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546B1 - 2-레벨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구성 - Google Patents

2-레벨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546B1
KR102171546B1 KR1020197003824A KR20197003824A KR102171546B1 KR 102171546 B1 KR102171546 B1 KR 102171546B1 KR 1020197003824 A KR1020197003824 A KR 1020197003824A KR 20197003824 A KR20197003824 A KR 20197003824A KR 102171546 B1 KR102171546 B1 KR 10217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rs
configuration
wireless device
configurations
mrs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876A (ko
Inventor
루이 판
오스만 누리 캔 일마즈
라스무스 악센
스테판 바게르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19002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일 측면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는, MRS 구성 정보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네트워크 노드는,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후속해서 송신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MRS 구성 정보 및 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한다. 무선 디바이스는, 활성화 커멘드에 응답해서, MRS 중 제1의 MRS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한다.

Description

2-레벨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구성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서의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의 배열체 및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의 구성(configuration)을 효율적으로 핸들링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NG) 아키텍처(TR 23.799, 차세대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 참조) 및, 특히 NG 액세스 기술(TR 38.913, 차세대 액세스 기술에 대한 시나리오 및 요구 사항에 대한 연구 참조)에 대한 전반적인 요구 사항은, LTE(Long Term Evolution)의 현재 모빌리티 솔루션과 비교되는 새로운 RAT(NR)(RP-160671, 새로운 SID 제안, 새로운 무선 액세스 기술 연구, DoCoMo에 대한 연구 참조)에 대한 액티브 모드 모빌리티 솔루션의 설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 중 일부는, 네트워크 에너지 효율 메커니즘을 지원할 필요성, 미래의 개발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 및 매우 넓은 범위의 주파수(최대 100GHz)를 지원해야 할 필요성을 포함한다.
NR(Neighbor-cell Relation) 핸드오버의 콘택스트에 있어서, 측정 프레임워크는 동적 네트워크-트리거된 모빌리티 네트워크 신호(MRS) 측정 및 보고 및/또는 주기적인 MRS 측정 및 이벤트 기반 보고(LTE에서와 같은)를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MRS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easurement Reference Signal)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은 다운링크 측정 기반 핸드오버의 콘택스트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 노드(70), 타겟 액세스 노드(80) 및 사용자 장비(UE)(50)를 도시한다. 정상적인 환경에서, 사용자 데이터 및 MRS 구성은 UE(50)와 소스 액세스 노드(70)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의 MRS 구성 메시징은 RRC 레벨에서 또는 레벨 3(L3)에서 수행된다. 빔 스위치 트리거에 따라서, MRS 측정이 UE(50)에 의해 행해진다. 옵션으로, MRS 구성 및 활성화 측정 커멘드는 소스 액세스 노드(70)로부터 UE(50)로 송신된다. 다운링크 레퍼런스 신호의 측정이 소스 액세스 노드(70)에 UE에 의해 보고된 후, 핸드오버 결정이 소스 액세스 노드(70)에 의해 행해진다. 그 다음, 핸드오버 커멘드는 소스 액세스 노드(70)로부터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로서 송신될 수 있다. 또한, 핸드오버 커멘드는, 타겟 액세스 노드(80)로부터 업링크 승인 메시지에 의해 암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RRC 재구성 메시지 또는 최상의 빔 검출의 수신에 따라, UE(50)는 타겟 빔/셀/노드의 MRS 시퀀스와 결합될 수 있는 업링크 동기화 신호(USS: Uplink Synchronization Signal)를 이용해서 타겟 액세스 노드(80)와 접촉하므로, 선택된 USS는 검출된 최상의 빔을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USS는, 액세스 노드를 수정할 때, UE(50)가 업링크 시간 동기화를 필요로 하므로, 업링크 타이밍 레퍼런스로서 서브한다. USS는, LTE에서 물리적인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프리앰블과 유사한 설계를 갖고,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TA) 계산, 업링크 주파수 오프셋 추정 및 업링크 빔 식별을 위해서 의도된다. USS에 대한 응답 또는 후속 메시지로서, 타겟 액세스 노드(80)는 타겟 액세스 노드(80)와의 업링크 동기화를 수립하기 위해서 TA를 포함하는 업링크 승인을 송신한다.
다운링크 측정 기반 핸드오버에 대한 대안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원리에 의존하는 업링크 측정 기반 핸드오버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옵션으로 USS 구성 및 USS 활성화 커멘드를 UE(50)에 송신하는 소스 액세스 노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USS는 검출된 테스트 빔을 표시하고 업링크 타이밍 레퍼런스로서 서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소스 액세스 노드(70) 및/또는 타겟 액세스 노드(80)는 신호에 대한 측정을 수행한 후 최상의 빔을 결정한다. 하지만, 이 경우, 빔 스위치 커멘드는 USS 구성 메시지에 표시된 시간/주파수 자원 상에서 송신되는 MRS이다.
그런데, UE(50)가 모든 시간의 모든 구성된 MRS를 측정/보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의 MRS 구성의 현재 사용은 본 명세서에서 최적이 아닌 것으로 인식된다. 또한, UE(50)는 MRS 수정 또는 구성마다 RRC 레벨에서 재구성될 충분한 시간 예산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5세대 셀룰러 네트워크(5G)를 포함하는 NG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는 MRS의 구성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핸들링할지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는 2-레벨 MRS 구성에 의한 더 효율적인 MRS 구성 절차 및 시그널링을 제공한다. 2-레벨 MRS 구성은 복수의 MRS 구성에 대한 MRS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그 다음 MRS 구성 중 하나를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한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함으로써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에서의 방법은, MRS 구성 정보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그 다음, 방법은,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후속해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의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방법은, 활성화 커멘드에 응답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의 배열체로서, 무선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와, 송수신기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는, MRS 구성 정보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한다.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하나 이상의 처리 회로는,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후속해서 송신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노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와, 송수신기 회로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된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한다.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처리 회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수신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는, 활성화 커멘드에 응답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술한 방법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요약된 네트워크 노드들 및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구현에 관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특징 및 이점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및 첨부 도면을 볼 때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을 인식할 것이다.
도 1은 다운링크 측정 기반 핸드오버를 도시한다.
도 2는 업링크 측정 기반 핸드오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일례의 방법을 나타내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예의 방법을 도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2-레벨 MRS 구성을 위한 일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의 배열체의 기능적인 구현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의 기능적인 구현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2-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해서 MRS 구성 및 활성화를 핸들링하기 위한 더 효율적인 시그널링 절차를 제공한다. 2-레벨 MRS 구성은, RRC 프로토콜이 MRS의 세트로 UE를 구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1) 느린 (L3) 구성, 및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이 실제 MRS 정보의 사용 대신 인덱싱의 사용에 의해 UE에 대한 RRC-구성된 MRS 세트의 특정 엘리먼트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2) 빠른 (L2) 구성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결정은 벤더 구현 특정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에너지를 절약하거나 시그널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불필요한 MRS 측정 또는 측정 보고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측정 레퍼런스 신호" 및 "MRS"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송신되고 무선 디바이스에 의한 측정을 위해서 특별히 특정된 신호를 언급하고, 여기서 측정은 모빌리티 절차, 예를 들어 한 노드로부터 다른 노드로 또는 한 빔으로부터 다른 노드로의 핸드오버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MRS는 LTE에서 사용되는 PSS(1차 동기화 신호) 및 SSS(2차 동기화 신호)와 같은 셀 특정 동기 신호와 디자인 및/또는 목적에서 유사할 수 있다. 용어 "MRS 구성"은 송신된 MRS에 의해 점유된 물리적인 자원, 즉 시간-주파수 및/또는 코드 자원을 규정하는, 및/또는 MRS를 구성하는 심볼 값의 시퀀스와 같은 신호 시퀀스를 규정하는 파라미터의 세트를 언급한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다른 MRS 구성은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간-주파수 그리드 내의 다른 패턴의 자원 엘리먼트과 같은, 다른 MRS에 대해서 다른 시간-주파수 자원을 특정할 수 있다. 다른 MRS 구성은 대신 또는 부가적으로 심볼 값의 다른 시퀀스를 특정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서, MRS 구성은 서치 공간, 측정 간격 및/또는 측정 주기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은, MRS 구성이 액세스 노드-작동적(access-node-agonistic)이 되게 허용한다. 즉, UE는 이들 구성된 MRS 신호가 물리적으로 매핑되는 어떤 액세스 노드를 알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이는 MRS가 UE에 투명한 방식으로 및 L3 메시지를 UE에 송신하지 않고 수정될 수 있게 허용한다. 이는, 특히 UE가 MRS 수정 또는 새로운 MRS의 구성을 위해서 RRC 레벨에서 재구성될 충분한 시간 예산을 갖지 않을 때 유익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형태는 UE가 필요할 때 MRS만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주어진 그 특정 UE 위치에 관심 있는 MRS에 대해서 측정할 수 있게 한다(즉, UE는 모든 구성된 MRS에 대해서 측정할 필요가 없다). 이 기술은 모빌리티에 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고 더 빠른 절차를 제공하므로, 5G의 가용성 및 심리스(seamless) 모빌리티 요구 사항을 해결한다. 실시형태는, 또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들(BPFs) 사이의 지연이 매우 짧은 스플릿 아키텍처를 지원하지만 BPF와 무선 제어 기능(RCF) 사이의 지연은 BPF들로부터 이격해서 위치될 수 있으로, 상당히 높게 될 수 있다.
도 3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의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를 나타낼 수 있는 네트워크 노드(30)의 도면을 도시한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eNodeB와 같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무선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안테나(34) 및 송수신기 회로(36)를 통해서 구현되는 다운링크 송신 및 업링크 수신을 위한 LTE 에어 인터페이스 또는 WLAN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 회로(36)는,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및 관련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셀룰러 통신, 또는 필요하면 WLAN 서비스의 제공의 목적을 위해서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라, 셀룰러 통신 서비스는 3GPP 셀룰러 표준, GSM, GPRS, WCDMA, HSDPA, LTE 및 LTE-Advanced 중 소정의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코어 네트워크 내의 노드, 다른 피어 무선 노드 및/또는 네트워크 내의 다른 타입의 노드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3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노드(30)는,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 회로(들)(38) 및/또는 송수신기 회로(36)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32)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프로세서(42),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회로(32)는 고정된 회로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서 특별히 구성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된 및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2)는 멀티 코어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32)는, 또한 메모리(4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4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46) 및, 옵션으로 구성 데이터(48)를 저장한다.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46)을 위한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고, 이는 디스크 저장,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저장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의 방식으로, 메모리(44)는 프로세싱 회로(32) 내에 있을 수 있고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32)와 분리될 수 있는 소정의 하나 이상의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46)의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노드(30)에 의해 사용되는 소정의 구성 데이터(48)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비-일시적인"은, 영구, 반영구 또는 적어도 임시 지속 저장을 의미하고, 비-휘발성 메모리에서의 장기 저장 및, 예를 들어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작업 메모리에서의 저장 모두를 망라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배열체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 각각은 네트워크 노드(30)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로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는,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후속해서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즉, 일부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는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네트워크 노드는 활성화 커멘드를 송신할 수 있다.
그 특정 구현 세부 사항에 관계없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는 도 4의 방법(400)과 같은, 상술한 기술 중 하나 이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방법(400)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에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블록 402). 또한, 방법(400)은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후속해서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블록 404).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MRS 구성 정보의 송신(402)은 무선 자원 구성(RRC)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수행되고, 활성화 커멘드의 송신(404)은 매체 액세스 제어(MAC)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수행된다.
방법(400)은, 무선 디바이스(50)에, 무선 디바이스(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해서 중지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방법(400)은, 또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 중 하나에서, 무선 디바이스(50)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MRS를 특정할 수 있고, 각각의 MRS는 MRS 식별자에 대응한다. 각각의 MRS 식별자는 사전 결정된 MRS 시퀀스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서치 공간 식별자를 특정하고, 서치 공간 식별자는,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의 측정을 수행할 때,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전송 자원 영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식별자이다.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측정 간격 및/또는 측정 주기성을 특정할 수 있다.
MRS 구성 정보의 송신은 활성화 커멘드를 송신하는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액세스 노드(70)는 MRS 구성 정보를 UE(50)에 송신할 수 있지만, 인덱싱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UE(50)에 송신하는 것은 타겟 액세스 노드(80)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도 5의 UE(50)로 언급되는 일례의 무선 디바이스(50)를 도시한다. UE(50)는, 또한 네트워크에서 동작할 수 있는 소정의 무선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UE(50)는 무선 신호를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UE와 통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무선 디바이스일 수 있다. UE(50)는, 또한, 다양한 컨텍스트에서, 무선 통신 디바이스, 타겟 디바이스,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D2D) UE, 머신-머신(M2M) 통신이 가능한 머신-타입 UE 또는 UE, 센서-장비된 U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태블릿, 모바일 단말, 스마트폰, LEE(laptop-embedded equipment), LME(wireless-mounted equipment), 무선 USB 동글, 고객 구내 장비(CPE) 등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UE(50)는 안테나(54) 및 송수신기 회로(56)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무선 노드 또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와 같은 기지국과 통신한다. 송수신기 회로(56)는, 송신기 회로, 수신기 회로 및 관련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셀룰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무선 액세스 기술에 따라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된다.
UE(50)는, 또한 무선 송수신기 회로(56)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고 이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52)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회로(52)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프로세싱 회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콘트롤러,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프로세싱 회로(52)는 고정된 회로 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기능성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명령의 실행을 통해서 특별히 적응되는 프로그램가능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고정된 및 프로그램된 회로의 일부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멀티 코어일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또한 메모리(6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메모리(64)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66) 및, 옵션으로 구성 데이터(68)를 저장한다. 메모리(64)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을 위한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고, 이는 디스크 저장,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 저장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의 방식으로, 메모리(64)는 프로세싱 회로(52) 내에 있을 수 있고 및/또는 프로세싱 회로(52)와 분리될 수 있는 소정의 하나 이상의 SRAM, DRAM, EEPROM 및 FLASH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모리(44)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의 비-일시적인 저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타입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및 사용자 장비(50)에 의해 사용되는 소정의 구성 데이터(68)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UE(50)의 프로세싱 회로(52)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30)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또한, 프로세싱 회로(52)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UE(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활성화 커멘드는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한 네트워크 노드(30)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싱 회로(52)는, 또한 활성화 커멘드에 응답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그 특정 구현 세부 사항에 관계없이, UE(50)의 프로세싱 회로(52)는 도 6의 방법(600)과 같은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방법(600)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30)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블록 602). 방법(600)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UE(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블록 604). 방법(600)은, 또한 활성화 커멘드에 응답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고(블록 606),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는(블록 608)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MRS 구성 정보의 수신은 RRC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수행되고, 활성화 커멘드의 수신은 MAC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수행된다.
방법(600)은 UE(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고,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한 측정을 중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방법(600)은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UE(50)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MRS를 특정하고, 각각의 MRS는 MRS 식별자에 대응한다.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서치 공간 식별자를 특정할 수 있다. 서치 공간 식별자는,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의 측정을 수행할 때, UE(50)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전송 자원 영역 중 하나를 표시한다. MRS 중 제1의 MRS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한 서치는 표시된 전송 자원 영역을 사용해서 수행된다.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측정 간격 및/또는 측정 주기성을 특정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2-레벨 MRS 구성을 위한 배열체(10)의 일례의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 소스 액세스 노드(70) 및/또는 타겟 액세스 노드(80)는 배열체(10)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에 대해서 기술된 바와 같이, 2개의 레이어 L3 및 L2을 사용해서 MRS 구성 및 활성화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RAN의 중앙 부분에 위치할 수 있는 L3 콘트롤(90)(예를 들어, 5G 콘택스트에서 원격 제어 유닛/무선 제어 기능(RCU/RCF))은, MRS의 구성 및 계획 책임이 있다. 도 7a 및 도 7b 모두에서 단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L3 콘트롤(90)은 MRS 구성의 세트로 UE(50)를 구성하고, L3 시그널링에 의해 MRS 구성을 반송한다(예를 들어, RRC 프로토콜을 사용). 단계 2에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데이터는, 패킷 프로세싱 기능(PPF)에 유저 데이터를 포워딩하고 이로부터 유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액세스 노드(70) 내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으로, UE(50)와 소스 액세스 노드(70) 사이에서 교환된다.
소스 및 타겟 액세스 노드들(70, 80)은 단계 3 및 4에서 MRS 할당 및 활성화를 요청 및 확인한다. 절차의 이 부분은 UE에 투명하다.
단계 5에서, L2 시그널링(MAC 프로토콜)은, 완전한 MRS 구성 정보로 호출하는 대신, 개별적인 MRS의 인덱스를 표시함으로써 UE(50)에 대한 RRC-구성된 MRS 세트의 특정 MRS 구성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특정 MRS 구성 또는 MRS 구성의 세트의 활성화(및 비활성화)는 레이어 2(L2), 즉 MAC 레이어에서 핸들링될 수 있는데, 이는 분산된 아키텍처를 갖는 액세스 노드에서, 예를 들어 5G 콘택스트에서의 액세스 노드의 베이스밴드 프로세싱 유닛/베이스밴드 프로세싱 기능(BPU/BPF)에서 액세스 노드의 안테나(들)에 근접한 분산된 노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비교적 느린 RRC 기반 구성 절차와 비교해서 MRS 활성화 및 비활성화의 더 빠른 제어를 허용한다. 이는, 더 신속할뿐 아니라 제어 정보 비트를 절약한다.
BPU는 모빌리티를 로컬하게 핸들링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MRS 구성 세트를 UE에 송신한 후, 어떤 MRS를 서치할지를 선택적으로 UE(50)에 알릴 수 있는 가능성이, 장점이 된다. BPU에서 도입된 유연성을 통해서, MRS는 어떻게 및 언제 MRS를 재사용할지를 결정하는 것과 같은, 모빌리티를 수행할 때, 스마트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는 소정의 UE 구성된 MRS를 활성화할 수 있고, 이것이 일어나게 되는 RRC 및 왕복 지연을 포함하지 않고, UE(50)에 이를 서치할 것을 알릴 수 있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위해서 MRS 인덱스를 갖는 더 빠른 L2 시그널링을 사용함으로써, UE(50)는, 또한 모든 구성된 MRS를 연속적으로 검색하지 않음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한다. 하지만, UE에 의해 끊임없이 서치하거나 또는 활성화될 때만 서치하는 옵션은, RRC 메시지 내의 구성 옵션만 아니라 더 느린 (L3) MRS 구성의 부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에 따르면, 소스 액세스 노드(70)는 L3 MRS 구성 메시지에 의해 MRS의 세트에 대해서 UE(50)를 능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MRS의 실제 할당 및 활성화는 UE(50)에 투명한 방식으로 소스 액세스 노드(70)와 타겟 액세스 노드(80) 사이에서 나중에 협상될 수 있다. UE(50)에 의해 사용되는 특정 MRS가 L3 구성을 재 참여시키는 대신 L2 활성화 메시지에 의해 간단히 인덱싱될 수 있으므로, UE(50)는 타겟 액세스 노드(80)를 더 빠르게 측정하고 이와 동기화될 수 있다. MRS 구성의 RRC 시그널링된 리스트는, 예를 들어 표 1로 도시될 수 있다.
색인 MRS ID의 리스트 서치 공간 ID
1 1, 2, 3, 4 1
2 3, 4 2
3 1, 2 2
...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MRS ID에 의해 리스트에서 식별되는 표준화된 MRS 시퀀스의 세트가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사양에서 서치 공간 리스트가 있을 수 있는데, 이들은 서치 공간 ID로 리스트에서 식별된다. 그 다음, MAC 레벨에 대한 측정 활성화는 UE(50)에 구성된 표의 소정의 행을 포인팅하는 인덱스 값, 예를 들어 표 1로 나타낸 표를 포함한다. 표는 상당히 길 수 있으므로, MRS 신호 및, 옵션으로 서치 공간의 넓은 다양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핸드오버 전에 UE(50)에 길게 시그널링될 수 있으므로, UE(50)가 빔의 중간에 있는 포인트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고 신호는 강하므로, 상대적인 시그널링 코스트는 작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의 프로세스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기술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사용해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의 기능적인 구현은 기능 모듈의 면에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각각의 기능 모듈은 적합한 프로세서에서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 유닛에 또는 기능적인 디지털 하드웨어 회로에 또는, 이들의 어떤 조합에 대응한다.
도 8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배열체(10)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례의 기능 모듈 또는 회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구현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에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MRS 구성 모듈(802)을 포함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구현은, 또한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에 후속해서 송신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804)을 포함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활성화 모듈(804)은, 또한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위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 9는 UE(50)와 같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일례의 기능 모듈 또는 회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구현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MRS 구성 모듈(902)을 포함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한다. 구현은,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후속해서 수신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904)을 포함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한다. 구현은,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기 위한 서치 모듈(906) 및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기 위한 측정 모듈(908)을 포함한다.
특히, 개시된 발명(들)의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는 상술한 설명 및 관련된 도면에 제시된 교시의 이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개시된 특정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수정 및 다른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은 제한적인 목적이 아닌 일반적이고 기술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Claims (42)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에서의 방법(400)으로서, 방법(400)은,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402)하는 단계로서,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송신하는 단계와,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404)하는 단계로서,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MRS 구성 정보의 송신(402)은 활성화 커멘드의 송신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방법.
  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에서의 방법(600)으로서, 방법(600)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30)로부터,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수신(602)하는 단계로서,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는, 수신하는 단계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수신(604)하는 단계로서,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수신하는 단계와,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서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608)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MRS 구성 정보의 수신(602)은 활성화 커멘드의 수신과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무선 디바이스(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수신하는 단계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의 측정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배열체로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 각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5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36)와,
    송수신기 회로(36)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된 프로세싱 회로(32)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는,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배열체.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 중 하나는 MRS 구성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 중 다른 하나는 활성화 커멘드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배열체.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는, 무선 디바이스(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는, 배열체.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32)는 무선 디바이스(50)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배열체.
  11.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MRS를 특정하고, 각각의 MRS는 MRS 식별자에 대응하는, 배열체.
  12.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MRS 식별자는 사전 결정된 MRS 시퀀스에 대응하는, 배열체.
  13.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서치 공간 식별자를 특정하고, 서치 공간 식별자는,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의 측정을 수행할 때,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전송 자원 영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배열체.
  14.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하나 이상의 측정 갭 및 측정 주기성을 특정하는, 배열체.
  15.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50)로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송수신기 회로(56)와,
    프로세싱 회로(52)를 포함하고, 프로세싱 회로(52)는, 송수신기 회로(56)와 동작 가능하게 관련되고,
    네트워크 노드(30)로부터,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서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노드와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무선 디바이스(50)가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중지하는 것을 표시하는 비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고, 비활성화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MRS 구성 중 제2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의 측정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프로세싱 회로(52)는,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에 대한 측정 데이터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측정되는 복수의 MRS를 특정하고, 각각의 MRS는 MRS 식별자에 대응하는, 무선 디바이스.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서치 공간 식별자를 특정하고, 서치 공간 식별자는,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MRS의 측정을 수행할 때,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전송 자원 영역 중 하나를 표시하며, 프로세싱 회로(52)는 표시된 전송 자원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를 서치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1.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은 하나 이상의 측정 갭 및 측정 주기성을 특정하는, 무선 디바이스.
  22.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46)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44)로서, 프로그램 명령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배열체(10)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회로(32) 상에서 실행될 때,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30)가,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무선 디바이스(50)에 송신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무선 디바이스(50)에 후속해서 송신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3.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66)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64)로서, 프로그램 명령은,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무선 디바이스(50)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회로(52) 상에서 실행될 때, 무선 디바이스(50)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노드(30)로부터, 모빌리티 또는 측정 레퍼런스 신호(MRS) 구성 정보를 수신하고, MRS 구성 정보는 복수의 MRS 구성 각각에 대해서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를 특정하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MRS 구성 중 적어도 제1의 MRS 구성이 무선 디바이스(50)에 의해 사용되는 것을 표시하는 활성화 커멘드를 수신하고, 활성화 커멘드는 복수의 MRS 구성 중으로부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을 식별하는 인덱스를 포함하며,
    MRS 구성 중 제1의 MRS 구성에 의해서 특정된 적어도 하나의 MRS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측정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4. 컴퓨터 프로그램(46, 66)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으로서,
    프로세싱 회로(32, 52) 상에서 실행될 때, 프로세싱 회로(32, 52)가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400, 600)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KR1020197003824A 2016-08-12 2016-08-12 2-레벨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구성 KR1021715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94805 WO2018027886A1 (en) 2016-08-12 2016-08-12 Two-level mobility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876A KR20190027876A (ko) 2019-03-15
KR102171546B1 true KR102171546B1 (ko) 2020-10-30

Family

ID=6116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824A KR102171546B1 (ko) 2016-08-12 2016-08-12 2-레벨 모빌리티 레퍼런스 신호 구성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4) US10244419B2 (ko)
EP (2) EP3498000B1 (ko)
JP (1) JP6980758B2 (ko)
KR (1) KR102171546B1 (ko)
CN (1) CN109691198B (ko)
DK (1) DK3498000T3 (ko)
ES (2) ES2820853T3 (ko)
HU (1) HUE050616T2 (ko)
MX (1) MX2019001563A (ko)
PL (1) PL3691174T3 (ko)
WO (1) WO2018027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9008951A2 (pt) * 2016-11-04 2019-07-09 Ericsson Telefon Ab L M método realizado por um dispositivo sem fio para transferência, e, dispositivo e sistema de comunicação sem fio para transferência.
WO2019159096A1 (en) 2018-02-16 2019-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ptimized reconfiguration of rlm and beam monitoring parameters
CN111866908B (zh) * 2019-04-30 202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系统和网络设备
WO2023131451A1 (en) * 2022-01-07 2023-07-13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984A1 (en) * 2014-12-17 2016-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ity signals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wireless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49562B1 (en) 2005-10-31 2016-11-1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 measurement report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CN101541029B (zh) * 2009-04-27 2015-0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载波聚合情况下测量参考信号的发送方法和装置
CN101827444B (zh) * 2010-03-31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测量参考信号的信令配置系统及方法
KR101967296B1 (ko) * 2011-01-10 2019-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참조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226185B2 (en) * 2011-07-01 2015-12-29 Lg Electronics Inc. Cell measurement method and terminal
US8395985B2 (en) * 2011-07-25 2013-03-12 Ofinno Technologies, Llc Time alignment in multicarrier OFDM network
EP2725845B1 (en) * 2011-08-05 2018-05-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erminal, transmitting device, reception quality reporting method and reception method
CN103096346A (zh) * 2011-11-03 2013-05-08 华为技术有限公司 测量参考信号srs发送和信道检测的方法、装置及终端
CN103546940A (zh) * 2012-07-17 2014-01-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感知系统中进行小区搜索的方法及装置
US9456358B2 (en) * 2012-08-13 2016-09-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ctive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 configurations
US11496948B2 (en) * 2012-10-19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ad-hoc/network assisted device discovery protocol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RU2604639C1 (ru) * 2012-10-30 2016-12-10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улучшенного физического канала управления ни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устройство на стороне сети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WO2014077742A1 (en) * 2012-11-13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antenna mapping configuration
EP3066807A1 (en) * 2013-11-08 2016-09-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acilitating blind detection of pilot sequen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50189574A1 (en) * 2013-12-26 2015-07-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for dormant cell signaling for advanced cellular network
JP2017108195A (ja) * 2014-04-24 2017-06-15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US9491575B2 (en) * 2014-06-13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Positioning beacons with wireless backhaul
EP3606178B1 (en) * 2014-08-07 2021-10-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ligning measurement gaps and discovery signals
WO2016055095A1 (en) * 2014-10-07 2016-04-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obility in dense networks
WO2016060523A1 (en) * 2014-10-17 2016-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hannel measurement of unlicensed carrier in cellular on unlicensed band systems
WO2016072791A1 (en) * 2014-11-06 2016-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fficient operation of lte cells on unlicensed spectrum
KR102363547B1 (ko) * 2014-11-26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빔포밍을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07211296B (zh) * 2015-01-20 2020-11-03 Lg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激活/停用小区的方法及其装置
US10574423B2 (en) * 2016-02-16 2020-0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ruption level with RSSI-based measurements
WO2017171305A1 (ko) * 2016-03-29 201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보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67677B2 (en) * 2016-05-13 2019-07-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architecture, methods, and devices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11297519B2 (en) * 2016-07-05 2022-04-05 Qualcomm Incorporated Cell measurement
US10333672B2 (en) * 2016-07-28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Semi-persistent measurement reference signal (MRS) configuration
KR20220151301A (ko) * 2021-05-06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협력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984A1 (en) * 2014-12-17 2016-06-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transmitting mobility signals and related network nodes and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20853T3 (es) 2021-04-22
EP3498000B1 (en) 2020-06-24
EP3691174C0 (en) 2023-10-04
JP2019528010A (ja) 2019-10-03
WO2018027886A1 (en) 2018-02-15
EP3691174B1 (en) 2023-10-04
HUE050616T2 (hu) 2021-01-28
CN109691198A (zh) 2019-04-26
ES2964755T3 (es) 2024-04-09
DK3498000T3 (da) 2020-08-10
JP6980758B2 (ja) 2021-12-15
EP3498000A4 (en) 2019-07-24
EP3498000A1 (en) 2019-06-19
US20190200253A1 (en) 2019-06-27
US20220070715A1 (en) 2022-03-03
KR20190027876A (ko) 2019-03-15
US20180288642A1 (en) 2018-10-04
US11202219B2 (en) 2021-12-14
US10244419B2 (en) 2019-03-26
PL3691174T3 (pl) 2024-03-11
CN109691198B (zh) 2023-06-23
MX2019001563A (es) 2019-06-20
US20200178106A1 (en) 2020-06-04
EP3691174A1 (en) 2020-08-05
US10638350B2 (en) 2020-04-28
JP2022033785A (ja) 202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98582B2 (ja) Ue及びその方法
US20200374938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ES2959852T3 (es) Identificación de un haz para acceder a una celda de destino de un traspaso inalámbrico
KR101891571B1 (ko) eNodeB, MME, eNodeB의 방법, 및 MME의 방법
US20160021632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mmon signal and apparatus thereof
KR102283448B1 (ko) 랜덤 액세스 방법, 장치, 시스템, 단말기 및 기지국
US11202219B2 (en) Two-level mobility reference signal configuration
EP3095268B1 (en) Obtaining information relating to additional supported frequency bands of neighbor cells at a serving cell of a user equipment
CN110710311B (zh) 波束失败事件的触发条件的配置方法、装置和通信系统
WO2020078318A1 (zh) 通信方法及装置
JP6761542B2 (ja) 端末、プリアンブル送信方法及び基地局
WO2016045404A1 (zh) 网络辅助式干扰删除与抑制及其控制方法、装置
EP3533257B1 (en) Neighbor relation establish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KR20200003820A (ko) 불연속 수신을 위한 방법과 장치
JP7496344B2 (ja) 二つのレベルのモビリティリファレンス信号設定
JP7088832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WO2018203804A1 (en) Methods for reducing cell search time under coverage enhan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