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52B1 - 스마트 화분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화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52B1
KR102170452B1 KR1020200029729A KR20200029729A KR102170452B1 KR 102170452 B1 KR102170452 B1 KR 102170452B1 KR 1020200029729 A KR1020200029729 A KR 1020200029729A KR 20200029729 A KR20200029729 A KR 20200029729A KR 102170452 B1 KR102170452 B1 KR 102170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er pot
unit
user
character data
alar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인
강현지
김수빈
윤지환
장형국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정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동인 filed Critical 정동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는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바디;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에 따른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성장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비정상 상태를 도출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될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화분 장치{SMART FLOWER POT APPARATUS}
본 발명은 스마트 화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경제활동을 하는 집단이 증가하고, 인구의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고독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미니멀리즘에 따른 미니멀라이프를 추구하는 사람들 역시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이나 환자 역시 특정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기 어려워 고립감이나 고독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공개특허 10-2012-0092780 (공개일 : 2012년08월22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는 장애인, 독거 노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고립감 등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는 장애인, 독거 노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바디;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에 따른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성장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비정상 상태를 도출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될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화분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전송된 사용자의 일정이나 메모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와 더불어 상기 일정이나 메모를 말풍선 그래픽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이나 상기 메모에 대한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알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뿐만 아니라 경찰서, 관공서 또는 병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 사운드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알람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응답을 상기 사운드 처리부를 통하여 입력받으며, 상기 음성 응답을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할 수 있다.
상기 성장 환경 요소의 값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표정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는 성장 환경 요소에 따른 캐리턱의 표정 변화를 통하여 장애인, 독거 노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고립감 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는 캐릭터 표정이 설정 시간보다 길게 유지될 경우 알람을 발생함으로써 장애인, 독거 노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c는 온도에 따른 캐릭터의 표정 변화를 나타낸다.
도 4는 표시부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정보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는 화분 바디(110), 센싱부(120), 메모리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한다.
화분 바디(110)는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화분 바디(110)에는 배양액이나 흙과 같이 식물 성장의 바탕이 되는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센싱부(120)는 화분 바디(110)에 구비되어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를 센싱한다. 성장 환경 요소는 온도, 습도, 및 일조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부(120)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부(130)는 화분 바디(110)에 구비되어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에 따른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저장한다. 비정상 상태는 온도, 습도, 일조량 중 적어도 하나가 식물이 성장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식물 성장에 적합한 성장 환경 요소의 값의 범위는 메모리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성장 환경 요소의 값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제어부(150)는 비정상 상태를 도출할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비정상 상태에 대한 캐릭터 데이터뿐만 아니라 정상 상태에 대한 캐릭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는 온도에 따른 캐릭터의 표정 변화를 나타낸다. 도 3a는 성장 환경 요소인 현재 온도가 설정된 식물 성장 온도의 범위보다 높은 경우를 나타내고, 도 3b는 현재 온도가 식물 성장 온도의 범위 이내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3c는 현재 온도가 식물 성장 온도의 범위보다 낮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캐릭터의 모양이나 표정 등은 도 3a 내지 도 3c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는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에 따라 캐릭터의 표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식물을 일종의 인격체로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식물에 대한 친근감이 커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의 사용자는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와 같이 고립감이나 고독감을 느끼거나 정상인에 비하여 실내에 장기간 머무르는 사람일 수 있다. 이들은 사회적 관계를 맺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심리적인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는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의 변화에 따라 캐릭터의 표정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를 개선했을 때에도 캐릭터의 표정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캐릭터의 표정 변화를 통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와 상호 관계를 맺고 있다고 느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 등이 느끼는 고립감이나 고독감이 줄어들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에 대한 정보, 성장 환경 요인의 시계열적 데이터, 사용자 정보 등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외의 정보 역시 저장할 수 있다.
표시부(140)는 화분 바디(110)에 구비되어 캐릭터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40)는 LED, LCD, 또는 OLED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는 캐릭터의 표정 변화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화분 바디(110)에 구비되며, 센싱부(120)로부터 센싱된 성장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비정상 상태를 도출한다. 제어부(150)는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메모리부(130)로부터 읽어들여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설정 범위보다 낮거나 높을 경우, 제어부(150)는 이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메모리부(130)로부터 일어들여 표시부(14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난방 또는 냉방을 하여 온도가 설정 범위 내에 들어가면, 제어부(150)는 도 3b와 같은 캐릭터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캐릭터의 표정 변화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와 상호 관계를 맺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될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한다.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되었다는 것은 사용자가 식물의 비정상 상태를 정상 상태로 바꾸는 행위를 설정 시간 이상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정 습도를 맞추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식물에 물을 주게 되는데, 사용자가 식물에 지속적으로 물을 주지 않을 경우 습도가 비정상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물부족과 같은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와의 상호 관계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인데, 상기 상호 관계가 유지되지 않는다는 것은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에게 응급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알람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관리자가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는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의 보호자, 담당 복지사, 담당 간호사, 또는 담당 의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160)는 화분 바디(110)에 구비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출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기(300)를 통하여 알람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다.
이 때 스마트 화분 장치(100)의 통신부(160)는 화분 관리 서버(200),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화분 장치(100)의 통신부(160)는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300) 중 적어도 하나와 근거리 통신(에를 들어, 블루투스, NFC)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 및 관리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랩탑 컴퓨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화분 장치(100)가 다양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청각 장애인을 위하여 사운드 데이터 역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스피커 및 마이크를 포함하는 사운드 처리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130)는 화분 관리 서버(200)나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통신부(160)를 전송된 사용자의 일정이나 메모를 저장할 수 있다. 일정이나 메모는 텍스트 데이터 형태로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스마트 화분 장치(100)에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일정이나 메모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400)가 화분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화분 관리 서버(200)로 일정이나 메모를 전송할 수 있으며, 화분 관리 서버(200)는 스마트 화분 장치(100)로 일정이나 메모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캐릭터 데이터와 더불어 일정이나 메모를 말풍선 그래픽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통하여 표시부(1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릭터와 말풍선이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으며, 말풍선 안에는 사용자의 일정이나 메모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전송되는 일정이나 메모는 해당 일정이나 메모가 표시될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시간 정보 역시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상기 시간 정보에 따라 메모나 일정을 표시부(140)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운드 처리부(170)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각 장애인이 자신의 일정 또는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일정이나 메모에 대한 수행 여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표시부(140)나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50)는 일정이나 메모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3a에 도시된 일정 "오늘 병원 예약 진료일입니다"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병원 진료를 받으셨습니까?"라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부(140)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확인 메시지는 화분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400)로 전송되거나, 스마트 화분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기(400)의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설정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알람 정보를 통신부(160)를 통하여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 진료를 받으셨습니까?"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는 "예" 또는 "아니오"이거나 다른 내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응답 메시지가 설정 시간 동안 없다는 것은 장애인, 독거 노인 또는 환자와 같은 사용자가 정상 상태이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가 사용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뿐만 아니라 경찰서, 관공서 또는 병원의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알람 정보는 사용자의 상태가 응급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제어부(150)는 경찰서, 관공서 또는 병원의 서버로 알람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알람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정보는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병력, 장애 내용, 사용자의 얼굴 사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150)는 알람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 사운드 처리부(170)의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알람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응답을 사운드 처리부(170)의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0)는 음성 응답을 처리하여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송출할 수 있다. 음성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과 디지털 신호를 음성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인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알람 정보가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면, 사용자가 알람 정보를 듣고 이에 대한 음성 응답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음성 응답이 마이크로 입력되고, 제어부(150)는 이를 처리하여 화분 관리 서버(200)나 관리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사용자의 음성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성장 환경 요소의 값에 따라 캐릭터의 표정이 변할 수 있다. 즉, 특정 식물의 적정 성장 온도가 섭씨 18도에서 섭씨 24도인 경우, 현재 온도가 섭씨 16도라면 도 3c와 같은 캐릭터 표정이 표시되고, 현재 온도가 섭씨 26도라면 도 3a와 같은 캐릭터 표정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표시부(14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표시된 정보들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40) 또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현재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의 이름, 특징, 키우는 방법 등과 더불어 성장 환경 요소에 대한 값들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공 지능을 통하여 사용자와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돌봄이나 학습 등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 지능을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상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람 대하기를 꺼리고 마음을 잘 열지 못하는 사용자가 대화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면들에게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은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의 기분상태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스마트 화분 장치(100)
화분 바디(110)
센싱부(120)
메모리부(130)
표시부(140)
제어부(150)
통신부(160)
사운드 처리부(170)
화분 관리 서버(200)
관리자 단말기(300)
사용자 단말기(400)

Claims (6)

  1. 독거 노인, 장애인 또는 환자를 포함하는 사용자가 키우는 식물이 성장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화분 바디;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를 센싱하는 센싱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성장 환경 요소에 따른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센싱부로부터 센싱된 성장 환경 요소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비정상 상태를 도출하고,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읽어들여 상기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상기 비정상 상태에 해당되는 캐릭터 데이터가 설정된 시간 이상 표시될 경우, 알람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화분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알람 정보를 화분 관리 서버나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통신부를 전송된 사용자의 병원 진료 관련 일정이나 메모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캐릭터 데이터와 더불어 상기 병원 진료 관련 일정이나 메모를 말풍선 그래픽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병원 진료 관련 일정이나 메모의 텍스트 데이터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운드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여 청각 장애인이 자신의 병원 진료 관련 일정 또는 메모를 확인하도록 하며,
    상기 병원 진료 관련 일정이나 메모에 대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자동 생성하여 상기 병원 진료 관련 일정이나 메모에 대한 수행 여부에 대한 상기 확인 메시지를 상기 표시부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메시지가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지 않으면, 알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정보를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뿐만 아니라 경찰서, 관공서 또는 병원의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 정보를 사운드 형태로 사운드 처리부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알람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음성 응답을 상기 사운드 처리부를 통하여 입력받으며,
    상기 음성 응답을 상기 화분 관리 서버나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 환경 요소의 값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표정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화분 장치.
KR1020200029729A 2020-02-26 2020-03-10 스마트 화분 장치 KR102170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3924 2020-02-26
KR1020200023924 2020-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452B1 true KR102170452B1 (ko) 2020-10-28

Family

ID=7301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29A KR102170452B1 (ko) 2020-02-26 2020-03-10 스마트 화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5181A (ko) 2022-09-08 2024-03-15 박다원 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식물재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80A (ko) 2011-02-13 2012-08-22 노형진 원격스마트식물관리기 및 웹서비스 방법
KR20160145264A (ko) * 2015-06-10 2016-12-20 정석훈 식물의 감정을 표시해주는 화분
KR20170033495A (ko) * 2015-09-16 2017-03-27 (주)유비엔 특정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1329A (ko) * 2015-10-06 2017-04-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2780A (ko) 2011-02-13 2012-08-22 노형진 원격스마트식물관리기 및 웹서비스 방법
KR20160145264A (ko) * 2015-06-10 2016-12-20 정석훈 식물의 감정을 표시해주는 화분
KR20170033495A (ko) * 2015-09-16 2017-03-27 (주)유비엔 특정 단말기를 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41329A (ko) * 2015-10-06 2017-04-17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시스템과 연동되는 스마트 화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5181A (ko) 2022-09-08 2024-03-15 박다원 가습 및 공기정화 기능이 구비된 식물재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661B2 (en) Context dependent application/event activation for people with various cognitive ability levels
US8803690B2 (en) Context dependent application/event activation for people with various cognitive ability levels
JP6467721B2 (ja) 生物学及び環境取り込みセンサを用いて能力を自動的に構成するスマートウェアラブル装置及び方法
US11395076B2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KR102170452B1 (ko) 스마트 화분 장치
US7224777B1 (en) Time-controlled messaging system
CN108140045A (zh) 在增强和替代通信系统中支持感知和对话处理量
JP2021052812A (ja) 感情分析システム
US20240105177A1 (en) Local artificial intelligence assistant system with ear-wearable device
US10848711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protected persons
Brooks et al. Pre-issue assessment and counselling as a component of hearing-aid provision
Knight et al. The care and education of a deaf child: A book for parents
Meiland et al. Functional requirements for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s and dementia
Prasad Knowledge home
KR102334998B1 (ko) 무선 통신 기반의 감성표현장치
US11716580B2 (en) Health monitoring with ear-wearable devices and accessory devices
JP7360775B2 (ja) スマートグラス、プログラ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7405357B2 (ja) 高齢者等見守システム
US20190216406A1 (en) Wearable device to assist cognitive dysfunction suffer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200142988A (ko) 스마트 화분 및 스마트 화분을 이용한 생활 관리 방법
Arbeeny Voice Technology and Wearables: Remote Patient Monitoring
EP4250760A1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WO1994017501A1 (en) System for providing reminders
Cullington Cochlear implant care: putting patients in charge
WO2023248814A1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