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545B1 -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545B1
KR102177545B1 KR1020180109681A KR20180109681A KR102177545B1 KR 102177545 B1 KR102177545 B1 KR 102177545B1 KR 1020180109681 A KR1020180109681 A KR 1020180109681A KR 20180109681 A KR20180109681 A KR 20180109681A KR 102177545 B1 KR102177545 B1 KR 102177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terminal
card
cryptocurrency
transaction
security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0883A (ko
Inventor
이성만
Original Assignee
이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만 filed Critical 이성만
Priority to KR102018010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5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06Q20/367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 G06Q20/367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involving electronic purses or money safes involving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는,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보안 키패드; 및 보안 키패드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계좌와 보안 키패드로부터 거래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달하는 IC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TRANSACTING CRYPTOCURRENC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와는 독립된 IC 카드에서 보안 키패드를 통해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하는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포털 사이트에서는 가입자에게 활동에 따른 이득을 제공하는 사이버 머니(cyber money)의 개념인 가상 화폐가 등장하였다. 이러한 가상 화폐는 특정 웹 사이트에서만 가치가 있으나, 나카모토 사토시는 전세계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 BTC)을 생각해 발표하였다.
비트코인은 비트(bit)로 이루어진 디지털 통화로, 통화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가 존재하지 않는 대신 P2P(Peer-to-Peer) 기반 분산 데이터베이스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진다. 이 거래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비트코인의 주체에 대한 익명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비트코인의 거래 내역은 블록 체인(block chain)이라는 형태로 공개된다.
비트코인의 가치가 점점 올라감에 따라, 2014년 2월에 마운트 곡스(Mt. Gox)의 비트코인 전자지갑이 해킹(hacking)되어, 결국 거래 가변성(transaction malleability) 버그에 따른 이중 지불(double spending)로 인해 마운트 곡스가 파산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660627호(2016.09.28. 공고, 암호화 화폐의 거래를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암호화폐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두 당사자 간 직접거래(P2P)를 위해 개발된 것이나, 보안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하고 있어 거래소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거래소도 해킹에 자유로울 수 없으나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는 너무 쉽게 해킹에 노출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암호화폐를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거래함에 있어 발생될 수 있는 보안문제는 개인키 도난문제, 수신자 계좌의 변경문제 및 송금 금액의 변경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해킹에 대비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는 독립된 IC 카드에서 보안 키패드를 통해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하는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는,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보안 키패드; 및 보안 키패드에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계좌와 보안 키패드로부터 거래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달하는 IC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IC 카드는,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한 후 완료 시그널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IC 카드는,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검증코드를 요청하고,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수신자 계좌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보안 키패드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신자 계좌를 입력받아 IC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IC 카드가 수신자 계좌를 입력받은 후 보안 키패드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거래전문을 입력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IC 카드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검증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IC 카드가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수신자 계좌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안 키패드에 IC 카드가 접속되면 IC 카드가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IC 카드의 비밀번호를 검증하여 소유자를 증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보안 키패드에 접속된 IC 카드에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요구하는 단계; 및 IC 카드가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 요구에 따라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한 후 완료 시그널을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은 클라이언트 단말기와는 독립된 IC 카드에서 보안 키패드를 통해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개인키의 도난에도 IC 카드를 통해 보호할 수 있으며, 수신자 계좌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내온 계좌로부터 얻은 검증코드와 보안 키패드에서 입력받은 검증코드를 IC 카드에서 비교/검증하고, 송금 금액은 보안 키패드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암호화폐의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장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 보안 키패드(20) 및 IC 카드(1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는 스마트폰을 포함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는 스마트폰 상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설치된다.
보안 키패드(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와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입력되는 기밀정보나 거래정보는 IC 카드(10)로만 보내진다.
여기서, 보안 키패드(2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의 자켓에 부착되어 휴대할 수 있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 IC 카드(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될 수 있다.
IC 카드(10)는 보안 키패드(20)의 접속슬롯(25)에 접속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접속되어 클라이언트 단말기(30)의 요구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수신자 계좌와 보안 키패드(20)로부터 거래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전문은 수신자 계좌, 송금 금액 및 개인키 서명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가 해킹되더라도 거래전문은 독립된 IC 카드(10)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해커에 의한 수신자 계좌 및 송금 금액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IC 카드(10)는 IC 카드(10)의 비밀번호를 저장하고,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한 후 완료 시그널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IC 카드(10)가 보안 키패드(20)에 접속될 경우 보안 키패드(20)로부터 IC 카드(10)의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IC 카드(10)의 소유자를 증명할 수 있고, IC 카드(10)에서 거래전문을 생성할 때 저장된 개인키로 서명할 수 있다.
한편, IC 카드(10)는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계좌로부터 얻은 검증코드와 보안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된 검증코드를 비교하여 수신자 계좌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자 계좌는 보통 숫자와 문자를 조합한 34 바이트나 42 바이트로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기 매우 어렵고 불편하여, 수신자가 보내준 수신자 계좌를 복사하여 입력하거나 QR 코드를 스캔하여 입력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가 해킹된 경우 수신자 계좌의 위변조가 발생할 수 있어, IC 카드(10)에서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입력된 수신자 계좌를 검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신자 계좌로 "1A5CDF73………3QS"의 42자리가 입력된 경우, IC 카드(10)에서 검증을 위해 앞에서 4개의 숫자를 검증코드로 요구한 후 보안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되는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1573"이 입력되면 수신자 계좌가 위변조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검증코드는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코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숫자를 검증코드로 요구하였으나, 4개의 문자를 요구할 수도 있고, 임의의 자리수의 숫자나 문자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자 계좌를 검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호화폐의 거래장치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는 독립된 IC 카드에서 보안 키패드를 통해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개인키의 도난에도 IC 카드를 통해 보호할 수 있으며, 수신자 계좌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내온 계좌로부터 얻은 검증코드와 보안 키패드에서 입력받은 검증코드를 IC 카드에서 비교/검증하고, 송금 금액은 보안 키패드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암호화폐의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의 거래방법에서는 먼저, IC 카드(10)가 보안 키패드(20)의 접속슬롯(25)에 접속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10).
이때 보안 키패드(20), 클라이언트 단말기(30)와 IC 카드(10)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IC 카드(10)가 보안 키패드(20)의 접속슬롯(25)에 접속되거나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서로 접속되면, IC 카드(10)가 보안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IC 카드(10)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소유자를 증명할 수 있다(S20).
S20 단계에서 IC 카드(10)가 소유자 증명 결과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전송하면,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IC 카드(10)에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요구할 수 있다(S30).
S30 단계에서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서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요구하면, IC 카드(10)는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하여 계좌 등록을 하고 완료 시그널을 클라이언트 단말기(30)에 전송할 수 있다(S40).
이와 같이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계좌를 등록한 후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수신자 계좌를 입력받는다(S50).
여기서 수신자 계좌는 보통 숫자와 문자를 조합한 34 바이트나 42 바이트로 구성되어, 수신자가 보내준 수신자 계좌를 복사하여 입력하거나 QR 코드를 스캔하여 입력한다.
S50 단계에서 입력된 수신자 계좌를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부터 입력받은 후 IC 카드(10)는 입력된 수신자 계좌를 검증한다(S60).
예를 들어, 수신자 계좌로 "1A5CDF73………3QS"의 42자리가 입력된 경우, IC 카드(10)는 검증을 위해 앞에서 4개의 숫자를 검증코드로 요구한 후 보안 키패드(20)로부터 입력되는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1573"이 입력되면 수신자 계좌가 위변조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검증코드는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코드로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숫자를 검증코드로 요구하였으나, 4개의 문자를 요구할 수도 있고, 임의의 자리수의 숫자나 문자를 요구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신자 계좌를 검증할 수 있다.
S60 단계에서 수신자 계좌를 검증한 후 IC 카드(10)는 보안 키패드(20)로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위한 거래정보를 입력받는다(S70).
여기서, 거래정보는 송금 금액과 개인키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S70 단계에서 거래정보를 입력받은 후 IC 카드(10)는 수신자 계좌, 송금 금액 및 개인키 서명을 기반으로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클라이언트 단말기(30)로 전송한다(S80).
S80 단계에서 IC 카드(10)로부터 거래전문을 수신받은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거래전문을 전송하여 거래를 수행한다(S90).
S90 단계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40)에 거래전문을 전송한 후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거래 승인 메시지를 수신하면 거래를 완료한다(S100).
클라이언트 단말기(30)는 거래가 완료되면 거래 결과를 출력하고, IC 카드(10)에도 거래 완료 시그널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암호화폐의 거래방법에 따르면, 클라이언트 단말기와는 독립된 IC 카드에서 보안 키패드를 통해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함으로써, 개인키의 도난에도 IC 카드를 통해 보호할 수 있으며, 수신자 계좌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에서 보내온 계좌로부터 얻은 검증코드와 보안 키패드에서 입력받은 검증코드를 IC 카드에서 비교/검증하고, 송금 금액은 보안 키패드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암호화폐의 거래 시 발생할 수 있는 해킹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IC 카드
20 : 보안 키패드
25 : 접속슬롯
30 : 클라이언트 단말기
40 :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8)

  1.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거래전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암호화폐의 거래를 수행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접속되어 사용자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보안 키패드; 및
    상기 보안 키패드에 접속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암호화폐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수신자 계좌와 상기 보안 키패드로부터 상기 거래정보를 각각 입력받아 상기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달하는 IC 카드;를 포함하되,
    상기 IC 카드는, 상기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한 후 완료 시그널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검증코드를 요청하며, 상기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자 계좌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 상기 IC 카드와 상기 보안 키패드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5.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암호화폐의 거래를 위한 수신자 계좌를 입력받아 IC 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IC 카드가 상기 수신자 계좌를 입력받은 후 보안 키패드로부터 거래정보를 입력받아 거래전문을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거래전문을 입력받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거래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IC 카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상기 수신자 계좌로부터 추출된 검증코드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IC 카드가 상기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된 검증코드와 비교하여 상기 수신자 계좌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안 키패드에 상기 IC 카드가 접속되면 상기 IC 카드가 상기 보안 키패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IC 카드의 비밀번호를 검증하여 소유자를 증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보안 키패드에 접속된 상기 IC 카드에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을 요구하는 단계; 및
    상기 IC 카드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폐 지갑의 생성 요구에 따라 개인키, 공개키 및 주소를 생성한 후 완료 시그널을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호화폐의 거래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109681A 2018-09-13 2018-09-13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KR102177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81A KR102177545B1 (ko) 2018-09-13 2018-09-13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681A KR102177545B1 (ko) 2018-09-13 2018-09-13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83A KR20200030883A (ko) 2020-03-23
KR102177545B1 true KR102177545B1 (ko) 2020-11-11

Family

ID=69998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681A KR102177545B1 (ko) 2018-09-13 2018-09-13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5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654Y1 (ko) * 2001-09-04 2001-12-24 주식회사 비티씨 정보통신 카드리더기를 장착한 보안 키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7654Y1 (ko) * 2001-09-04 2001-12-24 주식회사 비티씨 정보통신 카드리더기를 장착한 보안 키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883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4498B2 (en) Method and service-providing server for secure transmission of user-authenticating information
CN111429254B (zh) 一种业务数据处理方法、设备以及可读存储介质
CN108012268B (zh) 一种保证应用软件在手机终端上安全使用的sim卡
JP5066827B2 (ja) 移動装置を用いる認証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RU2710897C2 (ru) Способы безопасного генерирования криптограмм
KR101883156B1 (ko) 인증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인증 서버 및 서비스 서버
KR101984254B1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장치 및 그 노드 장치의 동작 방법
RU2415470C2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безопасного кода,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JP6704919B2 (ja) 支払いトークンのセキュリティを確保する方法
CA2701055C (en) Method of providing assured transactions using secure transaction appliance and watermark verification
CN111431713B (zh) 一种私钥存储方法、装置和相关设备
CN107545414B (zh) 匿名交易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8924309B2 (en) Method of providing assured transactions by watermarked file display verification
CN102790767B (zh) 信息安全控制方法,信息安全显示设备,及电子交易系统
CN111476573B (zh) 一种账户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589569A (zh) 至网络中的客户端设备的安全口令分发
KR101385429B1 (ko) Nfc를 이용하는 전자 계약의 개인 인증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인증 서버 및 단말기
US20230103038A1 (en) Method for directly transferring electronic coin data sets between terminals, payment system, currency system and monitoring unit
CN105635168A (zh) 一种脱机交易装置及其安全密钥的使用方法
CN104125230A (zh) 一种短信认证服务系统以及认证方法
CN110634072B (zh) 一种基于多签和硬件加密的区块链交易系统
KR101348079B1 (ko) 휴대단말을 이용한 전자서명 시스템
TWI753102B (zh) 實名認證服務系統及實名認證服務方法
KR102177545B1 (ko) 암호화폐의 거래장치 및 그 방법
KR102195711B1 (ko) 암호화폐의 거래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