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8308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8308B1
KR102178308B1 KR1020190164855A KR20190164855A KR102178308B1 KR 102178308 B1 KR102178308 B1 KR 102178308B1 KR 1020190164855 A KR1020190164855 A KR 1020190164855A KR 20190164855 A KR20190164855 A KR 20190164855A KR 102178308 B1 KR102178308 B1 KR 102178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splay
terminal
cover devi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8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41111A (en
Inventor
김현무
조오현
홍원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4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308B1/en
Publication of KR2019014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1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30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using carrier sensing, e.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커버(cover)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wirelessly transmits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a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And receiving a user input on a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stopping display of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based on the user input. have.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간 통신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근거리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 between short-range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는 탐색(Discovery) 및 결합(Association) 절차를 수행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불특정한 다른 디바이스와 연결을 맺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802.11 규격에서는 탐색 및 결합 절차를 통한 경쟁 기반의 무선 채널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 사이의 통신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즉, 특정 단말이 인접 지역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들과 경쟁을 통해 무선 채널에 접속함으로써,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시간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디바이스가 무선 채널 접속을 위해 다수의 디바이스들과 경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특정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와 QoS 요구 사항이 매우 높은 고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하는 상황에서, 근접한 위치에 있는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무선 채널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제한된 자원으로 인해 특정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가 자원을 사용할 수 있는 비율이 낮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특정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는 고용량의 데이터를 끊김 없이 전송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의 전송 성능 열화는 근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들이 많을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난다.In gener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device may perform a discovery and association procedure to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nother devic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perform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802.11 standard provide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using a contention-based wireless channel access method through a discovery and association procedure. That is, when a specific terminal accesses a wireless channel through competition with other devices located in an adjacent area, time resources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o other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can be secured.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device cannot be stably performed because the device must compete with a plurality of devices for wireless channel access. For example, in a situation in which a specific device needs to transmit and receive high-capacity data with very high QoS requirements, and a number of devices in close proximity want to access a wireless channel, a specific device and other devices have resources due to limited resources. The ratio of which can be used decreases, and this makes it impossible for certain devices and other devices to transmit high-capacity data seamlessly. The deterioration of the transmission performance of such a device becomes more pronounced as the number of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increases.

따라서, 근거리에 위치한 디바이스들 간에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방식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communication method for stably performin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사이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le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특정 디바이스와 저전력으로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device to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 device at low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하나의 모뎀 칩을 이용하여 다른 디바이스들 및 미리 정해진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device to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and a predetermined device using one modem chi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특정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위한 자원을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resource for a device to communicate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통신 구간을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 1 구간에서는 불특정한 다른 다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제 2 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진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device divides a communication section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communicates with other unspecified devices in the first section, and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device in the second section.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고려하여 안테나를 설계하고, 설계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esigning an antenna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specific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ng using the designed antenn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커버(cover)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process of wirelessly transmitting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a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and 2 A process of receiving a user input on a display and a process of stopping display of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based on the user input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커버(cover)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커버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장치의 표시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중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perating a cover device includes a process of receiving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from a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ing based on the graphic data. A process of performing an operation, and the display operation of the cover device may be stopped based on a user input on the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커버(cover)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transceiver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The at least one processor wirelessly transmits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and receives a user input on a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based on the user input, the cover device may control to stop displaying the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미리 정해진 특정 디바이스와 저전력으로 통신함으로써, 근거리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들의 통신 링크에 간섭을 미치지 않고, 안정적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문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가 통신 구간을 제 1 구간과 제 2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 1 구간에서는 불특정한 다른 다바이스들과 통신하고, 제 2 구간에서는 미리 정해진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함으로써, 하나의 모뎀 칩으로 근거리에 위치한 불특정 디바이스와 통신하면서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가 불특정 디바이스들에 의해 점유된 채널 자원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위치한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많은 수의 디바이스들이 채널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특정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고려하여 설계된 안테나를 이용함으로써, 빔 방향 설정에 필요한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 device at low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o tha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stably without interfering with communication links of other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unsun communication system, the device divides the communication section into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communicates with other unspecified devices in the first section, and communicates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 device in the second section, One modem chip can communicate with a specific device while communicating with an unspecified devic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communicates with a specific device located in a short distance by using the channel resources occupied by unspecified devices, so that stable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even when a large number of devices attempt to access the channel. Can be obtained.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n antenna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specific devices,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overhead required for setting the beam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른 단말 및 커버와의 통신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와의 통신 자원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한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한 능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와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서 단말과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로 전송되는 자원 할당 메시지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의 통신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서 단말의 제어에 따라 통신 상태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로 전송되는 통신 상태 정보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화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미리 결정된 특정 빔 방향을 이용하여 커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 사이의 빔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
도 7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서 안테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안테나 장착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안테나 구조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안테나 구조에 대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1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resource with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ct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diagram show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a terminal in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between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D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resource alloc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a terminal to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according to control of a terminal in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diagram showing a structure of a communication status information message transmitted from a terminal to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D is a diagram showing a screen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ver using a predetermined specific beam dire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eam direc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C is a view showing an antenna mounting position in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view showing antenna mounting positions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tenna structure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C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antenna structure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0 is a view showing a block configuration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urth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명세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erals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명세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to a sequence or order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mobile station, MS)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 디바이스(handheld device), 디바이스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A terminal (mobile station, 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 or mobile, and a user equipment (UE), a mobile terminal (MT), a user terminal (UT),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 wireless device),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wireless modem, handheld device, device, and the like.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들 사이의 안정적인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근거리에 위치한 단말들이 안정적으로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해 설명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과 커버 사이의 통신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단말과 다른 단말, 혹은 단말과 액세서리 기기 사이의 통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커버는 휴대 디바이스에 근접한 위치에서 휴대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되는 액세서리 기기들 중 하나로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커버와 같은 액세서리 기기들은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세서리 기기들은, 커버, 플립 커버, 보호 케이스, 전자 펜, 휴대폰 고리, 이어폰, 및 이어캡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able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particular,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stably communicating between terminal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will be describ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cov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equally applied to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n accessory devic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s one of accessory devices used with the portable device at a location close to the portable device, and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Depending on the embodiment, accessory devices such as a cov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lay device and a memory. Accessory devices may include a cover, a flip cover, a protective case, an electronic pen, a mobile phone ring, an earphone, and an ear ca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다른 단말 및 커버와의 통신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1 shows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a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은 일반 구간(Normal Period, 112) 동안에 표준 규격을 기반으로 다른 단말(102)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100)은 일반 구간(112) 802.11의 표준 규격에 따라 주변에 불특정한 다른 단말(102)을 탐색하고, 탐색된 다른 단말(102)과 연결하여 통신(110)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100)은 커버 인터벌(cover interval, 122) 동안에 근접한 거리 내에 있는 커버(104)와 통신(120)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04)는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06)를 포함함으로써,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그래픽 데이터를 제 2 디스플레이 장치(106)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4)는 단말(100)에 대한 추가적인 디스플레이 장치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커버(104)는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104)는 단말(100)에 대한 추가적인 메모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100 communicates with the other terminal 102 based on the standard standard during the normal period (112).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n unspecified terminal 102 in the vicinity according to the standard standard of the general section 112 and 802.11, and may communicate 110 by connecting with the searched other terminal 102.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may perform communication 120 with the cover 104 within a close distance during a cover interval 122. For example, the cover 104 includes the second display device 106, so that graphic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device 106. In this case, the cover 104 may serve as an additional display device for the terminal 100. As another example,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104 includes a memory, so that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In this case, the cover 104 may serve as an additional memory for the terminal 1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커버(104)는 미리 정해진 단말(100)과의 통신만을 수행하며, 미리 정해진 단말(100) 이외에 다른 단말(102)과는 통신하지 않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단말(100)과 커버(104)는 서로 간에 매우 근접한 거리에 위치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과 커버(104) 간에 매우 작은 전력을 이용하여 통신함으로써, 다른 단말(102)의 통신에 간섭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100)과 커버(104) 간의 통신에 이용되는 전력은 실험을 통해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ver 104 communicates only with a predetermined terminal 100 and does not communicate with other terminals 102 other than the predetermined terminal 100. In addition, in general, since the terminal 100 and the cover 104 are located at a very clos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00 and the cover 104 communicate using very small power, (102) should not interfere with communication. Here, the power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ver 104 may be preset in the design stage through an experime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과 커버(104)의 통신이 다른 단말(102)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커버(104)가 차폐된 공간을 구성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과 커버(104) 간에 통신하는 전기적 신호가 커버(104)를 벗어나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커버(104)에 전기적 신호에 대한 차폐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 도 8a내지 8c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ver 104 from affecting the communication of the other terminal 102, the cover 104 may be designed to form a shielded space. For example, a shielding space for electrical signals may be configured in the cover 104 so that electrical signals communicated between the terminal 100 and the cover 104 are not transmitted to the outside outside the cover 104.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FIGS. 8A to 8C below.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인터벌(122)은 단말(100)이 커버(104)와 통신하기 위한 구간으로, 일반적으로 단말들 사이의 통신 혹은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구간으로 구성되거나, 채널 점유 상황에 따라 수동적 혹은 능동적으로 결정된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 인터벌(122)은 IFS(Inter Frame Space), SIFS(Short Inter Frame Space), DIFS(Distributed Inter Frame Space), 보호 시간(Guard Time) 등과 같이, 단말들 사이의 통신 혹은 단말과 AP(Access Point) 혹은 기지국 사이의 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FS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여러 단말들이 동시에 무선 채널에 접근하여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대기하는 시간 간격을 의미하며, SIFS는 최소한의 IFS를 의미한다. 또한, DIFS는 단말이 AP에 접속할 때, 다른 단말이 AP를 마지막으로 사용한 시점부터 대기해야할 시간 간격을 의미한다. 또한, 커버 인터벌(122)은 다른 단말에 의해 점유된 채널 구간으로 구성되거나, 단말(100)의 채널 점유 신호 전송에 의해 점유된 채널 구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인터벌(122)의 길이 및 위치는 커버의 서비스 및 채널 상황에 의해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interval 122 is a section for the terminal 100 to communicate with the cover 104, and is generally not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o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t may be configured or configured as a passively or actively determined section according to the channel occupancy situation. For example, the cover interval 122 includes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such as Inter Frame Space (IFS), Short Inter Frame Space (SIFS), Distributed Inter Frame Space (DIFS), and Guard Time, or between terminals and AP ( Access Point) or a section that is not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base stations. Here, IFS refers to a time interval in which multiple UEs simultaneously access a wireless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ait to avoid collision, and SIFS refers to a minimum IFS. In addition, DIFS refers to a time interval in which the terminal should wait from the point of last use of the AP when the terminal accesses the AP. In addition, the cover interval 122 may be configured as a channel interval occupied by another terminal, or may be configured as a channel interval occupied by transmission of a channel occupancy signal of th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and position of the cover interval 122 may be dynamic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service and channel conditions of the cov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하나의 통신 모뎀을 구비하는 경우, 커버 인터벌(122) 구간 동안에는 커버(104)와 통신을 수행하므로, 주변의 다른 단말과 패킷을 송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나의 통신 모뎀을 구비한 단말(104)은 커버 인터벌(122) 구간 동안에 커버(104)와의 통신을 위해 안테나 빔 방향을 설정하여 커버(104) 전용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erminal has one communication modem, it communicates with the cover 104 during the cover interval 122, and thus does not transmit and receive packets with other terminals around it. Accordingly, the terminal 104 having one communication modem may perform dedicated communication for the cover 104 by setting the antenna beam direc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104 during the cover interval 122 sec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와의 통신 자원을 결정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2 illustrates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resource with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201단계에서 커버와의 통신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커버와의 통신 이벤트는 사용자 요청, 혹은 커버와의 통신을 필요로하는 서비스 실행 등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예로, 단말은 사용자가 커버에 포함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요청하는 경우, 커버에 포함된 제 2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사용자가 커버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을 요청하는 경우, 혹은 커버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에 커버와의 통신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2,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 communication event with a cover is detected in step 201. For example, a communication event with the cover may be detected by a user request or execution of a service that requires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In a more detailed example, when a user requests a display from a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ver, when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display is execut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ver, the user may be included in the cover. It can be detected that a communication event with the cover occurs when a storage request is made to the memory or when an application that performs storage in the memory included in the cover is executed.

단말은 203단계에서 다른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한다. 예컨대, 단말은 표준 규격에서 정의하는 단말의 통신 구간 이외에, 단말이 통신을 수행하지 않고 대기하는 시간(예: IFS, SIFS, DIFS, 혹은 보호 시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다.In step 203, the terminal determines a section that is not used by another terminal as a cover interv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rmine a time (eg, IFS, SIFS, DIFS, or guard time) that the terminal waits without performing communication as the cover interval, other than the communication interval of the terminal defined in the standard standard.

이후, 단말은 205단계에서 추가 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즉,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을 위해 203단계에서 결정된 커버 인터벌 이외에 추가적인 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을 요청한 애플리케이션 타입, 커버와 송수신할 데이터의 량, 커버 인터벌 량, 및 커버와 송수신할 데이터의 지연 가능 여부 등을 기반으로 추가적인 자원 할당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추가 자원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in step 205. That is,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dditional resources other than the cover interval determined in step 203 are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For example, the terminal can determine whether additional resource allocation is necessary based on the type of application that requested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ver, the amount of the cover interval, and whether data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with the cover can be delayed. ha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dditional resource is not required, the terminal terminates th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추가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단말은 207단계에서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채널 사용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단말은 다른 단말로부터 패킷이 수신될 경우, 채널이 사용 중인 것으로 결정하고, 다른 단말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채널을 사용 중인 단말이 없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the terminal monitors the channel in step 207 to determine whether channel use is detected. For example, the terminal monitors the channel and checks whether a packet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In this case, when a packet is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the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channel is in use, and when a packet is not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no terminal is using the channel.

만일, 채널이 사용 중인 것으로 결정될 시, 단말은 209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컨대, 단말은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된 패킷의 헤더로부터 해당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목적지 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패킷의 목적지가 단말 자신인지 혹은 다른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단말은 수신 패킷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가 단말 자신의 주소와 동일한 경우, 수신 패킷을 전송한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한 상황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수신 패킷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가 단말 자신의 주소와 상이한 경우, 다른 단말들의 통신 상황을 감지하고, 단말 자신은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is in use,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209 to check whether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is necessary. For example, the terminal obtains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packet from the header of the packet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and determines whether the destination of the packet is the terminal itself or another terminal based on the obtained destination address.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is the same as that of the terminal itself,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received packet is necessary. On the other hand, when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received packet is different from the address of the terminal itself, the terminal detects a communication situation of other terminals, and the terminal itself may determine that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is not required.

만일,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한 상황인 경우, 단말은 211단계에서 다른 단말과 표준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 이후,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재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 이벤트가 감지된 상황에서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한 상황이 감지될 시,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우선순위가 높은 통신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먼저 수행하고,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된 후 커버와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을 먼저 수행하고,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커버와 다른 단말 중에서 어떤 장치와 먼저 통신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특정 장치와의 통신 수행으로 인해 다른 장치와의 통신이 지연됨을 나타내는 메시지 혹은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f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is required, the terminal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ndard standard in step 211, and ends th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after, the terminal may re-perform th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inal may first perform communication with a high priority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when a situation requir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is detected while a communication event with the cover is detect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first, and then control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to be performed after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terminal is terminated.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first, and then control the communication with another terminal to be performed. In this case, the terminal may request to select whether to first communicate with which device from among the cover and other terminals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isplay a message or graphic data indicating that communication with another device is delayed due to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device.

한편, 207단계의 검사 결과 채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결정될 시, 단말은 215단계로 진행하여 경쟁을 통해 채널 구간을 점유하고, 점유된 채널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주변의 다른 단말들로 채널 점유를 위한 RTS(Ready To Send)/CTS(Clear To Send) 혹은 self-CTS를 전송하여 커버와의 통신을 위한 채널 구간을 점유할 수 있다. 여기서, RTS 신호는 단말이 데이터 전송 의사를 수신측 단말로 알리는 신호이며, CTS 신호는 RTS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송신측 단말로 데이터 전송을 허락하는 신호이다. 또한, self CTS 신호는 RTS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단말이 채널 점유를 위해 주변 단말로 전송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RTS 혹은 self-CTS에 필요한 채널 자원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켜, 해당 채널 자원을 점유할 수 있다. 단말은 커버 인터벌을 결정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nel is not in us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n step 207,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215 to occupy a channel section through contention, and determine the occupied channel as a cover interv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occupy a channel sec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by transmitting RTS (Ready To Send)/CTS (Clear To Send) or self-CTS for channel occupancy to other nearby terminals. Here, the RTS signal is a signal in which the terminal informs the receiving terminal of the intention to transmit data, and the CTS signal is a signal allowing the terminal receiving the RTS signal to transmit data to the transmitting terminal. In addition, the self CTS signal refers to a signal transmitted by a terminal that has not received an RTS signal to a neighboring terminal to occupy a channel.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ccupy a corresponding channel resource by including information on a channel resource interval required for RTS or self-CTS. After determining the cover interval, the terminal ends th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단말은 209단계의 검사 결과 다른 단말과의 통신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인 경우, 213단계에서 다른 단말들이 사용하는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한다. 예컨대, 단말은 다른 단말들의 통신을 위한 수신 패킷으로부터 해당 다른 단말들의 채널 점유 자원을 확인하고, 확인된 채널 점유 자원을 단말과 커버의 통신을 위한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수신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채널 점유 구간 필드로부터 해당 다른 단말들이 통신하는 채널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채널 구간 정보에 대응하는 타이머를 설정하여, 타이머의 동작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다른 단말들이 점유한 채널 자원(예: 시간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하는 것은, 단말과 커버와의 통신 전력이 주변 다른 단말들에 간섭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작기 때문이다. 단말은 커버 인터벌을 결정한 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erminal does not require communication with other terminals as a result of the examination in step 209, in step 213, the terminal determines a channel interval used by other terminals as a cover interv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heck channel occupied resources of corresponding other terminals from a received packet for communication of other terminals, and determine the identified channel occupied resource as a cover interva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Here, the terminal obtains information on the channel interval through which the other terminals communicate from the channel occupancy interval field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received packet, sets a timer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channel interval information, and covers the operation interval of the timer. Can be determined by interval. Here, the reason that the terminal determines the channel resource (eg, a time interval) occupied by other terminals as the cover interval is because the communication power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is small enough not to interfere with other nearby terminals. After determining the cover interval, the terminal ends th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한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301단계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해 패킷을 감지하고, 303단계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해 감지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를 확인한다. 단말은 305단계에서 감지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단말 자신의 주소인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감지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가 아닌 경우, 단말은 315단계에서 패킷의 헤더를 수신한 이후에 페이로드를 계속 수신하여 디코딩한다. 즉, 단말은 감지된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일 경우, 해당 패킷의 헤더 이후의 페이로드를 추가 수신하여 표준 규격에 따라 해당 패킷을 전송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 여기서,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 단말은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재수행하거나, 능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detects a packet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step 301, and checks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packet detected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step 303.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packet detected in step 305 is the terminal's own address. If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detected packet is not its own address, the terminal continues to receive and decode the payload after receiving the packet header in step 315. That is, if the destination address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detected packet is its own address, the terminal may additionally receive the payload after the header of the packet and perform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that transmitted the packet according to the standard standard. . Thereafter, the terminal ends the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terminal having finished the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may re-perform the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or may perform an act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반면, 감지된 패킷의 목적지 주소가 자신의 주소가 아닌 경우, 단말은 307단계에서 감지된 패킷의 구간에 대응되는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한다. 예컨대, 단말은 감지된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채널 구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채널 모니터링 결과, 자신을 목적지로 하는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해당 채널 구간 동안에는 단말 자신이 다른 단말로부터 수신해야할 패킷이 없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말은 309단계에서 할당된 커버 인터벌을 통해 커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311단계에서 추가 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컨대,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 쓰루풋(throughput)을 기반으로 추가 자원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커버와의 송수신 데이터 량 및 할당된 커버 인터벌 구간을 기반으로 추가 자원이 필요한 상황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추가 자원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stination address of the detected packet is not its own address, the terminal allocates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ction of the packet detected in step 307 as a cover interval.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heck channel sec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header of the detected packet, and determine the confirmed channel section as the cover interval. Here, as a result of the channel monitoring, since the packet destined for itself has not been received, the terminal itself can recognize that there are no packets to be received from other terminals during the corresponding channel period. The terminal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through the cover interval allocated in step 309, and checks whether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in step 311.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based on a communication throughput with a cover. In addition, the terminal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dditional resource is required based on the amoun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over and the allocated cover interval interval. If it is determined that no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the terminal ends the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반면, 추가 자원이 필요한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은 313단계로 진행하여 경쟁을 통해 채널 구간을 점유하고, 점유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한다. 여기서, 경쟁을 통해 채널 구간을 점유하고, 점유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하는 것은, 하기 도 4의 403단계 내지 405단계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that additional resources are required,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313 to occupy a channel section through contention, and allocates the occupied channel section as a cover interval. Here, occupying a channel section through contention and allocating the occupied channel section as a cover interval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steps 403 to 405 of FIG. 4 below. Thereafter, the terminal ends the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한 능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rmining an active communication resource through channel monitoring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말은 401단계에서 채널 모니터링을 통해 채널이 미점유된 상황임을 감지한다. 예컨대, 단말은 채널 모니터링을 통해 어떠한 패킷도 수신되지 않을 경우, 채널 접속 중인 다른 단말 혹은 채널에 접속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들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고, 다른 단말들에 의해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in step 401, the UE detects that a channel is not occupied through channel monitoring. For example, when no packet is received through channel monitoring, the terminal may determine that there are no other terminals that are accessing the channel or other terminals that want to access the channel, and determine that the channel is not occupied by other terminals.

단말은 403단계에서 특정 구간 값을 포함하는 채널 점유 신호를 주변 다른 단말들로 전송한다. 예컨대, 단말은 커버와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채널 구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RTS(Ready To Send) 신호를 혹은 self-CTS 신호를 주변의 다른 단말들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의 RTS 신호 혹은 self-CTS 신호를 수신한 주변 다른 단말들은 해당 단말이 해당 채널 구간 동안에 통신 중임을 인지하고, 해당 채널 구간 동안에는 단말과의 통신을 시도하지 않게 된다.In step 403, the terminal transmits a channel occupancy signal including a specific interval value to other nearby terminals.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transmit an RTS (Ready To Send)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on a channel section to be used for communication with a cover or a self-CTS signal to other nearby terminals. Other nearby terminals that have received the RTS signal or self-CTS signal of the terminal recognize that the terminal is communicating during the corresponding channel period, and do not attempt to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during the corresponding channel period.

이후, 단말은 405단계로 진행하여 채널 점유 신호에 포함시킨 특정 구간 값에 대응하는 특정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한다. 이후, 단말은 407단계로 진행하여 할당된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커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능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절차를 종료한다.Thereafter,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405 and allocates a specific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ection value included in the channel occupancy signal as a cover interval. Thereafter,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407 and perform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through the allocated cover interval interval. Thereafter, the terminal ends the act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와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를 참조하면, 단말은 커버에서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함을 감지하고, 503단계에서 커버 인터벌을 결정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는 미리 정해진 단말 혹은 임계 거리 이내의 단말과만 통신을 수행하므로, 스스로 자원을 획득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커버에서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를 감지하여, 커버와의 통신을 위한 커버 인터벌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은 미리 설정된 시점, 혹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특정 이벤트 감지, 혹은 미리 설정된 구간 동안에 커버로부터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커버에서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단말이 사용하지 않는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하거나, 수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혹은 능동적인 통신 자원 결정 방식을 기반으로 커버 인터벌을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the terminal detects that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exists, and determines a cover interval in step 503. For example, since the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only with a predetermined terminal or a terminal within a threshold distance, it is difficult to acquire resources by itself.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se in which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exists is detected, and a cover interval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is determined.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confirm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by receiving a request signal from the cover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oint, when a specific application is executed, a specific event is detected, or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4, the terminal may determine a section not used by another terminal as a cover interval, or may determine a cover interval based on a pass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or an active communicatio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

단말은 505단계에서 커버로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는, 커버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구성 요소 식별 정보(element ID, 530), 메시지의 길이 정보(532), 할당된 커버 인터벌의 개수(Number of allocations, 534), 각 커버 인터벌 시작점을 나타내는 타임 오프셋(time offset #N, 536-1. 536-2), 각 커버 인터벌의 구간(Cover interval duration #N, 538-1, 538-2), 및 각 커버 인터벌의 전송 방향 정보(Direction info #N, 540-1, 54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인터벌 개수는, 커버 인터벌 구간이 연속적이지 않고, 분할된 시간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분할된 시간 구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인터벌이 0-5초 구간, 30-40초 구간, 45-50초 구간인 경우, 커버 인터벌이 3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타임 오프셋, 인터벌 구간 및 전송 방향 정보는 커버 인터벌의 개수만큼 반복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전송 방향 정보는 단말에서 커버로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인지 혹은 커버에서 단말로 신호를 전송하는 구간인지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In step 505, the terminal transmit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ver interval information to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cover interval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D. For example,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ver interval information includes compon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lement ID, 530) indicating c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ssage length information 532, and the number of allocated cover intervals (Number of allocations). , 534), a time offset indicating the start point of each cover interval (time offset #N, 536-1.536-2), a section of each cover interval (Cover interval duration #N, 538-1, 538-2), and each It may include transmission direction information (Direction info #N, 540-1, 540-2) of the cover interval. Here, the number of cover intervals may indicate the number of divided time intervals when the cover interval interval is not continuous and is composed of divided time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cover interval is a 0-5 second interval, a 30-40 second interval, and a 45-50 second interval, it may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cover intervals. In addition, time offset, interval interval, and transmission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repeatedly included as many as the number of cover intervals. In addition, here, the transmission direction information means information indicating whether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to the cover or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이후, 단말은 507단계에서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커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와의 통신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receives data from the cover through the cover interval interval in step 507. Thereafter, the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the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erminated.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서 단말과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with a terminal in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는 51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커버는 513단계에서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로부터 커버 인터벌 정보를 획득하고, 515단계에서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5B, the cover receive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cover interval information from a terminal in step 5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D. Thereafter, the cover acquires the cover interval information from the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 step 513, and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through the cover interval interval in step 515.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통신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5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dure between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c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커버에서 단말로 송신할 데이터가 존재함을 감지하고, 520단계에서 커버 인터벌을 할당하기 위해 채널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후, 단말(100)은 채널 모니터링 결과를 기반으로 522단계에서 수동적인 자원 할당 혹은 능동적인 자원 할당을 통해 커버 인터벌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단말(100)은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102)이 전송한 패킷으로부터, 다른 단말(102)과 또 다른 단말의 통신을 위해 이용되는 채널 구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102)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시, 채널을 점유한 단말이 없는 것을 감지하고, 단말(100)이 RTS 혹은 self-CTS 신호를 전송하여 채널 구간을 점유하고, 점유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C, the terminal 100 detects that there i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and performs channel monitoring to allocate a cover interval in step 520. Thereafter, the terminal 100 acquires the cover interval information through passive resource allocation or active resource allocation in step 522 based on the channel monitoring result. For example, the terminal 100 checks a channel section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another terminal 102 and another terminal from a packet transmitted by another terminal 102 located nearby, and covers the confirmed interval. Can be assigned to As another example, when a packet is not received from another terminal 102 located nearby, the terminal detects that there is no terminal occupying the channel, and the terminal 100 transmits an RTS or self-CTS signal to occupy the channel section. And, the occupied channel interval may be allocated as a cover interval.

이후, 단말(100)은 524단계에서 커버(104)로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 인터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송신 요청 신호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단말(100)은 526단계에서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커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528단계에서 커버(104)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ACK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Thereafter, the terminal 100 transmits a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the cover interval information to the cover 104 in step 524.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transmission request signal including cover interval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5D. Thereafter, the terminal 100 may receive data from the cover through the cover interval interval in step 526 and transmit an ACK message indicating that the data has been successfully received to the cover 104 in step 528.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단말이 커버에서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실시 예는 단말이 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커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단말이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커버 인터벌을 획득하고, 커버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커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FIGS. 5A to 5D described above, the description is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terminal transmits data from the cover to the terminal,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even when the terminal transmits data to the cover. For example, even when the terminal desires to transmit data to the cover, the terminal may monitor a channel to obtain a cover interval,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cover interval to the cover.

또한, 상술한 도 5a 내지 도 5d에서는, 채널 모니터링을 통해 커버 인터벌을 획득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채널을 모니터링하지 않고, 다른 단말이 통신에 이용하지 않는 구간(예: IFS, SIFS, DIFS, 혹은 보호 시간 등)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하고, 결정된 커버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커버(104)로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FIGS. 5A to 5D described above, acquisition of the cover interval through channel monitoring has been described, but a period in which the channel is not monitored and other terminals do not use for communication (eg, IFS, SIFS, DIFS, or Protection time, etc.) may be determined as a cover interval, and information on the determined cover interv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ver 104.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커버의 통신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6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of a cover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를 참조하면, 단말은 601단계에서 커버 통신 중지 이벤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예를 들어, 커버 통신 중지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커버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영상을 재생하는 중에, 단말과 커버의 통신을 중지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메뉴 선택, 제스처 수행, 혹은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커버 영상 재생 중지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혹은 커버 영상 재생을 제어(예: 중지 혹은 재시작)하기 위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커버 영상 재생 중지를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은 단말의 배터리 잔량, 커버의 배터리 잔량, 데이터 존재 여부를 기반으로 커버 통신 중지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은 단말의 배터리 잔량 혹은 커버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커버 통신 중지 이벤트가 발생됨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은 커버 통신 중에 커버로부터 배터리 잔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고, 커버의 배터리 잔량을 감지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terminal checks whether a cover communication stop event is detected in step 601. For example, the cover communication stop event may be generated by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ct a user's menu selection, gesture performance, or a touch input to stop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while playing back an image through the display device included in the cover. As a specific example, the terminal may display a message asking the user whether to stop playing the cover image, or display an icon for controlling (eg, stopping or restarting) the play of the cover image, as shown in FIG. 6D. , An input for stopping playback of the cover image may be received from the user. As another example, the terminal may detect a cover communication stop event based o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terminal,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cover, and the presence of data.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terminal or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cover is smaller than a threshold value, the terminal may detect that a cover communication stop event occurs. Here, the terminal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rom the cover during cover communication, or may have a separate means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the cover.

단말은 커버 통신 중지 이벤트가 감지될 시, 603단계로 진행하여 슬립 구간(sleep duration) 및 어웨이크 구간(awake duration)을 결정한다. 여기서, 슬립 구간은 커버의 통신 모듈이 오프되는 구간이며, 어웨이크 구간은 커버의 통신 모듈이 온되는 구간이다. 실시 예에 따라,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은 사전에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단말은 605단계에서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커버로 전송한다. 이때,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는 도 6c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메시지는 커버 식별 정보를 나타내는 구성 요소 식별 정보(element ID, 630), 해당 메시지의 길이 정보(632), 슬립 구간(sleeping duration, 634) 및 어웨이크 구간(awake duration, 63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a cover communication stop event is detected, the terminal proceeds to step 603 to determine a sleep duration and an awake duration. Here, the sleep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ver is turned off, and the awake period is a period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ver is turned on.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sleep section and the awake section may be determined in advance. Thereafter, in step 605, the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leep period and the awake period to the cover. In this case, a signal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leep period and the awake period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6C. For example, a messag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sleep period and an awake period includes compon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element ID, 630) indicating co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length information 632 of the message, and a sleep period (sleeping duration, 634). ) And the awake duration 636.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에서 단말의 제어에 따라 통신 상태를 변경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6B illustrates a procedure for changing a communication state according to control of a terminal in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를 참조하면, 커버는 61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예컨대, 커버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the cover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leep period and the awake period from the terminal in step 611. For example, the cover may receive a message as shown in FIG. 6C, and obtain information on a sleep period and an awake period from the received message.

커버는 613단계에서 현재 시점이 슬립 구간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현재 시점이 슬립 구간에 대응되는 경우, 커버는 617단계로 진행하여 커버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615단계로 진행한다. 예컨대, 커버는 슬립 구간 동안에는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슬립 구간 동안에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The cover checks whether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sleep section in step 613, and if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sleep section, the cover proceeds to step 617 to turn off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ver, and to step 615. Proceed. For example, the cover may determine that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sleep period, and may turn off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ring the sleep period.

반면, 현재 시점이 슬립 구간에 대응되지 않을 경우, 커버는 615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시점이 어웨이크 구간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현재 시점이 어웨이크 구간이 아닐 경우, 커버는 613단계로 되돌아가 현재 시점이 슬립 구간에 대응되는지 재검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ime poin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leep section, the cover proceeds to step 615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awake section. If the current time point is not the awake section, the cover may return to step 613 and recheck whether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sleep section.

현재 시점이 어웨이크 구간에 대응되는 경우, 커버는 619단계로 진행하여 커버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 시킨다. 예컨대, 커버는 어웨이크 구간 동안에는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어웨이크 구간 동안에는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If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awake period, the cover proceeds to step 619 to turn on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ver. For example, the cover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awake period, and may turn on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to detect that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during the awake period.

이후, 커버는 621단계에서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커버는 6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반면, 단말로부터 신호가 수신될 시, 커버는 623단계에서 통신 모듈의 전원 온 상태를 유지하여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커버는 단말로부터 커버 인터벌 정보를 획득하고,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 혹은 수신하라 수 있다.Thereafter, the cover checks whether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 step 621. If a signal is not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over returns to step 613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again. On the other h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cover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by maintaining the power-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n step 623. In this case, the cover may acquire cover interval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and transmit or receive data through the cover interval interval.

커버는 625단계에서 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되지 않을 시 62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하고, 단말과의 통신이 종료될 시 613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The cover checks whethe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terminated in step 625, and if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not terminated, returns to step 623 and performs the following steps again, and returns to step 613 when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is terminated. You can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미리 결정된 특정 빔 방향을 이용하여 커버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7A illustrates a procedur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ver using a predetermined specific beam direction in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를 참조하면, 단말은 701단계에서 현재 시점이 커버 인터벌 구간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현재 시점이 커버 인터벌 구간에 대응되는 경우, 단말은 703단계에서 비표준 채널 접속 모드로 전환한다. 예컨대, 단말은 커버 인터벌 구간 동안 표준 규격에 따라 다른 단말과 통신하는 모드가 아닌, 비표준 규격에 따라 커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in step 701, the terminal checks whether the current viewpoint corresponds to a cover interval interval. If the current time point corresponds to the cover interval period, the terminal switches to the non-standard channel access mode in step 703. For example, the terminal may switch to a mode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cover according to a non-standard standard rather than a mode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standard standard during the cover interval period.

단말은 705단계에서 안테나 및 빔 방향을 미리 설정된 커버 통신 방향으로 설정하고, 707단계에서 채널 모니터링 절차 없이, 할당된 커버 인터벌 구간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의 안테나 빔 방향을 커버(104)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커버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의 특정 면과 접촉되는 내부 면에 안테나(7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은 커버와 접촉되는 특정 면의 방향으로 안테나 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가 단말의 특정 면과 접촉되는 내부 면에 안테나(721)를 포함한 경우, 안테나(721)로부터의 전파가 단말의 특정 면으로만 방사되도록, 커버의 뒷면은 전파를 차폐시키는 구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커버(104)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단말(100)의 안테나 빔 방향은 커버의 안테나를 고려하여 설계 단계에서 미리 설정되거나, 커버(104)로부터 사전에 획득한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커버(104)의 안테나 빔 방향은 변경되지 않고, 단말과 접촉되는 면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The terminal may set the antenna and beam directions as a preset cover communication direction in step 705, and transmit and receive data through the allocated cover interval period in step 707 without a channel monitoring procedur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B, the terminal may set the antenna beam direction of the terminal 100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04 is located. As another example, the cover may include an antenna 721 on an inner surface contacting a specific surface of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7C, and in this case, the terminal adjusts the antenna beam direction in the direction of a specific surface contacting the cover. Can be se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when the cover includes an antenna 721 on an inner surface contacting a specific surface of the terminal,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so that radio waves from the antenna 721 are radiated only to a specific surface of the terminal. Silver can be designed to include components that shield radio waves. Depending on the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beam of the terminal 100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ver 104 is located is set in advance in the design stage in consideration of the antenna of the cover, or is set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in advance from the cover 104 Can be.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beam of the cover 104 is not changed, and may be fixed to face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안테나 장착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커버의 안테나 구조에 대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8A shows antenna mounting positions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B and 8C illustrate examples of antenna structures of a terminal and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단말과 커버의 통신 신호가 다른 단말들의 통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테나 설계 구조를 나타낸다. 8A to 8C show an antenna design structure for minimizing the influence of a communication signal between a terminal and a cover on communication of other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의 안테나(801)와 단말의 안테나(803)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커버의 안테나(801)는 단말(100)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단말의 안테나(803)는 커버의 안테나(801)에 근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안테나(803)는 커버 통신을 위한 전용 안테나일 수도 있고, 커버 통신 및 다른 단말과의 통신에 모두 이용되는 안테나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801 of the cover and the antenna 803 of the terminal may be installed at positions as shown in FIG. 8A. That is, the antenna 801 of the cover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terminal 100, and the antenna 803 of the terminal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antenna 801 of the cover. In this case, the antenna 803 of the terminal may be a dedicated antenna for cover communication or an antenna used for both cove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커버 및 단말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체와 차폐체로 구성될 수 있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사체와 캐비티(cavity)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사체는 민더링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방사체의 크기는 방사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의 최대 길이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은 서브스트레이트의 일부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ver and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shield as shown in FIG. 8B, and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cavity as shown in FIG. I can. The radi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 mindering pattern, and the size of the radiato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maximum length of a polygon or circle including the radiator satisfies Equation 1 below. Here, the polygon or circle including the radiator may include a partial area of the substrate.

Figure 112019128157581-pat00001
Figure 112019128157581-pat00001

여기서, D는 방사체를 포함하는 다각형 혹은 원형의 최대 길이를 의미하며, λ는 주파수에 따른 파장의 길이를 의미하며, P는 단말의 안테나와 커버의 안테나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단말의 안테나와 커버의 안테나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계된 경우, P는 단말과 커버 가장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20mm 정도이다. 상기 수학식 1은 단말과 커버의 통신에 이용되는 안테나가 근접 필드(near field)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민더링 패턴은, 도 8b 및 도 8c의 첫 번째 방사체 및 두 번째 방사체와 같이, 도선이 구부러져서 크랭크 모양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Here, D denotes the maximum length of a polygon or circle including a radiator, λ denotes a length of a wavelength according to a frequency, and P denotes a distance between the antenna of the terminal and the antenna of the cover. For example, when the antenna of the terminal and the antenna of the cover are designed as shown in FIG. 8A, P may mea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head, and is usually about 20 mm. Equation 1 is to enable the antenna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ver to operate in a near field region. Here, the mindering pattern means that, like the first radiator and the second radiator of FIGS. 8B and 8C, the conducting wire is bent to have a crank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폐체는 도 8b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mesh) 구조의 금속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메쉬 구조로 인한 금속성 물질 사이의 간격은 λ/8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방사체로부터 방사된 전파를 차폐시키기 위함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사체와 차폐체로 구성된 안테나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b의 측면 뷰(side view)와 같이, 서브스트레이트의 한쪽 면에는 방사체가 설계되고, 서브스트레이트의 다른 한쪽 면은 차폐체가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ielding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 mesh structure,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B. In this case, the spacing between metallic materials due to the mesh structure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λ/8. This is to shield radio waves radiated from the radiator. As shown in FIG. 8B, an antenna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sh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ubstrate. For example, as in the side view of FIG. 8B, a radiator may be design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a shield may be designed on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캐비티는 도 8c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캐비티의 높이는 λ/4보다 작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방사체와 캐비티로 구성된 안테나는 서브스트레이트(substrat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8c의 측면 뷰(side view)와 같이, 서브스트레이트의 한쪽 면은 방사체가 설계되고, 나머지 세 면은 캐비티로 쉴딩(shielding)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vit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8C.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cavity may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λ/4.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C,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and a cavity may include a substrate. For example, as in the side view of FIG. 8C, one side of the substrate may be designed with a radiator, and the other three sides may be shielded with a cavity.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9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은 제어부(900), 통신부(910), 안테나(920), 저장부(930), 입력부(940) 및 출력부(9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erminal may include a control unit 900, a communication unit 910, an antenna 920, a storage unit 930, an input unit 940, and an output unit 950.

제어부(90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900)는 주변에 위치한 불특정한 다른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하며, 커버와 같은 특정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컨대, 제어부(900)는 커버 통신 제어부(902)를 포함하여, 커버와 통신하기 위한 커버 인터벌을 결정하고, 커버 인터벌을 기반으로 커버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커버 통신 제어부(902)는 표준 규격에 의해 다른 단말들이 사용하지 않는 구간(예: IFS, SIFS, DIFS, 혹은 보호 시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고, 다른 단말에 의해 점유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통신 제어부(902)는 채널 점유를 위한 신호 전송을 통해 채널 구간을 점유하고, 점유된 채널 구간을 커버 인터벌로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커버 통신 제어부(902)는 커버로 커버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할 수 있고, 커버의 통신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커버의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커버로 전송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할 있다. 또한, 커버 통신 제어부(902)는 커버와의 통신을 위해 안테나(920) 및/혹은 송수신 빔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The controller 900 controls and processes overall func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controller 900 controls a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nother unspecified terminal located in the vicinity, and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specific device such as a cov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900 includes the cover communication controller 902 to determine a cover interval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ver, and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based on the cover interval. The co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902 may determine a section not used by other terminals (e.g., IFS, SIFS, DIFS, or guard time) as a cover interval according to the standard standard, and cover the channel section occupied by other terminals. Can be determined by In addition, the co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902 may occupy a channel section through signal transmission for channel occupancy, and may determine the occupied channel section as a cover interval. In addition, the co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902 can control and process a func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cover interval to the cover, determine the sleep period and the awake period of the cover to control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cover, and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process the function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sleep period and the awake period to the cover. In addition, the cover communication control unit 902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adjusting the antenna 920 and/or the transmission/reception beam direc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통신부(910)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따라 주변에 위치한 다른 단말, 기지국, 혹은 커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910)는 하나의 통신 모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통신부(910)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커버 인터벌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저전력으로 커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910)는 제어부(900)의 제어에 의해 커버와 통신하기 위해 안테나(920)의 방향 및/혹은 송수신 빔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안테나(920)는 특정 빔 방향으로 빔 형성이 가능한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테나(9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와 차폐체로 구성되거나,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와 캐비티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910 communicates with other terminals, base stations, or covers located in the vicinit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one communication modem.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over at a preset low power during the cover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0.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910 ma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antenna 920 and/or the direction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beam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co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9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920 may be a beam antenna or an array antenna capable of forming a beam in a specific beam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antenna 920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shield as shown in FIG. 8B, or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cavity as shown in FIG. 8C.

저장부(93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930)는 커버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930)는 커버와의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930 stores various data and programs for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930 may store information on a cover interval,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a sleep period and an awake perio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930 may include information on power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cover.

입력부(940)는 사용자의 선택 혹은 제스처에 의해 발생되는 명령 혹은 데이터를 제어부(900)로 전달한다. 예컨대, 입력부(94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 물리적 키패드, 터치 감지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및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940 transmits a command or data generated by a user's selection or gesture to the control unit 900. For example, the input unit 9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hysical key button, a physical keypad, a touch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icrophone, and a mouse.

출력부(950)는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혹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950)는 화상, 혹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와의 통신을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 혹은 커버와의 통신 중지를 나타내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950 may output image, video, or audio data to a user. For example, the output unit 95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or image data, and a speaker that outputs audio data.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graphic element indicating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or a graphic element indicating interruption of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버의 블럭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10 illustrates a block configuration of a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는 제어부(1000), 통신부(1010), 안테나(1020), 저장부(1030), 입력부(1040) 및 출력부(10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cov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1000, a communication unit 1010, an antenna 1020, a storage unit 1030, an input unit 1040, and an output unit 1050.

제어부(1000)는 커버의 동작을 위한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0)는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출력부(1050)를 통해 출력하거나, 저장부(1030)에 저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예컨대, 단말 통신 제어부(1002)는 단말로부터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커버 인터벌 정보를 수신하고, 커버 인터벌을 기반으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능을 제어 및 처리한다. 단말 통신 제어부(1002)는 단말로부터 커버의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슬립 구간 동안에 통신부(1010)에 포함된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어웨이크 구간 동안에는 통신 모듈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and processes overall func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cover. For example, the controller 1000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outputting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rough the output unit 1050 or storing the data in the storage unit 1030. For example, th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ler 1002 receives cover interval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from the terminal, and controls and processes a function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based on the cover interval. The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unit 1002 receives information on the sleep and awake periods of the cover from the terminal, turns off the power of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unit 1010 during the sleep period, and powers the communication module during the awake period. Controls the function to turn on.

통신부(1010)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정 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010)는 제어부(1000)의 제어에 의해 커버 인터벌 동안에는 미리 설정된 저전력으로 특정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010 communicates with a specific terminal set in advan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0.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010 may transmit/receive data to and from a specific terminal at a preset low power during the cover interv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000.

안테나(1020)는 특정 빔 방향으로 빔 형성이 가능한 빔 안테나 혹은 배열 안테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안테나(102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와 차폐체로 구성되거나,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체와 캐비티로 구성될 수 있다.The antenna 1020 may be a beam antenna or an array antenna capable of forming a beam in a specific beam direction. As another example, the antenna 1020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shield as shown in FIG. 8B, or may be composed of a radiator and a cavity as illustrated in FIG. 8C.

저장부(1030)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한 각종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030)는 커버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슬립 구간 및 어웨이크 구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30)는 커버와의 통신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30)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30 stores various data and programs for communication with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030 may store information on a cover interval, and may store information on a sleep period and an awake period.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030 may include information on power used to communicate with the cover. Also, the storage unit 1030 may store data received from the terminal.

입력부(1040)는 사용자의 선택 혹은 제스처에 의해 발생되는 명령 혹은 데이터를 제어부(1000)로 전달한다. 예컨대, 입력부(940)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키 버튼, 물리적 키패드, 터치 감지 센서,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 마이크 및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40 transmits a command or data generated by a user's selection or gesture to the control unit 1000. For example, the input unit 9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t least one physical key button, a physical keypad, a touch sensor, a proximity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icrophone, and a mouse.

출력부(1050)는 사용자에게 화상, 영상, 혹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1050)는 화상, 혹은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050 may output image, video, or audio data to a user. For example, the output unit 1050 may include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or image data, or a speaker that outputs audio data.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splay a graphic element corresponding to data received from a termin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made from these description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은 단일의 제어부에 의해 그 동작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단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이나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기지국 또는 릴레이의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경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Ope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control unit. In this case,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operations implemented by various computers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determinable medium may include a program command, a data file, a data structure, or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or DVDs, magnetic-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ROMs.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When all or part of the base station or relay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computer program is also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fined,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Claims (2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무선으로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일 면이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는 과정은, 상기 커버 장치와 연결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onic device,
A process of wirelessly transmitting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while one 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cover device,
Receiving a user input on a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while the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on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and
And stopping display of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based on the user input,
The process of stopping display of the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includes a process of disconnecting from the cov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며,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커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input includes a first user input,
Receiving a second user input;
And wirelessly connecting with the cover device to transmit the graphic data based on the second user input.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아이콘을 통해 검출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 of displaying an icon for controlling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ic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커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보다 작음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중지하도록 상기 커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confirming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cover device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to stop displaying the cover device on the first displa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상기 특정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간 거리보다 짧은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device is located within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specific distance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oth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의 표시를 중지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message asking a user whether to stop displaying the cov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의 통신 모듈을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송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ethod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a signal for powering on or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커버(cover)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상기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상기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그래픽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및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상기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수신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 상의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가 중지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가 중지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In the operating method of the cover (cover) device,
A process of wirelessly receiving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while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and
A process of performing a display operation based on the graphic data while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and
And stopping the display of the graphic data based on a received user input on a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The process of stopping the display of the graphic data includes a process of disconnecting from the electronic device.
삭제delete 전자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기와,
상기 송수신기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 장치의 제1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표시를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무선으로 송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일 면이 상기 커버 장치의 일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display) 상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상기 그래픽 데이터의 표시를 중단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와 연결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In the electronic device,
Transceiver and,
And at least one processor connected to the transceiver,
The at least one processor,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graphic data for display on a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is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cover device,
In a state in which one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cover device, a user input on a second display of the electronic device is received, and
Controlling to stop displaying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based on the user input,
In the process of stopping the display of the graphic data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the electronic device controls to disconnect from the cover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제1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커버 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user input includes a first user input,
The at least one processor,
Receive a second user input,
An electronic device that wirelessly connects with the cover device to transmit the graphic data based on the second user input.
삭제delet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아이콘을 통해 검출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second display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an icon for controlling display on the first display of the cover device,
The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ic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 또는 상기 커버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보다 작음을 확인하고,
상기 커버 장치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상의 표시를 중지하도록 상기 커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firming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of at least one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cover device is less than a threshold value,
A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to transmit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to stop displaying of the cover device on the first display.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와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고,
상기 특정 거리는, 상기 전자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간 거리보다 짧은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ver device is located within a specific distan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The specific distance is shorter than a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at least one other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 장치의 표시를 중지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trols to display on the second display a message asking a user whether to stop displaying the cover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커버 장치의 통신 모듈을 전원 온(on) 또는 오프(off)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커버 장치에게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t least one processor controls to transmit a signal for powering on or off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ver device to the cover devi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안테나는,
기판(substraste)과,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 장치와 통신을 위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방사체와,
상기 기판의 다른 면에 접촉하며, 상기 신호가 다른 장치들 간의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폐체 및 캐비티(cavity)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antenna of the electronic device,
A substrate (substraste),
At least one radiat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and configured to emit a signal for communication with the cover devic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hield and a cavity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bstrate and configured to block the signal from interfering with communication between other device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커버 장치는,
상기 커버 장치의 안쪽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위한 신호를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쪽면은 상기 전자 장치와 접촉되며,
상기 신호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와의 통신을 방해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차폐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ver device,
An antenna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device and configured to emit a signal for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device, the inner surface contacting th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hield configured to block the signal from interfering with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device.
KR1020190164855A 2019-12-11 2019-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7830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55A KR102178308B1 (en) 2019-12-11 2019-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855A KR102178308B1 (en) 2019-12-11 2019-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709A Division KR102098933B1 (en) 2014-09-24 2014-09-24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111A KR20190141111A (en) 2019-12-23
KR102178308B1 true KR102178308B1 (en) 2020-11-12

Family

ID=6905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855A KR102178308B1 (en) 2019-12-11 2019-12-11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30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6493A1 (en) 2011-09-27 2013-04-04 Z124 Drag motion across seam of display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89B1 (en) * 2008-11-11 201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587102B1 (en) * 2009-03-02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564467B1 (en) * 2009-03-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data i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802522B1 (en) * 2011-02-10 201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touch screens and screen changing method thereof
KR102098933B1 (en) * 2014-09-24 2020-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86493A1 (en) 2011-09-27 2013-04-04 Z124 Drag motion across seam of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111A (en) 201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9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994388B2 (en) Coexistence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network device
CN108886816B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user equipment
US20140241182A1 (en) Access Point And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Reduced RF Interference
KR101472543B1 (en) Device discovery for mixed types of directional terminals
KR20210111846A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US10292171B2 (en)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2202726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storage medium
US1128446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45342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terminals and storage media
KR102191366B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of electronic deiv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783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117375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305063B1 (en) Roaming handoff method, central control device, and station
JP745176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s, devices,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a
WO202110914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EP2773152B1 (en) Access point and channel selection in a wireless network for reduced RF interference
CN113973394B (en) Transmiss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munication equipment
CN111357306B (en) Communic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5836575A (en) Random access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833123B1 (en) Uplink resource allocatio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6390182A (en) Dynamic frequency selec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14667764A (en) Bandwidth partially switchable method and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2243276A (en) Random access method, information sending method,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network side equipment and terminal
KR20230011633A (en)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measurement for measure object of inter 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