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178B1 -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 Google Patents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178B1
KR102169178B1 KR1020200028689A KR20200028689A KR102169178B1 KR 102169178 B1 KR102169178 B1 KR 102169178B1 KR 1020200028689 A KR1020200028689 A KR 1020200028689A KR 20200028689 A KR20200028689 A KR 20200028689A KR 102169178 B1 KR102169178 B1 KR 102169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ructur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ticket issuing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동학
Original Assignee
화산철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산철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산철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17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1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king ticket machine including a body (110) through which a parking ticket is issu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as the parking ticket machine moves itself to a position in which a driver can easily obtain the parking ticket while the driver approaches the parking ticket machine to receive the parking ticket.

Description

주차권 발권기{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Parking ticket machine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본 발명은 주차권 발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주차권을 발행받기 위하여 주차권 발행기로 근접하는 과정에서 주차권 발행기 자체가 운전자의 주차권 획득이 용이한 포지션으로 유동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며, 주차권 발행기 자체의 위치이동 및 자체적은 내진과 내구성 향상을 위한 홀딩기능이 구비되며, 다수의 주차권 발행기를 함께 운영(예: 이웃하는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등)하여 최적화된 주차권 발권을 가능하게 해주는 주차권 발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tself flows to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obtain a parking ticket by the driver while the driver approaches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to obtain a parking ticket, thereby improving the driver's convenience. It is equipped with a holding function for moving the location of the machine itself and improving its own seismic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operating a number of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s together (e.g., placing them on both sides of the neighboring front or the left and right) to enable optimized parking ticket issuance. It is about a parking ticket vending machine.

차량 주차를 위한 주차장 진입시에 주차장에 구비되는 주차 발권을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진입로가 협소하거나 운전이 서툰 운전자들에게 있어 발권을 위한 주차 발권기로의 접근은 여러번의 핸들 조작을 통한 위치 조정 지연과, 충돌 사고의 위험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차 발권기 자체로서도 충돌과 기타 여러 충격의 요인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는 내진과 내구성 보강 등을 위한 고정력이 보강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만족시키는 기술은 부재한 문제점이 있다.When entering a parking lot for vehicle parking, parking ticketing provided in the parking lot must be performed. However, for drivers with a narrow access road or poor driving, access to a parking ticket machine for ticketing has a problem in that there are delays in positioning through multiple steering wheel manipulations and a risk of collision. In addition, the parking ticket machine itself needs to be reinforced with a fixing force for seismic resistance and durability reinforcement that can respond to collisions and other factors of impact.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technology that satisfies this point is absent.

한국등록특허 제10-0902884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02884

본 발명은 운전자가 주차권을 발행받기 위하여 주차권 발행기로 근접하는 과정에서 주차권 발행기 자체가 운전자의 주차권 획득이 용이한 포지션으로 유동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며, 주차권 발행기 자체의 위치이동 및 자체적은 내진과 내구성 향상을 위한 홀딩기능이 구비되며, 다수의 주차권 발행기를 함께 운영(예: 이웃하는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등)하여 최적화된 주차권 발권을 가능하게 해주는 주차권 발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driver's convenience by moving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tself to a position where it is easy to obtain the driver's parking ticket while the driver approaches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n order to receive the parking ticke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rking ticket vending machine that is equipped with a holding function for improving durability and enables optimized parking ticket issuance by operating a number of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s together (e.g., to be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sides of neighbors, etc.) .

본 발명은, 주차권 발권기기에 있어서, 주차권이 발권되는 소정의 본체부(110)를 포함하는 주차권 발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ncluding a predetermined body portion 110 from which a parking ticket is issued.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주차권을 발행받기 위하여 주차권 발행기로 근접하는 과정에서 주차권 발행기 자체가 운전자의 주차권 획득이 용이한 포지션으로 유동하여 운전자의 편의를 향상시키며, 주차권 발행기 자체의 위치이동 및 자체적은 내진과 내구성 향상을 위한 홀딩기능이 구비되며, 다수의 주차권 발행기를 함께 운영(예: 이웃하는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등)하여 최적화된 주차권 발권을 가능하게 해주는 주차권 발권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driver approaches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n order to receive the parking ticket,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tself flows to a position where the driver's parking ticket can be easily obtained, improving the driver's convenience, and the movement of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tself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a parking ticket machine that enables optimized parking ticket issuance by operating a number of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s together (e.g., placing them in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sides, etc.)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 내지 도 11 은 도 3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FIG.
3 to 9 are views showing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3.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권 발권기기에 있어서, 주차권이 발권되는 소정의 본체부(11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권이 발권되는 소정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에 전면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구조부(111, 112); 상기 가이드구조부(111, 112)사이에서 상방에 위치되며 상하로 구동되는 제1 이동축부(113); 상기 가이드구조부(111, 112)사이에서 하방에 위치되며 상하로 구동되는 제2 이동축부(114); 상기 제1 이동축부(113)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패널부(115); 상기 제2 이동축부(114)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 패널부(116); 상기 제1 패널부(115)와 상기 제2 패널부(116)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패널부(115)와 상기 제2 패널부(116) 상호간을 접철가능하도록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이동축부(113)와 상기 제2 이동축부(114)의 상호간에 근접하는 위치 이동에 기반하여 접철되면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발권되는 주차권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부(117)를 포함하는 제1 주차권 발권기(10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10)는 버튼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전후로 출몰되는 버튼식 형태로서 차량의 탑승한 운전자측을 향하여 유동되는 버튼부(B)로 대체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B)는 자체에 발권기 취출이 가능하거나, 이러한 상기 버튼부(B)를 눌러 발권기를 다른 어느 발급수단에서 발급받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view showing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1, in the parking ticket issuing device, including a predetermined body portion 110 is a parking ticket is issued, more specifically, a predetermined body portion 110 from which the parking ticket is issued;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first moving shaft portion 113 positioned upwardly between the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and driven vertically; A second moving shaft portion 114 positioned below the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and driven up and down; A first panel part 11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moving shaft part 113; A second panel part 116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moving shaft part 114;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anel part 115 and the second panel part 116 to connect the first panel part 115 and the second panel part 116 to be foldable, and the first movement Includes a take-out part 117 for taking out a parking ticket issued from the main body 110 protruding to the front while being folded based on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shaft part 113 and the second moving shaft part 114 close to each other It includes a first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100). 2 is a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FIG. 2, the main body 110 may be replaced with a button type. That i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button portion B that flows toward the driver side of the vehicle in the form of a button that appears in front and rear. In this case, the button unit (B) can take out the ticketing machine on its own, or by pressing the button unit (B), it is possible to obtain a ticketing machine from any other issuing means.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차권 발권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권취롤형태또는 팬폴더형태의 티켓을 공급받아 일정길이로 컷팅한 다음 프린터기로 입차시간, 일련번호 또는 날짜등을 인쇄하여 발매하는 발매기와; 정기권, IC카드등을 투입받아 가이딩하여 마그네틱헤드로 리딩/라이팅하거나 IC카드 리더기로 리딩/라이팅후 역 배출토록 하는 카드리딩/라이팅기와; 이들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체적인 외장과 표시부 및 버튼부를 갖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주차권발매기에 있어서, 좌우측에 서로 대응되는 박판형태의 2개의 지지판(A)(B)을 마주보게 세운 후이송가이딩부(1)의 측단면이 수직으로 접하면서 상기한 지지판(A)(B)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수평방향의 가이딩공간(C)를 형성하며, 상기한 이송가이딩부(1)는 분리된 상하판이 합체되어 구성되어지되 가이딩공간부( 2a), 인입공간부(2b), 컷팅공간부(2c),프린팅공간부(2d) 그리고 피딩공간부(2e)의 공간이 순차로 상하관통되게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들 공간부에는 각각 가이딩롤러 (2g),인입가이딩롤러(2h)(2h'), 프린팅백업롤러(2i),피딩롤러(2j)(2j') 각각의 외주면이 접한 대접부가 상기한 가이딩공간(C)와 동일수평면상이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한 이송가이딩부(1)의 티켓인입부(2)측상하에 티켓인입용 스텝모터(3)와 티켓 피딩용 스텝모터(4)를 배치하되 상측의 티켓인입용스텝모터(3)의 출력축과 연결된 전동수단(3a)이 상기한 인입공간부(2b)에 배치된 인입가이딩롤러(2h`)에 연결되어져 있으며, 상기한 티켓피딩용 스텝모터(4)의 출력축에 연결된 전동수단(4a)는 피딩롤러(2j`)에 연결되어져 롤러의 구동이 스텝모터의 스텝구동에 따라작동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한 티켓피딩용 스텝모터(4)의 내측과 이송가이딩부(1)의 하측에 있는 공간에는 또다른 구동모터(6)를 배치하되 그 출력축(7)이 티켓피딩용 스텝모터(4)측으로 노출되게 하여 그 축단에 설치된 캠(8)의 외측에 회동가능토록 설치된 작동베어링(8a)의 외주면이 하커터날(5)의 작동공간(5a)의 내주면을 접한 채 슬라이딩가능토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한 하커터날(5)의 상측안내돌기(5b)에만 상커터날(9)의 일부가 교접되어있어 절삭공간(5c)를 구성토록하며, 상기한 하커터날(5)의 측면외주에 죠인트(5b)를 설치하고, 이송가이딩부(1)의 상측에 돌출설치된 프린트부(10)의 프린터안내링크(10a)의 하측에도 죠인트(10b)를 설치하여 레버(11)로 양죠인트간을 체결시켜주되 레버센터(11a)를 작동점으로 시이소오동작가능토록하였으며,상기한 프린터부(10)는 내장된 반발스프링(11)에 의하여 항시 상측으로 상승토록 배치되어져 레버(11)의 작동시에만 하강토록 구성되는 티켓발매기(가)와; 좌우측에 서로 대응되는 박판형태의 2개의 지지판(D)(E)을 마주보게 세운 후 또 다른 이송가이딩부(20)가 측단면이 수직으로 접하면서 상기한 지지판 사이에 고정설치되어 수평방향의 가이딩공간(F)를 형성하되 상기한 티켓발매기측의 가이딩공간(C)과 동일수평면상에 배치토록 설치하며, 상기한 이송가이딩부(20)는 분리된 상하판이 합체되어 구성되어지되 IC카드리딩공간부(20a), 2차가이딩공간부(20b),마그네틱헤드공간부(20c), 1차가이딩공간부(20d)의 순으로 공간이 상하관통되게 형성되어져있으며, 이들 공간부에는 각각 핀(30d'),(30a'),(32'),(29a')에 의하여 회전가능토록 지지되는 IC카드리딩백업롤러(30d),상하2차 가이딩롤러(23)(26), 마그네틱헤드백업롤러(32) 그리고 상하1차가이딩롤러(22)(25) 각각의 롤러외주가 접한 대접부가 상기한 가이딩공간(F)와 동일수평선상에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한 이송가이딩부(20)의 하측내부에 별도의 구동모터를 배치하여 그 출력축단에 축설된 치차(21)와 하측 1.2차 가이딩롤러(26)(25)를 함께 연결하도록 타이밍벨트(24)로 일체화하였으며, 상기한 상측 1,2차 가이딩롤러(22)(23)에는 ㄱ자 형태의 1,2차 작동간(29)(30)의 수직꺽임부하측과 회동가능토록 핀결합되어져있어, 상기한 작동간(29)(30)의 중앙측면을 관통하여 지지하는 중앙핀(29a)(30a)는 각각 코일스프링(29b)(30b)에 의하여 감싸지면서 코일스프링의 각 단부는 작동간의 몸체에 있는 지지공(29c)(30c) 그리고 이송가이딩부(20)의 지지공(29d)(30d)에 결합되어져 작동간을 압박토록하여 핀(27a)과 부시(28)로 연결된 중앙부(27)를 중심으로 1,2차작동간이 동시에 승하강가능토록 구성하였으며, 상기한 작동간을 지지하는 중앙핀(29a)(30a)에 양단이 체결되면서 중앙에는 마그네틱헤드백업롤러(32)를 하방압박토록 하는 스프링재로 구성되는 판스프링(31)이 작동간의 측면에 배치되어있으며, 상기한 하측2차가이딩롤러(23)와 IC카드리딩백업롤러(20d)가 마찰벨트(45)에 의하여 연결되어 함께 구동토록 구성되는 카드 리딩/라이팅기(나)와; 장축(45)이 하우징(50)의 가이딩홀(51)에 삽입되어져있고 장축일단에 정면표시부(41)가 연결되어 상기한 티켓발매기(가)와 카드리딩/라이팅기(나)를 장축상부에 적재하여 전후이송가능하게하는 스테이숀부(다)로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에서 티켓발매기(가)에 설치된 구동모터(6)의 동작제어는 그출력축( 7)의 하측에 설치된 제1, 제2 센서(7a)(7b)의 사이에 캠(8)과 센서플레이트(7c)가 출입하는 것에 의하여 하커터날의 현재위치와 캠의현재위치가 판단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하커터날(5)은 일측이 짧고 타측은 길게 하여 경사날(5d)을 구성하며, 상커터날(9)은 판스프링(9a)에 의하여 하커터날쪽으로 압박하여 하커터날의 상측안내돌기(5b)에 부분접촉하도록 구성되어있다. 하커터날(5)의 작동공간(5a) 은 양측으로 갈수록 좁게 하고 상하중앙으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캠(8)이 작동공간(5a)내에서 회전시 캠(8)의 작동베어링(8a)의 원운동에 의하여 형성된 원의 지름만큼 승.하강하는 것이며, 하커터날의 양측에는 적어도 상하로 2개의 안내베어링(5f)들이 배치되어져 하커터날 승강시 흔들림이 없게 하였다. 본 발명의 카드리딩/라이팅기에서 발매기와 접하는 측의 IC카드리딩공간부(2 0a)상측에 미도시된 IC카드리더기를 설치하여주므로 IC카드진입시 카드리더가 하강압박시 IC카드리딩백업롤러(20d)가 받혀주므로 IC카드의 리딩/라이팅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테이숀부(다)에 결합된 표시부(41)는 상측에 액정표시부(42)가 있고 투입구(100)하측으로 버튼부(43)가 설치되어 있으며, 표시부를 앞으로 당기면 하측에 발매기 전체를 관통하면서 돌설된 장축(40)이 가이딩홀(51)을 슬라이딩하면서 발매기(가)와 리딩/라이팅기(나)를 싣고 앞으로 돌출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별도의 분해조립과 같은 복잡함이 없이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구조적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일일권발매기의 경우 연속하여 길게 권취되거나 1장씩 교호로 적재된 티켓이 발매기 후방의 이송가이딩부(1)의 가이딩공간부(2a)에 진입하면 센서에 의하여 카드의 길이만큼 티켓인입용스텝모터(3)의 구동에 의하여 인입가이딩롤러(2h`)가 회전하므로 카드가 전진하여 상하커터날(9)(5)사이에 진입후 일단 전진이 멈추어진다. 이때에 캠(8)과 센서플레이트(7c)중의 어느하나 또는 이들의 제1 및 제2센서( 7a)(7b)에 진입되어지거나 이탈된 상태이므로 이들 센서에서 감지된 캠과 센서플레이트의 위치를 판단하여 모터(6)회전거리와 각도등이 예약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토록 게이트신호를 발하여 모터(6)가 구동토록하므로 마치가위로 종이를 자르듯 1일권이 컷팅된다. 이같은 컷팅동작시 하커터날의 일측에 회동죠인트(5b)도 레버(11)가 체결되어있어 레버센터(11a)를 중심으로 하커터날의 상승에 부응하여 역으로 프린터헤드의 안내링크(10a)는 하강하므로 프린터헤드가 컷팅된 1일권표면에 접하게 되어 필요한 인쇄가 되는 것이다. 하커터날이 다시 상승하면 프린터(20)전체도 스프링(11)의 작용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대기상태가 된다. 즉,하커터날(5)과 프린터부(10)가 시이소오운동이 되는 것이다. 인쇄완료된 티켓은 티켓피딩용 스텝모터(4)의 작동에 의하여 피딩롤러(2j)가 회전하므로 인쇄된 티켓이 카드리딩/라이팅기의 가이딩공간(F)를 거쳐투입구(100)로 발행되어나오는 것이다. 카드리딩/라이팅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투입구(100)에 IC카드 또는 마그네틱카드가 1차가이딩공간부(20d)에 투입되면 자동감지되어 모터가 구동되므로 이송가이딩부(20)의 하측에 있는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하측1차가이딩롤러(22)가 회전하여 가이딩공간(F)내로 진입시켜주게된다. 이같은 진입시 카드두께로 인하여 상하1차가이딩롤러(22)(25)와 1차작동간(29)이 카드의 두께로 인하여 위로 들리어지므로 중앙부(27)를 중심으로 2차 작동간(30)도 화살표와 같이 동일한 높이로 들리게 된다. 즉, 중앙핀(29a)(30a)에 권취된 코일스프링(29d)(30b)에 의하여 동시에 늘리어있던 것이 중앙부(27)을 중심으로 상측 2차 가이딩롤러(26)와 하측1차가이딩롤러(23)의 사이도 벌어져 진입하는 카드가 2차측롤러에 걸리는 일 없이 안정되게 셋팅된다. 이같은 카드의 진행으로 작동간측면의 판스프링(31)에 결합된 헤드접촉안내롤(32)에 의하여 압박되어져 있던 마그네틱헤드(200)가 타드에 접할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리딩/라이팅이 오차없이 실행되는 것이다. 리딩/라이팅이 완료되면 카드가 모터의 역동작으로 배출되므로 목적한 바가 완성되는 것이다. IC카드는 하측1차가이딩롤러(23)를 지나 IC카드리딩백업롤러( 30d)에 까지 진입하여 구동모터의 동작이 멈추게 하여 필요한 리딩.라이팅이 되고 역동작으로 배출된다. 마찰벨트(45)는 카드의 진행중 발생될 수 있는 IC카드리딩부에서 잼이 된 카드나 티켓이 무리없이 연속배출토록한다.3 to 9 are views showing a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ticket vending machine that receives tickets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winding rolls or fan folders, cuts them to a certain length, and then prints and releases the entry time, serial number or date using a printer; A card reading/writing machine that receives and guides a commuter pass, an IC card, etc. to read/write with a magnetic head or reverse discharge after reading/writing with an IC card reader;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m as a whole; In a parking ticket vending machine composed of a housing having an overall exterior, a display unit, and a button unit, two support plates (A) (B) in the form of thin plat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erect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transport guiding unit (1) is vertical. It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s (A) (B) whil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guiding space (C)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ransfer guiding part (1)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plates. The spaces of the space part (2a), the lead-in space part (2b), the cutting space part (2c), the printing space part (2d) and the feeding space part (2e) are sequentially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and each of these spaces Guiding roller (2g), lead-in guiding roller (2h) (2h'), printing backup roller (2i), feeding roller (2j) (2j'),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above-described guiding space (C) It is configured to be on the same horizontal plane as the above-described transfer guiding unit (1), and a step motor (3) and a step motor (4) for ticket feeding are arranged above and below the side of the ticket input section (2), but the ticket is inserted on the upper side. The transmission means (3a)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step motor (3) is connected to the inlet guiding roller (2h`) arranged in the inlet space (2b), and the above-described step motor (4) for ticket feeding The transmission means (4a)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is connected to the feeding roller (2j`) so that the drive of the roller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tep drive of the step motor, and the inside of the step motor 4 for ticket feeding and transfer In the space below the guiding part 1, another driving motor 6 is arranged, but the output shaft 7 is exposed to the ticket feeding step motor 4 to the outside of the cam 8 installed at the shaft e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ctuating bearing (8a) installed to be rotatable is coupled to be slidably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ng space (5a) of the lower cutter blade (5), and the upper guide protrusion (5b) of the lower cutter blade (5) ) Only part of the upper cutter blade (9) is abutted to form a cutting space (5c), a joint (5b) is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ide of the lower cutter blade (5), and the transfer guiding part (1) A joint (10b) is also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printer guide link (10a) of the print unit (10)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th joints are fastened, but the lever center (11a) is used as an operating point to make the seesaw malfunction possible, and the above-described printer unit (10) is arranged to always rise upward by the built-in rebound spring (11), and the lever (11) Ticket issuing machine configured to descend only when the operation of (A); After erecting two support plates (D) (E) in the form of thin plat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other transfer guiding part 20 is fixedly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plates while the side end faces vertically contacting each other. A guide space (F) is formed, but is installed so that it is placed on the same horizontal surface as the guiding space (C) on the ticket issuing machine side, and the transfer guiding unit 20 is composed by combining the separated upper and lower plates. The spaces are formed to penetrate up and down in the order of the reading space part 20a, the secondary guiding space part 20b, the magnetic head space part 20c, and the primary guiding space part 20d. (30d'), (30a'), (32'), (29a'), an IC card reading backup roller (30d) that is rotatably supported, upper and lower secondary guiding rollers (23) (26), magnetic head The backup roller 32 and the upper and lower primary guiding rollers 22 and 25 are arranged so that the contacting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rollers is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guiding space F described above, and the transfer guiding part 20 A separate driving motor was placed inside the lower side of the motor and integrated with a timing belt 24 to connect the gears 21 built on the output shaft end and the lower 1.2th guiding rollers 26 and 25 together. The first and second guiding rollers 22 and 23 are pin-coupled to the vertical bending load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29 and 30 in the shape of a letter so that they can be rotated. The central pins (29a) (30a) that penetrate through the central side of 30) are each wrapped by a coil spring (29b) (30b), and each end of the coil spring is a support hole (29c) (30c) in the body between operation. ) And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holes (29d) (30d) of the transfer guiding part (20) to compress the oper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rations around the central part (27) connected by the pin (27a) and the bush (28). A leaf spring composed of a spring material tha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and both ends are fastened to the center pins 29a and 30a that support the above operation, and the magnetic head backup roller 32 is pressed downward in the center. 31)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and the lower secondary guiding roller ( 23) and a card reading/writing device (B) configured to drive together by connecting the IC card reading backup roller (20d) by a friction belt (45); The long shaft 45 is inserted into the guiding hole 51 of the housing 50, and the front display part 41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ng shaft, so that the ticket vending machine (A) and the card reading/writing machine (B) ar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long shaft. It is composed of a station part (c) that allows it to be loaded and transported back and fort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drive motor 6 installed in the ticket vending machine (A) is the cam 8 and the sensor plat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7a and 7b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put shaft 7 The current position of the lower cutter blade an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cam were judged by (7c) entering and exiti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cutter blade (5) constitutes an inclined blade (5d) by making one side short and the other side long, and the upper cutter blade (9) is pressed toward the lower cutter blade by a leaf spring (9a) to It is configured to partially contact the upper guide protrusion 5b. The operating space (5a) of the lower cutter blade (5) is configured to be narrower toward both sides and open to the upper and lower centers. When the cam (8) rotates within the operating space (5a), the operating bearing (8a) of the cam (8) It rises and falls as much as the diameter of the circle formed by the circular motion of the lower cutter blade, and at least two guide bearings (5f) are arranged up and down on both sides of the lower cutter blade so that there is no shaking when lifting the lower cutter blade. In the card reading/writ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 card reader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IC card reading space (20a) in contact with the ticket vending machine, so when the card reader is pressed down when entering the IC card, the IC card reading backup roller ( As 20d) supports it, reading/writing of IC cards is possible. The display unit 41 coupled to the stationary unit (c)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unit 42 on the upper side, and a button unit 43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inlet 100, and when the display unit is pulled forward, the entire ticketing machine is The long shaft 40 that is protruding while penetrating can slide the guiding hole 51 and protrude forward with the vending machine (A) and the reading/writing machine (B), so maintenance is simple without the complexity of separate disassembly and assembly. It can be done. The operation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al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the case of a one-day ticket vending machine, when a ticket that is continuously wound or stacked one by one alternately enters the guiding space (2a) of the transfer guiding section (1) at the rear of the vending machine, a step motor for entering the ticket as much as the length of the card by a sensor Since the inlet guiding roller (2h`) rotates by the drive of (3), the card advances and the advance is stopped once after enter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utter blades (9) and (5). At this time, the cam 8 and the sensor plate 7c are in or out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nsors 7a and 7b of the cam 8 and the sensor plate 7c. By judging the motor 6 rotation distance and angle, etc., a gate signal is issued to operate according to a reserved program, so that the motor 6 is driven, so the one-day pass is cut as if cutting paper with scissors. In such a cutting operation, a lever 11 is also fastened to the rotating joint 5b on one side of the lower cutter blade, so in response to the rise of the lower cutter blade around the lever center 11a, the guide link 10a of the print head is reversed. As is lowered, the print h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of the 1-day pass, and necessary printing is performed. When the lower cutter blade rises again, the entire printer 20 is also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action of the spring 11 and is in a standby state. That is, the lower cutter blade 5 and the printer unit 10 become a seesaw movement. The printed ticket is issued to the inlet 100 through the guiding space (F) of the card reader/writer because the feeding roller (2j)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ticket feeding step motor (4). will be. The operation of the card reading/writing machine is as follows. When an IC card or a magnetic card is inserted into the inlet port 100 into the primary guiding space 20d, the motor is automatically detected and the motor is driven. Therefore, the driving motor under the transfer guiding unit 20 rotates and the lower primary guiding roller ( 22) rotates to enter the guiding space (F).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ard, the upper and lower primary guiding rollers 22 and 25 and the primary operation 29 are lifted upward due to the thickness of the card. It will sound the same height as the arrow. That is, the upper secondary guiding roller 26 and the lower primary guiding roller are stretched at the same time by the coil springs 29d and 30b wound around the central pins 29a and 30a. There is also a gap between (23), and the entering card is set stably without getting caught by the secondary roller. As the card progresses, the magnetic head 200, which was pressed by the head contact guide roll 32 coupled to the leaf spring 31 on the side of the operation,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tad, so necessary reading/writing can be performed without error. will be. When the reading/writing is completed, the card is discharged by the reverse motion of the motor, thus completing the objective. The IC card passes through the lower primary guiding roller 23, enters the IC card reading backup roller 30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becomes necessary reading and writing, and is discharged in reverse motion. The friction belt 45 allows the card or ticket jammed in the IC card reading unit to be continuously discharged without difficulty.

도 10 내지 도 11 은 도 3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 개시하는 제1 주차권 발권기 내지 제2 주차권 발권기는 전술한 도 3 내지 도 9에 개시된 주차권 발권기를 포함하는 것에 해당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주차권 발권기는, 주차권이 발권되는 소정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전면부에 전면 양측으로 돌출된 가이드구조부(111, 112); 상기 가이드구조부(111, 112)사이에서 상방에 위치되며 상하로 구동되는 제1 이동축부(113); 상기 가이드구조부(111, 112)사이에서 하방에 위치되며 상하로 구동되는 제2 이동축부(114); 상기 제1 이동축부(113)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1 패널부(115); 상기 제2 이동축부(114)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제2 패널부(116); 상기 제1 패널부(115)와 상기 제2 패널부(116)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패널부(115)와 상기 제2 패널부(116) 상호간을 접철가능하도록 연결시키며, 상기 제1 이동축부(113)와 상기 제2 이동축부(114)의 상호간에 근접하는 위치 이동에 기반하여 접철되면서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발권되는 주차권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부(117)를 포함하는 제1 주차권 발권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주차권 발권기는, 소정의 제2 주차권 발권기(200), 소정의 제3 주차권 발권기(300) 및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와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설치되는 서포트유닛(400)를 더 포함한다.10 to 11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FIG. 3. The first to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s disclosed below may correspond to those including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s disclosed in FIGS. 3 to 9 described above. 10 to 11,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includes: a predetermined body portion 110 from which a parking ticket is issued;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 first moving shaft portion 113 positioned upwardly between the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and driven vertically; A second moving shaft portion 114 positioned below the guide structures 111 and 112 and driven up and down; A first panel part 115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moving shaft part 113; A second panel part 116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moving shaft part 114; It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panel part 115 and the second panel part 116 to connect the first panel part 115 and the second panel part 116 to be foldable, and the first movement Includes a take-out part 117 for taking out a parking ticket issued from the main body 110 protruding to the front while being folded based on a positional movement of the shaft part 113 and the second moving shaft part 114 close to each other It includes a first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100). The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a predetermined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 predetermined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nd a support unit 400 in which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nd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re installed. It includes more.

상기 서포트유닛(400)은, 소정의 메인베이스구조부(410)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가 거치되는 제1 베이스구조부(411)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거치되는 제2 베이스구조부(412)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으로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와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위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상기 제1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일측구동체(414)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상기 제1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측구동체(415)를 포함한다. 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저면에 제1 연동수단(415)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연동수단(415)을 매개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주차권 발권을 필요로 하는 차량측으로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범위 유동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의 저면에 제1 연동수단(415)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연동수단(415)을 매개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주차권 발권을 필요로 하는 차량측으로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범위 유동시킨다.The support unit 400 includes a predetermined main base structure 410, a first base structure 411 provid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410 and on which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is mounted, and the A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provid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and on which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is mounted, and a central part provid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and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and the first 2 Located between the base structure 412,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nd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so that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are A central driving body 413 provided to be guided and fixed, and the first central driving body 413 and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are position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410 to interpose the first One side driving body 414 provided to guide and fix the base structure part 411, and between the first central driving body 413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on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It is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includes the other side driving body 415 provided to guide and fix.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is bou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through a first linking means 415, and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 In a sliding manner in a front-rear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requiring parking ticket issuance, and is boun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through a first linking means 415, and the first linking means Through 415,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is made to flow in a predetermined rang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requiring parking ticket issuance in a sliding manner.

상기 중앙구동체(413)는, 소정의 중앙본체(4131)와, 소정의 중앙본체(413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1-1 이동체(4132)와, 상기 제1-1 이동체(413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1-1 픽업체(4133)와,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1-2 이동체(4135)와, 상기 제1-2 이동체(4135)의 외측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1-2 픽업체(4136)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구동체(414)는, 일측본체(4141)와, 상기 일측본체(414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2 이동체(4142)와, 상기 제2 이동체(414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픽업체(4143)를 포함한다. 상기 타측구동체(415)는, 타측본체(4151)와, 상기 타측본체(415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3 이동체(4152)와, 상기 제3 이동체(415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3 픽업체(4153)를 포함한다.The central driving body 413 includes a predetermined central body 4131, a 1-1st moving body 4132 that flows before and after a certain range from the inside of the predetermined central body 4131 to the outside, and the 1-1st moving body A 1-1 pickup body 4133 for gripping and fixing the end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by being provided in a pair that can be adjusted in vertical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4132, a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The 1-2 movable body 4135 that flows around a certain range and a pair of height adjustable from the outside of the 1-2 movable body 4135 are provided to grip the end of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It includes a 1-2 pickup body 4136 for guiding or fixing. The one-side driving body 414 includes one side body 4141, a second moving body 4142 that flows around a certain range from the inside of the one side body 4141 to the outside, and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moving body 4142 It includes a second pick-up body (4143) provided in a pai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by flow to guide or fix the end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The other side driving body 415 includes the other side body 4151, a third moving body 4152 that flows around a certain range from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body 4151 to the outside, and up an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moving body 4152 It includes a third pickup body (4153) provided in a pair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by flow to guide or fix the ends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제1-1 픽업체(4133)와 상기 제2 픽업체(4143)에서 가압이 해재된 상태인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2 픽업체(4136)와 상기 제3 픽업체(4153)에서 가압이 해재된 상태인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를 유동시키며, 상기 제1-1 픽업체(4133)와 상기 제2 픽업체(4143)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가압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1 픽업체(4133)는 수직방향간에 정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에 유동힘을가하며, 상기 제2 픽업체(4143)는 수직방향간에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에 대한 유동힘을 가하며, 상기 제1-2 픽업체(4136)와 상기 제3 픽업체(4153)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를 가압하여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제1-2 픽업체(4136)는 수직방향간에 정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에 유동힘을가하며, 상기 제3 픽업체(4153)는 수직방향간에 역회전 방식으로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에 대한 유동힘을 가한다.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flows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in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first-first pickup body 4133 and the second pickup body 4143, and the first -2 and the second pickup body (4136) and the third pickup body (4153) to move the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s released, and the 1-1 pickup body (4133) and the second pick In a state in which the company 4143 presses and grips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the 1-1 pickup body 4133 flows to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in a forward rotation manner between vertical directions. And, the second pickup body 4143 applies a flow force to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in a reverse rotation manner between vertical directions, and the 1-2 pickup body 4136 and the third pickup body In a state where 4153 presses and grips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the 1-2 pickup body 4136 applies a flow force to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in a forward rotation manner between vertical directions. In addition, the third pickup body 4153 applies a flow force to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in a reverse rotation manner between vertical directions.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제1 연동수단(415)과 상기 제1-1 픽업체(4133) 사이로 출몰되는 제1-1 끼움체(417)와, 상기 제1 연동수단(415)과 상기 제1-2 픽업체(4136) 사이로 출몰되는 제1-2 끼움체(418)와, 상기 제1 연동수단(415)과 상기 제2 픽업체(4143) 사이로 출몰되는 제2 끼움체(419)와, 상기 제2 연동수단(416)과 상기 제3 픽업체(4153) 사이로 출몰되는 제3 끼움체(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1-1 끼움체(417)와 상기 제2 끼움체(419)는 각각 둘레방향 회전힘을 발생시켜 상기 제1-1 픽업체(4133), 상기 제1 연동수단(415) 및 상기 제2 픽업체(4143)에 대한 강제 가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1-2 끼움체(418)와 상기 제3 끼움체(420)는 각각 둘레방향 회전힘을 발생시켜 상기 제1-2 픽업체(4136), 상기 제2 연동수단(416) 및 상기 제3 픽업체(4153)에 대한 강제 가압힘을 발생시킨다.The main base structure 410 includes a 1-1st fitting 417 protruding and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interlocking means 415 and the 1-1 pickup 4133, the first interlocking means 415 A 1-2 fitting body 418 protruding between the 1-2 pickup bodies 4136 and a second fitting body 419 protruding between the first interlocking means 415 and the second pickup body 4143 ), and a third fitting body 420 protruding and protruding between the second interlocking means 416 and the third pickup body 4153, the 1-1 fitting body 417 and the second fitting body Each of the 419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generate a forced pressing force on the 1-1st pickup body 4133, the first interlocking means 415, and the second pickup body 4143. The 1-2 th fitting body 418 and the third fitting body 420 generate a circumferential rotational force, respectively, so that the 1-2 pickup body 4136, the second interlocking means 416 and the second 3 Forced pressing force on the pickup body 4153 is generated.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중앙본체(4131)의 제1 함입부(P1)로 삽입되는 제1 삽입부(421)와, 상기 제1 삽입부(421)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함입부(P1)의 내부벽을 누르도록 구비되는 제1 돌출부(422)와, 상기 일측본체(4141)의 제2 함입부(P2)로 삽입되는 제2 삽입부(423)와, 상기 제2 삽입부(423)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함입부(P2)의 내부벽을 누르도록 구비되는 제2 돌출부(424)와, 상기 타측본체(4151)의 제3 함입부(P3)로 삽입되는 제3 삽입부(425)와, 상기 제3 삽입부(425)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3 함입부(P3)의 내부벽을 누르도록 구비되는 제3 돌출부(426)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본체(4131)는 상기 제1 함입부(P1)로 출몰하며 상기 제1 삽입부(421)를 누르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푸시부(427)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본체(4141)는 상기 제2 함입부(P2)로 출몰하며 상기 제2 삽입부(423)를 누르는 적어도 한 쌍의 제2 푸시부(428)가 구비되며, 상기 타측본체(4151)는 상기 제3 함입부(P3)로 출몰하며 상기 제3 삽입부(425)를 누르는 적어도 한 쌍의 제3 푸시부(429)가 구비되며, 상기 제1 푸시부(427) 내지 상기 제3 푸시부(429)의 누름상태에서, 상기 제1 삽입부(421) 내지 상기 제3 삽입부(425)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각각 상기 제1 돌출부(422) 내지 상기 제3 돌출부(426)에 안착 걸림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일측본체(4141)와 상기 타측본체(4151)와 결속 고정된다.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has a first insertion part 421 inserted into the first recess P1 of the central body 4131 and protrudes to both sides of the first insertion part 421 to be 1 A first protrusion 422 provided to press the inner wall of the recess P1, a second insertion part 423 inserted into the second recess P2 of the one side body 4141, and the second The second protrusion 424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insertion part 423 and provided to press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concave part P2, and the third concave part P3 of the other side body 4151 A third insertion part 425 and a third protrusion 426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third insertion part 425 and provided to press the inner wall of the third recess P3 are provided, and the central body (4131)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first push portions 427 that appear and protrude into the first recess (P1) and press the first insertion portion 421, and the one side body 4141 is the second At least a pair of second push parts 428 that appear and protrude into the recessed part P2 and press the second insertion part 423 are provided, and the other side body 4151 appears and protrude through the third recessed part P3 And at least a pair of third push parts 429 for pressing the third insertion part 425 are provided, and in a pressed state of the first push parts 427 to the third push parts 429, the 1 The insertion part 421 to the third insertion part 425 are seated and fixed to the first protrusion 422 to the third protrusion 426 respectively while flowing downward, so that the main base structure 410 is The one side body 4141 and the other side body 4151 are bound and fixed.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길이방향 일단부에 상기 일측본체(4141)의 외측면에 접하는 제1 승하강모듈(430)이 구비되며, 길이방향 타단부에 상기 타측본체(4151)와 외측면에 접하는 제2 승하강모듈(440)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승하강모듈(430)은, 상기 일측본체(4141)의 제4 함입부(P4)로 삽입되는 제4 삽입부(431)와, 상기 제4 삽입부(431)의 상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4 함입부(P4)의 내부벽을 누르도록 구비되는 제4 돌출부(43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승하강모듈(440)은, 상기 타측본체(4151)의 제5 함입부(P5)로 삽입되는 제5 삽입부(441)와, 상기 제5 삽입부(441)의 상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5 함입부(P5)의 내부벽을 누르도록 구비되는 제5 돌출부(442)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본체(4141)은 상기 제4 함입부(P4)로 출몰하며 상기 제4 삽입부(431)를 누르는 적어도 한 쌍의 제4 푸시부(4144)가 구비되며, 상기 타측본체(415)는 상기 제5 함입부(P5)로 출몰하며 상기 제5 삽입부(441)를 누르는 적어도 한 쌍의 제5 푸시부(4154)가 구비되며, 상기 일측본체(4141)는, 상기 제4 함입부(P4)에서 상기 제4 돌출부(432)의 우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향하여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 축회전되어 상기 제4 돌출부(432)와 상기 제4 함입부(P4)의 우측 내벽 상호간에 가압힘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1 회전체(4145)가 구비된다. 상기 타측본체(4151)는, 상기 제5 함입부(P5)에서 상기 제5 돌출부(442)의 우측에 해당하는 영역을 향하여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며, 수평방향 축회전되어 상기 제5 돌출부(442)와 상기 제5 함입부(P5)의 우측 내벽 상호간에 가압힘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제2 회전체(4155)가 구비된다.The main base structure 410 is provided with a first elevating module 430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ne side body 4141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body 4151 and the outer side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elevating module 440 in contact with the side is provided, and the first elevating module 430 is a fourth insertion portion 431 inserted into a fourth depression P4 of the one side body 4141 And, a fourth protrusion 432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of the fourth insertion part 431 and provided to press the inner wall of the fourth recess P4 is provided, and the second elevating module 440 is , A fifth insertion portion 441 inserted into the fifth depression portion P5 of the other side body 4151, and an inner wall of the fifth insertion portion P5 protruding upward and downward of the fifth insertion portion 441 A fifth protrusion 442 provided to press the button is provided, and the one side body 4141 protrudes through the fourth recess P4 and presses the fourth insert 431 at least a pair of fourth push A portion 4144 is provided, and the other side body 415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fifth push portions 4154 protruding and protruding from the fifth recessed portion P5 and pressing the fifth insertion portion 441, and , The one side body 4141 i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war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fourth protrusion 432 in the fourth recess P4, and is axially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ourth protrusion ( A pair of first rotating bodies 4145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between the 432 and the right inner wall of the fourth depression P4 are provided. The other side body 4151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from the fifth recess P5 toward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fifth protrusion 442, and is axially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the fifth protrusion 442 ) And a pair of second rotors 4155 for generating a pressing force between the right inner wall of the fifth recess P5.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 및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에는 차량(C)의 급격한 접근으로 충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진퇴형 제1 범퍼수단(411a)과 제2 범퍼수단(412a)이 구비되어, 차량이 진입시 감시카메라(미도시)에 의하여 차량(C)의 진입속도가 일정 속도이하로 저감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전반으로 전진하여 상기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예방 또는 억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범퍼수단(411a)과 상기 제2 범퍼수단(412a)은 외주면이 엘라스토머, 고무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are each advance and retreat type first bumper in order to prevent a collision from occurring due to an abrupt approach of the vehicle C. The means (411a) and the second bumper means (412a) are provided. Prevents or suppresses impact caused by vehicle collision. Here, the first bumper means 411a and the second bumper means 412a may hav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de of elastomer, rubber, or the lik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10 : 본체부
111, 112, 가이드구조부
113 : 제1 이동축부
114 : 제2 이동축부
115 : 제1 패널부
116 : 제2 패널부
110: main body
111, 112, guide structure
113: first moving shaft part
114: second moving shaft part
115: first panel portion
116: second panel portion

Claims (2)

주차권 발권기에 있어서,
제2 주차권 발권기(200), 제3 주차권 발권기(300) 및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와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설치되는 서포트유닛(400)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유닛(400)은,
소정의 메인베이스구조부(410)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가 거치되는 제1 베이스구조부(411)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거치되는 제2 베이스구조부(412)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으로 상기 제2 주차권 발권기(200)와 상기 제3 주차권 발권기(300)가 위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상기 제1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일측구동체(414)와,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상에서 상기 제1 중앙구동체(413)와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를 사이에 두도록 위치되어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가 가이드 및 고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측구동체(415)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베이스구조부(410)는,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저면에 제1 연동수단(415)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연동수단(415)을 매개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주차권 발권을 필요로 하는 차량측으로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범위 유동시키며,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의 저면에 제1 연동수단(415)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연동수단(415)을 매개로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주차권 발권을 필요로 하는 차량측으로의 전후 방향으로 일정범위 유동시키며,
상기 중앙구동체(413)는,
소정의 중앙본체(4131)와,
소정의 중앙본체(413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1-1 이동체(4132)와,
상기 제1-1 이동체(413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1-1 픽업체(4133)와,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1-2 이동체(4135)와,
상기 제1-2 이동체(4135)의 외측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 베이스구조부(412)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1-2 픽업체(4136)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구동체(414)는,
일측본체(4141)와,
상기 일측본체(414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2 이동체(4142)와,
상기 제2 이동체(414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2 픽업체(4143)를 포함하며,
상기 타측구동체(415)는,
타측본체(4151)와,
상기 타측본체(4151) 내부에서 외부로 일정범위 전후 유동되는 제3 이동체(4152)와,
상기 제3 이동체(4152)의 외측에서 상하유동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이스구조부(411)의 단부를 파지하여 가이드 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제3 픽업체(4153)를 포함하는 주차권 발권기.
In the parking ticket machine,
A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nd a support unit 400 in which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nd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re installed,
The support unit 400,
A predetermined main base structure 410,
A first base structure 411 provid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410 and on which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is mounted,
A second base structure 412 provid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410 and on which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is mounted,
The secon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200 and the third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300 are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on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and located between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to both sides. A central driving body 413 positioned to guide and fix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part 412,
One side hole positioned on the main base structure part 410 so as to interpose the first central driving body 413 and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so that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is guided and fixed With the fuselage 414,
The other side of the main base structure 410 is positioned so as to interpose the first central drive body 413 and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so that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can be guided and fixed Including the body 415,
The main base structure 410,
It is bound to the bottom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through a first linkage means 415, and requires issuing a parking ticket by sliding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through the first linkage means 415 It flows for a certain rang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side,
It is bound to the bottom of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through a first linkage means 415, and requires issuing a parking ticket by sliding the first base structure part 411 through the first linkage means 415 It flows for a certain rang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ward the vehicle side,
The central driving body 413,
A predetermined central body (4131),
A 1-1 moving body 4132 that flows before and after a certain range from inside the predetermined central body 4131 to the outside,
The 1-1 pickup body (4133) is provided in a pair capable of vertically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outside of the 1-1 moving body (4132) to guide or fix the end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Wow,
The 1-2 moving body 4135 that flows around a certain range from inside to outside,
It includes a 1-2 pickup body (4136) provided in a pair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from the outside of the 1-2 movable body (4135) to guide or fix the end of the second base structure (412) And
The one-side driving body 414,
One side body (4141) and,
A second moving body 4142 that flows before and after a certain range from the inside of the one side body 4141 to the outside,
It includes a second pick-up body (4143) provided in a pair capable of vertically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outside of the second moving body (4142) to guide or fix the end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and ,
The other side driving body 415,
The other body (4151),
A third moving body 4152 that flows before and after a certain range from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body 4151 to the outside,
Including a third pickup body (4153) provided in a pair capable of vertically adjusting the height from the outside of the third moving body (4152) to guide or fix the end of the first base structure (411) Parking ticket machine.
삭제delete
KR1020200028689A 2020-03-07 2020-03-07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KR1021691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89A KR102169178B1 (en) 2020-03-07 2020-03-07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89A KR102169178B1 (en) 2020-03-07 2020-03-07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9178B1 true KR102169178B1 (en) 2020-10-22

Family

ID=7303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89A KR102169178B1 (en) 2020-03-07 2020-03-07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17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136A (en) * 1994-03-09 1995-09-26 Omron Corp Transaction processor and parking ticket processor
JPH09161112A (en) * 1995-12-12 1997-06-20 Nec Corp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JP2001236531A (en) * 2000-02-21 2001-08-31 Toshiba Corp Device and method for issuing pass and recording medium
KR20080113607A (en) * 2007-06-25 2008-12-31 유병준 Parking ticket transfer machine
KR20170091941A (en) * 2016-02-02 2017-08-10 조준영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CN107563457A (en) * 2017-07-31 2018-01-09 成都市红亿科技有限公司 It is easy to take the Intelligent Vote Box of parking car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9136A (en) * 1994-03-09 1995-09-26 Omron Corp Transaction processor and parking ticket processor
JPH09161112A (en) * 1995-12-12 1997-06-20 Nec Corp Automatic ticket issuing machine
JP2001236531A (en) * 2000-02-21 2001-08-31 Toshiba Corp Device and method for issuing pass and recording medium
KR20080113607A (en) * 2007-06-25 2008-12-31 유병준 Parking ticket transfer machine
KR100902884B1 (en) 2007-06-25 2009-06-16 유병준 Parking ticket transfer machine
KR20170091941A (en) * 2016-02-02 2017-08-10 조준영 Parking ticket issuing machine
CN107563457A (en) * 2017-07-31 2018-01-09 成都市红亿科技有限公司 It is easy to take the Intelligent Vote Box of parking c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8091B1 (en) Sheet processing metho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763208B2 (en) Passport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JP2718612B2 (en) Printing device
CN1904908B (en) Card processing unit
US6899479B2 (en) Printer and commodity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WI680888B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JPH07187454A (en) Document collating system
JP2002264086A (en) Punching device, sheet processing device equipped with the punch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KR100955123B1 (en) Medium delivery devic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check delivery device
EP1428782A2 (en) Paper folding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2169178B1 (en)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KR20000017454A (en) Printer
US6412995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laten with a plurality of impact surfaces
KR100246025B1 (en) Issuing machine for parking ticket
CN101176105B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device
KR1005874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media
JP3235363B2 (en) Magnetic recording device and ticket issuing machine using the same
US20050208885A1 (en) Diverters and image print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CN102855711A (en) Electronic device
US9039313B2 (en) Image forming device with cutter and door locking mechanism
JPH07285704A (en) Paper carrying device
EP1603079B1 (en) Medium processing device, and medium issu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416498B1 (en) A personal computer linkage device to issue a certification public discontent document
JP3002391B2 (en) Passage opening mechanism of magnetic ticket reader
JP3316799B2 (en) Direction change device for ticket issu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