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339B1 -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4339B1 KR102174339B1 KR1020180090011A KR20180090011A KR102174339B1 KR 102174339 B1 KR102174339 B1 KR 102174339B1 KR 1020180090011 A KR1020180090011 A KR 1020180090011A KR 20180090011 A KR20180090011 A KR 20180090011A KR 102174339 B1 KR102174339 B1 KR 102174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photo
- photo data
- user terminal
- lo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진 데이터와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확인하고, 확인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되, 축적 레벨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에 결합하여 표시하는 사진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using a user terminal, wherein the picture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icture data are stored, the accumulation level of map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is checked, and a map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accumulation lev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by displaying data, but combining picture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at an accumulation level to map data.
Description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데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 시, 사진이 촬영된 지역의 행정구역별 이미지와 매핑하거나, 특정 건물, 도로와 같은 특정 장소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on a map, the photographic data is mapped with an imag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or a specific building ,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enables a user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a location where a photo was taken by mapping a specific place such as a road with a visually illustrated image,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
기술의 발달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 단말 등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을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users can take pictures anytime, anywhere, using various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or portable terminals with built-in camera functions, and immediately check the taken pictures.
또한, 사용자는 촬영된 사진을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사진을 촬영 날짜, 파일 이름 순과 같은 특정 기준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사용자 입력에 따라, 앞, 뒤로 나열된 사진을 확인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user can store the photographed picture in the memory built into the device, and can check the stored picture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such as the photographing date and the file name order. And, depending on a specific user input, you can also check the photos listed in the front and back.
더 나아가, 최근에는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한 지역의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사진을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들은 단순히 지도 상에 점, 선 등의 형태로 사진이 촬영된 지역을 표시하거나, 위치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사진과 함께 저장하는 정도에 불과하다.Furthermore, in recent years, technologies for storing and checking a picture by combining it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a region where a user took a picture have been proposed. However, technologies that can check photos in combination with location information up to now simply display the area where photos were taken in the form of dots, lines, etc. on a map, or save location information in text form with photos. It is only.
한편, 최근에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결합된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가 주목 받고 있다. 지리 정보 시스템과 결합된 위치 기반 서비스는 지도 상에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 주변에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 예컨대, 상점 정보, 쿠폰 정보 등을 연계하여 표시할 수 있는 서비스라 할 수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a location-based service (LBS) combined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has attracted attention. The location-based service combined with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splays the user'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n a map, and displays various services available to the user around the user, such as store information and coupon information. Can be said.
이때,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들은 사용자의 주목을 더 유도하기 위해, 사진 등과 같은 시각화된 이미지와 서비스 정보를 결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At this time, service providers who want to provide a service to a user are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by combining a visualized image such as a photo and service information in order to further induce the user's attention.
그러나, 현재까지의 지리 정보 시스템과 결합된 위치 기반 서비스는 단순히 지도 상에 특정 서비스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표현하거나, 사진 등과 같은 시각화된 이미지를 결합하더라도 단순히 지도 상에 이미지를 겹쳐 표시하는 수준에 불과하다.However, location-based services combin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up to now are simply at the level of simply superimposing images on the map even if specific service information is simply expressed in text form on a map or visualized images such as photos are combined. Do.
따라서, 사진 등과 같은 시각화된 이미지를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지도 상에 표시 시 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echnology capable of displaying a visualized image such as a photograph in a more effective way than when displaying it on a map by combining location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하거나 생성한 사진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이미지를 위치 정보와 결합하여 지도 상에 표시 시, 단순히 텍스트, 점 등의 형태로 표시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진이 촬영된 지역의 행정구역별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건물, 도로와 같은 특정 장소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of simply displaying various images, including photos taken or created by a user, with location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m in the form of text, dots, etc. As a result, a method of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can be displayed by mapping and displaying an imag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region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or visually displaying a specific place such as a specific building or road. It is an object to provide devices and systems for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표시 방법은 사진 데이터와 상기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상기 확인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축적 레벨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에 결합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A photo display method using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step of storing photo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photo data is generated; A second step of checking an accumulation level of map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ccumulation level, and combining and displaying photo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at the accumulation level, combined with the map data.
이때, 상기 사진 데이터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In this case, mapping photo data obtained by mapping the photo data and one or mor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또한,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phot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또한, 상기 사진표시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변경하는 제 4 단계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상기 사진 데이터를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결합하여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는 제 5 단계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 수와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hoto display method includes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The photographic data having pos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is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A fifth step of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map data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number of photo data displayed at a specific location in the third step may be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photo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in a fifth step.
또한, 상기 축적 레벨이 커질수록,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커질 수 있다.Also, as the accumulation level increases, the number of picture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may increase.
또한,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locations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they may be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또한,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사진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 표시하고 사진 데이터의 개수를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one of the plurality of photo data is selected and displayed at the lo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the number of photo data is additionally displayed. can do.
추가로 본 발명은, 사진 표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icture display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에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photo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photo data is generate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map data; Check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and the display unit transfers photo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to the map data.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o be displayed.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진 데이터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photo data and mapping photo data obtained by mapping at least on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 corresponding location of the map data.
또한,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Also, the number of phot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상기 사진 데이터를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결합하여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는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according to the user input, and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The photo data having a is combined with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and controlled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and the number of displayed photo data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또한, 상기 축적 레벨이 커질수록, 상기 특정위치에 표시되는 사진데이터의 수가 커질 수 있다.Also, as the accumulation level increases, the number of picture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may increas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be displayed by sorting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사진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 표시하고 사진 데이터의 개수를 추가로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the controller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photo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displays i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he number of photo data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displayed.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하고자 할 경우, 사진이 촬영된 지역의 행정구역별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건물, 도로와 같은 특정 장소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hen the photographic data is to be combined with map data to be displayed, it is mapped with an imag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region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or By mapp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place such as a building or a road with a visually illustrated image,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picture was take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할 경우, 이를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조작을 통해 사진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사진을 확인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multiple photo data mapped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t is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and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photo data through intuitive user manipulation, the photo can be checked or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new services to users who use location-based service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매핑된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할 경우, 상기 매핑된 사진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새로운 재미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mapped photo data generated by a plurality of users exist, by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map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apped photo data, the user's interest and new fun There are excellent effects that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정보와, 단말기에 표시할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기초로, 소정 축적 레벨에서 지도데이터의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결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 데이터에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에 따라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 수가 달라질 수 있어, 위치 기반 사진 데이터를 요구하는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니즈에 보다 부합하는 위치 정확도를 갖는 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photo data and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photo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at a predetermined accumulation level is converted into map data. By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location in which the picture was taken, the location where the picture was taken can be more effectively displayed on the map data, and the number of displayed picture data can vary depending on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photographic data having a location accuracy more suitable for the user's need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hoto dat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4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exemplary scree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exemplary screen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specific embodiments in the drawings and describe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s various changes may be made and various embodiments may be applied, but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o limit the elem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it is logically or physically connected or can be connected. In other word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exist in the middle,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herei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ther features, or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liminarily excluded.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Now,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is ca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hoto data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hoto
먼저, 다수의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 가능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사진 데이터를 위치 정보와 함께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First, a plurality of
여기서,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 내부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촬영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단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Here, the photographic data may be generated by photographing the user through a camera module provided inside the
또한, 위치 정보의 경우 사진 데이터 생성 시, 상기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지점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여 수집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될 수도 있다. Also, in the case of location information, when photo data is generated, it may be collected by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point where the photo data is generated, but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s input.
사용자 단말(10)은 이러한, 사진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미리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에 지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지도 데이터에 결합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사진 데이터뿐 아니라, 다른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하는 경우와 자신이 직접 생성한 사진 데이터는 물론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하는 경우, 두 가지 서비스 방식 모두를 지원한다.In other words, the photo
전자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고,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사진 데이터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10) 내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사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데이터를 단순히 촬영 순서, 파일명 등의 정보를 기초로 나열하여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사진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former, it may be a photo gallery application. The user photographs a specific subject using a camera function provided in the
더하여,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사진 데이터 표시 시,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결합하여 사진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hoto gallery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photo
여기서, 지역 이미지 데이터는 행정구역별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 또는 기 정의된 지도 객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서울시 구로구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할 경우, 구로구의 행정구역별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와 결합된 형태로 사진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사용자가 관악산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를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고자 할 경우, 관악산의 형상 그대로 이미지화된 데이터와 결합된 형태로 사진 데이터를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특정 랜드마크적인 건물, 지물 등 사진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보다 더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 이미지와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regional image data may be at least one of a polygonal image corresponding to an area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or a predefined map object image. For example, when a user wants to check photo data taken in Guro-gu, Seoul through a photo gallery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photo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사진 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보다 더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the user can more visually check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icture data he or she has taken.
반면, 후자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특정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위치 기반 서비스는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데이터 상에 맛집, 데이트 장소 등을 표시하고, 소개하는 맛집 소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근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와 연결하여 채팅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latter, it may be an application that supports a location-based service. The user executes an application supporting a specific location-based service through the
이때,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정보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 시, 단순히 점, 텍스트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위치 정보를 고려하여 사진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supported by the photo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_1)이 서비스 장치(20)로 사진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 서비스 장치(20)는 사진 데이터를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후, 다른 사용자 단말, 즉, 제2 사용자 단말(10_2)이 본 발명의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이 지원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는 제2 사용자 단말(10_2)의 현재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제2 사용자 단말(10_2)의 위치 정보 인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사진 데이터,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_1)이 기 전송한 사진 데이터를 확인한다.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제2 사용자 단말(10_2)로 제1 사용자 단말(10_1)로부터 전송된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transmits photo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하는 과정을 지원한다. 여기서, 기 저장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정구역별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 또는 기 정의된 지도 객체 이미지, 예컨대, 도로, 건물 등 지도 상에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지도 객체에 대한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할 수 있다. The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매핑된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 또는 다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에 지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을 경우, 매핑된 사진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으며, 지도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매핑된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아울러, 서비스 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을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는 다양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을 서비스하는 업체를 통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마찬가지로, 사용자 단말(10) 또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 등을 통해 서비스 장치(20)가 지원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미리 설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은 미리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있지 않더라도,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가 지원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Simi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보다 구체적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30)은 바람직하게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method, all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at are widely known or will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1), 위치 정보 수집부(12), 카메라부(13), 제어부(14), 저장부(15), 입력부(16) 및 표시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2, a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관련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는 제어부(14)의 제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사진 데이터와 상기 사진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가 매핑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매핑 사진 데이터가 결합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When describing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부(11)는 서비스 장치(20)가 지원하는 다양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위치 정보 수집부(12)는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지원한다. The location
이러한 위치 정보 수집부(12)는 사용자 단말(10)에 구비되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되는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수집부(12)는 상술한 GPS 방식 이외도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기지국 또는 이동통신기지국의 서비스 셀 ID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 기지국 신호 패턴과 데이터베이스의 패턴을 비교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와이파이(WiFi)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감지될 수 있는 위치 정보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The location
이후, 위치 정보 수집부(12)는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어부(14)로 전달하고, 제어부(14)는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가 저장부(15)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location
카메라부(13)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피사체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여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부(13)는 특정 피사체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며, 촬영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영상 처리 모듈(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미도시)는 CCD 센서가 될 수 있으며, 영상 처리 모듈(미도시)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ISP(Image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센서(미도시) 및 영상 처리 모듈 (미도시)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제어부(14)는 사용자 단말(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4)는 각 구성 요소와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어부(14)는 통신부(11), 위치 정보 수집부(12), 카메라부(13), 저장부(15), 입력부(16) 및 표시부(17)와 기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Such,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먼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카메라부(13)를 통해 사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는 사진 데이터 생성 시 위치 정보 수집부(12)를 통해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를 저장부(15)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The
그리고, 제어부(14)는 저장부(15)에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 요청에 따라,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후, 제어부(14)는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매핑 사진 데이터가 결합된 지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14)는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결합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또한, 본 발명의 제어부(14)는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부(14)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서비스 장치(20)로 현재 위치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수신을 요청한다.In addition, the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사용자 단말(10)의 위치 정보 인근의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 인근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함께 제공하게 된다. Upon receiving this, the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는 자신이 생성한 사진 데이터는 물론 다른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 시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에서 사용자가 다수의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제어부(14)는 상기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특정 위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지정된 지리적 위치일 수 있으며, 또한 지정된 행정구역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기 설정된 우선 순위는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생성 정보, 사용자에 의해서 열람된 열람 횟수 정보와 같은 기준이 될 수 있다. Here, the preset priority may be a criterion such as generation information in which photo data is generated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of reading viewed by a user.
또한, 축적 레벨에 따라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제어부(14)는 이러한 축적 레벨에 따라 표시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mapping picture data corresponding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and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표시부(17)를 통해 표시되는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대한민국의 전체 지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축적 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며,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의 상세한 지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축적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In more detail, in general, the user can selectively adjust the accumulation level of map data displayed through the
이때,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다수의 매핑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있을 경우,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되는 축적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해당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receiv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mapping picture data from the
이때, 축적 레벨에 따라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의 수는 1개이나,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을 포함하는 행정구역인 서울시 구로구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 수는 10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지도 데이터가 대한민국 전체 지도 데이터일 경우, 제어부(14)는 구로4동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 신도림동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 등 세부 행정구역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구분하지 않고, 서울시 구로구에 대응하는 사진 데이터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것이다. 반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지도 데이터가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의 상세 지도 데이터일 경우, 제어부(14)는 정확한 위치 정보에 따라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것이다. 즉, 축적 레벨이 커질수록 특정위치와 대응되는 사진데이터라고 판단하게 되는 특정위치로부터 사진 데이터의 생성위치까지의 거리에 관한 임계 거리가 커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mber of displayed picture data may vary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For example, the number of photographic data taken in Guro 4-dong, Guro-gu, Seoul, may be 1, but the number of photographic data photographed in Guro-gu, Seoul, which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including Guro 4-dong, Guro-gu, Seoul, may be 10. If the currently displayed map data is the entire map data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이러한, 이러한 축적 레벨에 따라 표시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제어부(14)는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하게 된다.The
이때, 정렬하여 표시 시, 제어부(14)는 상위 매핑 사진 데이터 상에 매핑 사진 데이터의 개수를 기재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매핑 사진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 계층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ligned and displayed, the
이후, 제어부(14)는 입력부(16)를 통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이전 또는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는 입력부(16)를 통해 [→]의 입력이 감지되면,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의 입력이 감지되면, 이전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when a preset user input is detected through the
또한, 매핑 사진 데이터가 변경될 시 기 설정된 효과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4)는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전 또는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가 변경되어 표시될 경우, 현재 매핑 사진 데이터에서 이전 또는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가 이동되는 동안 새가 날아가는 애니메이션, 나비들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는 애니메이션 등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이전 또는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의 표시가 완료되면, 새가 특정 위치에 내려 앉거나, 나비들이 특정 곳으로 위치하는 등의 애니메이션이 표시되도록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apping photo data is changed, a preset effect can be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previous or next mapping photo data is ch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reset user input, the
또한, 제어부(14)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매핑 사진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표시 시 매핑 사진 데이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매핑 사진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표시부(17)를 통해 표시하고, 최종 완료 버튼의 입력이 발생하기 전까지, 사용자는 표시부(17)를 통해 표시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의 방향, 즉,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는 방향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최종 완료 버튼의 입력이 발생되면 제어부(14)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방향 정보와 함께 지도 데이터 상에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아울러, 사용자는 언제든지 지도 데이터 상에 결합되어 표시되고 있는 매핑 사진 데이터의 방향을 수정할 수 있으며, 매핑 사진 데이터를 언제든지 삭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may modify the direction of the mapping photo data combine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at any time, and may delete the mapping photo data at any time.
반면, 지도 데이터가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제어부(14)는 서비스 장치(20)로 지도 데이터를 요청하여 실시간 수신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p data is not previously stored i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4)는 카메라부(13)를 통해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단말로부터 생성된 사진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위치 정보는 상기 사진 데이터 생성 시 위치 정보 수집부(12)를 통해 수집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어부(14)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수신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를 통신부(11)를 통해 수신하여, 표시부(17)를 통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지도 데이터 상에 맛집, 데이트 장소 등을 표시하고, 소개하는 맛집 소개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인근에 위치한 다른 사용자의 위치를 지도 데이터 상에 표시하고, 사용자와 연결하여 채팅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이 될 수 있다.Here, the service application is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이를 위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저장부(15)에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rvice application be stored in the
저장부(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는 서비스 장치(20)가 제공하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a)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a)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a)이 저장부(15)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단말(10)에 서비스 어플리케이션(15a)이 미리 구비되어 있지 않더라도, 서비스 장치(20)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저장부(15)는 하나 이상의 사진 데이터(15b)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사진 데이터(15b)에 대응하여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5)는 지도 데이터(15c)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저장부(15)는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저장부(15)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10)을 부팅시키기 위한 운영체제(OS)와 같은 사용자 단말(10) 구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입력부(16)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 각종 기능 설정 및 사용자 단말(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4)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6)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지원한다. The
이때, 입력부(16)가 후술할 표시부(17)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패널에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더하여, 입력부(16)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음성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ll types of input mean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or tha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included.
표시부(17)는 사용자 단말(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7)는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이러한 표시부(1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6)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1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TOLED(Transparant OLED)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와 같이, 도 2를 통해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를 통해 도시된 구성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은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음원 출력부와 같은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수집부(12) 및 카메라부(13)는 구현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As such, the main components of the
또한, 도 2를 통해 도시된 사용자 단말(10)의 주요 구성요소의 위치는 얼마든지 편의상 또는 다른 이유로 바뀔 수 있음이 물론이다. 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ositions of major components of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MID(Mobile Internet Devic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한 이동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현 방식에 따라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이러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3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10)로 적용 가능하다.I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ain configuration of a servi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and 3, the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통신부(21)는 서비스 제어부(22)의 제어에 따라 매핑 사진 데이터 또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결합된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To describe each component in more detail, first, the
그리고 서비스 통신부(21)는 사용자 단말(10)과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서비스 통신부(3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수신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수신 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게 되며, 서비스 제어부(22)는 사용자 정보별로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관리하고 제어할 수 있다. The
그리고,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지역 이미지 데이터는 행정구역별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 또는 기 정의된 지도 객체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위치 정보가 서울시 구로구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서울시 구로구의 행정구역별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인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위치 정보가 관악산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관악산의 형상 그대로 이미지화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게 된다. 이 외에도 상기 지역 이미지 데이터는 특정 랜드마크적인 건물, 지물 등 사진 데이터가 촬영된 위치 정보를 보다 더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객체 이미지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hoto data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hoto data are received from any one
아울러, 서비스 제어부(22)는 위치 정보의 레벨에 따라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다수의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정보는 서울시 구로구 구로4동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서울시 구로구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서울시에 해당하는 위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사진 데이터와 확인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지역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기 정의된 서식 정보가 더 저장되어 있을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서식 정보를 고려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예컨대, 위치 정보에 대응한 기 정의된 지도 객체 이미지가 산에 대한 객체 이미지일 경우, 상기 서식 정보는 '초록색 테두리'가 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산 지도 객체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매핑 시 테두리가 초록색으로 표시되도록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predefined map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location information is an object image for a mountain, the format information may be a'green border'. Thereafter, the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생성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거나 매핑 사진 데이터와 지도 데이터를 결합하여 결합된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이때,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 시 서비스 제어부(22)는 모든 축적 레벨에 따른 지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요청되는 정보에 따라 해당되는 축적 레벨에 따른 지도 데이터만을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ransmitting the map data to the
그리고, 서비스 제어부(22)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_1)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0_2)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pping photo data generated based on the photo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may be controlled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0_2.
또한, 서비스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진 관련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진 관련 정보는 과금 정보, 게재 기간 정보, 생성 정보, 열람 횟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사진 관련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진 데이터와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전송 시 상기 우선 순위를 기초로 사진 데이터가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또한, 다른 사용자 단말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후, 다른 사용자 단말로부터 추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추천 정보를 기초로 기 설정된 우선 순위를 조정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fter transmitting the mapping photo data to another user terminal, when recommend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other user terminal, a preset priority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 information.
예컨대, 제1 사용자 단말(10_1)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단말(10_2)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의 위치 정보가 동일할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사진 관련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사용자 단말(10_1)의 사용자가 더 많은 요금을 지불하거나, 제1 사용자 단말(10_1)이 전송한 사진 데이터의 추천 정보가 더 높거나, 최근에 생성된 사진 데이터일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10_1)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가 가장 최상위에 위치하도록 정렬한 후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hoto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and the photo data received from the second user terminal 10_2 are the same,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어부(22)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를 기초로 생성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 상에 결합하여 표시 시, 상기 매핑 사진 데이터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지도 데이터 상에 결합하여 표시, 예컨대 표시 방향을 제어하여 지도 데이터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서비스 제어부(22)는 매핑 모듈(22a) 및 제어 모듈(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매핑 모듈(22a)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와, 상기 사진 데이터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확인된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사진 데이터를 매핑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22b)은 그 외에 발생되는 다양한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perform this process, the
서비스 저장부(2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부(22)의 동작 수행에 따라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3)는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 정보(23a)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사진 데이터(23b)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데이터(23b) 및 지역 이미지 데이터(23e)와 결합하여 생성된 매핑 사진 데이터(23c)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사용자 정보(23a)에 대응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서비스 저장부(23)는 위치 정보(23d)에 대응하여 지역 이미지 데이터(23e) 및 서식 정보(23f)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23d)에 대응하여 지역 이미지 데이터(23e)는 다수 개 존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서비스 저장부(23)는 지도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저장부(23)는 국내외 모든 지역의 지도를 여러 축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경위도 또는 행정구역명, 주요 건물명 등 특정 기준에 따라 원하는 지도 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요청되면, 해당 지도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지도 데이터가 상기 사용자 단말(10)로 실시간 전달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The mai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장치(2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서비스 장치(2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가입 정보를 분류하여 회원 데이터베이스(Database)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장치(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장치(20) 내부에 구현되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저장부(23)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를 뜻하는 것으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The
더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장치(20)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 및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이다.4 is a schematic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은 서비스 장치(20)를 중심으로 그 동작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centering on the
이때, 서비스 장치(2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S101).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S103), 사진 데이터와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다(S105).At this time, the
서비스 장치(20)는 생성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진 데이터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10)의 요청에 따라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되는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The
이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5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은 사용자가 생성한 사진 데이터를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동작에 대한 것이다. Prior to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ion that may occur when the user wants to check the photo data generated by the user through a photo gallery application. .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다(S201),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203). 그리고 나서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사진 데이터 및 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저장한 후, 서비스 장치(20)로 상기 사진 데이터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205). S205 단계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서비스 장치(20)가 지원하는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됨과 동시에 일어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first, the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한다(S207). 이때,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저장된 서식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서비스 장치(20)는 사진 데이터와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다(S209).Upon receiving this, the
이후에, 서비스 장치(20)는 매핑 사진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게 된다(S211).Thereafter, the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은 사진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의 지도 데이터 상에 매핑 사진 데이터를 결합하여 표시할 수 있다(S213).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15).The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많은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또는 축적 레벨에 따라 지도 데이터에 매핑 사진 데이터 표시 시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generates a lot of photo data at a specific location or when mapping photo data is displayed on map data according to an accumulation leve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are a lot of mapping phot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상기 판단 결과,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매핑 사진 데이터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우선 순위는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생성 정보, 사용자에 의해서 열람된 열람 횟수 정보와 같은 기준이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은 다양한 형태로 정렬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계층적 형태로 표시하거나, 정렬된 순서에 따라 최상위에 해당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만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apping picture data, the
이후에, 사용자 단말(10)은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 지 판단한다(S219).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은 다수의 매핑 사진 데이터에 대한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으로, 예컨대 키보드 입력, 더블 클릭 등은 물론 터치 또는 일 방향으로의 스와이프(swipe), 터치 앤 드래그(touch & drag), 제스처, 시선 이동, 쉐이크(shak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reafter, the
이러한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전 매핑 사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221). 예컨대 오른쪽 방향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10)은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왼쪽 방향으로의 터치 앤 드래그 입력이 발생되면, 사용자 단말(10)은 이전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는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매핑 사진 데이터의 표시 방향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When such a preset user input is detected, the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장치(20)가 다른 사용자의 단말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a process in which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6 is a data flow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은 광고를 원하는 사용자가 사진 데이터를 생성한 후 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게 되면, 서비스 장치(20)가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맛집 소개 어플리케이션, 채팅 어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원하는 사용자가 게재한 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경우에 대한 동작에 대한 것이다.Prior to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who wants an advertisement generates photo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이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0_1)은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특정 정보에 대한 광고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단말이며, 제2 사용자 단말(10_2)은 특정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이라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정보에 대한 광고를 희망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제1 사용자 단말(10_1) 하나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 this tim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is a terminal of a user who wishes to advertise specific information through a specific service application, and the second user terminal 10_2 is a user who wishes to use a specific service application. Assume that it is a terminal.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ly one terminal of a user who desires an advertisement for specific information is illustr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사용자 단말(10_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고(S301),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S303). 여기서,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은 제1 사용자 단말(10_1)이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여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는 동작은 물론 다른 단말로부터 사진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동작은 사진 데이터 생성 시의 위치 정보를 감지하는 동작은 물론 사용자로부터 위치 정보를 입력 받는 동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Referring to FIG. 6, first,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generates photo data as described above (S301), and checks the location information where the photo data is generated (S303). Here, the operation of generating photo data is a concept including an operation of generating photo data by photographing a specific subject by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as well as receiving photo data from another terminal.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checking location information is a concept including an operation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s well as detecting location information when generating photo data.
그리고, 제1 사용자 단말(10_1)은 사진 관련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S305). 여기서, 사진 관련 정보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과금 정보, 게재 기간 정보가 될 수 있으며, 사진 데이터 생성 일시와 같은 생성 정보 또는 사용자가 열람한 열람 횟수 정보가 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may set photo-related information (S305). Here, the photo-related information may be billing information and publication perio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may be generation information such as photo data creation date and time, or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read.
이후에, 제1 사용자 단말(10_1)은 사진 데이터, 위치 정보 및 사진 관련 정보를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다(S307).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S309), 사진 데이터와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한다(S311).Thereafter, the first user terminal 10_1 transmits photo data, location information, and photo-related information to the service device 20 (S307). Thereafter, the
그리고, 서비스 장치(20)는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313). 상기 판단 과정은 다른 사용자 단말, 즉 제2 사용자 단말(10_2)로부터의 지도 데이터 요청 시에 이뤄질 수도 있다.Then, the
상기 판단 결과,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상기 사진 관련 정보를 기초로 우선 순위를 설정한다(S315). 이후, 서비스 장치(20)는 우선 순위가 설정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저장한다(S317).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mapping photo dat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the
그리고, 제2 사용자 단말(10_2)은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동시에 서비스 장치(20)로 지도 데이터를 요청한다(S321).Then, the second user terminal 10_2 requests map data from the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지도 데이터와 우선 순위가 설정된 매핑 사진 데이터를 결합하고(S323), 결합된 지도 데이터를 제2 사용자 단말(10_2)로 전송한다(S325). 이후, 제2 사용자 단말(10_2)은 서비스 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S327).Upon receiving this, the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는 제2 사용자 단말(10_2)로 제공할 서로 다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 매핑 사진 데이터 생성 시 또는 지도 데이터와 결합 시 다른 매핑 사진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표시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apping photo data corresponding to different location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second user terminal 10_2 exist,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emplary screen.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7 to 9 are exemplary screen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a는 서울시에 대한 지도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10)에서 표시되고 있는 상태로, 지도 데이터와 매핑 사진 데이터(5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500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장소가 은평구일 경우, 서비스 장치(20)는 은평구 면적에 대응하는 다각형 이미지와 사진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500)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은 해당 지도 데이터와 매핑 사진 데이터(500)를 결합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First, FIG. 7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map data for Seoul is displayed on the
그리고 사용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핑 사진 데이터(500)를 선택하여 큰 화면으로 원래의 사진 데이터(501)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진 데이터(501)와 함께 생성자, 생성일시 등과 같이 사진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B, the user can check the
반면, 특정 위치에 대응하여 다수의 매핑 사진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매핑 사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평구 지역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 사용자 단말(10)은 이에 대한 개수 정보(502)를 매핑 사진 데이터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수 개의 매핑 사진 데이터를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정렬하고,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매핑 사진 데이터를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표시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mapping picture data exis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location, the
또한, 도 8b의 503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개수에 따라 계층적 형태로 도시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개 존재하고 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s indicated by 503 of FIG. 8B, it may be illustrated in a hierarchical form according to the number. Through this, the user may intuitively confirm that a plurality of mapping photo data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location exists.
이후, 사용자 단말(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음 매핑 사진 데이터 또는 이전 매핑 사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매핑 사진 데이터가 이동되어 표시될 때, 특정 시각적 효과, 예컨대 나비가 날아다니는 듯한 효과, 새가 날아다니는 듯한 효과 등 다양한 효과를 부여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exemplary scree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10 and 11 are exemplary screen views for explaining a method of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은 지도 데이터 상에 결합되는 매핑 사진 데이터가 다수 개 존재할 경우, 매핑 사진 데이터간의 연관성을 기초로, 매핑 사진 데이터의 표시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 dat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direction of the mapped photo data ba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apping photo data when there are multiple mapping photo data combined on the map data. About.
즉,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사진 데이터(505) 및 제2 사진 데이터(506)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진 데이터(505) 및 제2 사진 데이터(506)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10)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사진 데이터가 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사용자 단말(10)이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한 사진 데이터가 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it is assumed that the
이를 수신한 서비스 장치(20)는 해당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 이미지 데이터를 확인하고,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사진 데이터를 매핑하여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Upon receiving this, the
예컨대, 제1 사진 데이터(505)가 강남구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이고, 제2 사진 데이터(506)가 송파구에서 촬영된 사진 데이터일 경우, 상기 제1 사진 데이터(505) 및 제2 사진 데이터(50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 이미지 데이터와 매핑되어 제1 매핑 사진 데이터(507) 및 제2 매핑 사진 데이터(508)로 생성된 후 지도 데이터와 결합되어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이때, 서비스 장치(20)는 제1 매핑 사진 데이터(507) 및 제2 매핑 사진 데이터(508)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핑 사진 데이터(507)의 표시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이를 통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새로운 재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induce user interest and provide new fun.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사진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표시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다수 개 사진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사진 데이터의 표시 방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display direction is controlled in consider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two photographic dat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 plurality of photographic data corresponding to different location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display direction of each photo data in consideration of.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진 데이터를 지도 데이터와 결합하여 표시하고자 할 경우, 사진이 촬영된 지역의 행정구역별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하거나, 특정 건물, 도로와 같은 특정 장소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hen the photographic data is to be combined with map data to be displayed, it is mapped with an image for each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region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or By mapp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place such as a building or a road with a visually illustrated image,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picture was take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매핑된 사진 데이터가 다수 존재할 경우, 이를 특정 기준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조작을 통해 사진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사진을 확인하거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re are multiple photo data mapped to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it is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and by controlling the display of photo data through intuitive user manipulation, the photo can be checked or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providing new services to users who use location-based services.
아울러,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omputer-readabl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commands and data. At this time, a computer-readabl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computer program commands and data is, for example,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medium such as a magnetic tape, a CD-ROM (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 Optical Media such as DVD (Digital Video Disk),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 and ROM (Read Only Memory), RAM (RAM) , Random Access Memory), flash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The processor and memory can be supplemented by special purpose logic circuits or incorporated into it. Examples of the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se hardware devices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While this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 but rather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that may be peculiar to a particular embodiment of a particular invention. It must be understood.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a plurality of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addition,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You should understand that you can.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other modified example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 데이터를 지도 상에 표시 시, 사진이 촬영된 지역의 행정구역별 이미지와 매핑하거나, 특정 건물, 도로와 같은 특정 장소를 시각적으로 도시한 이미지와 매핑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는 위치 정보를 고려한 사진 데이터 표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an apparatus and a system for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when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on a map, the photographic data is mapped with an image for each administrative area of the region where the photograph was taken, or a specific building , A method for displaying photographic data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enables a user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a location where a photo was taken by mapping a specific place such as a road with a visually illustrated image, and a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
이를 통해 사용자는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This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more effectively recognize the location where the picture was take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ufficiently commercially available or commercially possible, but also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can be implemented clearly in reality.
10: 사용자 단말 11: 통신부 12: 위치 정보 수집부
13: 카메라부 14: 제어부 15: 저장부
16: 입력부 17: 표시부 20: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사진 데이터 표시 시스템10: user terminal 11: communication unit 12: locatio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3: camera unit 14: control unit 15: storage unit
16: input unit 17: display unit 20: service device
21: service communication unit 22: service control unit 23: service storage unit
30: communication network 100: photo data display system
Claims (10)
사진 데이터와 상기 사진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확인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되, 상기 축적 레벨에서 상기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로부터 소정의 행정구역의 경계 내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의 상기 특정 위치에 결합하여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위치와 상기 행정구역의 경계의 범위는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변경되는
사진 표시 방법.
In the method for displaying a picture using a user terminal,
A first step of storing photo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in which the photo data is generated;
A second step of checking an accumulation level of map data to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d accumulation level is displayed, and photographic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boundary of a predetermined administrative area from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at the accumulation level is combined with the specific location on the map data to be displayed. It includes a third step of,
The rang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specific location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How to display photos.
상기 사진 데이터와,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매핑한 매핑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의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하는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photo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the photo data and mapping photo data obtained by mapping at least on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at the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지는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photo display method in which the number of phot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변경하는 제 4 단계;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가지는 상기 사진 데이터를 상기 변경된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에 결합하여 표시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단계에서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는 제 5 단계에서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 수와 상이한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 fourth step of changing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according to a user input;
A fifth step of combining and displaying the photo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with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accumulation level,
The number of photo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third step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photo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in the fifth step.
상기 축적 레벨이 커질수록, 상기 특정 위치에 표시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커지는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As the accumulation level increases, the number of photographic data displayed at the specific location increases.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정렬하여 표시되는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the photo display method is arrang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a preset priority.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 데이터 상의 위치에 표시될 사진 데이터가 복수개인 경우, 미리 지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사진 데이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위치에 표시하고 사진 데이터의 개수를 추가로 표시하는 사진 표시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photo data to be displayed at a location on the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a photo that selects one of the plurality of photo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displays it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additionally displays the number of photo data Display metho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photo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is recorded.
지도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적 레벨을 확인하고, 상기 축적 레벨에 대응하는 지도데이터를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지도 데이터의 특정 위치로부터 소정의 행정구역의 경계 내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사진 데이터를 상기 지도 데이터 상의 상기 특정 위치에 상기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위치와 상기 행정구역의 경계의 범위는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달라지는
사용자 단말.
A storage unit for storing one or more photo data and location information at which the photo data is generate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map data;
Check the accumulation level of the map data and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map data correspon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and the map data having location information within the boundary of a predetermined administrative area from a specific location of the map dat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t the specific position on the data,
The range of the boundary between the specific location and the administrative district varie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User terminal.
상기 축적 레벨에 따라 상기 특정 위치에 대응하는 사진 데이터의 수가 달라지는 사용자 단말.The method of claim 9,
The user terminal in which the number of photo data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loc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accumulation leve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0011A KR102174339B1 (en) | 2018-08-01 | 2018-08-01 |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0011A KR102174339B1 (en) | 2018-08-01 | 2018-08-01 |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2404A Division KR102071250B1 (en) | 2013-05-09 | 2013-05-09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970A KR20180090970A (en) | 2018-08-14 |
KR102174339B1 true KR102174339B1 (en) | 2020-11-04 |
Family
ID=6323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0011A KR102174339B1 (en) | 2018-08-01 | 2018-08-01 |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433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2337A (en) * | 2020-12-24 | 2022-07-01 | 주식회사 비지트 | Clustring system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clustering method using therewith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1905B1 (en) | 2022-11-28 | 2023-04-17 | (주)비디오몬스터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tomatic video editing and map service synchronized with the edited vide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918B1 (en) * | 2005-06-30 | 2009-07-08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0730B1 (en) | 2004-10-04 | 2007-03-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presenting album using position information of photographed place |
KR20080082513A (en) * | 2007-03-07 | 2008-09-11 | (주)폴리다임 | Rating-based website map information display method |
-
2018
- 2018-08-01 KR KR1020180090011A patent/KR10217433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6918B1 (en) * | 2005-06-30 | 2009-07-08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Retrieval system and retrieval method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2337A (en) * | 2020-12-24 | 2022-07-01 | 주식회사 비지트 | Clustring system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clustering method using therewith |
KR102658148B1 (en) * | 2020-12-24 | 2024-04-18 | 주식회사 비지트 | Clustring system for location information and clustering method using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0970A (en) | 2018-08-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906312B2 (en) | Localizing transportation requests utilizing an image based transportation request interface | |
US867591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by pointing at object of interest | |
KR10207125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 |
US1008938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 |
CN106416318B (en) | The 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determining data associated with neighbouring calculating equipment | |
US899630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covering photograph hotspots | |
US10475076B1 (en) | Navigation-based ad units in street view | |
US9104293B1 (en) | User interface points of interest approaches for mapping applications | |
JP658070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a location entity associated with a mobile device's current geographic location | |
US20130182011A1 (en)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Object Which Is Not Included in Visual Field of Termina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 |
US20120093369A1 (en) |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input image inputted through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same input image | |
US20150062114A1 (en) | Displaying textual information related to geolocated images | |
US9857177B1 (en) | Personalized points of interest for mapping applications | |
KR10180695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update of point of interest | |
WO2016005799A1 (en) | Social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 |
US9600720B1 (en) | Using available data to assist in object recognition | |
EP2993639A1 (en) | Method of sharing information through map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KR102174339B1 (en) | Method for displaying of image according to loc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 |
US9888356B2 (en) | Logistic discounting of point of interest relevance based on map viewport | |
US11397094B2 (en) | User feedback interfaces for map location entry points | |
Aydın et al. | ARCAMA-3D–a context-aware augmented reality mobile platform for environmental discovery | |
US9538319B1 (en) | Synchronization for mapping applications | |
KR102115324B1 (en) | Method for transmitting of voice for gorup driving and apparatus for the same | |
US12114231B2 (en) | Content notification using a multi-dimensional fabric interface | |
WO2023198161A1 (en) | Map display method, readabl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