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414B1 - 필터 오염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오염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414B1
KR102170414B1 KR1020180131750A KR20180131750A KR102170414B1 KR 102170414 B1 KR102170414 B1 KR 102170414B1 KR 1020180131750 A KR1020180131750 A KR 1020180131750A KR 20180131750 A KR20180131750 A KR 20180131750A KR 102170414 B1 KR102170414 B1 KR 10217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motor
air
filter
branch pip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0044A (ko
Inventor
황재호
김승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포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포바인 filed Critical (주)아이포바인
Priority to KR1020180131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41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0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47L7/0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for supporting the suction cleaner on the exhaus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팬모터의 구동시 오염알림부가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림으로써,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 시기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의 저항 또는 흡입구를 막고 있는 물체나 이물질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필터 오염 알림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공기를 토출 가능하게 흡입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여과되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먼지수거부 및 상기 팬모터에서 공기를 토출시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공기의 이동시 압력을 통해 상기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리는 오염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오염 알림장치{FILTER POLLUTION NO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모터의 구동시 오염알림부가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림으로써,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 시기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의 저항 또는 흡입구를 막고 있는 물체나 이물질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은 산업용으로 개발되어 공장 자동화의 일부분을 담당하여 왔다. 최근에는 로봇을 응용한 분야가 더욱 확대되어, 우주 항공 로봇, 의료용 로봇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로봇도 만들어지고 있다.
가정용 로봇의 대표적인 예로 로봇 청소기를 들 수 있다. 로봇 청소기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및 주행 중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는 장애물 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여 청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를 통해 먼지를 걸러내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필터에 먼지가 쌓여 쉽게 오염되고, 오염된 필터에 의해 흡입력이 저하되어 청소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로봇 청소기의 사용 횟수, 기간 등을 추정하거나 필터의 표면에 달라붙은 먼지를 수시로 확인하여 필터를 교환 또는 청소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필터의 교체 또는 청소 시기를 놓칠 경우 필터는 표면에 부착된 먼지에 의해 막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터의 출력 효율이 높더라도 흡입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공기 흐름에 저항이 생겨 모터가 손상되고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9413호(2012년03월15일 등록, 명칭: 전기청소기용 필터교환 알람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팬모터의 구동시 오염알림부가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림으로써,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 시기를 알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부착된 먼지의 저항 또는 흡입구를 막고 있는 물체나 이물질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는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공기를 토출 가능하게 흡입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여과되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먼지수거부 및 상기 팬모터에서 공기를 토출시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공기의 이동시 압력을 통해 상기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리는 오염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염알림부는 상기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보조분기관부와,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수용되어 상기 팬모터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부상하는 부상부재 및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분기관부의 외부에서 상기 부상부재의 파장을 감지하고, 상기 부상부재의 파장을 미감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부상부재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상부재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의 정지시 상기 부상부재를 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오염알림부는 상기 팬모터에 장착되어 상기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보조분기관부와,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수용되어 상기 팬모터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이동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분기관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력을 감지하고, 공기의 흐름 양에 따라 바뀌는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력 신호를 전송하는 마그네틱센서 및 상기 팬모터의 정지시 자력을 통해 상기 제1자석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안내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자석부재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가 상기 제2자석부재의 자력으로 복귀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는 팬모터의 구동시 오염알림부가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을 통해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리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 시기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막힘에 의한 팬모터의 흡입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팬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의 변형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오염알림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에서 오염알림부의 변형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오염알림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는 도 1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팬모터(20), 먼지수거부(30) 및 오염알림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흡입구(11)와 배출구(12)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오염 알림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고, 팬모터(20), 먼지수거부(30) 및 오염알림부(4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흡입구(11)는 팬모터(20)의 구동시 먼지와 공기가 함께 흡입되는 통로이고, 배출구(12)는 팬모터(20)의 구동시 팬모터(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이다.
팬모터(20)는 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흡입구(11)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공기를 토출 가능하게 흡입한다. 즉, 팬모터(20)는 전원 공급시 고속 회전을 통해 바닥면의 먼지가 흡입구(11)를 통해 먼지수거부(30)로 포집되도록 흡입력을 제공하고, 공기를 흡입시 내부 압력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먼지수거부(30)는 팬모터(20)가 공기를 흡입시 흡입구(11)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도록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팬모터(20)로 흡입되는 공기가 여과되도록 필터(31)를 구비한다.
한편, 오염알림부(40)는 팬모터(20)에서 공기를 토출시 공기가 배출구(11)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공기의 이동시 공기의 압력을 통해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린다. 물론, 오염알림부(40)는 먼지를 여과하여 배출시키는 공기청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알림부(40)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41), 보조분기관부(42), 부상부재(43) 및 적외선센서(44)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배기덕트(41)는 팬모터(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구(12)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보조분기관부(42) 및 적외선센서(44)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배기덕트(41)에는 보조분기관부(42)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부위가 끼워지는 제1삽입홀부(41a) 및 보조분기관부(42)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부위가 끼워지는 제2삽입홀부(41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분기관부(42)는 배기덕트(41)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기덕트(41)로 유입된 공기가 분기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보조분기관부(42)는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수직으로 위치되는 부위가 제1삽입홀부(41a)에 삽입되고, 수평으로 위치되는 부위가 제2삽입홀부(41b)에 삽입된다.
또한, 보조분기관부(42)는 축 방향을 따라 제1보조분기관부(42a) 및 제2보조분기관부(42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보조분기관부(42a) 또는 제2보조분기관부(42b)에는 팬모터(2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키는 유입안내부(42c)가 구비될 수 있다.
부상부재(43)는 보조분기관부(42)가 수직하게 위치되는 부위에 수용되어 팬모터(20)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부상한다. 즉, 부상부재(43)는 팬모터(20)의 작동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중량이 낮을 경우 적외선센서(44)에 감지되도록 상향으로 부상되고, 필터(31)의 오염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중량이 높을 경우 적외선센서(44)에 감지되는 높이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부상부재(43)는 팬모터(20)의 작동시 보조분기관부(42)에 내부 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조분기관부(42)로 유입된 공기를 관통시키는 관통홀부(43a)가 형성된다. 물론, 관통홀부(43a)의 개수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부상부재(43)는 이탈방지부(45)에 의해 보조분기관부(42)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45)는 보조분기관부(42)가 수직으로 위치되는 부위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부상부재(43)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45a) 및 제1걸림부재(45a)와 이격 배치되도록 보조분기관부(42)에 구비되어 팬모터(20)의 정지시 부상부재(43)를 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걸림부재(45b)를 포함한다.
적외선센서(44)는 보조분기관부(42)의 외부에서 부상부재(43)의 파장을 감지하도록 배기덕트(41)에 구비되고, 부상부재(43)의 파장을 미감지시 본체(10)에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적외선센서(44)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필터(31)의 교환 또는 청소 시기를 알 수 있으므로, 팬모터(20)가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필터(31)에 부착된 먼지의 저항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적외선센서(44)는 슬라이드결합부(50)에 의해 배기덕트(41)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결합부(50)는 배기덕트(4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홈부(51a)가 형성된 지지부재(51) 및 슬라이드홈부(51a)에 삽입되도록 적외선센서(44)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52)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51)에는 슬라이드부재(52)가 슬라이드홈부(51a)에 삽입 완료시 슬라이드부재(52)를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볼트(51b)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적외선센서(44)는 별도의 고정 부품으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또는 조립시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염알림부(40)는 경우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41), 보조분기관부(42), 제1자석부재(46), 마그네틱센서(47) 및 제2자석부재(48)로 구성될 수 있다.
배기덕트(41)는 팬모터(20)에 장착되어 팬모터(2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배출구(12)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보조분기관부(42) 및 마그네틱센서(44)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배기덕트(41)에는 보조분기관부(42)에서 수직하게 배치되는 부위가 끼워지는 제1삽입홀부(41a) 및 보조분기관부(42)에서 수평하게 배치되는 부위가 끼워지는 제2삽입홀부(41b)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보조분기관부(42)는 배기덕트(41)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배기덕트(41)로 유입된 공기가 분기되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보조분기관부(42)는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어 수직으로 위치되는 부위가 제1삽입홀부(41a)에 삽입되고, 수평으로 위치되는 부위가 제2삽입홀부(41b)에 삽입된다.
또한, 보조분기관부(42)는 축 방향을 따라 제1보조분기관부(42a) 및 제2보조분기관부(42b)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보조분기관부(42a) 또는 제2보조분기관부(42b)에는 팬모터(20)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과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시키는 유입안내부(42c)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자석부재(46)는 보조분기관부(42)에서 수평으로 위치되는 부위에 수용되어 팬모터(20)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자석부재(46)는 팬모터(20)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이동된다. 즉, 제1자석부재(46)는 팬모터(20)의 작동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제2자석부재(48)에서 가해지는 자력이 약할 경우 마그네틱센서(47)에 감지되도록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필터(31)의 오염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압력보다 제2자석부재(48)에서 가해지는 자력이 강할 경우 마그네틱센서(47)에 감지되는 높이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제1자석부재(46)는 이탈방지부(45)에 의해 보조분기관부(42)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된다. 이러한 이탈방지부(45)는 보조분기관부(42)에 구비되어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제1자석부재(46)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45a) 및 제1걸림부재(45a)와 이격 배치되도록 보조분기관부(42)에 구비되어 제1자석부재(46)가 제2자석부재(48)의 자력으로 복귀시 제1자석부재(46)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부재(45b)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그네틱센서(47)는 배기덕트(41)에 구비되어 보조분기관부(42)의 외부에서 제1자석부재(46)의 자력을 감지하고, 공기의 흐름 양에 따라 바뀌는 제1자석부재(46)의 자력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마그네틱센서(47)는 슬라이드결합부(50)에 의해 배기덕트(41)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결합부(50)는 배기덕트(41)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홈부(51a)가 형성된 지지부재(51) 및 슬라이드홈부(51a)에 삽입되도록 마그네틱센서(47)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52)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재(51)에는 슬라이드부재(52)가 슬라이드홈부(51a)에 삽입 완료시 슬라이드부재(52)를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볼트(51b)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마그네틱센서(47)는 별도의 고정 부품으로 고정시키지 않아도 위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또는 조립시 작업을 신속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자석부재(48)는 팬모터(20)의 정지시 제1자석부재(46)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자석부재(46)에 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제2자석부재(48)는 마그네틱센서(47)에 감지되지 않으면서 제1자석부재(46)에 인력을 제공하도록 제2걸림부재(45b)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자석부재(48)는 제1자석부재(46)가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이동된 상태에서 팬모터(20)가 정지되더라도 끌어당기는 자력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제1자석부재(46)가 원위치로 복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흡입구
12: 배출구 20: 팬모터
30: 먼지수거부 31: 필터
40: 오염알림부 41: 배기덕트
42: 보조분기관부 43: 부상부재
44: 적외선센서 45: 이탈방지부
46: 제1자석부재 47: 마그네틱센서
48: 제2자석부재 50: 슬라이드결합부
51: 지지부재 52: 슬라이드부재

Claims (5)

  1. 삭제
  2.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공기를 토출 가능하게 흡입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여과되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먼지수거부 및 상기 팬모터에서 공기를 토출시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공기의 이동시 압력을 통해 상기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리는 오염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알림부는 상기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보조분기관부와,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수용되어 상기 팬모터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부상하는 부상부재 및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분기관부의 외부에서 상기 부상부재의 파장을 감지하고, 상기 부상부재의 파장을 미감지시 신호를 전송하는 적외선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외선센서는 슬라이드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배기덕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적외선센서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삽입 완료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이탈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볼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상부재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상부재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팬모터의 정지시 상기 부상부재를 안착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
  4. 흡입구와 배출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에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공기를 토출 가능하게 흡입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가 공기를 흡입시 상기 흡입구로 흡입된 먼지를 포집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팬모터로 흡입되는 공기가 여과되도록 필터를 구비하는 먼지수거부 및 상기 팬모터에서 공기를 토출시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공기의 이동시 압력을 통해 상기 필터의 오염 유무를 알리는 오염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염알림부는 상기 팬모터에 장착되어 상기 팬모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배기덕트와,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덕트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보조분기관부와,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수용되어 상기 팬모터의 작동시 공기의 흐름으로 이동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배기덕트에 구비되어 상기 보조분기관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력을 감지하고, 공기의 흐름 양에 따라 바뀌는 상기 제1자석부재의 자력 신호를 전송하는 마그네틱센서 및 상기 팬모터의 정지시 자력을 통해 상기 제1자석부재가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상기 제1자석부재에 자력을 제공하는 제2자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슬라이드결합부에 의해 상기 배기덕트에 슬라이드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결합부는 상기 배기덕트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슬라이드홈부가 형성된 지지부재 및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마그네틱센서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드부재가 상기 슬라이드홈부에 삽입 완료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이탈 방지하도록 가압하는 가압볼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석부재는 이탈방지부에 의해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이탈 방지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공기가 흐르는 방향으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보조분기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부재가 상기 제2자석부재의 자력으로 복귀시 상기 제1자석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오염 알림장치.

KR1020180131750A 2018-10-31 2018-10-31 필터 오염 알림장치 KR10217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50A KR102170414B1 (ko) 2018-10-31 2018-10-31 필터 오염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750A KR102170414B1 (ko) 2018-10-31 2018-10-31 필터 오염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044A KR20200050044A (ko) 2020-05-11
KR102170414B1 true KR102170414B1 (ko) 2020-10-28

Family

ID=7072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750A KR102170414B1 (ko) 2018-10-31 2018-10-31 필터 오염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47975B (zh) * 2022-04-29 2024-02-27 淮安普乐菲智能科技有限公司 防止因漏装滤芯导致垃圾吸入清洁设备的保护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4292A (zh) * 2008-09-04 2010-03-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不使用弹簧的吸尘器指示器
KR200459413Y1 (ko) * 2009-12-28 2012-03-23 주식회사 부강샘스 전기청소기용 필터교환 알람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892A (ja) * 1994-06-10 1995-12-19 Mitsubishi Electric Home Appliance Co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4292A (zh) * 2008-09-04 2010-03-1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一种不使用弹簧的吸尘器指示器
KR200459413Y1 (ko) * 2009-12-28 2012-03-23 주식회사 부강샘스 전기청소기용 필터교환 알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044A (ko)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37763A1 (en) Backflush Fil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EP3236827B1 (en) Evacuation station
CA2689483C (en) Vacuum bypass vent and vacuums incorporating such bypass vents
JP4618060B2 (ja) 電気掃除機
JPWO2005092168A1 (ja) 集塵装置
JP2006204882A (ja) 汚物逆流防止部材を備えた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2170414B1 (ko) 필터 오염 알림장치
TW201517856A (zh) 電氣吸塵器
KR20210141187A (ko) 재단테이블
US7462210B2 (en) Dus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JP2007203259A (ja) 除塵機
CN107174167B (zh) 一种吸尘器
GB2409403B (en) Suction cleaners
KR101532910B1 (ko) 듀얼 볼텍스 진공청소기
CN110603397B (zh) 阀、此类阀的用途、包括此类阀的分离器以及清洁分离器主体的方法
CN101711658A (zh) 二进口旋风器的导流结构
JP2011015878A (ja) 電気掃除機
CN110916560A (zh) 一种吸尘器
KR101572436B1 (ko) 구석 청소 기능이 있는 진공청소기
JP2011055974A (ja) 電気掃除機
CN220778239U (zh) 清洁系统、清洁机器人及其主体
EP1443844A2 (en) A cyclone separator
EP3641615B1 (en) Wet/dry vacuum cleaner
JP4161786B2 (ja) 電気掃除機
JP2010029239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