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026B1 -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026B1
KR102174026B1 KR1020190129808A KR20190129808A KR102174026B1 KR 102174026 B1 KR102174026 B1 KR 102174026B1 KR 1020190129808 A KR1020190129808 A KR 1020190129808A KR 20190129808 A KR20190129808 A KR 20190129808A KR 102174026 B1 KR102174026 B1 KR 102174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hole
contents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강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구 filed Critical 강민구
Priority to KR102019012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4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304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5Piston or plunger for supplying the liquid to the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토출력 증강수단(290)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면의 중앙에서 형성된 상부홀(291a)과,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291a) 보다 그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하부홀(291b)과, 상기 상부홀(291a)과 하부홀(291b)을 잇는 내주연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된 경사내주연(291c)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291)와; 상기 개폐부재(291)의 경사내주연(291c)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홀(291a)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 상단부(292a)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수직홀(292g)이 형성된 원판형 상부부재(292b)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부로 돌설된 역원뿔형상 부재(292c)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외측에 하측으로 형성된 용수부(龍鬚部; 292d)와, 상기 용수부(292d)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링(292e)과, 상기 하부링(292e)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링(292e)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하부링(292e)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 하부부재(292f)를 포함하는 스프링 텐션부(2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내에 토출력 증강 수단을 설치하여서 구성함으로써 누름작동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흡입력을 증대시키면서도 토출력, 즉 토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THE INCREASING DEVICE OF DISCHARGING FORCE OF COSMETIC CONTENTS}
본 발명은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점도 화장품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때 흡입력 및 토출력을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화장품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크게 분말 형태와 액체 형태로 나뉘며, 액체 형태에서도 점성이 높은 액체와 점성이 낮은 액체로 구분되어 수용 용기가 구분된다.
즉, 분말 형태의 화장품은 일반적으로 하드케이스에 저장되는데, 이와 같은 하드케이스는 내용물이 충진된 용기와 상기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액체 형태의 화장품은 그 점성이 0.01~6푸아즈(poise)로 낮은 겔 상태의 화장품일 경우에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분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가압펌프식 화장품 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런 점성도(粘性度, coefficient of viscosity)는 유체 점성의 크기를 나타내는 물질 고유의 상수로, 점성률 또는 점도라고도 한다. 유체의 점성 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값으로, 일반적인 단위는 kg/mㅇs 또는 Paㅇs로 표시한다. 그 외에도 CGS 단위계로는 g/cmㅇs를 사용하는데 1g/cmㅇs를 1poise(푸아즈)라고 하며, 1P로 표시한다.
또한 푸아즈의 100분의 1을 centi-poise(cP)라고 하며, 실험실에서 점도의 단위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즉 1 poise=1g/cmㅇs=100cP=0.1kg/mㅇs로 표시할 수 있으며, 1cP=0.01g.cmㅇs=0.00672Ibm/ftㅇs=2.42Ibm/ftㅇhr로 표시한다. 국제단위계 단위로는 뉴턴초매제곱미터(Nㅇs/㎡)를 사용한다.
한편, 펌프 용기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구조가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의 대체적인 원리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를 개폐토록 하는 노즐캡상에 설치되어 손가락으로 작동버튼을 누르게 되면, 그 압력에 의해 용기의 내부에 진공압력이 발생되고, 이 진공압력에 의해 용기 내에 저장된 내용물이 일정량씩 노즐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구성이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118008호(2019. 9. 25)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 4는 종래의 펌프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원통형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펌프 용기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체(200)와; 상기 펌프체(200)의 상단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서 상기 펌프체(200)를 작동시켜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노즐(50)과;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41)와, 상부에 상기 배출노즐(50)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삽입구(42)와, 상기 삽입구(42)의 하단에 내측으로 원주형상으로 돌설된 중간플렌지부(43)로 이루어진 숄더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체(200)는,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에는 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40)의 중간플렌지부(43)에 상단의 걸림돌기(211)로 결합된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 개구 내주연에 상기 배출노즐(50)의 중앙홀부가 결합되고, 폐쇄된 하단의 외주연에 다수의 유입홀(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홀(221)의 하단에는 돌설턱(223)이 형성된 피스톤(220)과;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 외주연에 원주형으로 돌설된 원주형 돌기(222)의 하면에 삽입되어 있는 원통형 스프링(260)과;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의 하단이면서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과 실린더(210)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실린더(210)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실린더접촉부(241)와, 상기 실린더접촉부(241)와 상하부에 사이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피스톤접촉부(242)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220)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의 다수의 유입홀(221)을 개폐하는 개폐패킹부재(240)와; 상기 실린더(210)의 하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용 체크밸브(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된 것으로, 중앙에 홀이 형성된 상부고리판(261)과, 상기 상부고리판(261)의 일측 하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제1트위스트부(262)와, 상기 상부고리판(261)의 일측 하면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인 타측 하면에서 상기 제1트위스트부(262)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제2트위스트부(263)와, 상기 제1트위스트부(262)의 하면과 제2트위스트부(263)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1연결대(264)와, 상기 제1연결대(264)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2트위스트부(263)의 하면과 제1트위스트부(262)의 상면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제2연결대(265)와, 상기 제1 및 제2트위스트부(262, 263)의 하단을 연결하는 고리형상의 부재인 하부고리판(266)과, 상기 하부고리판(266)의 하부면에 다수의 텐션기둥(267)으로 연결된 하부원형고리(268)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원형고리(268)는, 상기 개폐패킹부재(240)의 실린더접촉부(241)를 하측으로 밀어 피스톤접촉부(242)가 피스톤(220)의 돌설턱(223)과 밀착되어 내용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외부의 공기가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게 된다.
미설명 부호 270은 상기 숄더부재(40)의 외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이고, 미설명 부호 280은, 상기 용기(10) 내의 바닥에 설치된 소진피스톤이다. 이 소진피스톤(280)은 용기 내의 내용물이 줄어듬에 따라 상승하여 화장품이나 삼푸 등의 내용물을 손실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펌프 용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먼저, 이 펌프 용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커버부재(270)를 제거한 후, 배출노즐(50)을 하부로 누르면, 배출노즐(50)의 하부에 연결된 피스톤(22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패킹부재(240)는 실린더(210)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220)이 먼저 하강하고 개폐패킹부재(240)가 나중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220)이 개폐패킹부재(240)보다 먼저 하강하므로, 피스톤(220)의 돌설턱(223)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던 개폐패킹부재(240)가 이와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221)이 개방된다.
상기 피스톤(220)과 개폐패킹부재(240)가 하강하면서 실린더(210) 내의 체적이 감소하게 된다. 이 체적이 감소됨에 따라 실린더(210)의 하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있는 체크밸브(30)가 개방되어 실린더(210)의 하부 홀을 통해 실린더(210)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홀과 체크밸브(30)를 통해 유입된 화장품 내용물이나, 그 밖의 액상의 내용물은 상기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되고 배출노즐(50)의 토출구(51)를 통해 토출된다.
참고로, 물질의 점도에 대하여 설명하면, 점도는 분자간 상호 인력에 의해 흐름에 대해 생기는 저항을 의미한다. 쉽게 끈적끈적한 정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꿀의 경우 매우 끈적끈적하며 물에 비해 점도가 상당히 높은 경우다. 물은 다른 유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보통 점도는 온도에 의존한다. 즉 일정한 압력 하에서 온도가 높아지면 점도가 작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점도가 커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점도는 또한 압력에 의존한다. 즉 일정한 온도 하에서 압력이 높아지면 점성이 커지고 압력이 낮아지면 점성이 작아진다. 그런데 물의 경우 30℃ 이하의 온도에서 압력을 가할 경우, 물의 점도가 증가하지 않고 감소하는 부분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 압력을 가했는데 오히려 물의 유동성이 더 좋아져 물의 흐름이 더 빨라지는 상황이 발생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화장품 펌프 용기는 용기 내의 내용물의 점도가 고점도인 경우, 즉 에센스나 분말 형태의 내용물인 경우, 배출노즐(50)의 토출구(51)로 토출시키기는 어려웠다.
즉, 흡입 펌핑 과정에서 점도가 약한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의 통과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었으나 다소 점도가 높은 액상의 화장품 내용물은 원활하게 흡입 배출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 즉 토출력이 작아 원하는 양만큼 토출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고점도 화장품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할 때 흡입력 및 토출력을 증강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화장품 내용물의 산화를 방지하도록 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수단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면의 중앙에서 형성된 상부홀과,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 보다 그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하부홀과, 상기 상부홀과 하부홀을 잇는 내주연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된 경사내주연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와;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내주연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홀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 상단부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원기둥형 상단부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수직홀이 형성된 원판형 상부부재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부로 돌설된 역원뿔형상 부재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의 하부면 외측에 하측으로 형성된 용수부와, 상기 용수부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링과, 상기 하부링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링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하부링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스프링 텐션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에 의하면, 화장품 용기의 피스톤 내에 토출력 증강 수단을 설치하여서 구성함으로써 누름작동에 의한 펌핑작동으로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시키는 과정에서 내용물의 흡입력을 증대시키면서도 토출력, 즉 토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종래의 원통형 스프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원통형 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가 작동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는,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체(200)와; 상기 펌프체(200)의 상단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서 상기 펌프체(200)를 작동시켜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노즐(50)과;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41)와, 상부에 상기 배출노즐(50)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삽입구(42)와, 상기 삽입구(42)의 하단에 내측으로 원주형상으로 돌설된 중간플렌지부(43)로 이루어진 숄더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체(200)는,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에는 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숄더부재(40)의 중간플렌지부(43)에 상단의 걸림돌기(211)로 결합된 실린더(210)와; 상기 실린더(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상단 개구 내주연에 상기 배출노즐(50)의 중앙홀부가 결합되고, 폐쇄된 하단의 외주연에 다수의 유입홀(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입홀(221)의 하단에는 돌설턱(223)이 형성된 피스톤(220)과; 상기 피스톤(220)의 상부 외주연에 원주형으로 돌설된 원주형 돌기(222)의 하면에 삽입되어 있는 원통형 스프링(260)과; 상기 원통형 스프링(260)의 하단이면서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과 실린더(210)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실린더(210)의 내주연에 접촉되는 실린더접촉부(241)와, 상기 실린더접촉부(241)와 상하부에 사이를 두고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에 접촉되는 피스톤접촉부(242)로 이루어져 상기 피스톤(220)의 승강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스톤(220)의 다수의 유입홀(221)을 개폐하는 개폐패킹부재(240)와; 상기 실린더(210)의 하부 내주연에 삽입되어 있는 펌프용 체크밸브(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스톤(220)의 내주연에는, 상기 피스톤(220) 내로 유입된 내용물의 토출력을 증강시키는 토출력 증강수단(2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토출력 증강수단(290)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면의 중앙에서 형성된 상부홀(291a)과,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291a) 보다 그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하부홀(291b)과, 상기 상부홀(291a)과 하부홀(291b)을 잇는 내주연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된 경사내주연(291c)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291)와; 상기 개폐부재(291)의 경사내주연(291c)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홀(291a)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 상단부(292a)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수직홀(292g)이 형성된 원판형 상부부재(292b)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부로 돌설된 역원뿔형상 부재(292c)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외측에 하측으로 형성된 용수부(龍鬚部; 292d)와, 상기 용수부(292d)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링(292e)과, 상기 하부링(292e)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링(292e)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하부링(292e)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 하부부재(292f)를 포함하는 스프링 텐션부(292)로 이루어진다.
상기 역원뿔형상 부재(292c)의 직경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직경 이하이고,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부재(291)의 상부홀(291a)에 긴밀히 밀착되는 원뿔형상부(292h)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이 펌프 용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커버부재(270)를 제거한 후, 배출노즐(50)을 하부로 누르면, 배출노즐(50)의 하부에 연결된 피스톤(22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피스톤(22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패킹부재(240)는 실린더(210)의 내주연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피스톤(220)이 먼저 하강하고 개폐패킹부재(240)가 나중에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220)이 개폐패킹부재(240)보다 먼저 하강하므로, 피스톤(220)의 돌설턱(223)의 상부에 밀착되어 있던 개폐패킹부재(240)가 이와 이격되어 상기 유입홀(221)이 개방된다.
상기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되는 화장품 내용물은 스프링 텐션부(292)의 내부로 유입되고, 그 원판형 상부부재(292b)에 다수 개 형성된 수직홀(292g)을 통과하여 상승하게 된다.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상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외주연과 개폐부재(291)의 내주벽과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간(E)에서 내용물은 압력이 발생(공간(E)의 체적이 작아짐에 따라)하게 되는바, 이 압력에 의해 매용물은 개폐부재(291)의 상부홀(291a)로 빠져 나가려고 스프링 텐션부(292)의 용수부(292d)를 압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홀(291a)로 배출되는 화장품 내용물은 압력, 즉 토출 압력이 높아진 상태로 배출노즐(50)로 배출된다.
상기 개폐부재(291)의 경사내주연(291c)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되어, 즉 공간(E)이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압력이 높아져 그 압력에 의해 용수부(292d)가 압축되어 상부홀(291a)을 개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스톤(220)의 내부를 통과하는 내용물에 토출력을 증강시킴으로써 점도가 다소 높은 화장품 내용물도 배출노즐(50)로 쉽게 분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용기 30 : 체크밸브
40 : 숄더부재 50 : 배출노즐
200 : 펌프체 210 : 실린더
220 : 피스톤 240 : 개폐패킹부재
260 : 원통형 스프링 290 : 토출력 증강수단
291 : 개폐부재 291a : 상부홀
291b : 하부홀 291c : 경사내주연
292 : 스프링 텐션부 292a : 원기둥형 상단부
292b : 원판형 상부부재 292c : 역원뿔형상 부재
292d : 용수부 292e : 하부링
292f : 하부부재 292g : 수직홀
292h : 원뿔형상부

Claims (2)

  1. 내부에 액체가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의 내주연을 통해 삽입되고 안착되는 펌프체(200)와; 상기 펌프체(200)의 상단에 삽입되어 누름 작동에 의해서 상기 펌프체(200)를 작동시켜 용기(1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배출노즐(50)과;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하부 내주연에는 상기 용기(10)의 상부 개구부(11)에 나사 결합되도록 형성된 암나사부(41)와, 상부에 상기 배출노즐(50)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삽입구(42)와, 상기 삽입구(42)의 하단에 내측으로 원주형상으로 돌설된 중간플렌지부(43)로 이루어진 숄더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펌프체(200)의 피스톤(220)의 내주연에는, 피스톤(220) 내로 유입된 내용물의 토출력을 증강시키는 토출력 증강수단(29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토출력 증강수단(290)은,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상부면의 중앙에서 형성된 상부홀(291a)과, 하부면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홀(291a) 보다 그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 하부홀(291b)과, 상기 상부홀(291a)과 하부홀(291b)을 잇는 내주연으로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된 경사내주연(291c)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291)와;
    상기 개폐부재(291)의 경사내주연(291c)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홀(291a)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원기둥형 상단부(292a)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며, 원주 방향으로 다수의 수직홀(292g)이 형성된 원판형 상부부재(292b)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중앙에서 하부로 돌설된 역원뿔형상 부재(292c)와, 상기 원판형 상부부재(292b)의 하부면 외측에 하측으로 형성된 용수부(龍鬚部; 292d)와, 상기 용수부(292d)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링(292e)과, 상기 하부링(292e)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된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상기 하부링(292e)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고, 하부링(292e)의 외경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는 원통형 하부부재(292f)를 포함하는 스프링 텐션부(29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원뿔형상 부재(292c)의 직경은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직경 이하이고, 상기 원기둥형 상단부(292a)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부재(291)의 상부홀(291a)에 긴밀히 밀착되는 원뿔형상부(292h)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KR1020190129808A 2019-10-18 2019-10-18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KR10217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08A KR102174026B1 (ko) 2019-10-18 2019-10-18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808A KR102174026B1 (ko) 2019-10-18 2019-10-18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4026B1 true KR102174026B1 (ko) 2020-11-04

Family

ID=7357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808A KR102174026B1 (ko) 2019-10-18 2019-10-18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40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75Y1 (ko) * 2004-09-24 2004-12-23 강성일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391579Y1 (ko) * 2005-04-08 2005-08-08 강성일 여러 종류의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170111307A (ko) * 2016-03-28 2017-10-12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KR20180110982A (ko) * 2017-03-30 2018-10-11 펌텍코리아 (주)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75Y1 (ko) * 2004-09-24 2004-12-23 강성일 고점도 화장품의 정량 토출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구조
KR200391579Y1 (ko) * 2005-04-08 2005-08-08 강성일 여러 종류의 고점도 내용물의 정량 토출 화장품용기
KR20170111307A (ko) * 2016-03-28 2017-10-12 임종수 화장품용기의 미스트 펌프
KR20180110982A (ko) * 2017-03-30 2018-10-11 펌텍코리아 (주) 잔여 내용물의 토출을 방지하는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85061B2 (ja) 自動充填及び定量吐出スポイト型容器キャップ
KR102332817B1 (ko) 이중 용기
CN110177481B (zh) 滴式化妆品容器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261813B1 (ko) 불소고무밸브가 구비된 펌프식 화장품용기
US20090078786A1 (en) Closure for Dispensing Fragrance from the Closure
US11730250B2 (en) Refillable cosmetic container
KR20160046654A (ko) 에어리스 펌프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CN110418589B (zh) 用于吐出珠状物的抽吸容器
KR102174026B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KR102175446B1 (ko) 화장품 내용물의 토출력 증강 장치
KR100934951B1 (ko)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토출구조
KR102285081B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력 증강 장치
KR101479223B1 (ko) 내용물 잔량 소진상태 확인이 용이한 에어리스 펌프
KR101757387B1 (ko) 내경의 크기가 서로 다른 토출관을 구비한 화장료용 이액용기
JP6215117B2 (ja) 二重容器
KR200477737Y1 (ko) 내용물 누출 방지 노즐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102318558B1 (ko) 펌프 용기
KR102306691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237203B1 (ko) 펌프 용기의 내용물 펌핑장치
KR101260293B1 (ko) 밀폐기능을 갖는 토출캡이 구비된 펌프식 화장품용기
KR200456787Y1 (ko) 내용물 정량/정회 배출용기
CN114786530B (zh) 双重容器
TWI376270B (en) Pump for manually dispensing a fluid substance sealed in a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