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0418B1 -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0418B1
KR102180418B1 KR1020170136847A KR20170136847A KR102180418B1 KR 102180418 B1 KR102180418 B1 KR 102180418B1 KR 1020170136847 A KR1020170136847 A KR 1020170136847A KR 20170136847 A KR20170136847 A KR 20170136847A KR 102180418 B1 KR102180418 B1 KR 10218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device
user
touches
addiction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424A (ko
Inventor
전홍진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170136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04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42Monitoring progression or stage of a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된 입력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가 측정되어 중독 진단 서버로 제공되는 단계, 제공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중독 진단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가 중독 진단 서버를 통하여 진단되는 단계 및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AN ADDICTION DIAGNOSIS METHOD AND SYSTEM BASED ON THE NUMBER OF TOUCH TIMES FOR USER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여부를 진단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을 설정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상에서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이 포함된 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를 측정하여 중독 진단 서버를 통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추정함으로써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중독에 대한 개념은 약물중독 혹은 물질중독의 개념을 넘어 도박,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에 이르는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다. 첨단 IT산업 등과 관련되어 빠르게 발전하는 인터넷, 스마트폰 등의 매체에 따른 새로운 행위중독에 전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의 급격한 확산은 기기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 이외에도 여러 가지 부작용을 함께 야기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개념으로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해 일대일 대면 관계를 통한 의사소통이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현실적 관계 속에서의 가족 및 주변인들과의 소통에 있어서 어려움을 야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야간에 수면을 취하지 않고, 밤새 스마트폰을 지속적으로 사용하여 불면증이 발생하고 낮 동안의 신체기능저하가 유발된다.
스마트폰으로 인한 더욱 큰 문제는 중독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자신이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대부분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객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사용자 스스로 인식이 없고 치료 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량 측정과 관련된 종래의 기술들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시간을 주로 측정하고 있는데, 실제 조작하지 않은 경우까지 사용량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실제 평가 및 치료 적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0146호 (2012.09.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터치 횟수를 측정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중독 여부를 인식하고 사용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의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와 일상생활 시 터치 횟수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의심군을 진단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중독 여부를 진단 시 시간대역에 따른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중독 진단 결과의 객관화된 지표를 제공하고,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된 입력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가 측정되어 중독 진단 서버로 제공되는 단계, 제공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중독 진단 서버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가 중독 진단 서버를 통하여 진단되는 단계 및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패턴의 추정은,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가 사용자의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중 적어도 한명에게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중독 진단의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를 제공받고, 사용 패턴을 추정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 서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 서버에는,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부, 타 디바이스와 신호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터치 횟수,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관리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는,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할 수 있고,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위험군을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에는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보호자 디바이스, 임상의 디바이스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사용자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중독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조작을 하기 때문에 터치 횟수를 기반으로 중독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객관화된 중독 진단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 스스로가 문제를 인식하고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획일화된 중독 진단 기준에 따라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 관련 정보 및 사용 패턴을 분석하여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것이므로 중독 진단 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중독 진단 결과를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에 있어서 실질적인 평가 및 치료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 서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진단 방법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된 입력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 디바이스(100)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가 측정되어 중독 진단 서버(300)로 제공되는 단계, 제공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중독 진단 서버(3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추정하는 단계,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가 중독 진단 서버(300)를 통하여 진단되는 단계 및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비사용 시간대역은 사용자가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으로 사용자가 직접 설정이 가능하며, 비사용 시간대역의 설정을 통해 업무 시간, 학교 수업시간 등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아야 하는 시간대에 사용자 본인이 얼마나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비사용 시간대역은 중독 진단을 위한 기준이 되지 않으며, 사용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이 중독 진단을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검색기간이란 사용자의 사용 패턴 및 중독 진단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설정하는 소정의 기간을 말하는 것으로, 년, 월, 일별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100)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나이, 국적 등의 사용자 프로필 및 사용자의 취미, 관심사 등의 정보도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의 프로필 및 관련 정보를 부가적으로 입력받아 사용 패턴을 추정하는데 사용하여 중독 진단 결과의 신뢰성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가 중독 진단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사용 패턴의 추정은,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패턴은 사용자의 나이, 국적 등의 사용자 프로필 및 사용자의 취미, 관심사 등의 정보로부터 추정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전술한 취침시간대역은 사용자 디바이스(100) 상에서 기설정되어 있는 중독 진단을 위한 기준으로써,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의 경우 잠을 자지 않고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것을 기초로 일반적인 취침 시간인 0시부터 6시까지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따라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의 변경이 가능할 수도 있으며, 취침시간대역의 변경 시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중 적어도 한명에게 변경된 사항에 대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다만, 부여된 가중치의 비율은 전술한 수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가 사용자의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중 적어도 한명에게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의 경우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인지하더라도 스스로 인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의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중 적어도 한명에게 제공하여 객관적인 판단 및 치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프는 원형, 막대형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비사용 시간대역 및 사용 시간대역은 전술한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출력되는 경우 터치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위 10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명칭 및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으며, 터치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위 10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사용 시간 및 터치 횟수가 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 서버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진단 시스템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디바이스(100) 및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사용자 디바이스(100)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를 제공받고, 사용 패턴을 추정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 서버(30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는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이외에도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스스로가 중독 진단을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 서버(300)에는,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부(310), 타 디바이스와 신호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20), 사용자 디바이스(100)로부터 제공된 터치 횟수,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를 관리하는 저장부(330) 및 제어부(340)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310)는,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할 수 있고,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패턴은 사용자의 나이, 국적 등의 사용자 프로필 및 사용자의 취미, 관심사 등의 정보로부터 추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310)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100) 중독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독 진단부(310)는,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다. 부여된 가중치의 비율은 전술한 수치에 국한되지 않으며,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에는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진단의 결과가 제공되는 사용자의 보호자 디바이스(400), 임상의 디바이스(500)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600) 중 적어도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의 경우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인지하더라도 스스로 인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므로 사용자의 보호자의 디바이스, 임상의 디바이스(500)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600) 중 적어도 하나에 중독 진단의 결과를 제공하여 객관적인 판단 및 치료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외부 디바이스에 정보가 제공될 때 문자 메시지, 이메일 또는 카카오톡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시작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하는 출력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출력되는 시작화면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 패턴 및 중독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화면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해 비사용 시간대역 및 사용 시간대역이 출력되는 결과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출력되는 결과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프는 원형, 막대형 등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비사용 시간대역 및 사용 시간대역은 전술한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검색기간에서의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출력되는 경우 터치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라 상위 10개의 어플리케이션 각각의 명칭 및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될 수 있으며, 터치 횟수가 많은 순서에 따른 상위 10개의 어플리케이션의 명칭, 사용 시간 및 터치 횟수가 표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중독 진단 결과가 출력되는 결과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00)를 통하여 중독 진단 결과가 출력되는 결과화면에서는 중독 진단 결과, 검색기간, 검색기간내에서의 총 터치 횟수, 비사용 시간대역, 비사용 시간대역 내에서의 총 터치 횟수, 검색기간내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비사용 시간대역에서의 총 터치 횟수의 비율, 검색기간내에서의 일별 평균 터치 횟수 및 검색기간내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총 터치 횟수의 비율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중독 진단 결과에 따라 결과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 이미지의 색상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된 경우 결과화면 출력 시 녹색 이미지가 적용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된 경우 결과화면 출력 시 오렌지색 이미지가 적용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결과화면 이미지의 색상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사용자의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보호자 디바이스(400), 임상의 디바이스(500)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600)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은 출력방식 및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디바이스 200: 네트워크
300: 중독 진단 서버 310: 중독 진단부
320: 통신부 330: 저장부
340: 제어부 350: 전원부
400: 보호자 디바이스 500: 임상의 디바이스
600: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

Claims (18)

  1.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로부터의 수신된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 및 검색기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가 측정되어 중독 진단 서버로 제공되는 단계;
    상기 제공된 터치 횟수에 기초하여 상기 중독 진단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가 상기 중독 진단 서버를 통하여 진단되는 단계; 및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상기 진단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의 진단은 기 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패턴의 추정은, 상기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상기 진단의 결과가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임상의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중 적어도 한명에게 제공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상기 진단의 결과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상기 검색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9.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이 구비된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상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터치 횟수를 제공받고, 사용 패턴을 추정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독 진단 서버는,
    상기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중독 진단부;
    타 디바이스와 신호 및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제공된 터치 횟수,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상기 진단의 결과를 관리하는 저장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독 진단부는,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대비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의 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여부를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게임용 어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용 어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비디오 출력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브라우징용 어플리케이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독 진단부는,
    상기 사용자가 구동시킨 어플리케이션의 종류를 구분하고, 종류별 구분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측정하며, 구동 빈도 및 측정된 구동 시간 내에서의 터치 횟수를 카운팅함으로써 사용 패턴을 추정하고,
    상기 사용 패턴은 매 시간 단위, 매 일 단위, 매 주 단위로 또는 매 월 단위로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3. 삭제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독 진단부는,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미만인 경우 중독 안심군으로 진단하고,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가중치가 부여된 터치 횟수가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에서의 총 터치 횟수 이상인 경우 중독 의심군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취침시간대역에서의 터치 횟수에는 4배의 가중치가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사용 패턴 및 상기 진단의 결과가 제공되는 상기 사용자의 보호자 디바이스, 임상의 디바이스 또는 중독치료 담당자 디바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검색기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의 비사용 시간대역과 사용 시간대역의 총 터치 횟수 및 상기 검색기간에서의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어플리케이션 별 터치 횟수가 그래프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시스템.
  1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36847A 2017-10-20 2017-10-20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R10218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47A KR102180418B1 (ko) 2017-10-20 2017-10-20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847A KR102180418B1 (ko) 2017-10-20 2017-10-20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24A KR20190044424A (ko) 2019-04-30
KR102180418B1 true KR102180418B1 (ko) 2020-11-19

Family

ID=6628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847A KR102180418B1 (ko) 2017-10-20 2017-10-20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04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2A (ko) 2020-06-25 2022-01-0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중독치유및회복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0301B1 (ko) * 2020-12-08 2023-06-07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스마트 기기를 연동하여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540302B1 (ko) * 2020-12-29 2023-06-07 주식회사 한국보안인증 스마트 기기 연동을 이용한 사이버 폭력 및 인터넷 중독 기반의 심리 피해 교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74B1 (ko) * 2015-11-19 2017-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0146A (ko) 2011-03-03 2012-09-12 (주)디지털다임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6361A (ko) * 2013-05-20 2014-11-28 넷큐브테크놀러지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건강 지수 제공 방법 및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74B1 (ko) * 2015-11-19 2017-02-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이용행태 수집 가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342A (ko) 2020-06-25 2022-01-0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중독치유및회복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424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5872B2 (en) Chronic disease discovery and management system
Kim et al. TimeAware: Leveraging framing effects to enhance personal productivity
Noë et al. Identifying indicators of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user-app interaction
US20200356615A1 (en) Method for determining news veracity
Egelman et al. The myth of the average user: Improving privacy and security systems through individualization
Rickard et al. Development of a mobile phone app to support self-monitoring of emotional well-being: a mental health digital innovation
Tossell et al. Exploring smartphone addiction: insights from long-term telemetric behavioral measures.
RU2678154C1 (ru) Основанная на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деградация сигналов активности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активация режимов конфиденциальности
Rader Awareness of behavioral tracking and information privacy concern in facebook and google
Johnson et al. Facebook and privacy: it's complicated
Longo et al. Technology use, exposure to natural hazards, and being digitally invisible: Implications for policy analytics
Rader et al. The importance of visibility for folk theories of sensor data
KR102180418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 대한 터치 횟수에 기초한 사용자 디바이스 중독 진단 방법 및 시스템
Kolar et al. Differentiating the drug normalization framework: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cannabis use patterns, accessibility, and acceptability attitudes among university undergraduates
Liccardi et al. No technical understanding required: Helping users make informed choices about access to their personal data
Hoyle et al. Privacy norms and preferences for photos posted online
AU2014311596A1 (en) Detecting trends from images uploaded to a social network
Keil et al. Contact Logger: Measuring everyday intergroup contact experiences in near-time
US20140052682A1 (en) Using physical sensory input to determine human response to multimedia content displayed on a mobile device
Reinhardt et al. Can i help you setting your privacy? a survey-based exploration of users' attitudes towards privacy suggestions
Lee et al. Understanding privacy risks and perceived benefits in open dataset collection for mobile affective computing
Rispler et al. Employee perseverance in a “no phone use while driving” organizational road-safety intervention
Mashhadi et al. No walk in the park: The viability and fairness of social media analysis for parks and recreational policy making
Eichner Planting trees and tracking screen time: a taxonomy of digital wellbeing features
US20180144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he focus of a person engaged in a tas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