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832B1 - 난연성 카트 커버 - Google Patents

난연성 카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832B1
KR102170832B1 KR1020200079356A KR20200079356A KR102170832B1 KR 102170832 B1 KR102170832 B1 KR 102170832B1 KR 1020200079356 A KR1020200079356 A KR 1020200079356A KR 20200079356 A KR20200079356 A KR 20200079356A KR 102170832 B1 KR102170832 B1 KR 102170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tongs
retardant
protruding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자
김승복
Original Assignee
조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민자 filed Critical 조민자
Priority to KR1020200079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4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transparenc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카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구비하며, 난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연성 카트 커버{FLAME RETARDANT CART COVER}
본 발명은 난연성 카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슬라이더에 의해 보다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난연성 카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카트는 일반 도로가 아닌 좁은 도로에서 이동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로 전기를 이용하는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골프장에서 이동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카트는 하체 프레임의 하부에 네 모서리에 바퀴가 장착되고, 하체 프레임의 상부는 조작을 위한 장치들과 의자가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수직 샤프트를 추가하여 상부에 그늘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사방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나, 날씨가 좋지 않은 상황이나 먼지가 많고, 불이 나기 쉬운 작업장에서는 카트의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카트의 사용자가 앉아있는 곳과 외부를 나눌 필요가 있게 된다.
또한, 카트의 내부와 외부가 나눠지는 경우 투명한 필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야는 확보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승차 및 하차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584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7190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난연성 카트 커버를 이용하여 카트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여 카트 내부의 사용자를 비, 먼지 및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불에 타지 않기 때문에 사용중 외부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카트 커버 내부의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난연성 카트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은, 카트 커버를 장착한 카트에서 사용자가 승차 하차를 돕기 위해 카트 커버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난연성 카트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난연성 카트 커버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차광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구비하며, 난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결합 과정을 통해 결합시키고, 분리 과정을 통해 두 개로 분리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개폐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이빨부 및 이빨부의 일측 끝단에 마주보는 형태의 정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부, 난연성 시트와 결합부를 연결하는 테이프부 및결합부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테이프부는, 테이프부의 상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렉기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슬라이더부는, 이빨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일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를 결합시키고, 타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를 분리시키는 바디부,
이빨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이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부를 고정시키는 집게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부는, 결합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디 상판부,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디 하판부, 바디 상판부와 바디 하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바디 상판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바디 하판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로 넓게 펴저서 테이프부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는, 지지부의 구멍을 따라 좌우로 이어지는 구동 샤프트부, 구동 샤프트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렉기어부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구동 샤프트부의 중심에 고정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부, 바디 상판부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구동 샤프트부에서 풀리도록 와이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권취부 및 바디 상판부의 상부 다른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인 구동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게부는, 정지부 상측 및 테이프부의 상측에 걸쳐서 고정 배치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된 집게 하판부, 집게 하판부의 돌출된 부분이 맞물릴 수 있도록 중심부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된 집게 상판부, 집게 하판부와 집게 상판부의 돌출된 부분의 천공된 부분을 따라 관통하는 집게 샤프트부, 집게 상판부의 하측면의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구동 걸림부와 맞물려서 결합하는 집게 고정부, 집게 샤프트부에 위치하며, 집게 상판부의 집게 고정부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집게 상판부의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되는 집게 푸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과정은, 슬라이더부가 결합부를 따라 정지부가 위치한 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키는 결합 단계, 슬라이더부가 후진으로 이동하면 렉기어부를 따라 피니언 기어부 및 구동 샤프트가 회전하는 후진 회전 단계, 구동 샤프트부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부가 권취부에서 풀려나와 구동 샤프트부에 감기게 되는 감김 단계 및 슬라이더부가 정지부에 의해 정지하게 되고, 구동 걸림부가 집게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리 과정은 푸쉬부에 압력이 가해져서 집게 고정부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구동 걸림부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는 해제 단계, 구동 걸림부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권취부가 와이어부에 장력을 가하여 구동 샤프트부에서 와이어부가 풀리게 되는 풀림 단계, 와이어부의 풀림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 및 피니언 기어부가 회전하게 되는 전진 회전 단계 및 피니언 기어부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부가 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를 분리시키는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난연성 카트 커버를 이용하여 카트의 내부와 외부를 분리하여 카트 내부의 사용자를 비, 먼지 및 기타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불에 타지 않기 때문에 사용중 외부의 화재가 발생한 경우 카트 커버 내부의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카트 커버를 장착한 카트에서 사용자가 승차 하차를 돕기 위해 카트 커버를 편리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카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를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2의 난연성 카트 커버에서 개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카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를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포함한다.
난연성 시트(100)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110) 및 차광부(110)와 연결되고,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30)를 구비한다.
카트(C)의 사용자에게 시야 확보가 필요한 부분은 투광부(130)를 배치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태양빛의 반사 및 지저분한 부분를 가리기 위해 차광부(110)를 배치할 수 있다.
투광부(130) 및 차광부(110)는 모두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카트(C) 사용중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카트(C)를 타고 대피할 수 있고, 반대로 카트(C)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난연성 시트(100)는 전체가 하나의 조각으로 제작하여 카트(C)에 적용할 수 있지만, 카트(C)의 형태의 차이가 조금씩 있고, 제작 및 운반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조각을 제작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난연성 시트(100)에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차광부(110) 및 투광부(1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난연성 시트(100)의 테투리에는 결합, 분리 및 개폐를 위해서 개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하여 카트(C)에 적용한 후에는 분리를 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사용자의 승차와 관련된 부분은 승하차를 하기 위해 승차 및 하차 후에는 결합하여 닫아두고, 승차 및 하차를 위해 분리하여 열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10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승차 및 하차를 하는 개폐부(300)에는 개폐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개폐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 과정(S100)을 통해 결합시키고, 분리 과정(S300)을 통해 두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 과정(S100) 및 분리 과정(S3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와 함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2의 난연성 카트 커버에서 개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300)는 결합부(400), 테이프부(500) 및 슬라이더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결합부(400)는 이빨부(410) 및 정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빨부(4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간격은 난연성 시트(100)의 크기, 제조상 편의를 위해 정해지는 것으로 반드시 특정한 값으로 정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빨부(410)는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하게 해주며,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정지부(430)는 이빨부(4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며, 마주볼 수 있다. 정지부(430)는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가 이빨부(410)를 벗어나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빨부(410)의 끝에 배치되는 것이다.
테이프부(500)는 난연성 시트(100)와 결합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테이프부(500)는 일측에 이빨부(410)가 결합되어 있으며, 난연성 시트(10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강한 압력으로 압착하여 결합할 수 있고, 인조 섬유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결합부(40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부(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결합부(400) 중에서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의 마주보는 이빨부(4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력의 개입없이 움직이는 슬라이더부(600)를 구현하려고 한다.
한편, 테이프부(500)는 렉기어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렉기어부(510)는 테이프부(500)의 상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테이프부(500)는 난연성 시트(100)의 테투리를 따라 형성되고,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의 이동을 위해 상측면을 따라 렉기어부(510)가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부(600)는 바디부(610), 구동부(630) 및 집게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일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410)를 결합시키고, 타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와 직접적으로 닿아서 이빨부(41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부분이다.
구동부(630)는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6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630)는 바디부(610)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집게부(650)는 이빨부(4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부(6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집게부(650)는 바디부(610)가 구동부(630)에 의해 이동하려는 상태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바디부(610)는 바디 상판부(611), 바디 하판부(612), 연결부(613), 지지부(614) 및 받침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상판부(611)는 결합부(400)의 상측에 위치하고, 바디 하판부(612)는 결합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연결부(613)는 바디 상판부(611)와 바디 하판부(612)를 연결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의 상하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바디 상판부(611), 하측에는 바디 하판부(612)가 위치하며, 연결부(613)가 바디 상판부(611)와 바디 하판부(612)를 연결하게 된다.
지지부(614)는 바디 상판부(6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14)는 바디 상판부(611)에 상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삼각형의 형태이며, 위쪽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구멍은 후술하는 구동 샤프트부(631)가 끼워서 결합된다.
받침부(615)는 바디 하판부(612)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로 넓게 펴저서 테이프부(500)의 하단을 받칠 수 있다.
받침부(615)는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부(632)에 의해 렉기어부(510)가 밀려나가서 기어가 서로 물리지 않아 힘의 전달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받침부(615)는 바디 하판부(612)에서 연장되어 렉기어부(510)의 아래로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렉기어부(51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부(630)는 구동 샤프트부(631), 피니언 기어부(632), 와이어부(633), 구동 본체부(634), 권취부(635) 및 구동 걸림부(6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30)는 슬라이더부(600)가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구성이다.
구동 샤프트부(631)는 지지부(614)의 구멍을 따라 좌우로 이어지고, 피니언 기어부(632)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렉기어부(510)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631)는 지지부(614)의 천공 구멍을 따라 좌우로 연결되고, 각각의 끝에는 렉기어부(51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632)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부(631)와 피니언 기어부(632)는 축이 동일하며, 구동 샤프트부(6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가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부(633)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중심에 고정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와이어부(633)는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되며, 구동 샤프트부(631)의 중심에 연결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길 수 있으며, 후술하는 권취부(635)의 장력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풀릴 수 있다.
권취부(635)는 바디 상판부(611)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풀리도록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권취부(635)는 내부에서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연결된 와이어부(633)를 끌어당기는 장력을 통해 와이어부(633)를 감아두는 역할을 한다. 권취부(635)는 줄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권취부(635)의 자세한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권취부(635)는 와이어부(633)를 끌어당겨서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를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구동 걸림부(636)는 바디 상판부(611)의 상부 다른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일 수 있다.
구동 걸림부(636)는 권취부(635)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잡아두기 위해 후술하는 집게부(650)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이다.
집게부(650)는 집게 상판부(651), 집게 하판부(652), 집게 샤프트부(653), 탄성부(654), 집게 고정부(655) 및 푸쉬부(656)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650)는 구동부(630)의 구동 걸림부(636)에 걸쳐져서 구동부(6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게 하판부(652)는 정지부(430)의 상측 및 테이프부(500)의 상측에 걸쳐서 고정 배치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될 수 있다.
집게 하판부(652)는 난연성 시트(1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지부(430)와 테이프부(500)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측면의 중심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좌우로 천공이 되는데, 여기에는 후술하는 집게 샤프트부(653)가 삽입 연결된다.
집게 상판부(651)는 집게 하판부(652)의 돌출된 부분이 맞물릴 수 있도록 중심부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될 수 있다.
집게 상판부(651)는 집게 하판부(652)와 대응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집게 하판부(652)와 마찬가지로 하측면의 중심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좌우로 천공되며, 여기에도 후술하는 집게 샤프트부(653)가 삽입 연결되어, 집게 상판부(651)와 집게 하판부(652)가 결합된다.
집게 샤프트부(653)는 집게 하판부(652)와 집게 상판부(651)의 돌출된 부분의 천공된 부분을 따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집게 상판부(651)와 집게 하판부(652)는 집게 샤프트부(653)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집게 고정부(655)는 집게 상판부(651)의 하측면의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구동 걸림부(636)와 맞물려서 결합할 수 있다.
집게 고정부(655)는 집게 상판부(651)의 하측면에서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구동 걸림부(636)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걸림부(636)에 대응하는 형태로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이 되어 구동 걸림부(636)에 걸릴 수 있게 된다.
탄성부(654)는 집게 샤프트부(653)에 위치하며, 집게 상판부(651)의 집게 고정부(655)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654)는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 고정부(655)의 돌출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위 방향으로 들어올리려면, 별도로 외력을 가해주어야 한다.
집게 푸쉬부(656)는 집게 상판부(651)의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집게 푸쉬부(656)는 집게 상판부(651)에서 집게 고정부(655)의 대각 반대편, 즉,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된다.
슬라이더부(600)가 카트의 위쪽에 있을 ‹š, 이빨부(410)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고, 슬라이더부(600)가 카트(C)의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이빨부(410)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도달하면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으며, 이빨부(410)는 전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도달하면,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 의해 고정되어 이빨부(410)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이빨부(41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더부(600)를 위로 올려야 하는데, 슬라이더부(600)가 아래에 있고, 난연성 시트(100)가 단단한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슬라이더부(600)를 위로 끌어올리기 위해 허리를 숙여서 끌어올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난연성 카트 커버(10)에 있어서 집게 푸쉬부(656)를 발로 밟아주면, 집게 푸쉬부(656)의 반대쪽에 위치한 집게 고정부(655)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구동 걸림부(636)에 가해진 고정력이 해제된다.
구동 걸림부(636)에 가해지는 고정력이 제거되면, 권취부(635)는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발생시켜서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하면, 외부면의 기어가 렉기어부(510)에 맞물려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부(600)가 스스로 이동하게 되어 이빨부(410)를 분리시키고, 슬라이더부(600)가 이빨부(410)의 반대측 정지부(430)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면,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와 분리되어 사용자는 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결합 과정(S100)은 결합 단계(S110), 후진 회전 단계(S130), 감김 단계(S150) 및 고정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단계(S110)는 슬라이더부(600)가 결합부(400)를 따라 정지부(430)가 위치한 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후진 회전 단계(S130)는 슬라이더부(600)가 후진으로 이동하면 렉기어부(510)를 따라 피니언 기어부(632) 및 구동 샤프트부(631)가 회전할 수 있다.
감김 단계(S150)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부(633)가 권취부(635)에서 풀려나와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길 수 있다.
고정 단계(S170)는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의해 정지하게 되고,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리 과정(S300)은 해제 단계(S310), 풀림 단계(S330), 전진 회전 단계(S350) 및 분리 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단계(S310)는 푸쉬부(656)에 압력이 가해져서 집게 고정부(655)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구동 걸림부(63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풀림 단계(S330)는 구동 걸림부(63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권취부(635)가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가하여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와이어부(633)가 풀릴 수 있다.
전진 회전 단계(S350)는 와이어부(633)의 풀림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할 수 있다.
분리 단계(S370)는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부(600)가 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카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를 적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포함한다.
난연성 시트(100)는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110) 및 차광부(110)와 연결되고,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130)를 구비한다.
카트(C)의 사용자에게 시야 확보가 필요한 부분은 투광부(130)를 배치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태양빛의 반사 및 지저분한 부분를 가리기 위해 차광부(110)를 배치할 수 있다.
투광부(130) 및 차광부(110)는 모두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 소재를 사용하여 카트(C) 사용중 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카트(C)를 타고 대피할 수 있고, 반대로 카트(C)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난연성 시트(100)는 전체가 하나의 조각으로 제작하여 카트(C)에 적용할 수 있지만, 카트(C)의 형태의 차이가 조금씩 있고, 제작 및 운반상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조각을 제작한 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난연성 시트(100)에는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차광부(110) 및 투광부(1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난연성 시트(100)의 테투리에는 결합, 분리 및 개폐를 위해서 개폐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하여 카트(C)에 적용한 후에는 분리를 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사용자의 승차와 관련된 부분은 승하차를 하기 위해 승차 및 하차 후에는 결합하여 닫아두고, 승차 및 하차를 위해 분리하여 열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10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승차 및 하차를 하는 개폐부(300)에는 개폐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개폐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 과정(S100)을 통해 결합시키고, 분리 과정(S300)을 통해 두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결합 과정(S100) 및 분리 과정(S300)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와 함꼐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2의 난연성 카트 커버에서 개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개폐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은 개폐부의 일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300)는 결합부(400), 테이프부(500) 및 슬라이더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고, 이를 위해 결합부(400)는 이빨부(410) 및 정지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빨부(410)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간격은 난연성 시트(100)의 크기, 제조상 편의를 위해 정해지는 것으로 반드시 특정한 값으로 정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빨부(410)는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를 결합하게 해주며,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된다.
정지부(430)는 이빨부(410)의 일측 끝단에 위치하며, 마주볼 수 있다. 정지부(430)는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가 이빨부(410)를 벗어나서 이탈되지 않도록 이빨부(410)의 끝에 배치되는 것이다.
테이프부(500)는 난연성 시트(100)와 결합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테이프부(500)는 일측에 이빨부(410)가 결합되어 있으며, 난연성 시트(100)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결합할 수 있다. 강한 압력으로 압착하여 결합할 수 있고, 인조 섬유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결합부(40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결합부(40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결합부(400) 중에서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의 마주보는 이빨부(4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부(600)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이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외력의 개입없이 움직이는 슬라이더부(600)를 구현하려고 한다.
한편, 테이프부(500)는 렉기어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렉기어부(510)는 테이프부(500)의 상측면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테이프부(500)는 난연성 시트(100)의 테투리를 따라 형성되고, 후술하는 슬라이더부(600)의 이동을 위해 상측면을 따라 렉기어부(510)가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더부(600)는 바디부(610), 구동부(630) 및 집게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일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410)를 결합시키고, 타방으로 이동하면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와 직접적으로 닿아서 이빨부(41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부분이다.
구동부(630)는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바디부(6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630)는 바디부(610)가 사용자의 개입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집게부(650)는 이빨부(410)가 결합된 상태에서 구동부(6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집게부(650)는 바디부(610)가 구동부(630)에 의해 이동하려는 상태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바디부(610)는 바디 상판부(611), 바디 하판부(612), 연결부(613), 지지부(614) 및 받침부(615)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상판부(611)는 결합부(400)의 상측에 위치하고, 바디 하판부(612)는 결합부(4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연결부(613)는 바디 상판부(611)와 바디 하판부(612)를 연결할 수 있다.
바디부(610)는 이빨부(410)의 상하에 위치하며, 상측에는 바디 상판부(611), 하측에는 바디 하판부(612)가 위치하며, 연결부(613)가 바디 상판부(611)와 바디 하판부(612)를 연결하게 된다.
지지부(614)는 바디 상판부(61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614)는 바디 상판부(611)에 상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삼각형의 형태이며, 위쪽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한다. 구멍은 후술하는 구동 샤프트부(631)가 끼워서 결합된다.
받침부(615)는 바디 하판부(612)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로 넓게 펴저서 테이프부(500)의 하단을 받칠 수 있다.
받침부(615)는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부(632)에 의해 렉기어부(510)가 밀려나가서 기어가 서로 물리지 않아 힘의 전달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받침부(615)는 바디 하판부(612)에서 연장되어 렉기어부(510)의 아래로 연장되어 배치됨으로써, 렉기어부(510)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구동부(630)는 구동 샤프트부(631), 피니언 기어부(632), 와이어부(633), 구동 본체부(634), 권취부(635) 및 구동 걸림부(6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630)는 슬라이더부(600)가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구성이다.
구동 샤프트부(631)는 지지부(614)의 구멍을 따라 좌우로 이어지고, 피니언 기어부(632)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렉기어부(510)와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다.
구동 샤프트부(631)는 지지부(614)의 천공 구멍을 따라 좌우로 연결되고, 각각의 끝에는 렉기어부(510)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부(632)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샤프트부(631)와 피니언 기어부(632)는 축이 동일하며, 구동 샤프트부(631)의 회전에 의해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할 수 있고, 반대로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가 회전할 수 있다.
와이어부(633)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중심에 고정 연결되고,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와이어부(633)는 강력한 인장력을 갖는 플라스틱 섬유로 제작되며, 구동 샤프트부(631)의 중심에 연결 설치되어,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길 수 있으며, 후술하는 권취부(635)의 장력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풀릴 수 있다.
권취부(635)는 바디 상판부(611)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풀리도록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권취부(635)는 내부에서 회전력을 발생시켜서 연결된 와이어부(633)를 끌어당기는 장력을 통해 와이어부(633)를 감아두는 역할을 한다. 권취부(635)는 줄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권취부(635)의 자세한 구성은 생략하기로 한다.
권취부(635)는 와이어부(633)를 끌어당겨서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를 한 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한다.
구동 걸림부(636)는 바디 상판부(611)의 상부 다른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일 수 있다.
구동 걸림부(636)는 권취부(635)에 의해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하여 이동하는 것을 잡아두기 위해 후술하는 집게부(650)에 걸릴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이다.
집게부(650)는 집게 상판부(651), 집게 하판부(652), 집게 샤프트부(653), 탄성부(654), 집게 고정부(655) 및 푸쉬부(656)를 포함할 수 있다.
집게부(650)는 구동부(630)의 구동 걸림부(636)에 걸쳐져서 구동부(6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집게 하판부(652)는 정지부(430)의 상측 및 테이프부(500)의 상측에 걸쳐서 고정 배치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될 수 있다.
집게 하판부(652)는 난연성 시트(10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정지부(430)와 테이프부(500)에 걸쳐서 배치되고, 상측면의 중심 일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좌우로 천공이 되는데, 여기에는 후술하는 집게 샤프트부(653)가 삽입 연결된다.
집게 상판부(651)는 집게 하판부(652)의 돌출된 부분이 맞물릴 수 있도록 중심부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될 수 있다.
집게 상판부(651)는 집게 하판부(652)와 대응되어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집게 하판부(652)와 마찬가지로 하측면의 중심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가 좌우로 천공되며, 여기에도 후술하는 집게 샤프트부(653)가 삽입 연결되어, 집게 상판부(651)와 집게 하판부(652)가 결합된다.
집게 샤프트부(653)는 집게 하판부(652)와 집게 상판부(651)의 돌출된 부분의 천공된 부분을 따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집게 상판부(651)와 집게 하판부(652)는 집게 샤프트부(653)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집게 고정부(655)는 집게 상판부(651)의 하측면의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구동 걸림부(636)와 맞물려서 결합할 수 있다.
집게 고정부(655)는 집게 상판부(651)의 하측면에서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은 구동 걸림부(636)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구동 걸림부(636)에 대응하는 형태로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이 되어 구동 걸림부(636)에 걸릴 수 있게 된다.
탄성부(654)는 집게 샤프트부(653)에 위치하며, 집게 상판부(651)의 집게 고정부(655)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654)는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서 임의로 이탈되지 않도록 집게 고정부(655)의 돌출된 부분이 아래 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을 위 방향으로 들어올리려면, 별도로 외력을 가해주어야 한다.
집게 푸쉬부(656)는 집게 상판부(651)의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집게 푸쉬부(656)는 집게 상판부(651)에서 집게 고정부(655)의 대각 반대편, 즉,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된다.
슬라이더부(600)가 카트의 위쪽에 있을 ‹š, 이빨부(410)는 분리되어 있는 상태이고, 슬라이더부(600)가 카트(C)의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이빨부(410)가 결합되며,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도달하면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으며, 이빨부(410)는 전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도달하면,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 의해 고정되어 이빨부(410)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사용자가 승차 또는 하차하기 위해 이빨부(410)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슬라이더부(600)를 위로 올려야 하는데, 슬라이더부(600)가 아래에 있고, 난연성 시트(100)가 단단한 재질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슬라이더부(600)를 위로 끌어올리기 위해 허리를 숙여서 끌어올리는 작업을 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난연성 카트 커버(10)에 있어서 집게 푸쉬부(656)를 발로 밟아주면, 집게 푸쉬부(656)의 반대쪽에 위치한 집게 고정부(655)가 들어올려지게 되고, 구동 걸림부(636)에 가해진 고정력이 해제된다.
구동 걸림부(636)에 가해지는 고정력이 제거되면, 권취부(635)는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발생시켜서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하면, 외부면의 기어가 렉기어부(510)에 맞물려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부(600)가 스스로 이동하게 되어 이빨부(410)를 분리시키고, 슬라이더부(600)가 이빨부(410)의 반대측 정지부(430)에 도달하여 멈추게 되면, 두 개의 난연성 시트(100)와 분리되어 사용자는 출입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결합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결합 과정(S100)은 결합 단계(S110), 후진 회전 단계(S130), 감김 단계(S150) 및 고정 단계(S17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단계(S110)는 슬라이더부(600)가 결합부(400)를 따라 정지부(430)가 위치한 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후진 회전 단계(S130)는 슬라이더부(600)가 후진으로 이동하면 렉기어부(510)를 따라 피니언 기어부(632) 및 구동 샤프트부(631)가 회전할 수 있다.
감김 단계(S150)는 구동 샤프트부(631)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부(633)가 권취부(635)에서 풀려나와 구동 샤프트부(631)에 감길 수 있다.
고정 단계(S170)는 슬라이더부(600)가 정지부(430)에 의해 정지하게 되고, 구동 걸림부(636)가 집게 고정부(655)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카트 커버의 분리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분리 과정(S300)은 해제 단계(S310), 풀림 단계(S330), 전진 회전 단계(S350) 및 분리 단계(S370)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단계(S310)는 푸쉬부(656)에 압력이 가해져서 집게 고정부(655)가 위로 들어올려져서 구동 걸림부(63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풀림 단계(S330)는 구동 걸림부(636)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권취부(635)가 와이어부(633)에 장력을 가하여 구동 샤프트부(631)에서 와이어부(633)가 풀릴 수 있다.
전진 회전 단계(S350)는 와이어부(633)의 풀림에 따라 구동 샤프트부(631) 및 피니언 기어부(632)가 회전할 수 있다.
분리 단계(S370)는 피니언 기어부(63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부(600)가 전진으로 이동하면서 이빨부(4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외부의 빛을 차단하는 차광부 및 상기 차광부와 연결되고, 외부의 빛을 투과시키는 투광부를 구비하며, 난연성 재질로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포함하는 난연성 카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난연성 카트 커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결합 과정을 통해 결합시키고, 분리 과정을 통해 두 개로 분리시키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태의 이빨부 및 상기 이빨부의 일측 끝단에 마주보는 형태의 정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난연성 시트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결합부;
    상기 난연성 시트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테이프부; 및
    상기 결합부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부는,
    상기 테이프부의 상측면을 따라 돌출되는 렉기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이빨부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일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빨부를 결합시키고, 타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빨부를 분리시키는 바디부;
    상기 이빨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바디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이빨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를 고정시키는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바디 상판부;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바디 하판부;
    상기 바디 상판부와 상기 바디 하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바디 상판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좌우로 관통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바디 하판부의 하측에 위치하고, 좌우로 넓게 펴저서 상기 테이프부의 하단을 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지지부의 구멍을 따라 좌우로 이어지는 구동 샤프트부;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렉기어부와 맞물려서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부;
    상기 구동 샤프트부의 중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피니언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구동 샤프트부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부;
    상기 바디 상판부의 상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 샤프트부에서 풀리도록 상기 와이어부에 장력을 제공하는 권취부; 및
    상기 바디 상판부의 상부 다른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일측은 경사면이고, 타측은 수직면인 구동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상기 정지부 상측 및 상기 테이프부의 상측에 걸쳐서 고정 배치되며, 중심부가 상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된 집게 하판부;
    상기 집게 하판부의 돌출된 부분이 맞물릴 수 있도록 중심부가 하부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의 일부는 천공된 집게 상판부;
    상기 집게 하판부와 상기 집게 상판부의 돌출된 부분의 천공된 부분을 따라 관통하는 집게 샤프트부;
    상기 집게 상판부의 하측면의 앞쪽 일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상기 구동 걸림부와 맞물려서 결합하는 집게 고정부;
    상기 집게 샤프트부에 위치하며, 상기 집게 상판부의 상기 집게 고정부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집게 상판부의 상측면의 뒤쪽 일부가 위로 돌출되는 집게 푸쉬부;를 포함하는 난연성 카트 커버.
  2. 삭제
KR1020200079356A 2020-06-29 2020-06-29 난연성 카트 커버 KR102170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56A KR102170832B1 (ko) 2020-06-29 2020-06-29 난연성 카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356A KR102170832B1 (ko) 2020-06-29 2020-06-29 난연성 카트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832B1 true KR102170832B1 (ko) 2020-10-27

Family

ID=7313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356A KR102170832B1 (ko) 2020-06-29 2020-06-29 난연성 카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8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28Y1 (ko) * 2002-12-05 2003-03-31 정은수 차량용 보온덮개
US20060290163A1 (en) * 2004-12-16 2006-12-28 Tampa G Manufacturing Co., Inc. Golf cart enclosure
KR101471903B1 (ko)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2085841B1 (ko) 2018-06-27 2020-03-0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와이어 감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9428Y1 (ko) * 2002-12-05 2003-03-31 정은수 차량용 보온덮개
US20060290163A1 (en) * 2004-12-16 2006-12-28 Tampa G Manufacturing Co., Inc. Golf cart enclosure
KR101471903B1 (ko)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KR102085841B1 (ko) 2018-06-27 2020-03-06 주식회사 이엠텍 자동 와이어 감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06190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22269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37146S1 (en) Vehicle rear bumper cover step pad
USD934128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23532S1 (en) Vehicle front lower bumper cover
USD922266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CA2632053C (en) Window covering
USD923533S1 (en) Vehicle front lower valance
USD976775S1 (en) Vehicle front lower bumper cover
USD923534S1 (en) Vehicle front lower valance
USD913869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KR102170832B1 (ko) 난연성 카트 커버
USD1007381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1006690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23524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shield
USD976767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JP3640640B2 (ja) 病院の多段式の滅菌面
USD965499S1 (en) Vehicle soft top
USD981290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79464S1 (en) Vehicle front upper grille
USD959353S1 (en) Vehicle tow hook close out
USD937147S1 (en) Vehicle rear bumper cover step pad
USD987503S1 (en) Vehicle front lower bumper cover
USD987502S1 (en) Vehicle front lower bumper cover
USD951831S1 (en) Vehicle front lower bumpe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