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892B1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892B1
KR102167892B1 KR1020130126593A KR20130126593A KR102167892B1 KR 102167892 B1 KR102167892 B1 KR 102167892B1 KR 1020130126593 A KR1020130126593 A KR 1020130126593A KR 20130126593 A KR20130126593 A KR 20130126593A KR 102167892 B1 KR102167892 B1 KR 102167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fixing
disposed
lighting device
cli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957A (ko
Inventor
김진욱
김기웅
김영식
임창혁
홍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892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부 고정물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로서, 바디, 바디 아래에 배치된 광원부, 바디 상에 배치된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고정부 상에 배치되어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공부 및 고정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립들을 포함하고, 고정부의 측부는 복수의 클립들이 각각 회전하는 경로인 클립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클립 가이드부는 복수의 클립들 각각의 회전을 제한하고, 복수의 클립들은 클립 가이드부를 통해서 일부가 고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부가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바디의 베이스부의 상면과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5mm 이상 7mm 미만이고, 고정부는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돌출부는 전원 제공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복수의 클립들 각각은 꺾임부를 갖고, 외부 고정물의 내부 직경과 복수의 꺾임부들을 잇는 가상의 원의 직경의 차는 3 파이(ø) 이상 15 파이(ø) 이하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DEVICE}
실시 형태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의 일종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이에 기존의 재래식 광원을 발광 다이오드로 대체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실내외에서 사용되는 각종 램프, 액정표시장치, 전광판, 가로등 등의 조명 장치의 광원으로서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실시 형태는 외부 고정물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 형태는 외부 고정물로부터의 추락 위험이 낮은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부 고정물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로서, 바디; 상기 바디 아래에 배치된 광원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공부: 및 상기 고정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측부는 상기 복수의 클립들이 각각 회전하는 경로인 클립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클립들 각각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들은 상기 클립 가이드부를 통해서 일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부가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베이스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5mm 이상 7mm 미만이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원 제공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들 각각은 꺾임부를 갖고, 상기 외부 고정물의 내부 직경과 상기 복수의 꺾임부들을 잇는 가상의 원의 직경의 차는 3 파이(ø) 이상 15 파이(ø) 이하일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사용하면, 외부 고정물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고정물로부터의 추락 위험이 낮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가 외부 고정물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디(100), 클립(170) 및 고정부(500)의 결합 사시도로서 클립(17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반사 시트(370)의 전개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고정부(500’)의 사시도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클립(570)이 펼쳐진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클립(570a, 570b)이 최대로 펼쳐진 때의 평면도.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탄성체(580a, 580b)를 갖지 않는 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클립(170’)만의 확대 사시도.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가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element가 다른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명 장치는 바디(body, 100), 광원부(200), 반사부(300), 광학부(400), 고정부(500), 전원 제공부(600) 및 커버(cover, 7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100)는, 커버(700)와 함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주된 외관을 형성한다.
바디(100)는 내부에 다수의 부재들을 수납할 수 있는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빈 공간에는 광원부(200), 반사부(300) 및 광학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바디(100)의 재질은 금속일 수도 있고, 수지 재질일 수도 있다.
바디(100)는 베이스부(110), 측벽(130), 연장부(150) 및 클립(17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와 측벽(130)은 상기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100)의 베이스부(11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일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는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110)은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다.
베이스부(110)에는 광원부(2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광원부(200)의 기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10)은 별도의 체결 수단 없이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반사부(300)가 기판(210)을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부(300)의 결합부(330)가 베이스부(110)와 결합하면, 반사부(300)의 반사체(310)가 기판(210)을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밀착시킴으로서, 베이스부(110)에 기판(2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베이스부(110)와 기판(210)은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베이스부(110)와 기판(210) 사이에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기판(210)으로부터의 열을 베이스부(110)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한 열 전도 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열 전도 수단은, 예를 들어, 열 전도시트 또는 열 전도판일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열을 고정부(500)로 전달시킬 수도 있고, 자체적으로 방열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부(110)는 열 전도율이 높은 금속 또는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베이스부(110) 일측에는 광원부(200)와 함께 반사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반사부(3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홀(11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홀(111)로 반사부(300)의 결합부(330)가 삽입됨으로써, 베이스부(110)와 반사부(30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330)의 후크(335)가 제1 홀(111)을 관통한 뒤에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반사부(300)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2 홀(112)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홀(112)과 반사부(300)의 체결부(350)의 체결홀(355)을 통해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3 홀(113)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500)는 상기 제3 홀(113)과 고정부(500)의 제1 홀(511)로 스크류 또는 리벳(B)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서 베이스부(110)와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제4 홀(114)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 홀(114)로는 광원부(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재가 지나갈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부재로는 커넥터(250)가 될 수 있다. 상기 제4 홀(114)은 베이스부(11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클립 고정축(1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 고정축(115)은 베이스부(11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클립 고정축(115)의 상단은 고정부(500)의 축 결합부(51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고정축(115)은 클립(170)과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 고정축(115)은 클립(170)의 일 단부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고정축(115)을 기준으로 클립(170)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클립 고정축(115)은 복수로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세 개의 클립 고정축(115)들이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세 개의 클립 고정축(115)들 각각에는 각각의 클립(170)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 상에는 고정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가 배치되고, 베이스부(110)의 상면의 가장자리부에 고정부(500)의 측부(53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와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D1) 이격될 수 있다.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와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소정 간격(D1) 이격되면, 광원부(200)로부터의 열이 직접적으로 전원 제공부(600)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광원부(200)에서 전원 제공부(600)로 향하는 열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의 상면에서부터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의 하면 사이의 간격(D1)은 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간격(D1)이 5mm 이상일 때, 광원부(200)에서 전원 제공부(60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간격(D1)이 7mm 이상에서는, 광원부(200)에서 전원 제공부(600)로 전달되는 열의 양에 큰 차이가 없다.
바디(100)의 측벽(130)은, 베이스부(11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측벽(130)의 상단은 베이스부(11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하단은 베이스부(110) 아래에 배치된다. 측벽(130)의 하단은 연장부(150)와 연결된다.
측벽(130)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원통 형상의 측벽(130)은 베이스부(110)에서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벽(130)과 베이스부(110) 사이의 각도는, 90도 이상 180도 미만일 수 있다.
측벽(130)은 베이스부(110)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베이스부(110)와 별개로 제작되어 베이스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의 연장부(150)는, 측벽(130)의 하단에 연결되어 측벽(130)의 하단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연장부(150)는 평평한 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연장부(150)는 베이스부(110)와 평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평평한 판 형상의 연장부는 위로 또는 아래로 기울어질 수 있다. 연장부(150)는 바깥으로 연장되면서 곡률을 가지는 곡선의 형상일 수 있다.
클립(170)은 바디(100)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클립(170)은 일 단부와 타 단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일 단부는 바디(100)와 결합하고, 타 단부는 바디(100) 외부에 배치된다.
클립(170)의 타 단부는 일 단부에서 연장되고, 결합의 용이함을 위해서 위 또는 아래로 꺾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클립(170)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외부 고정물(fixture)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가 외부 고정물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립(170)의 타 단부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과 맞닿아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외부 고정물(1000)의 내부에 지지한다.
클립(170)의 타 단부와 일 단부 사이의 경계, 즉 클립(170)의 꺾임부는 외부 고정물(1000)의 내부 직경과 소정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클립(170)들 각각의 꺾임부들을 잇는 가상의 원의 직경(D3)은 외부 고정물(1000)과의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외부 고정물(1000)의 내부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고정물(1000)의 내부 직경(D2)과 복수의 클립(170)들 각각의 꺾임부들을 잇는 가상의 원의 직경(D3)의 차는 3 파이(ø) 이상 15 파이(ø)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직경의 차(D3-D2)가 3 파이(ø) 이상 15 파이(ø) 이하이면,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의 타 단부의 모서리(도 6의 (a)) 또는 타단부의 면 일부(도 6의 (b))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가장 적절하게 접촉하며, 클립(170)의 복원력에 의해서 조명 장치를 안정적으로 내부 고정물(100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직경의 차(D3-D2)가 3 파이(ø)보다 작으면, 클립(170)을 외부 고정물(1000) 내부로 삽입하기 어렵고, 클립(170)의 타 단부의 모서리 또는 타단부의 면 일부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걸리지 않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의 타 단부의 너무 넓은 면이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접촉하여 면과 면의 접촉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설치가 불안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경의 차(D3-D2)가 15 파이(ø)보다 크면, 클립(170)을 외부 고정물(1000)에 설치하기는 간편하지만, 클립(170)의 복원력으로 인한 클립(170)의 타 단부의 끝단에 형성된 모서리 또는 타단부의 면 일부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 사이의 결합력이 적어 고정이 원활하지 않으며,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있다.
한편, 클립(170)의 꺾임부, 즉 클립(170)의 일 단부를 기준으로 한 타 단부의 꺾임 각도(t)는 162도(°) 이상 172도(°) 이하일 수 있다.
꺾임 각도(t)가 상기 범위 내이면, 클립(170)이 외부 고정물(1000)에 설치되어 휘게 되더라도, 도 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 또는 타단부의 면 일부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매우 낮다.
하지만, 꺾임 각도(t)가 상기 범위 밖이면, 클립(170)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 또는 타단부의 면 일부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걸리지 않고,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의 타단부의 지나치게 넓은 면이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에 닿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높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클립(170)은 베이스부(1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클립(170)은 베이스부(110)의 클립 고정축(115)에 일 단부가 결합되고, 타 단부가 상기 일 단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클립(170)의 회전은 고정부(50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바디(100), 클립(170) 및 고정부(500)의 결합 사시도로서 클립(170)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클립(170)이 최대한 펴졌을 때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클립(170)이 최대한 접혔을 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부(500)의 측부(530)의 일부는 클립(170)이 회전할 수 있는 경로를 위해서 삭제되어 클립 가이드부(535)를 형성할 수 있으며, 클립(170)은 클립 가이드부(535)를 통해서 일부는 고정부(500) 내부에, 일부는 고정부(500) 외부에 배치된다. 클립(170)은 클립 가이드부(535)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된다.
또한, 클립(170)은 클립 가이드부(535) 내부에서 클립 고정축(115)을 따라 회전하고, 회전의 방향에 따라 고정부(500)에서 클립(170)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500)의 외면에서 세 개의 클립(170)들 중 좌측의 두 개의 클립(170)들의 끝단까지의 길이(D4)는, 고정부(500)에서 나머지 한 개의 클립의 끝단까지의 길이(D5)보다 짧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이 최대로 펴졌을 때는 클립(170)의 타 단은 바디(100)의 연장부(150)의 밖에 배치된다. 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170)이 최대로 접혔을 때는 클립(170)은 타 단은 연장부(150) 내에 또는 연장부(150)과 중첩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클립(17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펼친 후, 외부 고정물(1000) 내부로 조명 장치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클립(170)의 복원력에 의하여 클립(170)의 타 단부의 끝단이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을 딛고 조명 장치를 지지한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서 분리시키는 방법은, 바디(100)의 연장부(150)를 클립(170)이 접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클립(17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게 되고, 조명 장치를 외부 고정물(10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광원부(200)는, 바디(100) 내부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광원부(20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부(200)는 기판(210) 및 발광 소자(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기판(210)의 상면은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기판(210)의 상면이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접촉하면, 발광 소자(23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기판(210)을 통해 베이스부(110)로 직접 전도될 수 있다. 이 때 기판(210)과 베이스부(110)의 사이에는 열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열 전도시트, 열 전도 그리스 또는 열 전도판 등의 열 전도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기판(210)의 하면에는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230)가 배치될 수 있다.
기판(210)은 절연체에 회로 패턴이 인쇄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아(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215)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홈(215)은 기판(210)의 측면에서 기판(210)의 중심방향으로 파진 것일 수 있다. 가이드 홈(215)은 반사부(300)의 결합부(350)의 가이드부(351)와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홈(215)과 가이드부(351)에 의해, 기판(210)과 반사부(300)의 결합 방향과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기판(210)의 하면은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하는 재질이거나, 광이 효율적으로 반사되는 컬러, 예를 들어 백색, 은색 등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는 기판(210)의 하면 상에 발광 소자(230)의 둘레로 반사시트를 위치시켜 광을 효율적으로 반사시킴으로써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반사시트는 PMMA 또는 베이스 기판에 반사율이 높은 금속을 코팅한 시트 등 일 수 있다.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는 Ag, Al, Pt, Cr, Ni 또는 Cu 등의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기판(2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기판(210)은 타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일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기판(21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발광 소자(230)는 기판(210)의 하면에 단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단수로 배치될 경우 고효율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단일 발광 소자 패키지일 수 있고, 복수로 배치될 경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단일 패키지, 단수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일 패키지 또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일 패키지일 수 있다.
발광 소자(230)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Lighting Emitting Diode) 칩(chip)이거나 자외선 광(Ultraviolet light)를 방출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일 수 있다. 여기서, 발광 다이오드 칩은 수평형(Lateral Type) 또는 수직형(Vertical Type)일 수 있다.
발광 소자(230) 상에는 렌즈(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렌즈는 발광 소자(230)를 완전히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는 발광 소자(230)로부터 방출하는 광의 지향각이나 광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렌즈는 실리콘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투광성 수지로 구성된 것으로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 수지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분산된 형광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발광 소자(23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일 경우, 투광성 수지에 포함된 형광체는 가넷(Garnet)계(YAG, TAG), 실리케이드(Silicate)계, 나이트라이드(Nitride)계 및 옥시나이트라이드(Oxynitride)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황색 계열의 형광체만을 포함되도록 하여 자연광(백색광)을 구현할 수 있지만, 연색지수의 향상과 색온도의 저감을 위해 녹색 계열의 형광체나 적색 계열을 형광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경우, 형광체의 색상에 따른 첨가 비율은 적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녹색 계열의 형광체보다는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더 많이 사용할 수 있다. 황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가넷계의 YAG,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녹색 계열의 형광체로는 실리케이트계, 옥시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하고, 적색 계열의 형광체는 나이트라이드계를 사용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에 여러 종류의 형광체들이 혼합된 것 이외에도, 적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녹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 및 황색 계열의 형광체를 갖는 층이 각각 별개로 나뉘어 구성될 수 있다.
커넥터(250)는 기판(210)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250)는 전원 제공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판(210)에 발광 소자(230)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250)는 기판(2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25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제4 홀(114)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250)는 전원 제공부(600)의 전선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전원 제공부(600)의 지지기판(610)의 일면에 배치될 커넥터(미도시)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커넥터(25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전원 제공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을 기판(21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바디(100) 내부에 배치되고, 광원부(200) 상에 배치되어 광원부(200)에서 방출되는 광을 집광하거나 확산시킬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반사체(310), 결합부(330) 및 체결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부(300)의 반사체(310)는 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체(310)의 상단이 기판(210)의 하면 또는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310)는 기판(210)의 하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230)들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사체(310)는 상단 개구와 하단 개구를 갖는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여기서, 상단 개구는 하단 개구보다 작을 수 있다. 반사체(310)는 상단 개구와 하단 개구 사이에 반사면을 가질 수 있는데, 상기 반사면은 기판(210)의 하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반사면은 발광 소자(230)로부터의 광을 용이하게 반사할 수 있도록 광 반사 재질이거나 광 반사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반사체(310)의 하단은 광학부(400)의 가이더(43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사체(310)의 하단은 가이더(430)의 결합부(431)와 결합하는 체결부(315)를 가질 수 있다. 체결부(315)에 가이더(430)의 결합부(431)가 삽입되고, 후크(435)가 체결부(315)의 턱(315a)에 걸림으로써, 반사체(310)와 광학부(400)는 서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사부(300)의 결합부(330)는, 반사체(31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30)는 반사체(310)의 외면에서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결합부(33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제1 홀(111)에 삽입된다. 여기서, 결합부(330)는 후크(335)를 가질 수 있다. 후크(335)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상면 위에 배치되어, 반사부(300)를 바디(1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부(330)의 상단부는 고정부(500)의 제2 홀(512)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30)가 고정부(500)의 제2 홀(512)에 결합됨으로써, 고정부(500)와 바디(100)에 정확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반사부(300)의 체결부(350)는, 반사체(31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50)는 반사체(310)의 외면에서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체결부(350)는 바디(100)와 반사부(300)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부(350)의 체결홀(355)과 베이스부(110)의 제2 홀(112)로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이 결합됨으로서, 반사부(300)는 바디(100)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체결부(350)는 가이드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51)은 기판(210)의 가이드 홈(215)에 결합되어, 기판(210)의 위치와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반사부(300)는 반사 시트(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시트(370)는 반사체(310)의 반사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시트(370)는 백색의 종이일 수도 있고, 소정의 종이에 광 반사율이 높은 물질로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반사 시트(370)는 반사 효율을 향상시켜, 조명 장치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370)는, 반사체(130)가 광 반사율이 높은 고가의 재질이 아닌 경우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반사체(310)의 재료비를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반사 시트(37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반사 시트(370)의 전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사 시트(370)는 전체적으로 원형이고, 중앙부에 개구를 갖는 링 형상일 수 있다. 링 형상의 반사 시트(370)에서 일 부분이 제거되어 반사 시트(370)는 일 단부와 타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70)의 일 단부와 타 단부는 서로 결합한다. 일 단부와 타 단부가 서로 결합하면, 반사 시트(3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직경이 하부 직경보다 큰, 예를 들면 깔때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반사 시트(370)의 일 단부는 연결부(371)을 갖고, 반사 시트(370)의 타 단부은 연결홀(373)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371)는 반사 시트(370)의 일 단부의 끝단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연결부(371)는 반사 시트(370)의 일 단부의 끝단에서 바깥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371)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후크 형상의 연결부(371)는 반사 시트(370)의 연결홀(373)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연결홀(373)은 반사 시트(370)의 타 단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반사 시트(370)를 관통하는 개구일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광학부(400)는, 바디(100) 내부에 배치되고, 광원부(200)와 반사부(300)로부터의 광을 받아 외부로 방출한다.
광학부(400)는 광학판(410)과 가이더(4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판(410)은 광원부(200)와 반사부(300) 상에 배치된다. 광학판(410)은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로부터의 광과, 반사부(300)의 반사체(310)에서 반사된 광을 입사받고, 입사받은 광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적으로 처리한다는 의미는 입사되는 광을 확산하거나 입사되는 광의 파장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다. 입사되는 광의 확산은 확산제나 확산 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광학판(410)의 표면이 소정의 거칠기를 가져 입사되는 광을 확산할 수 있다. 입사되는 광의 파장의 변경은 형광체나 형광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광학판(410)은 반사부(300)와 가이더(4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판(410)의 가장자리부가 가이더(430)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에서, 가이더(430)가 반사부(300)의 반사체(310)와 결합함으로써, 광학판(410)은 반사부(300)와 가이더(43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가이더(430)는 광학판(410)의 가장자리부를 둘러싸기 위해, 링 형상일 수 있다. 가이더(430)는 반사부(300)의 반사체(310)와 결합하는 결합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부(431)는 반사체(310)의 체결부(315)의 턱(315a)에 걸리는 후크(435)를 가질 수 있다.
고정부(500)는, 바디(1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바디(100)와 커버(700) 사이에 배치된다. 바디(100)와 커버(700) 사이에 배치된 고정부(50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와 커버(700) 내부에 배치된 전원 제공부(600) 사이를 이격시켜 광원부(200)로부터의 전원 제공부(600)로 향하는 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500)에 의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베이스부(510)와 측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간격(D1) 이격된다. 따라서,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와 바디(100)의 베이스부(110) 사이에는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빈 공간은 광원부(200)로부터의 열을 담아두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기 빈 공간이 없을 경우보다 전원 제공부(600)로 전달되는 열의 양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제1 홀(511)을 가질 수 있다.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B)이 제1 홀(511)로 삽입된 후,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제3 홀(113)에 체결됨으로써, 고정부(500)는 바디(100)에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제2 홀(512)을 가질 수 있다. 제2 홀(512)에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제1 홀(111)을 관통한 반사부(300)의 결합부(33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홀(512)에 의해, 고정부(500)와 바디(100)의 결합 위치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제3 홀(513)을 가질 수 있다. 제3 홀(513)을 통해 광원부(200)의 커넥터(250)와 전원 제공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축 결합부(514)를 가질 수 있다. 축 결합부(514)는 베이스부(510)의 하면에 배치되어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클립 고정축(115)과 결합할 수 있다.
베이스부(510)는 돌출부(515)를 가질 수 있다. 돌출부(515)는 베이스부(510)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돌출부(515)는 복수로 배치되어 전원 제공부(600)의 지지기판(610)을 지지할 수 있다. 돌출부(515)에 의해, 전원 제공부(600)는 베이스부(5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므로, 돌출부(515)가 없을 경우보다 전원 제공부(600)는 광원부(200)로부터의 열의 영향을 더 적게 받을 수 있다.
고정부(500)의 측부(530)는, 베이스부(510)를 바디(100)의 베이스부(1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측부(530)는 베이스부(510)의 둘레단부에서 위 또는 아래로 연장된 것으로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측부(53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가이드부(535)를 가질 수 있다. 클립 가이드부(535)에는 클립(170)이 배치된다. 클립 가이드부(535)에 의해, 클립(170)의 회전이 제한된다.
측부(53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 유동 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와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 사이의 빈 공간에 갇힌 열이 상기 공기 유동 홀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전원 제공부(600)는, 고정부(5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원 제공부(600)는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제공부(600)는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의 상면에 배치된 돌출부(515) 상에 배치되어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600)는 고정부(500)의 제3 홀(513)을 통해 광원부(200)의 커넥터(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제공부(600)와 광원부(200)의 커넥터(250)의 연결은 전선을 통해 가능할 수도 있고, 커넥터(250)가 직접 전원 제공부(6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전원 제공부(600)는 지지기판(610)과, 상기 지지기판(610) 상에 배치되는 부품(6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판(610)은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의 돌출부(5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기판(610)과 베이스부(510) 사이에 소정의 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부(500)로부터의 열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부품(630)이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품(630)은 예를 들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직류변환장치, 광원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칩, 광원부(200)를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커버(700)는, 고정부(500) 상에 배치되고, 전원 제공부(600)를 커버한다. 구체적으로, 커버(700)는 전원 제공부(600)를 커버하면서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와 결합할 수 있다. 전원 제공부(600)는 커버(700)에 의해 밀폐되어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커버(700)는 고정부(500)와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700)와 고정부(500)는 고정부(500)와 바디(100)를 결합시키는 체결 수단(B)을 통해 한 번에 결합될 수도 있다.
커버(700)에는, 핀(pin, 750)이 배치될 수 있다. 핀(750)은 전원 제공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전원 제공부(600)로 전달한다. 핀(750)과 전원 제공부(600)의 연결은 전선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대비하여 차이가 있는 구성은, 바디(100’), 반사부(300’) 및 고정부(500’)이다. 나머지 광원부(200), 광학부(400), 전원 제공부(600) 및 커버(7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광원부(200), 광학부(400), 전원 제공부(600) 및 커버(700)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바디(100’), 반사부(300’) 및 고정부(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바디(100’), 반사부(300’) 및 고정부(500’)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바디(100), 반사부(300) 및 고정부(500)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바디(100’)의 베이스부(110’)는 가이드 홀(116a, 116b)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홀(116a, 116b)는 고정부(500’)의 가이드 돌기(516a, 516b)와 결합할 수 있다. 가이드 홀(116a, 116b)에 의해, 고정부(500’)와 바디(100’)의 결합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가이드 홀(116a, 116b)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홀(116a, 116b)는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홈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고정부(500’)의 가이드 돌기(516a, 516b)가 가이드 홀(116a, 116b)에 삽입됨으로써,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에서 고정부(500’)가 정확히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바디(10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고정부(50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00’)는 베이스부(510’)와 측부(5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의 하면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상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는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와 소정 간격 이격될 수도 있다.
측부(53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5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측부(530’)는 베이스부(5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530’)는 바디(100’)와 커버(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고정부(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고정부(500’)의 사시도들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클립(570)이 펼쳐진 경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턱(517a)을 가질 수 있다. 턱(517a)은 베이스부(5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570a)의 회전 시 클립(570a)의 양 단부 중 일 단부가 턱(517a)을 넘는다. 클립(570a)의 일 단부가 턱(517a)을 넘으면 턱(517a)은 클립(570a)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517a)은 클립(570a)이 다시 턱(517a)을 넘지 못하도록 클립(570a)의 일 단부를 막는다.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 고정축(518a, 518b)을 가질 수 있다. 클립 고정축(518a, 518b)은 베이스부(5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 고정축(518a, 518b)에는 클립(570a, 570b)과 탄성체(580a, 580b)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 고정축(518a, 518b)에 클립(570a, 570b)과 탄성체(580a, 580b)의 일 부분이 끼워질 수 있다. 클립 고정축(518a, 518b)을 기준으로 클립(570a, 570b)이 회전할 수 있다.
고정부(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립(570a, 570b)을 가질 수 있다. 각 클립(570a, 570b)은 고정부(500’)의 베이스부(510’)의 클립 고정축(518a, 518b)에 배치된다. 각 클립(570a, 570b)은 클립 고정축(518a, 518b)을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클립(570a, 570b)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클립(570a, 570b)은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을 지지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세 개의 클립들(570a, 570b)은 모두 동일한 형상이므로, 클립(570a, 570b)의 구조를 제2 클립(570b)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2 클립(570b)은 중앙부(571b)와 중앙부(571b) 양단에 배치된 일 단부(573b)와 타 단부(575b)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571b)는 클립 고정축(518b)과 결합하고, 클립 고정축(518b)에 지지되어 베이스부(510’) 상에 배치되며, 클립 고정축(518b)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부(571b)는 판 형상일 수 있다. 회전 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571b)의 일 부분은 고정부(500’)의 측부(530’)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일 단부(573b)는 중앙부(571b)의 양단 중 일 단에 배치된다. 일 단부(573b)는 중앙부(571b)와 마찬가지로 판 형상일 수 있다. 판 형상의 일 단부(573b)는 판 형상의 중앙부(571b)의 일 단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일 단부(573b)의 하면과 중앙부(571b)의 하면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중앙부(571b)가 클립 고정축(518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일 단부(573b)는 턱(517b) 위를 움직일 수 있다.
일 단부(573b)는 탄성체(580b)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단부(573b)는 탄성체(580b)의 일 단부가 삽입되는 홀을 가질 수 있다.
타 단부(575b) 중앙부(571b)의 양단 중 타 단에 배치된다. 타 단부(575b)는 중앙부(571b)와 마찬가지로 판 형상일 수 있다. 판 형상의 타 단부(575b)는 판 형상의 중앙부(571b)의 타 단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 단부(575b)의 하면과 중앙부(571b)의 하면은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중앙부(571b)가 클립 고정축(518b)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타 단부(575b)는 고정부(500’)로부터 멀어지거나 고정부(500’)와 가까워질 수 있다.
여기서, 타단부(575b)의 하면과 중앙부(571b)의 하면 사이의 꺾임 각도(s)는 162도(°) 이상 172도(°) 이하일 수 있다.
꺾임 각도(s)가 상기 범위 내이면, 클립(570b)이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설치되어 휘게 되더라도, 클립(570b)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매우 낮다.
하지만, 꺾임 각도(s)가 상기 범위 밖이면, 클립(570b)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가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걸리지 않고, 두 모서리 사이의 측면이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에 닿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높다.
타 단부(575b)는,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500’)의 측부(530’)의 가이드홈(531’)을 출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부(575b)가 가이드홈(531’)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중앙부(571b)가 클립 고정축(518b)을 따라 회전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부(575b)는 가이드홈(531’)을 빠져나와 고정부(500’)의 측부(530’) 밖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단부(575b)는 일 부분이 가이드홈(531’)을 출입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타 단부(575b) 전체가 가이드홈(531’)을 출입할 수도 있다.
타 단부(575b)는 손잡이부(575b-1)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575b-1)는 타 단부(575b)의 일 측에서 외부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손잡이부(575b-1)는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제2 클립(570b)의 타 단부(575b)를 고정부(500’)의 가이드홈(531’)에서 쉽게 빼내거나 넣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타 단부(575b)는 가이드홈(531’)을 빠져나와 고정부(500’)의 측부(530’) 밖에 배치될 때, 타 단부(575b)는 바디(100’)의 연장부(15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도 1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클립(570a, 570b)이 최대로 펼쳐진 때의 평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570a, 570b)이 최대로 펼쳐진 경우에, 클립(570a, 570b)의 타 단은 바디(100’)의 연장부(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9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170)의 타 단의 위치와 상이하다.
이렇게 클립(570a, 570b)이 최대로 펼쳐진 경우에 클립(570a, 570b)의 타 단이 바디(100’)의 연장부(150) 상에 배치되면, 클립의 타 단이 연장부(150) 밖에 배치되는 경우보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더 유리하다. 예를 들어, 클립의 타 단이 연장부(150) 밖에 배치된 경우보다, 클립에 의한 안전 사고를 더 줄일 수 있다.
다시,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부(5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체(580a, 580b)를 가질 수 있다. 탄성체(580a, 580b)는 클립 고정축(518a, 518b) 및 클립(570a, 570b)과 결합하여, 클립(570a, 570b)의 끝단을 고정부(500’)에 가장 가깝게 유지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체(580a, 580b)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토션 스프링(580a, 580b)은 쇠줄을 나선형으로 돌려서 만든 스프링의 일종으로서, 쇠줄이 나선형으로 감겨 있는 코일 부분과 상기 코일 부분 양단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토션 스프링(580b)의 코일 부분은 클립 고정축(518b)과 결합하고, 제2 토션 스프링(580b)의 제1 단부는 제2 클립(570b)의 일 단부(573b)와 결합하고, 제2 토션 스프링(580b)의 제2 단부는 고정부(500’)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체(580a, 580b)는 클립(570a, 570b)의 타 단부(575b)를 고정부(500’)의 측부(530’)의 가이드홈(531’)에 삽입된 상태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고, 클립(570a, 570b)의 타 단부(575b)가 가이드홈(531’)으로부터 나간 상태에서는 클립(570a, 570b)의 타 단부(575b)를 가이드홈(531’)으로 삽입되도록 소정의 탄성을 제공한다.
고정부(500’)의 측부(530’)는 가이드홈(531’)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531’)에는 클립(570a, 570b)의 타 단부(575b)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500’)의 측부(530’)는 클립 가이드부(535)를 가질 수 있다. 클립 가이드부(535)에는 클립(570a, 570b)이 배치된다. 클립 가이드부(535)는 클립(570a, 570b)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클립 가이드부(535)는 가이드홈(531’)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의 조명 장치의 클립(570a, 570b)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클립(570a, 570b)의 타 단부(575b)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0’)의 측부(530’)의 가이드홈(5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클립(570a, 570b)의 손잡이부(575b-1)를 잡아 당기면, 클립(570a, 570b)은 클립 고정축(518a, 518b)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클립(570a, 570b)이 어느 정도 회전하면, 클립(570a, 570b)의 일 단부(571b)가 턱(517a, 517b)을 넘는다. 클립(570a, 570b)의 일 단부(571b)가 턱(517a, 517b)을 넘은 후, 사용자가 클립(570a, 570b)의 손잡이부(575b-1)를 놓으면, 클립(570a, 570b)은 탄성체(580a, 580b)의 회복력에 의해 이전 상태로 되돌아가려 한다. 하지만, 클립(570a, 570b)의 일 단부(571b)가 턱(517a, 517b)을 다시 넘지 못하므로, 클립(570a, 570b)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사용자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클립(570a, 570b)에 반시계 방향으로의 소정의 힘을 가하면, 클립(570a, 570b)의 일 단부(571b)는 턱(517a, 517b)을 넘게 되고, 클립(570a, 570b)의 일 단부(571b)가 턱(517a, 517b)을 넘자마자 클립(570a, 570b)은 탄성체(580a, 580b)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상태로 자동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클립(570a, 570b)이 자동으로 접히므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접힌 클립(570a, 570b)이 다른 외력이 없는 이상 다시 펼쳐질 수 없으므로, 클립(570a, 570b)에 의한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안전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고정물(1000)에서 조명 장치를 제거할 때, 클립(570a, 570b)에 의한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500’)는 탄성체(580a, 580b)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탄성체(580a, 580b)를 갖지 않는 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상단 도면은 클립(570b)이 도 16의 상태인 경우이고, 도 20의 하단 도면은 클립(570b)이 도 17의 상태인 경우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부재(50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고정부(500’)와 달리 탄성체(580a, 580b)를 갖지 않는다. 그 대신 도 20에 도시된 부재(500’’)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턱(517b)와 다른 형상의 턱(517b’)을 갖는다.
도 20에 도시된 턱(517b’)은 도 16에 도시된 턱(517b)보다 높이가 더 높다.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턱(517b)의 상면은 위로 볼록하지만, 도 20에 도시된 턱(517b’)의 상면은 아래로 볼록한 두 개의 경사면을 갖는다.
이러한 턱(517b’)을 갖는 부재(500’’)에 의해서도, 클립(570b)은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570b)과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일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구성이 동일 또는 유사하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대비하여 차이가 있는 구성은, 클립(170’)이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170)은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배치되고, 일 부분은 고정부(500)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에 노출되지만,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170’)은 바디(100)의 측벽(130) 상에 배치되고, 클립(170’) 전체가 외부에 노출된다. 또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17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클립(170)의 형상과 상이하며,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고정되는 방식도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클립(17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클립(170’)은 바디(100)의 측벽(130) 상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클립(170’)은 복수로 측벽(130)의 외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클립(170’)의 일 단부는 바디(100)의 측벽(130)과 연결되고, 상기 일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바디(100)의 측벽(130) 상에 배치된다.
클립(170’)은 양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 단부는 바디(100)의 측벽(130)의 상단부 상에 배치되고, 클립(170’)의 타 단부는 바디(100)의 측벽(130)의 하단부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클립(170’)은 전체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클립(170’)은 연결부(171’) 및 연장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4는 도 21에 도시된 클립(170’)만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연결부(171’)는 바디(100)의 측벽(130)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171’)는 바디(100)의 측벽(130)의 상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71’)와 측벽(130)은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171’)은 체결 수단이 삽입되는 홀(171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171’)는 판 형상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연결부(171’)의 하면이 측벽(130)의 외면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73’)는 연결부(171’)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일 방향은 사선 방향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측벽(130)의 상단부에서 측벽(130)의 하단부 방향일 수 있다.
연장부(173’)의 끝 단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30) 상에 배치되고,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0)의 연장부(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연장부(173’)가 측벽(130) 밖에 배치되거나 연장부(150) 밖에 배치되면, 날카로운 연장부(173’)에 의해 안전 사고가 발생할 염려가 있다.
연장부(173’)은 꺾임부(173a’)를 포함할 수 있다. 꺾임부(173a’)는 연장부(173’)의 중간에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꺾임부(173a’)는 판 형상의 연장부(173’)에서 일 부분이 바디(100)의 측벽(130) 방향으로 꺾인 부분일 수 있다.
꺾임부(173a’)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 꺾인 부분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꺾임부(173a’)는 2회 이상 꺾인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꺾임부(173’)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달리 각지지 않고, 둥글게 구부러진 부분일 수도 있고, 둥글게 구부러진 부분을 복수로 가진 부분일 수도 있다.
연장부(173’)는 꺾임부(173a’)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제1 부분(173b’)은 연결부(171’)와 꺾임부(173a’) 사이의 부분이고, 제2 부분(173c’)은 꺾임부(173a’)와 연장부(173’)의 끝단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제1 부분(173b’)과 제2 부분(173c’)은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부분(173b’)은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구부러진 판 형상일 수 있고, 제2 부분(173c’)은 소정의 곡률없이 평평한 판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173b’)의 곡률은 바디(100)의 측벽(130’)의 곡률보다 더 크거나 같다. 제1 부분(173b’)의 곡률이 바디(100)의 측벽(130’)의 곡률보다 더 크거나 같으면, 꺾임부(173a’)가 바디(100)의 측벽(130’)에 맞닿았을 때, 꺾임부(173a’)는 제2 부분(173c’)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부분(173c’)이 꺾임부(173a’)에 의해 지지되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내부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2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조명 장치가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연장부(173’)의 제1 부분(173b’)의 곡률이 측벽(130)의 곡률보다 크기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가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설치되었을 때, 꺾임부(173a’)가 측벽(130)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연장부(173’)의 제2 부분(173c’)은 꺾임부(173a’)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의해 동시에 지지되므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부 고정물(1000)에 내부에 더욱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73’)의 제1 부분(173b’)의 곡률이 측벽(130)의 곡률과 같은 경우에도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도 24를 참조하면, 꺾임부(173a’)는, 클립(170’)의 양 단을 6:4로 내분하는 점과 8:2로 내분하는 점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꺾임부(173a’)가 클립(170’)의 양 단을 6:4로 내분하는 점과 8:2로 내분하는 점 사이 이외에 배치되면, 도 25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 내부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고,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특정 값 이상의 고정력을 얻을 수 없다. 여기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꺾임부(173a’)는, 클립(170’)의 양 단을 7:3으로 내분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꺾임부(173a’)의 꺾임 각도(v)는 147도(°) 이상 157도(°) 이하일 수 있다.
꺾임 각도(v)가 상기 범위 내이면, 클립(170’)이 도 25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설치되어 휘게 되더라도, 클립(170’)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가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므로,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매우 낮다.
하지만, 꺾임 각도(v)가 상기 범위 밖이면, 클립(170’)의 끝 단에 형성된 모서리가 도 25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1100)에 걸리지 않고, 두 모서리 사이의 측면이 외부 고정물(1000)의 내면에 닿기 때문에, 조명 장치의 추락 위험이 높다.
제4 실시 형태
도 26은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도 27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일부 구성에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와 동일한 구성은 같은 도면 번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6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바디(100’’)는 베이스부(110’’), 측벽(130’) 및 연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는 홀(117)을 가질 수 있다. 홀(117)은 베이스부(110’’)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홀(117)에는 광원부(200)의 기판(210)의 가이드 홈(215)에 삽입된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B)이 결합될 수 있다.
측벽(130’)은 제1 측벽(131’), 제1 연결부(133’), 제2 연결부(135’) 및 제2 측벽(13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31’)은 베이스부(110’’) 아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131’)의 상단은 베이스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측벽(131’)은 베이스부(110’’)의 하면과 둔각을 이룰 수 있다.
제1 측벽(131’)은 외면과 내면(131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31’)의 내면(131a’)은 베이스부(110’’)의 하면 상에 배치된 광원부(200)의 발광 소자(230)로부터의 광을 반사하는 반사면일 수 있다. 내면(131a’) 자체가 광 반사 물질일 수도 있고, 내면(131a’)이 광 반사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벽(131’)의 내면(131a’) 상에는 반사 시트(3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측벽(131’)이 반사면(131a’)을 갖기 때문에,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반사부(300)를 별도로 이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33’)는 제1 측벽(131’) 아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부(133’)는 제1 측벽(13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부(133’)는 제1 측벽(131’)의 하단에서 밖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제1 연결부(133’)는 제2 연결부(135’)와 결합한다. 제1 연결부(133’)는 제2 연결부(135’)와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홀(133a’)들을 가질 수 있다. 홀(133a’)들에는 제2 연결부(135’)의 가이더(135a’)들과 제2 연결부(135’)의 홀(135b’)들에 삽입된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미도시)들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측벽(131’)과 제1 연결부(133’)는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측벽(131’)과 제1 연결부(133’)는 별도로 제작되어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135’)는 제1 연결부(133’)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135’)는 제1 연결부(133’)와 결합할 수 있다. 제2 연결부(135’)는 제2 측벽(137’)의 상단에서 제2 측벽(137’)의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제2 연결부(135’)는 가이더(135a’)를 가질 수 있다. 가이더(135a’)는 제2 연결부(135’)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것일 수 있다. 가이더(135a’)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더(135a’)는 제1 연결부(133’)의 홀(133a’)과 결합한다. 가이더(135a’)가 홀(133a’)에 결합됨으로써, 제1 측벽(131’)과 제2 측벽(137’)을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연결부(135’)는 홀(135b’)을 가질 수 있다. 홀(135b’)은 두 개의 가이더(135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홀(135b’)로는 스크류 또는 리벳과 같은 체결 수단(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이 홀(135b’)과 제1 연결부(133’)의 홀(133a’)에 결합됨으로써, 제1 측벽(131’)과 제2 측벽(137’)이 서로 단단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5’) 상에는 광학판(410)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부(135’)는 광학판(410)의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광학판(410) 상에는 제1 연결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판(410)의 가장자리 위에 제1 연결부(133’)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판(410)은 제1 연결부(133’)과 제2 연결부(135’)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2 측벽(137’)은 제1 측벽(133’) 아래에 배치되고, 제2 연결부(135’) 아래에 배치된다. 제2 측벽(137’)은 제2 연결부(135’)의 가장자리에서 아래로 연장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110’’)의 하면을 기준으로, 제2 측벽(137’)의 기울기는 제1 측벽(131’)의 기울기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10’’)의 하면을 기준으로 한 제2 측벽(137’)의 기울기는 제1 측벽(131’)의 기울기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만약, 제2 측벽(137’)의 기울기가 제1 측벽(131’)의 기울기와 같거나 더 크면, 바디(100’’)의 측벽(13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므로,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 내부에 설치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2 측벽(137’)의 기울기는 제1 측벽(131’)의 기울기보다 더 작은 것이 좋다.
커버(700’)는 핀(750)을 포함하는 베이스부(710)와 베이스부(710) 아래에 배치된 측벽(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710)와 측벽(730)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측벽(730)은 바디(10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730)은 내면에 홀(731)을 갖고, 상기 홀(731)로 바디(100’’)의 베이스부(110’’)의 홀(117)에 삽입된 체결 수단(B)이 결합될 수 있다. 체결 수단(B), 베이스부(110’’)의 홀(117) 및 측벽(730)의 홀(731)에 의해, 커버(700’)와 바디(100’’)는 결합할 수 있다.
커버(700’)는 클립(77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립(770)은 커버(700’)의 측벽(7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770)은 커버(700’)의 측벽(730)에 연결될 수 있다.
클립(770)은 도 24에 도시된 클립(170’)과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배치되는 위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도 24에 도시된 클립(170’)은 바디(100’)의 측벽(130)에 연결되지만, 클립(770)은 커버(700’)의 측벽(730)에 연결된다.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하고는 클립(770)과 도 24에 도시된 클립(170’)의 구조는 동일하므로, 클립(77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21 내지 도 25에 도시된 클립(170’)의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도 26 내지 도 30에 도시된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조명 장치의 반사부(300)의 반사체(310)가 바디(100’’)의 제1 측벽(131’)에 적용되기 때문에, 재료비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고, 클립(770)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외부 고정물(1000)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바디
200: 광원부
300: 반사부
400: 광학부
500: 고정부
600: 전원 제공부
700: 커버

Claims (10)

  1. 외부 고정물 내부에 설치되는 조명 장치에 있어서,
    바디;
    상기 바디 아래에 배치된 광원부;
    상기 바디 상에 배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측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제공부: 및
    상기 고정부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연장된 복수의 클립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측부는 상기 복수의 클립들이 각각 회전하는 경로인 클립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 가이드부는 상기 복수의 클립들 각각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들은 상기 클립 가이드부를 통해서 일부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부가 상기 고정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디의 베이스부의 상면과 상기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하면 사이의 간격은 5mm 이상 7mm 미만이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의 베이스부의 상면에서 위로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전원 제공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클립들 각각은 꺾임부를 갖고,
    상기 외부 고정물의 내부 직경과 상기 복수의 꺾임부들을 잇는 가상의 원의 직경의 차는 3 파이(ø) 이상 15 파이(ø) 이하인, 조명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고,
    상기 클립이 상기 시계 방향과 상기 반시계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꺾임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멀어지고,
    상기 클립이 나머지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꺾임부는 상기 고정부와 가까워지고,
    상기 복수의 꺾임부들 각각의 꺾임 각도는 162도(°) 이상 172도(°) 이하인, 조명 장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베이스부는 상기 광원부가 배치되고, 상기 클립을 회전시키기 위한 클립 고정축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30126593A 2013-10-23 2013-10-23 조명 장치 KR102167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93A KR102167892B1 (ko) 2013-10-23 2013-10-23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593A KR102167892B1 (ko) 2013-10-23 2013-10-23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57A KR20150046957A (ko) 2015-05-04
KR102167892B1 true KR102167892B1 (ko) 2020-10-20

Family

ID=5338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593A KR102167892B1 (ko) 2013-10-23 2013-10-23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8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251B1 (ko) * 2010-10-25 2011-10-14 김병조 매입등 결합장치
US20130016516A1 (en) * 2006-10-23 2013-01-17 Cree, Inc.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installing light engine housings and/or trim elements in lighting device housing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630A (ko) * 2010-11-02 2012-05-10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16516A1 (en) * 2006-10-23 2013-01-17 Cree, Inc.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of installing light engine housings and/or trim elements in lighting device housings
KR101074251B1 (ko) * 2010-10-25 2011-10-14 김병조 매입등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957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84315B (zh) 照明装置
KR101981717B1 (ko) 조명 장치
US10234103B2 (en) Lighting apparatus
US8975806B2 (en) Bulb-type lamp
US10234090B2 (en) Lighting device
JP2010205660A (ja) 照明器具
US10030849B2 (en) Lighting apparatus
JP6110383B2 (ja) 照明装置
US10539295B2 (en) Lighting device
KR101894905B1 (ko) 조명 램프
KR102167892B1 (ko) 조명 장치
KR102125898B1 (ko) 조명 장치
KR20150046956A (ko) 조명 장치
TWI550898B (zh) 半導體發光元件及其發光裝置
KR101932063B1 (ko) 조명 장치
KR101174259B1 (ko) 조명 장치
KR102189617B1 (ko) 조명 장치
KR102157066B1 (ko) 조명 장치
KR102208333B1 (ko) 조명 장치
KR102229476B1 (ko) 조명 장치
KR102487682B1 (ko) 조명 장치
KR101103522B1 (ko) 조명 장치
KR101171811B1 (ko) 조명 장치
KR20130011094A (ko) 조명 장치
KR20150123016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