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008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086B1
KR102170086B1 KR1020130108910A KR20130108910A KR102170086B1 KR 102170086 B1 KR102170086 B1 KR 102170086B1 KR 1020130108910 A KR1020130108910 A KR 1020130108910A KR 20130108910 A KR20130108910 A KR 20130108910A KR 102170086 B1 KR102170086 B1 KR 10217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ip
connector
cable
seatin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9902A (ko
Inventor
서명원
조민수
양지석
이규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08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단자와 케이블이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되어 상기 안착부를 덮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플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립부의 강성을 보강하며 파손 불량과 같은 취급 불량을 방지하며, 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조공정 또는 체결 작업 시에 파손 및 작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 또한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해서 박형화, 경량화, 저소비전력화 장점을 지닌 표시장치(display device)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LC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여기서, 동화상 표시에 유리하고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가 큰 특징을 보여 TV, 모니터 등에 활발하게 이용되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의 광학적이방성(optical anisotropy)과 분극성질(polarization)에 의한 화상구현원리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나란한 두 기판(substrate) 사이로 액정층을 개재하여 합착시킨 액정패널(liquid crystal panel)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액정패널 내의 전기장으로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을 변화시켜 투과율 차이를 구현하는 것이므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때, 액정패널은 자체 발광요소를 갖추지 못한 관계로 투과율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하기 위해서 별도의 광원을 요구하고, 이를 위해 액정패널 배면에는 광원(光源)이 내장된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이 배치된다.
여기서,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위치에 따라 직하형(Direct Type)과 측면형(Edge Type)으로 구분되는데,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을 액정패널 하부에 배치함으로써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직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고, 측면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패널 하부에 도광판을 배치하고, 광원을 도광판의 적어도 일측면에 배치함으로써 도광판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간접적으로 액정패널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이때, 측면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며, 박형으로 무게가 가볍고 소비전력이 낮은 이점이 있어 많이 사용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함으로써,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명암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유기발광다이오드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 표시패널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위와 같이 비교적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가 표시장치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보다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표시장치가 휴대용 컴퓨터는 물론 데스크톱 컴퓨터 모니터 및 벽걸이형 텔레비전 등 그 사용영역이 다양해지면서 경량 및 박형이면서 보다 고화질의 표시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때 경량, 박형 및 고화질의 표시장치를 구현하려다 보니 세부 구성요소들, 일예로 커넥터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 있다.
구동부의 인쇄회로기판에는 외부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해 커넥터를 통해 케이블이 연결되는데, 고화질, 일예로 초고화질(ultra high definition:UHD)을 구현하기 위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단자 수가 늘어나며 커넥터의 길이도 점점 길어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커넥터와 케이블의 체결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커넥터의 플립부의 개폐 동작에 따른 파손을 일예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하우징부(50)와, 하우징부(50)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플립부(60)로 구성된다.
이때, 하우징부(50)는 케이블(90)에 구비된 다수의 패드(미도시) 각각에 대응되는 다수의 단자(53)와 케이블(90)이 인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에 케이블(90)을 체결할 경우 커넥터의 플립부(60)를 열고 케이블(90)을 안착부(미도시)에 안착시킨 후, 플립부(60)를 닫음으로써 케이블(90)의 체결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커넥터의 체결공정(실장공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커넥터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플립부(60)의 길이도 길어지는데, 하우징부(50)의 경우 내부에 금속재질의 다수의 단자(53)가 포함됨에 따라 견고한 반면 플립부(60)의 경우 순순히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우징부(50)에 비해 강성이 약해 외부의 환경, 열 또는 충격에 의해 쉽게 형상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예로, 케이블(90) 체결 시 작업자가 플립부(60)를 열고 닫으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립부(60)의 중앙 인근 영역(AB)이 부서지며 플립부(6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 할 경우 솔더링에 의한 열에 의해 플립부(60)의 형태가 휘거나 뒤틀리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커넥터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플립부(60)의 강성은 약해지며 불량 발생률이 증가되기 때문에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지만, 이는 곧 전체 두께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부를 분할 구성하여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전체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제조공정 및 체결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불량을 방지하고 슬림한 두께를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다수의 단자와, 케이블이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를 덮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플립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플립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분하는 구분부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이때, 상기 구분부는 안착부의 표면과 접촉하며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구분부는 안착부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단자 각각의 일단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플립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되는 프론트 타입(front type),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형성되는 백 타입,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형성되는 혼합 타입(hybrid type) 중 하나의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백 타입의 하우징부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플립부를 분할 구성함으로써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표시장치가 고화질화 되면서 외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의 수가 증가되며 커넥터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에도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플립부의 두께를 증가할 필요없이 플립부를 다수 개로 분할 구성하면 되므로 두께 증가에 따른 부품비용을 없애며, 슬림한 두께를 가지는 미려한 커넥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공정 및 체결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불량을 방지하며 전체 공정의 생산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커넥터와 케이블의 체결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커넥터의 플립부의 개폐 동작에 따른 파손을 일예로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수의 단자의 형상을 일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수의 단자의 형상을 다른 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립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예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커넥터는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써, 일예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부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표시장치의 구동부에 장착되어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구동부는 액정표시장치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내의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수의 단자의 형상을 일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다수의 단자의 형상을 다른 예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때, 도 5a 및 도 5b는 플립부와 다수의 단자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다수의 단자 각각과 플립부는 내부적으로 연결되었으나, 외관 상으로 보이는 것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여기서, 케이블(19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배선(미도시)이 내제되어 있는 본체부(192)와, 본체부(192)의 다수의 배선(미도시)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패드(pad, 미도시)를 포함하는 접속부(19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속부(194)의 배면으로 다수의 패드(미도시) 각각이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190)은 평면 가요성 케이블(flat flexible cable:FFC) 또는 가요성 인쇄회로 케이블(flexible printed circuit cable:FPC)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40)는 전체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하우징부(150), 그리고 하우징부(150)와 대향하며 개폐 가능한 플립부(16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190)의 다수의 패드(미도시) 각각은 커넥터(100)의 다수의 단자(153)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140)의 제1 및 제2플립부(162, 164)를 통해 고정된다.
하우징부(150)는 케이블(190)의 접속부(194)가 인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52)와, 안착부(152)에 안착된 접속부(194)의 다수의 패드(미도시)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153)와, 플립부(160)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15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인 플립부(160)는 케이블(19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부로,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로 분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플립부(160)를 분할 구성함으로써 플립부(160)의 강성을 보강하며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플립부(160)의 구성에 따라 하우징부(150)를 좀더 세분화할 수 있다.
하우징부(150)는 케이블(190)이 인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52) 중앙에 안착부(152)를 제1안착부(152a)와 제2안착부(152b)로 구분함과 동시에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를 구분하는 구분부(155)를 더 포함하며, 제1안착부(152a)와 제2안착부(152b) 각각의 양단 하우징부(150)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 각각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156)가 구성된다.
이때, 구분부(155)는 안착부(152)의 표면과 접촉하며 형성되거나, 또는 안착부(152) 표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단자(153)와 케이블(190)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구분부(155)가 안착부(152) 표면과 접촉하며 안착부(152)의 중앙에 위치할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자(153)는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형성되고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 사이의 구분부(155)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단자가 생략될 수 있다. 이때, 케이블(190)의 접촉부(194)는 구분부(155)에 대응되는 위치에 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분부(155)에 대응되는 영역을 따라서는 패드와 이에 따른 배선이 생략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구분부(155)가 안착부(152)에서 일정 높이,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19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케이블(190)의 두께보다 큰 높이 떨어진 상태로 안착부(152)의 중앙에 위치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자(253) 각각은 서로 균일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면(253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단자(253)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즉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경사면(253a)의 경사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케이블(190)의 다수의 패드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253) 끝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므로, 케이블(190)은 종래와 형태와 동일한 것을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안착부(152)와 구분부(155) 사이로 케이블(190)이 인입되며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립부(160)가 분할 구성됨에 따라 다수의 단자(153, 253)는 분할 구성된 제1 및 제2플립부(162, 164) 각각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자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단자 간 간격이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부(150)의 힌지부(156)는 플립부(160)의 일 단, 그리고 다수의 단자(153) 각각의 일 단이 함께 결합 체결됨으로써 플립부(16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플립부(16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온보드 타입(on board type)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에 커넥터가 장착되거나, 또는 오프셋 타입(offset type)으로 커넥터에 대응되는 삽입홈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온보드 타입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하우징부(150)의 배면이 접촉하며 장착되지만, 오프셋 타입의 경우 인쇄회로기판의 삽입홈에 삽입되며 커넥터가 장착되기 때문에 온보드 타입에 비해 두께를 슬림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개폐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립부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커넥터에 케이블(190)을 체결할 시, 우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의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를 열고, 케이블(190)의 접속부(194)가 커넥터(100)의 안착부(152)에 인입되며 안착될 수 있도록 케이블(190)을 삽입한다. 이때, 작업자는 한 손을 이용하여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를 순차적으로 열 수 있으며, 또는 두 손을 이용하여 동시에 열 수 있다.
이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00)의 제1플립부(162)를 닫고,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플립부(164)를 닫으며 케이블(190)의 체결을 완료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립부(160)를 제1플립부(162)와 제2플립부(164)로 분할 구성하여 각각을 열고 닫기 때문에 종래 체결공정에서 발생되는 파손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지는 플립부를 분할 구성하여 강성을 보강한 것이므로,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외부의 환경, 일예로 열 또는 충격에 의해 보다 잘 견딜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나아가 커넥터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플립부가 제1플립부와 제2플립부로 분할 구성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립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다수 개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플립부와 구분부의 수에만 차이점이 있으므로 동일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00)의 플립부(260)는 제1플립부(262)와, 제2플립부(264) 및 제3플립부(266)로 분할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250)는 케이블(도 3a의 190)이 인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 중앙에 안착부를 제1안착부 내지 제3안착부(미도시) 각각으로 구분함과 동시에 제1플립부 내지 제3플립부(262, 264, 266) 각각을 구분하는 제1구분부와 제2구분부(255a, 255b)로 구성된 구분부(255)를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부(250)의 제1안착부 내지 제3안착부 각각의 양단에는 이에 대응되는 제1플립부 내지 제3플립부(262, 264, 266) 각각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미도시)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250)의 양단 각각과, 이러한 하우징부 양단 사이의 제1구분부 및 제2구분부(255a, 255b) 각각에는 힌지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제1구분부(255a)와 제2구분부(255b)로 구성된 구분부(255)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안착부(도 3a의 152)의 표면과 접촉하며 형성되거나, 또는 안착부(도 3a의 152) 표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단자(도 3의 153)와 케이블(도 3a의 190)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단자부(미도시)는, 도 5a 및 도 5b와 마찬가지로 제1플립부 내지 제3플립부(262, 264, 266)에 각각 대응되는 영역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각 단자를 절곡 형성함으로써 단자 간 간격이 균일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커넥터는 플립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타입을 구분할 수 있는데, 이상에서는 케이블의 체결 및 고정을 위한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커넥터의 안착부가 전면 개방되는 프론트 타입(front type)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다른 타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우선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340)는 분할 구성된 제1플립부(362)와 제2플립부(364)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위치됨으로써 커넥터(340)의 안착부가 일부 개방되는 백 타입(back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부(350)는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인입홈(358)을 포함한다.
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커넥터(440)는 분할 구성된 제1플립부(462)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되고, 제2플립부(464)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형성되는 혼합 타입(hybrid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450)는 제1플립부(462)에 대응되는 안착부(452)와 제2플립부(464)에 대응되는 인입홈(458)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예로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500)는, 액정패널(510)과, 백라이트 유닛(520), 그리고 액정패널(510)과 백라이트 유닛(520)을 모듈화하기 위한 서포트메인(530)과 커버버툼(550), 탑커버(540)로 구성된다.
액정패널(510)은 화상표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서,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합착된 제1 및 제2기판(512, 5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능동행렬 방식이라는 전제 하에 통상 하부기판 또는 어레이기판이라 불리는 제1기판(112) 내면에는 다수의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이 교차하여 화소가 정의되고, 각각의 교차점마다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TFT)가 구비되어 각 화소에 형성된 투명 화소 전극과 일대일 대응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기판 또는 컬러필터기판이라 불리는 제2기판(514) 내면으로는 각 화소에 대응되는 일례로 적(R), 녹(G), 청(B) 컬러의 컬러필터(color filter)와, 이들 각각을 두르며 게이트라인과 데이터라인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 등의 비표시요소를 가리는 블랙매트릭스(black matrix), 그리고 이들을 덮는 투명 공통전극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투명 공통전극은 제1기판(112)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기판(512, 514)의 외면으로는 특정 빛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제1 및 제2편광판(미도시)이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액정패널(510)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연성회로기판이나 테이프케리어패키지(Tape Carrier Package:TCP) 같은 연결부재(516)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517)이 연결되어 모듈화 과정에서 서포트메인(530)의 측면 내지는 커버버툼(550) 배면으로 적절하게 젖혀 밀착될 수 있다.
이에 상술한 구조의 액정패널(510)은, 인쇄회로기판(517)을 통해 전달되는 게이트구동회로의 온 또는 오프 신호에 의해 각 게이트라인 별로 선택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온(on) 되면 데이터 구동회로의 신호전압이 데이터라인을 통해서 해당 화소전극으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장에 의해 액정분자의 배열방향이 변화되어 투과율 차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액정패널(510)의 배면에는, 투과율의 차이를 화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520)이 구비된다.
백라이트 유닛(520)은 서포트메인(5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광원과, 반사판(525)과, 이러한 반사판(525) 상에 안착되며 광원과 적어도 일 측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도광판(523) 그리고 이의 상부로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521)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는 LED(529a)를 사용하는데, 다수의 LED(529a) 각각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LED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529b)에 장착됨으로써 LED 어셈블리(529)를 이룬다. 이때, LED인쇄회로기판(529b)은 방열기능을 구비한 메탈코어인쇄회로기판(Metal Core Printed Circuit Board)에 해당될 수 있다.
이러한 LED 어셈블리(529)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다수의 LED(5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도광판(523)의 입광부에 대면되도록 위치된다.
이에 따라, LED 어셈블리(529)의 다수의 LED(529a)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입광부를 통해 도광판(523) 내로 입사되어 도광판(523)에서의 굴절 및 반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액정패널(510)에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LED 어셈블리(529)의 배면으로는 다수의 LED(529a) 각각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방열판(미도시)은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LED인쇄회로기판(529b)의 배면에 위치되는 일자형 또는 LED인쇄회로기판(529b)의 배면과 다수의 LED(529a) 일측을 감싸도록 수직 절곡된 ㄴ자형일 수 있다.
반사판(525)은 사각판 형상으로 도광판(523)의 배면을 통과한 빛을 액정패널(510)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빛의 휘도를 향상시킨다.
도광판(523)은 다수의 LED(529a)로부터 입사된 광을 내부에서 굴절 및 반사시켜 면광원으로 구현하고, 이러한 면광원을 액정패널(510)로 제공한다.
이러한 도광판(523)은 균일한 면광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면에 특정 모양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은 도광판(523) 내부로 입사된 빛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타원형의 패턴(elliptical pattern), 다각형의 패턴(polygon pattern), 홀로그램 패턴(hologram pattern)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패턴은 도광판(523)의 하부면에 인쇄방식 또는 사출방식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은 도광판(523)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와 폴리스틸렌(polystyren: PS)이 혼합된 폴리메타크릴스틸렌(polymethacrylstyrene: MS)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도광판(523) 상부에 개재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521)은 도광판(523)에 의해 면광원으로 변환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액정패널(510)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되도록 한다.
상기 다수의 광학시트들(521)은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와, 광을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 그리고 프리즘시트를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키는 보조역할을 하는 보호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액정패널(510)과 백라이트 유닛(520)은 탑커버(540)와 서포트메인(530) 그리고 커버버툼(550)을 통해 일체화 된다.
서포트메인(530)은 액정패널(510) 및 백라이트 유닛(520)의 가장자리를 둘러 감싸며 액정패널(510)과 백라이트 유닛(520)을 구분한다.
탑커버(540)는 액정패널(510)의 전면 가장자리를 두르며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액정패널(510)에서 구현되는 화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520)이 안착되어 액정표시장치(500) 전체 기구물의 기초가 되는 커버버툼(550)은 백라이트 유닛(520)을 수납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510)과 백라이트 유닛(520)은 가장자리가 사각테 형상인 서포트메인(530)으로 둘려진 상태로 액정패널(510) 상면 가장자리를 두르는 탑커버(540) 그리고 백라이트 유닛(520) 배면을 덮는 커버버툼(550)이 각각 전후방에서 결합되어 서포트메인(530)을 매개로 일체화되어 모듈화된다.
이와 같이 모듈화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520)의 LED 어셈블리(129)로부터 출사된 빛은 도광판(523)의 입광부를 통해 도광판(523) 내로 입사된 후, 그 내부에서 액정패널(510)을 향해 굴절되며, 반사판(525)에 의해 반사된 빛과 함께 다수의 광학시트들(521)을 통과하는 동안 보다 균일한 고품위의 면광원으로 가공되어 액정패널(510)로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탑커버(540)는 케이스탑 또는 탑 케이스라 일컬어지기도 하고, 서포트메인(530)은 가이드패널 또는 메인서포트, 몰드프레임이라 일컬어지기도 하며, 커버버툼(550)은 버텀커버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액정표시장치(500)의 인쇄회로기판(517)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가 장착되는 것이며, 이러한 커넥터를 통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같은 구동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고화질의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발광다이오드가 포함된 제1기판과 이와 마주하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2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패널을 포함하고, 이와 같은 표시패널의 일 가장자리, 보다 정확하게는 제1기판의 비표시영역을 따라서는 연결부재를 매개로 인쇄회로기판이 연결되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에 커넥터가 장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를 통해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타이밍 컨트롤러와 같은 구동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고화질의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
140, 240, 340, 440: 커넥터
162, 262, 362, 462: 제1플립부 164, 264, 364, 464: 제2플립부
266: 제3플립부 150, 250, 350, 450: 하우징
190: 케이블

Claims (6)

  1. 다수의 단자와, 케이블이 인입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및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안착부를 덮거나 또는 개방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플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안착부 상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부와 상기 플립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구분하는 구분부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는 안착부의 표면과 접촉하며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는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부는 안착부의 표면에서 일정 높이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자는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내측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면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단자 각각의 일단이 서로 균일한 간격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부의 형성 위치에 따라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되는 프론트 타입(front type), 상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형성되는 백 타입,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끝 지점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립부가 케이블의 인입 위치의 시작 지점에 형성되는 혼합 타입(hybrid type) 중 하나의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타입의 하우징부는 상기 케이블이 인입되기 위한 인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108910A 2013-09-11 2013-09-11 커넥터 KR10217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10A KR102170086B1 (ko) 2013-09-11 2013-09-11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910A KR102170086B1 (ko) 2013-09-11 2013-09-11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02A KR20150029902A (ko) 2015-03-19
KR102170086B1 true KR102170086B1 (ko) 2020-10-26

Family

ID=5302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910A KR102170086B1 (ko) 2013-09-11 2013-09-11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9830B1 (fr) * 2016-12-02 2019-05-24 Valeo Vision Source lumineuse a oled avec connecteur robust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70301Y (zh) 2008-08-15 2009-07-08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软性电路板连接器
US20090269949A1 (en) 2008-04-24 2009-10-29 Molex Incorporated Compression connector
JP2010061853A (ja) 2008-09-01 2010-03-18 Ace Five:Kk Fpc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5179B2 (ja) * 2006-09-11 2011-10-1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9949A1 (en) 2008-04-24 2009-10-29 Molex Incorporated Compression connector
CN201270301Y (zh) 2008-08-15 2009-07-08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软性电路板连接器
JP2010061853A (ja) 2008-09-01 2010-03-18 Ace Five:Kk Fpc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902A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79604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933509B2 (ja) 液晶表示装置
US9477124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1299130B1 (ko) 액정표시장치
US7695178B2 (en) Light-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00078296A (ko) 액정표시장치모듈
US2013014166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0022049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2012006849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78026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49649A (ko) 표시장치
KR101950831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40076290A (ko) 액정표시장치
KR102459047B1 (ko) 터치패널 부착형 액정표시장치
KR10121813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KR101961721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50001155A (ko) 액정표시소자
KR10213276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30024163A (ko) 기판에 발광소자가 부착된 액정표시소자
KR102047223B1 (ko) 엘이디를 사용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785340B1 (ko) 커버버툼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170086B1 (ko) 커넥터
KR102192957B1 (ko) 발광소자 어레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KR10210966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333267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