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431B1 -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 Google Patents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7431B1
KR102167431B1 KR1020160105494A KR20160105494A KR102167431B1 KR 102167431 B1 KR102167431 B1 KR 102167431B1 KR 1020160105494 A KR1020160105494 A KR 1020160105494A KR 20160105494 A KR20160105494 A KR 20160105494A KR 102167431 B1 KR102167431 B1 KR 102167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attery cell
battery
lead
t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4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0716A (en
Inventor
주재현
마상혁
박진홍
김보현
안형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05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431B1/en
Publication of KR20180020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4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01M2/1016
    • H01M2/2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분리막이 게재된 상태로 복수의 극판들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셀들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로서, 제 1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1 전지셀로서,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는 제 1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지셀; 제 2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2 전지셀로서,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는 제 2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지셀; 및 제 1 전극 탭들 및 제 2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전극리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리드는,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 본체, 상기 리드 본체의 일측 단부 부위에서 제 1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리드 본체의 타측 단부 부위에서 제 2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리드 본체의 두께가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stacked in a battery case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with a separator dis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 first battery cell having an electrode assembly embedded therein,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having first electrode tabs formed of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a second electrode assembly embedded therei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second electrode tabs formed of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nd an electrode lead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abs and the second electrode tabs to connect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in series or in parallel. Including, wherein the electrode lead, the lead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a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s at one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and a second por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It provides a battery cell assembly compris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the lead body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Description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로 결합된 전지셀 어셈블리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본 발명은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로 결합된 전지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with a single electrode lead having different thickness.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EV) 등을 포함하여 고출력 대용량이 요구되는 디바이스의 동력원으로서 주목 받고 있다.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electric vehicles (EV), hybrid electric vehicles (HEVs), and plug-ins that are proposed as a solution to air pollution such as gasoline vehicles and diesel vehicles that use fossil fuels.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wer source for devices requiring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including hybrid electric vehicles (Plug-In HEV).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고출력 대용량의 제공을 위해 다수의 전지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중대형 전지모듈이 사용된다.In such a device, a medium- to large-sized battery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s used to provide a high output and large capacity.

중대형 전지모듈은 가능하면 작은 크기와 중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높은 집적도로 충적될 수 있고 용량 대비 중량이 작은 각형 전지, 파우치형 전지 등이 중대형 전지모듈의 전지셀(단위전지)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are preferably manufactured with a small size and weight as much as possible, so prismatic batteries and pouch-type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with a high degree of integration and have a small weight to capacity are mainly used as battery cells (unit cells) of medium and large battery modules. have.

특히,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외장부재로 사용하는 파우치형 전지는 중량이 작고 제조비용이 낮으며 형태 변형이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In particular, pouch-type batteries using an aluminum laminate sheet or the like as an exterior member are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due to advantages such as low weight,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y shape transformation.

최근에는,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전극조립체를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형 전지케이스에 내장한 구조의 파우치형 전지가, 낮은 제조비, 적은 중량, 용이한 형태 변형 등을 이유로,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고, 또한 그것의 사용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Recently, a pouch type batter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stack type or stack/folding type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type battery case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is attracting a lot of attention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low weight, and easy shape modification. In addition, its usage is gradually increasing.

이와 관련하여, 고출력 내지 대용량의 제공을 위해 두 개의 파우치형 이차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셀 어셈블리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전지셀 어셈블리의 대표적인 전기적 연결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파우치형 이차전지인 제 1 전지셀(10) 및 제 2 전지셀(30)을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전지셀(10) 및 제 2 전지셀(30) 각각에 형성된 양극 탭들(15, 35)이 양극리드들(18, 38)에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고, 이하 상기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In this regard,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two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order to provide high output or large capacity has been proposed. A typical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of such a battery cell assembly is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1, a first battery cell 10 and a second battery cell 30, which are pouch-type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each of the first battery cells 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s 30 A structure in which the formed anode tabs 15 and 35 are coupled to the anode leads 18 and 38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e above structure.

구체적으로, 제 1 전지셀(10) 및 제 2 전지셀(30) 각각의 전극 탭들은 일반적으로 0.5 mm 이하 박판(foil)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전극 탭들(양극 탭들 또는 음극 탭들)을 하나의 전극리드(양극리드 또는 음극리드)에 초음파 융착에 의해 결합시킨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tabs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10 and 30 are generally formed of a foil of 0.5 mm or less, and a plurality of electrode tabs (positive electrode tabs or negative electrode tabs) are provided. It is bonded to the electrode lead of (anode lead or cathode lead) by ultrasonic welding.

이 때,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4, 34)를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시, 전극리드(18, 38)의 밀봉성 향상을 위해, 전극리드(18, 38)의 상면 및 하면에는 리드 필름(16a, 16b)이 부착되어 있다. At this time, when sealing the pouch-type battery cases 14 and 34 by a heat-seal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are provided with a lead film 16a. , 16b) is attached.

소망하는 고출력 내지 대용량을 얻기 위해,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때, 각각의 전지셀들의 전극리드들을 상호 결합시켜야 된다.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high output or large capacity, when the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he electrode leads of the respective battery cells must be mutually coupled.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 1 전지셀(10) 및 제 2 전지셀(30)을 연속적으로 상호 인접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상호 대면하는 양극리드들(18, 38)의 일 부위를 레이저 용접 또는 초음파 용접 방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소망하는 전기용량의 전지셀 어셈블리를 제작한다. As shown in FIG. 1,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attery cells 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s 30 are arranged in a lengthwise direction so as to be continuously adjacent to each other, the positive electrode leads 18 and 38 facing each other are A battery cell assembly having a desired electric capacity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ortion by laser welding or ultrasonic welding.

그러나, 다수의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결합된 여러 쌍의 전극리드의 결합력이 상호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여러 쌍의 전극리드들의 결합의 균일성이 담보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electrically connect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onding force of the combined pairs of electrode leads may be formed differently from each other, and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iformity of bonding of the plurality of pairs of electrode leads is not guaranteed. Can occur.

특히, 한 쌍의 전극리드(18, 38)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 부위는,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4, 34)의 외부에 노출되는 바, 전지셀에 충격 내지 진동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the portion where the pair of electrode leads 18 and 38 are joined by weld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s 14 and 34, so that when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battery cell, There is a weak problem.

또한, 전지셀들(10, 30)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할 때, 전지셀들(10, 30)을 적층시켜 배열하는 경우가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경우에는 필연적으로 용접으로 결합되어 있는 전극리드들(18, 38)을 절곡하여야 하고, 전극리드(18, 38)의 절곡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cells 10 and 30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the battery cells 10 and 30 may be stacked and arranged. When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electrodes are inevitably joined by welding. The leads 18 and 38 have to be bent, and the bent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is structurally weaker than other portions.

또한, 전지셀에 충격 내지 진동이 인가되어 전극리드들(18, 38)을 통해 결합된 전지셀들(10, 30)의 상대 운동이 발생되는 경우,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전극리드에 외력이 집중될 수 있는 바, 용접으로 결합된 부위에서 단선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shock or vibration is applied to the battery cells and relative motion of the battery cells 10 and 30 coupled through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occurs, the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electrode lead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can be, there may be a problem that a disconnection occurs in a part joined by welding.

이에 더하여, 전극 탭들(15, 35)과 전극리드(18, 38)는 용접에 의해 비가역적으로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바, 한번 결합된 전극 탭들(15, 35)과 전극리드(18, 38)는 분리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전지셀들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호환성이 낮은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tabs 15 and 35 and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are irreversibly coupled by welding to form an integral body. The electrode tabs 15 and 35 and the electrode leads 18 and 38 are once joined. ) Is impossible to separat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low compatibility that the operator cannot selectively connect and use the battery cells.

따라서, 외부의 진동 내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지셀들 간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자재로 전지셀들을 연결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높은 실정이다. Therefore, even if external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there is a high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freely according to the operator's choice while maintaining a firm bond between the battery cell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echnical problems that have been requested from the past.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 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전극리드를 특정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전지셀들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대한 강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fter repeated in-depth research and various experiments, as described later, when forming the electrode lead into a specific structur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battery cells is increased, and accordingl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tiffness for the was improved.

또한,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전지셀들 간의 결합을 자유자재로 할 수 있는 바, 전기 용량에 대한 호환성이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the bar can freely combine the battery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atibility with respect to the electric capacity is improv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따라서,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로 복수의 극판들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셀들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로서,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stack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

제 1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1 전지셀로서,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는 제 1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지셀; A first battery cell in which a first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in which first electrode tabs formed of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re formed;

제 2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2 전지셀로서,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는 제 2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지셀; 및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a second electrode assembly embedded therei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second electrode tabs formed of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nd

제 1 전극 탭들 및 제 2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전극리드; An electrode lead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abs and the second electrode tabs to connect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in series or in parallel;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리드는,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 본체, 상기 리드 본체의 일측 단부 부위에서 제 1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리드 본체의 타측 단부 부위에서 제 2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리드 본체의 두께가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cluding, wherein the electrode lead, the lead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a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s at one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and a second portion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the lead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지셀은 판상형 전지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판상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예를 들어,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후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battery cell may be formed as a plate-shaped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ase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is, for example, after embedding an electrode assembly in a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It may be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eat-sealed.

한편, 상기 전극리드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이들의 재질과 관련하여, 상기 전극리드 중 양극리드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음극리드는 니켈 도금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ode lead may be made of a single member.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material thereof, the anode lead of the electrode lead may be made of aluminum, and the negative lead may be made of nickel plated copp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인접한 전지셀들인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의 각각의 전극 탭들이 하나의 전극리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바, 용접 공정 횟수가 크게 감소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진동에 의한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전극단자와 전극단자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tabs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which are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by a single electrode lead, and the number of welding processes is greatly reduced, resulting in external shock or vibra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electrode terminal can be secured.

이 때, 상기 리드 본체의 두께는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500%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may be formed in a size of preferably 110% to 500%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만약, 리드 본체의 두께가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를 기준으로 110% 미만인 경우에는, 리드 본체의 두께 및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의 차이가 미미한 바,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인 리드 본체가 소망하는 강성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If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is less than 110%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is insignificant. This is not desirable as it may not reach the desired stiffness.

또한, 리드 본체의 두께가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를 기준으로 500% 를 초과한다면, 리드 본체의 절대적인 두께가 너무 커지게 되며, 복수의 전지셀들이 결합되어 있는 전지모듈의 전체 부피가 증가될 수 있는 바, 이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In addition, if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exceeds 500% based 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the absolute thickness of the lead body becomes too large, and the total volume of the battery module in which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combined will increase. As can be seen, this is also undesirable.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전극리드는, 부분 압연에 의한 제 1 결합부 및 2 결합부의 형성에 의해, 제 1 결합부 및 2 결합부의 수평 방향 면적은 리드 본체의 수평 방향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될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the electrode lead is formed by form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by partial rolling, and the horizont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lead body. Can be.

이에 따라, 외부의 먼지 기타 이물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지케이스 내부에서, 전극 탭들과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전극리드 및 전극 탭들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 Accordingly, by increasing the bonding area with the electrode tabs inside the battery case, which is not affected by external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stable coupling between the electrode lead and the electrode tabs can be achieved.

상기 부분 압연 과정은, 예를 들어, 압연 롤러에 요철 내지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기 압연 롤러들 사이에 전극리드를 통과시키는 과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The partial rolling process may be manufactured through, for example, forming an uneven or protruding portion on a rolling roller and passing an electrode lead between the rolling rollers.

한편, 상기 압연 롤러의 형상을 일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는 경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드 본체에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의 부위는, 리드 본체 쪽으로 두께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forming a slo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in one direction of the shape of the rolling roller,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lead body have a tapered structure in which the thickness increases sequentially toward the lead body. Can be made of.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및 2 전지셀들 각각은,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이 전지케이스의 양단에 대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one specific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face both ends of the battery case.

상기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의 위치를 상기 전지케이스의 양단에 대향하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의해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가 접촉하여 유발되는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By forming the positions of the positive electrode tabs and the negative electrode tabs in a structure opposite to both ends of the battery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lead can be maximized, and accordingly, the positive electrode lead and the negative electrode due to external shock or vibration Electrical short circuit caused by contact of the lead can be prevented.

한편, 이러한 구조에서, 제 1 및 2 전지셀들은 전지셀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 1 및 2 전지셀들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 배열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structure,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may be stack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attery cell.

이 때, 상기 전극리드는, 전지셀들 상호 간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 부위에서 제 1 및 2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을 위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electrode lead may be formed to be bent in a "C" shape for a stacked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at a region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between the battery cells.

또 다른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제 1 및 2 전지셀들 각각은, 전극 탭들과 결합되어 있고 전극리드를 수용하는 전극리드 수용부가 형성된 커넥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 부재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 탭들의 대향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In another specific exampl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upled to the electrode tabs and having an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lead;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may b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electrode tabs.

이 때, 상기 커넥팅 부재는 전극 탭들 및 전극리드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전극 탭들 및 전극리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In this case, the connecting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 and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팅 부재의 부위 중 상기 전극 탭들과 대면하는 측에는 전극 탭들을 수용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에 전극 탭들이 삽입된 후, 압연 내지 용접을 통해 전극 탭들을 커넥팅 부재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de tabs may be formed on a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that faces the electrode tabs, and after the electrode tab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the electrode tab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ember through rolling or welding. Can be firmly bonded to.

다만, 커넥팅 부재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는 바, 전극 탭들 및 전극리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만 있다면, 상기 전극 탭들은 상기 커넥팅 부재의 어느 부분에 결합되더라도 무방하며, 제작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물론이다. However, since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s long as the electrode tabs and the electrode lea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electrode tabs may be coupled to any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selection. to b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 탭들의 대향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측에서 전극리드를 결합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de lead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electrode tabs, so that the electrode lead can be coupled from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이 때,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리드가 밀착 수용되도록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리드의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lead accommodating portion is formed in a slot shape so that the electrode lead is closely accommodated,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lead can be inserted and removed.

이 때,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전지셀들에 각각 형성된 전극리드 수용부에 전극리드를 삽입함으로써,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전극리드 수용부에 삽입된 전극리드를 다시 인출함으로써, 작업자가 전기셀들의 전기적 연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t this time, the operator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battery cells by selectively inserting the electrode leads into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s respectively formed in a pair of adjacent battery cells, and pulling out the electrode leads inserted in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s again. , There is an effect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electrical connection state of the electric cells.

이에 따라, 버스 바(bus bar)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극리드를 통해 소망하는 전기 용량을 얻을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지셀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 desired electric capacity can be obtained through the electrode lead without using a bus bar, and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can b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또한, 상기 커넥팅 부재는 판상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의 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할 때, 전지케이스가 커넥팅 부재의 외주면을 밀착하면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battery case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and when heat-sea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the battery case may be formed to close and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이에 따라, 커넥팅 부재를 형성하더라도, 전지케이스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극리드를 삽입할 수 있는 전극리드 수용부만 전지케이스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even if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the electrolyte solution injected into the battery case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only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ode lead can be inserted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한편, 전지케이스 내부에는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조립체는 권취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타 다른 형태의 전극조립체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an electrode assembly is built into the battery case, and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of a winding type, a stack type, or a stack/folding type structure, and other types of electrode assemblies are also applicable.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전지셀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을 제공하며, 이러한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전지모듈 및 디바이스의 구조와 그것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battery cell assembly, and provides a device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Since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는, 단일의 부재로 전지셀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전극리드 중 전지케이스 외부에 노출되는 부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강성이 증대되어 안정적으로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cel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necting the battery cells with a single member,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 so that the external impact Due to the increased rigidity against vibration, the battery cell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stably.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의 전지셀에 커넥팅 부재를 형성한 구조에 의해, 소망하는 전기 용량을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In some case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member is formed in each battery cell enables selective use of a desired electric capacity, thereby increasing compatibility for use in various devices.

도 1은 종래의 전지셀들 각각의 전극리드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를 통해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 및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를 통해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구성 중 커넥팅 부재 및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전극리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극리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electrode leads of each of conventional battery cells are joined by welding;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single electrode lead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a single electrode lea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insertion of a connecting member and a single electrode lea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of FIG. 3;
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electrode lead bent in a "c" shape in a stacked state of battery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lead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를 통해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single electrode lead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100)는 제 1 전지셀(110) 및 제 2 전지셀(130)로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2, a battery cell assembly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110 and a second battery cell 130.

제 1 전지셀(110) 및 제 2 전지셀(130)은 상호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이하에서는 제 1 전지셀(11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제 2 전지셀(130)의 중복되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을 달리하더라도 전지셀 어셈블리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The first battery cell 1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130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Hereinafter, onl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battery cell 110 will be described, and overlapping of the second battery cell 130 will be describ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is omitted. Further, even if the drawings are different,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will be omitted.

제 1 전지셀(110)은 판상형 전지셀이며, 상기 판상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114)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후,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The first battery cell 110 is a plate-shaped battery cell, and the battery case 114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i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and t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eat-sealed. Consists of.

제 1 전지셀(110)에는 제 1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극조립체에는 제 1 양극 탭들(112a) 및 제 1 음극 탭들(미도시)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다. A first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the first battery cell 110, and first electrode tabs including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112a and first negative electrode tabs (not shown) are formed i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전지셀(110)에 있어서, 양극판(112)에 형성된 제 1 양극 탭(112a) 및 음극판(111)에 형성된 제 1 음극 탭(미도시)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양극 탭들(115) 및 제 1 음극 탭들(미도시)의 거리를 최대로 배치시킴으로써, 제 1 양극 탭들(115) 및 제 1 음극 탭들(미도시)의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기적 단락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in the first battery cell 110, each of the first positive tab 112a formed on the positive plate 112 and the first negative tab (not shown) formed on the negative plate 111 face each other. Direction, and accordingly, by dispo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ode tabs 115 and the first cathode tabs (not shown) to the maximum, the first anode tabs 115 and the first cathode tabs (not shown) Electrical short circuit caused by contac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14, 134)의 외주면을 열융착 방식으로 밀봉시, 전극리드(120)로 인한 밀봉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파우치형 전지케이스(114, 134) 중 열융착되는 부위와 대응되는 전극리드(1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리드 필름(116a, 116b)이 부착되어 있으며, 리드 필름(116a, 116b)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eal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s 114 and 134 by a heat-sealing method,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sealing property due to the electrode lead 120, a portion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s 114 and 134 that is heat-sealed Lead films 116a and 116b ar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 lead 120 corresponding to and the lead films 116a and 116b ar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 1 전지셀(110) 및 제 2 전지셀(130)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단일 전극리드(12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 2에는 제 1 전지셀(110) 및 제 2 전지셀(130)의 양극끼리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The first battery cell 1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1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single electrode lead 120 made of one member, and in FIG. 2, the first battery cell 1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 A structure in which the anodes of 130) are connected in parallel is shown.

전극리드(120)는 전지케이스(114, 134)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 본체(120a), 리드 본체(120a)의 일측 단부 부위에서 제 1 양극 탭들(115)과 연결되는 제 1 결합부(120b) 및 리드 본체(120a)의 타측 단부 부위에서 제 2 양극 탭들(135)과 연결되는 제 2 결합부(120c)로 이루어져 있다. The electrode lead 120 includes a lead body 120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s 114 and 134,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120b connected to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115 at one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120a. )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120c connected to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s 135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120a.

이 때, 전지케이스(114, 134)의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 본체(120a)의 두께는 제 1 결합부(120b) 및 제 2 결합부(120c)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120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s 114 and 134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20c.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 부재 및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를 통해 전지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지셀 어셈블리의 구성 중 커넥팅 부재 및 두께가 상이한 단일 전극리드의 삽입 전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battery cel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onnecting member and a single electrode lea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of the battery cell assembly of FIG.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nd a single electrode lea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before insertion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제 1 전지셀(210) 및 제 2 전지셀(230) 각각에는, 전극리드(220)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팅 부재(218, 238)가 구비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ogeth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210 and 230 is provided with connecting members 218 and 238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electrode lead 220.

이하 제 1 전지셀(210)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커넥팅 부재(218, 238)는 제 1 양극 탭들(215, 235) 및 전극리드(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first battery cell 210, the connecting members 218 and 238 serv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215 and 235 and the electrode lead 220.

커넥팅 부재(218, 238)는 도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전극조립체에 대면하는 부위에는 제 1 양극 탭들(215)이 용접 기타의 공지된 방법으로 결합되어 있고, 제 1 전극조립체에 대향하는 부위에는 전극리드의 제 1 결합부(220b)를 수용할 수 있는 전극리드 수용부(218a)가 형성되어 있다. The connecting members 218 and 238 are formed of a conductive member, and the first anode tabs 215 are coupled to a portion fac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by a known method such as welding, and fac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 electrode lead accommodating portion 218a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electrode lead is formed at the portion.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극리드의 제 1 결합부(220b)는 커넥팅 부재의 전극리드 수용부(218a)에 삽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electrode lead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into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218a of the connecting member.

전극리드 수용부(218a)는 상기 전극리드의 제 1 결합부(220b)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 1 결합부(220b)의 외주면을 밀착하여 접촉함으로써, 제 1 결합부(220b)를 물리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통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제 2 결합부(220c) 역시 동일하다.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218a physically contacts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by intimat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whi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of the electrode lead is inserted. It is fix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be energized at the same time,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c is also the same.

이와 같이, 전지셀 어셈블리(200)에 있어서, 커넥팅 부재(218, 238)를 사용함으로써, 전극리드(220)의 부위 중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14, 234)의 열융착 부위와 대면하는 부위에 리드 필름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14, 234)의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하는 과정에서 전극리드(220)를 좀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battery cell assembly 200, by using the connecting members 218 and 238, the lead to the portion of the electrode lead 220 that faces the heat-sealed portion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 214, 234 There is no need to use a film, and there is an effect of more securely protecting the electrode lead 220 in the process of thermally seal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ouch-type battery cases 214 and 234.

또한, 전극리드 수용부(218a)는 전지케이스(214)의 외측 방향을 향해서만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파우치형 전지케이스(214)는 커넥팅 부재(218)의 외면에 밀착하여 실링됨으로써, 전지케이스(214) 내부에 주입된 전해액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218a is formed in a slit shape only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attery case 214, and the pouch-type battery case 214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218 to be sealed, It is formed so that the electrolyte injected into the case 214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4를 참조하면,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전극리드(220)는 리드 본체(220a), 제 1 결합부(220b) 및 제 2 결합부(220c)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드 본체(220a)를 사이에 두고 제 1 결합부(220b) 및 제 2 결합부(220c)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referring to FIG. 4, the electrode lead 220 made of a single member is made of a lead body 220a, a first coupling part 220b, and a second coupling part 220c,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c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with the 220a interposed therebetween.

도 4에서는, 제 1 결합부(220b) 및 제 2 결합부(220c)는 리드 본체(220a)의 높이를 기준으로, 중간에서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결합부(220b) 및 제 2 결합부(220c)의 높이 및 연장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FIG. 4,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c extend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n the middle based on the height of the lead body 220a is show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c may have different heights and extension lengths.

경우에 따라서는, 제 1 결합부(220b) 및 제 2 결합부(220c) 각각의 단부 측에 걸림 턱(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전극리드 수용부(218a)에는 상기 걸림 턱을 고정시키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좀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In some cases, a locking jaw (not shown) is formed at an end side of each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2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c, and the locking jaw is fixed to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218a. It can be fixed more firmly by forming a locking groove to make it.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셀들을 적층시킨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전극리드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모식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cell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n electrode lead bent in a "c" shape in a state in which battery cells are stack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디바이스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 1 전지셀(310) 및 제 2 전지셀(33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전극리드(320)를 통해, 제 1 전지셀(310) 및 제 2 전지셀(330)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order to efficiently utilize the space in the device, the first battery cells 3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s 330 are stacked and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 this state, a "c" shape The first battery cell 3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330 are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the electrode lead 320 that is bent in

이 때, 전극리드(320)의 제 1 결합부(320b) 및 제 2 결합부(320c)는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지셀의 전극리드 수용부 및 제 2 전지셀의 전극리드 수용부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 1 전지셀(310) 및 제 2 전지셀(3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At this time,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0c of the electrode lead 320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nd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so that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battery of the first battery cell The first battery cell 310 and the second battery cell 3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inserted into each of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s of the cell.

또한,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전극리드(320)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케이스(314, 334) 외부로 노출되는 리드 본체(320a)의 두께가 제 1 결합부(320b) 및 제 2 결합부(320c)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lead 320 that is bent in a "c" shape also, as described above,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320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s 314 and 334 is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0b and By being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0c, it exhibit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rigidity against external shock or vibration.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전극리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ode lead formed in a tapere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리드 본체(340a), 제 1 결합부(340b) 및 제 2 결합부(340c)로 이루어진 전극리드(340)에 있어서, 제 1 결합부(340b) 및 제 2 결합부(340c)의 부위는 리드 본체(340a) 쪽으로 두께가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the electrode lead 340 comprising a lead body 340a, a first coupling portion 340b,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40c, a first coupling portion 340b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 The portion of 340c) has a tapered structure whose thickness is sequentially increased toward the lead body 340a.

이 때, 상기 전극리드(340)는 제 1 결합부(340b) 및 제 2 결합부(340c) 부위만을 압연하는 부분 압연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부분 압연으로 제조함에 따라, 제 1 결합부(340b) 및 제 2 결합부(340c)의 수평 방향 면적은 리드 본체(340a)의 수평 방향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ode lead 340 is formed by partial rolling in which only the portion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34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40c are rolled, and as such, as manufactured by partial rolling, the first coupling The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ortion 340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40c is formed to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lead body 340a.

제 1 결합부(340b) 및 제 2 결합부(340c)의 수평 방향 면적이 리드 본체(340a)의 수평 방향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됨에 따라, 전극판(미도시)에 형성된 전극 탭들(미도시)과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As the horizont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art 340b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40c is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lead body 340a, electrode tabs (not shown) formed on the electrode plate (not shown) ) Can increase the bonding area and, ultimately,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Claims (14)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분리막이 게재된 상태로 복수의 극판들이 적층된 구조의 전극조립체가 전지케이스에 각각 내장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셀들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어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로서,
제 1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1 전지셀로서, 상기 제 1 전극조립체는 제 1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1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지셀;
제 2 전극조립체가 내장되어 있는 제 2 전지셀로서, 상기 제 2 전극조립체는 제 2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로 이루어진 제 2 전극 탭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지셀; 및
제 1 전극 탭들 및 제 2 전극 탭들을 연결하여 제 1 전지셀 및 제 2 전지셀을 직렬 또는 병렬 연결시키는 전극리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리드는,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된 리드 본체, 상기 리드 본체의 일측 단부 부위에서 제 1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리드 본체의 타측 단부 부위에서 제 2 전극 탭들과 연결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리드 본체의 두께가 제 1 및 2 결합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전지셀들을 자유롭게 결합시킬 수 있으면서 외부의 충격 내지 진동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리드 본체의 두께는 제 1 및 제 2 결합부의 두께의 110% 내지 500%의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리드 본체는 제 1 및 제 2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을 위해 절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드 본체에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의 부위는 상기 리드 본체 측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지셀들 각각은, 전극 탭들과 연결되어 있고 전극리드를 수용하는 전극리드 수용부가 형성된 커넥팅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팅 부재는 도전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 탭들의 대향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리드의 제 1 및 제 2 결합부가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상기 커넥팅 부재의 부위 중에 전극 탭들에 대향하는 부위에 형성되고, 전지케이스의 외측 방향을 향해서만 형성되며,
상기 커넥팅 부재는,
판상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의 단부 측에 형성되어 있고, 전지케이스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그 외주면이 전지케이스에 밀착하여 실링되게 형성되며,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만 전지케이스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전지케이스의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할 때, 전지 케이스가 커넥팅 부재의 외주면을 밀착하며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de plates are stacked in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placed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is a battery cell assembly in which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each embedded in a battery case are connected in series or in parallel,
A first battery cell in which a first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wherei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first battery cell in which first electrode tabs formed of first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re formed;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a second electrode assembly embedded therein,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ncludes: a second battery cell having second electrode tabs formed of second positive electrode tabs and negative electrode tabs; And
An electrode lead connecting the first electrode tabs and the second electrode tabs to connect the first battery cell and the second battery cell in series or in parallel;
Including,
The electrode lead is connected to the lead bod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a first coup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tabs at one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and the second electrode tabs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lead body It includes a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lead body is form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The lead body has a thickness of 110% to 500% o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so that the battery cells can be freely coupled and the rigidity against external shock or vibration can be increased, and the lead The body is formed to be bent for the stacking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and the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connected to the lead body are formed to be tapered so as to increase in thickness toward the lead bod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formed with an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electrode lead;
The connecting member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f the electrode tabs,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of the electrode lead can be inserted and extracted,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opposite to the electrode tabs, and is formed only toward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The connecting member,
It is formed on the end side of the battery case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to be sea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attery case so that the electrolyte inside the battery case does not leak to the outside,
Battery cel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attery case is formed to close and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when thermally seal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ttery case so that only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tery c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셀은 판상형 전지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battery cell is a plate-shaped battery cel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전지셀의 전지케이스는, 금속층과 수지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시트의 케이스에 전극조립체를 내장한 후 외주면을 열융착 실링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battery case of the plate-shaped battery cell has a structure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case of a laminate sheet including a metal layer and a resin layer, and t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heat-seal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of claim 3, wherein the electrode lead is made of a single member. 삭제delet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는, 부분 압연에 의한 제 1 결합부 및 2 결합부의 형성에 의해, 제 1 결합부 및 2 결합부의 수평 방향 면적은 리드 본체의 수평 방향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electrode lead is formed by form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by partial rolling, so that the horizontal area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horizontal area of the lead body. Battery cel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전지셀들 각각은, 양극 탭들 및 음극 탭들이 전지케이스의 양단에 대향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has a structure in which positive tabs and negative tabs face opposite ends of the battery cas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2 전지셀들은 적층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전극리드는, 전지셀들 상호 간의 직렬 또는 병렬 연결 부위에서 제 1 및 2 전지셀들의 적층 배열을 위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are stacked and arranged;
The electrode lead is a battery cell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bent in a "c" shape for the stacking arrang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battery cells at a region connected in series or parallel between the battery cells.
삭제delet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리드 수용부는 전극리드가 밀착 수용되도록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ode lead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slot shape so that the electrode lead is closely accommodated. 삭제delet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는 권취형, 스택형 또는 스택/폴딩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셀 어셈블리.The battery cell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to 8, and 10, wherein the electrode assembly has a winding type, a stack type, or a stack/folding type structur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8 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전지셀 어셈블리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전지모듈.A battery module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cell assembl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6 to 8, and 10. 제 13 항에 따른 전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A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claim 13.
KR1020160105494A 2016-08-19 2016-08-19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KR1021674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94A KR102167431B1 (en) 2016-08-19 2016-08-19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494A KR102167431B1 (en) 2016-08-19 2016-08-19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16A KR20180020716A (en) 2018-02-28
KR102167431B1 true KR102167431B1 (en) 2020-10-19

Family

ID=61401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494A KR102167431B1 (en) 2016-08-19 2016-08-19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4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7969A1 (en) * 2020-04-30 2021-11-04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 battery assembly having same, and automobile
WO2021217970A1 (en) * 2020-04-30 2021-11-04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Battery module, battery module group comprising same, and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074B1 (en) * 2005-05-09 2008-07-14 주식회사 엘지화학 Three-Dimensional Electrode Terminal For Pouch-Typed Battery
KR101509474B1 (en) * 2012-06-13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KR101784743B1 (en) * 2015-01-23 2017-11-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Rechargeable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716A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1307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KR101509474B1 (en) Battery Assembly Having Single Electrode Terminal Connecting Part
US9741984B2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US9178204B2 (en) Rechargeable battery
US9692023B2 (en) Electricity storage module
KR102618844B1 (en) Lead tabs for battery terminals
KR2014005683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JP2020521288A (en) Battery module with busbar assembly
KR102055852B1 (en) Pouch-type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modified leads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447064B1 (en) Battery Cell of Improved Connection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170062845A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Unit Module Having Simple Structure
KR102092117B1 (en) Electrode Tab Coupling Member and Electrode Tab Coupling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150044698A (e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61705B1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cover
US10991985B2 (en) Secondary battery
KR102167431B1 (en) Battery Cell Assembly Combined by Single Electrode Lead with Different Thickness
KR101486623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69905A (en) Battery Pack
US20210151722A1 (en) Battery pack
KR101957403B1 (en) Cell Lead Connecting Apparatus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the same
JP2015056257A (en) Secondary battery
KR101726792B1 (en) Folding Device for Sealing Part of Battery Cell
KR20180081604A (en) Wall-through collector for pouch cells
JP6683089B2 (en) Power storage device
KR20180034903A (en) Battery Cell Comprising Battery Case Having Receiving Part and Groove for Electrode L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