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211B1 -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211B1
KR102172211B1 KR1020160119380A KR20160119380A KR102172211B1 KR 102172211 B1 KR102172211 B1 KR 102172211B1 KR 1020160119380 A KR1020160119380 A KR 1020160119380A KR 20160119380 A KR20160119380 A KR 20160119380A KR 102172211 B1 KR102172211 B1 KR 10217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optical device
optical
electronic devi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39562A (en
Inventor
강동훈
김헌영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1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211B1/en
Publication of KR20170039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5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2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0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 G09B23/22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physics for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은,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입력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출력단자를 포함한다.An electronic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A module input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e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urfac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Description

전자소자 모듈 및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Electronic devic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소자 모듈 및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소자를 모듈화하여 광회로 구성을 간소화하기 위한 전자소자 모듈 및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for simplifying an optical circuit configuration by modularizing an optical device.

여러 종류의 광섬유 기반 센서를 이용한 실험의 경우, 실험실 환경 또는 외부 현장에서 계측하고자 하는 물리량의 특성에 따라 광스위치, 광파장분할기, 광커플러, 서큘레이터 등의 광소자를 함께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In the case of experiments using various types of optical fiber-based sensors, optical devices such as optical switches, optical wavelength dividers, optical couplers, and circulators are connected together and u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quantities to be measured in a laboratory environment or on an external site.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광소자를 단품 형태로 판매하기 때문에, 단품 형태의 광소자에 배선을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도 1과 같이 배선들이 복잡하게 얽히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1을 참고하면, 광소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들이 두서 없이 얽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an optical device is sold in a single unit form, when wiring is connected to an optical device in a single unit form,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interconnections are complicatedly entangled a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wirings for connecting optical devices are intertwined and arranged.

이러한 경우, 어떠한 광소자의 출력에 어떠한 광소자의 입력이 연결되었는지 연결 상황을 쉽게 파악하기 힘들며, 실험 중 문제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할 때, 분석의 애로사항이 될 수 있다. 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easily grasp the connection status of which optical device's input is connected to the output of which optical device, and when trying to determine the cause of a problem during an experiment, it may be a problem of analysis.

또한, 배선이 복잡하게 얽힘에 따라 광소자의 소재 특성상 파손위험이 상존한다. In addition, as the wiring is complicatedly entangled, there is always a risk of damage due to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device.

또한, 광소자 사용 종료 후 배선들을 분리할 때, 배선이 꼬여버리거나, 이미 얽혀진 상태이기 때문에 실험자가 실험 기구 관리하는 측면에 있어 관리 및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wires are separated after the use of the optical device is terminated, the wires are twisted or are already entangled, which can cause many difficulties in management and use in terms of the experimenter's management of the experimental equipment.

한국등록특허 제10-1436787호 (공고일 : 2014.09.11)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6787 (announcement date: 2014.09.11)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규격이나 스펙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소자를 동일한 규격의 하우징 내에 실장하여 모듈화함으로써, 실험자의 소자 관리 및 실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mounting optical devices formed with different standards or specifications in a housing of the same standard to modularize, thereby improving device management and experimentation convenience for experimenters. There is a purpos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은, 전자소자를 실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입력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타 면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소자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출력단자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lectronic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A module input terminal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module output terminal formed on the other surfac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의 개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된 전자소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개수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module input terminals and module output terminals is formed in different numbers depending on the type of electronic device mounted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의 각각의 개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된 전자소자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각각의 개수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each of the module input terminals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s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in the housing.

또한, 상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의 개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되는 전자소자의 입력단자의 개수 또는 출력단자의 개수와 같거나 많도록 서로 동일한 복수의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된 전자소자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각각은 복수의 모듈입력단자 및 복수의 모듈출력단자 중 일부 모듈입력단자 및 일부 모듈출력단자에 연결된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module input terminals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s is formed in a plurality of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or the number of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mounted in the housing, and is mounted in the housing.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is connected to some module input terminals and some module output terminals among the plurality of module input terminals and the plurality of module output terminals.

또한, 상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는, 상기 전자소자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상기 모듈입력단자 및 모듈출력단자에 연결되었을 경우, 턴온되는 표시등을 포함한다. Further,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include an indicator that is turned on wh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are connected to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또한, 상기 하우징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ousing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면과 타 면 사이 중 상부면에 표시된 상기 실장된 전자소자에 대한 회로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using includes a circuit diagram of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an upper surface of between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는,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 및 개구 공간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을 실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nd a case for mounting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through the opening spac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은, 상기 전자소자 모듈이 두 개 이상인 경우, 임의의 한 전자소자 모듈의 모듈입력단자가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의 모듈출력단자와 이웃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배열된다. Further, the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is arranged in the case such that, when there are two or more electronic device modules, a module input terminal of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is adjacent to a module output terminal of a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또한, 상기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는, 임의의 한 전자소자 모듈에 포함된 전자소자의 출력신호가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에 포함된 전자소자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도록,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의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includes a module input terminal of a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so that an output signa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n electronic device module is input to an input terminal of an electronic device included in a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And a wire connecting the module output terminal and the.

또한, 상기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는, 상기 각 전자소자 모듈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각 전자소자 모듈의 하우징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개구 공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spaces corresponding to a standard of a housing of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so that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is slide-inserted.

또한, 상기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는, 상부면이 필기수단을 통해 임의의 문자나 그림이 기재되었다가 지움 수단을 통해 지워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is formed of a material whose upper surface can be erased through an erase means after any character or picture is written through a writing means.

또한, 상기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는, 상부면에 상기 전자소자 모듈 내에 포함된 전자소자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가 표시되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is formed such that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is displayed on an upper surface.

본 발명은 광소자를 모듈화하고, 모듈들을 패키지화하여, 실험자가 하나의 객체(즉,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에 대해서만 배선을 연결하도록 하고, 이웃하는 광소자 간의 연결 배선이 짧고 간편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각 전자소자 모듈 간의 배선연결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므로, 각종 계측을 위한 광회로 구성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회로를 만든 실험자 뿐만 아니라 광회로를 처음 본 실험자도 쉽게 광회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광회로 내의 중간 광소자 연결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광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연결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device is modularized and the modules are packaged, so that an experimenter can connect wires to only one object (i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nd connection wires between neighboring optical devices can be short and easily connected. Through this, since the wiring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is very simple, the efficiency of configuring an optical circuit for various measurement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not only the experimenter who made the optical circuit, but also the experimenter who saw the optical circuit for the first time can easily understand the optical circuit intuitively, and can easily chang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circuit. Through this, the connection efficiency of the optical sensor for field applic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르는 광소자 실험환경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광스위치, 광파장분할기, 서큘레이터, 광커플러에 대한 광소자들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a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복수 개의 전자소자 모듈이 실장된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듈 간 배선이 연결된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의 케이스 상부면에 형성된 회로도의 일 예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를 통한 광 회로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를 통한 광 회로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1 is a photograph showing an optical device experim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optical devices for an optical switch, an optical wavelength divider, a circulator, and an optical coupler.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lectronic devic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 modules are mou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of FIG. 4A.
5 is a plan view of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to which interconnections between modules are conn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tical circuit configuration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circuit configuration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전자소자란 임의의 규격으로 형성되는 전자 부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각종 센서, 스위치, 커플러 등과 같은 소형의 전자부품이 될 수 있다. 특히, 전자소자는 광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소자로서 광스위치, 광커플러, 서큘레이터, 광파장분할기 등이 될 수 있다. First, an electronic device referred to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n electronic component formed in an arbitrary standard, and may be, for example, a small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various sensors, switches, and couplers. In particular,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n optical device. For example, an optical device may be an optical switch, an optical coupler, a circulator, or an optical wavelength divider.

각 광소자는 도 2와 같이 간단한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스위치는 공간분할 혹은 파장분할 방식을 통하여 광 신호의 방향에 변화를 주는 광소자로서, 하나의 입력단자와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파장분할기는 하나의 광파장을 여러 개의 광파장으로 분할하는 소자로서, 하나의 입력단자와 복수 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는 어느 한 임의의 포트로 입력된 광신호를 이웃하는 포트로 출력되도록 하는 소자로서, 이웃하는 포트는 시계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포트가 될 수 있다. 서큘레이터는 세 개의 포트를 가지며 각각이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커플러는 하나의 광을 2개 이상으로 분배하여 전파시키거나 반대로, 2개 이상으로 전파되어온 광을 하나로 결합하는 소자로서, 예를 들어, 하나의 입력단자와 복수의 출력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그와 반대로 복수의 입력단자와 하나의 출력단자로도 구성될 수 있다. Each optical device can be represented by a simple equivalent circuit as shown in FIG. 2. Specifically, the optical switch is an optical device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an optical signal through spatial division or wavelength division,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one inpu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The optical wavelength divider is an element that divides one optical wavelength into several optical wavelengths,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one inpu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The circulator is an element that outputs an optical signal inputted through any one port to a neighboring port, and the neighboring port may be a port disposed adjacent to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irculator has three ports, each of which can perform input and output functions. An optocoupler is an element that distributes and propagates one light into two or more, or, conversely, combines two or more light propagated into one, and may consist of, for example, one input terminal and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 Alternatively, on the contrary, it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and one output terminal.

이러한 광소자들은 실험 및 테스트 환경에서도 많이 쓰이지만 광케이블 사용 현장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위 광소자들은 배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소자들을 모듈화하여 광소자 간 배선 연결을 단순화하고 사용자에 의한 식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se optical devices are often used in experiment and test environments, but can also be used in the field of using optical cables. The optical elemen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elements are modularized to simplify wiring connections between optical elements and to facilitate identification by a user.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100)은 전자소자(110), 하우징(120), 모듈입력단자(130), 모듈출력단자(140)를 포함한다. 3A and 3B, an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110, a housing 120, a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a module output terminal 140. do.

전자소자(110)는 하우징(120) 내에 실장된다. 전자소자(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전자부품이 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110 is mounted in the housing 120. The electronic device 110 may be any electronic component as described above.

하우징(120)은 임의의 규격으로 형성된 전자소자(110)들을 내장하는 특정한 크기로 규격화된 구조체이다. 하우징(120)은 전자소자(110)를 실장하기 위한 내부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구조체는 서로 다른 크기의 전자소자(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전자소자(110)가 실장될 수 있는 넉넉한 공간을 포함하되, 전자소자(110)가 하우징(120)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120 is a structure standardized to a specific siz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s 110 formed in a predetermined standard are embedded. The housing 120 may include an internal structure f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110. In addition, the internal structure includes a generous spac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110 can be mounted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110 of different sizes can be accommodated, but the electronic device 110 does not move within the housing 120.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to be fixed.

하우징(120)은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전자소자(110)들을 실장하는 하우징(120)들은 모두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20)은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으며,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다양한 다면체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20 may be formed to a certain standard. That is, the housings 120 on which different electronic devices 110 are mounted may all be formed in the same standard. In this case, the housing 12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polyhedral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regular cube.

모듈입력단자(130)는 하우징(120)의 일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20) 내의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모듈입력단자(130)는 외부의 배선(220)이 모듈입력단자(130)에 연결될 경우, 전자소자(110)와 배선(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20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n the housing 120. 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wiring 220 is connected to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may allow the electronic device 110 and the wiring 2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모듈출력단자(140)는 모듈입력단자(130)가 형성된 하우징(120)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타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120) 내 전자소자(110)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모듈출력단자(140)는 외부의 배선(220)이 모듈출력단자(140)에 연결될 경우, 전자소자(110)와 배선(2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듈출력단자(140)는 하우징(120)의 반대방향에 배치된 타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는 하나, 필요에 따라 하우징(120)의 다른 타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in which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is form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n the housing 120. . Accordingly, when the external wiring 220 is connected to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may allow the electronic device 110 and the wiring 220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other surfac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housing 120, but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housing 120 as necessary.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는 하우징(120) 내에 실장된 전자소자(1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광스위치, 광파장분할기, 광커플러가 하우징(120) 내에 실장되는 경우, 전자소자 모듈(100)의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는 도 3a와 같이 각각 한 개, 네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서큘레이터가 하우징(120) 내에 실장되는 경우, 전자소자 모듈(100)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140)는 도 3b와 같이, 각각 여덟 개, 네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는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개수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may be formed in different number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mounted in the housing 120. For example, when the optical switch, optical wavelength divider, and optical coupler shown in FIG. 2 are mounted in the housing 120,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re shown in FIG. 3A. It can be formed of one or four, respectively. Alternatively, when the circulator shown in FIG. 2 is mounted in the housing 120,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may be formed of eight or four,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B. . That is,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respectively.

또한,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의 개수는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전자소자 모듈(100)의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를 실장되는 전자소자(110)의 형태마다 다르게 제조할 경우,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며 제품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요인이 될 수도 있으므로, 모든 전자소자 모듈(100)들의 단자들을 항상 동일한 개수가 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는 하우징(120) 내에 실장되는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의 개수 또는 출력단자의 개수와 같거나 많도록 충분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각각은 복수의 모듈입력단자(130) 및 복수의 모듈출력단자(140) 중 일부 모듈입력단자(130) 및 일부 모듈출력단자(140)에만 연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number of module input terminals 130 and module output terminals 140 may be the same. If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of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re manufactured differently for each type of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110, the manufacturing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duct cost increases. As a result, the terminals of all electronic device modules 100 may always be formed to have the same number. In this case,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are formed in a sufficient number so that the number of input terminals or the number of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mounted in the housing 120 is equal to or larger. desirable. In this case, each of the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s limited to only some module input terminals 130 and some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plurality of module input terminals 130 and the plurality of module output terminals 140. Can be connected.

위의 경우에서, 복수 개의 모듈입력단자(130) 또는 복수 개의 모듈출력단자(140) 중 일부에 연결된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가 어느 부분에 위치하여 있는지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어야, 각 모듈 간의 배선(220) 연결을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각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는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모듈입력단자(130) 및 모듈출력단자(140)에 연결되었을 경우, 턴온되는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은 모듈입력단자(130)나 모듈출력단자(14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는 않는다.In the above case, the user should be able to check where the input terminal or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connect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module input terminals 130 or the plurality of module output terminals 140 is located.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wiring 220 between modules. Therefore, each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when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s connected to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the indicator that is turned on. Can include. For example, the indicator light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or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4a, 도 4b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4B, and 5.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100), 케이스(210) 및 배선(220)을 포함한다.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includes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 case 210, and a wiring 220.

케이스(210)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100)을 실장하기 위한 개구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케이스(210)는 각 전자소자 모듈(100)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각 전자소자 모듈(100)의 하우징(120)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개구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케이스(210)는 복수 개의 전자소자 모듈(100)을 한번에 실장할 수 잇는 하나의 개구 공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개구 공간이 홀 형태로 직육면체 케이스(2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4a 및 도 4b와 같은 형태에서 각 개구 공간의 상부면이 개방된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홈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자소자 모듈(100)을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아래로 모듈을 끼워 넣는 식으로 삽입하게 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전자소자 모듈(100)의 케이스(210) 내 실장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The case 210 may be formed to include an opening space for mounting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as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space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housing 120 of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so that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slide inserted. It may be formed to include. Alternatively, the case 210 may be formed to include one opening space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 modules 100 can be mounted at a time. Alternatively, the opening space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case 210 in the form of a hole as shown in FIGS. 4A and 4B, but in the form of FIGS. 4A and 4B, the upper surface of each opening space is formed in an open groove shape. It could be. In the case of being formed in a groove shape,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not inserted in a slide manner, but the module is inser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for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inside of the case 210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Mounting can also be made more convenient.

도 4a 및 도 4b에서는 케이스(210) 내에 광스위치 모듈, 광파장분할기 모듈, 서큘레이터 모듈, 광커플러 모듈이 실장되어 있다. 각각의 전자소자 모듈(100)들은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가 실장된 광소자의 특성에 맞게 서로 다른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의 전면과 후면에서 보았을 때의 모듈입력단자(130) 및 모듈출력단자(140)의 형상은 서로 다르게 된다. In FIGS. 4A and 4B, an optical switch module, an optical wavelength divider module, a circulator module, and an optical coupler module are mounted in the case 210. Each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s 100 is formed in different numb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device on which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are mounted. Therefore, the shape of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때, 각 전자소자 모듈(100) 간의 배선(220) 연결의 편의성을 달성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전자소자 모듈(100)들은 임의의 한 전자소자 모듈(100)의 모듈입력단자(130)가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100)의 모듈출력단자(140)와 이웃하도록 케이스(210) 내에 배열된다. 쉽게 말하면,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 내에 배열된 각 전자소자 모듈(100)들의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는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배선(220)은 임의의 한 전자소자 모듈(100)에 포함된 전자소자(110)의 출력신호가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100)에 포함된 전자소자(110)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도록,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100)의 모듈입력단자(130)와 모듈출력단자(140)를 연결한다. 그에 따라, 배선(220)의 길이는 서로 이웃하는 전자소자 모듈(100)의 단자들을 연결할 정도로만 형성되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짧은 배선(220) 길이로 각 전자소자 모듈(100)이 연결될 경우, 배선(220)의 얽힘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실험자의 테스트를 통한 문제원인분석이나 배선(220) 관리가 편리하고 빠르게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convenience of connecting the wiring 220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s 100, the electronic device modules 100 are provided with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s shown in FIG. It is arranged in the case 210 so as to be adjacent to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of the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n simple terms, input terminals and output terminals of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rranged i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addition, the wiring 220 is so that the output sig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ncluded in any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input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included in the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 Connect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140 of the neighboring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ccordingly, it is sufficient if the length of the wiring 220 is formed to connect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adjacent to each other. When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connected with the short wiring 220 as described above, entanglement of the wiring 220 may be eliminated. Accordingly, analysis of the cause of a problem or management of the wiring 220 through an experimenter's test can be performed conveniently and quickly.

한편, 추가 실시예로, 도 6을 참고하면,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는 케이스(210)의 상부면 또는 다른 임의의 면에 사용자에 의해 회로도가 그려지고 지워질 수 있도록, 필기수단을 통해 임의의 문자나 그림이 기재되었다가 지움 수단을 통해 지워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워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210) 내에 다른 전자소자 모듈(100)이 배치될 경우, 실험자는 즉각적으로 이전에 그려진 회로도를 지우고 현재 실장된 전자소자 모듈(100)을 기준으로 다시 회로도를 그릴 수 있다. 또는, 케이스(210)의 상부면은 이미 케이스(210) 내에 실장된 전자소자(110)에 대한 회로도가 새겨져 있는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Meanwhile, as an additional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210 or other arbitrary surface by a user so that a circuit diagram can be drawn and erased through a writing means.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rased through an erasing means after the characters or pictures of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In addition, as it is formed of an erasable material, when another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case 210, the experimenter immediately erases the previously drawn circuit diagram and based on the currently mounted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You can draw the schematic again. Alternatively,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10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a circuit diagram of the electronic device 110 already mounted in the case 210 is engraved.

즉, 도 6과 같이, 회로도가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의 상부면에 표시될 수 있는 경우, 실험자가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의 상부면만 보고 내부에 어떠한 전자소자(110)가 배치되어 있는지, 각 전자소자(110)의 특성을 고려할 때 전체 회로는 어떠한 등가적인 연결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한 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회로도를 구성한 최초 실험자가 아닌 다른 사용자가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를 보게 되는 경우, 한 눈에 쉬운 회로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또한, 한 실험자가 여러 개의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를 두고 관리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의 내용 파악이 필요하게 될 때에, 회로도만 보고 쉽게 그 회로 구성을 파악할 수도 있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circuit diagram can be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the experimenter sees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and what electronic device 110 is disposed therein. Whether or not,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lectronic device 110, it is easy to grasp at a glance what kind of equivalent connection relationship the entire circuit has. In addition, when a user other than the first experimenter configuring the circuit diagram sees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easy circuit information at a glance. In addition, when an experimenter manages with several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s 200, when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contents of any on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ircuit configuration only by looking at the circuit diagram. .

한편, 각 전자소자 모듈(100)의 상부면도 실험자의 의해 필기가 되었다가 지워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각 전자소자 모듈(100)은 실장된 전자소자(110)에 대한 회로도가 상부면에 이미 새겨진 상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스(210)의 상부면은 전자소자 모듈(100)에 새겨진 회로도를 실험자에게 보여주기 위하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거나, 전자소자 모듈(100)이 실장된 영역에 대해서는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the upper surface of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may also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rased after being written by an experimenter. Alternatively, each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state in which the circuit diagram of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110 is already engraved on the upper surface. In this case,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210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to show the circuit diagram engraved o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to the experimenter, or is formed to be open to the area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is mounted. Do.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활용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도 7a는 철도차량 통과시 철도교량의 거동 분석을 위해 총 8 개의 센서(즉, 2개의 가속도계 센서, 5개의 변형률게이지 센서, 2개의 온도센서, 1개의 변위센서)를 통해 계측을 수행하는 광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는 왼쪽부터 광스위치 모듈, 서큘레이터 모듈, 2개의 광커플러 모듈을 실장하고 있다. 먼저, 광원은 패키지(200)의 전면에 배치된 광스위치 모듈의 모듈입력단자(130)에 연결되어 광신호를 입력한다. 패키지(200)의 후면에서는, 광스위치 모듈의 4개의 모듈출력단자(140) 중 2개와 이웃하는 서큘레이터 모듈의 8개의 모듈입력단자(130) 중 2개가 서로 배선(220)에 의해 연결된다. 또한, 서큘레이터 모듈의 다른 2개의 모듈입력단자(130)는 디텍터와 배선(220)을 통해 연결된다. 이어서, 패키지(200)의 전면에서는, 서큘레이터 모듈의 모듈출력단자(140) 2개가 각각 2개의 광커플러 모듈의 모듈입력단자(130)와 배선(220)을 통해 연결된다. 최종적으로, 각 광커플러의 4개의 모듈출력단자(140)는 각각 센서와 연결됨으로써, 광스위치, 서큘레이터, 광커플러를 거친 광신호는 센서로 입력된다. 7A is an optical circuit that performs measurement through a total of 8 sensors (i.e., 2 accelerometer sensors, 5 strain gauge sensors, 2 temperature sensors, and 1 displacement sensor) to analyze the behavior of a railroad bridge when passing a railroad vehicle. A configuration example is shown.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mounts an optical switch module, a circulator module, and two optical coupler modules from the left. First, the light sour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of the optical switch module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package 200 to input an optical signal. At the rear of the package 200, two of the four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optical switch module and two of the eight module input terminals 130 of the neighboring circulator modul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ing 220. In addition, the other two module input terminals 130 of the circulator module are connected through a detector and a wire 220. Subsequently,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ackage 200, the two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circulator module are connected through the module input terminals 130 and the wiring 220 of the two optocoupler modules, respectively. Finally, the four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each optical couple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sensor, so that an optical signal passing through an optical switch, a circulator, and an optical coupler is input to the sensor.

도 7b는 광센서를 이용한 콘크리트 양생 모니터링 시험을 위한 광 회로 구성 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최종 강도발현을 위해 총 28일 간의 양생과정이 필요하므로, 콘크리트 품질관리를 위해 양생 모니터링을 위한 테스트가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는 왼쪽부터 광스위치 모듈, 서큘레이터 모듈, 광커플러 모듈을 실장하고 있다. 먼저, 패키지(200)의 전면에서, 광원은 패 광스위치 모듈의 모듈입력단자(130)에 연결되어 광신호를 입력하며, 광커플러 모듈의 모듈입력단자(130)는 디텍터와 연결되어 신호를 수신한다. 패키지(200)의 후면에서는, 광스위치 모듈의 4개의 모듈출력단자(140)와 광커플러 모듈의 4개의 모듈출력단자(140)로부터 연장되는 배선(220)이 서큘레이터 모듈의 8개의 모듈입력단자(130)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패키지(200)의 전면에서, 서큘레이터 모듈의 4개의 모듈출력단자(140)에 4개의 센서가 연결되어, 센서로 최종 출력신호가 입력된다. 7B shows an example of an optical circuit configuration for a concrete curing monitoring test using an optical sensor. In general, concrete requires a curing process for a total of 28 days to develop final strength, so a test for curing monitoring is required for concrete quality control. Specifically,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mounts an optical switch module, a circulator module, and an optical coupler module from the left. First, from the front of the package 200, the light source is connected to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of the panel optical switch module to input an optical signal, and the module input terminal 130 of the optical coupler module is connected to the detector to receive the signal. do. In the rear of the package 200, the wiring 220 extending from the four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optical switch module and the four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optocoupler module is provided with the eight module input terminals of the circulator module. Connected to 130. Accordingly, at the front of the package 200, four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four module output terminals 140 of the circulator module, and a final output signal is input to the sensors.

위의 예와 같이, 광소자를 모듈화하고, 모듈들을 패키지(200)화 할 경우, 실험자는 하나의 객체(즉,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200))에 대해서만 배선(220)을 연결하면 되며, 각 전자소자 모듈(100) 간의 배선(220)연결구조가 매우 간단해지므로, 각종 계측을 위한 광회로 구성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회로를 만든 실험자 뿐만 아니라 광회로를 처음 본 실험자도 쉽게 광회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광회로 내의 중간 광소자 연결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광센서의 현장 적용을 위한 연결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As in the example above, when the optical device is modularized and the modules are packaged 200, the experimenter only needs to connect the wiring 220 to one object (ie,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00), and each electronic Since the wiring 220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device modules 100 is very simple, the efficiency of configuring an optical circuit for various measurements can be improved. In addition, not only the experimenter who made the optical circuit, but also the experimenter who saw the optical circuit for the first time can easily understand the optical circuit intuitively, and can easily change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circuit. Through this, the connection efficiency of the optical sensor for field application can be greatly improved.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methods and system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some or all of thei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computer system having a general-purpose hardware architectur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전자소자 모듈 110: 전자소자
120: 하우징 130 : 모듈입력단자
130: 모듈출력단자 200: 전자소자 모듈 패키지
210: 케이스 220 : 배선
100: electronic device module 110: electronic device
120: housing 130: module input terminal
130: module output terminal 200: electronic device module package
210: case 220: wiring

Claims (13)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광소자 모듈 패키지에 있어서,
복수의 광소자 모듈; 및
개구 공간을 통해 상기 복수의 광소자 모듈을 실장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 광소자 모듈은,
단일의 광소자를 실장하기 위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 면에만 형성되며, 상기 광소자의 입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입력단자; 및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 타 면에만 형성되며, 상기 광소자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모듈출력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소자 모듈은 상기 일 면과 타 면을 연결하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끼리만 서로 마주하도록 배열되되, 이웃하게 배열된 광소자 모듈에 포함된 광소자들의 종류가 상이할 경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가 이웃하도록 배열되며, 상기 광소자들의 종류가 동일할 경우 모듈입력단자끼리 이웃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이웃하게 배열된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에 복수의 배선이 연결되되,
상기 각 배선은 상, 하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된 배선과 얽히지 않도록 이웃한 단자 사이의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각 광소자 모듈이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상기 각 광소자 모듈의 하우징의 규격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개구 공간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개구 공간은 복수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되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는 복수의 홀 형태로 구성되어, 각 개구 공간마다 하나의 광소자 모듈이 실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광소자 모듈은 상기 슬라이드 삽입을 위해 동일한 규격의 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광소자 모듈은 상기 광소자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소자는 광스위치, 광파장분할기, 광커플러 및 서큘레이터 중 어느 하나이며,
각 광소자 모듈마다, 상기 모듈입력단자 및 모듈출력단자는 실장된 광소자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보다 많은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광소자의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상기 모듈입력단자 및 모듈출력단자 전체 중 일부와 연결되되, 상기 광소자 모듈의 단자와 상기 광소자의 단자 간의 연결상태는 상기 광소자 모듈의 각 단자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표시등을 통해 표시되고,
상기 모듈입력단자와 모듈출력단자의 개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실장된 광소자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개수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이 필기수단을 통해 임의의 문자나 그림이 기재되었다가 지움 수단을 통해 지워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각 광소자 모듈의 하우징의 상부면은 실장된 광소자의 회로도가 새겨진 채로 제작된 것이되, 사용자가 실장된 광소자의 연결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상부면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인, 광소자 모듈 패키지.
In the optical device module package,
A plurality of optical device modules; And
Includes; a case for mounting the plurality of optical device modules through the opening space,
Each of the optical device modules,
A housing formed in a standard for mounting a single optical element;
A module input terminal formed only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And
And a module output terminal formed only on the other surfac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The plurality of optical device modules are arranged so that only th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connecting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face each other, but when the types of optical devices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modules arranged adjacently are different,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s are arranged to be adjacent, and module input terminals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types of optical elements are the same, and a plurality of wires are connected to the adjacently arranged module input terminals and module output terminals,
Each of the wirings is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adjacent terminals so as not to be entangled with the wirings arranged adjacent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The case,
Each optical device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 spaces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of the housing of each optical device module so that each optical device module is slide-inserted, wherein the plurality of opening spaces are partitioned by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nd a plurality of opening spaces passing through the case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e, and is formed to mount one optical device module in each opening space, and each optical device module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of the same standard for insertion of the slide,
The optical device module further includes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optical device in the housing,
The optical device is any one of an optical switch, an optical wavelength divider, an optical coupler, and a circulator,
For each optical device module,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are formed in a larger number than the input terminal and output terminal of the mounted optical device, so that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correspond to some of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module and the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is displayed through an indicator light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each terminal of the optical device module,
The number of the module input terminal and the module output terminal is formed in a different number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optical device mounted in the hou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be erased through an erasing means after any character or picture is written through the writing mean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of each optical device module is manufactured with the circuit diagram of the mounted optical device engrav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is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unted optical device. The optical device module package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광소자 모듈 패키지는,
상부면에 상기 광소자 모듈 내에 포함된 광소자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회로도가 표시되도록 형성된, 광소자 모듈 패키지.
The method of claim 8,
The optical device module package,
An optical device module package formed to display a circuit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optical devices included in the optical device module on an upper surface.
KR1020160119380A 2016-09-19 2016-09-19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KR102172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80A KR102172211B1 (en) 2016-09-19 2016-09-19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380A KR102172211B1 (en) 2016-09-19 2016-09-19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77A Division KR20170039403A (en) 2015-10-01 2015-10-01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62A KR20170039562A (en) 2017-04-11
KR102172211B1 true KR102172211B1 (en) 2020-10-30

Family

ID=5858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380A KR102172211B1 (en) 2016-09-19 2016-09-19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21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543A (en) 2010-07-28 2012-02-16 Kyocera Corp Package for housing ele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839B1 (en) * 2012-10-29 2014-07-01 강민수 The modular construction kit of improve for circuit elements
KR101436787B1 (en) 2013-12-31 2014-09-11 주식회사 뉴인텍 Case Molding Type Low Inductance Condens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33543A (en) 2010-07-28 2012-02-16 Kyocera Corp Package for housing element and semiconductor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562A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3953B2 (en) Optical fiber power splitter module equipment
ES2679275T3 (en)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US9111249B2 (en) Physical layer management (PLM) system for use with an optical distribution frame using RFID antennas with localized fields
EP3258301A1 (en) Optical module with status indicator
US10012564B2 (en) MPO switch, fiber test device, system and kit
US20170293092A1 (en) Optical cross-connect component
JPH07336732A (en) Communication cable distribution frame
US20150248846A1 (en) Construction kit for module type circuit elements
CN103969887A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5635711A (en) Method of determining calibration parameter for three-dimensional (3d) display device and 3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US8107244B2 (en) Connecting a plurality of chassis using a rigid connection
US20160370549A1 (en) Optical fiber distribution apparatus
US20180348445A1 (en) Optical adapter module with managed connectivity
CN209296280U (en) Multi-channel optical tester
KR102172211B1 (en)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JP2009192683A (en) Optical communication modul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30174969A1 (en) Compact optical package with modular optical connector
KR20170039403A (en) Electronic element module and package for the same
JPH1124608A (en) Led display device
KR102414622B1 (en) Media module for testing camera module, testing panel and testing board
JP7126494B2 (en) Breadboard and electronics experiment system
US20170357050A1 (en) Optical fiber cable assembly and measurement device
JP2015507174A (en) Sensor module with displacement sensor and pressure sensor in a common housing
US8520201B2 (en) Optical signal inspection device
CN113348393B (en) Optical sens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