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5387B1 -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5387B1
KR102175387B1 KR1020180139446A KR20180139446A KR102175387B1 KR 102175387 B1 KR102175387 B1 KR 102175387B1 KR 1020180139446 A KR1020180139446 A KR 1020180139446A KR 20180139446 A KR20180139446 A KR 20180139446A KR 102175387 B1 KR102175387 B1 KR 102175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antenna
analog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4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55616A (en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랜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39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387B1/en
Publication of KR20200055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3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안테나 전환부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a plurality of antennas; A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An AD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Description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본 발명은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전기 등과 같이 반이중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장치들을 중계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laying communication devices using a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a radio.

무선 중계 장치는 통신이 필요한 영역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비로서, 기지국과 단말기(이동국) 간의 통신 혹은 단말기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해 준다. 근래 이동 통신의 발달로 이동 통신 서비스 영역의 음영 지역 해소를 위한 많은 중계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그 기술 또한 눈부신 발전을 하였다.A wireless relay device is an equipment used to eliminate a shadow area in an area where communication is required, and facilitates communication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mobile station) or between a terminal and a terminal.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many re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to resolve shadow area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rea, and the technology has also made remarkable developments.

한편, 전통적인 무선 통신 수단인 무전기도 여전히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필수적인 통신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의 확보와 더불어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강화 등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반이중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무전기나 방송 서비스에 대한 중계 장치의 개발과 사용은 이동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다.On the other hand, the tradi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radio, is still used as an essential communication metho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has been strengthened due to the securing of the national disaster safety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reinforcement of fire safety standards. . However, the development and use of a relay device for a radio or broadcast service using a half-duplex communication method is relatively weak compared to mobile communication.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97406호(단일 주파수 단신 통신을 위한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 한국 등록특허 제10-1736244호(긴급 재난 통신 시스템) 등이 있다.Conventional technologies related to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include Korean Patent No. 10-1097406 (a wireless relay device and method for single-frequency short communication), and Korean Patent No. 10-1736244 (emergency disaster communication system).

이들 종래기술은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와 제2 이동국에서 제1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를 별개로 구비하고, 제1 및 제2 이동국의 후크(hook) 신호를 동기 신호로 이용하여 무선 중계 장치의 제1 및 제2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를 온/오프시킨다.These prior art are separately provided with a first signal processing unit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a first mobile st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and a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second mobile station to the first mobile station. , Turning on/of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processing units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units) of the wireless relay device by using the hook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mobile stations as synchronization signals.

그러나, 종래기술은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경로와 제2 이동국에서 제1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경로에 대해 각각 동기 신호 검출부,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 등을 구비하기 때문에 동일한 회로를 중복적으로 구현하여 복잡도가 높고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ior art,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unit), and the like for the first path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first mobile station to the second mobile station and the second path for transmitting signals from the second mobile station to the first mobile station, respectively. Since it is equipped with, there is a problem of high complexity and low economic efficiency by implementing the same circuit redundantly.

특히, 최근에는 음성 통신뿐만 아니라 문자 통신이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무전기가 상용화되어 있는데, 종래기술은 이동국의 후크 신호를 동기 신호로 이용하기 때문에 디지털 무전기의 경우 문자 통신이나 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음성 통신도 제한을 받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digital radios capable of not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text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have been commercialized.Since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es the hook signal of a mobile station as a synchronization signal, text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cannot be used in the case of digital radios. There was a problem that voice communication could also be limite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740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974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3624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73624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영 지역이 많아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회로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고 하나의 무선 중계 장치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easily implemented with one wireless relay device without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circuit even when multiple antennas are used due to the large number of shaded areas. It is to provide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통신만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무전기뿐만 아니라 문자 통신이나 데이터 통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무전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analog radio for performing only voice communication but also to a digital radio for performing text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송신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received from an antenna into a digital signal, delaying the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nd then transmitting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개의 안테나를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전기 신호를 손실 없이 중계할 수 있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relaying a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an arbitrary antenna without loss even when several antennas are switched to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안테나 전환부에서 전달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or the above purposes,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a plurality of antennas; A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n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An AD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및 제2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적어도 하나가 증폭된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신호 탐지부에서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1 증폭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무전기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first and second antennas, respectively; A receiv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amplif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by receiving the first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t least one amplified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A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adio signal from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when a radi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 the first amplification level is adjusted to determine a signal including the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and a reception path is set for an antenna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tenna switching unit to set a transmission path for an antenna that does not receive the radio signal.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제1 및 제2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회로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회로부; 상기 제1 수신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제1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 및 상기 제2 수신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신호 지연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상기 제1 및 제2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신호 선택부;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제1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 탐지부에서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first and second antennas, respectively; A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first analog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a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second analog signal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first A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first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into a first digital signal and a second A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second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into a second digital signal part;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unit into an analog signal;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A first signal selection unit sele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A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a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selected by the signal selection unit; And when a radi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by controlling the first signal selection unit, a reception path is set for an antenna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is set for an antenna not receiving the radio 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tenna switching unit.

한편,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은, 복수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단계;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상기 임의의 안테나를 제외한 나머지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half-duplex wireless relay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analog signal through an arbitrary antenna among a plurality of antennas; Converting the received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hrough the antennas other than the arbitrary antenna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가 증폭된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고, 상기 제1 증폭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lf-duplex wireless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first analog signal through a first antenna and receiving a second analog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Amplif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Converting the at least one amplified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nd adjusting the first amplification degree to determine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hrough an antenna that does not receive a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은,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제1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에 대해 무전기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중 무전기 신호가 포함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half-duplex wireless relay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 first analog signal through a first antenna and receiving a second analog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Converting the first analog signal into a first digital signal and converting the second analog signal into a second digital signal; Delay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for a preset delay time, and determining a signal including a radio signal for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cluding a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into an analog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hrough an antenna that does not receive a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 조합에 따른 경로별로 송수신 회로를 구비하는 것이 아니라 안테나 수에 상관없이 하나의 공통 송수신 회로를 구비하기 때문에, 회로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is not provided for each path according to the antenna combination, but one common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is provid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antennas, the effect of implementing efficiently at low cost without increasing the complexity of the circuit is achieved. Hav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복수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면서 실제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송/수신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올바른 송/수신 경로가 설정될 때까지 송신을 지연시켜 중계할 신호의 소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이에 따라, 음성 통신만을 수행하는 아날로그 무전기뿐만 아니라 문자 통신이나 데이터 통신도 함께 수행하는 디지털 무전기에도 적용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converting a plurality of analog signal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antennas into digital signals, by determining the antenna receiving the actual radio signal while delaying for a preset delay time, and setting the transmission/reception path accordingly ,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loss of a signal to be relayed by delaying transmission until a correct transmission/reception path is established for a plurality of antennas. And, accordingly, it ha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digital radios that perform text communic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analog radios that perform only voice commun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전환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SNR의 변화에 따른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탐지하는 방식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8은 협대역 필터 수 변화에 따른 ROC 곡선(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에서 신호 처리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에서 디지털 무전기의 버스트 신호 처리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ntenna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ROC curv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ccording to a change in SNR.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etecting a signal using a plurality of narrowband filters.
8 shows an ROC curv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number of narrowband filters.
9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of a channel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shows a signal processing method in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shows a burst signal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radio in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For reference,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일반적인 무전기의 채널 당 대역폭은 5kHz, 6.5KHz, 12.5kHz 정도이며, 이러한 채널들은 10MHz ~ 70MHz(또는 그 이상)의 대역폭에 상기 채널 당 대역폭 간격으로 설정되어 있다. 예컨대, 국내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안전기준에 따르면, 반이중 무선 통신용으로 440MHz ~ 45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10MHz의 주파수 대역폭에 대해 채널 당 대역폭 12.5kHz가 할당되어, 총 800개의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The bandwidth per channel of a typical radio is about 5 kHz, 6.5 kHz, and 12.5 kHz, and these channels are set at a bandwidth of 10 MHz to 70 MHz (or more) at a bandwidth interval per channel.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afety standards of domestic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equipment, a frequency of 440 MHz to 450 MHz is used for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bandwidth of 12.5 kHz per channel is allocated for a frequency bandwidth of 10 MHz, so that a total of 800 channels can be used.

이러한 반이중 무선 통신용 채널은 업무와 용도에 따라 채널(주파수)별로 사용 주체(예, 관공서, 기업체, 병원)가 대체적으로 정해지게 되며, 관공서, 기업체, 병원 등의 현장에서는 사용승인된 채널(주파수)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채널(주파수)을 선택하여 반이중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각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무전기는 주로 5 ~ 30개 정도의 한정된 채널(주파수)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되며, 그 결과 이들 무전기를 중계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도 원칙적으로는 실제 현장에서 사용하는 몇 개의 채널(주파수)만 중계할 수 있도록 구현되면 된다.For these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s, the subject of use (e.g., government offices, companies, hospitals) is generally determined for each channel (frequency) according to business and use, and channels (frequency) approved for use at sites such as government offices, companies, and hospitals.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is performed by selecting one or more channels (frequency) from among them. Accordingly, radios that are actually used in each site are mainly manufactured so that only 5 to 30 limited channels (frequency) can be used, and as a result, half-duplex radio relay devices that relay these radios are in principle used in actual sites. It only needs to be implemented so that only a few channels (frequency) can be relayed.

하지만, 사용 채널이 지정되어 있는 특정 현장이 아닌 다양한 현장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가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즉, 사용 채널이 다른 무전기)의 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종래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반이중 무선 통신용 주파수 대역 전체 혹은 다양한 용도의 무전기가 지원하는 대역 전체(예컨대, 420MHz ~ 460MHz의 40MHz 대역)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리고, 비록 중계할 채널(주파수)을 포함하는 일부 주파수 대역(예컨대, 440MHz ~ 450MHz의 10MHz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더라도 여기에는 중계할 채널(주파수)들 사이에 및/또는 인접하여 사용하지 않는 채널(주파수)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 결과, 종래기술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최적의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없었으며 또한 아날로그 대역통과필터의 한계로 인하여 높은 정밀도를 구현하기도 어려웠다.However, in order to be applied and used in a variety of sites other than a specific site in which a channel to be used is designated, a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must be able to relay signals from radios for various purposes (ie, radios with different channels). Therefore, most half-duplex wireless repeaters including the prior art are implemented in a manner that passes the entire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frequency band or the entire band supported by the radio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a 40MHz band of 420MHz to 460MHz). And, even though it is implemented by passing only some frequency bands (e.g., 10 MHz bands of 440 MHz to 450 MHz) including the channel to be relayed (frequency), it is not used between and/or adjacent to the channels to be relayed (frequency). Channels (frequency) were also included. As a result,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uld not lead to optimal performance, and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high precis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nalog bandpass filter.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국에서 제2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1 경로와 제2 이동국에서 제1 이동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경로에 대해 각각 동기 신호 검출부, 신호 처리부(송수신 회로부) 등을 구비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회로를 제1 경로와 제2 경로에 중복적으로 구현하여 복잡도가 높고 경제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는 단지 2개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음영 지역이 여러 곳인 경우(예컨대, 3개 이상의 안테나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여러 개의 무선 중계 장치(메인 도너와 하나 이상의 서브 도너)를 상호 연동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었다. 그 결과, 종래기술은 음영 지역이 여러 곳인 경우 설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for a first path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a first mobile station to a second mobile station and a second path for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second mobile station to the first mobile station. Each includes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on unit, a signal processing unit (transmission/reception circuit unit),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same circuit is implemented redundantly in the first path and the second path, resulting in high complexity and low economic efficiency. And, since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only two antennas, when there are several shaded areas (for example, when three or more antennas are required), several wireless repeaters (main donor and one The above sub-donors) are interlocked. As a result, in the prior art, when there are several shaded areas, installation is difficult and costs are high.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7.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First,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는 안테나 전환부(110), 수신 회로부(120), AD 변환부(130), 신호 탐지부(140), 제어부(150), 신호 지연부(170), DA 변환부(180), 송신 회로부(19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110, a receiving circuit unit 120, an AD conversion unit 130, a signal detection unit 140, And a control unit 150, a signal delay unit 170, a DA conversion unit 180, a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and the like.

안테나 전환부(110)는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와 연결되며, 복수개의 안테나 중 임의의 안테나를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필터링, 증폭 등의 과정을 거쳐 송신 회로부(1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 중 나머지 안테나로 전달한다. 예컨대, 안테나 전환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switch) 등으로 구성되어, 제1 안테나(101)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송신 회로부(1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2 안테나(102)로 전달하며, 제2 안테나(102)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수신 회로부(120)로 전달하고 송신 회로부(19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1 안테나(101)로 전달한다. 참고로, 도 1에서는 2개의 안테나(101, 102)를 구비하는 형태를 예시하였지만, 3개 이상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형태도 물론 가능하다.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antennas 101 and 102,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among a plurality of antennas, it transmits the signal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and undergoes filtering, amplification, etc.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is transmitted to the remaining antennas among the plurality of antennas. For example,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is composed of a switch or the like as shown in FIG. 2,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101,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and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90 The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ntenna 102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ntenna 102, and when a signal is received from the second antenna 102, 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tting circuit unit 19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ntenna 101. ). For reference, although a form having two antennas 101 and 102 is illustrated in FIG. 1, a form having three or more antennas is of course possible.

수신 회로부(120)는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대해 AD(Analog to Digital) 변환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한 다음 그 결과를 합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수신 회로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122', 122"), 대역통과필터(BPF; Band Pass Filter)(124', 124"), 가변이득증폭기(VGA; Variable Gain Amplifier)(126', 126") 등으로 구성되어,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대해 반이중 무선 통신용 주파수 대역(예컨대, 420MHz ~ 460MHz의 40MHz 대역)만을 또는 그 일부 대역(예컨대, 440MHz ~ 450MHz의 10MHz 대역)만을 통과(필터링)시켜 AD 변환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하고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시킨다. 또한, 수신 회로부(120)는 필요에 따라서는 필터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또는 기저대역(baseband)으로 천이한 후 AD 변환에 적절한 크기로 증폭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수신 회로부(120)의 경우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제1 안테나(101)를 통해 수신된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아 제1 저잡음 증폭기(122') 및 제1 대역통과필터(124')를 거친 후 제1 가변이득증폭기(126')에서 제1 증폭도로 증폭시키고, 마찬가지로 안테나 전환부(110)로부터 제2 안테나(102)를 통해 수신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아 제2 저잡음 증폭기(122") 및 제2 대역통과필터(124")를 거친 후 제2 가변이득증폭기(126")에서 제2 증폭도로 증폭시킨 후, 이들 신호를 합하여 하나의 경로로 출력한다. 이 경우, 가변이득증폭기(126', 126")의 증폭도는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신 회로부(120)로 입력된 복수개의 아날로그 신호는 서로 다른 증폭도로 증폭될 수 있다.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removes components unnecessary for AD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conversion unit 110, amplifies the signal to an appropriate size for AD conversion, and then sums and outputs the result. For example,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may include a low noise amplifier (LNA) 122', 122', a band pass filter (BPF) 124', 124'), as shown in FIG. It is composed of a variable gain amplifier (VGA; Variable Gain Amplifier) 126', 126", etc., and a frequency band for half-duplex wireless communication for analog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for example, a 40MHz band of 420MHz to 460MHz) ) Or a partial band (eg, a 10MHz band of 440MHz to 450MHz) is passed (filtered) to remove unnecessary components for AD conversion and amplify it to a size suitable for AD conversion. Transitions the filtered analog signal to an intermediate frequency (IF) or a baseband, and amplifies it to a size suitable for AD conversion.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shown in FIG. 3, antenna conversion After receiving the first analog signal received from the unit 110 through the first antenna 101, passing through the first low noise amplifier 122' and the first bandpass filter 124', the first variable gain amplifier 126 ') is amplified by the first amplification level, and similarly, a second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102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is received, and a second low noise amplifier 122" and a second bandpass filter ( 124"), the second variable gain amplifier 126" is amplified with a second amplification level, and these signals are summed and output through one path.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degrees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s 126 ′ and 126 ″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analog signals input to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may be amplified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degrees. .

AD 변환부(130)는 수신 회로부(12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AD 변환부(130)는 표본화기(sampler), 양자화기(quantizer) 등으로 구성되어, 수신 회로부(120)로부터 전송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위상과 진폭을 그대로 유지한 채 표본화(sampling)하고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디지털 신호를 생성한다.The AD conversion unit 130 converts an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into a digital signal. For example, the AD converter 130 is composed of a sampler, a quantizer, etc., and samples the analo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while maintaining the phase and amplitude as it is. It quantizes to generate a digital signal.

신호 탐지부(140)는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140)의 구체적 기능 및 특징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 설명하기로 한다.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ignal (radio signal) to be relayed from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130, and transmits the result (signal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50. Specific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어부(150)는 신호 탐지부(140)에서 전송된 신호탐지결과에 기초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만약 무전기 신호가 있는 경우 현재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그 외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제어부(150)는 대기 상태에서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해 동일한 증폭도를 갖도록 수신 회로부(120)(구체적으로는 가변이득증폭기, 도 3 참조)를 제어하고 있다가, 신호 탐지부(140)의 신호탐지결과로부터 무전기 신호 탐지가 확인되면, 복수개의 안테나(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각각의 신호에 대해 증폭도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수신 회로부(120)를 제어하여 신호 탐지부(140)에서 산출되는 크기 변화를 확인하는 방식 등으로 실제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는 있는 안테나를 구분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현재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고 있는 안테나에 대해서는 수신 회로부(120)와의 연결을 계속 유지시키고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서는 송신 회로부(190)와 연결되도록 안테나 전환부(110)를 제어한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수신 회로부(130)의 경우 제1 및 제2 안테나(101, 10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각각에 대해 제1 및 제2 가변이득증폭기(126', 126")를 사용하여 제1 및 제2 증폭도를 조절하는 구조인데, 하나의 안테나 예컨대, 제1 안테나(101)에 대해서는 가변이득증폭기를 사용하지 않고(이 경우 증폭도는 1에 해당됨) 나머지 안테나 예컨대, 제2 안테나(102)에 대해서만 가변이득증폭기를 사용하여도 실제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는 안테나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가변이득증폭기는 가변감쇠기 등 회로의 증폭도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면 무방하다.The control unit 15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adio signal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and if there is a radio signal, the controller 150 sets a reception path for the antenna currently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is controlled to set a transmission path for the other antenna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specifically, a variable gain amplifier, see Fig. 3) to have the same degree of amplification for each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101 and 102 in the standby state. Then, when the radio signal is detected from the signal detection result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is controlled to sequentially change the amplification degree for each signal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101 and 102. Thus, the antenna in which the actual radio signal is received is identified by a method of checking the size change calculated by the signal detector 140. Further,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so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is maintained for the antenna currently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is connected to the remaining antennas. For reference, in the case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30 shown in FIG. 3, first and second variable gain amplifiers 126' and 126' are used for each of the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101 and 102. Thus, the first and second amplification degrees are adjusted. One antenna, for example, the first antenna 101, does not use a variable gain amplifier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degree corresponds to 1) and the remaining antennas, for example, the second antenna ( If a variable gain amplifier is used only for 102), the antenna from which the actual radio signal is received can be identified, and the variable gain amplifier may be any means such as a variable attenuator that can adjust the amplification of the circuit.

한편, 신호 지연부(170)는 AD 변환부(130)와 DA 변환부(180) 사이에 구비되어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킨 후 DA 변환부(180)로 전송한다. 예컨대, 신호 지연부(170)는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AD 변환부(13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디지털 데이터)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임시 저장하였다가 DA 변환부(180)로 전달한다. 이 경우, 신호 지연부(170)에서의 지연시간은 AD 변환부(130)로 신호가 입력된 후 무전기 신호 탐지에 의해 제어부(150)가 안테나 전환부(110)의 상태를 제어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호 지연부(170)는 수신되는 안테나를 구분하기 위하여 제어부(150)가 수신 회로부(120)를 통하여 의도적으로 변경한 증폭도를 역으로 보상하는 스케일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delay unit 170 is provided between the AD conversion unit 130 and the DA conversion unit 180 to delay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130 for a preset delay time, and then the DA conversion unit ( 180). For example, the signal delay unit 170 is composed of a memory or the like and temporarily stores a digital signal (digital data) transmitted from the AD conversion unit 130 for a preset delay time, and then transfers it to the DA conversion unit 180. In this case, the delay time in the signal delay unit 170 is required until the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state of the antenna switching unit 110 by radio signal detection after the signal is input to the AD conversion unit 130. It is preferable to set the time to be. In addition, the signal delay unit 170 may have a scaling function of inversely compensating an amplification degree intentionally changed by the control unit 150 through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in order to distinguish a received antenna.

DA 변환부(180)는 채널 선택부(16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예컨대, DA 변환부(180)는 저항기(resistor), 연산 증폭기(operational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 신호 지연부(16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한다.The DA conversion unit 180 converts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channel selection unit 160 into an analog signal. For example, the DA conversion unit 180 is composed of a resistor, an operational amplifier, and the like, and generates an analog signal corresponding to a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unit 160.

송신 회로부(190)는 DA 변환부(18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후 전력을 증폭하여 안테나 전환부(190)로 전달한다. 예컨대, 송신 회로부(190)는 대역통과필터,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등으로 구성되어, DA 변환부(18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후 안테나가 송신할 수 있는 전력으로 증폭한 다음 안테나 전환부(190)로 전달한다. 또한, 송신 회로부(190)는, 만약 수신 회로부(120)에서 주파수를 천이하였거나 DA 변환기(180)의 출력 주파수가 송신할 주파수와 다르면, 실제 송신할 주파수로 주파수를 천이한다.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amplifies power after removing unnecessary components from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A conversion unit 180 and transmits the amplified power to the antenna conversion unit 190.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is composed of a band-pass filter, a power amplifier, etc., and amplifies it into power that can be transmitted by the antenna after removing unnecessary components from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DA conversion unit 180 Then, it is transmitted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190.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190, if the frequency is shifted in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or the output frequency of the DA converter 180 is different from the frequency to be transmitted, the frequency is shifted to the actual transmission frequency.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Hereinafter, a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구성도이다. 신호 탐지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4의 신호 탐지부(140')는 크기 산출기(magnitude calculator)(144'), 비교기(comparator)(146') 등으로 구성되어 입력신호 샘플의 크기를 임계치와 비교하고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신호를 탐지하였다고 판정하는 신호 탐지부를 예시한 것이다.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detection un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 of FIG. 4 includes a magnitude calculator 144 ′, a comparator 146 ′, etc. This is an example of a signal detector that compares the magnitude with a threshold and determines that a signal has been detected when it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크기 산출기(144')는 AD 변환부(1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산출한다. 그리고, 비교기(146')는 크기 산출기(144')에서 산출된 신호크기를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여 신호탐지결과(예컨대, 무전기 신호가 탐지된 경우 H(1),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지 않은 경우 L(0))를 제어부(150)로 전송한다.The size calculator 144 ′ calculates the size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130. In addition, the comparator 146' compares the signal level calculated by the size calculator 144' with a preset threshold, and the result of signal detection (e.g., H(1) when a radio signal is detected, and the radio signal is not detected). In case L(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150.

이를 상술하면, 신호 탐지부(140')의 입력신호를 x(mT)로 나타내면, x(mT)는 하기 수식 1과 같이 반송파(혹은 수신 회로부에서 주파수 천이를 한 경우는 중간 주파수) ωC로 복조된 신호성분 s(mT)와 잡음성분 n(mT)의 합이 된다.In detail, when the input signal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is expressed as x(mT), x(mT) is a carrier wave (or an intermediate frequency in the case of a frequency shift in the receiving circuit unit) ω C as shown in Equation 1 below. It becomes the sum of the demodulated signal component s(mT) and the noise component n(mT).

[수식 1][Equation 1]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1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1

x(mT)는 반송파 혹은 중간 주파수로 변조된 실수이므로, 하기 수식 2와 같이, 복소복조(Complex Demodulation)하여 기저대역에서 실수부 zr(mT)와 허수부 zi (mT)로 구성된 복소수로 zc(mT)로 나타낼 수 있다.Since x(mT) is a real number modulated with a carrier wave or an intermediate frequency, complex demodulation is perform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to form a complex number consisting of a real part z r (mT) and an imaginary part z i (mT) in the baseband. It can be represented by z c (mT).

[수식 2][Equation 2]

zc(mT) = zr(mT) + jzi (mT) = sr(mT) + nr(mT) + j{si(mT) + ni(mT)}z c (mT) = z r (mT) + jz i (mT) = s r (mT) + n r (mT) + j{s i (mT) + n i (mT)}

여기서, sr(mT), si(mT), nr(mT), ni(mT)는 각각 복소수 zc(mT) 중 신호성분의 실수부, 신호성분의 허수부, 잡음성분의 실수부, 잡음성분의 허수부를 나타낸다.Here, s r (mT), s i (mT), n r (mT), and n i (mT) are the real part of the signal component, the imaginary part of the signal component, and the real part of the noise component of the complex number z c (mT), respectively. It represents the negative and the imaginary part of the noise component.

한편, 신호전력 PS와 잡음전력 PN은 각각 하기 수식 3 및 4와 같이 표현된다.Meanwhile, the signal power P S and the noise power P N are represented by Equations 3 and 4 below, respectively.

[수식 3][Equation 3]

PS = sr 2(mT) + si 2(mT)P S = s r 2 (mT) + s i 2 (mT)

[수식 4][Equation 4]

PN = E{nr 2(mT) + ni 2(mT)}P N = E{n r 2 (mT) + n i 2 (mT)}

여기서, E{ }는 기대값(expectation)을 의미한다. 상기 열잡음의 실수부와 허수부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호 독립이며 PN을 분산으로 하고 평균이 0인 복소가우시안(Complex Gaussian) 분포를 가지는 확률변수(random variable)이다.Here, E{} means an expectation value. As is well known, the real and imaginary parts of the thermal noise are mutually independent, and are random variables having a complex Gaussian distribution with a variance of P N and a mean of 0.

크기 산출기(144')는 신호 탐지부(140')로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 Λ를 산출하는데, 이는 하기 수식 5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The size calculator 144 ′ calculates the size Λ of the signal input to the signal detector 140 ′, which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5 below.

[수식 5][Equation 5]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2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2

여기서, 열잡음 전력 PN은 실측치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채널 선택부(160)의 대역폭, 수신 회로부(120)의 NF(Noise Figure), 수신 회로부(120)의 입력으로부터 AD 변환부(130)까지의 증폭도와 AD 변환부(130)의 변환계수를 이용하여 산출할 수도 있다.Here, the thermal noise power P N may be used as a measured value, but the bandwidth of the channel selection unit 160, the noise figure (NF)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and the input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to the AD conversion unit 130 It can also be calculated using the amplification degree and the conversion factor of the AD conversion unit 130.

비교기(146')는 크기 산출기(144')에서 산출된 입력신호의 크기 Λ를 기 설정된 오탐지확율(Probability of False Alarm) PFA와 탐지확율(Probability of Detection) PD에 따라 결정되는 임계치 (threshold) η와 비교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정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The comparator 146' is a threshold valu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reset probability of false alarm P FA and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P D of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calculated by the magnitude calculator 144'. It compares with (threshold) η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adio signal, and transmits the result (signal detection result) to the control unit 150.

구체적으로, H1을 신호가 있음으로 판정하는 가설이고 H0을 신호가 없다고 판정하는 가설이며 임계치(Threshold)를 η라고 할 때, 가설시험 (Hypothesis Test)은 하기 수식 6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H 1 is a hypothesis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a signal, H 0 is a hypothesis tha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signal, and the threshold is η, the hypothesis test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below. .

[수식 6][Equation 6]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3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3

여기서, 시험통계(test statistics) Λ는 라이스분포 (Rician Distribution)를 가지는 확률변수이다. 그리고, Λ의 누적분포함수 CDF(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는 하기 수식 7과 같다.Here, test statistics Λ is a random variable having a Rician distribution. And, the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of Λ is given in Equation 7 below.

[수식 7][Equation 7]

CDFΛ = 1-Q1(ν,Λ)CDF Λ = 1-Q 1 (ν,Λ)

여기서, ν = (PS/PN)1/2 = SNR1/2 이고, Q1(ν,Λ)는 Marcum-Q 함수이다.Here, ν = (P S /P N ) 1/2 = SNR 1/2 , and Q 1 (ν,Λ) is a Marcum-Q function.

그리고, 오탐지확률(Probability of False Alarm) PFA 은 ν = 0 일 때 Λ의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즉 1-CDFΛ로부터 구할 수 있으며, 탐지확률(Probability of Detection) PD 은 ν = SNR1/2 일 때 Λ의 CCDF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회로부(120) 각 입력에 대한 가변이득증폭기 출력의 SNR에 따른 탐지확률 PD와 오탐지확률 PFA를 ROC 곡선으로 나타내면 도5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SNR이 0dB, 6dB, 12dB, 18dB, 24dB로 증가함에 따라 탐지성능이 향상되어 감을 알 수 있다.And, Probability of False Alarm P FA Is obtained from the 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CDF) of Λ , i.e. 1-CDF Λ when ν = 0, and the probability of detection P D is by using the CCDF of Λ when ν = SNR 1/2 You can get it. Accordingly, the detection probability P D and the false detection probability P FA according to the SNR of the output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for each input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are shown as ROC curves as shown in FIG. 5. Referring to FIG. 5, it can be seen that det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s SNR increases to 0dB, 6dB, 12dB, 18dB, and 24dB.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탐지부의 다른 실시예로,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한 신호 탐지부(140")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신호 탐지부(140")가 다수의 협대역 필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탐지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 signal detection unit 140" using a plurality of narrow-band filters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shows a plurality of signal detection units 140". It shows a method of detecting a signal using a narrowband filter.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탐지부(140")는 복수개(N개)의 협대역 필터(142"-1 ~ 142"-N), 복수개의 크기 산출기(144"-1 ~ 144"-N), 복수개의 비교기(146"-1 ~ 246"-N), 판정기(148") 등을 포함한다.6 and 7,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includes a plurality of (N) narrowband filters 142"-1 to 142"-N, and a plurality of size calculators 144"-1 to 144. "-N), a plurality of comparators 146"-1 to 246"-N, a determiner 148", and the like.

수신 회로부(120)의 대역폭 BR이 예컨대 40MHz이고, 현장에서 사용하는 채널 즉, 중계할 채널들이 예컨대 10MHz (BS = BS1 + BS2)의 대역폭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도 7a 참조), 신호 탐지부(140")는 이를 N개의 협대역 필터(142"-1 ~ 142"-N)로 분할하여 필터링한다(도 7b 참조). 협대역 필터(142"-1 ~ 142"-N)는 통과 대역폭이 입력신호의 대역폭에 비해 좁은 필터로서, 그 대역폭이 무전기의 채널 주파수 간격의 정수배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bandwidth B R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is, for example, 40 MHz, and channels used in the field, that is, channels to be relayed, are distributed in a bandwidth of, for example, 10 MHz (B S = B S1 + B S2 ) (see FIG. 7A),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divides this into N narrowband filters 142"-1 to 142"-N and filters them (see Fig. 7B). Narrowband filters 142"-1 to 142"-N) Is a filter whose pass bandwidth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input signal, and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n integer multiple of the channel frequency interval of the radio,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각의 협대역 필터(142"-1 ~ 142"-N)를 거친 N개의 출력은 각각 크기 산출기(144"-1 ~ 144"-N)로 입력되어 그 크기가 산출되며, 각각의 크기 산출기(144"-1 ~ 144"-N)의 출력은 각각 비교기(146"-1 ~ 146"-N)로 입력되어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된다. 그리고, 각각의 비교기(146"-1 ~ 146"-N)의 결과(탐지결과)는 판정기(148")로 입력되고, 판정기(148")는 N개의 비교기(146"-1 ~ 146"-N)의 탐지결과 중 어느 하나라도 신호가 있다고 판정되면 신호가 탐지된 것으로 판정한다(도 7e 참조).N outputs that pass through each narrow-band filter (142"-1 to 142"-N) are input to each size calculator (144"-1 to 144"-N) to calculate their size, and calculate each size The outputs of the groups 144"-1 to 144"-N are input to the comparators 146"-1 to 146"-N, respectively, and are compared with a preset threshold. And, the result (detection result) of each comparator 146"-1 to 146"-N is input to the determiner 148", and the determiner 148" includes N comparators 146"-1 to 146 If it is determined that any one of the detection results of "-N) has a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signal is detected (see Fig. 7E).

중계 대역폭 이내 하나의 채널에 신호가 입력되고 그 신호전력이 수신 회로부(120)의 각 가변이득증폭기(126', 126"), 즉 수신 회로부 제1 입력을 증폭하는 가변이득증폭기(126')와 수신 회로부 제2 입력을 증폭하는 가변이득증폭기(126")의 출력에서 0dB의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를 가지는 경우, 수신 회로부(120)의 출력은 두 가변이득증폭기(126', 126") 출력의 합이므로 열잡음 전력이 두 배가 되어 신호 대 잡음비는 -3dB 즉, 1/2이 된다(도 7c, 도 7d 및 도 7e 참조). 그러나, 신호 탐지부(140")에서는 중계할 대역폭에 대해서만 N개의 협대역 필터(142"-1 ~ 142"-N)를 사용하므로 신호를 탐지할 전체 대역폭이 수신 회로부 대역폭 40MHz에서 10MHz로 1/4로 줄어들고 다시 N개의 협대역 필터로 1/N로 줄어들기 때문에 각 협대역 필터(142"-1 ~ 142"-N) 출력신호의 SNR은 수신 회로부(120) 출력에 비해 N배 더 증가하여 ν = [1/{2×(40/10)×N)}]1/2 = (2×N)1/2 이 된다.A signal is input to one channel within the relay bandwidth, and the signal power is applied to each variable gain amplifier 126', 126"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that is, a variable gain amplifier 126' that amplifies the first input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When the output of the variable gain amplifier 126" that amplifies the second input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has a signal-to-noise ratio (SNR) of 0 dB, the output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120 is two variable gain amplifiers ( 126', 126") Since the sum of the outputs, the thermal noise power is doubled and the signal-to-noise ratio becomes -3dB, that is, 1/2 (see Figs. 7C, 7D and 7E). However,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N narrowband filters (142"-1 to 142"-N) are used only for the bandwidth to be relayed, so the total bandwidth to detect a signal is reduced to 1/4 from 40MHz to 10MHz in the reception circuit part, and again N narrowband filters Since it is reduced to 1/N, the SNR of the output signal of each narrow-band filter (142"-1 to 142"-N) increases N times more than the output of the reception circuit unit 120, and ν = [1/{2×( 40/10)×N)}] 1/2 = (2×N) 1/2 .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면 하나의 협대역 필터를 통과하게 되므로, 상기 수식 7에 ν = (2×N)1/2 를 대입하고 CCDFΛ 즉, 1-CDFΛ로부터 신호의 탐지확률 PD을 구하면 하기 수식 16과 같다.When a radio signal is received, it passes through one narrow-band filter, so if ν = (2×N) 1/2 is substituted in Equation 7 above and the detection probability P D of the signal is calculated from CCDF Λ, that is, 1-CDF Λ , Same as Equation 16.

[수식 8][Equation 8]

PD = 1- CDFΛ = 1-Q1((2×N)1/2,Λ)P D = 1- CDF Λ = 1-Q 1 ((2×N) 1/2 ,Λ)

한편, 신호가 없을 때 N개의 협대역 필터 모두에서 신호가 없다고 판정하는 경우가 아니면 오탐지가 되며, N개의 각 협대역 필터는 서로 다른 신호 대역만을 통과시키므로 상호 독립이고 신호가 없어서 ν가 0 이므로, 상기 수식 7에 ν = 0을 대입하고 그 값을 N번 곱하여 신호가 없을 때 N개의 협대역 필터 모두에서 신호가 없다고 판정할 확률을 구한 후, 전체확률 1에서 그 값을 감하여 신호가 없을 때 신호가 있다고 판정하는 오탐지확률 PFA를 구하면 하기 수식 9와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there is no signal, it is falsely detected unless all of the N narrow-band filters determine that there is no signal, and each of the N narrow-band filters passes only different signal bands, so they are mutually independent and since there is no signal, ν is 0. , Substituting ν = 0 in Equation 7 above and multiplying the value N times to find the probability of determining that there is no signal in all N narrowband filters when there is no signal, and then subtracting the value from the total probability 1 when there is no signal The false detection probability P FA for determining that there is a signal is as shown in Equation 9 below.

[수식 9][Equation 9]

PFA = 1- CDFΛ N = 1- {1- Q1(0,Λ)}N P FA = 1- CDF Λ N = 1- {1- Q 1 (0,Λ)} N

이에 따라, N이 1, 2, 4, 8, 16, 32 일 때 탐지확률 PD와 오탐지확률 PFA를 ROC 곡선으로 나타내면 도 8과 같다. 도 8을 참조하면, N = 2, 4, 8, 16, 32 와 같이 신호 탐지부(140")에 사용된 협대역 필터의 수가 늘어날수록 각 필터의 대역폭이 좁아짐에 따라 탐지성능이 크게 향상되어 감을 알 수 있다.Accordingly, when N is 1, 2, 4, 8, 16, 32, the detection probability P D and the false detection probability P FA are shown in ROC curves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8, as the number of narrowband filters used in the signal detection unit 140" increases, such as N = 2, 4, 8, 16, 32, as the bandwidth of each filter decreases, the detection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I can understand the feeling.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200)는 안테나 전환부(210), 수신 회로부(220), AD 변환부(230), 신호 탐지부(240), 제어부(250), 채널 선택부(260), 신호 지연부(270), DA 변환부(280), 송신 회로부(290) 등을 포함한다.9,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210, a receiving circuit unit 220, an AD conversion unit 230, a signal detection unit 240, A control unit 250, a channel selection unit 260, a signal delay unit 270, a DA conversion unit 280, a transmission circuit unit 290, and the like are included.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와 비교하여 채널 선택부가 추가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a difference in that a channel selector is added compared to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substantially Is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second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tents may be referred to the first embodiment.

채널 선택부(260)는 AD 변환부(2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한다.The channel selector 260 filters at least one pre-selected channel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ter 230.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선택부(260)는 디지털 필터(262), 스케일러(264) 등을 포함한다.In this regard,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nnel sel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the channel selector 2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gital filter 262 and a scaler 264.

디지털 필터(262)는 AD 변환부(2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채널 주파수(예컨대, 현장에서 실제 사용되는 채널 주파수)만을 선택하여 필터링한다. 그리고, 스케일러(264)는 디지털 필터(262)에서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한다.The digital filter 262 selects and filters only a pre-selected channel frequency (eg, a channel frequency actually used in the field) fo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230. In addition, the scaler 264 up-scales the digital signal filtered by the digital filter 262 to a preset level.

이를 상술하면, 수신 회로부(220)로부터 채널 주파수가 다른 r1(t), r2(t) 두 개의 신호가 동위상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할 경우, AD 변환부(230)에서 T의 시간주기로 표본화(sampling)되고 AD 변환된 신호의 최대 크기 |x0(mT)|max는, AD 변환기가 선형 특성을 가지므로, 하기 수식 10과 같이 r1(t)의 AD 변환기 출력성분 |r1(mT)|max와 r2(t)의 AD 변환기 출력성분 |r2(mT)|max의 합이 된다.In detail, when it is assumed that two signals of r 1 (t) and r 2 (t) having different channel frequencies are input from the receiving circuit unit 220 in phase, the AD conversion unit 230 samples them with a time period of T. The maximum size of the (sampling) and AD-converted signal |x 0 (mT)|max is the AD converter output component |r 1 (mT) of r 1 (t) as shown in Equation 10 below, since the AD converter has linear characteristics. )|max and the output component of the AD converter of r 2 (t) |r 2 (mT)|max.

[수식 10][Equation 10]

|x0(mT)|max = |r1(mT)|max + |r2(mT)|max|x 0 (mT)|max = |r 1 (mT)|max + |r 2 (mT)|max

그 중 채널 선택부(260)가 r1(t) 성분만 중계하고자 할 경우, 디지털 필터(262)는 r1(mT) 성분을 주로 통과시키고 r2(mT) 성분은 억제한다. 디지털 필터(262)는 통과대역 신호의 증폭도와 통과대역 외의 신호에 대한 억압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r2(mT)를 억제하여 그 최대 크기가 Δ(Δ << |r2(mT)|max)가 되도록 하면, 디지털 필터(262)의 출력 x1(mT)는 하기 수식 11과 같이 된다.If that of the channel selection section 260 to only relay r 1 (t) component, the digital filter 262 is passed through a 1 r (mT) and mainly components r 2 (mT) component is suppressed. The digital filter 262 can adjust the amplification of the passband signal and the suppression of the signal other than the passband. By suppressing r 2 (mT), the maximum size is Δ(Δ << |r 2 (mT)|max ), the output x 1 (mT) of the digital filter 262 becomes as in Equation 11 below.

[수식 11][Equation 11]

|x1(mT)|max = |r1(mT)|max + Δ < |x0(mT)|max|x 1 (mT)|max = |r 1 (mT)|max + Δ <|x 0 (mT)|max

그 결과, 디지털 필터(262)의 출력신호의 최대 크기는 그 입력신호보다 작은 크기를 갖게 된다. 예를 들어, r1(t)의 최대 진폭이 0.5Vp(Vp는 첨두치)이고 r2(t)의 최대 진폭이 0.5Vp이며, 16bit AD 변환기의 최대입력 범위가 -1.0V ~ 1.0V이고 변환계수(즉, 1.0V의 입력을 AD 변환할 때 변환 결과 수치)가 215-1이며, 16bit DA 변환기의 입력범위가 -215 ~ 215-1이고 그에 따른 출력범위가 -1.0V ~ 1.0V이며 r2(mT)에 대한 억압도가 40dB(0.01배)인 경우, 디지털 필터(262)의 입력과 출력의 최대값은 각각 하기 수식 12 및 13과 같이 된다. 참고로, 하기 수식 10 및 11에서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4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5
는 k를 넘지 않는 최대 정수를 의미한다.As a result, the maximum siz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digital filter 262 is smaller than that of the input signal. For example, the maximum amplitude of r 1 (t) is 0.5 Vp (Vp is the peak value), the maximum amplitude of r 2 (t) is 0.5 Vp, and the maximum input range of the 16-bit AD converter is -1.0 V to 1.0 V. The conversion factor (that is, the conversion result value when converting 1.0V input to AD) is 2 15 -1, the input range of the 16bit DA converter is -2 15 ~ 2 15 -1, and the output range accordingly is -1.0V ~ When the suppression degree for r 2 (mT) is 1.0 V and 40 dB (0.01 times), the maximum values of the input and output of the digital filter 262 are as shown in Equations 12 and 13 below, respectively. For reference, in Equations 10 and 11 below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4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5
Means the maximum integer not exceeding k.

[수식 12][Equation 12]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6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6

[수식 13][Equation 13]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7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7

그리고, 스케일러(264)는 디지털 필터(262)의 출력을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한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범위가 -215 ~ 215-1인 16bit DA 변환기의 경우, 스케일러(164)는 |x1(mT)|max (=16547)를 |x0(mT)|max (=215-1) 레벨로 1.9802배 업스케일링하여, DA 변환부(180)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의 동적영역을 확대시킨다.Further, the scaler 264 up-scales the output of the digital filter 262 to a preset leve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16-bit DA converter with an input range of -2 15 to 2 15 -1 as described above, the scaler 164 converts |x 1 (mT)|max (=16547) to |x 0 (mT)|max The dynamic range of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to the DA conversion unit 180 is expanded by upscaling 1.9802 times to the (=2 15 -1) level.

그러므로, 채널 선택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DA 변환기의 동적영역 한계 때문에 r1(t) 성분을 0.5Vp 밖에 출력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은 채널 선택부(160)를 사용함으로써 중계할 신호의 출력을 1.9802배 업스케일링 하여 r1(t) 성분을 0.9901V (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8
)까지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적영역이 확대되는 이점은 DA 변환부(280)의 출력을 처리하는 송신 회로부(290)로부터 무전기의 수신부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쳐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채널 선택부(260)를 거친 신호는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to-Noise Ratio)도 향상되어 신호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 9에서 신호 탐지부(240)가 AD 변환부(230)의 출력신호 대신에 채널 선택부(26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으면 신호 탐지부(250)의 탐지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channel selection is not performed, the r 1 (t) component can be output only 0.5 Vp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dynamic range of the DA convert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of the signal to be relayed by using the channel selection unit 160 is 1.9802. By upscaling the r 1 (t) component to 0.9901V (
Figure 112018112900477-pat00008
) Can be printed. The advantage of expanding the dynamic range affects from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290 processing the output of the DA conversion unit 280 to the reception unit of the radio,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In addition,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channel selection unit 260 can also improve the signal-to-noise ratio (SNR) to improve the signal quality. Accordingly, the signal detection unit 240 in FIG. When the output signal of the channel selection unit 260 is input instead of the output signal of 230,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250 may be impr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안테나 전환부(310), 제1 및 제2 수신 회로부(320', 320"), 제1 및 제2 AD 변환부(330', 330"), 신호 선택부(340a), 신호 탐지부(340), 제어부(350), 신호 지연부(370), DA 변환부(380), 송신 회로부(39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a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310, first and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s 320', 320', and first and second receivers. AD conversion unit 330', 330", signal selection unit 340a, signal detection unit 340, control unit 350, signal delay unit 370, DA conversion unit 380, transmission circuit unit 390, etc. Includes.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와 비교하여 수신 회로부와 AD 변환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신호 선택부가 추가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3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eption circuit units and AD conversion units compared to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nd a signal selector is added according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third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tents may be referred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수신 회로부(320', 320")와 AD 변환부(330', 330")를 복수개 구비하여 안테나 전환부(310)에서 전달되는 신호들을 복수개의 경로로 처리하며, 바람직하게는 안테나(301, 302)의 수에 상응하여 경로 별로 처리한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circuit units 320 ′ and 320 ″ and AD conversion units 330 ′ and 330 ″ and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310. The signals are processed in a plurality of paths, and are preferably processed for each path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tennas 301 and 302.

예컨대, 제1 안테나(301)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1 수신 회로부(320')에서 필터링 및 증폭된 후 제1 AD 변환부(3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2 안테나(30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2 수신 회로부(320")에서 필터링 및 증폭된 후 제2 AD 변환부(3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제1 AD 변환부(33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와 제2 AD 변환부(33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각각 신호 선택부(340a)로 전달되며, 또한 서로 합쳐져 신호 지연부(370)로 입력된다.For exampl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301 is filtered and amplified by the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320 ′,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first AD conversion unit 330 ′, and then transferred from the second antenna 302. The received signal is filtered and amplified by the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320"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second AD conversion unit 330". Further,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D conversion unit 330' and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D conversion unit 330 ″ are transmitted to the signal selection unit 340a, respectively, and are added together to form a signal delay unit ( 370).

대기상태에서 제어부(350)는 제1 및 제2 AD 변환부(330', 330")의 출력신호가 순차적으로 선택되도록 신호 선택부(340a)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신호 탐지부(340)는 신호 선택부(340a)로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입력되는 제1 및 제2 AD 변환부(330', 330")의 각 출력신호에 대해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탐지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350)로 전송한다. 제어부(350)는 신호 탐지부(340)에서 전송된 신호탐지결과에 기초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며, 만약 무전기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어느 안테나를 통해 무전기 신호가 수신되는지 알 수 있으므로, 현재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그 외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안테나 전환부(310)를 제어한다.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unit 350 controls the signal selection unit 340a to sequentially select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330 ′ and 330 ″, and accordingly, the signal detection unit 34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adio signal for each output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330 ′ and 330 ″ which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input from the signal selection unit 340a, and controls the result (signal detection result) Send to 350. The control unit 35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adio signal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340, and if there is a radio signal, it can know through which antenna the radio signal is received. The antenna switching unit 310 is controlled to set a reception path for an antenna receiving a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for the other antennas.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는 복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각각의 신호를 분리하여 무전기 신호를 탐지하므로, 신호 탐지부(340)로 입력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NR)가 열화되지 않기 때문에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탐지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모든 안테나 신호의 잡음성분이 합쳐지므로 잡음전력이 안테나 신호의 수만큼 증가하는 데에 비하여 제3 실시예에서는 안테나 신호 각각을 처리하므로 신호 대 잡음비가 단일 안테나 신호인 경우와 동일하다.For reference, since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radio signal by separating each signal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antennas, the signal input to the signal detection unit 340 is Since the signal-to-noise ratio (SNR) does not deteriorat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det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noise components of all antenna signals are added together, so the noise power increases by the number of antenna signals, whereas in the third embodiment, each antenna signal is processed, so that the signal-to-noise ratio is reduced to a single antenna signal. Same as in the case of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12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안테나 전환부(410), 제1 및 제2 수신 회로부(420', 420"), 제1 및 제2 AD 변환부(430', 430"), 제1 및 제2 신호 선택부(440a, 440b), 신호 탐지부(440), 제어부(450), 제1 및 제2 신호 지연부(470', 470"), DA 변환부(480), 송신 회로부(49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2, a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410, first and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s 420', 420', and first and second receivers. AD conversion units 430', 430', first and second signal selection units 440a and 440b, signal detection unit 440, control unit 450, first and second signal delay units 470', 470 &Quot;), a DA conversion unit 480, a transmission circuit unit 49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전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300)와 비교하여 신호 지연부가 복수개 구비되고 이에 따라 제2 신호 선택부가 추가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4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ignal delay units compared to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second signal selector is added accordingly. There is a difference in point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fourth embodiment compared to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may be referred to for the rest.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신 회로부(420', 420")와 AD 변환부(430', 430")를 복수개 구비하며 또한 신호 지연부(470', 470")도 복수개 구비하여 안테나 전환부(410)에서 전달되는 신호들을 복수개의 경로로 처리한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ceiving circuit units 420 ′ and 420 ″ and AD conversion units 430 ′ and 430 ″ as in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and signal delay A plurality of units 470 ′ and 470 ″ are also provided to process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410 into a plurality of paths.

예컨대, 제1 안테나(401)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1 수신 회로부(420')에서 필터링 및 증폭된 후 제1 AD 변환부(4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1 신호 지연부(470')에 일정 시간동안 지연되며,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40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제2 수신 회로부(420")에서 필터링 및 증폭된 후 제2 AD 변환부(430")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제2 신호 지연부(470")에서 일정 시간동안 지연된다. 그리고, 제1 신호 지연부(47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와 제2 신호 지연부(470")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각각 제2 신호 선택부(440b)로 전달된다.For example,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401 is filtered and amplified by the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420 ′,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first AD converter 430 ′, and the first signal delay unit 470 ′ ) Is delay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likewise,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cond antenna 402 is filtered and amplified by the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420", and then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second AD converter 430". 2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delay unit 470 ′ and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signal delay unit 470 ″ are respectively delayed by the signal delay unit 470". It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selection unit 440b.

한편,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450)는 신호 선택부(440a)를 제어하여 제1 및 제2 AD 변환부(430', 430")의 출력신호가 순차적으로 선택되어 신호 탐지부(440)로 입력되도록 하고, 신호 탐지부(440)의 신호탐지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를 구분한 후, 해당 안테나의 신호가 송신될 수 있도록 제2 신호 선택부(440b)를 제어한다. 즉, 제1 및 제2 신호 지연부(470', 470")의 출력신호 중 무전기 신호가 있는 신호를 선택하도록 제2 신호 선택부(440b)를 제어한다. Meanwhile,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control unit 450 controls the signal selection unit 440a to sequentially select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430 ′ and 430 ″, and the signal detection unit ( 440), and after classifying the antenna that is currently receiving the radio signal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result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440, the second signal selection unit 440b so that the signal of the corresponding antenna can be transmitted. That is, the second signal selection unit 440b is controlled to select a signal having a radio signal among the output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 delay units 470' and 470'.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400)는 복수개의 안테나 신호를 합하여 전송하지 않으므로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열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전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탐지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3 실시예에 비하여 송출되는 신호의 품질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For reference, since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mbine and transmit a plurality of antenna signals,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not deteriorated. Likewise,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dete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and the quality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improved compared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13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500)는 안테나 전환부(510), 수신 회로부(520), AD 변환부(530), 신호 탐지부(540), 제어부(550), 채널 선택부(560), 신호 지연부(570), DA 변환부(580), 송신 회로부(590) 등을 포함한다.13, a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500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510, a receiving circuit unit 520, an AD conversion unit 530, a signal detection unit 540, A control unit 550, a channel selection unit 560, a signal delay unit 570, a DA conversion unit 580, a transmission circuit unit 590, and the like are included.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5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100)와 비교하여 수신 회로부의 기능이 약간 추가되고 신호 지연부 후단에 채널 선택부가 구비된 점에서 차이를 보이며, 나머지 구성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5 실시예가 갖는 특징이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겠으며, 나머지 내용은 제1 실시예를 참조할 수 있다.In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nction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is slightly added compared to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a channel selection is performed after the signal delay unit. It shows a difference in the point of having additional parts,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features and differences of the fifth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remaining contents may be referred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신 회로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5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회로부(520)에 복수개의 주파수 변조기(528', 528")를 구비하여 수신 회로부(520)의 복수개 입력으로 전달된 각각의 신호(도 15a, 15b 참조)를 서로 다른 변조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천이한 후 합하여 출력한다(도 15c 참조). 즉, 수신 회로부(520)는 안테나 전환부(510)로부터 복수개의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 받아 각각 저잡음 증폭기(522', 522"), 대역통과필터(524', 524"), 가변이득증폭기(526', 526")를 거쳐 서로 다른 주파수로 변조한 후 이들 신호를 합하여 하나의 경로로 출력한다.14 is a block diagram of a receiving circui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requency modulators 528' and 528' in the receiving circuit unit 520 as shown in FIG. 14, and the receiving circuit unit 520 Each signal (refer to Figs. 15A and 15B)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inputs of) is transferred to different frequency bands using different modulation frequencies and then summed and output (refer to Fig. 15C). By receiving a plurality of analog signals from the antenna switching unit 510, each of the low noise amplifiers 522', 522", bandpass filters 524', 524", and variable gain amplifiers 526', 526" After modulating by frequency, these signals are summed and output through one path.

AD 변환부(530)는 수신 회로부(52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AD 변환부(5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신호 지연부(570)로 입력된다. 그리고, 신호 지연부(570)는 복수개의 중간주파수 대역을 모두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켰다가 채널 선택부(560)로 전달한다.The AD conversion unit 530 converts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reception circuit unit 520 into a digital signal, and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530 is input to the signal delay unit 570. In addition, the signal delay unit 570 delays a digital signal including all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channel selection unit 560.

신호 탐지부(540)는 AD 변환부(53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에 포함된 복수개의 중간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신호탐지결과)를 제어부(550)로 전송한다. The signal detection unit 54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ignal (radio signal) to be relay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included in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530, and the result (signal detection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50.

제어부(550)는 신호 탐지부(540)에서 전송된 신호탐지결과에 기초하여 무전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고, 만약 무전기 신호가 있는 경우 현재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그 외 나머지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안테나 전환부(510)를 제어하며, 또한 채널 선택부(560)를 제어하여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는 안테나 신호가 포함된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중계할 신호 대역만을 선택하여 DA 변환부(580)로 출력하도록 한다(도 15d 참조). 이 경우, DA 변환부(580)는 복수개의 중간주파수 대역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정해진 중간주파수 대역, 예를 들면 제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천이하도록 하며(도 15e 참조), 송신 회로부(590)는 항상 제1 중간주파수 대역을 원래의 대역으로 천이하도록 하여 중간주파수 대역의 수가 많더라도 송신 회로부(590)의 복잡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도 15f 참조).The control unit 550 determine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radio signal based on the signal detec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signal detection unit 540, and if there is a radio signal, the control unit 550 sets a reception path for the antenna currently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Controls the antenna switching unit 510 to set a transmission path for the other antennas, and also controls the channel selector 560 to select only the signal band to be relayed in th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antenna signal from which the radio signal is detected. Thus, it is output to the DA conversion unit 580 (see FIG. 15D). In this case, the DA conversion unit 580 makes the transition to a predetermined intermediate frequency band, for example,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band, regardless of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is selected (see FIG. 15E), and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590 is always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band is shifted to the original band, so that the complexity of the transmission circuit unit 590 is not increased even if the number of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is large (see FIG. 15F).

참고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500)는 수신 회로부(520)에서 대역 필터링 된 복수개의 안테나 신호가 서로 다른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분리된 후 합쳐지므로 중간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서 잡음이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중간주파수 대역에 대해 중계할 신호(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순차적으로 탐지를 시도하는 신호 탐지부(540)의 성능은 전술한 제3 및 제4 실시예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게 되며, 채널 선택부(560)에서도 하나의 중간주파수 대역내에서 중계할 대역을 선택하므로 전송되는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가 열화되지 않아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송출되는 신호의 품질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For reference, in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500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antenna signals band-filtered by the receiving circuit unit 520 are divided into different intermediate frequency bands and then combined, Noise does not increase. Therefore, the performance of the signal detection unit 540 that sequentially attempts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signal (radio signal) to be relayed for each intermediate frequency band has the same performance as in the third and four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channel selection Since the unit 560 also selects a band to be relayed within one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not deteriorated, and thus the quality of the transmitted signal is improved as in the fourth embodiment.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의 구성도이다.16 is a block diagram of a half-duplex wireless relay apparatus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600)는 안테나 전환부(610), 수신 회로부(620), AD 변환부(630), 제1 및 제2 신호 선택부(640a, 640b), 신호 탐지부(640), 제어부(650), 제1 및 제2 채널 선택부(660', 660"), 제1 및 제2 신호 지연부(670', 670"), DA 변환부(680), 송신 회로부(690) 등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6, the half-duplex wireless repeater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switching unit 610, a receiving circuit unit 620, an AD converter 630, and first and second signal selection. Units 640a and 640b, signal detection unit 640, control unit 650, first and second channel selection units 660 ′ and 660 ″, first and second signal delay units 670 ′ and 670 ″ , A DA conversion unit 680, a transmission circuit unit 690, and the like.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600)는, 제5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신 회로부(620)에 복수개의 주파수 변조기를 구비하여 수신 회로부(620)의 복수개 입력으로 전달된 각각의 신호를 서로 다른 변조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천이한 후 합하여 출력하고, AD 변환부(630)는 수신 회로부(62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600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fth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frequency modulators in the receiving circuit unit 620 and each transmitted to a plurality of inputs of the receiving circuit unit 620 The signals of are shifted to different frequency bands using different modulation frequencies, are then summed and output, and the AD conversion unit 630 converts the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receiving circuit unit 620 into a digital signal.

AD 변환부(6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신호는 제1 채널 선택부(660')와 제2 채널 선택부(660")를 통하여 수신 회로부(620)에서 제1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천이 된 제1 안테나 신호 및 제2 중간주파수 대역으로 천이된 제2 안테나 신호 중 중계할 채널이 포함된 대역만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1 채널 선택부(660')의 출력은 제1 신호 지연부(670')로 입력되고 제2 채널 선택부(660")의 출력은 제2 신호 지연부(670")로 입력되며, 그 이후는 전술한 제4 실시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한 과정으로 처리된다.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AD conversion unit 630 is a first antenna that is shifted from the receiving circuit unit 620 to the first intermediate frequency band through the first channel selection unit 660' and the second channel selection unit 660″. Among the signal and the second antenna signal shifted to the second intermediate frequency band, only a band including a channel to be relayed is selected and output, and the output of the first channel selector 660' is output from the first signal delay unit 670'. ) And the output of the second channel selection unit 660" is input to the second signal delay unit 670", and thereafter, the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process as in the fourth embodiment.

마지막으로,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에서 디지털 무전기의 버스트 신호 처리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Finally, FIG. 17 shows a burst signal 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radio in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종래 널리 사용되어온 무전기는 FM 변조 방식의 음성전용 통신장치인데 반해, 근래에는 디지털 변조방식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장치가 급속히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변조 방식은 음성이나 영상, 문자 등의 정보를 부호화, 주파수 변조 등의 처리를 한 후 블록단위로 전송하는데, 송신전환 스위치, 즉, 후크 신호가 발생되고 의미 있는 음성신호가 송출되기까지 다소의 여유 시간이 있는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과는 달리 송신이 시작되면 즉시 버스트(Burst)의 형태로 각 블록 단위의 정보가 송출된다(도 17a 참조). 따라서,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가 신호(디지털 신호)를 탐지하고 송신에서 수신 또는 수신에서 송신으로 전환되는 시간동안 수신된 신호의 소실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도 17b, 17c 참조). 하지만, 본 발명은 신호 지연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안테나에 대해 올바른 송/수신 경로가 설정될 때까지 송신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에서 소실되는 파형 및/또는 정보 없이 중계할 수 있으며, 특히 블록단위로 정보를 전송하는 디지털 방식의 무전기에 매우 유용하다(도 17d 참조).Radios that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are voice-only communication devices of the FM modulation method, but in recent year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devices of the digital modulation method are rapidly being introduced. In the digital modulation method, information such as voice, video, and text is encoded and transmitted in block units after processing such as frequency modulation. A transmission switch, that is, a hook signal is generated and a meaningful audio signal is transmitted. Unlike the conventional analog method, which has a spare time, when transmission starts, information of each block unit is immediately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burst (see FIG. 17A).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ss of the received signal is inevitable during the time when the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detects a signal (digital signal) and switches from transmission to reception or reception to transmission (see FIGS. 17B and 17C). Howev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elays transmission until a correct transmission/reception path is established for a plurality of antennas by having a signal delay unit, it is possible to relay without waveforms and/or information lost from the received signal. It is very useful for a digital type radio that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radio (see Fig. 17D).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들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so fa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ecifi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Claims (10)

삭제delete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및 제2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1 아날로그 신호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는 수신 회로부;
상기 적어도 하나가 증폭된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신호 탐지부에서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1 증폭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무전기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 판단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As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respectively;
A receiving circuit unit configured to amplif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by receiving the first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alog signal received through the second antenna;
An AD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at least one amplified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A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adio signal from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And
When the radi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the first amplification level is adjusted to determine a signal including the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and a reception path is set for an antenna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ntenna switching unit to set a transmission path for an antenna that does not receive the radio sig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회로부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고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증폭도로 증폭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탐지부에서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제1 증폭도 및 제2 증폭도를 순차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무전기 신호가 포함된 신호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receiving circuit unit amplifies the first analog signal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and amplifies the second analog signal with a second amplification degre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signal including a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by sequentially adjusting the first amplification degre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degree when the radi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Wireless relay device.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해 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채널 주파수를 필터링하고 상기 필터링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레벨로 업스케일링하는 채널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channel selector configured to filter at least one pre-selected channel frequency for the digital signal and upscale the filtered digital signal to a preset level.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로서,
제1 및 제2 안테나에 대해 각각 송신 경로 또는 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안테나 전환부;
상기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회로부 및 상기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 회로부;
상기 제1 수신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제1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1 AD 변환부 및 상기 제2 수신 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제2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2 AD 변환부;
상기 제1 및 제2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신호 지연부;
상기 신호 지연부에서 출력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안테나 전환부로 전송하는 송신 회로부;
상기 제1 및 제2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신호 선택부;
상기 신호 선택부에서 선택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무전기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신호 탐지부; 및
상기 제1 신호 선택부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 탐지부에서 무전기 신호가 탐지되면,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에 대해 수신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에 대해 송신 경로를 설정하도록 상기 안테나 전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As a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An antenn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transmission path or a reception path for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respectively;
A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first analog signal through the first antenna and a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for receiving a second analog signal through the second antenna;
A first A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first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receiving circuit unit into a first digital signal and a second AD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a second analog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receiving circuit unit into a second digital signal part;
A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for a preset delay time;
A DA conversion unit converting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unit into an analog signal;
A transmission circuit unit for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o the antenna switching unit;
A first signal selection unit sele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AD conversion units;
A signal detection unit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radio signal from the digital signal selected by the signal selection unit; And
When the radio signal i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ion unit by controlling the first signal selection unit, the antenna sets a receiving path for an antenna receiving the radio signal and a transmission path for an antenna not receiving the radio signal. Half-duplex wireless relay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지연부는, 상기 제1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1 신호 지연부 및 상기 제2 AD 변환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2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제2 신호 지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지연부에서 출력된 상기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DA 변환부로 전송하는 제2 신호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signal delay unit may include a first signal delay unit delaying the first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D conversion unit for a preset delay time and the second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second AD conversion unit. Including a second signal delay unit for delaying for a delay time,
And a second signal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igital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ignal delay unit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DA conversion unit.
삭제delete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으로서,
제1 안테나를 통해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를 통해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가 증폭된 제1 및 제2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기 설정된 지연시간동안 지연시키고, 상기 제1 증폭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지연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
As a half-duplex wireless relay method,
Receiving a first analog signal through a first antenna and a second analog signal through a second antenna;
Amplify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Converting the at least one amplified first and second analog signals into digital signals;
Delaying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for a preset delay time and adjusting the first amplification degree to determine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Converting the delayed digital signal into an analog signal; And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nalog signal through an antenna that does not receive a radio signal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아날로그 신호를 제1 증폭도로 증폭하고 상기 제2 아날로그 신호를 제2 증폭도로 증폭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증폭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중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이중 무선 중계 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amplifying step amplifies the first analog signal with a first amplification degree and amplifies the second analog signal with a second amplification degree,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determin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mong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by adjusting the first and second amplification degrees.
삭제delete
KR1020180139446A 2018-11-13 2018-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KR1021753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46A KR102175387B1 (en) 2018-11-13 2018-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446A KR102175387B1 (en) 2018-11-13 2018-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616A KR20200055616A (en) 2020-05-21
KR102175387B1 true KR102175387B1 (en) 2020-11-06

Family

ID=7091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446A KR102175387B1 (en) 2018-11-13 2018-11-13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387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6415A1 (en) * 2004-09-01 2009-05-07 Tsuyoshi Kashima Relay, and relay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704B1 (en) * 2008-06-19 2014-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transceiver and relay stations with the wireless trasceiver
KR101097406B1 (en) 2010-07-21 2011-12-23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single message transmission communication
KR101736244B1 (en) 2015-10-16 2017-05-16 주식회사 엑시노스 Communication System for Emergency Calam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6415A1 (en) * 2004-09-01 2009-05-07 Tsuyoshi Kashima Relay, and relay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616A (en)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11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ation detection and search in a wireless receiver
US20200204132A1 (en) Multiple-port signal boosters
KR101097406B1 (en) Wireless relay apparatus and method for single frequency single message transmission communication
US8780954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JPH10190381A (en) Transmitter-receiver
KR100259868B1 (en) Repeater selecting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KR10217538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KR1021753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KR1021753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JP2011097127A (en)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JPH09275356A (en) Plural mode mobile radio equipment
KR100394815B1 (en) Multi-channel repeater
JP7164377B2 (en) wireless device
JP3080879B2 (en) Wireless telephone equipment
KR101514985B1 (en) Energy dispersion consuming type hybrid radio communications repeater
KR1021753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with wide coverage
KR1021753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lf duplex wireless repeaters with wide coverage
KR20050033908A (en) Method for power controlling of received signal in ultra wide band transmission system
KR100548180B1 (en) Device for Extracting Control Signal Switching Foward and Reverse Direction of Portable Internet Radio Replay System
US2022034523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0212451Y1 (en) Mobile communications repeater
JP3324520B2 (en) Gain control circuit
JPS61270936A (en) Angular modulation signal receiver
JP2006191329A (en) Radio equipment
JP3221281B2 (en) Noise reduction device for stereo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