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601B1 -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601B1
KR102165601B1 KR1020130127180A KR20130127180A KR102165601B1 KR 102165601 B1 KR102165601 B1 KR 102165601B1 KR 1020130127180 A KR1020130127180 A KR 1020130127180A KR 20130127180 A KR20130127180 A KR 20130127180A KR 102165601 B1 KR102165601 B1 KR 10216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received
execution module
space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7288A (ko
Inventor
전진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7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2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 G06F21/53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during program execution, e.g. stack integrity ; Preventing unwanted data erasure; Buffer overflow by executing in a restricted environment, e.g. sandbox or secure virtual mach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장치에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를 실행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고, 정식 공간에서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안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정식 설치 및 실행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ESECUTION APPLICATION SAFELY,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공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실행 공간에서 안전 진단을 받은 후 안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정식 설치 및 실행하여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는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최근에는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하여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신/수신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단말 장치 즉, 스마트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 장치는 완제품으로 출시되어 주어진 기능만 사용하던 기존의 단말 장치와 달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아울러, 스마트 기기 등의 단말 장치는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고,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 및 같은 운영체제(OS)를 가진 스마트 기기 간에 어플리케이션을 공유할 수 있다.
때문에 종래의 스마트 기기의 단말 장치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항상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 접근 등의 해킹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보안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8-0085780호, 2008년 9월 24일 공개(명칭: 운영체제의 가상화 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 장치에서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를 실행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고, 정식공간에서 승인된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함으로써, 안전한 어플리케이션만을 정식 설치 및 실행하여 보안을 강화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안전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를 실행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고, 정식 공간에서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메모리에서 읽어와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를 실행하는 격리 실행 모듈; 격리 실행 모듈로부터 안전 진단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모듈; 및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면, 격리 실행 모듈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정식 공간에서 설치 및 실행하는 정식 실행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정식 실행 모듈은, 격리 실행 모듈에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면, 격리 실행 모듈에서 바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격리 실행 모듈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하여 처리하는 가상 머신이거나, 정식 실행 모듈의 기능을 모방하여 실행하는 가상 에뮬레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격리 실행 모듈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 시 삭제 또는 정식 설치를 위한 메뉴를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 또는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격리 실행 모듈은, 정식 실행 모듈로부터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격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진단 모듈은, 격리 실행 모듈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인 정보에 접근하는지를 확인하여 개인 정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 정보 접근을 알리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진단 모듈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장치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를 실행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고, 정식 공간에서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로 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 저장하는 단계; 격리된 공간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격리된 공간에서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보기로 실행하는 단계; 격리된 공간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안전 진단에 따라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정식 공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은,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정식 실행 모듈로 바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서 설치 및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은, 정식 공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완료되면, 격리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공간에서 미리 실행하여 사용자가 정식 실행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정식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의 노출 및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저장 공간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므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시 가상 저장 공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해줌으로써, 정식 실행 시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 100a, 100b, … 100n) 및 서비스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1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10)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 또는 다른 통신 장치(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유선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 및 다른 통신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 처리하여 저장 및 설치하고,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로 실행함으로써, 사용자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 공간에서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만을 정식 공간에서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로서, 단말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제공 요청을 받으면,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1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1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10)은 서비스 장치(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1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및 입력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실행에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통신부(12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 또는 외부 다른 통신 장치(도시되지 않음)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시켜 미리 보기로 실행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서 설치 및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격리 실행 모듈(111), 정식 실행 모듈(112) 및 진단 모듈(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격리 실행 모듈(111)은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제2 메모리(142)에 저장하여 격리된 공간에서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하여 처리하는 가상 머신 또는 정식 실행 모듈(112)의 기능을 모방하여 실행하는 가상 에뮬레이터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시켜 정식 실행 모듈(112)에서 실행되는 것과 같이 가상 공간에서 미리 실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격리 실행 모듈(111)은 진단 모듈(113)로 안전 진단 요청 신호를 발생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도록 요청하고, 진단 모듈(113)에서 안전 진단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안전 진단 결과 정보를 통해 승인 여부를 확인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된 경우, 정식 실행 모듈(112)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 시 삭제 또는 정식 설치를 위한 메뉴를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 또는 정식 실행 모듈(112)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바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 의해 확인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안전 진단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전송될 수 있으며,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기 설정된 식별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 받아 간단하게 안전성을 확인 받을 수 있다. 또한,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송되는 어플리케이션은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달되기 전에 안전 진단이 이루어진 후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정식 실행 모듈(112)에서 모니터링을 통해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인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전달 요청을 받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안전 진단을 수행하지 않고, 바로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인증을 확인할 수 있는 기 설정된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사전 인증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리 실행 모듈(111)은 정식 실행 모듈(112)로부터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삭제는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정식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아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정식 실행 모듈(112)은 격리 실행 모듈(111)로부터 안전 진단에 의해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정식 저장 공간인 제1 메모리(141)에 저장하고,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정식 실행 모듈(112)은 격리 실행 모듈(111)을 모니터링하여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면,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바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전 인증이 이루어지는 웹 마켓 등을 통해 구매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사이트, 네트워크 등을 통해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격리 실행 모듈(111)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여 바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저장 및 설치할 수 있다.
진단 모듈(113)은 격리 실행 모듈(111)로부터 안전 진단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진단 모듈(113)은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미리 보기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확인하여 어플리케이션이 개인 정보에 접근하는지를 확인하여 개인 정보에 접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개인 정보 접근을 알리기 위한 리포팅 및 경고를 위한 경고 메시지를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가 노출 또는 해킹될 수 있음을 사용자에게 리포팅 및 경고함으로써, 사용자를 현혹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진단 모듈(113)은 안전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 결과 정보를 격리 실행 모듈(111)로 전달함으로써,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여 승인 메시지를 정식 샐행 모듈(112)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진단 모듈(113)은 네트워크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경우, 네트워크 프로토콜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장치의 IP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진단 모듈(113)은 가상 개인 정보(폰 북(Phone book), 메시지(Message), 공인인증서, 사진 및 동영상) 모델을 이용하여 안전 진단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인증할 수도 있다.
또한, 진단 모듈(113)은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추가/삭제와 같이 별도로 지정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및 네트워크 접근 및 조작을 감시 및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진단 모듈(113)은 사용자의 허가 없는 불법적인 하드웨어(H/W) 조작을 감시 및 검출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요청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된 메뉴 선택 정보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13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3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3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30)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메시지를 수신하여 격리 실행 모듈(111)로 전달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저장부(140)는 정식 저장 공간인 제1 메모리(141)와 격리 저장 공간인 제2 메모리(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메모리(141)는 정식 실행 모듈(112)과 연동하고, 정식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어플리케이션 DB(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메모리(141)는 격리 실행 모듈(111)과 연동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1차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격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141) 및 제2 메모리(142)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메모리에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상 저장 영역을 구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격리 실행 모듈(111)에 의해 미리 보기를 통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정식 실행 모듈(112)에서 정식 실행 화면을 제공하고,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단말 장치(100)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들을 송수신한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에서 전달된 어플리케이션 제공 메시지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는 통신부(2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달받으면, 단말 장치(100)에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검출하여 검출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단말 장치(100)에서 사전 인증을 위해 지정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사전 인증을 수행하고,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임을 알리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에서 사전에 단말 장치(100)에서 사전 인증으로 등록한 웹 마켓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구매에 따른 결제 승인 및 인증 절차를 통해 사전 인증이 수행되므로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 안전한 것으로 간주하여 어플리케이션 제공부(220)는 사전 인증을 확인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들을 저장하고, 사전 인증 등록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1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1102단계에서 요청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제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이때,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인증 등록된 서버, 네트워크 또는 사이트 등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식별 정보를 포함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제공 메시지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103단계에서 단말 장치(100)의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제2 메모리(142)에 저장하고, 1104단계에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을 수행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의 출력부(150)의 화면에 출력되는 미리 보기 화면에는 정식 실행 모듈(112)에서 실행될 때와 유사하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격리 실행 모듈(111)은 미리 보기 화면에 어플리케이션의 사전 인증 여부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1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의 정식 실행 모듈(112)은 격리 실행 모듈(111)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사전 인증 여부 및 사용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한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전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후, 1106단계에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다. 즉, 격리 실행 모듈(111)은 진단 모듈(113)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안전 진단 요청을 하고, 진단 모듈(113)에서 안전 진단이 완료되면, 진단 모듈(113)로부터 안전 진단 결과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에 따라 1107단계에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안전 진단 결과 정보를 확인하여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승인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경우, 1108단계에서 정식 실행 모듈(112)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한다.
그러면 1109단계에서 정식 실행 모듈(112)은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1 메모리(141)의 어플리케이션 DB에 저장하여 어플리케이션 DB를 갱신하고, 1110단계에서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후, 1111단계에서 정식 실행 모듈(112)은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설치 완료를 알리는 신호를 격리 실행 모듈(11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1112단계에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제2 메모리(142)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한다.
이와 같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을 첨부된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2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하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에는 사용자 정보 및 요청할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사전에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주소 정보인 콜백(Callback) URL 정보가 포함된 SMS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콜백(Callback) URL 정보를 클릭하면, 단말 장치(100)는 어플리케이션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가 웹 마켓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아이콘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되는 정보 및 경로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2102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요청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2103단계에서 다운로드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가상 저장 공간인 제2 메모리(142)에 저장한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외부 장치가 아닌, 유선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접속된 외부 장치로부터 직접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2104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한다. 즉,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인증을 확인할 수 있는 식별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사전 인증 여부 확인은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디코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즉, 정식 실행 모듈(112)에서 기 등록한 사전 인증 등록 정보(예를 들어, 사전 인증 등록된 서버, 네트워크,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등)를 격리 실행 모듈(112)로 전달함에 따라 격리 실행 모듈(111)은 사전 인증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디코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고, 사전 인증 확인을 위한 식별 정보의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전 인증 여부 확인은 격리 실행 모듈(111)을 모니터링하는 정식 실행 모듈(112)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정식 실행 모듈(112)이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정보 및 미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를 통해 확인하여 사전 인증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어플리케이션 전달 요청 신호를 격리 실행 모듈(111)로 발생할 수 있다.
2104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2105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달하여 정식 실행 모듈(112)의 제어에 따라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제1 메모리(141)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2106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전달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서 실행한다. 이때, 정식 실행 모듈(112)은 격리 실행 모듈(111)로 설치 완료 알림 신호를 전달하고, 이에 따라 2111단계에서 격리 실행 모듈(111)은 전달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 처리한다.
한편, 2104단계에서 확인 결과,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경우, 2107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2 메모리(142)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가상 공간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2108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보기로 실행한다.
이후, 2109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00)는 진단 모듈(113)을 통해 단말 번호(핸드폰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모델 정보, 개인 정보 및 네트워크 접근을 감시하여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안전한 어플리케이션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211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안전 진단에 따라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승인된 경우, 2105단계로 진행하여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달하여 제1 메모리(141)에 저장하고, 2106단계에서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2111단계를 수행한다.
반면,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되지 않은 경우, 211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삭제 처리하거나, 격리 실행 모듈(111)에서만 실행되도록 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안전하지 않은 어플리케이션임을 알리는 리포팅 및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 장치(100)는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공간에서 미리 실행하여 사용자가 정식 실행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정식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 및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 장치(100)는 개인 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의 노출 위험성을 사전에 리포팅 및 경고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이를 통해 개인 정보의 노출 위험성을 사전에 인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위험성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하기 전에 삭제함으로써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가상 저장 공간인 제2 메모리(142)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므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시 제2 메모리(142)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112)로 전달해줌으로써, 정식 실행 모듈(112)이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가상 공간에서 미리 실행하여 사용자가 정식 실행 전에 어플리케이션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무분별한 어플리케이션들이 정식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으므로 개인 정보 등의 중요한 정보의 노출 및 해킹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상 저장 공간에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므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시 가상 저장 공간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해줌으로써, 정식 실행 시 네트워크를 통해 별도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 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격리 실행 모듈 112: 정식 실행 모듈 113: 진단 모듈
120: 입력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41: 제1 메모리 142: 제2 메모리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어플리케이션 제공부
230: 저장부

Claims (15)

  1. 통신망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공간에서 미리 보기를 실행하고, 상기 격리된 공간에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한 후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격리된 공간에서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고, 상기 정식 공간에서 상기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 시 삭제 또는 정식 설치를 위한 메뉴를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된 제2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승인되면,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2 메모리에서 읽어와 제1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격리된 공간에서 설치하고,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를 실행하는 격리 실행 모듈;
    상기 격리 실행 모듈로부터 안전 진단 요청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이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격리 실행 모듈로부터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상기 정식 공간에서 설치 및 실행하는 정식 실행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식 실행 모듈은,
    상기 격리 실행 모듈에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하여 기 설정된 식별 정보를 포함한 사전 인증된 어플리케이션이 수신되면, 상기 격리 실행 모듈에서 바로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전달받아 설치 및 실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 실행 모듈은,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 시 삭제 또는 정식 설치를 위한 메뉴를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삭제 또는 상기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면,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격리 실행 모듈을 통해 격리 저장하는 단계;
    격리된 공간에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격리된 공간에서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보기로 실행하는 단계;
    상기 격리된 공간에서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의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안전 진단에 따라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실행 모듈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승인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에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정식 공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보기로 실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의 미리 보기 실행 시 삭제 또는 정식 설치를 위한 메뉴를 미리 보기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전달하여 저장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라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정식 공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27180A 2013-10-24 2013-10-24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6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80A KR102165601B1 (ko) 2013-10-24 2013-10-24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80A KR102165601B1 (ko) 2013-10-24 2013-10-24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88A KR20150047288A (ko) 2015-05-04
KR102165601B1 true KR102165601B1 (ko) 2020-10-14

Family

ID=5338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180A KR102165601B1 (ko) 2013-10-24 2013-10-24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4568B1 (ko) 2015-08-19 2021-08-26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컨테이너 이미지 보안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2370A (ja) 2007-03-20 2010-07-01 サンギュ イ 移動型仮想マシンイメ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88A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3981B2 (en) Smart broadcasting device
US9591001B2 (en) Remote processing of mobile applications
US9584494B2 (en) Terminal and server for applying security polic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863252B1 (en) Trusted access to third party applications systems and methods
US89846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anagement of applications downloaded to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appliance
US9443088B1 (en) Protection for multimedia files pre-downloaded to a mobile device
US8561208B2 (en) Secure user interface content
KR101794184B1 (ko)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의 애플리케이션 인증 정책
EP262680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pplication cooperation
WO2017071207A1 (zh) 一种应用安装方法、相关装置及应用安装系统
EP2993603B1 (en) Permission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program
JP5222427B1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815386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コードを保護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I516972B (zh) 應用安全驗證方法、應用伺服器、應用用戶端及系統
CN103514000A (zh) 浏览器插件安装方法和装置
US20140337980A1 (en) Method, device and terminal for scanning virus
US20130074160A1 (en)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controlling apparatus
KR102439832B1 (ko) 무선 기기를 위한 애드온 모뎀 및 그것과 함께 유용한 방법
WO2015077993A1 (zh) 一种安装包授权方法及装置
CN110928571A (zh) 业务程序开发方法和装置
CN112966257B (zh) 一种应用程序的授权方法及装置
JP2011034349A (ja) 端末保護システム及び端末保護方法
KR102165601B1 (ko) 안전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083229B1 (ko) 이동 단말의 필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133251B1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보호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