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154B1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Google Patents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70154B1 KR102170154B1 KR1020200015728A KR20200015728A KR102170154B1 KR 102170154 B1 KR102170154 B1 KR 102170154B1 KR 1020200015728 A KR1020200015728 A KR 1020200015728A KR 20200015728 A KR20200015728 A KR 20200015728A KR 102170154 B1 KR102170154 B1 KR 102170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shell nanowire
- sbs
- shell
- show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61B5/0408—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7—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particles having a nanoscale microstructur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63—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 A61B5/26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 materials containing silver or silver chloride
-
- B22F1/004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17—Metallic particles coated with met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solid metal compoun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301/00—Metallic composition of the powder or its coating
- B22F2301/25—Noble metals, i.e. Ag Au, Ir, Os, Pd, Pt, Rh, Ru
- B22F2301/255—Silver or gol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가 제공된다.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표면에 생체적합성 금속을 에피택시얼 성장시켜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성 복합체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1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위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2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심장은 푸르키네(His-Purkinje) 전도 시스템을 통한 전기 전도의 전파에 의해 활성화되는 가장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다. 심장의 전기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의사에게 심장 질환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여 임상 진료에서 활동 전위의 파형에 의해 결정되는 특정 질병을 진단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국소 활성화 맵은 손상된 심근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므로, 종합적인 심장 질환을 해석하는데 다수의 공간적으로 분포된 기록이 요구된다. 종래의 혈관을 통한 카테터 전극의 해부학적 접근은 심장의 원하는 부위에서 전기 페이싱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물망 형태의 전극이 연구되고 있으나 상기 전극은 독성이 강한 금속 성분을 방출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쉘 나노와이어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표면에 생체적합성 금속을 에피택시얼 성장시켜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성 복합체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1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위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2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쉘 나노와이어는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는 높은 전도성과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복합체는 의료 장치 등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갈바닉 반응 없이 은 나노와이어에 금 쉘을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로 구성되는 신축성 전도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코어-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EDS 매핑을 나타낸다.
도 5는 Ag NW, Ag@Au NW, 및 Ag@Au NW/SBS 복합체로부터의 Ag 이온 침출을 분석하기 위한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Ag@Au NW/SBS 복합체가 30% 신장된 경우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8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스트레인-스트레스 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Ag@Au NW 함량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신축도(stretchability) 및 전도도(conductivity)를 나타낸다.
도 10은 Ag@Au NW/SBS 복합체가 기계적으로 신장된 경우에 전도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Ag@Au NW/SBS 전극 위에 PEDOT을 전착(electrodeposition)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나타낸다.
도 13은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yclic voltammetry)를 나타낸다.
도 14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에 2mA 2상 전류 자극 하에서 전하 주입을 나타낸다.
도 15는 쥐 심장에서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부터 기록된 심장내 일렉트로그램(electrogram)을 나타낸다.
도 16은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 페이싱(260 사이클 길이)하는 동안 쥐 심장의 표면 ECG(lead 1)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 18은 유연성 PCB에 연결된 펼쳐진 심장 메시 전극을 나타낸다.
도 19는 살아있는 돼지 심장의 MRI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0은 심장 메시 전극과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의 커스토마이징 과정을 나타낸다.
도 21은 커스토마이징 전후 심장 메시 전극 라인의 저항을 나타낸다.
도 22는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다.
도 23은 30%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사이클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4는 심장 메시 전극의 층 단면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모듈러스와 돼지 심장의 모듈러스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5는 LAD(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폐색된 돼지 심장에 이식된 심장 메시 전극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6은 LAD 폐색 1시간 후 심장 메시 전극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7은 표면 ECG 및 건강한 조직과 손상된 조직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8은 MRI의 3D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바이폴라 전극 배열을 나타내고, 도 29는 3D 모델의 활성화 맵을 나타내며, 도 30은 3D 모델의 전압 맵을 나타낸다.
도 31은 3차원 조율된 전기 자극 하에서의 수축성을 나타낸다.
도 32는 정위 페이싱에 의한 단일 압력 곡선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로 구성되는 신축성 전도체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코어-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EDS 매핑을 나타낸다.
도 5는 Ag NW, Ag@Au NW, 및 Ag@Au NW/SBS 복합체로부터의 Ag 이온 침출을 분석하기 위한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6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Ag@Au NW/SBS 복합체가 30% 신장된 경우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8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스트레인-스트레스 곡선을 나타낸다.
도 9는 Ag@Au NW 함량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신축도(stretchability) 및 전도도(conductivity)를 나타낸다.
도 10은 Ag@Au NW/SBS 복합체가 기계적으로 신장된 경우에 전도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1은 Ag@Au NW/SBS 전극 위에 PEDOT을 전착(electrodeposition)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나타낸다.
도 13은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yclic voltammetry)를 나타낸다.
도 14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에 2mA 2상 전류 자극 하에서 전하 주입을 나타낸다.
도 15는 쥐 심장에서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부터 기록된 심장내 일렉트로그램(electrogram)을 나타낸다.
도 16은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 페이싱(260 사이클 길이)하는 동안 쥐 심장의 표면 ECG(lead 1)를 나타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 18은 유연성 PCB에 연결된 펼쳐진 심장 메시 전극을 나타낸다.
도 19는 살아있는 돼지 심장의 MRI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0은 심장 메시 전극과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의 커스토마이징 과정을 나타낸다.
도 21은 커스토마이징 전후 심장 메시 전극 라인의 저항을 나타낸다.
도 22는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저항 변화를 나타낸다.
도 23은 30%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사이클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도 24는 심장 메시 전극의 층 단면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모듈러스와 돼지 심장의 모듈러스를 비교하여 나타낸다.
도 25는 LAD(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폐색된 돼지 심장에 이식된 심장 메시 전극의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26은 LAD 폐색 1시간 후 심장 메시 전극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7은 표면 ECG 및 건강한 조직과 손상된 조직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8은 MRI의 3D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바이폴라 전극 배열을 나타내고, 도 29는 3D 모델의 활성화 맵을 나타내며, 도 30은 3D 모델의 전압 맵을 나타낸다.
도 31은 3차원 조율된 전기 자극 하에서의 수축성을 나타낸다.
도 32는 정위 페이싱에 의한 단일 압력 곡선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Ag@Au는 코어-쉘 구조체로 @앞에 기재된 Ag는 코어를 나타내고, @뒤에 기재된 Au는 쉘을 나타낸다. Ag NW는 은 나노와이어를 의미하고, Ag@Au NW는 Ag@Au 나노와이어를 의미한다. 또,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는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고분자를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체(composite)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g@Au NW/SBS는 Ag@Au 나노와이어와 SBS(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를 혼합하여 형성된 복합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쉘 나노와이어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한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은 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표면에 생체적합성 금속을 에피택시얼 성장시켜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에피택시얼 성장은 아황산 금 복합체(gold sulfite complex)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에 의해 상기 전도성 금속과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 간 갈바닉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은 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는 Na3Au(SO3)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축성 복합체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1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위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 및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배치되고,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와 제2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 및 상기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금속은 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은 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분자 및 상기 제2 고분자는 고분자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고무는 SBS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및 상기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는 메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복합체는 상기 제1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2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 위에 배치되는 제3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은 고분자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층, 상기 제2 절연층, 및 상기 제3 절연층은 메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신축성 복합체는, 예를 들어, 심장 메시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Ag NW는 높은 종횡비를 갖는 고전도성 물질로서 양호한 전기적 퍼콜레이션 네트워크(percolation network)를 형성할 수 있다. Ag NW가 Au 나노쉘(nanoshell)로 캡슐화됨에 따라 우수한 전도성을 유지하면서 은 이온 침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Ag NW의 전도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도성 물질의 로컬라이제이션(localization)에 의해 기계적 변형 하에서도 안정된 전기적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고분자 복합체는 다중 전극 어레이를 갖는 대형 장치를 만들기 위한 몰딩 및 용접 공정을 가능하게 하여 큰 크기의 심장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위치에 상관 없는 페이싱을 제공하는 심장 매핑 및 정위적 페이싱 효과를 통한 동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다양한 심장 질환 치료를 위한 생체 의학 장치에 신축성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g@Au NW/SBS 복합체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100ml를 260rpm으로 저으면서 175℃에서 예열한다. 폴리 비닐피롤리돈(PVP, MW 360k)을 30ml의 에틸렌 글리콜에 용해시키고, 800㎕의 4mM 구리 클로라이드(CuCl2·2H2O) 용액을 첨가한다. 에틸렌 글리콜에 0.095M 농도의 질산은(AgNO3) 용액과 구리 용액을 주입한 10분 후에 상기 용액을 180ml/hr로 주입한다. 상기 주입이 완료된 후, 교반을 중지하고 20분 동안 합성 반응을 수행하여 Ag NW를 형성한다. 상기 반응이 끝난 후, Ag NW 용액을 물(1:4)로 희석하고 30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 분리한다. 세정 공정을 3회 반복하여 Ag NW의 PVP를 제거한다. 세정된 Ag NW를 Au 나노쉘로 캡슐화하여 Ag@Au NW를 형성한다. Ag@Au NW를 톨루엔에 30mg/ml로 분산시킨다. Ag@Au NW 용액을 SBS가 용해된 용액(SBS:톨루엔이 1:10)과 혼합한다. 가장 높은 신축성을 나타내는 최적화된 농도는 Ag@Au NW/SBS 복합체 내에서 Ag@Au NW가 45중량%이다. 상기 혼합 용액을 유리 몰드에 부어 핫 플레이트에서 건조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갈바닉 반응없이 은 나노와이어에 금 쉘을 형성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아황산 금 복합체(gold sulfite complex), 예를 들어, Na3Au(SO3)2를 사용하여 Ag NW 표면에 Au을 에피택시얼 증착시킨다. Ag와 Au 사이의 갈바닉 반응(galvanic reaction) 없이 Ag@Au NW를 형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상기 갈바닉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중공 Au/Ag 합금 나노구조는 Ag@Au NW의 전기적 특성 및 생체 적합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황산염 리간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갈바닉 치환 반응을 억제하면서 Ag NW에 Au 나노쉘을 형성할 수 있다. Au 나노쉘은 Ag NW의 전체 표면을 덮도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아황산염 리간드는 Au 양이온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높은 안정성으로 환원 전위를 낮춘고, 리간드에 의한 산화 에칭을 방지하는 등 Ag 표면에서의 Au 에피택시얼 증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황산염 리간드로 배위된 Au 전구체는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Au 전구체가 반드시 느리게 주입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므로 대규모 합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응에서 Ag NW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Ag 표면에 증착되는 Au 쉘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합성된 Ag@Au NW는 30nm의 평균 Au 쉘 두께와 180nm의 평균 전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Ag NW는 높은 고유 전기 전도성 및 우수한 기계적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나 Ag+ 이온의 침출로 인한 독성에 의해 생의학적 응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 금(Au)은 생체 적합성 및 산화 저항성이 있지만 낮은 고유 전도도 때문에 생체 의료 장치로의 적용에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Ag@Au NW는 Ag NW가 Au의 두꺼운 쉘로 캡슐화되어 전기 전도도와 생체 적합성이 모두 우수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로 구성되는 신축성 전도체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합성된 Ag@Au NW의 리간드를 헥실 아민으로 교환한 후, 상기 Ag@Au NW를 톨루엔에 분산시켜 SBS 용액과 혼합한 후 상기 톨루엔을 건조시켜 Ag@Au NW/SBS 복합체를 형성한다. 상기 톨루엔의 무게는 SBS 용액의 무게보다 더 클 수 있다(예를 들어 약 10배). 상기 Ag@Au NW/SBS 복합체는 높은 전도성, 생체 적합성,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SEM 이미지는 Ag@Au NW를 보여주며, 삽입된 그림은 후방 산란 이미지로 Ag NW 코어와 Au 쉘 사이의 명확한 대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g@Au NW의 코어-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EDS 매핑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EDS(Energy-dispersive X-ray spectroscopy) 매핑은 Ag@Au NW의 코어-쉘 구조를 확인하는 Ag, Au 원소의 신호를 보여준다. 갈바닉 치환 반응이 억제되어 Ag NW의 에칭이나 중공 구조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도 5는 Ag NW, Ag@Au NW, 및 Ag@Au NW/SBS 복합체로부터의 Ag 이온 침출을 분석하기 위한 ICP-MS(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 데이터를 나타낸다. Ag NW, Ag@Au NW, Ag@Au NW/SBS 복합체를 세포 배양기에서 3일 동안 DMEM(Dulbecco Modified Eagle 's Medium) 용액에 분산시키고 침출된 은이온(Ag+)의 양을 유도 결합 플라즈마 질량 분광법(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scopy)으로 분석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Au 쉘은 은이온이 침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는 것으로 나타났다. Ag NW의 은이온 침출에 대하여 Ag@Au NW는 은이온 침출이 5.8%로 감소하였고, Ag@Au NW/SBS 복합체는 은이온 침출이 1.2%로 감소하였다.
도 6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SEM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Ag@Au NW/SBS 복합체가 30% 신장된 경우의 SEM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Ag@Au NW/SBS 복합체는 우수한 생체 적합성을 가지며, 안정한 전기적 성능과 높은 신축성을 보인다. 용액의 건조 과정에서, Ag@Au NW는 기계적 변형 하에서도 전자 경로를 치밀화하는 클러스터링 효과를 나타낸다. 적절한 농도를 갖는 톨루엔 내 Ag@Au NW 및 SBS의 혼합물을 유리 몰드에 붇는다. 저온(실온, 20℃)에서 건조하면 2일 동안 건조 시간이 길어 클러스터링 효과가 더욱 좋아질 수 있다. SEM 이미지는 주로 Ag@Au NW로 구성된 클러스터링 아일랜드를 보여준다. 스트레칭하는 동안, 대부분의 스트레인(strain)은 주로 SBS와 결합된 클러스터링 영역 사이에 적용되어 SBS 브리지를 형성한다(도 7). 그러나 전기 전도도는 SBS 브리지 상의 매우 긴 Ag@Au NW 퍼콜레이션 구조에 의해 유지된다. Ag@Au NW/SBS 복합체는 55℃와 85℃에서 건조될 때 Ag@Au NW의 균일한 분포를 보이고, 클러스터링 아일랜드와 SBS 브리지를 보이지 않는다.
도 8은 제조 공정 온도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스트레인-스트레스 곡선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Ag@Au NW/SBS 복합체는 경직된 스트레인-스트레스 곡선을 보이나, SBS 브리지 구조는 가해진 스트레인을 흡수하여 강화된 딱딱한 아일랜드 영역을 덮어 Ag@Au NW/SBS 복합체의 낮은 모듈러스를 유도한다.
도 9는 Ag@Au NW 함량에 따른 Ag@Au NW/SBS 복합체의 신축도(stretchability) 및 전도도(conductivity)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전도도는 Ag@Au NW의 함량 증가에 따라 상승 경향을 보이고, Ag@Au NW/SBS 복합체는 Ag@Au NW의 함량이 70wt%일 때 가장 높은 전도도(35,000S/cm)를 나타낸다. 또, Ag@Au NW/SBS 복합체는 Ag@Au NW의 함량이 45wt%일 때 가장 높은 신축성(180%)을 나타내고, 이는 19,783S/cm의 여전히 높은 전도성을 갖는 SBS 브리지를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SBS의 임계 함유량을 의미한다.
도 10은 Ag@Au NW/SBS 복합체가 기계적으로 신장된 경우에 전도도 변화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20℃ 건조 공정(RT Drying)에서 고밀도화된 Ag@Au NW 클러스터링 영역과 SBS 브리지 상의 퍼콜레이트된 전도성 네트워크는 최대 180%까지 신장하는 동안 전도도의 안정된 성능을 나타낸다.
도 11은 Ag@Au NW/SBS 전극 위에 PEDOT을 전착(electrodeposition)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을 참조하면, Ag@Au NW/SBS 복합체를 심막 전극으로 이용하기 위해, 전극 표면에 PEDOT(Poly(3,4-ethylenedioxythiophene))을 증착하여 전하 주입을 증가시켜 임피던스를 낮출 수 있다. 상기 PEDOT은 3,4-EDOT(Ethylenedioxythiophene)의 전기 중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01M의 3,4-EDOT(Ethylenedioxythiophene)와 0.01M 과염소산 리튬 (LiClO4)을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에 용해시킨 후, 제조된 메시 전극을 상기 용액에 담그고 2 전극 시스템(전위 대 Ag/AgCl 기준 전극)을 이용하여 0.1mA의 전류 하에서 1000초 동안 갈바노스태틱 전착(galvanostatic electrodeposition)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극 표면에 상기 PEDOT이 증착될 수 있다.
Ag@Au NW/SBS 복합체와 SBS는 구불구불한 모양의 몰드를 이용하여 패터닝되고, Ag@Au NW/SBS 복합체는 전극 영역이 덮히지 않고 SBS층에 의해 샌드위치된다. 상기 전극 라인은 절연을 위해 실리콘 고무 등으로 캡슐화될 수 있다.
도 12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임피던스와 위상을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심막 전극의 임피던스는 PEDOT의 증착 후 감소한다. 심막 전극은 30%까지 신장되어도 전기 화학적 성질이 유지된다.
도 13은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 및 신장된 Ag@Au NW/SBS 전극의 사이클릭 볼타메트리(Cyclic voltammetry)를 나타낸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이클릭 볼타모그램(cyclic voltammogram)에서, 음극 전하 저장 용량은 PEDOT 증착 후 12.98mC/㎠에서 80.11mC/㎠로 증가하였으며 30% 신장하여도 CV 곡선이 유지된다.
도 14는 PEDOT 증착 전후의 Ag@Au NW/SBS 전극에 2mA 2상 전류 자극하에서 전하 주입을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20ms 동안 2mA의 2상 전류 조건 하에서 PEDOT 코팅된 심막 전극에 적용된 낮은 전위에 같은 양의 전하 주입이 발생한다. 상기 심막 전극은 고유한 재료에 의해 높은 전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전기 화학적 성질을 가질 수 있고, 심장으로부터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5는 쥐 심장에서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부터 기록된 심장내 일렉트로그램(electrogram)을 나타내고, 도 16은 PEDOT 코팅된 Ag@Au NW/SBS 전극으로 페이싱(260 사이클 길이)하는 동안 쥐 심장의 표면 ECG(lead 1)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한 쌍의 전극에 의해 심막 표면으로부터 심장내 신호가 측정될 수 있고, 260ms의 주기로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 심장 속도가 페이싱 속도에 의해 가속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심장 메시 전극은 복수개의 단위 메시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위 메시 전극은 복수개의 라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7개의 단이 메시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위 메시 전극은 6쌍의 라인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쌍의 라인 전극은 SBS 층을 사이에 두고 위 아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인 전극은 구불구불한 형상을 갖는다. SBS 메시와 Ag@Au NW/SBS 복합체(전극)가 적층되고 용접 과정을 통해 6쌍의 라인 전극으로 구성되는 하나의 단위 메시 전극이 형성된다. SBS 고무의 열가소성으로 인해, SBS 메시와 Ag@Au NW/SBS 복합체 내 SBS는 열과 압력 하에서 분산되고 용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위 메시 전극들이 정렬되고 서로 용접되어 심장 메시 전극이 형성된다. 전도층의 측면을 확실하게 캡슐화하기 위해, 개방된 전극 영역을 제외하고 실리콘 고무로 코팅된다.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심장 주위를 감싸기 위해 복수개의 단위 메시 전극들이 결합하여 팬 모양으로 퍼져 나가는 형상(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8은 유연성 PCB에 연결된 펼쳐진 심장 메시 전극을 나타내고, 도 19는 살아있는 돼지 심장의 MRI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심장 메시 전극은 MRI 심장 이미지에 기반하여 심장의 형상과 크기에 맞도록 형성될 수 있다. SBS 고무의 블록 공중합체 구조는 상기 중합체가 스위칭을 위한 소프트 세그먼트와 크로스 링크를 위한 하드 세그먼트를 갖는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SBS 고무의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머 체인에 변형이 일어나서 심장의 크기에 맞춰지도록 변형될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유리전이온도 이하로 온도를 내리면 형상이 고정될 수 있다.
도 20은 심장 메시 전극과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의 커스토마이징 과정을 나타낸다.
도 20을 참조하면, 3D 인쇄된 심장 모형을 이용한 가열 및 냉각 과정을 통하여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심장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1은 커스토마이징 전후 심장 메시 전극 라인의 저항을 나타낸다.
도 21을 참조하면, 심장 메시 전극이 심장의 원래 크기에 맞게 신장하여도, 전극의 저항은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과정 후에 거의 변하지 않는다.
도 22는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저항 변화를 나타내고, 도 23은 30% 스트레인 하에서 심장 메시 전극의 사이클릭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전극 라인의 각 저항은 수축기 및 확장기 사이클 동안 원주 방향 변형에서 발생하는 30% 변형 하에서 측정하였고, 중간 크기 전극 라인의 저항 변화는 주기 변형 테스트 중에 측정하였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심장 메시 전극은 기계적 변형 및 주기적 변형에 하에서도 심장 신호를 측정하고 심장을 자극할 수 있다.
도 24는 심장 메시 전극의 층 단면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의 모듈러스와 돼지 심장의 모듈러스를 비교하여 나타낸다.(PC: Porcine circumferential direction; PL: Porcine longitudinal direction)
도 24를 참조하면, 심장 메시 전극의 모듈러스가 돼지 심장(심근)의 모듈러스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심장 메시 전극은 심장의 펌핑 활동을 억제하지 않고, 심실의 움직임과 좌심실(LV) 압력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25는 LAD(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폐색된 돼지 심장에 이식된 심장 메시 전극의 이미지를 나타내고, 도 26은 LAD 폐색 1시간 후 심장 메시 전극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5를 참조하면, 심장 메시를 이식하기 전에 돼지 심장에 좌전 하행 관상 동맥(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LAD)을 풍선 카테터로 폐색시켜 급성 심근 경색을 유도하였다.
도 26을 참조하면, 심장내 일렉트로그램(Intracardiac electrogram)은 1시간 LAD 폐색 후 각 위치에서 동시에 측정하였다. LAD 폐색으로 인해, 넓은 QRS 기간은 심근 조직이 정상 위치와 비교하여 전방 좌심실(LVa)에서 손상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3-5 번 위치에서 심근 손상으로 인한 지연 전도 및 ST 상승을 보인다.
도 27은 표면 ECG 및 건강한 조직과 손상된 조직의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을 나타낸다.
도 27을 참조하면, 심근 경색이 심해짐에 따라 심장 기능이 악화되어 빠른 심장 박동을 의미하는 심실 빈맥(ventricular tachycardia, VT) 및 무질서한 심장 박동을 의미하는 심실 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으로 유도된다. 심실 빈맥이 시작될 때, 정상 조직으로부터의 신호는 규칙적이고 빠른 심장 박동을 보이나, 손상된 조직으로부터의 신호는 무질서한 패턴을 보인다.
도 28은 MRI의 3D 재구성 이미지에 의한 바이폴라 전극 배열을 나타내고, 도 29는 3D 모델의 활성화 맵을 나타내며, 도 30은 3D 모델의 전압 맵을 나타낸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국소 전기 활동은 외심막 위의 24쌍의 전극으로부터 기록되고, 활성화 지도는 표면 ECG(lead II)에 기초한 전압의 최대 기울기의 시간차를 보여주는 기록된 바이폴라 심장내 일렉트로그램에 의해 구성된다. 등시성 심장 활성화 매핑은 손상된 심장 근육을 검출할 수 있고, 최고 전압과 최저 전압의 차이 맵인 전압 맵과 상응한다.
도 31은 3차원 조율된 전기 자극 하에서의 수축성을 나타내고, 도 32는 정위 페이싱에 의한 단일 압력 곡선을 나타낸다.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평균 수축력(dP/dtmax)은 페이싱이 동시에 발생하는 동안 압력 곡선을 기반으로 삼차원 조율된 전기 자극 하에서 계산되고, 좌심실의 측면에 따른 페이싱이 심장 기능을 회복시키는데 상대적으로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심장 메시 전극을 이용한 흉부 정형 (stereotactical) 페이싱은 기존의 심장 페이싱 카테터 방법으로는 효과가 없는 환자들을 위한 심장 동기화 치료에 적용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코어 표면에 형성되고,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하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금속은 은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은 금을 포함하며,
상기 쉘은 상기 코어 표면에 에피택시얼 성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에피택시얼 성장은 아황산 금 복합체를 사용하여 수행되며,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는 아황산염 리간드로 배위된 금 전구체로 상기 코어 표면에서 금을 에피택시얼 증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나노와이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는 Na3Au(SO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나노와이어. -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는 코어 표면에 생체적합성 금속을 에피택시얼 성장시켜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금속은 은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은 금을 포함하며,
상기 에피택시얼 성장은 아황산 금 복합체를 사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는 아황산염 리간드로 배위된 금 전구체로 상기 코어 표면에서 금을 에피택시얼 증착시키며,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에 의해 상기 전도성 금속과 상기 생체적합성 금속 간 갈바닉 반응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황산 금 복합체는 Na3Au(SO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5728A KR102170154B1 (ko) | 2020-02-10 | 2020-02-10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5728A KR102170154B1 (ko) | 2020-02-10 | 2020-02-10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41326A Division KR20190047436A (ko) | 2017-10-27 | 2017-10-27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648A KR20200019648A (ko) | 2020-02-24 |
KR102170154B1 true KR102170154B1 (ko) | 2020-10-28 |
Family
ID=6963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5728A KR102170154B1 (ko) | 2020-02-10 | 2020-02-10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01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430035A (zh) * | 2020-10-29 | 2022-05-03 | 厦门厦钨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 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535649A (ja) * | 2013-10-02 | 2016-11-17 |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イリノイ | 臓器装着型電子機器 |
WO2018140226A1 (en) | 2017-01-24 | 2018-08-02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Conductive core-shell metal nanowires for transparent conductor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82225B2 (en) * | 2010-02-12 | 2017-06-20 | Georgetown University | Polymer film bioelectrod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
KR101188368B1 (ko) * | 2010-12-03 | 2012-10-0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나노와이어 신경탐침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KR101503391B1 (ko) * | 2013-02-28 | 2015-03-18 | 한국과학기술원 | 단결정 금 나노선을 포함하는 신경신호 측정용 신경전극 |
KR101789711B1 (ko) * | 2015-06-08 | 2017-10-2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그래핀 바이오 전자 장치 |
-
2020
- 2020-02-10 KR KR1020200015728A patent/KR1021701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535649A (ja) * | 2013-10-02 | 2016-11-17 | ザ ボード オブ トラスティーズ オブ ザ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オブ イリノイ | 臓器装着型電子機器 |
WO2018140226A1 (en) | 2017-01-24 | 2018-08-02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Conductive core-shell metal nanowires for transparent conductor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9648A (ko) | 2020-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unwoo et al. | Stretchable low‐impedance nanocomposite comprised of Ag–Au core–shell nanowires and Pt black for epicardial recording and stimulation | |
AU637353B2 (en) | Patch electrodes for use with defibrillators | |
US5143089A (en) | Assembly and method of communicating electrical signals between electrical therapeutic systems and body tissue | |
Xue et al. | Mechanically‐Compliant Bioelectronic Interfaces through Fatigue‐Resistant Conducting Polymer Hydrogel Coating | |
CN2782017Y (zh) | 电生理电极导管 | |
KR101741187B1 (ko) | 심장의 재동기화 치료를 위한 그물망 전극 및 이의 제조 방법 | |
CN2822515Y (zh) | 电生理电极导管 | |
JP2013543774A (ja) | 導電性ポリマー導体を有するリード | |
US11419534B2 (en) | Core-shell nanowire, method of forming core-shell nanowire, and stretchable composite comprising core-shell nanowire | |
KR102170154B1 (ko)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
KR102170151B1 (ko) | 바이오 전극 및 그 형성 방법 | |
CN108472483A (zh) | 避免出血的微电极 | |
Sharma et al. | Assessing safety of leadless pacemaker (MICRA) at various implantation sites and its impact on paced QRS in Indian population | |
An et al. | Injectable conductive hydrogel can reduce pacing threshold and enhance efficacy of cardiac pacemaker | |
JP7402152B2 (ja) | イン・ビトロおよびイン・ビボにおける組織伝導の増強のための導電性安息香酸系ポリマー含有生体材料 | |
Nam et al. | Needle‐like Multifunctional Biphasic Microfiber for Minimally Invasive Implantable Bioelectronics | |
EP2184082A1 (de) | Implantierbare Leitung | |
KR102102575B1 (ko) | 코어-쉘 나노와이어,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의 형성 방법, 및 상기 코어-쉘 나노와이어를 포함하는 신축성 복합체 | |
CN106782745B (zh) | 一种双极心脏起搏电流提供导线及单元、装置 | |
Masini et al. | Activated pyrolytic carbon tip pacing leads: an alternative to steroid‐eluting pacing leads? | |
JP7546563B2 (ja) | 金属化グラフェン繊維の作製方法および生体電子用途 | |
US20080234591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atient notification of physiologic events and device function | |
KR20240117429A (ko) | 코어-이중 쉘 나노와이어, 전도성 나노복합체 및 그 형성 방법 | |
최수지 | Stretchable Electrode Using Silver Nanowires and Elastomeric Block-Copolymer Nanocomposite for Biomedical Devices | |
Chinushi et al. | Delayed pericardial effusion due to perforation of the right ventricular outflow tract by an ICD lea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