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757B1 - Steam pouch for cooking - Google Patents

Steam pouch for coo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757B1
KR102165757B1 KR1020190101876A KR20190101876A KR102165757B1 KR 102165757 B1 KR102165757 B1 KR 102165757B1 KR 1020190101876 A KR1020190101876 A KR 1020190101876A KR 20190101876 A KR20190101876 A KR 20190101876A KR 102165757 B1 KR102165757 B1 KR 102165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steam
unit
cook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8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동락
이상봉
전병현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1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75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7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pouch for cooking including: a pouch including a storage portion provided with a content storage space and a sealing portion sealing the outside of the storage portion; and an air stand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ortion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a cushion portion steam-inflated to one sid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portion. The air standing portion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such that the pouch is capable of being standing.

Description

조리용 스팀 파우치 {Steam pouch for cooking}Steam pouch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스팀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파우치 조리시 에어 스탠딩부를 통해 파우치를 세우면서 이중 씰링 구조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통해 스팀 파우치의 누액을 방지하며, 파우치에 구비된 홀더를 통해 스팀 파우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조리용 스팀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pouch for cooking,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leakage of a steam pouch through a discharge portion forming a double sealing structure while erecting the pouch through an air standing portion when cooking the steam pouch, and It relates to a steam pouch for cooking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eam pouch.

스팀 파우치란, 전자레인지로 내용물을 조리할 때 포장재를 개봉하여 내용물을 다른 용기로 이동하지 않고, 파우치 자체를 그대로 전자레인지 안에 넣어 조리할 수 있는 포장재이다. 스팀 파우치의 내부는 내용물이 저장되며, 스팀 파우치의 외부는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이나 시트가 접합되어 가열됨에 따라 밀봉될 수 있다. The steam pouch is a packaging material that can be cooked by putting the pouch itself in the microwave without opening the packaging material and moving the content to another container when cooking the contents in a microwave oven. The inside of the steam pouch stores the contents, and the outside of the steam pouch can be sealed as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films or sheets are bonded and heated.

그러나 종래의 스팀 파우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자레인지를 통해 스팀 파우치 조리시, 내용물 가열에 따른 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스팀 파우치에는 증기 배출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팀 파우치의 증기 배출 구조는 액상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증기와 함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 없었으며, 이에 증기 배출 구조를 통해 증기가 배출될 때 액상의 내용물이 외부로 같이 흘러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steam pouch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cooking a steam pouch through a microwave oven,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the contents. In order to discharge such steam to the outside, a steam discharge structure is formed in the steam pouch. However, the steam discharg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team pouch did not have a structure that could prevent the liquid contents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steam, so when the steam is discharged through the steam discharge structure, the liquid contents go to the outside. There was a problem coming out.

또한, 전자레인지를 통해 스팀 파우치 조리시, 전자레인지에 의해 스팀 파우치가 회전하게 되며, 내용물 가열에 의한 증기 발생으로 인해 스팀 파우치 내부가 팽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팀 파우치의 회전이나 스팀 파우치 내부 팽창으로 인해 스팀 파우치의 무게 중심이 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팀 파우치가 넘어지면서 누액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스팀 파우치는 이와 같이 스팀 파우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cooking the steam pouch through a microwave oven, the steam pouch rotates by the microwave oven, and the inside of the steam pouch expands due to steam generation by heating the contents. Due to the rotation of the steam pouch or expansion inside the steam pou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eam pouch may be moved, and thus, leakage occurs when the steam pouch falls. The conventional steam pouch prevents the steam pouch from falling.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prevented.

이와 함께 종래의 스팀 파우치는, 조리후 스팀 파우치를 꺼낼 때 스팀 파우치의 고온에 의해 화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며, 조리에 의한 고온에 의해 스팀 파우치의 취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team pouch,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image is generated due to the high temperature of the steam pouch when the steam pouch is taken out after cooking, and handling of the steam pouch is difficult due to the high temperature caused by cooking.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파우치 조리시 에어 스탠딩부를 통해 파우치를 세우면서 이중 씰링 구조를 형성하는 배출부를 통해 스팀 파우치의 누액을 방지하며, 파우치에 구비된 홀더를 통해 스팀 파우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조리용 스팀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leakage of the steam pouch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forming a double sealing structure while erecting the pouch through the air standing portion when cooking the steam pouch, and a holder provided in the pouch It relates to a steam pouch for cooking that improves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eam pouch.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외측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저장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간으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파우치를 세울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pouch including a storage unit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ntents and a sealing unit sealing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n air standing unit provided below the storage unit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ortion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storage unit, and a cushion unit that expands by steam into on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unit; and the air standing unit The pour is characterized in that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so as to stand the pouch.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쿠션부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The cushion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for circulating steam in one direc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일방향 밸브는, 밸브막을 통해 구획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쿠션부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저장부의 증기를 상기 쿠션부로 유입시키며, 상기 제2층에는, 상기 쿠션부의 증기가 상기 저장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되며, 상기 제2층은 팽창에 의해 상기 밸브막을 가압하여 상기 제1층을 차단할 수 있다. The one-way valve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partitioned through a valve membrane, and the first layer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unit and the cushion unit. And the vapor of the storage unit is introduced into the cushion unit, and a blocking film is provided on the second layer to block the vapor from the cushion unit from flowing out to the storage unit, and the second layer pressurizes the valve membrane by expansion The first layer can be block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standing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include a first air standing part provided under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standing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irst air standing part provided under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and a second air standing part provid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art. I ca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의 제1쿠션부와 상기 제2에어 스탠딩부의 제2쿠션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쿠션부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rst cushion part of the first air standing part and the second cushion part of the second air standing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ach other through a third cushion part provided under the storage part. Can be communica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파우치의 일측에는, 상기 밀봉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pouch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n outle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and discharging the steam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can be form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구를 씰링하되, 증기 압력에 의해 열릴 수 있는 제1씰링부와 제2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씰링부는 상기 제2씰링부 보다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씰링부의 씰링 강도는 상기 제2씰링부의 씰링 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a first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part that seals the discharge port and can be opened by steam pressure, and the first sealing part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rt than the second sealing part, and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cond sealing par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배출부의 측면과 누액 방지홈을 형성하는 누액 방지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provided with a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discharge part and forming a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and a leakage preventing groov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선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씰링부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가 포함될 수 있다. The discharging part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capable of cutting one side of the discharging part, and at one side of the discharging part cut by the cutting line, the first 2 A sealing part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may be inclu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파우치의 타측에는, 홀더공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A holder having a holder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uch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may be provid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공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에는 스크래치가 형성될 수 있다. A scratch may be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and the storage portion of the holder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공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에는 열차폐공이 형성될 수 있다. A heat shield hole may be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and the storage portion of the holder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열차폐공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홀더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홀더공의 방향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heat shielding hole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holder hole, or transversely along the direction of the holder hole in the storage unit. Can extend in any direc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홀더에는,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면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lder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may be provided with an expansion unit that expands by steam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팽창부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A one-way valve for circulating steam in one direction may be provided in the expansion portion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파우치의 타측에는, 홀더공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홀더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배출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일 수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pouch of the cooking steam pou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holder having a holder hole is provided, and a position where the holder is provided in the pouch is the discharge unit provided in the pouch. It may be a low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본 발명은 증기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에어 스탠딩부를 통해 스팀 파우치가 조리중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팀 파우치 내부의 내용물이 누액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team pouch from falling over during cooking through an air standing portion that can be expanded by steam, thereby preventing the contents of the steam pouch from leaking.

또한, 본 발명은 파우치 외부로 돌출되면서 이중 씰링 구조를 형성하는 배출부와 누액 방지돌기를 통해 스팀 파우치 내부의 내용물이 증기와 함께 누액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배출부에 구비된 절단선을 통해 누액 방지돌기를 제거함에 따라 조리용 스팀 파우치 사용시 누액 방지돌기에 의해 액체로 이루어진 내용물의 배출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ontents of the steam pouch from leaking together with the steam through the discharge part forming a double sealing structure while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pouch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and cutting provided in the discharge part As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is removed through the lin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discharge of liquid contents from being obstructed by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when using the cooking steam pouch.

또한, 본 발명은 홀더를 통해 스팀 파우치의 고온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 스팀 파우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파우치에서 홀더가 구비되는 위치를 파우치에서 배출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홀더 이용 시 무게중심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eam pouch while preventing burns due to high temperature of the steam pouch through the holder. As it is formed with,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the center of gravity shifting phenomenon when the user uses the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배출부에 제1씰링부와 제2씰링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일측에 제1에어 스탠딩부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제1쿠션부, 제2쿠션부, 제3쿠션부가 서로 연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쿠션부에 일방향 밸브가 구비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방향 밸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출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하나의 구멍으로 이루어진 홀더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팽창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스크래치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삼각형 형상의 열차폐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복수 개의 열차폐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홀더에 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열차폐공이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first sealing part and a second sealing part are formed in a discharge part of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showing that a first air standing part is provided on one side of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b) is a diagram of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first cushion unit, the second cushion unit, and the third cushion uni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 one-way valve is provided in a cushion portion of a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one-way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discharg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at a holder hole made of one hole is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an expansion part is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at a scratch is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a) is a view showing that a triangular-shaped heat shield hole is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b)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heat shield holes are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c) is a view showing that a plurality of heat shield holes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formed in a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scribe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 or "may include" that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existence of a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that has been disclosed, and an additional one or more functions, operations, or It does not limit components, etc. In addi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전자레인지 조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팀 파우치를 가열하여 스팀 파우치 내부의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다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microwave cook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s long as the contents of the steam pouch can be cooked by heating the steam pouch.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파우치(110)와 에어 스탠딩부(120)를 포함한다. 1 and 2, a steam pouch for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uch 110 and an air standing unit 120.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파우치(110)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저장부(111)와 상기 저장부(111)의 외측을 밀봉하는 밀봉부(11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파우치(110)의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은 액체를 포함하는 음식물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액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내용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pouch 110 includes a storage unit 111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ntents and a sealing unit 112 that seals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11. The conte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of the pouch 110 may be food including liqui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 contents including liquid.

상기 밀봉부(112)는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동종 또는 이종의 필름이나 시트가 접합되면서 상기 밀봉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The sealing part 112 is for preventi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part 111 from leaking to the outside, and the sealing part 112 may be formed by bonding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films or sheets. .

스팀 파우치를 이용하여 내부의 음식물을 조리할 때, 내용물 가열에 의한 증기 발생으로 스팀 파우치 내부가 팽창하며, 전자레인지에 의해 스팀 파우치가 회전하게 된다. 종래 스팀 파우치의 경우, 스팀 파우치의 회전이나 스팀 파우치 내부의 팽창으로 인해 스팀 파우치의 무게 중심이 이동됨에 따라 스팀 파우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으며, 스팀 파우치가 넘어짐에 따라 내용물이 누액되는 문제가 있었다.When the food inside the steam pouch is cooked,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the contents, so that the inside of the steam pouch expands, and the steam pouch rotates by a microwave ove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steam pouch, it was not possible to prevent the steam pouch from falling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team pouch due to the rotation of the steam pouch or expansion of the inside of the steam pouch. There wa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를 구비함에 따라 스팀 파우치를 이용하여 조리 중에 스팀 파우치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owever, the steam pouch for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steam pouch from falling during cooking by using the steam pouch since the air standing part 120 is provided.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저장부(111)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121)와 상기 격벽부(121)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간으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쿠션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내용물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증기를 일 공간에 가두면서, 공기의 압력을 통해 상기 파우치(110)를 세울 수 있는 것이다. The air standing part 120 is provided under the storage part 111 and is a space on one side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part 121 and the partition wall part 121 that divides the space of the storage part 111, It includes a cushion part 122 that expands by steam. The air standing part 120 is capable of erecting the pouch 110 through the pressure of air while confining vapor generated by heating the contents in one spac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격벽부(121)는 상기 저장부(111)를 구획함에 따라 증기를 가둘 수 있는 일 공간을 상기 저장부(111)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쿠션부(122)는 증기가 가두어질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쿠션부(122)에 가두어진 증기의 압력이 상기 파우치(110)를 세울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11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s the partition wall part 121 divides the storage part 111, a space capable of confining steam may be formed in the storage part 111. The cushion part 122 may be a space in which steam can be confin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110 is lowered so that the pressure of the steam confined in the cushion part 122 can stand the pouch 110. Will be supported.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배치 위치, 중량 등에 따라 상기 저장부(111) 하부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파우치(110)와 상기 파우치(110)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물의 무게 중심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다. The air standing unit 120 may be formed in various positions under the storage unit 111 according to an arrangement position and weight of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and the air standing unit 120 The installation loca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uch 110 and the food stored in the pouch 110.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120a)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에어 스탠딩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의 하부 양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파우치(110)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파우치(110)를 세우게 된다. 2, the air standing par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first air standing part 120a provided under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111 and a low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art. It may include a second air standing portion 120b. That is, the air standing unit 1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11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110 to erect the pouch 110.

다만,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의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3(a)와 같이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의 일측 하부에만 제1에어 스탠딩부(120a)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120a)만으로 상기 파우치(110)를 세울 수 있다면, 재료 절감 측면에서 상기 저장부(111)에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120a)만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ir standing part 1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3(a), the air standing part 120 is a first air standing part only under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111 ( 120a) may be provided. If the pouch 110 can be erected only with the first air standing portion 120a, it is preferable to form only the first air standing portion 120a in the storage portion 111 in terms of material saving.

또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가 상기 저장부(111)의 다양한 지점에 구비되면,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로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부(111)에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로 내용물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120a)만으로 상기 파우치(110)를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air standing unit 120 is provided at various points of the storage unit 111, there is a risk that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are frequently introduced into the air standing unit 120. There is this.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inflow of the contents from the storage unit 111 to the air standing unit 120, the air standing unit 120 may hold the pouch 110 only with the first air standing unit 120a. It is desirable to erect.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배치 위치, 중량 등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를 통해 상기 파우치(11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저장부(111)의 하부에 제3쿠션부(122c)가 형성될 수도 있다. The air standing unit 120 is capable of ch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weight of the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and the pouch 110 is secured through the air standing unit 120 A third cushion part 122c may be formed under the storage part 111 to support it.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는 상기 저장부(111)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120a)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에어 스탠딩부(120b)를 포함하되,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120a)의 제1쿠션부(122a)와 상기 제2에어 스탠딩부(120b)의 제2쿠션부(122b)는 상기 저장부(1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제3쿠션부(122c)를 통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b), the air standing part 120 includes a first air standing part 120a provided under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111 and a first air standing part 120a provid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art. Including a two-air standing portion (120b), the first cushion portion (122a) of the first air standing portion (120a) and the second cushion portion (122b) of the second air standing portion (120b) is the storage unit They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third cushion part 122c provided under the (111).

즉, 상기 제1쿠션부(120a) - 상기 제3쿠션부(122c) - 상기 제2쿠션부(122b)가 서로 연통되면서, 상기 제1쿠션부(120a) - 상기 제3쿠션부(122c) - 상기 제2쿠션부(122b)의 증기 압력을 통해 상기 파우치(1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파우치(110)가 세워질 수 있게 된다. That is, while the first cushion portion 120a-the third cushion portion 122c-the second cushion portion 122b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cushion portion 120a-the third cushion portion 122c -The pouch 110 can be erected by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110 through the vapor pressure of the second cushion portion 122b.

상기 제1쿠션부(120a) - 상기 제3쿠션부(122c) - 상기 제2쿠션부(122b)가 서로 연통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120a)의 제1격벽부(121a), 상기 제2에어 스탠딩부(120b)의 제2격벽부(121b)는 상기 제3쿠션부(122c) 상부에 구비되는 제3격벽부(121c)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ushion portion (120a)-the third cushion portion (122c)-the second cushion portion (122b)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partition wall portion (121a) of the first air standing portion (120a), The second partition wall portion 121b of the second air standing portion 120b may be connected through a third partition wall portion 121c provided above the third cushion portion 122c.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10)의 하부는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의 상기 쿠션부(122)에 가두어진 증기의 압력에 의해 지지되면서 조리 중에 넘어지지 않고 세워질 수 있다. 상기 파우치(110)의 내용물이 가열되는 동안에는 증기가 상기 쿠션부(122)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파우치(110)가 세워질 수 있으나, 상기 파우치(110)의 내용물이 가열된 이후에도 상기 파우치(110)를 세우기 위해서는 상기 쿠션부(122)의 증기를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가두어진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110 may be supported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trapped in the cushion part 122 of the air standing part 120 and may be erected without falling during cooking. While the contents of the pouch 110 are heated, the pouch 110 may be erected because steam can be supplied to the cushion unit 122, but even after the contents of the pouch 110 are heated, the pouch 110 ), 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confined state so that the vapor of the cushion part 122 cannot escape.

도 4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상기 쿠션부(122)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방향 밸브(130)는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시키되,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된 증기가 상기 저장부(111)로 다시 이동되지 못하도록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cushion part 122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130 for circulating steam in one direction. The one-way valve 130 distributes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orage unit 111 to the cushion unit 122, but prevents the steam circulating through the cushion unit 122 from moving back to the storage unit 111. It can be blocked.

상기 일방향 밸브(130)는 이와 같이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일방향 밸브(130)는 밸브막(131), 제1층(132), 제2층(134)을 포함할 수 있다. As for the one-way valve 130,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steam can be circulated in one direction. Referring to FIG. 5, the one-way valv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lve membrane 131, a first layer 132, and a second layer 134.

상기 제1층(132)과 상기 제2층(134)은 상기 저장부(111)에서 상기 쿠션부(122)로 증기가 유통되는 통로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층(132)과 상기 제2층(134)은 상기 밸브막(131)을 통해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막(131)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제1층(132)이 되며, 타측은 상기 제2층(134)이 될 수 있다. The first layer 132 and the second layer 134 may be form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steam flows from the storage unit 111 to the cushion unit 122, and the first layer 132 And the second layer 134 may be partitioned through the valve membrane 131. That is, one side of the valve membrane 131 may be the first layer 132, and the other side may be the second layer 134.

상기 제1층(132)은 상기 저장부(111)와 상기 쿠션부(122)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저장부(111)의 증기를 상기 쿠션부(122)로 유입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부(111)의 증기는 상기 제1층(132)을 통해 상기 쿠션부(122)로 유입된다. The first layer 132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torage unit 111 and the cushion unit 1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allow the vapor of the storage unit 111 to flow into the cushion unit 122. . The vapor from the storage unit 111 flows into the cushion unit 122 through the first layer 132.

상기 제2층(134)은 상기 제1층(13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층(134)은 상기 쿠션부(122)를 통해 상기 제1층(132)과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층(132)으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된 이후에 상기 제2층(134)으로 이동된다.The second layer 134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layer 132, and the second layer 134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layer 132 through the cushion part 122. It can be.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first layer 132 is transferred to the cushion unit 122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layer 134.

상기 제2층(134)에는, 상기 쿠션부(122)의 증기가 상기 저장부(111)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13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층(134)에 상기 차단막(135)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2층(134)을 통해서는 상기 쿠션부(122)의 증기가 상기 저장부(111)로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밸브막(131)은 상기 제1층(132)과 상기 제2층(134)을 구획하는 막으로, 증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layer 134 may be provided with a blocking film 135 that blocks the vapor from the cushion part 122 from flowing out to the storage part 111. As the blocking film 135 is provided on the second layer 134, the vapor from the cushion unit 122 cannot be moved to the storage unit 111 through the second layer 134. The valve membrane 131 is a membrane that divides the first layer 132 and the second layer 134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expanded by the pressure of steam.

상기 일방향 밸브(130)를 통해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되나,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된 증기가 상기 저장부(111)로 다시 이동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orage unit 111 through the one-way valve 130 is circulated to the cushion unit 122, but the steam circulated to the cushion unit 122 does not move back to the storage unit 111. The way to prevent it is as follows.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층(132)을 통해 상기 저장부(111)의 증기가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하게 된다. 상기 제1층(132)을 통해 상기 쿠션부(122)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제2층(134)로 점차적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층(134)으로 유입된 증기에 의해 상기 제2층(134)은 점차적으로 팽창하게 된다. 상기 제2층(134)이 팽창하게 되면, 상기 제2층(134)은 상기 밸브막(131)을 가압하게 되고, 상기 밸브막(131)이 가압되면서 상기 밸브막(131)이 상기 제1층(132)을 누르면서 상기 제1층(132)이 닫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5, vapor from the storage unit 111 flows through the first layer 132 to the cushion unit 122.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cushion part 122 through the first layer 132 gradually flows into the second layer 134, and the second layer by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second layer 134 134 will gradually expand. When the second layer 134 expands, the second layer 134 presses the valve membrane 131, and the valve membrane 131 pressurizes the valve membrane 131. The first layer 132 is closed while pressing the layer 132.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되고, 상기 쿠션부(122)로 유통된 증기는 상기 저장부(111)로 다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층(132)에는 상기 제1층(132) 통로를 열리게는 하되, 상기 제1층(132)의 통로 일부를 차단할 수 있는 이동막(133)이 구비될 수 도 있다. Through this method,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is circulated to the cushion unit 122, and the steam circulated to the cushion unit 122 is prevented from moving back to the storage unit 111. Here, the first layer 132 may be provided with a moving film 133 capable of opening the passage of the first layer 132 but blocking a portion of the passage of the first layer 132.

상기 제2층(134)의 팽창을 통해 상기 밸브막(131)이 상기 제1층(132)을 닫히게 하나, 상기 제1층(132)의 폭이 넓은 경우 상기 밸브막(131)이 상기 제1층(132)을 불완전하게 닫히게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층(132)에 상기 이동막(133)을 구비하면, 상기 이동막(133)에 의해 상기 제1층(132)의 통로의 폭은 좁아지게 되면서 상기 밸브막(131)을 통해 상기 제1층(132)을 효과적으로 닫히게 할 수 있게 된다. The valve membrane 131 closes the first layer 132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second layer 134. However, when the first layer 132 has a wide width, the valve membrane 131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rst floor 132 is incompletely closed. However, when the moving membrane 133 is provided on the first layer 132, the width of the passage of the first layer 132 is narrowed by the moving membrane 133, and the valve membrane 131 The first layer 132 can be effectively closed.

또한, 상기 제1층(132)에 상기 이동막(133)을 구비하면, 상기 이동막(133)에 의해 상기 제1층(132)의 통로의 폭이 좁아지면서 상기 제1층(132)의 단위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상기 제1층(132)의 단위 부피가 작아지면, 상기 제1층(132)의 내부 압력은 상기 제2층(134) 대비 상대적으로 고압 상태를 형성하게 되면서, 상기 쿠션부(122)에 저장된 증기는 상기 제1층(132) 보다 상기 제2층(134)으로 유도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moving membrane 133 is provided on the first layer 132, the width of the passage of the first layer 132 is narrowed by the moving membrane 133, The unit volume becomes smaller. When the unit volume of the first layer 132 decrease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first layer 132 forms a relatively high pressure state compared to the second layer 134, and is stored in the cushion part 122. Steam has the advantage of being guided to the second layer 134 rather than the first layer 132.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일방향 밸브(130)를 상술하였으나, 상기 일방향 밸브(130)는 상술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기를 일방향으로만 유통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기 일방향 밸브(130)는 힌지와 일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판막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기를 일방향으로만 유통시킬 수도 있다. Although the one-way valv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one-way valve 13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steam can be circulated in only one direction. Of course. For example, the one-way valve 130 may be formed of a hinge and a valve that can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and through this, steam may be circulated in only on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저장부(111)와 연통되면서 상기 저장부(111)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41)가 구비된 것이다.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unit 140 capable of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to the outside. 2 and 6,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uch 110 and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unit 111 to discharge the steam from the storage unit 111 to the outside. It will be provided with an outlet 141 that ca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조리 중에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스팀 파우치가 팽창하여 터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조리 중에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해야 한다. 상기 배출부(140)는 조리 중에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team pouch from expanding and bursting due to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must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unit 140 is capable of discharging steam generated during cooking to the outside.

상기 배출부(140)가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구비될 때,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밀봉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증기 이외에,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는 지점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When the discharge part 14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uch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part 140 protrudes outward from the sealing part 112. In addition to the ste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a point at which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111 can be discharged.

상기 배출부(140)가 상기 밀봉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면,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을 외부로 흘리지 않으면서 상기 배출부(140)로 내용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팀 파우치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When the discharge part 14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112, the contents of the storage part 111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140 without spilling the contents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pouch user.

여기서,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대하여 상향 경사를 형성하면서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저장부(111)의 증기를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대하여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부(140)를 구비하면, 상부로 상승하는 성질이 있는 증기를 상기 배출부(140)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Here, the discharge unit 1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uch 110 while forming an upwar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pouch 110. The discharge unit 140 is capable of discharging the vapor of the storage unit 111, and when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so that an upward inclination is forme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pouch 110, it rises upward. Steam having properties can be efficiently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또한,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대하여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부(140)를 구비하면,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우치(110)를 기울여야 한다.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대하여 상향 경사가 형성되도록 상기 배출부(140)를 구비하면, 상기 파우치(110)가 기울어질 때 상기 배출부(140)가 하부로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to have an upward slope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pouch 110,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111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discharge the contents of the storage unit 111 to the outside, the pouch 110 must be tilted. When the discharge part 140 is provided so that an upward inclination is formed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pouch 110, when the pouch 110 is inclined, the storage part ( The contents of 111)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배출구(141)를 씰링하되, 증기 압력에 의해 열릴 수 있는 제1씰링부(142)와 제2씰링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씰링부(142)와 상기 제2씰링부(143)는 상기 저장부(111) 내부에 증기가 발생하기 전에는 상기 저장부(111)를 밀봉할 수 있는 것이지만, 상기 저장부(111)에 증기가 발생하면, 증기의 압력에 의해 열리면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charge part 140 seals the discharge port 141, but may include a first sealing part 142 and a second sealing part 143 that can be opened by vapor pressure. The first sealing part 142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are capable of sealing the storage part 111 before steam is generated in the storage part 111, but the storage part 111 When steam is generated, it can be opened and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상기 제1씰링부(142)와 상기 제2씰링부(143)는, 씰링바에 일정 간격으로 점을 찍어 점과 점 사이를 미실하는 방법을 통해 기체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기의 압력에 의해 열리면서 증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sealing part 142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can be manufactured by making a space in which gas can move through a method of making a space in which a gas can move through a method of missing a dot and a dot by marking dots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ealing ba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if the steam can be moved while being opened by the pressure of the steam.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배출부(140)는 상기 제1씰링부(142)와 상기 제2씰링부(143)를 구비하면서 이중 씰링된 것으로, 이중 씰링을 통해 증기와 함께 내용물의 액체가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씰링부(142)는 상기 제2씰링부(143) 보다 상기 배출부(140)의 내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씰링부(142)의 씰링 강도가 상기 제2씰링부(143)의 씰링 강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first sealing unit 142 and the second sealing unit 143 and is double-sealed. Through the double sealing, the liquid of the contents together with the vapor 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prevent leakage. To this end, the first sealing part 142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rt 140 than the second sealing part 143, and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art 142 is increased by the second sealing part ( 143)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sealing strength.

종래의 스팀 파우치에서 증기가 배출될 때, 증기가 쌓이면서 파우치가 팽창하다가 일순간에 배출구가 열리면서 증기가 배출되는데, 배출구가 일순간에 열리는 압력에 의해 증기와 함께 액체가 비산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씰링부(142)와 상기 제2씰링부(143)를 포함한다. When steam is discharged from a conventional steam pouch, the pouch expands as the steam accumulates, and then the steam is discharged as the outlet opens in an instan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quid scatters together with the steam due to the pressure that the outlet opens in an instant.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irst sealing part 142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to prevent th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한 증기에 의해 상기 파우치(110)가 팽창되다가, 상기 제1씰링부(142)가 열리면서 증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씰링부(142)가 열리면서 상기 저장부(111) 내부의 액체가 비산할 수 있으나, 상기 제2씰링부(143)가 닫혀 있음에 따라, 상기 제2씰링부(143)에 의해 액체가 외부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uch 110 is expanded by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and the first sealing unit 142 is opened, and the steam is discharged. At this time, while the first sealing part 142 is opened, the liquid inside the storage part 111 may be scattered, but as the second sealing part 143 is close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This prevents the liquid from scattering to the outside.

상기 제1씰링부(142)가 열린 다음에는 상기 제2씰링부(143)가 열리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2씰링부(143)의 씰링 강도는 상기 제1씰링부(142)의 씰링 강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씰링부(143)의 씰링 강도가 상기 제1씰링부(142)의 씰링 강도 보다 크거나 동일하면, 상기 제2씰링부(143)가 열리기 전에 상기 저장부(111)가 다시 팽창하면서 증기 압력이 모이게 되기 때문에, 증기와 함께 액체가 다시 비산할 위험이 있다. After the first sealing part 142 is opene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may be opened. In this case,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cond sealing part 143 is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art 142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maller. When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cond sealing part 143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art 142, the storage part 111 expands again before the second sealing part 143 is opened. Because the vapor pressure builds up, there is a risk of the liquid scattering again along with the vapor.

따라서, 상기 제2씰링부(143)의 씰링 강도는 상기 제1씰링부(142)의 씰링 강도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씰링부(142)가 열린 이후, 상기 제2씰링부(143)가 바로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제2씰링부(143)의 씰링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cond sealing part 143 is preferably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art 142, and after the first sealing part 142 is opened, the second sealing part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cond sealing part 143 so that 143 can be opened immediately.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40)에는 상기 배출부(14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배출부(140)의 측면(140a)과 누액 방지홈(145)을 형성하는 누액 방지돌기(1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40)에 상기 제1씰링부(142)와 상기 제2씰링부(143)를 구비하더라도,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때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위험이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charge part 140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art 140 and forms a side surface 140a of the discharge part 140 and a leakage preventing groove 145. ) May be provided. Even if the discharge part 140 includes the first sealing part 142 and the second sealing part 143, there is a risk that the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vap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부(140)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액체가 모일 수 있는 상기 누액 방지홈(145)을 형성하여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140)의 측면(140a)은 상기 배출구(141)를 둘러싸고 있는 면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가 돌출되면서 상기 배출부(140)의 측면(140a)에 상기 누액 방지홈(145)이 형성된다.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is for preventing this, and forming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45 through which liquid can collect while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discharge unit 140 can prevent the liq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 will be. Here, the side surface 140a of the discharge part 140 may be a surface surrounding the discharge port 141, and the side surface 140a of the discharge part 140 as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protrudes. The leakage preventing groove 145 is formed in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부(140)에는 상기 배출부(140)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선(14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절단선(146)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배출부(140)의 일측에는 상기 제2씰링부(143)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가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discharge part 140 may be provided with a cutting line 146 capable of cutting one side of the discharge part 140, and the discharge part cut by the cutting line 146 One side of the 140 may include the second sealing part 143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140)를 통해서 증기 이외에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물도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씰링부(143)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가 상기 배출부(140)에 남아있으며, 상기 저장부(111)의 내용물이 상기 제2씰링부(143)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에 의해 원활하게 밖으로 배출되지 않으면서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steam,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may als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At this time, the second sealing part 143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remain in the discharge part 140, and the contents of the storage part 111 prevent the second sealing part 143 and the leakage.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without being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protrusion 144.

상기 절단선(146)은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절단선(146)을 통해 상기 배출부(140)의 일측을 절단하면, 상기 배출부(140)에서 상기 제2씰링부(143)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144)가 제거되면서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cutting line 146 is for preventing this. When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140 is cut through the cutting line 146, the second sealing unit 143 and the As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홀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150)는 상기 파우치(110)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홀더공(15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홀더(150)는 사용자가 조리에 의해 고온이 된 스팀 파우치를 용이하게 잡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홀더(150)를 통해 스팀 파우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 스팀 파우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150. The hold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pouch 110 and the holder hole 151 is formed. The holder 150 is for the user to easily hold the steam pouch that has become hot due to cooking, and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eam pouch while preventing burns caused by the steam pouch through the holder 150. have.

여기서,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배출부(140)와 상기 홀더(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140)와 상기 홀더(15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ischarge part 140 and the holder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pouch 110, respectively, and the discharge part 140 and the holder 150 improve user conveni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arranged on different sides in order to do so.

또한, 상기 파우치(110)에서 상기 홀더(150)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파우치(110)에서 상기 배출부(140)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상기 밀봉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배출부(140)와 상기 홀더(150)를 구비함에 따라 주전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사용자가 상기 홀더(150) 이용 시 무게중심 쏠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우치(110)에서 상기 홀더(150)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파우치(110)에서 상기 배출부(140)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osition in the pouch 110 in which the holder 150 is provided is a position lower than a position in the pouch 110 in which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kettle shape by providing the discharge unit 140 and the holder 150 protruding outward of the sealing unit 112. When using the holder 150, the position where the holder 150 is provided in the pouch 110 is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where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in the pouch 110 in order to prevent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shifted. It is desirable.

상기 홀더공(151)은 상기 홀더(150)를 관통하는 구멍으로, 상기 홀더공(151)을 통해 사용자는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공(151)은 복수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구멍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홀더공(151)은 사용자가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der hole 151 is a hole penetrating the holder 150, and the user can grip the pouch 110 through the holder hole 151. 2 and 7, the holder hole 151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holes, and may also be formed of a single 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holder hole 15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it is a hole through which a user can grip the pouch 110.

또한, 상기 홀더(150)에는 상기 홀더(150)를 관통하는 보조공(153a)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공(153a)은 상기 홀더공(151) 보다 작은 구멍으로, 젓가락과 같이 길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자재가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홀더공(151)을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공(153a)에 젓가락을 끼워서 상기 파우치(110)를 이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older 15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hole (153a) penetrating the holder 150. The auxiliary hole 153a is a hole smaller than the holder hole 151, and a material formed in a bar shape such as a chopstick can be inserted. The user may grip the pouch 110 by using the holder hole 151, and may use the pouch 110 by inserting chopsticks in the auxiliary hole 153a.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150)에는 상기 저장부(111)와 연통되면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우치의 플라스틱 필름보다 열전도율이 낮다. 따라서, 상기 홀더(150)에 상기 팽창부(154)를 구비하면 사용자는 낮은 온도로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the holder 150 may be provided with an expansion unit 154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unit 111 and expands by steam. In the case of air, the thermal condu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the plastic film of a pouch that is generally used. Therefore, if the holder 150 includes the expansion part 154, the user can hold the pouch 110 at a low temperature.

또한, 상기 팽창부(154)를 통해 상기 홀더(150)에 볼륨감을 형성하면, 사용자는 상기 홀더(150)를 보다 용이하게 잡게 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voluminous feel is formed in the holder 150 through the expansion part 154, the user can more easily hold the holder 150,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상기 팽창부(154)와 상기 저장부(111)를 연통시키기 위해서, 상기 팽창부(154)와 상기 저장부(111)가 연결되는 지점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112)에는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communicate the expansion unit 154 and the storage unit 111, air may be moved to the sealing unit 112 disposed at a point where the expansion unit 154 and the storage unit 111 are connected. A passage can be formed.

상기 팽창부(154)는 상술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와 동일한 방법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저장부(111)에서 상기 팽창부(154)에 유입된 증기는 다시 저장부(111)로 배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팽창부(154)에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The expansion unit 154 can be oper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ir standing unit 120 described above, and the steam introduced from the storage unit 111 into the expansion unit 154 is agai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It is desirable not to discharge into. To this end, the expansion part 154 may be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일방향 밸브(155)는 상기 팽창부(154)와 상기 저장부(111)가 연통되는 통로 상에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팽창부(154)에 구비된 상기 일방향 밸브(155)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것으로, 증기를 일방향으로만 유통시킬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one-way valve 155 may be provided on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xpansion unit 154 and the storage unit 111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one-way valve 155 provided in the expansion unit 154 is capable of circulating steam in one direction, and various configurations may be used as long as steam can be circulated in only one direction.

상기 팽창부(154)에 구비된 상기 일방향 밸브(155)는 도 8과 같이 상술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의 상기 쿠션부(122)와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부(122)에서 증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팽창부(154)는 상기 저장부(111)에서 직접 증기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The one-way valve 155 provided in the expansion part 154 is connected to the cushion part 122 of the air standing part 120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8 and receives steam from the cushion part 122. May b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pansion unit 154 may receive steam directly from the storage unit 111.

상기 팽창부(154)에 구비된 상기 일방향 밸브(155)는 상술한 상기 에어 스탠딩부(120)에 사용되는 일방향 밸브(130)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one-way valve 155 provided in the expansion part 154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one-way valve 130 used in the air standing part 120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150)의 상기 홀더공(151)과 상기 저장부(1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112)에는 스크래치(15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크래치(152)는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한 열을 분산시키면서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밀봉부(112)에 형성되는 홈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a scratch 152 may be formed in the sealing part 112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151 of the holder 150 and the storage part 111. The scratch 152 is capabl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while dissipating heat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and may be a groove formed in the sealing unit 112 whil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홀더(150)의 상기 홀더공(151)과 상기 저장부(1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112)에 상기 스크래치(152)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낮은 온도로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래치(152)는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As the scratch 152 is formed in the sealing part 112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151 of the holder 150 and the storage part 111,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In this way, the user can hold the pouch 110 at a low temperature. The scratch 152 may exten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150)의 상기 홀더공(151)과 상기 저장부(1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112)에는 열차폐공(153)이 형성될 수도 있다. 10(a) to 10(b), the sealing part 112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151 of the holder 150 and the storage part 111 has a heat shield hole 153 May be formed.

상기 열차폐공(153)은 상기 저장부(111)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홀더(15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밀봉부(112)를 관통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홀더(150)의 상기 홀더공(151)과 상기 저장부(111)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112)에 상기 열차폐공(15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낮은 온도로 상기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The heat shield hole 153 block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from moving to the holder 150 and may be a hole penetrating the sealing unit 112. As the heat shield hole 153 is formed in the sealing part 112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151 of the holder 150 and the storage part 111,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hold the pouch 110 at a low temperature.

상기 열차폐공(153)은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차폐공(153)은 도 10(b)와 같이 복수 개의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0(a)와 같이 상기 저장부(111)에서 상기 홀더공(151)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eat shield hole 153 may have various shapes as long as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Specifically, the heat shield hole 15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10(b), and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storage unit 111 to the holder hole 151 as shown in FIG. 10(a). The paper may be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또한, 도 10(c)와 같이 상기 열차폐공(153)은 상기 저장부(111)에서 상기 홀더공(151)의 방향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열차폐공(153)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C, the heat shield hole 153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nding in a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holder hole 151 in the storage unit 111. However, the shape of the heat shield hole 153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if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또한, 상기 열차폐공(153)은 상기 홀더(150)에 형성되는 상기 홀더공(151)의 형상에 따라 형상이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홀더공(151)에 열 흐름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eat shield hole 153 may be changed in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holder hole 151 formed in the holder 150, and has a shape such that heat flow is not transmitted to the holder hole 151. Can be formed.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steam pouch for cook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증기에 의해 팽창할 수 있는 에어 스탠딩부(120)를 통해 스팀 파우치가 조리중에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팀 파우치 내부의 내용물이 누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pouch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uring cooking through the air standing part 120 that can be expanded by steam, through which the contents of the steam pouch are leak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it from becom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쿠션부(122)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130)가 구비됨에 조리를 마친 후에도 쿠션부(122)에서 증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면서 스팀 파우치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ushion part 122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130 for distributing steam in one direction, it prevents steam from escaping from the cushion part 122 even after cooking is finishe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the lower part of the steam pouch.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파우치(110) 외부로 돌출되면서 이중 씰링 구조를 형성하는 배출부(140)를 통해 스팀 파우치 내부의 액체가 증기와 함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iquid inside the steam pouch from scattering with steam through the discharge unit 140 tha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pouch 110 and forms a double sealing structure. There is th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배출부(140)에는 누액 방지돌기(144)가 구비됨에 따라 증기와 함께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discharge part 140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liqui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ogether with the steam.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배출부(140)는 절단선(146)을 통해 누액 방지돌기(144)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리용 스팀 파우치 사용시 누액 방지돌기(144)에 의해 액체로 이루어진 내용물의 배출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140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ove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144 through the cutting line 146, through which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when using the cooking steam pouch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obstruction of discharge of liquid contents by (144).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홀더공(151)이 구비된 홀더(150)를 통해 스팀 파우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면서 스팀 파우치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steam pouch while preventing burns caused by the steam pouch through the holder 150 provided with the holder hole 151.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홀더(150)에는 스크래치(152), 열차폐공(153), 팽창부(154)가 형성됨에 따라 홀더(150)의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낮은 온도로 파우치(110)를 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scratch 152, the heat shield hole 153, and the expansion part 154 are formed in the holder 150 of the cooking steam pou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of the holder 150 can be lowered. Through this,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hold the pouch 110 at a low tempera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 스팀 파우치는 밀봉부(11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배출부(140)와 홀더(150)를 구비함에 따라 주전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team pouch for cook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kettle shape with a discharge unit 140 and a holder 150 protruding outward of the sealing unit 112,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이와 함께, 파우치(110)에서 홀더(150)가 구비되는 위치를, 파우치(110)에서 배출부(140)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로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주전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리용 스팀 파우치의 홀더(150) 이용 시 무게중심 쏠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pouch 110 has a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150 is provided, a position lower than the position at which the discharge unit 140 is provided in the pouch 110, the user When the holder 150 is used,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enter of gravity from being shifted.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provide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조리용 스팀 파우치 110...파우치
111...저장부 112...밀봉부
120...에어 스탠딩부 121...격벽부
122...쿠션부 120a...제1에어 스탠딩부
121a...제1격벽부 122a...제1쿠션부
120b...제2에어 스탠딩부 121b...제2격벽부
122b...제2쿠션부 121c...제3격벽부
122c...제3쿠션부 130...일방향 밸브
131...밸브막 132...제1층
133...이동막 134...제2층
135...차단막 140...배출부
141...배출구 142...제1씰링부
143...제2씰링부 144...누액 방지돌기
145...누액 방지홈 146...절단선
150...홀더 151...홀더공
152...스크래치 153...열차폐공
153a...보조공 154...팽창부
155...일방향 밸브
100...cooking steam pouch 110...pouch
111...storage part 112...seal part
120...Air standing part 121...Bulkhead part
122...cushion part 120a...first air standing part
121a...1st bulkhead part 122a...1st cushion part
120b...2nd air standing part 121b...2nd bulkhead part
122b...2nd cushion part 121c...3rd bulkhead part
122c...3rd cushion part 130...one-way valve
131...valve membrane 132...first floor
133...moving curtain 134...second floor
135... barrier 140... outlet
141...Exhaust port 142...First sealing part
143...Second sealing part 144...Leakage prevention protrusion
145...Leak-proof groove 146...Cut wire
150...holder 151...holder ball
152...scratch 153...heat shield hole
153a...assistant 154...expand
155...one-way valve

Claims (18)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스팀 파우치에 있어서,
내용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구비한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의 외측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저장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부와, 상기 격벽부에 의해 구획된 일측 공간으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파우치를 세울 수 있도록 상기 파우치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In the steam pouch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A pouch including a storage unit having a space for storing contents and a sealing unit sealing an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n air standing unit provided under the storage unit and including a partition wall portion partitioning the space of the storage unit, and a cushion unit that expands by steam into on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wall unit; and
The air standing portion is a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pouch to stand the pouc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ushion part,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for circulating the steam in one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밸브는,
밸브막을 통해 구획되는 제1층과 제2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층은, 상기 저장부와 상기 쿠션부를 연통시키면서 상기 저장부의 증기를 상기 쿠션부로 유입시키며,
상기 제2층에는, 상기 쿠션부의 증기가 상기 저장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구비되며,
상기 제2층은 팽창에 의해 상기 밸브막을 가압하여 상기 제1층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one-way valve,
It includes a first layer and a second layer partitioned through the valve membrane,
The first layer,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and the cushion unit, introduces vapor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cushion unit,
The second layer is provided with a blocking film that blocks the vapor from the cushion unit from flowing out to the storage unit,
The second layer is a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by pressing the valve membrane by expansion to block the first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tanding part,
A cooking steam pouch comprising a first air standing part provided below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탠딩부는,
상기 저장부의 일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1에어 스탠딩부와, 상기 저장부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에어 스탠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standing part,
A cooking steam pouch comprising a first air standing part provided below one side of the storage part and a second air standing part provid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 스탠딩부의 제1쿠션부와 상기 제2에어 스탠딩부의 제2쿠션부는,
상기 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쿠션부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cushion part of the first air standing part and the second cushion part of the second air standing part,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through a third cushion provided under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일측에는,
상기 밀봉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저장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가 구비된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
On one side of the pouch,
A cooking steam pouch, comprising: a discharge unit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unit, and having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team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outsid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구를 씰링하되, 증기 압력에 의해 열릴 수 있는 제1씰링부와 제2씰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씰링부는 상기 제2씰링부 보다 상기 배출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discharge unit,
Sealing the outlet, but including a first sealing portion and a second sealing portion that can be opened by steam pressure,
The steam pouch for cook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al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discharge part than the second sealing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씰링부의 씰링 강도는 상기 제2씰링부의 씰링 강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ling strength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is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배출부의 측면과 누액 방지홈을 형성하는 누액 방지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discharge part,
A cooking steam pouch comprising a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discharge part and forming a leakage preventing groove with a side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는 절단선이 구비되며,
상기 절단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배출부의 일측에는, 상기 제2씰링부와 상기 누액 방지돌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discharge part,
A cutting line capable of cutting one side of the discharge unit is provided,
A cooking steam pouch comprising the second sealing part and the leakage preventing protrusion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part cut by the cutt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타측에는,
홀더공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ther side of the pouch,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er is provided with a holder hole is form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공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에는 스크래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2,
A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a scratch is formed on the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and the storage portion of the hold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기 홀더공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배치된 상기 밀봉부에는 열차폐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2,
Steam pouch for cooking, characterized in that a heat shield hole is formed in the seal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holder hole and the storage portion of the hold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차폐공은,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홀더공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홀더공의 방향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heat shield hole,
It is made in a triangular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storage unit to the holder hole, or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direction of the holder hole in the storage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는,
상기 저장부와 연통되면서 증기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2,
In the holder,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n expansion unit tha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unit and expands by steam.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에는,
증기를 일방향으로 유통시키는 일방향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16,
In the expansion part,
Cooking steam pouc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one-way valve for circulating the steam in one dire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타측에는, 홀더공이 형성되어 있는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홀더가 구비되는 위치는, 상기 파우치에서 상기 배출부가 구비되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스팀 파우치.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other side of the pouch, a holder having a holder hole is provided,
A steam pouch for cooking,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 at which the holder is provided in the pouch is a position lower than a position at which the discharge unit is provided in the pouch.
KR1020190101876A 2019-08-20 2019-08-20 Steam pouch for cooking KR1021657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76A KR102165757B1 (en) 2019-08-20 2019-08-20 Steam pouch for coo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876A KR102165757B1 (en) 2019-08-20 2019-08-20 Steam pouch for coo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757B1 true KR102165757B1 (en) 2020-10-14

Family

ID=7284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876A KR102165757B1 (en) 2019-08-20 2019-08-20 Steam pouch for coo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75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40A (en) * 2006-04-28 2007-11-15 Toppan Printing Co Ltd Standing pouch capable of electromagnetic cooking
KR101550575B1 (en) * 2014-03-14 2015-09-07 샬롬산업(주) Portable food heating pouch
JP2016107995A (en) * 2014-12-02 2016-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Pouch storage box for microwave oven
JP2018002258A (en) * 2016-07-04 2018-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ou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6040A (en) * 2006-04-28 2007-11-15 Toppan Printing Co Ltd Standing pouch capable of electromagnetic cooking
KR101550575B1 (en) * 2014-03-14 2015-09-07 샬롬산업(주) Portable food heating pouch
JP2016107995A (en) * 2014-12-02 2016-06-20 凸版印刷株式会社 Pouch storage box for microwave oven
JP2018002258A (en) * 2016-07-04 2018-01-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Pou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883B1 (en) Microwave Pouch with Pressure Resistant Ejector
US7243813B2 (en) Domed food container
US20090175563A1 (en) Microwaveable steam pouch
CN105073600B (en) Flexible self sealss are from hot filling container of ventilating
KR102074709B1 (en) Microwave Pouch
BRPI0612372A2 (en) improvements to culinary containers in the shape of bag or bag of flexible plastic material
WO2009129135A1 (en) Flexible storage bag with vent between two zippers
KR102165757B1 (en) Steam pouch for cooking
JP2008245586A (en) Packaged frozen food, cooking method for the same, and package for frozen food
KR101113402B1 (en) a pauch usuable in a microwave oven
JP4522782B2 (en) Pouch packaging box for microwave oven
KR102020660B1 (en) Cooking vessel
JP2018027802A (en) Pouch
JP6862809B2 (en) Microwave pouch
JP2020147356A (en) Package for heating in microwave oven with automatic steam exhaustion function
JP2019108162A (en) Lid body
JP2019108161A (en) Packaging container
JP5946415B2 (en) Automatic ventilation packaging bag and automatic ventilation packaging bag storage box
JP2007253996A (en) Heating container
JP2008054943A (en) 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KR20160088992A (en) Packing material for microwave ovens
JP4639774B2 (en) Retort pouch with steam vent
KR102462228B1 (en) pouch for packaging fermented food and fermented food packaging method using it, and pouch for packaging
JP2005035640A (en) Packaging bag having vapor purging function, and package housing the same
KR102049465B1 (en) Self-standing pouch for packaging food with feasibility of safe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