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7107B1 -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67107B1 KR102167107B1 KR1020180135890A KR20180135890A KR102167107B1 KR 102167107 B1 KR102167107 B1 KR 102167107B1 KR 1020180135890 A KR1020180135890 A KR 1020180135890A KR 20180135890 A KR20180135890 A KR 20180135890A KR 102167107 B1 KR102167107 B1 KR 1021671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iginal
- copy
- line
- identification device
- parall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6—Security printing using a non human-readable pattern which becomes visible on reproduction, e.g. a void ma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inting Method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종래의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원본 자체의 위조가 어려우면서도 원본에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고 복사시에만 나타나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에 관련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사본 식별 장치는 복사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한다. 원본에 적용되는 현출부와 소실부는 육안으로 볼 때 모두 동일하게 보이며 식별이 어려운 정도로 그 크기가 작고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장치가 적용된 원본을 육안으로 관찰해도 이러한 현출부와 소실부는 인지할 수 없고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만 현출부가 나타나고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다. It is not a conventional simple form, but an invention related to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that makes it difficult to forgery the original itself, but is not identified by the naked eye in the original but appears only at the time of copying. The copy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appearance portion that disappears during copying and a manifestation portion that appears during copying. Both the protruding part and the disappearing part applied to the original look the same with the naked eye, and the size is small and the composition is complicated to the extent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Even if the original to which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such a prominent part and a lost part cannot be recognized, and only when the original is copied, the outstanding part appears and the lost part disappears, so that the copy can be identif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원본에서는 안 보이지만 원본을 복사할 때에 나타나게 되어 복사본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 그리고 이 복사본 식별 장치가 적용된 물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that is invisible in the original but appears when copying the origi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identify whether it is a copy, and to an article to which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is applied.
복사기의 성능 향상으로 인해 화폐, 공공문서 등을 복사기로 복사하여 위조하기가 용이해졌다. 종래에 이러한 복사기 이용 위조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원본을 복사하면 원본에 잘 안 보이게 인쇄되어 있던 내용이 나타나도록 하는 위조방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대한민국특허등록 10-0788877 참조).Due to th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copier, it has become easier to forge money and public documents by copying them with a copi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prevent such a forgery act using a copy machine, a counterfeit prevention technology has been disclosed in which, when an original is copied, contents that were printed invisibly on the original appear (see Korean Patent Registration 10-0788877).
이 기술의 대략적 원리는 원본 인쇄시에 육안으로 보기 힘들 정도의 가는 선으로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을 인쇄해 놓는다. 이 원본을 복사기로 복사하면 복사기의 성능(감광도, 분해능 등)에 의해 잠상패턴을 이루는 가는 선이 제대로 재현되지 못함에 따라 잠상패턴 부분은 사라지고 배경패턴 부분만 남게되어, 원본에서 안 보이던 잠상이 복사본에서 나타나게 된다. 즉, 배경패턴만 제대로 복사된다.The general principle of this technique is to print the background pattern and the latent image pattern with thin lines that are hard to see with the naked eye when printing the original. When this original is copied with a copier, the latent image pattern part disappears and only the background pattern part remains as the thin lines forming the latent image pattern are not properly reproduced due to the performance of the copier (sensitivity, resolution, etc.). Appears in. In other words, only the background pattern is properly copied.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에는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의 구성이 단순하여, 원본에서도 잠상이 육안으로 식별되기도 하고 반대로 복사본에서 잠상패턴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복사본에서 나타나는 잠상패턴을 단순한 도형이나 문자로 구성할 수 밖에 없어 사용할 수 있는 잠상패턴의 종류가 너무 제한적이며 유치하였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technology, the composition of the background pattern and the latent image pattern is simple, so that the latent image can be visually identified in the original, and on the contrary, the latent image pattern may not be clearly displayed in the copy. In addition, the types of latent image patterns that can be used are too limited and childish because the latent image patterns appearing in the copies can only be composed of simple figures or characters.
또한, 원본의 배경패턴과 잠상패턴의 형태가 단순하여 원본을 무단 인쇄하는 원본 위조에 대해서는 대응할 수 없다. 이러한 방식은, 상기 선행특허에서 선폭 0.0001인치 이하의 선으로 원본에 잠상패턴을 인쇄해야 하므로 상기 선행특허의 출원시점인 2007년 6월에는 의미가 있는 기술이었지만, 현재는 인쇄기술 및 인쇄장치의 발달로 이 정도 선폭의 잠상패턴 인쇄는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용지의 제조 자체에 별 곤란성이 없게 되어서, 원본의 위조 자체를 방지하지는 못하게 되었다. In addition, the form of the background pattern and the latent image pattern of the original are simple, so it cannot cope with the forgery of the original by printing the original without permission. This method was a meaningful technology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ior patent in June 2007, since it was necessary to print the latent image pattern on the original with a line width of 0.0001 inches or less in the prior patent, but nowadays the development of printing technology and printing apparatus As a result, printing of a latent image pattern with this line width can be easily implemented. Therefore, there is no difficulty in manufacturing the paper itself, and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forgery of the orig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단순한 형태가 아니라 원본 자체의 위조가 어려우면서도 원본에서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고 복사시에만 나타나도록 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 및 이 장치가 적용된 물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and a product to which this device is applied, which is not in a simple form in the prior art, but is difficult to forgery of the original, but is not identified with the naked eye, but appears only at the time of copying. I want to provid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사본 식별 장치는 복사(예를 들어, 광복사기에 의한 복사) 시에 사라지는 소실부와 복사 시에 나타나는 현출부를 포함한다. 원본(예를 들어, 용지)에 적용(예를 들어, 인쇄)되는 현출부와 소실부는 육안으로 볼 때 모두 동일해 보여 식별이 어려운 정도로(예를 들어, 명도 또는 채도 또는 색상의 관점에서) 그 크기가 작고 구성이 복잡하다.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장치가 적용된 원본을 육안으로 관찰해도 이러한 현출부와 소실부는 인지할 수 없고 원본을 복사할 경우에만 현출부가 나타나고 소실부는 사라져 복사본임을 식별할 수 있는 것이다.A copy ident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ncludes a disappearance portion disappearing during copying (for example, copying by an optical copier) and a manifestation portion appearing during copying.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vanishing portion applied to the original (e.g., paper) (e.g., printed) are both identical to the naked eye and are difficult to identify (e.g., in terms of brightness or saturation or color). It is small in size and complex in configuration. Even if the original to which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such a prominent part and a lost part cannot be recognized, and only when the original is copied, the outstanding part appears and the lost part disappears, so that the copy can be identified.
원본 제조시에 현출부를 특정 문자나 도형(가령, 'No Copy', '복사본', '×' 등)의 형태로 구성해 놓으면, 복사본에는 이러한 현출부가 문자, 도형 형태의 잠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고(이른바, 포지티브 방식), 원본 제조시에 현출부 영역의 내부에 특정 문자나 도형의 형태로 소실부를 구성해 놓으면, 복사시에, 현출부 바탕에 소실부가 소실되어서 음각 형태의 잠상으로 나타나게 될 것이다(이른바, 네거티브 방식).When the original is made in the form of a specific character or figure (e.g.,'No Copy','Copy','×', etc.), the outstanding part will appear in the copy as a latent image in the form of letters and figures ( In the so-called positive method), if the disappearance part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character or figure inside the saliency area when the original is manufactured, the disappearance part is lost on the background of the saliency part at the time of copying and will appear as a latent image in the form of intaglio ( The so-called negative method).
현출부는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2차원으로 종,횡방향 배열된 다수의 큰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소실부는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으로 구성할 수 있다. The protrud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ck lines arranged in parallel and a plurality of large dots arranged in two dimensions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The vanishing portion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lines arranged in parallel as a line thinner than the thick line, and a plurality of small dots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large point and arranged in the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s.
현출부를 이루는 굵은선과 큰점은 소실부를 이루는 가는선과 작은점보다 각각 굵고 직경이 크므로 복사시에 현출되며, 가는선과 작은점은 복사시에 재현되지 못하고 소실된다. 단, 원본에서 육안으로 상기 굵은선과 큰점도 역시 명확하게 인식되지 않도록 상기 굵은선, 큰점, 가는선, 작은점의 크기와 배열 방향ㆍ각도 등이 설계되어야 할 것이다(이에 대해서는 실시예를 통하여 후술함).The thick line and the large dot forming the bulging part are each thicker and larger in diameter than the thin line and the small dot forming the disappearing part, so they appear during copying, and the thin lines and small dots are not reproduced during copying and are lost. However, the size and arrangement direction and angle of the thick line, large point, thin line, and small point should be designed so that the thick line and the large point are also not clearly recognized by the naked eye in the origina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examples. ).
이상에서 소개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은 이후에 도면과 함께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troduc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현출부와 소실부의 조합에 의해서 복사본 식별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원본에서의 복사본 식별 장치를 위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복사본에서 현출되는 잠상의 형태를 다양하고 복잡하게 디자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특유한 현출부 및 소실부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배열각도에 의하여, 원본에서의 현출부와 소실부가 접하는 영역에서의 형태적 이질감이 크게 감소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is complic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utstanding part and the disappearing part, it becomes difficult to forge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in the original, and various and complicated designs of the shape of the latent image displayed in the copy are made. It becomes possible. In addition, the morphological heterogeneity in a region in which the bulging part and the evanescent part in the original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greatly reduc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ulging and disappearing parts and the size and arrangement angle of each component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장치의 한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장치의 다른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복사본 식별 장치를 원본에 적용한 예시도1 is an embodiment of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rigina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ifferent from each other, only this embodiment makes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e person, and the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for explaining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ther than the recited elements, steps, actions and/or elements, or Does not rule out add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급적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the same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an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If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의 대표적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A configuration of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을 참조하여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포함된 복사본 식별 장치의 한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확대해서 표현한 것으로, 실제로는 매우 미세하여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An embodiment of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including a escaping
도 1의 실시예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은 다수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고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은 굵은선(110)과 달리 2가닥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다. 실시형태에 따라, 가는선(210)은 각 굵은선(110)과 연결되어 2가닥으로 분기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라, 가는선(210)은 2가닥 이상을 1조로 하여 배열될 수도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 a number of the
여기서, 수평 방향의 의미는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선을 횡방향으로 설정할 때에 이 기준선과 동일한 방향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수평 방향이 가로 방향을 의미하고 있지만, 만일 기준을 종방향으로 설정한다면 수평 방향은 세로 방향이 될 것이다. Here, the meaning of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lative, meaning that the reference line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reference line when it is 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refore, in FIGS. 1 and 2, the horizontal direction means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if the reference is se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will be the vertical direction.
각 가는선(210)의 굵기는 굵은선(110)의 굵기의 약 1/2배 이하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비록 굵은선(110)은 한 가닥이 1조이고 가는선(210)은 두 가닥이 1조이지만, 원본에서 육안으로 보면 전체적으로 거의 동일한 명도(또는 채도 또는 색상)로 보인다. 그러나 복사를 하게 되면 굵은선(110)만 현출되고 가는선(210)은 복사기의 분해능의 한계로 복사되지 않고 사라진다. 더욱이, 복사기의 특성상 복사된 굵은선(110)은 토너가 고온 고압으로 종이 위에서 녹으며 정착되므로 더 굵게 표현된다. 따라서 가는선(210)이 있는 부분은 복사시에 사라지게 되고 굵은선(110)이 있는 부분은 더 진하게 나타나므로, 복사시 전체적으로 현출부(10)의 문자나 도형이 양각 잠상으로 또는 소실부(20)의 문자나 도형이 음각 잠상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The thickness of each
또한, 도 1에는 현출부(10)의 큰점(120)들이 배열된 영역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배열된 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영역을 이루는 큰점(120)과 작은점(220)의 밀도를 보면, 작은점(220)의 밀도가 큰점(120)의 밀도보다 높다. 따라서 큰점(120)들로 이루어진 영역 내에 또는 인접하여, 작은점(220)들로 문자나 도형을 이루도록 원본에 인쇄를 하면 작은점(220)의 밀도가 큰점(120)의 밀도보다 높기 때문에 비록 큰점(120)의 지름(직경)이 더 크다고 하더라도 육안으로는 큰점(120) 영역과 작은점(220) 영역의 명도(또는 채도 또는 색상)가 동일해 보인다. 그러나 복사를 하게 되면 큰점(120)만 복사되어 현출되고 작은점(220)은 복사기의 분해능의 한계로 복사되지 않고 소실된다. 따라서 작은점(220) 영역은 복사시에 사라지게 되고 큰점(120) 영역은 더 진하게 나타나므로, 복사시 전체적으로 문자나 도형이 잠상으로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 즉, 큰점(120)들로 문자나 도형을 이루도록 원본에 인쇄를 한 경우도 마찬가지임.)In addition, in FIG. 1, a region in which the
도 1에 나타낸 현출부(10)의 굵은선(110)과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의 굵기 및 선 간격, 그리고 현출부(10)의 큰점(120)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직경, 간격, 배열 방향 등의 치수에 관하여 설명한다.The thickness and line spacing of the
본 발명에서 굵은선(110), 가는선(210), 큰점(120), 작은점(220)으로 일정한 형태 내지는 패턴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의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원본에 인쇄하는 공정은 원본 제조 과정 중의 후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선 패턴과 점 패턴을 포함한 현출부와 소실부를 함께 원본에 인쇄할 때에는 선 패턴과 점 패턴의, 특히, 선 패턴과 점 패턴의 인접 영역(가령, 도 1의 130, 230 표시 부분)의 이질적인 패턴 형태로 인해서 원본에서 이러한 이질적 형태가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도록 패턴의 구성 및 치수를 고려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nsiderations in configuring a certain shape or pattern with a
이상의 사항을 고려하여 다수의 원본 제작 및 복사본 비교를 통한 테스트를 수행하여,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패턴 구성 및 수치를 결정하였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a number of originals were produced and a test was performed through comparison of copies, and the pattern configuration and numerical values as shown in FIG. 1 were determined.
도 1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의 굵기는 약 0.055mm로 정했고 굵은선(110) 간의 간격은 약 0.5mm, 소실부(20)의 가는선(210)의 굵기는 약 0.022mm, 가는선(210) 간의 간격은 약 0.0825mm로 정하였다. In FIG. 1, the thickness of the
또한, 현출부(10)의 큰점(120)의 직경은 약 1.6mm,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직경은 약 0.4mm로 정하였다. 큰점(120)과 작은점(220)은 종방향 및 횡방향 배열 간격이 동일하게 배열되는데, 큰점(120)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약 2.7mm, 작은점(220) 간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약 0.8mm로 정하였다. 중요한 것은, 현출부(10)의 큰점(120)의 배열각도와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의 배열각도가 다르다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큰점(120)은 횡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만큼 비스듬히 위로), 종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7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75°만큼 비스듬히 아래로) 배열된다. 따라서 "큰점(120)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이다"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종방향과 횡방향의 배열 간격이 동일하므로 종방향 배열각도를 정의에 포함시킬 필요는 없음). 한편, 작은점(220)의 배열각도는 큰점(120)의 배열각도와 반대이다. 즉, 작은점(220)은 횡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15°만큼 비스듬히 아래로), 종방향으로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75°의 사선 방향으로(즉, 수평선을 기준으로 75°만큼 비스듬히 위로) 배열된다. 따라서 "작은점(220)의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이다"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도 2는 복사본 식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각각 굵은선(110')과 큰점(120'), 가는선(210')과 작은점(220')으로 구성되는 것은 유사하지만,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이 수평으로 평행 배열되지 않고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다. 현출부(10')의 큰점(120')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소실부(20')의 가는선(210')들은 각 두 가닥이 수평으로 평행 배열되어 있다. 소실부(20')의 작은점(220')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As shown in Fig. 1, the bulging portion 10' and the vanishing portion 20' are each composed of a thick line 110' and a large point 120', a thin line 210', and a small point 220'. Although similar, the
여기서, 사선 방향의 의미는 기준선을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설정할 때에 이 기준선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비스듬한 방향이라는 의미이다. 도 1의 경우와 비교바람.Here, the meaning of the oblique direction means that when the reference line is set in the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it is a direction that is oblique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line. Please compare with the case of FIG.
도 2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약 15°의 각도로 비스듬히 사선 방향으로 배열된다. 굵은선(110') 간의 간격은 약 0.5mm, 굵은선(110')의 굵기는 약 0.055mm로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러한 배열 방향 및 수치는 도 2의 실시예에서 현출부(10')의 굵은선(110') 및 큰점(120')이 접하여 위치하는 영역(15)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 및 가는선(210')이 접하여 위치하는 영역(25)에서의 점 패턴과 선 패턴이 접하고 있으므로 원본 및 복사본에서의 이질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In FIG. 2, the
도 2의 실시예에서는 현출부(10')의 사선배열 굵은선(110')들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게 되고, 현출부(10')의 큰점(120')들과 소실부(20')의 평행배열 가는선(21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다르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현출부(10)의 평행배열 굵은선(110)들과 소실부(20)의 평행배열 가는선(21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내게 되고, 현출부(10)의 큰점(120)들과 소실부(20)의 작은점(220)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나타냈었다. In the embodiment of Fig. 2, the thick lines 110' arranged in diagonal lines of the protruding portion 10' and the small points 220' of the disappearing portion 20' cooperate to show a latent wound, and the protruding portion 10' It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FIG. 1 in that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출부(10, 10')와 소실부(20, 20')의 조합에 의해서 복사본 식별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므로, 원본에서 복사본 식별 장치를 위조하는 것이 곤란해지며, 복사본에서 현출되는 잠상의 형태를 다양하고 복잡하게 디자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특유한 현출부 및 소실부의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배열각도에 의하여, 원본에서의 현출부와 소실부가 접하는 영역에서의 형태적 이질감이 크게 감소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becomes complic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복사본 식별 장치를 원본에 인쇄하는 방식의 한 예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는 원본인 용지(30)를 여러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 영역(40a~f)에 도 1의 실시예 또는 도 2의 실시예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포함한 복사본 식별 장치를 인쇄하는 예를 나타낸다. 각 분할 영역(40a~f)에 상술한 복사본 식별 장치의 현출부(10)와 소실부(20)가 모두 포함되도록 인쇄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분할 영역에 현출부(10)만, 다른 분할 영역에는 소실부(20)만 인쇄하여 둘 이상의 분할 영역이 모여서 복사본 식별 장치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printing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described above on an origina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In FIG. 3, the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원본에 인쇄하는 공정은 원본 제조 과정 중의 후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원본에서는 육안으로 현출부(10)와 소실부(20)의 식별이 어려워야 하므로 고해상도 출력판이 필요하며 현재 가능한 최소의 해상도인 4,800 dpi(dot per inch) 출력기를 사용하였다.The process of printing the protruding
그러나 도 3에서는 원본을 6개 영역으로 분할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나타낼 뿐,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용지(30)의 전면에 걸쳐서 무작위적으로 현출부(10)와 소실부(20)를 포함한 복사본 식별 장치를 인쇄할 수도 있고, 특정 위치(가령, 중앙이나 제 곳의 귀퉁이)에만 작은 규모의 복사본 식별 장치를 인쇄할 수 있다. 또한, 복사본 식별 장치가 적용되는 원본에는 일반적인 사무용, 복사용의 보통 용지 이외에 엽서, 스티커, 색지, 판지 등 다양한 종이 제품, 그리고 다양한 물체(가령, 금속, 합성수지, 목재, 유리, 전자기판, 반도체 웨이퍼 등)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본에 복사본 식별 장치를 인쇄하는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의 적용(예를 들어, 부착, 부식, 조각, 몰딩, 증착 등)도 가능하다. However, only one embodiment in which the original is divided into six regions is shown in FIG. 3,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randomly print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protruding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과는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may be implemented in a specific form different from that 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현출부(10), 소실부(20), 현출부(10'), 소실부(20'), 굵은선(110), 가는선(210), 큰점(120), 작은점(220), 선 패턴과 점 패턴의 인접 영역(130, 230), 굵은선(110'), 큰점(120'), 가는선(210'), 작은점(220'), 현출부의 굵은선 및 큰점이 접하는 영역(15), 소실부의 작은점 및 가는선이 접하는 영역Recessed portion (10), vanishing portion (20), hanging portion (10'), vanishing portion (20'), thick line (110), thin line (210), large point (120), small point (220), line The
Claims (8)
상기 현출부는, 1가닥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수평으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종,횡방향으로 제1밀도로 배열된 다수의 큰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실부는,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적어도 2가닥 이상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수평으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현출부의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상기 제1밀도보다 큰 제2밀도로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을 포함하되,
상기 현출부의 수평 평행배열 굵은선들과 상기 소실부의 수평 평행배열 가는선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구성하고,
상기 현출부의 큰점들과 상기 소실부의 작은점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구성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As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that is applied to the original and enables identification of a copy that is not the original, including the disappearing part and the outstanding part that disappear when copying the original,
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ick lines in which a plurality of rows are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one strand as a set, and a plurality of large points arranged in a first density in a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
The vanishing portion is a line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 line of the hang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in wires in which a plurality of strings are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at least two strands as one set, and a seco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point of the hanging portion and having a greater than the first density Including a number of small do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density,
The horizontal parallel arrangement thick lines of the bulge portion and the horizontal parallel arrangement thin lines of the disappearance portion cooperate to form a latent image,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in which large dots of the bulging part and small dots of the disappearing part cooperate to form a latent image.
상기 현출부는, 1가닥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굵은선과, 종,횡방향으로 제1밀도로 배열된 다수의 큰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실부는,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보다 가는 선으로서 적어도 2가닥 이상을 1조로 하여 다수의 조가 수평으로 평행 배열된 다수의 가는선과, 상기 현출부의 큰점보다 작은 직경이며 상기 제1밀도보다 큰 제2밀도로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작은점을 포함하되,
상기 현출부의 사선 평행배열 굵은선들과 상기 소실부의 작은점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구성하고, 상기 현출부의 큰점들과 소실부의 수평 평행배열 가는선들이 협동하여 잠상을 구성하는 복사본 식별 장치.As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that is applied to the original and enables identification of a copy that is not the original, including the disappearing part and the outstanding part that disappear when copying the original,
The protrud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thick lines arranged in parallel in a diago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arge points arranged in a first density in a vertical and transverse direction,
The vanishing portion is a line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 line of the hang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in wires in which a plurality of strings are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at least two strands as one set, and a second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large point of the hanging portion and having a greater than the first density Including a number of small dot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in density,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configured to form a latent image by cooperating with thick lines arranged diagonally parallel to the bulging portion and small points of the disappearing portion, and forming a latent image by cooperating with the large dots of the bulging portion and horizontally parallel arranged thin lines of the disappearing portion.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의 굵기는 0.055mm, 상기 굵은선들 간의 간격은 0.5mm, 상기 큰점의 직경은 1.6mm, 상기 큰점들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2.7mm이고,
상기 소실부의 상기 가는선의 굵기는 0.022mm, 상기 가는선들 간의 간격은 0.0825mm, 상기 작은점의 직경은 0.4mm, 상기 작은점들 간의 간격은 종,횡방향 각각 0.8mm인 복사본 식별 장치.In claim 1 or 2,
The thickness of the thick line of the protruding part is 0.055 mm, the distance between the thick lines is 0.5 mm, the diameter of the large point is 1.6 mm, the distance between the large points is 2.7 mm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The thickness of the thin line of the disappearance portion is 0.022 mm, the distance between the thin lines is 0.0825 mm, the diameter of the small point is 0.4 mm, the distance between the small points is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0.8 mm, respectivel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상기 큰점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5°이고,
상기 작은점의 횡방향 배열각도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15°인 복사본 식별 장치.In claim 1 or 2,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large point of the escaping portion and the arrangement angle of the small point of the disappearance portion are different,
The horizontal arrangement angle of the large dots is 15° based on the horizontal line,
A copy identification device whose horizontal arrangement angle of the small dots is -1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상기 현출부의 상기 굵은선들은 수평선을 기준으로 15°의 각도로 사선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고,
상기 소실부의 상기 가는선들은 수평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평행 배열되는 복사본 식별 장치.In paragraph 2,
The thick lines of the protruding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in a diagonal direction at an angle of 1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line,
The thin lines of the disappearance portion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orizontal line.
Paper on which the copy identification device of claim 1 or 2 is prin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en) | 2018-11-07 | 2018-11-07 |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en) | 2018-11-07 | 2018-11-07 |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660A KR20200052660A (en) | 2020-05-15 |
KR102167107B1 true KR102167107B1 (en) | 2020-10-19 |
Family
ID=7067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5890A KR102167107B1 (en) | 2018-11-07 | 2018-11-07 |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6710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877B1 (en) * | 2007-06-14 | 2007-12-27 | (주)광인사 | Forgery prevention paper |
WO2010038824A1 (en) * | 2008-10-03 | 2010-04-08 |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 Forgery preventive printed matter |
KR101390942B1 (en) * | 2013-06-26 | 2014-05-02 | 주춘호 | A printing matter using crisscross lines for preventing fabrication and interfering reproduction |
KR101815830B1 (en) * | 2016-11-01 | 2018-01-31 | 장찬호 | Security paper having copy protecting functio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2808B1 (en) * | 2016-05-16 | 2017-12-28 | 한국조폐공사 | A printed matter for forgery prevention and method of verifying a counterfeit |
-
2018
- 2018-11-07 KR KR1020180135890A patent/KR102167107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8877B1 (en) * | 2007-06-14 | 2007-12-27 | (주)광인사 | Forgery prevention paper |
WO2010038824A1 (en) * | 2008-10-03 | 2010-04-08 | 独立行政法人 国立印刷局 | Forgery preventive printed matter |
KR101390942B1 (en) * | 2013-06-26 | 2014-05-02 | 주춘호 | A printing matter using crisscross lines for preventing fabrication and interfering reproduction |
KR101815830B1 (en) * | 2016-11-01 | 2018-01-31 | 장찬호 | Security paper having copy protecting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2660A (en) | 2020-05-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L192610C (en) | Image carrier and method for printing an image on an image carrier. | |
US4582346A (en) | Document security system | |
AU2013220001B2 (en) | Security element and method to inspect authenticity of a print | |
JP6394975B2 (en) |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 |
KR102167107B1 (en) | A device for identifying duplicated copy and an object adopting the device | |
JP4595068B2 (en) | Authentic printed material | |
US20220150378A1 (en) | Method of Printing Authentication Indicators with Amplitude Modulated Halftone Printing | |
KR101470619B1 (en) | Print media Applied to the security element and method. | |
JP2008200935A (en) | Forgery preventive medium | |
KR20180025651A (en) | A printing matter for preventing counterfeit using the s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692672B1 (en) |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 |
JP5692673B1 (en) |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 |
JP2021011098A (en) | Copy prevention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6205625A (en) | Copy-warning printed matter | |
JP7276399B2 (en) | duplicate restraint printed matter | |
KR102402655B1 (en) | A printed matter for forgery preven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2081739A (en) | Anti-counterfeit printing method and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 |
JP6354079B2 (en) | Copy forgery prevention printed matter | |
KR20170025856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a overlap security pattern and a printed article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 |
JP3171660U (en) | Anti-counterfeit paper | |
JP5190621B2 (en) |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with confidential information | |
JP3220070U (en) | Printing paper leaf for forgery prevention | |
JP4832330B2 (en) | Anti-counterfeit media | |
JP4940019B2 (en) | Anti-counterfeit media | |
JP2021172032A (en) | Copy restraining printed mat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