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026B1 -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 Google Patents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026B1
KR102165026B1 KR1020190042322A KR20190042322A KR102165026B1 KR 102165026 B1 KR102165026 B1 KR 102165026B1 KR 1020190042322 A KR1020190042322 A KR 1020190042322A KR 20190042322 A KR20190042322 A KR 20190042322A KR 102165026 B1 KR102165026 B1 KR 102165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degree panoramic
degree
image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솔엠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솔엠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솔엠앤티
Priority to KR1020190042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0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11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 H04N13/117Transformation of image signals corresponding to virtual viewpoints, e.g. spatial image interpolation the virtual viewpoint locations being selected by the viewers or determined by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말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빔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표시하는 스크린부;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에 대응되는 오디오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정면의 상단부분에 설치되고, 3D 모션센서로 마련되어 원격으로 복수의 체험자의 모션을 각각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센싱정보를 상기 단말부로 전달함으로써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복수개의 평면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한 후, 구(Globe) 형태로 맵핑(Mapping)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는, 단초점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절하며, 상기 단말부에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저장 및 재생되는 것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외부의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서버에 업로드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등록될 수 있는 재생목록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실행시에 상기 재생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추천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리스트를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 중에서 사용자가 선별적으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게시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 없이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고,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설정 외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체험자의 동작으로 조작이 가능한 3차원 영상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3차원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수급 및 활용성이 매우 크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360 DEGREE AUGMENTED REALITY STEREOSCOPIC IMAGE EXPERIENCE SYSTEM}
본 발명은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룸(Room)형태의 스크린부에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사하여 360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입체 영상 체험 시스템은 HMD(Head Mounted Display)과 같은 물리적인 기기 착용으로 인한 인터랙티브 활동의 제약, 위생상의 문제, 유아동의 시각적 제한 등 콘텐츠 체험의 제한점, 장시간 기기 이용에 따른 어지럼증 같은 사용상 불편이 있고,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체험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2303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86659호 등이 있다.
상술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룸(Room)형태의 스크린부에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사하여 360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룸(Room)형태 스크린부에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사하여 360도 영상을 효과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말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빔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표시하는 스크린부;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에 대응되는 오디오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정면의 상단부분에 설치되고, 3D 모션센서로 마련되어 원격으로 복수의 체험자의 모션을 각각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센싱정보를 상기 단말부로 전달함으로써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복수개의 평면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한 후, 구(Globe) 형태로 맵핑(Mapping)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는, 단초점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절하며, 상기 단말부에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저장 및 재생되는 것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외부의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서버에 업로드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등록될 수 있는 재생목록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실행시에 상기 재생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추천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리스트를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 중에서 사용자가 선별적으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게시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단말부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상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상기 영상출력부로 전달하되, 분할된 영상의 크기 비율 또는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 없이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고,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기 설정 외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체험자의 동작으로 조작이 가능한 3차원 영상 시스템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3차원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의 서버에서 제공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수급 및 활용성이 매우 크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3차원 영상정보의 형성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영상정보의 종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스크린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영상출력부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3차원 영상정보가 체험자의 동작에 따라 조작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입체영상 체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게임화면에서 체험자가 게임을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구성간 연결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3차원 영상정보의 형성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출력되는 3차원 영상정보의 종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스크린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의 영상출력부의 배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3차원 영상정보가 체험자의 동작에 따라 조작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실시되는 입체영상 체험의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게임화면에서 체험자가 게임을 실시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100)은 단말부(110)와 영상출력부(120)와 스크린부(130)와 스피커부(140)와 센싱부(150)를 포함한다.
단말부(110)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저장하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재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연산장치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영상출력부(120)와 스피커부(140)와 센싱부(150)에 연결된다.
여기서,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예를 들면,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영상물 재생 서비스가 구현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S)로부터 상술한 단말부(110)로 전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단말부(110)에 따른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복수개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제작한 3차원 영상파일을 의미하는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영상정보를 가지는 복수개의 평면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하고, 이후, 연속적인 평면 프레임을 구(Globe) 형태로 맵핑(Mapping)함으로서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후술하는 영상출력부(120)에서 빔 형태로 형성된 후, 스크린부(130)에 전달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한편,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한 영상파일,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대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부(110)에는 상술한 서버(S)로부터 전달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저장, 재생되는 것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서버(S)에서 제공하는 ID(예를 들면, 유튜브 재생 ID)를 입력하는 경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서버(S)에서 불러와 재생하는 기능과, 서버(S)에 업로드된 동영상의 검색을 제공(예를 들면, 유튜브(YouTube) 사이트에서 직접검색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에서 직접적으로 검색창 제공)하는 기능과, 단말부(110)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에 따른 파일을 불러와 재생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부(1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후술하는 복수개의 스크린(130a) 중 어느 하나의 스크린(130a)에 출력되도록 후술하는 영상출력부(120)를 조절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복수개의 스크린(130a)에 나누어 재생하도록 영상출력부(120)를 조절하는 경우 출력되는 영상의 상하 크기(비율)를 조절하는 기능 및 영상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2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생성한 영상파일 또는 3대 이상의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파일이 후술하는 스크린부(130)에 적절하게 출력되도록 영상출력부(120)를 조절하는 기능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부(1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서버(S)의 동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해당 영상 파일이 단말부(110)에 저장되어 있으면 단말부(110)에 저장된 영상 파일을 재생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4K 등의 고화질 영상의 재생시에 오디오 정보가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 이를 동기화하여 출력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부(1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동영상 재생목록이 제공되는데, 상기 재생목록에는 단말부(110) 자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등록 및 유튜브(YouTube)와 같은 영상물 재생 서비스가 구현되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S)에 업로드되어 있는 파일이 등록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프로그램 실행시에 재생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파일이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100)의 제조, 설치하는 운영주체(이하, 관리자)가 프로그램에 접속하여 추천하는 영상 리스트를 전달하면 해당 리스트를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100)의 실시자(이하, 사용자)에 의해 관리자가 프로그램으로 제공하는 영상 리스트를 선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게시창이 제공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부(110)에 설치되는 프로그램에 따르면, 사용자가 단말부(11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등)를 조작하여 후술하는 스크린부(130)에 표시되는 영상을 조작(스크린부(130) 내에서 이동 및 크기 조절, 재생되는 동영상의 변경 등, 도 5의 (b) 참조) 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단말부(110)에 따르면, 외부의 서버(S)에서 제공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시스템에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콘텐츠 수급 및 활용성이 매우 크다는 효과가 있다.
영상출력부(120)는 단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빔으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단말부(110)에 HDMI 타입의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부(12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복수개의 스크린(130a)에 마주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체험자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후술하는 스크린부(130)가 형성하는 룸(Room) 형태의 공간 상측(천장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영상출력부(120)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타입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빔 타입으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영상출력부(120)를 스크린(130a)에 근접하게 배치하여 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도록 영상출력부(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초점 타입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또한, 영상출력부(120)는 구글社의 크롬케스트(Chromecast)와 같은 미러링 장치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출력부(120)에 따르면, 영상출력부(120)에서 사용자 또는 체험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Smart Phone)과 같은 휴대 단말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영상출력부(12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스크린부(130)는 영상출력부(120)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130a)으로 구성되어 룸(Room)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스크린부(130)는 예를 들면, 체험자가 응시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면 측에 제1스크린, 좌면 측에 제2스크린, 우면 측에 제3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린부(130)는 예를 들면, 상술한 3개의 스크린 이외에도 저면 측에 제4스크린, 후면 측에 제5스크린이 추가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스크린(130a)으로 구성되는 스크린부(130)에 따르면, 룸(Room)형태의 3차원 영상 체험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체험 공간에 따르면, 체험자는 체험 공간 내에서 HMD(Head Mounted Display) 등과 같은 장비의 사용 없이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고,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스크린(130a)으로 구성되는 스크린부(130)에 따르면,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에 따른 3차원 영상을 체험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제공되므로, 다수의 체험자가 동시에 3차원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체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부(140)는 단말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스크린부(130)가 형성하는 룸(Room) 형태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피커부(140)는 단말부(110)에 AUX 타입의 케이블와 같은 유선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오디오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고,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의 방식으로 연결되어 오디오정보를 전달받을 수도 있다.
한편, 스피커부(140)는 경우에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술한 스크린부(130)가 형성하는 룸(Room)형태의 체험 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상술한 스크린부(130)가 형성하는 룸(Room)형태의 체험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로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센싱부(150)는 체험자의 모션을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단말부(110)에 연결되어 단말부(110)로 생성한 센싱정보를 전송한다.
체험자가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센싱부(150)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에 대응하는 센싱정보를 생성하는데, 생성된 센싱정보에 따라 단말부(110)는 스크린부(130)에 표시되는 3차원 영상정보를 변환시킨다. 즉, 센싱부(150)는 체험자와 3차원 영상 간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자가 양손에 주먹을 쥔 다음, 원 형상을 형성하게 되면, 스크린부(130)에 표시되는 3차원 영상이 원 형상의 방향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센싱부(150)가 체험자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우 스크린부(130)에 표시되는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개시되는 것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험자가 센싱부(150)에 의해 인식되는 경우, 3차원 영상이 스크린부(130)에 표시되는 동시에 인식된 체험자의 영상이 스크린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130)에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 이외에 게임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체험자가 동작하게 되면, 체험자의 동작에 따라 게임 내 UI(User Interface)의 컨트롤 및 게임 내 캐릭터의 이동 등이 진행되는 증강 현실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싱부(150)에 따르면, 초기설정을 제외하고 별도의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체험자와 3차원 영상정보 간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르면, 초기 설정 외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체험자의 동작으로 조작이 가능한 3차원 영상 시스템(100)에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센싱부(150)는 체험자의 간섭이 배제되도록 정면측 스크린(130a)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체험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센싱부(150)는 3D 모션센서와 같은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체험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이러한 센싱부(150)에 따르면, 3D 모션센서를 통한 체험자의 동작인식이 수행되므로, 3D 모션센서를 통한 상호작용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고, 센싱부(150)를 통해 체험자 자신의 모습을 스크린부(130)에 투영하거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영된 체험자의 모습에 여러가지 특수 효과가 부가된 상태에서 체험 실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3D 모션센서로 마련되는 센싱부(150)는 동시에 복수의 체험자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센싱부(150)에 따르면 복수의 체험자가 상호 작용하며 영상 체험, 게임 등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부(110)와 영상출력부(120)와 스크린부(130)와 스피커부(140)와 센싱부(1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100)에 따르면, HMD(Head Mounted Display) 사용 없이도 체험자가 영상 및 증강현실 콘텐츠를 간편하고, 실감나게 체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100)에 따르면, 초기 설정 외 별도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체험자의 동작으로 조작이 가능한 3차원 영상 시스템에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110 : 단말부
120 : 영상출력부
130 : 스크린부
130a : 스크린
140 : 스피커부
150 : 센싱부
S : 서버

Claims (5)

  1.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재생을 수행하는 단말부;
    적어도 3개 이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빔으로 출력하는 영상출력부;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로부터 빔을 전달받아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표시하는 스크린부;
    상기 단말부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에 대응되는 오디오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스크린부의 정면의 상단부분에 설치되고, 3D 모션센서로 마련되어 원격으로 복수의 체험자의 모션을 각각 센싱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며, 생성된 센싱정보를 상기 단말부로 전달함으로써 인터페이스로 기능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는,
    복수개의 평면 프레임을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의 이미지로 구성한 후, 구(Globe) 형태로 맵핑(Mapping)함으로써 생성되며,
    상기 영상출력부는,
    단초점 타입으로 마련되며,
    상기 단말부는,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스크린부에 표시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조절하며,
    상기 단말부에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저장 및 재생되는 것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외부의 서버에 업로드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창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부에 저장되어 있거나 상기 서버에 업로드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가 등록될 수 있는 재생목록을 제공하며, 프로그램 실행시에 상기 재생목록에 등록되어 있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추천하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의 리스트를 전달받아 상기 리스트를 재생하며,
    상기 프로그램은,
    관리자가 제공하는 복수개의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 중에서 사용자가 선별적으로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선택할 수 있는 게시창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부는,
    상기 360도 파노라마 3차원 영상소스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영상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상기 영상출력부로 전달하되, 분할된 영상의 크기 비율 또는 조사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KR1020190042322A 2019-04-11 2019-04-11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KR10216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22A KR102165026B1 (ko) 2019-04-11 2019-04-11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322A KR102165026B1 (ko) 2019-04-11 2019-04-11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026B1 true KR102165026B1 (ko) 2020-10-13

Family

ID=7288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322A KR102165026B1 (ko) 2019-04-11 2019-04-11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0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401B1 (ko) * 2016-08-22 2017-06-16 강두환 가상현실 어트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7177A (ko) * 2016-11-22 2018-05-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체험을 위한 다면 부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401B1 (ko) * 2016-08-22 2017-06-16 강두환 가상현실 어트랙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57177A (ko) * 2016-11-22 2018-05-30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체험을 위한 다면 부스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32837B2 (en)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system with multiple targets
US20200226843A1 (en) Insertion of vr spectator in live video of a live event
US10388071B2 (en) Virtual reality (VR) cadence profile adjustments for navigating VR users in VR environments
JP6526054B2 (ja) プライベート追跡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としての第2画面の使用
TWI530157B (zh) 多視角影像之顯示系統、方法及其非揮發性電腦可讀取紀錄媒體
JP6223965B2 (ja) 立体ビデオ表現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方法
US8717423B2 (en) Modifying perspective of stereoscopic images based on changes in user viewpoint
JPWO201600986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表示制御装置及び方法、再生装置及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CN114327700A (zh) 一种虚拟现实设备及截屏图片播放方法
WO2015151766A1 (ja) 投影撮影システム、カラオケ装置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KR20190026267A (ko) 전자장치, 그 제어방법 및 그 컴퓨터프로그램제품
TWI746466B (zh) 沉浸式顯示器外殼
JP2019512177A (ja) 装置および関連する方法
CN110730340B (zh) 基于镜头变换的虚拟观众席展示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7181985A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WO2020206647A1 (zh) 跟随用户运动控制播放视频内容的方法和装置
JP2010218195A (ja) 画像生成システム、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サーバシステム
KR102165026B1 (ko) 360도 ar 입체영상 체험 시스템
Wischgoll Display systems for visualization and simul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US20200225467A1 (en) Method for projecting immersive audiovisual content
WO2020248682A1 (zh) 一种显示设备及虚拟场景生成方法
KR101816208B1 (ko) 멀티 앵글 기반 가상 현실 융합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210056414A (ko) 혼합 현실 환경들에서 오디오-가능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JP2019121072A (ja) 3dcg空間の鑑賞条件連動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327625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