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247B1 -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247B1
KR102170247B1 KR1020190110863A KR20190110863A KR102170247B1 KR 102170247 B1 KR102170247 B1 KR 102170247B1 KR 1020190110863 A KR1020190110863 A KR 1020190110863A KR 20190110863 A KR20190110863 A KR 20190110863A KR 102170247 B1 KR102170247 B1 KR 10217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ileage
blockchain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찬
임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백업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백업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통해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SYSTEM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MILEAGE FORGERY BASED ON BLOCKCHAIN}
본 실시예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전석 전면에는 주행과 관련된 정보는 물론 엔진 등 차량 내 각종 장치의 작동상태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는 클러스터(cluster)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클러스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계는 차량에 구비된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차량의 마일리지, 즉 누적 주행 거리(적산 거리)를 산출하고, 클러스터에 구비된 메모리에 누적 주행 거리를 저장한다.
차량의 사용자가 위와 같은 메모리를 교체하거나 클러스터 자체를 교체하는 경우, 주행 거리계가 초기화되거나 조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클러스터의 메모리 교체 또는 클러스터 교체로 인해 주행 거리계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가 위변조될 수 있다.
이러한 주행 거리 정보의 위변조가 증가하게 되면 중고차 매매 시장에 대한 신뢰도가 하락될 수 있고, 주행 거리 정보가 위변조된 차량을 구매한 중고차 구매자에게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으로,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백업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백업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통해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는 모듈로써, 상기 차량의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 상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받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중개 단말기; 및 상기 중개 단말기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상기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중개 서버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하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상기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클러스터 모듈에서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차량 제조시에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로써, 상기 차량의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모듈 내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 상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받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중개 단말기; 및 상기 중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하는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시점까지 적산한 주행 거리 정보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이 상기 차량에서 제거된 후에 상기 차량에 새로이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로써, 차량 장착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최초로 걸리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개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상기 차량이 재시동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이 상기 차량에서 제거되기 전에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 및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중개 단말기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상기 중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는,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하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를 적산하는 주행 거리 적산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주행 거리 적산부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주행 거리 적산부에 저장된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제어부는 상기 중개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제조사로부터 인가받은 단말기인 지를 확인하고, 상기 중개 단말기가 상기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이면,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상기 공개키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상기 중개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주행 거리 정보를 백업하고, 차량의 시동시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백업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클러스터 모듈의 메모리 교체 또는 전기 충격 등을 통한 주행 거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될 경우에 차량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백업 정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정보를 자동으로 복구하기 때문에 클러스터 모듈 교체시에 주행 거리 정보를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될 경우, 차량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한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새롭게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차량의 블록체인 지갑 주소 생성 이력을 조회하는 것 만으로도 차량의 클러스터 교체 이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 교체로 인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 교체로 인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100), 즉 차량의 주행 거리 위변조를 방지하는 시스템은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 중개 단말기(120), 중개 서버(13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 등과 같이 클러스터가 장착된 사륜차 및 이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의 제조시에 장착되는 모듈로써,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서 적산한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백업 및 조회하기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후술할 블록체인 네트워크(140)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할 수 있고,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후술할 중개 단말기(12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최초 시동 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조회 시점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저장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이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면,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는 클러스터 모듈의 메모리가 교체됐거나 클러스터 모듈에 전기 충격이 가해져서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실제 주행 거리보다 작은 값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를 적산하고 있으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되, 소정 주기에 따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이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할 때에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이란 시스템 개발자가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기록하고, 계약 조건이 충족됐을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의 계약 조건은 계약에 관련된 당사자들, 즉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 후술할 중개 서버(12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만 공유하기 때문에 제 3 자가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위변조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등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정보를 수신 및 백업 정보로 저장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에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소정 주기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이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클러스터 모듈 교체에 대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할 수 있고,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하고,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에는 차대 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기화 상태인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에 대한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교체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정보를 백업 정보로 복구한 후,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가장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는 구성을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을 구비할 수 있고, 하드웨어 보안 모듈은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제 1 블록체인 지갑,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중개 단말기(120)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로써,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중개 단말기(12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후술할 중개 서버(1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130)에 전송한 이후에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면, 중개 단말기(12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단말기(12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13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단말기(12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중개 단말기(120)와 중개 서버(130)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가 중개 단말기(120)와 중개 서버(130) 간의 통신을 연계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중개 단말기(120)는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차대 번호 정보,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또는 차대 번호 정보,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와 같은 데이터를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에 전송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는 중개 단말기(120)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을 통해 중개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 단말기(120)는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OBD(On Board Diagnostics) 단말기일 수 있다.
중개 서버(130)는 중개 단말기(12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버(1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후술할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중개 서버(13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개 서버(13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개 서버(130)는 중개 단말기(12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버(130)는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개 서버(13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 서버(130)는 OBD 단말기로부터 차량 진단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OBD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다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노드는 인터넷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등과 같은 통신망을 통해 상호 간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노드 중 하나 이상은 통신망을 통해 중개 서버(130)와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거나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과의 트랜잭션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노드는 블록체인에서 통신을 위한 엔터티를 의미할 수 있고, 논리적인 기능으로 구분되는 단위일 수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중개 서버(130)로부터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한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도 13과 같이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상태 데이터베이스(State Database)에 최초로 저장한 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한 블록을 채굴할 수도 있다.
한편,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도 13의 점선 표시 부분)의 조회를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서 요청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이 상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조회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 제공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 14의 점선 표시 부분과 같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의 최신 백업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위와 같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 가장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제공하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 및 백업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중개 서버(130)로부터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도 15와 같이 가장 최근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백업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다음 순서(도 15의 점선 표시 부분)에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 다시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와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다음에 저장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에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도 16의 점선 표시 부분)의 조회를 요청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기 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 데이터 저장부(230), 무선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은 암호화 키 수명 주기 보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용 암호화 프로세서로서, 후술할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은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후술할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그리고,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의해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수신할 수 있고,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은 시스템 개발자의 임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부(230)는 후술할 제어부(2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저장부(2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저장부(230)는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하되, 소정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하거나, 소정 조건이 발생할 때마다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되는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제 1 개인키를 통해 전자 서명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부(230)는 읽기 전용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Secure Digital) 메모리, 마이크로 SD 메모리, SSD(Soild State Drive), HDD(Hard Disk Driv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무선 통신부(240)는 후술할 제어부(25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생성한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공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0)는 제어부(250)에서 생성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24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는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개인키를 통해 전자 서명된 데이터일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된 후, 무선 통신부(240)는 제어부(25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차량의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생성한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공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4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4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전용 구성 요소이거나,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 이외의 모듈(예를 들어, AVN 모듈, 커넥티드 카 모듈 등)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린 것을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면,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에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는 차량 출고 후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최초로 온(ON) 된 것을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면, 차량 제조시에 장착된 클러스터 모듈에 대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에 저장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중개 단말기(12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기 전에 중개 단말기(12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인 지를 확인할 수 있고, 중개 단말기(12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로 확인된 경우에만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중개 단말기(12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한 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제어부(25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는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제어부(250)는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제어부(250)는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가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면,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는 클러스터 모듈의 메모리가 교체됐거나 클러스터 모듈에 전기 충격이 가해져서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실제 주행 거리보다 작은 값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어부(250)는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를 적산하고 있으면, 제어부(250)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50)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은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한 제어부(250)는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2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에 제어부(250)는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이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제어부(250)는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대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에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는 클러스터 모듈의 교체 후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ON) 된 것을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확인하면,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대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단말기(120)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면, 제어부(250)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210)에 저장된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중개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제어부(250)는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250)는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하고,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에는 차대 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제어부(250)는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가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면,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서 초기화 상태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교체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백업 정보로 복구한 후, 제어부(2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가장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100)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 및 이용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에 장착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다(S310).
그리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중개 단말기(12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S320). 여기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CAN 통신 네트워크, LIN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한 중개 단말기(12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1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330).
중개 단말기(12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받은 중개 서버(1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한다(S340, S350). 여기서, 중개 서버(13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및 백업 정보 조회에 대한 권한을 제 1 지갑 주소에 부여한다(S36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단계 S36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을 걸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한다(S410).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상기 단계 S410에서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S420).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S430, S440). 상기 단계 S440에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여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계 S430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지 않는다. 즉,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클러스터 모듈에서 주행 거리를 적산하고 있으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되,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S450). 여기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450 이후에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한다(S460, S470)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도 14의 점선 표시 부분과 같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480).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 교체로 인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대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다(S510).
그리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중개 단말기(12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S520).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한 중개 단말기(12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13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530).
중개 단말기(12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받은 중개 서버(1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한다(S540, S550). 여기서, 중개 서버(13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차대 번호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다음 순서(도 15의 점선 표시 부분)에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에 다시 부여한다(S56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단계 S56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510에서 걸린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접속하여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한다(S570).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교체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다(S580).
다시 말해서, 클러스터 모듈에서 초기화 상태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교체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복구한 후,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는 구성을 다시 실시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일실시예는 클러스터 모듈과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이 별개로 존재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이었다.
이하에서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과 클러스터 모듈이 일체형으로 존재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600)은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 중개 단말기(630), 중개 서버(64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 등과 같이 클러스터가 장착된 사륜차 및 이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의 제조시에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할 수 있고,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차량의 최초 시동시에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에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 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50)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기존 주행 거리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기존 주행 거리 정보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변경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큰 경우는 클러스터 모듈의 메모리가 교체됐거나 클러스터 모듈에 전기 충격이 가해져서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기록 정보가 실제 주행 거리보다 작은 값으로 조작되었을 때에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기존 주행 거리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기존 주행 거리 정보로 유지한다.
위와 같이 차량의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모듈 내에서 주행 거리를 적산하고 있으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이에 대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와 소정 조건은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할 때에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계약이란 시스템 개발자가 계약 조건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기록하고, 계약 조건이 충족됐을 경우 자동으로 계약이 실행되게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스마트 계약의 계약 조건은 계약에 관련된 당사자들, 즉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 또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 중개 서버(64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만 공유하기 때문에 제 3 자가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위변조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등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시점까지 적산한 주행 거리 정보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저장하고, 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에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110)은 소정 주기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이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을 구비할 수 있고, 하드웨어 보안 모듈은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차량의 출고시에 장착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차량에서 제거된 후에 도 7과 같이 차량에 새로이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이다.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이 장착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 이용을 위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할 수 있고,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차량에서 제거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650)가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 및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에는 차대 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초기화 상태인 주행 거리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한 후,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 전송하는 구성을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 Hardware Security Module)을 구비할 수 있고, 하드웨어 보안 모듈은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중개 단말기(630)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단말기로써,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차량의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중개 단말기(63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64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단말기(63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64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640)에 전송한 이후에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면, 중개 단말기(630)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단말기(63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64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단말기(63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서버(6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중개 단말기(630)와 중개 서버(640)가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미도시)가 중개 단말기(630)와 중개 서버(640) 간의 통신을 연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중개 단말기(630)는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OBD(On Board Diagnostics) 단말기일 수 있다.
중개 서버(640)는 중개 단말기(63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버(64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후술할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중개 서버(64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개 서버(64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중개 서버(640)는 중개 단말기(63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버(640)는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한다.
여기서, 중개 서버(64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개 서버(640)는 OBD 단말기로부터 차량 진단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OBD 관리 서버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중개 서버(640)로부터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및 백업 정보 조회에 대한 권한을 제 1 지갑 주소에 부여한다.
다시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도 13과 같이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상태 데이터베이스(State Database)에 최초로 저장한 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포함한 블록을 채굴할 수도 있다.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상태 데이터베이스(State Database)에 최초로 저장할 때에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최초 블록으로 하는 주행 거리 백업 블록체인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도 13의 점선 표시 부분)의 조회를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에서 요청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상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의 조회 요청에 응답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에 제공한 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도 14의 점선 표시 부분과 같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의 최신 백업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위와 같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에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제공하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 및 백업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중개 서버(640)로부터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후에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도 15와 같이 가장 최근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백업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다음 순서(도 15의 점선 표시 부분)에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에 부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으면,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와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다음에 저장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에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도 16의 점선 표시 부분)의 조회를 요청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되기 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마지막으로 저장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제 1 하드웨어 보안 모듈(810), 제 1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820), 제 1 데이터 저장부(830), 제 1 무선 통신부(840),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 및 제 1 제어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드웨어 보안 모듈(810)은 암호화 키 수명 주기 보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용 암호화 프로세서로서, 후술할 제 1 제어부(860)의 제어에 의해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제 1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82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후술할 제 1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된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 1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8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1 데이터 저장부(830)는 제 1 제어부(8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데이터 저장부(8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저장부(830)는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하되, 소정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하거나, 소정 조건이 발생할 때마다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되는 주행 거리 정보는 제 1 개인키를 통해 전자 서명된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데이터 저장부(830)는 읽기 전용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Secure Digital) 메모리, 마이크로 SD 메모리, SSD(Soild State Drive), HDD(Hard Disk Driv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부(84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 1 무선 통신부(840)는 제 1 제어부(86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생성한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공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 1 무선 통신부(840)는 제 1 제어부(860)에서 생성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무선 통신부(84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하는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개인키를 통해 전자 서명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무선 통신부(84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1 무선 통신부(840)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의 전용 구성 요소이거나,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 이외의 모듈(예를 들어, AVN 모듈, 커넥티드 카 모듈 등)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증가하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적산 및 저장한다.
제 1 제어부(860)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제어부(860)는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린 것을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면, 제 1 하드웨어 보안 모듈(810)에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제어부(860)는 차량 출고 후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최초로 온(ON) 된 것을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확인하면, 제 1 하드웨어 보안 모듈(810)에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제어부(860)는 제 1 하드웨어 보안 모듈(810)에 저장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제 1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820)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부(860)는 중개 단말기(6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기 전에 중개 단말기(63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인 지를 확인할 수 있고, 중개 단말기(63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로 확인된 경우에만 제 1 공개키와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단말기(630)에 전송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중개 단말기(6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한 후에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제 1 제어부(86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제어부(860)는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제 1 무선 통신부(840)를 통해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부(86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제 1 제어부(860)는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기존 주행 거리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제 1 제어부(860)는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에 저장된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제어부(860)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기존 주행 거리 정보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변경한다.
한편, 기존 주행 거리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 1 제어부(860)는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기존 주행 거리 정보로 유지한다.
위와 같이 차량의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에서 주행 거리 정보를 적산하고 있으면, 제 1 제어부(860)는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에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추출하여 제 1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제어부(860)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은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저장하되,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제 1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제 1 데이터 저장부(830)에 저장한 제 1 제어부(860)는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 1 무선 통신부(840)를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제어부(86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제어부(86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점은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제어부(860)는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제 1 주행 거리 적산부(850)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를 추출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저장하고, 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에 제 1 제어부(860)는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제어부(860)는 소정 주기에 따라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 주기는 소정 주행 거리 주기, 소정 주행 시간 주기 등과 같이 시스템 개발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제 2 하드웨어 보안 모듈(910), 제 2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920), 제 2 데이터 저장부(930), 제 2 무선 통신부(940), 제 2 주행 거리 적산부(950) 및 제 2 제어부(9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하드웨어 보안 모듈(910)은 암호화 키 수명 주기 보호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용 암호화 프로세서로서, 후술할 제 2 제어부(960)의 제어에 의해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
제 2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92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후술할 제 2 데이터 저장부(930)에 저장된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 2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9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 네트워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인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어댑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 2 데이터 저장부(930)는 제 2 제어부(96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 2 데이터 저장부(93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데이터 저장부(930)는 읽기 전용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SD(Secure Digital) 메모리, 마이크로 SD 메모리, SSD(Soild State Drive), HDD(Hard Disk Driv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무선 통신부(94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제 2 무선 통신부(940)는 제 2 제어부(960)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해 생성한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고,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공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무선 통신부(94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모듈, 5G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제 2 무선 통신부(940)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의 전용 구성 요소이거나,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 이외의 모듈(예를 들어, AVN 모듈, 커넥티드 카 모듈 등)과 공용으로 사용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제 2 주행 거리 적산부(950)는 차량의 주행에 따라 증가하는 차량의 주행 거리를 적산 및 저장한다.
제 2 제어부(960)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제거된 차량에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이 장착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제 2 제어부(960)는 제 2 하드웨어 보안 모듈(910)에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제어부(960)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이 차량에 장착된 후에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ON)된 것을 제 2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920)를 통해 확인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 이용을 위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생성을 제 2 하드웨어 보안 모듈(91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제어부(960)는 제 2 하드웨어 보안 모듈(910)에 저장된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제 2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920)를 통해 중개 단말기(6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제어부(960)는 중개 단말기(63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기 전에 중개 단말기(63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인 지를 확인할 수 있고, 중개 단말기(630)가 차량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로 확인된 경우에만 제 2 공개키와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중개 단말기(63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제 2 제어부(960)는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조회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제어부(960)는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 등을 생성할 수 있고, 제 2 무선 통신부(940)를 통해 쿼리문 등을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차량에서 제거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650)가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 및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기 위한 쿼리문에는 차대 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제어부(96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후, 제 2 제어부(960)는 제 2 주행 거리 적산부(950)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를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제어부(960)는 제 2 주행 거리 적산부(950)에서 초기화 상태인 주행 거리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한 후, 제 2 제어부(96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가장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실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600)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 및 이용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 제조시에 장착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다(S1010).
그리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중개 단말기(63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S1020). 여기서,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는 CAN 통신 네트워크, LIN 통신 네트워크, FLEX RAY 통신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한 중개 단말기(630)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640)에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1030).
중개 단말기(630)로부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받은 중개 서버(64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한다(S1040, S1050). 여기서, 중개 서버(64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 및 백업 정보 조회에 대한 권한을 제 1 지갑 주소에 부여한다(S106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4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단계 S106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기 위해 차량의 시동을 걸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접속하여 차량의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한다(S1110). 여기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상기 단계 S1110에서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40)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120).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기존 주행 거리 정보보다 더 큰 경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S1130, S1140).
상기 단계 S1130에서 기존 주행 거리 정보가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차량의 주행 거리 정보를 기존 주행 거리 정보로 유지한다.
위와 같이 차량의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한 상태 또는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유지한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으로 인해 모듈 내에서 주행 거리 정보를 적산하고 있으면,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이에 대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소정 주기 또는 소정 조건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S1150). 여기서,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제 1 개인키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백업 정보에 전자 서명을 생성한 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150 이후에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한다(S1160, S1170) 여기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는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도 14의 점선 표시 부분과 같이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차대 번호 정보를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1180).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에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 교체로 인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 즉 차량의 출고시에 장착된 클러스터 모듈인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제거되고, 도 7과 같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이 장착된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 이용을 위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한다(S1210).
그리고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한 중개 단말기(63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도 함께 전송한다(S1220).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수신한 중개 단말기(630)는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중개 서버(640)에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전송하되, 차대 번호 정보를 함께 전송한다(S1230).
중개 단말기(630)로부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의 등록을 요청받은 중개 서버(640)는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한다(S1240, S1250). 여기서, 중개 서버(640)는 기설정된 스마트 계약 방식에 따라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수신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에 포함된 차대 번호 정보 및 차대 번호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것을 확인한 후에 상태 데이터베이스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의 다음 순서(도 15의 점선 표시 부분)에 차대 번호 정보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저장하고,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즉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에 부여한다(S1260).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650)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단계 S1260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S1210에서 걸린 시동이 꺼진 후에 차량이 재시동되면,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접속하여 차대 번호 정보와 매칭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Query)한다(S1270). 여기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이 차량에서 제거되기 전에 블록체인 네트워크(650)가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10)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 및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의미할 수 있고,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한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조회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할 수 있다(S1280).
다시 말해서,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초기화 상태인 주행 거리 정보(주행 거리 = 0 Km)를 차량의 실제 주행 거리 정보인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주행 거리 정보를 복구한 후,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62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서 최근의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조회하고,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650)에 전송하는 구성을 차량이 주행할 때마다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주행 거리 정보를 백업하고, 차량의 시동시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백업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거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클러스터 모듈의 메모리 교체 또는 전기 충격 등을 통한 주행 거리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이 교체될 경우에 차량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백업 정보를 이용하여 클러스터 모듈의 주행 거리 정보를 자동으로 복구하기 때문에 클러스터 모듈 교체시에 주행 거리 정보를 위변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에 장착되는 모듈로써, 상기 차량의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
    상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받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중개 단말기; 및
    상기 중개 단말기로부터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하는 중개 서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상기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서버는 스마트 계약 방식을 통해 상기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6.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하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 모듈에 기록된 주행 거리 정보인 주행 거리 기록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상기 클러스터 모듈에 전송하여 상기 클러스터 모듈에서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도록 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직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 모듈로부터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수신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한 후에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에 전자 서명을 생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전자 서명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
  9. 차량 제조시에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로써, 상기 차량의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제 1 개인키, 제 1 공개키 및 제 1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가장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모듈 내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주행 거리 기록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제 1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
    상기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받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전송하는 중개 단말기; 및
    상기 중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제 1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제 1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하는 중개 서버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은 상기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시점까지 적산한 주행 거리 정보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주행 거리 백업 정보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주행 거리 백업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이 상기 차량에서 제거된 후에 상기 차량에 새로이 장착되는 클러스터 모듈로써, 차량 장착 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최초로 걸리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제 2 개인키, 제 2 공개키 및 제 2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중개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에 상기 차량이 재시동되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이 상기 차량에서 제거되기 전에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상기 제 1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로부터 마지막으로 수신 및 저장한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모듈 내에 기저장한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제 2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 2 차량용 블록체인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단말기는 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해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상기 중개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중개 서버는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포함한 제 2 등록 요청 트랜잭션 데이터를 생성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송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를 등록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 백업에 대한 권한을 상기 제 2 블록체인 지갑 주소에 부여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13. 차량 출고 후에 최초 시동이 걸리면, 블록체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한 개인키, 공개키 및 블록체인 지갑을 생성 및 저장하는 하드웨어 보안 모듈;
    상기 블록체인 지갑의 주소인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량의 차대 번호 정보를 차량용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중개 단말기로 전송하는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를 적산하는 주행 거리 적산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차량의 최초 시동 이후에 상기 차량의 시동이 걸릴 때마다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 - 상기 차량의 주행 거리에 대한 최근의 백업 정보 - 를 조회하고, 상기 주행 거리 적산부에 저장된 주행 거리 정보인 기존 주행 거리 정보와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가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보다 더 크면, 상기 주행 거리 적산부에 저장된 상기 기존 주행 거리 정보를 상기 최근 주행 거리 백업 정보로 복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개 단말기가 상기 차량의 제조사로부터 인가받은 단말기인 지를 확인하고, 상기 중개 단말기가 상기 제조사의 인가를 받은 단말기이면, 상기 차량용 통신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블록체인 지갑 주소 및 상기 차대 번호 정보를 상기 중개 단말기에 전송하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장치.
KR1020190110863A 2019-09-06 2019-09-06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KR10217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63A KR102170247B1 (ko) 2019-09-06 2019-09-06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863A KR102170247B1 (ko) 2019-09-06 2019-09-06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247B1 true KR102170247B1 (ko) 2020-10-26

Family

ID=7300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863A KR102170247B1 (ko) 2019-09-06 2019-09-06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7547A1 (en) * 2020-12-31 2022-06-30 Jastecm Co., Ltd. Vehicle price estimating method
EP4105808A1 (en) * 2021-06-18 2022-12-21 Zhiji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ileage data of vehicle on blockchain
KR202300558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660A (ko) * 2009-03-18 2010-09-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주행 거리 조작 방지 시스템 및 차량 주행 거리 업데이트 방법
KR20180107339A (ko) *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71065A (ko) * 2017-12-14 2019-06-24 박광호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전자 기반 자동차 보험 요금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2p 자동차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0092A (ko) * 2019-08-08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차량의 사용자 인증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660A (ko) * 2009-03-18 2010-09-29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 주행 거리 조작 방지 시스템 및 차량 주행 거리 업데이트 방법
KR20180107339A (ko) *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20190071065A (ko) * 2017-12-14 2019-06-24 박광호 블록체인을 이용한 운전자 기반 자동차 보험 요금 산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p2p 자동차 공유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00092A (ko) * 2019-08-08 2019-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 주행 시스템에서 차량의 사용자 인증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07547A1 (en) * 2020-12-31 2022-06-30 Jastecm Co., Ltd. Vehicle price estimating method
EP4105808A1 (en) * 2021-06-18 2022-12-21 Zhiji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ileage data of vehicle on blockchain
US20220407715A1 (en) * 2021-06-18 2022-12-22 Zhiji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ileage data of vehicle on blockchain
US11695566B2 (en) 2021-06-18 2023-07-04 Zhiji Automotive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ileage data of vehicle on blockchain
KR20230055861A (ko) * 2021-10-19 2023-04-2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648136B1 (ko) * 2021-10-19 2024-03-1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차량에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3246B2 (en)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KR102170247B1 (ko) 블록체인 기반 차량 마일리지 위변조 방지 시스템 및 장치
US20230306794A1 (en)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061499B (zh) 一种基于文件系统的ecu更新方法及系统
CN102859935B (zh) 利用虚拟机远程维护电子网络中的多个客户端的系统和方法
US20220224548A1 (en) Verifying vehicular identity
EP3376360A1 (en) Data storage device
JP2017174111A (ja) 車載ゲートウェイ装置、蓄積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00079319A1 (en) Multi-factor authentication of a hardware assembly
US9767264B2 (en)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80278282A1 (en)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Data Transfer System And Process
KR20200102213A (ko) 차량 내 네트워크에서 보안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98149A1 (en) Minimizing transport fuzzing reactions
GB2578647A (en) Encrypted automotive data
KR102115305B1 (ko) 자동차 이력 정보 관리 컴퓨터 프로그램 및 장치
US11347836B2 (en) Method for authenticating a vehicle, authentication unit, service unit and central computer unit external to the vehicle
KR102358833B1 (ko) 차량에서 기록된 이벤트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271971B1 (en) Device for facilitating managing cyber security health of a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 (CAV)
KR20190109804A (ko) 자율 주행 차량에서의 차량 호출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218729A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Managing Event Data of a Vehicle
US1154440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vehicle generated data
US11661031B2 (en) System for managing access to a vehicle by a service provider that is to provide a service associated with the vehicle
CN112003867A (zh) 车载t-box与云服务器的通信方法及相关设备
CN113516787B (zh) 自动检票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14928639A (zh) 一种信息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