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9726B1 -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 Google Patents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9726B1
KR102179726B1 KR1020190010803A KR20190010803A KR102179726B1 KR 102179726 B1 KR102179726 B1 KR 102179726B1 KR 1020190010803 A KR1020190010803 A KR 1020190010803A KR 20190010803 A KR20190010803 A KR 20190010803A KR 102179726 B1 KR102179726 B1 KR 10217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user
group
unit
voi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0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3388A (en
Inventor
변해원
차슬기
최연숙
박지송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0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9726B1/en
Publication of KR20200093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33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97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2Audiometering
    • A61B5/121Audiometering evaluating hearing capac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청각 훈련을 위한 훈련 음성을 제공하는 청력훈련부와, 상기 청력훈련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훈련 음성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과,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분석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은 낱말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를 해당 훈련 음성을 인식했는지 여부를 분석하므로 청각장애 대상자에게 실생활에 사용되는 낱말과 관련된 훈련을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인 청각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comprising: a hearing training unit providing a training voice for hearing training to a user; and inpu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provided through the hearing training unit. An information input unit, a training voice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and a training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hearing ability based on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ing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ining voice composed of words to a user, and analyzes whether the user has recognized the training voice, and thus performs training related to words used in real life to a subject with hearing impairment to provide more effective hearing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provide training.

Figure 112019010111648-pat00002
Figure 112019010111648-pat00002

Description

청각 재활 훈련 모듈{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본 발명은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낱말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을 제공하여 인공와우 이식 환자와 같은 청각장애 대상자에게 청각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capable of providing auditory training to a deaf subject such as a cochlear implant patient by providing a training voice made of words.

인공와우이식술은 들려오는 소리를 음성신호로 변환해 청신경을 자극하고 전달된 전기자극을 대뇌로 전달하는 전극을 달팽이관에 이식하는 전극 삽입 방식이다. 그러나 수술 후 모든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반인은 증폭된 소리를 듣지만 인공와우 이식자들은 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듣기 때문에 수술 후 별도의 적응 훈련이 필요하다. 특히, 환경 소음과 달리 말소리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변화가 심한 소리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청각재활이 반드시 필요하다. Cochlear implantation is an electrode insertion method in which an electrode that stimulates the auditory nerve by converting audible sound into a voice signal and transfers the transmitted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brain is implanted into the cochlea. However, not all sounds can be recognized after surgery, and the general public hears the amplified sound, but cochlear implants convert the sound into electrical signals, so separate adaptation training is required after surgery. In particular, unlike environmental noise, speech sounds are made up of sounds that vary widely in various frequency bands, so auditory rehabilitation is essential.

청각 재활 훈련은 전문적이고 훈련된 치료사의 재활이 필요하지만 청각재활센터의 부족으로 대상자들은 일반 센터나 병원에서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보편적 치료를 받게 된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의 받지 않고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 청각재활이 요구된다.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requires rehabilitation by a professional and trained therapist, but due to the lack of auditory rehabilitation centers, subjects receive universal treatment in general centers or hospitals that do not consider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Therefore, smart hearing rehabilitation based on expertise is required without time and space.

선행기술인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9839호에는 청력 훈련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청력 훈련 장치는 단순히 신호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훈련하므로 재활 훈련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A hearing training device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02-0019839, which is a prior art. However, the hearing training apparat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rehabilitation train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because it is trained by simply providing a beep sound to the user.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19839호: 청력 테스트 및 훈련 장치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19839: Hearing test and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낱말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를 해당 훈련 음성을 인식했는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capable of providing a training voice composed of words to a user and analyzing whether or not the user has recognized the training voice, 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은 사용자에게 청각 훈련을 위한 훈련 음성을 제공하는 청력훈련부와, 상기 청력훈련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훈련 음성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부와,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과,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분석부를 구비한다.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hearing training unit providing a training voice for hearing training to a user, and inpu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provided through the hearing training unit. An information input unit capable of inputting, a training voice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and a training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user's hearing ability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ing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do.

상기 청력훈련부는 낱말로 이루어진 다수의 훈련 음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훈련 음성들을 기설정된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실행부를 구비한다. The hearing training unit includes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raining voices made of words are stored, and a training execution unit that provides the training voices stored in the database in an order of a preset difficulty level to the user.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저장된 훈련 음성들이 기설정된 난이도별로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상기 훈련실행부는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 별로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훈련 음성들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In the database, the stored training voice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a preset difficulty level, an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provides training voices included in a corresponding group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database in an order of low difficulty, ,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each group are randomly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은 각각 상호 유사한 낱말로 오인될 수 있는 훈련 음성들이 포함된다. Each of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includes training voices that can be mistaken for word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은 상기 훈련 음성 중 비음을 포함한 제1기준 낱말과, 상기 제1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비비음이 포함된 제1비교 낱말로 이루어진 제1그룹과, 상기 제1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 음성 중 마찰음을 포함한 제2기준 낱말과, 상기 제2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파열음이 포함된 제2비교 낱말로 이루어진 제2그룹과, 상기 제2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기식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들을 포함한 제3그룹과, 상기 제3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후두 긴장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음성들이 포함된 제4그룹과, 상기 제4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 음성들 중 공명성이 있는 종성이 상호 상이한 낱말의 훈련음성들이 포함된 제5그룹과, 상기 제5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음성들 중 조음방법은 동일하나 조음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초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 제6그룹과, 상기 제6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음성들 중 조음방법은 동일하나 조음 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 종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 제7그룹을 포함한다.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are a first group consisting of a first reference word including a nasal sound among the training voices, a first comparison word having a pronunciation similar to the first reference word but including a nasal sound, and the first A second group consisting of a second reference word including a fricative sound among the training voices, and a second comparison word having a pronunciation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reference word but including a rupture sound, a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group difficulty; A third group including training voices composed of consonants having a similar pronunciation but different anomalies in either the initial or the final voice as being set to a higher difficulty level than that of the second group, and the third group It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difficulty level of, and a fourth group containing training voices composed of consonants having similar interpronunciation but one of the initial or final voices having different laryngeal tension, and the fourth group having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ourth group. The training voice is set to a high level of difficulty, and the training voice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ifth group and a fifth group including training voices of words having different resonant last names among the training voices, and the training voice Among them, the articulation method is the same, but the articulation position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sixth group, and a sixth group consisting of training voices containing syllable initial consonants having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Includes a seventh group consisting of training voices that contain syllable final consonants that are the same but have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상기 훈련실행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상기 훈련분석부로부터 상기 분석결과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하일 경우, 해당 그룹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의 훈련 음성이 상기 사용자에게 미제공된다. The training execution unit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lected group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to the user, and then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training analysis unit, and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value is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e following cases, the training voice of the group having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corresponding group is not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사용자가 상기 훈련음성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는 난이도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훈련실행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상기 난이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난이도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의 제공이 완료되면,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해당 그룹의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들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A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through which the user can select a difficulty level of the training voice; an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training voice included in a group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selected by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among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Is provided to the user, but when the provision of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group is completed,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groups having a difficulty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ar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order of lower difficulty.

상기 정보입력부는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상기 훈련 음성이 제공시, 낱말 샘플이 표시되는 표시창과, 상기 낱말 샘플이 상기 훈련 음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training voice is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the information input unit provides an input page including a display window displaying a word sample and an input window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whether the word sample corresponds to the training voic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information to a terminal held by the user and to transmit the information inputted to the input window by the user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상기 정보입력부는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상기 훈련 음성이 제공시, 상기 훈련 음성에 대응되는 낱말을 포함한 다수의 낱말 샘플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다수의 선택 아이콘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아이콘에 표시된 낱말 샘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에 전송할 수도 있다. When the training voice is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the information input unit provides an input p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election icons in which a plurality of word samples including words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voice are individually displayed to the terminal held by the user, and In addition, information on a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selection ic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lection icons may be transmitted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상기 훈련분석부는 상기 분석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분석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다른 사용자의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The training analysis unit may transmit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 analysis information of another user previously register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 the receive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to a terminal hel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은 낱말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를 해당 훈련 음성을 인식했는지 여부를 분석하므로 청각장애 대상자에게 실생활에 사용되는 낱말과 관련된 훈련을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인 청각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ining voice composed of words to a user, and analyzes whether the user has recognized the training voice, and thus performs training related to words used in real life to the hearing impaired subject, thereby providing more effective hearing.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provide train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인증부에서 제공되는 개인 정보 입력창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입력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입력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분석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상호작용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메인메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설정메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훈련 회차 선택메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OX퀴즈 또는 혼자풀기 메뉴에 대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의 입력 페이지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for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of a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provid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n input page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put page of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n analysis page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n interaction page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main menu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setting menu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training repetition selection menu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n OX quiz or a single solution menu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put page of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compared to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being added.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이 도시되어 있다. 1 and 2 illustrate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은 훈련에 참여하는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하는 인증부(110)와, 사용자에게 청각 훈련을 위한 훈련 음성을 제공하는 청력훈련부(120)와, 상기 청력훈련부(120)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훈련 음성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부(130)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훈련음성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는 난이도 선택부(150)와, 상기 청력훈련부(120)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과, 상기 정보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분석부(140)를 구비한다. 상기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 즉,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includes an authentication unit 110 for inputting information of a user participating in training, a hearing training unit 120 for providing a training voice for hearing training to the user, and the An information input unit 130 for inputting inpu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provided through the hearing training unit 120, and a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150 for the user to selec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raining voice. ), and a training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user's hearing ability based on the training voice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120 a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and provide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It has 140.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is appli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terminal 15, that is, a smart phone held by the us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program on a computer.

인증부(110)는 사용자가 단말기(15)를 통해 상기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을 실행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개인 정보 메뉴를 단말기(15)의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인 정보 입력창(111)은 사용자가 자신의 이름을 입력하기 위한 이름 입력 창이 마련되어 있다. 인증부(110)는 개인 정보 메뉴에 입력된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관리서버(16)에 전송하고, 관리서버(16)는 전송된 개인 정보를 저장한다. When a user executes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through the terminal 15, the authentication unit 110 displays a personal information menu on the display panel of the terminal 15 so that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input. As shown in FIG. 3,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111 is provided with a name input window for the user to input his/her name. The authentication unit 110 transmi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ente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menu to the management server 16, and the management server 16 stores the transmitted personal information.

청력훈련부(120)는 낱말로 이루어진 다수의 훈련 음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121)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에 저장된 훈련 음성들을 기설정된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실행부(122)를 구비한다. The hearing training unit 120 includes a database 121 in which a plurality of training voices made of words are stored, and a training execution unit 122 that provides the training voices stored in the database 121 to the user in the order of a preset difficulty level. ).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는 저장된 훈련 음성들이 기설정된 난이도별로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분류된 그룹들은 각각 상호 유사한 낱말로 오인될 수 있는 훈련 음성들이 포함된다. 즉, 데이터 베이스(121)는 훈련 음성들이 난이도에 따라 제1 내지 제7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다. 여기서, 난이도는 청각장애 대상자가, 발성된 낱말에 대해 식별하기 어려움 정도를 나타낸다. In the database 121, the stored training voice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preset difficulty levels.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121 each include training voices that can be mistaken for word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That is, in the database 121, training voices are classified into first to seventh groups according to the difficulty level. Here, the degree of difficulty represents the degree of difficulty in discriminating the spoken word by the deaf subject.

제1그룹은 상기 훈련 음성들 중 비음(ㅁ, ㄴ, ㅇ)을 포함한 제1기준 낱말과, 상기 제1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비비음이 포함된 제1비교 낱말을 포함한다. 제1기준 낱말, 제1비교 낱말의 일예로서, 말,탈/응,쉬/맘마,싹싹/싫어,밀어/미워 엄마, 싫어 하마 등의 낱말들이 제1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first group includes a first reference word including nasal sounds (ㅁ, ㄴ, ㅇ) among the training voices, and a first comparison word that is similar in pronunciation to the first reference word but includes a nasal sound. As an example of the first reference word and the first comparison word, words such as words, mask/yes, sh/mamma, sprout/hate, push/hate mom, and hate hippos are classified into the first group.

제2그룹은 제1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2그룹은 훈련 음성 중 마찰음을 포함한 제2기준 낱말과, 상기 제2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파열음이 포함된 제2비교 낱말을 포함한다. 여기서, 마찰음은 ㅅ,ㅆ,ㅎ 이고, 파열음은 ㅈ,ㅊ,ㅉ 이 적용된다. 제2기준 낱말, 제2비교 낱말의 일예로서, 소,코/쉬,비/없어,어버/사자,타자/새 없어, 개없어 등의 낱말들이 제2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second group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irst group. The second group includes a second reference word including a fricative sound among training voices, and a second comparison word that is similar in pronunciation to the second reference word but includes a rupture sound. Here, the fricative sounds are ㅅ,ㅆ,ㅎ, and the bursting sounds are ㅈ,ㅊ, and ㅉ. As an example of the second reference word and the second comparison word, words such as cow, ko/sh, rain/no, parent/lion, other/no bird, and no dog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group.

제3그룹은 제2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3그룹은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기식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들이 포함된다. 여기서, 기식성은 조음 시 성문 마찰이 동반되는 성질로서, 일예로, 발,팔/타,다/태워,데워/콜라,골라 등의 낱말이 상기 제3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third group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second group. The third group includes training voices composed of consonants having a mutually different pronunciation, but either an initial or a final voice. Here, the aura is a property that is accompanied by glottal friction during articulation. For example, words such as foot, arm/ta, multi/burn, warm/cola, and pick are classified into the third group.

제4그룹은 제3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4그룹은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후두 긴장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음성들이 포함된다. 일예로, 달, 딸/짜,차/돼지, 때찌/뿌리,부리/뿌리 뽑아, 부리 봐봐 등의 낱말이 상기 제4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fourth group is set to a higher difficulty level than that of the third group. The fourth group includes training voices composed of consonants having a mutually different pronunciation, but either an initial or a final voice having different laryngeal tension. For example, words such as moon, daughter/ja, tea/pig, ttaejji/root, beak/pull the root, look at the beak are classified into the fourth group above.

제5그룹은 제4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5그룹은 상기 훈련 음성들 중 공명성이 있는 종성이 상호 상이한 낱말의 훈련음성들이 포함된다. 즉, 훈련 음성의 낱말을 이루는 음소 중 종성이 상호 상이한 낱말이 제5그룹으로 분류된다. 일예로, 또,똥/밥,발/이건 반지야, 이거 바지야 등의 낱말이 제5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fifth group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ourth group. The fifth group includes training voices of words having different resonant endings among the training voices. That is, among the phonemes constituting the words of the training voice, words having different finalities are classified into the fifth group. For example, words such as shit/bob, feet/this is a ring, this is a pants are classified into the 5th group.

제6그룹은 제5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6그룹은 상기 훈련음성들 중 조음(調音)방법은 동일하나 조음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초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문,눈/빼,떼,깨/바위,가위/뺑뺑 돌려, 깽깽 울어 등의 낱말이 제6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sixth group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fifth group. The sixth group is composed of training voices including syllable initial consonants having the same articulation method but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among the training voices. As an example, words such as door, eye/pouch, flock, sesame/rock, scissors/pump up, and cry are classified into the 6th group.

제7그룹은 제6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된다. 상기 제7그룹은 훈련음성들 중 조음방법은 동일하나 조음 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 종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다. 일예로, 곰,공/반,밤,방/국,굽,굿/펄펄, 펑펑/돌 던져, 돈 던져/발 줘, 밤 줘 등의 낱말이 제7그룹으로 분류된다. The seventh group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sixth group. The seventh group is composed of training voices including syllable-lasting consonants having the same articulation method but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among training voices. For example, words such as bear, ball/half, chestnut, bang/guk, heel, good/pulp, throw stone, throw money/give feet, give night are classified into the 7th group.

상술된 데이터 베이스(121)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에 저장되어 있거나 관리서버(16)에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21)가 관리서버(16)에 저장될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관리서버(16)로부터 훈련 음성을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청각장애 대상자가 식별하기 어려운 난이도순으로 제공되도록 훈련 음성들을 제1 내지 제7그룹으로 분류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청각훈련이 수행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database 121 may be stored in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or may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6. When the database 121 is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6,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receives the training voice from the management server 16 and provides it to the user. Since the training voices are classified into first to seventh groups so that the database 121 is provided in an order of difficulty that is difficult for the deaf subject to identify, a more systematic auditory training can be performed.

훈련실행부(122)는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분류된 그룹 별로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훈련 음성들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훈련실행부(122)는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를 통해 해당 훈련음성을 출력한다. 이때, 훈련실행부(122)는 각 그룹에 포함된 음성들을 5회로 나누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raining voices included in a corresponding group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database 121 in order of low difficulty, and randomly receives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each group. Select and provide to the user.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outputs the training voice through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divides the voices included in each group into five times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일예로, 처음 청각 재활 훈련을 실행한 사용자의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먼저, 제1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들을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훈련실행부(122)는 제1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들을 무작위로 5개의 단위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기 단위그룹을 순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는 하루에 하나의 단위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들을 통해 훈련을 실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ho has performed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first tim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first outputs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hrough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randomly classifies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nto five unit groups, and sequentially provides the unit groups to the user. The user can perform training through training voices included in one unit group per day.

여기서, 훈련실행부(12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상기 훈련분석부(140)로부터 분석결과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하일 경우, 해당 그룹에 포함된 상기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하되, 상기 분석 결과 값이 상기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그룹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의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분석 결과 값은 제공되는 훈련 음성들에 대한 상기 정보입력부(130)에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의 일치 갯수가 적용된다. Her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lected group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121 to the user, and then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If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group is provided to the user again, but when the analysis result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group having a higher difficulty than the group Provide the user with the training voice of. Here, the analysis result value is applied to the matching number of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for the training voices provided.

일예로, 제1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들에 대한 훈련이 완료되면, 훈련실행부(122)는 훈련분석부(140)에서 제1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 값을 제공받는다. 이때, 훈련실행부(122)는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하일 경우, 제1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들을 사용자에게 다시 제공한다. 즉, 훈련실행부(122)는 제2그룹을 통해 청각 훈련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사용자에게 제2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미제공한다. 한편, 훈련실행부(122)는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제2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raining on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is comple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receives an analysis result value for the first group from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In this case, when the analysis result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first group to the user again. That is,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does not provide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o the user so as not to perform the auditory training through the second group. Meanwhil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may provide a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cond group to the user when the analysis result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또한, 훈련실행부(122)는 사용자가 훈련을 이미 완료한 그룹의 훈련을 재선택할 경우,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재차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부족한 난이도의 그룹의 훈련을 재차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reselects training of a group that has already completed training,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may provide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lected group to the user again. Accordingly, the user can re-train the group of the difficulty level that the user lacks.

정보입력부(130)는 훈련실행부(122)를 통해 훈련 음성이 제공시, 사용자가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에 표시한다. 상기 입력 페이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훈련 음성에 대응되는 낱말을 포함한 다수의 낱말 샘플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다수의 선택 아이콘(131)이 포함되어 있다. 사용자는 보유한 단말기(15)의 터치 패드 및 키 패드 등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본인이 인식한 낱말에 해당하는 선택 아이콘(131)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정보입력부(130)는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아이콘(131)에 표시된 낱말 샘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140)에 전송한다. When the training voice is provided through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displays an input page on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input input information. As shown in FIG. 4, the input page includes a plurality of selection icons 131 in which a plurality of word samples including words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voice are individually displayed. The user may select a selection icon 131 corresponding to a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using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nd a keypad of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selection icon 131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한편, 입력 페이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말 샘플이 표시되는 표시창(132)과, 상기 낱말 샘플이 상기 훈련 음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133)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입력창(133)은 "O", "X"의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는 훈련 음성에 대해 자신이 인식한 낱말이 표시창(132)에 표시된 낱말 샘플과 일치하면 "O" 아이콘을 선택하고, 훈련 음성에 대해 자신이 인식한 낱말이 표시창(132)에 표시된 낱말과 상이하면 "X"아이콘을 선택한다. 이때, 정보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133)에 입력된 정보 즉, "O", "X"의 아이콘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140)에 전송한다. 이처럼, 사용자는 훈련실행부(122)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에 대해 입력 페이지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며 청각 재활 훈련을 수행한다. Meanwhile, the input page includes a display window 132 in which a word sample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5 and an input window 133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whether the word sample corresponds to the training voice. have. In the input window 133, icons of "O" and "X" are displayed, and the user selects the "O" icon when the word recognized for the training voice matches the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32. If the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is different from the word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32, the "X" icon is selected.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input unit transmits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window 133 by the user, that is, selection information for icons of “O” and “X”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In this way,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on the input page for the training voice provided by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and performs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난이도 선택부(150)는 사용자가 청각 재활 훈련을 시작하기 앞서 난이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설정 메뉴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에 제공한다. 상기 난이도 선택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난이도 정보를 상기 훈련실행부(122)에 제공한다.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150 provides a setting menu to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set the difficulty level before starting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150 provides the difficulty leve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이때, 훈련실행부(122)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상기 난이도 선택부(150)에서 선택된 난이도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의 제공이 완료되면,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해당 그룹의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들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난이도 선택부(150)를 통해 제3그룹의 난이도를 선택한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제3그룹을 통해 사용자가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3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3그룹에 대한 훈련이 완료되면, 훈련실행부(122)는 제4그룹을 통해 사용자가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4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제공하며, 훈련을 완료시, 순차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그룹의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evel selected by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150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121 to the user, When the provision of the included training voice is completed,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groups having a difficulty level higher tha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corresponding group are provided to the user in the order of low difficulty.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hird group through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unit 150,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third group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raining through the third group. To the user. At this time, when training for the third group is comple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fourth group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the training through the fourth group. As a result, the training voice of the group with high difficulty level can be provided to the user.

훈련분석부(140)는 상기 청력훈련부(120)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과, 상기 정보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분석 결과 값은 제공되는 훈련 음성들에 대한 상기 정보입력부(130)에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정보의 일치 갯수가 적용된다. 훈련분석부(140)는 각 그룹의 단위 그룹에 대한 훈련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 결과 값이 포함된 분석 페이지를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로 제공한다.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analyzes the user's hearing ability based on the training voice provided from the hearing training unit 120 a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and provide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do. Here, the analysis result value is applied to the matching number of input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for the training voices provided. When training for the unit group of each group is completed,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provides an analysis page including the analysis result value to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6.

한편, 훈련분석부(140)는 각 그룹의 훈련이 완료되면, 해당 그룹 전체에 대한 분석 결과 값을 산출하여 훈련실행부(122) 또는 관리서버(16)에 전송한다. 이때, 관리서버(16)는 기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분석 정보를 훈련분석부(140)에 제공하고, 훈련분석부(140)는 제공받은 상기 다른 사용자의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에 제공한다. 이때, 훈련분석부(140)는 제공받은 분석정보들을 토대로 도 7에 도시된 상호작용 페이지와 같이 사용자들의 순위를 선정하고, 순위별로 순차적으로 각 사용자의 이름을 사용자의 단말기(15)에 표시한다. 훈련분석부(140)가 상기 상호작용 페이지를 표시하므로 사용자들 간에 훈련 성과를 인지하여 훈련 의욕을 향상시킨다. Meanwhile, when training of each group is completed,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calculates an analysis result value for the entire group and transmits it to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or the management server 16.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16 provides the previously registered other user's analysis information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and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stores the provide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at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 At this time,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selects a ranking of users as shown in the interaction page shown in FIG. 7 based on the received analysis information, and sequentially displays the names of each user on the user's terminal 15 by ranking. . Since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displays the interaction page, training results are recognized among users to improve training motivation.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15)를 통해 상기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을 실행하면, 인증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메인메뉴를 단말기(15)에 표시한다. 상기 메인메뉴에는 "상호작용" 아이콘, "마주보기" 아이콘, "혼자풀기" 아이콘, "청능훈련" 아이콘, "앱소개" 아이콘이 포함된다. 사용자가 메인메뉴에서, "앱소개" 아이콘을 선택하면, 인증부(110)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에 대한 설명을 표시한 다음, 도 3의 개인 정보 입력창(111)을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개인정보를 관리서버(16)에 등록한다. First, when the user executes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through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the authentication unit 110 displays the main menu shown in FIG. 8 on the terminal 15. The main menu includes a "interaction" icon, a "see face to face" icon, a "solve alone" icon, a "hearing training" icon, and a "app introduction" icon. When the user selects the "app introduction" icon in the main menu, the authentication unit 110 displays a description of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and then displays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window 111 of FIG. 3, The perso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s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server 16.

다음, 사용자의 개인등록이 완료되면, 인증부(110)는 메인메뉴를 다시 표시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청능훈련" 아이콘을 선택하면, 청각 재활 훈련이 진행된다. 이때, 난이도 선택부(150)는 도 9에 도시된 설정 메뉴를 표시한다. 상기 설정 메뉴에는 "1" 아이콘, "2" 아이콘, "3" 아이콘, "4" 아이콘, "5" 아이콘, "6" 아이콘, "7" 아이콘이 포함된다. 여기서, "1" 아이콘은 제1그룹의 난이도, "2" 아이콘은 제2그룹의 난이도, "3" 아이콘은 제3그룹의 난이도, "4" 아이콘은 제4그룹의 난이도, "5" 아이콘은 제5그룹의 난이도, "6" 아이콘은 제6그룹의 난이도, "7" 아이콘은 제7그룹의 난이도에 대응된다. Next, when the user's personal registration is completed, the authentication unit 110 displays the main menu again. Here, when the user selects the "hearing training" icon,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is performed. At this time, the difficulty selection unit 150 displays the setting menu shown in FIG. 9. The setting menu includes a "1" icon, a "2" icon, a "3" icon, a "4" icon, a "5" icon, a "6" icon, and a "7" icon. Here, the "1" icon is the first group difficulty, the "2" icon is the second group difficulty, the "3" icon is the third group difficulty, the "4" icon is the fourth group difficulty, and the "5" icon I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fifth group, the icon "6" corresponds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ixth group, and the icon "7" corresponds to the difficulty level of the seventh group.

또한, 청각 재활 훈련을 처음 시작한 사용자의 경우, "1" 아이콘만 선택가능한다. 그리고, 청각 재활 훈련을 기사용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메인메뉴에 포함된 아이콘 중 자신의 훈련한 그룹의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에 대응되는 아이콘은 선택이 불가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user who starts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first time, only the "1" icon can be selected. Also, even in the case of a user who has used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an icon corresponding to a difficulty level higher tha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rained group among icons included in the main menu cannot be selected.

상기 메인메뉴에서 난이도 선택이 완료되면, 훈련실행부(122)는 도 10에 도시된 훈련 회차 선택메뉴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상기 훈련 회차 선택메뉴에는 "1일 학습단어" 아이콘과,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2일 학습단어" 아이콘, "3일 학습단어" 아이콘, "4일 학습단어" 아이콘, "5일 학습단어" 아이콘이 포함된다. When the difficulty level selection in the main menu is comple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he training session selection menu shown in FIG. 10 to the user's terminal 15. The training recurrence selection menu includes a "1-day learning word" icon, but not shown in the drawing, "2-day learning word" icon, "3-day learning word" icon, "4-day learning word" icon, and "5-day learning word. "Icon is included.

여기서, 훈련 회차 선택메뉴에 포함된 학습단어 아이콘들은 데이터 베이스(121)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설정 메뉴에서 선택된 난이도에 대응되는 그룹의 단위그룹들이 각각 대응된다. Here, the learning word icons included in the training recurrence selection menu correspond to the unit groups of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evel selected in the setting menu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121.

사용자는 훈련 회차 선택메뉴에서, 최상측에 위치한 학습단어 아이콘부터 순차적으로 학습단어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최상측에 위치한, "1일 학습단어" 아이콘에 대응되는 단위그룹을 이용한 청각 훈련을 미완료할 경우, 나머지 학습단어 아이콘의 선택이 불가하다. 즉, 해당 학습단어 아이콘에 대응되는 단위그룹을 이용한 훈련을 미완료할 경우, 해당 학습단어 아이콘의 하측에 위치한 학습단어 아이콘의 선택이 불가하다. The user can sequentially select the learning word icon from the learning word icon located at the top in the training round selection menu. In this case, if the user does not complete the auditory training using the unit group corresponding to the "1 day learning word" icon located at the top, the remaining learning word icons cannot be selected. That is, when training using the unit group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earning word icon is not completed, it is impossible to select the learning word icon located under the corresponding learning word icon.

훈련 회차 선택메뉴에서, 학습단어 아이콘을 선택하면 해당 학습단어 아이콘에 대응되는 단위그룹을 이용한 훈련이 시작된다. 정보입력부(130)는 도 4의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하고, 입력 페이지에 마련된 삼각형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해당 단위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의 단말기(15)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보유한 단말기(15)의 터치 패드 및 키 패드 등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본인이 인식한 낱말에 해당하는 선택 아이콘(131)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입력부(130)는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아이콘(131)에 표시된 낱말 샘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140)에 전송한다. 훈련분석부(140)는 해당 훈련이 완료 즉,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단위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이 모두 사용자에게 출력되고, 사용자가 출력된 훈련 음성에 대해 입력 페이지에 입력정보를 입력하면 도 6에 도시된 분석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In the training recurrence selection menu, selecting a learning word icon starts training using a unit group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word icon.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provides the input page of FIG. 4 to the user's terminal 15, and when the triangular icon provided on the input page is selec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transmit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unit group to the user's Output through the terminal 15.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selection icon 131 corresponding to a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using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nd a keypad of the terminal 15 held by the user. Her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selection icon 131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that is, all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unit group selected by the user are output to the user, and when the user inputs input information on the input page for the output training voice, FIG. The illustrated analysis page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15.

또한, 훈련실행부(122)는 사용자가 훈련 회차 메뉴에서 "5일 학습단어" 아이콘에 해당하는 단위그룹을 이용한 훈련을 완료하면, 상기 단위그룹이 포함된 해당 그룹 전체에 대한 분석 결과 값을 훈련분석부(140)로부터 제공받는다. 여기서, 훈련실행부(122)는 제공받은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하일 경우, 해당 그룹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의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미제공하도록 도 9의 설정메뉴에서 사용자가 훈련한 해당 그룹보다 높은 난이도의 그룹에 대응되는 아이콘 선택이 불가하도록 설정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completes training using the unit group corresponding to the "5 day learning word" icon in the training session menu,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trains the analysis result value for the entire group including the unit group. It is provided from the analysis unit 140. Here, when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value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valu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does not provide the training voice of the group having a higher difficulty level than the corresponding group to the user. It is set so tha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with higher difficulty than the group cannot be selected.

한편, 도 8의 메인메뉴에서, "혼자풀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OX퀴즈 또는 혼자풀기 메뉴가 표시되는데, 이 중 사용자가 혼자풀기를 선택하면, 정보입력부(130)는 도 4의 입력 페이지를 표시하고, 훈련실행부(122)는 사용자가 훈련을 완료했던 그룹들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다시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ain menu of Fig. 8, when the "Solo Solve" icon is selected, the OX Quiz or Sol Solve alone menu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1. If the user selects to solve alon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Displays the input page of FIG. 4, an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groups in which the user has completed training again.

또한, OX퀴즈를 선택하며, 정보입력부(130)는 도 5의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하고, 입력 페이지에 마련된 삼각형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데이터 베이스(121)에 저장된 그룹들 중 사용자가 기수행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의 단말기(15)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훈련 음성에 대해 자신이 인식한 낱말이 표시창(132)에 표시된 낱말 샘플과 일치하면 "O" 아이콘을 선택하고, 훈련 음성에 대해 자신이 인식한 낱말이 표시창(132)에 표시된 낱말과 상이하면 "X"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입력부(130)는 상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140)에 전송한다. 훈련분석부(140)는 해당 훈련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분석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OX quiz is selected,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provides the input page of FIG. 5 to the user's terminal 15, and when the triangular icon provided on the input page is selec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provides a database ( Among the groups stored in 121),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group previously performed by the user is output through the user's terminal 15. At this time, the user selects the "O" icon when the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matches the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32, and the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132 If it is different from, you can select the "X" icon. Her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transmits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provides the analysis page shown in FIG. 6 to the user's terminal 15.

또한, 상기 사용자가 도 8의 메인메뉴에서, "마주보기"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 정보입력부(130)는 복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훈련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도 12에 도시된 입력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하고, 입력 페이지에 마련된 삼각형 아이콘을 선택할 경우, 훈련실행부(122)는 데이터 베이스(121)에 저장된 그룹들 중 사용자가 기수행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사용자의 단말기(15)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들은 보유한 단말기(15)의 터치 패드 및 키 패드 등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본인이 인식한 낱말에 해당하는 선택 아이콘(131)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입력부(130)는 상기 선택 아이콘(131)들 중 상기 사용자들을 선택한 선택 아이콘(131)에 표시된 낱말 샘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140)에 전송한다. 훈련분석부(140)는 해당 훈련이 완료되면 도 6에 도시된 분석 페이지를 사용자의 단말기(15)에 제공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view face" icon in the main menu of FIG. 8,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displays the input page shown in FIG. 12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simultaneously perform training. ), and when the triangle icon provided on the input page is selected, the training execution unit 122 transmit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group previously performed by the user among the groups stored in the database 121 to the user's terminal 15 Output through In this case, users may select a selection icon 131 corresponding to a word recognized by the user from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using input means such as a touch pad and a keypad of the terminal 15 possessed by the user. Here, the information input unit 130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selection icon 131 for selecting the users among the selection icons 131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When the training is completed,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provides the analysis page shown in FIG. 6 to the user's terminal 15.

한편, 사용자가 도 8의 메인메뉴에서, "상호작용" 아이콘을 선택하면, 훈련분석부(140)는 사용자의 분석 정보와, 관리서버(16)로부터 제공받은 다른 사용자의 분석정보들을 토대로 도 7에 도시된 상호작용 페이지와 같이 사용자들의 순위를 선정하고, 순위별로 순차적으로 각 사용자의 이름을 사용자의 단말기(15)에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interaction" icon in the main menu of FIG. 8, the training analysis unit 140 performs FIG. 7 based on analysis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nalysis information of other users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6. As shown in the interaction page shown in, the user ranks are selected, and each user's name is sequentially displayed on the user's terminal 15 by rank.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청각 재활 훈련 모듈(100)은 낱말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를 해당 훈련 음성을 인식했는지 여부를 분석하므로 청각장애 대상자에게 실생활에 사용되는 낱말과 관련된 훈련을 수행하여 보다 효과적인 청각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The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ovides a training voice composed of words to a user and analyzes whether the user has recognized the training voice, so that the words used in real life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ore effective auditory training can be provided by performing related training.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use or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청각 재활 훈련 모듈
110: 인증부
120: 청력훈련부
121: 데이터 베이스
122: 훈련실행부
130: 정보입력부
140: 훈련분석부
150: 난이도 선택부
100: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110: authentication department
120: Hearing Training Department
121: database
122: Training Execution Department
130: information input unit
140: Training Analysis Department
150: difficulty selector

Claims (10)

사용자에게 청각 훈련을 위한 훈련 음성을 제공하는 청력훈련부;
상기 청력훈련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훈련 음성에 대해 상기 사용자가 인식한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부; 및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제공되는 훈련 음성과, 상기 정보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청각 능력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분석부;를 구비하고,
상기 청력훈련부는
낱말로 이루어진 다수의 훈련 음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훈련 음성들을 기설정된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훈련실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저장된 훈련 음성들이 기설정된 난이도별로 다수의 그룹으로 분류되고,
상기 훈련실행부는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 별로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상기 각 그룹에 포함된 상기 훈련 음성들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은
상기 훈련 음성 중 비음을 포함한 제1기준 낱말과, 상기 제1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비비음이 포함된 제1비교 낱말로 이루어진 제1그룹;
상기 제1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 음성 중 마찰음을 포함한 제2기준 낱말과, 상기 제2기준 낱말과 발음이 유사하나 파열음이 포함된 제2비교 낱말로 이루어진 제2그룹;
상기 제2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기식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 음성들을 포함한 제3그룹;
상기 제3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호 발음이 유사하나 초성 또는 종성 중 어느 하나가 상호 상이한 후두 긴장성을 갖는 자음으로 이루어진 훈련음성들이 포함된 제4그룹;
상기 제4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 음성들 중 공명성이 있는 종성이 상호 상이한 낱말의 훈련음성들이 포함된 제5그룹;
상기 제5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음성들 중 조음방법은 동일하나 조음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초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 제6그룹; 및
상기 제6그룹의 난이도보다 더 높은 난이도로 설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훈련음성들 중 조음방법은 동일하나 조음 위치가 상호 상이한 음절 종성 자음이 포함된 훈련음성들로 이루어진 제7그룹;을 포함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A hearing training unit providing a training voice for hearing training to a user;
An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input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user for the training voice provided through the hearing training unit; And
A training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hearing ability of the user based on the training voice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and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unit, and provide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 hearing training unit
A database in which a plurality of training voices made of words are stored; And
A training execution unit that provides the training voices stored in the database to the user in an order of low preset difficulty, and
In the database, the stored training voices are classifi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according to preset difficulty levels,
The training execution unit provides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group for each group classified in the database in order of low difficulty, and randomly selects the training voices included in each group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and,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are
A first group consisting of a first reference word including a nasal sound among the training voices, and a first comparison word having a pronunciation similar to the first reference word but including a nasal sound;
A second reference word that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first group, and includes a second reference word including a fricative sound among the training voices, and a second comparison word that is similar in pronunciation to the second reference word but includes a rupture sound. group;
A third group including training voices that are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at of the second group, and which have similar pronunciations, but are composed of consonants whose initial or final voic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 fourth group that is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at of the third group, and includes training voices composed of consonants having similar initial or final voices but having different laryngeal tension;
A fifth group, which is set to a higher difficulty level than that of the fourth group, and includes training voices of words having different resonant endings among the training voices;
A sixth group consisting of training voices that are set to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difficulty level of the fifth group, wherein the training voices have the same articulation method but have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And
Including; a seventh group consisting of training voices including syllable final consonants having the same articulation method but different articulation positions among the training voices as being set to a higher difficulty level than that of the sixth group.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은 각각 상호 유사한 낱말로 오인될 수 있는 훈련 음성들이 포함된,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each contain training voices that can be mistaken for words that are similar to each other,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실행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선택된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음, 상기 훈련분석부로부터 분석결과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분석 결과 값이 기설정된 기준 값 이하일 경우, 해당 그룹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의 훈련 음성이 상기 사용자에게 미제공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ning execution unit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selected group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to the user, and then receives the analysis result from the training analysis unit, and the received analysis result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In this case, the training voice of the group having a higher level of difficulty than the group is not provided to the user,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훈련음성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는 난이도 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훈련실행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분류된 그룹들 중 상기 난이도 선택부에서 선택된 난이도에 대응되는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되, 해당 그룹에 포함된 훈련 음성의 제공이 완료되면, 난이도가 낮은 순서대로, 해당 그룹의 난이도보다 높은 난이도의 상기 그룹들에 포함된 훈련 음성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may further include a difficulty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training voice;
The training execution unit provides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group corresponding to the difficulty level selected by the difficulty level selector among the groups classified in the database to the user, but when the training voice included in the group is provided, the difficulty level To provide the user with training voices included in the groups having a difficulty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corresponding group in the order of the lowest,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상기 훈련 음성이 제공시, 낱말 샘플이 표시되는 표시창과, 상기 낱말 샘플이 상기 훈련 음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상기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입력창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에 전송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training voice is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the information input unit provides an input page including a display window displaying a word sample and an input window through which the user can input whether the word sample corresponds to the training voice. Provided to a terminal held by a user,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input to the input window by the user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입력부는 상기 청력훈련부에서 상기 훈련 음성이 제공시, 상기 훈련 음성에 대응되는 낱말을 포함한 다수의 낱말 샘플이 개별적으로 표시된 다수의 선택 아이콘이 포함된 입력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하고, 상기 선택 아이콘들 중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선택 아이콘에 표시된 낱말 샘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훈련분석부에 전송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training voice is provided by the hearing training unit, the information input unit provides an input page including a plurality of selection icons in which a plurality of word samples including words corresponding to the training voice are individually displayed to the terminal hel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word sample displayed on the selection icon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selection icons to the training analysis unit,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분석부는 상기 분석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기등록된 다른 사용자의 분석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다른 사용자의 분석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보유한 단말기에 제공하는,
청각 재활 훈련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ining analysis unit transmits the analysi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receives analysis information of another user previously register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and provides the received analysis information of the other user to a terminal held by the user,
Auditory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KR1020190010803A 2019-01-28 2019-01-28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KR102179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03A KR102179726B1 (en) 2019-01-28 2019-01-28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0803A KR102179726B1 (en) 2019-01-28 2019-01-28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88A KR20200093388A (en) 2020-08-05
KR102179726B1 true KR102179726B1 (en) 2020-11-17

Family

ID=7204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0803A KR102179726B1 (en) 2019-01-28 2019-01-28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97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124A (en) 2021-12-02 2023-06-09 (주)나라지식정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rehabilitation of hearing loss patients
KR20230084982A (en) 2021-12-06 2023-06-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bot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hearing loss pati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414B1 (en) 2020-09-16 2022-03-2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ersonalized hearing rehabilit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US20230190142A1 (en) * 2021-12-21 2023-06-22 Children's Hearing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of testing a hearing function
KR102570222B1 (en) * 2022-08-12 2023-08-25 올리브유니온(주)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hearing ability assessment and hearing training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839A (en) 2000-09-07 2002-03-13 민규식 Apparatus for testing and training of hearing ability
JP5360815B2 (en) * 2009-03-25 2013-12-04 国立大学法人福井大学 Speech training support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CN103549961B (en) * 2013-10-31 2015-06-24 江苏贝泰福医疗科技有限公司 Interactive hearing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based o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platform
KR20160126297A (en) * 2015-04-23 2016-11-02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of Auditory Training Applying Mobile Devic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8329호(2016.7.4. 공개) 1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6297호(2016.11.2. 공개)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224457호(2010.10.7. 공개) 1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3124A (en) 2021-12-02 2023-06-09 (주)나라지식정보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education contents for rehabilitation of hearing loss patients
KR20230084982A (en) 2021-12-06 2023-06-1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hatbot for rehabilitation education for hearing loss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3388A (en)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9726B1 (en) Hearing rehabilitation training module
Geers et al. Rehabilitation factors contributing to implant benefit in children
Waltzman et al. Open-set speech perception in congenitally deaf children using cochlear implants
Christiansen et al. Cochlear implants in children: Ethics and choices
AU2019204382A1 (en) Computing technologies for diagnosis and therapy of language-related disorders
US9031663B2 (en) Genetic algorithm based auditory training
US20120156659A1 (en) Foreign language learning method based on stimulation of long-term memory
Hellman et al.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s implant profile
CN110393015B (en) Advanced artificial sound hearing training
Ertmer et al. A comparison of vowel production by children with multichannel cochlear implants or tactile aids: Perceptual evidence
US20220386902A1 (en) Scoring speech audiometry
EP2924676A1 (en) Hearing-based adaptive training systems
US20050287501A1 (en) Method of aural rehabilitation
Dowell et al. Factors affecting outcomes in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Gfeller Aural rehabilitation of music listening for adult cochlear implant recipients: Addressing learner characteristics
Blarney et al. Research in auditory training
US20160100796A1 (en) Plural task fitting
KR100791024B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using voice recognition
Rubin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oftware tools for speech therapy
Copeman Performing English: Adapting actor voice training techniques for TESOL to improve pronunciation intelligibility
Boothroyd CasperSent: an example of computer-assisted speech perception testing and training at the sentence level
Valentin et al. Integrating Emotion Perception i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Cochlear Implant Users: A Call for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Gfeller Music therapy for children and adults who are deaf or hard of hearing
Chute et al. Auditory perception changes after reimplantation in a child cochlear implant user
Collins Examining the Effect of Talker Familiarity Using Familiar and Unfamiliar Talkers on Noise-Vocoded Speech Perception in Normal-Hearing Listeners: A Training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