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679B1 -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679B1
KR102172679B1 KR1020190023968A KR20190023968A KR102172679B1 KR 102172679 B1 KR102172679 B1 KR 102172679B1 KR 1020190023968 A KR1020190023968 A KR 1020190023968A KR 20190023968 A KR20190023968 A KR 20190023968A KR 102172679 B1 KR102172679 B1 KR 10217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ization
cloud
thin client
iptv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177A (ko
Inventor
문종배
김효준
최준우
송광혁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67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7Implementing a Virtual Machine [V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가상화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시스템은,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하는 클라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사용자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씬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수신하는 씬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VIRTUAL DESKTOP SYSTEM AND IPTV SERVICE USING THIN-CLIENT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를 이용한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데스크톱을 대신하여 가상 데스크톱을 제공하는 가상화 시스템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등을 위한 시스템에도 가상화 시스템이 이용되는 등 관리의 용이성, 공간의 효율성 등 다양한 이유와 급변하는 시장에 발맞추어 가상화 시스템은 향후에도 널리 보급될 것이다.
본 발명은,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를 이용한 클라우드 PC와 같은 가상 데스크톱 서비스 이외에 IPTV 서비스와 같은 추가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과 IPTV 공용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씬클라이언트를 상기 추가 가상화 서비스와 관련된 셋톱박스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내지 디바이스를 대체할 수 있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과 IPTV 공용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은,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사용자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씬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씬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출력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장착 또는 내장되거나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시스템은,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하는 클라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사용자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씬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요청 신호를 상기 클라우드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한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수신하는 씬클라이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출력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장착 또는 내장되거나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를 이용한 클라우드 PC와 같은 가상 데스크톱 서비스 이외에 IPTV 서비스와 같은 추가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화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씬클라이언트를 상기 추가 가상화 서비스와 관련된 셋톱박스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내지 디바이스를 대체할 수 있는 가상화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관점에서의 VDI 시스템(10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압축 포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게이트웨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씬클라이언트를 이용한 복수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가상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씬클라이언트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상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씬클라이언트(602)를 이용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diagram)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서,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시스템(virtualization system)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는 임의의 사용자(user)의 가상 데스크톱(virtual desktop) 이용 편의를 위한 가상화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제공과 관련하여, 가상화 시스템에서 스냅샷 기능을 이용하여 빠른 가상머신(VM: Virtual Machine) 제공 및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가상화 시스템은 다른 말로 VDI(Virtual Desktop Infrastructure)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관점에서의 VDI 시스템(10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DI 시스템(100)은 크게 가상 데스크톱(Virtual Desktop)(110), 가상화 서버(Virtualization server)(120) 및 클라이언트(Client)(130)로 구분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이나 구현 방식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VDI 시스템(100) 구조와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다.
가상화 서버(120)는 호스트 OS(124)가 설치되며 가상화를 위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121)가 설치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화 서버(120)에 호스트 OS(124)로 리눅스와 QEMU/KVM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이퍼바이저(121)는 가상화 서버(120)의 자원들을 가상화하여 생성되는 가상 데스크톱(110)에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상화 서버(120)의 자원들에는 CPU, GPU, NIC, HD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는 비록 가상화 서버(120)에 하나의 가상 데스크톱(110)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가상 데스크톱(110)이 포함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클라이언트(130)와 상기 가상 데스크톱(110)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위해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30)는 상기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버(120)의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로부터 가상 데스크톱(110)의 디스플레이 정보, 오디오, 이미지, 비디오와 같은 데이터뿐만 아니라 마우스(mouse)나 터치 입력(touch input) 등에 따른 커서(cursor)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30)의 OS(Operating System)는 리눅스, 윈도우 등 일수 있으며 클립보드(clipboard)와 인증, 연결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과 가상 데스크톱(110)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주는 뷰어 어플리케이션(viewer app)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130)는 가상화 서버(120)의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에 접속을 도와주고 디스플레이 그래픽을 처리하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GTK 라이브러리(library)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30)의 OS는 윈도우, IOS, 리눅스,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형태로 구동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출력을 위한 최소한의 자원만 사용하는 씬 클라이언트(thin client) 형태일 수 있다.
가상화 서버(120)에는 리눅스 커널 모듈 형태로 구동되는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되어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와 상호 호환할 수 있다. 상기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는 가상 데스크톱(110)이 사용할 디바이스들을 가상화 하여 각 가상 데스크톱(110)에게 할당해 주는 기능을 한다.
가상화 된 디바이스들은 드라이버들(112)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가상 디스크를 담당하는 버트아이오(Virtio)와 같은 가상 NIC/Disk 드라이버와 가상 데스크톱(110)의 그래픽 출력을 캡쳐(capture)해서 가상화 서버(120)의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로 전송하는 QXL과 같은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 등이 있다.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에서는 클라이언트(130)가 게스트 OS(guest OS)(가상 데스크톱(110)의 OS)(111)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가상 데스크톱(110)은 사용자가 VDI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1대의 가상 컴퓨터이며, 가상 데스크톱(110)에는 별도의 게스트 OS(111)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게스트 OS(111)는, 호스트 OS(124)와 같은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스트 OS(111)에는, 가상화 된 장치(125)들을 이용할 수 있는 가상 드라이버(112)들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장되는 가상 드라이버(112)들에는 저장 공간을 지원하는 가상 디스크 드라이버,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가상 네트워크 드라이버, 그래픽을 지원하는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게스트 에이전트(Guest Agent)(113)는, 가상 데스크톱(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고 게스트 중심의 관리 작업을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가 마우스 모드를 사용한다면, 게스트의 마우스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으로 제공하고 URL/Printer Redirection과 클립보드 기능, 해상도, 다중 모니터 대수 제한과 같은 정책(policy) 설정의 정보를 관리(Management) 서버(140)에서 수신하여 상기 게스트 에이전트(113)가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130)를 단말을 통해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PC나 모바일 단말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가상 데스크톱(110)에 접속하기 위해서 웹 브라우저를 통해 유저 포탈에 접속해서 뷰어(Viewer)를 볼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뷰어라 함은,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한편, 가상화 서버(120)는,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 전송을 위하여 딜리버리 모듈(Delivery Module)을 설치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이 모듈이 지정한 딜리버리 프로토콜을 통해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40)에는 커넥션 브로커, 유저 포탈, 매니지먼트 어플리케이션 등이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커넥션 브로커는 사용자가 사용할 가상 데스크톱(110)이 어디에 있는지를 파악하여 클라이언트가 상기 파악한 가상 데스크톱(1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클라이언트가 소프트웨어 승인을 위한 인증, 라이선스 확인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우저 형태의 유저 포탈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가상 데스크톱(110)을 온/오프(on/off)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 신호가 관리 프로토콜에 의해 전달되어 가상화 서버(120)에 설치된 호스트 에이전트(Host Agent)(Libvirt)가 가상 데스크톱(110)을 제어할 수 있다.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는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 VDI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립스파이스(Libspice)와 같은 가상 데스크톱 전송 라이브러리를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와 함께 사용하면 특정 비디오 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토토콜은 원격 디스플레이 및 장치에 대한 클라이언트(130)의 접근을 제공하는 개방형 원격 컴퓨팅 솔루션 또는 프로토콜이다. 이는 가상머신(VM)에 대한 원격 액세스이며 데스크톱과 유사한 사용자 경험(UX: User eXperience)을 제공하며 사용자 컴퓨터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VDI 시스템(100)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상 데스크톱(110)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가상 데스크톱이다. 가상 데스크톱(110)은 가상화 서버(120)의 하이퍼바이저(121)에 의해 생성되고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 정보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클라이언트(130)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가상화 서버(120)는, VDI 시스템(100)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VDI 시스템(100)을 구동하기 위해 하이퍼바이저(121) 뿐만 아니라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되어 VDI 시스템(100)을 구동하고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130)는, 사용자가 가상 데스크톱(110)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하는 클라이언트이다. 클라이언트(130)에서 사용자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로토콜을 통해 화면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하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클라이언트(Viewer)로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가상화 서버(120)에 있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에 접속을 도와주고 디스플레이 그래픽을 처리하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GTK 라이브러리도 포함되어 있다. 클라이언트(130)의 OS는 윈도우, IOS, 리눅스, 안드로이드 등의 형태로 구동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출력을 위한 최소한의 자원(resource)만 사용하는 씬 클라이언트 형태일 수 있다.
게스트 OS(111)는, 가상 데스크톱(110)의 OS, 즉 VDI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OS이다. 이는 윈도우뿐만 아니라 리눅스나 안드로이드와 같은 OS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VDI 사용자가 사용하게 될 가상 데스크톱(110)의 OS에는 가상 데스크톱(110)을 위해 가상화 서버(120)에서 제공한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한 드라이버들(112)이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드라이버 2개가 바로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와 가상 NIC/Disk 드라이버이다.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성능 개선을 지원하기 위한 그래픽 드라이버로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가 사용된다. 가상 NIC/Disk 드라이버는 하이퍼바이저가 제공하는 빠른 I/O를 지원해주는 가상 NIC/Disk 드라이버 장치를 위해 가상 NIC/Disk 드라이버가 사용된다.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에이전트(agent)(113)는 가상 데스크톱(110)과 클라이언트(130)에서 수행되는 작업들을 향상시키기 위한 옵션(option)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30) 마우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에이전트가 게스트 OS에 마우스 위치 및 상태를 주입한다. 또한, 게스트와 클라이언트간 커서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 외에 클립보드 공유 및 접속 제한된 URL을 리다이렉션(redirection) 해주는 기능도 있다.
가상화 서버(120)에는 하이퍼바이저(121)가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리눅스 커널 모듈 형태로 구동되는 하이퍼바이저가 설치되어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와 상호 호환한다. 즉, CPU 가상화를 지원하기 위해서 하이퍼바이저는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를 필요로 하고 이진 변환에 의한 느린 속도를 하이퍼바이저의 가속화 기능을 이용하여 보완한다. 유저 공간의 하이퍼바이저는 가상 데스크톱(110)이 사용할 디바이스들을 가상화(virtualization)하여 각 가상 데스크톱에게 할당해주는 역할을 한다. 가상화 된 장치들은 가상 디스크를 담당하는 가상 NIC/Disk 드라이버와 가상 데스크톱(110)의 그래픽(graphic) 출력을 캡쳐해서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로 보내주는 가상 그래픽 드라이버 등이 있다.
호스트 에이전트(Host Agent)(122)는 가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구성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와 관리 툴(tool) 등의 집합(collection)을 의미한다. 가상 데스크톱(110)이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Display)의 압축 설정이나 USB 지원을 위한 설정을 변경하여 하이퍼바이저(121)에게 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하이퍼바이저(121)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을 사용하여 가상 데스크톱(110)에 대한 원격 접근을 제공한다. 가상화 서버(120)의 한 쪽에서는 가상화 서버(120)가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130)와 통신하고 다른 쪽에서는 하이퍼바이저(121)와 상호작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container)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가상머신(VM)은 말 그대로 컴퓨터 환경을 가상화 하여 소프트웨어(SW: software)로 구현한 것이다. 컴퓨팅 자원을 가상화 할 수 있는 하이퍼바이저가 필수적이며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대의 OS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서버의 자원(resource)을 논리적으로 분할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자원의 가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컨테이너(204)는 가상머신(VM)과 비교하면 컴퓨터 환경과 달리 애플리케이션 중심으로 설계된 개념이다. 가상머신(VM)처럼 별도의 OS나 드라이버를 요구하지 않고 호스트 OS(203)의 커널을 공유하며 개별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공간(namespace)을 마련해준다. 따라서, 또 다른 OS 커널이 필요한 가상머신(VM)에 비해 가볍고 효율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배포에도 용이하다.
쿠버네티스(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운영관리 도구는, 컨테이너화 된 애플리케이션의 관리를 위한 오픈 소스 시스템(open source system)으로써 여러 클러스터(cluster)의 호스트 간 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의 배치 운영 등을 자동화하기 위한 플랫폼(platform)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인스턴스를 만드는 개념이 서로 다른데, 가상머신(VM)을 만들기 위해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하이퍼바이저이지만, 컨테이너(204)는 별도의 컨테이너 엔진(201)을 필요로 하고 대표적으로 도커(Docker)와 같은 컨테이너 엔진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이퍼바이저를 구동하는 OS가 호스트 OS(203)이고, 하이퍼바이저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머신(VM)에서 구동되는 OS가 게스트 OS(202)가 된다. 두 OS는 동일한 운영체제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가상머신(VM)에 다양한 OS를 제공해주고 완전히 격리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컨테이너 엔진(201)은 컨테이너화 하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그 어플리케이션이 실행하는 데 필요한 기타 바이너리 파일(binary file)이나 라이브러리들과 함께 격리된 공간에 두어 컨테이너화 하여 컨테이너 이미지(204)를 생성한다. 이 이미지(204)는 컨테이너 허브(container hub)와 같은 곳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배포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에는 자체적인 OS가 없고 컨테이너 엔진이 설치된 OS의 커널을 공유하는 구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압축 포맷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동영상 압축 포맷으로 편의상 H.264 포맷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H.265 포맷도 이하 후술하는 내용을 참조하여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H.264 포맷을 일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H.264 포맷은 블록(block) 단위 움직임 보상(motion compensation)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으로써 동영상 녹화, 압축 및 배포를 위한 방식들 중 가장 보편적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VDI 시스템(100)에서는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에서 디스플레이 영역 중 비디오 스트리밍으로 처리될 영역(301)에 대해 H.264 인코더(encoder)(302)로 인코딩을 수행하고 클라이언트(103)에 전달한다.
가상화 서버(120)에서는 지원 가능한 비디오 코덱 리스트(video codec list)를 정의하고 클라이언트(130)에서 지원하는 코덱 중 리스트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코덱을 비디오 코덱으로 결정하여 사용한다.
H.264 코덱을 사용하려면 디폴트로 코덱을 하드 코딩(hardcoding)하던 방법과 API를 통해 설정하는 방법, 클라이언트로부터 메시지를 받아 설정하는 방법 등으로 정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 중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영역(301)에 대해 스트리밍 비디오 옵션(streaming video option)을 고려하여 비디오 스트림으로 처리할지 결정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림으로 처리될 영역(301)에 대해 비디오 코덱으로 압축을 수행한다.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이 준비되면 디스플레이 채널(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채널 중 하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30)로 비디오 스트림 데이터를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가 클라이언트(130)에 화면 정보를 송신한다. 여기서, 상기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모듈(123)에 영상 압축과 관련된 인코더(302)가 내장되어 있다.
가상 데스크톱(110)의 디스플레이(301)에 클라이언트(130)로 보낼 화면 정보에 대한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영상 부분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오디오 처리 역시, 오디오 코덱과 그에 따른 오디오 인코더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다.
Gstreamer와 같은 오픈 소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03)는 동영상 H.264 인코딩을 수행하는 인코더이다. 네트워크 사용량이 많은 MJPEG 방식에 따른 가상 데스크톱 원격 전송 MJPEG(304)을 대신하여 H.264 인코딩을 사용하기 위해 디폴트 비디오 코덱을 H.264로 정할 수 있으며, 상기 오픈 소스 기반의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303)가 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축된 영상 정보는 디스플레이 채널을 통해 클라이언트(130)로 전송된다.
비록 도시되진 않았으나, 채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채널 외에 커서 채널, 오디오 채널 등 기능에 따라 분화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션 게이트웨이(session gateway)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세션 게이트웨이(440)는, 세션 서비스(session service)에 의해 작동되며 클라이언트(130)의 외부 연결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망 분리에 따른 외부에서 클라이언트(130)가 접속할 때 프록시(proxy)를 제공해준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공인망을 이용하여 VDI 시스템(100)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러나 VDI 시스템(120)은 보안상의 문제로 인해 사내망과 분리되어 있으며 공인망 자체로는 접속이 제한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130)의 접속에 대해 가상화 서버(하이퍼바이저가 구축된 서버 노드(server node))(120)와 연동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세션 게이트웨이(440)이다. 세션 게이트웨이(440)와 클라이언트(130) 사이에는 커넥션 브로커(connection broker)가 마이크로 서비스(micro service) 형태로 작동하여 가상 데스크톱(110)의 접속 정보(access information)를 전달하고 클라이언트(130)에게 외부 연결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프로세스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뷰어(410)는 가상 데스크톱(110)을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 정보를 수신하는 클라이언트이다. 클라이언트(130)가 가상 데스크톱(110)에 대한 접속을 가상화 서버(120)에 요청할 수 있다.
VDI 시스템(100)은 모든 작업들이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420)로 처리된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상호 독립적인 최소 규모의 구성요소로 분할하여 유사한 프로세스를 공유하고 프로세스 처리의 경량화를 통해 배포를 빠르게 하고 안정성을 높이려 한다. 커넥션 브로커 역시 마이크로 서비스 형태로 진행된다. 커넥션 브로커는 가상 데스크톱(110) 접속을 위한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화면 정보를 제공하고 접속 요청 이력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세션 게이트웨이 인증 및 세션 연결 정보 요청을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연결을 도와준다.
다양한 서비스와 시스템 제어를 담당하는 구간이다. 인프라에 설치된 표준 클라우드 OS와 컨테이너 운영관리 도구 등의 기능들과 마이크로 서비스를 연동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준다. 여기서는 세션 게이트웨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로부터 들어온 외부 연결에 대한 정보를 설정해 준다.
플랫폼 단의 서비스 매니저가 담당하는 세션 서비스에 의해 작동되는 세션 게이트웨이(440)다. 세션 서비스로부터 연결 정보 설정을 처리하고 세션에 대한 서버 접속 사용량을 제공해준다. 그리고 세션 게이트웨이 내에 있는 써드-파티(3rd-party) 프록시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와의 연결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이용할 가상 데스크톱(110)에 대해 담당하는 가상화 서버(120)이다. 세션 게이트웨이(440)가 내부 ip 포트(port)를 연결해주고 접속 토큰(access token)을 인증해줌에 따라 클라이언트(130)는 외부망에서도 가상 데스크톱(110)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시각화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포탈은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포탈(user portal)과 관리자를 위한 어드민 포탈(admin portal)이 있다. 어드민 포탈(admin portal)을 위한 베어 메탈 노드에는 VDI 시스템(100)의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 할 수 있는 그라파나(grafana)와 ELK 스택(elasticsearch, logstach, kibana)와 같은 데이터 시각화 툴, DB 엔진인 MariaDB, 카프카(kafka)와 같은 데이터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와 같은 모니터링 시스템 툴이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어플리케이션들을 이용하여 관리자는 로그를 이용하여 VDI 사용 현황을 관리할 수 있다.
VDI 시스템(100)에서는 구동되는 마이크로 서비스와 가상 머신 상태, 스토리지 및 네트워크 사용량 등 다양한 정보가 로그(log)로 저장될 수 있다. 로그는 보통 키값과 특정 정보에 대한 값, 그리고 시간값이 텍스트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량 동향과 같은 정보를 식별하기가 어려우며 오류가 발생할 경우 해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로그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수집하며 이를 가공하여 시각화 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로그 데이터를 시각화한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오류 시점을 확인할 수 있고 데이터 동향을 한눈에 파악함에 따라 관리자는 시스템 관리뿐만 아니라 시스템 서비스에 대한 컨설팅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에 대한 이해를 도움을 줄 수 있다. 시스템 내 로그 데이터는 각 항목별 토픽(topic)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정의된 데이터는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을 통해 통합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의 컨슈머(consumer)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비스 분석 통계 자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통계 자료는 데이터 시각화 툴을 통해 그래프나 차트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뷰어(510)는 가상 데스크톱(110)을 실행하고 화면을 볼 수 있는 클라이언트이다. 클라이언트의 자원 사용과도 관련된 로그가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로그 수집은 이 단계에서 시작한다.
로그 서버(520)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의 로그(log)를 수집하기 위한 서버이다. 여기서, 로그를 수집함과 동시에 처리까지 맡게 된다. 로그 수집과 처리를 위해서 플루언트 비트(Fluent bit)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로그는 로그 서버 뿐만 아니라 사용자 포탈, API 게이트웨이, 가상화 서버 등 모든 곳에서 수집될 수 있고 수집된 로그들은 데이터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에 의해 통합되는데 이는 관리 서버(530)에 해당한다. 데이터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은 프로듀서(producer)와 컨슈머(consumer)로 나뉘는데 프로듀서(producer)에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툴을 이용해 모니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컨슈머(consumer) 클라이언트에 의해 로그뿐만 아니라 알람이나 통계 관련된 로그들을 정보화 할 수 있다.
데이터 분산 메시징 시스템 툴에 의해 통합된 정보들이 데이터베이스(540)화 되어 저장되고 수집된 정보들은 키바나(kibana), 그라파나(grafana)와 같은 툴에 의해 시각화될 수 있다. 시각화 된 그래프나 차트 정보는 클라이언트(130)를 통해 가상 데스크톱(110)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관리자에게도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씬클라이언트(602)를 이용한 복수의 서비스를 처리하는 가상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씬클라이언트(602)에 의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상의 출력 제어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씬클라이언트(Thin client)”이라 함은, CPU, 메모리 등 필수적인 하드웨어(HW: Hardware)만 탑재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에서 모든 업무를 관리하도록 설계된 디바이스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운영되어 대부분의 프로세스는 서버단에서 실행되고 저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러한 씬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IPTV는 셋톱박스를 설치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셋톱박스만을 위한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셋톱박스 내에서 많은 프로세스가 처리되어 소모전력도 크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클라우드 PC는 가상화 서버(120)에서 구동되는 가상 데스크톱(110)의 화면 정보를 씬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동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클라우드 PC뿐만 아니라 IPTV 서비스도 클라우드 방식으로 가상화 서버(120)에서 구동하고 출력 정보를 씬클라이언트로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클라우드 PC 서비스와 IPTV 서비스를 모두 호환할 수 있는 씬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IPTV와 클라우드 PC 인스턴스의 관리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PTV 서비스를 처리함에 따라 종래 IPTV를 위한 셋톱박스가 고장이 나면 고객센터를 직접 방문하거나 수리 기사의 방문을 통하였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서버단에서 이를 해결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씬클라이언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IPTV와 클라우드 PC 모두에 이용되기 때문에 마우스나 키보드뿐만 아니라 상기 IPTV 서비스를 위한 리모콘으로부터도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클라우드 PC와 함께 IPTV 서비스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비록 2개의 서비스를 예로 하나, 클라우드에 의해 처리 가능한 3개 이상의 서비스에 대해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비록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하나의 씬클라이언트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과 복수의 씬클라이언트들에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고, 하나의 씬클라이언트를 마치 게이트웨이(gateway)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들을 위해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는 출력 장치로서 모니터, 디지털 TV 등과 같이, 씬클라이언트(602)와 직/간접 방식으로 연결되어, IPTV 서비스나 가상 데스크탑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다.
씬클라이언트(602)는 클라우드로부터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하드웨어로 전술한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씬클라이언트(602)는 클라우드(604)와 유무선 망에 연결되어 상기 IPTV와 가상 데스크톱의 화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씬클라이언트(602)는 IPTV를 위한 리모콘 인식부(또는 수신부)와 클라우드 PC를 위한 키보드, 마우스(다른 입력 장치 또한 호환될 수 있어야 함) 인식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씬클라이언트(60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경우에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구성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씬클라이언트(602)는 비록 도 6에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에 장착 또는 부착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씬클라이언트(602)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에 내장되어 기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직접 장착이나 부착은 되지 않더라도 별도의 유무선 망을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기능할 수도 있다.
씬클라이언트(602)는 클라우드(604)로 상기 리모콘 인식부, 키보드, 마우스, 터치 입력 등을 통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등을 전송하고, 이렇게 전송된 사용자의 입력이나 요청에 대응되는 서비스 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씬클라이언트(602)는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guide data)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출력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선택하도록 가이드 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 제어와 관련하여, 후술하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의 (a)는 씬클라이언트(602)에 의해 사용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에 클라우드 PC 화면 정보가 출력되는 예시이고, 도 8의 (b)는 상기 씬클라이언트(602)에 의해 사용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에 IPTV 서비스가 출력되는 예시이다.
한편, 도 9의 (a)에서는 씬클라이언트(602)에 의해 출력 제어 가능한 복수의 서비스 화면 정보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 동시에 제공되는 씬이다. 예컨대, 씬클라이언트(602)는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 화면 정보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2)에 화면 분할되어 동시에 제공되도록 출력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이는 둘 중 어느 하나의 서비스 이용 중에 다른 서비스를 요청하는 경우에 동시 제공되는 씬일 수도 있다. 반면, 도 9의 (b)에서는 전술한 도 9의 (a)와 같은 동작이 PIP(Picture in Picture)나 POP(Picture of Picture)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서비스 화면 전환도 손쉽게 가능하도록 출력 제어할 수 있다.
홈 스위치(603)는, IPTV 서버나 가상화 서버와 씬클라이언트(602) 사이를 중개하여 사용자의 화면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셋톱박스나 가정 인터넷 같은 경우, 스위치를 거치므로 구현 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씬클라이언트(602) 역시 상기 홈 스위치(603)를 통해 서버단의 화면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현 예에 따라 상기 홈 스위치(603) 자체의 기능을 씬클라이언트(602)가 직접 대체하거나 다른 구성을 통하여 대체할 수도 있고 아예 생략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604)는, 서비스 제공자로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 즉, 도 6에서는 가상화 서버(120)와 IPTV 서버를 각각 보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서버에 사용자들을 위한 IPTV 서비스와 가상 데스크톱이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되어 화면 정보를 포함한 서비스 정보 내지 서비스 데이터가 상기 씬클라이언트(602)로 전송되어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를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씬클라이언트(602)를 이용한 가상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다이어그램(diagram)이다.
도 10에서는 편의상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 씬클라이언트(602) 및 클라우드(604)만을 도시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호 간에 데이터 또는 정보 흐름을 설명하고, 관련된 상세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한다.
클라우드(604)는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한다(S701). 편의상 도 10에서는 본 단계가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나, 구현 예에 따라서는 후술할 S702/S703 단계에 대응하여 그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를 통하여 사용자가 가상화 서비스에 관한 입력을 하면(S702), 씬클라이언트(602)는 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클라우드(604)로 전송한다(S703).
클라우드(604)는 상기 씬클라이언트(602)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 즉, 화면 정보를 상기 씬클라이언트(602)로 전송한다(S704).
씬클라이언트(602)는 전송된 화면 정보 데이터로부터 상기 S702 단계에서의 사용자 요청에 대응되는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와 그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상에서의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로 전송한다(S705).
디스플레이 디바이스(601)는 씬클라이언트(602)로부터 수신한 가상화 서비스 화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출력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상에 출력한다(S706).
본 발명은 반드시 도 10에 도시된 시계열적인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구현 예에 따라 특정 단계 내지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거나 다른 시점에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씬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클라우드 PC와 같은 가상 데스크톱 서비스 이외에 IPTV 서비스와 같은 추가 가상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 상기 추가 가상화 서비스와 관련된 셋톱박스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내지 디바이스를 대체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단계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클라우드에서,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PC 화면 정보 및 IPTV 서버를 통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PTV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하는 단계;
    리모콘 인식부를 포함하는 씬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리모콘 인식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씬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클라우드에서, 상기 IPTV 화면 정보 중, 상기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
    PC 입력 장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씬클라이언트에서, 상기 PC 입력 장치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PC 입력 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함 -;
    상기 씬클라이언트에서, 상기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에서, 상기 클라우드 PC 화면 정보 중, 상기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씬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제어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출력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장착 또는 내장되거나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6.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우드 PC 화면 정보 및 IPTV 서버를 통한 IP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IPTV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가상머신(VM) 형태로 구동하여 생성하는 클라우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리모콘 인식부 및 PC 입력 장치 인식부를 포함하는 씬클라이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리모콘 인식부를 포함하는 씬클라이언트에서, 상기 리모콘 인식부를 통하여 사용자의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에 전송하고;
    상기 IPTV 화면 정보 중, 상기 리모콘으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PC 입력 장치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수신하고 - 상기 PC 입력 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를 포함함 -;
    상기 사용자의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을 상기 클라우드에 전송하고;
    상기 클라우드 PC 화면 정보 중, 상기 사용자의 PC 입력 장치로부터의 입력정보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요청;에 대응하는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화 서비스 데이터는,
    상기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수신한 가상화 서버를 통한 클라우드 PC와 IPTV 서버를 통해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제어 신호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클라우드 PC와 IPTV 서비스를 위한 화면 정보에 대한 가이드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출력 선택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화 서비스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씬클라이언트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장착 또는 내장되거나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시스템.
KR1020190023968A 2019-02-28 2019-02-28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72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68A KR102172679B1 (ko) 2019-02-28 2019-02-28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968A KR102172679B1 (ko) 2019-02-28 2019-02-28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77A KR20200105177A (ko) 2020-09-07
KR102172679B1 true KR102172679B1 (ko) 2020-11-02

Family

ID=7247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968A KR102172679B1 (ko) 2019-02-28 2019-02-28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3870A1 (zh) * 2022-10-30 2024-05-10 周兴昌 一种虚拟终端的工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65B1 (ko) * 2010-07-23 2014-06-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셋탑박스 화면 가상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720654B1 (ko) * 2012-09-14 2017-03-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시스템 및 가상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140103558A (ko) * 2013-02-18 2014-08-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화 기반 멀티미디어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177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990B2 (en) Delivering a single end user experience to a client from multiple servers
KR20200105582A (ko) 컨테이너를 활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EP25104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client-side remote presentation of a multimedia stream
EP3577556B1 (en) Graphics processing unit partitioning for virtualization
KR102314222B1 (ko) 컨테이너를 활용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11385930B2 (en) Automatic workflow-based device switching
US20140074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session
KR20170000567A (ko)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474882B2 (en) Audio, video and control system implementing virtual machines
US20160219126A1 (en) Virtual desktop providing method and virtual desktop providing server thereof
JP2013512512A (ja) 軽量クライアントを使用してネットワーク上で仮想化コンピューティングサービスと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ための方法
US10133696B1 (en) Bridge, an asynchronous channel based bus, and a message broker to provide asynchronous communication
KR20200105174A (ko) 특정 시점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67505B1 (ko) 고화질 영상 서비스를 위한 가상 데스크탑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314221B1 (ko) 특정 시점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상 데스크톱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20070083660A1 (en) Amorphic Computing
KR102172679B1 (ko) 씬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가상 데스크탑과 iptv 서비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US10579577B2 (en) Bridge and asynchronous channel based bus to provide UI-to-UI asynchronous communication
US20180189090A1 (en) Exposing Hardware Work Queues as Virtual Devices in Virtual Machines
Kim et al. Video transcoding scheme of multimedia data-hiding for multiform resources based on intra-cloud
Rodríguez‐Silva et al. Improving the virtualization of rich applications by combining VNC and streaming protocols at the hypervisor layer
KR20130137857A (ko) 다양한 클라우드 솔루션의 통합 관리를 위한 관리 알고리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