덕순 A bags that sewing together out shell and wadding
KR20130115661A (en) * 2012-04-12 2013-10-22 이용 Structure of the texture of mogwort
KR20140001471U (en) 2012-08-28 2014-03-11 나현욱 Pouch for mobile terminal
KR20190042155A (en) * 2017-10-16 2019-04-24 고광열 System for display pattern providing of bag having led disp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726U (en) * 2008-05-23 2008-07-31 株式会社ジェイエスピー Packing material
KR20100001107U (en) * 2008-07-23 2010-02-02 이덕순 A bags that sewing together out shell and wadding
KR20130115661A (en) * 2012-04-12 2013-10-22 이용 Structure of the texture of mogwort
KR20140001471U (en) 2012-08-28 2014-03-11 나현욱 Pouch for mobile terminal
KR20190042155A (en) * 2017-10-16 2019-04-24 고광열 System for display pattern providing of bag having led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5434B2 (en) cover
US8708140B2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8714510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and stand
US8899415B2 (en)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variable angle stand
US20120211377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20160224125A1 (en) Combination protective case and stand for a tablet device and keyboard
US9268363B2 (en) Case for a tablet computing device
US20110203955A1 (en) Multipurpose ipad case
US20140224676A1 (en) Low profile protective cover configurable as a stand with integrated battery
WO2005111838A2 (en) Combined packaging and storage apparatus having added functionality
KR101243217B1 (en) Combination case and supporter for handheld terminal
TWM439327U (en) Supporting bracket for electronic device
KR200466178Y1 (en)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102180610B1 (en) Pouch
KR20120008118U (en) Tablet PC Bag
KR200465854Y1 (en) A bag whit tablet personal computer storage function
KR101944484B1 (en) Case having folding type cradle
US20210052053A1 (en) Cover for a mobile device with a screen and a case having such a cover
US10772458B2 (en) Rollable beverage brewing assembly
KR200465932Y1 (en)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KR200489991Y1 (en) Laptop bag
JP3138562U (en) Protective cover for notebook computer
JP3240203U (en) mobile phone case
KR102563141B1 (en) The mobile phone case
CN219496979U (en) Flat plate sheath capable of forming suppor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