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98B1 -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 Google Patents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98B1
KR102165098B1 KR1020200037370A KR20200037370A KR102165098B1 KR 102165098 B1 KR102165098 B1 KR 102165098B1 KR 1020200037370 A KR1020200037370 A KR 1020200037370A KR 20200037370 A KR20200037370 A KR 20200037370A KR 102165098 B1 KR102165098 B1 KR 102165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ion
movable part
entry
vehicle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한주
Original Assignee
이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주 filed Critical 이한주
Priority to KR1020200037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The disinfec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selecting a disinfection area requiring disinfection; positioning a disinfection vehicle in the selected disinfection area; disinfecting the disinfection area by operating a 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ng or cleaning the disinfection vehicle with a fluid processing device. The disinfection method comprises: a vehicle body part (2a′); a storage tank (2b′) provided at the vehicle body part (2a′); and a spray means (2c′) for spraying a disinfection liquid from the storage tank (2b′). Accordingly, disinfection is effectively performed on a target area to be disinfected. Thus, a hygienic environment is composed, and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is inhibited. Through effective washing or sterilizing of the vehicle body of a disinfection vehicle, more stable hygienic management is possible before and after a disinfection procedure.

Description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독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대하여 소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각종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며, 소독차량 자체에 대한 효과적인 세척 또는 살균을 통하여 소독 과정 전후에 보다 안정적인 위생관리가 가능한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create a sanitary environment and suppress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by efficiently disinfecting a target area to be disinfected. It relates to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ant vehicle that enables more stable hygiene management before and after the disinfection process through effective cleaning or sterilization.

소독의 방식으로는 소독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공간에는 작업자가 매고 다니며 소독을 수행하는 소독장비에서부터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이동하는 넓은 범위의 구역에 소독을 수행하는 방식 등이 있다. 이렇게 소독을 수행하여 많은 구역을 세부적으로 꼼꼼하게 소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소독을 수행하는 소독수단의 자체적인 소독과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소독의 과정이 오히려 위생적으로 해를 끼치는 부분으로 변질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들은 아직까지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Methods of disinfection include disinfection equipment that workers carry around and perform disinfection in various spaces that require disinfection, and disinfection in a wide range of areas where the vehicle is installed and moved. It is important to thoroughly disinfect many areas in detail by performing such disinfection. However, as much as that, the self-disinfection and hygiene management of the disinfection means that performs disinfection is very important. If this is not done proper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of disinfection may be turned into a sanitarily damaging part. However, technologies capable of solving this problem still have insufficient problems.

한국등록특허 제10-2090377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90377

본 발명은 소독을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영역에 대하여 소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각종 질병의 발생을 억제하며, 소독차량 자체에 대한 효과적인 세척 또는 살균을 통하여 소독 과정 전후에 보다 안정적인 위생관리가 가능한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anitary environment by efficiently disinfecting the target area to be disinfected, suppresses the occurrence of various diseases, and provides more stable hygiene before and after the disinfection process through effective cleaning or sterilization of the disinfecting vehicle itself.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that can be managed.

본 발명은,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으로서, 소독이 필요한 소독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소독영역에 소독차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소독차량을 운용하여 소독영역을 소독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소독차량을 소독 또는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독차량은, 차체부(2a’)와, 상기 차체부(2a’)에 구비되는 저장탱크(2b’)와, 상기 저장탱크(2b’)로부터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2c’)을 포함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comprising: selecting a disinfection area requiring disinfection; Positioning a disinfection vehicle in the selected disinfection area; Disinfecting the disinfection area by operating a 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ng or washing the disinfecting vehicle with a fluid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disinfecting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portion 2a', a storage tank 2b'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portion 2a', and the It provides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including a spraying means 2c' for injecting a disinfectant solution from the storage tank 2b'.

본 발명에 따르면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으로서, 소독차량에 대한 위생관리를 위하여 효과적인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으며, 크기의 대형화 또는 소형화를 통해 단독 또는 다수대로 구비되는 소독차량에 대한 맞춤별 세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세척과정에 있어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세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여 주변 환경에 미치는 해(예: 소음, 충격, 진동 등)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effective cleaning can be performed for hygiene management of the disinfecting vehicle, and customized cleaning of a disinfecting vehicle provided alone or in multiple units is possible through an increase in size or size It works.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harm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g, noise, shock, vibration, etc.) by stably performing more rapid and efficient cleaning in the cleaning process.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소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차량을 이용한 청소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에 유체처리장치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A is a view showing a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view showing the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FIG. 1A.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cleaning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0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11 to 14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15 is a view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flui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added to the fluid treatment apparatus in FIG. 15.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차량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소독차량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독차량을 이용한 청소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으로서, 소독이 필요한 소독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소독영역에 소독차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소독차량을 운용하여 소독영역을 소독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소독차량을 소독 또는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소독차량은, 차체부(2a’)와, 상기 차체부(2a’)에 구비되는 저장탱크(2b’)와, 상기 저장탱크(2b’)로부터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2c’)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소독액은 물론 세척을 위한 다양한 세척액 등 클리닝과 소독을 위한 다양한 유체로 이해되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is a view showing a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FIG. 1A. 2 is a flowchart sequentially showing a cleaning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A to 3,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comprising: selecting a disinfection area requiring disinfection; Positioning a disinfection vehicle in the selected disinfection area; Disinfecting the disinfection area by operating a 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ng or washing the disinfecting vehicle with a fluid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disinfecting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portion 2a', a storage tank 2b'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portion 2a', and the It includes a spraying means (2c') for spraying the disinfectant solution from the storage tank (2b'). Hereinaft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various fluids for cleaning and disinfection, such as a disinfectant solution as well as various cleaning solutions for cleaning.

도 3 내지 도 10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처리장치(A)를 구성함에, 전후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구동장치가 내설된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구성하되 일측 유체처리장치 본체(2)의상부에는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작동스위치(2a)가 설치되어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을 수동으로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3 to 10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11 to 14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3 and 4, in constituting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main body 2 facing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front and rear, and having a driving device installed therein, but one side fluid process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witches (2a)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device main body (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and the left nozzle dispensing stag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unit (4) rotate by axial coupling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unit main bodies (2).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manually control the rotation of the base (6).

상기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의 이격 거리는 대상물의 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하여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사이에 대상물 충분히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간의 상측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축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를 수직으로 나란히 마주하여 설치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서로 대칭되도록 “ㄷ”자 형태로서 구성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가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나누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축 회전시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에 대상물가 위치한 상태에서 세척이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터널식 또는 이동식 유체처리장치에 비해 세척 공간의 활용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로부터 수직으로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의 대상물를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대상물를 중앙에 두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스윙하면서 중앙에 대상물가 위치하게 되므로 부딪침에 전혀 간섭없이 회전과 함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동장치가 설치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로부터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버블(거품) 세제수 및 물 세척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을 장착되게 구성한다.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ies 2 is formed to be slight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object so that the object can sufficiently enter and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ies 2. And on the upper side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unit main body 2,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which are axially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are installed vertically facing each other. 4) (6) is composed of a "c" shape so as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as shown in Fig. 4,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have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y 2 as the axis. Divided into both sides and configured to rotat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are axially rotated to both sides around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y 2, so that the object is cleaned while the object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y 2 Because of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 of the cleaning space compared to the existing tunnel type or mobile fluid treatment device. 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of the “c” shape are designed to facilitate entry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unit main bodies 2 in a state of vertically facing each other from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unit body 2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is positioned in the center while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swing to both sides with the object in the center, the object is rotated and cleaned without any interference with the collision. More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are axially coupled from the main body 2 of the fluid treatment device before and after the driving device is installed to receive bubble (foam) detergent water and water washing water. It is configured to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8) for injection at high pressure.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내식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각각“ㄷ”자 형태로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는 사각 내지 둥근 안내바(10)를 빙둘러 고정 설치하고 안내바(10)에 분사노즐(8)이 장착된 고정편(12)이 볼트로서 체결되게 구성하여 줌으로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 다수의 분사노즐(8)이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바(10)를 따라 분사노즐(8)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내바(10)에 체결되는 고정편(12)에는 분사노즐(8)이 결합하도록 함에 분사노즐(8)이 고정편(12) 상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 장착되는 분사노즐(8)에는 외부의 고압펌프(미도시)와 연결하되 세제수 및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호스(8a)와 세척수 호스(8b)가 각각 연결되게 구성하여 이를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의 제어 작동에 의하여 분사노즐(8)을 통해 버블 세제수와 세척수를 순차적으로 고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압으로서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6) are made of corrosion-resistant aluminum, each in the form of a “c”, and are configured to form a pair, but inside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there are square or rounded The guide bar (10) is fixed and installed around the guide bar (10), and the fixing piece (12) on which the injection nozzle (8) is mounted is fastened with bolts. ),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8 are positioned inside the guide bar 10, and the position of the injection nozzle 8 is adjusted along the guide bar 10. In addition, since the injection nozzle 8 is coupled to the fixing piece 12 fastened to the guide bar 10, the injection nozzle 8 is installed so that it can rotate left and right on the fixing piece 12 to freely adjust the injection direction. Install it so that you can give it. In addition, the spray nozzle 8 mounted in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is connected to an external high pressure pump (not shown), but the detergent water hose 8a and the washing water hose 8a supply detergent water and washing water. 8b)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so that the bubble detergent water and the washing water are sequentially sprayed at high pressure by the operation of the high-pressure pump through the spray nozzle 8 by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solenoid valve (not shown).

또한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양측으로 회전시켜 대상물 세척토록 함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는 다수의 근접센서(14)를 장착하여 대상물와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하여 줌으로서 대상물 세척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작동에 따른 부딪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한편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에 축 결합하여 양측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내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지지하여 양측으로 회전작동하도록 구동축(16)과 피동축(18)을 통해 축 지지하도록 연결하고,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각각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장착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노즐분사대(6)가 서로 연동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 구성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are rotated to both sides to clean the object, and a plurality of proximity sensors 14 are mounted inside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to By dete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it is installed and configured to prevent collision due to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when washing the object. Meanwhile,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are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apparatus main body 2 to constitute a driving device that rotates to both sides. As shown in FIGS. 6 to 8, the driving device is It is connected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in the front and rear body 2 of the fluid treatment apparatus and support them through the drive shaft 16 and the driven shaft 18 so as to rotate to both sides, and the drive shaft 16 ) And the driven shaft (18), respectively, the driving gear (16a) and the driven gear (18a) are mounted to engage each other so that the left nozzle injector (4) and the right nozzle injector (6)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under interlocking with each other. Install and configure.

이때 상기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의 일측 구동축(1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속모터(20)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를 감속 회전시켜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이 비교적 저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구동축(16) 상에는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감지봉(22)을 더 구비하여 감지봉(22)이 구동축(16)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리밋스위치(22a)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각도를 제어해 주도록 한다. 또한 피동축(18) 상에는 링크대(24)를 축 결합하여 구성하되, 링크대(24)는 일측에 설치된 가스 쇽 업소버(26)와 연결되게 결합하여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서로 맞물려 회전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회전케하는 감속모터(20)의 구동력을 가스 쇽 업소버(26)가 완화시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측노즐분사대(4)(6)가 정역회전시 서로 무게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체처리장치(A)는 구동장치가 장착된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에 축 결합하도록 하며 수직으로 마주하는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비하여 전후 유체처리장치 본체(2) 사이로 대상물를 진입되게 한 후, 대상물를 중심으로 수직상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펼쳐지듯이 회전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대상물를 중앙에 두고 바깥으로 회전시 내측에 갖는 분사노즐(8)들이 대상물의 상면, 측면, 전,후면에 위치되게 이동하면서 표면 전체에 걸쳐 버블(거품) 세제수 또는 세척수를 고압으로서 골고루 분사하여 세척의 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eduction motor 20 is connected with a chain so that 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drive shaft 16 on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fluid processing apparatus main body 2 so that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is performed, and the driving gear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eduction motor 20 (16a) and the driven gear (18a) are rotated at a reduced speed so that the left nozzle injector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injector 6 can rotate at a relatively low speed. And on the drive shaft 16, a sensing rod 22 that rotates by axial coupling is further provided, so that the sensing rod 22 rotates along the driving shaft 16 while contacting the limit switch 22a installed at a constant vertical interval. Control the rotation angle of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6) rotating by axially coupled to (16) and driven shaft (18). Further, on the driven shaft 18, the link bar 24 is shaft-coupled, but the link bar 24 is coupled to be connected to the gas shock absorber 26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driving gear 16a and the driven gear 18a The gas shock absorber 26 mitigates the driving force of the reduction motor 20 that rotates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when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prevent overload, and the left and right nozzles When the injection stand (4) (6)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it serves to balance weight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fluid treatment device (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xially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body (2) on which the drive device is mounted, and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6) of the "c" shape facing vertically After allowing the object to enter between the front and rear fluid treatment device main body 2, the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s 4 and 6 in a vertical state around the object are rotated as if spreading to both sides, as shown in FIG. When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4) (6) rotates outward with the object in the center, the injection nozzles (8) that have inside are moved to be located on the top, sid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object and bubbles (bubble) over the entire surface. Detergent water or washing water is sprayed evenly at high pressur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ashing.

도 11 내지 도 14은 도 1에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세척기 본체(111);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세척기 본체(112);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 일측에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구동시키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한다.11 to 14 are views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Hereinafter,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 description will be made focusing on a part hav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11 to 14, the fluid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body 110 including a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6 of a “c”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8 are mounted inside. ); A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provided below one side of the body 110; A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provid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A first extension body 113 provided below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A second extension 114 provided below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A first movable part 121 for receiving the first extension 113 and moving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back and forth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extension 113; A second movable part 122 for receiving the second extension body 114 and moving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back and forth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extension body 114; It is provided in front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generat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first driving unit 130 that is driven so as to be; It is provided at the rear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generat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second driving unit 140 that is driven to be driven;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is accommodated and interlocked on one side,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is accommodated and interlocked on the other side, and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It includes an interlocking body 150 that drive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or to make them close.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한다. The first driving unit 130 includes a first entry module 132 mounted at one en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of the first movable unit 121 and the second movable unit 122 at one end. A second entry module 133 mounted as a medium of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and the first entry module 132 and the second entry module 133 are interlocked on both sides, and the first entry module 132 And a first movable module 131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second entry module 133.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The first entry module 132 protrudes a first entry shaft 1321a and a first pressing piece 1321b upwards and downwards from the first entry shaft 1321a so that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And a first fixing body 1321 including a first protruding drive part 1321c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unit, and the first movable part 121 is the first entry shaft 1321a o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 Is provided with a first internal pressing piece 1211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and the first pressing piece 1321b is the first internal pressing piece 1211 based on the retreat of the first entry module 132 ) Is hooked on the side of it and is in fixed contact.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The second entry module 133 protrudes a second pressing piece 1331b upwards and downwards from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and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so that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is It includes a second fixture (1331) including a second protruding drive portion (1331c) for fixing the inner wall, the second movable portion (122) is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on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A second internal pressing piece 1212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is provided, and the second pressing piece 1331b is the second internal pressing piece 1212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second entry module 133 It is hung on the side part of the fixed contact.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한다.The second driving part 140 includes a third entry module 142 mounted at one end of the third receiving space S3 of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t one end thereof. A fourth entry module 143 mounted as a medium of the fourth accommodation space (S4), and the third entry module 142 and the fourth entry module 143 are interlocked on both sides, and the third entry module 142 And a second movable module 141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fourth entry module 143. The third entry module 142 protrudes a third pressing piece 1421b upwards and downwards from the third entry shaft 1421a and the third entry shaft 1421a so that the third receiving space S3 is It includes a third fixture (1421) including a third protruding drive (1421c) for fixing the inner wall.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The first movable part 121 is provided with a third internal pressing piece 1213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ird entry shaft 1421a on the third receiving space S3, and the third pressing piece ( 1421b) is fixedly contacted by being caught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internal pressing piece 1213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third entry module 142, and the fourth entry module 143 is a fourth entry shaft 1431a. And a fourth protruding drive part 1431c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fourth receiving space S4 by protruding the fourth pressing piece 1431b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ourth entry shaft 1431a. Including the congestion 1431. The second movable part 122 is provided with a fourth internal pressing piece 1214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ourth entry shaft 1431a on the fourth receiving space S4, and the fourth pressing piece ( 1431b) is fixedly contacted by being caught on the side of the fourth internal pressing piece 1214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fourth entry module 143.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일측 단부에 제1-1 영역체(L11)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1-3 연장영역체(L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3 연장영역체(L13)에는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일측 단부에 제2-1 영역체(L21)와, 상기 제 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3 연장영역체(L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3 연장영역체(L23)에는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FIG. 11 is a modified example of FIG. 10 and referring to FIG. 11, the first entry module 132 includes a 1-1 area body L11 and a 1-1 area body L11 at one end. The 1-2 extension area body L12 extending toward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1-2 extension area body L11 extending toward the first movable part 121 from the 1-1 area body L11 A 1-3 extended area body L13 positioned below the body L12 is provided, and the 1-2 extension area body L12 and the 1-3 extension area body L13 have the first Each of the fixtures 1321 is provided to enter and mount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provided in a plurality of the first movable parts 121. The second entry module 133 has a 2-1 area body L21 at one end thereof, and a 2-2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2-1 area body L21 towar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region body L22 and a 2-3rd extension region extending from the 2-1 region body L21 to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nd located below the 2-2 extension region body L22 A sieve (L23) is provided. The second fixed body 1331 is provided in the 2-2 extended area body L22 and the 2-3rd extended area body L23, respectively, so that a plurality of second movable parts 122 are provided. It is installed by ent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S2).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일측 단부에 제3-1 영역체(L31)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3 연장영역체(L33)가 구비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3 연장영역체(L33)에는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일측 단부에 제4-1 영역체(L41)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3 연장영역체(L43)가 구비된다.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3 연장영역체(L43)에는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4 수용공간(S4)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The third entry module 142 has a 3-1 area body L31 at one end and a 3-2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3-1 area body L31 to the first movable part 121 A region body L32 and a third-third extension region extending from the 3-1 region body L31 to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located below the 3-2 extension region body L32 A body (L33) is provided, and the third fixed body (1421) is provided in the 3-2 extended area body (L32) and the 3-3 extension area body (L33), and the first movable part 121 ) Is installed by entering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S3) provided in plurality. The fourth entry module 143 includes a 4-1 area body L41 at one end and a 4-2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4-1 area body L41 to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region body L42 and a fourth-third extension region extending from the 4-1th region body L41 to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nd positioned below the 4-2th extension region body L42 A sieve (L43) is provided. The fourth fixed body 1431 is provided in the 4-2th extended area body L42 and the 4-3th extended area body L43, respectively, so that a plurality of fourths provided in the second movable part 122 It is installed by entering the accommodation space S4.

상기 제1-1 연장영역체(L11)와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는 상기 제1-1 영역체(L1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연장영역체(L21)와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는 상기 제2-1 영역체(L2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1 연장영역체(L31)와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는 상기 제3-1 영역체(L3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상기 제3 수용공간(S3)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1 연장영역체(L41)와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는 상기 제4-1 영역체(L4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상기 제4 수용공간(S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The 1-1 extension area body L11 and the 1-2 extension area body L12 are provided so as to flow up and down 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1-1 area body L11, and the first fixed body It is provided so that a fixing force acts while the 1321 is moun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and the 2-1 extension area body L21 and the 2-2 extension area body L22 are 2-1 It is provided so as to flow up and down in a certain range on the region body L21, and is provided so that a fixing force acts while the second fixing body 1331 is moun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The 3-1 extended area body L31 and the 3-2 extended area body L32 are provided so as to flow up and down in a predetermined range on the 3-1 area body L31, and the third fixed body It is provided so that a fixing force acts while the 1421 is mounted in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S3, and the 4-1 extended area body L41 and the 4-2th extended area body L42 are 4-1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flow up and down in a certain range on the region body L41, and is provided so that the fixing force acts while the fourth fixture 1431 is mounted in the fourth receiving space S4.

부연설명하면 상기 제1 가동부(121)는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모터기반의 전동슬라이더(미도시)를 베이스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동부(121)는 내부에 전동식 피스톤실린더 모듈(미도시)을 단수 또는 복수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가동부(122)는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모터기반의 전동슬라이더를 베이스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동부(122)는 내부에 전동식 피스톤실린더 모듈을 단수 또는 복수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진퇴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1 구조부(152)와,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2 구조부(153)와, 상기 제1 구조부(152)와 상기 제2 구조부(153)를 내부에 수용하여 양측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진퇴 구동시키는 제3 구조부(151)를 포함하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To further explai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dvances and retreats the first washer body 111 by being installed with the first washer body 111 based on a motor-based electric slid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Can be driven. In addition, the first movable part 121 drives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forward and backward by installing one or more electric piston cylinder modules (not shown) therein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I can make it. The second movable part 122 may drive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forward and backward by installing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on the basis of a motor-based electric slider installed therein. In addition, the second movable part 122 may drive the second washing machine main body 112 forward and backward by installing one or more electric piston cylinder modules therein so as to be interlocked with the second washing machine main body 112. On the other hand, the fluid processing device is provided in front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generate a pulling force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first driving unit 130 that is driven to generate a pushing or pushing force, and provided at the rear between the first movable unit 121 and the second movable unit 122, the first movable unit 121 and the second A second driving unit 140 that is driven to generat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between the movable parts 122, and a first driving unit 140 located on one side and interlocking with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accommodated at one side. The structure part 152, the second structure part 153,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and the first structure part 152 and the second structure part 153 are accommodated therein The interlocking body 150 including a third structure unit 151 that advances and retreats in order to move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to increase or retreat from each other by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o both sides. It may include.

도 15는 본 발명의 따른 유체처리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도 15에 유체처리장치에 일부 구성이 부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편 노즐의 위치나 형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술한 내용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내용과 유사한 부분은 생략하고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전술한 내용과 이하 기술하는 내용과 관련하여 도면 전체의 비율과 크기 등은 개략적으로 표시되었으므로 도면의 비율과 크기로만 한정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본 명세서는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베이스패널(210)과, 상기 제1 가동부(121)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연장부(211)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211)를 수용한채 상기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구동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유동시키거나 상방과 하방으로 승하강시키는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가동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연장부(213)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연장부(213)를 수용한채 상기 제1 구동부(130) 및 상기 제2 구동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유동에 대응하여 일정범위로 유동시키거나 상방과 하방으로 승하강시키는 제2 받침유동부(214)와, 소정의 가이드플레이트(215)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연장부(211)에 외삽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연장부(211)에 비틀림힘을 가하여 상기 제1 연장부(211)를 홀딩되도록 하기위한 제1 동작모드 구동이 가능한 제1 외삽부(216)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연장부(213)에 외삽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상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비틀림힘을 가하여 상기 제2 연장부(213)를 홀딩되도록 하기위한 제2 동작모드 구동이 가능한 제2 외삽부(217)와, 상기 베이스패널(210)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축부(218)와, 상기 구동축부(218)의 상부에 구비되어 회전 유동되는 유동축부(219)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상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1 연동축부(221)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일측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2 연동축부(222)와 상기 유동축부(219)의 타측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의 저면부로 연동되는 제3 연동축부(223)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중앙의 공간부에 수용된 유체처리 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5 is a view showing configurations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a fluid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components are added to the fluid treatment apparatus in FIG. 15. Although the position or shape of the single nozzle is not specifically show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above description. Parts similar to the abov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parts with technical characteristics will be mainly described. In addition, since the proportions and sizes of the drawings as a whole are shown sch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nd the contents to be described below,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understood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not limited only to the proportions and sizes of the drawings. The fluid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base panel 210, a plurality of first extension parts 211 provided under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base panel 210, and the first extension part A first support flow unit 212 for moving in a predetermined range or moving upward and downward in response to the flow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driving unit 13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140 while receiving 211 ),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arts 213 provided under the second movable part, and the first driving part 130 provided on the base panel 210 and accommodating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 And a second support flow unit 214 for moving in a predetermined range or elevating upward and downward in response to the flow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driving units 140, a predetermined guide plate 215, and the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guide plate 215 and is extrapola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and is rotated on the guide plate 215 to apply a twisting force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 a first extrapolated portion 216 capable of driving a first operation mode for holding), and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uide plate 215 and extrapolated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3, and the guide plate 215 A second extrapolated portion 217 capable of driving a second operation mode for holding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3 by rotating o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3 by applying a twisting force to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13, and the base panel 210 ), the drive shaft part 218 provided to be elevating and descending, the flow shaft part 219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drive shaft part 218 to rotate and flow, and the guide plate 215 at the upper part of the flow shaft part 219 ), the first interlocking shaft portion 221 interlocked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flow shaft portion 219 and the second interlocking shaft portion 222 interlocked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5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one side portion of the flow shaft portion 219 and the flow shaft portion ( It includes a third interlocking shaft portion 223 interlocked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guide plate 215 in a diagonal direction from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219. It is preferable that the fluid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size to accommodate the fluid treatment object accommodated in the central space.

이때, 상기 유동축부(219)의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15)는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대한 일정한 회전고정힘을 가하며, 상기 제1 외삽부(216)는, 상부에 제1-1 완충패널(224)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1-2 완충패널(225)이 구비되며, 상기 제2 외삽부(217)는, 상부에 제2-1 완충패널(226)이 구비되며 하부에 제2-2 완충패널(227)이 구비된다.At this tim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flow shaft part 219, the guide plate 215 applies a fixed rotational fixation force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 and the first extrapolation The part 216 is provided with a 1-1 buffer panel 224 on the upper side and a 1-2 buffer panel 225 on the lower side, and the second extrapolated part 217 is provided with a second buffer panel on the upper side. 1 A buffer panel 226 is provided, and a 2-2 buffer panel 227 is provided below.

한편,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받침유동부(214)는, 상기 제1 외삽부(216)와 상기 제2 외삽부(217)가 각기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에 대하여 회전에 기반하는 가압힘을 가하지 않는 릴리즈 상태에서 상기 각기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를 하강 구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제1-1 완충패널(224)과 상기 제2-1 완충패널(226)은, 상기 제1 연장부(211)와 상기 제2 연장부(213)의 하강 구동시, 각기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하부에 접촉되어 완충을 수행하며 상기 제1-2 완충패널(225)과 상기 제2-2 완충패널(227)은 각기 상기 제1 받침유동부(212)와 상기 제2 받침유동부(214)에 접촉되어 완충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support flow part 212 and the second support flow part 214, the first extrapolated part 216 and the second extrapolated part 217 are respectively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and It is possible to downwardly drive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 respectively, in a release state in which no rotation-based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 and the When the first extension part 211 and the second extension part 213 are driven downward, each of the 1-1th buffer panel 224 and the 2-1th buffer panel 226 is the first movable part ( 121)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perform buffering, and the 1-2 buffer panel 225 and the 2-2 buffer panel 227 are respectively the first support flow part 212 And the second support flow part 214 to perform buffering.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일단부 상면에서 출몰되는 제1 상부돌기부(2101)와, 일단부 하면에서 출몰되는 제1 하부돌기부(2102)와, 타단부 상면에서 출몰되는 제2 상부돌기부(2103)와, 타단부 하면에서 출몰되는 제2 하부돌기부(2104)가 구비되며,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제1 파지모듈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단을 파지하여 고정하는 제2 파지모듈부를 포함한다.The base plate 210 includes a first upper protrusion 2101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one end, a first lower protrusion 2102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one end, and a second upper protrusion 2103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other end. ), and a second lower protrusion 2104 protruding from a lower surface of the other end, and the fluid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first gripping module part for gripping and fixing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and the base plate ( 210) and a second gripping module for gripping and fixing the other end.

이때, 상기 제1 파지모듈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1-1 세로몸체부(228)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1-1 가로몸체부(229)와, 상기 제1-1 가로몸체부(229)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상부돌기부(2101)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1-1 장착구(231)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1-2 가로몸체부(230)와,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하부돌기부(2102)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1-2 장착구(231)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irst gripping module portion, the 1-1 vertical body portion 228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and the base plate 210 in the 1-1 vertical body portion 228 The first-first horizontal body portion 229 provided at the top of one end of the, and the first-first horizontal body portion 229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and the first upper protrusion 2101 is inserted into the base. A 1-1 mounting hole 231 for pressing the plate 210, and a 1-2 horizontal body part provided below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from the 1-1 vertical body part 228 (230), a 1-2 mounting hole provided below the 1-2 horizontal body portion 230, the first lower protrusion 210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pressurizing the base plate 210 ( 231).

상기 제2 파지모듈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에 위치되는 제2-1 세로몸체부(232)와, 상기 제1-1 세로몸체부(228)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상부로 구비되는 제2-1 가로몸체부(233)와, 상기 제2-1 가로몸체부(233)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상부돌기부(2103)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2-1 장착구(234)와, 상기 제2-1 세로몸체부(232)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단의 하부로 구비되는 제2-2 가로몸체부(235)와,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하부돌기부(2104)가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를 가압하는 제2-2 장착구(236)를 포함한다.The second gripping module part includes a 2-1 vertical body part 232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and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at the 1-1 vertical body part 228. The 2-1 horizontal body portion 233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nd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2-1 horizontal body portion 233 and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103 is inserted into the base plate ( A 2-1 mounting hole 234 for pressing 210, and a 2-2 horizontal body part 235 provided below one end of the base plate 210 from the 2-1 vertical body part 232 ), and a 2-2 mounting hole 236 provided below the 2-2 horizontal body part 235,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104 inserted therein, and pressing the base plate 210 Includes.

상기 제1-1 장착구(231)는 상기 제1-1 가로몸체부(229)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상부돌기부(2101)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1-2 장착구(231)는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1 하부돌기부(2102)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1 장착구(234)는 상기 제2-1 가로몸체부(233)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상부돌기부(2103)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2-2 장착구(236)는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에서 회전되어 상기 제2 하부돌기부(2104)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에 고정힘을 발생시킨다.The 1-1 mounting hole 231 is rotated in the 1-1 horizontal body portion 229 to generate a fixing force to the base plate 210 via the first upper protrusion 2101, and the The 1-2 mounting hole 231 is rotated in the 1-2 horizontal body portion 230 to generate a fixing force to the base plate 210 via the first lower protrusion 2102, and the first The 2-1 mounting hole 234 is rotated by the 2-1 horizontal body portion 233 to generate a fixing force to the base plate 210 via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103. The 2-2 mounting hole 236 is rotated by the 2-2 horizontal body portion 235 to generate a fixing force to the base plate 210 via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104.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10) 하부에 구비되는 하방돌출구조부(241)와,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의 일측에서 제1 접촉구(242)가 구비된 제1 푸시바(243)를 구동시켜 상기 제1-2 가로몸체부(230)와 상기 제1-2 장착구(231)를 누르는 제1 누름구조부와,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의 타측에서 제2 접촉구(244)가 구비된 제2 푸시바(245)를 구동시켜 상기 제2-2 가로몸체부(235)와 상기 제2-2 장착구(236)를 누르는 제2 누름구조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방돌출구조부(241)는 하부에 지면부에 삽입 고정되는 지면고정돌기부(2411)가 구비되어 물리적 충격에 따른 유동에 의하여 지면에 대한 미끄럼방지가 가능하도록 구비된다.The fluid treatment device includes a lower protruding structure 241 provided under the base plate 210, and a first push bar 243 provided with a first contact hole 242 at one side of the lower protruding structure 241 A first pressing structure for pressing the 1-2 horizontal body part 230 and the 1-2 mounting hole 231 by driving, and a second contact hole 244 from the other side of the lower protruding structure 241 It further includes a second pressing structure for pressing the 2-2 horizontal body portion 235 and the 2-2 mounting hole 236 by driving the second push bar 245 is provided. Here, the lower protruding structure part 241 is provided with a ground fixing protrusion 2411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portion at the bottom thereof to prevent slipping on the ground by flow due to a physical impact.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2' : 몸체부
2a' : 탑승석
2b' : 바퀴
2c' : 세척수단
3' : 조작부
2': body
2a': Boarding seat
2b': wheel
2c': washing means
3': Control panel

Claims (6)

소독이 필요한 소독영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소독영역에 소독차량을 위치시키는 단계; 소독차량을 운용하여 소독영역을 소독하는 단계; 및 유체처리장치로 상기 소독차량을 소독 또는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차량은, 차체부(2a’)와, 상기 차체부(2a’)에 구비되는 저장탱크(2b’)와, 상기 저장탱크(2b’)로부터 소독액을 분사하는 분사수단(2c’)을 포함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체처리장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세척기 본체(111)와,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세척기 본체(112)와,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와,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와,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세척기 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세척기 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와,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와,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1 구조부(152)와,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는 제2 구조부(153)와, 상기 제1 구조부(152)와 상기 제2 구조부(153)를 내부에 수용하여 양측으로 진퇴시킴으로써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진퇴 구동시키는 제3 구조부(151)를 포함하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Selecting a disinfection area requiring disinfection; Positioning a disinfection vehicle in the selected disinfection area; Disinfecting the disinfection area by operating a disinfection vehicle; And disinfecting or washing the disinfecting vehicle with a fluid processing device, wherein the disinfecting vehicle includes a vehicle body portion 2a', a storage tank 2b' provided in the vehicle body portion 2a', and the In the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comprising a spraying means (2c') for spraying a disinfectant solution from the storage tank (2b'),
The fluid processing device,
A body 110 including a left and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6 in the form of “C” in which a plurality of injection nozzles 8 are mounted inside,
A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provided below one side of the body 110,
A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provided below the other side of the body 110,
A first extension 113 provided below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A second extension body 114 provided below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A first movable part 121 for receiving the first extension 113 and moving the first washing machine body 111 back and forth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first extension 113,
A second movable part 122 for receiving the second extension body 114 and moving the second washing machine body 112 back and forth in a sliding manner based on the received second extension body 114,
It is provided in front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generat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first driving unit 130 that is driven to be
It is provided at the rear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to generate a pulling force or a pushing force between the first movable part 121 and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 second driving unit 140 that is driven to
A first structure part 152 which is located on one side and is interlocked by receiving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on one side, and a second structure part 153 which is located at the other side and receiving and interlocking with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Wow, by accommodating the first structure part 152 and the second structure part 153 inside and advancing to both sides,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nozzle dispensing table 4 and the right nozzle dispensing table 6 is increased, or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including an interlocking body 150 including a third structure unit 151 that drives forward and backward to get clos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 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riving unit 130 is
A first entry module 132 mount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of the first movable part 121 at one end, and a second accommodation space S2 of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t one end The second entry module 133 is mounted as, and the first entry module 132 and the second entry module 133 are interlocked on both sides, and the first entry module 132 and the second entry module 133 ) And a first movable module 131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first entry module 132,
A first protrusion driving part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by protruding the first entry shaft 1321a and the first pressing piece 1321b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rst entry shaft 1321a ( 1321c) including a first fixture (1321),
The first movable part 121 is provided with a first internal pressing piece 1211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rst entry shaft 1321a o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S1,
The first pressing piece 1321b is fixedly contacted by being caught on the side of the first internal pressing piece 1211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first entry module 132,
The second entry module 133,
A second protruding drive part 1331c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by protruding the second pressing piece 1331b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and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Including a second fixture (1331) including,
The second movable part 122 is provided with a second internal pressing piece 1212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entry shaft 1331a on the second receiving space S2,
The second pressing piece 1331b is a disinfecting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that is fixedly contacted by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internal pressing piece 1212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second entry module 133.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driving unit 140 is
A third entry module 142 mounted as a medium of the third accommodation space S3 of the first movable part 121 at one end thereof,
A fourth entry module 143 mounted as a medium of the fourth accommodation space S4 of the second movable part 122 at one end thereof,
The third entry module 142 and the fourth entry module 143 are interlocked on both sides, and a second movable module 141 for advancing and retreating the third entry module 142 and the fourth entry module 143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on vehicle comprising a.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The method of claim 4,
The third entry module 142,
A third protruding drive part 1421c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third receiving space S3 by protruding a third pressing piece 1421b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third entry shaft 1421a and the third entry shaft 1421a. It includes a third fixture (1421) including,
The first movable part 121 is provided with a third internal pressing piece 1213 for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third entry shaft 1421a on the third receiving space S3,
The third pressing piece 1421b is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that is fixedly contacted by a side portion of the third internal pressing piece 1213 based on the retreat of the third entry module 14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소독차량을 이용한 소독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fourth entry module 143,
A fourth protruding drive part 1431c for fixing the inner wall of the fourth receiving space S4 by protruding the fourth pressing piece 1431b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ourth entry shaft 1431a and the fourth entry shaft 1331a Including a fourth fixture (1431) including,
The second movable part 122 is provided with a fourth internal pressing piece 1214 that presses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ourth entry shaft 1431a on the fourth receiving space S4,
The fourth pressing piece (1431b) is a disinfection method using a disinfecting vehicle that is fixedly contacted by a side portion of the fourth internal pressing piece (1214) based on the retraction of the fourth entry module (143).
KR1020200037370A 2020-03-27 2020-03-27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KR1021650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70A KR102165098B1 (en) 2020-03-27 2020-03-27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70A KR102165098B1 (en) 2020-03-27 2020-03-27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98B1 true KR102165098B1 (en) 2020-10-13

Family

ID=72885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70A KR102165098B1 (en) 2020-03-27 2020-03-27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9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728U (en) * 2009-06-15 2010-12-23 서울특별시 광진구 Apparatus for disinfecting for a vehicle
KR20150045201A (en)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Injection type car washing machine
JP2017001550A (en)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ダイフク Washing device, and car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180104955A (en) * 2017-03-14 2018-09-2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Disinfection device with variable surface
KR102090377B1 (en) 2018-03-14 2020-03-17 안홍덕 Steriliz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2728U (en) * 2009-06-15 2010-12-23 서울특별시 광진구 Apparatus for disinfecting for a vehicle
KR20150045201A (en)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Injection type car washing machine
JP2017001550A (en) * 2015-06-11 2017-01-05 株式会社ダイフク Washing device, and car washing machine using the same
KR20180104955A (en) * 2017-03-14 2018-09-27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Disinfection device with variable surface
KR102090377B1 (en) 2018-03-14 2020-03-17 안홍덕 Steriliz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92070C1 (en) Method and device for capacities processing
CN107225131A (en) A kind of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medical test tubes
WO2008100745A1 (en) Medical equipment washer system and method
CN207430860U (en) A kind of hospital laboratory sampling test tube high-efficiency washing device
KR102165098B1 (en) The disinfection method for using the vehicle
DK173841B1 (en) Flushing device for use in an apparatus for cleaning containers
CN109848125A (en) A kind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 apparatus cleaning device
CN111760859B (en) Cleaning and sterilizing device for surgical medical supplies
CN113042443A (en) Cleaning and disinfecting device based on packing of multiplexing medical instrument
CN109226156A (en) A kind of barrelled water bucket cleaning equipment and bucket inner wall cleaning machine
KR102165097B1 (en) Cleaning method for using cleaning apparatus
CN106216341A (en) A kind of bucket flushing device and bucket purging method
US7971594B2 (en) Pendulum-type wheel washer
CN108262321A (en) A kind of perfume packaging bottle checks clean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CN216501360U (en) Caterpillar track type bottle washing machine pre-spraying device
CN214638922U (en) Experiment bottle belt cleaning device for bio-pharmaceuticals
CN114042677A (en) Small-size medical instrument belt cleaning device
CN105996936A (en) Dish-washing machine
CN209772993U (en) Test tube cleaning device
CN219847481U (en) Urological instrument soaking and sterilizing device
CN210230935U (en) Bottled oral liquid cleaning machine
CN111919791A (en) Belt cleaning device is used in bacterin production
CN109939991B (en) Enema is with annotating purger disinfection belt cleaning device
CN215460495U (en) Clinical trial sterilizer
CN218129338U (en) Automatic spraying sterilizer for sheep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