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950B1 -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 Google Patents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950B1
KR102165950B1 KR1020190008691A KR20190008691A KR102165950B1 KR 102165950 B1 KR102165950 B1 KR 102165950B1 KR 1020190008691 A KR1020190008691 A KR 1020190008691A KR 20190008691 A KR20190008691 A KR 20190008691A KR 102165950 B1 KR102165950 B1 KR 102165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body
hook
magnet
surrounding objects
walking a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91652A (en
Inventor
안병찬
Original Assignee
안병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찬 filed Critical 안병찬
Priority to KR1020190008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950B1/en
Publication of KR2020009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16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9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45B1/04Walking sticks with means for hanging-up or with lo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B3/02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A45B3/04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illuminating device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4Ferrules or t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1/00Spr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2Accessories
    • F03G2730/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시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다가 잠시 쉬거나 보관할 때 다양한 주변 사물들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세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 device, and is used to support the body during walking, and then, when taking a rest or storing for a while, it is possible to simply and safely stand up and support using various surrounding objects.

Description

보행 보조장치{WALKING ASSISTANCE APPARATUS}Walking ai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행시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다가 잠시 쉬거나 보관할 때 다양한 주변 사물들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세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assisting walking, and in particular,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that is used to support the body while walking, and can be easily and safely supported by using various surrounding objects when taking a rest or storing for a while. will be.

일반적으로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주행 보조장치로는 지팡이와 목발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In general, canes and crutches are most widely known as driving aids for assisting walking.

이 중 지팡이의 경우 노약자, 지체가 부자유한 사람, 또는 새벽 조기 등산이나 장시간에 걸친 장거리 산행, 그 외의 산책이나 도보 운동 등을 행할 때 주행을 보조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Among them, the cane is widely used to assist the driving in the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or early early morning mountain climbing, long long-distance mountaineering, and other walking or walking exercises.

한편 목발의 경우 대부분은 하반신의 거동이 매우 불편한 사람이 주로 사용하는데, 지팡이보다는 상하 길이가 길고 사용자의 어께를 지지하는 어깨 받침부가 상단부에 구비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rutches, most of them are mainly used by people with very uncomfortable lower body movements, but the difference is that the upper and lower lengths are longer than that of a cane and a shoulder rest that supports the user's shoulders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이같은 주행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대부분은 장기 보행이 어려워 보행 도중 잠시 앉아서 쉬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자립 기능이 없는 지팡이나 목발을 주변 사물에 의지하여 비스듬히 세워놓게 된다. 하지만 이 경우 세워진 상태가 매우 불안정하여 스스로 쓰러지기도 하고 주변 사람들의 가벼운 접촉만으로도 쓰러지는 것이 다반사이다. Most of the users using such a driving assistance device have difficulty in long-term walking, so they often sit and rest for a while while walking. At this time, a cane or crutches that do not have an independent function are placed at an angle depending on surrounding objects. However, in this case, the erected state is very unstable and may fall by itself, and it is common for people to fall only with light contact.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07067호(2000.10.05.)에서는 손잡이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제1보조 걸이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지팡이를 개시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같은 정도의 구성으로는 주변에 있는 다양한 사물들을 대상으로 지팡이를 걸이 지지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어서 사실상 무용지물이 될 수밖에는 없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gistratio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07067 (2000.10.05.) also disclosed a cane with a hole formed in the handl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first auxiliary hanger. However,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supporting the cane with various objects around it, so it was virtually useless.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07067호(2000.10.05.)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207067 (2000.10.05.)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시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다가 잠시 쉬거나 보관할 때 다양한 주변 사물들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세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to support the body while walking, and then use a variety of surrounding objects for a short rest or storage. It is to provide a walking aid that enables i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장치로서, 상하방향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으면서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를 세워진 상태로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도넛형 제1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상기 장치 본체를 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걸이부재는,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르거나 링 형태로 걸 수 있도록 두 겹으로 이루어진 걸이끈과,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를 이끌고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가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상기 걸이끈을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인출하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걸이끈을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 하측으로 당기는 경향을 갖도록 유도하는 웨이트봉과,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가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걸거나 상기 걸이끈이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른 상태에서 상기 걸이끈의 중간 부위를 걸 수 있도록 한 갈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assisting a user's walking, and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and supported on the ground while the user holds it by hand. The device body to be able to; And a hook member configured to support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while the device main body is erected; and a metal tube installed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main body, and installed inside the metal tube and at the center thereof. A donut-shaped first magnet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main body is provided so that the device main body can be attached to a metallic object among surrounding objects by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hanger member Is, a two-ply hanger strap that can be wrapped around any of the surrounding objects or hanged in a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ger strap to lead one end of the hanger strap and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tate of passing through and being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device body, one end of the hook strap is blocked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and the hook strap is external to the device body. When an external force to be pulled out is not applied, a weight rod that induces the hook strap to have a tendency to pull downwar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by its own weight,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ok strap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device body. In a state where the other end of the hook strap is blocked from entering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and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is hung or the hook strap is wrapped around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ok to hang the middle portion of the hook strap.

여기서,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에는 주변 사물들 중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사물 표면에 진공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 흡착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측면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상기 장치 본체를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제2자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other end of the hanging strap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dsorption plate capable of vacuum adsorption on the surface of objects having a smooth surface among surrounding objects, and a side surface of the device body is applied to metallic objects among surrounding objects by using magnetic force. On the other h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disk-shaped second magnet to be attached to the device body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 측면에는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하단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에 걸 수 있도록 한 ㄷ자형의 제1보조 걸이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상단부에는 띠 형상의 벨크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side of the device body is hinged so that the upper end is rotatable, and a first auxiliary hanger of a c-shaped shape is further provided to be hung on surrounding objects using the lower end, and the upper end of the device body is provided with a band-shape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lcro is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조명등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LED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되어 상기 LED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소켓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의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기 위한 나눔 배터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LED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dle to be used as a lighting lamp and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handle to supply power to the LED are provided, and a rear end of the handle is provided to transmit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 socket groove having a power terminal for the power supply terminal may be formed, and a sharing battery for supplementing insufficient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may be further provided.

또한, 상기 장치 본체의 하단부에는 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여 승강하는 디딤축과, 상기 디딤축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전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와 나눔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하는 발전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lower end of the device body, a stepping shaft that rises and descend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receiving an elastic support from a spring,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epping shaft and provides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sharing battery are further installed.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또한, 상기 장치 본체는 일자형의 지팡이, 상하방향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T자형의 지팡이,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의 중간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최상단에는 사용자의 어깻죽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어깨받침부를 구비하는 목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is a straight wand, a T-shaped wand consisting of a body portion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to support the ground, and a handle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s capable of supporting the grou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crutches provided with a handle in the middle of the body and a shoulder rest at the top to support the shoulder of the user.

본 발명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보행시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다가 잠시 쉬거나 보관할 때 다양한 주변 사물들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세워 지지할 수 있다. The walking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support the body while walking, and then can be easily and safely erected and supported by using various surrounding objects when resting or storing for a while.

또한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링 형상으로 사물을 두를 수 있도록 한 걸이끈을 비롯하여 갈고리, 흡착판, 보조 걸이구, 높이 차를 둔 제1자석 및 제2자석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주변 사물들에 의지하여 장치 본체를 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ok, a suction plate, an auxiliary hook, a first magnet and a second magnet having a height difference, including a hook, a suction plate, an auxiliary hook, as well as a hook, a hook, a suction plate, and a second magnet with a height difference. Can support the device body by relying on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절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
1 is a state diagram of a use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cut-away side view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ar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보행 지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walkin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of disclosure,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imensions of structures are shown to be enlarged than actual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or reduced than actual to understand a schematic configuration.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Further,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Meanwhile,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es not.

<실시예><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1 is a state diagram of a walking a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100)는 보행시 신체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하다가 잠시 쉬거나 보관할 때 다양한 주변 사물들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안전하게 세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상기 보행 보조장치(100)를 의자에 기댄 상태에서 걸이부재(120)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서 있도록 지지해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The walking assis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used to support the body while walking, and then use a variety of surrounding objects to stand up and support it safely and simply by using various surrounding objects when taking a rest or storing for a while. In the drawing,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 is supported so that it can stand safely by using a hook member 120 while leaning on a chair.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alking aid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부분 절개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후면도이다.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of the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by, Figure 5 is a rear view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장치 본체(110), 걸이부재(120), 제1보조 걸이구(130), 나눔 배터리(140), 조명용 LED(150), 발전부재(160) 및 벨크로(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evice main body 110, the hanger member 120, the first auxiliary hanger 130, the sharing battery 140, the lighting LED 150, the power generation member It consists of including (160) and Velcro (190).

상기 장치 본체(110)는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면을 짚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110a)와, 상기 몸체부(110a)에 결합되어 보행시 사용자가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손잡이부(11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 본체(110)의 형상만 놓고 보면 통상의 스틱형 지팡이와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The device body 110 is formed in an elongated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ground and support the body part 110a, and the device body 110 is coupled to the body part 110a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support it while walking. It can be seen that it is made of one handle portion 110b, and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 typical stick-type cane by looking at only the shape of the device body 110.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a)의 상부 측면을 관통한 상태로 금속관(112)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112) 내측에는 중앙에 몸체부(110a) 내부 공간(111a)과 통하는 통공(113a)을 구비한 도넛형 제1자석(113)이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제1자석(113)의 자력을 이용하여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상기 장치 본체(11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제1자석(113)은 상기 장치 본체(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쓰러지지 않도록 금속성의 사물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자력을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자석(113)은 상기 금속관(11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완전히 고정되기 보다는 자력만으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etal tube 112 is installed in a state penetrating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a, and a through hole 113a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111a of the body portion 110a in the center is formed inside the metal tube 112 The provided donut-shaped first magnet 113 is installed. Accordingly, the device body 110 can be attached to a metallic object among surrounding objects by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113. Such a first magnet 113 is provided to have a sufficiently high magnetic force so as to stably attach to a metallic object so as not to fall when the device main body 110 is erec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magnet 113 is detachably attached only by magnetic force rather than being completely fix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etal tube 112.

한편, 상기 장치 본체(110)에서 손잡이부(110b)의 측면에는 원판형의 제2자석(114)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제2자석(114)의 설치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110b)의 측면에는 금속관(114)이 먼저 매립되며, 상기 제2자석(114)은 금속관(114) 내측에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agnet 114 of the disk shape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10b of the device main body 110. To install the second magnet 114, a metal tube 114 is first buried on the side of the handle portion 110b, and the second magnet 114 is installed inside the metal tube 114.

이로써, 상기 장치 본체(1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쓰러지지 않도록 제2자석(114)을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자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석(114)과 제1자석(113)은 서로 간에 설치되는 높이가 다르므로 서로 보완하면서 서로의 위치에 부합하는 금속성 사물에 부착하면 된다. 상기 제2자석(114)은 제1자석(113)과 마찬가지로 금속성의 사물에 안정적으로 부착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자력을 갖는 것으로 구비된다.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114 may be magnetically attached to a metallic object among surrounding objects so that the device body 110 does not fall when the device body 110 is erected. Since the second magnet 114 and the first magnet 113 are installed at different heights, they may be complemented and attached to metallic objects corresponding to their positions. Like the first magnet 113, the second magnet 114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ly high magnetic force to be stably attached to a metallic object.

상기 장치 본체(110)의 손잡이부(110b) 선단에는 조명용 LED(150)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며 손잡이부(110b)의 내부에는 상기 LED(15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180)가 설치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10b)의 후단부에는 내장된 충전 배터리(180)와 연결되어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구비한 소켓홈(116)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홈(116)에는 충전 배터리(180)의 부족한 전력을 보충하기 위한 나눔 배터리(140) 두 개가 장착된다. 이처럼 하나의 소켓홈(116)에 나눔 배터리(140) 두 개가 장착되는 구성에 따르면 하나는 사용자의 보행 보조장치를 위해 사용하고, 다른 하나는 타인이 사용하는 동일한 보행 보조장치를 위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나눔 배터리(140)에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USB 포트(141)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마트폰과 같이 USB 포트(141)로부터 전원을 사용하는 각종 소형 전자기기들을 위한 휴대용 배터리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타인이 본 발명의 보행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나눔을 실천할 수 있게 된다. A space for installation of the lighting LED 150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110b of the device body 110, and a rechargeable battery 180 for supplying power to the LED 150 inside the handle portion 110b. ) Is installed. In addition, a socket groove 116 having a power terminal for transmitting power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110b to be connected to the built-in rechargeable battery 180. Two sharing batteries 140 are mounted in the socket groove 116 to supplement insufficient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180.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wo sharing batteries 140 are mounted in one socket groove 116, one can be used for the user's walking aid, and the other can be used for the same walking aid used by others. It becomes. In addition, since the sharing battery 140 is provided with a USB port 141 as shown in FIG. 5, it can be used as a portable battery for various small electronic devices that use power from the USB port 141, such as a smartphone. Therefore, sharing can be practiced even when others do not use the walk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걸이부재(120)는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장치 본체(110)를 세워진 상태로 지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걸이부재(120)는 걸이끈(121)과, 상기 걸이끈(121)의 일단부에 결합된 웨이트봉(122) 및 걸이끈(121)의 타단부에 결합된 갈고리(123) 및 흡착판(124)으로 이루어진다. The hook member 120 serves to support the device body 110 in an erect state with respect to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To this end, the hanger member 120 includes a hanger string 121, a weight rod 122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ger string 121, and a hook 123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anger string 121, and It consists of a suction plate (124).

상기 걸이부재(120)의 걸이끈(121)은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르거나 링 형태로 걸 수 있도록 두 겹으로 이루어져 단부들끼리 연결되어 있다. The hanging string 121 of the hanging member 120 is made of two layers so that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can be wrapped or hanging in a ring shape, and en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웨이트봉(122)은 걸이끈(121)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걸이끈(121)의 일단부를 이끌고 제1자석(113)의 통공(113a)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내부 공간(111a)에 인입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상기 걸이끈(121)의 일단부가 제1자석(113)의 통공(113a)을 통해 상기 몸체부(110a)의 내부 공간(111a)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봉(122)은 걸이끈(121)을 몸체부(110a) 외부로 인출하려는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자중에 의해 걸이끈(121)을 몸체부(110a) 내부 공간(111a) 하측으로 당기는 경향을 갖도록 유도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웨이트봉(122)은 자중만으로 상기 걸이끈(121)을 끌어내릴 수 있도록 충분한 중량을 갖는 것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로써 상기 걸이끈(121)은 사용자가 인출하지 않는 한 대부분 상기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내부 공간(111a)에 인입된 상태로 있으며 단지 타단부 일부만 몸체부(110a) 외부로 나와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상기 걸이끈(121)을 사용하지 않을 때 걸이끈(121)이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외부 인출되어 걸리적거리는 문제가 없어진다. The weight rod 12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ging string 121 to lead one end of the hanging string 121 and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13a of the first magnet 11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device body 110 Of the body portion (110a)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111a). And in that state, one end of the hanging strap 121 is blocked so as not to escape from the inner space 111a of the body portion 110a through the through hole 113a of the first magnet 113 to the outside. And the weight rod 122 is the body portion (110a) when the external force (by the user) is not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10a) to pull the hanger string 121 by its own weight, the body portion (110a) inner space (111a) It leads to a tendency to pull downward. Therefore, the weight bar 122 must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weight to pull down the hook strap 121 only by its own weight. As a result, the hanging strap 121 is mostly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1a of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and only a part of the other end comes out of the body portion 110a unless the user pulls it out. Is in a state. Thereby, when the hanger strap 121 is not in use, the hanger strap 121 is pulled out of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body 110, thereby eliminating the problem of being caught.

상기 갈고리(123)는 걸이끈(121)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외부에 위치하면서 걸이끈(121)의 타단부가 제1자석(113)의 통공(113a)을 통해 몸체부(110a) 내부 공간(111a)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하면서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걸거나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른 상태의 걸이끈(121)의 중간 부위를 걸어 임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The hook 12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ok 121 and is located outside the body 110a of the device body 110 while the other end of the hook 121 is a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113 The middle of the hanging strap 121 in a state where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is hung or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is wrapped while playing a role of blocking entry into the body portion 110a through the (113a) inner space 111a It acts as a temporary fixation by hanging the part.

상기 흡착판(124)은 걸이끈(121)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주변 사물들 중 유리와 같이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의 표면에 진공 흡착되어 본체(110)를 임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흡착판(124)은 주변에 걸이끈(121) 및 갈고리(123)를 이용하여 걸거나 두를 수 있는 사물이 없는 경우에 거울이나 유리 인근에서 장치 본체(110)를 세운 상태로 지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e adsorption plate 12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ging string 121 and is vacuum-adsorbed on the surface of a material having a smooth surface such as glass among surrounding objects to temporarily support the main body 110. The adsorption plate 124 is useful for supporting the device body 110 in an upright position near a mirror or glass when there is no object that can be hung or worn using the hooks 121 and the hooks 123 around it. Can be used.

이같이 상기 걸이부재(120)는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에서 인입 및 인출되면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걸이끈(121)을 중심으로 보다 넓은 반경에 위치한 주변 사물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만들 수 있는 두 겹의 걸이끈(121), 간단히 걸 수 있는 갈고리(123), 진공 흡착시킬 수 있는 흡착판(12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를 갖는 주변 사물들에 대하여 융통성을 갖고 걸거나 두르거나 진공 흡착되면서 장치 본체(110)를 세운 상태로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hanger member 120 can target surrounding objects located in a wider radius around the hanger strap 121 that is able to adjust the length while being drawn in and withdrawn from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body 110. And, surrounding objects having various shapes by selectively using at least one of two layers of hooks 121 that can be made into a ring shape, hooks 123 that can be easily hooked up, and suction plate 124 that can be vacuum absorbed The device body 110 can be stably supported in an erect state while being hung, wrapped, or vacuum-adsorbed with the flexibility of the field.

상기 제1보조 걸이구(130)는 ㄷ자형의 몸체로 이루어지며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상부 측면에 설치되되, 제1보조 걸이구(130)의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110a)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보조 걸이구(130)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하단부를 주변 사물 중 어느 하나에 걸어줄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은 제1보조 걸이구(130)는 상기 걸이부재(120)를 보조하는 것으로 장치 본체(110)를 지면으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로 의자의 등받이 상단 등에 간단히 걸어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하기 적당하다. The first auxiliary hanger 130 is made of a U-shaped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body 11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hanger 130 is rotatable. It is hinged to the part 110a to rotate the upp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hanger 130 around the upper end, so that the lower end can be hung on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Such a first auxiliary hanger 130 is suitable to be used to support the hanger member 120 by simply hanging the device body 110 away from the ground and supporting the top of the backrest of a chair.

상기 LED(150)는 PCB에 다수개가 집적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10)의 손잡이부(110b) 선단부에 요입되어 마련된 공간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같은 LED(150)는 어두운 곳에서 조명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위험을 알리는 비상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LED(15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는 편의상 생략되었는데 손잡이부(110b)나 몸체부(110a) 상단부 중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LED(150)의 점등 및 소등을 위한 포지션과 깜빡거림을 위한 포지션을 마련하여 LED(150)를 조명등과 비상등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150 are integrated on the PCB, the LEDs 150 are concave and installed in the space provided by being concave at the front end of the handle portion 110b of the device body 110. Such an LED 150 can be used as a lighting lamp in a dark place, and if necessary, it can be used as an emergency light to notify danger. The switch for turning on and off the LED 150 is omitted for convenience, but may be installed at on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110b or the body portion 110a. The switch provides a position for turning on and off the LED 150 and a position for blinking so that the LED 150 can be selected and utilized as a lighting lamp and an emergency light.

상기 발전부재(160)는 자가발전에 의해 상기 충전 배터리(180)와 나눔 배터리(140)에 제공하기 위한 전력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발전부재(160)는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하단부 내부 공간(111b)에서 스프링(162)의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여 승강하는 디딤축(161)과, 상기 디딤축(161)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기(16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전기(163)에서 생산된 전력은 충전 배터리(180)와 나눔 배터리(140)에 제공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전부재(160)를 구비한 구성에 의해 상기 LED(150)를 점등하는데 사용되는 전력을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LED(150)를 점등하고 남는 잉여 전력은 나눔 배터리(140)에도 제공하게 된다. The power generation member 160 serves to generate electric power to be provid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80 and the sharing battery 140 by self-generation. To this end, the power generation member 160 includes a stepping shaft 16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moves up and down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162 in the inner space 111b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body 110. , It consists of a generator 163 that generates electricity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epping shaft 161. Power produced by the generator 163 is provided to the rechargeable battery 180 and the sharing battery 140.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power used to light the LED 150 by itself by a configuration having the power generation member 160, and the excess power remaining after lighting the LED 150 is provided to the sharing battery 140 Is done.

상기 벨크로(190)는 몸체부(110a) 상단부에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줄 수 있는 띠 형상의 것으로 구비된다. 이로써 평상시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몸체부(110a)에 둘둘 감아놓고 있다가 제1자석(113)이나 제2자석(115)을 사용할 수 없는 목재, 비철, PVC 소재 등에 대하여 장치 본체(110)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로 풀어서 접합하거나 아니면 감아서 걸어주는 방식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Velcro 190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strip that can be released while being woun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a. As a result, the device body 110 is usually wound around the body portion 110a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first magnet 113 or the second magnet 115 cannot be used, such as wood, non-ferrous material, PVC material, etc. It can be used usefully by unscrewing and bonding or by winding it up for fixing.

계속해서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Subsequently,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도 6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디딤축(161) 하단에 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진 슈즈(164)를 입힌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e 164 made of any one of rubber, polyurethane, and silicone is coated on the bottom of the stepping shaft 161 as compared to before the deformation. To do.

이같이 구비된 슈즈(164)는 하단이 좁은 면적으로 뾰족하게 형성된 디딤축(161)보다 지면 접촉시 높은 안정감을 갖기 때문에 하체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노약자, 장애인, 환자들이 사용하는데 적당하며, 디딤축(161)에 슈즈(164)를 입히지 않은 변형 전 보행 보조장치의 경우 하체 사용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사용자들이 등산 등의 레저활동을 위해 사용하는데 적당하다. Since the shoe 164 provided in this way has a higher sense of stability when contacting the ground than the stepped shaft 161 formed sharply in a narrow area, it is suitable for use by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patients who are not free to use the lower body, and the step shaft 161 In the case of a walking aid device without the shoes 164 on ), it is suitable for users with relatively free lower body use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mountaineering.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의 경우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및 손잡이부(110b)의 형상이 부분적으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설명되지 않은 그 외 구성의 경우 변형 전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case of such a first modified embodiment, the shape of the body portion 110a and the handle portion 110b of the device body 110 may be formed partially differently, and other configurations that are not described are similar to those of the previous embodiment.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7 is a sid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변형 전과 비교하여 디딤축(161) 하단에 고무, 폴리우레탄, 실리콘 중 어느 한 소재로 이루어진 슈즈(164)를 입히는 것에 더해, 장치 본체(110)에서 손잡이부(110b)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사용자의 어깻죽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어깨받침(110c)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the walking aid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coating a shoe 164 made of any one of rubber, polyurethane, and silicone at the bottom of the stepping shaft 161 as compared to before deformation, ,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oulder rest (110c) to support the shoulder of the user at a position spac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portion (110b) from the device body (110).

앞서 설명된 실시예와 제1변형실시예가 지팡이에 대응하는 것이라면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경우 목발에 대응하는 것으로, 앞선 실시예들의 사용자들보다도 더 하체 사용이 어려운 장애인, 환자들이 사용하는데 적당하다. I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first modified embodiment correspond to a cane,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corresponds to crutches, and is suitable for use by disabled and patients who are more difficult to use the lower body than the users of the previous embodiments.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의 경우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가 두 갈래로 분기되어 상방으로 더 길게 형성되며 손잡이부(110b)는 두 갈래로 분기된 몸체부(110a) 사이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어깨받침부(110c)는 분기된 몸체부(110a)들의 최상단부를 수평하게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to be formed longer upward, and the handle portion 110b is a body portion divided into two branches.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connecting horizontally between (110a). And the shoulder rest portion (110c) is provided in the form of horizontally connecting the top end of the branched body portion (110a).

여기서, 변형 전 실시예에서 존재하던 LED(150)와 나눔 배터리(140)는 구성에서 제외되는 대신 제2보조 걸이구(170)가 추가 설치된다. 상기 제2보조 걸이구(170)는 두 갈래의 장치 본체(110)의 몸체부(110a) 중 일측 몸체부(110a)의 측면을 관통하여 진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보조 걸이구(170)의 후단부는 중공 형성된 손잡이부(110b)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제2보조 걸이구(170)는 선단부가 장치 본체(110)의 일측 몸체부(110a) 외측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눕힌 L자형으로 형성되어 주변 사물에 간단히 걸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Here, the LED 150 and the sharing battery 140, which were present in the previous embodiment, are not excluded from the configuration, but a second auxiliary hanger 170 is additionally installed. The second auxiliary hanger 17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dvance and retreat through a side surface of one body portion 110a of the body portion 110a of the two-pronged device body 110.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hanger 170 is located inside the hollow handle portion 110b. The second auxiliary hanger 170 is formed in an L-shape in which the tip portion is laid down from the outside of the one side body portion 110a of the device main body 110 so that it can be easily hanged on surrounding objects.

이처럼 본 발명은 간단한 변형을 통해 지팡이 형태에서 목발의 형태로 변환이 가능해진다. 이같은 제2변형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그 외 구성의 경우 변형 전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rted from a cane form to a crutches form through a simple transformation. In the case of other configurations not described in the second modified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they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revious embodiment.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Next,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도이다. 8 is a side view of a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a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변형실시예에 의한 보행 보조장치는 장치 본체(110)가 일자형의 지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같은 일자형(스틱형) 지팡이는 변형 전과 달리 몸체부와 손잡이부가 구분 없이 형성되며, 장치 본체(110)의 상단에 금속관(112)이 설치되고, 상기 금속관(112) 내측에 제1자석(113)이 설치된다. 걸림끈(121), 웨이트봉(122), 갈고리(123), 흡착판(124)이 상기 제1자석(113)을 중심으로 이전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As shown, the walking aid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body 110 is made of a straight cane. Unlike before deformation, such a straight (stick) wand has a body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formed without distinction, and a metal tube 112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device body 110, and a first magnet 113 inside the metal tube 112 Is installed. The locking strap 121, the weight rod 122, the hook 123, and the suction plate 124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s around the first magnet 113.

한편 장치 본체(110)의 상단부에는 걸이용 링(125)이 더 설치된다. 상기 걸이용 링(125)은 장치 본체(110) 내부에서 상기 금속관(112)을 통해 제1자석(113)으로부터 자력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같은 걸이용 링(125)은 상기 갈고리(123)를 끼워 걸어주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상기 갈고리(123)을 단순히 걸쳐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자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붙잡아준다. Meanwhile, a hooking ring 125 is furthe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device body 110. The hanging ring 125 is installed so as to receive magnetic force from the first magnet 113 through the metal tube 112 inside the device body 110. Such a hanging ring 125 is used to fit and hang the hook 123, and it does not simply overhang the hook 123, but stably holds the hook 123 by magnetic force.

이같은 제3변형실시예의 경우에도 변형 전 실시예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들을 접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Even in the case of the third modified embodimen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combine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T자형 지팡이, 일자형 지팡이, 목발을 망라하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 T-shaped cane, a straight cane, and crutches.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110 : 장치 본체 113 : 제1자석
115 : 제2자석 120 : 걸이부재
121 : 걸림끈 122 : 웨이트봉
123 : 갈고리 124 : 흡착판
130 : 제1보조 걸이구 140 : 나눔 배터리
150 : LED 160 : 발전부재
170 : 제2보조 걸이구 180 : 충전 배터리
110: device body 113: first magnet
115: second magnet 120: hook member
121: locking strap 122: weight rod
123: hook 124: suction plate
130: first auxiliary hanger 140: sharing battery
150: LED 160: power generation member
170: second auxiliary hanger 180: rechargeable battery

Claims (6)

사용자의 보행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보행 보조장치로서,
상하방향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으면서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본체; 및 상기 장치 본체를 세워진 상태로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하여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한 걸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된 금속관과, 상기 금속관 내측에 설치되며 중앙에는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과 통하는 통공을 구비한 도넛형 제1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석의 자력을 이용하여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상기 장치 본체를 부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걸이부재는,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르거나 링 형태로 걸 수 있도록 두 겹으로 이루어진 걸이끈과,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를 이끌고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길이방향으로 통과하여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끈의 일단부가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고 자중에 의해 상기 걸이끈을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 하측으로 당기는 경향을 갖도록 하여 상기 걸이끈을 상기 장치 본체 외부로 인출하려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걸이끈이 타단부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에 인입된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는 웨이트봉과,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가 상기 제1자석의 통공을 통해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차단하고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걸거나 상기 걸이끈이 주변 사물들 중 어느 하나를 두른 상태에서 상기 걸이끈의 중간 부위를 걸 수 있도록 한 갈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걸이끈의 타단부에는 주변 사물들 중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사물 표면에 진공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한 흡착판이 더 구비되고,
보행시 사용자가 잡고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부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조명등으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LED와 상기 손잡이부에 내장되어 상기 LED에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부에는 상기 충전 배터리에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소켓홈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홈에 삽입되는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충전 배터리의 부족한 전력을 보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상기 소켓홈으로부터 빼내어 타인이 사용하는 동일한 보행 보조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소형 전자기기들을 위한 휴대용 배터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USB 포트를 갖는 나눔 배터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It is a walking aid that assists the user in walking,
A device body formed in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so that a user can hold it by hand and support it on the ground; And a hook member capable of supporting the device body in an erect state with respect to any one of surrounding objects, and
A metal tube installed in a state passing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device body, and a donut-shaped first magnet installed inside the metal tube and having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are provided at the center to use the magnetic force of the first magnet. Thus, the device body can be attached to metallic objects among surrounding objects,
The hanger member includes a hanger strap made of two layers so as to wrap around any of the surrounding objects or hang in a ring shape,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hanger strap to lead one end of the hanger strap and a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In the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throug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of the hook strap is blocked so tha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not applied to pull the hook strap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body by having a tendency to pull the hook to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main body, the rest of the part except a part of the other end of the hook strap is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main body. And a weight rod that guides it to be inserted into a state, and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ook and is located outside the body of the device, while the other end of the hook is plac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evice body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first magnet. It includes a hook that is blocked so as not to be drawn in and allows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to be hung or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hook strap to be hung while the hook strap is wrapped around any one of the surrounding objects,
The other end of the hook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dsorption plate capable of vacuum adsorption on the surface of objects having a smooth surface among surrounding objects,
An LED installed at the tip of the handl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device body to be used as a lighting lamp so that the user can hold and support while walking, and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the handle and supplying power to the LED are provided,
A socket groove having a power terminal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handle,
It is installed in the form of being inserted into the socket groove to supplement the insufficient power of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if necessary, it can be removed from the socket groove and installed in the same walking aid used by others and used, portable for small electronic devices. A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sharing battery having a USB port to be used as a batte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측면에는 자력을 이용하여 주변 사물들 중 금속성의 사물에 대해 상기 장치 본체를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원판형의 제2자석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magnet in the form of a disk is further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device body to allow the device body to be attached to a metallic object among surrounding objects using magnetic for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상부 측면에는 상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며 하단부를 이용하여 주변 사물에 걸 수 있도록 한 ㄷ자형의 제1보조 걸이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치 본체의 상단부에는 띠 형상의 벨크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side of the device body is hinged so as to be rotatable, and a first auxiliary hanger of a C shape is further provided to be hung on surrounding objects using the lower end,
A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elt-shaped Velcro is further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evice body.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의 하단부에는 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는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여 승강하는 디딤축과, 상기 디딤축의 승강 동작에 의해 발전하며 상기 충전 배터리와 나눔 배터리에 전력을 제공하는 발전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wer end of the device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stepping shaft that rises and descend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ile receiving an elastic support from a spring, and a generator that generates power by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stepping shaft and provides power to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the sharing battery. A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본체는 일자형의 지팡이, 상하방향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결합된 손잡이부로 이루어진 T자형의 지팡이, 지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몸체부의 중간에 손잡이를 구비하고 최상단에는 사용자의 어깻죽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어깨받침부를 구비하는 목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보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5,
The device main body includes a straight wand, a body part formed in a vertically long shape to support the ground, a T-shaped wand consisting of a handle part coupled to the top of the body part, and a body part capable of supporting the ground. A walking ai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y one of crutches provided with a handle in the middle and a shoulder rest at the uppermost end to support the shoulder of the user.
KR1020190008691A 2019-01-23 2019-01-23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1659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91A KR102165950B1 (en) 2019-01-23 2019-01-23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691A KR102165950B1 (en) 2019-01-23 2019-01-23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52A KR20200091652A (en) 2020-07-31
KR102165950B1 true KR102165950B1 (en) 2020-10-14

Family

ID=7183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691A KR102165950B1 (en) 2019-01-23 2019-01-23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95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5698B (en) 2020-07-23 2023-07-04 株式会社Lg化学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CN115425356A (en) * 2022-09-14 2022-12-02 深圳市傲柏科技有限公司 Alpenstock with split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397B2 (en) * 1991-03-11 2000-12-11 株式会社ニコン Image conversion recording device
JP2008188325A (en) * 2007-02-07 2008-08-21 Nippon Flex Kogyo Kk Self-sustaining stick body
JP2017200555A (en) * 2016-05-06 2017-11-09 信義 石田 Stick with suction cup, magnet, and str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7067B1 (en) 1996-05-18 1999-07-01 지원국 Electro-heating type metal strip roller
JP3116397U (en) * 2005-07-09 2005-12-08 美明 清水 Cane
KR20100129098A (en) * 2009-05-29 2010-12-08 이은영 Equipment lighting for crutch with generate & charge func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6397B2 (en) * 1991-03-11 2000-12-11 株式会社ニコン Image conversion recording device
JP2008188325A (en) * 2007-02-07 2008-08-21 Nippon Flex Kogyo Kk Self-sustaining stick body
JP2017200555A (en) * 2016-05-06 2017-11-09 信義 石田 Stick with suction cup, magnet, and st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652A (en) 2020-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5950B1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756061B1 (en) Stick for walking assistance
CN201468221U (en) Folding stool crutch
CN108031080A (en) A kind of adjustable alpin-stock of self-power generation type outdoor travel
US20180256437A1 (en) Combination cane and grabber device and a method for its use
US20160255926A1 (en) Walking stick
CN107713201A (en) A kind of outdoor tourism alpin-stock with multiple functions
KR200401602Y1 (en) Rotation the stick where the luminous means which is possible is composed
CN207286601U (en) A kind of line maintenance climber
CN205757673U (en) Multi-function walking stick
CN215132763U (en)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for old people
US9878088B2 (en) Apparatus for support of patients and medical fluid lines
CN2845532Y (en) Three point support telescopic walking stick
CN211675675U (en) Improved multifunctional infusion support
CN209884697U (en) Improved walking aid for orthopedics department
CN206852766U (en) Walk helper
CN210438241U (en) Anti-shaking positioning mechanism of intelligent ladder without cross rod
KR200460102Y1 (en) A stick
CN216822085U (en) Multifunctional biomechanics walking stick
CN210054885U (en) Novel multifunctional walking stick
CN211459088U (en) Intelligent walking stick
CN213250980U (en) Walking auxiliary device for old people
JP3185401U (en) Telescopic cane with length memory function
CN219206122U (en) Anti-skid crutch for old people
CN216455944U (en) Multifunctional walking aid walking sti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