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539B1 -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539B1
KR102165539B1 KR1020200064864A KR20200064864A KR102165539B1 KR 102165539 B1 KR102165539 B1 KR 102165539B1 KR 1020200064864 A KR1020200064864 A KR 1020200064864A KR 20200064864 A KR20200064864 A KR 20200064864A KR 102165539 B1 KR102165539 B1 KR 10216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erminal
portable video
terminal
infants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4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051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200064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64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는, 휴대형 영상 단말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부, 및 단말 거치부와 연결되고 휴대형 영상 단말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며, 이때, 본체부는 휴대형 영상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마주보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거치대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의해 휴대형 영상 단말과 일정한 거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유아의 시력 저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에 의한 휴대형 영상 단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영상 단말이 파손이나 유아의 부상 우려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MOBILE DISPLAY DEVICE CRADLE FOR INFAN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관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과 같은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더불어 최근에는 전통적인 TV를 이용한 동영상의 시청보다 오히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은 휴대형 영상 기기를 통한 동영상의 시청이 더욱 보편화 되고 있다. 무선망 등을 통해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화된 모바일 기기를 통해 타인에 영향을 주지 않고서도 자신이 원하는 영상만을 용이하게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영상 기기를 통해 영상을 이용하는 이용자층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전에는 휴대형 영상 기기와는 접촉 기회가 적었던 노인이나 유아들이 휴대형 영상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이용하는 모습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소근육이 아직 덜 발달한 유아들의 경우, 흔히 휴대형 영상 기기를 들고 동영상을 시청하다가 기기를 떨어뜨리게 되며, 이로 인해 스마트폰의 액정 등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유아가 동영상을 보는 거리와 자세에 따라 유아의 시력 저하가 우려될 뿐만 아니라, 유아의 조작 미숙으로 영상 기기가 꺼지거나 유아에게는 유해한 동영상이 제공될 가능성도 상존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아가 모바일 단말과 같은 휴대형 영상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는, 휴대형 영상 단말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부, 및 단말 거치부와 연결되고 휴대형 영상 단말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며, 이때의 본체부에는 휴대형 영상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마주보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거치대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의해 휴대형 영상 단말과 일정한 거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유아의 시력 저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에 의한 휴대형 영상 단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영상 단말이 파손이나 유아의 부상 우려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부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아가 측면이 아닌 개구부를 통해 영상 단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의 자연 채광이 영상 단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시력 저하 우려를 더욱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에는 본체부의 내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휴대형 영상 단말이 본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에서도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영상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는 구 형상일 수 있으며, 거치대는 본체부가 안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아들에게 친숙한 공모양으로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를 받침부에 내려놓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휴대형 영상 단말의 시청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대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의해 휴대형 영상 단말과 일정한 거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유아의 시력 저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에 의한 휴대형 영상 단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영상 단말이 파손이나 유아의 부상 우려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가 개구부를 통한 정상적인 시청 각도에서만 영상 단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의 자연 채광이 영상 단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시력 저하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형 영상 단말이 본체부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에서도 형성된 관통홈을 통해 영상 단말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들에게 친숙한 공모양으로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를 받침부에 내려놓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휴대형 영상 단말의 시청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개구부를 통해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에서 제공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홈의 예가 더욱 상세히 도시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100)는 단말 거치부(110), 본체부(120), 및 받침부(130)를 포함하며, 본체부(120)에는 개구부(122), 및 관통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단말 거치부(110)에는 휴대형 영상 단말(200)이 거치된다. 이때, 휴대형 영상 단말(200)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이고, 단말 거치부(120)는 휴대형 영상 단말(20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태나 구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체부(120)는 단말 거치부(110)와 연결되고, 휴대형 영상 단말(200)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휴대용 영상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마주보는 영역에 개구부(1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유아는 도 2에서와 같이, 휴대형 영상 단말(200) 자체가 아니라 단말 외부에 위치하는 본체부(120)를 잡고 본체부(120)의 개구부(122)를 통해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개구부를 통해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상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거치대의 내부 공간의 크기에 의해 휴대형 영상 단말과 일정한 거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유아의 시력 저하 우려를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아에 의한 휴대형 영상 단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고, 실수로 떨어뜨리는 경우에도 영상 단말이 파손이나 유아의 부상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20)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아가 단말(200)의 측방향이 아니라 개구부(122)를 통한 시청 각도에서만 영상 단말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외부의 자연 채광이 영상 단말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유아의 시력 저하 가능성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부(120)에는 본체부(120)의 내외면을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홈(12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휴대형 영상 단말(200)이 본체부(120)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에서도 형성된 관통홈(124)을 통해 휴대형 영상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을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관통홈(124)의 형태나 위치는 제한이 없으며, 음향 제공을 위한 관통홈(124) 이외에도 휴대형 영상 단말(200)로의 전원 공급 등을 위한 관통홈(124)도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홈의 예가 더욱 상세히 도시된 도면이다.
이때, 본체부(120)는 구 형상일 수 있으며, 받침부(130)는 구 형상의 본체부(120)가 안착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받침부(130) 별도의 결합 구조 없이 본체부(120)가 면접촉, 선접촉, 또는 점접촉을 통해 안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합한 시청 각도로 본체부(120)를 받침부(130)에 내려놓음으로써, 두 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유아들에게 친숙한 공모양으로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120)를 받침부(130)에 내려놓는 동작만으로도 용이하게 휴대형 영상 단말의 시청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1. 소근육이 덜 발달한 유아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떨어뜨리더라도 핸드폰(태블릿) 액정이 깨질 염려가 없다. 2. 반투명이라 옆면에서 보는 것이 불가능하여 시력저하 방지 및 사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3. 청소년들이 게임을 많이 하는 데 비해 유아들은 동영상 시청을 많이 한다. 따라서, 동영상을 재생할 때 재생 단말이 구 안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수로 만져서 꺼지거나 다른 화면으로 바뀔 가능성이 작다. 4. 아직 시력이 완전하지 않은 유아들을 위해 휴대형 영상 단말로부터의 적정거리 유지와 단말기 사용 적절한 습관을 길러줄 수 있다. 5. 구 측면 사이사이에 공간(틈)을 주어 음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6. 직접 들고 볼 수도 있고 책상이나 식탁 등에 고정해놓고 볼 수 있어 실내외용으로 모두 사용 가능하다. 7.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 종류에 따라 적절히 교환이 가능하다(접착식 등). 8. 반투명이라 자연 채광을 적절히 받아들여 어둡지 않다. 9. 후방에 구멍을 내어 충전기 연결이 가능하다. 10. 아이들에게 친숙한 공모양으로 유아들에게 거부감없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비록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아니 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뒷받침되는 상기 실시예의 변형이나 개량에도 미쳐야 할 것이다.
100: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
110: 단말 거치부
120: 본체부
122: 개구부
124: 관통홈
130: 받침부
200: 휴대형 영상 단말

Claims (5)

  1. 휴대형 영상 단말이 거치되는 단말 거치부; 및
    상기 단말 거치부와 연결되고, 상기 휴대형 영상 단말과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휴대형 영상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마주보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된 구 형상이고,
    상기 본체부의 굴곡진 외면에는 상기 본체부의 굴곡진 외면을 따라 일정 길이로 연장형성되어 서로 분리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외면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안착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휴대형 영상 단말 거치대.
KR1020200064864A 2020-05-29 2020-05-29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KR102165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64A KR102165539B1 (ko) 2020-05-29 2020-05-29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4864A KR102165539B1 (ko) 2020-05-29 2020-05-29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005A Division KR20190014902A (ko) 2017-08-04 2017-08-04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051A KR20200064051A (ko) 2020-06-05
KR102165539B1 true KR102165539B1 (ko) 2020-10-14

Family

ID=71089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4864A KR102165539B1 (ko) 2020-05-29 2020-05-29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5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136Y1 (ko) * 2000-02-16 2000-10-02 조인형 인형
US6578527B1 (en) 2001-02-13 2003-06-17 Diana Mathers Sound generating pet toy
KR100753210B1 (ko) 2006-12-26 2007-08-30 (주)애드맨 핸드폰 진열대
JP2014029658A (ja) 2012-07-04 2014-02-13 Yasunari Ito タブレット型機器支持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88B1 (ko) * 2011-09-06 2013-06-17 차병미 완구형 모바일 장치 거치대
KR101775233B1 (ko) * 2015-10-16 2017-09-05 이정호 휴대용 모니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136Y1 (ko) * 2000-02-16 2000-10-02 조인형 인형
US6578527B1 (en) 2001-02-13 2003-06-17 Diana Mathers Sound generating pet toy
KR100753210B1 (ko) 2006-12-26 2007-08-30 (주)애드맨 핸드폰 진열대
JP2014029658A (ja) 2012-07-04 2014-02-13 Yasunari Ito タブレット型機器支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051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7703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mobile terminal
US9584638B2 (en) Portable phone having electro optic image projection system and orientation sensing device
CN203549314U (zh) 蓝牙旋转支架
EP3156712A1 (en) Docking station with rotation mechanism
US8894514B2 (en) Arena baseball game system
US11141653B2 (en) Operation assistance apparatus for game controller, and operation assistance method
CN205067870U (zh) 一种头戴式虚拟现实设备
US10303242B2 (en) Media chair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084405B1 (ko) 인간공학적 이미지 프로젝션 시스템을 구비하는 휴대폰
US20180196262A1 (en) Virtual reality system
KR102165539B1 (ko)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US20120162098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N208939638U (zh) 一种可多角度充电的无线充支架
KR20190014902A (ko) 유아용 휴대형 디스플레이 장치 거치대
CN2912170Y (zh) 便携式个人一体化立体视频多媒体装置
JP2009207198A (ja) 携帯情報端末
CN221668519U (zh) Evd个性化内容播放机
TW202301853A (zh) 持握模組及其持握構造
CN208675388U (zh) 一种防近视的电视智能测距器装置
CN108582104B (zh) 一种智能交互仪
US20150070465A1 (en) Interactive television
CN206479715U (zh) 一种智能眼镜
CN105278103A (zh) 多功能耳麦视频眼镜
CN110827533A (zh) 一种让未成年人自觉保持观看距离的防近视装置
JP2018113592A (ja) 2画面テレ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